KR20230075761A - 부유식 해양 구조물용 계류라인 설치방법 - Google Patents

부유식 해양 구조물용 계류라인 설치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75761A
KR20230075761A KR1020210162260A KR20210162260A KR20230075761A KR 20230075761 A KR20230075761 A KR 20230075761A KR 1020210162260 A KR1020210162260 A KR 1020210162260A KR 20210162260 A KR20210162260 A KR 20210162260A KR 20230075761 A KR20230075761 A KR 202300757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oring
chain
vessel
mooring chain
wi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622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25843B1 (ko
Inventor
박공만
신상성
Original Assignee
세호엔지니어링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세호엔지니어링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세호엔지니어링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1622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25843B1/ko
Publication of KR202300757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757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258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258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1/00Tying-up; Shifting, towing, or pushing equipment; Anchoring
    • B63B21/50Anchoring arrangements or methods for special vessels, e.g. for floating drilling platforms or dredg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1/00Tying-up; Shifting, towing, or pushing equipment; Anchoring
    • B63B21/50Anchoring arrangements or methods for special vessels, e.g. for floating drilling platforms or dredgers
    • B63B2021/505Methods for installation or mooring of floating offshore platforms on sit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Revet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부유상태의 해양 구조물을 계류지점에 계류시키는 부유식 해양 구조물용 계류라인 설치방법에 있어서, 일측에는 길이방향 양단에 제1와이어를 통해 한 쌍의 제1계류체인 표시부이가 연결된 제1계류체인 및, 제2와이어를 통해 앵커위치 표시부이가 연결된 앵커를 계류지점 인근의 해저면에 투입 배치하는 단계, 계류작업 선박에서 제1계류체인을 끌어올린 후, 제1계류체인의 길이방향 일단을 계류작업 선박에 배치된 계류체인 연결장치에 연결 설치하는 단계, 해양 구조물에 연결된 제2계류체인의 길이방향 일단을 계류체인 연결장치에 연결상태로 계류작업 선박에 배치하는 단계, 계류체인 연결장치에 제3와이어를 통해 연결장치 표시부이를 연결한 후, 계류체인 연결장치를 해양 구조물과 앵커 사이의 해저면에 투입 배치하는 단계, 계류작업 선박에서 제2계류체인의 장력을 조절한 후, 계류작업 선박에서 제2계류체인을 해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부유식 해양 구조물용 계류라인 설치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부유식 해양 구조물용 계류라인 설치방법{Installation of mooring lines for floating offshore structures}
본 발명은 해상에 부유하는 각종 해양 구조물을 특정 지점에서 계류시키는 계류라인을 설치하는 부유식 해양 구조물용 계류라인 설치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해상에서 풍력이나 태양광을 이용한 발전이나 원유 채굴 작업을 진행하는 특수목적 해양 구조물은 해상을 이동하기도 하지만 필요에 따라 해상의 특정 지점에 머무른 상태로 부유하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해상에서 부유하는 해양 구조물의 특성상 장시간 고정된 위치를 유지하기는 쉽지 않다. 해류의 영향이나 수시로 변하는 해상의 기상조건 등은 해양 구조물의 위치를 변동시키는 주요원인이 된다. 추진장치나 자세제어장치를 이용하더라도 해상에서 일정한 위치를 지속적으로 유지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다.
이로 인해, 해양 구조물과 해저면의 사이에 와이어 장비 등을 연결하여 해양 구조물을 해상에 계류시키는 기술이 사용된다. 이러한, 계류라인(Mooring line)은 해양 구조물을 계류시키기 위해 와이어 장비 등을 이용하여 형성한 일종의 고정 구조물로서 다수의 와이어 등으로 이루어진다.
그러나, 종래에는 계류라인을 설치하거나 해체하는 등의 작업이 쉽지 않고 설치시간이 지연되는 등의 여러 가지 문제가 있다. 특히, 계류와이어의 인양작업 등이 필요하고 ROV등 잠수장비가 해양 구조물과 해저면 사이를 반복적으로 이동하며 진행하는 종래의 설치방식은 작업 효율성이 낮고, 잠수장비 운용 등 추가 인력이 필요하며, 작업 안정성과 예측성이 저하되고 안전사고의 위험성도 큰 단점이 있다. 또한, 계류라인을 설치완료된 상태에서 계류라인의 장력 조절이 필요한 경우, 계류라인의 장력조절 작업도 쉽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이같은, 해양 구조물의 계류라인 설치방법은, 대한민국등록특허공보 제10-0943457호(2010.02.22)에 제시된다.
본 발명은, 계류라인의 설치작업을 안전하면서 신속하게 할 수 있게 함과 더불어 설치완료 후 계류라인의 장력 조절이 필요한 경우에도 장력 조절작업을 쉽게 수행할 수 있게 부유식 해양 구조물용 계류라인 설치방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부유상태의 해양 구조물을 계류지점에 계류시키는 부유식 해양 구조물용 계류라인 설치방법에 있어서, 일측에는 길이방향 양단에 제1와이어를 통해 한 쌍의 제1계류체인 표시부이가 연결된 제1계류체인 및, 제2와이어를 통해 앵커위치 표시부이가 연결된 앵커를 계류지점 인근의 해저면에 투입 배치하는 단계, 계류작업 선박에서 제1계류체인을 끌어올린 후, 제1계류체인의 길이방향 일단을 계류작업 선박에 배치된 계류체인 연결장치에 연결 설치하는 단계, 상기 해양 구조물에 연결된 제2계류체인의 길이방향 일단을 계류체인 연결장치에 연결상태로 계류작업 선박에 배치하는 단계, 상기 계류체인 연결장치에 제3와이어를 통해 연결장치 표시부이를 연결한 후, 계류체인 연결장치를 해양 구조물과 앵커 사이의 해저면에 투입 배치하는 단계, 상기 계류작업 선박에서 제2계류체인의 장력을 조절한 후, 계류작업 선박에서 제2계류체인을 해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부유식 해양 구조물용 계류라인 설치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계류라인 연결장치는, 판 형태를 가지며, 일측면에 제1계류체인을 연결하는 계류연결고리가 형성되고, 타측면에는 제2계류체인을 관통 상태로 이동되게 가이드하는 계류가이드홈이 형성된 연결지지대를 결합 구비하는 베이스부, 상기 계류가이드홈 상측에 배치되도록 연결지지대에 회전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며, 하단면에는 계류가이드홈에 삽입 배치된 제2계류체인을 걸림상태로 이동되게 하는 걸림스토퍼가 형성된 걸림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계류작업 선박에서 제1계류체인을 끌어올린 후, 제1계류체인의 길이방향 일단을 계류작업 선박에 배치된 계류라인 연결장치에 연결 설치하는 단계는, 상기 제1계류체인 표시부이에 연결된 제1와이어의 길이방향 일단을 계류작업 선박으로 당김 배치시킨 후, 제1와이어의 길이방향 일단을 계류작업 선박에 구비된 권취장치를 통해 감김시키면서 제1계류체인의 길이방향 일단을 계류작업 선박에 배치시키는 단계, 상기 계류작업 선박으로 당김 배치된 제1계류체인의 길이방향 일단 끝 부분을 계류라인 연결장치에 고정 결합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해양 구조물에 연결된 제2계류체인의 길이방향 일단을 계류체인 연결장치에 연결상태로 계류작업 선박에 배치하는 단계는, 상기 계류작업 선박을 통해 제2계류체인의 길이방향 타단을 해양 구조물에 연결한 후, 제2계류체인의 길이방향 일단을 계류체인 연결장치에 연결 배치하는 단계, 상기 제2계류체인의 길이방향 일단 끝 부분을 계류작업 선박의 권취장치에 연결 배치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계류작업 선박에서 제2계류체인의 장력을 조절한 후, 계류작업 선박에서 제2계류체인을 해체하는 단계는, 상기 계류작업 선박을 앵커위치 표시부이에 연결된 제2와이어와 연결되게 하는 단계, 상기 계류작업 선박에 구비된 권취장치를 작동시켜, 제2계류체인을 감김시키면서 장력을 조절하는 단계, 상기 제2계류체인의 길이방향 일단을 권취장치에서 해체한 후, 상기 제2계류체인의 길이방향 일단 끝 부분에 제3와이어를 통해 앵커위치 표시부이가 연결된 상태로 제2계류체인의 길이방향 일단을 해저면에 배치되게 하는 단계, 상기 제2와이어를 계류작업 선박에서 이탈되게 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부유식 해양 구조물용 계류라인 설치방법에 따르면, 앵커를 해저면에 투입 배치한 후, 앵커와 연결된 제1계류체인 및 해양 구조물에 연결된 제2계류체인을 계류작업 선박에 배치된 계류체인 연결장치에 연결 위치시킨 상태에서 앵커와 해양 구조물 사이 해저면에 계류체인 연결장치를 투입 설치한다. 이후, 계류작업 선박에서 제2계류체인을 권취장치에 연결시킨 상태에서 감김시켜 장력을 설정된 장력상태가 되도록 조절하고, 다시 제2계류체인을 해저면에 위치되게 하는 바, 해양 구조물의 계류 작업을 신속하면서 쉽게 할 수 있게 한다.
더불어, 앵커에는 제2와이어를 통해 부유상태로 앵커위치 표시부이를 연결 구비하고, 제2계류체인에는 제4와이어를 통해 부유상태로 제2계류체인 표시부이를 연결 구비한 바, 계류 설치완료 후 해양 구조물의 계류상태 장력 조절이 필요한 경우에도 제4와이어를 통해 제2계류체인을 계류작업 선박으로 이동시킨 상태로 계류작업 선박을 제2와이어로 앵커에 연결되게 할 수 있으므로 장력 조절작업을 안정적으로 수행할 수 있게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부유식 해양 구조물용 계류라인 설치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낸 S100단계를 나타낸 상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계류체인 연결장치의 구성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 나타낸 S110단계 및 S120단계를 나타낸 상태도이다.
도 5 및 도 6은 도 1에 나타낸 S140단계를 나타낸 상태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부유식 해양 구조물용 계류라인 설치방법에 관하여 도 1 내지 도 5를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도 2와 같이 앵커(100)를 해양 구조물(10)을 계류시키고자 하는 계류지점 인근의 해저면에 투입 배치한다(S100). 이때, 앵커(100)의 일측에는 제1계류체인(110)의 길이방향 일단을 고정되게 연결 구비한다. 그리고, 제1계류체인(110)의 길이방향 일단 및 길이방향 타단에는 앵커(100)를 해저면에 투입시, 해수면에 부유하면서 제1계류체인(110)의 길이방향 일단 및 길이방향 타단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도록 제1와이어(112)를 통해 제1계류체인(110)에 연결되는 한 쌍의 제1계류체인 표시부이(111)를 구비한다. 이러한, 제1계류체인 표시부이(111)는 제1계류체인(110)의 길이방향 양단으로부터 상측 수면 상에 부유하도록 배치되는 바, 이후 제1계류체인(110)을 계류체인 연결장치(200)에 연결 설치시, 위치 확인 및 인양을 쉽게 할 수 있게 한다.
또한, 상기 앵커(100)에는 앵커(100)를 해저면에 투입시, 해수면에 부유하면서 앵커(100)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도록 제2와이어(102)를 통해 앵커(100)에 연결되는 앵커위치 표시부이(101)를 구비한다. 이러한, 앵커위치 표시부이(101)는 앵커(100)의 상측 수면 상에 부유하도록 배치되는 바, 앵커(100) 위치 및 앵커(100)에 연결된 제2와이어(102)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게 하면서, 이후 제2계류체인(120)의 장력조절시 제2계류체인(120)과의 연결을 쉽게 할 수 있게 한다.
이같이, 제1계류체인 표시부이(111)와 앵커위치 표시부이(101)가 연결 구비된 앵커(100)를 해저면에 투입 배치한 후에는, 제1계류체인(110)을 계류작업 선박(20)에 배치된 계류체인 연결장치(200)에 연결되게 설치한다(S110). 즉, 계류작업 선박(20)에서 제1계류체인(110)을 끌어올린 후, 제1계류체인(110)의 길이방향 일단을 계류작업 선박(20)에 배치된 계류체인 연결장치(200)에 연결 설치한다. 이에 대해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도 4와 같이, 제1계류라인 표시부이(111)에 연결된 제1와이어(112) 길이방향 일단을 계류작업 선박(20)으로 당겨 이동시킨 후, 제1와이어(112)의 길이방향 일단을 계류작업 선박(20)에 구비된 권취장치(도면미도시)를 통해 감김시키면서 제1계류체인(110)의 길이방향 일단을 계류작업 선박(20)에 배치되게 한다. 이후, 계류작업 선박(20)으로 당김 이동 배치된 제1계류체인(110)의 길이방향 일단 끝 부분을 계류라인 연결장치(200)에 고정 결합되게 한다. 이같이, 제1와이어(112) 길이방향 일단을 계류작업 선박(20)으로 당겨 이동시킨 후, 제1와이어(112)의 길이방향 일단을 계류작업 선박(20)에 구비된 권취장치(도면미도시)를 통해 감김시키면서 제1계류체인(110)의 길이방향 일단을 계류작업 선박(20)에 배치되게 하는 정도에 따라 해저면에서 앵커(100)의 위치를 이동 조절할 수도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계류라인 연결장치(200)는 판 형태를 가지는 베이스부(210)와, 베이스부(210)의 상측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 설치되는 걸림대(22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베이스부(210)의 상면에는 일측면에 제1계류체인(110)을 연결하는 계류연결고리(212)가 형성되고, 타측면에는 제2계류체인(120)을 관통 상태로 이동되게 가이드하는 계류가이드홈(213)이 형성된 연결지지대(211)를 결합 구비한다. 이때, 베이스부(210)는 상호 이격되게 복수의 관통공(도면미도시)이 형성되어, 계류라인 연결장치(200)를 해저면으로 투입하고자 계류작업 선박(20)에서 낙하시 해수의 통과가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면서 베이스부(210)의 바닥면이 해저면에 안정적으로 배치될 수 있게 한다. 여기서, 도면부호 214는 계류라인 연결장치(200)를 해저면에 투입시 와이어부재(도면미도시)를 연결하는 투입와이어연결고리이다.
상기 걸림대(220)는 계류가이드홈(213) 상측에 배치되도록 연결지지대(211)에 회전 가능하게 힌지로 결합되는 부분이다. 이러한, 걸림대(220)의 하단면은 제2계류체인(120)의 이동을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라운드 진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더불어, 걸림대(220)의 하단면에는 계류가이드홈(213)에 삽입 배치된 제2계류체인(120)을 걸림상태로 이동되게 하는 걸림스토퍼(221)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걸림스토퍼(221)도 부채꼴 단면 형태로 형성되어, 제2계류체인(120)을 계류가이드홈(213)에서 이동시, 일측 방향, 보다 상세하게는 제2계류체인(120)이 해양 구조물(10)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는 이동되게 하는 반면에, 제2계류체인(120)이 해양 구조물(10) 방향으로 이동시에는 걸림상태가 되게 하면서 이동되지 않게 고정되게 한다. 만약, 제2계류체인(120)을 해양 구조물(10) 방향으로 이동시키고자 걸림상태를 해제하고 싶을 경우에는, 걸림대(220)를 연결지지대(211) 상에서 회전시켜 걸림스토퍼(221)가 제2계류체인(120)에 걸림된 상태를 해제시키면 된다.
이같이, 상기 계류작업 선박(20)에 배치된 계류체인 연결장치(200)의 계류연결고리(212)에 제1계류체인(110)을 연결 설치한 후에는, 해양 구조물(10)에 연결된 제2계류체인(120)의 길이방향 일단을 계류체인 연결장치(200)에 연결상태로 계류작업 선박(20)에 배치되게 한다(S120). 즉, 도 4와 같이, 제2계류체인(120)의 길이방향 타단을 계류작업 선박(20)을 통해 해양 구조물(10)에 연결한 후, 제2계류체인(120)의 길이방향 일단을 계류체인 연결장치(200)에 연결 배치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제2계류체인(120)의 길이방향 일단은 계류체인 연결장치(200)의 계류가이드홈(213)에 삽입 배치된 상태로 걸림대(220)에 의해 걸림된 상태를 유지되게 한다. 이때, 제2계류체인(120)의 길이방향 일단 끝 부분은 제4와이어(122)를 통해 계류작업 선박(10)의 권취장치에 연결 배치되게 한다.
이렇게, 상기 해양 구조물(10)에 연결된 제2계류체인(120)의 단부를 계류작업 선박(20)에 배치된 계류체인 연결장치(200) 및 권취장치에 연결되게 한 후에는, 계류체인 연결장치(200)에 제3와이어(310)를 통해 연결장치 표시부이(320)를 연결한 후, 계류체인 연결장치(200)를 해양 구조물(10)과 앵커(100) 사이에 위치하도록 해저면에 투입 배치되게 한다(S130). 이러한, 연결장치 표시부이(320)는 계류체인 연결장치(200)의 상측 수면 상에 부유하도록 배치되는 바, 계류체인 연결장치(200) 위치를 확인할 수 있게 하면서, 이후 계류체인 연결장치(200)의 수리나 교체가 필요한 경우 계류체인 연결장치(200)를 다시 계류작업 선박(20)으로 쉽게 인양할 수 있게 한다.
이같이, 상기 계류체인 연결장치(200)를 해저면에 투입 배치되게 하면, 계류작업 선박(20)에서 제2계류체인(120)의 장력을 조절한 후, 계류작업 선박(20)에서 제2계류체인(120)의 연결상태가 해제되도록 해체하는 작업을 수행한다(S140). 즉, 해양 구조물(10)이 계류지점에서 안정적으로 계류할 수 있도록 제2계류체인(120)의 장력을 조절한 후, 제2계류체인(120)을 계류작업 선박(20)에서 해체하고 제2계류체인(120)의 끝 부분 위치를 알 수 있게 한다. 도 5를 참조하면, 계류작업 선박(20)을 제5와이어(123)을 통해 앵커위치 표시부이(101)에 연결된 제2와이어(102)와 연결되게 한다. 그리고, 계류작업 선박(20)에 구비된 권취장치를 작동시켜, 계류작업 선박(20)의 권취장치에 연결된 제4와이어(122)를 감김시키면서 제2계류체인(20)이 설정된 장력상태가 되도록 조절한다. 이후, 도 6과 같이 제2계류체인(120)의 길이방향 일단을 권취장치에서 해체한 후, 제2계류체인(120)의 길이방향 일단 끝 부분에 제4와이어(122)를 통해 제2계류체인 표시부이(121)가 연결된 상태로 제2계류체인(120)의 길이방향 일단을 해저면에 배치되게 계류작업 선박(20)에서 이탈되게 한다. 여기서, 제2계류체인 표시부이(121)와 제4와이어(122)는 제2계류체인(120)과 연결된 상태로 수면 상에 부유상태로 배치되는 바, 계류체인 연결장치(200)를 해저면에 투입 배치한 상태에서 추후 제2계류체인(20)의 장력조절이 필요한 경우, 계류작업 선박(20)에서 제2계류체인(20)의 감김작업을 쉽게 수행할 수 있게 한다. 그리고, 제5와이어(123)와 제2와이어(102)의 연결을 해제시켜 제2와이어(102)가 계류작업 선박(20)에서 이탈되게 하면, 해양 구조물(10)의 계류라인 설치작업이 완료된다.
상기와 같은 부유식 해양 구조물용 계류라인 설치방법에 따르면, 앵커(100)를 해저면에 투입 배치한 후, 앵커(100)와 연결된 제1계류체인(110) 및 해양 구조물(10)에 연결된 제2계류체인(120)을 계류작업 선박(20)에 배치된 계류체인 연결장치(200)에 연결 위치시킨 상태에서 앵커(100)와 해양 구조물(10) 사이 해저면에 계류체인 연결장치(200)를 투입 설치한다. 이후, 계류작업 선박(20)에서 제2계류체인(120)을 권취장치에 연결시킨 상태에서 감김시켜 장력을 설정된 장력상태가 되도록 조절하고, 다시 제2계류체인(120)을 해저면에 위치되게 하는 바, 해양 구조물(10)의 계류 작업을 신속하면서 쉽게 할 수 있게 한다.
더불어, 상기 앵커(100)에는 제2와이어(102)를 통해 부유상태로 앵커위치 표시부이(101)를 연결 구비하고, 제2계류체인(120)에는 제4와이어(122)를 통해 부유상태로 제2계류체인 표시부이(121)를 연결 구비한 바, 계류 설치완료 후 해양 구조물(10)의 계류상태 장력 조절이 필요한 경우에도 제4와이어(122)를 통한 제2계류체인(120)을 계류작업 선박(20)으로 이동시킨 상태로 계류작업 선박(20)을 제2와이어(102)로 앵커(100)에 연결되게 할 수 있으므로 장력 조절작업을 안정적으로 수행할 수 있게 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제1계류체인 111:제1계류체인 표시부이
112: 제1와이어 120: 제2계류체인
121: 제2계류체인 표시부이 122: 제4와이어
200: 계류체인 연결장치 210: 베이스부
211: 연결지지대 212: 계류연결고리
213: 계류가이드홈 220: 걸림대
221: 걸림스토퍼 300: 연결장치 표시부이
310: 제3와이어

Claims (5)

  1. 부유상태의 해양 구조물을 계류지점에 계류시키는 부유식 해양 구조물용 계류라인 설치방법에 있어서,
    일측에는 길이방향 양단에 제1와이어를 통해 한 쌍의 제1계류체인 표시부이가 연결된 제1계류체인 및, 제2와이어를 통해 앵커위치 표시부이가 연결된 앵커를 계류지점 인근의 해저면에 투입 배치하는 단계;
    계류작업 선박에서 제1계류체인을 끌어올린 후, 제1계류체인의 길이방향 일단을 계류작업 선박에 배치된 계류체인 연결장치에 연결 설치하는 단계;
    상기 해양 구조물에 연결된 제2계류체인의 길이방향 일단을 계류체인 연결장치에 연결상태로 계류작업 선박에 배치하는 단계;
    상기 계류체인 연결장치에 제3와이어를 통해 연결장치 표시부이를 연결한 후, 계류체인 연결장치를 해양 구조물과 앵커 사이의 해저면에 투입 배치하는 단계;
    상기 계류작업 선박에서 제2계류체인의 장력을 조절한 후, 계류작업 선박에서 제2계류체인을 해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부유식 해양 구조물용 계류라인 설치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계류라인 연결장치는,
    판 형태를 가지며, 일측면에 제1계류체인을 연결하는 계류연결고리가 형성되고, 타측면에는 제2계류체인을 관통 상태로 이동되게 가이드하는 계류가이드홈이 형성된 연결지지대를 결합 구비하는 베이스부,
    상기 계류가이드홈 상측에 배치되도록 연결지지대에 회전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며, 하단면에는 계류가이드홈에 삽입 배치된 제2계류체인을 걸림상태로 이동되게 하는 걸림스토퍼가 형성된 걸림대를 포함하는 부유식 해양 구조물용 계류라인 설치방법.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계류작업 선박에서 제1계류체인을 끌어올린 후, 제1계류체인의 길이방향 일단을 계류작업 선박에 배치된 계류라인 연결장치에 연결 설치하는 단계는,
    상기 제1계류체인 표시부이에 연결된 제1와이어의 길이방향 일단을 계류작업 선박으로 당김 배치시킨 후, 제1와이어의 길이방향 일단을 계류작업 선박에 구비된 권취장치를 통해 감김시키면서 제1계류체인의 길이방향 일단을 계류작업 선박에 배치시키는 단계,
    상기 계류작업 선박으로 당김 배치된 제1계류체인의 길이방향 일단 끝 부분을 계류라인 연결장치에 고정 결합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부유식 해양 구조물용 계류라인 설치방법.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해양 구조물에 연결된 제2계류체인의 길이방향 일단을 계류체인 연결장치에 연결상태로 계류작업 선박에 배치하는 단계는,
    상기 계류작업 선박을 통해 제2계류체인의 길이방향 타단을 해양 구조물에 연결한 후, 제2계류체인의 길이방향 일단을 계류체인 연결장치에 연결 배치하는 단계,
    상기 제2계류체인의 길이방향 일단 끝 부분을 계류작업 선박의 권취장치에 연결 배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부유식 해양 구조물용 계류라인 설치방법.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계류작업 선박에서 제2계류체인의 장력을 조절한 후, 계류작업 선박에서 제2계류체인을 해체하는 단계는,
    상기 계류작업 선박을 앵커위치 표시부이에 연결된 제2와이어와 연결되게 하는 단계,
    상기 계류작업 선박에 구비된 권취장치를 작동시켜, 제2계류체인을 감김시키면서 장력을 조절하는 단계,
    상기 제2계류체인의 길이방향 일단을 권취장치에서 해체한 후, 상기 제2계류체인의 길이방향 일단 끝 부분에 제3와이어를 통해 앵커위치 표시부이가 연결된 상태로 제2계류체인의 길이방향 일단을 해저면에 배치되게 하는 단계,
    상기 제2와이어를 계류작업 선박에서 이탈되게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부유식 해양 구조물용 계류라인 설치방법.
KR1020210162260A 2021-11-23 2021-11-23 부유식 해양 구조물용 계류라인 설치방법 KR1026258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62260A KR102625843B1 (ko) 2021-11-23 2021-11-23 부유식 해양 구조물용 계류라인 설치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62260A KR102625843B1 (ko) 2021-11-23 2021-11-23 부유식 해양 구조물용 계류라인 설치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75761A true KR20230075761A (ko) 2023-05-31
KR102625843B1 KR102625843B1 (ko) 2024-01-17

Family

ID=865433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62260A KR102625843B1 (ko) 2021-11-23 2021-11-23 부유식 해양 구조물용 계류라인 설치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25843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275888A (ja) * 1986-05-22 1987-11-30 Taisei Corp 係留索の連結方法
KR20160026061A (ko) * 2014-08-29 2016-03-09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해상 구조물 계류 장치
KR20210139222A (ko) * 2019-02-15 2021-11-22 플린트스톤 테크놀로지 리미티드 개량된 계류/텐셔닝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275888A (ja) * 1986-05-22 1987-11-30 Taisei Corp 係留索の連結方法
JP2597478B2 (ja) * 1986-05-22 1997-04-09 大成建設株式会社 係留索の連結方法
KR20160026061A (ko) * 2014-08-29 2016-03-09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해상 구조물 계류 장치
KR20210139222A (ko) * 2019-02-15 2021-11-22 플린트스톤 테크놀로지 리미티드 개량된 계류/텐셔닝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25843B1 (ko) 2024-01-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340261B2 (en) Anchor line tensioning method
US6122847A (en) Method of and apparatus for installation of plate anchors
JP5878392B2 (ja) 接続解除可能な係留システム、及び当該係留システムを接続解除又は再接続するための方法
JP2006519138A (ja) テンション・レグ型プラットフォームの設置方法
US20110274501A1 (en) Method for assembling an operating rig for a fluid in a body of water and associated operating rig
EP3251942B1 (en) Mooring pulley tensioning system
WO2014083056A1 (en) An underwater connecting system
EP1467944B2 (en) Floating lifting device
EP4017792B1 (en) Method for installing a tension leg platform based floating object
EP3631266B1 (en) Method and system for laying a submarine pipeline
US20110017465A1 (en) Riser support
AU2008240391B2 (en) Methods of and apparatus for mooring and for connecting lines to articles on the seabed
US20080089745A1 (en) Method And Device For Connecting A Riser To A Target Structure
WO2011099869A2 (en) A method of installing a flexible, elongate element
KR20230075761A (ko) 부유식 해양 구조물용 계류라인 설치방법
AU743420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uction anchor and mooring deployment and connection
KR20090118466A (ko) 해저 앵커블록과 고정 작업선을 이용한 해저 파이프라인의설치방법
CN110789669B (zh) 一种深水单点系泊中水浮筒回收下放系统及方法
WO1999030963A1 (en) Submerged disconnectable anchor buoy and ship
KR101281654B1 (ko) 케이슨 파이프를 구비한 선박의 앵커링 방법
KR101324118B1 (ko) 케이슨 파이프를 구비한 선박을 이용한 유빙 관리 방법
KR101281652B1 (ko) 케이슨 파이프를 구비한 선박을 이용한 해양플랜트 앵커링 방법
CN107758586B (zh) 海洋平台推进器的海上安装方法
KR20130072831A (ko) 케이슨 파이프를 구비한 선박
Brown et al. Installation of Guying System-Lena Guyed Tow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