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74752A - 디스플레이 모듈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74752A
KR20230074752A KR1020237013527A KR20237013527A KR20230074752A KR 20230074752 A KR20230074752 A KR 20230074752A KR 1020237013527 A KR1020237013527 A KR 1020237013527A KR 20237013527 A KR20237013527 A KR 20237013527A KR 20230074752 A KR20230074752 A KR 202300747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module
circuit board
holder
surface portion
par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135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학현
황보우
Original Assignee
(주)코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코텍 filed Critical (주)코텍
Publication of KR202300747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7475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5/00Assembli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individual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of
    • H01L25/03Assembli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individual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of all the devices being of a type provided for in the same subgroup of groups H01L27/00 - H01L33/00, or in a single subclass of H10K, H10N, e.g. assemblies of rectifier diodes
    • H01L25/10Assembli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individual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of all the devices being of a type provided for in the same subgroup of groups H01L27/00 - H01L33/00, or in a single subclass of H10K, H10N, e.g. assemblies of rectifier diodes the devices having separate containers
    • H01L25/13Assembli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individual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of all the devices being of a type provided for in the same subgroup of groups H01L27/00 - H01L33/00, or in a single subclass of H10K, H10N, e.g. assemblies of rectifier diodes the devices having separate containers the devices being of a type provided for in group H01L33/00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02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form or geometrical disposition of the individual elements
    • G09F9/3026Video wall, i.e. stackable semiconductor matrix display modul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01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flexible foldable or roll-able electronic displays, e.g. thin LCD, OLED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3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being semiconductor devices, e.g. dio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7/00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 H01L27/15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 H01L27/153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in a repetitive configuration, e.g. LED bars
    • H01L27/156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in a repetitive configuration, e.g. LED bars two-dimensional array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3/00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3/02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semiconductor bodies
    • H01L33/20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semiconductor bodies with a particular shape, e.g. curved or truncated substrat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5/00Assembli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individual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of
    • H01L25/03Assembli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individual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of all the devices being of a type provided for in the same subgroup of groups H01L27/00 - H01L33/00, or in a single subclass of H10K, H10N, e.g. assemblies of rectifier diodes
    • H01L25/04Assembli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individual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of all the devices being of a type provided for in the same subgroup of groups H01L27/00 - H01L33/00, or in a single subclass of H10K, H10N, e.g. assemblies of rectifier diodes the devices not having separate containers
    • H01L25/075Assembli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individual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of all the devices being of a type provided for in the same subgroup of groups H01L27/00 - H01L33/00, or in a single subclass of H10K, H10N, e.g. assemblies of rectifier diodes the devices not having separate containers the devices being of a type provided for in group H01L33/00
    • H01L25/0753Assembli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individual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of all the devices being of a type provided for in the same subgroup of groups H01L27/00 - H01L33/00, or in a single subclass of H10K, H10N, e.g. assemblies of rectifier diodes the devices not having separate containers the devices being of a type provided for in group H01L33/00 the devices being arranged next to each oth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Multimedia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디스플레이 모듈에 대한 발명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모듈은: 복수의 엘이디부가 배열되는 회로기판부; 및 회로기판부를 지지하고, 회로기판부가 제2방향과 제1방향으로 라운드지게 만곡되도록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복수의 홀더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 모듈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모듈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양방향으로 만곡되게 설치될 수 있고, 양방향 만곡시 유연하게 라운드진 표시화면을 구현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모듈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디스플레이 모듈은 광고패널, 표시패널, 대형패널 등에 적용되고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은 캐비닛부에 매트릭스 형태로 배열된다.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은 평면을 이루도록 배치되거나 곡면을 이루도록 배치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은 디스플레이 패널과 지지체를 포함한다.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은 하나의 영상을 표시하거나 복수의 영상을 개별적으로 표시할 수 있다.
그러나, 종래의 디스플레이 모듈은 한방향(예: 횡방향)으로만 플랙시블한 구조로 형성되므로, 횡방향으로 만곡된 표시화면의 구현이 가능하지만 종방향으로는 만곡된 표시화면을 구현할 수 없다.
또한, 디스플레이 패널은 종방향으로 나란한 복수의 지지체에 의해 지지되므로, 디스플레이 패널이 횡방향으로 만곡되는 경우 디스플레이 패널에서 지지체 사이에 대응되는 부분이 일정 각도로 꺽이는 복수의 절곡 라인이 형성된다. 따라서, 종래의 디스플레이 모듈은 횡방향을 따라 평면부와 절곡 라인이 교번으로 형성되므로, 일정한 곡률로 유연하게 라운드진 표시화면을 구현하기 어려웠다.
또한, 디스플레이 패널에 종방향과 평행한 복수의 절곡 라인이 형성되므로, 디스플레이 패널에서 절곡 라인 부분에 응력집중이 발생된다. 따라서, 절곡 라인이나 그 근처에 배치되는 표면실장소자가 응력집중에 의해 파손됨에 따라 디스플레이 모듈의 고장 원인이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09-0090541호(2009. 08. 26 공개, 발명의 명칭: 옥외 광고용 디스플레이 장치)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양방향으로 만곡되게 설치될 수 있고, 양방향 만곡시 유연하게 라운드진 표시화면을 구현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모듈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모듈은: 복수의 엘이디부가 배열되는 회로기판부; 및 상기 회로기판부를 지지하고, 상기 회로기판부가 제2방향과 제1방향으로 라운드지게 만곡되도록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복수의 홀더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회로기판부는 복수의 상기 엘이디부가 배열되는 회로기판 바디부; 및 상기 회로기판 바디부의 후면부에 복수의 열을 이루도록 배치되고, 상기 홀더부가 결합되는 복수의 결합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상기 홀더부는 상기 회로기판 바디부에 매트릭스 형태로 배열될 수 있다.
상기 홀더부는 홀더 바디부; 상기 회로기판 바디부에 접촉되도록 상기 홀더 바디부에 형성되는 접촉면부; 및 상기 회로기판 바디부에서 이격되도록 상기 홀더 바디부의 둘레부에 형성되는 이격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접촉면부는 평면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이격면부는 라운드지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이격면부는 상기 홀더 바디부의 제2방향과 제1방향 둘레부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이격면부는 상기 접촉면부에서 외측으로 갈수록 상기 회로기판 바디부와의 간격이 증가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은 복수의 상기 홀더부를 일렬로 연결하는 연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결부는 밴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연결부는 라운드진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홀더부에는 상기 회로기판부를 방열시키도록 개구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은 상기 홀더부에 체결되는 마그네트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은 상기 회로기판부의 설치 위치를 보정시킬 수 있도록 상기 홀더부에 설치되는 위치 정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은 상기 회로기판부와 복수의 상기 홀더부 사이에 설치되는 가스켓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스켓부는 복수의 상기 홀더부를 각각 지지하도록 매트릭스 형태로 배치되는 서포트부; 및 복수의 상기 홀더부 사이에 끼워지도록 상기 서포트부 사이에 돌출되게 형성되는 삽입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서포트부의 내측에는 상기 회로기판부를 방열시키도록 연통홀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연통홀부는 상기 홀더부의 개구부와 연통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모듈이 양방향으로 만곡되게 설치될 수 있고, 양방향 만곡시 유연하게 라운드진 표시화면을 구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회로기판부가 일정한 곡률로 만곡되므로, 회로기판부 전체에 균일한 응력이 가해질 수 있다. 따라서, 회로기판부에서 국부적으로 응력집중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함에 따라 디스플레이 모듈의 고장 원인을 제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모듈이 제1방향 또는 제2방향으로 만곡되는 경우 디스플레이부에서 일정 각도로 꺽이는 복수의 절곡 라인이 형성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모듈은 일정한 곡률로 유연하게 라운드진 표시화면을 구현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모듈이 캐비닛부에 설치되는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모듈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모듈의 후방측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모듈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모듈의 조립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모듈에서 홀더부와 가스켓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모듈의 제1방향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모듈의 제1방향을 도시한 확대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모듈의 제2방향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모듈의 제2방향을 도시한 확대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모듈이 제1방향으로 만곡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모듈이 제2방향으로 만곡되는 상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모듈의 조립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모듈의 제1방향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모듈의 연결부를 도시한 확대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모듈의 실시예들을 설명한다. 디스플레이 모듈을 설명하는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먼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모듈에 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모듈이 캐비닛부에 설치되는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모듈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모듈의 후방측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모듈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모듈의 조립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모듈에서 홀더부와 가스켓부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모듈의 제1방향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모듈의 제1방향을 도시한 확대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모듈의 제2방향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모듈의 제2방향을 도시한 확대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모듈이 제1방향으로 만곡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모듈의 제2방향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모듈(100)은 회로기판부(110) 및 복수의 홀더부(120)를 포함한다.
디스플레이 모듈(100)은 캐비닛에 매트릭스 형태로 배열되어 광고패널, 표시패널 및 대형패널을 이룬다. 캐비닛에는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설치 위치를 보정할 수 있도록 제1방향으로 나란한 복수의 장공부(12)가 형성된다.
회로기판부(110)에는 복수의 엘이디부(112)가 배열된다. 복수의 엘이디부(112)는 회로기판부(110)에 매트릭스 형태(matrix)로 배열된다. 회로기판부(110)에는 복수의 엘이디부(112)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회로패턴(미도시)이 형성된다.
복수의 홀더부(120)는 회로기판부(110)를 지지하고, 회로기판부(110)가 제1방향과 제2방향으로 라운드지게 만곡되도록 서로 이격되게 배치된다. 이때, 회로기판부(110)는 전방측으로 볼록하게 만곡되거나 후방측으로 볼록하게 만곡될 수 있다. 또한, 회로기판부(110)의 일부분이 만곡되고, 회로기판의 나머지 일부분이 평판 형태를 유지할 수 있다. 회로기판부(110)가 제1방향과 제2방향으로 라운드지게 만곡되므로, 디스플레이 모듈(100)이 제1방향으로 만곡되거나 제2방향으로 만곡되는 광고패널, 표시패널 및 대형패널 등에 적용될 수 있다. 여기서, 제1방향과 제2방향은 횡방향과 종방향이거나, 서로 수직한 방향, 서로 수직하지 않은 경사진 방향을 모두 포함한다.
또한, 디스플레이 모듈(100)이 제1방향 또는 제2방향으로 만곡되는 경우 회로기판부(110)에서 일정 각도로 꺽이는 복수의 절곡 라인이 형성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모듈(100)은 일정한 곡률로 유연하게 라운드진 표시화면을 구현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모듈(100)이 제2방향과 제1방향으로 라운드지게 만곡되므로, 다양한 형태의 곡면 디스플레이 기기에 적용될 수 있고, 독창적인 디자인을 구현할 수 있다.
또한, 회로기판부(110)가 일정한 곡률로 만곡되므로, 회로기판부(110) 전체에 균일한 응력이 가해질 수 있다. 따라서, 회로기판부(110)에서 국부적으로 응력집중에 발생되는 것을 방지함에 따라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고장 원인을 제거할 수 있다.
회로기판부(110)는 회로기판 바디부(111) 및 복수의 결합부(115)를 포함한다.
회로기판 바디부(111)에는 복수의 엘이디부(112)가 배열된다. 회로기판 바디부(111)는 직사각판 형태로 형성된다. 복수의 엘이디부(112)는 회로기판 바디부(111)에 매트릭스 형태로 배열된다. 회로기판 바디부(111)에는 변압기, 제어부 등 다양한 전자모듈이 설치된다.
복수의 결합부(115)는 회로기판 바디부(111)의 후면부에 복수의 열을 이루도록 배치되고, 홀더부(120)가 결합된다. 복수의 결합부(115)는 제1방향 또는 제2방향을 따라 복수 열로 배열될 수 있다. 결합부(115)는 용접에 의해 회로기판 바디부(111)에 고정되거나 회로기판 바디부(111)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때, 복수의 결합부(115)는 회로기판 바디부(111)에 설치되는 컨버터 등과 같은 전자모듈의 위치에 따라 다양하게 위치 변경될 수 있다.
복수의 홀더부(120)는 회로기판 바디부(111)에 매트릭스 형태로 배열된다. 복수의 결합부(115)가 복수의 열을 이루도록 회로기판 바디부(111)에 배치되므로, 복수의 홀더부(120)가 회로기판 바디부(111)의 후측에 매트릭스 형태로 배열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홀더부(120)는 결합부(115)의 배열 간격에 따라 길이나 폭이 변경될 수 있다. 복수의 홀더부(120)가 회로기판 바디부(111)에 매트릭스 형태로 배열되므로, 회로기판부(110)가 제1방향과 제2방향으로 만곡될 때에 회로기판부(110)가 일정한 곡률의 원호를 이루도록 유연하게 변형될 수 있다.
복수의 홀더부(120)의 배면부에는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상하방향과 좌우방향을 인지할 수 있도록 상하방향 화살표와 좌우방향 화살표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작업자가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설치 방향을 시각적으로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홀더부(120)는 홀더 바디부(121)와, 회로기판 바디부(111)에 접촉되도록 홀더 바디부(121)에 형성되는 접촉면부(125)와, 회로기판 바디부(111)에서 이격되도록 홀더 바디부(121)의 둘레부에 형성되는 이격면부(126)를 포함한다. 이때, 홀더부(120)는 회로기판 바디부(111)의 둘레부에 배치되는 홀더부(120a)와, 회로기판 바디부(111)의 내측에 배치되는 홀더부(120b)를 포함한다.
접촉면부(125)가 회로기판 바디부(111)에 접촉되므로, 회로기판 바디부(111)에서 접촉면부(125)에 대향되는 엘이디부(112), 전자모듈, 솔더링 부분이 안정되게 지지되고 크랙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이격면부(126)가 홀더 바디부(121)의 둘레부에 형성되므로, 디스플레이 모듈(100)이 곡면 디스플레이 기기에 설치되는 경우 회로기판 바디부(111)가 유연하게 원호를 이루면서 휘어지게 된다. 따라서, 회로기판 바디부(111)에서 이격면부(126)에 대향되는 엘이디부(112)에 응력이 집중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접촉면부(125)는 평면 형태로 형성된다. 접촉면부(125)는 곡면 디스플레이 기기의 곡률에 따라 적절한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접촉면부(125)가 평면 형태로 형성되므로, 회로기판 바디부(111)의 지지력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
이격면부(126)는 라운드지게 형성된다. 이때, 이격면부(126)는 원호 형태 또는 그와 유사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격면부(126)가 라운드지게 형성되므로, 회로기판 바디부(111)가 휘어질 때에 이격면부(126)의 일부에 지지되고, 회로기판 바디부(111)가 국부적으로 꺽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격면부(126)는 홀더 바디부(121)의 제1방향 둘레부 및 제2방향 둘레부에 각각 형성된다. 이때, 접촉면부(125)는 홀더 바디부(121)의 바닥면에서 이격면부(126)의 내측에 형성된다. 이격면부(126)가 홀더 바디부(121)의 제1방향 둘레부 및 제2방향 둘레부에 각각 형성되므로, 회로기판부(110)가 제1방향과 제2방향으로 부드러운 곡률을 이루도록 휘어질 수 있다.
이격면부(126)는 접촉면부(125)에서 외측으로 갈수록 회로기판 바디부(111)와의 간격이 증가된다. 따라서, 회로기판 바디부(111)가 휘어질 때에 회로기판 바디부(111)의 곡률에 따라 이격면부(126)와 회로기판 바디부(111)의 접촉 면적이 달라지게 된다.
일부의 홀더부(120)의 일측에는 결합 후크부(123a)가 형성되고, 일부의 홀더부(120)의 타측에는 결합 리브(123c)가 형성된다. 결합 리브(123c)가 결합 후크부(123a)에 결합됨에 따라 복수의 홀더부(120)가 서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결합 후크부(123a)와 결합 리브(123c)는 회로기판부(110)의 둘레부에 배치되는 홀더부(120a)의 외측에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100)이 결합 후크부(123a)와 결합 리브(123c)에 의해 제2방향과 제1방향으로 연결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100)은 복수의 홀더부(120)를 일렬로 연결하는 연결부(127)를 더 포함한다. 이때, 연결부(127)는 홀더부(120) 사이에 배치되고, 밴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연결부(127)는 홀더부(120)와 동일한 재질로 형성되거나 다른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홀더부(120)의 연결 개수는 회로기판부(110)의 크기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연결부(127)가 복수의 홀더부(120)를 일렬로 연결하므로, 일렬로 배열된 복수의 홀더부(120)가 회로기판부(110)에 용이하게 조립되고,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조립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홀더부(120)가 연결부(127)에 의해 지지되므로, 복수의 홀더부(120)의 조립 위치가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홀더부(120)에는 회로기판부(110)를 방열시키도록 개구부(128)가 형성된다. 개구부(128)는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개구부(128)를 통과하여 커넥터부(미도시)가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커텍터부가 회로기판 바디부(110)에 용이하게 설치될 수 있고, 회로기판 바디부(111)와 엘이디부(112)에서 발생되는 열이 개구부(128)를 통해 방출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100)은 홀더부(120)에 체결되는 마그네트부(130)를 더 포함한다. 마그네트부(130)는 마그네트 헤드부(131)와 마그네트 체결부(132)를 포함한다. 이때, 홀더부(120)에는 마그네트 체결부(132)가 결합되도록 마그네트 결합홀부(124a)가 형성된다. 마그네트 헤드부(131)는 자력이 형성되고, 마그네트 체결부(132)는 스크류 형태로 형성된다. 마그네트부(130)가 홀더부(120)의 마그네트 결합홀부(124a)에 체결되므로, 디스플레이 모듈(100)이 자력에 의해 캐비닛부(10)에 부착된 상태에서 디스플레이 모듈(100)을 조립할 수 있다. 따라서,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조립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100)은 회로기판부(110)의 설치 위치를 보정시킬 수 있도록 홀더부(120)에 설치되는 위치 정렬부(140)를 더 포함한다. 위치 정렬부(140)의 개수는 회로기판부(110)의 형태와 크기 등에 의해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이때, 홀더부(120)에는 정렬부 결합홀부(124b)가 형성되고, 위치 정렬부(140)는 정렬부 결합홀부(124b)에 끼워진다. 또한, 모든 홀더부(120)에 정렬부 결합홀부(124b)가 형성됨에 따라 위치 정렬부(140)의 설치 위치를 다양하게 변경할 수 있다. 위치 정렬부(140)는 캐비닛부(10)의 장공부(12)에 삽입된다. 따라서, 위치 정렬부(140)를 캐비닛부(10)의 장공부(12)에서 이동시키면서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위치를 보정하므로,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조립 공차에 의해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100)이 제1방향 및 제2방향으로 틀어진 상태로 조립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100)은 회로기판부(110)와 복수의 홀더부(120) 사이에는 설치되는 가스켓부(150)를 더 포함한다. 가스켓부(150)는 고무, 스폰지 또는 실리콘 등의 신축성 재질로 형성되거나 전자파를 차폐할 수 있는 다공성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가스켓부(150)가 신축성 재질로 형성되므로, 회로기판부(110)가 유연한 원호 형태로 휘어질 수 있다. 가스켓부(150)는 홀더부(120)와 회로기판부(110) 사이의 틈새를 씰링하므로, 이물질이 회로기판부(110)와 홀더부(120) 사이로 침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회로기판부(110)에서 발생되는 EMI(Electro Magnetic Interference), EMC(Electro Magnetic Compatibility) 등을 차단할 수 있다. 따라서, 회로기판부(110)나 엘이디부(112)가 정전기나 스파크 등에 의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가스켓부(150)는 복수의 홀더부(120)를 각각 지지하도록 매트릭스 형태로 배치되는 서포트부(151)와, 복수의 홀더부(120) 사이에 끼워지도록 서포트부(151) 사이에 돌출되게 형성되는 삽입부(153)를 포함한다. 삽입부(153)는 홀더부(120)의 이격면부(126)에 밀착되도록 라운드지게 형성된다. 서포트부(151)가 매트릭스 형태로 형성되므로, 홀더부(120)가 서포트부(151)의 상측에 안착될 수 있다. 또한, 삽입부(153)가 복수의 홀더부(120) 사이에 끼워지므로, 복수의 홀더부(120)가 보다 안정되게 설치 위치에 안착될 수 있다.
서포트부(151)의 내측에는 회로기판부(110)를 방열시키도록 연통홀부(152)가 형성된다. 연통홀부(152)는 회로기판부(110)의 둘레부에 배치되는 홀더부(120a)들을 제외한 홀더부(120b)들에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회로기판부(110)가 전체적으로 고르게 냉각될 수 있다.
연통홀부(152)는 홀더부(120)의 개구부(128)와 연통된다. 따라서, 회로기판부(110)와 엘이디부(112)에서 방출된 열이 연통홀부(152)와 개구부(128)를 통해 외부로 방출될 수 있으므로,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방열 성능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모듈에 관해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상술한 일 실시예에서 연결부를 제외하고는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동일한 구성에 관해서는 동일한 도번을 부여하고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모듈의 조립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모듈의 제1방향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1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모듈의 연결부를 도시한 확대도이다.
도 13 내지 도 15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모듈(100)은 복수의 홀더부(120)를 일렬로 연결하는 연결부(127a)를 더 포함한다. 연결부(127a)는 홀더부(120) 사이에 배치된다. 연결부(127a)는 부드럽게 탄성 변형될 수 있도록 라운드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연결부(127a)는 회로기판부(110)의 후방측으로 볼록한 원호 형태로 형성되거나 회로기판부(110)의 전방측으로 볼록한 원호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홀더부(120)의 연결 개수는 회로기판부(110)의 크기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연결부(127a)가 복수의 홀더부(120)를 일렬로 연결하므로, 일렬로 배열된 복수의 홀더부(120)가 회로기판부(110)에 용이하게 조립되고,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조립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홀더부(120)가 연결부(127a)에 의해 지지되므로, 복수의 홀더부(120)의 조립 위치가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연결부(127a)가 라운드지게 형성되므로, 회로기판부(110)가 만곡되게 구부러질 때에 연결부(127a)가 탄성에 의해 모아지거나 벌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Claims (18)

  1. 복수의 엘이디부가 배열되는 회로기판부; 및
    상기 회로기판부를 지지하고, 상기 회로기판부가 제2방향과 제1방향으로 라운드지게 만곡되도록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복수의 홀더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모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로기판부는,
    복수의 상기 엘이디부가 배열되는 회로기판 바디부; 및
    상기 회로기판 바디부의 후면부에 복수의 열을 이루도록 배치되고, 상기 홀더부가 결합되는 복수의 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모듈.
  3. 제2항에 있어서,
    복수의 상기 홀더부는 상기 회로기판 바디부에 매트릭스 형태로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모듈.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부는,
    홀더 바디부;
    상기 회로기판 바디부에 접촉되도록 상기 홀더 바디부에 형성되는 접촉면부; 및
    상기 회로기판 바디부에서 이격되도록 상기 홀더 바디부의 둘레부에 형성되는 이격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모듈.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면부는 평면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모듈.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이격면부는 라운드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모듈.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이격면부는 상기 홀더 바디부의 제2방향과 제1방향 둘레부에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모듈.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이격면부는 상기 접촉면부에서 외측으로 갈수록 상기 회로기판 바디부와의 간격이 증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모듈.
  9. 제3항에 있어서,
    복수의 상기 홀더부를 일렬로 연결하는 연결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모듈.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밴드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모듈.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라운드진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모듈.
  12.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부에는 상기 회로기판부를 방열시키도록 개구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모듈.
  13.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부에 체결되는 마그네트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모듈.
  1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회로기판부의 설치 위치를 보정시킬 수 있도록 상기 홀더부에 설치되는 위치 정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모듈.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로기판부와 복수의 상기 홀더부 사이에 설치되는 가스켓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모듈.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켓부는,
    복수의 상기 홀더부를 각각 지지하도록 매트릭스 형태로 배치되는 서포트부; 및
    복수의 상기 홀더부 사이에 끼워지도록 상기 서포트부 사이에 돌출되게 형성되는 삽입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모듈.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서포트부의 내측에는 상기 회로기판부를 방열시키도록 연통홀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모듈.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연통홀부는 상기 홀더부의 개구부와 연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모듈.
KR1020237013527A 2021-03-18 2021-03-18 디스플레이 모듈 KR2023007475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21/003330 WO2022196843A1 (ko) 2021-03-18 2021-03-18 디스플레이 모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74752A true KR20230074752A (ko) 2023-05-31

Family

ID=833205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13527A KR20230074752A (ko) 2021-03-18 2021-03-18 디스플레이 모듈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240006388A1 (ko)
KR (1) KR20230074752A (ko)
WO (1) WO2022196843A1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15733B1 (ko) * 2013-08-02 2018-11-0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곡면표시장치
KR20160085202A (ko) * 2015-01-07 2016-07-15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장치
KR20170035543A (ko) * 2015-09-23 2017-03-31 엘지전자 주식회사 웨어러블 스마트 디바이스
KR20200011087A (ko) * 2018-07-24 2020-02-03 주식회사 루멘스 엘이디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에 이용되는 서포트 프레임 조립체
EP3886079B1 (en) * 2018-11-23 2023-12-13 Shenzhen Gloshine Technology Co., Ltd. Led display scre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2196843A1 (ko) 2022-09-22
US20240006388A1 (en) 2024-0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57306B2 (en) Shield assembly with gaskets
JP5298191B2 (ja) 表示装置、テレビ受信装置
JP2006195457A (ja)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装置
EP3176631A1 (en) Display apparatus
EP3255624B1 (en) Display device
KR100689377B1 (ko) 양면 액정 표시 장치
KR102280525B1 (ko) 연성 디스플레이 장치의 전원 접속 모듈
EP1641015B1 (en) Plasma display apparatus
WO2011140064A2 (en) Emi gasket assembly for angled cage application and shielding cage incorporating same
EP3806072A1 (en) Installation structure for back casing of display device and display device
KR20230074752A (ko) 디스플레이 모듈
US8042986B2 (en) Backlight module
JP6549090B2 (ja) 照明装置及び表示装置
KR102280524B1 (ko) 연성 디스플레이 장치
JP5273804B2 (ja) 表示装置
RU2460104C2 (ru) Подсветка для жидкокристаллического дисплея
JP6592635B2 (ja) 照明装置、平板付コネクタ、照明装置の製造方法及び表示装置
KR20210136708A (ko) 디스플레이장치
WO2015194648A1 (ja) シャーシ、バックライトシャーシ、表示装置、テレビジョン受像機、及び、電子機器の製造方法
KR101404867B1 (ko) 디스플레이 기기의 부품 고정 장치
KR100980842B1 (ko) 백라이트 유닛
CN209928857U (zh) 灯条组件、背光模组及显示装置
KR200495243Y1 (ko) 광원연결모듈 및 그 커넥터
KR20080056367A (ko) 프레임 몰드, 섀시 및 이를 포함하는 백라이트 유닛
KR20060001356A (ko) Ic를 고정하는 수단이 개선된 플라즈마 표시장치 조립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