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74724A - 반도체 발광소자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 Google Patents

반도체 발광소자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74724A
KR20230074724A KR1020237009413A KR20237009413A KR20230074724A KR 20230074724 A KR20230074724 A KR 20230074724A KR 1020237009413 A KR1020237009413 A KR 1020237009413A KR 20237009413 A KR20237009413 A KR 20237009413A KR 20230074724 A KR20230074724 A KR 2023007472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emitting
layer
emitting device
semiconductor layer
semicondu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094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칠근
장원재
김정훈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2300747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7472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3/00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3/02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semiconductor bodies
    • H01L33/20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semiconductor bodies with a particular shape, e.g. curved or truncated substrat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5/00Assembli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individual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of
    • H01L25/03Assembli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individual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of all the devices being of a type provided for in the same subgroup of groups H01L27/00 - H01L33/00, or in a single subclass of H10K, H10N, e.g. assemblies of rectifier diodes
    • H01L25/04Assembli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individual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of all the devices being of a type provided for in the same subgroup of groups H01L27/00 - H01L33/00, or in a single subclass of H10K, H10N, e.g. assemblies of rectifier diodes the devices not having separate containers
    • H01L25/075Assembli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individual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of all the devices being of a type provided for in the same subgroup of groups H01L27/00 - H01L33/00, or in a single subclass of H10K, H10N, e.g. assemblies of rectifier diodes the devices not having separate containers the devices being of a type provided for in group H01L33/00
    • H01L25/0753Assembli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individual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of all the devices being of a type provided for in the same subgroup of groups H01L27/00 - H01L33/00, or in a single subclass of H10K, H10N, e.g. assemblies of rectifier diodes the devices not having separate containers the devices being of a type provided for in group H01L33/00 the devices being arranged next to each oth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3/00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3/36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electrodes
    • H01L33/38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electrodes with a particular shap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3/00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3/36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electrodes
    • H01L33/40Materials therefo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3/00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3/44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coatings, e.g. passivation layer or anti-reflective coat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3/00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3/48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semiconductor body packages
    • H01L33/58Optical field-shaping elem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3/00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3/48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semiconductor body packages
    • H01L33/62Arrangements for conducting electric current to or from the semiconductor body, e.g. lead-frames, wire-bonds or solder ba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nd methods related thereto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224/93Batch processes
    • H01L2224/95Batch processes at chip-level, i.e. with connecting carried out on a plurality of singulated devices, i.e. on diced chips
    • H01L2224/951Supplying the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 H01L2224/95101Supplying the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in a liquid medium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33/00Details relating to devices covered by the group H01L33/00 but not provided for in its subgroups
    • H01L2933/0008Processes
    • H01L2933/0025Processes relating to coat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33/00Details relating to devices covered by the group H01L33/00 but not provided for in its subgroups
    • H01L2933/0083Periodic patterns for optical field-shaping in or on the semiconductor body or semiconductor body package, e.g. photonic bandgap struct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Led Devices (AREA)

Abstract

실시예는 반도체 발광소자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발광소자는, 제2 전극층(120)과, 상기 제2 전극층(120) 상에 배치된 발광구조물(110)과, 상기 발광구조물(110) 상에 배치된 돌출된 메사 반도체층(100P) 및 상기 발광구조물(110) 측면에 배치된 패시베이션층(13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돌출된 메사 반도체층(100P)은 제1 도전형 메사 반도체층(111b)과 언도프트 메사 반도체층(105b)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반도체 발광소자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실시예는 반도체 발광소자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대면적 디스플레이는 액정디스플레이(LCD), OLED 디스플레이, 그리고 마이크로-LED 디스플레이(Micro-LED display) 등이 있다.
마이크로-LED 디스플레이는 100㎛ 이하의 직경 또는 단면적을 가지는 반도체 발광소자인 마이크로-LED를 표시소자로 사용하는 디스플레이이다.
마이크로-LED 디스플레이는 반도체 발광소자인 마이크로-LED를 표시소자로 사용하기 때문에 명암비, 응답속도, 색 재현률, 시야각, 밝기, 해상도, 수명, 발광효율이나 휘도 등 많은 특성에서 우수한 성능을 가지고 있다.
특히 마이크로-LED 디스플레이는 화면을 모듈 방식으로 분리, 결합할 수 있어 크기나 해상도 조절이 자유로운 장점 및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구현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그런데 대형 마이크로-LED 디스플레이는 수백만 개 이상의 마이크로-LED가 필요로 하기 때문에 마이크로-LED를 디스플레이 패널에 신속하고 정확하게 전사하기 어려운 기술적 문제가 있다.
최근 개발되고 있는 전사기술에는 픽앤-플레이스 공법(pick and place process), 레이저 리프트 오프법(Laser Lift-off method) 또는 자가조립 방식(self-assembly method) 등이 있다.
이 중에서, 자가조립 방식은 유체 내에서 반도체 발광소자가 스스로 조립위치를 찾아가는 방식으로서 대화면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현에 유리한 방식이다.
최근에 미국등록특허 제9,825,202에서 자가조립에 적합한 마이크로-LED 구조를 제시한 바 있으나, 아직 마이크로-LED의 자가조립을 통하여 디스플레이를 제조하는 기술에 대한 연구가 미비한 실정이다.
특히 종래기술에서 대형 디스플레이에 수백만 개 이상의 반도체 발광소자를 신속하게 전사하는 경우 전사 속도(transfer speed)는 향상시킬 수 있으나 전사 불량률(transfer error rate)이 높아질 수 있어 전사 수율(transfer yield)이 낮아지는 기술적 문제가 있다.
한편, 종래 마이크로-LED 칩 구조는 메사(Mesa) 형상으로 제조되고 있는데, 마이크로 LED를 이용한 TV, VR, AR 기술에서 초소형 사이즈 칩 제작이 요구되고 있다.
이에 따라 종래 마이크로-LED 칩의 Mesa 구조 상에 p 전극층과 n 전극층을 같은 면에 형성하기에는 물리적 영역의 한계에 직면하는 문제가 있다.
특히 차세대 마이크로-LED TV 기술에 요구되는 칩 사이즈가 초소형 사이즈인 약 10 ㎛ 이하로 작아 짐에 따라 종래기술에 따라 Mesa 및 n-전극 메탈층 형성을 위한 물리적 영역의 제한으로 패턴 구현이 용이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미세 패턴 형성을 위한 공정비용 증가로 제조비용이 높아지는 단점이 있다.
특히 AR/VR기술에 요구되는 칩 사이즈는 더욱 작은 사이즈(약 5㎛ 이하)로서 발광 칩 형상 구현을 위한 물리적 영역의 한계에 직면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 마이크로-LED 칩에서는 p-GaN 영역에 Mesa 구조를 형성함으로써 LED 칩의 면적보다 발광되는 활성층의 면적이 작아져 발광효율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마이크로-LED 디스플레이의 경쟁력 향상을 위해 전사 고효율화와 함께 반도체 발광소자 패키지의 광추출 효율 개선이 필요하다. 그러나 종래의 LED 패키지에 있어서의 광추출 효율 개선은 PSS(Patterned Sapphire Substrate)와 같은 광추출 구조의 활용이 일반적이다. 그런데 종래의 PSS 구조는 성장기판인 사파이어 기판에 형성되는데 성장기판이 잔존하는 경우 마이크로-LED 패키지의 두께가 두꺼워지게 됨에 따라 초박형 마이크로-LED 디스플레이에 적용하기에는 어려운 문제가 있다.
실시예의 기술적 과제 중의 하나는 디스플레이 패널에 반도체 발광소자들을 전사함에 있어서 전사속도(transfer speed)와 전사수율(transfer yield)을 동시 향상시킬 수 있으며, 직접 자가 조립 시 위치 혼선이 없이 전사, 조립 효율이 높일 수 있는 초소형 사이즈의 반도체 발광소자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고자 함이다.
또한 실시예의 기술적 과제 중의 하나는 발광효율을 최대화할 뿐만 아니라, 전자기장을 이용한 초고속 직접 자가조립 전사기능을 갖는 초소형 사이즈 마이크로 LED칩 구조를 제공할 수 있는 반도체 발광소자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고자 함이다.
또한 실시예의 기술적 과제 중의 하나는 자가 조립 시 칩간 충돌 및 외부에 의한 충격에 강한 구조일 뿐만 아니라 초소형 LED 칩의 사이드 효과(side-effects)로 발광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는 반도체 발광소자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고자 함이다.
또한 실시예의 기술적 과제 중의 하나는 초박형 마이크로-LED 디스플레이 구현하면서 광추출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반도체 발광소자 패키지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고자 함이다.
실시예의 기술적 과제는 본 항목에 기재된 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발명의 설명을 통해 파악될 수 있는 것을 포함한다.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발광소자는, 제2 전극층(120)과, 상기 제2 전극층(120) 상에 배치된 발광구조물(110)과, 상기 발광구조물(110) 상에 배치된 돌출된 메사 반도체층(100P) 및 상기 발광구조물(110) 측면에 배치된 패시베이션층(13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돌출된 메사 반도체층(100P)은 제1 도전형 메사 반도체층(111b)과 언도프트 메사 반도체층(105b)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전극층(120)은, 상기 발광구조물(110) 상에 배치된 투명 전극층(121)과, 상기 투명 전극층(121) 상에 배치된 반사층(122) 및 상기 반사층(122) 상에 배치된 자성층(12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돌출된 메사 반도체층(100P)의 수평 폭(W2)은 상기 발광구조물(110)의 수평 폭(W1)에 비해 작을 수 있다.
상기 돌출된 메사 반도체층(100P)의 수평 폭(W2)은 상기 제2 전극층(120)의 수평 폭(W3)에 비해 작을 수 있다.
상기 돌출된 메사 반도체층(100P)의 수평 폭(W2)이 상기 발광구조물(110)의 수평 폭(W1)이나 상기 제2 전극층(120)의 수평 폭(W3)보다 작게 형성되며, 상기 제2 전극층(120)에는 자성물질을 포함하고, 상기 돌출된 메사 반도체층(100P)은 자성물질을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돌출된 메사 반도체층(100P)의 높이(H2)는 상기 발광구조물(110)의 높이(H1)보다 작을 수 있다.
상기 발광구조물(110)에서 활성층(112)의 수평 폭(W1)은 상기 제2 전극층(120)의 수평 폭(W3)보다 클 수 있다.
상기 패시베이션층(130)이 상기 발광구조물의 제2 도전형 반도체층(113)의 측면과 상기 제2 전극층(120)의 측면 및 저면 일부까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발광구조물(110) 상에 배치된 상기 돌출된 메사 반도체층(100P)은 포토닉 크리스탈 기능에 의해 광추출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실시예는 상기 돌출된 메사 반도체층(100P)의 측면에 배치된 광추출 구조(1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광추출 구조(140)는 금속물질의 반사물질을 포함하고, 제1 패드 전극(221)이 상기 광추출 구조(140)와 접함으로써 상기 발광구조물의 제1 도전형 반도체층(111)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실시예는 상기 제2 전극층(120) 하측에 배치되는 제2 솔더층(16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제1 배선전극(121), 제2 배선전극(122)을 포함하는 패널 기판(110)과, 상기 패널 기판 상에 배치되는 상기 어느 하나의 반도체 발광소자 패키지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발광소자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의하면, 디스플레이 패널에 반도체 발광소자들을 전사함에 있어서 전사속도(transfer speed)와 전사수율(transfer yield)을 동시 향상시킬 수 있으며, 돌출형 메사 구조가 p-GaN 반대 영역에 배치됨에 따라 직접 자가 조립 시 위치 혼선이 없이 전사, 조립 효율이 높일 수 있는 기술적 효과가 있다.
또한 실시예에 의하면, 발광소자 칩의 발광면적을 최대 면적으로 구현 가능하고 고반사 메탈층를 갖는 구조를 구현함으로써 발광효율을 최대화할 뿐만 아니라 전자기장을 이용한 초고속 직접 자가조립 전사기능을 갖는 초소형 사이즈 마이크로 LED칩 구조를 제공할 수 있는 기술적 효과가 있다.
또한 실시예에 의하면, 패시베이션층이 제2 도전형 반도체층의 측면과 제2 전극층 측면 및 저면 일부까지 형성됨으로써 자가 조립 시 칩간 충돌 및 외부에 의한 충격에 강한 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의하면, 패시베이션층을 발광 칩의 p-GaN영역 상부 및 측면에 형성함으로써 초소형 LED 칩의 사이드 효과(side-effects)로 발광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는 기술적 효과가 있다.
또한 실시예에 의하면, 초박형 마이크로-LED 디스플레이 구현하면서 광추출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기술적 효과가 있다.
구체적으로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발광소자(150R)는 전자기장을 이용한 직접 자가조립전사(DSAT, Direct Self Assembly Transfer)를 위한 칩 구조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발광소자(150R)는 제2 도전형 반도체층(113)인 p-GaN 영역 전체 면적에 제2 전극층(120)인 투명전극층(121) 및 반사층(122)을 형성하고, 상기 반사층(122) 상부에 전자기성 물질의 자성층(123)을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p-GaN 영역 반대면에 Mesa 형상의 돌출된 메사 반도체층(100P)을 칩 사이즈 보다 작은 사이즈로 구현하고 패시베이션층(130)이 칩의 p-GaN 영역 상부 및 옆면에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의하면, TV 및 VR/AR기술에 요구되는 초소형 사이즈 칩 제작을 위해 Mesa 형상 및 p/n-전극층을 동일면에 형성하기 위한 물리적 영역의 한계에 직면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의하면, 디스플레이 패널에 반도체 발광소자들을 전사함에 있어서 전사속도(transfer speed)와 전사수율(transfer yield)을 동시 향상시킬 수 있으며, 돌출형 메사 구조가 p-GaN 반대 영역에 배치됨에 따라 직접 자가 조립 시 위치 혼선이 없이 전사, 조립 효율이 높일 수 있는 기술적 효과가 있다.
예를 들어, 실시예에서 돌출된 메사 반도체층(100P)의 수평 폭(W2)은 발광구조물(110)의 수평 폭(W1)이나 제2 전극층(120)의 수평 폭(W3)에 비해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메사 반도체층(100P)의 수평 폭(W2)은 발광구조물(110)의 수평 폭(W1)이나 제2 전극층(120)의 수평 폭(W3)의 1/4~2/3, 또는 1/3 내지 1/2 범위로 형성될 수 있다.
실시예에 의하면 돌출된 메사 반도체층(100P)의 수평 폭(W2)이 발광구조물(110)의 수평 폭(W1)이나 제2 전극층(120)의 수평 폭(W3)보다 작게 형성됨으로써 직접 자가 조립 시 위치 혼선이 없이 전사, 조립 효율이 높일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 패널에 반도체 발광소자들을 전사함에 있어서 전사속도(transfer speed)와 전사수율(transfer yield)을 동시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의하면 돌출된 메사 반도체층(100P)의 수평 폭(W2)이 발광구조물(110)의 수평 폭(W1)이나 제2 전극층(120)의 수평 폭(W3)보다 작게 형성됨과 함께 제2 전극층(120)에는 자성물질을 포함하고 있으나 돌출된 메사 반도체층(100P)에는 자성물질을 포함하지 않음에 따라 메사형상의 구조 및 물질적 특징에 의해 직접 자가 조립 시 위치 혼선이 없이 전사, 조립 효율이 높일 수 있는 기술적 효과가 있다.
또한 실시예에 의하면 돌출된 메사 반도체층(100P)의 높이(H2)는 발광구조물(110)의 높이(H1)보다 작게 형성됨으로써 직접 자가 조립 시 위치 혼선이 없이 전사, 조립 효율이 높일 수 있으며, 발광구조물에서 제1 도전형 반도체층(111)이 식각되는 범위를 최소화함으로써 발광구조물의 에피 특성을 유지시킴으로써 내부 발광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기술적 효과가 있다.
또한 실시예에 의하면 발광구조물(110)에서 활성층(112)의 수평 폭(W1)은 제2 전극층(120)의 수평 폭(W3)보다 크게 구현함으로써 발광소자 칩의 발광면적을 최대 면적으로 구현 가능하고 고반사 메탈층를 갖는 구조를 구현함으로써 발광효율을 최대화할 뿐만 아니라 전자기장을 이용한 초고속 직접 자가조립 전사기능을 갖는 초소형 사이즈 마이크로 LED칩 구조를 제공할 수 있는 기술적 효과가 있다.
또한 실시예에 의하면, 패시베이션층(130)이 제2 도전형 반도체층(113)의 측면과 제2 전극층(120)의 측면 및 저면 일부까지 형성됨으로써 자가 조립 시 칩간 충돌 및 외부에 의한 충격에 강한 구조일 뿐만 아니라 초소형 LED 칩의 사이드 효과(side-effects)로 발광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는 기술적 효과가 있다.
또한 실시예에 의하면, 패시베이션층(130)을 발광 칩의 p-GaN영역 상부 및 측면에 형성함으로써 초소형 LED 칩의 사이드 효과(side-effects)로 발광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는 기술적 효과가 있다.
실시예의 기술적 효과는 본 항목에 기재된 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발명의 설명을 통해 파악될 수 있는 것을 포함한다.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세탁기(10), 로봇 청소기(20), 공기청정기(30) 등과 함께 거실에 배치된 예시도.
도 2는 도 1의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 제1 패널영역(A1)의 확대도.
도 3은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발광 소자(150R)가 자가조립 방식에 의해 기판(200)에 조립되는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발광소자(150R)가 기판(200) 상에 조립된 패키지 단면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반도체 발광소자 패키지에서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발광소자(150R)의 상세도.
도 6a 내지 도 6h는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발광소자의 제조방법 공정단면도.
도 7은 제2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발광소자(150R2)의 단면도.
도 8은 제3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발광소자(150R3)의 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며,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층, 영역 또는 기판과 같은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 '상(on)'에 존재하는 것으로 언급될 때, 이것은 직접적으로 다른 요소 상에 존재하거나 또는 그 사이에 다른 중간 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는 것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디스플레이 장치에는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슬레이트(Slate) PC, 태블릿(Tablet) PC, 울트라 북(Ultra-Book), 디지털 TV, 데스크탑 컴퓨터 등이 포함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에 따른 구성은 추후 개발되는 새로운 제품형태이라도, 디스플레이가 가능한 장치에도 적용될 수 있다.
이하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발광소자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세탁기(10), 로봇 청소기(20), 공기청정기(30) 등과 함께 거실에 배치된 예시도이다.
실시예의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세탁기(10), 로봇 청소기(20), 공기청정기(30) 등의 각종 전자제품의 상태를 표시할 수 있고, 각 전자 제품들과 IOT 기반으로 통신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설정 데이터에 기초하여 각 전자 제품들을 제어할 수도 있다.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얇고 유연한 기판 위에 제작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는 기존의 평판 디스플레이의 특성을 유지하면서, 종이와 같이 휘어지거나 말릴 수 있다.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에서 시각정보는 매트릭스 형태로 배치되는 단위 화소(unit pixel)의 발광이 독자적으로 제어됨에 의하여 구현될 수 있다. 상기 단위 화소는 하나의 색을 구현하기 위한 최소 단위를 의미한다.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단위 화소는 반도체 발광소자(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에 의하여 구현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반도체 발광소자는 Micro-LED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음으로 도 2는 도 1의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 제1 패널영역(A1)의 확대도이다.
도 2에 의하면, 실시예의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제1 패널영역(A1)과 같은 복수의 패널영역들이 타일링에 의해 기구적, 전기적 연결되어 제조될 수 있다.
상기 제1 패널영역(A1)은 복수의 단위 화소(150L)를 포함할 수 있으며, 각 단위 화소(150L)는 제1 반도체 발광소자(150R), 제2 반도체 발광소자(150G) 및 제3 반도체 발광소자(150B)를 서브 화소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제2, 제3 반도체 발광소자들(150R,150G,150B)은 각각 Red 발광소자(R), Green 발광소자(G), Blue 발광소자(B)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제1 반도체 발광소자(150R)를 중심으로 설명하며, 나머지 제2, 제3 반도체 발광소자들(150G,150B)도 제1 반도체 발광소자(150R)의 기술적 특징을 채용할 수 있으며, 이하 '실시예에 따른 제1 반도체 발광소자'는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발광소자'라 칭하기로 한다.
실시예에서 각 반도체 발광소자는 액티브 매트릭스(AM, Active Matrix) 방식 또는 패시브 매트릭스(PM, Passive Matrix) 방식으로 구동될 수 있다.
(제1 실시예)
다음으로 도 3은 제1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발광 소자(150R)가 자가조립 방식에 의해 기판(200)에 조립되는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4는 제1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발광소자(150R)가 기판(200) 상에 조립된 패키지 단면도이다(이하 '제1 실시예'는 '실시예'라 칭한다).
이하 도 3과 도 4를 참조하며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발광소자(150R)가 전자기장을 이용한 자가조립 방식에 의해 기판(200)에 조립되는 예를 설명한다.
도 3에서 상기 기판(200)은 디스플레이 장치의 패널 기판이거나 전사를 위한 임시의 도너 기판일 수 있다.
이후 설명에서는 기판(200)은 디스플레이 장치의 패널 기판인 경우로 설명하나 실시예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기판(200)은 유리나 폴리이미드(Polyimide)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판(200)은 PEN(Polyethylene Naphthalate),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 등의 유연성 있는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판(200)은 투명한 재질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3을 참조하면, 반도체 발광소자(150R)는 유체(1200)가 채워진 챔버(1300)에 투입될 수 있다. 상기 유체(1200)는 초순수 등의 물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 후, 기판(200)이 챔버(130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기판(200)은 챔버(1300) 내로 투입될 수도 있다.
다음으로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기판(200)에는 조립될 반도체 발광소자(150R) 각각에 대응하는 한 쌍의 제1 전극(211), 제2 전극(212)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전극(211), 제2 전극(212)은 투명 전극(ITO)으로 형성되거나, 전기 전도성이 우수한 금속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전극(211)과 상기 제2 전극(212)은 티탄(Ti), 크롬(Cr), 니켈(Ni), 알루미늄(Al), 백금(Pt), 금(Au), 텅스텐(W), 몰리브덴(Mo) 중 적어도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합금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전극(211), 제2 전극(212)은 전압이 인가됨에 따라 전기장을 방출함으로써, 기판(200) 상의 조립 홀(202)에 조립된 반도체 발광소자(150R)를 고정시키는 한 쌍의 조립 전극의 기능을 할 수 있다.
상기 제1 전극(211), 제2 전극(212) 간의 간격은 반도체 발광소자(150R)의 폭 및 조립 홀(202)의 폭보다 작게 형성되어, 전기장을 이용한 반도체 발광소자(150R)의 조립 위치를 보다 정밀하게 고정할 수 있다.
상기 제1 전극(211), 제2 전극(212) 상에는 절연층(220)이 형성되어, 제1 전극(211), 제2 전극(212)을 유체(1200)로부터 보호하고, 상기 제1 전극(211), 제2 전극(212)에 흐르는 전류의 누출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절연층(220)은 실리카, 알루미나 등의 무기물 절연체 또는 유기물 절연체가 단일층 또는 다층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절연층(220)은 폴리이미드, PEN, PET 등과 같이 절연성과 유연성 있는 재질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기판(200)과 일체로 이루어져 하나의 기판을 형성할 수도 있다.
상기 절연층(220)은 접착성이 있는 절연층일 수 있거나, 전도성을 가지는 전도성 접착층일 수 있다. 상기 절연층(220)은 연성이 있어서 디스플레이 장치의 플렉서블 기능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상기 절연층(220)의 상부에는 격벽(200S)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격벽(200S)의 일부 영역은 제1 전극(211), 제2 전극(212)의 상부에 위치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기판(200)의 형성 시, 절연층(220) 상부에 형성된 격벽 중 일부가 제거됨으로써, 반도체 발광소자(150R)들 각각이 기판(200)에 조립되는 조립 홀(202)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격벽(200S)과 절연층(220) 사이에는 반도체 발광소자(150R)에 전원을 인가하기 위한 제2 패드전극(222)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기판(200)에는 반도체 발광소자(150R)들이 결합되는 조립 홀(202)이 형성되고, 조립 홀(202)이 형성된 면은 유체(1200)와 접촉할 수 있다. 조립 홀(202)은 반도체 발광소자(150R)의 정확한 조립 위치를 가이드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조립 홀(202)은 대응하는 위치에 조립될 반도체 발광소자(150R)의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 및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조립 홀(202)에 다른 반도체 발광 소자가 조립되거나 복수의 반도체 발광 소자들이 조립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시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기판(200)이 배치된 후, 자성체를 포함하는 조립 장치(1100)가 기판(200)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조립 장치(1100)는 자기장이 미치는 영역을 유체(1200) 내로 최대화하기 위해, 기판(200)과 접촉한 상태로 이동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조립 장치(1100)가 복수의 자성체를 포함하거나, 기판(200)과 대응하는 크기의 자성체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조립 장치(1100)의 이동 거리는 소정 범위 이내로 제한될 수도 있다.
상기 조립 장치(1100)에 의해 발생하는 자기장에 의해, 챔버(1300) 내의 반도체 발광소자(150R)는 조립 장치(1100)를 향해 이동할 수 있다.
상기 반도체 발광소자(150R)는 조립 장치(1100)를 향해 이동 중, 조립 홀(202)로 진입하여 기판(200)과 접촉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기판(200)에 형성된 제1 전극(211), 제2 전극(212)에 의해 가해지는 전기장에 의해, 상기 기판(200)에 접촉된 반도체 발광소자(150R)가 조립 장치(1100)의 이동에 의해 이탈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즉, 상술한 전자기장을 이용한 자가조립 방식에 의해, 반도체 발광소자(150R)들 각각이 상기 기판(200)에 조립되는 데 소요되는 시간을 급격히 단축시킬 수 있으므로, 대면적 고화소 디스플레이를 보다 신속하고 경제적으로 구현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4를 참조하면, 기판(200)의 조립 홀(202) 상에 조립된 반도체 발광소자(150R)와 제2 패드전극(222) 사이에는 소정의 솔더층(225)이 더 형성되어 반도체 발광소자(150R)의 결합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후 반도체 발광소자(150R)에 제1 패드전극(221)이 연결되어 전원을 인가할 수 있다.
다음으로 기판(200)의 격벽(200S)과 조립 홀(202)에 몰딩층(230)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몰딩층(230)은 투명 레진이거나 또는 반사물질, 산란물질이 포함된 레인일 수 있다.
다음으로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반도체 발광소자 패키지에서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발광소자(150R)의 상세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발광소자(150R)는 돌출된 메사 반도체층(100P)를 포함할 수 있으며, 돌출형 메사 구조가 p-GaN 반대 영역에 배치됨에 따라 직접 자가 조립 시 위치 혼선이 없이 전사, 조립 효율이 높일 수 있음에 따라 디스플레이 패널에 반도체 발광소자들을 전사함에 있어서 전사속도(transfer speed)와 전사수율(transfer yield)을 동시 향상시킬 수 있는 기술적 효과가 있다.
또한 실시예에 의하면, 발광소자 칩의 발광면적을 최대 면적으로 구현 가능하고 고반사 메탈층를 갖는 구조를 구현함으로써 발광효율을 최대화할 뿐만 아니라 전자기장을 이용한 초고속 직접 자가조립 전사기능을 갖는 초소형 사이즈 마이크로 LED칩 구조를 제공할 수 있는 기술적 효과가 있다.
또한 실시예에 의하면, 패시베이션층을 발광 칩의 p-GaN영역 상부 및 측면에 형성함으로써 자가 조립 시 칩간 충돌 및 외부에 의한 충격에 강한 구조일 뿐만 아니라 초소형 LED 칩의 사이드 효과(side-effects)로 발광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는 기술적 효과가 있다.
또한 실시예에 의하면, 초박형 마이크로-LED 디스플레이 구현하면서 광추출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기술적 효과가 있다.
이러한 실시예의 기술적 효과를 도 5를 참조하여 상술하기로 한다.
도 5는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발광소자(150R)의 상세도이다.
실시예에서 반도체 발광소자들(150R,150G,150B)은 전기에너지가 빛 에너지로 변환되는 p-n 접합 다이오드로서 주기율표 상의 Ⅲ족과 Ⅴ족의 원소를 포함하는 화합물 반도체로 제조될 수 있고, 화합물 반도체의 조성비를 조절하여 밴드 갭 에너지를 제어함으로써 적색, 녹색 및 청색 등의 다양한 색상구현이 가능하다.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발광소자(150R)는 제2 전극층(120), 발광구조물(110), 및 돌출된 메사 반도체층(100P), 패시베이션층(13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돌출된 메사 반도체층(100P)은 제1 도전형 메사 반도체층(111b)과 언도프트 메사 반도체층(105b)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발광구조물(110)은 제1 도전형 반도체층(111), 활성층(112) 및 제2 도전형 반도체층(11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도전형 반도체층(111)은 제1 도전형 도펀트가 도핑된 3족-5족 화합물 반도체로 구현될 수 있으며, 상기 제1 도전형 반도체층이 n형 반도체층인 경우, 제1 도전형 도펀트는 n형 도펀트로서, Si, Ge, Sn, Se, Te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활성층(112)은 제1 도전형 반도체층(111)을 통해서 주입되는 전자와 제2 도전형 반도체층(113)을 통해서 주입되는 정공이 서로 만나서 활성층 물질 고유의 밴드갭 에너지에 의해서 결정되는 에너지를 갖는 빛을 방출하는 층이다.
상기 활성층(112)은 단일 양자 우물 구조, 다중 양자 우물 구조(MQW: Multi Quantum Well), 양자 선(Quantum-Wire) 구조, 또는 양자 점(Quantum Dot) 구조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활성층(112)의 우물층/장벽층은 InGaN/GaN, InGaN/InGaN, GaN/AlGaN, InAlGaN/GaN, GaAs(InGaAs)/AlGaAs, GaInP/AlGaInP, GaP/AlGaP, InGaP/AlGaP 중 어느 하나 이상의 페어 구조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제2 도전형 반도체층(113)은 제2 도전형 도펀트가 도핑된 3-족-5족 화합물 반도체 예컨대, InxAlyGa1-x-yN (0≤x≤1, 0≤y≤1, 0≤x+y≤1)의 조성식을 갖는 반도체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도전형 반도체층(113)이 p형 반도체층인 경우, 상기 제2 도전형 도펀트는 p형 도펀트로서, Mg, Zn, Ca, Sr, Ba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전극층(120)은 투명 전극층(121), 반사층(122) 및 자성층(12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투명 전극층(121)은 ITO(indium tin oxide), IZO(indium zinc oxide), IZTO(indium zinc tin oxide), IAZO(indium aluminum zinc oxide), IGZO(indium gallium zinc oxide), IGTO(indium gallium tin oxide), AZO(aluminum zinc oxide), ATO(antimony tin oxide), GZO(gallium zinc oxide), IZON(IZO Nitride), AGZO(Al-Ga ZnO), IGZO(In-Ga ZnO), ZnO, IrOx, RuOx, NiO, RuOx/ITO, Ni/IrOx/Au, 및 Ni/IrOx/Au/ITO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재료에 한정되는 않는다.
상기 반사층(122)은 Al, Ag, 혹은 Al이나 Ag를 포함하는 합금을 포함하는 금속층으로 이루어진 반사층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반사층(122)은 Ti, Al, Ag, TiAl, TiAlTi, TiAgTi, MoAl, MoAlMo, MoAlTi 중 어느 하나 이상의 금속을 단층 또는 다층으로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반사층(122)은 Ti, Cr, Mo, Pt 등의 접합금속을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자성층(123)은 니켈(Ni) 등 자성을 갖는 금속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의 기술적 과제 중의 하나는 디스플레이 패널에 반도체 발광소자들을 전사함에 있어서 전사속도(transfer speed)와 전사수율(transfer yield)을 동시 향상시킬 수 있으며, 직접 자가 조립 시 위치 혼선이 없이 전사, 조립 효율이 높일 수 있는 초소형 사이즈의 반도체 발광소자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예를 들어, 종래 마이크로-LED 칩의 Mesa 구조 상에 p 전극층과 n 전극층을 같은 면에 형성하기에는 물리적 영역의 한계에 직면하는 문제가 있다.
특히 차세대 마이크로-LED TV 기술에 요구되는 칩 사이즈가 초소형 사이즈인 약 10 ㎛ 이하로 작아 짐에 따라 종래기술에 따라 Mesa 및 n-전극 메탈층 형성을 위한 물리적 영역의 제한으로 패턴 구현이 용이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미세 패턴 형성을 위한 공정비용 증가로 제조비용이 높아지는 단점이 있다.
특히 AR/VR기술에 요구되는 칩 사이즈는 더욱 작은 사이즈(약 5㎛ 이하)로서 발광 칩 형상 구현을 위한 물리적 영역의 한계에 직면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실시예의 기술적 과제 중의 하나는 발광효율을 최대화할 뿐만 아니라, 전자기장을 이용한 초고속 직접 자가조립 전사기능을 갖는 초소형 사이즈 마이크로 LED칩 구조를 제공할 수 있는 반도체 발광소자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고자 함이다.
또한 실시예의 기술적 과제 중의 하나는 자가 조립 시 칩간 충돌 및 외부에 의한 충격에 강한 구조일 뿐만 아니라 초소형 LED 칩의 사이드 효과(side-effects)로 발광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는 반도체 발광소자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고자 함이다.
또한 실시예의 기술적 과제 중의 하나는 초박형 마이크로-LED 디스플레이 구현하면서 광추출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반도체 발광소자 패키지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고자 함이다.
또한 실시예의 기술적 과제 중의 하나는 종래 발광소자 패키지는 광추출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해 성장기판이 잔존하게 됨에 따라 두께가 두꺼워지는 문제가 있으므로, 초박형 마이크로-LED 디스플레이 구현하면서 광추출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반도체 발광소자 패키지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고자 함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발광소자(150R)는 발광구조물(110) 상에 돌출된 메사 반도체층(100P)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돌출된 메사 반도체층(100P)은 제1 도전형 메사 반도체층(111b)과 언도프트 메사 반도체층(105b)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발광소자(150R)는 전자기장을 이용한 직접 자가조립전사(DSAT, Direct Self Assembly Transfer)를 위한 칩 구조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발광소자(150R)는 제2 도전형 반도체층(113)인 p-GaN 영역 전체 면적에 제2 전극층(120)인 투명전극층(121) 및 반사층(122)을 형성하고, 상기 반사층(122) 상부에 전자기성 물질의 자성층(123)을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p-GaN 영역 반대면에 Mesa 형상의 돌출된 메사 반도체층(100P)을 칩 사이즈 보다 작은 사이즈로 구현하고 패시베이션층(130)이 칩의 p-GaN 영역 상부 및 옆면에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실시예에 의하면, TV 및 VR/AR기술에 요구되는 초소형 사이즈 칩 제작을 위해 Mesa 형상 및 p/n-전극층을 동일면에 형성하기 위한 물리적 영역의 한계에 직면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의하면, 디스플레이 패널에 반도체 발광소자들을 전사함에 있어서 전사속도(transfer speed)와 전사수율(transfer yield)을 동시 향상시킬 수 있으며, 돌출형 메사 구조가 p-GaN 반대 영역에 배치됨에 따라 직접 자가 조립 시 위치 혼선이 없이 전사, 조립 효율이 높일 수 있는 기술적 효과가 있다.
예를 들어, 실시예에서 돌출된 메사 반도체층(100P)의 수평 폭(W2)은 발광구조물(110)의 수평 폭(W1)이나 제2 전극층(120)의 수평 폭(W3)에 비해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메사 반도체층(100P)의 수평 폭(W2)은 발광구조물(110)의 수평 폭(W1)이나 제2 전극층(120)의 수평 폭(W3)의 1/4~2/3, 또는 1/3 내지 1/2 범위로 형성될 수 있다.
실시예에 의하면 돌출된 메사 반도체층(100P)의 수평 폭(W2)이 발광구조물(110)의 수평 폭(W1)이나 제2 전극층(120)의 수평 폭(W3)보다 작게 형성됨으로써 직접 자가 조립 시 위치 혼선이 없이 전사, 조립 효율이 높일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 패널에 반도체 발광소자들을 전사함에 있어서 전사속도(transfer speed)와 전사수율(transfer yield)을 동시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의하면 돌출된 메사 반도체층(100P)의 수평 폭(W2)이 발광구조물(110)의 수평 폭(W1)이나 제2 전극층(120)의 수평 폭(W3)보다 작게 형성됨과 함께 제2 전극층(120)에는 자성물질을 포함하고 있으나 돌출된 메사 반도체층(100P)에는 자성물질을 포함하지 않음에 따라 메사형상의 구조 및 물질적 특징에 의해 직접 자가 조립 시 위치 혼선이 없이 전사, 조립 효율이 높일 수 있는 기술적 효과가 있다.
또한 실시예에 의하면 돌출된 메사 반도체층(100P)의 높이(H2)는 발광구조물(110)의 높이(H1)보다 작게 형성됨으로써 직접 자가 조립 시 위치 혼선이 없이 전사, 조립 효율이 높일 수 있으며, 발광구조물에서 제1 도전형 반도체층(111)이 식각되는 범위를 최소화함으로써 발광구조물의 에피 특성을 유지시킴으로써 내부 발광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기술적 효과가 있다.
또한 실시예에 의하면 발광구조물(110)에서 활성층(112)의 수평 폭(W1)은 제2 전극층(120)의 수평 폭(W3)보다 크게 구현함으로써 발광소자 칩의 발광면적을 최대 면적으로 구현 가능하고 고반사 메탈층를 갖는 구조를 구현함으로써 발광효율을 최대화할 뿐만 아니라 전자기장을 이용한 초고속 직접 자가조립 전사기능을 갖는 초소형 사이즈 마이크로 LED칩 구조를 제공할 수 있는 기술적 효과가 있다.
또한 실시예에 의하면 제2 도전형 반도체층(113)에 대한 메사 구조를 형성하지 않고 상대적으로 두꺼운 제1 도전형 반도체층(111)에 돌출형 메사 반도체층(100P)을 형성함으로써 발광구조물(110)의 식각에 따른 손상을 최소화하여 신뢰성을 향상시킴과 함께 내부 발광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기술적 효과가 있다.
또한 실시예에 의하면, 패시베이션층(130)이 제2 도전형 반도체층(113)의 측면과 제2 전극층(120)의 측면 및 저면 일부까지 형성됨으로써 자가 조립 시 칩간 충돌 및 외부에 의한 충격에 강한 구조일 뿐만 아니라 초소형 LED 칩의 사이드 효과(side-effects)로 발광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는 기술적 효과가 있다.
또한 실시예에 의하면, 패시베이션층(130)을 발광 칩의 p-GaN영역 상부 및 측면에 형성함으로써 초소형 LED 칩의 사이드 효과(side-effects)로 발광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는 기술적 효과가 있다.
또한 실시예에 의하면, 발광구조물(110) 상에 배치된 돌출된 메사 반도체층(100P)에 의해 포토닉 크리스탈 효과에 의해 광추출 효율을 향상시킴으로써 초박형 마이크로-LED 디스플레이 구현하면서 광추출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특별한 기술적 효과가 있다.
다음으로 도 6a 내지 도 6h는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발광소자의 제조방법 공정단면도이다.
우선 도 6a를 참조하면 성장 기판(102) 상에 언도프트 반도체층(105), 발광구조물(110)을 순차적으로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성장 기판(102)은 사파이어 기판 또는 GaN 기판 등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언도프트 반도체층(105)은 GaN 계열의 반도체층일 수 있으며 도펀트가 주입되지 않을 수 있으나 이후 진행되는 공정에서의 도펀트가 확산될 수는 있다.
상기 발광구조물(110)은 앞서 기술한 대로 제1 도전형 반도체층(111), 활성층(112) 및 제2 도전형 반도체층(113)을 포함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6b와 같이, 발광구조물(110) 상에 투명전극층(121), 반사층(122) 및 자성층(123)을 포함하는 제2 전극층(120)을 형성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6c와 같이, 제1 마스크 패턴(M1)을 식각마스크로 형성하여 제2 전극층(120)을 부분적으로 식각할 수 있다. 상기 제2 전극층(120)의 식각은 건식식각에 의해 진행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음으로 도 6d와 같이, 상기 제1 마스크 패턴(M1)을 식각마스크로 이용하여 발광구조물(110)을 부분적으로 건식 식각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발광구조물(110) 중 제2 도전형 반도체층(113)과 활성층(112)이 시각되고 제1 도전형 반도체층(111)의 일부가 잔존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6e와 같이, 제1 마스크 패턴(M1)을 제거 후 절연층(130)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절연층(130)은 산화막 또는 질화막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음으로 도 6f와 같이, 상기 절연층(130)과 잔존하는 제1 도전형 반도체층(111) 및 언도프트 반도체층(105)을 식각하여 성장 기판(102)이 노출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6g와 같이, 절연층(130)에 의해 커버되지 않는 노출된 제1 도전형 반도체층(111)과 언도프트 반도체층(105)을 KOH 등으로 습식식각하여 돌출된 메사 반도체층(100P)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돌출된 메사 반도체층(100P)은 제1 도전형 메사 반도체층(111b)과 언도프트 메사 반도체층(105b)을 포함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6h와 같이, 절연층(130)의 일부를 식각하여 제2 전극층(120) 중에 자성층(123)이 노출되도록 할 수 있다.
이후 성장 기판(102)을 LLO 등으로 제거하여 도 5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발광소자(150R)를 완성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발광소자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의하면, 디스플레이 패널에 반도체 발광소자들을 전사함에 있어서 전사속도(transfer speed)와 전사수율(transfer yield)을 동시 향상시킬 수 있으며, 돌출형 메사 구조가 p-GaN 반대 영역에 배치됨에 따라 직접 자가 조립 시 위치 혼선이 없이 전사, 조립 효율이 높일 수 있는 기술적 효과가 있다.
또한 실시예에 의하면, 발광소자 칩의 발광면적을 최대 면적으로 구현 가능하고 고반사 메탈층를 갖는 구조를 구현함으로써 발광효율을 최대화할 뿐만 아니라 전자기장을 이용한 초고속 직접 자가조립 전사기능을 갖는 초소형 사이즈 마이크로 LED칩 구조를 제공할 수 있는 기술적 효과가 있다.
또한 실시예에 의하면, 패시베이션층이 제2 도전형 반도체층의 측면과 제2 전극층 측면 및 저면 일부까지 형성됨으로써 자가 조립 시 칩간 충돌 및 외부에 의한 충격에 강한 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의하면, 패시베이션층을 발광 칩의 p-GaN영역 상부 및 측면에 형성함으로써 초소형 LED 칩의 사이드 효과(side-effects)로 발광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는 기술적 효과가 있다.
또한 실시예에 의하면, 초박형 마이크로-LED 디스플레이 구현하면서 광추출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기술적 효과가 있다.
(제2 실시예)
다음으로 도 7은 제2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발광소자(150R2)의 단면도이다.
제2 실시예는 제1 실시예의 기술적 특징을 채용할 수 있으며 이하 제2 실시예의 주된 특징을 중심으로 기술하기로 한다.
제2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발광소자(150R2)는 돌출된 메사 반도체층(100P)의 측면에 배치된 광추출 구조(14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광추출 구조(140)는 절연층 또는 금속층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광추출 구조(140)는 DBR 등이 거나 Ag, Ni, Al 등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2 실시예에 의하면 광추출 구조(140)가 돌출된 메사 반도체층(100P)의 측면에 배치됨으로써 지향성 있는 광추출이 가능한 기술적 효과가 있다. 상기 광추출 구조(140)는 제1 도전형 반도체층(111)의 상면에도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광추출 구조(140)가 절연물질로 형성되는 경우 소정의 패드 오픈 공정을 통해 제1 패드 전극(221)이 제1 도전형 반도체층(111)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광추출 구조(140)가 금속물질의 반사물질로 형성되는 경우 소정의 패드 오픈 공정이 필요없이 제1 패드 전극(221)이 상기 광추출 구조(140)와 접함으로써 제1 도전형 반도체층(111)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광추출 구조(140)가 광 추출의 광학적 효과와 함께 패드 전극과의 전기적 접촉면적을 넓힘으로써 전기적 특성도 항상되는 복합적인 기술적 효고가 있다.
(제3 실시예)
다음으로 도 8은 제3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발광소자(150R3)의 단면도이다.
제3 실시예는 제1 실시예 또는 제2 실시예의 기술적 특징을 채용할 수 있으며 이하 제3 실시예의 주된 특징을 중심으로 기술하기로 한다.
제3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발광소자(150R3)는 제2 전극층(120) 하측에 배치되는 제2 솔더층(16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3 실시예에 의하면 제2 솔더층(160)이 제2 전극층(120) 하측에 배치됨에 따라 반도체 발광소자와 패드 기판의 제2 패드 전극(222) 간의 결합력이 향상되어 신뢰성이 향상되는 기술적 효과가 있다.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발광소자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의하면, 디스플레이 패널에 반도체 발광소자들을 전사함에 있어서 전사속도(transfer speed)와 전사수율(transfer yield)을 동시 향상시킬 수 있으며, 돌출형 메사 구조가 p-GaN 반대 영역에 배치됨에 따라 직접 자가 조립 시 위치 혼선이 없이 전사, 조립 효율이 높일 수 있는 기술적 효과가 있다.
또한 실시예에 의하면, 발광소자 칩의 발광면적을 최대 면적으로 구현 가능하고 고반사 메탈층를 갖는 구조를 구현함으로써 발광효율을 최대화할 뿐만 아니라 전자기장을 이용한 초고속 직접 자가조립 전사기능을 갖는 초소형 사이즈 마이크로 LED칩 구조를 제공할 수 있는 기술적 효과가 있다.
또한 실시예에 의하면, 패시베이션층이 제2 도전형 반도체층의 측면과 제2 전극층 측면 및 저면 일부까지 형성됨으로써 자가 조립 시 칩간 충돌 및 외부에 의한 충격에 강한 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의하면, 패시베이션층을 발광 칩의 p-GaN영역 상부 및 측면에 형성함으로써 초소형 LED 칩의 사이드 효과(side-effects)로 발광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는 기술적 효과가 있다.
또한 실시예에 의하면, 초박형 마이크로-LED 디스플레이 구현하면서 광추출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기술적 효과가 있다.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발광소자는 마이크로 LED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미니 LED 도 포함한다.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발광소자는 마이크로 LED 디스플레이 외에 조명용, 사이니지용의 상대적으로 면적이 큰 LED에도 적용이 가능하다.
또한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발광소자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지털 TV,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슬레이트(Slate) PC, 태블릿(Tablet) PC, 울트라 북(Ultra-Book), 데스크탑 컴퓨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실시예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실시예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실시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3)

  1. 제2 전극층;
    상기 제2 전극층 상에 배치된 발광구조물;
    상기 발광구조물 상에 배치된 돌출된 메사 반도체층 및
    상기 발광구조물 측면에 배치된 패시베이션층;을 포함하며,
    상기 돌출된 메사 반도체층은 제1 도전형 메사 반도체층과 언도프트 메사 반도체층을 포함하는 반도체 발광소자.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전극층은,
    상기 발광구조물 상에 배치된 투명 전극층;
    상기 투명 전극층 상에 배치된 반사층; 및
    상기 반사층 상에 배치된 자성층;을 포함하는 반도체 발광소자.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된 메사 반도체층의 수평 폭은 상기 발광구조물의 수평 폭에 비해 작은 반도체 발광소자.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된 메사 반도체층의 수평 폭은 상기 제2 전극층의 수평 폭에 비해 작은 반도체 발광소자.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된 메사 반도체층의 수평 폭이 상기 발광구조물의 수평 폭이나 상기 제2 전극층의 수평 폭보다 작게 형성되며, 상기 제2 전극층에는 자성물질을 포함하고, 상기 돌출된 메사 반도체층은 자성물질을 포함하지 않는 반도체 발광소자.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된 메사 반도체층의 높이는 상기 발광구조물의 높이보다 작은 반도체 발광소자.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구조물에서 활성층의 수평 폭은 상기 제2 전극층의 수평 폭보다 큰 반도체 발광소자.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패시베이션층이 상기 발광구조물의 제2 도전형 반도체층의 측면과 상기 제2 전극층의 측면 및 저면 일부까지 배치되는 반도체 발광소자.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구조물 상에 배치된 상기 돌출된 메사 반도체층은 포토닉 크리스탈 기능에 의해 광추출 효율을 향상시키는 반도체 발광소자.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된 메사 반도체층의 측면에 배치된 광추출 구조를 더 포함하는 반도체 발광소자.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광추출 구조는 금속물질의 반사물질을 포함하고, 제1 패드 전극이 상기 광추출 구조와 접함으로써 상기 발광구조물의 제1 도전형 반도체층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반도체 발광소자.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전극층 하측에 배치되는 제2 솔더층을 더 포함하는 반도체 발광소자.
  13. 제1 배선전극, 제2 배선전극을 포함하는 패널 기판;
    상기 패널 기판 상에 배치되는 제1항 내지 제 12항 중 어느 하나의 반도체 발광소자 패키지;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237009413A 2020-09-28 2020-09-28 반도체 발광소자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2023007472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20/013208 WO2022065557A1 (ko) 2020-09-28 2020-09-28 반도체 발광소자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74724A true KR20230074724A (ko) 2023-05-31

Family

ID=808455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09413A KR20230074724A (ko) 2020-09-28 2020-09-28 반도체 발광소자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230335674A1 (ko)
KR (1) KR20230074724A (ko)
WO (1) WO202206555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40178345A1 (en) * 2022-11-25 2024-05-30 Lg Display Co., Ltd. Light-emitting device, display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192645A (ja) * 2009-02-18 2010-09-02 Toshiba Corp 半導体発光素子及びその製造方法
US8637334B2 (en) * 2009-11-03 2014-01-28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High brightness light emitting diode covered by zinc oxide layers on multiple surfaces grown in low temperature aqueous solution
CN107833525B (zh) * 2016-09-15 2020-10-27 伊乐视有限公司 发光显示器的流体组装的系统和方法
KR20190117413A (ko) * 2019-09-26 2019-10-16 엘지전자 주식회사 마이크로 led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200023319A (ko) * 2020-01-22 2020-03-04 엘지전자 주식회사 반도체 발광소자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2065557A1 (ko) 2022-03-31
US20230335674A1 (en) 2023-10-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036969B1 (en) Display device using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US8884336B2 (en) Light emitting device
US10615311B2 (en) Light emitting device and display comprising same
EP2562815B1 (en) Light emitting device and light emitting device package
KR102512027B1 (ko) 반도체 소자, 표시패널, 표시장치 및 표시패널 제조방법
EP2378555B1 (en) Light emitting device
US20130049038A1 (en) Light emitting device and light emitting device package
KR20200127478A (ko) Led 소자, led 소자의 제조 방법 및 led 소자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패널
KR102495758B1 (ko) 플립칩 타입의 led 소자, 플립칩 타입의 led 소자의 제조 방법 및 플립칩 타입의 led 소자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20230037523A (ko) 어레이 기판, 패널,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EP4068366A1 (en) Display device using micro led
US9029899B2 (en) Light emitting device and light emitting device package
KR102309092B1 (ko) 발광 소자 및 이를 포함하는 발광 소자 어레이
EP2562828B1 (en) Light emitting diode and light emitting diode package
US20230335674A1 (en) Semiconductor light-emitting element and display device comprising same
KR102323593B1 (ko) 광원 모듈 및 이를 구비한 표시 모듈
KR20220164039A (ko) 디스플레이 장치와 그의 제조 방법, 및 그를 이용한 멀티 스크린 디스플레이 장치
US20230361095A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semiconductor light-emitting device package, semiconductor light-emitting device package manufactured thereby, and display device comprising same
EP4152419A1 (en) Semiconductor light-emitting element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same
US20220158028A1 (en) Light-emitting device, light-emitting module including the same and display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KR102666197B1 (ko) 반도체 소자, 표시패널, 표시장치 및 표시패널 제조방법
KR20130005589A (ko) 발광 소자, 발광 소자 패키지, 라이트 유닛, 발광 소자 제조방법
US20240079390A1 (en) Display device
KR102531520B1 (ko) 발광 소자
KR20230029780A (ko) 반도체 발광소자 패키지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