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74494A - 통신 방법, 장치 및 기기 - Google Patents

통신 방법, 장치 및 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74494A
KR20230074494A KR1020237011075A KR20237011075A KR20230074494A KR 20230074494 A KR20230074494 A KR 20230074494A KR 1020237011075 A KR1020237011075 A KR 1020237011075A KR 20237011075 A KR20237011075 A KR 20237011075A KR 20230074494 A KR20230074494 A KR 202300744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time
resource
resources
time peri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110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스창 장
후에이-밍 린
젠샨 자오
이 딩
Original Assignee
광동 오포 모바일 텔레커뮤니케이션즈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광동 오포 모바일 텔레커뮤니케이션즈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filed Critical 광동 오포 모바일 텔레커뮤니케이션즈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300744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7449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04W72/25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between terminals via a wireless link, e.g. sidelin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04L1/18Automatic repetition systems, e.g. Van Duuren systems
    • H04L1/1812Hybrid protocols; 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HARQ]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16Central resource management; Negotiation of resources or communication parameters, e.g. negotiating bandwidth or QoS [Quality of Service]
    • H04W28/26Resource reserv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3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 H04W4/4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for vehicles, e.g. vehicle-to-pedestrians [V2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70Services for machine-to-machine communication [M2M] or machine type communication [MTC]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2Selection of wireless resources by user or termi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04W72/04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 H04W72/0446Resources in time domain, e.g. slots or fram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12Wireless traffic scheduling
    • H04W72/1263Mapping of traffic onto schedule, e.g. scheduled allocation or multiplexing of flow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40Resource management for direct mode communication, e.g. D2D or sidelin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50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 H04W72/54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quality criteria
    • H04W72/541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quality criteria using the level of interferen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50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 H04W72/56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priority criteria
    • H04W72/566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priority criteria of the information or information source or recipi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50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 H04W72/56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priority criteria
    • H04W72/566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priority criteria of the information or information source or recipient
    • H04W72/569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priority criteria of the information or information source or recipient of the traffic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22Processing or transfer of terminal data, e.g. status or physical capabilities
    • H04W8/24Transfer of terminal 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00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16Interfaces between hierarchically similar devices
    • H04W92/18Interfaces between hierarchically similar devices between terminal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04L1/18Automatic repetition systems, e.g. Van Duuren systems
    • H04L1/1829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he receiver end
    • H04L1/1854Scheduling and prioritis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22Processing or transfer of terminal data, e.g. status or physical capabilit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출원의 실시예는 통신 방법, 장치 및 기기를 제공하며, 해당 방법은, 제1 단말기가 제1 시간대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제1 단말기가 상기 제1 시간대 내에 제2 단말기로 제1 리소스 세트를 발송하되, 상기 제1 리소스 세트는 상기 제2 단말기가 리소스를 선택하기 위한 것인 단계를 포함한다. 통신 간섭을 감소시킨다.

Description

통신 방법, 장치 및 기기
본 출원은 통신 기술 분야에 관한 것으로, 특히 통신 방법, 장치 및 기기에 관한 것이다.
본 출원은 2020년 09월 25일 출원한 출원번호가 PCT/CN2020/117868이고, 출원의 명칭이 "통신 방법, 장치 및 기기"인 특허 출원의 우선권을 주장하며, 그 전부 내용은 인용을 통해 본 출원에 결합된다.
기기 대 기기(device to device, D2D) 통신에서, 통신하는 두 기기는 모두 단말기이다.
단말기와 단말기가 통신을 수행하는 과정에, 단말기는 리소스 풀에서 리소스를 선택하고, 선택한 리소스를 기초로 데이터 전송을 수행할 수 있다. 하지만, 복수의 단말기의 리소스 풀 중의 리소스는 중첩될 수 있고, 이로부터 하나의 단말기가 선택한 리소스와 기타 단말기가 선택한 리소스는 동일하여, 리소스 충돌을 일으킴으로써 통신 간섭이 보다 클 수 있다.
본 출원의 실시예는 통신 방법, 장치 및 기기를 제공하여, 통신 간섭을 감소한다.
제1 측면에서, 본 출원의 실시예는 통신 방법을 제공하는 바,
제1 단말기가 제1 시간대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제1 단말기가 상기 제1 시간대 내에 제2 단말기로 제1 리소스 세트를 발송하되, 상기 제1 리소스 세트는 상기 제2 단말기가 리소스를 선택하기 위한 것인 단계를 포함한다.
제2 측면에서, 본 출원의 실시예는 통신 방법을 제공하는 바,
제2 단말기가 제1 시간대 내에 제1 단말기가 발송한 제1 리소스 세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2 단말기가 상기 제1 리소스 세트를 기초로 리소스를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3 측면에서, 본 출원의 실시예는 통신 장치를 제공하는 바, 처리모듈과 송신모듈을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처리모듈은 제1 시간대를 결정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송신모듈은 상기 제1 시간대 내에 제2 단말기로 제1 리소스 세트를 발송하되, 상기 제1 리소스 세트는 상기 제2 단말기가 리소스를 선택하기 위한 것이다.
제4 측면에서, 본 출원의 실시예는 통신 장치를 제공하는 바, 수신모듈과 처리모듈을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수신모듈은 제1 시간대 내에 제1 단말기가 발송한 제1 리소스 세트를 수신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처리모듈은 상기 제1 리소스 세트를 기초로 리소스를 선택하기 위한 것이이다.
제5 측면에서, 본 출원의 실시예는 단말기를 제공하는 바, 트랜시버, 프로세서, 메모리를 포함하며;
상기 메모리는 컴퓨터 실행 명령을 저장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컴퓨터 실행 명령을 실행하여, 상기 프로세서가 제1 측면의 어느 하나에 따른 통신 방법을 실행하도록 한다.
제6 측면에서, 본 출원의 실시예는 단말기를 제공하는 바, 트랜시버, 프로세서, 메모리를 포함하며;
상기 메모리는 컴퓨터 실행 명령을 저장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컴퓨터 실행 명령을 실행하여, 상기 프로세서가 제2 측면의 어느 하나에 따른 통신 방법을 실행하도록 한다.
제7 측면에서, 본 출원의 실시예는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매체를 제공하는 바,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매체에는 컴퓨터 실행 명령이 저장되어 있고, 상기 컴퓨터 실행 명령이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제1 측면의 어느 하나에 따른 통신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것이다.
제8 측면에서, 본 출원의 실시예는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매체를 제공하는 바,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매체에는 컴퓨터 실행 명령이 저장되어 있고, 상기 컴퓨터 실행 명령이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제2 측면의 어느 하나에 따른 통신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것이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 방법, 장치 및 기기는, 제1 단말기가 제1 시간대를 결정하고, 제1 시간대 내에 제2 단말기로 제1 리소스 세트를 발송하여, 제2 단말기가 적시에 제1 리소스 세트를 수신하고, 리소스를 선택할 때 해당 제1 리소스 세트를 참조할 수 있도록 하여, 제2 단말기와 기타 단말기 간에 리소스 충돌이 일어나는 확률을 줄이고, 리소스의 이용률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a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모노캐스트 전송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b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멀티캐스트 전송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c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멀티캐스트 전송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a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커버리지 상황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b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다른 네트워크 커버리지 상황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c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또 다른 네트워크 커버리지 상황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a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전송 시나리오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b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전송 시나리오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다른 통신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리소스 선택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또 다른 통신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9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또 다른 통신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0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시간 순서도이다.
도 11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다른 통신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2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또 다른 통신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3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다른 통신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4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 장치의 구조도이다.
도 15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다른 통신 장치의 구조도이다.
도 16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의 구조도이다.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우선 본 출원에 관련된 개념에 대해 설명한다.
단말기: 무선 송수신 기능을 구비한 기기이다. 단말기는 육상에 배치될 수 있는 바, 실내 또는 실외, 핸드헬드, 웨어러블 또는 차량용을 포함하며; 수면(예컨대, 선박 등)에 배치될 수도 있고; 공중(예컨대, 비행기, 풍선과 위성 상 등)에 배치될 수도 있다. 상기 단말기는 모바일폰(mobile phone), 태블릿 컴퓨터(Pad), 무선 송수신 기능을 구비한 컴퓨터, 가상 현실(virtual reality, VR) 단말기, 증강 현실(augmented reality, AR) 단말기, 산업 제어(industrial control) 중의 무선 단말기, 차량용 단말기, 자율 운전(self driving) 중의 무선 단말기, 원격 의료(remote medical) 중의 무선 단말기, 스마트 전력망(smart grid) 중의 무선 단말기, 운송 안전(transportation safety) 중의 무선 단말기, 스마트 시티(smart city) 중의 무선 단말기, 스마트 홈(smart home) 중의 무선 단말기, 웨어러블 단말기 등일 수 있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 관련되는 단말기는 단말, 사용자 기기(user equipment, UE), 접속 단말기, 차량용 단말, 산업 제어 단말, UE 유닛, UE 스테이션, 모바일 스테이션, 모바일 스테이지, 원격 스테이션, 원격 단말, 모바일 기기, UE 단말기, 무선 통신기기, UE 에이전트 또는 UE 장치 등으로 불리울 수도 있다. 단말기는 고정적인 것 또는 이동적인 것일 수도 있다.
네트워크 기기: 무선 송수신 기능을 구비한 기기이다. 롱 텀 에볼루션(long term evolution, LTE) 중의 에볼루션형 기지국(Evolutional Node B, eNB 또는 eNodeB), 뉴라디오 기술(new radio, NR) 중의 기지국(gNodeB 또는 gNB) 또는 송수신 포인트(transmission receiving point/transmission reception poin, TRP), 후속 에볼루션 시스템 중의 기지국, 와이파이(wireless fidelity, WiFi) 시스템 중의 액세스 노드, 무선 릴레이 노드, 무선 리턴 노드 등을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기지국은 매크로 기지국, 마이크로 기지국, 피코 기지국, 스몰 스테이션, 릴레이 스테이션, 또는, 밸룬 스테이션 등일 수 있다. 복수의 기지국은 상술한 동일한 기술의 네트워크를 지원할 수 있고, 상술한 서로 다른 기술의 네트워크를 지원할 수도 있다. 기지국은 하나 또는 복수의 협조 사이트(co-site) 또는 비협조 사이트의 TRP을 포함할 수 있다. 네트워크 기기는 클라우드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cloud radio access network, CRAN) 시나리오에서의 무선 제어기, 집중 유닛(centralized unit, CU), 및/또는 분포 유닛(distributed unit, DU)일 수도 있다. 네트워크 기기는 서버, 웨어러블 기기, 또는 차량용 기기 등일 수도 있다. 아래에서는 네트워크 기기가 기지국인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상기 복수의 네트워크 기기는 동일한 유형의 기지국일 수 있고, 서로 다른 유형의 기지국일 수도 있다. 기지국은 단말과 통신을 수행할 수 있고, 릴레이 스테이션을 통해 단말과 통신을 수행할 수도 있다. 단말은 서로 다른 기술의 복수의 기지국과 통신을 수행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단말은 LTE네트워크를 지원하는 기지국과 통신을 수행할 수 있고, 5G네트워크를 지원하는 기지국과 통신을 수행할 수 있고, LTE네트워크의 기지국 및 5G네트워크의 기지국과의 더블 연결을 지원할 수도 있고, 5G네트워크의 기지국과의 더블 연결 등을 지원할 수도 있다.
타임 유닛: 타임 도메인 리소스를 가리키는 것으로, 하나의 타임 유닛은 복수의 서브 타임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타임 유닛은 타임 슬롯일 수 있고, 서브 타임 유닛은 심볼일 수 있다. 또 예를 들어, 타임 유닛은 서브 프레임일 수 있고, 서브 타임 유닛은 타임 슬롯 또는 심볼일 수 있다. 설명의 편리를 위하여, 아래에서는 타임 유닛은 타임 슬롯이고, 서브 타임 유닛은 심볼인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사이드링크(sideline) 통신: 단말기와 단말기 간의 통신을 가리킨다. 단말기와 단말기 간의 링크는 사이드링크라고 지칭한다. 여기서, 사이드링크는 기기 대 기기(device-to-device, D2D) 링크, 변링크, 측링크 등으로 지칭할 수도 있으며, 본 출원의 실시예는 이에 대해 한정하지 않는다. 사이드링크의 채널은 물리적인 사이드링크 제어 채널(physical sidelink control channel, PSCCH), 물리적인 사이드링크 공유 채널(physical sidelink shared channel, PSSCH), 사이드링크 피드백 채널(physical sidelink feedback channel, PSFCH), 물리적인 사이드링크 방송 채널(physical sidelink broadcast channel, PSBCH)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사이드링크 리소스: 사이드링크 리소스는 PSSCH 리소스와 PSCCH 리소스를 포함할 수 있다. PSSCH는 데이터(data) 정보를 적재하기 위한 것으며, 즉, PSSCH 리소스는 데이터 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것이다. PSCCH는 사이드링크 제어 정보(sidelink control information, SCI)를 적재하기 위한 것이며, 즉, PSCCH 리소스는 SCI를 전송하기 위한 것이다. SCI 중의 정보는 SA(스케줄링 할당, scheduling assignment)로 지칭할 수 있고, SA는 데이터 스케줄링을 수행하기 위한 관련 정보를 가리키며, 예를 들어, SA는 PSSCH의 리소스 할당, 변조 인코딩 방식을 지시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PSSCH 리소스는 데이터 리소스(data 리소스)로 불리울 수도 있고, PSCCH 리소스는 SA 리소스로 불리울 수도 있다.
사이드링크 통신 과정에서, 단말기 간의 전송 방식은 모노캐스트 전송, 멀티캐스트 전송과 브로드캐스트 전송을 포함한다. 아래, 도 1a - 도 1c를 각각 결합하여 이 3 가지 전송 방식을 소개한다.
모노캐스트 전송: 모노캐스트 전송의 수신 단말은 일반적으로 하나이다. 아래 도 1a를 결합하여 모노캐스트 전송을 소개한다.
도 1a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모노캐스트 전송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a를 참조하면, 단말기(101)와 단말기(102)를 포함하고, 단말기(101)와 단말기(102) 간에 모노캐스트 전송을 수행한다. 단말기(102)는 단말기(101)가 발송한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고, 단말기(101)도 단말기(102)가 발송한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멀티캐스트 전송: 멀티캐스트 전송에서, 수신 기기는 하나의 통신 그룹 내의 모든 단말기일 수 있고, 송신 기기와의 사이의 거리가 기설정 거리보다 작은 단말기일 수도 있다. 아래 도 1b와 결합하여 모노캐스트 전송을 소개한다.
도 1b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멀티캐스트 전송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b를 참조하면, 단말기(101), 단말기(102), 단말기(103)와 단말기(104)를 포함한다. 해당 4개의 단말기는 하나의 통신 그룹을 구성할 수 있으며, 해당 통신 그룹 내의 단말기 간에는 멀티캐스트 전송을 수행한다. 단말기(102), 단말기(103)와 단말기(104)는 모두 단말기(101)가 발송한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브로드캐스트 전송: 브로드캐스트 전송에서, 수신 단말기는 송신 단말기 주위의 임의의 하나의 단말기일 수 있다. 아래, 도 1c를 결합하여 브로드캐스트 전송을 소개한다.
도 1c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멀티캐스트 전송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c를 참조하면, 단말기(101), 단말기(102), 단말기(103), 단말기(104)와 단말기(105)를 포함한다. 단말기(102), 단말기(103), 단말기(104)와 단말기(105)는 단말기(101) 부근에 위치한다. 단말기(102), 단말기(103), 단말기(104)와 단말기(105)는 단말기(101)가 방송한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NR 차량 대 기타 기기(vehicle to everything, V2X)에는 2 단계 SCI를 도입하는 바, 제1 단계 SCI는 PSCCH에 적재되어, PSSCH의 전송 리소스, 예약 리소스 정보, MCS 등급, 우선순위 등 정보를 지시하기 위한 것이다. 제2 단계 SCI는 PSSCH의 리소스에서 발송되고, PSSCH의 복조 참조 신호(demodulation reference signal, DMRS)를 사용하여 복조하며, 송신단 ID, 수신단 ID, 하이브리드 자동 재전송 요청(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HARQ) ID, 신규 전송 블록 인디케이터(NDI, new data indicator) 등 데이터 복조를 위한 정보를 지시하기 위한 것이다. 아래, 도 3을 결합하여, PSCCH와 PSSCH의 프레임 구조를 통해 2 단계 SCI에 대해 소개한다.
도 2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 구조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하나의 프레임 구조에 대응되는 시간 길이는 하나의 타임 슬롯일 수 있고, 해당 프레임 구조는 14개 심볼을 포함한다. 심볼(0)은 자동 게인 제어(automatic gain control, AGC)를 전송하기 위한 것이다. 심볼(1), 심볼(2)와 심볼(3)은 PSCCH를 전송하기 위한 것이다. 심볼(4)와 심볼(11)은 DMRS를 전송하기 위한 것이다. 제2 단계 SCI는 심볼(4), 심볼(5)과 심볼(6) 상에 매핑되고, 여기서, 제2 단계 SCI와 DMRS는 심볼(4) 상에서 주파수 분할 다중화하며, 제2 단계 SCI가 차지하는 리소스 크기는 제2 단계 SCI의 비트 수와 관련된다. 기타 심볼은 PSSCH를 전송하기 위한 것이다.
서로 다른 네트워크 커버리지 상황에서, 단말기가 사이드링크 리소스를 획득하는 방식도 서로 다를 수 있다. 설명의 편리를 위하여, 우선, 도 3a - 도 3c를 결합하여, 3가지 네트워크 커버리지 상황을 설명한다.
도 3a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커버리지 상황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a를 참조하면, 네트워크 기기(301), 단말기(302)와 단말기(303)를 포함한다. 단말기(302)와 단말기(303)는 모두 동일한 네트워크 기기의 커버리지 범위 내에 위치하고, 단말기(302)와 단말기(303) 간에는 사이트링크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단말기(302)와 단말기(303)는 모두 네트워크 기기로부터 구성 명령을 수신하고, 구성 명령에 기반하여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도 3b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다른 네트워크 커버리지 상황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b를 참조하면, 네트워크 기기(301), 단말기(302)와 단말기(303)를 포함한다. 단말기(302)는 네트워크 기기의 커버리지 범위 내에 위치하고, 단말기(303)는 네트워크 기기의 커버리지 범위 내에 위치하지 않으며, 단말기(302)와 단말기(303) 간에는 사이드링크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단말기(302)는 네트워크 기기로부터 구성 명령을 수신하여, 구성 명령에 기반하여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단말기(303)는 네트워크 기기의 구성 명령을 수신할 수 없고, 단말기(303)는 사전 구성(pre-configuration) 정보 및 네트워크 커버리지 범위 내에 위치한 단말기(예를 들어 단말기(302))가 발송한 PSBCH에 휴대된 정보를 기초로 사이드링크 구성을 확정하여, 사이드링크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도 3c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또 다른 네트워크 커버리지 상황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c를 참조하면, 단말기(302)와 단말기(303)를 포함한다. 단말기(302)와 단말기(303)는 모두 네트워크 기기의 커버리지 범위 밖에 위치하고, 단말기(302)와 단말기(303) 간에 사이드링크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단말기(302)와 단말기(303)는 사전 구성(pre-configuration) 정보를 기초로 사이드링크 구성을 확정하여, 사이드링크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상술한 네트워크 커버리지 상황에서, 아래에는 단말기의 두가지 리소스 획득 방식을 소개한다.
첫 번째 리소스 획득 방식: 네트워크 기기가 단말기에 리소스를 할당하고, 단말기는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할당된 리소스를 기초로 데이터 전송을 수행한다. 네트워크 기기는 단말기에 일회 전송을 위한 리소스를 할당할 수 있고, 단말기에 반정적 전송을 위한 리소스를 할당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도 3a를 참조하면, 단말기(302)와 단말기(303)는 네트워크 기기(301)에 의해 할당된 리소스를 통해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b를 참조하면, 단말기(302)는 네트워크 기기(301)에 의해 할당된 리소스를 통해 데이터 전송을 수행할 수 있다
두 번째 리소스 획득 방식: 단말기는 리소스 풀에서 리소스를 선택하여 데이터 전송을 수행한다. 해당 리소스 풀은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할당된 리소스 풀일 수 있고, 사전 구성된 리소스 풀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도 3a를 참조하면, 단말기(302)와 단말기(303)는 네트워크 기기(301)에 의해 할당된 리소스 풀에서 리소스를 선택하여 데이터 전송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b를 참조하면, 단말기(302)는 네트워크 기기(301)에 의해 할당된 리소스 풀에서 리소스를 선택하여 데이터 전송을 수행할 수 있고, 단말기(303)는 사전 구성된 리소스 풀에서 리소스를 선택하여 데이터 전송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c를 참조하면, 단말기(302)와 단말기(303)는 사전 구성된 리소스 풀에서 리소스를 선택하여 데이터 전송을 수행할 수 있다.
두 번째 리소스 획득 방식에서, 단말기가 리소스 풀에서 리소스를 랜덤으로 선택하면, 리소스 충돌이 나타날 확률이 보다 크고, 또는 리소스의 이용률이 보다 낮다. 단말기는 또한 기타 단말기의 예약 리소스(단말기가 미래 시간대에 사용할 가능성이 있는 리소스)를 리스닝할 수 있으며, 기타 기기가 어느 리소스를 예약한 것을 단말기가 리스닝하였으면, 단말기는 더 이상 해당 리소스를 사용하지 않는다. 하지만, 리스닝 결과를 기초로 선택한 리소스는 여전히 리소스 충돌이 일어나거나, 또는 리소스 이용률이 보다 낮을 수 있다. 단말기의 리스닝 과정은, 단말기가 기타 단말기에서 발송한 PSCCH를 수신하되, PSCCH는 기타 단말기가 예약한 리소스를 포함하고, 단말기는 수신된 PSCCH를 기초로 기타 단말기가 예약한 리소스를 확정한다. 예약한 리소스는 일반적으로 단말기가 미래 시간대에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는데 사용되는 리소스이다.
아래, 리스닝을 기초로 리소스를 선택하는 과정에 존재하는 문제에 대하여 설명한다.
첫 번째 경우:
단말기는 일반적으로 일정한 범위 내에서 리스닝을 수행하며, 거리가 보다 먼 단말기가 예약한 리소스를 리스닝할 수 없으므로, 해당 단말기는 거리가 보다 먼 기타 단말기와 동일한 리소스를 사용할 수 있으며, 이로부터 리소스 충돌을 일으킬 수 있다. 아래, 도 4a를 결합하여, 이러한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도 4a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전송 시나리오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a를 참조하면, 단말기 A, 단말기 B와 단말기 C를 포함한다. 단말기 B와 단말기 C의 거리는 보다 멀고, 단말기 A는 단말기 B와 단말기 C 사이에 위치한다. 리스닝 과정에서, 단말기 B와 단말기 C는 거리가 보다 멀기에, 단말기 B와 단말기 C는 상대방이 예약한 리소스를 획득할 수 없어, 단말기 B와 단말기 C는 동일한 리소스를 사용하여 단말기 A에 데이터(PSSCH)를 발송할 가능성이 있으며, 이로부터 단말기 B와 단말기 C 간의 간섭이 보다 클 수 있다.
두 번째 경우:
반 듀플렉스 제한으로, 단말기가 데이터를 발송함과 동시에 기타 단말기로부터의 데이터를 수신하지 못한다. 이때, 단말기가 발송하는 과정에, 기타 단말기의 예약 리소스를 리스닝하지 못하며, 리소스 충돌을 피하기 위하여, 단말기는 리소스를 선택할 때, 리스닝하지 못한 모든 가능한 리소스를 전부 배제하며, 이때, 단말기는 너무 많은 리소스를 배제하여, 부분 리소스가 충분하게 이용되지 못하게 함으로, 리소스 이용률이 보다 낮을 수 있다.
세 번째 경우:
기타 단말기가 어느 리소스를 예약한 것을 단말기가 리스닝한 후, 단말기는 더 이상 해당 리소스를 사용하지 않는다. 하지만, 두 단말기가 동일한 리소스를 사용하여 매우 멀리 떨어져 있는 두 단말기에 각각 데이터를 발송하면, 큰 간섭이 존재하지 않으며, 이러한 경우, 기타 단말기의 예약 리소스를 단말기가 사용하지 않으면, 리소스 이용률이 낮아지게 된다. 아래, 도 4b를 결합하여, 이러한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도 4b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전송 시나리오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b를 참조하면, 단말기 A, 단말기 B, 단말기 C와 단말기 D를 포함한다. 단말기 B와 단말기 C의 거리는 보다 가까우며, 단말기 A와 단말기 D의 거리는 보다 멀다. 이러한 경우, 단말기 B가 단말기 A에 데이터를 발송하는데 사용한 리소스와, 단말기 C가 단말기 D에 데이터를 발송하는데 사용한 리소스가 같더라도, 단말기 A와 단말기 D의 데이터를 수신하는 성공률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하지만, 단말기 B와 단말기 C는 상대방의 예약 리소스를 리스닝할 수 있으며, 만약 단말기 C가 예약한 어느 리소스를 단말기 B가 리스닝하였으면, 단말기 B는 더 이상 해당 리소스를 사용하여 단말기 A에 데이터를 발송하지 않지만, 만약 단말기 C가 예약한 해당 리소스가 단말기 D에 데이터를 발송하는 것이면, 리소스의 이용률이 보다 낮게 된다.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1 단말기는 적당한 시간대 내에 제2 단말기로 제1 리소스 세트를 발송할 수 있고, 제2 단말기가 적시에 제1 리소스 세트를 획득하여, 리소스를 선택할 때 해당 제1 리소스 세트를 참조하도록 함으로써, 제2 단말기와 기타 단말기 간에 리소스 충돌이 일어나는 확률을 낮추고 리소스 이용률을 향상시킬 수 있다.
아래,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해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방법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설명해야 할 바로는, 아래 몇개 구체적인 실시예는 독립적으로 존재할 수 있고, 서로 결합될 수도 있으며, 동일하거나 유사한 내용은 서로 다른 실시예에서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한다.
도 5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해당 방법은 아래의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S501, 제1 단말기가 제1 시간대를 결정한다.
제1 시간대는 제1 단말기가 제2 단말기로 제1 리소스 세트를 발송하는 시간대로서,제2 단말기가 적시에 제1 리소스 세트를 획득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제1 단말기는 제1 정보를 기초로 제1 시간대를 결정할 수 있다. 제1 정보는,
제1 단말기가 제2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요청 메시지; 또는,
제1 단말기의 리스닝 정보; 또는,
제1 단말기의 리소스 재선택 조작;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제1 정보가 요청 메시지일 때, 제1 시간대는 제1 기기가 요청 메시지를 수신한 후의 제1 시간 길이 내의 시간대일 수 있다. 즉, 제1 단말기가 제2 단말기에서 발송한 요청 메시지를 수신한 후, 제1 단말기는 제1 시간 길이 내에, 제2 단말기로 제1 리소스 세트를 발송한다. 요청 메시지는 제1 리소스 세트를 획득할 것을 요청하기 위한 것이거나; 또는, 요청 메시지는 타이머를 가동하거나 리셋할 것을 요청하기 위한 것이고, 타이머의 시간 길이는 제1 시간 길이이다.
제1 정보가 리스닝 정보일 때, 제1 단말기는 제1 시점에, 리스닝 정보를 기초로 제1 조건을 만족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으며, 그렇다면, 제1 시점 후의 제2 시간 길이 내의 시간대를 제1 시간대로 결정한다. 즉, 만약 제1 시점에, 제1 단말기가 리스닝 정보를 기초로 제1 조건을 만족하는 것으로 판단할 때, 단말기는 제2 기설정 시산 내에, 제2 단말기로 제1 리소스 세트를 발송한다. 후속 실시예에서 제1 조건에 대해 소개하며, 여기서는 중복 설명을 생략한다.
제1 정보가 리소스 재선택 조작일 때, 제1 시간대는 제1 단말기가 리소스 재선택 조작을 수행한 후 제3 시간 길이 내의 시간대이다. 즉, 제1 단말기가 리소스 재선택 조작을 수행 완료 후, 제1 단말기는 제3 시간 길이 내에 제2 단말기로 제1 리소스 세트를 발송한다.
S502, 제1 단말기가 제1 시간대 내에 제2 단말기로 제1 리소스 세트를 발송한다.
제1 단말기는 사이드링크(sidelink)를 통해 제2 단말기로 제1 리소스 세트를 발송할 수 있다.
서로 다른 상황에서, 제1 리소스 세트에 포함된 내용도 서로 다르다. 예를 들어, 제1 리소스 세트에는 제1 단말기의 예약 리소스, 제2 단말기의 예약 리소스 중에서 미래 시간대에 리소스 충돌이 일어날 수 있는 리소스 등이 포함될 수 있다. 후속 실시예에서 제1 리소스 세트에 대해 설명하며, 여기서는 중복 설명을 생략한다.
S503, 제2 단말기가 제1 리소스 세트를 기초로 리소스 선택을 수행한다.
제2 단말기는 예약 리소스를 구비하고, 제2 단말기는 수신된 제1 리소스 세트와 예약 리소스를 기초로 리소스 선택을 수행하고, 선택된 리소스를 기초로 정보 발송을 수행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제1 단말기는 제1 시간대를 결정하고, 제1 시간대 내에 제2 단말기로 제1 리소스 세트를 발송할 수 있으며, 이로부터 제2 단말기가 적시에 제1 리소스 세트를 수신하고, 리소스 선택 시 해당 제1 리소스 세트를 참조하여, 제2 단말기와 기타 단말기 간의 리소스 충돌이 일어나는 확률을 줄이고, 리소스의 이용률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제1 단말기는 제1 정보를 기초로 제1 시간대를 결정할 수 있다. 제1 정보가 서로 다를 때, 제1 단말기가 제1 시간대를 결정하는 과정은 서로 다르고, 제1 단말기가 제2 단말기에 발송하는 제1 리소스 세트도 다를 수 있다. 아래, 도 6 - 도 13에 도시된 실시예를 통해 설명한다.
도 6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다른 통신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해당 방법은 아래의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S601, 제2 단말기가 제1 단말기에 요청 메시지를 발송한다.
여기서, 요청 메시지는 제1 리소스 세트를 획득할 것을 제1 단말기에 요청하기 위한 것이다.
선택적으로, 제2 단말기가 리소스 재선택을 수행해야 할 때, 제2 단말기는 제1 단말기에 요청 메시지를 발송한다. 예를 들어, 제2 단말기의 서비스 주기가 변경되거나, 또는 제2 단말기의 일 서비스가 처리 완료 시, 제2 단말기는 제1 단말기에 요청 메시지를 발송할 수 있다.
요청 메시지의 적재 방식은 SCI를 통한 적재, 미디어 접속층 제어 유닛(medium access control cell, MAC CE)을 통한 적재, 사이드링크 무선 리소스 제어 (radio resource control, RRC) 메시지를 통한 적재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SCI를 통해 요청 메시지를 적재 시, SCI 중 기설정 필드의 값을 기설정 값으로 설정하여, 제2 단말기가 제1 단말기에 요청 메시지를 발송할 것을 지시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요청 메시지는 SCI일 수 있고, SCI 중 기설정 필드의 값은 기설정 값이다. 즉, 만약 제1 단말기가 SCI를 수신하고, SCI 중 기설정 필드의 값이 기설정 값이면, 제1 단말기는 요청 메시지를 수신한 것으로 확정한다. 예를 들어, 기설정 필드는 어느 특정 보류 비트일 수 있고, 기설정 값은 1일 수 있다. 해당 SCI는 PSCCH를 통해 적재(제1 단계 SCI)될 수 있고, PSSCH를 통해 적재(제2 단계 SCI)될 수도 있다.
MAC CE를 통해 요청 메시지를 적재 시, MAC CE는 최소 시간 오프셋 값과 최대 시간 오프셋 값을 포함하고, 최소 시간 오프셋 값과 최대 시간 오프셋 값은 서로 다르다. 다시 말하면, 요청 메시지는MAC CE일 수 있고, MAC CE에 포함된 최소 시간 오프셋 값과 최대 시간 오프셋 값은 서로 다르다. 즉, 만약 제1 단말기가 최소 시간 오프셋 값과 최대 시간 오프셋 값을 포함하는 MAC CE를 수신하고, 최소 시간 오프셋 값과 최대 시간 오프셋 값이 서로 다르면, 제1 단말기는 요청 메시지를 수신한 것으로 확정한다. 해당 MAC CE는 PSSCH를 통해 적재될 수 있다.
사이드링크 RRC 메시지는 PSSCH를 통해 사이드링크 RRC를 적재할 수 있다.
S602, 제1 단말기가 요청 메시지를 기초로, 제1 시간대를 결정한다.
제1 시간대는 제1 단말기가 요청 메시지를 수신한 후 제1 시간 길이 내의 시간대일 수 있다.
아래 두 가지 방식을 통해 제1 시간대를 표시할 수 있다.
첫 번째 방식: 제1 시간대는 [T_request+T_min, T_request+T_max]이다.
여기서, T_request는 제1 단말기가 요청 메시지를 수신한 시점일 수 있고, 또는, T_request는 제1 단말기가 요청 메시지를 수신한 시점이 위치한 타임 슬롯의 종료점 또는 시작점일 수 있다.
T_min과 T_max의 단위는 밀리초일 수 있고, T_min의 값은 0일 수 있다.
선택적으로, 요청 메시지에 T_min, T_max의 값을 휴대할 수 있고, 또는, T_min, T_max의 값은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구성, 사전 구성 또는 표준 정의될 수 있다.
두 번째 방식: 제1 시간대는 [n_request+n_min, n_request+n_max]이다.
여기서, n_request는 제1 단말기가 요청 메시지를 수신한 타임 슬롯이다.
n_min과 n_max는 물리적인 타임 슬롯의 수량, 또는 제2 단말기가 위치한 송신 리소스 풀 내의 타임 슬롯 수량, 또는 제1 단말기가 위치한 송신 리소스 풀 내의 타임 슬롯 수량일 수 있다. n_min의 값은 0일 수 있다. 요청 메시지가 SCI를 통해 적재될 때, n_max의 값은 2*T_R일 수 있으며, 여기서 T_R은 SCI에서 지시하는 리소스 예약 주기(resource reservation period) 도메인의 값을 표시한다.
선택적으로, 요청 메시지에 n_min과 n_max의 값을 휴대할 수 있고, 또는, n_min과 n_max의 값은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구성, 사전 구성 또는 표준 정의될 수 있다.
S603, 제1 단말기가 제1 시간대 내에 제2 단말기로 제1 리소스 세트를 발송한다.
선택적으로, 제1 리소스 세트는 제1 단말기의 예약 리소스를 포함할 수 있고; 또는, 제1 리소스 세트는 제1 단말기가 제2 단말기에 사용할 것을 추천하는 리소스를 포함할 수 있고; 또는, 제1 리소스 세트는 충돌 리소스를 포함할 수 있고, 충돌 리소스는 제2 단말기와 기타 단말기가 예약한 동일 리소스이다. 제1 단말기는 리스닝을 통해 제2 단말기에 사용할 것을 추천하는 리소스 또는 충돌 리소스를 확정할 수 있다. 충돌 리소스는 충격 리소스로 불리울 수도 있다.
설명해야 할 바로는, 제1 리소스 세트는 제1 리소스 세트가 제2 단말기의 리소스 선택을 보조하여 리소스 충돌 확률을 낮추거나 리소스 이용률을 향상시킬 수만 있다면, 기타일 수도 있다.
S604, 제2 단말기가 제1 리소스 세트를 기초로 리소스 선택을 수행한다.
만약 제2 단말기가 제2 시점에 제1 리소스 세트를 수신하면, 제2 단말기가 리소스 선택 시 리소스 선택창의 시작점은 제2 시점보다 이르지 않을 수 있으며, 제2 시점은 하나의 타임 슬롯의 시작 시점 또는 종료 시점일 수 있다.
선택적으로, 제1 리소스 세트에 제1 단말기가 제2 단말기에 사용할 것을 추천하는 리소스가 포함된다고 가정하면, 제2 단말기가 예약 리소스에서 리소스를 선택 시, 예약 리소스(리소스 선택창)와 제1 리소스 세트 중에서 타임 도메인이 중첩되는 리소스를 확정하고, 타임 도메인이 중첩되는 리소스 중에서 리소스 선택을 수행할 수 있다. 아래, 도 7을 결합하여 설명한다.
도 7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리소스 선택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제2 단말기가 수신한 제1 리소스 세트의 타임 도메인 범위는 t2 내지 t4이고, 제2 단말기의 리소스 선택창의 타임 도메인 범위는 t1 내지 t3이며, 이때 제1 리소스 세트와 리소스 선택창 내 리소스의 중첩 리소스는 t2 내지 t3 사이의 리소스이며, 이때 제2 단말기는 t2 내지 t3 사이의 리소스 상에서 리소스 선택을 수행할 수 있다. 해당 제1 리소스 세트는 제1 단말기가 리스닝 방식을 통해 확정하여 획득한 것이기에, 만약 제2 단말기가 해당 제1 리소스 세트 중의 리소스를 사용하면, 기타 단말기와 리소스 충돌이 일어날 확률이 보다 작고, 리소스 이용률은 보다 높다.
도 6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제2 단말기가 제1 단말기에 요청 메시지를 발송한 후, 제1 단말기는 제1 시간대를 결정하고, 제1 시간대 내에 제2 단말기로 제1 리소스 세트를 발송할 수 있으며, 이로부터 제2 단말기가 적시에 제1 리소스 세트를 수신하고, 리소스 선택 시 해당 제1 리소스 세트를 참조하도록 하여, 제2 단말기와 기타 단말기 간의 리소스 충돌이 일어나는 확률을 줄이고, 리소스 이용률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8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또 다른 통신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해당 방법은 아래의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S801, 제2 단말기가 제1 단말기에 요청 메시지를 발송한다.
여기서, 요청 메시지는 타이머를 가동하거나 리셋할 것을 요청하기 위한 것으로, 타이머의 시간 길이는 제1 시간 길이이다.
요청 메시지의 적재 방식은 SCI를 통한 적재, MAC CE를 통한 적재, 사이드링크 RRC를 통한 적재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SCI를 통해 요청 메시지를 적재할 때, SCI 중 기설정 필드의 값을 기설정 값으로 설정하여, 제2 단말기가 제1 단말기에 요청 메시지를 발송하도록 지시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요청 메시지는 SCI일 수 있고, SCI 중 기설정 필드의 값은 기설정 값이다. 즉, 만약 제1 단말기가 SCI를 수신하고, SCI 중 기설정 필드의 값이 기설정 값이면, 제1 단말기는 요청 메시지를 수신한 것으로 확정한다. 예를 들어, 기설정 필드는 어느 특정 보류 비트일 수 있으며, 기설정 값은 1일 수 있다.
PSSCH를 통해 SCI(제2 단계 SCI), MAC CE 또는 사이드링크 RRC 메시지를 적재할 수 있다.
S802, 제1 단말기가 요청 메시지를 기초로 타이머를 가동 또는 리셋한다.
제1 단말기가 타이머를 가동 또는 리셋한 후, 타이머는 카운팅을 시작한다.
S803, 타이머가 시간을 초과 시, 제1 단말기가 제1 시간대를 결정한다.
제1 시간대는 타이머가 시간 초과한 후의 제1 시간 길이 내의 시간대일 수 있다. 요청 메시지는 해당 제1 시간 길이를 포함할 수 있고, 또는, 제1 시간 길이는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구성, 사전 구성 또는 표준 정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타이머가 t0 시점에 시간 초과한다고 가정하면, 제1 시간대는 [t0, t0+t1]일 수 있고, 여기서, t1은 제1 시간 길이이다.
S804, 제1 단말기가 제1 시간대 내에 제2 단말기로 제1 리소스 세트를 발송한다.
S805, 제2 단말기가 제1 리소스 세트를 기초로 리소스 선택을 수행한다.
설명해야 할 바로는, S804 - S805의 실행 과정은 S603 - S604의 실행 과정을 참조할 수 있으며, 여기서는 중복 설명을 생략한다.
도 8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타이머가 시간 초과할 때, 제1 단말기는 제1 시간대를 결정할 수 있고, 제1 시간대 내에 제2 단말기로 제1 리소스 세트를 발송하여, 제2 단말기가 적시에 제1 리소스 세트를 수신하고, 리소스 선택을 수행할 때 해당 제1 리소스 세트를 참조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제2 단말기와 기타 단말기 간의 리소스 충돌이 일어나는 확률을 줄이고, 리소스의 이용률을 향상시킨다.
도 9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또 다른 통신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해당 방법은 아래의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S901, 제1 단말기가 리스닝 정보를 획득한다.
선택적으로, 리스닝 정보는 제1 단말기가 기타 단말기에서 발송하는 PSCCH에 대한 리스닝, 및 제1 단말기가 기타 단말기의 참조 정보 수신 파워에 대한 측정을 포함할 수 있다. PSCCH에는 기타 단말기의 예약 리소스를 포함할 수 있다.
S902, 제1 단말기가 제1 시점에 리스닝 정보를 기초로 제1 조건 만족을 확정한다.
여기서, 제1 조건은, 제2 리소스 세트 중의 하나 또는 복수의 리소스 상에서의 간섭이 제1 임계값 이상인 것이다. 상기 제2 리소스 세트는 제2 단말기가 제2 시간대 내에 위치한 예약 리소스이고, 제2 시간대는 제1 시간대 후에 위치한다.
제1 시점은 제1 조건 만족을 확정하는 시점일 수 있고, 또는, 제1 시점은 제1 조건 만족을 확정하는 시점이 위치한 타임 슬롯의 시작 시점 또는 종료 시점일 수 있다.
제1 단말기는 아래의 방식을 통해 제2 리소스 세트 중의 하나 또는 복수의 리소스 상에서의 간섭이 제1 임계값 이상인 것을 확정하여 얻을 수 있다. 즉, 제1 단말기는 기타 단말기가 발송한 PSCCH를 수신할 수 있고, PSCCH는 기타 단말기의 예약 리소스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단말기가 제4 단말기의 예약 리소스와 제2 단말기의 예약 리소스에 중첩이 존재함을 확정할 경우, 제1 단말기가 제4 단말기의 PSCCH-사이드링크 참조 신호 수신 파워(reference signal received power, RSRP) 또는 PSSCH-RSRP에 대해 측정할 수 있을 때, 만약 측정하여 얻은 PSCCH-RSRP 또는 PSSCH-RSRP가 제1 임계값 이상이면, 제2 리소스 세트 중의 하나 또는 복수의 리소스 상에서의 간섭이 제1 임계값 이상인 것으로 확정한다.
제1 임계값은,
제1 단말기의 능력; 또는,
제2 단말기가 데이터를 발송하는 우선순위 및 제4 단말기가 데이터를 발송하는 우선순위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확정하여 얻어지고, 여기서, 제4 단말기는 제2 시간대 내에서 제2 리소스 세트 내의 하나 또는 복수의 리소스 상에서 간섭이 발생하는 기기이다.
제1 단말기의 능력은, 제1 단말기가 PSCCH를 복조하는 능력과 제1 단말기가 PSSCH를 복조하는 능력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단말기가 PSCCH를 복조하는 신호 대 잡음비를 통해 제1 단말기가 PSCCH를 복조하는 능력을 표시할 수 있다. 제1 단말기가 PSSCH를 복조하는 신호 대 잡음비를 통해 제1 단말기가 PSSCH를 복조하는 능력을 표시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어느 하나의 PSCCH 리소스 상에서, 제1 단말기는 {1, 1, 1}, {1, {1,
Figure pct00001
}, {1,
Figure pct00002
} 이 3 개 PSCCH DMRS 마스크 시퀀스의 가설에 따라 3회의 PSCCH 복조를 수행한다.
만약 제2 단말기가 데이터를 발송하는 우선순위가 제4 단말기가 데이터를 발송하는 우선순위보다 크고, 제4 단말기도 제1 리소스 세트를 기초로 리소스를 선택하는 기능을 구비하면, 제1 임계값의 값은 양의 무한대로 클 수 있다. 만약 제2 단말기가 데이터를 발송하는 우선순위가 제4 단말기가 데이터를 발송하는 우선순위보다 작고, 제4 단말기가 제1 리소스 세트를 기초로 리소스를 선택하는 기능을 구비하지 않으면, 제1 단말기의 능력을 기초로 제1 임계값을 확정할 수 있다.
S903, 제1 단말기가 제1 시점 이후 제2 시간 길이 내의 시간대를 제1 시간대로 결정한다.
제2 시간 길이는 제2 단말기에 의해 구성, 또는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구성, 또는 사전 구성, 또는 표준 정의될 수 있다.
제2 시간 길이는 또한 제1 값과 제2 값 중의 최소값일 수 있다.
제1 값은 c-p-n이고, c는 제2 리소스 세트 내에서 간섭이 제1 임계값 이상인 첫 번째 리소스의 타임 도메인 위치이고, p는 제2 단말기가 상기 제1 리소스 세트를 수신해서부터 상기 제1 리소스 세트에 응답하기까지 필요한 최단 준비 시간 길이이고 , n은 제1 시점이다. 제1 리소스 세트에 응답하는 것은 제1 리소스 세트를 기초로 반응하는 것일 수 있고, 예를 들어, 제1 리소스 세트에 응답하는 것은 제1 리소스 세트를 기초로 리소스 선택을 수행하는 것일 수 있다.
제2 값은 제1 단말기가 제1 시점으로부터 제1 리소스 세트를 발송하기까지 허용하는 최대 지연이다. 선택적으로, p와 제2 데이터는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구성, 사전 구성 또는 표준 정의될 수 있다.
아래, 도 10을 결합하여, 제1 시간대에 대해 설명한다.
도 10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시간 순서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제1 단말기는 t1(단위는 타임 슬롯일 수 있다)에 제4 단말기가 t4 이후의 시간대에 제2 단말기에 보다 큰 간섭(제1 조건 만족)을 일으키는 것을 검출해 낸다. 제2 단말기의 제2 리소스 세트 중에서, 첫 번째 간섭이 제1 임계값 이상인 리소스의 타임 도메인 위치를 t4라고 가정하고, 제2 단말기의 최단 준비 시간 길이가 p인 것으로 가정하면, 제2 단말기는 늦어도 t3 시점에 제1 리소스 세트를 수신해야 하며, 그렇지 않을 경우, 제2 단말기는 제1 리소스 세트를 수신하더라도, 미처 제1 리소스 세트를 기초로 리소스 선택을 수행하지 못한다. 만약 제1 단말기가 t1 시점에 제1 조건 만족을 확정할 때, 제1 단말기는 제2 시간 길이 내(t1 내지 t2 사이)에 제2 단말기로 제1 리소스 세트를 발송해야 한다. 설명해야 할 바로는, 만약 t2가 t3 뒤에 있으면, 제1 단말기는 제2 단말기에 리소스 세트를 발송할 필요가 없다.
S904, 제1 단말기가 제1 시간대 내에 제2 단말기로 제1 리소스 세트를 발송한다.
선택적으로, 제1 리소스 세트는 제2 리소스 세트 내 간섭이 제1 임계값 이상인 하나 또는 복수의 리소스를 포함한다. 즉, 제1 리소스 세트는 제2 리소스 세트 내의 충돌 리소스를 포함한다.
S905, 제2 단말기가 제1 리소스 세트를 기초로 리소스 선택을 수행한다.
선택적으로, 제2 단말기는 리소스 선택을 수행할 때, 제2 리소스 세트에서 제1 리소스 세트 중의 리소스를 제거하고, 리소스 선택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제2 단말기가 충돌 리소스를 선택하는 것을 방지 할 수 있다.
도 9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제1 단말기가 제2 단말기의 제2 리소스 세트 중의 하나 또는 복수의 리소스 상의 간섭이 제1 임계값 이상인 것을 검출할 때, 제1 단말기는 제1 시간대를 결정하고, 제1 시간대 내에 제2 단말기로 제1 리소스 세트를 발송하여, 제2 단말기가 적시에 제1 리소스 세트를 수신하고, 리소스 선택을 수행할 때 해당 제1 리소스 세트를 참조할 수 있도록 할 수 있으며, 이로부터 제2 단말기와 기타 단말기 간의 리소스 충돌이 일어나는 확률을 낮추고, 리소스의 이용률을 향상시킨다.
도 11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다른 통신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해당 방법은 아래의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S1101, 제1 단말기가 리소스 재선택 조작을 수행한다.
리소스 재선택 조작은, 제1 단말기가 그 예약 리소스를 업데이트한 것을 가리킨다.
S1102, 제1 단말기가 리소스 재선택 조작을 수행한 후 제3 시간 길이 내의 시간대를 제1 시간대로 결정한다.
선택적으로, 제1 단말기는 제4 조건 만족을 확정하는 것을 확정할 때에만, 제1 시간대를 결정할 수 있다.
제4 조건은 아래의 조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조건 1, 제1 단말기가 리소스 재선택 조작을 수행 한 후의 예약 리소스 중 제2 단말기의 예약 리소스와 중첩되는 리소스가 존재.
조건 1에서, 제1 단말기가 리소스 재선택 조작을 수행한 후, 미래 시간대에, 제1 단말기와 제2 단말기는 리소스 충돌이 일어날 수 있다.
조건 2, 중첩 리소스와 현재 시점 사이의 시간 차이가 제4 임계값 이상.
중첩 리소스와 현재 시점 사이의 시간 차이가 제4 임계값보다 작으면, 제1 단말기가 제2 단말기에 제1 리소스 세트를 발송하는 방식을 통해 리소스 충돌을 방지할 수 없다는 것을 의미한다. 즉, 오직 제1 단말기가 제2 단말기로 제1 리소스 세트를 발송하는데 충분한 시간이 있고, 제2 단말기가 제1 리소스 세트를 기초로 반응(제1 리소스 세트를 기초로 리소스 선택을 수행)하는데 충분한 시간이 있을 때에만, 제1 단말기는 제1 시간대를 결정하고, 제1 시간대에 제2 단말기로 제1 리소스 세트를 발송한다.
조건 3, 제1 단말기가 데이터를 발송하는 우선순위가 제2 단말기가 데이터를 발송하는 우선순위보다 크다.
조건 4, 제1 단말기가 데이터를 발송하는 우선순위가 제5 임계값 이상이다.
조건 5, 제1 단말기가 리소스 선택 또는 리소스 재선택 조작을 수행한 후 선택한 리소스 중의 적어도 하나는 비연속 수신(discontinuous reception, DRX)의 활성화 시간대(active time) 내에 위치하고, 상기 DRX는 제1 단말기를 위하여 제1 단말기와 제2 단말기 간의 모노캐스트 링크에 대해 구성된 것이다.
여기서 DRX는 활성화 시간대와 비활성화 시간대를 포함하고, 만약 제1 단말기에 제1 단말기와 제2 단말기 간의 모노캐스트 링크에 대한 DRX가 구성되어 있으면, 제1 단말기는 DRX 활성화 시간 내에 제2 단말기로부터의 PSCCH 또는 PSSCH를 수신한다. 제1 기기는 기타 시간 내에는 제2 단말기로부터의 PSCCH 또는 PSSCH를 수신하는 것을 중지한다.
S1103, 제1 단말기가 제1 시간대 내에 제2 단말기로 제1 리소스 세트를 발송한다.
선택적으로, 제1 리소스 세트는 제1 단말기가 리소스 재선택을 수행한 후의 리소스를 포함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제1 리소스 세트는 충돌 리소스를 포함하고, 충돌 리소스는 제1 단말기의 예약 리소스(리소스 재선택 후의 예약 리소스)와 제2 단말기의 예약 리소스 중 중첩되는 리소스이다.
제1 단말기는 제2 단말기로 제1 리소스 세트를 발송할 때, 제2 단말기에도 지시 정보를 발송할 수 있으며, 해당 지시 정보는 제1 리소스 세트에 포함된 리소스의 유형을 지시하기 위한 것이다. 리소스의 유형은 제1 단말기의 예약 리소스, 충돌 리소스 등일 수 있다.
S1104, 제2 단말기가 제1 리소스 세트를 기초로 리소스 선택을 수행한다.
선택적으로, 제1 리소스 세트에 제1 단말기가 리소스 재선택 후의 리소스가 포함되면, 제2 단말기가 리소스 선택을 수행할 때, 제1 리소스 세트와 제2 리소스 세트(제2 단말기의 예약 리소스)를 기초로 충돌 리소스를 확정하고, 제2 리소스 세트에서 제1 리소스 세트 중의 리소스를 제거한 후, 리소스 선택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제2 단말기가 충돌 리소스를 선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제1 리소스 세트에 충돌 리소스가 포함되면, 제2 단말기는 제2 리소스 세트(제2 단말기의 예약 리소스)에서 제1 리소스 세트 중의 리소스를 제거한 후, 리소스 선택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제2 단말기가 충돌 리소스를 선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1 단말기는 제1 타임 도메인 리소스 상에서 제2 단말기로 제1 리소스 세트를 발송할 수 있으며, 제1 타임 도메인 리소스는 제1 단말기가 리소스 재선택 조작을 수행한 후의 예약 리소스 중의 첫 번째 리소스이다.
도 11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제1 단말기가 리소스 재선택을 수행한 후, 제1 단말기는 제1 시간대를 결정하고, 제1 시간대 내에 제2 단말기로 제1 리소스 세트를 발송하여, 제2 단말기가 적시에 제1 리소스 세트를 수신하고, 리소스 선택을 수행할 때 해당 제1 리소스 세트를 참조할 수 있도록 할 수 있으며, 제2 단말기와 기타 단말기 간에 리소스 충돌이 일어나는 확률을 감소하고, 리소스의 이용률을 향상시킨다.
도 12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또 다른 통신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해당 방법은 아래의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S1201, 제1 단말기가 리스닝 정보를 획득한다.
제1 단말기는 기타 단말기가 발송한 PSCCH를 수신하고, PSCCH를 기초로 미래 타임 유닛 내에서 어떠한 단말기들이 제1 단말기에 PSSCH를 발송하는지 확정할 수 있다.
S1202, 제1 단말기가 제1 시점에 리스닝 정보를 기초로 제1 조건 만족을 확정한다.
여기서, 제1 조건은 제1 단말기가 제1 타임 유닛 내에 M 개의 HARQ를 피드백해야 하는 PSSCH를 수신해야 한다. M은 제2 임계값보다 큰 정수이고, 제1 타임 유닛은 현재 시점 이후의 타임 유닛이고, M 개 PSSCH에는 제2 단말기로부터의 PSSCH가 존재한다.
HARQ를 피드백해야 하는 PSSCH는, 응답 메시지를 발송해야 하는 PSSCH를 가리킨다. 즉, 제1 단말기가 제2 단말기가 발송한 HARQ를 피드백해야 하는 PSSCH를 수신한 후, 제1 단말기는 제2 단말기에 해당 PSSCH에 대응되는 응답 메시지를 발송해야 한다. 예를 들어, 응답 메시지는 HARQ-ACK일 수 있다.
제1 단말기가 제1 타임 유닛 내에서 M 개의 HARQ를 피드백해야 하는 PSSCH를 수신하면, 제1 단말기는 제1 타임 유닛 다음의 기타 타임 유닛에서 M 개 응답 메시지를 발송해야 한다. 선택적으로, 제2 임계값은 제1 단말기가 하나의 타임 유닛 내에서의 최대 데이터 처리량이다.
S1203, 제1 단말기가 제1 시점 후의 제2 시간 길이 내의 시간대를 제1 시간대로 결정한다.
제2 시간 길이는 제2 단말기에 의해 구성되거나, 또는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구성되거나, 또는 사전 구성되거나, 또는 표준 정의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제1 단말기가 제2 조건 만족을 확정할 때, 제1 단말기가 제1 시점 후의 제2 시간 길이 내의 시간대를 제1 시간대로 결정한다.
선택적으로, 제2 조건은 아래 조건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조건1, 제1 타임 유닛과 현재 타임 유닛 사이의 시간 차이가 제3 임계값 이상인 것.
제1 타임 유닛과 현재 타임 유닛 사이의 시간 차이가 제3 임계값보다 작으면, 제1 단말기가 제2 단말기로 제1 리소스 세트를 발송하는 방식으로 리소스 충돌을 방지할 수 없음을 의미한다. 즉, 제1 타임 유닛이 도달한 후에야만, 제1 단말기는 제2 단말기로 제1 리소스 세트를 발송할 충분한 시간이 있고, 제2 단말기가 충분한 시간을 가지고 제1 리소스 세트를 기초로 반응(제1 리소스 세트를 기초로 리소스 선택을 수행)할 때에야만, 제1 단말기는 제1 시간대를 결정하고, 제1 시간대에서 제2 단말기로 제1 리소스 세트를 발송한다.
조건2, 제2 단말기가 데이터를 발송하는 우선순위가 제5 단말기가 데이터를 발송하는 우선순위보다 작고, M 개 PSSCH는 적어도 제2 단말기와 제5 단말기로부터 제공된다.
제1 단말기가 제1 타임 유닛 내에서 수신할 M 개 PSSCH는 M 개 단말기로부터 제공된 것이다. 제5 단말기는 해당 M 개 단말기 중에서 제2 단말기 이외의 기타 단말기일 수 있다. 즉, 해당 M 개 단말기 중에서, 제2 단말기의 우선순위는 가장 낮다.
조건3, 제2 단말기는 제1 리소스 세트를 기초로 리소스 선택을 수행하는 기능을 구비하고, 제5 단말기는 제1 리소스 세트를 기초로 리소스 선택을 수행하는 기능을 구비하지 않는다.
조건4, 제2 단말기와 제5 단말기 중에서, 제2 단말기의 제1 타임 유닛에서 데이터를 발송하는 우선순위가 가장 낮다.
S1204, 제1 단말기가 제1 시간대 내에 제2 단말기로 제1 리소스 세트를 발송한다.
선택적으로, 제1 리소스 세트는 제1 타임 유닛에서 제2 단말기가 예약한 리소스를 포함한다.
S1205, 제2 단말기가 제1 리소스 세트를 기초로 리소스 선택을 수행한다.
선택적으로, 제2 단말기는 제2 리소스 세트(제2 단말기의 예약 리소스)에서 제1 리소스 세트 중의 리소스를 삭제한 후, 리소스 선택을 수행할 수 있으며, 이때, 제2 단말기가 제1 타임 유닛에서 제1 단말기로 HARQ를 피드백해야 하는 PSSCH를 발송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이로부터 제1 단말기가 제1 타임 유닛에서 너무 많은 HARQ를 피드백해야 하는 PSSCH를 수신하는 것을 방지한다.
도 12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제1 단말기가 자신이 매래의 제1 타임 유닛 내에 M 개의 HARQ를 피드백해야 하는 PSSCH를 수신해야 하는 것을 확정할 때, 제1 단말기는 제1 시간대를 결정할 수 있고, 제1 시간대 내에서 제2 단말기로 제1 리소스 세트를 발송하여, 제2 단말기가 적시에 제1 리소스 세트를 수신하도록 할 수 있으며, 제1 타임 유닛에서 제1 단말기에 HARQ를 피드백해야 하는 PSSCH를 발송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제1 단말기가 제1 타임 유닛 내에서 너무 많은 HARQ를 피드백해야 하는 PSSCH를 수신하는 것을 방지하고, 제1 단말기에 오버로드 상황이 나타나는 것을 방지한다.
도 13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다른 통신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해당 방법은 아래의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S1301, 제1 단말기가 리스닝 정보를 획득한다.
제1 단말기는 기타 단말기의 PSCCH를 리스닝함으로써, 기타 단말기의 미래의 타임 유닛 내 PSSCH의 발송 상황을 확정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제1 단말기는 기타 단말기의 PSCCH를 기초로 기타 단말기의 미래의 어느 타임 유닛에서 어느 단말기에 PSSCH를 발송하는지 확정할 수 있다.
S1302, 제1 단말기가 제1 시점에 리스닝 정보를 기초로 제1 조건 만족을 확정한다.
여기서, 제1 조건은, 제2 타임 유닛에서, 제2 단말기가 제3 단말기에 PSSCH를 발송해야 하는 것, 및 제3 단말기도 제2 단말기에 PSSCH를 발송해야 하는 것이고, 제2 타임 유닛은 현재 시점 다음의 타임 유닛이다. 즉, 매래의 제2 타임 유닛 내에서, 제2 단말기와 제3 단말기 간에 서로 PSSCH를 발송해야 한다. 반 듀플렉스의 제한으로, 단말기는 데이터를 발송함과 동시에 데이터를 수신할 수 없고, 따라서, 제2 단말기와 제3 단말기가 동시에 제2 타임 유닛 내에서 데이터를 발송하면, 제2 단말기와 제3 단말기가 데이터 수신에 실패할 수 있다.
제1 단말기는 아래의 방식으로 제1 조건을 만족하는지 판단할 수 있다. 제3 단말기가 발송한 PSSCH에서 지시한 타겟 ID의 8 비트(최저 유효 비트) LSB와 제2 단말기가 발송한 PSSCH에서 지시한 소스 ID가 동일한 것. 그리고, 제2 단말기가 발송한 PSSCH에서 지시한 타겟 ID의 8 비트(최저 유효 비트) LSB와 제3 단말기가 발송한 PSSCH에서 지시한 소스 ID가 동일한 것.
S1303, 제1 단말기가 제1 시점 후의 제2 시간 길이 내의 시간대를 제1 시간대로 결정한다.
선택적으로, 제1 단말기는 제3 조건이 만족함을 확정할 때, 제1 시점 후의 제2 시간 길이 내의 시간대를 제1 시간대로 결정할 수 있다.
제3 조건은 아래의 조건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제2 단말기가 데이터를 발송하는 우선순위가 제3 단말기가 데이터를 발송하는 우선순위보다 낮은 것; 또는,
제2 단말기가 제1 리소스 세트를 기초로 리소스 선택을 수행하는 기능을 구비한 것.
S1304, 제1 단말기가 제1 시간대 내에 제2 단말로 제1 리소스 세트를 발송한다.
선택적으로, 제1 리소스 세트는 제2 타임 유닛 내에 제2 단말기가 예약한 리소스를 포함한다.
S1305, 제2 단말기가 제1 리소스 세트를 기초로 리소스 선택을 수행한다.
선택적으로, 제2 단말기가 리소스 선택을 수행할 때, 제2 리소스 세트에서 제1 리소스 세트 중의 리소스를 제거한 후, 리소스 선택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제2 단말기가 제2 타임 유닛 내에서 제3 단말기로 PSSCH를 발송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제2 단말기와 제3 단말기의 데이터 수신 실폐를 방지할 수 있다.
도 13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제1 단말기가 매래의 제2 타임 유닛 내에서, 제2 단말기와 제3 단말기의 상호 데이터 전송을 검출할 때, 제1 단말기는 제1 시간대를 결정할 수 있고, 제1 시간대 내에서 제2 단말기로 제1 리소스 세트를 발송하여, 제2 단말기가 제1 리소스 세트를 수신한 후, 제2 타임 유닛에서 제3 단말기로 PSSCH를 발송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고, 제2 단말기와 제3 단말기의 데이터 수신 실폐를 방지하고, 데이터 전송의 성공률을 향상시킨다.
도 14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 장치의 구조도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해당 통신 장치(10)는 처리모듈(11)과 송신모듈(12)을 포함할 수 있으며, 여기서,
상기 처리모듈(11)은 제1 시간대를 결정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송신모듈(12)은 상기 제1 시간대 내에서 제2 단말기로 제1 리소스 세트를 발송하되, 상기 제1 리소스 세트는 상기 제2 단말기가 리소스를 선택하기 위한 것이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 장치는 상술한 방법 실시예에 따른 기술방안을 실행할 수 있고, 구현 원리와 유익한 효과는 유사하기에, 여기서는 중복 설명을 생략한다.
가능한 일 구현 방식에서, 상기 처리모듈(11)은 구체적으로, 제1 정보를 기초로, 상기 제1 시간대를 결정하되, 여기서, 상기 제1 정보는,
제1 단말기가 상기 제2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요청 메시지; 또는,
상기 제1 단말기의 리스닝 정보; 또는,
상기 제1 단말기의 리소스 재선택 조작;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가능한 일 구현 방식에서, 상기 제1 정보는 상기 요청 메시지이고;
상기 제1 시간대는 상기 제1 단말기가 상기 요청 메시지를 수신한 후의 제1 시간 길이 내의 시간대이다.
가능한 일 구현 방식에서, 상기 요청 메시지의 적재 방식은,
사이드링크 제어 정보(SCI)를 통한 적재, 미디어 접속층 제어 유닛(MAC CE)를 통한 적재, 사이드링크 무선 리소스 제어(RRC)를 통한 적재;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가능한 일 구현 방식에서, 상기 SCI 중 기설정 필드의 값은 기설정 값이다.
가능한 일 구현 방식에서, 상기 MAC CE는 최소값 시간 오프셋 값과 최대 시간 오프셋 값을 포함하고, 상기 최소 시간 오프셋 값과 상기 최대 시간 오프셋 값은 서로 다르며, 상기 최소 시간 오프셋 값과 상기 최대 시간 오프셋 값은 상기 제1 단말기가 상기 제1 시간대를 결정하는데 사용된다.
가능한 일 구현 방식에서, 특징으로는,
상기 요청 메시지는 상기 제1 리소스 세트를 획득할 것을 요청하기 위한 것; 또는,
상기 요청 메시지는 타이머를 가동하거나 리셋할 것을 요청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타이머의 시간 길이는 제1 시간 길이이다.
가능한 일 구현 방식에서, 상기 제1 정보는 상기 리스닝 정보이고; 상기 처리모듈(11)은 구체적으로,
제1 시점에서, 상기 리스닝 정보를 기초로 제1 조건 만족을 확정하고;
상기 제1 시점 후의 제2 시간 길이 내의 시간대를 상기 제1 시간대로 결정한다.
가능한 일 구현 방식에서, 상기 제1 조건은,
제2 시간대 내에서, 제2 리소스 세트 중의 하나 또는 복수의 리소스 상의 간섭이 제1 임계값 이상인 것, 상기 제2 리소스 세트는 상기 제2 단말기가 제2 시간대 내에 위치한 예약 리소스이고, 상기 제2 시간대는 상기 제1 시간대 후에 있는 것; 또는,
상기 제1 단말기가 제1 타임 유닛 내에 M 개의 HARQ를 피드백해야 하는 사이드링크 데이터 채널 PSSCH을 수신해야 하고, 상기 M은 제2 임계값 보다 큰 정수이고, 상기 제1 타임 유닛은 현재 시점 다음의 타임 유닛이고, 상기 M 개 PSSCH에는 상기 제2 단말기로부터의 PSSCH가 존재하는 것; 또는,
제2 타임 유닛에서, 상기 제2 단말기가 제3 단말기로 PSSCH를 발송해야 하고, 상기 제3 단말기가 상기 제2 단말기로 PSSCH를 발송해야 하고, 상기 제2 타임 유닛은 현재 시점 다음의 타임 유닛인 것;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가능한 일 구현 방식에서, 상기 제1 조건은 제2 시간대 내에서, 제2 리소스 세트 내의 하나 또는 복수의 리소스 상에서의 간섭이 제1 임계값 이상인 것이고;
상기 제1 리소스 세트는 상기 제2 리소스 세트 내에서 간섭이 상기 제1 임계값 보다 크거나 같은 하나 또는 복수의 리소스를 포함한다.
가능한 일 구현 방식에서, 상기 제1 임계값은,
상기 제1 단말기의 능력; 또는,
상기 제2 단말기가 데이터를 발송하는 우선순위, 제4 단말기가 데이터를 발송하는 우선순위 중 적어도 하나를 기초로 확정하여 획득되며, 상기 제4 단말기는 상기 제2 시간대 내에 상기 제2 리소스 세트 내의 하나 또는 복수의 리소스 상에서 간섭이 발생하는 기기이다.
가능한 일 구현 방식에서, 상기 제2 시간 길이는 제1 값와 제2 값 중의 최소값이고;
상기 제1 값은 c-p-n이며, 여기서, 상기 c는 상기 제2 리소스 세트 내에서 첫 번째 간섭이 상기 제1 임계값 이상인 리소스의 타임 도메인 위치이고, 상기 p는 상기 제2 단말기의 최단 준비 시간 길이이고, 상기 n은 상기 제1 시점이며;
상기 제2 값은 상기 제1 단말기가 상기 제1 시점으로부터 상기 제1 리소스 세트를 발송하기까지 허용하는 최대 지연이다.
가능한 일 구현 방식에서, 상기 제1 조건은 상기 제1 단말기가 제1 타임 유닛 내에서 M 개의 HARQ를 피드백해야 하는 사이드링크 데이터 채널 PSSCH를 수신해야 하는 것이고;
상기 제1 리소스 세트는 상기 제1 타임 유닛 내에서 제2 단말기가 예약한 리소스를 포함한다.
가능한 일 구현 방식에서, 상기 처리모듈(11)은 구체적으로,
제2 조건 만족을 확정할 때, 상기 제1 시점 후의 제2 시간 길이 내의 시간대를 상기 제1 시간대로 결정한다.
가능한 일 구현 방식에서, 상기 제2 조건은,
상기 제1 타임 유닛과 현재 타임 유닛 사이의 시간 차이가 제3 임계값 이상인 것; 또는,
상기 제2 단말기가 데이터를 발송하는 우선순위가 제5 단말기가 데이터를 발송하는 우선순위보다 작으며, 상기 M 개 PSSCH가 적어도 상기 제2 단말기와 상기 제5 단말기로부터 제공되는 것; 또는,
상기 제2 단말기는 상기 제1 리소스 세트를 기초로 리소스 선택을 수행하는 기능을 구비하고, 상기 제5 단말기는 상기 제1 리소스 세트를 기초로 리소스 선택을 수행하는 기능을 구비하지 않는 것; 또는,
상기 제2 단말기와 상기 제5 단말기 중에서, 상기 제2 단말기가 상기 제1 타임 유닛에서 데이터를 발송하는 우선순위는 가장 낮은 것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가능한 일 구현 방식에서, 상기 제1 조건은 제2 타임 유닛에서, 상기 제2 단말기는 제3 단말기로 발송하는 데이터가 있고, 상기 제3 단말기는 상기 제2 단말기로 발송하는 데이터가 있는 것이고;
상기 제1 리소스 세트는 상기 제2 타임 유닛 내에서 제2 단말가 예약한 리소스를 포함한다.
가능한 일 구현 방식에서, 상기 처리모듈(11)은 구체적으로,
제3 조건 만족을 확정할 때, 상기 제1 시점 후의 제2 시간 길이 내의 시간대를 상기 제1 시간대로 결정한다.
가능한 일 구현 방식에서, 상기 제3 조건은,
상기 제2 단말기가 데이터를 발송하는 우선순위가 상기 제3 단말기가 데이터를 발송하는 우선순위보다 작은 것; 또는,
상기 제2 단말기가 상기 제1 리소스 세트를 기초로 리소스 선택을 수행하는 기능을 구비하는 것;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가능한 일 구현 방식에서, 상기 제1 정보는 상기 리소스 재선택 조작이고;
상기 제1 시간대는 상기 제1 단말기가 리소스 재선택 조작을 수행한 후의 제3 시간 길이 내의 시간대이다.
가능한 일 구현 방식에서, 상기 송신모듈(12)은 구체적으로,
상기 제1 단말기가 제4 조건 만족을 확정할 때, 상기 제1 시간대 내에서 제2 단말기로 제1 리소스 세트를 발송한다.
가능한 일 구현 방식에서, 상기 제4 조건은,
상기 제1 단말기가 리소스 재선택 조작을 수행 후의 예약 리소스 중에 상기 제2 단말기의 예약 리소스와 중첩되는 리소스가 존재하는 것; 또는,
상기 중첩 리소스와 현재 시점 간의 시간 차이가 제4 임계값 이상인 것; 또는,
상기 제1 단말기가 데이터를 발송하는 우선순위가 상기 제2 단말기가 데이터를 발송하는 우선순위보다 큰 것; 또는,
상기 제1 단말기가 데이터를 발송하는 우선순위가 제5 임계값 이상인 것; 또는,
상기 제1 단말기가 리소스 선택 또는 리소스 재선택 조작을 수행한 후 선택한 리소스 중의 적어도 하나가 불연속 수신(DRX)의 활성화 시간대 내에 위치하는 것, 상기 DRX는 제1 단말기를 위하여상기 제1 단말기와 상기 제2 단말기 간의 모노캐스트 링크를 위해 구성한 것;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가능한 일 구현 방식에서, 상기 송신모듈(12)은 구체적으로,
상기 제1 단말기가 제1 타임 도메인 리소스 상에서 상기 제2 단말기로 상기 제1 리소스 세트를 발송하되, 상기 제1 타임 도메인 리소스는 상기 제1 단말기가 리소스 재선택 조작을 수행한 후의 예약 리소스 중의 첫 번째 리소스이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 장치는 상술한 방법 실시예에 따른 기술방안을 실행할 수 있고, 구현 원리와 유익한 효과는 유사하기에, 여기서는 중복 설명을 생략한다.
도 15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다른 통신 장치의 구조도이다. 도 15를 참조하면, 해당 통신 장치(20)는 수신모듈(21)과 처리모듈(22)을 포함할 수 있고, 여기서,
상기 수신모듈(21)은 제1 시간대 내에 제1 단말기가 발송한 제1 리소스 세트를 수신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처리모듈(22)은 상기 제1 리소스 세트를 기초로 리소스 선택을 수행하기 위한 것이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 장치는 상술한 방법 실시예에 따른 기술방안을 실행할 수 있으며, 구현 원리와 유익한 효과는 유사하기에, 여기서는 중복 설명을 생략한다.
가능한 일 구현 방식에서, 상기 제1 시간대는 제1 단말기가 제1 정보를 기초로 확정하여 얻은 것이며, 상기 제1 정보는,
상기 제1 단말기가 상기 제2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요청 메시지; 또는,
상기 제1 단말기의 리스닝 정보; 또는,
상기 제1 단말기의 리소스 재선택 조작;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 장치는 상술한 방법 실시예에 따른 기술방안을 실행할 수 있으며, 구현 원리와 유익한 효과는 유사하기에, 여기서는 중복 설명을 생략한다.
도 16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의 구조도이다. 도 16을 참조하면, 단말기(30)는 트랜시버(31), 메모리(32), 프로세서(33)를 포함할 수 있다. 트랜시버(31)는 트랜스미터 및/또는 리시버를 포함할 수 있다. 해당 트랜스미터는 송신기, 발사기, 송신포트 또는 송신 인터페이스 등 유사한 명칭으로 불리울 수도 있고, 리시버는 수신기, 수신 머신, 수신포트 또는 수신 인터페이스 등 유사한 명칭으로 불리울 수도 있다. 예시적으로, 트랜시버(31), 메모리(32), 프로세서(33) 각 부재 사이는 버스(34)를 통해 서로 연결된다.
메모리(32)는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기 위한 것이고;
프로세서(33)는 해당 메모리에 저장된 프로그램 명령을 실행하여, 단말기(30)가 상술한 어느 하나에 따른 통신 방법을 실행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여기서, 트랜시버(31)의 수신기는, 상술한 통신 방법 중 단말기의 수신 기능과 송신 기능을 실행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본 출원의 실시예는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매체를 제공하는 바,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매체에는 컴퓨터 실행 명령이 저장되어 있고, 상기 컴퓨터 실행 명령이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상술한 통신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것이다.
본 출원의 실시예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을 더 제공할 수 있는 바, 해당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수 있고,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이 실행될 때, 상술한 어느 하나에 따른 단말기에 의해 실행되는 통신 방법을 구현할 수 있다.
본 출원의 실시예의 단말기,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매체 및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상술한 단말기에 의해 실행되는 통신 방법을 실행할 수 있고, 구체적인 구현 과정 및 유익한 효과는 상기한 바를 참조하고, 여기서 중복 설명을 생략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의 네트워크 기기,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매체 및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상술한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실행되는 통신 방법을 실행할 수 있고, 구체적인 구현 과정 및 유익한 효과는 상기한 바를 참조하고, 여기서 중복 설명을 생략한다.
상술한 각 방법 실시예를 구현하는 전부 또는 부분 단계는 프로그램 명령과 관련된 하드웨어에 의해 완성될 수 있다. 전술한 프로그램은 하나의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될 수 있다. 해당 프로그램이 실행될 때, 상술한 각 방법 실시예를 포함하는 단계를 실행하고; 전술한 메모리(저장매체)는, 판독 전용 메모리(영문: read-only memory, 약칭: ROM), RAM, 플래시 메모리, 하드디스크, 솔리드 스테이트 하드디스크, 자기테이프(영문: magnetic tape), 플로피디스크(영문: floppy disk), 광디스크(영문: optical disc) 및 이들의 임의의 조합을 포함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는 본 출원의 실시예의 방법, 기기(시스템)과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의 흐름도 및/또는 블록도에 따라 설명한 것이다.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에 의해 흐름도 및/또는 블록도 중의 각각의 프로세스 및/또는 블록, 및 흐름도 및/또는 블록도 중의 프로세스 및/또는 블록의 결합을 구현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이러한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을 범용 컴퓨터, 전용 컴퓨터, 임베디트 처리기 또는 프로그램 가능 데이터 처리 기기의 처리유닛에 제공하여 하나의 머신을 생성하여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 데이터 처리 기기의 처리유닛으로 실행되는 명령이 흐름도의 하나의 프로세스 또는 복수의 프로세스 및/또는 블록도의 하나의 블록 또는 복수의 블록 중에서 지정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한 장치를 생성하도록 한다.
이러한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은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 데이터 처리 기기가 특정 방식으로 동작하도록 가이드할 수 있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되어 해당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된 명령이 명령 장치를 포함하는 제조품을 생성하도록 할 수도 있으며, 해당 명령 장치는 흐름도의 하나의 프로세스 또는 복수의 프로세스 및/또는 블록도의 하나의 블록 또는 복수의 블록 중의 지정한 기능을 구현한다.
이러한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은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 데이터 처리 기기에 적재되어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 기기에서 일련의 조작 단계를 실행하여 컴퓨터가 구현하는 처리를 생성하도록 할 수 있으며, 이로부터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 기기에서 실행되는 명령이 흐름도의 하나의 프로세스 또는 복수의 프로세스 및/또는 블록도의 하나의 블록 또는 복수의 블록에서 지정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한 단계를 제공한다.
당해 기술자가 본 출원의 정신과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본 출원의 실시예에 대해 다양한 변경과 변형을 수행할 수 있다는 것은 분명하다. 이렇게 본 출원의 실시예의 이러한 수정 및 변형이 본 출원의 청구 범위 및 이와 동등한 기술 범위 내에 속하면, 본 출원은 이러한 변경 및 변형을 포함하고자 한다.
본 출원에서, 용어 "포함" 및 이의 변형은, 비배타적인 포함을 커버하기 위한 것이고; 용어 "또는" 및 이의 변형은 "및/또는"을 가리킬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용어 "제1", "제2" 등은 유사한 대상을 구분하기 위한 것으로서, 특정 순서 또는 선후 순서를 기재할 필요는 없다. 본 출원에서, "복수"는 둘 또는 둘 이상을 가리킨다. "및/또는"은, 관련 대상의 관련 관계를 설명하는 바, 세가지 관계가 존재할 수 있음을 나타내는데, 예를 들어 A 및/또는 B는, A가 단독으로 존재, A 및 B가 동시에 존재, B가 단독으로 존재하는 등의 세가지 경우를 나타낼 수 있다. 부호 "/"는 일반적으로 앞뒤 관련 대상이"또는"의 관계임을 나타낸다.

Claims (51)

  1. 제1 단말기가 제1 시간대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제1 단말기가 상기 제1 시간대 내에 제2 단말기로 제1 리소스 세트를 발송하되, 상기 제1 리소스 세트는 상기 제2 단말기가 리소스를 선택하기 위한 것인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제1 단말기가 제1 시간대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단말기가 제1 정보를 기초로 상기 제1 시간대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제1 정보는,
    상기 제1 단말기가 상기 제2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요청 메시지; 또는,
    상기 제1 단말기의 리스닝 정보; 또는,
    상기 제1 단말기의 리소스 재선택 조작;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정보는 상기 요청 메시지이고;
    상기 제1 시간대는 상기 제1 단말기가 상기 요청 메시지를 수신한 후의 제1 시간 길이 내의 시간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요청 메시지의 적재 방식은,
    사이드링크 제어 정보(SCI)를 통한 적재, 미디어 접속층 제어 유닛(MAC CE)을 통한 적재, 사이드링크 무선 리소스 제어(RRC)를 통한 적재;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SCI 중 기설정 필드의 값은 기설정 값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MAC CE는 최소값 시간 오프셋 값과 최대 시간 오프셋 값을 포함하고, 상기 최소 시간 오프셋 값과 상기 최대 시간 오프셋 값은 서로 다르고, 상기 최소 시간 오프셋 값과 상기 최대 시간 오프셋 값은 상기 제1 단말기가 상기 제1 시간대를 결정하기 위한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제3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요청 메시지는 상기 제1 리소스 세트를 획득할 것을 요청하기 위한 것; 또는,
    상기 요청 메시지는 타이머를 가동하거나 리셋할 것을 요청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타이머의 시간 길이는 제1 시간 길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정보는 상기 리스닝 정보이고; 상기 제1 단말기가 상기 제1 시간대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단말기가 제1 시점에서 상기 리스닝 정보를 기초로 제1 조건 만족을 확정하는 단계;
    상기 제1 단말기가 상기 제1 시점 후의 제2 시간 길이 내의 시간대를 상기 제1 시간대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조건은,
    제2 시간대 내에서, 제2 리소스 세트 중의 하나 또는 복수의 리소스 상의 간섭이 제1 임계값 이상이고, 상기 제2 리소스 세트는 상기 제2 단말기가 제2 시간대 내에 위치한 예약 리소스이고, 상기 제2 시간대는 상기 제1 시간대 후에 위치하는 것; 또는,
    상기 제1 단말기가 제1 타임 유닛 내에 M 개 하이브리드 자동 재전송 요청 정보(HARQ)를 피드백해야 하는 사이드링크 데이터 채널(PSSCH)를 수신해야 하고, 상기 M은 제2 임계값보다 큰 정수이고, 상기 제1 타임 유닛은 현재 시점 다음의 타임 유닛이고, 상기 M 개 PSSCH에는 상기 제2 단말기로부터 제공되는 PSSCH가 존재하는 것; 또는,
    제2 타임 유닛에서, 상기 제2 단말기가 제3 단말기로 PSSCH를 발송해야 하고, 및 상기 제3 단말기가 상기 제2 단말기로 PSSCH를 발송해야 하며, 상기 제2 타임 유닛은 현재 시점 다음의 타임 유닛인 것;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조건은 제2 시간대 내에서, 제2 리소스 세트 내의 하나 또는 복수의 리소스 상의 간섭이 제1 임계값 이상인 것이고;
    상기 제1 리소스 세트는 상기 제2 리소스 세트 내에서 간섭이 상기 제1 임계값 이상인 하나 또는 복수의 리소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임계값은,
    상기 제1 단말기의 능력; 또는,
    상기 제2 단말기가 데이터를 발송하는 우선순위, 제4 단말기가 데이터를 발송하는 우선순위; 중 적어도 하나를 기초로 확정하여 얻어지고, 상기 제4 단말기는 상기 제2 시간대 내에 상기 제2 리소스 세트 내의 하나 또는 복수의 리소스 상에서 간섭이 발생하는 기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2. 제10항 또는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시간 길이는 제1 값과 제2 값 중의 최소값이고;
    상기 제1 값은 c-p-n이고, 여기서, 상기 c는 상기 제2 리소스 세트 내에서 첫 번째 간섭이 상기 제1 임계값 이상인 리소스의 타임 도메인 위치이고, 상기 p는 상기 제2 단말기가 상기 제1 리소스 세트를 수신해서부터 상기 제1 리소스 세트에 응답하기까지 필요한 최단 준비 시간 길이이고, 상기 n은 상기 제1 시점이며;
    상기 제2 값은 상기 제1 단말기가 상기 제1 시점으로부터 상기 제1 리소스 세트를 발송하기까지 허용하는 최대 지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조건은 상기 제1 단말기가 제1 타임 유닛 내에서 M 개의 HARQ를 피드백해야 하는 사이드링크 데이터 채널(PSSCH)을 수신해야 하는 것이고;
    상기 제1 리소스 세트는 상기 제1 타임 유닛 내에서 제2 단말기가 예약한 리소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말기가 상기 제1 시점 후의 제2 시간 길이 내의 시간대를 상기 제1 시간대로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단말기가 제2 조건 만족을 확정할 때, 상기 제1 단말기가 상기 제1 시점 후의 제2 시간 길이 내의 시간대를 상기 제1 시간대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조건은,
    상기 제1 타임 유닛과 현재 타임 유닛 간의 시간 차이가 제3 임계값 이상인 것; 또는,
    상기 제2 단말기가 데이터를 발송하는 우선순위가 제5 단말기가 데이터를 발송하는 우선순위보다 작고, 상기 M 개 PSSCH는 적어도 상기 제2 단말기와 상기 제5 단말기로부터 제공되는 것; 또는,
    상기 제2 단말기는 상기 제1 리소스 세트를 기초로 리소스 선택을 수행하는 기능을 구비하고, 상기 제5 단말기는 상기 제1 리소스 세트를 기초로 리소스 선택을 수행하는 기능을 구비하지 않는 것; 또는,
    상기 제2 단말기와 상기 제5 단말기 중에서, 상기 제2 단말기가 상기 제1 타임 유닛에서 데이터를 발송하는 우선순위는 가장 낮은 것;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6.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조건은 제2 타임 유닛에서, 상기 제2 단말기에 제3 단말기로 발송한 데이터가 존재하고, 상기 제3 단말기에 상기 제2 단말기로 발송하는 데이터가 존재하는 것이고;
    상기 제1 리소스 세트는 상기 제2 타임 유닛 내에서 제2 단말기가 예약한 리소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말기가 상기 제1 시점 후의 제2 시간 길이 내의 시간대를 상기 제1 시간대로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단말기가 제3 조건 만족을 확정할 때, 상기 제1 단말기가 상기 제1 시점 후의 제2 시간 길이 내의 시간대를 상기 제1 시간대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조건은,
    상기 제2 단말기가 데이터를 발송하는 우선순위가 상기 제3 단말기가 데이터를 발송하는 우선순위보다 작은 것; 또는,
    상기 제2 단말기가 상기 제1 리소스 세트를 기초로 리소스 선택을 수행하는 기능을 구비하는 것;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9.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정보는 상기 리소스 재선택 조작이고;
    상기 제1 시간대는 상기 제1 단말기가 리소스 재선택 조작을 수행 한 후의 제3 시간 길이 내의 시간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말기가 상기 제1 시간대 내에 제2 단말기로 제1 리소스 세트를 발송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단말기가 제4 조건 만족을 확정할 때, 상기 제1 단말기가 상기 제1 시간대 내에 제2 단말기로 제1 리소스 세트를 발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제4 조건은,
    상기 제1 단말기가 리소스 재선택 조작을 수행한 후의 예약 리소스 중에 상기 제2 단말기의 예약 리소스와 중첩되는 리소스가 존재하는 것; 또는,
    상기 중첩 리소스와 현재 시점 간의 시간 차이가 제4 임계값 이상인 것; 또는,
    상기 제1 단말기가 데이터를 발송하는 우선순위가 상기 제2 단말기가 데이터를 발송하는 우선순위 보다 큰 것; 또는,
    상기 제1 단말기가 데이터를 발송하는 우선순위가 제5 임계값 이상인 것; 또는,
    상기 제1 단말기가 리소스 선택 또는 리소스 재선택 조작을 수행한 후 선택한 리소스 중의 적어도 하나는 비연속 수신(DRX)의 활성화 시간대 내에 위치하고, 상기 DRX는 상기 제1 단말기를 위해 상기 제1 단말기와 상기 제2 단말기 간의 모노캐스트 링크에 대해 구성한 것;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2. 제19항 내지 제2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말기가 상기 제1 시간대 내에 제2 단말기로 제1 리소스 세트를 발송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단말기가 제1 타임 도메인 리소스 상에서 상기 제2 단말기로 상기 제1 리소스 세트를 발송하되, 상기 제1 타임 도메인 리소스는 상기 제1 단말기가 리소스 재선택 조작을 수행한 후의 예약 리소스 중의 첫 번째 리소스인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3. 제2 단말기가 제1 시간대 내에 제1 단말기가 발송한 제1 리소스 세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2 단말기가 상기 제1 리소스 세트를 기초로 리소스를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방법.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시간대는 상기 제1 단말기가 제1 정보를 기초로 결정하여 얻은 것이고, 상기 제1 정보는,
    상기 제1 단말기가 상기 제2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요청 메시지; 또는,
    상기 제1 단말기의 리스닝 정보; 또는,
    상기 제1 단말기의 리소스 재선택 조작;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5. 처리모듈과 송신모듈을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처리모듈은 제1 시간대를 결정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송신모듈은 상기 제1 시간대 내에 제2 단말기로 제1 리소스 세트를 발송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제1 리소스 세트는 상기 제2 단말기가 리소스를 선택하기 위한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장치.
  26.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모듈은 구체적으로,
    제1 정보를 기초로 상기 제1 시간대를 결정하고, 여기서, 상기 제1 정보는,
    제1 단말기가 상기 제2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요청 메시지; 또는,
    상기 제1 단말기의 리스닝 정보; 또는,
    상기 제1 단말기의 리소스 재선택 조작;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7.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정보는 상기 요청 메시지이고;
    상기 제1 시간대는 상기 제1 단말기가 상기 요청 메시지를 수신한 후의 제1 시간 길이 내의 시간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8. 제26항 또는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요청 메시지의 적재 방식은,
    사이드링크 제어 정보(SCI)를 통한 적재, 미디어 접속층 제어 유닛(MAC CE)을 통한 적재, 사이드링크 무선 리소스 제어(RRC)를 통한 적재;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9.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SCI 중 기설정 필드의 값은 기설정 값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0.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MAC CE는 최소값 시간 오프셋 값과 최대 시간 오프셋 값을 포함하고, 상기 최소 시간 오프셋 값과 상기 최대 시간 오프셋 값은 서로 다르고, 상기 최소 시간 오프셋 값과 상기 최대 시간 오프셋 값은 상기 제1 단말기가 상기 제1 시간대를 결정하기 위한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1. 제27항 내지 제3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요청 메시지는 상기 제1 리소스 세트를 획득할 것을 요청하기 위한 것; 또는,
    상기 요청 메시지는 타이머를 가동하거나 리셋할 것을 요청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타이머의 시간 길이는 제1 시간 길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2.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정보는 상기 리스닝 정보이고; 상기 처리모듈은 구체적으로,
    제1 시점에서 상기 리스닝 정보를 기초로 제1 조건 만족을 확정하고;
    상기 제1 시점 후의 제2 시간 길이 내의 시간대를 상기 제1 시간대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3.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조건은,
    제2 시간대 내에서, 제2 리소스 세트 중의 하나 또는 복수의 리소스 상에서의 간섭이 제1 임계값 이상이고, 상기 제2 리소스 세트는 상기 제2 단말기가 제2 시간대 내에 위치한 예약 리소스이고, 상기 제2 시간대는 상기 제1 시간대 후에 위치하는 것; 또는,
    상기 제1 단말기가 제1 타임 유닛 내에 M 개 하이브리드 자동 재전송 요청 정보(HARQ)를 피드백해야 하는 사이드링크 데이터 채널(PSSCH)을 수신하여야 하고, 상기 M은 제2 임계값보다 큰 정수이고, 상기 제1 타임 유닛은 현재 시점 다음의 타임 유닛이고, 상기 M 개 PSSCH에는 상기 제2 단말기로부터 제공되는 PSSCH가 존재하는 것; 또는,
    제2 타임 유닛에서, 상기 제2 단말기가 제3 단말기로 PSSCH를 발송하여야 하고, 상기 제3 단말기가 상기 제2 단말기로 PSSCH를 발송하여야 하며, 상기 제2 타임 유닛은 현재 시점 다음의 타임 유닛인 것;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4.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조건은 제2 시간대 내에서, 제2 리소스 세트 내의 하나 또는 복수의 리소스 상의 간섭이 제1 임계값 이상인 것이고;
    상기 제1 리소스 세트는 상기 제2 리소스 세트 내에서 간섭이 상기 제1 임계값 이상인 하나 또는 복수의 리소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5. 제3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임계값은,
    상기 제1 단말기의 능력; 또는,
    상기 제2 단말기가 데이터를 발송하는 우선순위, 제4 단말기가 데이터를 발송하는 우선순위; 중 적어도 하나를 기초로 확정하여 얻어지고, 상기 제4 단말기는 상기 제2 시간대 내에 상기 제2 리소스 세트 내의 하나 또는 복수의 리소스 상에서 간섭이 발생하는 기기인 것;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기초로 확정하여 얻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6. 제34항 또는 제3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시간 길이는 제1 값과 제2 값 중의 최소값이고;
    상기 제1 값은 c-p-n이고, 여기서, 상기 c는 상기 제2 리소스 세트 내에서 첫 번째 간섭이 상기 제1 임계값 이상인 리소스의 타임 도메인 위치이고, 상기 p는 상기 제2 단말기가 상기 제1 리소스 세트를 수신해서부터 상기 제1 리소스 세트에 응답하기까지 필요한 최단 준비 시간 길이이고, 상기 n은 상기 제1 시점이며;
    상기 제2 값은 상기 제1 단말기가 상기 제1 시점으로부터 상기 제1 리소스 세트를 발송하기까지 허용하는 최대 지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7.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조건은 상기 제1 단말기가 제1 타임 유닛 내에서 M 개의 HARQ를 피드백해야 하는 사이드링크 데이터 채널(PSSCH)을 수신해야 하는 것이고;
    상기 제1 리소스 세트는 상기 제1 타임 유닛 내에서 제2 단말기가 예약한 리소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8. 제37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모듈은 구체적으로,
    제2 조건 만족을 확정할 때, 상기 제1 시점 후의 제2 시간 길이 내의 시간대를 상기 제1 시간대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9. 제38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조건은,
    상기 제1 타임 유닛과 현재 타임 유닛 간의 시간 차이가 제3 임계값 이상인 것; 또는,
    상기 제2 단말기가 데이터를 발송하는 우선순위가 제5 단말기가 데이터를 발송하는 우선순위보다 작고, 상기 M 개 PSSCH는 적어도 상기 제2 단말기와 상기 제5 단말기로부터 제공되는 것; 또는,
    상기 제2 단말기는 상기 제1 리소스 세트를 기초로 리소스 선택을 수행하는 기능을 구비하고, 상기 제5 단말기는 상기 제1 리소스 세트를 기초로 리소스 선택을 수행하는 기능을 구비하지 않는 것; 또는,
    상기 제2 단말기와 상기 제5 단말기 중에서, 상기 제2 단말기가 상기 제1 타임 유닛에서 데이터를 발송하는 우선순위는 가장 낮은 것;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40.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조건은 제2 타임 유닛에서, 상기 제2 단말기에 제3 단말기로 발송하는 데이터가 존재하고, 상기 제3 단말기에 상기 제2 단말기로 발송하는 데이터가 존재하는 것이고;
    상기 제1 리소스 세트는 상기 제2 타임 유닛 내에서 제2 단말기가 예약한 리소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41. 제40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모듈은 구체적으로,
    제3 조건 만족을 확정할 때, 상기 제1 시점 후의 제2 시간 길이 내의 시간대를 상기 제1 시간대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42. 제41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조건은,
    상기 제2 단말기가 데이터를 발송하는 우선순위는 상기 제3 단말기가 데이터를 발송하는 우선순위보다 작은 것; 또는,
    상기 제2 단말기는 상기 제1 리소스 세트를 기초로 리소스 선택을 수행하는 기능을 구비하는 것;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43.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정보는 상기 리소스 재선택 조작이고;
    상기 제1 시간대는 상기 제1 단말기가 리소스 재선택 조작을 수행 한 후의 제3 시간 길이 내의 시간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44. 제43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모듈은 구체적으로,
    제4 조건 만족을 확정할 때, 상기 제1 시간대 내에 제2 단말기로 제1 리소스 세트를 발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45. 제44항에 있어서, 상기 제4 조건은,
    상기 제1 단말기가 리소스 재선택 조작을 수행한 후의 예약 리소스 중에 상기 제2 단말기의 예약 리소스와 중첩되는 리소스가 존재하는 것; 또는,
    상기 중첩 리소스와 현재 시점 간의 시간 차이가 제4 임계값 이상인 것; 또는,
    상기 제1 단말기가 데이터를 발송하는 우선순위는 상기 제2 단말기가 데이터를 발송하는 우선순위 보다 큰 것; 또는,
    상기 제1 단말기가 데이터를 발송하는 우선순위는 제5 임계값 이상인 것; 또는,
    상기 제1 단말기가 리소스 선택 또는 리소스 재선택 조작을 수행한 후 선택한 리소스 중의 적어도 하나는 비연속 수신(DRX)의 활성화 시간대 내에 위치하고, 상기 DRX는 상기 제1 단말기를 위해 상기 제1 단말기와 상기 제2 단말기 간의 모노캐스트 링크를 위해 구성한 것;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46. 제43항 내지 제4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모듈은 구체적으로,
    상기 제1 단말기가 제1 타임 도메인 리소스 상에서 상기 제2 단말기로 상기 제1 리소스 세트를 발송하되, 상기 제1 타임 도메인 리소스는 상기 제1 단말기가 리소스 재선택 조작을 수행한 후의 예약 리소스 중의 첫 번째 리소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47. 수신모듈과 처리모듈을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수신모듈은 제1 시간대 내에 제1 단말기가 발송한 제1 리소스 세트를 수신하고;
    상기 처리모듈은 상기 제1 리소스 세트를 기초로 리소스를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장치.
  48. 제4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시간대는 제1 단말기가 제1 정보를 기초로 결정하여 얻은 것이고, 상기 제1 정보는,
    상기 제1 단말기가 상기 제2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요청 메시지; 또는,
    상기 제1 단말기의 리스닝 정보; 또는,
    상기 제1 단말기의 리소스 재선택 조작;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49. 트랜시버, 프로세서, 메모리를 포함하며;
    상기 메모리는 컴퓨터 실행 명령을 저장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컴퓨터 실행 명령을 실행하여, 상기 프로세서가 제1항 내지 제22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통신 방법을 실행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50. 트랜시버, 프로세서, 메모리를 포함하며;
    상기 메모리는 컴퓨터 실행 명령을 저장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컴퓨터 실행 명령을 실행하여, 상기 프로세서가 제23항 내지 제24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통신 방법을 실행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51.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매체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매체에는 컴퓨터 실행 명령이 저장되어 있고, 상기 컴퓨터 실행 명령이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제1항 내지 제22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통신 방법, 또는 제23항 내지 제24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통신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매체.
KR1020237011075A 2020-09-25 2021-02-26 통신 방법, 장치 및 기기 KR2023007449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CN2020/117868 WO2022061752A1 (zh) 2020-09-25 2020-09-25 通信方法、装置及设备
CNPCT/CN2020/117868 2020-09-25
PCT/CN2021/078178 WO2022062314A1 (zh) 2020-09-25 2021-02-26 通信方法、装置及设备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74494A true KR20230074494A (ko) 2023-05-30

Family

ID=808448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11075A KR20230074494A (ko) 2020-09-25 2021-02-26 통신 방법, 장치 및 기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30224929A1 (ko)
EP (1) EP4207893A4 (ko)
JP (1) JP2023542163A (ko)
KR (1) KR20230074494A (ko)
CN (2) CN115804179A (ko)
WO (2) WO2022061752A1 (ko)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238718B (zh) * 2010-04-30 2015-09-16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多用户系统中的发送分集实现方法及设备
CN104462593B (zh) * 2014-12-29 2018-07-31 北京奇虎科技有限公司 一种提供用户个性化资源消息推送的方法和装置
US10440520B2 (en) * 2016-05-12 2019-10-08 Sharp Kabushiki Kaisha Method and apparatus for selecting radio resources for vehicle (V2X) communications from an overlapping resource pool
CN110741710B (zh) * 2017-08-10 2021-01-12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设备对设备通信的方法和终端设备
CN114867062A (zh) * 2018-02-12 2022-08-05 华为技术有限公司 资源选择的方法和终端设备
CN110225585B (zh) * 2018-03-01 2023-03-10 华为技术有限公司 无线通信方法、无线通信设备和处理器可读存储介质
ES2940701T3 (es) * 2018-07-11 2023-05-10 Guangdong Oppo Mobile Telecommunications Corp Ltd Aparato y método de comunicación inalámbrica del mismo
CN111148223B (zh) * 2018-11-02 2022-11-18 华为技术有限公司 通信方法和通信装置
CN111615192B (zh) * 2019-02-22 2024-02-02 华为技术有限公司 传输数据的方法和通信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2061752A1 (zh) 2022-03-31
US20230224929A1 (en) 2023-07-13
CN116321432A (zh) 2023-06-23
JP2023542163A (ja) 2023-10-05
WO2022062314A1 (zh) 2022-03-31
EP4207893A4 (en) 2024-02-14
CN115804179A (zh) 2023-03-14
EP4207893A1 (en) 2023-07-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904786B2 (en) Method for using radio interface technology, apparatus, and communications system
US11212875B2 (en) Telecommunications apparatuses and methods
US20170325243A1 (en) User equipment apparatus and d2d communication method
US20230081131A1 (en) Nr sidelink assistance information messages
JP2016509426A (ja) 無線通信方法、基地局及び無線通信デバイス
CN115136683A (zh) 在无线通信系统中确定针对设备到设备通信的待感测资源的方法和设备
EP3829198A1 (en) Method and device for performing wireless communic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for supporting vehicle communication
US20220110124A1 (en) Direct current (dc) tone indication in sidelink
US20230232375A1 (en) Method for determining resource set and terminal device
CN116686360A (zh) 资源确定方法、装置、设备、存储介质、芯片及程序产品
CN110178404B (zh) 一种资源使用方法、相关装置及系统
KR20230074494A (ko) 통신 방법, 장치 및 기기
CN117751663A (zh) 直连链路ue间协调过程
WO2021056222A1 (zh) 一种资源调度方法及装置
US20210167929A1 (en) Communication device
WO2022027463A1 (zh) 节能的方法及设备
US20240155651A1 (en) Method and device for indicating resource collision, and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um
CN110876130A (zh) V2x传输及其指示方法、装置、存储介质、基站、用户设备
WO2024031233A1 (zh) 通信方法及终端设备
WO2023108351A1 (zh) 无线通信的方法及终端设备
US20240080807A1 (en)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and terminal device
WO2022165843A1 (zh) 侧行传输方法和终端
EP4307730A1 (en) Resource selection method and apparatus, device, and storage medium
KR20210102803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간 통신을 위한 센싱 대상 자원 결정 방법 및 장치
WO2020031272A1 (ja) 端末装置、無線通信システム及び送信方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