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72402A - 퓨즈 튜브 디바이스 및 이를 갖는 부하 차단 퓨즈 컷아웃 조립체 - Google Patents

퓨즈 튜브 디바이스 및 이를 갖는 부하 차단 퓨즈 컷아웃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72402A
KR20230072402A KR1020220116893A KR20220116893A KR20230072402A KR 20230072402 A KR20230072402 A KR 20230072402A KR 1020220116893 A KR1020220116893 A KR 1020220116893A KR 20220116893 A KR20220116893 A KR 20220116893A KR 20230072402 A KR20230072402 A KR 202300724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ing
fuse
terminal
insulating housing
electric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168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수이-찬 카오
Original Assignee
굿웰 일렉트릭 코퍼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굿웰 일렉트릭 코퍼레이션 filed Critical 굿웰 일렉트릭 코퍼레이션
Publication of KR202300724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7240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1/00Air-break switches for high tension without arc-extinguishing or arc-preventing means
    • H01H31/02Details
    • H01H31/12Adaptation for built-in fuse
    • H01H31/122Fuses mounted on, or constituting the movable contact parts of, the switch
    • H01H31/127Drop-out fus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85/00Protective devices in which the current flows through a part of fusible material and this current is interrupted by displacement of the fusible material when this current becomes excessive
    • H01H85/02Details
    • H01H85/04Fuses, i.e. expendable parts of the protective device, e.g. cartridges
    • H01H85/05Component parts thereof
    • H01H85/165Cas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1/00Air-break switches for high tension without arc-extinguishing or arc-preventing means
    • H01H31/02Details
    • H01H31/12Adaptation for built-in fus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85/00Protective devices in which the current flows through a part of fusible material and this current is interrupted by displacement of the fusible material when this current becomes excessive
    • H01H85/02Details
    • H01H85/04Fuses, i.e. expendable parts of the protective device, e.g. cartridges
    • H01H85/05Component parts thereof
    • H01H85/165Casings
    • H01H85/175Casings characterised by the casing shape or form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85/00Protective devices in which the current flows through a part of fusible material and this current is interrupted by displacement of the fusible material when this current becomes excessive
    • H01H85/02Details
    • H01H85/20Bases for supporting the fuse; Separate parts thereof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85/00Protective devices in which the current flows through a part of fusible material and this current is interrupted by displacement of the fusible material when this current becomes excessive
    • H01H85/02Details
    • H01H85/20Bases for supporting the fuse; Separate parts thereof
    • H01H85/2045Mounting means or insulating parts of the base, e.g. covers, cas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85/00Protective devices in which the current flows through a part of fusible material and this current is interrupted by displacement of the fusible material when this current becomes excessive
    • H01H85/02Details
    • H01H85/30Means for indicating condition of fuse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fuse
    • H01H85/303Movable indicating elem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85/00Protective devices in which the current flows through a part of fusible material and this current is interrupted by displacement of the fusible material when this current becomes excessive
    • H01H85/02Details
    • H01H85/38Means for extinguishing or suppressing arc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85/00Protective devices in which the current flows through a part of fusible material and this current is interrupted by displacement of the fusible material when this current becomes excessive
    • H01H85/02Details
    • H01H85/43Means for exhausting or absorbing gases liberated by fusing arc, or for ventilating excess pressure generated by heat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85/00Protective devices in which the current flows through a part of fusible material and this current is interrupted by displacement of the fusible material when this current becomes excessive
    • H01H85/02Details
    • H01H85/0241Structural association of a fuse and another component or apparatus
    • H01H2085/0291Structural association with a current transform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85/00Protective devices in which the current flows through a part of fusible material and this current is interrupted by displacement of the fusible material when this current becomes excessive
    • H01H85/02Details
    • H01H85/38Means for extinguishing or suppressing arc
    • H01H2085/383Means for extinguishing or suppressing arc with insulating stationary par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85/00Protective devices in which the current flows through a part of fusible material and this current is interrupted by displacement of the fusible material when this current becomes excessive
    • H01H85/02Details
    • H01H85/0241Structural association of a fuse and another component or apparatu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85/00Protective devices in which the current flows through a part of fusible material and this current is interrupted by displacement of the fusible material when this current becomes excessive
    • H01H85/02Details
    • H01H85/04Fuses, i.e. expendable parts of the protective device, e.g. cartridges
    • H01H85/05Component parts thereof
    • H01H85/055Fusible members
    • H01H85/08Fusi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form of the fusible member

Landscapes

  • Fuses (AREA)

Abstract

퓨즈 튜브 디바이스가 개시된다. 퓨즈 튜브 디바이스는, 완전히 폐쇄된 부하 차단 퓨즈 컷아웃을 형성하기 위해 절연 디바이스와 조립되도록 허용된다. 퓨즈 튜브는 절연 하우징, 수용 튜브, 제1 전기 연결 유닛, 제2 전기 연결 유닛, 전도성 로드, 퓨즈 요소, 제1 전도성 플레이트, 제1 커버, 제2 전도성 플레이트 및 제2 커버를 포함한다. 퓨즈 튜브 디바이스를 절연 디바이스와 조립할 때, 절연 하우징의 제1 매립 부재 및 제2 매립 부재가 절연 디바이스의 제1 단자 연결 개구 및 제2 단자 연결 개구 내에 매립되어서, 제1 전기 연결 유닛 및 제2 전기 연결 유닛이 각각 절연 디바이스의 제1 단자 연결 부재 및 제2 단자 연결 부재와 접촉하게 한다.

Description

퓨즈 튜브 디바이스 및 이를 갖는 부하 차단 퓨즈 컷아웃 조립체{FUSE TUBE DEVICE AND LOAD BREAK FUSE CUTOUT ASSEMBLY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퓨즈 컷아웃(fuse cutout)의 기술 분야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퓨즈 튜브 디바이스(fuse tube device) 및 이러한 퓨즈 튜브 디바이스를 갖는 부하 차단 퓨즈 컷아웃 조립체(load break fuse cutout assembly)에 관한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부하 차단 퓨즈 컷아웃의 측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게다가, 도 2는 종래의 부하 차단 퓨즈 컷아웃의 입체도(stereo diagram)를 도시한다. 도 1 및 도 2에 따르면, 종래의 부하 차단 퓨즈 컷아웃(1a)은 절연체(11a), 퓨즈 튜브(12a), 제1 고정 유닛(13a), 제1 전도체 연결 유닛(14a), 전도성 플레이트 스프링(10a), 제2 고정 유닛(15a), 제2 전도체 연결 유닛(16a), 토글 메커니즘(17a) 및 장착 브래킷(18a)을 포함하며, 여기에서 퓨즈 요소가 퓨즈 튜브(12a) 내에 배치되어 있다.
도 1이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전원에 결합된 제1 전도체가 제1 전도체 연결 유닛(14a)에 연결되고, 부하 단자에 결합된 제2 전도체가 제2 전도체 연결 유닛(16a)에 연결된다. 따라서, 전력이 제1 전도체로부터 제1 전도체 연결 유닛(14a)을 통해 고정 유닛(13a) 및 전도성 플레이트 스프링(10a)으로 전달되고, 퓨즈 튜브(12a)의 상단에 배치된 제1 전기 연결 요소(121a)로 추가로 전달된다. 게다가, 제1 전기 연결 요소(121a)는 전력을 퓨즈 요소로 전달하여서, 전력이 퓨즈 요소로부터 퓨즈 튜브(12a)의 하단에 배치된 제2 전기 연결 요소(124a)로 추가로 전달되고 궁극적으로 제2 전도체 연결 유닛(16a) 및 제2 전도체를 통해 부하 단자로 전달되게 한다.
전력 시스템이 비정상적인 과부하 또는 단락의 상태에 있는 경우에, 과전류가 퓨즈 튜브(12a) 내의 퓨즈 요소(퓨즈 링크로도 불리움)로 하여금 용융되게 한다는 것은 잘 알려져 있다. 그러한 경우에, 전기 아크가 퓨즈 튜브(12a) 내에서 즉시 발생하여서, 그에 의해 퓨즈 튜브(12a) 내의 아크 소호(arc-extinguishing) 요소를 가열하여 많은 가스를 폭발시킨다. 그 후, 고압이 퓨즈 튜브(12a) 내에 생성되어, 전기 아크가 퓨즈 튜브(12a) 내에서 블로 오프(blow off)되게 한다. 아래에서 더 상세히 설명되는 바와 같이, 퓨즈 요소의 용융은 제1 전기 연결 요소(121a)와 전도성 플레이트 스프링(10a) 사이의 접촉이 이전과 같이 밀착되지 않게 하여, 그에 따라 (도 2가 도시하는 바와 같이) 퓨즈 튜브(12a)가 토글 메커니즘(17a)의 작용으로 인해 탈락된다. 그러한 경우에, 부하 차단 퓨즈 컷아웃(1a)은 개방 위치에 있어서, 과전류가 제2 전도체 연결 유닛(16a)을 통해 부하 단자 내로 흐르는 것이 방지되게 한다.
부하 차단 퓨즈 컷아웃(1a)의 정상적인 작동 동안, 기술진이, 부하 차단 도구를 작동시켜 퓨즈 튜브(12a)의 풀 링(pull ring)(123a) 및/또는 풀 후크(pull hook)(122a)를 연결하고 이어서 퓨즈 튜브(12a)를 직접 당겨 탈락시키도록 허용된다는 것은 언급할 가치가 있다. 아래에서 더 상세히 설명되는 바와 같이, 통상적으로, 상부 커버가 제1 고정 유닛(13a), 제1 전도체 연결 유닛(14a), 전도성 플레이트 스프링(10a) 및 제1 전기 연결 요소(121a)를 차폐하기 위해 채택되고, 하부 커버가 제2 전도체 연결 유닛(16a), 토글 메커니즘(17a) 및 제2 전기 연결 요소(124a)를 차폐하기 위해 채택된다. 상부 커버 및 하부 커버는, 또한 정전을 야기하는 과전류 상태를 촉발시킬 수 있는 감전으로부터 조류, 연 및 가지를 보호한다.
일반적으로, 부하 차단 퓨즈 컷아웃(1a)은 전력 시스템에 적용되고, 전류 서지(surge) 및 과부하로부터 배전 변압기를 보호하기 위해 주 오버헤드 피더 라인 및 탭에 사용된다. 경험에 따르면, 부하 차단 퓨즈 컷아웃(1a)은 실제 사용 시 많은 단점을 보인다. 단점은 하기와 같이 요약된다.
(1) 상부 커버 및 하부 커버 둘 모두는 반폐쇄 하우징을 가지며, 이는, 조류, 연 및/또는 가지가 상부 커버 및/또는 하부 커버에 의해 덮인 전도성 물품을 터치함으로써 감전을 일으킬 가능성이 여전히 존재함을 의미한다.
(2) 상부 커버에 의해 덮여 있기 때문에, 기술진이 퓨즈 튜브(12a)의 풀 링(123a) 및/또는 풀 후크(122a)를 연결하기 위해 부하 차단 도구를 제어하는 것이 어렵다. 게다가, 부하 차단 도구를 사용하여 (도 2가 도시하는 바와 같이) 퓨즈 튜브(12a)를 직접 당겨 탈락시키는 동안, 전도성 플레이트 스프링(10a)과 제1 전기 연결 요소(121a) 사이에 전기 아크가 생성된다는 것은 언급할 가치가 있다.
(3) 퓨즈 튜브(12a)가 토글 메커니즘(17a)을 통해 절연체(11a)와 조립되기 때문에, 지상에 체류하고 있는 기술진이 부하 차단 퓨즈 컷아웃(1a)의 퓨즈 튜브(12a)를 새로운 것으로 교체하기 위해 부하 차단 도구 또는 특별히 설계된 도구를 제어하는 것이 불가능하다.
위의 설명으로부터, 종래의 부하 차단 퓨즈 컷아웃의 개선의 여지가 있는 것으로 이해된다. 이를 고려하여, 본 출원의 발명자는 본 발명의 연구에 많은 노력을 기울였으며, 궁극적으로, 퓨즈 튜브 디바이스 및 이러한 퓨즈 튜브 디바이스를 갖는 부하 차단 퓨즈 컷아웃 조립체를 제공하였다.
본 발명의 주 목적은, 완전히 폐쇄된 부하 차단 퓨즈 컷아웃을 형성하기 위해 절연 디바이스와 조립되도록 허용되는 퓨즈 튜브 디바이스를 개시하는 것이다.
위에서 언급된 주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절연 하우징 - 절연 하우징의 상단 및 하단은 각각 제1 개구 및 제2 개구를 갖고, 제1 매립 부재 및 제2 매립 부재가 절연 하우징의 제1 측부 상에 형성됨 -;
절연 하우징 내에 배치되는 수용 튜브;
절연 하우징 내에 배치되고 제1 실린더 부재 및 이러한 제1 실린더 부재와 연결되는 제1 전기 단자를 포함하는 제1 전기 연결 유닛 - 제1 실린더 부재는 제1 연결 개구 및 제2 연결 개구를 갖고, 수용 튜브의 일 단부는 제1 실린더 부재 내에 위치되도록 제2 연결 개구를 통과하며, 제1 전기 단자는 제1 매립 부재를 통해 절연 하우징 밖으로 돌출됨 -;
절연 하우징 내에 배치되고 제2 실린더 부재 및 이러한 제2 실린더 부재와 연결되는 제2 전기 단자를 포함하는 제2 전기 연결 유닛 - 제2 실린더 부재는 제3 연결 개구 및 제4 연결 개구를 갖고, 수용 튜브의 다른 하나의 단부는 제2 실린더 부재 내에 위치되도록 제4 연결 개구를 통과하며, 제2 전기 단자는 제2 매립 부재를 통해 절연 하우징 밖으로 돌출됨 -;
절연 하우징 내에 배치되고 제1 단부 및 제2 단부를 갖는 전도성 로드 - 제1 단부는 제1 실린더 부재 내에 위치되고, 제1 전기 부재가 제1 단부 상에 배치됨 -;
절연 하우징 내에 배치되고 제1 단자 및 제2 단자를 갖는 퓨즈 요소 - 제1 단자는 제1 전기 부재와 접촉함 -;
제1 전도성 플레이트 - 제1 전도성 플레이트는 제1 연결 개구를 덮기 위해 제1 실린더 부재에 연결되고, 제2 전기 부재가 퓨즈 요소의 제2 단자와 접촉하기 위해 제1 전도성 플레이트의 내부 표면 상에 배치됨 -;
제1 개구를 차폐하기 위해 절연 하우징에 연결되고, 제1 전도성 플레이트 및 제1 실린더 부재의 일부분을 수용하기 위한 제1 리세스를 갖는 제1 커버;
제2 실린더 부재 내에 끼워 넣어지고 제1 관통 구멍을 갖는 제2 전도성 플레이트 - 전도성 로드는 제1 관통 구멍을 통과하여, 제2 전도성 플레이트가 전도성 로드의 제2 단부 근처에 위치되게 함 -; 및
제2 개구를 차폐하기 위해 절연 하우징에 연결되는 제2 커버를 포함하는, 퓨즈 튜브 디바이스의 일 실시예를 제공한다.
게다가, 본 발명은, 또한,
절연 디바이스; 및
퓨즈 튜브를 포함하고,
절연 디바이스는,
수직으로 배향된 완전 폐쇄형 원통형 절연체;
수평으로 배향되고 제1 단부 및 제2 단부를 갖는 제1 원통형 절연체 - 제1 단부는 완전 폐쇄형 원통형 절연체에 연결되고, 제2 단부는 제1 단자 연결 개구를 가지며, 제1 케이블 연결 개구가 제1 원통형 절연체의 일 측부 상에 형성됨 -;
수평으로 배향되고 제3 단부 및 제4 단부를 갖는 제2 원통형 절연체 - 제3 단부는 완전 폐쇄형 원통형 절연체에 연결되고, 제4 단부는 제2 단자 연결 개구를 가지며, 제2 케이블 연결 개구가 제2 원통형 절연체의 일 측부 상에 형성됨 -;
제1 원통형 절연체 내에 수용되는 제1 전기 연결 유닛 - 제1 전기 연결 유닛은 제1 단자 연결 개구 내에 위치되는 제1 단자 연결 부재, 및 제1 케이블 연결 개구 내에 위치되는 제1 케이블 연결 부재를 가짐 -; 및
제2 원통형 절연체 내에 수용되는 제2 전기 연결 유닛 - 제2 전기 연결 유닛은 제2 단자 연결 개구 내에 위치되는 제2 단자 연결 부재, 및 제2 케이블 연결 개구 내에 위치되는 제2 케이블 연결 부재를 가짐 - 을 포함하고,
퓨즈 튜브는,
절연 하우징 - 절연 하우징의 상단 및 하단은 각각 제1 개구 및 제2 개구를 갖고, 제1 매립 부재 및 제2 매립 부재가 절연 하우징의 제1 측부 상에 형성됨 -;
절연 하우징 내에 배치되는 수용 튜브;
절연 하우징 내에 배치되고 제1 실린더 부재 및 이러한 제1 실린더 부재와 연결되는 제1 전기 단자를 포함하는 제1 전기 연결 유닛 - 제1 실린더 부재는 제1 연결 개구 및 제2 연결 개구를 갖고, 수용 튜브의 일 단부는 제1 실린더 부재 내에 위치되도록 제2 연결 개구를 통과하며, 제1 전기 단자는 제1 매립 부재를 통해 절연 하우징 밖으로 돌출됨 -;
절연 하우징 내에 배치되고 제2 실린더 부재 및 이러한 제2 실린더 부재와 연결되는 제2 전기 단자를 포함하는 제2 전기 연결 유닛 - 제2 실린더 부재는 제3 연결 개구 및 제4 연결 개구를 갖고, 수용 튜브의 다른 하나의 단부는 제2 실린더 부재 내에 위치되도록 제4 연결 개구를 통과하며, 제2 전기 단자는 제2 매립 부재를 통해 절연 하우징 밖으로 돌출됨 -;
절연 하우징 내에 배치되고 제5 단부 및 제6 단부를 갖는 전도성 로드 - 제1 단부는 제1 실린더 부재 내에 위치되고, 제1 전기 부재가 제5 단부 상에 배치됨 -;
절연 하우징 내에 배치되고 제1 단자 및 제2 단자를 갖는 퓨즈 요소 - 제1 단자는 제1 전기 부재와 접촉함 -;
제1 전도성 플레이트 - 제1 전도성 플레이트는 제1 연결 개구를 덮기 위해 제1 실린더 부재에 연결되고, 제2 전기 부재가 퓨즈 요소의 제2 단자와 접촉하기 위해 제1 전도성 플레이트의 내부 표면 상에 배치됨 -;
제1 개구를 차폐하기 위해 절연 하우징에 연결되고, 제1 전도성 플레이트 및 제1 실린더 부재의 일부분을 수용하기 위한 제1 리세스를 갖는 제1 커버;
제2 실린더 부재 내에 끼워 넣어지고 제1 관통 구멍을 갖는 제2 전도성 플레이트 - 전도성 로드는 제1 관통 구멍을 통과하여, 제2 전도성 플레이트가 전도성 로드의 제6 단부 근처에 위치되게 함 -; 및
제2 개구를 차폐하기 위해 절연 하우징에 연결되는 제2 커버를 포함하며,
퓨즈 튜브 디바이스를 절연 디바이스와 조립할 때, 제1 매립 부재 및 제2 매립 부재는 제1 단자 연결 개구 및 제2 단자 연결 개구 내에 매립되어서, 제1 전기 단자 및 제2 전기 단자가 각각 제1 단자 연결 부재 및 제2 단자 연결 부재와 접촉하게 하는, 완전히 폐쇄된 부하 단 퓨즈 컷아웃 조립체의 일 실시예를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서, 절연 하우징의 제2 측부 상에 후킹 부재(hooking member)가 제공되고, 후킹 부재는, 수평 직사각형 부분, 수직 직사각형 부분 및 원형 부분으로 구성되는 후킹 개구를 갖는다.
일 실시예에서, 절연 하우징에는 그 상에 복수의 웨더쉐드(weathershed)가 형성된다.
일 실시예에서, 제1 아크 소호 부재가 제1 전기 단자의 상단 단부에 연결되고, 제2 아크 소호 부재가 제2 전기 단자의 상단 단부에 연결된다.
일 실시예에서, 제2 전도성 플레이트 상에 복수의 통기 구멍이 형성되며, 제2 커버는 탄성 재료로 제조되고, 그 하단에 제3 개구가 형성되는 제2 리세스를 갖는다.
일 실시예에서, 제2 커버 상에 복수의 좁은 홈이 형성되어 제3 개구를 둘러싼다.
일 실시예에서, 퓨즈 튜브 디바이스는,
제2 리세스 내에 배치되는 수용 부재 - 수용 부재의 상단 및 하단은 각각 제4 개구 및 제5 개구를 갖고, 제5 개구는 제3 개구보다 크며, 제2 전도성 플레이트는 동시에 제4 개구를 덮음 -;
수용 부재 내에 배치되고, 전도성 로드의 제6 단부를 수용하기 위한 리세스된 홈을 갖는 매스 블록(mass block);
제2 플레이트 상에 배치되고 제2 관통 구멍을 갖는 정지 블록 - 전도성 로드는 동시에 제2 관통 구멍을 통과함 -;
정지 블록 상에 배치되고 제3 관통 구멍을 갖는 파형 개스킷 - 전도성 로드는 동시에 제3 관통 구멍을 통과함 -;
수용 튜브 내에 배치되고 내부에 전도성 로드를 수용하는 제1 튜브 - 제1 튜브의 2개의 단부는 각각 제1 전도성 플레이트 및 파형 개스킷과 접촉함 -; 및
제1 튜브 내에 배치되는 제2 튜브 - 제2 튜브의 2개의 단부는 각각 제2 전기 부재 및 제1 전기 부재와 접촉함 - 를 추가로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매스 블록은 중합체 층으로 코팅된다.
본 발명뿐만 아니라 그의 바람직한 사용 모드 및 이점은 첨부 도면과 함께 예시적인 실시예의 하기의 상세한 설명을 참조함으로써 가장 잘 이해될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부하 차단 퓨즈 컷아웃의 측면도를 도시한다.
도 2는 종래의 부하 차단 퓨즈 컷아웃의 입체도를 도시한다.
도 3a는 본 발명에 따른 퓨즈 튜브 디바이스의 제1 입체도를 도시한다.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퓨즈 튜브 디바이스의 제2 입체도를 도시한다.
도 4a는 본 발명에 따른 퓨즈 튜브 디바이스의 제1 분해도를 도시한다.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퓨즈 튜브 디바이스의 제2 분해도를 도시한다.
도 4c는 본 발명에 따른 퓨즈 튜브 디바이스의 제3 분해도를 도시한다.
도 5a는 본 발명에 따른 퓨즈 튜브 디바이스의 제4 분해도를 도시한다.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른 퓨즈 튜브 디바이스의 제5 분해도를 도시한다.
도 5c는 본 발명에 따른 퓨즈 튜브 디바이스의 제6 분해도를 도시한다.
도 6a는 도 5a에 도시된 전도성 로드, 퓨즈 요소, 매스 블록 및 제2 커버를 입체적으로 보기 위한 제1 다이어그램을 도시한다.
도 6b는 도 5a에 도시된 전도성 로드, 퓨즈 요소, 매스 블록 및 제2 커버를 입체적으로 보기 위한 제2 다이어그램을 도시한다.
도 7a는 본 발명에 따른 완전히 폐쇄된 부하 차단 퓨즈 컷아웃의 제1 입체도를 도시한다.
도 7b는 본 발명에 따른 완전히 폐쇄된 부하 차단 퓨즈 컷아웃의 제2 입체도를 도시한다.
도 7c는 본 발명에 따른 완전히 폐쇄된 부하 차단 퓨즈 컷아웃의 제3 입체도를 도시한다.
본 발명에 의해 개시된 퓨즈 튜브 디바이스 및 이러한 퓨즈 튜브 디바이스를 갖는 부하 차단 퓨즈 컷아웃 조립체를 더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가 이하에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퓨즈 튜브 디바이스
도 3a 및 도 3b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퓨즈 튜브 디바이스의 제1 입체도 및 제2 입체도가 도시되어 있다. 게다가, 도 4a, 도 4b 및 도 4c는 본 발명에 따른 퓨즈 튜브 디바이스의 제1 분해도, 제2 분해도 및 제3 분해도를 제공한다. 더욱이, 도 5a, 도 5b 및 도 5c는 퓨즈 튜브 디바이스의 제4 분해도, 제5 분해도 및 제6 분해도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완전히 폐쇄된 부하 차단 퓨즈 컷아웃을 형성하기 위해 절연 디바이스와 조립되도록 허용되는 퓨즈 튜브 디바이스(2)를 개시한다. 여기에서, 퓨즈 튜브 디바이스(2)는 절연 하우징(20), 수용 튜브, 제1 전기 연결 유닛, 제2 전기 연결 유닛, 전도성 로드(23), 퓨즈 요소(24), 제1 전도성 플레이트(25), 제2 전도성 플레이트(27), 수용 부재(28), 매스 블록(29), 정지 블록(2A), 제1 커버(C1), 및 제2 커버(C2)를 포함한다. 실행가능한 실시예에서, 퓨즈 요소(24)는 나권형(spiral wound) 퓨즈 와이어 또는 직선형 퓨즈 와이어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절연 하우징(20)의 상단 및 하단은 각각 제1 개구(2V1) 및 제2 개구(2V2)를 갖고, 제1 매립 부재(201) 및 제2 매립 부재(202)가 절연 하우징(20)의 제1 측부 상에 형성된다. 게다가, 후킹 부재(203)가 절연 하우징(20)의 제2 측부 상에 제공되고, 후킹 부재(203)는, 수평 직사각형 부분(2031), 수직 직사각형 부분(2032) 및 원형 부분(2033)으로 구성되는 후킹 개구를 갖는다. 복수의 웨더쉐드(20F)가 절연 하우징(20) 상에 배치되어 있다는 것은 언급할 가치가 있다.
아래에서 더 상세히 설명되는 바와 같이, 수용 튜브(2T) 및 제1 전기 연결 유닛(21)은 둘 모두 절연 하우징(20) 내에 배치된다. 게다가, 제1 전기 연결 유닛(21)은 제1 실린더 부재(211) 및 이러한 제1 실린더 부재(211)와 연결되는 제1 전기 단자(212)를 포함하며, 여기에서 제1 실린더 부재(211)는 제1 연결 개구(2111) 및 제2 연결 개구(2112)를 갖고, 수용 튜브(2T)의 일 단부는 제1 실린더 부재(211) 내에 위치되도록 제2 연결 개구(2112)를 통과하며, 제1 전기 단자(212)는 제1 매립 부재(201)를 통해 절연 하우징(20) 밖으로 돌출된다. 한편, 제2 전기 연결 유닛(22)은 절연 하우징(20) 내에 배치되고, 제2 실린더 부재(221) 및 이러한 제2 실린더 부재(221)와 연결되는 제2 전기 단자(222)를 포함한다. 도 4a, 도 4b 및 도 4c에 따르면, 제2 실린더 부재(221)는 제3 연결 개구(2211) 및 제4 연결 개구(2212)를 갖고, 수용 튜브(2T)의 다른 하나의 단부는 제2 실린더 부재(221) 내에 위치되도록 제4 연결 개구(2212)를 통과하며, 제2 전기 단자(222)는 제2 매립 부재(202)를 통해 절연 하우징(20) 밖으로 돌출된다. 제1 아크 소호 부재(212A)가 제1 전기 단자(212)의 상단 단부에 연결되고, 제2 아크 소호 부재(222A)가 제2 전기 단자(222)의 상단 단부에 연결된다는 것은 주목할 가치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전도성 로드(23)는 절연 하우징(20) 내에 배치되고 제1 단부 및 제2 단부를 가지며, 여기에서 제1 단부는 제1 실린더 부재(211) 내에 위치되고, 제1 전기 부재(231)가 제1 단부 상에 배치된다. 아래에서 더 상세히 설명되는 바와 같이, 퓨즈 요소(24)는 절연 하우징(20) 내에 배치되고 제1 단자 및 제2 단자를 가지며, 여기에서 제1 단자는 제1 전기 부재(231)와 접촉한다. 도 4a, 도 4b, 도 4c, 도 5a, 도 5b 및 도 5c에 따르면, 제1 전도성 플레이트(25)는 제1 연결 개구(2111)를 덮기 위해 제1 실린더 부재(211)에 연결되고, 제2 전기 부재(251)가 퓨즈 요소(24)의 제2 단자와 접촉하기 위해 제1 전도성 플레이트(25)의 내부 표면 상에 배치된다. 게다가, 제2 전도성 플레이트(27)는 제2 실린더 부재(221) 내에 끼워 넣어지고 제1 관통 구멍을 가지며, 여기에서 전도성 로드(23)는 제1 관통 구멍을 통과하여, 제2 전도성 플레이트(27)가 전도성 로드(23)의 제2 단부 근처에 위치되게 한다. 그러한 배열에 의해, 제1 전기 연결 유닛(21)의 제1 전기 단자(212)는 제1 전도성 플레이트(25)를 통해 퓨즈 요소(24) 및 전도성 로드(23)에 전기적으로 결합되고, 제2 전기 연결 유닛(22)의 제2 전기 단자(222)는 제2 전도성 플레이트(27)를 통해 전도성 로드(23)에 전기적으로 결합된다. 다시 말해서, 제1 전기 단자(212)는 퓨즈 요소(24) 및 전도성 로드(23)를 통해 제2 전기 단자(222)로 전류 및/또는 전압을 전달하도록 허용된다.
도 4a, 도 4b, 도 4c, 도 5a, 도 5b 및 도 5c에 따르면, 제1 커버(C1)는 제1 개구(2V1)를 차폐하기 위해 절연 하우징(20)에 연결되고, 제1 전도성 플레이트(25) 및 제1 실린더 부재(211)의 일부분을 수용하기 위한 제1 리세스(C11)를 갖는다. 한편, 제2 커버(C2)는 제2 개구(2V2)를 차폐하기 위해 절연 하우징(20)에 연결된다. 일 실시예에서, 제2 커버(C2)는 탄성 재료로 제조되고, 그 하단에 제3 개구(C20)가 형성되는 제2 리세스(C21)를 갖는다. 게다가, 복수의 좁은 홈(C22)이 제2 커버(C2) 상에 형성되어 제3 개구(C20)를 둘러싸고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수용 부재(28)는 제2 리세스(C21) 내에 배치되며, 여기에서 수용 부재(28)의 상단 및 하단은 각각 제4 개구(281) 및 제5 개구(282)를 갖는다. 게다가, 제5 개구(282)는 제3 개구(C20)보다 크게 설계되고, 제2 전도성 플레이트(27)는 동시에 제4 개구(281)를 덮는다. 복수의 통기 구멍(27V)이 제2 전도성 플레이트(27) 상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도 4a, 도 4b, 도 4c, 도 5a, 도 5b 및 도 5c에 따르면, 매스 블록(29)은 수용 부재(28) 내에 배치되고, 전도성 로드(23)의 제2 단부를 수용하기 위한 리세스된 홈을 갖는다. 매스 블록(29)이 중합체 층으로 코팅된다는 것은 언급할 가치가 있다. 한편, 정지 블록(2A)은 제2 플레이트(27) 상에 배치되고 제2 관통 구멍을 가지며, 여기에서 전도성 로드(23)는 동시에 제2 관통 구멍을 통과한다.
아래에서 더 상세히 설명되는 바와 같이, 파형 개스킷(2B)은 정지 블록(2A) 상에 배치되고 제3 관통 구멍을 가지며, 여기에서 전도성 로드(23)는 동시에 제3 관통 구멍을 통과한다. 게다가, 제1 튜브(즉, 긴 아크 소호 튜브)(2D)는 수용 튜브(2T) 내에 배치되고 내부에 전도성 로드(23)를 수용하며, 여기에서 제1 튜브(2D)의 2개의 단부는 각각 제1 전도성 플레이트(25) 및 파형 개스킷(2B)과 접촉한다(그를 지탱함). 한편, 제2 튜브(즉, 짧은 아크 소호 튜브)(2C)는 제1 튜브(2D) 내에 배치되며, 여기에서 제2 튜브(2C)의 2개의 단부는 각각 제2 전기 부재(251) 및 제1 전기 부재(231)와 접촉한다(그를 지탱함).
도 6a 및 도 6b를 참조하면, 도 5a에 도시된 전도성 로드(23), 퓨즈 요소(24), 매스 블록(29) 및 제2 커버(C2)를 입체적으로 보기 위한 2개의 다이어그램이 도시되어 있다. 제2 튜브(2C)의 2개의 단부가 제2 전기 부재(251) 및 제1 전기 부재(231)에 의해 덮여서, 제2 튜브(2C)가 내부에 아크 소호실(공동)을 갖게 하는 것을 볼 수 있다. 따라서, 과전류가 제2 튜브(2C)의 아크 소호실 내의 퓨즈 요소(24)로 하여금 용융되게 하는 경우에, 갑자기 생성된 전기 아크가 제2 튜브(2C)의 내벽 상에 코팅된 아크 소호 층을 연소시켜, 그에 의해 아크 소호실 내에서 상당한 양의 가스를 생성한다. 그 결과, 상당한 양의 가스는 아크 소호실 내에서 높은 공기 압력이 발생하게 하여서, 제1 전기 부재(231)와 전도성 로드(23)가 높은 공기 압력에 의해 밀려 하향으로 이동하게 한다. 도 6a 및 도 6b가 도시하는 바와 같이, 매스 블록(29)은 아크 하단 표면을 갖는다. 따라서, 전도성 로드(23)가 연속적으로 하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매스 블록(29)은, 궁극적으로, 그의 아크 하단 표면이 제3 개구(C20)를 통과한 후에 제2 커버(C2) 밖으로 돌출된다. 도 5a 및 도 6b에 따르면, 제2 실린더 부재(221) 내에 끼워 넣어진 제2 전도성 플레이트(27)가, 또한, 제4 개구(281)를 덮기 위해 수용 부재(28)에 연결되고, 정지 블록(2A)이 제2 전도성 플레이트(27) 상에 배치되는 것을 볼 수 있다. 이와 같이, 매스 블록(29)이 제2 커버(C2) 밖으로 돌출될 뿐만 아니라 전도성 로드(23)가 하향으로 계속 이동한 후에, 제1 전기 부재(231)는 결과적으로 파형 개스킷(2B) 및 정지 블록(2A)에 의해 차단되어, 그에 의해, 전도성 로드(23)가 하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중지시킨다. 게다가, 제2 튜브(2C)(즉, 짧은 아크 소호 튜브) 및 전도성 로드(23)의 본체가 둘 모두 제1 튜브(2D)(즉, 긴 아크 소호 튜브) 내에 수용된다는 것은 언급할 가치가 있다. 이와 같이, 전도성 로드(23)가 하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제2 튜브(2C)의 아크 소호실 내에서 생성된 가스는 제1 튜브(2D) 내에서 유동하고, 후속적으로 제2 전도성 플레이트(27)의 통기 구멍(27V)을 통해 수용 부재(28) 내로 유동하며, 결과적으로 수용 부재(28)의 제5 개구 및 제2 커버(C2)의 제3 개구(C20)를 통해 공기 내로 유동한다.
완전히 폐쇄된 부하 차단 퓨즈 컷아웃 조립체
도 7a, 도 7b 및 도 7c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완전히 폐쇄된 부하 차단 퓨즈 컷아웃의 3개의 입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7a, 도 7b 및 도 7c에 따르면, 위에서 언급된 퓨즈 튜브 디바이스(2)는, 완전히 폐쇄된 부하 차단 퓨즈 컷아웃을 형성하기 위해 절연 디바이스(1)와 조립되도록 허용된다. 절연 디바이스(1)는, 주로, 수직으로 배향된 완전 폐쇄형 원통형 절연체(10), 수평으로 배향되고 제1 단부 및 제2 단부를 갖는 제1 원통형 절연체(11), 수평으로 배향되고 제3 단부 및 제4 단부를 갖는 제2 원통형 절연체(12), 수평으로 배향되고 제5 단부 및 제6 단부를 갖는 제3 원통형 절연체(13)를 포함하며, 여기에서 완전 폐쇄형 원통형 절연체(10), 제1 원통형 절연체(11), 제2 원통형 절연체(12) 및 제3 원통형 절연체(13)는 절연 디바이스(2)의 절연 본체를 형성하도록 일체로 제조된다. 게다가, 제1 원통형 절연체(11)의 제1 단부는 완전 폐쇄형 원통형 절연체(10)에 연결되고, 제1 원통형 절연체(11)의 제2 단부는 제1 단자 연결 개구(111)를 가지며, 제1 케이블 연결 개구(112)가 제1 원통형 절연체(11)의 일 측부 상에 형성된다. 특히, 제1 전기 연결 유닛(14)이 제1 원통형 절연체(11) 내에 수용되고, 제1 단자 연결 개구(111) 내에 위치되는 제1 단자 연결 부재, 및 제1 케이블 연결 개구(112) 내에 위치되는 제1 케이블 연결 부재를 갖는다.
한편, 제2 원통형 절연체(12)의 제3 단부는 완전 폐쇄형 원통형 절연체(10)에 연결되고, 제2 원통형 절연체(12)의 제4 단부는 제2 단자 연결 개구(121)를 가지며, 제2 케이블 연결 개구(122)가 제2 원통형 절연체(12)의 일 측부 상에 형성된다. 게다가, 제2 전기 연결 유닛(15)이 제2 원통형 절연체(12) 내에 수용되고, 제2 단자 연결 개구(121) 내에 위치되는 제2 단자 연결 부재, 및 제2 케이블 연결 개구(122) 내에 위치되는 제2 케이블 연결 부재를 갖는다. 이와 같이, 퓨즈 튜브 디바이스(2)를 절연 디바이스(1)와 조립할 때, 절연 하우징(20)의 제1 매립 부재(201) 및 제2 매립 부재(202)는 제1 단자 연결 개구(111) 및 제2 단자 연결 개구(121) 내에 매립되어서, 제1 전기 단자(212) 및 제2 전기 단자(222)가 각각 제1 단자 연결 부재 및 제2 단자 연결 부재와 접촉하게 한다.
아래에서 더 상세히 설명되는 바와 같이, 제3 원통형 절연체(13)는 완전 폐쇄형 원통형 절연체(10)의 중심 세그먼트 상의 위치에 위치되도록 제3 원통형 절연체의 제5 단부에 의해 완전 폐쇄형 원통형 절연체(10)에 연결된다. 게다가, 제3 원통형 절연체(13)의 제6 단부는 개구를 갖는다. 도 7a, 도 7b 및 도 7c에 따르면, 장착 브래킷(18)이 완전 폐쇄형 원통형 절연체(10) 내에 배치되며, 여기에서 장착 브래킷(18)은 지지 부재 및 장착 부재를 포함하고, 지지 부재는 완전 폐쇄형 원통형 절연체(10) 내에 배치되는 구조 부재에 연결되도록 개구 내에 매립된다. 게다가, 장착 부재는 지지 부재(181)와 연결되고, 제3 원통형 절연체(13) 밖으로 노출된다.
더욱이, 제1 아크 소호 유닛(16)이 제1 원통형 절연체(11) 내에 수용되고, 튜브 커넥터, 전도성 부재 및 아크 소호 튜브를 포함한다. 여기에서, 튜브 커넥터는 제1 원통형 절연체(11) 내의 제1 전기 연결 유닛(14)과 접촉한다. 한편, 제2 아크 소호 유닛(17)이 제2 원통형 절연체(12) 내에 수용되고, 또한 튜브 커넥터, 전도성 부재 및 아크 소호 튜브를 포함한다. 여기에서, 튜브 커넥터는 제2 원통형 절연체(12) 내의 제2 전기 연결 유닛(15)과 접촉한다. 그러한 배열에 의해, 제1 매립 부재(201) 및 제2 매립 부재(202)가 제1 단자 연결 개구(111) 및 제2 단자 연결 개구(121) 내에 매립된 후에, 제1 전기 단자(212)의 상단 단부 상에 배치된 제1 아크 소호 부재(212A)는 제1 아크 소호 유닛(16)의 아크 소호 튜브를 통과하여 튜브 커넥터와 접촉하고, 제1 전기 단자(212)는 궁극적으로 튜브 커넥터를 통해 제1 전기 연결 유닛(14)에 전기적으로 결합된다. 게다가, 제2 전기 단자(222)의 상단 단부 상에 배치된 제2 아크 소호 부재(222A)는 제2 아크 소호 유닛(17)의 아크 소호 튜브를 통과하여 튜브 커넥터와 접촉하고, 제2 전기 단자(222)는 궁극적으로 튜브 커넥터를 통해 제2 전기 연결 유닛(15)에 전기적으로 결합된다.
따라서, 위의 설명을 통해, 본 발명에 의해 제안된 퓨즈 튜브 디바이스 및 이러한 퓨즈 튜브 디바이스를 갖는 부하 차단 퓨즈 컷아웃 조립체의 모든 실시예들 및 그들의 구성 요소들이 완전하고 명확하게 소개되었으며; 요약하면, 본 발명은 하기의 이점을 포함한다:
(1) 도 7a 및 도 7b에 따르면, 본 발명은, 완전히 폐쇄된 부하 차단 퓨즈 컷아웃을 형성하기 위해 퓨즈 튜브 디바이스(2)와 조립되도록 허용되는 절연 디바이스(1)를 개시한다. 따라서, 상기 부하 차단 퓨즈 컷아웃이 전류 서지 및 과부하로부터 배전 변압기를 보호하기 위해 주 오버헤드 피더 라인 및 탭에 사용하기 위한 전력 시스템에 적용된 후에, 조류, 연 및/또는 가지가 절연 디바이스(1)의 절연 본체 및/또는 퓨즈 튜브 디바이스(2)의 절연 하우징(20) 내에 수용된 전도성 물품을 터치함으로써 감전을 일으킬 가능성이 없다.
(2) 도 7a 및 도 7b에 따르면, 절연 하우징(20)은, 수평 직사각형 부분(2031), 수직 직사각형 부분(2032) 및 원형 부분(2033)으로 구성되는 후킹 개구를 갖는 후킹 부재(203)를 갖는다. 그러한 배열에 의해, 기술진은, 라이브(live) 작업 도구를 작동시켜 먼저 수평 직사각형 부분(2031)을 연결하여서, 그에 의해, 퓨즈 튜브 디바이스(2)를 후방으로 당겨 제1 단자(21)(제2 단자(22))가 제1 단자 연결 개구(111)(제2 단자 연결 개구(121))를 떠나게 하도록 허용된다. 후속적으로, 기술진은, 라이브 작업 도구를 작동시켜 수직 직사각형 부분(2032)을 연결하여서, 퓨즈 튜브 디바이스(2)가 라이브 작업 도구에 의해 지지되게 하도록 허용된다. 궁극적으로, 기술진은, 라이브 작업 도구를 작동시켜 퓨즈 튜브 디바이스(2)를 지상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지상에 체류하고 있는 기술진이 부하 차단 퓨즈 컷아웃(1)의 퓨즈 튜브 디바이스(2)를 새로운 것으로 교체하기 위해 라이브 작업 도구를 제어하는 것이 실행가능하다.
(3) 도 6a, 도 6b, 도 7a 및 도 7b에 따르면, 과전류가 제2 튜브(2C)의 아크 소호실 내의 퓨즈 요소(24)로 하여금 용융되게 하는 경우에, 갑자기 생성된 전기 아크가 제2 튜브(2C)의 내벽 상에 코팅된 아크 소호 층을 연소시켜, 그에 의해 아크 소호실 내에서 상당한 양의 가스를 생성한다. 그 결과, 상당한 양의 가스는 아크 소호실 내에서 높은 공기 압력이 발생하게 하여서, 제1 전기 부재(231)와 전도성 로드(23)가 높은 공기 압력에 의해 밀려 하향으로 이동하게 한다. 전도성 로드(23)가 연속적으로 하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매스 블록(29)은, 궁극적으로, 그의 아크 하단 표면이 제3 개구(C20)를 통과한 후에 제2 커버(C2) 밖으로 돌출된다. 게다가, 매스 블록(29)이 제2 커버(C2) 밖으로 돌출될 뿐만 아니라 전도성 로드(23)가 하향으로 계속 이동한 후에, 제1 전기 부재(231)가 결과적으로 파형 개스킷(2B) 및 정지 블록(2A)에 의해 차단되어, 그에 의해, 전도성 로드(23)가 하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중지시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 결과, 기술진은, 특정 부하 차단 퓨즈 컷아웃 조립체의 퓨즈 튜브 디바이스(2)가 새로운 것으로 교체될 필요가 있다는 것을 용이하게 알 수 있다.
위의 설명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해 이루어진다. 그러나, 이러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범주를 제한하도록 의도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내의 모든 동등한 구현예 또는 변경은 여전히 본 발명의 범주 내에 속한다.

Claims (20)

  1. 퓨즈 튜브 디바이스(fuse tube device)로서,
    절연 하우징 - 상기 절연 하우징의 상단 및 하단은 각각 제1 개구 및 제2 개구를 갖고, 제1 매립 부재 및 제2 매립 부재가 상기 절연 하우징의 제1 측부 상에 형성됨 -;
    상기 절연 하우징 내에 배치되는 수용 튜브;
    상기 절연 하우징 내에 배치되고 제1 실린더 부재 및 상기 제1 실린더 부재와 연결되는 제1 전기 단자를 포함하는 제1 전기 연결 유닛 - 상기 제1 실린더 부재는 제1 연결 개구 및 제2 연결 개구를 갖고, 상기 수용 튜브의 일 단부는 상기 제1 실린더 부재 내에 위치되도록 상기 제2 연결 개구를 통과하며, 상기 제1 전기 단자는 상기 제1 매립 부재를 통해 상기 절연 하우징 밖으로 돌출됨 -;
    상기 절연 하우징 내에 배치되고 제2 실린더 부재 및 상기 제2 실린더 부재와 연결되는 제2 전기 단자를 포함하는 제2 전기 연결 유닛 - 상기 제2 실린더 부재는 제3 연결 개구 및 제4 연결 개구를 갖고, 상기 수용 튜브의 다른 하나의 단부는 상기 제2 실린더 부재 내에 위치되도록 상기 제4 연결 개구를 통과하며, 상기 제2 전기 단자는 상기 제2 매립 부재를 통해 상기 절연 하우징 밖으로 돌출됨 -;
    상기 절연 하우징 내에 배치되고 제1 단부 및 제2 단부를 갖는 전도성 로드 - 상기 제1 단부는 상기 제1 실린더 부재 내에 위치되고, 제1 전기 부재가 상기 제1 단부 상에 배치됨 -;
    상기 절연 하우징 내에 배치되고 제1 단자 및 제2 단자를 갖는 퓨즈 요소 - 상기 제1 단자는 상기 제1 전기 부재와 접촉함 -;
    제1 전도성 플레이트 - 상기 제1 전도성 플레이트는 상기 제1 연결 개구를 덮기 위해 상기 제1 실린더 부재에 연결되고, 제2 전기 부재가 상기 퓨즈 요소의 제2 단자와 접촉하기 위해 상기 제1 전도성 플레이트의 내부 표면 상에 배치됨 -;
    상기 제1 개구를 차폐하기 위해 상기 절연 하우징에 연결되고, 상기 제1 전도성 플레이트 및 상기 제1 실린더 부재의 일부분을 수용하기 위한 제1 리세스를 갖는 제1 커버;
    상기 제2 실린더 부재 내에 끼워 넣어지고 제1 관통 구멍을 갖는 제2 전도성 플레이트 - 상기 전도성 로드는 상기 제1 관통 구멍을 통과하여, 상기 제2 전도성 플레이트가 상기 전도성 로드의 제2 단부 근처에 위치되게 함 -; 및
    상기 제2 개구를 차폐하기 위해 상기 절연 하우징에 연결되는 제2 커버를 포함하는, 퓨즈 튜브 디바이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 하우징의 제2 측부 상에 후킹 부재(hooking member)가 제공되고, 상기 후킹 부재는, 수평 직사각형 부분, 수직 직사각형 부분 및 원형 부분으로 구성되는 후킹 개구를 갖는, 퓨즈 튜브 디바이스.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퓨즈 요소는 나권형(spiral wound) 퓨즈 와이어 및 직선형 퓨즈 와이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퓨즈 튜브 디바이스.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 하우징에는 그 상에 복수의 웨더쉐드(weathershed)가 제공되는, 퓨즈 튜브 디바이스.
  5. 제1항에 있어서, 제1 아크 소호(arc extinguishing) 부재가 상기 제1 전기 단자의 상단 단부에 연결되고, 제2 아크 소호 부재가 상기 제2 전기 단자의 상단 단부에 연결되는, 퓨즈 튜브 디바이스.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전도성 플레이트 상에 복수의 통기 구멍이 형성되는, 퓨즈 튜브 디바이스.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커버는 탄성 재료로 제조되고, 그 하단에 제3 개구가 형성되는 제2 리세스를 갖는, 퓨즈 튜브 디바이스.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커버 상에 복수의 좁은 홈이 형성되어 상기 제3 개구를 둘러싸는, 퓨즈 튜브 디바이스.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리세스 내에 배치되는 수용 부재 - 상기 수용 부재의 상단 및 하단은 각각 제4 개구 및 제5 개구를 갖고, 상기 제5 개구는 상기 제3 개구보다 크며, 상기 제2 전도성 플레이트는 동시에 상기 제4 개구를 덮음 -;
    상기 수용 부재 내에 배치되고, 상기 전도성 로드의 제2 단부를 수용하기 위한 리세스된 홈을 갖는 매스 블록(mass block);
    상기 제2 플레이트 상에 배치되고 제2 관통 구멍을 갖는 정지 블록 - 상기 전도성 로드는 동시에 상기 제2 관통 구멍을 통과함 -;
    상기 정지 블록 상에 배치되고 제3 관통 구멍을 갖는 파형 개스킷 - 상기 전도성 로드는 동시에 상기 제3 관통 구멍을 통과함 -;
    상기 수용 튜브 내에 배치되고 내부에 상기 전도성 로드를 수용하는 제1 튜브 - 상기 제1 튜브의 2개의 단부는 각각 상기 제1 전도성 플레이트 및 상기 파형 개스킷과 접촉함 -; 및
    상기 제1 튜브 내에 배치되는 제2 튜브 - 상기 제2 튜브의 2개의 단부는 각각 상기 제2 전기 부재 및 상기 제1 전기 부재와 접촉함 - 를 추가로 포함하는, 퓨즈 튜브 디바이스.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매스 블록은 중합체 층으로 코팅되는, 퓨즈 튜브 디바이스.
  11. 부하 차단 퓨즈 컷아웃 조립체(load break fuse cutout assembly)로서,
    절연 디바이스; 및
    퓨즈 튜브 디바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절연 디바이스는,
    수직으로 배향된 완전 폐쇄형 원통형 절연체;
    수평으로 배향되고 제1 단부 및 제2 단부를 갖는 제1 원통형 절연체 - 상기 제1 단부는 상기 완전 폐쇄형 원통형 절연체에 연결되고, 상기 제2 단부는 제1 단자 연결 개구를 가지며, 제1 케이블 연결 개구가 상기 제1 원통형 절연체의 일 측부 상에 형성됨 -;
    수평으로 배향되고 제3 단부 및 제4 단부를 갖는 제2 원통형 절연체 - 상기 제3 단부는 상기 완전 폐쇄형 원통형 절연체에 연결되고, 상기 제4 단부는 제2 단자 연결 개구를 가지며, 제2 케이블 연결 개구가 상기 제2 원통형 절연체의 일 측부 상에 형성됨 -;
    상기 제1 원통형 절연체 내에 수용되는 제1 전기 연결 유닛 - 상기 제1 전기 연결 유닛은 상기 제1 단자 연결 개구 내에 위치되는 제1 단자 연결 부재, 및 상기 제1 케이블 연결 개구 내에 위치되는 제1 케이블 연결 부재를 가짐 -; 및
    상기 제2 원통형 절연체 내에 수용되는 제2 전기 연결 유닛 - 상기 제2 전기 연결 유닛은 상기 제2 단자 연결 개구 내에 위치되는 제2 단자 연결 부재, 및 상기 제2 케이블 연결 개구 내에 위치되는 제2 케이블 연결 부재를 가짐 - 을 포함하고,
    상기 퓨즈 튜브 디바이스는,
    절연 하우징 - 상기 절연 하우징의 상단 및 하단은 각각 제1 개구 및 제2 개구를 갖고, 제1 매립 부재 및 제2 매립 부재가 상기 절연 하우징의 제1 측부 상에 형성됨 -;
    상기 절연 하우징 내에 배치되는 수용 튜브;
    상기 절연 하우징 내에 배치되고 제1 실린더 부재 및 상기 제1 실린더 부재와 연결되는 제1 전기 단자를 포함하는 제1 전기 연결 유닛 - 상기 제1 실린더 부재는 제1 연결 개구 및 제2 연결 개구를 갖고, 상기 수용 튜브의 일 단부는 상기 제1 실린더 부재 내에 위치되도록 상기 제2 연결 개구를 통과하며, 상기 제1 전기 단자는 상기 제1 매립 부재를 통해 상기 절연 하우징 밖으로 돌출됨 -;
    상기 절연 하우징 내에 배치되고 제2 실린더 부재 및 상기 제2 실린더 부재와 연결되는 제2 전기 단자를 포함하는 제2 전기 연결 유닛 - 상기 제2 실린더 부재는 제3 연결 개구 및 제4 연결 개구를 갖고, 상기 수용 튜브의 다른 하나의 단부는 상기 제2 실린더 부재 내에 위치되도록 상기 제4 연결 개구를 통과하며, 상기 제2 전기 단자는 상기 제2 매립 부재를 통해 상기 절연 하우징 밖으로 돌출됨 -;
    상기 절연 하우징 내에 배치되고 제5 단부 및 제6 단부를 갖는 전도성 로드 - 상기 제5 단부는 상기 제1 실린더 부재 내에 위치되고, 제1 전기 부재가 상기 제5 단부 상에 배치됨 -;
    상기 절연 하우징 내에 배치되고 제1 단자 및 제2 단자를 갖는 퓨즈 요소 - 상기 제1 단자는 상기 제1 전기 부재와 접촉함 -;
    제1 전도성 플레이트 - 상기 제1 전도성 플레이트는 상기 제1 연결 개구를 덮기 위해 상기 제1 실린더 부재에 연결되고, 제2 전기 부재가 상기 퓨즈 요소의 제2 단자와 접촉하기 위해 상기 제1 전도성 플레이트의 내부 표면 상에 배치됨 -;
    상기 제1 개구를 차폐하기 위해 상기 절연 하우징에 연결되고, 상기 제1 전도성 플레이트 및 상기 제1 실린더 부재의 일부분을 수용하기 위한 제1 리세스를 갖는 제1 커버;
    상기 제2 실린더 부재 내에 끼워 넣어지고 제1 관통 구멍을 갖는 제2 전도성 플레이트 - 상기 전도성 로드는 상기 제1 관통 구멍을 통과하여, 상기 제2 전도성 플레이트가 상기 전도성 로드의 제6 단부 근처에 위치되게 함 -; 및
    상기 제2 개구를 차폐하기 위해 상기 절연 하우징에 연결되는 제2 커버를 포함하며,
    상기 퓨즈 튜브 디바이스를 상기 절연 디바이스와 조립할 때, 상기 제1 매립 부재 및 상기 제2 매립 부재는 상기 제1 단자 연결 개구 및 상기 제2 단자 연결 개구 내에 매립되어서, 상기 제1 전기 단자 및 상기 제2 전기 단자가 각각 상기 제1 단자 연결 부재 및 상기 제2 단자 연결 부재와 접촉하게 하는, 부하 차단 퓨즈 컷아웃 조립체.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 하우징의 제2 측부 상에 후킹 부재가 제공되고, 상기 후킹 부재는, 수평 직사각형 부분, 수직 직사각형 부분 및 원형 부분으로 구성되는 후킹 개구를 갖는, 부하 차단 퓨즈 컷아웃 조립체.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퓨즈 요소는 나권형 퓨즈 와이어 및 직선형 퓨즈 와이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부하 차단 퓨즈 컷아웃 조립체.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 하우징에는 그 상에 복수의 웨더쉐드가 제공되는, 부하 차단 퓨즈 컷아웃 조립체.
  15. 제11항에 있어서, 제1 아크 소호 부재가 상기 제1 전기 단자의 상단 단부에 연결되고, 제2 아크 소호 부재가 상기 제2 전기 단자의 상단 단부에 연결되는, 부하 차단 퓨즈 컷아웃 조립체.
  16.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전도성 플레이트 상에 복수의 통기 구멍이 형성되는, 부하 차단 퓨즈 컷아웃 조립체.
  17.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커버는 탄성 재료로 제조되고, 그 하단에 제3 개구가 형성되는 제2 리세스를 갖는, 부하 차단 퓨즈 컷아웃 조립체.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커버 상에 복수의 좁은 홈이 형성되어 상기 제3 개구를 둘러싸는, 부하 차단 퓨즈 컷아웃 조립체.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퓨즈 튜브 디바이스는,
    상기 제2 리세스 내에 배치되는 수용 부재 - 상기 수용 부재의 상단 및 하단은 각각 제4 개구 및 제5 개구를 갖고, 상기 제5 개구는 상기 제3 개구보다 크며, 상기 제2 전도성 플레이트는 동시에 상기 제4 개구를 덮음 -;
    상기 수용 부재 내에 배치되고, 상기 전도성 로드의 제6 단부를 수용하기 위한 리세스된 홈을 갖는 매스 블록;
    상기 제2 플레이트 상에 배치되고 제2 관통 구멍을 갖는 정지 블록 - 상기 전도성 로드는 동시에 상기 제2 관통 구멍을 통과함 -;
    상기 정지 블록 상에 배치되고 제3 관통 구멍을 갖는 파형 개스킷 - 상기 전도성 로드는 동시에 상기 제3 관통 구멍을 통과함 -;
    상기 수용 튜브 내에 배치되고 내부에 상기 전도성 로드를 수용하는 제1 튜브 - 상기 제1 튜브의 2개의 단부는 각각 상기 제1 전도성 플레이트 및 상기 파형 개스킷과 접촉함 -; 및
    상기 제1 튜브 내에 배치되는 제2 튜브 - 상기 제2 튜브의 2개의 단부는 각각 상기 제2 전기 부재 및 상기 제1 전기 부재와 접촉함 - 를 추가로 포함하는, 부하 차단 퓨즈 컷아웃 조립체.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매스 블록은 중합체 층으로 코팅되는, 부하 차단 퓨즈 컷아웃 조립체.
KR1020220116893A 2021-11-17 2022-09-16 퓨즈 튜브 디바이스 및 이를 갖는 부하 차단 퓨즈 컷아웃 조립체 KR2023007240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TW110142679A TWI785892B (zh) 2021-11-17 2021-11-17 熔絲管裝置及具有該熔絲管裝置的負載可切熔絲鏈開關
TW110142679 2021-11-17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72402A true KR20230072402A (ko) 2023-05-24

Family

ID=838095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16893A KR20230072402A (ko) 2021-11-17 2022-09-16 퓨즈 튜브 디바이스 및 이를 갖는 부하 차단 퓨즈 컷아웃 조립체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1488794B1 (ko)
KR (1) KR20230072402A (ko)
MX (1) MX2022012102A (ko)
TW (1) TWI785892B (ko)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961518A (en) * 1957-10-11 1960-11-22 Gen Electric Circuit interrupter
CA1019819A (en) * 1974-08-19 1977-10-25 Kearney-National Inc. Electric connector apparatus with arc-quenching means
US6593842B2 (en) * 2001-04-26 2003-07-15 Hubbell Incorporated Polymeric cutout assembly
US7572133B2 (en) * 2005-11-14 2009-08-11 Cooper Technologies Company Separable loadbreak connector and system
AU2007330520B2 (en) * 2006-12-01 2012-07-26 Mazer Technologies (Pty) Ltd Dropout fuse assembly and fuse holder
US7683751B2 (en) * 2007-01-18 2010-03-23 Eaton Corporation Fuse mounting member
CN101855692B (zh) * 2007-07-26 2013-06-26 Abb研究有限公司 具有自动重新闭合的断流器
US7948352B2 (en) * 2007-10-08 2011-05-24 Abb Research Ltd. Wirelessly powered secondary electrical distribution equipment
US8127642B2 (en) * 2009-10-28 2012-03-06 Garry Creech Fuse barrel component handling device
US8729396B2 (en) * 2010-09-02 2014-05-20 Cooper Technologies Company Full composite insulator for electrical cutout
AU2013404504B2 (en) * 2013-10-30 2017-02-02 Abb Schweiz Ag Cutout for use in electrical distribution network
US10043630B2 (en) * 2014-03-20 2018-08-07 Thomas & Betts International Llc Fuse insulating support bracket with pre-molded shed
US9953795B2 (en) * 2014-07-14 2018-04-24 Hubbell Incorporated Fuse cutout insulator
US20170059640A1 (en) * 2015-08-31 2017-03-02 Cooper Technologies Company System for monitoring a fuse link, fuse tube assembly and fuse cutout including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1488794B1 (en) 2022-11-01
TWI785892B (zh) 2022-12-01
MX2022012102A (es) 2023-05-18
TW202322170A (zh) 2023-06-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605402B2 (en) Heat sensor responsive to electrical overloads
US8154831B2 (en) Leakage current detection interrupter with fire protection means
EP3345203B1 (en) Relay
RU2719326C2 (ru) Электрическое защитное устройство в модульном формате
TWI251847B (en) Vacuum switchgear system and kit for system
US4074337A (en) Protector for telecommunication lines
KR20230072402A (ko) 퓨즈 튜브 디바이스 및 이를 갖는 부하 차단 퓨즈 컷아웃 조립체
CN202206074U (zh) 保护性电气布线设备
US5936821A (en) Overvoltage protection plug with fail-safe device having optional visual fail-fail signal indicator
US7436639B2 (en) Compact ground fault circuit interrupter module
US2572901A (en) Fuse link
US6617974B2 (en) Multiple pole fused disconnect
KR100854334B1 (ko) 내선 전기공사 조인트 컨넥터
US11508538B1 (en) Insulation device and load break fuse cutout assembly having the same
EP2782115B1 (en) Fuse block base
CN212209410U (zh) 熔断器
CN220604603U (zh) 一种熔断器的绝缘安装结构
JP2016162683A (ja) 高圧電気回路保護用ヒューズ
CN209747398U (zh) 散热架和散热固封极柱
JP2006166622A (ja) 避雷器付分電盤
CN219998106U (zh) 一种可靠性高的真空负荷开关
US2058594A (en) Protective device
CN210536028U (zh) 一种用于环网柜的固体绝缘全密封结构
US20230146112A1 (en) Electrical panelboard assembly including power distribution heatsink assembly, systems and methods
US2295310A (en) Electric cutou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