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72165A - 바닥재 - Google Patents

바닥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72165A
KR20230072165A KR1020210158626A KR20210158626A KR20230072165A KR 20230072165 A KR20230072165 A KR 20230072165A KR 1020210158626 A KR1020210158626 A KR 1020210158626A KR 20210158626 A KR20210158626 A KR 20210158626A KR 20230072165 A KR20230072165 A KR 202300721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ooring material
base layer
phr
long side
neighbo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586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706569B1 (ko
Inventor
김성규
노형문
손종석
남승백
김지선
신지희
Original Assignee
(주)엘엑스하우시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엘엑스하우시스 filed Critical (주)엘엑스하우시스
Priority to KR10202101586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706569B1/ko
Publication of KR202300721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721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7065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7065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 B32B3/0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form at particular places, e.g. in edge regions
    • B32B3/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form at particular places, e.g. in edge regions for securing layers together; for attaching the product to another member, e.g. to a support, or to another product, e.g. groove/tongue, interlock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 B32B27/30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comprising vinyl halide (co)polymers, e.g. PVC, PVDC, PVF, PVDF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5/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n aromatic carbocyclic ring;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5/0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hydrocarbons
    • C08L25/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styrene
    • C08L25/06Polystyr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7/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7/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7/04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containing chlorine atoms
    • C08L27/06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vinyl chlorid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70/00Resin or rubber layer containing a blend of at least two different polymer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201/00Joining sheets or plates or panels
    • E04F2201/02Non-undercut connections, e.g. tongue and groove connections
    • E04F2201/023Non-undercut connections, e.g. tongue and groove connections with a continuous tongue or groov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loor Finish (AREA)

Abstract

본 출원은 바닥재에 관한 것이다. 본 출원의 바닥재에 의하면 마루 바닥재와 유사한 강도 및 딱딱함을 부여하여 바닥면으로 울퉁불퉁함 또는 갈라진 부분의 전사가 없고, 이웃하는 바닥재 간에 체결 구조를 가질 수 있으며, 경량화가 가능하여 시공성이 개선되고, 사이즈의 대형화가 가능하며, 치수안정성이 우수할 수 있다.

Description

바닥재{FLOORING SHEET}
본 출원은 바닥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바닥재의 종류로는 목질을 이용한 마루 바닥재가 있다. 이러한 마루 바닥재는 유연성이 없고 딱딱하여 평탄하지 않은 바닥 면 위에 시공하더라도 울퉁불퉁함이 마루로 전사되지 않으며, 이웃하는 바닥재 간에 체결 구조를 형성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마루 바닥재의 경우, 수분에 취약하고, 온도에 따른 치수 변화율이 크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바닥재로 폴리염화비닐(PVC) 베이스층을 포함하는 바닥재를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바닥재의 경우, 폴리염화비닐 등의 수지를 베이스층으로 사용함으로써 연질의 유연한 물성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폴리염화비닐 베이스층에 연질의 유연한 물성을 없애고 뻣뻣하며 단단(grid)한 물성을 부여하기 위해 가소제를 소량 첨가하거나 아예 첨가하지 않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폴리염화비닐 베이스층은 가소제의 소량 첨가 및 미 첨가로 인해 카렌다 가공을 수행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고, 압출 가공만 수행이 가능하다는 문제가 발생되었다.
마루 또는 타일 등의 바닥재를 더 가볍게 만들면 시공이 편리하고 바닥재의 대형화가 가능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마루 바닥재와 유사한 강도 및 딱딱함을 부여하여 바닥면으로 울퉁불퉁함 또는 갈라진 부분의 전사가 없고, 이웃하는 바닥재 간에 체결 구조를 가질 수 있으며, 경량화를 통해 시공성이 개선되고, 치수 안정성이 우수한 바닥재가 요구되고 있다.
본 출원의 과제는 마루 바닥재와 유사한 강도 및 딱딱함을 부여하여 바닥면으로 울퉁불퉁함 또는 갈라진 부분의 전사가 없고, 이웃하는 바닥재 간에 체결 구조를 가질 수 있으며, 경량화를 통해 시공성이 개선되고, 사이즈의 대형화가 가능하며, 치수 안정성이 우수한 바닥재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출원의 바닥재는 짧은 측면의 길이가 10 cm 내지 30 cm이고, 긴 측면의 길이가 100 cm 내지 160 cm인 직사각형 형상이며, 폴리스티렌 수지를 10 phr 내지 30 phr으로 포함하는 베이스층, 인쇄층 및 표면층을 순차로 포함하며, 굴곡 강도가 20 MPa 내지 29 MPa이다.
상기 굴곡 강도는 27 MPa 내지 29 MPa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폴리스티렌 수지는 상기 베이스층 내에 15 phr 내지 25 phr으로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베이스층은 폴리염화비닐 수지를 70 phr 내지 90 phr로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베이스층은 충진제를 250 phr 내지 350 phr로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바닥재는 상기 베이스층과 인쇄층의 박리강도가 2 kgf/2cm 이상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바닥재는 치수변화율이 0.01% 내지 0.04% 미만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베이스층은 긴 측면 중 어느 하나의 측면에 내측으로 함몰되고 이웃하는 바닥재의 제 1 삽입부가 접촉되는 면에 길이 방향 및 두께 방향으로 제 1 오목부 및 제 1 볼록부를 각각 구비하는 제 1 홈부, 상기 제 1 홈부와 마주하는 긴 측면에 외곽으로 돌출되고 이웃하는 바닥재의 제 1 홈부가 접촉되는 면에 길이 방향 및 두께 방향으로 제 2 오목부 및 제 2 볼록부를 각각 구비하는 제 1 삽입부, 짧은 측면 중 어느 하나의 측면에 내측으로 함몰되고 이웃하는 바닥재의 제 2 삽입부가 접촉되는 면에 길이 방향으로 제 3 오목부 및 제 3 볼록부를 구비하는 제 2 홈부 및 상기 제 2 홈부와 마주하는 짧은 측면에 외곽으로 돌출되고 이웃하는 바닥재의 제 2 홈부가 접촉되는 면에 길이 방향으로 제 4 오목부 및 제 4 볼록부를 구비하는 제 2 삽입부를 가지는 클릭구조를 갖고, 이웃하는 바닥재와 연이어 끼움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클릭구조를 갖는 베이스층은 어느 하나의 긴 측면이 이웃하는 바닥재의 긴 측면과 회전 결합되고, 어느 하나의 짧은 측면이 이웃하는 바닥재의 짧은 측면과 수직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클릭구조를 갖는 베이스층은 어느 하나의 긴 측면이 이웃하는 바닥재의 긴 측면과 결합된 후, 어느 하나의 짧은 측면이 이웃하는 바닥재의 짧은 측면과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클릭구조를 갖는 베이스층은 어느 하나의 긴 측면을 이웃하는 바닥재의 긴 측면에 기울어진 상태로 끼우고, 끼워진 모서리를 중심 축으로 하여 회전시켜 상기 어느 하나의 긴 측면이 이웃하는 바닥재의 긴 측면과 회전 결합되고, 상기 회전 결합을 통하여 상기 어느 하나의 긴 측면이 바닥에 안착되면서 상기 클릭구조를 갖는 베이스층의 어느 하나의 짧은 측면이 이웃하는 바닥재의 짧은 측면과 수직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클릭구조를 갖는 베이스층의 어느 하나의 긴 측면은 상기 이웃하는 바닥재의 긴 측면에 끼워지는 각도가 30° 내지 60°일 수 있다.
본 출원의 바닥재에 의하면 마루 바닥재와 유사한 강도 및 딱딱함을 부여하여 바닥면으로 울퉁불퉁함 또는 갈라진 부분의 전사가 없고, 이웃하는 바닥재 간에 체결 구조를 가질 수 있으며, 경량화가 가능하여 시공성이 개선되고, 사이즈의 대형화가 가능하며, 치수안정성이 우수할 수 있다.
도 1은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닥재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2는 본 출원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바닥재의 베이스층이 클릭(click)구조를 가지는 경우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제 1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출원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바닥재의 베이스층이 클릭(click)구조를 가지는 경우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제 2 측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출원의 바닥재를 설명하며, 첨부된 도면은 예시적인 것으로, 본 출원의 바닥재가 첨부된 도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닥재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출원의 바닥재는 짧은 측면의 길이가 10 cm 내지 30 cm이고, 긴 측면의 길이가 100 cm 내지 160 cm인 직사각형 형상을 갖고, 베이스층(110), 인쇄층(120) 및 표면층(130)을 순차로 포함한다. 본 출원의 바닥재에 의하면 마루 바닥재와 유사한 강도 및 딱딱함을 부여하여 바닥면으로 울퉁불퉁함 또는 갈라진 부분의 전사가 없고, 이웃하는 바닥재 간에 체결 구조를 가질 수 있으며, 경량화가 가능하여 시공성이 개선되고, 사이즈의 대형화가 가능하며, 치수안정성이 우수할 수 있다.
상기 바닥재의 굴곡강도는 20 MPa 내지 29 MPa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바닥재의 굴곡강도는 22 MPa 내지 29 MPa, 24 MPa 내지 29 MPa, 26 MPa 내지 29 MPa 또는 27 MPa 내지 29 MPa일 수 있다. 상기 바닥재가 전술한 범위 내의 굴곡강도를 가짐으로써 바닥 전사 방지 및 제품의 평평도(Flatness)를 유지할 수 있고, 이웃하는 바닥재와의 체결 구조 형성 및 체결이 용이할 수 있다. 상기 바닥재의 굴곡강도가 전술한 범위 미만인 경우, 딱딱하지 않아 울퉁불퉁함이 바닥재로 전사되고, 이웃하는 바닥재 간에 체결 구조를 형성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상기 바닥재의 굴곡강도가 전술한 범위 초과인 경우, 너무 뻣뻣하여 안착성이 좋지 않을 수 있다.
상기 베이스층은 상기 바닥재의 가장 기본이 되는 층으로서, 최하단에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층의 상부에 배치된 인쇄층 및 표면층 등을 지지하며, 상부나 하부의 충격을 흡수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층은 폴리스티렌 수지를 10 phr 내지 30 phr로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베이스층은 폴리스티렌 수지를 13 phr 내지 27 phr 또는 15 phr 내지 25 phr으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층은 전술한 범위 내의 폴리스티렌 수지를 포함함으로써, 마루 바닥재와 유사한 강도 및 딱딱함을 부여하여 바닥면으로 울퉁불퉁함 또는 갈라진 부분의 전사가 없고, 이웃하는 바닥재 간에 체결 구조를 가질 수 있으며, 경량화가 가능하여 시공성이 개선되고, 사이즈의 대형화가 가능하며, 치수안정성이 우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폴리스티렌 수지가 전술한 함량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베이스층의 상부에 형성된 인쇄층에 포함된 백색 필름이 PVC로 제조되어 인쇄층과 접합이 되지 않을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phr(part per hundred resin」은 수지 전체 100 중량부 대비 함량을 의미한다.
하나의 예시에서, 상기 베이스층은 폴리염화비닐 수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베이스층은 폴리스티렌 수지 및 폴리염화비닐 수지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베이스층은 상기 폴리스티렌 수지를 10 phr 내지 30 phr로, 상기 폴리염화비닐 수지를 70 phr 내지 90 phr로 포함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상기 베이스층은 상기 폴리스티렌 수지를 13 phr 내지 27 phr 또는 15 phr 내지 25 phr로, 상기 폴리염화비닐 수지를 73 phr 내지 87 phr 또는 75 phr 내지 85 phr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층은 폴리염화비닐 수지를 더 포함하고, 전술한 범위 내의 폴리스티렌 수지 및 폴리염화비닐 수지를 포함함으로써, 마루 바닥재와 유사한 강도 및 딱딱함을 부여하여 바닥면으로 울퉁불퉁함 또는 갈라진 부분의 전사가 없고, 이웃하는 바닥재 간에 체결 구조를 가질 수 있으며, 경량화가 가능하여 시공성이 개선되고, 사이즈의 대형화가 가능하며, 치수안정성이 우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베이스층은 충진제를 250 phr 내지 350 phr로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베이스층은 폴리스티렌 수지 및 충진제를 포함하거나, 또는 폴리스티렌 수지, 폴리염화비닐 수지 및 충진제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베이스층은 충진제를 270 phr 내지 330 phr 또는 290 phr 내지 310 phr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층은 전술한 범위 내의 충진제를 더 포함함으로써, 치수변화율을 낮춰 치수안정성이 우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충진제는 탄석, 탈크, 플라이애쉬, 및 고로슬래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일 수 있다. 상기 충진제는 등방성일 수 있고, 이 경우, 경제적인 효과 및 물성 향상 효과를 모두 고려하여 적절한 크기의 입자를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충진제는 가격 및 범용성 측면에서 유리하고 내구성을 높일 수 있는 탄석(CaCO3)일 수 있다.
또 하나의 예시에서, 상기 베이스층은 안정제, 활제, 가공조제, 보강제, 착색제 및 상용화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첨가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베이스층은 폴리스티렌 수지, 충진제 및 첨가제를 포함하거나, 또는 폴리스티렌 수지, 폴리염화비닐 수지, 충진제 및 첨가제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베이스층은 첨가제를 더 포함함으로써, 첨가제 각각의 효과 및 경제적 측면에 있어서 동시에 유리한 효과를 구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베이스층에 안정제를 더 포함함으로써, 수지의 열성화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베이스층에 활제를 포함함으로써, 수지 가공 시 소성을 개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베이스층에 가공조제를 포함함으로써, 베이스층의 가공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베이스층에 보강제를 포함함으로써, 수지의 물리 화학적 성질을 개선하여 보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베이스층에 착색제를 포함함으로써 베이스층을 착색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베이스층에 상용화제를 포함함으로써, 수지 간 표면장력을 감소시킬 수 있다.
상기 베이스층의 두께는 3 mm 내지 10 mm일 수 있다. 상기 베이스층은 전술한 범위 내의 두께를 가짐으로써 바닥전사를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인쇄층은 바닥재재에 인쇄무늬를 형성하기 위한 층으로서, 상기 베이스층의 상부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바닥재의 인쇄무늬로는 나무의 나이테 무늬를 사용할 수 있다.
하나의 예시에서, 상기 인쇄층은 인쇄무늬가 인쇄된 백색 시트(미도시)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인쇄무늬가 인쇄된 백색 시트는 백색 시트의 표면에 전사 인쇄, 그라비어 인쇄, 스크린 인쇄, 오프셋 인쇄, 로터리 인쇄 또는 플렉소 인쇄 등의 다양한 방식으로 무늬를 부여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인쇄층으로 인쇄무늬가 인쇄된 백색시트를 사용함으로써, 상기 백색시트 상에 인쇄 무늬가 선명하게 나타날 수 있고, 상기 인쇄층의 상부에 형성되는 표면층 및 상기 인쇄층의 하부에 형성되는 베이스층 사이의 부착력을 향상시켜 우수한 내구성을 구현할 수 있다.
예을 들어, 상기 백색시트는 폴리염화비닐 수지 100 phr, 탄석 40 phr 및 TiO2 백색안료 10 phr 내지 15 phr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백색시트는 전술한 조성을 만족함으로써, 인쇄 무늬를 선명하게 나타낼 수 있다.
상기 인쇄층의 두께는 0.1 mm 이하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표면층은 상기 인쇄층의 표면에 형성된 층으로서, 상기 바닥재의 최상부에 형성될 수 있다.
하나의 예시에서, 상기 표면층은 동조 엠보가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동조 엠보가 된 표면층은 상기 인쇄층에 형성된 인쇄무늬에 입체적 돌출감과 깊이감을 줄 수 있는 엠보 무늬를 동조시켜 표면 처리를 수행하여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동조 엠보가 된 표면층은 상기 베이스층, 인쇄층 및 표면층을 열 압착한 상태에서 상기 인쇄층에 인쇄된 무늬에 맞춰 상기 인쇄층의 표면에 양각 또는 음각 등의 요철 무늬를 부여하는 엠보 인쇄를 거친 후 롤 사이를 통과시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표면층의 두께는 0.1 mm 내지 1 mm일 수 있다. 상기 표면층은 전술한 범위 내의 두께를 가짐으로써 내마모성과 인쇄 보호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표면층으로 5 phr 내지 10 phr의 폴리염화비닐 수지를 포함하는 필름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표면층으로 전술한 필름을 사용함으로써, 내마모성과 인쇄 보호 효과를 가질 수 있다.
하나의 예시에서, 상기 바닥재 전체의 두께는 3 mm 내지 10 mm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바닥재 전체의 두께는 3.5 mm 내지 8 mm, 4 mm 내지 6 mm 또는 4.5 mm 내지 5 mm일 수 있다. 상기 바닥재는 전술한 범위 내의 전체 두께를 가짐으로써 전술한 범위 내의 두께를 가짐으로써 단단한 물성을 갖고, 바닥 전사가 되지 않는 유리함을 가질 수 있으며, 이웃하는 바닥재와 끼움 결합 시 파손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상기 바닥재는 상기 베이스층과 인쇄층의 박리강도가 2 kgf/2cm 이상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베이스층과 인쇄층의 박리강도는 2.5 kgf/2cm 이상일 수 있다. 상기 바닥재는 전술한 박리강도를 가짐으로써, 접합강도가 우수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층과 인쇄층의 박리강도는 전술한 범위 이상이면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예를 들어, 4 kgf/2cm 이하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바닥재의 비중은 1.90 g/cm3 내지 1.95 g/cm3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바닥재의 비중은 1.90 g/cm3 내지 1.94 g/cm3일 수 있다. 상기 바닥재가 전술한 범위 내의 비중을 가짐으로써 경량화가 가능하여 시공성이 개선되고, 사이즈의 대형화가 가능하며, 치수안정성이 우수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비중 측정방법은 하기에서 후술하는 바와 동일하므로, 이를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상기 바닥재의 치수변화율은 0.01% 내지 0.04% 미만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바닥재의 치수변화율은 0.02% 내지 0.03%일 수 있다. 상기 바닥재가 전술한 범위 내의 작은 치수변화율을 가짐으로써, 치수안정성이 우수할 수 있다. 이때, 치수변화율 측정방법은 하기에서 후술하는 바와 동일하므로, 이를 생략하기로 한다.
하나의 예시에서, 상기 베이스층은 이웃하는 바닥재와 클릭(click)구조로 연이어 끼움 결합될 수 있다.
하나의 예시에서, 상기 베이스층(310)은 클릭구조를 갖고, 이웃하는 바닥재와 연이어 끼움 결합될 수 있다.
도 2는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닥재의 베이스층이 클릭(click)구조를 가지는 경우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제 1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닥재의 베이스층이 클릭(click)구조를 가지는 경우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제 2 측면도이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클릭구조를 갖는 베이스층(210)은 긴 측면 중 어느 하나의 측면에 내측으로 함몰되고 이웃하는 바닥재의 제 1 삽입부(미도시)가 접촉되는 면에 길이 방향 및 두께 방향으로 제 1 오목부(2111) 및 제 1 볼록부(2112)를 각각 구비하는 제 1 홈부(211) 및 상기 제 1 홈부와 마주하는 긴 측면에 외곽으로 돌출되고 이웃하는 바닥재의 제 1 홈부(미도시)가 접촉되는 면에 길이 방향 및 두께 방향으로 제 2 오목부(2121) 및 제 2 볼록부(2122)를 각각 구비하는 제 1 삽입부(212)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클릭구조를 갖는 베이스층(310)은 짧은 측면 중 어느 하나의 측면에 내측으로 함몰되고 이웃하는 바닥재의 제 2 삽입부(미도시)가 접촉되는 면에 길이 방향으로 제 3 오목부(3111) 및 제 3 볼록부(3112)를 구비하는 제 2 홈부(311) 및 상기 제 2 홈부와 마주하는 짧은 측면에 외곽으로 돌출되고 이웃하는 바닥재의 제 2 홈부(미도시)가 접촉되는 면에 길이 방향으로 제 4 오목부(3121) 및 제 4 볼록부(3122)를 구비하는 제 2 삽입부(312)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닥재가 전술한 구조의 베이스층을 가짐으로써, 상기 일 실시예에 따른 바닥재의 제 1 홈부에 이웃하는 바닥재의 제 1 삽입부가 삽입되어 끼움 결합이 가능하고, 또한, 상기 일 실시예에 따른 바닥재의 제 1 삽입부가 이웃하는 바닥재의 제 1 홈부에 삽입되어 끼움 결합이 가능하며, 상기 일 실시예에 따른 바닥재의 제 2 홈부에 이웃하는 바닥재의 제 2 삽입부가 삽입되어 끼움 결합이 가능하고, 또한, 상기 일 실시예에 따른 바닥재의 제 2 삽입부가 이웃하는 바닥재의 제 2 홈부에 삽입되어 끼움 결합이 가능할 수 있다.
하나의 예시에서, 상기 클릭구조를 갖는 베이스층은 어느 하나의 긴 측면이 이웃하는 바닥재의 긴 측면과 회전 결합되고, 어느 하나의 짧은 측면이 이웃하는 바닥재의 짧은 측면과 수직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회전 결합은 특정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결합되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상기 수직 결합은 수직 방향으로 힘이 가해져 결합되는 것을 의미한다.
이때, 상기 클릭구조를 갖는 베이스층은 어느 하나의 긴 측면이 이웃하는 바닥재의 긴 측면과 결합된 후, 어느 하나의 짧은 측면이 이웃하는 바닥재의 짧은 측면과 결합될 수 있다. 즉, 상기 클릭구조를 갖는 베이스층의 어느 하나의 긴 측면과 이웃하는 바닥재의 긴 측면 간의 결합을 통해 상기 클릭구조를 갖는 베이스층의 어느 하나의 짧은 측면과 이웃하는 바닥재의 짧은 측면 또한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클릭구조를 갖는 베이스층은 어느 하나의 긴 측면을 이웃하는 바닥재의 긴 측면에 기울어진 상태로 끼우고, 끼워진 모서리를 중심 축으로 하여 회전시켜 상기 어느 하나의 긴 측면이 이웃하는 바닥재의 긴 측면과 회전 결합되고, 상기 회전 결합을 통하여 상기 어느 하나의 긴 측면이 바닥에 안착되면서 상기 클릭구조를 갖는 베이스층의 어느 하나의 짧은 측면이 이웃하는 바닥재의 짧은 측면과 수직 결합될 수 있다. 즉, 상기 클릭구조를 갖는 베이스층의 어느 하나의 긴 측면이 이웃하는 바닥재의 긴 측면과 회전 결합 시 발생되는 힘이 수직으로 발생되어 상기 상기 클릭구조를 갖는 베이스층의 어느 하나의 짧은 측면이 이웃하는 바닥재의 짧은 측면과 수직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클릭구조를 갖는 베이스층의 어느 하나의 긴 측면은 상기 이웃하는 바닥재의 긴 측면에 끼워지는 각도가 30° 내지 60°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클릭구조를 갖는 베이스층의 어느 하나의 긴 측면은 상기 이웃하는 바닥재의 긴 측면에 끼워지는 각도가 40° 내지 50°일 수 있다. 상기 클릭구조를 갖는 베이스층의 어느 하나의 긴 측면은 상기 이웃하는 바닥재의 긴 측면에 끼워지는 각도가 전술한 범위를 만족함으로써, 상기 이웃하는 바닥재의 긴 측면에 전술한 끼움 결합이 가능할 수 있다.
하나의 예시에서, 본 출원의 바닥재는 자외선 경화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자외선 경화층은 바닥재에 내마모성 및 내충격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층으로서, 상기 표면층 상에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자외선 경화층은 상기 표면층 상에 자외선 경화 수지를 코팅한 후 자외선을 조사하여 경화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자외선 경화층은 전술한 수지로 형성됨으로써, 마모나 충격으로부터 바닥재를 보호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자외선 경화 수지로는 우레탄아크릴레이트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자외선 경화층 형성을 위해 광개시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출원을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본 출원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바닥재의 제조
폴리스티렌 수지(GS25sppe, LG화학) 15 phr, 폴리염화비닐 수지(LS100, LG화학) 85 phr 및 탄석 300 phr을 혼합한 후, 압출기를 통해 두께가 4.5 mm인 베이스층을 형성하며, 상기 베이스층 상에 카렌다(calender) 공정을 통해 폴리염화비닐 수지 100 phr, 탄석 40 phr 및 TiO2 백색안료 13 phr를 포함하는 백색필름으로 인쇄층을 형성하고, 상기 인쇄층 상에 폴리염화비닐 수지 100 phr에 가소제 5 phr을 혼합한 혼합물을 도포한 후, 카렌다(calender) 공정을 통해 두께가 약 0.15 mm인 표면층을 형성하며, 상기 표면층 상에 광개시제 및 우레탄아크릴레이트를 혼합여 롤 코팅 후, UV를 조사하여 두께가 약 20 ㎛인 자외선 경화층을 형성함으로써 전체 두께가 5 mm이고, 비중이 1.94 g/cm3인 바닥재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2
바닥재의 제조
최하단에 폴리스티렌 수지(GS25sppe, LG화학) 25 phr, 폴리염화비닐(LS100, LG화학) 75 phr 및 탄석 300 phr을 혼합한 후, 압출기를 통해 두께가 4.5 mm인 베이스층을 형성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전체 두께가 5 mm이고, 비중이 1.90 g/cm3인 바닥재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1
바닥재의 제조
최하단에 폴리염화비닐(LS100, LG화학) 100 phr 및 탄석 300 phr을 혼합하여 압출기를 통해 두께가 4.5 mm인 베이스층을 형성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전체 두께가 5 mm이고, 비중이 2.10 g/cm3인 바닥재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2
바닥재의 제조
최하단에 폴리염화비닐(LS100, LG화학) 100 phr 및 DOTP(Dioctyl Terephthalate) 가소제(GL300, LG화학) 5 phr을 혼합하여 압출기를 통해 두께가 4.5 mm인 베이스층을 형성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전체 두께가 5 mm이고, 비중이 2.10 g/cm3인 바닥재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3
바닥재의 제조
최하단에 폴리스티렌 수지(GS25sppe, LG화학) 35 phr 및 폴리염화비닐(LS100, LG화학) 65 phr을 혼합한 후, 압출기를 통해 두께가 4.5 mm인 베이스층을 형성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전체 두께가 5 mm이고, 비중이 1.98 g/cm3인 바닥재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4
바닥재의 제조
최하단에 폴리스티렌 수지(GS25sppe, LG화학) 5 phr, 폴리염화비닐(LS100, LG화학) 95 phr 및 탄석 300 phr을 혼합한 후, 압출기를 통해 두께가 4.5 mm인 베이스층을 형성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전체 두께가 5 mm이고, 비중이 2.02 g/cm3인 바닥재를 제조하였다.
실험예 1. 두께 측정
실시예 및 비교예 각각의 바닥재에 대하여, 버니어 캘리퍼스를 이용하여 5번 측정한 후 이의 평균 값을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실험예 2. 비중 측정
실시예 및 비교예 각각의 바닥재에 대하여, 비중계를 이용하여 비중을 측정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실험예 3. 굴곡강도 측정
베이스층, 표면층 및 인쇄층을 분리하지 않은 실시예 및 비교예 각각의 바닥재에 대하여, 4 mm X 1 cm X 8 cm(두께 X 폭 X 길이)의 크기로 재단한 후, ISO 178에 의거하여 23℃에서 Universal Testing Machine(UTM, Instron社)으로 굴곡강도를 측정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이때, 실시예 및 비교예 각각의 바닥재의 두께 및 폭은 UTM에 입력 시 기존 크기에 - 2 mm 내지 6 mm의 크기가 추가 보정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 각각의 바닥재는 두께 및 폭이 상기 범위로 보정된 크기를 가지더라도 기존 크기에 대하여 굴곡강도를 측정한 것으로 평가하였다.
실험예 4. 치수안정성 측정
실시예 및 비교예 각각의 바닥재에 대하여, 250 mm X 250 mm(폭 X 길이)의 크기로 재단한 후, 약 25℃의 상온에서 상기 재단된 바닥재의 길이 방향의 초기 치수를 측정하고, 이어서, 상기 바닥재를 80(±2)℃에서 6시간 방치한 후, 길이 방향의 치수를 측정하며, 하기 일반식 1에 의하여 치수변화율(%)을 도출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이때, 치수변화율이 작을수록 치수안정성이 우수한 것으로 평가하였다.
[일반식 1]
치수변화율(%) = (후기 치수-초기 치수)/초기 치수 X 100
실험예 5. 박리강도 측정
실시예 및 비교예 각각의 바닥재에 대하여, KS M 3802에 근거하여 2 cm X 15 cm(폭 X 길이)의 크기로 재단한 후, 베이스층을 Universal Testing Machine(UTM, Instron社)의 하부 지그에 물리고, 위쪽으로 표면층을 약 5 cm 뜯어 상부 지그에 물린 후, 200 mm/min의 인장 속도로 잡아 당겨 베이스층과 인쇄층, 구체적으로 인쇄층의 백색필름의 박리강도를 측정하였다. 이때, 박리강도 단위로는 샘플 폭당 박리 강도를 나타내는 n kgf/2cm를 사용할 수 있고, 통상적으로, n/2 kgf/cm로 사용될 수 있다.
두께
(mm)
비중
(g/cm3)
굴곡강도
(MPa)
치수변화율
(%)
박리강도
(kgf/2cm)
실시예 1 5 1.94 28.5 약 0.03 2.5 내지 3.0
실시예 2 5 1.90 27.32 약 0.02 2.5
비교예 1 5 2.10 29.82 약 0.05 n/a
비교예 2 5 2.10 25 약 0.1 n/a
비교예 3 5 1.98 29 약 0.04 0.5
비교예 4 5 2.02 29.1 약 0.045 3.0 내지 3.5
n/a: not available
실시예 1 및 2 각각에서 제조된 바닥재는 비교예 1 내지 4 각각에서 제조된 바닥재와 동일한 두께에서 상대적으로 비중이 작고, 치수변화율이 작은 것을 확인하였다. 이로 인해 실시예 1 및 2 각각에서 제조된 바닥재는 비교예 1 내지 4 각각에서 제조된 바닥재에 비해 경량화가 가능하여 시공성이 개선되고, 사이즈의 대형화가 가능하며, 치수안정성이 우수한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실시예 1 및 2에서 제조된 바닥재는 비교예 4에서 제조된 바닥재와 유사한 박리강도를 나타내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로 인해, 실시예 1 및 2에서 제조된 바닥재는 비교예 4에서 제조된 바닥재와 대등한 접합강도를 가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에 반해, 비교예 3에서 제조된 바닥재는 실시예 1 및 2에서 제조된 바닥재에 비해 박리강도가 낮은 것을 확인하였다. 비교예 3에서 제조된 바닥재의 경우, 박리강도가 너무 낮아 시공 후 사용 중에 박리되어 인쇄층과 표면층이 베이스층으로부터 떨어지게 될 수 있다. 한편, 비교예 1 및 2에서 제조된 바닥재의 경우, 박리강도가 매우 높아 박리강도 실험 중, 접합되지 않은 인쇄층의 중간이 즉시 뜯어져 박리강도에 대한 측정이 불가한 것을 확인하였다.
110, 210, 310, 410: 베이스층
120: 인쇄층
130: 표면층
211: 제 1 홈부
2111: 제 1 오목부
2112: 제 1 볼록부
212: 제 1 삽입부
2121: 제 2 오목부
2122: 제 2 볼록부
311: 제 2 홈부
3111: 제 3 오목부
3112: 제 3 볼록부
312: 제 2 삽입부
3121: 제 4 오목부
3122: 제 4 볼록부

Claims (12)

  1. 짧은 측면의 길이가 10 cm 내지 30 cm이고, 긴 측면의 길이가 100 cm 내지 160 cm인 직사각형 형상의 바닥재에 있어서,
    폴리스티렌 수지를 10 phr 내지 30 phr으로 포함하는 베이스층;
    인쇄층; 및
    표면층을 순차로 포함하며,
    굴곡 강도가 20 MPa 내지 29 MPa인 바닥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굴곡 강도는 27 MPa 내지 29 MPa인 바닥재.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스티렌 수지는 상기 베이스층 내에 15 phr 내지 25 phr으로 포함되는 바닥재.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층은 폴리염화비닐 수지를 70 phr 내지 90 phr로 더 포함하는 바닥재.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층은 충진제를 250 phr 내지 350 phr로 더 포함하는 바닥재.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층과 인쇄층의 박리강도가 2 kgf/2cm 이상인 바닥재.
  7. 제 1 항에 있어서, 치수변화율이 0.01% 내지 0.04% 미만인 바닥재.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층은 긴 측면 중 어느 하나의 측면에 내측으로 함몰되고 이웃하는 바닥재의 제 1 삽입부가 접촉되는 면에 길이 방향 및 두께 방향으로 제 1 오목부 및 제 1 볼록부를 각각 구비하는 제 1 홈부,
    상기 제 1 홈부와 마주하는 긴 측면에 외곽으로 돌출되고 이웃하는 바닥재의 제 1 홈부가 접촉되는 면에 길이 방향 및 두께 방향으로 제 2 오목부 및 제 2 볼록부를 각각 구비하는 제 1 삽입부,
    짧은 측면 중 어느 하나의 측면에 내측으로 함몰되고 이웃하는 바닥재의 제 2 삽입부가 접촉되는 면에 길이 방향으로 제 3 오목부 및 제 3 볼록부를 구비하는 제 2 홈부 및
    상기 제 2 홈부와 마주하는 짧은 측면에 외곽으로 돌출되고 이웃하는 바닥재의 제 2 홈부가 접촉되는 면에 길이 방향으로 제 4 오목부 및 제 4 볼록부를 구비하는 제 2 삽입부를 가지는 클릭구조를 갖고, 이웃하는 바닥재와 연이어 끼움 결합되는 바닥재.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클릭구조를 갖는 베이스층은 어느 하나의 긴 측면이 이웃하는 바닥재의 긴 측면과 회전 결합되고, 어느 하나의 짧은 측면이 이웃하는 바닥재의 짧은 측면과 수직 결합되는 바닥재.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클릭구조를 갖는 베이스층은 어느 하나의 긴 측면이 이웃하는 바닥재의 긴 측면과 결합된 후, 어느 하나의 짧은 측면이 이웃하는 바닥재의 짧은 측면과 결합되는 바닥재.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클릭구조를 갖는 베이스층은 어느 하나의 긴 측면을 이웃하는 바닥재의 긴 측면에 기울어진 상태로 끼우고, 끼워진 모서리를 중심 축으로 하여 회전시켜 상기 어느 하나의 긴 측면이 이웃하는 바닥재의 긴 측면과 회전 결합되고, 상기 회전 결합을 통하여 상기 어느 하나의 긴 측면이 바닥에 안착되면서 상기 클릭구조를 갖는 베이스층의 어느 하나의 짧은 측면이 이웃하는 바닥재의 짧은 측면과 수직 결합되는 바닥재.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클릭구조를 갖는 베이스층의 어느 하나의 긴 측면은 상기 이웃하는 바닥재의 긴 측면에 끼워지는 각도가 30° 내지 60°인 바닥재.
KR1020210158626A 2021-11-17 2021-11-17 바닥재 KR1027065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58626A KR102706569B1 (ko) 2021-11-17 2021-11-17 바닥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58626A KR102706569B1 (ko) 2021-11-17 2021-11-17 바닥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72165A true KR20230072165A (ko) 2023-05-24
KR102706569B1 KR102706569B1 (ko) 2024-09-13

Family

ID=865411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58626A KR102706569B1 (ko) 2021-11-17 2021-11-17 바닥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706569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62461A (ko) 2018-11-26 2020-06-04 (주)엘지하우시스 타일 바닥재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10101261A (ko) * 2018-12-04 2021-08-18 아이4에프 라이센싱 엔뷔 장식용 패널, 및 상기 패널로 구성된 장식용 바닥 커버링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62461A (ko) 2018-11-26 2020-06-04 (주)엘지하우시스 타일 바닥재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10101261A (ko) * 2018-12-04 2021-08-18 아이4에프 라이센싱 엔뷔 장식용 패널, 및 상기 패널로 구성된 장식용 바닥 커버링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706569B1 (ko) 2024-09-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737473B2 (en) Transparent film for flooring and flooring comprising same
KR101070048B1 (ko) 바닥장식재
US10189300B2 (en) Decorative WPC panel comprising a low-porous profiled edge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JP2018172965A (ja) 床用化粧材に用いる木質基材
WO2006033706A1 (en) Flooring products and methods of making the same
KR101930708B1 (ko) 바닥재용 투명필름,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바닥재
EP2891555B1 (en) Hybrid flooring products
EP3175984A1 (en) Rigid surface covering plastic material
CN114829472A (zh) 基于pvc塑料溶胶的多层地板
TW201632356A (zh) 非聚氯乙烯地磚
KR20180018342A (ko) 다층 고강도 타일 및 그 제조방법
KR20200062461A (ko) 타일 바닥재 및 이의 제조방법
CA2480592C (en) Multi-layered plastic web or plate having a three-dimensional optical aspect, method for the production and use thereof
EP4163458A1 (en) Decorative panel
KR102342013B1 (ko) 타일 바닥재 및 그 제조방법
US10538070B2 (en) Non-polyvinylchloride surface covering
KR101986080B1 (ko) 친환경 바닥재
KR20230072165A (ko) 바닥재
WO2008140183A1 (en) Flooring having transfer-printed layer by dual cure system and process for manufacturing the same
WO2013103217A1 (en) Laminated floor using poly lactic acid resin
KR100510836B1 (ko) 휨안정성을 개선한 바닥장식재의 제조방법
WO2013157725A1 (ko) Pla수지를 이용한 칩마블 바닥재
KR20190074875A (ko) 폴리염화비닐 타일 바닥재
KR102176175B1 (ko) 전사 방지용 바닥재 타일 및 그 제조방법
US20230235574A1 (en) Rigid polymeric modular flooring plank with cpvc and method of making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