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72115A - 섬유웹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섬유웹 - Google Patents

섬유웹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섬유웹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72115A
KR20230072115A KR1020210158513A KR20210158513A KR20230072115A KR 20230072115 A KR20230072115 A KR 20230072115A KR 1020210158513 A KR1020210158513 A KR 1020210158513A KR 20210158513 A KR20210158513 A KR 20210158513A KR 20230072115 A KR20230072115 A KR 202300721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pipe
main pipe
fiber web
injec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585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45001B1 (ko
Inventor
김형민
석유민
정승
장윤서
김영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시노펙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시노펙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시노펙스
Priority to KR10202101585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45001B1/ko
Publication of KR202300721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721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450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450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3/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yarns or like filamentary material of substantial length
    • D04H3/08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yarns or like filamentary material of substantial length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strengthening or consolidating
    • D04H3/16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yarns or like filamentary material of substantial length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strengthening or consolidating with bonds between thermoplastic filaments produced in association with filament formation, e.g. immediately following extrusion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3/00Other non-woven fabric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7/00Felting apparatu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3/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yarns or like filamentary material of substantial length
    • D04H3/005Synthetic yarns or filaments
    • D04H3/007Addition polymer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3/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yarns or like filamentary material of substantial length
    • D04H3/005Synthetic yarns or filaments
    • D04H3/009Condensation or reaction poly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39/00Aspects relating to filtering material for liquid or gaseous fluids
    • B01D2239/06Filter cloth, e.g. knitted, woven non-woven; self-supported material
    • B01D2239/0604Arrangement of the fibres in the filtering material
    • B01D2239/0622Melt-blow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Spinning Methods And Devices For Manufacturing Artificial Fi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섬유웹 제조장치는, 열가소성 수지를 가열하여 압출하는 압출기; 상기 압출된 열가소성 수지를 전달받은 섬유흐름과 외부로부터 전달된 공기흐름을 혼합하여 방사하는 방사기구; 및 상기 방사기구에서 방사된 섬유가 수집되는 수집부를 포함하며,
상기 방사기구는 외부로부터 에어를 전달받아 분배하는 에어매니폴드가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에어매니폴드는 에어가 주입되는 적어도 하나의 주입관, 상기 주입된 공기들을 서로 연결하는 메인관, 및 상기 메인관으로부터 분기되는 복수의 분기관을 포함하며, 상기 주입관, 상기 메인관, 및 상기 분기관에서의 평균속도를 각각 V1, V2, V3라 할 때, V1>V2*5, V1>V3 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섬유웹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섬유웹{Apparatus for manufacturing fiberweb and fiberweb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섬유웹 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멜트블로운(Melt-blown) 방식의 섬유웹 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멜트블로운 섬유웹은 부직포는 스펀본드 부직포에 비하여 극세 섬유로 할 수 있기 때문에, 유연성이 우수하고, 단일로 또는 다른 부직포 등과 적층하여 필터 용도를 비롯해 위생재(마스크등), 의복, 포장재, 전지용 세퍼레이터 등에 이용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멜트블로운 섬유웹(melt-blown fabric web)을 제조하는 공정은, 열가소성 수지를 방사기구(30)를 통해 섬유로 섬세화시키고, 난류성 공기 함께 주입하면서 원통형 스크린 또는 드럼등의 수집부(40)에 분사함으로써 섬유웹을 형성한다.
종래의 멜트블로운 섬유웹의 제조시 문제점 중의 하나는 섬유와 함께 방사되는 에어의 압력과 속도가 불균일하여 제조되는 섬유웹을 이루는 섬유의 직경 및 밀도가 불균일하다는 것이다.
미국등록특허 제6,139,308호
본 발명의 일측면은 섬유의 직경 및 밀도가 균일한 섬유웹을 제조할 수 있는 섬유웹 제조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일실시예에 따른 섬유웹 제조장치는 높은 내구성을 가지는 섬유웹 제조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측면은 섬유웹 제조장치로서,
열가소성 수지를 가열하여 압출하는 압출기;
상기 압출된 열가소성 수지를 전달받은 섬유흐름과 외부로부터 전달된 공기흐름을 혼합하여 방사하는 방사기구; 및
상기 방사기구에서 방사된 섬유가 수집되는 수집부를 포함하며,
상기 방사기구는 외부로부터 에어를 전달받아 분배하는 에어매니폴드가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에어매니폴드는 에어가 주입되는 적어도 하나의 주입관, 상기 주입된 공기들을 서로 연결하는 메인관, 및 상기 메인관으로부터 분기되는 복수의 분기관을 포함하며,
상기 주입관, 상기 메인관, 및 상기 분기관에서의 평균속도를 각각 V1, V2, V3라 할 때, V1>V2*5, V1>V3 이다.
이 때, 상기 메인관의 내부에는 상기 주입관으로부터 주입되는 에어의 경로상에 위치하여 상기 에어의 경로를 변경하고 압력을 완화시키는 에어가이드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 상기 에어가이드는 상기 메인관 속에 구비되는 축, 상기 축상에 상기 주입관에서 상기 에어가 주입되는 위치에 구비되는 블레이드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블레이드는 V자 형상이고, 상기 V자 형상의 개구부가 상기 주입관을 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주입관, 메인관, 및 분기관의 반경을 R1, R2, R3라고 할 때, R1 : R2 :R3는 1 : 1.5 내지 3.5 : 0.1 내지 0.5의 관계를 만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에어가이드와 상기 메인관의 내벽 사이의 간격은 상기 주입관 반경의 0.1 내지 0.4배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에어가이드는 상기 축을 상기 메인관 내부에 장착하는 수단인 연결수단인 고정기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 상기 축은 중공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섬유웹 제조장치로 제조된 섬유웹으로서, 상기 섬유웹은 최대직경사이즈(Max pore size)가 10 내지 13㎛ 이다.
이 때, 상기 섬유웹의 제조방법은 열가소성 수지를 가열하여 압출하는 섬유흐름과 외부로부터 전달된 에어흐름을 혼합하여 방사기구를 이용하여 방사하여 방사된 섬유를 수집부에 수집하여 형성하는 것으로,
상기 방사기구에서 에어흐름을 균일하게 하기 위해서, 에어의 속도를 급속히 감소시키는 제1단계 및 감소된 속도를 다시 증가시키는 제2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단계에서 감소된 평균속도(V2)와 감소전 평균속도(V1)는 V1>V2*5관계를 만족하고,
제2단계에서 증가된 속도(V3)는 제1단계에서의 감소전 평균속도(V1)과 V1>V3의 관계를 만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섬유웹 제조장치는 균일한 압력의 공기흐름의 공급됨에 따라, 섬유웹의 직경 및 밀도가 일정할 뿐만 아니라, 제조된 섬유웹의 두께가 균일하다.
또한, 또한 본 발명에 일실시예에 따른 섬유웹 제조장치는 내부에 공급되는 공기의 압력을 분산시킴으로써 강한 압력이 국소부위에만 집중되지 않으므로 섬유웹 제조장치의 내구성이 높아지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섬유웹의 제조장치의 모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방사기구의 측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도 1의 방사기구의 정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섬유웹 제조장치가 동작을 보이는 사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방사기구의 방사시의 에어매니폴더의 내부 유체속력 시뮬레이션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방사기구의 방사시 공기통로에 가해지는 에어 압력 시뮬레이션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방사기구의 방사시 분기관 내부의 유체속력 시뮬레이션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섬유웹의 최대직경사이즈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구비된 가이드채널을 사용하여 제조된 섬유웹과 사용하지 않은 섬유웹의 대비 사진이다.
이하에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기에 앞서, 본 명세서에 사용된 용어는 특정의 실시예를 기술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해서만 한정되는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려는 것은 아님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모든 기술용어 및 과학용어는 다른 언급이 없는 한은 기술적으로 통상의 기술을 가진 자에게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의 전반에 걸쳐, 다른 언급이 없는 한 포함(comprise, comprises, comprising)이라는 용어는 언급된 물건, 단계 또는 일군의 물건, 및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의미하고, 임의의 어떤 다른 물건, 단계 또는 일군의 물건 또는 일군의 단계를 배제하는 의미로 사용된 것은 아니다.
한편, 본 발명의 여러 가지 실시예들은 명확한 반대의 지적이 없는 한 그 외의 어떤 다른 실시예들과 결합될 수 있다. 특히 바람직하거나 유리하다고 지시하는 어떤 특징도 바람직하거나 유리하다고 지시한 그 외의 어떤 특징 및 특징들과 결합될 수 있다.
도면들에 있어서, 구성 요소의 폭, 길이, 두께 등은 편의를 위하여 과장되어 표현될 수도 있다. 전체적으로 도면 설명시 관찰자 시점에서 설명하였고, 일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 "위에/아래에" 또는 "상에/하에" 있다고 할 때, 이는 다른 구성요소 "바로 위에/바로 아래에" 있는 경우 뿐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구성요소가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섬유웹의 제조장치의 모식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방사기구의 측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도 1의 방사기구의 정단면도이다.
이에 따르면, 섬유웹 제조장치는 압출기(20), 방사기구(30), 수집부(40)를 포함한다.
압출기(20)는 호퍼(10)를 통해 주입된 열가소성수지를 가열하여 압출하는 장치이다. 이 때 사용되는 열가소성수지는 수지의 용융점보다 높은 열을 가해 융해시키고 냉각시켜 고화시키는 작업을 반복적으로 할 수 있는 수지로서,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나일론, 폴리염화비닐, 폴리스타일렌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방사기구(30)는 압출된 열가소성수지를 전달받아 좁은 흐름을 만들면서 열가소성 수지를 섬세화하여 가는 형상으로 섬유화하여 이송시키고, 이송되는 섬유줄기에 난류성 공기를 혼합하여 섬유들이 무작위로 얽히게 하는 기구이다.
이를 위하여, 방사기구(30)는 제1다이(30a), 제2다이(30b), 방사노즐(30c), 및 에어채널형성부(30d)를 포함한다. 제1다이(30a)와 제2다이(30b)는 서로 조립되면서 압출기로부터의 열가소성수지의 제1수지채널(37)과 제1수지채널에 연결되면서 수지의 흐름을 넓게 분산시키는 각각 확장채널(38)을 구비한다. 이 때, 제1다이, 제2다이는 만들면서 상하로 서로 연결되어 하나의 T-다이를 이룬다.
또한 제1다이(30a) 및 제2다이(30b)에는 에어를 공급받고 분배하는 에어매니폴드가 내부에 형성된다. 에어매니폴드(A)는 주입관(A1), 메인관(A2), 및 분기관(A3)을 포함한다.
주입관(A1)은 외부의 에어를 본체에 주입하는 관으로서, 압력을 분산시키기 위해 복수개소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메인관(A2)은 제1다이(30a) 및 제2다이(30b)의 길이방향을 따라 내부에 연장되면서 형성되는 관으로서 주입관이나 분기관보다 큰 직경의 관으로 이루어져 에어의 버퍼공간을 형성하면서 주입관으로부터 주입되는 강한 압력의 에어를 분기관(A3)으로 균일하게 전달한다. 이 때, 메인관(A2)은 분기관(A3)으로의 에어를 보다 균일하게 전달하기 위해 메인관(A2)의 내부에는 에어가이드(50)를 구비할 수 있다.
에어가이드(50)는 주입관(A1)으로부터 주입되는 강한 압력의 에어의 경로상에 위치하여 에어의 경로를 변경하고 압력을 완화한다. 에어가이드는 강한 압력의 에어를 막아서 메인관과 에어가이드 사이의 에어가 통과하게 함으로써 통과 이후에 에어의 압력이 낮아지는 동시에 균일하게 된다.
한편 에어가이드(50)를 설치하기 위하여 에어가이드(50)는 축(50a), 블레이드(50b), 고정기(50c)를 포함한다.
축(50a)은 블레이드를 설치하기 위하여 메인관 속에서 연장되는 연장체이며, 무게를 줄이고, 강성을 높이기 위해서 비제한적으로 내부가 중공인 관 형상을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블레이드(50b)는 각 주입관이 연결되는 부위에 구비되며, 주입관의 경로상에 위치하여 에어의 경로를 변경하는 형상이라면 형상에는 제한이 없으나, 에어가이드은 도시된 바와 같이 주입관을 향하는 V자형 블레이드가 바람직하게 사용될 수 있다.
고정기(50c)는 축을 메인관 내부에 장착하기 위해서 구비되는 연결수단이며 예시적으로 나사를 풀거나 조임에 따라 고정기의 길이가 변화하는 고정수단을 보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고정기가 설치되는 개소는 제한이 없으나 설치의 용이성 측면에서 축의 양단에 각 1개씩 설치하는 것으로 충분할 것이다.
분기관(A3)은 메인관(A2)에서 연통되는 복수의 관으로서 주입관 또는 메인관의 지름보다 작은 지름을 가진다. 통상 분기관은 작은 지름을 가지고 있어서 압력에 취약한 문제가 있으나, 본 실시예에서 분기관은 낮은 압력의 에어로 인하여 내구성이 상대적으로 높아진다.
T-다이의 열가소성 수지가 주입되는 반대방향에는 방사노즐이 연결되는 제1단차부와 에어채널형성부가 연결되는 제2단차부가 구비되어 2단의 단차를 가진다.
제1단차부에는 T-다이의 제1수지채널과 연결되어 수지를 외부로 방사시키는 제2수지채널(39)을 가지는 방사노즐이 구비되고, 방사노즐은 방사방향으로 뾰족한 형상의 단부를 가지고 있다.
제2단차부에는 에어채널형성부(30d)가 구비되는데, 에어채널형성부는 방사노즐의 외면과 에어채널형성부와의 사이에 에어과 통과하는 에어채널을 형성한다.
수집기(40)는 방사기구로부터 방사되는 열가소성 수지 섬유가 수집되는 기구로서, 수집기는 원통형 스크린 또는 드럼, 평판등 제한되지 않으나, 회전되는 원통형 드럼이 바람직하게 사용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섬유웹 제조장치의 작용 및 효과를 살펴본다.
섬유웹 제조장치에 열가소성 수지를 호프를 통해 압출기에 공급하면 열가소성 수지는 융해되면서 압출되어 수지 흐름을 만들고 수지는 섬유화하여 방사기구의 제1수지채널로 주입된 후 넓어지는 확장채널로 이송되고, 다음으로 방사노즐의 제2수지채널(39)로 이송된다.
방사는 방사노즐의 외면에 구비되는 에어채널을 통한 에어와 수지줄기가 혼합되면서 섬유들이 무작위로 얽히게 되면서 이루어진다. 이때 에어는 에어매니폴드를 통해 공급되며, 에어는 외부와 연결되는 주입관(A1), 메인관(A2), 및 분기관(A3)을 거쳐 수지줄기와 합쳐지게 된다.
이때, 에어는 고속으로 공급되는 데 메인관 내부에서 에어가이드(50)에 부딪히게 하여 속도를 늦추어 에어가 분기관에 균일한 속도로 공급되게 한다. 에어가이드에 의한 속도는 주입관에서의 평균속도를 V1이라하고, 에어가이드(50) 통과 후의 평균속도를 V2, 분기관에서의 평균속도를 V3라고 할 때, V1>V2*5, V1>V3 이다.
방사기구로부터 방사되는 열가소성 수지 섬유는 수집기에서 수집되어 섬유웹으로 만들어진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섬유웹 제조장치가 동작을 보이는 사진이다. 이에 본원발명에 따른 에어가이드를 구비한 섬유웹 제조장치는 방사줄기가 올곧게 방사되며 수집기의 포집에 일관성이 있는 반면, 에어가이드가 구비되지 않은 섬유웹 제조장치는 포집시 위아래로 흔들리며 일관성이 없는 것을 보여준다.
또한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에어가이드를 구비한 방사기구와 에어가이드가 없는 방사기구의 방사 압력을 보이는 시뮬레이션을 도시한다. 이에 따르면, 방사시 에어가이드가 있는 경우 에어가이드를 통과하기 전에는 높은 압력을 나타내지만 에어가이드를 통과한 후에는 균일하면서도 압력이 낮아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고, 분기관에서의 압력도 낮아짐을 알 수 있다.
이때, 에어가이드에 의한 속도는 주입관에서의 평균속도를 V1이라하고, 에어가이드 통과 후의 평균속도를 V2, 분기관에서의 평균속도를 V3라고 할 때, V1>V2*5, V1>V3 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하여, 주입관, 메인관, 및 분기관의 반경을 R1, R2, R3라고 할 때, R1 : R2 :R3는 1 : 1.5 내지 3.5 : 0.1 내지 0.5이고, 에어가이드와 메인관의 벽 사이의 간격은 주입관 반경의 0.1 내지 0.4배 바람직하게 0.2 내지 0.3배 일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방사기구의 방사 시 공기통로에 가해지는 에어압력 시뮬레이션도이다. 이에 따르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에어가이드를 사용한 경우 메인관 내에서 압력이 급격히 저하하며, 메인관에 미치는 압력이 특정 부위에 집중되지 않고 완화되는 것을 보여준다. 반면 에어가이드가 설치되지 않은 섬유웹 제조장치는 주입관 부위에 압력이 집중되는 것을 보여준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방사기구의 방사 시 분기관 내부의 유체속력 시뮬레이션도이다. 이에 따르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에어가이드를 사용한 경우 분기관 내부에서 에어의 속도의 편차가 크지 않으나, 에어가이드가 설치되지 않은 경우 에어속도의 큰 편차가 존재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인 섬유웹에 대해 설명한다. 전술한 바와 같은 섬유장치에 의해 제조된 섬유웹은 최대직경사이즈(Max pore size)는 10 내지 13㎛이다.
이때, 최대직경사이즈는 섬유웹으로 제조된 필터를 적신 후 압력을 가했을 때 제일 먼저 밀려나가는 버블의 사이즈로서, 가장 먼저 밀려나가는 버블이 가장 큰 포어에서 밀려나간 것으로 추정한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섬유웹의 최대직경사이즈와 본 발명에 따르지 않고 제조된 섬유웹의 최대직경사이즈를 대비한 그래프이다. 이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섬유웹은 최대직경사이즈가 10 내지 13㎛로 일정한 반면, 본 발명에 따르지 않은 섬유웹은 최대직경사이즈가 9에서 18로 매우 불균일함을 확인할 수 있다.
이는 방사된 섬유(fiber)가 균일한 직경 및 밀도를 가지도록 부직포가 형성되었음을 의미한다. 이는 도 9에서 보다 정확히 확인된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구비된 가이드채널을 사용하여 제조된 섬유웹과 사용하지 않은 섬유웹의 대비 사진이다.
이에 따르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구비된 가이드채널을 사용하여 제조된 섬유웹은 매우 균일한 직경과 밀도를 가짐에 반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채널을 사용하지 않은 섬유웹은 직경과 밀도가 균일하지 않음을 보여준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은 섬유웹의 제조방법이다. 본 발명에 따른 섬유웹의 제조방법은 열가소성 수지를 가열하여 압출하는 섬유흐름과 외부로부터 전달된 에어흐름을 혼합하여 방사기구를 이용하여 방사하여 방사된 섬유를 수집부에 수집하여 형성하는 섬유웹 제조방법이다.
이때, 방사기구에서 에어흐름을 균일하게 하기 위해서, 에어의 속도를 급속히 감소시키는 제1단계 및 감소된 속도를 다시 증가시키는 제2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단계에서 감소된 평균속도(V2)와 감소전 평균속도(V1)는 V1>V2*5관계를 만족하고,
제2단계에서 증가된 속도(V3)는 제1단계에서의 감소전 평균속도(V1)과 V1>V3의 관계를 만족한다.
예를 들어, 사용되는 방사기구가 외부로부터 에어를 전달받아 분배하는 에어매니폴드가 내부에 구비하며, 에어매니폴드는 에어가 주입되는 적어도 하나의 주입관, 주입된 공기들을 서로 연결하는 메인관, 및 메인관으로부터 분기되는 복수의 분기관을 포함하는 경우, 이 때, 주입관, 메인관, 및 분기관에서의 평균속도를 각각 V1, V2, V3라 할 때, V1>V2*5, V1>V3 로 제어한다.
전술한 각 실시예에서 예를 들어, 사용되는 방사기구가 외부로부터 에어를 전달받아 분배하는 에어매니폴드가 내부에 구비하며, 에어매니폴드는 에어가 주입되는 적어도 하나의 주입관, 주입된 공기들을 서로 연결하는 메인관, 및 메인관으로부터 분기되는 복수의 분기관을 포함하는 경우, 이 때, 주입관, 메인관, 및 분기관에서의 평균속도를 각각 V1, V2, V3라 할 때, V1>V2*5, V1>V3 로 제어한다. 된 특징, 구조, 효과 등은 실시예들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에 의하여 다른 실시예들에 대해서도 조합 또는 변형되어 실시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조합과 변형에 관계된 내용들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 호퍼 20 : 압출기
30 : 방사기구 30a : 제1다이
30b : 제2다이 30c : 방사노즐
30d :에어채널 형성부 37 : 제1수지채널
38 : 확장채널 40 : 수집부
50 : 에어가이드 50a : 축
50b :블레이드 50c : 고정기
A : 에어매니폴드 A1 : 주입관
A2 :메인관 A3 : 분기관

Claims (10)

  1. 열가소성 수지를 가열하여 압출하는 압출기;
    상기 압출된 열가소성 수지를 전달받은 섬유흐름과 외부로부터 전달된 공기흐름을 혼합하여 방사하는 방사기구; 및
    상기 방사기구에서 방사된 섬유가 수집되는 수집부를 포함하며,
    상기 방사기구는 외부로부터 에어를 전달받아 분배하는 에어매니폴드가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에어매니폴드는 에어가 주입되는 적어도 하나의 주입관, 상기 주입된 공기들을 서로 연결하는 메인관, 및 상기 메인관으로부터 분기되는 복수의 분기관을 포함하며,
    상기 주입관, 상기 메인관, 및 상기 분기관에서의 평균속도를 각각 V1, V2, V3라 할 때, V1>V2*5, V1>V3 인 섬유웹 제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관의 내부에는 상기 주입관으로부터 주입되는 에어의 경로상에 위치하여 상기 에어의 경로를 변경하고 압력을 완화시키는 에어가이드가 구비되는 섬유웹 제조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가이드는 상기 메인관 속에 구비되는 축, 상기 축상에 상기 주입관에서 상기 에어가 주입되는 위치에 구비되는 블레이드를 포함하는 섬유웹 제조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는 V자 형상이고, 상기 V자 형상의 개구부가 상기 주입관을 향하는 섬유웹 제조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입관, 메인관, 및 분기관의 반경을 R1, R2, R3라고 할 때, R1 : R2 :R3는 1 : 1.5 내지 3.5 : 0.1 내지 0.5의 관계를 만족하는 섬유웹 제조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가이드와 상기 메인관의 내벽 사이의 간격은 상기 주입관 반경의 0.1 내지 0.4배인 섬유웹 제조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가이드는 상기 축을 상기 메인관 내부에 장착하는 수단인 연결수단인 고정기를 더 포함하는 섬유웹 제조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축은 중공 형상인 섬유웹 제조장치.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항의 섬유웹 제조장치로 제조된 섬유웹으로서,
    상기 섬유웹은 최대직경사이즈(Max pore size)가 10 내지 13㎛ 인 섬유웹.
  10. 열가소성 수지를 가열하여 압출하는 섬유흐름과 외부로부터 전달된 에어흐름을 혼합하여 방사기구를 이용하여 방사하여 방사된 섬유를 수집부에 수집하여 형성하는 섬유웹 제조방법으로서,
    상기 방사기구에서 에어흐름을 균일하게 하기 위해서, 에어의 속도를 급속히 감소시키는 제1단계 및 감소된 속도를 다시 증가시키는 제2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단계에서 감소된 평균속도(V2)와 감소전 평균속도(V1)는 V1>V2*5관계를 만족하고,
    제2단계에서 증가된 속도(V3)는 제1단계에서의 감소전 평균속도(V1)과 V1>V3의 관계를 만족하는 섬유웹 제조방법.

KR1020210158513A 2021-11-17 2021-11-17 섬유웹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섬유웹 KR1025450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58513A KR102545001B1 (ko) 2021-11-17 2021-11-17 섬유웹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섬유웹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58513A KR102545001B1 (ko) 2021-11-17 2021-11-17 섬유웹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섬유웹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72115A true KR20230072115A (ko) 2023-05-24
KR102545001B1 KR102545001B1 (ko) 2023-06-20

Family

ID=865410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58513A KR102545001B1 (ko) 2021-11-17 2021-11-17 섬유웹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섬유웹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4500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18003B1 (ko) 2023-06-07 2023-12-27 주식회사 굿베이크아이엔 생산성을 개선한 타르트 전용 제조 시스템 및 이의 운용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122154A (ko) * 2012-04-30 2013-11-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랜덤하고 벌키한 멜트블로운 섬유웹의 제조방법 및 그 제조장치
KR20130130271A (ko) * 2012-05-21 2013-12-02 유정근 에어로겔을 함유하는 멜트블로운 웹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122154A (ko) * 2012-04-30 2013-11-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랜덤하고 벌키한 멜트블로운 섬유웹의 제조방법 및 그 제조장치
KR20130130271A (ko) * 2012-05-21 2013-12-02 유정근 에어로겔을 함유하는 멜트블로운 웹 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18003B1 (ko) 2023-06-07 2023-12-27 주식회사 굿베이크아이엔 생산성을 개선한 타르트 전용 제조 시스템 및 이의 운용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45001B1 (ko) 2023-06-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60589B1 (ko) 냉풍 멜트블로운 장치 및 방법
US6013223A (en) Process and apparatus for producing non-woven webs of strong filaments
KR100826547B1 (ko) 섬유 형성 공정
KR100510244B1 (ko) 다성분 스펀본드형 부직포 제조방법 및 장치
RU2008136768A (ru) Поддающийся плиссированию нетканый материал,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его получения
US20060084341A1 (en) Meltblown nonwoven webs including nanofibers and apparatus and method for forming such meltblown nonwoven webs
KR102545001B1 (ko) 섬유웹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섬유웹
JPH05263307A (ja) 複合メルトブロー紡糸口金
KR20060136383A (ko) 부직 탄성 섬유 웹 및 이의 제조 방법
JP2009529102A (ja) 割繊細糸製造用スピニング装置
MXPA04011368A (es) Metodo para formar telas no tejidas esparcidas.
JP2002317328A (ja) 多成分液体フィラメントを形成する装置
KR100300221B1 (ko) 부직포 생산용 압출 성형 노즐 및 그 방법
CN1607269B (zh) 用于制造多组分纤维的装置
JPH11229261A (ja) コア/シース構造を有する複合繊維からスパンボンド布を製造するための装置
JP2002317327A (ja) 単成分液状ストランドを複合フィラメントに押出し成形するための装置および方法
US20040209540A1 (en) Apparatus and process for making fibrous products of bi-component melt-blown fibers of thermoplastic polymers and the products made thereby
EP1620243A1 (en) Method for forming polymer materials utilizing modular die units
JP2022010113A (ja) スパンボンド不織布
CN206858772U (zh) 用于生产三组份复合无纺布的设备
US5298097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hermally bonding a textile web
JP2612203B2 (ja) 繊維の配列したウェブの製法
US20190284740A1 (en) Triple head draw slot for producing pulp and spunmelt fibers containing web
CN110024022A (zh) 吸声材料用无纺布及使用该无纺布的吸声材料
KR101884696B1 (ko) 나노섬유 방사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