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72044A - 트레이 - Google Patents

트레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72044A
KR20230072044A KR1020210158355A KR20210158355A KR20230072044A KR 20230072044 A KR20230072044 A KR 20230072044A KR 1020210158355 A KR1020210158355 A KR 1020210158355A KR 20210158355 A KR20210158355 A KR 20210158355A KR 20230072044 A KR20230072044 A KR 202300720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member
tray
fluid
distribution
heat transf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583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곽동훈
정성민
이상원
김성종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센추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센추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센추리
Priority to KR10202101583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72044A/ko
Publication of KR202300720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7204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15/00Sorp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operating continuously, e.g. absorption type
    • F25B15/02Sorp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operating continuously, e.g. absorption type without inert gas
    • F25B15/025Liquid transfer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39/00Evaporators; Condensers
    • F25B39/02Evaporators
    • F25B39/028Evaporators having distribut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27/00Control arrangements or safety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heat-exchange or heat-transfer apparatu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30/00Adapting or protecting infrastructure or their operation
    • Y02A30/27Relating to heating, ventilation or air conditioning [HVAC] technolog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30/00Energy efficient heating, ventilation or air conditioning [HVAC]
    • Y02B30/62Absorption based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t-Exchange Devices With Radiators And Conduit Assembl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는 흡수식 냉동기에 설치되는 트레이에 관한 것으로, 흡수식 냉동기에 설치되어 유체를 전열관으로 적하시키는 트레이는 공급된 유체가 저유 되며 공급홀이 형성된 트레이 바디와, 상기 전열관을 향해 돌출 형성된 돌기부를 포함하며 상기 트레이 바디에 지지되어 상기 공급홀을 통과한 유체의 이동을 안내하는 안내부재, 그리고 상기 안내부재에 지지되어 상기 안내부재의 일영역을 통과한 유체가 상기 돌기부를 통해 상기 전열관을 향해 적하되도록 분배하는 분배부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트레이{TRAY}
본 발명의 실시예는 흡수식 냉동기 내에 설치된 전열관으로 유체를 균일하게 및 이의 적하량을 향상시킬 수 있는 트레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흡수식 냉동기는 냉매가 증발할 때 이의 기화열을 이용하여 배관을 흐르는 물을 냉각시킨다. 또한, 이를 이용하여 증발된 냉매를 응축시켜 재사용한다.
또한, 이러한 흡수식 냉동기에 설치되는 트레이는 전열기에 냉매 또는 흡수액을 낙하시켜 관내의 열교환 매체와 열교환이 되도록 한다. 열교환기는 전열관 표면의 전면적에 대한 액으로 덮인 부분의 면적의 비용이 클수록 열교환 성능이 향상된다. 이는 곧 흡수식 냉동기 전체 성능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따라서, 트레이로부터 낙하하는 유체가 전열관의 전체 길이에 걸쳐 균일하게 분포 및 낙하하여 열교환이 효과적으로 이뤄지도록 해야 한다.
종래의 경우, 전열관의 외면으로 유체가 낙하하는 트레이를 구비하고 있으나 적하량에 한계가 있어 유체의 순환량을 증가시키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흡수식 냉동기의 전열관의 길이방향을 따라 유체의 적하량을 증가시켜 이의 열교환을 향상시킬 수 있는 트레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흡수식 냉동기에 설치되어 유체를 전열관으로 적하시키는 트레이는 공급된 유체가 저유 되며 공급홀이 형성된 트레이 바디와, 상기 전열관을 향해 돌출 형성된 돌기부를 포함하며 상기 트레이 바디에 지지되어 상기 공급홀을 통과한 유체의 이동을 안내하는 안내부재, 그리고 상기 안내부재에 지지되어 상기 안내부재의 일영역을 통과한 유체가 상기 돌기부를 통해 상기 전열관을 향해 적하되도록 분배하는 분배부재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안내부재는 상기 트레이 바디의 하부에 지지되는 바디 지지부와, 상기 바디 지지부와 연결되며, 하부를 향해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기 분배부재를 향해 상기 공급홀을 통과한 유체의 이동을 안내하는 경사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경사부는 상기 공급홀과 마주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안내부재는 상기 경사부와 연결되며 상기 분배부재를 지지 가능한 분배 지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돌기부는 상기 분배 지지부보다 상기 전열관과 상대적으로 인접하게 상기 안내부재의 일단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분배부재는 상기 안내부재에 지지되는 분배 바디와, 상기 분배 바디의 일영역이 개방 형성되어 유체를 상기 돌기부로 공급하는 개방부, 그리고 상기 분배 바디에 상기 개방부 보다 상기 전열관을 향해 연장 형성되며 상기 경사부를 통과한 유체가 집수되는 분배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공급홀의 중심선은 상기 개방부의 중심선과 서로 이격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돌기부는 상기 안내부재의 일측으로부터 상기 안내부재의 하부를 향해 경사지게 형성된 제1 경사영역, 그리고 상기 안내부재의 타측으로부터 상기 안내부재의 하부를 향해 경사지게 형성된 제2 경사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돌기부는 일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상기 안내부재의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개가 서로 일정한 간격을 갖고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돌기부는 상기 전열관을 향해 둔각을 갖고 양측이 좁아지는 방향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트레이는 흡수식 냉동기에 설치되어 이의 내부에 설치된 전열관으로 균일하게 유체를 적하량을 증가시켜 열교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트레이는 안내부재의 길이방향을 따라 돌기부가 형성되어 있어 공급된 유체를 전열관으로 적정한 유량의 유체를 길이방향을 따라 균일하게 적하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열기 상부에 트레이가 설치된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트레이의 일부 확대된 도면을 나타낸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체가 적하되는 상태의 트레이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도 3의 일영역의 트레이 바디의 길이방향의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내부재의 길이방향과 수직한 방향의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배부재의 내측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도 6의 분배부의 일영역의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내부재의 측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체의 이동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들은 개략적이고 축적에 맞게 도시되지 않았다는 것을 일러둔다. 도면에 있는 부분들의 상대적인 치수 및 비율은 도면에서의 명확성 및 편의를 위해 그 크기에 있어 과장되거나 감소되어 도시되었으며 임의의 치수는 단지 예시적인 것이지 한정적인 것은 아니다. 그리고 둘 이상의 도면에 나타나는 동일한 구조물 요소 또는 부품에는 동일한 참조 부호가 유사한 특징을 나타내기 위해 사용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상적인 실시예를 구체적으로 나타낸다. 그 결과, 도해의 다양한 변형이 예상된다. 따라서 실시예는 도시한 영역의 특정 형태에 국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제조에 의한 형태의 변형도 포함한다.
이하,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레이(101)를 설명한다.
트레이(101)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흡수식 냉동기의 전열관(10) 상부에 배치되어, 전열관(10)을 향해 유체가 적하(滴下)되도록 안내한다. 이러한 트레이(101)는 흡수식 냉동기 상에 복수개가 배치된다.
트레이(101)는, 도 2 내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트레이 바디(100)와 안내부재(200) 그리고 분배부재(300)를 포함한다.
트레이 바디(100)에는 공급된 유체가 저유된다. 트레이 바디(100)는 전열관(10)의 상부에 배치된다. 구체적으로, 트레이 바디(100)는 전열관(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공급홀(110)은 이러한 트레이 바디(100)에 복수개가 이격 관통 형성된다. 따라서, 공급홀(110)을 통해 트레이 바디(100)에 저유된 유체인 냉매 또는 흡수액이 전열관(10)으로 공급될 수 있다.
일예로, 공급홀(110)은 트레이 바디(100)의 바닥면에 관통 형성될 수 있다.
안내부재(200)는 트레이 바디(100)의 공급홀(110)을 통과한 유체가 전열관(10)으로 이동되도록 안내한다. 또한, 안내부재(200)는 전열관(10)을 향해 돌출 형성된 돌기부(240)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돌기부(240)는 전열관(10)이 배치된 하부 영역을 향해 돌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안내부재(200)는 트레이 바디(100)에 지지된다.
구체적으로, 안내부재(200)는 트레이 바디(100)의 하부면에 지지되어, 트레이 바디(100)의 공급홀(110)을 통과한 유체의 이동을 안내할 수 있다.
일예로, 안내부재(200)도 트레이 바디(100)의 일방향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될 수 있다. 또는, 안내부재(200)는 트레이 바디(100)의 일방향의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개가 연결 배치될 수 있다.
분배부재(300)는 안내부재(200)에 지지된다. 또한, 분배부재(300)는 안내부재(200)의 일영역을 통과한 유체가 안내부재(200)의 돌기부(240)를 통해 전열관(10)을 향해 적하되도록 유체를 분배한다. 구체적으로, 분배부재(300)는 안내부재(200)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되어, 돌기부(240)를 통해 유체가 액막을 형성하여 전열관(10)을 통해 낙하되도록 유체를 분배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레이(101)는 흡수식 냉동기의 전열관(10)으로 액막을 형성한 유체가 적하되어 전열관(10)의 길이방향에 따라 빈틈없이 균일하게 분배되고 이에 따라 열교환의 효율이 증가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내부재(200)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바디 지지부(210)와 경사부(220)를 포함할 수 있다.
바디 지지부(210)는 트레이 바디(100)의 하부에 지지된다. 구체적으로, 바디 지지부(210)는 트레이 바디(100)의 하부면의 공급홀(110)이 형성되지 않은 영역에 접촉 지지될 수 있다.
경사부(220)는 바디 지지부(210)와 연결되며, 하부를 향해 경사지게 형성되어 공급홀(110)을 통과한 유체가 분배부재(300)를 향해 이동되도록 유체의 이동을 안내할 수 있다.
경사부(220)는 바디 지지부(210)로부터 하부를 향해 경사지게 형성되어 공급홀(110)을 통과한 냉매가 이를 따라 분배부재(300)로 이동되도록 안내할 수 있다. 따라서, 경사부(220)가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어, 공급홀(110)을 통과한 유체가 외부로 이탈하지 않고 경사부(220)를 통해 분배부재(300)로 이의 이동을 효과적으로 안내할 수 있다.
즉, 경사부(220)는 공급홀(110)과 마주하도록 이격 배치되어 있어, 공급홀(110)을 통과한 유체가 경사진 경사부(220)를 따라 이동되도록 하도록 안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안내부재(200)는 일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판형으로 바디 지지부(210)와 경사부(220)는 절곡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바디 지지부(210)를 중심으로 양측에 경사부(220)가 경사지게 절곡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바디 지지부(210)는 트레이 바디(100)의 하부면과 접촉되고, 경사부(220)는 트레이 바디(100)의 하부면과 이격되어 공급홀(110)을 통과한 유체가 경사진 면을 따라 분배부재(300)로 이동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바디 지지부(210)는 경사부(220) 보다 트레이 바디(100)의 하부를 향해 돌출 형성되어 트레이 바디(100)의 하부에 지지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레이(101)는 안내부재(200)가 분배 지지부(2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분배 지지부(230)는 경사부(220)와 연결되며 분배부재(300)를 지지 가능한 영역일 수 있다. 분배 지지부(230)는 일면이 트레이 바디(100)의 높이 방향과 나란하게 형성되도록 경사부(220)로부터 절곡 형성될 수 있다. 분배부재(300)는 분배 지지부(230)에 용접으로 고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분배 지지부(230)는 트레이 바디(100)의 높이 방향의 일면과 평행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분배 지지부(230)는 이러한 일면에 분배부재(300)가 지지되도록 일영역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분배 지지부(230)는 바디 지지부(210)를 중심으로 양측에 복수개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안내부재(200)는 유체의 이동뿐만 아니라 분배부재(300)의 설치영역도 효과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레이(101)의 돌기부(240)는 안내부재(200)의 일단에 형성될 수 있다.
돌기부(240)는 안내부재(200)의 일단에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돌기부(240)는 분배 지지부(230)보다 전열관(10)과 상대적으로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분배부재(300)를 통해 유체가 돌기부(240)로 분배되고, 액막을 형성한 유체가 전열관(10)을 향해 적하될 수 있다.
또한, 판형의 돌기부(240)가 형성된 안내부재(200)가 절곡되어 바디 지지부(210)와 경사부(220) 그리고 분배 지지부(230)를 형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안내부재(200)의 가공이 용이하고 이를 절곡시켜 필요한 영역을 효과적으로 형성할 수 있다. 즉, 별도의 구간의 접합 또는 조립 과정 없이 판형의 안내부재(200)를 절곡 시켜 용이하게 제작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배부재(300)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분배 바디(301)와 개방부(310) 그리고 분배부(320)를 포함할 수 있다.
분배 바디(301)는 안내부재(200)에 지지된다. 구체적으로, 분배 바디(301)는 안내부재(200)의 분배 지지부(230)에 안내부재(2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지지될 수 있다.
개방부(310)는 분배 바디(301)의 일영역이 개방 형성되어 유체가 돌기부(240)로 공급되도록 안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개방부(310)를 통과한 유체는 돌기부(240)로 이동되며 물방울형의 일정 유량의 액막을 형성하며 전열관(10)을 향해 낙하될 수 있다. 즉, 개방부(310)는 돌기부(240)를 통과하며 유체가 물방울을 형성하도록 안내할 수 있다. 다시 말해, 개방부(310)는 돌기부(240)를 통과하며 일정한 유량을 확보한 유체가 물방울형의 액막을 형성하며 전열관(10)을 향해 낙하되도록 할 수 있다.
분배부(320)는 분배 바디(301)에 형성되며 전열관(10)을 향해 연장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분배부(320)로는 경사부(220)를 통과한 유체가 수집될 수 있다. 그리고, 분배부(320)를 통해 수집된 유체는 개방부(310)를 통해 돌기부(240)를 향해 유체가 적하되도록 분배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6 및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분배 바디(301)는 판형으로 형성되고, 이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격 형성된 개방부(310)가 복수개로 개방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이를 절곡하여 접어 개방부(310)가 형성되지 않은 영역인 분배부(320)로 경사부(220)를 통과한 유체가 수집될 수 있다. 따라서, 분배부(320)를 통과한 유체는 개방부(310)를 통해 돌기부(240)를 향해 분배되고 이가 물방울을 형성하며 전열관(10)을 향해 적하되도록 할 수 있다.
개방부(310)를 중심으로 양측의 분배부(320)로 수집된 유체는 개방부(310)를 향해 이동될 수 있다.
즉, 분배부(320)는 복수개의 개방부(310)로 유체가 분산되어 공급되도록 안내할 수 있다.
일예로, 개방부(310)의 가상의 중심선과 돌기부(240)의 가상의 중심선은 동일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개방부(310)는 돌기부(240)를 따라 이동되는 유체의 이동이 간섭되지 않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레이(101)는 분배부재(300)를 통해 유체가 효과적으로 분배되어 돌기부(240)로 이동되도록 안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열관(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유체가 균일하게 적하되어 이의 열교환 효율이 향상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레이(101)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공급홀(110)의 중심선(CT)이 개방부(310)의 중심선(CH)과 서로 이격 배치될 수 있다.
트레이 바디(100)의 높이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의 공급홀(110)의 가상의 중심선(CT)은 트레이 바디(100)의 높이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의 개방부(310)의 가상의 중심선(CH)과 서로 이격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공급홀(110)의 중심선(CT)과 개방부(310)의 중심선(CH)은 동일 트레이 바디(100)의 길이방향과 수직한 일면상에 존재하지 않을 수 있다. 즉, 공급홀(110)의 중심선(CT)과 개방부(310)의 중심선(CH)은 서로 이격된 상태로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다시 말해, 트레이 바디(100)의 높이 방향과 수직한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공급홀(110)의 중심선과 트레이 바디(100)의 높이 방향과 수직한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개방부(310)의 중심선은 서로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공급홀(110)을 통해 경사부(220)를 따라 이동된 유체는 분배부재(300)의 개방부(310)로 곧장 적하는 되는 것이 아니라 분배부(320)를 통해 분배된 후 개방부(310)를 통해 돌기부(240)를 향해 이동되며 물방울을 형성하며 적하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레이(101)의 돌기부(240)는,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경사영역(241)과 제2 경사영역(24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경사영역(241)은 안내부재(200)의 일측으로부터 안내부재(200)의 하부를 향해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제1 경사영역(241)은 안내부재(200)의 길이방향의 어느 한 측의 일단으로부터 안내부재(200)의 하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영역이다.
즉, 제1 경사영역(241)은, 안내부재(200)의 길이방향을 따라 돌기부(240)가 안내부재(200)의 일단에 복수개가 형성된 경우, 첫번째 돌기부(240)의 일영역을 형성하는 영역일 수 있다.
제2 경사영역(242)은 안내부재(200)의 타측으로부터 안내부재(200)의 하부를 향해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제2 경사영역(242)은 안내부재(200)의 길이방향의 나머지 한 측의 일단으로부터 안내부재(200)의 하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영역이다.
즉, 제2 경사영역(242)은, 안내부재(200)의 길이방향을 따라 돌기부(240)가 안내부재(200)의 일단에 복수개가 형성된 경우, 마지막 돌기부(240)의 일영역을 형성하는 영역일 수 있다. 제1 경사영역(241)의 경사 방향과 제2 경사영역(242)의 경사 방향은 서로 상이한 방향일 수 있다.
안내부재(200)가 복수개가 길이방향을 따라 연결 배치된 경우, 하나의 안내부재(200)의 타측과 다른 안내부재(200)의 일측과 마주하게 배치되어 연결됨으로 안내부재(200)의 길이를 따라 돌기부(240)가 효과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안내부재(200)의 전체 길이 영역상에서 돌기부(240)를 형성하기 위해 버려지는 공간이 없음으로, 전열관(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유체의 공급유량을 증가시키고 이를 효과적으로 확보할 수 있다. 즉, 이러한 제1 경사영역(241)과 제2 경사영역(242)을 안내부재(200)가 포함하고 있어, 유체의 적하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다시 말해, 돌기부(240)는 안내부재(200)의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개가 서로 일정한 간격을 갖고 형성되며, 안내부재(200)의 일측과 타측과 연결되도록 안내부재(200)의 전체 길이를 활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돌기부(240)는 안내부재(200)의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개가 서로 일정한 간격을 갖고 형성되어 전열관(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액막이 형성된 유체가 효과적으로 적하되도록 할 수 있다. 즉, 돌기부(240)가 버리는 공간 없이 동일한 피치 간격을 갖고 안내부재(200)의 일단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격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경우, 전열관(10)으로 공급되는 유체의 유량도 효과적으로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레이(101)의 돌기부(240)는,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둔각을 갖고 형성될 수 있다.
돌기부(240)는 안내부재(200)의 일단에 복수개가 서로 이격 배치되며, 일단이 전열관(10)을 향해 좁아지는 방향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돌기부(240)의 돌출 형성되는 돌기부(240)의 양측은 둔각을 갖고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돌기부(240)의 양측이 예각을 갖고 전열관(10)을 향해 좁아지는 방향으로 형성된 경우, 이로 안내된 유체가 물방울의 숫자는 늘어나나 이의 액적(물방울의 크기)가 작게 형성되어 낙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경우, 전열관(10)으로 유체가 공급이 되나 공급되는 유체와의 전열관(10) 내부와의 열교환 측면에서 효과적이지 못한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이러한 경우, 전열관(10)의 표면에 균일하게 유체가 적하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일예로, 돌기부(240)의 양측각(a)은 약120도(°)가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돌기부(240)의 양측각이 120도를 초과하는 경우, 전열관(10)을 향해 물방울이 형성되지 못하고 상대적으로 많은 양의 유체가 낙하되어 전열관(10)의 표면에 균일하게 유체를 적하시키기 위한 초기의 목적 달성에 어려움이 있다.
일예로, 피치 간격(돌기부(240)의 일단으로부터 옆돌기부(240)의 일단 까지의 거리)은 안내부재(200)의 전체 길이가 1000mm인 경우 12.5mm 내지 8mm 범위 내일 수 있다.
피치 간격이 12.5mm를 초과하는 경우, 돌기부(240)를 통해 낙하되는 유체의 적하량이 증가되지 않는다.
또는, 안내부재(200)의 전체의 길이가 1000mm인 경우, 돌기부(240)의 각도는 120도이고 이들의 피치 간격은 10mm일 수 있다.
피치 간격이 8mm 미만인 경우, 돌기부(240)를 통해 낙하되는 유체의 방울 숫자는 증가되나 이의 액적(방울의 크기)가 작아져 전열관(10)으로 효과적으로 유체를 공급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일예로, 피치 간격이 8mm인 경우, 돌기부(240)의 양측각은 100도의 둔각을 갖고 형성될 수 있다.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레이(101)는 안내부재(200)의 전체의 길이가 1000mm인 경우, 돌기부(240)는 피치 간격이 8mm 내지 12.5mm의 범위를 갖고 양측각이 둔각을 갖고 형성될 수 있다.
일예로, 피치 간격(돌기부(240)의 일단으로부터 옆돌기부(240)의 일단 까지의 거리)은 10mm일 수 있다. 피치 간격이 10mm 보다 좁은 경우, 돌기부(240)를 일정한 120도의 양측각을 갖고 형성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피치 간격이 10mm 보다 넓은 경우, 돌기부(240)가 120도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안내부재의 일영역에 전영역에 걸쳐서 돌기부(240)의 형성에 어려움이 있을 수 있다. 즉, 돌기부(240)가 120도를 유지하며 피치 간격이 10mm 보다 넓은 경우, 돌기부(240)의 형성을 위해 안내부재(200)의 일영역이 버려지는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트레이는 전열관(10)의 길이 전체에 걸쳐 고르게 및 유체의 적하량을 증가시키는데 어려움이 있다. 또한, 돌기부(240)의 수와 대응되도록 안내부재(200)에 개방부(310)가 형성되어, 돌기부(240)로 유체가 분배되도록 안내할 수 있다.
이하, 도 1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레이(101)의 유체의 이동을 설명한다.
흡수식 냉동기 내에는 복수의 열을 갖는 전열관(10)이 배치된다. 이러한 복수의 전열관(10)의 상부에 복수개의 트레이(101)가 배치되고 전열관(10) 표면에 냉매 또는 흡수액이 균일하게 적하되도록 한다.
트레이 바디(100)에 공급된 유체는 공급홀(110)을 통해 트레이 바디(100)로부터 배출된다. 이때, 공급홀(110)과 마주하며 이격 배치된 경사부(220)에 의해 유체는 경사부(220)를 따라 이동된다.
경사부(220)를 따라 이동이 안내된 유체는 분배부(320)로 집수된다. 이렇게 분배부(320)로 집수된 유체는 개방부(310)로 분배된다.
즉, 하나의 개방부(310)를 향해 양측의 분배부(320)로부터 유체가 분배되어 공급된다.
유체는 개방부(310)를 향해 낙하하며 돌기부(240)를 따라 이동이 안내되며 적절한 유량을 갖는 물방울을 형성할 수 있다. 즉, 개방부(310) 및 돌기부(240)에 의해 유체가 전열관(10)을 향해 적하될 수 있다.
이러한 개방부(310) 및 돌기부(240)는 전열관(10)의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개가 이격 형성되어 있음으로, 전열관(10)의 표면에 균일하게 액체가 적하되어 분포되며 열교환이 이뤄질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레이(101)는 흡수식 냉동기에 설치되어 전열관(10)으로 공급되는 유체의 유량을 증가시켜 이가 효과적으로 액막을 형성하며 적하되도록 안내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레이(101)는 전열관(10)의 열교환 효율 향상을 위해 전열관(10)의 길이방향을 따라 균일하게 유체가 효과적으로 적하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이에 따라, 트레이(101)는 전열관(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유체의 적하량을 증가시켜 효과적으로 공급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전열관 100: 트레이 바디
101: 트레이 110: 공급홀
200: 안내부재 210: 바디 지지부
220: 경사부 230: 분배 지지부
240: 돌기부 241: 제1 경사영역
242: 제2 경사영역
300: 분배부재 301: 분배 바디
310: 개방부 320: 분배부

Claims (10)

  1. 흡수식 냉동기에 설치되어 유체를 전열관으로 적하시키는 트레이에 있어서,
    공급된 유체가 저유 되며, 공급홀이 형성된 트레이 바디;
    상기 전열관을 향해 돌출 형성된 돌기부를 포함하며, 상기 트레이 바디에 지지되어 상기 공급홀을 통과한 유체의 이동을 안내하는 안내부재; 및
    상기 안내부재에 지지되어 상기 안내부재의 일영역을 통과한 유체가 상기 돌기부를 통해 상기 전열관을 향해 적하되도록 분배하는 분배부재
    를 포함하는 트레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부재는,
    상기 트레이 바디의 하부에 지지되는 바디 지지부; 및
    상기 바디 지지부와 연결되며, 하부를 향해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기 분배부재를 향해 상기 공급홀을 통과한 유체의 이동을 안내하는 경사부
    를 포함하는 트레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부는 상기 공급홀과 마주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레이.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부재는,
    상기 경사부와 연결되며, 상기 분배부재를 지지 가능한 분배 지지부를 더 포함하는 트레이.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부는 상기 분배 지지부보다 상기 전열관과 상대적으로 인접하게 상기 안내부재의 일단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레이.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분배부재는,
    상기 안내부재에 지지되는 분배 바디;
    상기 분배 바디의 일영역이 개방 형성되어 유체를 상기 돌기부로 공급하는 개방부; 및
    상기 분배 바디에 상기 개방부 보다 상기 전열관을 향해 연장 형성되며, 상기 경사부를 통과한 유체가 집수되는 분배부
    를 포함하는 트레이.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홀의 중심선은 상기 개방부의 중심선과 서로 이격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레이.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부는,
    상기 안내부재의 일측으로부터 상기 안내부재의 하부를 향해 경사지게 형성된 제1 경사영역; 및
    상기 안내부재의 타측으로부터 상기 안내부재의 하부를 향해 경사지게 형성된 제2 경사영역
    을 포함하는 트레이.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부는,
    일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상기 안내부재의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개가 서로 일정한 간격을 갖고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레이.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부는 상기 전열관을 향해 둔각을 갖고 양측이 좁아지는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레이.
KR1020210158355A 2021-11-17 2021-11-17 트레이 KR2023007204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58355A KR20230072044A (ko) 2021-11-17 2021-11-17 트레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58355A KR20230072044A (ko) 2021-11-17 2021-11-17 트레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72044A true KR20230072044A (ko) 2023-05-24

Family

ID=865411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58355A KR20230072044A (ko) 2021-11-17 2021-11-17 트레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72044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23809A1 (ko) 2022-07-26 2024-02-01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승강 가능한 챔버 및 이의 운전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23809A1 (ko) 2022-07-26 2024-02-01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승강 가능한 챔버 및 이의 운전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80149311A1 (en) Spray type heat exchange device
US10627176B2 (en) Cooling tower water distribution system
JPS6349521B2 (ko)
WO1998041798A1 (fr) Distributeur de liquide, echangeur thermique a couches minces et refrigerateur a absorption
JP6046294B1 (ja) 処理機および再生機
KR20230072044A (ko) 트레이
CN108592458A (zh) 一种均流结构、降膜式蒸发器及冷水机组
US20220069375A1 (en) Battery equipped with a temperature regulation device using a dielectric fluid
FI94919B (fi) Höyrygeneraattori konvektiouuniin
JP3330116B2 (ja) 水平円筒多管式熱交換器
CN111670333B (zh) 潜热交换器室装置
US7021608B2 (en) Distributor for micro-quantities of liquid
WO2014012284A1 (zh) 一种填料耦合盘管蒸发式冷凝器
JP5541877B2 (ja) 散布管装置とこれを用いた熱交換器
US9314802B2 (en) Spraying tube device and heat exchanger using the same
CN209085119U (zh) 换热器及具有其的空调器
US9915452B2 (en) Support sheet arrangement for falling film evaporator
CN1249032A (zh) 液体分配装置、流下液膜式热交换器及吸收式冷冻机
KR19980042568A (ko) 흡수식 히트 펌프
KR100331985B1 (ko) 액체분배장치 및 유하액막식 열교환기 및 흡수식 냉동기
JP2008075885A (ja) 蒸発器
RU2772386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камеры теплообменника скрытой теплоты
JP5036360B2 (ja) 吸収冷凍機
JP5961893B2 (ja) 散布装置
JP4423590B2 (ja) 滴下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