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71382A - 왕골의 두께선별장치 - Google Patents

왕골의 두께선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71382A
KR20230071382A KR1020210157517A KR20210157517A KR20230071382A KR 20230071382 A KR20230071382 A KR 20230071382A KR 1020210157517 A KR1020210157517 A KR 1020210157517A KR 20210157517 A KR20210157517 A KR 20210157517A KR 20230071382 A KR20230071382 A KR 202300713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ne
thickness
unit
sorting
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575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57757B1 (ko
Inventor
박윤환
Original Assignee
농업회사법인 강화도령화문석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농업회사법인 강화도령화문석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농업회사법인 강화도령화문석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1575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57757B1/ko
Publication of KR202300713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713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577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577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CPOSTAL SORTING; SORTING INDIVIDUAL ARTICLES, OR BULK MATERIAL FIT TO BE SORTED PIECE-MEAL, e.g. BY PICKING
    • B07C5/00Sorting according to a characteristic or feature of the articles or material being sorted, e.g. by control effected by devices which detect or measure such characteristic or feature; Sorting by manually actuated devices, e.g. switches
    • B07C5/36Sort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means used for distribu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CPOSTAL SORTING; SORTING INDIVIDUAL ARTICLES, OR BULK MATERIAL FIT TO BE SORTED PIECE-MEAL, e.g. BY PICKING
    • B07C5/00Sorting according to a characteristic or feature of the articles or material being sorted, e.g. by control effected by devices which detect or measure such characteristic or feature; Sorting by manually actuated devices, e.g. switches
    • B07C5/04Sorting according to size
    • B07C5/08Sorting according to size measured electrically or electronical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CPOSTAL SORTING; SORTING INDIVIDUAL ARTICLES, OR BULK MATERIAL FIT TO BE SORTED PIECE-MEAL, e.g. BY PICKING
    • B07C5/00Sorting according to a characteristic or feature of the articles or material being sorted, e.g. by control effected by devices which detect or measure such characteristic or feature; Sorting by manually actuated devices, e.g. switches
    • B07C5/36Sort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means used for distribution
    • B07C5/38Collecting or arranging articles in groups

Landscapes

  • Sorting Of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왕골의 두께선별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왕골의 그림자 데이터를 기반으로 왕골의 두께선별이 가능하도록 형성된 왕골의 두께선별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왕골의 두께선별장치{Flat sedge thickness screening device }
본 발명은 왕골의 두께선별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왕골의 그림자 데이터를 기반으로 왕골의 두께선별이 가능하도록 형성된 왕골의 두께선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왕골은 방동사니과에 속하는 1년생 풀로서 표피가 매끄럽고 광택이 있으며, 통기성이 우수하고 건조되면 대단히 질긴 성질로 인해 여름철에 깔고 앉는 방석이나 돗자리 등의 주재료로 쓰인다. 왕골의 줄기의 껍질은 광택이 좋고 매끄러우며 인장강도가 높아 돗자리 등의 공예품의 재료로 사용된다.
이러한 왕골은 두께선별작업을 거친 후에 공예품 재료로 사용된다. 이 때, 두께선별작업이 제대로 수행되지 않았을 경우, 돗자리를 비롯한 공예품의 표면이 균일하지 못하여 상품성이 떨어지고, 왕골 직조기의 직조설정두께에 반하게 되어 기계의 고장을 초래할 수 있다.
종래에는 이러한 두께선별작업이 대부분 수작업에 의해 수행되는 경우가 많았으며, 이에 따라 많은 인력이 하나하나 왕골을 육안으로 식별하여 선별해야하기 때문에 작업이 난해하고, 정밀하지 못하여 두께가 일정치 못하였으며, 또한 작업에 소요되는 시간이 길어지고 인건비가 가중되는 등의 다양한 문제점이 발생한다.
한편, 왕골재료선별장치에 관련한 종래기술로는 실용신안공보 제1996-0000944호가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왕골에 대한 그림자 데이터를 기반으로 왕골의 두께 값을 측정하고, 이를 통해 왕골의 두께를 선별하여, 그 선별 결과 값에 따라 선별을 자동 수행할 수 있도록 형성된 두께선별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왕골의 두께선별장치는 작업대 상에 컨베이어벨트가 설치되어, 상기 컨베이어벨트의 회전에 의해 왕골이 선별될 수 있도록 형성된 두께선별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기 두께선별장치는, 전방롤러와 후방롤러로 구성되는 롤러부와, 상기 전방롤러와 후방롤러 사이에 구비된 검사프레임을 포함하는 두께검사부; 작업대 상의 컨베이어 벨트를 따라 상기 두께검사부의 후단에 연결 설치되어, 좌측에서 우측으로 이동되면서 상기 두께검사부에서 두께 측정이 완료된 왕골이 이동될 수 있도록 형성되되, 후단에 한 쌍의 가이드판이 구비된 가이드부; 상기 가이드부의 가이드판을 통과한 상기 왕골에 대한 선별이 수행될 수 있도록 좌우로 이동되면서 왕골에 대한 선별을 수행하도록 하는 구획안내블록을 포함하는 선별수행부; 및 상기 구획안내블록을 따라, 상기 왕골이 다수 개의 섹터 중 한 개의 섹터로 적재될 수 있도록 형성된 선별적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왕골의 두께선별장치는 왕골에 대한 그림자 데이터를 기반으로 왕골의 두께 값을 측정하고, 이를 통해 왕골의 두께를 선별하여, 그 두께 선별 결과 값에 따라 선별수행부의 구획안내블록이 왕골에 대한 선별을 자동 수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왕골의 두께선별장치는 왕골을 선별하는 데에 들이는 작업 시간과 인건비가 절감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왕골의 두께선별장치는 왕골이 균일하게 선별될 수 있으므로, 왕골로 제작된 공예품의 표면이 균일하여 상품성이 향상되고, 왕골 직조기의 직조설정두께에 맞추어 왕골이 투입될 수 있으므로 기계의 고장원인을 제거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왕골의 두께선별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왕골의 두께선별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왕골의 두께선별장치의 두께검사부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왕골의 두께선별장치의 두께검사방법을 간단하게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왕골의 두께선별장치의 가이드부 및 선별수행부를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왕골의 두께선별장치의 선별수행부를 도시한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왕골의 두께선별장치의 선별수행과정을 도시한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왕골의 후공정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왕골의 후공정장치의 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다만 발명의 요지와 무관한 일부 구성은 생략 또는 압축할 것이나, 생략된 구성이라고 하여 반드시 본 발명에서 필요가 없는 구성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결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왕골의 두께선별장치(1)의 구성을 도시한 것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두께선별장치(1)의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두께선별장치(1)는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께검사부(10)와, 가이드부(20)와, 선별수행부(30)와, 선별적재부(40)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왕골의 두께선별장치(1)는 작업대 상에 컨베이어 벨트(3)가 연결 설치되어 있어, 구동모터로부터 회전동력을 받아 컨베이어 벨트(3)의 좌측에서 우측으로 이동되면서, 복수의 왕골(4)이 두께검사부(10), 가이드부(20), 선별수행부(30), 및 선별적재부(40)를 차례로 거치며 선별작업이 수행된다.
두께검사부(1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롤러(110)와 후방롤러(111)를 포함하는 롤러부(11)와, 상기 전방롤러(110)와 후방롤러(111) 사이에 구비된 검사프레임(12)을 포함한다.
롤러부(11)는 왕골(4)이 작업대와 롤러부(11) 사이에 투입되었을 때, 투입된 왕골(4)이 작업대의 일정한 높이에서 밀착할 수 있도록 눌러줌으로써 정확한 두께측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롤러부(11)는 전방지지블록(112)과 후방지지블록(112)에 각각 전방롤러(110)와 후방롤러(111)의 롤러축(114, 115)이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롤러축(114, 115)을 중심으로 롤러부(11)가 회전 가능하다.
검사프레임(12)은 왕골(4)에 대한 그림자 데이터를 획득하여, 획득된 그림자 데이터를 기반으로, 왕골(4)에 대한 두께를 측정하고, 두께 선별 결과값을 선별수행부(30)로 전송한다.
상기 검사프레임(12)은 하부 일측에 광원(121)과 검출부(122)가 설치된다. 상기 광원(121)은 왕골(4)에 대하여 빛을 조사하고, 상기 검출부(122)는 상기 광원(121)과 근접한 위치에 설치되어 상기 왕골(4)에 대한 그림자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상기 검출부(122)는 예를 들어, 카메라일 수 있다.
왕골(4)의 두께 측정은, 상기 검사프레임(12)의 하부 일측에 설치된 광원(121)이 투입된 왕골(4)에 빛을 조사한 상태에서, 상기 광원(121)과 근접한 위치에 설치된 검출부(122)의 작동에 의해, 도 4(a) 내지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왕골(4)의 그림자 데이터를 획득한다. 이후, 획득된 왕골(4)의 그림자 데이터에 비례하여 왕골(4)의 두께가 측정된다.
예를 들어, 도 4(a)와 같이, 획득된 왕골(4)의 그림자 데이터가 a로 작게 측정된 경우, 상기 왕골(4)의 그림자 데이터에 비례하여, 왕골(4)의 두께는 a′으로 작게 측정된다. 또는 도 4(c)와 같이, 왕골(4)의 그림자 데이터가 c로 크게 측정된 경우에는, 이에 비례하여 왕골(4)의 두께는 c′으로 크게 측정된다.
이 때, 검사프레임(12)은 왕골(4)의 30cm~80cm 범위의 두께를 측정한 후, 이 두께 값을 평균하여 왕골(4)의 두께로 삼을 수도 있다.
이후, 왕골(4)은 아래 표 1과 같이, 소정 두께를 기준으로, 소/중/대 사이즈로 분류된다.
a mm이상 ~ b mm 미만 b mm이상 ~ c mm 미만 c mm이상 ~ d mm 미만
예를 들어, 상기 측정된 왕골(4)의 두께 평균이 c mm이상 ~ d mm 미만으로 분류되어 '대' 두께로 분류인 경우, 왕골(4)은 '대' 두께로 선별되며, 이러한 두께선별 결과 값은 선별수행부(30)로 전송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왕골(4)에 대한 선별 기준을 30cm~80cm의 범위로 측정된 왕골(4) 두께의 평균값으로 선별되도록 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가장 두꺼운 왕골(4) 두께를 기준으로 선별되도록 기준으로 삼을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상기 검출부(122)를 카메라로 설정하여 상기 광원(121)에 의해 드리워진 왕골(4)의 그림자 데이터를 측정하여 왕골(4)의 두께를 측정하도록 하였으나, 상기 검출부(122)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상기 검출부(122)는 CCD 카메라이거나, 또는 CCD 카메라와 포토센서를 조합한 것일 수 있다. 이를 통해 왕골(4) 표면에 반사되어 검출부(122)로 입사되는 반사 값 또는 산란 값을 통해 왕골(4)의 두께뿐만 아니라, 왕골(4)의 휨 정도, 불량 등 왕골(4)의 상태를 파악하는 데에도 사용할 수 있으며, 이 때, 검출부(122)는 음영 없이 영상을 명확히 획득할 수 있도록 외부의 빛을 차단한 상태에서 검출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이해를 돕기 위하여, 광원(121) 및 검출부(122)를 각각 한 개씩 설치한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광원(121) 및 검출부(122)의 위치 및 개수는 다양하게 변경하여 실시가능하다.
가이드부(20)는 작업대 상에 컨베이어 벨트(3)가 연결 설치되어, 구동모터로부터 회전동력을 받아 컨베이어 벨트(3)가 좌측에서 우측으로 이동되면서 두께 측정이 완료된 상기 왕골(4)이 선별수행부(30)로 이동될 수 있도록 형성되며, 가이드부(20)의 후단에는 한 쌍의 가이드판(21)이 고정 설치된다.
도 5를 참조하면, 한 쌍의 가이드판(21)은 깔때기의 단면 형상과 유사하도록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한 쌍의 가이드판(21)은 각 가이드판(21)의 전단 이격거리가 넓고, 후단으로 갈수록 이격거리가 좁아지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가이드판(21)의 형태는 왕골(4)이 가이드판(21)의 전단에서 용이하게 투입된 후, 좁은 배출구멍을 통해 선별수행부(30)를 거쳐 선별적재부(40)로 적절히 선별되어 이동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선별수행부(30)는 상기 왕골(4)의 두께선별 결과값을 전송받아, 전송받은 두께선별 결과값을 토대로 구획안내블록(34)을 제어하여 왕골(4)에 대한 선별을 수행하는 구성이다.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선별수행부(30)는 모터(미도시)와, 상기 모터에 연결된 벨트풀리(31)와, 상기 벨트풀리(31)에 연결되어 회전 가능하도록 형성된 벨트(32)와, 상기 벨트(32)와 연동되어 좌우로 이동하는 구획조절판(33)과, 상기 구획조절판(33)과 결합되어 상기 구획조절판(33)의 이동에 따라 좌우로 이동되는 구획안내블록(34)을 포함한다.
상기 구획안내블록(34)은 외부블록(340)과 내부블록(341)으로 형성되며, 상기 외부블록(340) 내부에 내부블록(341)이 삽입된 상태에서, 좌우로 이동하면서 왕골(4)이 선별적재부(40)의 섹터로 가이드 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외부블록(340)의 상측에는 결합돌기(35)가 형성되고, 또한 상기 벨트(32)의 상측과 하측 사이에는 결합홈(36)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외부블록(340)의 결합돌기(35)가 상기 결합홈(36)에 삽입 고정될 수 있다.
선별적재부(40)는 상기 선별수행부(30)의 구획안내블록(34)을 따라, 왕골(4)이 다수 개의 섹터 중 한 개의 섹터로 적재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와 같이, 선별적재부(40)는 제1 섹터(41), 제2 섹터(42), 제3 섹터(43)로 구분될 수 있으며, 제1 섹터(41)에는 소 두께의 왕골(4)이 적재되고, 제2 섹터(42)에는 중 두께의 왕골(4)이 적재되며, 제3 섹터(43)에는 대 두께의 왕골(4)이 적재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7(a)와 같이, 전송받은 왕골(4)에 대한 두께선별 결과 값이 '대'인 경우, 벨트(32)의 회전에 따라 구획안내블록(34)이 연동되어, 왕골(4)이 선별적재부(40)의 제1 섹터(41)와 제2 섹터(42)로 이동되지 못하도록 하며, 이에 따라 가이드부(20)에서 이동된 왕골(4)이 제3 섹터(43)에 적재된다.
또한 도 7(b)와 같이, 전송받은 왕골(4)에 대한 두께선별 결과 값이 '중' 두께인 경우, 벨트(32)의 회전에 따라 구획안내블록(34)이 중간 위치로 연동되면서, 구획안내블록(34)의 가이드판(21) 후단과 구획안내블록(34)의 전단이 연통되어 '중' 두께의 왕골(4)이 제2 섹터(42)로 적재된다.
또한 도 7(c)와 같이, 전송받은 왕골(4)에 대한 두께선별 결과 값이 '소' 두께인 경우, 벨트의 회전에 따라 구획안내블록(34)이 우측으로 연동되면서, 구획안내블록(34)이 왕골(4)이 선별적재부(40)의 제2 섹터(42)와 제3 섹터(43)로 이동되지 못하도록 막아줌으로써, 가이드부(20)에서 이동된 왕골(4)이 제1 섹터(41)로 적재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왕골(4)의 두께선별장치(1)는, 이하 두께선별과정에 대한 설명을 통해 더욱 구체화될 것이다.
도 2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먼저, 왕골(4)이 두께검사부(10)에 투입된다. 이후, 상기 두께검사부(10)의 전방롤러(110) 및 후방롤러(111)가 투입된 왕골(4)을 상하좌우로 흔들리지 않도록 눌러준 상태에서, 상기 전방롤러(110)와 후방롤러(111) 사이에 구비된 검사프레임(12)이 왕골(4)에 대하여 두께를 측정한다.
왕골(4)의 두께 측정과정은, 상기 검사프레임(12)의 하부 일측에 설치된 광원(121)이 왕골(4)에 빛을 조사한 상태에서, 상기 광원(121)과 근접한 위치에 설치된 검출부(122)의 작동에 의해, 도 4(a) 내지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왕골(4)의 그림자 데이터를 획득하여, 획득된 왕골(4)의 그림자 데이터에 비례하여, 왕골(4)의 두께를 측정한다.
예를 들어, 도 4(a)와 같이, 획득된 왕골(4)의 그림자 데이터가 a로 작게 측정된 경우, 상기 왕골(4)의 그림자 데이터에 비례하여, 왕골(4)의 두께는 a′으로 작게 측정된다. 또는 도 4(c)와 같이, 왕골(4)의 그림자 데이터가 c로 크게 측정된 경우에는, 이에 비례하여 왕골(4)의 두께는 c′으로 크게 측정된다.
이 때, 검사프레임(12)은 왕골(4)의 30cm~80cm 범위의 두께를 측정한 후, 이 두께 값을 평균하여 왕골(4)의 두께로 삼을 수 있다. 이후, 이러한 왕골(4)의 두께 평균값을 기준으로, 소/중/대 사이즈로 선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측정된 왕골(4)의 두께 평균값이 '대' 크기로 분류되는 경우, 왕골(4)은 '대' 사이즈로 측정되며, 이러한 두께선별 결과 값은 선별수행부(30)로 전송된다.
이후, 두께 측정이 완료된 왕골(4)은 가이드부(20)의 가이드판(21)을 지나 선별수행부(30)로 이동된다.
선별수행부(30)는 전송받은 왕골(4)에 대한 두께선별 결과 값에 따라, 왕골(4)에 대한 선별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도 7(a)와 같이, 전송받은 왕골(4)에 대한 두께선별 결과 값이 '대'인 경우, 벨트의 회전에 따라 구획안내블록(34)이 연동되어, 왕골(4)이 선별적재부(40)의 제1 섹터(41)와 제2 섹터(42)로 이동되지 못하도록 하며, 이에 따라 가이드부(20)에서 이동된 왕골(4)이 제3 섹터(43)에 적재된다.
또한 도 7(b)와 같이, 전송받은 왕골(4)에 대한 두께선별 결과 값이 '중' 두께인 경우, 벨트(32)의 회전에 따라 구획안내블록(34)이 중간 위치로 연동되면서, 구획안내블록(34)의 가이드판(21) 후단과 구획안내블록(34)의 전단이 연통되어 '중' 두께의 왕골(4)이 제2 섹터(42)로 적재된다.
또한 도 7(c)와 같이, 전송받은 왕골(4)에 대한 두께선별 결과 값이 '소' 두께인 경우, 벨트(32)의 회전에 따라 구획안내블록(34)이 우측으로 연동되면서, 구획안내블록(34)이 왕골(4)이 선별적재부(40)의 제2 섹터(42)와 제3 섹터(43)로 이동되지 못하도록 막아줌으로써, 가이드부(20)에서 이동된 왕골(4)이 제1 섹터(41)로 적재된다.
이후, 상기 두께선별장치(1)에 의해 적재된 왕골(4)은 왕골(4)의 후공정장치(6)를 통해 왕골(4)에 대한 후공정을 진행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왕골(4)의 후공정장치(6)와 그 후공정방법에 대하여 도 8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상기 두께선별장치(1)에 의해 복수의 섹터에 적재된 왕골(4)은 왕골(4)의 후공정장치(6)를 통해 정렬되고 커팅되어 배출될 수 있다.
도 9는 왕골(4)의 후공정장치(6)를 도시한 도면으로, 본 발명의 왕골(4)의 후공정장치(6)는 절단용 칼날이 구비되어 상기 정량적재부(60)에 일정량 투입된 복수의 왕골(4)을 균등하게 커팅하는 커팅부(80)와, 커팅된 복수의 왕골(4)이 일정량 투입되는 정량적재부(60)와, 상기 커팅된 복수의 왕골(4)의 끝단을 맞추어 정렬시켜 묶어주는 정렬부(70)와,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기 묶어진 복수의 왕골(4)이 장치 밖으로 배출될 수 있도록 배출하는 배출부(90)로 구성된다.
상기 커팅부(80)에는 복수의 왕골(4)이 정 위치에 정지하였는지 확인할 수 있는 위치확인용 포토센서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정렬부(70)는 에어실린더를 이용하여 복수의 왕골(4)을 정렬부(70)에 정렬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배출부(90) 일측에는 토출용 에어포트가 구비되어, 상기 에어포트에서 에어를 쏘아 복수의 왕골(4)을 배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출부(90)의 배출구에는 수거함이 구비될 수 있다. 수거함은 배출부(90)를 통과한 절결된 왕골(4)을 배출하여 수거하기 위해 마련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후공정장치(6)는 상기 분류별로 선별된 복수의 왕골(4)을 균등하게 커팅하고, 상기 커팅된 복수의 왕골(4)의 끝단을 맞추어 정렬한 후 묶어주고, 상기 묶어진 복수의 왕골이 하향 경사진 배출부(90)를 따라 수거함으로 배출하도록 할 수 있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왕골의 두께선별장치는 왕골에 대한 그림자 데이터를 기반으로 왕골의 두께 값을 측정하고, 이를 통해 왕골의 두께를 선별하여, 그 두께 선별 결과 값에 따라 선별수행부의 구획안내블록이 왕골에 대한 선별을 자동 수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왕골의 두께선별장치는 왕골을 선별하는 데에 들이는 작업 시간과 인건비가 절감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왕골의 두께선별장치는 왕골이 균일하게 선별될 수 있으므로, 왕골로 제작된 공예품의 표면이 균일하여 상품성이 향상되고, 왕골 직조기의 직조설정두께에 맞추어 왕골이 투입될 수 있으므로 기계의 고장원인을 제거할 수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이고, 본 발명에 대해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안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부가가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 및 부가는 본 발명의 특허청구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1: 두께선별장치
2: 작업대
3: 컨베이어 벨트
4: 왕골
6: 후공정장치
10: 두께검사부
11:롤러부
12: 검사프레임
20: 가이드부
21: 가이드판
30: 선별수행부
31: 벨트풀리
32: 벨트
33: 구획조절판
34: 구획안내블록
35: 결합돌기
36: 결합홈
40: 선별적재부
41: 제1 섹터
42: 제2 섹터
43: 제3 섹터
60: 정량적재부
70: 정렬부
80: 커팅부
90: 배출부
110: 전방롤러
111: 후방롤러
112: 전방지지블록
113: 후방지지블록
114: 전방롤러축
115: 후방롤러축
121: 광원
122: 검출부
340: 외부블록
341: 내부블록

Claims (5)

  1. 작업대 상에 컨베이어벨트가 설치되어, 상기 컨베이어벨트의 회전에 의해 왕골이 선별될 수 있도록 형성된 두께선별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기 두께선별장치는,
    전방롤러와 후방롤러로 구성되는 롤러부와, 상기 전방롤러와 후방롤러 사이에 구비된 검사프레임을 포함하는 두께검사부;
    작업대 상의 컨베이어 벨트를 따라 상기 두께검사부의 후단에 연결 설치되어, 좌측에서 우측으로 이동되면서 상기 두께검사부에서 두께 측정이 완료된 왕골이 이동될 수 있도록 형성되되, 후단에 한 쌍의 가이드판이 구비된 가이드부;
    상기 가이드부의 가이드판을 통과한 상기 왕골에 대한 선별이 수행될 수 있도록 좌우로 이동되면서 왕골에 대한 선별을 수행하도록 하는 구획안내블록을 포함하는 선별수행부; 및
    상기 구획안내블록을 따라, 상기 왕골이 다수 개의 섹터 중 한 개의 섹터로 적재될 수 있도록 형성된 선별적재부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왕골의 두께선별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두께검사부의 롤러부는,
    왕골이 상기 작업대와 롤러부 사이에 투입되었을 때,
    상기 왕골이 작업대에 일정 높이에서 고정되어 왕골의 두께검사가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왕골의 두께선별장치.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두께검사부의 검사프레임은,
    일측에 광원과 검출부가 설치되어,
    상기 광원에 의해 왕골에 대한 빛을 조사한 상태에서,
    상기 검출부가 상기 광원에 의해 생긴 왕골에 대한 그림자 데이터를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왕골의 두께선별장치.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두께검사부는,
    상기 획득된 그림자 데이터를 기반으로의 왕골에 대한 두께를 측정하고, 두께가 측정된 상기 왕골을 소정의 기준에 따라 선별하여, 그 선별 결과 값을 선별수행부로 전송하여 상기 선별수행부에서 선별이 수행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왕골의 두께선별장치.
  5. 작업대 상에 설치된 컨베이어벨트의 회전에 의해 복수의 왕골이 선별되도록 형성된 두께선별장치의 두께선별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왕골이 투입되는 단계;
    상기 투입된 왕골에 대한 그림자 데이터를 획득하고, 획득된 그림자 데이터를 기반으로, 상기 왕골에 대한 두께를 측정하는 단계;
    상기 왕골에 대한 두께를 소정의 기준에 따라 구분하여, 구분된 선별 결과 값을 선별수행부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전송받은 선별 결과 값에 따라, 구획안내블록이 좌우로 이동되어 선별을 수행하는 단계;
    상기 구획안내블록의 선별에 따라, 왕골이 선별적재부의 다수 개의 섹터 중 하나의 섹터로 적재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왕골의 두께선별방법.
KR1020210157517A 2021-11-16 2021-11-16 왕골의 두께선별장치 KR1025577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57517A KR102557757B1 (ko) 2021-11-16 2021-11-16 왕골의 두께선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57517A KR102557757B1 (ko) 2021-11-16 2021-11-16 왕골의 두께선별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71382A true KR20230071382A (ko) 2023-05-23
KR102557757B1 KR102557757B1 (ko) 2023-07-20

Family

ID=865443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57517A KR102557757B1 (ko) 2021-11-16 2021-11-16 왕골의 두께선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57757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192376A (ja) * 1985-02-19 1986-08-26 日綜産業株式会社 単管の選別方法及び装置
KR960000944U (ko) * 1994-06-23 1996-01-1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의실내환기장치
KR20180009832A (ko) * 2016-07-19 2018-01-30 진광식 필라멘트 감기 장치, 이를 이용한 3차원 프린터용 필라멘트 재생 장치 및 3차원 프린터용 필라멘트 재생 장치 제어 시스템
KR102271350B1 (ko) * 2020-12-10 2021-07-01 박정범 칡 줄기를 이용한 친환경 새끼줄 가공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192376A (ja) * 1985-02-19 1986-08-26 日綜産業株式会社 単管の選別方法及び装置
KR960000944U (ko) * 1994-06-23 1996-01-1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의실내환기장치
KR20180009832A (ko) * 2016-07-19 2018-01-30 진광식 필라멘트 감기 장치, 이를 이용한 3차원 프린터용 필라멘트 재생 장치 및 3차원 프린터용 필라멘트 재생 장치 제어 시스템
KR102271350B1 (ko) * 2020-12-10 2021-07-01 박정범 칡 줄기를 이용한 친환경 새끼줄 가공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57757B1 (ko) 2023-07-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879752A (en) Lumber optimizer
US7426422B2 (en) Wood tracking by identification of surface characteristics
US10825164B1 (en) Imaging system for analysis of wood products
US4805679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cessing lumber
WO1997029368A1 (en) Visual inspection system for leather hide
US20050027482A1 (en) Method for estimating the quality of wood chips
RU2265488C2 (ru) Способ увеличения прочности и/или уменьшения ее отклонений в многослойных древесных, фанерных или слоистых материалах
US7227165B2 (en) System and method for classification of timber
WO2012074372A2 (en) A system for fruit grading and quality determination
CN1296566A (zh) 纤维强度测试系统
US11222419B1 (en) Method and system for veneer grading and stacking using vision system analysis
KR102557757B1 (ko) 왕골의 두께선별장치
US11200663B1 (en) Method and system for layered wood product production using local robotic panel assembly cells and vision system analysis
US20210398270A1 (en) Method and system for layered wood product production
EP0765471B1 (en) Arrangement and method for the detection of defects in timber
JP5006147B2 (ja) 木材の検査方法及び装置及びプログラム
US20210398269A1 (en) Method and system for layered wood product production
CN112833946B (zh) 一种芯片快速检测设备及快速检测方法
CN217579440U (zh) 一种智能皮革面料验布机
CN220579647U (zh) 一种验布裁剪分拣机
US8073192B2 (en) Determining wood characteristics using annual ring images from lumber faces
CN110270517A (zh) 一种基于荧光检测的水果分拣系统及其方法
JPH0835940A (ja) 木材の自動選別方法及び装置
CA1281392C (en) Lumber optimizer
CN215676954U (zh) 固定环检测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