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70407A - 제어 시스템 및 충방전 제어 시스템 - Google Patents

제어 시스템 및 충방전 제어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70407A
KR20230070407A KR1020227033960A KR20227033960A KR20230070407A KR 20230070407 A KR20230070407 A KR 20230070407A KR 1020227033960 A KR1020227033960 A KR 1020227033960A KR 20227033960 A KR20227033960 A KR 20227033960A KR 20230070407 A KR20230070407 A KR 202300704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ssure
computer
control
control system
control circu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339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지아 왕
즈후이 왕
Original Assignee
컨템포러리 엠퍼렉스 테크놀로지 씨오.,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CN202122738747.5U external-priority patent/CN219349384U/zh
Application filed by 컨템포러리 엠퍼렉스 테크놀로지 씨오.,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컨템포러리 엠퍼렉스 테크놀로지 씨오.,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300704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7040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7Regulation of charging or discharging current or voltage
    • H02J7/007188Regulation of charging or discharging current or voltage the charge cycle being controlled or terminated in response to non-electric parame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3/00Electric devices on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for safety purpos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e.g. speed, deceleration or energy consumption
    • B60L3/0023Detecting, eliminating, remedying or compensating for drive train abnormalities, e.g. failures within the drive train
    • B60L3/0046Detecting, eliminating, remedying or compensating for drive train abnormalities, e.g. failures within the drive train relating to electric energy storage systems, e.g. batteries or capaci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30Arrangements for facilitating escape of gases
    • H01M50/317Re-sealable arrangements
    • H01M50/325Re-sealable arrangements comprising deformable valve members, e.g. elastic or flexible valve memb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8/0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 B60L58/1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LMEASURING FORCE, STRESS, TORQUE, WORK, MECHANICAL POWER, MECHANICAL EFFICIENCY, OR FLUID PRESSURE
    • G01L19/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apparatus for measuring steady or quasi-steady pressure of a fluent medium insofar as such details or accessories are not special to particular types of pressure gauges
    • G01L19/08Means for indicating or recording, e.g. for remote indication
    • G01L19/083Means for indicating or recording, e.g. for remote indication electrical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LMEASURING FORCE, STRESS, TORQUE, WORK, MECHANICAL POWER, MECHANICAL EFFICIENCY, OR FLUID PRESSURE
    • G01L19/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apparatus for measuring steady or quasi-steady pressure of a fluent medium insofar as such details or accessories are not special to particular types of pressure gauges
    • G01L19/08Means for indicating or recording, e.g. for remote indication
    • G01L19/12Alarms or sign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25Structural combination with electronic components, e.g. electronic circuits integrated to the outside of the cas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4Methods for charging or discharging
    • H01M10/445Methods for charging or discharging in response to gas press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8Accumulators combined with arrangements for measuring, testing or indicating the condition of cells, e.g. the level or density of the electrolyt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8Accumulators combined with arrangements for measuring, testing or indicating the condition of cells, e.g. the level or density of the electrolyte
    • H01M10/482Accumulators combined with arrangements for measuring, testing or indicating the condition of cells, e.g. the level or density of the electrolyte for several batteries or cells simultaneously or sequentiall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8Accumulators combined with arrangements for measuring, testing or indicating the condition of cells, e.g. the level or density of the electrolyte
    • H01M10/488Cells or batteries combined with indicating means for external visualization of the condition, e.g. by change of colour or of light densit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30Arrangements for facilitating escape of gases
    • H01M50/317Re-sealable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03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data exchang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29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safety or protection devices or circui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7Regulation of charging or discharging current or voltage
    • H02J7/007188Regulation of charging or discharging current or voltage the charge cycle being controlled or terminated in response to non-electric parameters
    • H02J7/00719Regulation of charging or discharging current or voltage the charge cycle being controlled or terminated in response to non-electric parameters in response to degree of gas development in the batter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2250/00Driver interactions
    • B60L2250/16Driver interactions by displa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25Structural combination with electronic components, e.g. electronic circuits integrated to the outside of the casing
    • H01M2010/4271Battery management systems including electronic circuits, e.g. control of current or voltage to keep battery in healthy state, cell balanc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00/00Safety devices for primary or secondary batteries
    • H01M2200/20Pressure-sensitive devic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2310/00The network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characterised by its spatial reach or by the load
    • H02J2310/40The network being an on-board power network, i.e. within a vehicle
    • H02J2310/48The network being an on-board power network, i.e. within a vehicle for electric vehicles [EV] or hybrid vehicles [HEV]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 Secondary Ce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는 전원 공급 장치 제어 기술 분야에 관한 것으로, 제어 시스템 및 충방전 제어 시스템을 제공하며, 상기 제어 시스템은 제어 회로 및 중간 컴퓨터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 회로는 압력 센서, 압전 밸브 및 컨트롤러를 포함하며; 상기 압력 센서는 압력 정보를 수집하며; 상기 컨트롤러는 압력 센서에 의해 수집된 압력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압력 정보를 중간 컴퓨터에 전송하며; 상기 중간 컴퓨터는 상기 압력 정보를 상위 컴퓨터에 전송하고, 상위 컴퓨터가 상기 압력 정보에 따라 생성한 압력 설정값를 수신하고, 상기 압력 설정값을 컨트롤러에 전송하며; 상기 컨트롤러는 또한 상기 압력 설정값에 따라, 상기 압전 밸브를 제어한다. 상기 방법을 통해, 본 발명의 실시예는 충방전의 안전성을 향상시킨다.

Description

제어 시스템 및 충방전 제어 시스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전원 공급 장치 제어 기술 분야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제어 시스템 및 충방전 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에너지 절약 및 배출 저감은 자동차 산업의 지속적인 발전의 핵심이며, 전기자동차는 에너지 절약 및 환경 보호의 이점으로 인해, 자동차 산업의 지속 발전의 중요한 부분이 되었다. 전기자동차의 경우, 배터리 기술은 그 발전에 있어 매우 중요한 요소이다.
현재, 리튬 이온 배터리의 보급이 확대됨에 따라, 배터리 충전의 중요성이 더욱 커지고 있으며, 배터리 충전을 빠르고 안전하게 완료하는 방법이 전기자동차 대중화의 핵심이 되었다. 본 고안의 고안자는 기존의 배터리 충방전 시스템이 상대적으로 효율이 낮고 부하가 커서 배터리의 충방전을 효과적으로 제어하기 어렵다는 점을 발견하였다.
상기 문제점을 감안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는 종래 기술에 존재하는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제어 시스템 및 충방전 제어 시스템을 제공한다.
일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의 실시예는 제어 시스템을 제공하며, 상기 제어 시스템은 제어 회로 및 중간 컴퓨터를 포함하며; 제어 회로는 압력 센서, 압전 밸브 및 컨트롤러를 포함하며; 압력 센서는 압력 정보를 수집하며; 컨트롤러는 압력 센서에 의해 수집된 압력 정보를 수신하고, 압력 정보를 중간 컴퓨터에 전송하며; 중간 컴퓨터는 압력 정보를 상위 컴퓨터에 전송하고, 상위 컴퓨터가 압력 정보에 따라 생성한 압력 설정값을 수신하고, 압력 설정값을 컨트롤러에 전송하며; 컨트롤러는 또한 압력 설정값에 따라, 압전 밸브를 제어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제어 시스템에 따르면, 한편으로는 상위 컴퓨터의 부하가 감소되고, 데이터 교환의 효율성이 대폭 향상된다. 다른 한편으로는, 제어 회로에 압력 센서, 압전 밸브 및 컨트롤러가 통합되고 PLC측의 AI/AO 출력 모듈이 취소되어 구성 요소가 차지하는 공간을 줄이고 시스템 비용을 절감한다. 또한, 중간 컴퓨터를 통해 시스템 보호를 수행함으로써, 시스템의 샘플링 및 응답 속도를 향상시키고, 상위 컴퓨터의 오프라인으로 인한 영향을 피하며, 시스템 보안을 크게 향상시킨다.
일부 실시예에서, 중간 컴퓨터는 또한 상위 컴퓨터에 의해 전송된 압력 보호 범위를 수신하며; 압력 정보가 압력 보호 범위를 초과한 경우, 제어 회로가 상기 압전 밸브를 닫도록, 제어 회로에 제어 명령을 전송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중간 컴퓨터는 압력 정보 및 압력 보호 범위에 따라 압전 밸브를 직접 제어할 수 있고, 제어 회로의 안전 보호가 상위 컴퓨터에서 중간 컴퓨터로 이전되며, 한편으로 안전 보호의 효율을 크게 향상시키고 중간 컴퓨터를 통해 제어함으로 인한 지연을 방지하며, 다른 한편으로는 상위 컴퓨터의 부하를 대폭 줄인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어 회로는, 압력 정보를 수신하고 압력 정보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변환 유닛을 추가적으로 포함한다.
변환 유닛을 제어 회로와 통합함으로써, 제어 회로의 집적도가 향상되고, 압력 수집 효율도 향상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어 회로는, 컨트롤러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압력 정보를 표시하는 압력 게이지를 추가적으로 포함한다.
압력 게이지를 통해 압력 정보를 보다 직관적으로 표시할 수 있어, 압전 밸브의 압력 제어의 정확도와 편의성이 향상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제어 시스템은, 중간 컴퓨터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중간 컴퓨터에 의해 보고된 제어 회로 상태 정보를 수신하는 상위 컴퓨터를 추가적으로 포함하며; 상위 컴퓨터는 제어 회로 상태 정보에 따라, 중간 컴퓨터에 제어 명령을 전송한다.
중간 컴퓨터를 통해 압전 밸브의 상태 정보를 상위 컴퓨터에 주기적으로 보고함으로써, 상위 컴퓨터가 압전 밸브의 상태를 파악하도록 하는 동시에, 압전 밸브의 상태를 획득하는 부담을 줄인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제어 시스템은 중간 컴퓨터에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복수의 제어 회로를 포함한다. 제어 회로의 집적도를 향상함으로써, 제어 회로와 중간 컴퓨터 사이의 직접 통신을 구현하고, 중간 컴퓨터는 압전 밸브를 직접 제어할 수 있어 배터리의 충방전에 대한 시스템의 제어 능력이 향상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제어 시스템은 상위 컴퓨터에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복수의 중간 컴퓨터를 포함한다. 이러한 방식을 통해, 상위 컴퓨터의 부하가 감소되고, 데이터 교환의 효율성이 대폭 향상된다.
다른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의 실시예는 전원 공급 장치 및 상기 실시예의 제어 시스템을 포함하는 충방전 제어 시스템을 제공하며, 상기 제어 시스템은 전원 공급 장치의 충방전을 제어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제어 시스템 및 충방전 제어 시스템을 통해, 한편으로는 상위 컴퓨터의 부하를 감소하고 데이터 교환의 효율을 대폭 향상시킨다. 다른 한편으로는, 제어 회로에 압력 센서, 압전 밸브 및 컨트롤러가 통합되고 PLC측의 AI/AO 출력 모듈이 취소되어 구성 요소가 차지하는 공간을 줄이고 시스템 비용을 절감한다. 또한, 중간 컴퓨터를 통해 시스템 보호를 수행함으로써, 시스템의 샘플링 및 응답 속도를 향상시키고, 상위 컴퓨터의 오프라인으로 인한 영향을 피하며, 시스템 보안을 크게 향상시킨다.
상기 설명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기술적 해결책의 개요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수단을 보다 명확하게 이해하기 위해, 본 발명의 명세서의 내용에 따라 실시할 수 있고, 본 발명의 상기 목적 및 다른 목적, 특징 및 장점을 보다 명확하고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구현 방식을 명시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제어 시스템 및 충방전 제어 시스템을 통해, 한편으로는 상위 컴퓨터의 부하를 감소하고 데이터 교환의 효율을 대폭 향상시킨다. 다른 한편으로는, 제어 회로에 압력 센서, 압전 밸브 및 컨트롤러가 통합되고 PLC측의 AI/AO 출력 모듈이 취소되어 구성 요소가 차지하는 공간을 줄이고 시스템 비용을 절감한다. 또한, 중간 컴퓨터를 통해 시스템 보호를 수행함으로써, 시스템의 샘플링 및 응답 속도를 향상시키고, 상위 컴퓨터의 오프라인으로 인한 영향을 피하며, 시스템 보안을 크게 향상시킨다.
상기 설명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기술적 해결책의 개요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수단을 보다 명확하게 이해하기 위해, 본 발명의 명세서의 내용에 따라 실시할 수 있고, 본 발명의 상기 목적 및 다른 목적, 특징 및 장점을 보다 명확하고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구현 방식을 명시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을 통해, 다양한 장점 및 이점이 당업자에게 명백해질 것이다. 첨부도면은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내기 위한 목적으로만 사용되며, 본 발명을 제한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서는 안된다. 모든 첨부도면에서,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여 동일한 구성 요소를 나타낸다. 도면에서,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어 시스템의 구조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어 시스템의 회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충방전 제어 시스템의 구조도이다.
이하, 첨부도면을 결부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해결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음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해결책을 보다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일 뿐이며, 따라서 예로서만 사용되고, 본 발명의 보호 범위를 제한하는 것이 아니다.
달리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기술적 및 과학적 용어는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일반적으로 이해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며;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의도되고, 본 발명을 제한하는 것으로 의도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명세서 및 청구범위 및 첨부도면의 설명에 사용되는 용어 "포함하는" 및 "갖는" 및 이들의 변형은 비배타적인 포함을 포함하도록 의도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설명에서, "제1", "제2" 등 기술 용어는 단지 서로 다른 객체를 구분하기 위해 사용되며, 상대적인 중요성을 지시 또는 암시하거나 또는 지시된 기술적 특징의 수량, 특정 순서 또는 1차 및 2차 관계를 나타내는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설명에서, 달리 명시적으로 지정되지 않는 한, "복수"는 두개 이상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실시예"는 실시예를 결부하여 설명된 일정한 특징, 구조 또는 특성이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포함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명세서의 여러 곳에 해당 문구가 나타나는 경우, 반드시 동일한 실시예를 지칭하는 것은 아니고, 다른 실시예와 상호 배타적인 독립적이거나 대안적인 실시예인 것도 아니다. 당업자는 여기에 설명된 실시예가 다른 실시예와 결합될 수 있다는 것을 명시적 또는 암시적으로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설명에서 용어 "및/또는"은 단지 관련 객체의 관련 관계, 예를 들어 A 및/또는 B를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세가지 관계가 존재함을 나타낼 수 있는데, A가 단독으로 존재하거나, A 및 B가 동시에 존재하거나 또는 B가 단독으로 존재하는 등의 세가지 경우를 나타낼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부호 "/"는 일반적으로 앞뒤 관련 객체가 "또는"의 관계임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설명에서 "복수"라는 용어는 두개 이상(두개를 포함)을 의미하며, 마찬가지로, "복수 그룹"은 두개 이상(두개 그룹 포함)의 그룹을 의미하고, "복수 시트"는 두개 이상(두개 시트 포함)의 시트를 의미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설명에서, 기술 용어 "중심", "종방향", "횡방향", "길이", "폭", "두께", "상", "하", "전", "후", "좌", "우", "수직", "수평", "상단", "하단", "내부", "외부", "시계 방향", "반시계 방향", "축 방향", "방사 방향", "원주 방향" 등에 의해 지시되는 방향 및 위치 관계는 도면에 도시된 방향 또는 위치 관계를 기반으로 하며, 단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용이하게 설명하고 설명을 단순화하기 위한 것으로, 언급된 장치 또는 요소가 특정 방향을 가져야 하고 특정 방향으로 구성되거나 작동해야 함을 지시하거나 암시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한 제한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설명에서, 달리 명시되지 않는 한, "설치", "서로 연결", "연결", "고정" 등 기술 용어는 광의적으로 이해되어야 하는바, 예를 들어, 고정 연결되거나 또는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거나 또는 일체로 연결될 수 있으며; 기계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고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으며; 직접 연결될 수도 있고 중간 매체를 통해 연결될 수도 있고, 두 구성 요소가 내부로 연통되거나 또는 두 구성 요소의 상호 작용 관계일 수 있다. 당업자는 구체적인 상황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용어의 구체적인 의미를 이해할수 있을 것이다.
현재, 시장 형세의 발전을 보면, 배터리의 응용은 더욱 광범위해지고 있다. 배터리는 수력, 화력, 풍력 및 태양열 발전소 등 에너지 저장 전원 공급 시스템에 적용될 뿐만 아니라, 또한 전기 자전거, 전기 오토바이, 전기 자동차 등 전기 교통 수단, 그리고 군사 장비와 항공 우주 등 여러 분야에 널리 적용된다. 배터리 적용 분야의 지속적인 확장과 함께, 시장 수요도 지속적으로 확대되고 있다.
배터리 기술의 발전과 함께, 배터리 충전에 대한 시장 수요도 증가하고 있으며, 현재 배터리를 충방전할 때 잠재적인 안전 위험이 종종 존재하는데, 특히 고출력으로 충방전할 때 배터리가 과열되기 쉽고, 온도가 너무 높으면 배터리에 불이 붙거나 폭발하기 쉽기 때문에, 배터리 충전 과정에서 충전 과정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고 배터리 상태에 따라 충전 과정을 실시간으로 제어하는 것이 매우 중요해지고 있다.
배터리 충방전 제어 시스템은 일반적으로 상위 컴퓨터, 중간 컴퓨터, 전원 공급 시스템, 그리고 충전될 배터리와 연결되는 제어 회로를 포함한다. 상위 컴퓨터는 중간 컴퓨터와 연결되어 중간 컴퓨터에 의해 전송된 정보를 수신하고, 중간 컴퓨터에 의해 전송된 정보에 따라 중간 컴퓨터에 제어 명령을 전송하며; 중간 컴퓨터는 제어 시스템 및 전원 공급 시스템에 연결되어 배터리의 충방전 과정을 모니터링하고 제어하며; 전원 공급 시스템은 배터리에 전원을 공급하며; 제어 시스템은 배터리의 충방전 과정을 모니터링하고, 모니터링 정보를 중간 컴퓨터 또는 상위 컴퓨터에 전송하며, 중간 컴퓨터 또는 상위 컴퓨터는 모니터링 정보에 따라 제어 시스템에 제어 명령을 전송하고, 배터리의 충방전 과정을 제어한다.
상위 컴퓨터는 일반적으로 제어 명령을 직접 내릴 수 있는 컴퓨터를 지칭하고, 주로 배터리 충방전 시스템의 전반적인 상태를 모니터링 및 스케줄링하며, 상위 컴퓨터는 화면에 다양한 신호 변화(수압, 수위, 온도 등)를 표시하며, 시스템 작동의 전반적인 상태를 나타낸다.
중간 컴퓨터는 장치를 직접 제어하여 장치의 상태를 획득하는 컴퓨터이며, 일반적으로 마이크로 프로세서 등이며, 응답 속도가 빠르고 장치의 상태를 적시에 얻을 수 있으며, 장치의 상태를 분석하여 장치에 제어 명령을 내린다. 일반적으로, 상위 컴퓨터에 의해 전송된 명령은 먼저 중간 컴퓨터에 보내지고, 중간 컴퓨터는 다시 해당 명령을 대응하는 타이밍 신호로 해석하여 대응하는 장치를 직접 제어한다. 상위 컴퓨터는 중간 컴퓨터를 통해 장치의 상태를 주기적으로 획득하고, 중간 컴퓨터는 장치의 상태 정보를 적시에 획득하여 장치의 상태 정보를 상위 컴퓨터에 전송한다. 일부 경우에 중간 컴퓨터는 상위 컴퓨터를 거치지 않고 직접 장치를 제어할 수도 있다.
개념적으로 상위 컴퓨터와 중간 컴퓨터는 상대적인 개념이며, 일반적으로 제어자와 서비스 제공자는 상위 컴퓨터이고, 피제어자와 서비스를 제공 받는 측은 하위 컴퓨터이며, 마스터-슬레이브의 관계로 이해될 수도 있고, 상위 컴퓨터와 하위 컴퓨터는 전환될 수 있다.
전원 공급 시스템은 충전할 배터리에 에너지를 공급하며, 외부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는 시스템이면 상용 전원 시스템 또는 에너지 저장 시스템일 수 있으며, 여기서는 이를 제한하지 않는다.
제어 회로는 상위 컴퓨터, 중간 컴퓨터 및 전원 공급 시스템에 연결되어 전원 공급 시스템이 충전할 배터리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제어하고, 전원 공급 장치를 제어하여 충방전하는 과정에서 제어 회로는 배터리의 온도, 압력 및 내전류 변화 등을 포함하는 배터리의 상태를 모니터링하고, 상기 변화를 상위 컴퓨터와 중간 컴퓨터에 피드백하여 상위 컴퓨터와 중간 컴퓨터에 의해 충전 과정을 제어한다.
압전 밸브는 새로운 유형의 압전 제어 장치로서, 일반 압력 밸브, 유량 밸브 및 방향 밸브에서 비례 전자석을 사용하여 원래 제어 부품을 교체하고 입력된 전기 신호에 따라 비례적으로 가스의 압력, 흐름 또는 방향을 원격 제어한다. 압전 밸브는 일반적으로 압력 보상 성능이 있어 출력 압력과 유량은 부하 변화의 영향을 받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제어 시스템에서, 제어 회로는 압전 밸브를 통해 배터리의 충방전 과정을 제어한다.
본 발명의 발명자는 기존의 배터리에 대해 충방전하는 과정에 특수 PLC(프로그래머블 컨트롤러)를 통해 배터리에 대해 충방전 제어를 수행하고, 상위 컴퓨터는 PLC의 메시지를 실시간으로 획득하여 배터리의 압력 정보를 획득하고, 압력 정보에 따라 압전 밸브를 제어함으로써 충방전 과정에 압력 보호를 수행하므로 상위 컴퓨터의 부하가 매우 크고, 상위 컴퓨터간에 일반적으로 TCP/IP 프로토콜을 통해 통신하기 때문에, 통신 지연이 심하고, 상위 컴퓨터의 네트워크 케이블이 느슨해지면 충방전 과정에서 압력 보호의 실패를 초래한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동시에, PLC에 의해 배터리의 압력값을 획득할 때, 특수 AI/AO 모듈을 구성해야 하기 때문에, 구성이 복잡하여 배터리의 충방전 과정을 효과적으로 제어할 수 없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제어 시스템을 제공하며, 압력 센서(140), 압전 밸브(131) 및 컨트롤러(120)를 통합하여 일체로 제어 회로(100)로 구성하고 중간 컴퓨터(200)와 통신 연결을 설정함으로써, 원래 상위 컴퓨터에 전송되는 압력 정보가 중간 컴퓨터(200)로 전송되어 상위 컴퓨터의 부하를 방출한다. 또한 PLC의 AI/AO 모듈이 취소되어 하드웨어 비용이 크게 절감된다. 중간 컴퓨터(200)를 통해 압전 밸브(131)를 직접 제어하기 때문에, 본 발명의 실시예는 적시에 안전 제어를 수행할 수 있어 잠재적인 안전 위험을 제거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어 시스템은 제어 회로(100) 및 중간 컴퓨터(200)를 포함하며, 제어 회로(100)는 압력 센서(140), 압전 밸브(131) 및 컨트롤러(120)를 포함하며; 압력 센서(140)는 압력 정보를 수집하며; 컨트롤러(120)는 압력 센서(140)에 의해 수집된 압력 정보를 수신하고, 압력 정보를 중간 컴퓨터(200)에 전송하며; 중간 컴퓨터(200)는 압력 정보를 상위 컴퓨터에 전송하고, 상위 컴퓨터가 압력 정보에 따라 생성한 압력 설정값을 수신하여 압력 설정값을 컨트롤러에 전송하며; 컨트롤러(120)는 또한 압력 설정값에 따라 압전 밸브(131)를 제어한다.
배터리의 충방전 과정에 압력 센서(140)는 배터리의 압력을 수집하여 배터리의 압력 정보를 획득하고, 압력 정보를 컨트롤러(120)에 전송한다. 컨트롤러(120)는 압력 센서(140)에 의해 전송된 압력 정보를 수신 후, 압력 정보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중간 컴퓨터(200)에 전송한다.
중간 컴퓨터(200)와 제어 회로(100)는 RS485 버스 또는 CAN 버스를 통해 연결되며, 제어 회로(100)는 별도를 정보를 추가할 필요가 없이 RS485 메시지 또는 CAN 메시지에 직접 압력 정보를 기록하여 중간 컴퓨터(200)로 전송한다. 또한, 중간 컴퓨터(200)는 RS485 버스 또는 CAN 버스를 통해 제어 회로(100)에 의해 전송된 압력 정보를 수신함으로써, 정보 수집의 적시성을 보장하고 정보 지연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시스템이 시작되면 중간 컴퓨터는 상위 컴퓨터에 의해 전송된, 압력 설정값 및 압력 보호 범위 등이 포함된 제어 명령을 획득한다. 제어 회로가 압력 설정값에 따라 압전 밸브를 제어할 수 있도록, 중간 컴퓨터는 제어 회로에 압력 설정값을 전송하며; 동시에, 시스템 압력이 설정 임계값보다 낮거나 초과할 때 적시에 압전 밸브를 차단하여 시스템을 보호하도록, 중간 컴퓨터는 압력 보호 범위에 따라 제어 회로를 보호한다.
제어 시스템의 작동 과정에 중간 컴퓨터(200)는 압력 정보를 수신한 후, 압력 정보를 판단하여 압전 밸브(131)에 대해 제어할지 여부를 결정하며, 압력값이 압력 보호 범위를 초과한 경우, 중간 컴퓨터는 컨트롤러를 통해 직접 압전 밸브를 차단한다. 압력 정보가 압력 보호 범위 내에 있으면 그 어떠한 처리도 수행하지 않으며, 상위 컴퓨터가 처리하도록 압력 정보를 상위 컴퓨터에 전송한다.
압전 밸브(131)는 컨트롤러(120)의 제어에 의해 배터리 내부의 압력을 제어하여 배터리 내부의 압력을 조정하며, 압력 센서에 의해 획득된 압력 정보가 압력 설정값을 초과한 경우, 컨트롤러는 압전 밸브(131)에 제어 정보를 전송하여 압전 밸브의 밸브 개방을 제어하여 배터리 내부의 압력을 조정한다. 압전 밸브(131)는 복수개일 수 있고, 컨트롤러(120)는 복수의 압전 밸브(131)에 각각 연결되어 각각의 배터리 또는 배터리의 서로 다른 위치의 압력을 제어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어 시스템의 회로도이며, 컨트롤러(120)는 STM32F103 마이크로 프로세서를 사용할 수 있고, 다른 모델의 마이크로 프로세서를 사용할 수도 있으며,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는 메인 프로세서 유닛, SPI 통신 인터페이스 유닛, 구성 메모리, 측정 메모리 및 범용 입력 및 출력 인터페이스 유닛을 포함한다. 측정 메모리는 압력 센서(140)에 의해 획득된 압력 정보를 획득하고, SPI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메인 프로세서에 압력 정보를 전송하며, 메인 프로세서는 RS485 인터페이스를 통해 중간 컴퓨터(200)에 압력 정보를 전송한다. 구성 메모리는 디지털 제어 루프를 통해 압전 밸브(131)의 제어 스위치를 제어하고, 더 나아가서 압전 밸브(131)의 연결/차단을 제어함으로써, 배터리의 압력을 조정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압전 밸브(131)의 제어 과정에 중간 컴퓨터(200)와 제어 회로(100) 간의 통신을 이용하여, 제어 회로는 컨트롤러를 통해 압력값에 따라 압전 밸브를 직접 조정할 수 있어 PLC에 의해 제어할 필요가 없고 상위 컴퓨터도 실시간으로 압전 밸브(131)의 압력 정보를 얻을 필요가 없고 중간 컴퓨터(200)는 압전 밸브(131)의 상태 정보를 주기적으로 상위 컴퓨터로 피드백하면 되며, 이러한 방식으로, 한편으로는 상위 컴퓨터의 부하가 감소되어 상위 컴퓨터의 소프트웨어 부하가 약 40% 감소되고, 종래 기술에서 하나의 상위 컴퓨터가 3000개의 전원 공급 채널을 지원하지만, 최적화된 제어 시스템에서 상위 컴퓨터는 4500개의 전원 공급 채널을 지원할 수 있어 데이터 교환의 효율이 크게 향상된다. 동시에, 제어 회로(100)에 압력 센서(140), 압전 밸브(131) 및 컨트롤러(120)가 통합되고 PLC측의 AI/AO 출력 모듈이 취소되어 구성 요소가 차지하는 공간을 줄이고 시스템 비용을 절감한다. 또한, 중간 컴퓨터(200)를 통해 시스템의 압력 보호를 수행함으로써, 시스템의 샘플링 및 응답 속도를 향상시키고, 상위 컴퓨터의 오프라인으로 인한 영향을 피하며, 시스템 보안을 크게 향상시킨다.
일부 실시예에서, 중간 컴퓨터는 또한 상위 컴퓨터에 의해 전송된 압력 보호 범위를 수신하고, 압력 정보가 압력 보호 범위를 초과한 경우, 제어 회로가 압전 밸브를 닫도록, 제어 회로에 제어 명령을 전송한다.
시스템이 시작될 때 상위 컴퓨터에 의해 중간 컴퓨터에 전송되는 제어 정보에는 시스템이 허용하는 압력 범위인 압력 보호 범위가 포함되고, 압력 보호 범위는 허용하는 최대 압력값 및 최소 압력값을 포함한다. 내부 압력이 최대 압력값을 초과하면, 압력이 너무 높아 잠재적인 안전 위험이 발생할 수 있음을 의미하고, 내부 압력이 최소 압력값보다 낮으면 라인 막힘이 발생하였음을 의미하며; 상기와 같은 두가지 경우, 어떤 상황이 발생하더라도 안전 문제로 이어질 수 있으므로, 중간 컴퓨터는 문제를 방지하기 위해 압전 밸브를 닫도록 제어 시스템에 직접 제어 명령을 전송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중간 컴퓨터는 압력 정보 및 압력 보호 범위에 따라 압전 밸브를 직접 제어할 수 있고, 제어 회로의 안전 보호가 상위 컴퓨터에서 중간 컴퓨터로 이전되며, 한편으로 안전 보호의 효율을 크게 향상시키고 중간 컴퓨터를 통해 제어함으로 인한 지연을 방지하며, 다른 한편으로는 상위 컴퓨터의 부하를 대폭 줄인다.
일부 실시예에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 회로(100)는, 압력 정보를 수신하고 압력 정보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컨트롤러(120)에 전송하는 변환 유닛을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압력 센서(140)에 의해 획득된 압력 정보는 아날로그 신호이고, 컨트롤러(120)에 의해 처리될 수 있도록 변환 유닛을 통해 압력 센서(140)에 의해 획득된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며, 상기 변환 유닛은 AD7656 모델의 변환 칩을 사용할 수도 있고 다른 유형의 칩을 사용할 수도 있으며, 여기에서는 이를 제한하지 않는다. 변환 유닛을 제어 회로(100)와 통합함으로써, 제어 회로(100)의 집적도가 향상되고, 압력 수집 효율도 향상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어 회로(100)는 컨트롤러(12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압력 정보를 표시하는 압력 게이지(110)를 추가적으로 포함한다. 압력 게이지(110)를 통해 압력 정보를 보다 직관적으로 표시할 수 있어, 압전 밸브(131)의 압력 제어의 정확도와 편의성이 향상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제어 시스템은 상위 컴퓨터(300)를 추가적으로 포함하며; 상위 컴퓨터(300)는 중간 컴퓨터(20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중간 컴퓨터(200)는 상위 컴퓨터(300)에 제어 회로 상태 정보를 보고하며; 상위 컴퓨터(300)는 제어 회로 상태 정보에 따라, 중간 컴퓨터(200)에 제어 명령을 전송한다.
상위 컴퓨터(300)가 압전 밸브(131)의 상태를 파악하도록 하는 동시에 압전 밸브(131)의 상태를 획득하는 부담을 줄이기 위해, 중간 컴퓨터(200)는 주기적으로 상위 컴퓨터(300)에 압전 밸브(131)의 상태 정보를 보고하며, 압전 밸브(131)에 대한 제어를 중간 컴퓨터(200)에 이전함으로써, 상위 컴퓨터(300)의 부담을 크게 줄이고, 전원 공급 채널에 대한 상위 컴퓨터(300)의 제어 능력을 향상시킨다.
일부 실시예에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어 시스템은 각각 중간 컴퓨터(20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복수의 제어 회로(100)를 포함하며, 각 제어 회로(100)는 하나 이상의 배터리의 충방전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 회로(100)와 중간 컴퓨터(200)는 RS485 버스 또는 CAN 버스를 통해 연결되어 통신 효율성과 실시간 성능이 크게 향상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제어 회로(100)의 집적도를 향상함으로써, 제어 회로(100)와 중간 컴퓨터(200)의 직접 통신을 구현하고, 중간 컴퓨터(200)는 압전 밸브(131)를 직접 제어할 수 있어 배터리의 충방전에 대한 시스템의 제어 능력이 향상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 시스템은 복수의 중간 컴퓨터(200)를 포함하고, 복수의 중간 컴퓨터(200)는 각각 상위 컴퓨터(300)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와 같이, 한편으로는 상위 컴퓨터(300)의 부하가 감소되어 상위 컴퓨터(300)의 소프트웨어 부하가 약 40% 감소되고, 종래 기술에서 하나의 상위 컴퓨터(300)가 3000개의 전원 공급 채널을 지원하지만, 최적화된 제어 시스템에서 상위 컴퓨터(300)는 4500개의 전원 공급 채널을 지원할 수 있어 데이터 교환의 효율이 크게 향상된다.
본 발명은 또한 전원 공급 장치와 상기 실시예에 따른 제어 시스템을 포함하는 충방전 제어 시스템을 제공하며, 제어 시스템은 전원 공급 장치의 충방전을 제어한다. 제어 시스템에 의한 전원 공급 장치의 충방전을 위한 제어 로직은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제어 시스템 및 충방전 제어 시스템을 통해, 한편으로는 상위 컴퓨터의 부하를 감소하고 데이터 교환의 효율을 대폭 향상시킨다. 다른 한편으로는, 제어 회로에 압력 센서, 압전 밸브 및 컨트롤러가 통합되고 PLC측의 AI/AO 출력 모듈이 취소되어 구성 요소가 차지하는 공간을 줄이고 시스템 비용을 절감한다. 또한, 중간 컴퓨터를 통해 시스템 보호를 수행함으로써, 시스템의 샘플링 및 응답 속도를 향상시키고, 상위 컴퓨터의 오프라인으로 인한 영향을 피하며, 시스템 보안을 크게 향상시킨다.
마지막으로, 상기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해결책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되고, 본 발명을 제한하는 것이 아니며, 상기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당업자는 전술한 실시예의 기술적 해결책에 대해 수정하거나 일부분 기술적 특징에 대해 동등한 대체를 실시할 수 있으며, 이러한 수정 또는 대체에 의해 해당 기술적 해결책의 본질이 기술적 해결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는 것이 아니다.
본 출원은 2021년11월09일에 출원한 출원 명칭이 “제어 시스템 및 충방전 제어 시스템”이고 출원 번호가 202122738747.5인 출원의 우선권을 주장하며, 상기 출원의 전체 내용은 참조로 본 출원에 원용된다.

Claims (8)

  1. 제어 회로 및 중간 컴퓨터를 포함하는 제어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제어 회로는 압력 센서, 압전 밸브 및 컨트롤러를 포함하며;
    상기 압력 센서는 압력 정보를 수집하며;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압력 센서에 의해 수집된 압력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압력 정보를 상기 중간 컴퓨터에 전송하며;
    상기 중간 컴퓨터는 상기 압력 정보를 상위 컴퓨터에 전송하고, 상기 상위 컴퓨터가 상기 압력 정보에 따라 생성한 압력 설정값을 수신하고, 상기 압력 설정값을 상기 컨트롤러에 전송하며;
    상기 컨트롤러는 또한 상기 압력 설정값에 따라 상기 압전 밸브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 컴퓨터는 또한 상기 상위 컴퓨터에 의해 전송된 압력 보호 범위를 수신하며;
    상기 압력 정보가 상기 압력 보호 범위를 초과한 경우, 상기 제어 회로가 상기 압전 밸브를 닫도록, 상기 제어 회로에 제어 명령을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회로는 변환 유닛을 추가적으로 포함하며;
    상기 변환 유닛은 상기 압력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압력 정보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시스템.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회로는 압력 게이지를 추가적으로 포함하며;
    상기 압력 게이지는 상기 컨트롤러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압력 정보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시스템.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은 상위 컴퓨터를 추가적으로 포함하며;
    상기 상위 컴퓨터는 상기 중간 컴퓨터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중간 컴퓨터에 의해 보고된 제어 회로 상태 정보를 수신하며;
    상기 상위 컴퓨터는 상기 제어 회로 상태 정보에 따라, 상기 중간 컴퓨터에 제어 명령을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은 복수의 상기 제어 회로를 포함하며;
    복수의 상기 제어 회로는 상기 중간 컴퓨터에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은 복수의 상기 중간 컴퓨터를 포함하며;
    복수의 상기 중간 컴퓨터는 상기 상위 컴퓨터에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시스템.
  8. 전원 공급 장치 및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의 제어 시스템을 포함하는 충방전 제어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제어 시스템은 상기 전원 공급 장치의 충방전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방전 제어 시스템.
KR1020227033960A 2021-11-09 2022-04-27 제어 시스템 및 충방전 제어 시스템 KR2023007040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2122738747.5 2021-11-09
CN202122738747.5U CN219349384U (zh) 2021-11-09 2021-11-09 控制系统和充放电控制系统
PCT/CN2022/089621 WO2023082557A1 (zh) 2021-11-09 2022-04-27 控制系统和充放电控制系统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70407A true KR20230070407A (ko) 2023-05-23

Family

ID=862292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33960A KR20230070407A (ko) 2021-11-09 2022-04-27 제어 시스템 및 충방전 제어 시스템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230145039A1 (ko)
EP (1) EP4207546A4 (ko)
JP (1) JP7430819B2 (ko)
KR (1) KR20230070407A (ko)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288168A (ja) 2007-05-21 2008-11-27 Toyota Motor Corp 組電池、組電池システム、及び組電池システムの運転方法
JP2010160981A (ja) 2009-01-08 2010-07-22 Toyota Motor Corp 電池システム
JP2012238513A (ja) 2011-05-12 2012-12-06 Toyota Motor Corp 組電池システム
KR20140026089A (ko) * 2012-08-24 2014-03-05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 전지 팩 및 전지 모듈
WO2017140354A1 (en) 2016-02-17 2017-08-24 Toyota Motor Europe Systems and methods for battery charge control
CN110703655A (zh) * 2019-10-25 2020-01-17 广东维可特科技有限公司 一种电池化成分容设备中位机控制系统及分容设备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30145039A1 (en) 2023-05-11
EP4207546A1 (en) 2023-07-05
JP7430819B2 (ja) 2024-02-13
EP4207546A4 (en) 2024-03-06
JP2023552667A (ja) 2023-12-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2210231U (zh) 直流电源监控系统
JP5531156B2 (ja) 設備システム制御装置
US11139681B2 (en) Smart switching panel for secondary power supply
EP3885199A1 (en) Energy management method for electric automobile, energy storage management controller and energy management unit
CN219349384U (zh) 控制系统和充放电控制系统
WO2016156309A1 (en) Energy supply system with power meter and selective load shedding
KR20230070407A (ko) 제어 시스템 및 충방전 제어 시스템
CN112104037A (zh) 电源系统及其控制方法、自动驾驶车辆和电源管理装置
CN111361415A (zh) 电动汽车能源管理方法、储能管理控制器和能源管理单元
WO2020215583A1 (zh) 一种电池组监控系统及方法
CN106647349B (zh) 一种用于轮式机器人的电源安全控制系统
EP2884624B1 (en) Energy management device, and energy-management-device control method
CN204156596U (zh) 一种就近安装的变电站直流电源
CN109130860B (zh) 一种多源监控系统和电源模块
CN209375214U (zh) 基于弧光检测的充电桩电源
CN213959756U (zh) 一种配电变压控制系统
CN213661242U (zh) 一种多输出端口的自适应充电装置
CN216673598U (zh) 一种智能电源通信箱
CN218276066U (zh) 一种隔离型储能电池包的独立控制装置及储能电站
JP2020031484A (ja) 蓄電システムおよびパワーコンディショナ
CN218386946U (zh) 配电系统及其飞行器
CN219960132U (zh) 一种消防联动的储能系统
CN210639229U (zh) 新型多通讯模式电动执行器远程监控终端
CN214900341U (zh) 一种馈电及监控单元
CN214324893U (zh) 动力电池保护板和动力电池保护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