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69791A - 코어 디바이스 및 그 동작 방법 - Google Patents

코어 디바이스 및 그 동작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69791A
KR20230069791A KR1020220053807A KR20220053807A KR20230069791A KR 20230069791 A KR20230069791 A KR 20230069791A KR 1020220053807 A KR1020220053807 A KR 1020220053807A KR 20220053807 A KR20220053807 A KR 20220053807A KR 20230069791 A KR20230069791 A KR 202300697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cessory device
accessory
core
electronic device
input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538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류원근
유효남
이영진
전범호
정준호
조형웅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PCT/KR2022/017632 priority Critical patent/WO2023085799A1/ko
Publication of KR202300697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6979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1Arrangements for interaction with the human body, e.g. for user immersion in virtual realit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02Specific input/output arrangements not covered by G06F3/01 - G06F3/16
    • G06F3/005Input arrangements through a video camera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7Gesture based interaction, e.g. based on a set of recognized hand ges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2Digitisers structurally integrated in a 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실시예들에 따라 전자 장치의 제어를 위해 악세서리 디바이스와 결합되어 사용되는 코어 디바이스 및 그 동작 방법이 개시된다. 개시된 코어 디바이스는, 통신 인터페이스, 메모리,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악세서리 디바이스와의 연결을 통해 상기 악세서리 디바이스의 타입을 식별하고, 상기 악세서리 디바이스로부터 입력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식별된 악세서리 디바이스의 타입에 기반하여 상기 입력 데이터에 대응하는 콘트롤 데이터를 획득하고, 상기 악세서리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된 상기 입력 데이터에 기반하여 상기 전자 장치를 동작시키기 위해, 상기 획득된 콘트롤 데이터를 상기 전자 장치로 전송한다.

Description

코어 디바이스 및 그 동작 방법{A core device and a method of operating the core device}
다양한 실시예들은 코어 디바이스 및 그 동작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악세서리 디바이스에 탈부착 가능한 코어 디바이스 및 그 동작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 텔레비전과 같은 디스플레이 장치는 주로 사용자의 요청에 따른 컨텐츠를 표시하는 기능을 제공하였다. 근래에 텔레비전과 같은 디스플레이 장치는 스마트한 기능이 탑재되어, 사용자들은 단순히 컨텐츠 시청뿐만 아니라 홈 피트니스, 게임, OTT 등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을 통한 경험을 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러나, 각각의 어플리케이션에 따라서 이용되는 콘트롤러는 별도로 각각 존재하기 때문에 사용자들은 각 어플리케이션 마다 서로 다른 콘트롤러를 이용하여 조작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따라서, 다양한 어플리케이션들에서 공통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최적화된 콘트롤러가 요구된다.
다양한 실시예들은, 전자 장치에서 제공가능한 다양한 어플리케이션들에서 공통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코어 디바이스 및 그 동작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제어를 위해 악세서리 디바이스와 결합되어 사용되는 코어 디바이스에 있어서, 통신 인터페이스, 메모리,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악세서리 디바이스와의 연결을 통해 상기 악세서리 디바이스의 타입을 식별하고, 상기 악세서리 디바이스로부터 입력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식별된 악세서리 디바이스의 타입에 기반하여 상기 입력 데이터에 대응하는 콘트롤 데이터를 획득하고, 상기 악세서리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된 상기 입력 데이터에 기반하여 상기 전자 장치를 동작시키기 위해, 상기 획득된 콘트롤 데이터를 상기 전자 장치로 전송한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악세서리 디바이스와의 핀 연결, 유선 통신 연결, 또는 무선 통신 연결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서 상기 악세서리 디바이스의 타입을 식별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코어 디바이스는, 복수개의 핀을 포함하는 핀 커넥터를 포함하고, 프로세서는, 상기 복수개의 핀에 연결되는 상기 악세서리 디바이스의 핀에 기반하여 상기 악세서리 디바이스의 타입을 식별할 수 있다.
상기 입력 데이터는, 상기 악세서리 디바이스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의 입력 키 또는 입력 버튼에 대응하는 사용자 입력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입력 데이터는, 상기 악세서리 디바이스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의 센서에 의해 측정된 센싱값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메모리는, 하나 이상의 악세서리 디바이스의 각 악세서리 디바이스의 타입 별로, 각 악세서리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될 수 있는 입력 데이터와, 상기 입력 데이터에 대응하는 콘트롤 데이터를 매핑한 테이블을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테이블을 참조하여, 상기 악세서리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된 상기 입력 데이터에 대응하는 상기 콘트롤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코어 디바이스는, 사용자의 생체 정보를 측정하는 생체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생체 센서에 의해 측정된 생체 정보에 대응하는 사용자에 커스터마이즈드된 유저 인터페이스가 출력될 수 있도록 상기 생체 정보를 상기 전자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생채 센서는, 이미지 센서, 지문 센서, 홍채 센서, 보이스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악세서리 디바이스의 의료 정보 측정 센서에 의해 측정된 의료 정보 측정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의료 정보 측정 데이터가 상기 전자 장치의 디스플레이에 표시될 수 있도록 상기 의료 정보 측정 데이터를 상기 전자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악세서리 디바이스에 마련된 키패드를 통해 입력된 키 입력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키 입력 데이터에 따라 상기 전자 장치가 동작될 수 있도록 상기 키 입력 데이터를 상기 전자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식별된 악세서리 디바이스에 따라 대응하는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될 수 있도록 상기 식별된 악세서리 디바이스에 대한 식별 정보를 상기 전자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식별된 악세서리 디바이스에 따라 상기 전자 장치에서 표시되는 유저 인터페이스가변경될 수 있도록 상기 식별된 악세서리 디바이스에 대한 식별 정보를 상기 전자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전자 장치의 제어를 위해 악세서리 디바이스와 결합되어 사용되는 코어 디바이스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상기 악세서리 디바이스와의 연결을 통해 상기 악세서리 디바이스의 타입을 식별하는 동작, 상기 악세서리 디바이스로부터 입력 데이터를 수신하는 동작, 상기 식별된 악세서리 디바이스의 타입에 기반하여 상기 입력 데이터에 대응하는 콘트롤 데이터를 획득하는 동작, 및 상기 악세서리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된 상기 입력 데이터에 기반하여 상기 전자 장치를 동작시키기 위해, 상기 획득된 콘트롤 데이터를 상기 전자 장치로 전송하는 동작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라 전자 장치의 제어를 위해 악세서리 디바이스와 결합되어 사용되는 코어 디바이스의 동작 방법의 구현을 위해 코어 디바이스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 매체에 있어서, 상기 코어 디바이스의 동작 방법은, 상기 악세서리 디바이스와의 연결을 통해 상기 악세서리 디바이스의 타입을 식별하는 동작, 상기 악세서리 디바이스로부터 입력 데이터를 수신하는 동작, 상기 식별된 악세서리 디바이스의 타입에 기반하여 상기 입력 데이터에 대응하는 콘트롤 데이터를 획득하는 동작, 및 상기 악세서리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된 상기 입력 데이터에 기반하여 상기 전자 장치를 동작시키기 위해, 상기 획득된 콘트롤 데이터를 상기 전자 장치로 전송하는 동작을 포함한다.
본 개시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범용적인 코어 디바이스를 제공함으로써 다양한 응용 및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에 맞추어 악세서리 디바이스만 바꾸어서 부착하여 콘트롤러로 사용함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보다 편리하고 간편하게 전자 장치를 제어할 수 있게 한다.
도 1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라 전자 장치를 제어하기 위해 악세서리 디바이스와 결합하여 사용될 수 있는 코어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시스템의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라 악세서리 디바이스, 코어 디바이스, 전자 장치의 개략적인 블록도를 나타낸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라 악세서리 디바이스와 코어 디바이스의 결합에 따라 코어 디바이스가 악세서리 디바이스를 인식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코어 디바이스와 악세서리 디바이스의 일 예를 나타낸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라 메모리 140에 저장되는 악세서리 디바이스 식별 테이블 141과 매핑 테이블 142의 일 예를 나타낸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악세서리 디바이스 식별 테이블의 일 예를 나타낸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라 전자 장치의 세부적인 블록도의 일 예를 나타낸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라 코어 디바이스 700의 일 예를 나타낸다.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라 코어 디바이스가 다양한 악세서리 디바이스와 결합되는 형태의 일 예를 나타낸다.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라 코어 디바이스에서 악세서리 디바이스를 인식하고 악세서리 디바이스로부터의 입력 데이터를 전자 장치로 전달하는 동작의 일 예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0은 일 실시예에 따라 지문센서를 구비한 리모트 콘트롤러의 일 예를 나타낸다.
도 11은 일 실시예에 따라 코어 디바이스를 통한 지문 인식을 이용하여 전자 장치의 시청 환경을 설정하는 동작의 흐름도를 나타낸다.
도 12는 일 실시예에 따라 악세서리 디바이스 200의 일 예인 혈압측정기 1200를 나타낸다.
도 13은 일 실시예에 따라 코어 디바이스에서 악세서리 디바이스로부터 측정된 생체 데이터를 수신하여 전자 장치로 전달하는 동작의 일 예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4는 일 실시예에 따라 악세서리 디바이스로서 리모트 콘트롤러의 일 예를 나타낸다.
도 15는 일 실시예에 따라 악세서리 디바이스의 일 예인 리모트 콘트롤러에 부착된 코어 디바이스의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6은 일 실시예에 따라 코어 디바이스에 연결된 악세서리 디바이스에 대응하여 자동으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도록 전자 장치를 제어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이다.
도 17은 일 실시예에 따라 코어 디바이스에 연결된 악세서리 디바이스에 대응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도록 전자 장치를 제어하는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8은 일 실시예에 따라 코어 디바이스에 연결된 악세서리 디바이스로서 마이크에 대응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도록 전자 장치를 제어하는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9는 일 실시예에 따라 코어 디바이스에 연결된 악세서리 디바이스로서 게임 콘트롤러에 대응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도록 전자 장치를 제어하는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20은 일 실시예에 따라 악세서리 디바이스의 일종인 리모트 콘트롤러의 일 예를 나타낸다.
도 21은 일 실시예에 따라 코어 디바이스에 부착된 악세서리 디바이스에 기반하여 전자 장치에서 표시되는 유저 인터페이스를 제어하는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고, 본 발명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실시예들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서 "사용자"라는 용어는 제어 장치를 이용하여 컴퓨팅 장치 또는 전자 장치의 기능 또는 동작을 제어하는 사람을 의미하며, 시청자, 관리자 또는 설치 기사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라 전자 장치를 제어하기 위해 악세서리 디바이스와 결합하여 사용될 수 있는 코어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시스템의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시스템 10은 코어 디바이스 100, 악세서리 디바이스 200 및 전자 장치 300를 포함할 수 있다.
전자 장치 300는 전자 장치 300에서 실행되는 다양한 어플리케이션들을 통해 다양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다양한 어플리케이션들은 게임 컨텐츠를 제공하는 게임 어플리케이션, 피트니스 컨텐츠를 제공하는 피트니스 어플리케이션, 헬스 컨텐츠를 제공하는 헬스 어플리케이션, 엔터테인먼트 컨텐츠를 제공하는 엔터테인먼트 어플리케이션, 홈오피스 컨텐츠를 제공하는 홈오피스 어플리케이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다양한 어플리케이션들의 각각의 실행 제어를 위해서는 각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제어에 적합하도록 구성된 사용자 입력 수단의 역할을 하는 콘트롤러가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게임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제어를 위해서는 게임 콘트롤러가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심박수와 같은 헬스 정보를 제공하는 헬스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기 위해서 심박수를 측정할 수 있는 장치가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라오케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제어를 위해서는 사용자의 노래 소리를 입력받을 수 있는 마이크 장가 필요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홈 오피스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제어를 위해서는 텍스트 입력이 용이한 키보드와 같은 장치가 필요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각 어플리케이션의 기능에 따라 각각 적합하거나 필요한 콘트롤러는 모두 다르기 때문에 사용자들은 이용하려는 어플리케이션과 함께 사용되는 콘트롤러 각각에 대한 조작 방법을 익혀서 사용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이에 본 개시서에서 개시된 실시예들은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에서 공통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코어 디바이스를 마련하고, 코어 디바이스를 각각의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악세서리 디바이스에 결합하여 사용함으로써 각각의 어플리케이션에 적합한 콘트롤러 기능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개시된 실시예들에 따라서 코어 디바이스 100는 악세서리 디바이스 200와 결합하여 동작함으로써 전자 장치 300의 동작을 제어하는 콘트롤러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악세서리 디바이스 200는 각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여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거나 사용자 정보를 측정하거나 사용자 정보를 센싱할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 악세서리 디바이스 200는 수신된 사용자 입력 또는 측정되거나 센싱된 사용자 정보를 포함하는 입력 데이터를 코어 디바이스 100로 전달할 수 있다. 악세서리 디바이스 200는 각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여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악세서리 디바이스 200는 피트니스 디바이스 201, 게임 콘트롤러 202, 리모트 콘트롤러 203, 헬스 디바이스 204, 엔터테인먼트 디바이스 205, 홈오피스 디바이스 206과 같은 형태의 디바이스가 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코어 디바이스 100는 악세서리 디바이스 200와 연결하여, 악세서리 디바이스 200로부터 입력 데이터를 수신하고, 수신된 입력 데이터를 전자 장치 300로 전송할 수 있다. 코어 디바이스 100에 연결될 수 있는 악세서리 디바이스 200의 타입은 다양하고, 서로 다른 악세서리 디바이스 200로부터 수신되는 입력 데이터의 포맷도 모두 다를 수 있기 때문에, 코어 디바이스 100는 입력 데이터를 전송한 악세서리 디바이스 200의 타입에 맞게 입력 데이터의 포맷을 처리하여 전자 장치 300로 전달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코어 디바이스 100는 코어 디바이스 100에 연결된 악세서리 디바이스 200의 타입을 인식하고 인식된 악세서리 디바이스 200의 타입에 따라 악세서리 디바이스 200로부터 수신한 입력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코어 디바이스 100는 연결된 악세서리 디바이스 200가 피트니스 디바이스 201 인지, 게임 콘트롤러 202 인지를 인식하고 인식된 결과에 따라 피트니스 디바이스 201로부터 수신된 입력 데이터와 게임 콘트롤러 202로부터 수신된 입력 데이터의 데이터 포맷을 다르게 처리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코어 디바이스 100는 악세서리 디바이스 200와의 연결을 통해 악세서리 디바이스 200의 타입을 식별하고, 악세서리 디바이스 200로부터 입력 데이터를 수신하고, 식별된 악세서리 디바이스 200의 타입에 기반하여 입력 데이터에 대응하는 콘트롤 데이터를 획득하고, 악세서리 디바이스 200로부터 수신된 입력 데이터에 기반하여 전자 장치 300를 동작시키기 위해, 획득된 콘트롤 데이터를 전자 장치 300로 전송할 수 있다. 일 예에 따라 악세서리 디바이스 200로부터 수신되는 입력 데이터는, 악세서리 디바이스 200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의 입력 키 또는 입력 버튼에 대응하는 사용자 입력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에 따라 악세서리 디바이스 200로부터 수신되는 입력 데이터는, 악세서리 디바이스 200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의 센서에 의해 측정된 센싱값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코어 디바이스 100는 악세서리 디바이스 200와의 핀 연결, 유선 통신 연결, 또는 무선 통신 연결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서 악세서리 디바이스 200의 타입을 식별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코어 디바이스 100는 복수개의 핀을 포함하는 핀 커넥터를 포함하고, 복수개의 핀에 연결되는 악세서리 디바이스 200의 핀에 기반하여 악세서리 디바이스 200의 타입을 식별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코어 디바이스 100는 하나 이상의 악세서리 디바이스의 각 악세서리 디바이스의 타입 별로, 각 악세서리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될 수 있는 입력 데이터와, 입력 데이터에 대응하는 콘트롤 데이터를 매핑한 테이블을 포함할 수 있고, 이러한 테이블을 참조하여, 악세서리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된 입력 데이터에 대응하는 콘트롤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코어 디바이스 100는 사용자의 생체 정보를 측정하는 생체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생체 센서에 의해 측정된 생체 정보에 대응하는 사용자에 커스터마이즈드된 유저 인터페이스가 출력될 수 있도록 생체 정보를 전자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생채 센서는, 예를 들어, 이미지 센서, 지문 센서, 홍채 센서, 보이스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코어 디바이스 100는 상악세서리 디바이스 200의 의료 정보 측정 센서에 의해 측정된 의료 정보 측정 데이터를 수신하고, 수신된 의료 정보 측정 데이터가 전자 장치 300의 디스플레이에 표시될 수 있도록 의료 정보 측정 데이터를 전자 장치 300로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코어 디바이스 100는 악세서리 디바이스 200에 마련된 키패드를 통해 입력된 키 입력 데이터를 수신하고, 수신된 키 입력 데이터에 따라 전자 장치 300가 동작될 수 있도록 키 입력 데이터를 전자 장치 300로 전송할 수 있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라 악세서리 디바이스, 코어 디바이스, 전자 장치의 개략적인 블록도를 나타낸다.
도 2를 참조하면, 코어 디바이스 100는 연결부 110, 통신부 120, 사용자 입력부 130, 메모리 140, 및 프로세서 150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코어 디바이스 100는 도시된 구성요소보다 많은 구성요소 또는 더 적은 구성요소에 의해 구현될 수 있으며, 도 2에 도시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일 실시예에 따라 연결 인터페이스 110는 악세서리 디바이스 200의 연결 인터페이스 210와 결합되는 부분으로, 이와 같은 연결 인터페이스 110를 통해 코어 디바이스 100는 악세서리 디바이스 200의 타입을 인식할 수 있고 또한 악세서리 디바이스 200로부터 입력 데이터를 전달받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 연결 인터페이스 110는 악세서리 디바이스 200와 핀 연결되는 핀 커넥터 및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USB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통신부 120는 무선 통신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전자 장치 300 또는 악세서리 디바이스 200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통신 프로토콜은 와이파이 통신 프로토콜, 블루투스 통신 프로토콜, 적외선 통신 프로토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코어 디바이스 100는 이와 같은 통신부 120를 통해 악세서리 디바이스 200로부터 입력 데이터를 수신하거나 또는 악세서리 디바이스 200로부터 수신된 입력 데이터를 전자 장치 300로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코어 디바이스 100는 선택적으로 사용자 입력부 13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입력부 130는 키패드, 버튼, 터치 패드, 또는 터치 스크린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사용자는 사용자 입력부 130를 조작하여 코어 디바이스 100로 전자 장치 300와 관련된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 130가 하드 키 버튼을 구비할 경우, 사용자는 하드 키 버튼의 푸쉬 동작을 통하여 코어 디바이스 100로 전자 장치 300와 관련된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 130가 터치스크린을 구비할 경우 사용자는 터치스크린의 소프트 키를 터치하여 코어 디바이스 100로 전자 장치 300와 관련된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입력부 130는 4 방향 버튼 또는 4 방향 키를 포함할 수 있다. 4 방향 버튼 또는 4 방향 키는 전자 장치 300에 표시되는 윈도우, 영역, 어플리케이션, 또는 아이템을 제어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4방향 키나 버튼은 상, 하, 좌, 우 이동을 지시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입력부 130는 4방향 키나 4 방향 버튼 대신에 2 방향 키나 2방향 버튼을 포함할 수 있음을 당업자에 의해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사용자 입력부 130는 스크롤 키나, 조그 키 등 사용자가 조작할 수 있는 다양한 종류의 입력수단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입력부 130는 터치 패드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입력부 230는 코어 디바이스 100의 터치 패드를 통해 드래그(drag), 터치(touch) 또는 플립(flip)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수신한 사용자 입력의 종류(예를 들면, 드래그 명령이 입력된 방향, 터치 명령이 입력된 시간)에 따라, 전자 장치 300가 제어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메모리 140는, 프로세서 150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고, 코어 디바이스 100으로 입력되거나 코어 디바이스 100로부터 출력되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 14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M, Random Access Memory)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OM, Read-Only Memory),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 150는 코어 디바이스 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 150는, 메모리 140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을 실행함으로써, 본 개시서에 기재된 코어 디바이스 100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프로세서 150는 메모리 140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을 실행하여, 전술한 동작들이 수행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 메모리 140는 프로세서 150에 의해서 실행가능한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을 저장하고 있을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프로세서 150는 내부적으로 구비되는 메모리에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을 저장하고, 내부적으로 구비되는 메모리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을 실행하여 전술한 동작들이 수행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즉, 프로세서 150는 프로세서 150의 내부에 구비되는 내부 메모리 또는 메모리 140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인스트럭션 또는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소정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도 2에서는 하나의 프로세서 150를 도시하였으나, 복수개의 프로세서가 구비될 수도 있을 것이다. 이 경우,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코어 디바이스에서 수행되는 동작들 각각은 복수개의 프로세서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하여 수행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프로세서 150는, 메모리 140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을 실행함으로써, 상기 악세서리 디바이스와의 연결을 통해 상기 악세서리 디바이스의 타입을 식별하고, 상기 악세서리 디바이스로부터 입력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식별된 악세서리 디바이스의 타입에 기반하여 상기 입력 데이터에 대응하는 콘트롤 데이터를 획득하고, 상기 악세서리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된 상기 입력 데이터에 기반하여 상기 전자 장치를 동작시키기 위해, 상기 획득된 콘트롤 데이터를 상기 전자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프로세서 150는, 메모리 140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을 실행함으로써, 상기 악세서리 디바이스와의 핀 연결, 유선 통신 연결, 또는 무선 통신 연결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서 상기 악세서리 디바이스의 타입을 식별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프로세서 150는, 메모리 140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을 실행함으로써, 복수개의 핀에 연결되는 상기 악세서리 디바이스의 핀에 기반하여 상기 악세서리 디바이스의 타입을 식별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프로세서 150는, 메모리 140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을 실행함으로써, 하나 이상의 악세서리 디바이스의 각 악세서리 디바이스의 타입 별로, 각 악세서리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될 수 있는 입력 데이터와, 상기 입력 데이터에 대응하는 콘트롤 데이터를 매핑한 테이블을 참조하여, 상기 악세서리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된 상기 입력 데이터에 대응하는 상기 콘트롤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프로세서 150는, 메모리 140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을 실행함으로써, 생체 센서에 의해 측정된 생체 정보에 대응하는 사용자에 커스터마이즈드된 유저 인터페이스가 출력될 수 있도록 상기 생체 정보를 상기 전자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생채 센서는, 이미지 센서, 지문 센서, 홍채 센서, 보이스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프로세서 150는, 메모리 140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을 실행함으로써, 상기 악세서리 디바이스의 의료 정보 측정 센서에 의해 측정된 의료 정보 측정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의료 정보 측정 데이터가 상기 전자 장치의 디스플레이에 표시될 수 있도록 상기 의료 정보 측정 데이터를 상기 전자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프로세서 150는, 메모리 140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을 실행함으로써, 상기 악세서리 디바이스에 마련된 키패드를 통해 입력된 키 입력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키 입력 데이터에 따라 상기 전자 장치가 동작될 수 있도록 상기 키 입력 데이터를 상기 전자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프로세서 150는, 메모리 140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을 실행함으로써, 상기 식별된 악세서리 디바이스에 따라 대응하는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될 수 있도록 상기식별된 악세서리 디바이스에 대한 식별 정보를 상기 전자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프로세서 150는, 메모리 140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을 실행함으로써, 상기 식별된 악세서리 디바이스에 따라 상기 전자 장치에서 표시되는 유저 인터페이스가변경될 수 있도록 상기 식별된 악세서리 디바이스에 대한 식별 정보를 상기 전자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코어 디바이스 100는 선택적으로 감지부 16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감지부 160는 사용자의 음성, 사용자의 영상 또는 사용자의 인터랙션을 감지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감지부 160는 마이크로폰 161, 카메라 162, 센서 모듈 163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마이크로폰 161은 사용자의 발화(utterance)된 음성을 수신한다. 마이크로폰 161은 수신된 음성을 전기 신호로 변환하여 프로세서 150로 출력할 수 있다.
카메라 162는 카메라 인식 범위에서 제스처를 포함하는 사용자의 모션에 대응되는 영상을 수신한다. 예를 들어, 카메라 162의 인식 범위는 카메라 162에서부터 사용자까지 0.1 ~ 5 m 이내 거리가 될 수 있다. 사용자 모션은 예를 들어, 사용자의 얼굴, 표정, 손, 주먹, 손가락과 같은 사용자의 신체 일부분 또는 사용자 일부분의 모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 162는 프로세서 150의 제어에 따라 수신된 영상을 전기 신호로 변환하여 프로세서 150로 출력할 수 있다. 카메라 162는 렌즈(도시되지 아니함) 및 이미지 센서(도시되지 아니함)로 구성될 수 있다. 카메라 162는 복수의 렌즈와 이미지 프로세싱을 이용하여 광학 줌(optical zoom) 또는 디지털 줌(digital zoom)을 지원할 수 있다. 카메라 162의 인식 범위는 카메라의 각도 및 주변 환경 조건에 따라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카메라 162가 복수개의 카메라로 구성되는 경우, 복수의 카메라를 이용하여 3차원 정지 이미지 또는 3차원 모션을 수신할 수 있다.
센서 모듈 163은 물리량을 계측하거나 코어 디바이스 100의 작동 상태를 감지하여, 계측 또는 감지된 정보를 전기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센서 모듈 163은, 예를 들면, 제스처 센서, 자이로 센서, 가속도 센서, 초음파 센서, 적외선 센서, 홀 센서, 근접 센서, 조도 센서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체적으로, 센서 모듈 163은, 예를 들면, 후각 센서(E-nose sensor), EMG 센서(electromyography sensor), EEG 센서(electroencephalogram sensor), ECG 센서(electrocardiogram sensor), 홍채 센서 또는 지문 센서, 압력 센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센서 모듈 163은 그 안에 속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들을 제어하는 제어 회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센서 모듈 163이 코어 디바이스 100의 움직임에 관한 정보를 센싱하는 자이로 센서 또는 코어 디바이스 100의 이동속도 등에 관한 정보를 센싱하는 가속도 센서를 포함하는 경우, 코어 디바이스 100는 코어 디바이스 100이 기울이는 방향이나 각도, 이동 속도에 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이제 악세서리 디바이스 200를 설명한다.
악세서리 디바이스 200는 연결 인터페이스 210, 통신부 220, 사용자 입력부 230, 메모리 240, 및 프로세서 250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악세서리 디바이스 200는 도시된 구성요소보다 많은 구성요소 또는 더 적은 구성요소에 의해 구현될 수 있으며, 도 2에 도시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일 실시예에 따라 연결 인터페이스 210는 코어 디바이스 100의 연결 인터페이스 110와 결합되는 부분으로, 이와 같은 연결 인터페이스 210와 코어 디바이스 100의 연결 인터페이스 110의 결합을 통해 코어 디바이스 100는 악세서리 디바이스 200의 타입을 인식할 수 있고 또한 악세서리 디바이스 200는 코어 디바이스 100로 입력 데이터를 전달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연결 인터페이스 210는 코어 디바이스 100와 핀 연결되는 핀 커넥터 및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USB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통신부 220는 무선 통신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코어 디바이스 100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통신 프로토콜은 와이파이 통신 프로토콜, 블루투스 통신 프로토콜, 적외선 통신 프로토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악세서리 디바이스 200는 이와 같은 통신부 220를 통해 코어 디바이스 100로 입력 데이터를 전달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통신부 220는 Wifi 모듈, BT 모듈 및 RF(radio frequency)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와이파이(Wifi) 모듈 및 BT 모듈은, 예를 들면, 해당하는 모듈을 통해서 송수신되는 데이터를 처리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Wifi 모듈 또는 BT 모듈은 각각 별개의 블록으로 배열될 수도 있고, 또는 Wifi 모듈, BT 모듈 중 적어도 일부(예: 두 개 이상)는 하나의 integrated chip(IC) 또는 IC 패키지 내에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면, Wifi 모듈, BT 모듈 각각에 대응하는 프로세서들 중 적어도 일부는 하나의 SoC로 구현될 수 있다. RF 모듈은 데이터의 송수신, 예를 들면, RF 신호의 송수신을 할 수 있다. RF 모듈은,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예를 들면, 트랜시버(transceiver), PAM(power amp module), 주파수 필터(frequency filter) 또는 LNA(low noise amplifier)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RF 모듈은 무선 통신에서 자유 공간상의 전자파를 송수신하는 부품, 예를 들면, 도체 또는 도선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악세서리 디바이스 200는 선택적으로 사용자 입력부 23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입력부 230는 키패드, 버튼, 터치 패드, 또는 터치 스크린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사용자는 사용자 입력부 230를 조작하여 악세서리 디바이스 200로 전자 장치 300와 관련된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 230가 하드 키 버튼을 구비할 경우, 사용자는 하드 키 버튼의 푸쉬 동작을 통하여 악세서리 디바이스 200로 전자 장치 200와 관련된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 230가 터치스크린을 구비할 경우 사용자는 터치스크린의 소프트 키를 터치하여 악세서리 디바이스 200로 전자 장치 100와 관련된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입력부 230는 4 방향 버튼 또는 4 방향 키를 포함할 수 있다. 4 방향 버튼 또는 4 방향 키는 전자 장치 300에 표시되는 윈도우, 영역, 어플리케이션, 또는 아이템을 제어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4방향 키나 버튼은 상, 하, 좌, 우 이동을 지시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입력부 230는 4방향 키나 4 방향 버튼 대신에 2 방향 키나 2방향 버튼을 포함할 수 있음을 당업자에 의해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사용자 입력부 230는 스크롤 키나, 조그 키 등 사용자가 조작할 수 있는 다양한 종류의 입력수단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입력부 230는 터치 패드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입력부 230는 악세서리 디바이스 200의 터치 패드를 통해 드래그(drag), 터치(touch) 또는 플립(flip)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수신한 사용자 입력의 종류(예를 들면, 드래그 명령이 입력된 방향, 터치 명령이 입력된 시간)에 따라, 전자 장치 300가 제어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메모리 240는, 프로세서 250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고, 악세서리 디바이스 200으로 입력되거나 악세서리 디바이스 200로부터 출력되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 24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M, Random Access Memory)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OM, Read-Only Memory),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 250는 악세서리 디바이스 2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 250는, 메모리 240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을 실행함으로써, 본 개시서에 기재된 악세서리 디바이스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프로세서 250는 메모리 240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을 실행하여, 전술한 동작들이 수행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 메모리 240는 프로세서 250에 의해서 실행가능한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을 저장하고 있을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프로세서 250는 내부적으로 구비되는 메모리에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을 저장하고, 내부적으로 구비되는 메모리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을 실행하여 전술한 동작들이 수행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즉, 프로세서 250는 프로세서 250의 내부에 구비되는 내부 메모리 또는 메모리 240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인스트럭션 또는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소정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도 2에서는 하나의 프로세서 250를 도시하였으나, 복수개의 프로세서가 구비될 수도 있을 것이다. 이 경우,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코어 디바이스에서 수행되는 동작들 각각은 복수개의 프로세서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하여 수행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프로세서 250는, 메모리 240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을 실행함으로써, 사용자 입력부 230로부터 수신된 사용자 입력 데이터, 감지부 260을 통해 검출된 감지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코어 디바이스 100로 전달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악세서리 디바이스 200는 선택적으로 감지부 26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감지부 260는 사용자의 음성, 사용자의 영상 또는 사용자의 인터랙션을 감지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감지부 260는 마이크로폰 261, 카메라 262, 센서 모듈 263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마이크로폰 261은 사용자의 발화(utterance)된 음성을 수신한다. 마이크로폰 261은 수신된 음성을 전기 신호로 변환하여 프로세서 250로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악세서리 디바이스 200가 가라오케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을 위해 함께 사용되는 마이크 인 경우, 악세서리 디바이스 200는 마이크로폰 261을 구비할 수 있다.
카메라 262는 카메라 인식 범위에서 제스처를 포함하는 사용자의 모션에 대응되는 영상을 수신한다. 예를 들어, 카메라 262의 인식 범위는 카메라 262에서부터 사용자까지 0.1 ~ 5 m 이내 거리가 될 수 있다. 사용자 모션은 예를 들어, 사용자의 얼굴, 표정, 손, 주먹, 손가락과 같은 사용자의 신체 일부분 또는 사용자 일부분의 모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 262는 프로세서 250의 제어에 따라 수신된 영상을 전기 신호로 변환하여 프로세서 250로 출력할 수 있다. 카메라 262는 렌즈(도시되지 아니함) 및 이미지 센서(도시되지 아니함)로 구성될 수 있다. 카메라 262는 복수의 렌즈와 이미지 프로세싱을 이용하여 광학 줌(optical zoom) 또는 디지털 줌(digital zoom)을 지원할 수 있다. 카메라 262의 인식 범위는 카메라의 각도 및 주변 환경 조건에 따라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카메라 262가 복수개의 카메라로 구성되는 경우, 복수의 카메라를 이용하여 3차원 정지 이미지 또는 3차원 모션을 수신할 수 있다.
센서 모듈 263은 물리량을 계측하거나 악세서리 디바이스 200의 작동 상태를 감지하여, 계측 또는 감지된 정보를 전기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센서 모듈 263은, 예를 들면, 제스처 센서, 자이로 센서, 가속도 센서, 초음파 센서, 적외선 센서, 홀 센서, 근접 센서, 조도 센서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체적으로, 센서 모듈 263은, 예를 들면, 후각 센서(E-nose sensor), EMG 센서(electromyography sensor), EEG 센서(electroencephalogram sensor), ECG 센서(electrocardiogram sensor), 홍채 센서 또는 지문 센서, 압력 센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센서 모듈 263은 그 안에 속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들을 제어하는 제어 회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센서 모듈 263이 악세서리 디바이스 200의 움직임에 관한 정보를 센싱하는 자이로 센서 또는 악세서리 디바이스 200의 이동속도 등에 관한 정보를 센싱하는 가속도 센서를 포함하는 경우, 악세서리 디바이스 200는 악세서리 디바이스 200이 기울이는 방향이나 각도, 이동 속도에 관한 정보를 획득하여 이를 코어 디바이스 100로 전달할 수 있다.
이제 전자 장치 300을 설명한다.
전자 장치 300는, 통신부 310, 디스플레이 320, 사용자 입력부 330, 메모리 340, 프로세서 350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 310는 전자 장치 200과 무선 통신 시스템 사이 또는 전자 장치 200과 다른 전자 장치가 위치한 네트워크 사이의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320는 프로세서 350의 제어에 의해 이미지를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화면에 표시되는 이미지는 통신부 310, 메모리 340로부터 수신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 330는, 사용자가 전자 장치 300를 제어하기 위한 데이터를 입력하는 수단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 입력부 330는 키 패드(key pad), 돔 스위치 (dome switch), 터치 패드,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메모리 340는, 프로세서 350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고, 전자 장치 300로 입력되거나 전자 장치 300로부터 출력되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 340는 전자 장치 300의 동작에 필요한 데이터들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 340에 저장된 프로그램들은 그 기능에 따라 복수 개의 모듈들로 분류할 수 있다.
프로세서 350는 전자 장치 300의 전반적인 동작 및 전자 장치 300의 내부 구성 요소들 사이의 신호 흐름을 제어하고, 데이터를 처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프로세서 350는 사용자의 입력이 있거나 기 설정되어 저장된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메모리 340에 저장된 OS(Operation System) 및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프로세서 350는 메모리 340에 저장된 인스트럭션을 실행함으로써, 코어 디바이스 100로부터 수신된 악세서리 디바이스의 입력 데이터에 대응하는 콘트롤 데이터에 기반하여 전자 장치 30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프로세서 350는 메모리 340에 저장된 인스트럭션을 실행함으로써, 코어 디바이스 100로부터 수신된 악세서리 디바이스 식별 정보에 기반하여 악세서리 디바이스에 대응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자동으로 실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프로세서 350는 메모리 340에 저장된 인스트럭션을 실행함으로써, 코어 디바이스 100로부터 수신된 악세서리 디바이스의 식별 정보에 기반하여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유저 인터페이스를 변경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프로세서 350는 메모리 340에 저장된 인스트럭션을 실행함으로써, 코어 디바이스 100로부터 수신된 지문 데이터를 사용자 별로 등록해두고, 또한 지문 데이터에 대응하여 전자 장치의 시청 환경 정보를 매핑하여 저장해둘 수 있다. 이와 같이 사용자 별로 지문 데이터에 대응하여 전자 장치의 시청 환경 정보를 등록해 둔 후, 코어 디바이스 100로부터 지문 데이터를 수신하면, 해당 지문 데이터에 대응하는 시청 환경 정보를 획득해서 자동으로 전자 장치를 시청 환경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 350는 내부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이 경우, 메모리 340에 저장되는 데이터, 프로그램, 및 인스트럭션 중 적어도 하나가 프로세서 350의 내부 메모리(미도시)에 저장될 수 있다.
한편, 도 2에 도시된 장치들의 블록도는 일 실시예를 위한 블록도이다. 블록도의 각 구성요소는 실제 구현되는 장치들의 사양에 따라 통합, 추가, 또는 생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필요에 따라 2 이상의 구성요소가 하나의 구성요소로 합쳐지거나, 혹은 하나의 구성요소가 2 이상의 구성요소로 세분화되어 구성될 수 있다. 또한, 각 블록에서 수행하는 기능은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그 구체적인 동작이나 장치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제한하지 아니한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라 악세서리 디바이스와 코어 디바이스의 결합에 따라 코어 디바이스가 악세서리 디바이스를 인식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코어 디바이스와 악세서리 디바이스의 일 예를 나타낸다.
도 3을 참조하면, 코어 디바이스 100의 연결 인터페이스 110는 핀 커넥터 111 및 USB 인터페이스 112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악세서리 디바이스 200의 연결 인터페이스 200는 코어 디바이스 100의 연결 인터페이스 110에 대응되는 핀 커넥터 211 및 USB 인터페이스 212를 포함할 수 있다.
핀 커넥터 111와 핀 커넥터 211은 하나 이상의 핀을 포함하고 있으며, 예를 들어, pogo pin이 이용될 수 있다.
코어 디바이스 100의 핀 커넥터 111과 악세서리 디바이스 200의 핀 커넥터 211가 결합되면, 코어 디바이스 100는 핀 커넥터 111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핀들 중 결합된 핀의 위치와 개수를 검출할 수 있다. 다양한 악세서리 디바이스는 각 악세서리 디바이스 마다 결합되는 핀의 위치와 개수가 다르기 때문에 코어 디바이스 100는 결합되는 핀의 위치와 개수를 기반으로 어떠한 악세서리 디바이스가 연결되었는지를 인식할 수 있다.
코어 디바이스 100의 USB 인터페이스 112와 악세서리 디바이스 200의 USB 인터페이스 211는 악세서리 디바이스 200와 코어 디바이스 100 간에 입력 데이터 전달을 수행할 수 있다. 즉, 악세서리 디바이스 200는 사용자 입력 데이터 또는 센싱 데이터를 포함하는 입력 데이터를 USB 인터페이스 212를 통해서 코어 디바이스 100의 USB 인터페이스 112로 전달할 수 있다.
코어 디바이스 100의 메모리 140는 악세서리 디바이스 식별 테이블 141 및 매핑 테이블 142를 포함할 수 있다.
악세서리 디바이스 식별 테이블 141는 코어 디바이스 100에 연결된 악세서리 디바이스를 식별하는데 이용될 수 있는 테이블을 나타낸다. 코어 디바이스 100는 하나 이상의 악세서리 디바이스가 연결될 수 있고, 각 악세서리 디바이스 마다 전달하는 입력 데이터의 종류나 포맷이 다를 수 있기 때문에 코어 디바이스 100는 연결된 악세서리 디바이스가 무엇인지 먼저 확인하고 확인된 악세서리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되는 입력 데이터를 적절한 콘트롤 데이터를 변환시킬 필요가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악세서리 디바이스 식별 테이블 141는 핀 커넥터 111에서 연결된 핀의 정보를 기반으로 대응되는 악세서리 디바이스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연결된 핀의 정보는 연결된 핀의 개수나 위치 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핀들 중에서 제1핀에 대응해서, 제1악세서리 디바이스를 등록해 두고 제2핀에 대응해서 제2악세서리 디바이스를 등록해 둘 수 있다.
매핑 테이블 162는 코어 디바이스 100에 연결될 수 있는 각 악세서리 디바이스에 대응하여, 각 악세서리 디바이스로부터의 입력 데이터와 콘트롤 데이터를 매핑시켜 놓은 테이블을 나타낸다. 예를 들어, 악세서리 디바이스가 게임 콘트롤러인 경우와 악세서리 디바이스가 키보드 인 경우에는 각각 입력 데이터의 종류나 포맷이 다를 것이기 때문에 각 악세서리 디바이스에 대응하여 입력 데이터를 다르게 처리하여 전자 장치 300로 전달할 콘트롤 데이터를 획득할 필요가 있다. 예를 들어, 코어 디바이스 100는 연결된 악세서리 디바이스가 게임 콘트롤러로 인식된 경우에, 게임 콘트롤러에 대한 매핑 테이블을 찾고, 게임 콘트롤러로부터 입력 데이터가 수신되면 찾아진 매핑 테이블로부터 입력 데이터에 대응하는 콘트롤 데이터를 획득하고, 획득된 콘트롤 데이터를 전자 장치 300로 전달할 수 있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라 메모리 140에 저장되는 악세서리 디바이스 식별 테이블 141과 매핑 테이블 142의 일 예를 나타낸다.
도 4를 참조하면, 악세서리 디바이스 식별 테이블 141은 연결된 핀의 정보의 대응하여 악세서리 디바이스가 매핑되어 있다. 핀의 개수는 세 개이며, 세 개의 핀으로 나타낼 수 있는 조합의 수는 8개가 될 수 있다. 따라서 악세서리 디바이스 식별 테이블 141은 세 개의 핀의 대응하여 총 8개의 악세서리 디바이스를 구분할 수 있다. 각 핀의 연결 여부는 0과 1의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어 핀 1, 핀 2, 핀 3이 모두 0을 나타내는 경우, 악세서리 디바이스 #1으로 인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핀 1 과 핀 2가 0을 나타내고 핀 3이 1을 나타내는 경우, 악세러리 디바이스 #2로 인식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예에서 세개의 핀은 일 예에 불과하고, 인식될 수 있는 악세서리 디바이스의 개수에 따라 핀의 개수는 다양하게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네 개의 핀으로는 16개의 악세서리 디바이스를 인식할 수 있다.
매핑 테이블 142은 각 악세서리 디바이스에 대응하여, 악세서리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된 입력 데이터와 이에 대응해서 전자 장치 300로 전송할 콘트롤 데이터가 매핑되어 있다. 예를 들어, 악세서리 디바이스 #1에 대해서, 입력 데이터 #1은 콘트롤 데이터 #1에 매핑되어 있고, 입력 데이터 #2는 콘트롤 데이터 #2에 매핑되어 있다. 매핑 테이블 142는 코어 디바이스 200가 인식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악세서리 디바이스의 각각에 대응하는 매핑 테이블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코어 디바이스 200는 연결된 악세서리 디바이스가 악세서리 디바이스 #3으로 인식된 경우, 연결된 악세서리 디바이스 #3으로부터 입력 데이터를 수신하면, 악세서리 디바이스 #3에 대응하는 매핑 이블을 참조하여 수신된 입력 데이터를 콘트롤 데이터로 변환할 수 있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악세서리 디바이스 식별 테이블의 일 예를 나타낸다.
도 5를 참조하면, 악세서리 디바이스 식별 테이블 500은 네 개의 핀에 대응하여 총 16개의 악세서리 디바이스가 매핑되어 있다. 네 개의 핀 즉, 핀 1, 핀 2, 핀 3, 핀 4의 연결 여부에 따라 0과 1로 표시될 수 있고, 4개의 핀에 의해 나타내 질 수 있는 값인 0 부터 15 까지, 순차적으로 아령, 줄넘기, ARM 밴드, 필라테스링, 마이크, 스피커, 엔터 기기 3, 엔터 기기 4, 패드, 핸들, 골프 기기, 게임 기기 4, 키보드, 홈오피스 기기 2, 홈오피스 기기 3, 홈오피스 기기 4가 매핑되어 있다.
예를 들어, 코어 디바이스 100에 연결되는 악세서리 디바이스가 줄넘기 인 경우, 코어 디바이스 100는 (핀 1, 핀 2, 핀 3, 핀 4) 에 의해 (0, 0, 0, 1)을 감지할 수 있고, 이에 따라 테이블 500를 참조하여, 코어 디바이스 100에 연결된 악세서리 디바이스가 줄넘기 임을 인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코어 디바이스 100에 연결되는 악세서리 디바이스가 골프 기기 인 경우, 코어 디바이스 100는 (핀 1, 핀 2, 핀 3, 핀 4)에 의해 (1, 0, 1, 0)을 감지할 수 있고, 이에 따라 테이블 500를 참조하여, 코어 디바이스 100에 연결된 악세서리 디바이스가 골프 기기 임을 인식할 수 있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라 전자 장치의 세부적인 블록도의 일 예를 나타낸다.
도 6을 참조하면, 전자 장치 300는 통신부 310, 디스플레이 320, 사용자 입력부 330, 메모리 340, 프로세서 350 외에, 영상처리부 360, 오디오 처리부 370, 오디오 출력부 375, 수신부 380, 감지부 39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 310는 전자 장치 300과 무선 통신 시스템 사이 또는 전자 장치 300과 다른 전자 장치가 위치한 네트워크 사이의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부 310는 이동통신 모듈 311, 무선 인터넷 모듈 312 및 근거리 통신 모듈 313을 포함할 수 있다.
이동통신 모듈 311는,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상기 무선 신호는, 음성 호 신호, 화상 통화 호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모듈 312은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모듈을 말하는 것으로, 디바이스에 내장되거나 외장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기술로는 WLAN(Wireless LAN)(WiFi),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상기 무선 인터넷 모듈 312을 통해서 상기 디바이스는 다른 디바이스와 와이 파이(Wi-Fi) P2P(Peer to Peer)연결을 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 313은 근거리 통신을 위한 모듈을 말한다. 근거리 통신 기술로 블루투스(Bluetooth), BLE(Bluetooth Low Energy),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ZigBee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영상 처리부 360는 프로세서 350의 제어에 따라, 수신부 380 또는 통신부 310로부터 수신되는 영상신호를 처리하여 디스플레이 320로 출력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320는 영상 처리부 320로부터 수신된 영상 신호를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오디오 처리부 370는 프로세서 350의 제어에 따라, 수신부 380 또는 통신부 310로부터 수신되는 오디오 신호를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로 변환하여 오디오 출력부 375로 출력할 수 있다.
오디오 출력부 375는 수신되는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를 스피커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수신부 380는 프로세서 350의 제어에 따라 외부 입력 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영상신호 및 오디오신호를 연결된 프로토콜에 따라 수신하여 이를 영상 처리부 360 및 오디오 처리부 370로 출력할 수 있다.
수신부 380는 프로세서 350의 제어에 의해 전자 장치 300의 외부에서부터 비디오(예를 들어, 동영상 등), 오디오(예를 들어, 음성, 음악 등) 및 부가 정보(예를 들어, EPG 등) 등을 수신할 수 있다. 수신부 380는 HDMI 포트(High-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port, 381, 컴포넌트 잭(component jack, 382), PC 포트(PC port, 383), 및 USB 포트(USB port, 384) 중 하나를 포함하거나, 하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수신부 380는 HDMI 포트 이외에도 디스플레이 포트 (DisplayPort; DP), 썬더볼트 (Thunderbolt), MHL (Mobile High-Definition Link)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감지부 390은 사용자의 음성, 사용자의 영상, 또는 사용자의 인터랙션을 감지하며, 카메라부 391, 마이크로폰 392, 및 광 수신부 393를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부 391는 카메라 인식 범위에서 제스처를 포함하는 사용자의 모션에 대응되는 영상(예를 들어, 연속되는 프레임)을 수신할 수 있다. 마이크로폰 392는 사용자의 발화(utterance)된 음성을 수신하고 수신된 음성을 전기 신호로 변환하여 프로세서 350로 출력할 수 있다. 광 수신부 393는, 원격 제어 장치에서부터 수신되는 광 신호(제어 신호를 포함)를 수신한다. 광 수신부 393는 원격 제어 장치로부터 사용자 입력(예를 들어, 터치, 눌림, 터치 제스처, 음성, 또는 모션)에 대응되는 광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수신된 광 신호로부터 프로세서 350의 제어에 의해 제어 신호가 추출될 수 있다.
메모리 340는 전자 장치 300의 동작에 관련된 프로그램, 전자 장치 300의 동작 중에 발생하는 각종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프로세서 350는 메모리 340에 저장된 인스트럭션을 실행함으로써, 코어 디바이스 100로부터 수신된 악세서리 디바이스의 입력 데이터에 대응하는 콘트롤 데이터에 기반하여 전자 장치 30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프로세서 350는 메모리 340에 저장된 인스트럭션을 실행함으로써, 코어 디바이스 100로부터 수신된 악세서리 디바이스 식별 정보에 기반하여 악세서리 디바이스에 대응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자동으로 실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프로세서 350는 메모리 340에 저장된 인스트럭션을 실행함으로써, 코어 디바이스 100로부터 수신된 악세서리 디바이스의 식별 정보에 기반하여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유저 인터페이스를 변경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프로세서 350는 메모리 340에 저장된 인스트럭션을 실행함으로써, 코어 디바이스 100로부터 수신된 지문 데이터를 사용자 별로 등록해두고, 또한 지문 데이터에 대응하여 전자 장치 의 시청 환경 정보를 매핑하여 저장해둘 수 있다. 이와 같이 사용자 별로 지문 데이터에 대응하여 전자 장치의 시청 환경 정보를 등록해 둔 후, 코어 디바이스 100로부터 지문 데이터를 수신하면, 해당 지문 데이터에 대응하는 시청 환경 정보를 획득해서 자동으로 전자 장치를 시청 환경을 제어할 수 있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라 코어 디바이스 700의 일 예를 나타낸다.
도 7을 참조하면, 코어 디바이스 700는 전원 버튼 705, 버튼 710, 음성 인식 기능을 트리거하기 위한 음성 인식 기능 버튼 715, 버튼 720, 스크롤 휠 725, 지문 센서 730, 되돌리기 버튼 735, 홈 버튼 740, 정지 버튼 745, 채널 업 다운 버튼 750, 볼륨 조절 버튼 755, IR 센서 765, 자이로/가속도 센서 770, 진동 센서 775, 블루투스 모듈 780, 커넥터 785, USB 인터페이스 790을 포함할 수 있다.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라 코어 디바이스가 다양한 악세서리 디바이스와 결합되는 형태의 일 예를 나타낸다.
도 8을 참조하면, 악세서리 디바이스 200의 예로 리모트 콘트롤러 203a와 마이크 205a가 도시되어 있다. 코어 디바이스 100는 리모트 콘트롤러 203a에 슬라이딩 방식으로 부착될 수 있고, 코어 디바이스 100의 연결 인터페이스 110에 대응되는 위치에는 리모트 콘트롤러 203a의 연결 인터페이스가 배치되어 코어 디바이스 100의 연결 인터페이스 110와 리모트 콘트롤러 203a의 연결 인터페이스 210가 접촉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코어 디바이스 100과 리모트 콘트롤러 203a의 연결에 의해 코어 디바이스 100는 리모트 콘트롤러 203a를 인식할 수 있고, 코어 디바이스 100는 리모트 콘트롤러 203a로부터 수신된 입력 데이터 즉, 키패드 누름에 대응하는 데이터를 적합한 콘트롤 데이터로 변환하여 전자 장치 300로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코어 디바이스 100는 마이크 205a에 부착될 수 있고, 코어 디바이스 100의 연결 인터페이스 110에 대응되는 위치에는 마이크 205a의 연결 인터페이스가 배치되어 코어 디바이스 100의 연결 인터페이스 110와 마이크 205a의 연결 인터페이스 210가 접촉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코어 디바이스 100과 마이크 205a의 연결에 의해 코어 디바이스 100는 마이크 205a를 인식할 수 있고, 코어 디바이스 100는 마이크 205a로부터 수신된 입력 데이터 즉, 오디오 데이터를 전자 장치 300로 전달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개시된 실시예들에 따르면, 사용자는 다양한 어플리케이션들에 사용될 수 있는 하나의 코어 디바이스 100를 이용하여 각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악세서리 디바이스 200에 부착하여 사용함으로써, 전자 장치 300에서 실행되는 다양한 어플리케이션들에 대한 콘트롤 수단을 통일화시킴으로써 보다 편리하고 간편하게 조작을 할 수 있게 된다.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라 코어 디바이스에서 악세서리 디바이스를 인식하고 악세서리 디바이스로부터의 입력 데이터를 전자 장치로 전달하는 동작의 일 예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동작 910에서, 코어 디바이스 100와 악세서리 디바이스 200는 연결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코어 디바이스 100와 악세서리 디바이스 200는 핀 연결을 통해서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코어 디바이스 100와 악세서리 디바이스 200는 각각 연결 인터페이스 110의 핀 커넥터 111 및 연결 인터페이스 210의 핀 커넥터 211를 이용하여 연결될 수 있다.
동작 920에서, 코어 디바이스 100는 연결된 핀을 인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코어 디바이스 100는 연결된 핀의 개수와 위치 와 같은 정보를 인식할 수 있다.
동작 930에서, 코어 디바이스 100는 핀 인식에 기반하여 악세서리 디바이스를 인식할 수 있다. 코어 디바이스 100는 연결된 핀의 개수와 위치에 대응하여 서로 다른 악세서리 디바이스를 매핑해 놓은 정보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코어 디바이스 100는 동작 920에서 인식된 핀의 개수와 위치를 확인하고 이에 대응하여 매핑되어 있는 악세서리 디바이스를 확인함으로써 어떤 악세서리 디바이스가 연결되었는지를 인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코어 디바이스 10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악세서리 디바이스 식별 테이블 141을 이용하여 어떤 악세서리 디바이스가 연결되었는지를 인식할 수 있다.
동작 940에서, 악세서리 디바이스 200는 입력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악세서리 디바이스 200가 수신하는 입력 데이터는 악세서리 디바이스 200에 마련된 사용자 입력부로부터 입력된 사용자 입력 데이터 또는 악세서리 디바이스 200에 마련된 감지부에 의해 감지된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감지부에 의해 감지된 데이터는 예를 들어,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영상, 마이크로폰에 의해 수신된 오디오 데이터 또는 하나 이상의 센서에 의해 감지된 센싱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동작 950에서, 악세서리 디바이스 200는 입력 데이터를 코어 디바이스 100로 전달할 수 있다.
동작 960에서, 코어 디바이스 100는 인식된 악세서리 디바이스 타입에 기반하여, 입력 데이터에 대응하는 콘트롤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코어 디바이스 100는 인식된 악세서리 디바이스 타입에 따라 악세서리 디바이스 200로부터 수신된 입력 데이터를 콘트롤 데이터로 변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코어 디바이스 10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매핑 테이블 142을 이용하여 각 악세서리 디바이스에 따라 다르게 입력 데이터에 대응하는 콘트롤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코어 디바이스 100는 인식된 악세서리 디바이스가 리모트 콘트롤러 인 경우, 리모트 콘트롤러에 대응하는 매핑 테이블을 참조하여 입력 데이터에 대응하는 콘트롤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코어 디바이스 100는 예를 들어 인식된 악세서리 디바이스가 마이크 인 경우, 마이크에 대응하는 매핑 테이블을 참조하여 입력 데이터에 대응하는 콘트롤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동작 970에서, 코어 디바이스 100는 획득된 콘트롤 데이터를 전자 장치 300로 전달할 수 있다. 코어 디바이스 100와 전자 장치 300는 블루투스 통신이나 와이파이 통신과 같은 무선 통신이나 적외선 통신을 통하여 통신할 수 있다. 코어 디바이스 100는 무선 통신이나 적외선 통신 등을 이용하여 콘트롤 데이터를 전자 장치 300로 전달할 수 있다.
동작 980에서, 전자 장치 300는 코어 디바이스 100로부터 수신된 콘트롤 데이터에 기반하여 전자 장치 30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신된 콘트롤 데이터가 전자 장치 300의 디스플레이에 표시된 유저 인터페이스의 제어를 위한 데이터 인 경우, 전자 장치 300는 콘트롤 데이터에 기반하여 유저 인터페이스를 제어할 수 있다. 수신된 콘트롤 데이터가 감지부에 의해 감지된 센싱 데이터인 경우, 전자 장치 300는 콘트롤 데이터에 기반하여 전자 장치 300에서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신된 콘트롤 데이터가 영상 데이터 또는 오디오 데이터 인 경우, 전자 장치 300는 영상 데이터 또는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도 10은 일 실시예에 따라 지문센서를 구비한 리모트 콘트롤러의 일 예를 나타낸다.
일 실시예에 따라 코어 디바이스 10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문 센서 730를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지문 센서 730를 통해 사용자 별로 지문을 등록해 두고, 지문 센서 인식을 통해서 전자 장치 300에서 해당 사용자가 시청하던 컨텐츠로 자동 로그인하게 함으로써 사용성과 편이성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1은 일 실시예에 따라 코어 디바이스를 통한 지문 인식을 이용하여 전자 장치의 시청 환경을 설정하는 동작의 흐름도를 나타낸다.
도 11을 참조하면, 동작 1110에서, 코어 디바이스 100는 지문 센서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지문 데이터를 검출할 수 있다.
동작 1120에서, 코어 디바이스 100는 검출된 지문 데이터를 블루투스 통신이나 와이파이 통신을 포함하는 근거리 무선 통신 기술 또는 적외선 통신 기술을 이용하여 전자 장치 300로 전달할 수 있다.
동작 1130에서, 전자 장치 300는 코어 디바이스 100로부터 수신된 지문 데이터를 사용자 별로 데이터베이스 1100에 등록할 수 있다.
동작 1140에서, 전자 장치 300는 지문 데이터가 등록된 사용자 별로 전자 장치 시청 환경을 모니터링 하고 이를 데이터베이스 1100에 저장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지문 데이터를 등록한 이후 사용자가 설정한 전자 장치 300의 시청 환경을 데이터베이스 1100에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지문을 등록한 후 특정한 컨텐츠 프로바이더에 의해 제공되는 컨텐츠를 보기 위해 로그인 정보를 입력할 수 있고 전자 장치 300는 등록된 지문 데이터에 대응하여 이러한 로그인 정보를 저장해 둘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지문을 등록한 후 컨텐츠를 시청하는 전자 장치 300의 시청 환경 예를 들어, 볼륨, 밝기, 해상도 등을 전자 장치 300의 설정 정보를 설정하거나 변경할 수 있고, 전자 장치 300는 이러한 설정 정보를 등록된 지문 데이터에 대응하여 저장해 둘 수 있다.
도 11에서는 사용자 별로 지문 데이터에 대응하여 시청 환경 정보가 저장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그외에 사용자의 생체 데이터를 저장할 수도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코어 디바이스 100를 이용하여 심박수나 혈압 등의 사용자 생체 정보를 측정한 경우, 코어 디바이스 100는 사용자 생체 정보를 전자 장치 300로 전달할 수 있고 전자 장치 300는 사용자의 지문 데이터에 대응하여 이와 같이 수신된 사용자 생체 정보를 데이터베이스 1100에 더 저장할 수 있을 것이다.
이후, 동작 1150에서 코어 디바이스 100는 사용자의 지문 데이터를 검출할 수 있다.
동작 1160에서, 코어 디바이스 100는 검출한 지문 데이터를 전자 장치 300로 전달할 수 있다.
동작 1170에서, 전자 장치 300는 데이터베이스 1100에 등록된 지문 데이터 중에서 전달된 지문 데이터를 검색할 수 있다.
동작 1180에서, 전자 장치 300는 검색된 지문 데이터에 대응하는 시청 환경 정보를 획득하고, 획득된 시청 환경 정보에 따라서 전자 장치 300를 제어할 수 있다. 즉, 전자 장치 300는 검색된 지문 데이터에 대응하는 시청 환경 정보가 특정한 컨텐츠의 프로바이더에 접속하기 위한 로그인 정보를 포함하는 경우 전자 장치 300는 해당 컨텐츠 프로바이더에 로그인 정보를 이용하여 로그인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또는 검색된 지문 데이터에 대응하는 시청 환경 정보가 전자 장치 300의 설정 정보를 포함하는 경우 전자 장치 300는 해당 설정 정보를 이용하여 전자 장치 300의 설정을 조정할 수 있다.
도 12는 일 실시예에 따라 악세서리 디바이스 200의 일 예인 혈압측정기 1200를 나타낸다.
도 12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라 혈압측정기 1200에는 코어 디바이스 100가 부착될 수 있다. 혈압측정기 1200와 코어 디바이스 100가 연결되면 코어 디바이스 100는 연결된 악세서리 디바이스가 혈압측정기 임을 인식할 수 있고 혈압측정기 1200의 타입에 맞게 혈압측정기 1200로부터 수신된 입력 데이터를 처리하여 콘트롤 데이터를 획득하고 획득된 콘트롤 데이터를 전자 장치 300로 전달할 수 있다. 전자 장치 300는 코어 디바이스 100로부터 수신된 콘트롤 데이터를 디스플레이에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12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 300는 디스플레이에 최고혈압, 최저혈압, 맥박수치 등을 표시할 수 있다.
도 13은 일 실시예에 따라 코어 디바이스에서 악세서리 디바이스로부터 측정된 생체 데이터를 수신하여 전자 장치로 전달하는 동작의 일 예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동작 1310에서, 코어 디바이스 100와 악세서리 디바이스 200는 연결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코어 디바이스 100와 악세서리 디바이스 200는 핀 연결을 통해서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코어 디바이스 100와 악세서리 디바이스 200는 각각 연결 인터페이스110의 핀 커넥터 111 및 연결 인터페이스 210의 핀 커넥터 211를 이용하여 연결될 수 있다.
동작 1320에서, 코어 디바이스 100는 연결된 핀을 인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코어 디바이스 100는 연결된 핀의 개수와 위치 와 같은 정보를 인식할 수 있다.
동작 1330에서, 코어 디바이스 100는 핀 인식에 기반하여 악세서리 디바이스를 인식할 수 있다. 코어 디바이스 100는 연결된 핀의 개수와 위치에 대응하여 서로 다른 악세서리 디바이스를 매핑해 놓은 정보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코어 디바이스 100는 동작 1320에서 인식된 핀의 개수와 위치를 확인하고 이에 대응하여 매핑되어 있는 악세서리 디바이스를 확인함으로써 어떤 악세서리 디바이스가 연결되었는지를 인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코어 디바이스 10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악세서리 디바이스 식별 테이블 141을 이용하여 어떤 악세서리 디바이스가 연결되었는지를 인식할 수 있다.
동작 1340에서, 악세서리 디바이스 200는 생체 데이터를 측정할 수 있다. 생체 데이터는 사람의 몸에서 만들어지는 정보로서, 생체 데이터를 측정하는 악세서리 디바이스는 예를 들어, 혈압이나 심박수를 측정하는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동작 1350에서, 악세서리 디바이스 200는 측정된 생체 데이터를 코어 디바이스 100로 전달할 수 있다.
동작 1360에서, 코어 디바이스 100는 인식된 악세서리 디바이스 타입에 기반하여, 악세서리 디바이스 200로부터 수신된 생체 데이터를 가공 처리하여 생체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코어 디바이스 100는 인식된 악세서리 디바이스가 특정한 생체 측정 디바이스임을 식별한 경우, 이러한 악세서리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된 생체 데이터를 식별된 생체 측정 디바이스에 대응하는 데이터 포맷으로 가공하여 생체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악세서리 디바이스가 혈압측정기 인 경우 코어 디바이스는 혈압측정기로부터 수신된 생체 데이터를 예를 들어, 최대 혈압 정보, 최소 혈압 정보 및 맥박 수치 등을 나타내는 생체 정보로 가공할 수 있다.
동작 1370에서, 코어 디바이스 100는 획득된 생체 정보를 전자 장치 300로 전달할 수 있다.
동작 1380에서, 전자 장치 300는 코어 디바이스 100로부터 수신된 생체 정보를 디스플레이에 표시할 수 있다.
도 14는 일 실시예에 따라 악세서리 디바이스로서 리모트 콘트롤러의 일 예를 나타낸다.
도 14를 참조하면, 제1타입의 리모트 콘트롤러 1400 가 코어 디바이스 100에 결합되어 있다.(1400A) 제1타입의 리모트 콘트롤러 1400는 NEXT 버튼 1410, TV plus 버튼 1420, PRIME V 버튼 1430 및 숫자키 버튼 1440을 포함할 수 있다. NEXT 버튼 1410은 컨텐츠 프로바이더 NEXT에 바로 접속하도록 지시하는 버튼을 나타내고, TV plus 버튼 1420은 컨텐츠 프로바이더 TV plus에 바로 접속하도록 지시하는 버튼을 나타내고, PRIME V 버튼 1430은 컨텐츠 프로바이더 PRIME V 에 바로 접속하도록 지시하는 버튼을 나타낼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타입의 리모트 콘트롤러 1400는 특정한 컨텐츠 프로바이더에 바로 접속할 수 있도록 지시하는 핫키를 구비함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특정한 컨텐츠 프로바이더 접속을 위해 메뉴를 통해 여러 번의 조작을 필요로 함 없이 간편하게 이용할 수 있게 한다. 도 14에 도시된 예에서는 특정 컨텐츠 프로바이더에 바로 접속하도록 하는 핫 키는 리모트 콘트롤러 1400에 구비된 것으로 도시되었지만, 실시예들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다른 실시예에 따라 이와 같이 특정 컨텐츠 프로바이더 접속을 바로 가기하는 핫키는 코어 디바이스 100에 배열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도 14에 도시된 제1타입의 리모트 콘트롤러 1400는 총 15개의 버튼을 구비하지만, 제1타입과는 다른 제2타입의 리모트 콘트롤러 1450 (1400B)는 그보다 작은 수 또는 그보다 더 많은 수의 버튼을 구비하도록 구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예를 들어, 제1 타입의 리모트 콘트롤러 1400는 15개의 버튼을 구비하고, 제1타입과 다른 제2 타입의 리모트 콘트롤러 1450는 6개의 버튼을 구비할 수 있다. 악세서리 디바이스가 리모트 콘트롤러라는 타입은 동일하더라도 세부적으로 서로 다른 타입의 리모트 콘트롤러에 코어 디바이스가 부착될 수 있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다른 타입의 리모트 콘트롤러는 서로 다른 개수의 버튼을 구비할 수 있으므로 코어 디바이스는 리모트 콘트롤러의 타입에 대응하여 입력 데이터를 콘트롤 데이터로 변환할 필요가 있다. 예를 들어 리모트 콘트롤러 1400로부터의 입력 데이터는 총 15개의 버튼에 대응하는 데이터이므로 15개의 입력 데이터에 매핑된 콘트롤 데이터가 존재할 수 있고, 리모트 콘트롤러 1450으로부터의 입력 데이터는 총 6개의 버튼에 대응하는 데이터이므로 6개의 입력 데이터에 매핑된 콘트롤 데이터가 존재할 수 있다.
도 15는 일 실시예에 따라 악세서리 디바이스의 일 예인 리모트 콘트롤러에 부착된 코어 디바이스의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5를 참조하면, 동작 1510에서, 코어 디바이스 100와 악세서리 디바이스 200는 연결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악세서리 디바이스 200는 일 예에 따라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은 리모트 콘트롤러 140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코어 디바이스 100와 악세서리 디바이스 200는 핀 연결을 통해서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코어 디바이스 100와 악세서리 디바이스 200는 각각 연결 인터페이스110의 핀 커넥터 111 및 연결 인터페이스 210의 핀 커넥터 211를 이용하여 연결될 수 있다.
동작 1520에서, 코어 디바이스 100는 연결된 핀을 인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코어 디바이스 100는 연결된 핀의 개수와 위치 와 같은 정보를 인식할 수 있다.
동작 1530에서, 코어 디바이스 100는 핀 인식에 기반하여 악세서리 디바이스를 인식할 수 있다. 코어 디바이스 100는 연결된 핀의 개수와 위치에 대응하여 서로 다른 악세서리 디바이스를 매핑해 놓은 정보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코어 디바이스 100는 동작 1520에서 인식된 핀의 개수와 위치를 확인하고 이에 대응하여 매핑되어 있는 악세서리 디바이스를 확인함으로써 어떤 악세서리 디바이스가 연결되었는지를 인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코어 디바이스 10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악세서리 디바이스 식별 테이블 141을 이용하여 어떤 악세서리 디바이스가 연결되었는지를 인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코어 디바이스 100는 연결된 핀 정보 및 악세서리 디바이스 식별 테이블 141에 기반하여 코어 디바이스 100에 연결된 악세서리 디바이스 200가 제1타입의 리모트 콘트롤러 1400 임을 인식할 수 있다.
동작 1540에서, 악세서리 디바이스 200는 입력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악세서리 디바이스 200가 제1타입의 리모트 콘트롤러 1400 인 경우, 제1타입의 리모트 콘트롤러 1400는 NFX 버튼 1410, Samsung TV plus 버튼 1420, PRIME V 버튼 1430 및 12개의 숫자키 및 특수 문자 버튼 1440에 대응하는 입력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동작 1550에서, 악세서리 디바이스 200는 수신된 입력 데이터를 코어 디바이스 100로 전달할 수 있다.
동작 1560에서, 코어 디바이스 100는 인식된 악세서리 디바이스 타입에 대응하는 키 변환 테이블을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코어 디바이스 100는 인식된 악세서리 디바이스가 제1타입의 리모트 콘트롤러 1400 인 경우, 제1타입의 리모트 콘트롤러 1400에 대응하는 키 변환 테이블을 획득할 수 있다. 제1타입의 리모트 콘트롤러 1400에 대응하는 키 변환 테이블은 제1타입의 리모트 콘트롤러 1400의 각 입력 데이터에 대응하는 콘트롤 데이터가 매핑되어 있을 수 있다.
동작 1570에서, 코어 디바이스 100는 키 변환 테이블을 참조하여 입력 데이터에 대응하는 콘트롤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인식된 악세서리 디바이스가 제1타입의 리모트 콘트롤러 1400 인 경우, 코어 디바이스 100가 제1타입의 리모트 콘트롤러 1400로부터 TV plus 버튼 1420에 대응하는 입력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이 경우 코어 디바이스 100는 TV plus 버튼 1420에 대응하는 입력 데이터에 매핑된 콘트롤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TV plus 버튼 1420에 대응하는 입력 데이터에 매핑된 콘트롤 데이터는 TV plus 버튼 1420의 선택에 의해 수행되는 전자 장치의 동작을 트리거하도록 하는 명령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TV plus 버튼 1420에 대응하는 입력 데이터에 매핑된 콘트롤 데이터는 "TV plus"라는 콘텐츠 프로바이더에 접속하기 위한 정보로서, 접속 명령이나 접속 주소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동작 1580에서, 코어 디바이스 100는 획득된 콘트롤 데이터를 전자 장치 300로 전달할 수 있다.
동작 1590에서, 전자 장치 300는 코어 디바이스 100로부터 수신된 콘트롤 데이터에 기반하여 전자 장치 30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 300가 "TV plus"라는 콘텐츠 프로바이더에 접속하기 위한 정보로서, 접속 명령이나 접속 주소 등을 포함하는 콘트롤 데이터를 수신한 경우, 전자 장치 300는 TV plus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키거나 또는 TV plus로의 접속을 위한 접속 주소를 이용하여 TV plus 로의 접속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코어 디바이스 100가 특정한 악세서리 디바이스 200에 연결되면 자동으로 연결된 악세서리 디바이스 200에 대응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도록 전자 장치 300를 제어할 수 있다.
도 16은 일 실시예에 따라 코어 디바이스에 연결된 악세서리 디바이스에 대응하여 자동으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도록 전자 장치를 제어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이다.
도 16을 참조하면, 코어 디바이스 100는 악세서리 디바이스 200의 한 종류인 마이크 1610에 부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부착에 의해 코어 디바이스 100는 악세서리 디바이스 200로서 마이크 1610를 인식할 수 있고 인식된 마이크 1610에 대한 정보를 전자 장치 300로 전송할 수 있다. 전자 장치 300는 코어 디바이스 100로부터 마이크 1610 인식 정보를 수신하면, 마이크 1610와 함께 사용되는 어플리케이션, 예를 들어, 가라오케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가라오케 실행 화면 1611을 자동으로 디스플레이에 출력할 수 있다.
코어 디바이스 100는 악세서리 디바이스 200의 한 종류인 게임 콘트롤러 1620에 부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부착에 의해 코어 디바이스 100는 악세서리 디바이스 200로서 게임 콘트롤러 1620를 인식할 수 있고 인식된 게임 콘트롤러 1620에 대한 정보를 전자 장치 300로 전송할 수 있다. 전자 장치 300는 코어 디바이스 100로부터 게임 콘트롤러 1620 인식 정보를 수신하면, 게임 콘트롤러 1620 와 함께 사용되는 어플리케이션, 예를 들어, 게임 컨텐츠를 제공하는 메인 화면인 게임 허브를 실행하고, 게임 허브의 실행 화면 1621을 자동으로 디스플레이에 출력할 수 있다.
도 17은 일 실시예에 따라 코어 디바이스에 연결된 악세서리 디바이스에 대응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도록 전자 장치를 제어하는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7을 참조하면, 동작 1710에서, 코어 디바이스 100와 악세서리 디바이스 200는 연결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코어 디바이스 100와 악세서리 디바이스 200는 핀 연결을 통해서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코어 디바이스 100와 악세서리 디바이스 200는 각각 연결 인터페이스110의 핀 커넥터 111 및 연결 인터페이스 210의 핀 커넥터 211를 이용하여 연결될 수 있다.
동작 1720에서, 코어 디바이스 100는 연결된 핀을 인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코어 디바이스 100는 연결된 핀의 개수와 위치 와 같은 정보를 인식할 수 있다.
동작 1730에서, 코어 디바이스 100는 핀 인식에 기반하여 악세서리 디바이스를 인식할 수 있다. 코어 디바이스 100는 연결된 핀의 개수와 위치에 대응하여 서로 다른 악세서리 디바이스를 매핑해 놓은 정보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코어 디바이스 100는 동작 1720에서 인식된 핀의 개수와 위치를 확인하고 이에 대응하여 매핑되어 있는 악세서리 디바이스를 확인함으로써 어떤 악세서리 디바이스가 연결되었는지를 인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코어 디바이스 10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악세서리 디바이스 식별 테이블 141을 이용하여 어떤 악세서리 디바이스가 연결되었는지를 인식할 수 있다.
동작 1740에서, 코어 디바이스 100는 인식된 악세서리 디바이스에 대한 정보를 전자 장치 300로 전달할 수 있다. 악세서리 디바이스에 대한 정보는 악세서리 디바이스의 식별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동작 1750에서, 전자 장치 300는 코어 디바이스 100로부터 수신된 악세서리 디바이스에 대한 정보에 기반하여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 전자 장치 300는 악세서리 디바이스 식별 정보에 따라 이 악세서리 디바이스에 적합한 또는 이 악세서리 디바이스가 이용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을 확인하고 확인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 전자 장치 300는 미리 악세서리 디바이스 식별 정보 마다 대응되는 어플리케이션 정보를 저장하고 있을 수 있고 이러한 어플리케이션 정보를 이용하여 악세서리 디바이스에 대응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 300는 인식된 악세서리 디바이스가 게임 콘트롤러 인 경우 이러한 게임 콘트롤러를 이용할 수 있는 게임 허브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 300를 인식된 악세서리 디바이스가 리모트 콘트롤러 인 경우 이러한 리모트 콘트롤러를 이용할 수 있는 프로그램 가이드와 같은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
동작 1760에서, 악세서리 디바이스 200는 입력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동작 1770에서, 악세서리 디바이스 200는 수신된 입력 데이터를 코어 디바이스 100로 전달할 수 있다.
동작 1780에서, 코어 디바이스 100는 인식된 악세서리 디바이스 타입에 기반하여 입력 데이터에 대응하는 콘트롤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동작 1790에서, 코어 디바이스 100는 획득된 콘트롤 데이터를 전자 장치 300로 전달할 수 있다.
동작 1795에서, 전자 장치 300는 콘트롤 데이터에 기반하여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을 제어할 수 있다.
도 18은 일 실시예에 따라 코어 디바이스에 연결된 악세서리 디바이스로서 마이크에 대응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도록 전자 장치를 제어하는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8을 참조하면, 동작 1810에서, 코어 디바이스 100와 악세서리 디바이스 200의 일 예인 마이크 1610는 연결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코어 디바이스 100와 악세서리 디바이스 200는 핀 연결을 통해서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코어 디바이스 100와 악세서리 디바이스 200는 각각 연결 인터페이스110의 핀 커넥터 111 및 연결 인터페이스 210의 핀 커넥터 211를 이용하여 연결될 수 있다.
동작 1820에서, 코어 디바이스 100는 연결된 핀을 인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코어 디바이스 100는 연결된 핀의 개수와 위치 와 같은 정보를 인식할 수 있다.
동작 1830에서, 코어 디바이스 100는 핀 인식에 기반하여 악세서리 디바이스를 인식할 수 있다. 코어 디바이스 100는 연결된 핀의 개수와 위치에 대응하여 서로 다른 악세서리 디바이스를 매핑해 놓은 정보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코어 디바이스 100는 동작 1820에서 인식된 핀의 개수와 위치를 확인하고 이에 대응하여 매핑되어 있는 악세서리 디바이스를 확인함으로써 어떤 악세서리 디바이스가 연결되었는지를 인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코어 디바이스 10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악세서리 디바이스 식별 테이블 141을 이용하여 어떤 악세서리 디바이스가 연결되었는지를 인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코어 디바이스 100는 악세서리 디바이스 200로서 마이크 1610가 연결되었음을 인식할 수 있다.
동작 1840에서, 코어 디바이스 100는 인식된 악세서리 디바이스에 대한 정보를 전자 장치 300로 전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코어 디바이스 100는 동작 1830에서 인식된 마이크에 대한 식별 정보를 전자 장치 300로 전달할 수 있다.
동작 1850에서, 전자 장치 300는 코어 디바이스 100로부터 수신된 악세서리 디바이스에 대한 정보에 기반하여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 전자 장치 300는 악세서리 디바이스 식별 정보에 따라 이 악세서리 디바이스에 적합한 또는 이 악세서리 디바이스가 이용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을 확인하고 확인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 300는 인식된 악세서리 디바이스가 마이크 인 경우 이러한 마이크를 이용할 수 있는 가라오케 어플리케이션과 같은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
동작 1860에서, 악세서리 디바이스 200는 오디오 입력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오디오 입력 데이터는 예를 들어 사용자의 노랫 소리를 포함할 수 있다.
동작 1870에서, 악세서리 디바이스 200는 수신된 오디오 입력 데이터를 코어 디바이스 100로 전달할 수 있다.
동작 1880에서, 코어 디바이스 100는 인식된 악세서리 디바이스 타입에 기반하여 오디오 입력 데이터를 가공할 수 있다.
동작 1890에서, 코어 디바이스 100는 가공된 오디오 입력 데이터를 전자 장치 300로 전달할 수 있다.
동작 1895에서, 전자 장치 300는 오디오 데이터를 처리하여 스피커 등을 이용하여 출력할 수 있다.
도 18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동작 1850에서 실행된 가라오케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제어를 위해 코어 디바이스 100에 마련된 하나 이상의 키나 버튼을 이용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9는 일 실시예에 따라 코어 디바이스에 연결된 악세서리 디바이스로서 게임 콘트롤러에 대응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도록 전자 장치를 제어하는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9를 참조하면, 동작 1910에서, 코어 디바이스 100와 악세서리 디바이스 200의 일 예인 게임 콘트롤러 1620는 연결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코어 디바이스 100와 악세서리 디바이스 200는 핀 연결을 통해서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코어 디바이스 100와 악세서리 디바이스 200는 각각 연결 인터페이스110의 핀 커넥터 111 및 연결 인터페이스 210의 핀 커넥터 211를 이용하여 연결될 수 있다.
동작 1920에서, 코어 디바이스 100는 연결된 핀을 인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코어 디바이스 100는 연결된 핀의 개수와 위치 와 같은 정보를 인식할 수 있다.
동작 1930에서, 코어 디바이스 100는 핀 인식에 기반하여 악세서리 디바이스를 인식할 수 있다. 코어 디바이스 100는 연결된 핀의 개수와 위치에 대응하여 서로 다른 악세서리 디바이스를 매핑해 놓은 정보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코어 디바이스 100는 동작 1920에서 인식된 핀의 개수와 위치를 확인하고 이에 대응하여 매핑되어 있는 악세서리 디바이스를 확인함으로써 어떤 악세서리 디바이스가 연결되었는지를 인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코어 디바이스 10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악세서리 디바이스 식별 테이블 141을 이용하여 어떤 악세서리 디바이스가 연결되었는지를 인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코어 디바이스 100는 악세서리 디바이스 200로서 게임 콘트롤러 1620가 연결되었음을 인식할 수 있다.
동작 1940에서, 코어 디바이스 100는 인식된 악세서리 디바이스에 대한 정보를 전자 장치 300로 전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코어 디바이스 100는 동작 1930에서 인식된 게임 콘트롤러에 대한 식별 정보를 전자 장치 300로 전달할 수 있다.
동작 1950에서, 전자 장치 300는 코어 디바이스 100로부터 수신된 악세서리 디바이스에 대한 정보에 기반하여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 전자 장치 300는 악세서리 디바이스 식별 정보에 따라 이 악세서리 디바이스에 적합한 또는 이 악세서리 디바이스가 이용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을 확인하고 확인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 300는 인식된 악세서리 디바이스가 게임 콘트롤러 인 경우 이러한 게임 콘트롤러를 이용할 수 있는 게임 어플리케이션 이나 게임 허브 어플리케이션과 같은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
동작 1960에서, 악세서리 디바이스 200는 게임 콘트롤 입력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게임 콘트롤 입력 데이터는 예를 들어 게임 콘트롤어 1620에 구비된 복수의 입력 수단 예를 들어, 버튼, 터치 패드, 스틱 등과 같은 입력 수단에 대응하는 입력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동작 1970에서, 악세서리 디바이스 200는 수신된 게임 콘트롤 입력 데이터를 코어 디바이스 100로 전달할 수 있다.
동작 1980에서, 코어 디바이스 100는 인식된 악세서리 디바이스 타입에 기반하여 게임 콘트롤 입력 데이터를 전자 장치 300로 전달할 콘트롤 데이터로 변환할 수 있다.
동작 1990에서, 코어 디바이스 100는 변환된 콘트롤 데이터를 전자 장치 300로 전달할 수 있다.
동작 1995에서, 전자 장치 300는 코어 디바이스 100로부터 수신된 콘트롤 데이터에 기반하여 게임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도 19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동작 1950에서 실행된 게임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제어를 위해 코어 디바이스 100에 마련된 하나 이상의 키나 버튼을 이용할 수 있을 것이다.
도 20은 일 실시예에 따라 악세서리 디바이스의 일종인 리모트 콘트롤러의 일 예를 나타낸다.
도 20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리모트 콘트롤러 2000는 특정한 팬덤(fandom)을 나타내기 위해 팬덤의 명칭이나 색상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리모트 콘트롤러 2000는 "BTS" 팬덤을 나타내기 위한 명칭이 표시되어 있다. 그리고 예를 들어 BTS 팬덤을 나타내는 색상은 보라색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특정한 팬덤을 선호하는 사용자들의 욕구를 보다 만족시키기 위해 이와 같이 특정한 팬덤으로 구현된 리모트 콘트롤러가 코어 디바이스 100에 부착된 경우 전자 장치 300의 유저 인터페이스를 이와 같은 팬덤을 표현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 300의 유저 인터페이스에 사용되는 색상을 동일하게 보라색으로 하거나 또는 팬덤을 나타내는 명칭을 유저 인터페이스에 표시할 수도 있을 것이다.
도 21은 일 실시예에 따라 코어 디바이스에 부착된 악세서리 디바이스에 기반하여 전자 장치에서 표시되는 유저 인터페이스를 제어하는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21을 참조하면, 동작 2110에서, 코어 디바이스 100와 악세서리 디바이스 200의 일 예인 리모트 콘트롤러 2000는 연결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코어 디바이스 100와 악세서리 디바이스 200는 핀 연결을 통해서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코어 디바이스 100와 악세서리 디바이스 200는 각각 연결 인터페이스110의 핀 커넥터 111 및 연결 인터페이스 210의 핀 커넥터 211를 이용하여 연결될 수 있다.
동작 2120에서, 코어 디바이스 100는 연결된 핀을 인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코어 디바이스 100는 연결된 핀의 개수와 위치 와 같은 정보를 인식할 수 있다.
동작 2130에서, 코어 디바이스 100는 핀 인식에 기반하여 악세서리 디바이스를 인식할 수 있다. 코어 디바이스 100는 연결된 핀의 개수와 위치에 대응하여 서로 다른 악세서리 디바이스를 매핑해 놓은 정보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코어 디바이스 100는 동작 2120에서 인식된 핀의 개수와 위치를 확인하고 이에 대응하여 매핑되어 있는 악세서리 디바이스를 확인함으로써 어떤 악세서리 디바이스가 연결되었는지를 인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코어 디바이스 10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악세서리 디바이스 식별 테이블 141을 이용하여 어떤 악세서리 디바이스가 연결되었는지를 인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코어 디바이스 100는 악세서리 디바이스 200로서 리모트 콘트롤러 2000가 연결되었음을 인식할 수 있다.
동작 2140에서, 코어 디바이스 100는 인식된 악세서리 디바이스에 대한 정보를 전자 장치 300로 전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코어 디바이스 100는 동작 2130에서 인식된 리모트 콘트롤러 2000에 대한 식별 정보를 전자 장치 300로 전달할 수 있다.
동작 2150에서, 전자 장치 300는 코어 디바이스 100로부터 수신된 악세서리 디바이스에 대한 정보에 기반하여 전자 장치의 디스플레이에서 표시되는 유저 인터페이스를 변경하거나 또는 유저 인터페이스의 색상을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 300가 코어 디바이스 100로부터 수신한 악세서리 디바이스 정보가 BTS 팬덤을 나타내는 식별자를 가지는 경우, 전자 장치 300는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유저 인터페이스의 색상을 BTS 팬덤을 나타내는 보라색으로 변경할 수 있다.
동작 2160에서, 악세서리 디바이스 200는 입력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동작 2170에서, 악세서리 디바이스 200는 수신된 입력 데이터를 코어 디바이스 100로 전달할 수 있다.
동작 2180에서, 코어 디바이스 100는 인식된 악세서리 디바이스 타입에 기반하여 입력 데이터를 전자 장치 300로 전달할 콘트롤 데이터로 변환할 수 있다.
동작 2190에서, 코어 디바이스 100는 변환된 콘트롤 데이터를 전자 장치 300로 전달할 수 있다.
동작 2195에서, 전자 장치 300는 코어 디바이스 100로부터 수신된 콘트롤 데이터에 기반하여 전자 장치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는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 모듈과 같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가능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기록 매체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 매체일 수 있고, 휘발성 및 비휘발성 매체,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 저장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저장 매체는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데이터와 같은 정보의 저장을 위한 임의의 방법 또는 기술로 구현된 휘발성 및 비휘발성,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개시된 실시예들은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computer-readable storage media)에 저장된 명령어를 포함하는 S/W 프로그램으로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는, 저장 매체로부터 저장된 명령어를 호출하고, 호출된 명령어에 따라 개시된 실시예에 따른 동작이 가능한 장치로서, 개시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저장매체는, 비일시적(non-transitory) 저장매체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비일시적’은 저장매체가 신호(signal)를 포함하지 않으며 실재(tangible)한다는 것을 의미할 뿐 데이터가 저장매체에 반영구적 또는 임시적으로 저장됨을 구분하지 않는다.
또한, 개시된 실시예들에 따른 제어 방법은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computer program product)에 포함되어 제공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상품으로서 판매자 및 구매자 간에 거래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S/W 프로그램, S/W 프로그램이 저장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디바이스의 제조사 또는 전자 마켓(예, 구글 플레이 스토어, 앱 스토어)을 통해 전자적으로 배포되는 S/W 프로그램 형태의 상품(예, 다운로더블 앱)을 포함할 수 있다. 전자적 배포를 위하여, S/W 프로그램의 적어도 일부는 저장 매체에 저장되거나, 임시적으로 생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저장 매체는 제조사의 서버, 전자 마켓의 서버, 또는 SW 프로그램을 임시적으로 저장하는 중계 서버의 저장매체가 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서버 및 디바이스로 구성되는 시스템에서, 서버의 저장매체 또는 디바이스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서버 또는 디바이스와 통신 연결되는 제 3 장치(예, 스마트폰)가 존재하는 경우,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제 3 장치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서버로부터 디바이스 또는 제 3 장치로 전송되거나, 제 3 장치로부터 디바이스로 전송되는 S/W 프로그램 자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서버, 디바이스 및 제 3 장치 중 하나가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을 실행하여 개시된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을 수행할 수 있다. 또는, 서버, 디바이스 및 제 3 장치 중 둘 이상이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을 실행하여 개시된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을 분산하여 실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서버(예로, 클라우드 서버 또는 인공 지능 서버 등)가 서버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을 실행하여, 서버와 통신 연결된 디바이스가 개시된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을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제 3 장치가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을 실행하여, 제 3 장치와 통신 연결된 디바이스가 개시된 실시예에 따른 방법을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 3 장치가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을 실행하는 경우, 제 3 장치는 서버로부터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을 다운로드하고, 다운로드 된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을 실행할 수 있다. 또는, 제 3 장치는 프리로드 된 상태로 제공된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을 실행하여 개시된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을 수행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부"는 프로세서 또는 회로와 같은 하드웨어 구성(hardware component), 및/또는 프로세서와 같은 하드웨어 구성에 의해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구성(software component)일 수 있다.
전술한 본 개시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개시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개시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20)

  1. 전자 장치의 제어를 위해 악세서리 디바이스와 결합되어 사용되는 코어 디바이스에 있어서,
    통신 인터페이스,
    메모리,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악세서리 디바이스와의 연결을 통해 상기 악세서리 디바이스의 타입을 식별하고,
    상기 악세서리 디바이스로부터 입력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식별된 악세서리 디바이스의 타입에 기반하여 상기 입력 데이터에 대응하는 콘트롤 데이터를 획득하고,
    상기 악세서리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된 상기 입력 데이터에 기반하여 상기 전자 장치를 동작시키기 위해, 상기 획득된 콘트롤 데이터를 상기 전자 장치로 전송하는, 코어 디바이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악세서리 디바이스와의 핀 연결, 유선 통신 연결, 또는 무선 통신 연결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서 상기 악세서리 디바이스의 타입을 식별하는, 코어 디바이스.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 디바이스는, 복수개의 핀을 포함하는 핀 커넥터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복수개의 핀에 연결되는 상기 악세서리 디바이스의 핀에 기반하여 상기 악세서리 디바이스의 타입을 식별하는, 코어 디바이스.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데이터는,
    상기 악세서리 디바이스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의 입력 키 또는 입력 버튼에 대응하는 사용자 입력을 포함하는, 코어 디바이스.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데이터는,
    상기 악세서리 디바이스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의 센서에 의해 측정된 센싱값을 포함하는, 코어 디바이스.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는, 하나 이상의 악세서리 디바이스의 각 악세서리 디바이스의 타입 별로, 각 악세서리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될 수 있는 입력 데이터와, 상기 입력 데이터에 대응하는 콘트롤 데이터를 매핑한 테이블을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테이블을 참조하여, 상기 악세서리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된 상기 입력 데이터에 대응하는 상기 콘트롤 데이터를 획득하는, 코어 디바이스.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 디바이스는,
    사용자의 생체 정보를 측정하는 생체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생체 센서에 의해 측정된 생체 정보에 대응하는 사용자에 커스터마이즈드된 유저 인터페이스가 출력될 수 있도록 상기 생체 정보를 상기 전자 장치로 전송하는, 코어 디바이스.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생채 센서는, 이미지 센서, 지문 센서, 홍채 센서, 보이스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코어 디바이스.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악세서리 디바이스의 의료 정보 측정 센서에 의해 측정된 의료 정보 측정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의료 정보 측정 데이터가 상기 전자 장치의 디스플레이에 표시될 수 있도록 상기 의료 정보 측정 데이터를 상기 전자 장치로 전송하는, 코어 디바이스.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악세서리 디바이스에 마련된 키패드를 통해 입력된 키 입력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키 입력 데이터에 따라 상기 전자 장치가 동작될 수 있도록 상기 키 입력 데이터를 상기 전자 장치로 전송하는, 코어 디바이스.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식별된 악세서리 디바이스에 따라 대응하는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될 수 있도록 상기식별된 악세서리 디바이스에 대한 식별 정보를 상기 전자 장치로 전송하는, 코어 디바이스.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식별된 악세서리 디바이스에 따라 상기 전자 장치에서 표시되는 유저 인터페이스가변경될 수 있도록 상기 식별된 악세서리 디바이스에 대한 식별 정보를 상기 전자 장치로 전송하는, 코어 디바이스.
  13. 전자 장치의 제어를 위해 악세서리 디바이스와 결합되어 사용되는 코어 디바이스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상기 악세서리 디바이스와의 연결을 통해 상기 악세서리 디바이스의 타입을 식별하는 동작,
    상기 악세서리 디바이스로부터 입력 데이터를 수신하는 동작,
    상기 식별된 악세서리 디바이스의 타입에 기반하여 상기 입력 데이터에 대응하는 콘트롤 데이터를 획득하는 동작, 및
    상기 악세서리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된 상기 입력 데이터에 기반하여 상기 전자 장치를 동작시키기 위해, 상기 획득된 콘트롤 데이터를 상기 전자 장치로 전송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코어 디바이스의 동작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악세서리 디바이스와의 핀 연결, 유선 통신 연결, 또는 무선 통신 연결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서 상기 악세서리 디바이스의 타입을 식별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는, 코어 디바이스의 동작 방법.
  15. 제13항에 있어서,
    핀 커넥터에 포함된 복수개의 핀에 연결되는 상기 악세서리 디바이스의 핀에 기반하여 상기 악세서리 디바이스의 타입을 식별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는, 코어 디바이스의 동작 방법.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데이터는,
    상기 악세서리 디바이스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의 입력 키 또는 입력 버튼에 대응하는 사용자 입력 또는 상기 악세서리 디바이스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의 센서에 의해 측정된 센싱값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코어 디바이스의 동작 방법.
  17. 제13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악세서리 디바이스의 각 악세서리 디바이스의 타입 별로, 각 악세서리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될 수 있는 입력 데이터와, 상기 입력 데이터에 대응하는 콘트롤 데이터를 매핑한 테이블을 참조하여, 상기 악세서리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된 상기 입력 데이터에 대응하는 상기 콘트롤 데이터를 획득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는, 코어 디바이스의 동작 방법.
  18. 제13항에 있어서,
    생체 센서에 의해 측정된 생체 정보에 대응하는 사용자에 커스터마이즈드된 유저 인터페이스가 출력될 수 있도록 상기 생체 정보를 상기 전자 장치로 전송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는, 코어 디바이스의 동작 방법.
  19.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된 악세서리 디바이스에 따라 대응하는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될 수 있도록 상기식별된 악세서리 디바이스에 대한 식별 정보를 상기 전자 장치로 전송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는, 코어 디바이스의 동작 방법.
  20. 전자 장치의 제어를 위해 악세서리 디바이스와 결합되어 사용되는 코어 디바이스의 동작 방법의 구현을 위해 코어 디바이스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 매체에 있어서, 상기 코어 디바이스의 동작 방법은, 상기 악세서리 디바이스와의 연결을 통해 상기 악세서리 디바이스의 타입을 식별하는 동작, 상기 악세서리 디바이스로부터 입력 데이터를 수신하는 동작, 상기 식별된 악세서리 디바이스의 타입에 기반하여 상기 입력 데이터에 대응하는 콘트롤 데이터를 획득하는 동작, 및 상기 악세서리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된 상기 입력 데이터에 기반하여 상기 전자 장치를 동작시키기 위해, 상기 획득된 콘트롤 데이터를 상기 전자 장치로 전송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 매체.

KR1020220053807A 2021-11-12 2022-04-29 코어 디바이스 및 그 동작 방법 KR2023006979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22/017632 WO2023085799A1 (ko) 2021-11-12 2022-11-10 코어 디바이스 및 그 동작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55988 2021-11-12
KR20210155988 2021-11-12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69791A true KR20230069791A (ko) 2023-05-19

Family

ID=865468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53807A KR20230069791A (ko) 2021-11-12 2022-04-29 코어 디바이스 및 그 동작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69791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33572B1 (ko) 워치 페이스 이미지를 결정하기 위한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KR102360453B1 (ko) 카메라 설정 방법 및 장치
WO2015037177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method and program combining voice recognition with gaze detection
US10088901B2 (en) Display devic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JP6522124B2 (ja) ジェスチャ制御方法、デバイス、およびシステム
CN109240577B (zh) 一种截屏方法及终端
US11340777B2 (en) Method for editing text and mobile terminal
CN108334272B (zh) 一种控制方法及移动终端
CN105900056A (zh) 辅助显示器的悬停敏感控制
CN108958593B (zh) 一种确定通讯对象的方法及移动终端
KR102548453B1 (ko)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9699595B2 (en) Method and wearable device for interworking with a portable terminal
US20170119252A1 (en) Electronic apparatus,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20210191537A1 (en) Electronic device and feedback providing method
CN109164908B (zh) 一种界面控制方法及移动终端
EP3845281B1 (en) Electronic device and trigger method of macro key using external input signal
CN112827163B (zh) 一种游戏手柄的模拟方法及移动设备
US20180268817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KR20220127568A (ko) 홈 트레이닝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를 수행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20230069791A (ko) 코어 디바이스 및 그 동작 방법
EP3349098A1 (en) Electronic device and operation method therefor
CN109491572B (zh) 一种移动终端的截屏方法及移动终端
EP3112991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ext based application grouping in virtual reality
KR20200006805A (ko)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기능 수행 방법
US20220191403A1 (en) Electronic device having plurality of lenses, and method for controlling sam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