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67911A - Paper flower making kit - Google Patents

Paper flower making ki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67911A
KR20230067911A KR1020210153647A KR20210153647A KR20230067911A KR 20230067911 A KR20230067911 A KR 20230067911A KR 1020210153647 A KR1020210153647 A KR 1020210153647A KR 20210153647 A KR20210153647 A KR 20210153647A KR 20230067911 A KR20230067911 A KR 202300679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parts
petal
adhesive layer
petal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5364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603212B1 (en
Inventor
장기영
Original Assignee
(주)이든교육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이든교육 filed Critical (주)이든교육
Priority to KR10202101536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03212B1/en
Publication of KR202300679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6791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032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0321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GARTIFICIAL FLOWERS; WIGS; MASKS; FEATHERS
    • A41G1/00Artificial flowers, fruit, leaves, or trees; Garlands
    • A41G1/02Implements, apparatus, or machines for making artificial flowers, or the lik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9/00Teaching not covered by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G09B19/10Model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Adhesives Or Adhesive Processes (AREA)
  • Paper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종이꽃 제작용 제작 키트는, 종이 재질로서, 일정 간격으로 상호 이격되어 형성된 기본 선 및, 연속된 상기 한 쌍의 기본 선의 사이 영역에 형성되는 복수의 세부 선을 포함하는 꽃잎; 접착층을 매개로 상기 꽃잎의 일 측에 부착 고정되는 꽃대; 접착층을 매개로 상기 꽃대와 상기 꽃잎의 고정 부위 둘레를 따라 접착되는 꽃받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paper flower manufacturing k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made of paper, and includes basic line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regular intervals, and petals including a plurality of detailed lines formed in an area between the pair of continuous basic lines; A flower stem attached and fixed to one side of the petal through an adhesive layer;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calyx adhered along the periphery of the fixed portion of the flower stem and the petals via an adhesive layer.

Description

종이꽃 제작용 제작 키트{PAPER FLOWER MAKING KIT}Paper flower making kit {PAPER FLOWER MAKING KIT}

본 발명은 종이꽃 제작용 제작 키트로서, 별도의 가위질 없이도 생화와 매우 흡사한 종이꽃을 제작할 수 있도록 하여 다양한 심미감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한, 종이꽃 제작용 제작 키트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roduction kit for making paper flowers, which can provide a variety of aesthetics by making paper flowers very similar to real flowers without additional scissors.

DIY는 ‘do it yourself’의 줄임말로, 소비자가 자신이 원하는 물건을 스스로 만들 수 있도록 한 상품으로서 엄밀하게는 반제품상태의 제품을 구입해 직접 조립하거나 제작하도록 한 상품을 말한다. DIY is an abbreviation of ‘do it yourself’, and refers to a product that allows consumers to make what they want by themselves. Strictly speaking, it refers to products that are purchased in a semi-finished state and assembled or manufactured by themselves.

최근, 이러한 DIY 키트 상품 시장은, 핸드백, 신발, 옷, 가구 등과 같은 잡화 제품뿐만 아니라 셀프 인테리어, 취미 강좌, 메이커 분야 커뮤니티 또는 재료 쇼핑몰 형태로 운영되며 급격하게 성장하고 있다.Recently, the DIY kit product market is operating in the form of a self-interior, hobby lecture, maker field community or material shopping mall as well as miscellaneous goods such as handbags, shoes, clothes, and furniture, and is growing rapidly.

이와 같은 DIY 키트의 경우 제작 과정에서 소비자들이 즐거움을 느낄 수 있고, 나아가 제품 완성에 따라 뿌듯함 역시 느낄 수 있는 것이 가장 큰 장점이라 할 수 있으며, 완제품 상태의 제품 구매 대비 저렴한 가격에 제품 구입이 가능하다는 것도 장점 중에 하나라 할 수 있다.In the case of DIY kits like this, the biggest advantage is that consumers can feel joy in the production process and furthermore, they can feel proud according to the completion of the product. It can also be considered as one of its advantages.

이에 따라 간편하게 재료를 구입하여 직접 만들어 사용하는 DIY 제품 구매는 날이 갈수록 증가하고 있으나, 만드는 과정에서 어려움을 겪거나 완성하는데 실패하여 제대로 사용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았다.As a result, the purchase of DIY products that can be easily purchased and made by hand is increasing day by day, but there are many cases where they are not used properly due to difficulties in the process of making or failure to complete.

기존의 DIY 키트 서비스 제공에 관련된 특허가 다양한 분야에 따라 공개되어 있는데, 한국 공개특허 제10-2011-0031030호에는 천연가죽 핸드백 디아이와이 키트가 공개된 바 있다.Existing patents related to the provision of DIY kit services have been disclosed in various fields, and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1-0031030 discloses a natural leather handbag DIY kit.

나아가 한국 등록특허 제10-1704696호에는 슈즈 키트 제공 방법이 개시되어 있으며, 한국 등록특허 제10-1038985호에는 DIY 타입 인테리어 벽지 및 그 시공방법이 개시되어 있다.Furthermore,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704696 discloses a shoe kit providing method, and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038985 discloses a DIY type interior wallpaper and its construction method.

그러나 상술한 종래기술에서는 의류, 잡화, 그리고 인테리어 관련 DIY 용품에 대한 것만이 제공되고 있으나, 선물용으로 많이 주고받으나 생화의 경우 시들어 오래 보관할 수 없는 꽃에 대한 DIY 키트에 관한 선행기술은 존재하지 아니하였다.However, in the above-mentioned prior art, only clothes, miscellaneous goods, and interior-related DIY items are provided, but there is no prior art related to DIY kits for flowers that are exchanged a lot for gifts but cannot be stored for a long time in the case of fresh flowers. did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생화와 매우 유사한 형태를 갖는 것으로서, 가위질이 필요 없어 초등학생까지도 쉽게 만들 수 있을 정도로 쉽고 간편하며 시들지 않고 오래 유지될 수 있는, 종이꽃을 제작할 수 있도록 한 DIY 키트를 개발할 필요성이 대두되는 실정이다.Therefore, in order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 it has a form very similar to a real flower, and it is easy and simple enough that even elementary school students can easily make it without scissors, and it is possible to make paper flowers that do not wither and can be maintained for a long time. The need to develop a kit is emerging.

본 발명은 초등학생들도 쉽게 제작할 수 있도록 하되 실제 꽃과 매우 유사한 심미감을 제공하는 종이꽃 제작용 제작 키트를 제공하는 것을 주요 목적으로 한다.The mai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roduction kit for making paper flowers that can be easily made by elementary school students, but provides an aesthetic sense very similar to real flowers.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보다 풍성한 꽃잎을 제작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be able to produce more abundant petals.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꽃대와 꽃 사이의 견고한 결합을 가능케 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enable a strong bond between the peduncle and the flower.

본 발명의 추가 목적은, 접착층 성분을 개선하는 것이다.A fur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improve the adhesive layer component.

본 발명의 추가 목적은, 접착층의 점착력을 강화하는 것이다.A fur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enhance the adhesive strength of the adhesive layer.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종이꽃 제작용 제작 키트는, 종이 재질로서, 상호 이격되어 형성된 기본 선 및, 연속된 상기 한 쌍의 기본 선 사이에 위치한 복수의 세부 선을 포함하는 꽃잎; 접착층을 매개로 상기 꽃잎의 일 측에 부착 고정되는 꽃대; 접착층을 매개로 상기 꽃대와 상기 꽃 본체의 고정 부위 둘레를 따라 접착되는 꽃받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oduction kit for making paper flower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paper material, and petals including basic lines forme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a plurality of detailed lines located between the pair of continuous basic lines. ; A flower stem attached and fixed to one side of the petal through an adhesive layer; and a calyx adhered along the periphery of the fixed portion of the flower stem and the flower body via an adhesive layer.

나아가, 상기 꽃잎은, 직사각 형상을 가진 제 1 꽃잎과, 꽃잎 형상을 갖는 제 2 꽃잎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Furthermore, the petal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 first petal having a rectangular shape and a second petal having a petal shape.

더하여, 상기 접착층은, 비스페놀 F 에폭시 수지(Bisphenol F Epoxy resin) 40 내지 60 중량부와, 폴리카프로락톤(Polycaprolactone) 30 내지 60 중량부와 메틸렌 클로라이드(Methylene Chloride) 20 내지 40 중량부를 혼합하여 제 1 용액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제 1 용액 80 내지 90 중량부와, 폴리(L-락타이드)-폴리(비닐리덴플로라이드)-폴리(L-락타이드)(PLLA-PVDF-PLLA:Poly(L-lactide)-poly(vinylidene fluoride)-poly(L-lactide)) 5 내지 15 중량부 및, 포타슘코코일하이드롤라이즈드콜라겐(Potassium Cocoyl Hydrolysed Collagen) 3 내지 10 중량부를 혼합하여 제 2 용액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제 2 용액 90 내지 95 중량부와, 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2-Ethylhexyl acrylate) 2 내지 10 중량부 및, 제니핀(Genipin)을 포함하는 점착력 강화제 1 내지 10 중량부를 혼합하여 접착층 조성물을 완성하는 단계;를 거쳐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adhesive layer is prepared by mixing 40 to 60 parts by weight of Bisphenol F Epoxy resin, 30 to 60 parts by weight of Polycaprolactone and 20 to 40 parts by weight of methylene chloride. preparing a solution; 80 to 90 parts by weight of the first solution and poly(L-lactide)-poly(vinylidene fluoride)-poly(L-lactide) (PLLA-PVDF-PLLA:Poly(L-lactide)-poly( Preparing a second solution by mixing 5 to 15 parts by weight of vinylidene fluoride)-poly(L-lactide) and 3 to 10 parts by weight of Potassium Cocoyl Hydrolysed Collagen; Mixing 90 to 95 parts by weight of the second solution, 2 to 10 parts by weight of 2-Ethylhexyl acrylate, and 1 to 10 parts by weight of an adhesion enhancer including Genipin to complete the adhesive layer composition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manufactured through; step.

또한, 상기 점착력 강화제는, 제니핀(Genipin) 25 내지 45 중량부, 유칼립투스 오일 10 내지 30 중량부, 에틸 알코올 30 내지 60 중량부를 혼합하여 1차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1차 혼합물 85 내지 95 중량부와, n-부틸아크릴레이트(n-butyl acrylate) 3 내지 10 중량부 및, 포타슘코코일글루타메이트(potassium cocoyl glutamate) 1 내지 5 중량부를 혼합하여 2차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2차 혼합물 90 내지 98 중량부와, 뷰틸캐비톨아세테이트(butyl carbitol acetate) 1 내지 5 중량부 및, 피롤니트린(Pyrrolnitrin) 1 내지 10 중량부를 혼합하여 점착력 강화제를 완성하는 단계;를 통해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adhesion enhancer is prepared by mixing 25 to 45 parts by weight of Genipin, 10 to 30 parts by weight of eucalyptus oil, and 30 to 60 parts by weight of ethyl alcohol to prepare a first mixture; A secondary mixture is prepared by mixing 85 to 95 parts by weight of the primary mixture, 3 to 10 parts by weight of n-butyl acrylate, and 1 to 5 parts by weight of potassium cocoyl glutamate. doing; Mixing 90 to 98 parts by weight of the secondary mixture, 1 to 5 parts by weight of butyl carbitol acetate, and 1 to 10 parts by weight of pyrrolnitrin to complete an adhesive strength enhancer; prepared through characterized by being

본 발명에 따른 종이꽃 제작용 제작 키트는, The production kit for producing paper flower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 가위질 없이 접착만으로 제작할 수 있어 초등학생들도 쉽게 제작할 수 있으며, 실제 꽃과 매우 유사한 형상의 종이꽃을 제작 가능하며,1) Since it can be made only by gluing without scissors, even elementary school students can make it easily, and it is possible to make paper flowers that are very similar to real flowers.

2) 서브 꽃잎을 더 부착하여 보다 풍성한 화형을 구현할 수 있고,2) By attaching more sub petals, a richer flower shape can be realized,

3) 꽃대의 고정부를 롤링 처리하여 꽃대와 꽃 사이의 견고한 결합을 가능케 하며,3) Rolling the fixing part of the flower stem enables a strong bond between the flower stem and the flower.

4) 에폭시 수지를 포함하는 접착층 조성물에 의하여 꽃대와 꽃, 그리고 기타 부재 사이의 견고한 결합을 가능케 함과 동시에,4) At the same time as enabling a strong bond between flower stems, flowers, and other members by an adhesive layer composition containing an epoxy resin,

5) 제니핀을 포함하는 점착력 강화제를 부가하여 접착층 조성물의 점착력을 강화할 수 있도록 하였다.5) An adhesive strength enhancer containing Genipin was added to enhance the adhesive strength of the adhesive layer composition.

도 1은 본 발명의 종이꽃 제작용 제작 키트의 개별 구성에 대한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사진.
도 2는 본 발명의 꽃잎을 확대 도시한 개념도.
도 3은 본 발명의 꽃잎을 확대 도시한 실시예를 나타낸 개념도.
도 4는 본 발명의 꽃잎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개념도
도 5는 본 발명의 종이꽃을 제조하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
도 6은 본 발명의 완성된 종이꽃을 나타낸 사진.
도 7은 꽃대를 확대 도시한 개념도.
도 8은 꽃잎의 세부 실시예를 나타낸 개념도.
도 9는 도 8의 꽃잎을 통해 완성된 꽃의 예시를 나타낸 사진.
도 10은 꽃잎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진.
1 is a photograph showing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the individual components of the production kit for producing paper flowers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an enlarged petal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an enlarged embodiment of the petals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petal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flow chart showing a process for manufacturing a paper flower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photograph showing the completed paper flower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an enlarged peduncle.
8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a detailed embodiment of a petal.
Figure 9 is a photograph showing an example of a flower completed through the petals of Figure 8;
Figure 10 is a photograph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petals.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첨부된 도면은 축척에 의하여 도시되지 않았으며, 각 도면의 동일한 참조 번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accompanying drawings are not drawn to scale, and like reference numbers in each drawing indicate like elements.

도 1은 본 발명의 종이꽃 제작용 제작 키트의 개별 구성에 대한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사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꽃잎을 확대 도시한 개념도이다.Figure 1 is a photograph showing the schematic configuration of the individual components of the production kit for producing paper flowers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an enlarged petal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종이꽃 제작용 제작 키트는 꽃잎(100), 꽃대(200), 그리고 꽃받침(300)을 포함하는 것을 기본 구성으로 한다.Referring to FIGS. 1 and 2, the production kit for producing a paper flower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basic configuration including a petal 100, a flower stem 200, and a calyx 300.

꽃잎(100)은 기본적으로 종이로 이루어진 것으로서, 복수의 기본 선(110) 및 세부 선(120)이 형성되어 있어 마치 주름이 진 주름지와 같은 형상을 취한다. 이때 기본 선(110)은 일정 간격으로 상호 이격되어 형성되어 있으며, 이때 연속된 한 쌍의 기본 선(110)의 사이 영역을 따라 복수의 세부 선(120)이 형성되어 있어 확대해서 볼 경우 연속된 기본 선(110) 사이 영역에 마치 아코디언과 같이 복수의 세부 선(120)이 형성되어 있는 형태가 된다.The petal 100 is basically made of paper, and has a plurality of basic lines 110 and detailed lines 120 formed, so that it takes a shape like a wrinkled paper. At this time, the basic lines 110 are forme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regular intervals, and at this time, a plurality of detailed lines 120 are formed along the area between the pair of continuous basic lines 110, so that when viewed enlarged, continuous A plurality of detailed lines 120 are formed in the area between the basic lines 110 like an accordion.

따라서 도 1의 사진 상에서는 주름과 같이 나타나 있으나, 도 2에서 알 수 있듯이 기본 선(110)을 사이에 두고 세부 선(120)이 형성되어 마치 세부선은 미세 주름, 기본 선(110)은 접는 선과 같은 형상이 된다 할 수 있다.Therefore, although it appears like a wrinkle on the photograph of FIG. 1, as can be seen in FIG. 2, the detail line 120 is formed with the basic line 110 interposed therebetween, so that the detail line is a fine wrinkle, and the basic line 110 is a fold line. can be of the same shape.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세부 선(120)을 통해 주름을 잡은 상태에서, 기본 선(110)에 따라 접어 꽃잎(100)을 돌돌 접는 형태로 종이꽃에 있어 꽃의 기본 형태를 잡게 된다. 이는 후술할 도 5의 설명에서 보다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More specifically, in a state where the wrinkles are made through the detailed lines 120, the basic shape of the flower is taken in a paper flower in the form of folding the petals 100 along the basic line 110. This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in the description of FIG. 5 to be described later.

도 3을 본 발명의 꽃잎을 확대 도시한 실시예를 나타낸 개념도이다.3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an enlarged embodiment of the petals of the present invention.

나아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꽃잎(100)의 경우 기본 선(110)의 일부가 절개되어 있는 형태도 가능하다. 즉 기본 선(110)이 형성된 일 측에서 길이 방향으로 절개를 수행하여, 절개된 기본 선(110)에 의하여 꽃잎(100)이 보다 원활하게 말리는 것도 가능하며, 나아가 기본 선(110)의 절개 부위를 바깥으로 말아 보다 풍성한 화형의 꽃을 제작하는 것 역시 가능하다.Furthermore, referring to FIG. 3 , in the case of the petal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a form in which a part of the basic line 110 is cut is also possible. That is, by performing an incis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 one side where the basic line 110 is formed, it is possible to more smoothly roll the petals 100 by the incised basic line 110, and furthermore, the cut portion of the basic line 110 It is also possible to make flowers with a richer flower shape by rolling them outward.

꽃대(200)는 접착층을 매개로 꽃잎(100)의 일 측에 부착 고정되는 것으로서, 일종의 줄기와 같은 형상을 갖는다. 이때 바람직하게 꽃대(200)의 재질은 철사일 수 있으며, 혹은 철사의 표면에 마스킹 테이프 등을 둘러 보다 꽃대(200), 즉 줄기와 유사한 초록색을 나타내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The peduncle 200 is attached and fixed to one side of the petal 100 via an adhesive layer, and has a shape such as a kind of stem. At this time, the material of the peduncle 200 may preferably be a wire, or it is also possible to wrap a masking tape or the like around the surface of the wire so that the peduncle 200, that is, the green color similar to the stem is displayed.

이때 꽃대(200)는 바람직하게 철사로 이루어질 수 있다고 한 만큼, 꽃대(200)와 꽃잎(100)의 고정 시에는 바람직하게 꽃잎(100)의 일 측에 꽃대(200)를 위치시키고, 꽃잎(100)과 꽃대(200)가 맞닿은 영역에 접착성 성분을 포함한 접착제를 도포하여 형성된 접착층을 매개로 꽃잎(100)의 일측에 꽃대(200)를 부착 고정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이는 종래의 접착제 도포를 통한 부착 고정과 그 방식 및 형태가 유사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토록 한다.At this time, as much as said that the peduncle 200 may preferably be made of wire, when fixing the peduncle 200 and the petal 100, the peduncle 200 is preferably positioned on one side of the petal 100, and the petal 100 ) It can be said that the peduncle 200 is attached and fixed to one side of the petal 100 via an adhesive layer formed by applying an adhesive containing an adhesive component to the area where the peduncle 200 contacts. This is similar in form and method to the conventional attachment and fixation through adhesive application, so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혹은 바람직하게는 직사각 형상을 가질 수 있는 꽃잎(100)의 길이 방향, 즉 도면 상의 가로 방향을 따라 꽃잎(100)의 일 측에 철사로 이루어진 꽃대(200)를 위치시키고, 꽃대(200)의 일 측을 꽃잎(100)의 폭 방향, 즉 도면 상에서 꽃잎(100)의 세로 방향을 따라 돌려 묶어 꽃대(200)와 꽃잎(100)을 고정시킨 후, 꽃대(200)와 꽃잎(100)이 접촉되어 있는 면을 따라 접착층을 도포 형성하여 꽃잎(100)과 꽃대(200)를 이중 고정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Alternatively, a flower stalk 200 made of wire is placed on one side of the petal 100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petal 100, which may preferably have a rectangular shape, that is, along the horizontal direction on the drawing, and one of the flower stalk 200 After fixing the peduncle 200 and the petal 100 by turning and tying the sides along the width direction of the petal 100, that is,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petal 100 on the drawing, the peduncle 200 and the petal 100 are in contact Of course, it is also possible to double fix the petals 100 and the peduncle 200 by applying and forming an adhesive layer along the surface.

이 경우 바람직하게 꽃잎(100)의 길이 방향에서 꽃잎(100)이 철사로 이루어진 꽃대(200)에 의해 반 접히는 형태라고도 할 수 있는데, 이에 따라 같은 양의 꽃잎(100)으로도 보다 크고 풍성한 화형을 구현해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In this case, it can be said that the petal 100 is preferably half-folded by the peduncle 200 made of wir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petal 100. Accordingly, a larger and richer flower shape can be formed with the same amount of petals 100 It has the advantage of being feasible.

나아가 여기서 본 발명의 꽃잎(100)을 통해 제작할 수 있는 꽃은 가장 바람직하게 카네이션일 수 있으나, 카네이션에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풍성한 화형을 갖는 장미, 과꽃, 패랭이꽃 등 색상을 통해 서로 다른 꽃으로 보일 수 있는 것이라면 그 제한을 두지 않는다.Furthermore, the flower that can be produced through the petal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here may most preferably be a carnation, but is not limited to carnations, but is not limited to roses, asters, dianthus, etc. If so, there is no limit to that.

마지막으로 꽃받침(300)의 경우 꽃대(200)와 꽃잎(100)의 고정 부위 둘레를 따라 접착되는 것으로서, 이 역시 접착성 성분이 있는 접착층을 매개로 꽃대(200)와 꽃잎(100)의 고정 부위 둘레를 따라 마치 띠와 같은 형상을 갖는 꽃받침(300)을 접착 고정할 수 있다. 이때 접착층은 별도로 도포될 수도 있고, 혹은 꽃받침(300)의 일 면에 접착층이 형성되어 있어 마치 종래의 스티커와 같은 꽃받침(300)이 준비되는 것도 가능하다.Finally, in the case of the calyx 300, it is adhered along the periphery of the fixed portion of the flower stalk 200 and the petal 100, which is also attached to the fixed portion of the flower stalk 200 and the petal 100 via an adhesive layer with an adhesive component. It is possible to adhesively fix the calyx 300 having a shape like a belt along the circumference. At this time, the adhesive layer may be applied separately, or an adhesive layer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calyx 300, so it is possible to prepare the calyx 300 like a conventional sticker.

따라서 꽃대(200)와 꽃잎(100)의 고정 부위 둘레를 따라 띠와 유사한 꽃받침(300)이 둘러 접착됨으로써 꽃잎(100)과 꽃대(200)의 결합 부위를 외부에 드러내지 않도록 함과 동시에 보다 생화와 유사하도록 꽃받침(300)이 포함된 종이꽃을 제작할 수 있다.Therefore, the calyx 300, which is similar to a band, is adhered along the periphery of the fixed portion of the flower stem 200 and the petal 100, thereby preventing the combined portion of the petal 100 and the flower stem 200 from being exposed to the outside, and at the same time making it look more like a real flower. Similarly, a paper flower including a calyx 300 may be manufactured.

도 4는 본 발명의 꽃잎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개념도이다.4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petal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종이꽃 제작용 제작 키트는 서브 꽃잎(4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서브 꽃잎(400)은 일반적인 꽃잎의 형상을 갖는 것이라 할 수 있으며, 상술한 기본 구성의 꽃잎(100)이 꽃대(200)와 부착 고정된 후, 바람직하게는 꽃받침(300)을 꽃대(200)와 꽃잎(100)의 고정 부위 둘레를 따라 꽃받침(300)을 부착하기 전에 꽃대(200)와 꽃잎(100)의 고정 부위 둘레를 따라 서브 꽃잎(400)을 부착함으로써 보다 풍성한 화형의 종이꽃을 제작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4 , the manufacturing kit for manufacturing a paper flow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sub-petal 400. At this time, the sub-petal 400 can be said to have a general petal shape, and after the petal 100 of the basic configuration described above is attached and fixed to the peduncle 200, preferably, the calyx 300 is attached to the peduncle 200. Before attaching the calyx 300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fixed portion of the flower stalk 200 and the petal 100, the sub-petal 400 is attached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fixed portion of the petal 100 to produce a more abundant paper flower. can

더불어 본 발명의 종이꽃 제작용 제작 키트는 꽃대(200)의 연장 방향을 따라 부착된 잎(500)을 포함할 수 있는데, 이는 이파리라고도 할 수 있으며 꽃잎(100)과 동일하게 종이로 이루어져 있으나 이파리의 색, 즉 초록색을 띠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roduction kit for making paper flower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leaves 500 attached along the extension direction of the flower stalk 200, which may also be referred to as leaves, and is made of paper in the same way as the petals 100, but leaves It is characterized by its color, that is, green.

따라서 줄기의 역할을 하는 꽃대(200)에 잎(500)을 부착하여 보다 실감나는 종이꽃을 제작할 수 있는 것이며, 이때 꽃대(200)에 잎(500)을 부착할 때에는 접착제를 이용하여 부착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할 수 있다. 이때 접착제는 상술한 접착층과 동일 성분일 수도 있으며, 혹은 종래의 접착제를 이용할 수도 있다.Therefore, a more realistic paper flower can be produced by attaching the leaf 500 to the peduncle 200 serving as a stem. may be most desirable. At this time, the adhesive may be the same component as the adhesive layer described above, or a conventional adhesive may be used.

도 5는 본 발명의 종이꽃을 제작하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완성된 종이꽃을 나타낸 사진이다.Figure 5 is a flow chart showing the process of producing a paper flower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photograph showing the completed paper flower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종이꽃 제작용 제작 키트를 통한 종이꽃 제작 방법을 설명하면, 먼저 기본 선(110)을 따라 꽃잎(100)을 접어 꽃잎(100)을 말고, 말은 꽃잎(100)에 꽃대(200)를 접착층을 매개로 부착 고정한다.Referring to FIGS. 5 and 6, a paper flower production method using the paper flower production k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scribed. First, fold the petals 100 along the basic line 110 and roll the petals 100, The peduncle 200 is attached and fixed to the petal 100 via an adhesive layer.

그 다음 꽃잎(100)과 꽃대(200)의 고정 부위 둘레를 따라 서브 꽃잎(400)을 부착하여 보다 풍성한 화형을 갖는 종이 꽃을 제작한 뒤, 꽃대(200)와 꽃잎(100), 그리고 서브 꽃잎(400)의 둘레를 따라 띠 형상의 꽃받침(300)을 둘러 붙이고 마지막으로 꽃대(200)의 연장 방향을 따라 잎(500)을 부착하여 종이꽃을 완성할 수 있다.Then, sub petals 400 are attached along the periphery of the fixed portion of the petal 100 and the peduncle 200 to produce a paper flower having a richer flower shape, and then the peduncle 200, the petal 100, and the sub petal A paper flower may be completed by attaching the calyx 300 of a strip shape along the circumference of 400 and finally attaching the leaf 500 along the extension direction of the peduncle 200.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종이꽃 제작용 제작 키트에 따르면, 초등학생이 제작할 수 있을 정도로 쉽게 종이꽃 제작이 가능할 수 있으며, 나아가 별도의 가위질 없이 접착층 형성만으로도 종이꽃을 제작할 수 있음과 동시에 생화와 매우 유사한 심미감을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oduction kit for making paper flowers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make paper flowers easily enough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to make them, and furthermore, paper flowers can be made only by forming an adhesive layer without separate scissors, and at the same time, it is very similar to real flowers. sensation can be provided.

도 7은 꽃대를 확대 도시한 개념도이다.7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an enlarged flower stalk.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꽃대(200)는 철사로 이루어진 것으로서 길이 방향으로 일정 길이를 갖고 연장된 연장부(210)와, 연장부(210)의 상단에서 롤링 처리된 롤링부(2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7, the peduncle 200 is made of wire and has an extension 210 extending in a longitudinal direction and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and a rolling portion 220 rolled at the top of the extension 210. can be configured to include

따라서 이 경우 롤링부(220) 자체가 꽃잎(100)의 길이 방향 중앙 영역에 돌려 감는 여분이 될 수 있으며, 혹은 롤링부(220)의 단부를 통해 꽃잎(100)의 일 측에 구멍을 뚫어 롤링부(220)를 꽃잎(100)에 끼움 고정한 뒤, 다시 한번 접착층을 형성하여 고정하는 것 역시 가능함은 물론이다.Therefore, in this case, the rolling part 220 itself may be redundant to be rolled around the central reg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petal 100, or it may be rolled by punching a hole on one side of the petal 100 through the end of the rolling part 220. After fitting and fixing the part 220 to the petal 100, it is also possible to fix by forming an adhesive layer once again, of course.

따라서 이와 같은 구성을 통해 롤링부(220)를 꽃잎(100)에 끼움 고정하고 접착층을 형성함으로써, 고정력을 높여 꽃잎(100)이 꽃대(200)에서 이탈하는 것을 다시 한 번 방지할 수 있다.Therefore, by fixing the rolling part 220 to the petal 100 through this configuration and forming an adhesive layer,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petal 100 from leaving the flower stem 200 once again by increasing the fixing force.

도 8은 꽃잎의 세부 실시예를 나타낸 개념도이며, 도 9는 도 8의 꽃잎을 통해 완성된 꽃의 예시를 나타낸 사진이다.8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a detailed embodiment of petals, and FIG. 9 is a photograph showing an example of a flower completed through the petals of FIG. 8 .

도 8 및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바람직하게 상술한 꽃잎(100)은 꽃잎 형상을 갖도록 분절된 복수 개로 서브 꽃잎(400)으로 구성될 수 있다. 즉 꽃잎(100)이 한 장의 종이로 형성되는 것이 아닌, 서브 꽃잎(400) 복수개가 부착되어 하나의 꽃잎(100)을 이루는 것이다.Referring to FIGS. 8 and 9 , preferably, the above-described petal 100 may be composed of a plurality of sub petals 400 segmented to have a petal shape. That is, the petal 100 is not formed of a single sheet of paper, but a plurality of sub petals 400 are attached to form one petal 100 .

이때 바람직하게 꽃잎(100)의 경우, 복수 개의 서브 꽃잎(400)이 호 형상을 갖도록 각각의 서브 꽃잎(400)이 일부 겹쳐지도록 부착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즉 도 8에서도 나타난 바와 같이 각각의 서브 꽃잎(400)이 겹쳐진 부분이 부착되어, 호 형상으로 꽃잎(100)이 형성될 수 있는 것이다.In this case, preferably, in the case of the petal 100, the plurality of sub petals 400 may have an arc shape so that each sub petal 400 partially overlaps. That is, as shown in FIG. 8 , the overlapped portion of each sub petal 400 is attached so that the petal 100 can be formed in an arc shape.

이와 같은 형상을 갖는 꽃잎(100)을 통해 제작되는 종이 꽃은 도 9와 같은 형상을 갖는데, 이를 통해 보다 다양한 화형의 꽃을 제작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동백꽃이나 무궁화와 같은 화형을 지닌 종이 꽃 역시 제작이 가능하다.The paper flower produced through the petals 100 having such a shape has a shape as shown in FIG. 9, through which more various types of flowers can be produced. production is possible

도 10은 꽃잎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진이다.10 is a photograph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a petal.

나아가 도 10에서의 예시와 같이 상술한 기본 실시예의 꽃잎(100)에 서브 꽃잎(400)이 부착된 형상을 갖는 꽃잎(100)을 제작하는 것도 가능한데, 이 경우 마치 해바라기와 같은 화형을 지닌 종이 꽃을 제작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상술한 실시예들을 통하여 보다 다양한 화형을 지닌 종이 꽃의 제작을 가능케 할 수 있다.Furthermore, as in the example in FIG. 10, it is also possible to manufacture a petal 100 having a shape in which the sub petal 400 is attached to the petal 100 of the basic embodiment described above. In this case, a paper flower having a flower shape like a sunflower. It is also possible to make That is, through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it is possible to manufacture paper flowers having more various flower shapes.

나아가, 기본적으로 꽃잎(100)과 꽃대(200), 꽃받침(300), 나아가 잎(500)은 모두 접착층을 매개로 접착될 수 있는데, 이러한 접착층은 조성물에 에폭시 수지를 포함하여 에폭시 수지의 높은 접착력을 매개로 본 발명의 종이꽃에 포함된 구성 요소를 서로 강하게 접착 고정할 수 있다.Furthermore, basically, the petals 100, the flower stem 200, the calyx 300, and the leaf 500 can all be bonded via an adhesive layer, which includes an epoxy resin in the composition, resulting in high adhesion of the epoxy resin. Through the medium, the components included in the paper flower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strongly adhered and fixed to each other.

이때 에폭시 수지는 둘 이상의 에폭사이드 작용기를 말단으로 가지는 고분자이며, 접착성이 뛰어나고 내열성, 전기절연성, 금속 접착성 등 경화 후 물성이 우수하여 광택 코팅, 접착, 도료, 반도체 패키징에 사용되기도 하는 물질이다.At this time, the epoxy resin is a polymer having two or more epoxide functional groups at the end, and has excellent adhesiveness and excellent physical properties after curing such as heat resistance, electrical insulation, and metal adhesion. It is also used for gloss coating, adhesion, paint, and semiconductor packaging. .

여기서 바람직하게 에폭시 수지로서 비스페놀 A 에폭시 수지, 비스페놀 F 에폭시 수지, 노볼락 에폭시 수지, 지방족 에폭시 수지 등을 모두 이용할 수 있으나 가장 바람직하게 본 발명에서 선택되는 에폭시 수지는 비스페놀 F 에폭시 수지(Bisphenol F Epoxy Resin)일 수 있다.Here, as the epoxy resin, bisphenol A epoxy resin, bisphenol F epoxy resin, novolak epoxy resin, aliphatic epoxy resin, etc. may all be used, but most preferably, the epoxy resin selected in the present invention is bisphenol F epoxy resin (Bisphenol F Epoxy Resin). ) can be.

비스페놀 F 에폭시 수지는 비스페놀 A 에폭시 수지에 대비하여 동일한 질량에 에폭시 작용기의 함량이 높으며, 내화학성이 더 뛰어난 특징이 있다. 나아가 비스페놀 A에 비해 상대적으로 인체에 안전한 특성이 있어, 아이들이 만들 수 있는 종이꽃에 대한 안정성을 높이기 위해 상대적으로 안전한 비스페놀 F 에폭시 수지를 이용하도록 한다.Compared to bisphenol A epoxy resin, bisphenol F epoxy resin has a higher content of epoxy functional groups in the same mass and has better chemical resistance. Furthermore, it is relatively safe for the human body compared to bisphenol A, so to increase the stability of paper flowers that children can make, relatively safe bisphenol F epoxy resin is used.

따라서 이와 같이 접착층에 비스페놀 F 에폭시 수지를 포함하도록 하여 높은 접착성과 동시에 내화학성을 겸비하도록 하고, 나아가 인체에 대한 안정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한다.Therefore, by including bisphenol F epoxy resin in the adhesive layer in this way, it is possible to combine high adhesiveness and chemical resistance at the same time, and furthermore, to increase stability to the human body.

더불어 이와 같은 접착층 조성물은 비스페놀 F 에폭시 수지 이외에도 추가적인 조성을 더 포함할 수 있는데, 이러한 접착층 조성물은 제 1 용액을 제조하는 단계(S11), 제 2 용액을 제조하는 단계(S12), 접착층 조성물을 완성하는 단계(S13)을 통해 제조될 수 있다.In addition, such an adhesive layer composition may further include an additional composition in addition to the bisphenol F epoxy resin. This adhesive layer composition includes preparing a first solution (S11), preparing a second solution (S12), and completing the adhesive layer composition. It may be manufactured through step S13.

(S11) 제 1 용액을 제조하는 단계(S11) preparing a first solution

먼저, 비스페놀 F 에폭시 수지(Bisphenol F Epoxy resin) 40 내지 60 중량부와, 폴리카프로락톤(Polycaprolactone) 30 내지 60 중량부와 메틸렌 클로라이드(Methylene Chloride) 20 내지 40 중량부를 혼합하여 제 1 용액을 제조한다.First, a first solution is prepared by mixing 40 to 60 parts by weight of bisphenol F epoxy resin, 30 to 60 parts by weight of polycaprolactone, and 20 to 40 parts by weight of methylene chloride. .

상술한 설명에서와 같이 비스페놀 F 에폭시 수지는 내열성, 내화학성, 내부식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고투명성을 갖는 수지이며, 접착력이 뛰어나다.As described above, the bisphenol F epoxy resin is a resin having high transparency and excellent adhesive strength as well as enhancing heat resistance, chemical resistance, and corrosion resistance.

폴리카프로락톤은 녹는점이 60℃ 정도로 낮아 가공성이 뛰어난 접착제임과 동시에 인체에 대한 안정성 및 생체적합성이 높은 특성이 있다. 비스페놀 F 에폭시 수지와 혼합성이 높으며, 접착력을 부가하는 역할을 겸비한다.Polycaprolactone has a low melting point of about 60 ° C., so it is an adhesive with excellent processability and at the same time has high stability and biocompatibility to the human body. It is highly miscible with bisphenol F epoxy resin and has a role of adding adhesive strength.

메틸렌 클로라이드는 비스페놀 F 에폭시 수지와 폴리카프로락톤을 용해 및 희석 처리하기 위해 첨가되는 용매로서, 다양한 수지계열 물질에 대한 용해도가 높은 특징이 있다.Methylene chloride is a solvent added to dissolve and dilute bisphenol F epoxy resin and polycaprolactone, and is characterized by high solubility in various resin-based materials.

(S12) 제 2 용액을 제조하는 단계(S12) preparing a second solution

다음으로, 상술한 제 1 용액 80 내지 90 중량부와, 폴리(L-락타이드)-폴리(비닐리덴플로라이드)-폴리(L-락타이드)(PLLA-PVDF-PLLA:Poly(L-lactide)-poly(vinylidene fluoride)-poly(L-lactide)) 5 내지 15 중량부 및, 포타슘코코일하이드롤라이즈드콜라겐(Potassium Cocoyl Hydrolysed Collagen) 3 내지 10 중량부를 혼합하여 제 2 용액을 제조한다.Next, 80 to 90 parts by weight of the above-described first solution and poly(L-lactide)-poly(vinylidene fluoride)-poly(L-lactide) (PLLA-PVDF-PLLA:Poly(L-lactide) A second solution is prepared by mixing 5 to 15 parts by weight of )-poly(vinylidene fluoride)-poly(L-lactide) and 3 to 10 parts by weight of potassium cocoyl hydrolysed collagen.

폴리(L-락타이드)-폴리(비닐리덴플로라이드)-폴리(L-락타이드), 줄여서 PLLA-PVDF-PLLA는 폴리(L-락타이드)와 폴리(비닐리덴플로라이드)의 삼중블록공중합체로서, 열적, 화학적, 기계적 안정성이 뛰어난 열가소성 수지이다. 특히 기계적 안정성이 뛰어나, 외부에서 가해지는 외력에 의해서도 쉽게 파괴되지 않으며 뛰어난 탄성을 나타내기도 한다. 따라서 접착층 조성물에 탄성을 부가하도록 하여 외력이 가해지더라도 접착층이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Poly(L-lactide)-poly(vinylidene fluoride)-poly(L-lactide), PLLA-PVDF-PLLA for short, is a triblock copolymer of poly(L-lactide) and poly(vinylidene fluoride). As a composite, it is a thermoplastic resin with excellent thermal, chemical and mechanical stability. In particular, it has excellent mechanical stability, is not easily destroyed by an external force, and exhibits excellent elasticity. Therefore, it serves to prevent the adhesive layer from falling even when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by adding elasticity to the adhesive layer composition.

포타슘코코일하이드롤라이즈드콜라겐은 콜라겐가수분해물과 야자유지방산과의 축합물의 칼륨염의 수용액으로써, 계면활성제의 역할을 수행하여 접착층 조성물에 포함된 다양한 성분들의 혼합성을 높이고 점착성을 증진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더불어 접착층 자체의 유연성을 개선하는데 도움이 된다.Potassium cocoyl hydrolyzed collagen is an aqueous solution of the potassium salt of the condensate of collagen hydrolyzate and coconut oil fatty acid, and serves as a surfactant to increase the mixability of various components included in the adhesive layer composition and to enhance the adhesiveness. do. In addition, it helps to improve the flexibility of the adhesive layer itself.

(S13) 접착층 조성물을 완성하는 단계(S13) Step of completing the adhesive layer composition

마지막으로, 제 2 용액 90 내지 95 중량부와, 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2-Ethylhexyl acrylate) 2 내지 10 중량부 및, 제니핀(Genipin)을 포함하는 점착력 강화제 1 내지 10 중량부를 혼합하여 접착층 조성물을 완성한다.Finally, 90 to 95 parts by weight of the second solution, 2 to 10 parts by weight of 2-Ethylhexyl acrylate, and 1 to 10 parts by weight of an adhesion enhancer including Genipin are mixed to form an adhesive layer composition complete

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는 그 자체로 점착성을 가져 접착층 조성물의 접착력을 보조함과 동시에, 수지 계열 성분들에 대한 분산매의 역할을 수행하여 혼합성을 높이는 기능을 수행한다.Ethylhexyl acrylate itself has adhesiveness to assist the adhesive strength of the adhesive layer composition, and at the same time serves as a dispersion medium for resin-based components to increase mixing properties.

점착력 강화제의 주요 성분인 제니핀은 이리도이드 배당체 계통의 천연 성분인 제니포사이드(geniposide)의 비당부분으로서 치자나무 과실(치자)로부터 추출되는 성분이다. 이러한 제니핀은 가교제의 역할을 수행하면서도 제조된 접착층의 유연성을 보장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하여, 외부에서 충격이 가해질 때 접착층이 떨어져버리는 것을 방지하고 점착력을 높이는 효과를 제공한다.Genipin, a major component of the adhesion enhancer, is a non-sugar part of geniposide, a natural component of the iridoid glycoside family, and is extracted from gardenia fruit (gardenia). Such Jennypin performs a function to ensure the flexibility of the prepared adhesive layer while serving as a crosslinking agent, thereby preventing the adhesive layer from falling apart when an external impact is applied and providing an effect of increasing adhesive strength.

따라서 이와 같은 접착층 조성물을 통해, 높은 수준의 접착력 및 내화학성, 내열성, 내산화성을 가짐은 물론이거니와 외력에 의해서도 접착층이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높은 수준의 유연성 및 탄성을 겸비한 접착층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Therefore, through such an adhesive layer composi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n adhesive layer that combines a high level of flexibility and elasticity that can prevent the adhesive layer from falling even by an external force as well as having a high level of adhesive strength, chemical resistance, heat resistance, and oxidation resistance. do.

나아가 점착력 강화제는 제니핀 이외에도 추가적인 조성을 더 포함할 수 있는데, 이러한 점착력 강화제는 1차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S21), 2차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S22), 점착력 강화제를 완성하는 단계(S23)를 통해 제조될 수 있다.Furthermore, the adhesion enhancer may further include an additional composition in addition to Genipin. The adhesion enhancer may include preparing a first mixture (S21), preparing a second mixture (S22), and completing the adhesion enhancer (S23). can be manufactured through

(S21) 1차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S21) preparing a primary mixture

가장 먼저, 제니핀(Genipin) 25 내지 45 중량부, 유칼립투스 오일 10 내지 30 중량부, 에틸 알코올 30 내지 60 중량부를 혼합하여 1차 혼합물을 제조한다.First, a first mixture is prepared by mixing 25 to 45 parts by weight of Genipin, 10 to 30 parts by weight of eucalyptus oil, and 30 to 60 parts by weight of ethyl alcohol.

여기서 상술한 제니핀은 가교제의 역할을 수행하면서도 제조된 접착층의 유연성을 보장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하여, 외부에서 충격이 가해질 때 접착층이 떨어져버리는 것을 방지하고 점착력을 높이는 효과를 제공한다 하였다.Here, the Jennypin described above serves as a crosslinking agent and also serves to ensure the flexibility of the prepared adhesive layer, thereby preventing the adhesive layer from falling apart when an external impact is applied and providing an effect of increasing adhesive strength.

유칼립투스 오일은 향과 휘발성이 있는 자연산 유칼립투스를 수증기 추출법으로 추출하여 정제한 순수 성분을 의미하며, 유칼립투스 오일은 에센셜 오일의 한 종류를 의미한다. 점착력 강화제에 첨가시 제조된 접착층 피막에 부드러운 질감을 주고 접착층 조성물의 항균성을 더하며, 특유의 향취를 더하는 기능이 있다. 에틸 알코올은 제니핀과 유칼립투스 오일에 대한 용매로 첨가된다.Eucalyptus oil refers to a pure component obtained by extracting and refining natural eucalyptus, which has fragrance and volatility, by steam extraction, and eucalyptus oil refers to a type of essential oil. When added to the adhesion enhancer, it has a function of giving a soft texture to the prepared adhesive layer film, adding antibacterial properties of the adhesive layer composition, and adding a unique fragrance. Ethyl alcohol is added as a solvent for genipin and eucalyptus oil.

(S22) 2차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S22) preparing a secondary mixture

이어서, 상기 1차 혼합물 85 내지 95 중량부와, n-부틸아크릴레이트(n-butyl acrylate) 3 내지 10 중량부 및, 포타슘코코일글루타메이트(potassium cocoyl glutamate) 1 내지 5 중량부를 혼합하여 2차 혼합물을 제조한다.Subsequently, 85 to 95 parts by weight of the primary mixture, 3 to 10 parts by weight of n-butyl acrylate, and 1 to 5 parts by weight of potassium cocoyl glutamate are mixed to form a secondary mixture. to manufacture

n-부틸아크릴레이트는 향긋한 과일 냄새가 나는 무색의 액체로 코팅제, 페인트, 가죽 및 섬유 마감제, 접착제, 코팅제, 유화제에서 아크릴수지 및 중합체와 공중합체의 생산 시 사용되는 단량체이다. 첨가에 따라 점착력 강화제가 포함된 접착층 조성물의 점착성 및 부착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을 수 있다. 더불어 높은 탄성계수를 나타내어 첨가 시 접착층의 탄성도를 높일 수 있다.n-Butylacrylate is a colorless liquid with a pleasant fruity odor and is a monomer used in the production of acrylic resins and polymers and copolymers in coatings, paints, leather and textile finishes, adhesives, coatings and emulsifiers. Depending on the addition, there may be an effect of improving the adhesiveness and adhesiveness of the adhesive layer composition containing the adhesion enhancer. In addition, since it exhibits a high modulus of elasticity,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elasticity of the adhesive layer when added.

포타슘코코일글루타메이트(potassium cocoyl glutamate)는 코코넛계열 천연 계면활성제로서 상술한 유칼립투스 오일과 같은 오일 계열 성분과 수지 계열 성분, 나아가 용매의 혼합성을 높이고 서로 다른 성질을 가진 유기물 및 무기물 사이의 분리가 일어나는 것을 방지한다.Potassium cocoyl glutamate is a coconut-based natural surfactant that increases the miscibility of oil-based components and resin-based components, such as the above-mentioned eucalyptus oil, and further solvents, and separates organic and inorganic substances with different properties. prevent that

(S23) 점착력 강화제를 완성하는 단계(S23) Step of completing the adhesive strength enhancer

마지막으로, 상기 2차 혼합물 90 내지 98 중량부와, 뷰틸캐비톨아세테이트(butyl carbitol acetate) 1 내지 5 중량부 및, 점착력 강화제를 완성한다.Finally, 90 to 98 parts by weight of the secondary mixture, 1 to 5 parts by weight of butyl carbitol acetate, and an adhesive strength enhancer are completed.

뷰틸캐비톨아세테이트는 점착력 강화제의 점도성을 높이는 역할을 하여 점착력을 더하기 위해 첨가되며, 점도성을 더함과 동시에 점착력 강화제, 나아가 접착층 조성물에 포함된 다양한 수지 계열 성분에 대한 용매 역할을 겸하여 다양한 성분들의 혼합성을 높이기 위해 첨가된다.Butylcabitol acetate serves to increase the viscosity of the adhesive strength enhancer and is added to increase the adhesive strength. At the same time as adding viscosity, butylcabitol acetate serves as an adhesive enhancer and also serves as a solvent for various resin-based components included in the adhesive layer composition, thereby improving the composition of various components. It is added to improve mixing.

피롤니트린은 곰팡이류의 진핵세포인 진균에 대한 항균성을 보유한 물질로서, 점착력 강화제에 첨가 시 접착력 강화제가 첨가된 접착층 조성물의 항균성을 더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Pyrrolnitrin is a substance having antibacterial properties against fungi, which are eukaryotic cells of fungi, and when added to an adhesion enhancer, it performs a function of adding antibacterial properties to the adhesive layer composition to which the adhesion enhancer is added.

따라서 이와 같은 점착력 강화제가 첨가됨에 따라 접착층의 점도성 및 점착성이 강화되어 접착력이 향상될 수 있으며, 항균성 및 항진균성을 나타내는 다양한 성분을 포함하여 손에 쥐고 이용하게 되는 종이꽃의 항균성을 높이며, 나아가 다양한 액상이 서로 분리되지 않고 안정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 특성을 제공한다.Therefore, as such an adhesive strength enhancer is added, the viscosity and adhesiveness of the adhesive layer can be enhanced to improve the adhesive strength, and the antibacterial properties of paper flowers to be held and used by hand are improved by including various components exhibiting antibacterial and antifungal properties. It provides characteristics that allow various liquid phases to maintain a stable state without being separated from each other.

지금까지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종이꽃 제작용 제작 키트의 구성 및 작용을 상기 설명 및 도면에 표현하였지만 이는 예를 들어 설명한 것에 불과하여 본 발명의 사상이 상기 설명 및 도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 및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이다.As described so far,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the production kit for making paper flower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expressed in the above description and drawings, but this is only an example, and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description and drawings, Of course,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are possible within a range that does not deviate from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 꽃잎 110 : 기본 선
120 : 세부 선 200 : 꽃대
210 : 연장부 220 : 롤링부
300 : 꽃받침 400 : 서브 꽃잎
500 : 잎
100: petal 110: basic line
120: detail line 200: flower stalk
210: extension part 220: rolling part
300: calyx 400: sub petal
500: leaves

Claims (8)

종이꽃 제작용 제작 키트로서,
종이 재질로서, 일정 간격으로 상호 이격되어 형성된 기본 선 및, 연속된 상기 한 쌍의 기본 선의 사이 영역에 형성되는 복수의 세부 선을 포함하는 꽃잎;
접착층을 매개로 상기 꽃잎의 일 측에 부착 고정되는 꽃대;
접착층을 매개로 상기 꽃대와 상기 꽃잎의 고정 부위 둘레를 따라 접착되는 꽃받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이꽃 제작용 제작 키트.
As a production kit for making paper flowers,
A paper material comprising: petals including basic line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regular intervals and a plurality of detailed lines formed in a region between the pair of continuous basic lines;
A flower stem attached and fixed to one side of the petal through an adhesive layer;
Characterized in that, the production kit for producing paper flowers comprising a; calyx adhered along the periphery of the fixed portion of the flower stem and the petals via an adhesive layer.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작 키트는,
꽃잎 형상을 갖는 서브 꽃잎;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이꽃 제작용 제작 키트.
According to claim 1,
The production kit,
A production kit for producing paper flowers, comprising: a sub-petal having a petal shap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꽃잎은,
상기 기본 선의 연장 방향을 따라 일 단이 절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이꽃 제작용 제작 키트.
According to claim 1,
the petals,
Characterized in that one end is cut along the extension direction of the base line, a production kit for making paper flowers.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꽃잎은,
꽃잎 형상을 갖도록 분절된 복수 개로 서브 꽃잎을 포함하되,
복수 개의 상기 서브 꽃잎이 호 형상을 갖도록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이꽃 제작용 제작 키트.
According to claim 1,
the petals,
Including a plurality of sub-petals segmented to have a petal shape,
A production kit for producing paper flowers, characterized in that a plurality of the sub-petals are attached to have an arc shap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층은,
에폭시 수지(Epoxy Resin)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이꽃 제작용 제작 키트.
According to claim 1,
The adhesive layer is
A production kit for making paper flowers,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epoxy resin.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에폭시 수지는,
비스페놀 F 에폭시 수지(Bisphenol F Epoxy Resin)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이꽃 제작용 제작 키트.
According to claim 5,
The epoxy resin,
Characterized in that it is a bisphenol F epoxy resin (Bisphenol F Epoxy Resin), a production kit for making paper flowers.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층은,
비스페놀 F 에폭시 수지(Bisphenol F Epoxy resin) 40 내지 60 중량부와, 폴리카프로락톤(Polycaprolactone) 30 내지 60 중량부와 메틸렌 클로라이드(Methylene Chloride) 20 내지 40 중량부를 혼합하여 제 1 용액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제 1 용액 80 내지 90 중량부와, 폴리(L-락타이드)-폴리(비닐리덴플로라이드)-폴리(L-락타이드)(PLLA-PVDF-PLLA:Poly(L-lactide)-poly(vinylidene fluoride)-poly(L-lactide)) 5 내지 15 중량부 및, 포타슘코코일하이드롤라이즈드콜라겐(Potassium Cocoyl Hydrolysed Collagen) 3 내지 10 중량부를 혼합하여 제 2 용액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제 2 용액 90 내지 95 중량부와, 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2-Ethylhexyl acrylate) 2 내지 10 중량부 및, 제니핀(Genipin)을 포함하는 점착력 강화제 1 내지 10 중량부를 혼합하여 접착층 조성물을 완성하는 단계;를 거쳐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이꽃 제작용 제작 키트.
According to claim 6,
The adhesive layer is
Preparing a first solution by mixing 40 to 60 parts by weight of bisphenol F epoxy resin, 30 to 60 parts by weight of polycaprolactone and 20 to 40 parts by weight of methylene chloride;
80 to 90 parts by weight of the first solution and poly(L-lactide)-poly(vinylidene fluoride)-poly(L-lactide) (PLLA-PVDF-PLLA:Poly(L-lactide)-poly( Preparing a second solution by mixing 5 to 15 parts by weight of vinylidene fluoride)-poly(L-lactide) and 3 to 10 parts by weight of Potassium Cocoyl Hydrolysed Collagen;
Mixing 90 to 95 parts by weight of the second solution, 2 to 10 parts by weight of 2-Ethylhexyl acrylate, and 1 to 10 parts by weight of an adhesion enhancer including Genipin to complete the adhesive layer composition Characterized in that it is manufactured through the steps; production kit for producing paper flowers.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점착력 강화제는,
제니핀(Genipin) 25 내지 45 중량부, 유칼립투스 오일 10 내지 30 중량부, 에틸 알코올 30 내지 60 중량부를 혼합하여 1차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1차 혼합물 85 내지 95 중량부와, n-부틸아크릴레이트(n-butyl acrylate) 3 내지 10 중량부 및, 포타슘코코일글루타메이트(potassium cocoyl glutamate) 1 내지 5 중량부를 혼합하여 2차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2차 혼합물 90 내지 98 중량부와, 뷰틸캐비톨아세테이트(butyl carbitol acetate) 1 내지 5 중량부 및, 피롤니트린(Pyrrolnitrin) 1 내지 10 중량부를 혼합하여 점착력 강화제를 완성하는 단계;를 통해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이 꽃 제작용 제작 키트.
According to claim 7,
The adhesion enhancer,
Preparing a first mixture by mixing 25 to 45 parts by weight of Genipin, 10 to 30 parts by weight of eucalyptus oil, and 30 to 60 parts by weight of ethyl alcohol;
A secondary mixture is prepared by mixing 85 to 95 parts by weight of the primary mixture, 3 to 10 parts by weight of n-butyl acrylate, and 1 to 5 parts by weight of potassium cocoyl glutamate. doing;
Mixing 90 to 98 parts by weight of the secondary mixture, 1 to 5 parts by weight of butyl carbitol acetate, and 1 to 10 parts by weight of pyrrolnitrin to complete an adhesive strength enhancer; prepared through Characterized in that, a production kit for making paper flowers.
KR1020210153647A 2021-11-10 2021-11-10 Paper flower making kit KR10260321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53647A KR102603212B1 (en) 2021-11-10 2021-11-10 Paper flower making ki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53647A KR102603212B1 (en) 2021-11-10 2021-11-10 Paper flower making ki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67911A true KR20230067911A (en) 2023-05-17
KR102603212B1 KR102603212B1 (en) 2023-11-16

Family

ID=865472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53647A KR102603212B1 (en) 2021-11-10 2021-11-10 Paper flower making ki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03212B1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11902A (en) * 2018-07-25 2020-02-04 주식회사 엘지화학 Adhesive composition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11902A (en) * 2018-07-25 2020-02-04 주식회사 엘지화학 Adhesive composi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03212B1 (en) 2023-1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E50011491D1 (en) coating agents
KR102603212B1 (en) Paper flower making kit
Delhaye et al. The commodification of ethnicity: Vlisco fabrics and wax cloth fashion in Ghana
CN107674795A (en) A kind of soap paper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Poon The journey to revival: thriving revolutionary batik design and its potential in contemporary lifestyle and fashion
KR102549442B1 (en) Manufacturing method for artificial flower and corsage using pressed mugunghwa flower
US3468055A (en) Folding puppet,marionette,or doll,head
JP2011063920A (en) Artificial flower and method for making the same
US490170A (en) Bert sotjchet
JP2006069124A (en) Preserved flower arrangement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Zamor Indian heritage in the French Creole-speaking Caribbean: A reference to the Madras Material
CN110041842A (en) A kind of high-tension Flock Adhesive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JP2020146393A (en) Method of manufacturing ornamental doll
Almog Secular fashion in Israel
JP2019119982A (en) Large sized paper flowe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nd paper flower kit
King Figures in stone: architectural sculpture in New York city
KR102636933B1 (en) method of producing calla flowers
US1268644A (en) Pinwheel.
JP6807622B1 (en) How to make ornaments using preserved plants
Maxwell The changing luxury landscape
ES2353293A1 (en) A tack free decorative ink composition comprising an aziridine derivative and a polyethylene / paraffin wax mixture, process and use thereof
JP6298751B2 (en) Artificial flower manufacturing method and artificial flower
KR20130004793A (en) A preservable plant and preservation treatment method thereof
Votes Sparkle to
JP2000265312A (en) Artificial flower with arom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