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67535A - 원심 피스톤 및 이를 포함하는 원심분리 장치 - Google Patents

원심 피스톤 및 이를 포함하는 원심분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67535A
KR20230067535A KR1020220145970A KR20220145970A KR20230067535A KR 20230067535 A KR20230067535 A KR 20230067535A KR 1020220145970 A KR1020220145970 A KR 1020220145970A KR 20220145970 A KR20220145970 A KR 20220145970A KR 20230067535 A KR20230067535 A KR 202300675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piston
centrifugal
disposed
inner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459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710121B1 (ko
Inventor
이준석
Original Assignee
이준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준석 filed Critical 이준석
Priority to US18/038,383 priority Critical patent/US20230405610A1/en
Priority to CN202280007530.1A priority patent/CN116457102A/zh
Priority to PCT/KR2022/017353 priority patent/WO2023085708A1/ko
Priority to JP2023531621A priority patent/JP7511953B2/ja
Publication of KR202300675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675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7101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7101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4CENTRIFUGAL APPARATUS OR MACHINES FOR CARRYING-OUT 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 B04BCENTRIFUGES
    • B04B15/00Other accessories for centrifug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00Suction or pumping devices for medical purposes; Devices for carrying-off, for treatment of, or for carrying-over, body-liquids; Drainage systems
    • A61M1/02Blood transfusion apparatus
    • A61M1/0272Apparatus for treatment of blood or blood constituents prior to or for conservation, e.g. freezing, drying or centrifug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00Suction or pumping devices for medical purposes; Devices for carrying-off, for treatment of, or for carrying-over, body-liquids; Drainage systems
    • A61M1/02Blood transfusion apparatus
    • A61M1/029Separating blood components present in distinct layers in a contain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00Suction or pumping devices for medical purposes; Devices for carrying-off, for treatment of, or for carrying-over, body-liquids; Drainage systems
    • A61M1/89Suction aspects of liposuction
    • A61M1/892Suction aspects of liposuction with treatment of the collected fa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4CENTRIFUGAL APPARATUS OR MACHINES FOR CARRYING-OUT 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 B04BCENTRIFUGES
    • B04B7/00Elements of centrifug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2/00Special media to be introduced, removed or treated
    • A61M2202/0092Special media to be introduced, removed or treated starting product created by centrifug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2/00Special media to be introduced, removed or treated
    • A61M2202/08Lipoid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esthesiology (AREA)
  • Hemat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athology (AREA)
  • Surgery (AREA)
  • Centrifugal Separators (AREA)

Abstract

원심 피스톤은 피스톤 바디 및 웨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원심 환경에서 상기 웨이트의 제 1 외부 웨이트 면은 상기 피스톤 바디의 제 1 내부 바디 면과 접촉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 1 내부 바디 면 및 상기 웨이트의 리세스 사이에 갭이 형성될 수 있다.

Description

원심 피스톤 및 이를 포함하는 원심분리 장치{CENTRIFUGAL PISTON AND CENTRIFUGAL DEVICE COMPRISING THE SAME}
본 개시는 원심 피스톤 및 이를 포함하는 원심분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흡인 및 절개에 의해 생체로부터 얻은 지방조직은 불순물(예: 오일)의 혼합물을 포함하고 있으므로, 순수한 지방 덩어리를 얻기 위해 생체로부터 얻은 지방조직으로부터 불순물을 제거하는 기술이 개발되고 있다. 예를 들면, 등록특허공보 제10-2446918호는 원심분리용 피스톤을 개시한다. 전술한 배경기술은 본 개시의 도출과정에서 보유하거나 습득한 것으로서 반드시 본 개시의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 공개된 공지기술이라고 할 수 없다.
본 개시의 일 양태는 원심력이 인가되는 환경에서 유로를 폐쇄하지 않고 유로를 통해 정해진 크기 이하의 타겟 물질(예: 오일)을 통과시키는 원심 피스톤 및 이를 포함하는 원심분리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원심 피스톤은, 피스톤 바디로서, 상기 피스톤 바디는, 제 1 외부 바디 면, 상기 제 1 외부 바디 면에 반대되는 제 2 외부 바디 면, 상기 제 1 외부 바디 면 및 상기 제 2 외부 바디 면 사이의 사이드 외부 바디 면, 상기 제 1 외부 바디 면에 반대되는 제 1 내부 바디 면, 상기 제 1 내부 바디 면에 연결되고 상기 사이드 외부 바디 면에 반대되는 사이드 내부 바디 면, 상기 제 1 외부 바디 면에 배치된 제 1 유입구, 상기 제 2 외부 바디 면에 배치된 유출구, 상기 제 1 내부 바디 면 및 상기 사이드 내부 바디 면에 의해 규정된 중공 부분, 및 상기 제 1 유입구 및 상기 중공 부분을 연결하는 제 1 유입 통로를 포함하는, 상기 피스톤 바디, 및 상기 중공 부분에 배치된 웨이트로서, 상기 웨이트는, 상기 제 1 내부 바디 면을 대면하는 제 1 외부 웨이트 면, 상기 제 1 외부 웨이트 면에 반대되는 제 2 외부 웨이트 면, 상기 제 1 외부 웨이트 면 및 상기 제 2 외부 웨이트 면 사이의 사이드 외부 웨이트 면, 및 상기 제 1 외부 웨이트 면에 배치된 리세스를 포함하는, 상기 웨이트를 포함하고, 원심 환경에서 상기 제 1 외부 웨이트 면이 제 1 내부 바디 면과 접촉할 때 상기 웨이트는 상기 제 1 내부 바디 면 및 상기 리세스 사이에 갭을 형성하도록 구성되고, 생체조직으로부터 원심분리된 적어도 하나의 물질은 상기 제 1 유입구, 상기 제 1 유입 통로, 상기 갭 및 상기 유출구를 통해 배출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갭은 상기 제 1 내부 바디 면 및 상기 리세스 사이의 거리로 측정된 약 50 ㎛ 내지 약 200 ㎛ 사이의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갭은 상기 제 1 외부 웨이트 면 및 상기 사이드 외부 웨이트 면 사이에서 실질적으로 일정한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중공 부분은 상기 제 1 유입 통로 및 상기 유출구를 연결하고 상기 갭을 포함하는 배출 통로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리세스는, 상기 제 1 외부 웨이트 면에 교차하는 리세스 벽 면, 및 상기 리세스 벽 면 및 상기 사이드 외부 웨이트 면 사이의 리세스 바닥 면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리세스 벽 면은 상기 제 1 유입 통로와 오버랩되지 않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리세스 바닥 면은 상기 제 1 유입 통로 및 상기 제 1 내부 바디 면과 모두 오버랩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리세스 바닥 면은 상기 사이드 외부 웨이트 면으로 직접적으로 이어질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리세스는 상기 웨이트의 둘레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피스톤 바디는, 상기 제 1 외부 바디 면에 배치된 제 2 유입구, 및 상기 제 2 유입구 및 상기 중공 부분을 연결하는 제 2 유입 통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원심 피스톤은, 상기 사이드 내부 바디 면 상에 배치되고 상기 웨이트 및 상기 유출구 사이의 공간을 밀봉하도록 구성된 실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원심 피스톤은, 상기 사이드 내부 바디 면 상에 그리고 상기 웨이트 및 상기 실링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실링의 이동을 제한하도록 구성된 스토퍼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원심 피스톤은, 상기 웨이트 및 상기 유출구 사이에 배치된 체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원심 피스톤은, 상기 사이드 외부 웨이트 면에 배치된 실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원심분리 장치는, 회전축, 상기 회전축에 대해 회전하도록 구성되고 생체조직을 보유하도록 구성된 시린지, 및 상기 시린지 내부에 배치된 원심 피스톤을 포함하고, 상기 원심 피스톤은, 피스톤 바디로서, 상기 피스톤 바디는, 제 1 외부 바디 면, 상기 제 1 외부 바디 면에 반대되는 제 2 외부 바디 면, 상기 제 1 외부 바디 면 및 상기 제 2 외부 바디 면 사이의 사이드 외부 바디 면, 상기 제 1 외부 바디 면에 반대되는 제 1 내부 바디 면, 상기 제 1 내부 바디 면에 연결되고 상기 사이드 외부 바디 면에 반대되는 사이드 내부 바디 면, 상기 제 1 외부 바디 면에 배치된 제 1 유입구, 상기 제 2 외부 바디 면에 배치된 유출구, 상기 제 1 내부 바디 면 및 상기 사이드 내부 바디 면에 의해 규정된 중공 부분, 및 상기 유입구 및 상기 중공 부분을 연결하는 제 1 유입 통로를 포함하는, 상기 피스톤 바디, 및 상기 중공 부분에 배치된 웨이트로서, 상기 웨이트는, 상기 제 1 내부 바디 면을 대면하는 제 1 외부 웨이트 면, 상기 제 1 외부 웨이트 면에 반대되는 제 2 외부 웨이트 면, 상기 제 1 외부 웨이트 면 및 상기 제 2 외부 웨이트 면 사이의 사이드 외부 웨이트 면, 및 상기 제 1 외부 웨이트 면에 배치된 리세스를 포함하는, 상기 웨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시린지가 상기 회전축에 대해 회전하는 원심 환경에서 상기 제 1 외부 웨이트 면이 제 1 내부 바디 면과 접촉할 때 상기 웨이트는 상기 제 1 내부 바디 면 및 상기 리세스 사이에 갭을 형성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생체조직으로부터 원심분리된 적어도 하나의 물질은 상기 제 1 유입구, 상기 제 1 유입 통로, 상기 갭 및 상기 유출구를 통해 배출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원심분리 장치를 사용하는 방법은, 상기 시린지 내부에 생체조직 및 원심 피스톤을 제공하는 동작, 및 상기 시린지를 상기 회전축에 대해 회전시켜 상기 생체조직을 원심분리하는 동작을 포함하고, 상기 생체조직을 원심분리하는 동작은 상기 제 1 외부 웨이트 면이 상기 제 1 내부 바디 면과 접촉할 때 상기 생체조직으로부터 원심분리된 적어도 하나의 물질을 상기 유입구, 상기 제 1 유입 통로, 상기 갭 및 상기 유출구를 통해 배출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원심력이 인가되는 환경에서 유로가 폐쇄되지 않고 정해진 크기 이하의 타겟 물질이 유로를 통해 통과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원심 피스톤 및 원심분리 장치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개시의 특정 실시 예들의 상술한 그리고 다른 양태들, 특징들 및 이점들은 첨부 도면을 참조하며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도 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원심분리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원심분리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3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원심 피스톤의 사시도이다.
도 4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원심 피스톤의 분해 측면도이다.
도 5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원심 피스톤의 분해 측 단면도이다.
도 6은 일 실시 예에 따른 피스톤 바디의 측 단면도이다.
도 7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웨이트의 측 단면도이다.
도 8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스토퍼의 단면도이다.
도 9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스토퍼의 평면도이다.
도 10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제 1 형태의 원심 피스톤의 단면도이다.
도 1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도 10의 원심 피스톤의 확대도이다.
도 12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제 2 형태의 원심 피스톤의 단면도이다.
도 13은 일 실시 예에 따른 플런저 및 원심 피스톤을 포함하는 원심분리 장치의 단면도이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 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실시 예들에는 다양한 변경이 가해질 수 있어서 특허출원의 권리범위가 이러한 실시 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 예들에 대한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이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실시 예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설명을 목적으로 사용된 것으로, 한정하려는 의도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실시 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실시 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실시 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어느 하나의 실시 예에 포함된 구성요소와, 공통적인 기능을 포함하는 구성요소는, 다른 실시 예에서 동일한 명칭을 사용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이상, 어느 하나의 실시 예에 기재한 설명은 다른 실시 예에도 적용될 수 있으며, 중복되는 범위에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원심분리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원심분리 장치(100)는 원심분리 환경 내에서 생체(예: 사람)으로부터 획득된 생체조직(예: 지방조직)으로부터 불순물(예: 오일, 혈액, 약액 및/또는 기타 불순물)을 제거하게 하고 순수한 생체조직을 획득하게 할 수 있다.
원심분리 장치(100)는 베이스(101)를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101)는 실질적으로 플랫한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101)는 회전축(X)을 포함할 수 있다. 회전축(X)은 베이스(101)의 중심부에 위치될 수 있다.
원심분리 장치(100)는 복수 개의 캐비티(102)들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 개의 캐비티(102)들은 베이스(101) 주위에 둘레 방향으로 배열될 수 있다.
원심분리 장치(100)는 복수 개의 힌지(103)들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 개의 힌지(103)들은 베이스(101)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원심분리 장치(100)는 복수 개의 홀더(104)들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 개의 홀더(104)들은 각각 대응하는 하나의 힌지(103)에 연결될 수 있다. 복수 개의 홀더(104)들은 회전축(X) 주위에 둘레 방향으로 배열될 수 있다. 복수 개의 홀더(104)들의 각각은, 대응하는 하나의 캐비티(102) 안으로 그리고 밖으로, 대응하는 하나의 힌지(103)에 의해 스윙될 수 있다. 복수 개의 홀더(104)들은 베이스(101)와 함께 회전축(X)에 대해 회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원심분리 장치(100)는 적어도 하나의 시린지(105)를 포함할 수 있다. 시린지(105)는 복수 개의 홀더(104)들 중 대응하는 하나의 홀더(104)에 배치될 수 있다.
도 2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원심분리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원심분리 장치(100)는 시린지(105)를 포함할 수 있다. 시린지(105)는 원심분리 환경 내에서 회전축(X)에 대해 회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시린지(105)는 용기(1051)를 포함할 수 있다. 용기(1051)는 생체조직(BM)을 보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용기(1051)는 실질적으로 원통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시린지(105)는 커넥터(1052)를 포함할 수 있다. 커넥터(1052)는 적어도 하나의 제 1 물질(예: 혈액, 약액, 물 및/또는 기타 순수한 지방 덩어리에 비해 상대적으로 비중이 큰 물질)이 커넥터(1052)를 통과하게 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제 1 물질은 커넥터(1052)를 통해 용기(1051)로부터 제거될 수 있다. 커넥터(1052)는 회전축(A)으로부터 제 1 거리(예: 상대적으로 먼 거리)에 있는 용기(1051)의 제 1 단부(예: 도 2의 전방 단부)에 배치될 수 있다.
커넥터(1052)는 체결부(1052A)를 포함할 수 있다. 체결부(1052A)는 외부 제거 장치(미도시)에 커플링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체결부(1052A)는 나사산을 포함할 수 있다.
커넥터(1052)는 배출 및 주입 통로(1052B)를 포함할 수 있다. 배출 및 주입 통로(1052B)는 적어도 하나의 제 1 물질의 통과를 허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시린지(105)는 플랜지(1053)를 포함할 수 있다. 플랜지(1053)는 회전축(A)으로부터 제 1 거리보다 작은 제 2 거리(예: 상대적으로 가까운 거리)에 있는 용기(1051)의 제 2 단부(예: 도 2의 후방 단부)에 배치될 수 있다. 용기(1051)의 제 2 단부는 제 1 단부에 반대되게 위치될 수 있다.
용기(1051)의 제 2 단부는 시린지(105)의 외부에 개방될 수 있다. 생체로부터 획득된 생체조직(BM)은 배출 및 주입 통로(1052B)를 통해 용기(1051)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피스톤(106)은 그 생체조직(BM) 상에 또는 위에(예: 도 2에서 우측에) 배치될 수 있다. 원심분리 장치(100)가 사용되는 동안, 회전축(A)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원심력을 받는 피스톤(106)은 생체조직(BM)을 가압할 수 있다. 원심분리 환경 내에서 적어도 하나의 제 2 물질(예: 오일 및/또는 기타 순수한 지방조직에 비해 상대적으로 비중이 작은 물질)은 생체조직(BM)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피스톤(106)이 회전축(A)에 대해 회전하며 생체조직(BM)을 가압하는 동안, 적어도 하나의 제 2 물질은 피스톤(106)의 내부를 통해 피스톤(106)의 외부로 빠져나와 용기(1051)의 제 2 단부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도 3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원심 피스톤의 사시도이다. 도 4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원심 피스톤의 분해 측면도이다. 도 5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원심 피스톤의 분해 측 단면도이다. 도 6은 일 실시 예에 따른 피스톤 바디의 측 단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원심 피스톤(106)은 피스톤 바디(110)를 포함할 수 있다. 피스톤 바디(110)는 도 2의 용기(1051) 내에서 이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피스톤 바디(110)는 원심분리 환경 내에서 회전축(X)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피스톤 바디(110)는 생체조직(BM)을 가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피스톤 바디(110)는, 제 1 외부 바디 면(111)(예: 전방 외부 바디 면), 제 1 외부 바디 면(111)에 반대되는 제 2 외부 바디 면(112)(예: 후방 외부 바디 면), 및 제 1 외부 바디 면(111) 및 제 2 외부 바디 면(112) 사이에 있는 사이드 외부 바디 면(113)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외부 바디 면(111)은 제 1 외부 영역(111A)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2의 피스톤(106)이 커넥터(1052)에 인접한 용기(1051)의 부분(예: 전방 부분)에 배치되어 있을 때, 제 1 외부 영역(111A)은 커넥터(1052) 및 피스톤(106) 사이의 공간을 가압할 수 있다. 제 1 외부 영역(111A)이 상기 공간을 가압하는 동안, 상기 공간에 존재하는 물질(예: 공기, 혈액, 약액 및/또는 물)은 배출 및 주입 통로(1052B)를 통해 빠져나가도록 촉진될 수 있다.
제 1 외부 바디 면(111)은 제 2 외부 영역(111B)을 포함할 수 있다. 제 2 외부 영역(111B)은 제 1 외부 영역(111A) 및 사이드 외부 바디 면(113)에 대해 각각 경사진 면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피스톤(106)이 원심분리 환경 내에 있을 때, 제 2 외부 영역(111B)은 제 1 외부 영역(111A)에 의해 가압되는 공간 내 존재하는 물질을 가이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 2 외부 영역(111B)은 제 1 외부 영역(111B) 및 사이드 외부 바디 면(113)에 연결될 수 있다.
피스톤 바디(110)는, 제 1 외부 바디 면(111)에 반대되는 제 1 내부 바디 면(114), 및 제 1 내부 바디 면(114)에 연결된 사이드 내부 바디 면(116)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내부 바디 면(114) 및 사이드 내부 바디 면(116)은 중공 부분(117)을 규정할 수 있다.
제 1 내부 바디 면(114)은 제 1 내부 영역(114A)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내부 영역(114A)은 제 1 외부 영역(111A)에 반대되게 위치될 수 있다.
제 1 내부 바디 면(114)은 제 2 내부 영역(114B)을 포함할 수 있다. 제 2 내부 영역(114B)은 제 2 외부 영역(111B)에 반대되게 위치될 수 있다. 제 2 내부 영역(114B)은 제 1 내부 영역(114A)에 대해 경사진 면을 포함할 수 있다. 제 2 내부 영역(114B)은 제 1 내부 영역(114A)에 연결될 수 있다.
사이드 내부 바디 면(116)은 제 1 사이드 내부 영역(116A)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사이드 내부 영역(116A)은 중공 부분(117)의 제 1 내부 직경을 규정할 수 있다. 제 1 사이드 내부 영역(116A)은 제 2 내부 영역(114B)에 연결될 수 있다.
사이드 내부 바디 면(116)은 제 2 사이드 내부 영역(116B)을 포함할 수 있다. 제 2 사이드 내부 영역(116B)은 중공 부분(117)의 제 2 내부 직경을 규정할 수 있다. 제 2 내부 직경은 제 1 내부 직경보다 클 수 있다. 제 2 사이드 내부 영역(116B)은 제 1 사이드 내부 영역(116A)에 연결될 수 있다.
사이드 내부 바디 면(116)은 제 3 사이드 내부 영역(116C)을 포함할 수 있다. 제 3 사이드 내부 영역(116C)은 중공 부분(117)의 제 3 내부 직경을 규정할 수 있다. 제 3 내부 직경은 제 2 내부 직경보다 클 수 있다. 제 3 사이드 내부 영역(116C)은 제 2 사이드 내부 영역(116B) 및 제 2 외부 바디 면(112)에 연결될 수 있다.
사이드 내부 바디 면(116)은 제 1 사이드 내부 영역(116A) 및 제 2 사이드 내부 영역(116B) 사이에 배치된 제 1 단차(S1)를 포함할 수 있다. 사이드 내부 바디 면(116)은 제 2 사이드 내부 영역(116B) 및 제 3 사이드 내부 영역(116C) 사이에 배치된 제 2 단차(S2)를 포함할 수 있다.
피스톤 바디(110)는 복수 개의 그루브(G)들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 개의 그루브(G)들은 사이드 외부 바디 면(113)에 배치될 수 있다. 복수 개의 그루브(G)들은 제 1 외부 바디 면(111) 및 제 2 외부 바디 면(112) 사이에서 사이드 외부 면(113)을 따라 배열될 수 있다.
피스톤 바디(110)는 제 1 유입구(F1)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유입구(F1)는 제 1 외부 바디 면(111) 상에 있는 물질을 피스톤 바디(110) 안으로 유입하는 것을 허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 1 유입구(F1)는 제 2 외부 영역(111B)에 배치될 수 있다.
피스톤 바디(110)는 제 2 유입구(F2)를 포함할 수 있다. 제 2 유입구(F2)는 제 1 외부 바디 면(111) 상에 있는 물질을 피스톤 바디(110) 안으로 유입하는 것을 허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 2 유입구(F2)는 제 2 외부 영역(111B) 중에서 제 1 유입구(F1)가 배치된 부분 영역과 다른 부분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제 2 유입구(F2)의 위치는 제 1 유입구(F1)의 위치와 반대될 수 있다.
피스톤 바디(110)는 제 1 유입 통로(P1)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유입 통로(P1)는 제 1 유입구(F1) 및 중공 부분(117)을 유체 연결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 1 유입 통로(P1)는 제 1 외부 바디 면(111) 및 제 1 내부 바디 면(114)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피스톤 바디(110)는 제 2 유입 통로(P2)를 포함할 수 있다. 제 2 유입 통로(P2)는 제 2 유입구(F2) 및 중공 부분(117)을 유체 연결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 2 유입 통로(P2)는 제 1 외부 바디 면(111) 및 제 1 내부 바디 면(114)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 2 유입 통로(P2)는 제 1 유입 통로(P1)와 실질적으로 동일선상에 있을 수 있다.
피스톤 바디(110)는 유출구(F3)를 포함할 수 있다. 유출구(F3)는 중공 부분(117)에 있는 물질을 피스톤 바디(110) 외부로 빠져나가는 것을 허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유출구(F3)는 제 2 외부 바디 면(112)에 규정될 수 있다.
피스톤 바디(110)는 슬롯(SL)을 포함할 수 있다. 슬롯(SL)은 사이드 외부 바디 면(113) 및 사이드 내부 바디 면(116)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슬롯(SL)은 제 3 내부 사이드 영역(116C)에 배치될 수 있다.
도 7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웨이트의 측 단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5 및 도 7을 참조하면, 피스톤(106)은 웨이트(120)를 포함할 수 있다. 웨이트(120)는 피스톤 바디(110)의 전방의 공간 및 피스톤 바디(110)의 후방의 공간 사이의 적어도 하나의 물질(예: 오일)의 이동을 허용하고 다른 물질(예: 지방조직으로부터 오일이 제거된 순수한 지방조직)의 이동을 차단할 수 있다.
웨이트(120)는, 제 1 외부 웨이트 면(121)(예: 전방 외부 웨이트 면), 제 1 외부 웨이트 면(121)에 반대되는 제 2 외부 웨이트 면(122)(예: 후방 외부 웨이트 면), 및 제 1 외부 웨이트 면(121) 및 제 2 외부 웨이트 면(122) 사이에 있는 사이드 외부 웨이트 면(123)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외부 웨이트 면(121)은 제 1 외부 웨이트 영역(121A)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외부 웨이트 영역(121A)은 도 6의 제 1 내부 영역(114A)을 대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2의 피스톤(106)에 회전축(X)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원심력이 작용할 때, 제 1 외부 웨이트 영역(121A)은 제 1 내부 영역(114A)과 접촉하지 않고 제 1 내부 영역(114A)과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제 1 외부 웨이트 면(121)은 제 2 외부 웨이트 영역(121B)을 포함할 수 있다. 제 2 외부 웨이트 영역(121B)은 제 1 외부 웨이트 영역(121A) 및 사이드 외부 웨이트 면(123)에 대해 각각 경사진 면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외부 웨이트 영역(121A) 및 제 2 외부 웨이트 영역(121B)이 형성하는 경사 각도는 제 1 내부 영역(114A) 및 제 2 내부 영역(114B)이 형성하는 경사 각도와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제 2 외부 웨이트 영역(121B)은 제 1 외부 웨이트 영역(121A) 및 사이드 외부 웨이트 면(123)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 2 외부 웨이트 영역(121B)은 도 6의 제 2 내부 영역(114B)을 대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2의 피스톤(106)에 회전축(X)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원심력이 작용할 때, 제 2 외부 웨이트 영역(121B)은 제 2 내부 영역(114B)과 적어도 부분적으로 접촉할 수 있다.
사이드 외부 웨이트 면(123)은 제 1 사이드 웨이트 영역(123A)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사이드 웨이트 영역(123A)은 제 2 외부 웨이트 영역(121B)에 직접적으로 또는 간접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 1 사이드 웨이트 영역(123A)은 웨이트(120)의 제 1 외부 직경을 규정할 수 있다.
사이드 외부 웨이트 면(123)은 제 2 사이드 웨이트 영역(123B)을 포함할 수 있다. 제 2 사이드 웨이트 영역(123B)은 제 1 사이드 웨이트 영역(123A) 및 제 2 외부 웨이트 면(122)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 2 사이드 웨이트 영역(123B)은 제 1 사이드 웨이트 영역(123A)에 직접적으로 또는 간접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 2 사이드 웨이트 영역(123B)은 제 2 외부 웨이트 면(122)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 2 사이드 웨이트 영역(123B)은 웨이트(120)의 제 2 외부 직경을 규정할 수 있다. 제 2 외부 직경은 제 1 외부 직경보다 작을 수 있다.
사이드 외부 웨이트 면(123)은 웨이트 단차 영역(123C)을 포함할 수 있다. 웨이트 단차 영역(123C)은 제 1 사이드 웨이트 영역(123A) 및 제 2 사이드 웨이트 영역(123B)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사이드 외부 웨이트 면(123)은 사이드 내부 바디 면(116)을 대면할 수 있다. 사이드 외부 웨이트 면(123)은 사이드 내부 바디 면(116)으로부터 분리되어 있을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2의 피스톤(106)에 원심력이 작용하는지 여부와 무관하게 사이드 외부 웨이트 면(123)은 사이드 내부 바디 면(116)으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웨이트(120)는 제 1 웨이트 파트(B1) 및 제 2 웨이트 파트(B2)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웨이트 파트(B1)는 제 1 외부 웨이트 영역(121A), 제 2 외부 웨이트 영역(121B), 제 1 사이드 웨이트 영역(123A) 및 웨이트 단차 영역(123C)에 의해 규정될 수 있다. 제 2 웨이트 파트(B2)는 제 2 사이드 웨이트 영역(123B) 및 제 2 외부 웨이트 면(122)에 의해 규정될 수 있다.
웨이트(120)는 리세스(124)를 포함할 수 있다. 리세스(124)는 제 2 외부 웨이트 영역(121B)에 형성될 수 있다. 리세스(124)는 제 1 외부 웨이트 영역(121A) 및 제 1 사이드 웨이트 영역(123A)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리세스(124)는 제 1 외부 웨이트 영역(121A)으로부터 분리되어 있을 수 있다. 리세스(124)는 제 1 사이드 웨이트 영역(123A)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리세스(124)는 웨이트(120)의 둘레 방향으로 연장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피스톤(106)은 복수 개의 외부 실링(130)들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 개의 외부 실링(130)들은 도 2의 용기(1051)의 내부 면 및 도 6의 피스톤 바디(110)의 사이드 외부 바디 면(113) 사이의 공간을 실링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복수 개의 외부 실링(130)들은 실질적으로 O형상의 링을 각각 포함할 수 있다. 복수 개의 외부 실링(130)들은 복수 개의 그루브(G)들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피스톤(106)은 내부 실링(140)을 포함할 수 있다. 내부 실링(140)은 피스톤 바디(110) 및 플런저(예: 도 13의 플런저(107)) 사이의 공간을 실링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내부 실링(140)은 플런저의 외부 면과 적어도 부분적으로 접촉할 수 있다. 내부 실링(140)은 도 6의 제 2 사이드 내부 영역(116B)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도 8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스토퍼의 단면도이다. 도 9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스토퍼의 평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5,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피스톤(106)은 스토퍼(150)를 포함할 수 있다. 스토퍼(150)는 도 3 내지 도 5의 내부 실링(140)을 도 6의 제 2 사이드 내부 영역(116B)에 구속시킬 수 있다. 스토퍼(150)는 제 2 사이드 내부 영역(116B)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스토퍼(150)는 제 1 사이드 내부 영역(116A)에 인접하고, 내부 실링(140)은 제 3 사이드 내부 영역(116C)에 인접할 수 있다.
스토퍼(150)는 제 1 베이스(151)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베이스(151)는 실질적으로 원형 또는 타원형의 고리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베이스(151)는 제 2 사이드 내부 영역(116B)과 접촉할 수 있다. 제 1 베이스(151)는 내부 실링(140)과 접촉할 수 있다.
스토퍼(150)는 돌출부(152)를 포함할 수 있다. 돌출부(152)는 제 1 베이스(151)로부터 반지름 방향으로 그리고 내측으로 돌출할 수 있다. 돌출부(152)의 내부 직경은 제 1 베이스(151)의 내부 직경보다 작을 수 있다. 돌출부(152)는 제 1 베이스(151)의 둘레 방향을 따라 적어도 부분적으로 연장할 수 있다. 돌출부(152)는 제 1 베이스(151)의 단부 면(예: 도 8에서 전방 단부 면)에 연결될 수 있다.
스토퍼(150)는 노치(153)를 포함할 수 있다. 노치(153)는 돌출부(152)의 연장 방향으로 돌출부(152)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노치(153)는 웨이트 단차 영역(123C)이 돌출부(152)와 접촉할 때 물질의 이동을 허용할 수 있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피스톤(106)은 체결부(160)를 포함할 수 있다. 체결부(160)는 스토퍼(150)와 협동하며 내부 실링(140)을 제 2 사이드 내부 영역(116B)에 고정시킬 수 있다. 체결부(160)는 제 3 사이드 내부 영역(116C)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체결부(160)는 제 2 베이스(161)를 포함할 수 있다. 제 2 베이스(161)는 실질적으로 원형 또는 타원형의 고리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제 2 베이스(161)는 제 3 사이드 내부 영역(116C)과 접촉할 수 있다. 제 2 베이스(161)는 내부 실링(140)과 접촉할 수 있다.
체결부(160)는 나사산(162)을 포함할 수 있다. 나사산(162)은 외부 체결 수단(예: 도 13의 플런저(107))와 체결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나사산(162)은 제 2 베이스(161)의 내부 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체결부(160)는 혀(163)를 포함할 수 있다. 혀(163)는 슬롯(SL)과 맞물리도록 구성될 수 있다. 혀(163)는 제 2 베이스(161)의 외부 면에 배치될 수 있다.
도 10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제 1 형태의 원심 피스톤의 단면도이다. 도 1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도 10의 원심 피스톤의 확대도이다.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도 2의 회전축(X)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피스톤(106)에 원심력이 작용될 수 있다. 원심환경 내에서, 제 1 무게를 갖는 웨이트(120)에 작용하는 원심력은 제 1 무게보다 작은 제 2 무게를 갖는 피스톤 바디(110)에 작용하는 원심력보다 클 수 있다. 웨이트(120)에 작용하는 원심력이 웨이트(120)에 작용하는 다른 힘(예: 중력, 마찰력 및/또는 기타 웨이트(120)에 작용하는 힘)들의 합보다 크다면, 웨이트(120)는 피스톤 바디(110)에 대해 유출구(F3)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제 2 외부 웨이트 영역(121B)은 제 2 내부 영역(114B)과 접촉할 수 있다. 제 2 외부 웨이트 영역(121B)이 제 2 내부 영역(114B)과 접촉하고 있을 때, 리세스(124)는 제 2 내부 영역(114B)으로부터 이격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 2 내부 영역(114B) 및 리세스(124) 사이에 갭이 형성될 수 있다. 중공 부분(117)은 제 2 내부 영역(114B) 및 리세스(124) 사이의 갭 및 사이드 내부 바디 면(116) 및 사이드 외부 웨이트 면(123) 사이의 갭을 포함하는 배출 통로(P3)를 포함할 수 있다.
피스톤 바디(110)의 전방에 배치된 물질들은 원심환경 내에서 피스톤 바디(11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비중이 작은 물질부터 비중이 큰 물질 순으로 층별로 분리될 수 있다. 비중이 가장 작은 물질(예: 오일)은 제 1 유입구(F1) 및 제 2 유입구(F2)를 통해 제 1 유입 통로(P1) 및 제 2 유입 통로(P2)를 따라 중공 부분(117)으로 유입할 수 있다. 유입된 물질은 리세스(124)를 따라 배출 통로(P3)를 통해 유출구(F3) 밖으로 유출될 수 있다.
리세스(124)는 리세스 바닥 면(124A)을 포함할 수 있다. 리세스 바닥 면(124A)은 사이드 외부 웨이트 면(123)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리세스 바닥 면(124A)은 제 2 내부 영역(114B)과 갭을 형성할 수 있다. 갭은 리세스 바닥 면(124A)을 따라 실질적으로 일정한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여기서 갭의 크기는 제 2 내부 영역(114B) 및 리세스 바닥 면(124A) 사이의 거리로 규정될 수 있다. 갭의 크기는 타겟 물질(예: 오일)만을 통과시키고 나머지 물질(예: 지방조직)을 통과시키지 않는 크기로 정해질 수 있다. 예를 들면, 갭은 약 50 ㎛ 내지 약 200 ㎛ 사이의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제 2 외부 웨이트 영역(121B)이 제 2 내부 영역(114B)과 접촉할 때 리세스 바닥 면(124A)은 제 1 유입 통로(P1) 및 제 2 유입 통로(P2)와 오버랩될 수 있다. 리세스 바닥 면(124A)은 제 2 내부 영역(114B) 중에서 제 1 유입 통로(P1) 및 제 2 유입 통로(P2)의 주변 영역과 오버랩될 수 있다.
리세스 바닥 면(124A)은 웨이트(120)의 둘레 방향으로 연장할 수 있다. 리세스 바닥 면(124A)은 웨이트(120)의 전 둘레에 형성될 수 있다.
리세스(124)는 리세스 벽 면(124B)을 포함할 수 있다. 리세스 벽 면(124B)은 제 2 외부 웨이트 영역(121B) 및 리세스 바닥 면(124A)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리세스 벽 면(124B)은 제 2 외부 웨이트 영역(121B) 및 리세스 바닥 면(124A) 사이에 단차를 규정할 수 있다.
제 2 외부 웨이트 영역(121B)이 제 2 내부 영역(114B)과 접촉할 때 리세스 벽 면(124B)은 제 1 유입 통로(P1) 및 제 2 유입 통로(P2)와 오버랩되지 않을 수 있다.
도 12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제 2 형태의 원심 피스톤의 단면도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원심력이 피스톤(106)에 작용하지 않거나 웨이트(120)에 가해지는 원심력의 크기가 웨이트(120)에 가해지는 다른 힘의 크기보다 작을 때, 웨이트(120)는 피스톤 바디(110)에 대해 유출구(F3)를 향하는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제 1 외부 웨이트 면(121)은 제 1 내부 바디 면(114)으로부터 접촉 해제될 수 있다. 웨이트(120)가 피스톤 바디(110) 밖으로 이탈되지 않도록 스토퍼(150)는 웨이트(120)의 이동을 제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웨이트 단차 영역(123C)은 스토퍼(150)의 일 부분(예: 도 8 및 도 9의 돌출부(152))과 접촉할 수 있다.
도 13은 일 실시 예에 따른 플런저 및 원심 피스톤을 포함하는 원심분리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원심분리 장치(100)는 플런저(107)를 포함할 수 있다. 플런저(107)는 피스톤(106)과 결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플런저(107)는 도 5의 나사산(162)과 나사 결합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실시 예들이 비록 한정된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를 기초로 다양한 기술적 수정 및 변형을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 예들 및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Claims (15)

  1. 원심 피스톤에 있어서,
    피스톤 바디로서, 상기 피스톤 바디는,
    제 1 외부 바디 면,
    상기 제 1 외부 바디 면에 반대되는 제 2 외부 바디 면,
    상기 제 1 외부 바디 면 및 상기 제 2 외부 바디 면 사이의 사이드 외부 바디 면,
    상기 제 1 외부 바디 면에 반대되는 제 1 내부 바디 면,
    상기 제 1 내부 바디 면에 연결되고 상기 사이드 외부 바디 면에 반대되는 사이드 내부 바디 면,
    상기 제 1 외부 바디 면에 배치된 제 1 유입구,
    상기 제 2 외부 바디 면에 배치된 유출구,
    상기 제 1 내부 바디 면 및 상기 사이드 내부 바디 면에 의해 규정된 중공 부분, 및
    상기 제 1 유입구 및 상기 중공 부분을 연결하는 제 1 유입 통로
    를 포함하는, 상기 피스톤 바디, 및
    상기 중공 부분에 배치된 웨이트로서, 상기 웨이트는,
    상기 제 1 내부 바디 면을 대면하는 제 1 외부 웨이트 면,
    상기 제 1 외부 웨이트 면에 반대되는 제 2 외부 웨이트 면,
    상기 제 1 외부 웨이트 면 및 상기 제 2 외부 웨이트 면 사이의 사이드 외부 웨이트 면, 및
    상기 제 1 외부 웨이트 면에 배치된 리세스
    를 포함하는, 상기 웨이트
    를 포함하고,
    원심 환경에서 상기 제 1 외부 웨이트 면이 제 1 내부 바디 면과 접촉할 때 상기 웨이트는 상기 제 1 내부 바디 면 및 상기 리세스 사이에 갭을 형성하도록 구성되고,
    생체조직으로부터 원심분리된 적어도 하나의 물질은 상기 제 1 유입구, 상기 제 1 유입 통로, 상기 갭 및 상기 유출구를 통해 배출되는 원심 피스톤.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갭은 상기 제 1 내부 바디 면 및 상기 리세스 사이의 거리로 측정된 약 50 ㎛ 내지 약 200 ㎛ 사이의 크기를 갖는 원심 피스톤.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갭은 상기 제 1 외부 웨이트 면 및 상기 사이드 외부 웨이트 면 사이에서 실질적으로 일정한 크기를 갖는 원심 피스톤.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중공 부분은 상기 제 1 유입 통로 및 상기 유출구를 연결하고 상기 갭을 포함하는 배출 통로를 포함하는 원심 피스톤.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리세스는,
    상기 제 1 외부 웨이트 면에 교차하는 리세스 벽 면, 및
    상기 리세스 벽 면 및 상기 사이드 외부 웨이트 면 사이의 리세스 바닥 면
    을 포함하는 원심 피스톤.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리세스 벽 면은 상기 제 1 유입 통로와 오버랩되지 않는 원심 피스톤.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리세스 바닥 면은 상기 제 1 유입 통로 및 상기 제 1 내부 바디 면과 모두 오버랩되는 원심 피스톤.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리세스 바닥 면은 상기 사이드 외부 웨이트 면으로 직접적으로 이어지는 원심 피스톤.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리세스는 상기 웨이트의 둘레 방향으로 형성된 원심 피스톤.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 바디는,
    상기 제 1 외부 바디 면에 배치된 제 2 유입구, 및
    상기 제 2 유입구 및 상기 중공 부분을 연결하는 제 2 유입 통로
    를 더 포함하는 원심 피스톤.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 내부 바디 면 상에 배치되고 플런저 및 상기 유출구 사이의 공간을 밀봉하도록 구성된 실링을 더 포함하는 원심 피스톤.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 내부 바디 면 상에 그리고 상기 웨이트 및 상기 실링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실링의 이동을 제한하도록 구성된 스토퍼를 더 포함하는 원심 피스톤.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웨이트 및 상기 유출구 사이에 배치된 체결부를 더 포함하는 원심 피스톤.
  14. 회전축,
    상기 회전축에 대해 회전하도록 구성되고 생체조직을 보유하도록 구성된 시린지, 및
    상기 시린지 내부에 배치된 원심 피스톤
    을 포함하고,
    상기 원심 피스톤은,
    피스톤 바디로서, 상기 피스톤 바디는,
    제 1 외부 바디 면,
    상기 제 1 외부 바디 면에 반대되는 제 2 외부 바디 면,
    상기 제 1 외부 바디 면 및 상기 제 2 외부 바디 면 사이의 사이드 외부 바디 면,
    상기 제 1 외부 바디 면에 반대되는 제 1 내부 바디 면,
    상기 제 1 내부 바디 면에 연결되고 상기 사이드 외부 바디 면에 반대되는 사이드 내부 바디 면,
    상기 제 1 외부 바디 면에 배치된 제 1 유입구,
    상기 제 2 외부 바디 면에 배치된 유출구,
    상기 제 1 내부 바디 면 및 상기 사이드 내부 바디 면에 의해 규정된 중공 부분, 및
    상기 유입구 및 상기 중공 부분을 연결하는 제 1 유입 통로
    를 포함하는, 상기 피스톤 바디, 및
    상기 중공 부분에 배치된 웨이트로서, 상기 웨이트는,
    상기 제 1 내부 바디 면을 대면하는 제 1 외부 웨이트 면,
    상기 제 1 외부 웨이트 면에 반대되는 제 2 외부 웨이트 면,
    상기 제 1 외부 웨이트 면 및 상기 제 2 외부 웨이트 면 사이의 사이드 외부 웨이트 면, 및
    상기 제 1 외부 웨이트 면에 배치된 리세스
    를 포함하는, 상기 웨이트
    를 포함하고,
    상기 시린지가 상기 회전축에 대해 회전하는 원심 환경에서 상기 제 1 외부 웨이트 면이 제 1 내부 바디 면과 접촉할 때 상기 웨이트는 상기 제 1 내부 바디 면 및 상기 리세스 사이에 갭을 형성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생체조직으로부터 원심분리된 적어도 하나의 물질은 상기 제 1 유입구, 상기 제 1 유입 통로, 상기 갭 및 상기 유출구를 통해 배출되는 원심분리 장치.
  15. 제 14 항에 따른 원심분리 장치를 사용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시린지 내부에 생체조직 및 원심 피스톤을 제공하는 동작, 및
    상기 시린지를 상기 회전축에 대해 회전시켜 상기 생체조직을 원심분리하는 동작
    을 포함하고,
    상기 생체조직을 원심분리하는 동작은 상기 제 1 외부 웨이트 면이 상기 제 1 내부 바디 면과 접촉할 때 상기 생체조직으로부터 원심분리된 적어도 하나의 물질을 상기 유입구, 상기 제 1 유입 통로, 상기 갭 및 상기 유출구를 통해 배출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원심분리 장치.
KR1020220145970A 2021-11-09 2022-11-04 원심 피스톤 및 이를 포함하는 원심분리 장치 KR1027101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8/038,383 US20230405610A1 (en) 2021-11-09 2022-11-07 Centrifugal piston and centrifugal separation device having same
CN202280007530.1A CN116457102A (zh) 2021-11-09 2022-11-07 离心活塞及包括其的离心分离装置
PCT/KR2022/017353 WO2023085708A1 (ko) 2021-11-09 2022-11-07 원심 피스톤 및 이를 포함하는 원심분리 장치
JP2023531621A JP7511953B2 (ja) 2021-11-09 2022-11-07 遠心ピストン及びこれを備える遠心分離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10152903 2021-11-09
KR1020210152903 2021-11-0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67535A true KR20230067535A (ko) 2023-05-16
KR102710121B1 KR102710121B1 (ko) 2024-09-27

Family

ID=865463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45970A KR102710121B1 (ko) 2021-11-09 2022-11-04 원심 피스톤 및 이를 포함하는 원심분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710121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26585A (ko) * 2017-09-05 2019-03-13 이준석 원심분리용 피스톤 및 이를 포함하는 원심분리 장치
KR20190092105A (ko) * 2018-01-30 2019-08-07 이준석 원심분리용 피스톤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26585A (ko) * 2017-09-05 2019-03-13 이준석 원심분리용 피스톤 및 이를 포함하는 원심분리 장치
KR20190092105A (ko) * 2018-01-30 2019-08-07 이준석 원심분리용 피스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710121B1 (ko) 2024-09-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S58219959A (ja) 遠心分離機アセンブリ
US11623228B2 (en) Piston for centrifugation
US20160030661A1 (en) Blood separation container for extracting self-platelet
KR101197974B1 (ko) 신속한 원심분리가 가능한 원심분리용 용기
JP6633725B2 (ja) 体液分離装置
JP6529664B2 (ja) フィルタ注射器
JP2002511011A (ja) 自己血液回収のための遠心ボウル装置
US11896984B2 (en) Container for centrifugation
KR20230067535A (ko) 원심 피스톤 및 이를 포함하는 원심분리 장치
US20200290059A1 (en) Centrifuge and centrifugation method
KR20220042041A (ko) 원심분리기 용기 및 혈액 원심분리 시스템
JP6907183B2 (ja) サンプル分離および収集の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JP7511953B2 (ja) 遠心ピストン及びこれを備える遠心分離装置
EP3912654A1 (en) Body fluid component separating device
CN116457102A (zh) 离心活塞及包括其的离心分离装置
KR102446918B1 (ko) 원심분리용 피스톤 및 이를 포함하는 원심분리 장치
US20220133962A1 (en) Body fluid component separating device
JP2006247217A (ja) 遠心分離器
KR20190008584A (ko) 성분별 분리추출이 용이한 원심분리용기
KR20140141195A (ko) 원심분리키트 및 이를 이용한 목표물질 추출방법
KR101848869B1 (ko) 원심분리용 용기
KR102538325B1 (ko) 원심 분리용 챔버 및 이를 이용한 원심 분리 방법
US20230010728A1 (en) Device and Method for Centrifuging a Physiological Fluid
KR102407040B1 (ko) 원심분리용 용기
KR102302773B1 (ko) 원심 분리용 챔버 및 이를 이용한 원심 분리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