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66633A - 무정전 전원 장치 - Google Patents

무정전 전원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66633A
KR20230066633A KR1020237012940A KR20237012940A KR20230066633A KR 20230066633 A KR20230066633 A KR 20230066633A KR 1020237012940 A KR1020237012940 A KR 1020237012940A KR 20237012940 A KR20237012940 A KR 20237012940A KR 20230066633 A KR20230066633 A KR 2023006663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supply
power
converter
supply voltage
contr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129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료고 이마니시
노부유키 모모치
Original Assignee
도시바 미쓰비시덴키 산교시스템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시바 미쓰비시덴키 산교시스템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도시바 미쓰비시덴키 산교시스템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300666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6663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9/00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 H02J9/04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in which the distribution system is disconnected from the normal source and connected to a standby source
    • H02J9/06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in which the distribution system is disconnected from the normal source and connected to a standby source with automatic change-over, e.g. UPS systems
    • H02J9/061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in which the distribution system is disconnected from the normal source and connected to a standby source with automatic change-over, e.g. UPS systems for DC powered load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9/00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 H02J9/04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in which the distribution system is disconnected from the normal source and connected to a standby source
    • H02J9/06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in which the distribution system is disconnected from the normal source and connected to a standby source with automatic change-over, e.g. UPS systems
    • H02J9/062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in which the distribution system is disconnected from the normal source and connected to a standby source with automatic change-over, e.g. UPS systems for AC powered load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3/00Circuit arrangements for ac mains or ac distribution networks
    • H02J3/007Arrangements for selectively connecting the load or loads to one or several among a plurality of power lines or power sourc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9/00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 H02J9/04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in which the distribution system is disconnected from the normal source and connected to a standby source
    • H02J9/06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in which the distribution system is disconnected from the normal source and connected to a standby source with automatic change-over, e.g. UPS system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9/00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 H02J9/04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in which the distribution system is disconnected from the normal source and connected to a standby source
    • H02J9/06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in which the distribution system is disconnected from the normal source and connected to a standby source with automatic change-over, e.g. UPS systems
    • H02J9/068Electronic means for switching from one power supply to another power supply, e.g. to avoid parallel connec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20/00Management or operation of end-user stationary applications or the last stages of power distribution; Controlling, monitoring or operating thereof
    • Y04S20/12Energy storage units, uninterruptible power supply [UPS] systems or standby or emergency generators, e.g. in the last power distribution stag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20/00Management or operation of end-user stationary applications or the last stages of power distribution; Controlling, monitoring or operating thereof
    • Y04S20/14Protecting elements, switches, relays or circuit breakers

Abstract

AC/DC 컨버터(42)는, 교류 전원(30)으로부터 공급되는 교류 전압 또는 부하(31)에 공급되는 교류 전압을 제1직류 전원 전압으로 변환한다. 전원선(16)은, 제1직류 전원 전압을 복수의 전력 변환 모듈(P) 및 바이패스 모듈(B0)에 대해서 전송한다. 바이패스 모듈(B0)은, 교류 전원(30) 및 부하(31)의 사이에 접속되는 스위치(20)와, 제1직류 전원 전압에 근거한 동작 전원 전압을 받아 동작하는 것에 의해, 스위치(20)의 온오프를 제어하는 제1제어 장치(28)를 포함한다. 각 전력 변환 모듈(P)은, 교류 전원(30) 또는 전력 저장 장치(32)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을 교류 전력으로 변환하여 부하(31)에 공급하는 전력 변환기와, 제1직류 전원 전압에 근거한 동작 전원 전압을 받아 동작하는 것에 의해, 전력 변환기를 제어하는 제2제어 장치(14)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무정전 전원 장치
본 개시는, 무정전 전원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단일의 무정전 전원 장치에, 모듈 단위로 용장화(redundancy)를 도모하는 모듈형 무정전 전원 장치를 채용하는 구성이 제안되고 있다. 모듈형 무정전 전원 장치는, 복수의 전력 변환 모듈(이하, 「파워 모듈」이라고도 부름)을 병렬 접속하는 것에 의해, 장치 내부에 파워 모듈의 병렬 회로를 갖고 있다. 무정전 전원 장치에 의한 전원 공급에 N대의 파워 모듈이 필요한 경우에는, (N+1)대의 파워 모듈을 실장하여 용장화를 도모하는 것에 의해, 전원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종래, 무정전 전원 장치에는, 무정전 전원 장치 전체를 제어하는 제어 장치의 동작 전원 전압을 생성하는 제어 전원을 탑재한 것이 있다(예를 들면, 국제 공개 제2021/044599호(특허문헌 1) 참조). 제어 전원은, 상용 교류 전원으로부터 주어지는 교류 전압에 근거하여, 제어 장치의 동작 전원 전압을 생성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특허문헌 1] 국제 공개 제2021/044599호
상술한 모듈형 무정전 전원 장치는, 핫 스왑(hot swap) 방식을 채용하고 있다. 핫 스왑 방식이란, 무정전 전원 장치의 운용 중에 파워 모듈을 정지하고, 당해 파워 모듈을 인출 및 삽입 가능한 구성을 의미한다. 이에 따르면, 파워 모듈의 고장 또는 점검시에 무정전 전원 장치에 의한 급전을 계속한 상태로 파워 모듈을 교환할 수 있다.
핫 스왑을 실현하기 위해, 각 파워 모듈에는, 내장하는 전력 변환기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장치와, 당해 제어 장치의 동작 전원 전압을 생성하는 제어 전원이 탑재되고 있다. 제어 장치는, 대응하는 전력 변환기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제어 회로, 및, 제어 신호에 따라 전력 변환기를 구동하는 드라이버 등을 포함하고 있다. 제어 회로를 구성하는 마이크로컴퓨터와, 드라이버 사이에 동작 전원 전압이 서로 다른 경우가 있다. 그 때문에, 제어 전원은, AC/DC 컨버터 및 DC/DC 컨버터를 포함하고, 교류 전압으로부터 복수의 동작 전원 전압을 생성하는 것이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이, 파워 모듈마다, 복수의 동작 전원 전압을 생성하는 제어 전원이 탑재하는 구성에서는, 파워 모듈의 수가 증가하는 것에 따라 제어 전원의 수도 증가하게 된다. 그 결과, 모듈형 무정전 전원 장치의 대형화 및 코스트의 증대를 초래하는 것이 염려된다.
본 개시는,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이며, 그 목적은, 병렬 접속된 복수의 파워 모듈을 구비하는 모듈형 무정전 전원 장치에 있어서, 소형화 및 저비용화를 실현하는 것이다.
본 개시의 한 양태에 따른 무정전 전원 장치는, 교류 전원과 부하 사이에 병렬 접속되는 복수의 전력 변환 모듈과, 교류 전원과 부하 사이에 접속되는 바이패스 모듈과, AC/DC 컨버터와, 전원선을 구비한다. AC/DC 컨버터는, 교류 전원으로부터 공급되는 교류 전압 또는 부하에 공급되는 교류 전압을 제1직류 전원 전압으로 변환한다. 전원선은, AC/DC 컨버터에 의해 생성되는 제1직류 전원 전압을 복수의 전력 변환 모듈 및 바이패스 모듈에 대해서 전송한다. 바이패스 모듈은, 교류 전원과 부하 사이에 접속되는 스위치와, 제1직류 전원 전압에 근거한 동작 전원 전압을 받아 동작하는 것에 의해, 스위치의 온오프를 제어하는 제1제어 장치를 포함한다. 복수의 전력 변환 모듈의 각각은, 교류 전원 또는 전력 저장 장치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을 교류 전력으로 변환하여 부하에 공급하는 전력 변환기와, 제1직류 전원 전압에 근거한 동작 전원 전압을 받아 동작하는 것에 의해, 전력 변환기를 제어하는 제2제어 장치를 포함한다.
본 개시에 의하면, 병렬 접속된 복수의 파워 모듈을 구비하는 모듈형 무정전 전원 장치의 소형화 및 저비용화를 실현할 수 있다.
도 1은 실시의 형태 1에 따른 무정전 전원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회로 블럭도이다.
도 2는 바이패스 모듈 및 파워 모듈의 구성을 나타내는 회로 블럭도이다.
도 3은 바이패스 모듈 및 파워 모듈의 제어 전원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4는 실시의 형태 2에 따른 무정전 전원 장치에 있어서의 제어 전원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5는 실시의 형태 3에 따른 무정전 전원 장치에 있어서의 제어 전원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6은 실시의 형태 4에 따른 무정전 전원 장치에 있어서의 제어 전원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이하에, 본 개시의 실시의 형태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 이하에서는 도면 중의 동일 또는 상당 부분에는 동일 부호를 붙이고 그 설명은 원칙적으로 반복하지 않는 것으로 한다.
[실시의 형태 1]
도 1은, 실시의 형태 1에 따른 무정전 전원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회로 블럭도이다.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실시의 형태 1에 따른 무정전 전원 장치(100)는, 바이패스 모듈 B0와, 복수의 파워 모듈 P1~Pn(n은 2 이상의 정수)과, 배터리(32)와, 통신선(15)과, 전원선(16)을 구비한다. 바이패스 모듈 B0 및 파워 모듈 P1~Pn은, 통신선(15)에 의해 서로 통신 가능하게 접속되어 있다. 바이패스 모듈 B0 및 파워 모듈 P1~Pn은 전원선(16)에 의해 서로 더 접속되어 있다.
바이패스 모듈 B0은, 입력 단자 T11과, 출력 단자 T12와, 입력 단자 T11 및 출력 단자 T12의 사이에 접속되는 스위치(도시하지 않음)를 갖는다.
파워 모듈 P1~Pn의 각각은, 컨버터 및 인버터(도시하지 않음)를 갖는 전력 변환 모듈이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파워 모듈 P1~Pn를 포괄적으로 「파워 모듈 P」라고 부르는 경우가 있다. 파워 모듈 P는, 입력 단자 T1과, 배터리 단자 T2와, 출력 단자 T3를 갖는다.
바이패스 모듈 B0의 입력 단자 T11 및 각 파워 모듈 P의 입력 단자 T1은 모두 상용 교류 전원(30)에 접속된다. 입력 단자 T11 및 입력 단자 T1은, 상용 교류 전원(30)으로부터 공급되는 상용 주파수의 교류 전압(이하, 교류 입력 전압이라고도 부름) VI를 받는다.
각 파워 모듈 P의 배터리 단자 T2는 배터리(32)에 접속된다. 배터리(32)는 직류 전력을 저장한다. 배터리(32)는 「전력 저장 장치」의 일 실시예에 대응한다. 배터리 단자 T2에는, 배터리(32) 대신에 콘덴서가 접속되어 있어도 좋다.
바이패스 모듈 B0의 출력 단자 T12 및 각 파워 모듈 P의 출력 단자 T3은 모두 부하(31)에 접속된다. 즉, 바이패스 모듈 B0 및 파워 모듈 P1~Pn은, 상용 교류 전원(30)과 부하(31) 사이에 서로 병렬로 접속되어 있다. 부하(31)는, 바이패스 모듈 B0 또는 파워 모듈 P1~Pn으로부터 공급되는 교류 전력에 의해 구동된다.
이러한 무정전 전원 장치는, 「모듈형 무정전 전원 장치」라고 불린다. 모듈형 무정전 전원 장치는, 무정전 전원 장치의 용량에 따른 대수의 파워 모듈의 병렬 회로를 내부에 구축하고 있다. 무정전 전원 장치에 의한 전원 공급에 N대의 파워 모듈이 필요한 경우에는, (N+1)대의 파워 모듈을 실장하여 용장화를 도모하는 것에 의해, 전원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단일의 무정전 전원 장치에 있어서 모듈 단위로 용장화를 도모하는 방식은, 「핫 스왑 방식」이라고도 불린다. 핫 스왑 방식이란, 무정전 전원 장치의 운용 중에 일부의 파워 모듈을 정지하고, 당해 파워 모듈을 인출 및 삽입 가능한 구조를 의미한다. 이에 따르면, 파워 모듈의 고장 또는 점검시에, 무정전 전원 장치에 의한 급전을 계속한 상태로 당해 파워 모듈을 교환할 수 있다.
무정전 전원 장치(100)는, 인버터 급전 모드와, 바이패스 급전 모드를 갖는다. 인버터 급전 모드는, 파워 모듈 P로부터 부하(31)에 교류 전력이 공급되는 모드이다. 인버터 급전 모드에서는, 상용 교류 전원(30)으로부터 공급되는 교류 전력이 파워 모듈 P의 컨버터에 의해 직류 전력으로 변환되고, 그 직류 전력이 인버터에 의해 교류 전력으로 변환되어 부하(31)에 공급된다. 바이패스 급전 모드는, 상용 교류 전원(30)으로부터 바이패스 모듈 B0를 거쳐 부하(31)에 교류 전력이 공급되는 모드이다. 바이패스 급전 모드에서는, 상용 교류 전원(30)으로부터 공급되는 교류 전력이, 파워 모듈 P를 통하지 않고 부하(31)에 공급된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낸 바이패스 모듈 B0 및 파워 모듈 P의 구성을 나타내는 회로 블럭도이다. 무정전 전원 장치(100)는, 상용 교류 전원(30)으로부터의 삼상 교류 전력을 직류 전력으로 변환하고, 그 직류 전력을 삼상 교류 전력으로 변환하여 부하(31)에 공급한다. 도 2에서는, 도면 및 설명의 간단화를 위해, 삼상(U상, V상, W상) 중 하나의 상에 대응하는 부분의 회로만이 나타나고 있다.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바이패스 모듈 B0은, 스위치(20)와, 제어 장치(28)를 구비한다. 스위치(20)는 입력 단자 T11과 출력 단자 T12 사이에 접속된다. 스위치(20)는, 예를 들면, 역병렬로 접속된 한 쌍의 사이리스터를 갖는 사이리스터 스위치이다. 스위치(20)의 온오프는 제어 장치(28)에 의해 제어된다. 스위치(20)는, 인버터 급전 모드시에 오프되고, 바이패스 급전 모드시에 온된다.
제어 장치(28)는, 파워 모듈 P1~Pn의 각각에 포함되는 제어 장치(14)와 통신선(15)에 의해 서로 통신 가능하게 접속되어 있다. 제어 장치(28)는, 통신선(15)을 거쳐 파워 모듈 P1~Pn의 제어 장치(14)와의 사이에 정보를 수수한다. 또, 제어 장치(28) 및 제어 장치(14) 사이의 통신은, 무선 통신 및 유선 통신 중 하나로 실현되어도 좋다. 제어 장치(28)는 「제1제어 장치」의 일 실시예에 대응한다.
제어 장치(28)는, 예를 들면, 마이크로컴퓨터를 주체로서 구성할 수 있다. 일례로서, 제어 장치(28)는, 도시하지 않는 메모리 및 CPU(Central Processing Unit)를 내장하고, 미리 메모리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CPU가 실행하는 소프트웨어 처리에 의해 제어 동작을 실행할 수 있다. 또는, 당해 제어 동작의 일부 또는 전부에 대해, 소프트웨어 처리를 대신하여, 내장된 전용 전자 회로 등을 이용한 하드웨어 처리에 의해 실현되는 것도 가능하다.
파워 모듈 P는, 입력 단자 T1, 배터리 단자 T2 및 출력 단자 T3에 부가하여, 스위치 S1~S3, 콘덴서(1, 5, 10), 리액터(2, 9), 직류 라인(6), 컨버터(4), 쌍방향 초퍼(7), 인버터(8), 전류 검출기(13), 및 제어 장치(14)를 구비한다.
입력 단자 T1은, 상용 교류 전원(30)으로부터 상용 주파수의 교류 전력을 받는다. 스위치 S1 및 리액터(2)는, 입력 단자 T1과 컨버터(4)의 입력 노드 사이에 직렬 접속된다. 콘덴서(1)는, 스위치 S1과 리액터(2) 사이의 노드 N1에 접속된다. 스위치 S1은, 대응하는 파워 모듈 P가 운전 상태로 된 경우에 온되고, 대응하는 파워 모듈 P가 대기 상태로 된 경우에 오프된다. 노드 N1에 나타나는 교류 입력 전압 VI의 순간값은, 제어 장치(14)에 의해 검출된다. 교류 입력 전압 VI의 순간값에 근거하여, 정전 발생의 유무 등이 판별된다.
콘덴서(1) 및 리액터(2)는, 교류 필터(3)를 구성한다. 교류 필터(3)는, 저역 통과 필터이며, 상용 교류 전원(30)으로부터 컨버터(4)에 상용 주파수의 교류 전류를 흐르게 하고, 컨버터(4)에서 발생하는 스위칭 주파수의 신호가 상용 교류 전원(30) 측에 흐르는 것을 방지한다.
컨버터(4)는, 제어 장치(14)에 의해 제어되고, 상용 교류 전원(30)으로부터 교류 전력이 정상적으로 공급되고 있는 상용 교류 전원(30)의 건전시는, 교류 전력을 직류 전력으로 변환하여 직류 라인(6)에 출력한다. 상용 교류 전원(30)으로부터의 교류 전력의 공급이 정지된 정전시는, 컨버터(4)의 운전은 정지된다. 컨버터(4)의 출력 전압은, 소망의 값으로 제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직류 라인(6)은, 컨버터(4), 쌍방향 초퍼(7) 및 인버터(8)에 접속된다. 직류 라인(6)에 나타나는 직류 전압 VD는, 제어 장치(14)에 의해 검출된다. 제어 장치(14)는, 상용 교류 전원(30)의 건전시에는, 컨버터(4)로부터 출력되는 직류 전압 VD가 참조 직류 전압 VDr로 되도록 컨버터(4)를 제어한다.
콘덴서(5)는, 직류 라인(6)에 접속되고, 직류 라인(6)의 직류 전압 VD를 평활화시킨다. 직류 라인(6)에 나타나는 직류 전압 VD의 순간값은, 제어 장치(14)에 의해 검출된다. 저항 소자는, 콘덴서(5)에 병렬 접속된다. 저항 소자는, 파워 모듈 P가 고장난 경우에 직류 전압 VD를 저하시키고, 무정전 전원 장치(100)의 사용자를 보호하기 위해서 설치되어 있다. 저항 소자의 저항값은, 컨버터(4)의 운전이 정지된 경우에, 콘덴서(5)의 단자간 전압 VD를 단시간에 0V로 저하시키는 것이 가능한 값으로 설정되어 있다.
쌍방향 초퍼(7)의 고전압측 노드는 직류 라인(6)에 접속되고, 그 저전압측 노드는 스위치 S2를 거쳐 배터리 단자 T2에 접속되어 있다. 쌍방향 초퍼(7)는, 제어 장치(14)에 의해 제어된다. 쌍방향 초퍼(7)는, 상용 교류 전원(30)의 건전시에는, 컨버터(4)에 의해 생성된 직류 전력을 배터리(32)에 저장한다. 쌍방향 초퍼(7)는, 상용 교류 전원(30)의 정전시에는, 배터리(32)의 직류 전력을 인버터(8)에 공급한다. 스위치 S2는, 파워 모듈 P의 사용시에 온되고, 예를 들면 배터리(32)의 유지보수시에 오프된다.
인버터(8)는, 제어 장치(14)에 의해 제어되고, 상용 교류 전원(30)의 건전시에는, 컨버터(4)에 의해 생성된 직류 전력을 상용 주파수의 교류 전력으로 변환한다. 인버터(8)는, 상용 교류 전원(30)의 정전시에는, 배터리(32)로부터 쌍방향 초퍼(7)를 거쳐 공급되는 직류 전력을 상용 주파수의 교류 전력으로 변환한다. 인버터(8)의 출력 전압은, 소망의 값으로 제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리액터(9)의 제1단자는 인버터(8)의 출력 노드에 접속되고, 제2단자(노드 N2)는 스위치 S3를 거쳐 출력 단자 T3에 접속된다. 콘덴서(10)는, 노드 N2에 접속된다. 노드 N2에 나타나는 교류 출력 전압 VO의 순간값은, 제어 장치(14)에 의해 검출된다. 전류 검출기(13)는, 노드 N2로부터 스위치 S3를 거쳐 출력 단자 T3(즉 부하(31))에 흐르는 전류 IO의 순간값을 검출하고, 그 검출값을 나타내는 신호 IOf를 제어 장치(14)에 부여한다.
리액터(9) 및 콘덴서(10)는, 교류 필터(11)를 구성한다. 교류 필터(11)는, 저역 통과 필터이며, 인버터(8)로부터 부하(31) 측에 상용 주파수의 교류 전류를 흐르게 하고, 인버터(8)에서 발생하는 스위칭 주파수의 신호가 부하(31) 측에 통과하는 것을 방지한다. 환언하면, 교류 필터(11)는, 인버터(8)로부터 출력되는 직사각형파 형상의 전압을 정현파 형상의 전압으로 변환한다.
스위치 S3은, 제어 장치(14)에 의해 제어된다. 제어 장치(14)는, 대응하는 파워 모듈 P의 사용시에는 스위치 S3을 온하고, 대응하는 파워 모듈 P의 유지보수시에는 스위치 S3을 오프한다.
제어 장치(14)는, 예를 들면, 마이크로컴퓨터를 주체로서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일례로서, 제어 장치(14)는, 도시하지 않는 메모리 및 CPU를 내장하고, 미리 메모리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CPU가 실행하는 소프트웨어 처리에 의해, 제어 동작을 실행할 수 있다. 또는, 당해 제어 동작의 일부 또는 전부에 대해, 소프트웨어 처리를 대신하여, 내장된 전용 전자 회로 등을 이용한 하드웨어 처리에 의해 실현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어 장치(14)는, 교류 입력 전압 VI, 직류 전압 VD, 배터리(32)의 단자간 전압(배터리 전압) VB, 교류 출력 전류 IO 및 교류 출력 전압 VO 등에 근거하여, 대응하는 파워 모듈 P를 제어한다. 제어 장치(14)는, 교류 입력 전압 VI의 검출값에 근거하여 정전이 발생했는지 여부를 검출하고, 교류 입력 전압 VI의 위상에 동기하여 컨버터(4) 및 인버터(8)를 제어한다.
또 제어 장치(14)는, 상용 교류 전원(30)의 건전시는, 직류 전압 VD가 참조 직류 전압 VDr로 되도록 컨버터(4)를 제어하고, 상용 교류 전원(30)의 정전시는, 컨버터(4)의 운전을 정지시킨다. 제어 장치(14)는, 상용 교류 전원(30)의 건전시에는, 배터리 전압 VB가 참조 배터리 전압 VBr가 되도록 쌍방향 초퍼(7)를 제어한다. 제어 장치(14)는, 상용 교류 전원(30)의 정전시에는, 직류 라인(6)의 직류 전압 VD가 참조 직류 전압 VDr로 되도록 쌍방향 초퍼(7)를 제어한다.
또 제어 장치(14)는, 다른 각 파워 모듈 P의 제어 장치(14) 및 바이패스 모듈 B0의 제어 장치(28)와 통신선(15)에 의해 서로 통신 가능하게 접속되어 있고, 다른 각 파워 모듈 P의 제어 장치(14) 및 바이패스 모듈 B0의 제어 장치(28)와 정보의 수수를 행한다. 제어 장치(14)는, 파워 모듈 P1~Pn의 분담 전류가 동일해지도록, 컨버터(4) 및 인버터(8)를 제어한다.
제어 장치(28)는, 복수의 전류 검출기(13)의 출력 신호 IOf에 근거하여, 복수의 파워 모듈 P1~Pn의 출력 전류 IO의 합의 전류, 즉 부하 전류 IL를 구하고, 그 부하 전류 IL를 공급하기 위해서 필요한 파워 모듈 P의 적정 운전 대수를 구한다. 또한 제어 장치(28)는, 구해진 적정 운전 대수와 현재의 운전 대수를 비교하고, 그 비교 결과 및 미리 정해져 있는 대기의 우선 순위에 근거하여, 파워 모듈 P1~Pn의 각각을 대기 상태로 되게 할지 운전 상태로 되게 할지를 판별한다. 제어 장치(28)는, 판별 결과를, 통신선(15)을 거쳐 파워 모듈 P1~Pn의 각각의 제어 장치(14)에 통지한다.
제어 장치(14)는, 대응하는 파워 모듈 P를 대기 상태로 되게 하는 경우에는, 대응하는 스위치 S1을 오프시켜 상용 교류 전원(30)으로부터 대응하는 교류 필터(3)로의 전류의 유입을 저지하고, 또한, 대응하는 컨버터(4), 쌍방향 초퍼(7) 및 인버터(8)의 운전을 정지시킨다. 또 제어 장치(14)는, 대응하는 파워 모듈 P를 운전 상태로 되게 하는 경우는, 대응하는 스위치 S1을 온 상태로 유지시키는 것과 동시에, 대응하는 컨버터(4), 쌍방향 초퍼(7) 및 인버터(8)의 운전을 계속하게 한다.
다음에, 도 3을 참조하여, 실시의 형태 1에 따른 무정전 전원 장치(100)에 있어서의 제어 장치(14, 28)의 동작 전원 전압을 생성하는 제어 전원에 대해 설명한다.
도 3은, 바이패스 모듈 B0 및 파워 모듈 P의 제어 전원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바이패스 모듈 B0은, 제어 전원(40)을 구비한다. 제어 전원(40)은, 입력 단자 T11 및 출력 단자 T12에 접속된다. 제어 전원(40)은, 입력 단자 T11에 나타나는 교류 입력 전압 VI 또는 출력 단자 T12에 나타나는 교류 출력 전압 VO를 이용하여, 제어 장치(28)의 동작 전원 전압을 생성한다. 제어 전원(40)은 「제1제어 전원」의 일 실시예에 대응한다.
구체적으로는, 제어 전원(40)은, AC/DC 컨버터(42)와, DC/DC 컨버터(44)를 포함한다. AC/DC 컨버터(42)는, 무정전 전원 장치(100)의 기동시, 교류 입력 전압 VI를 직류 전원 전압 V1로 변환한다. 상용 교류 전원(30)의 정전시, AC/DC 컨버터(42)는, 교류 출력 전압 VO를 직류 전원 전압 V1로 변환한다. 이에 따르면, 상용 교류 전원(30)의 정전이 발생한 경우여도, 제어 전원(40)은, 교류 출력 전압 VO를 이용하여 직류 전원 전압 V1을 생성할 수 있다.
DC/DC 컨버터(44)는, AC/DC 컨버터(42)에 의해 생성되는 직류 전원 전압 V1을 직류 전원 전압 V2로 변환한다. 직류 전원 전압 V2는, 직류 전원 전압 V1보다 낮은 전압이다. 예를 들면, 직류 전원 전압 V1은 수십V이며, 직류 전원 전압 V2는 수V이다. 직류 전원 전압 V1은 「제1직류 전원 전압」의 일 실시예에 대응하고, 직류 전원 전압 V2는 「제2직류 전원 전압」의 일 실시예에 대응한다. DC/DC 컨버터(44)는 「제1DC/DC 컨버터」의 일 실시예에 대응한다.
제어 장치(28)는, 제어 회로(280)와, 드라이버(282)를 포함한다. 제어 회로(280)는, 직류 전원 전압 V2의 공급을 받아 동작한다. 제어 회로(280)는, 마이크로컴퓨터 또는 FPGA(Field-Programmable Gate Array)를 주체로서 구성할 수 있다. 제어 회로(280)는, 스위치(20)의 온오프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한다. 구체적으로는, 제어 회로(280)는, 스위치(20)를 온하기 위한 H(논리 하이) 레벨의 제어 신호를 생성하고, 스위치(20)를 오프하기 위한 L(논리 로우) 레벨의 제어 신호를 생성한다.
드라이버(282)는, 직류 전원 전압 V1의 공급을 받아 동작한다. 드라이버(282)는, 제어 회로(280)에 의해 생성되는 제어 신호에 따라 스위치(20)를 구동한다. 구체적으로는, 드라이버(282)는, 직류 전원 전압 V1에 근거하여, 스위치(20)를 구성하는 사이리스터의 게이트에 입력하는 전기 신호(게이트 신호)를 생성한다. 드라이버(282)는, H 레벨의 제어 신호에 따라, 사이리스터의 임계값 전압을 초과하는 전압의 게이트 신호를 생성하여 사이리스터의 게이트에 입력한다. 드라이버(282)는, L 레벨의 제어 신호에 따라, 사이리스터의 임계값 전압보다 낮은 전압의 게이트 신호를 생성하여 사이리스터의 게이트에 입력한다.
제어 전원(40)은 AC/DC 컨버터(42)에 의해 생성된 직류 전원 전압 V1을, 전원선(16)을 거쳐 파워 모듈 P1~Pn에 더 전송한다.
파워 모듈 P는, 제어 전원(50)을 구비한다. 제어 전원(50)은, 전원선(16)에 접속된다. 제어 전원(50)은, 전원선(16)을 거쳐 공급되는 직류 전원 전압 V1을 이용하여, 제어 장치(14)의 동작 전원 전압을 생성한다. 구체적으로는, 제어 전원(50)은, DC/DC 컨버터(52)를 포함한다. DC/DC 컨버터(52)는, 직류 전원 전압 V1을 직류 전원 전압 V2로 변환한다. 제어 전원(50)은 「제2제어 전원」의 일 실시예에 대응한다. DC/DC 컨버터(52)는 「제2DC/DC 컨버터」의 일 실시예에 대응한다.
제어 장치(14)는, 제어 회로(140)와, 드라이버(142)를 포함한다. 제어 회로(140)는, 직류 전원 전압 V2의 공급을 받아 동작한다. 제어 회로(140)는, 마이크로컴퓨터 또는 FPGA를 주체로서 구성할 수 있다. 제어 회로(140)는, 컨버터(4), 쌍방향 초퍼(7) 및 인버터(8)의 각각에 포함되는 반도체 스위칭 소자(도시하지 않음)의 온오프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한다. 반도체 스위칭 소자에는, 대표적으로는, MOSFET(Metal Oxide Semiconductor Field Effect Transistor) 또는 IGBT(Insulated Gate Bipolar Transistor)를 적용할 수 있다. 제어 회로(140)는, 반도체 스위칭 소자를 온하기 위한 H 레벨의 제어 신호를 생성하고, 반도체 스위칭 소자를 오프하기 위한 L 레벨의 제어 신호를 생성한다.
드라이버(142)는, 직류 전원 전압 V1을 받아 동작한다. 드라이버(142)는, 제어 회로(140)에 의해 생성되는 제어 신호에 따라, 컨버터(4), 쌍방향 초퍼(7) 및 인버터(8)를 구동한다. 구체적으로는, 드라이버(142)는, 직류 전원 전압 V1에 근거하여, 컨버터(4), 쌍방향 초퍼(7) 및 인버터(8)의 각각에 포함되는 반도체 스위칭 소자의 제어 전극(예를 들면, 게이트)에 입력하는 전기 신호(게이트 신호)를 생성한다. 드라이버(142)는, H 레벨의 제어 신호에 따라, 반도체 스위칭 소자의 임계값 전압을 초과하는 게이트 신호를 생성하여 반도체 스위칭 소자의 게이트에 입력한다. 드라이버(142)는, L 레벨의 제어 신호에 따라, 반도체 스위칭 소자의 임계값 전압보다 낮은 전압의 게이트 신호를 생성하여 반도체 스위칭 소자의 게이트에 입력한다.
또,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바이패스 모듈 B0의 제어 장치(28)의 동작 전원 전압과, 파워 모듈 P의 제어 장치(14)의 동작 전원 전압을 서로 동일한 전압으로 했지만, 제어 장치(28)와 제어 장치(14) 사이에 동작 전원 전압의 크기가 달라도 좋다.
또,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제어 전원(40) 및 제어 전원(50)의 각각을, 2 종류의 직류 전원 전압을 생성하는 구성으로 했지만, 제어 장치(14, 28)의 구성에 따라 3 종류 이상의 직류 전원 전압을 생성하는 구성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실시의 형태 1에 따른 무정전 전원 장치에 의하면, 단일의 AC/DC 컨버터(42)에 의해 교류 전압이 직류 전원 전압 V1로 변환되고, 이 직류 전원 전압 V1이 전원선(16)을 거쳐 복수의 파워 모듈 P1~Pn의 각각의 제어 전원(50)에 부여된다. 파워 모듈 P1~Pn의 각각에 있어서, 제어 전원(50)은, 전원선(16)을 거쳐 부여되는 직류 전원 전압 V1을 이용하여 직류 전원 전압 V2를 생성한다.
즉, 실시의 형태 1에 따른 무정전 전원 장치에서는, 바이패스 모듈 B0 및 복수의 파워 모듈 P1~Pn의 제어 전원(40, 50)의 사이에 있어서, AC/DC 컨버터(42)가 공통화되고 있다. 이에 따르면,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파워 모듈 P1~Pn의 각각에 있어서 AC/DC 컨버터의 설치를 생략할 수 있다.
여기서, 도 3과 같이 AC/DC 컨버터(42)를 공통화하는 구성과, 각 파워 모듈 P에 AC/DC 컨버터를 탑재하는 구성을 비교한다. 공통화된 AC/DC 컨버터(42)는, 각 파워 모듈 P에 탑재되는 AC/DC 컨버터와 비교하여 출력 전력이 증가하기 때문에, 보다 큰 용량이 필요하게 되고, 사이즈가 대형화한다. 그 한편으로, 각 파워 모듈 P에 있어서는, AC/DC 컨버터의 설치가 불필요해지기 때문에, 부품 점수를 삭감할 수 있다. 따라서, 파워 모듈 P의 소형화 및 저비용화가 가능해진다. 이것에 의해, 무정전 전원 장치(100) 전체적으로, 소형화 및 저비용화를 실현할 수 있다.
또 실시의 형태 1에 따른 무정전 전원 장치에 있어서는, 바이패스 모듈 B0 및 복수의 파워 모듈 P1~Pn의 사이에 AC/DC 컨버터(42)를 공통화하는 한편으로, 제어 회로(140)의 동작 전원 전압에 대해서는, 파워 모듈 P마다, DC/DC 컨버터(52)를 이용하여 생성된다. 제어 회로(140)를 구성하는 마이크로컴퓨터 또는 FPGA에 있어서는, 소음 또는 전자 노이즈 등의 외란에 의해 동작 전원 전압에 노이즈가 인가되면, 정상적인 동작을 할 수 없게 되는 경우가 있다. 그 때문에, 전원선(16)을 거쳐 각 파워 모듈 P의 제어 전원(50)에 동작 전원 전압을 공급하는 구성으로 한 경우에는, 전원선(16)에 노이즈가 중첩하는 것으로, 대응하는 파워 모듈 P에서 전력 변환기가 안정된 운전을 할 수 없게 될 가능성이 염려된다. 실시의 형태 1에서는, 파워 모듈 P마다, 전원선(16)으로부터 공급되는 직류 전원 전압 V1을 이용하여 제어 회로(140)의 동작 전원 전압이 생성되기 때문에, 상술한 노이즈의 영향을 받지 않고, 파워 모듈 P의 안정 동작을 실현할 수 있다.
[실시의 형태 2]
도 4는, 실시의 형태 2에 따른 무정전 전원 장치(100)에 있어서의 제어 전원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실시의 형태 2에 따른 무정전 전원 장치(100)의 구성은, 제어 전원을 제외하고 실시의 형태 1에 따른 무정전 전원 장치(100)의 구성과 동일하기 때문에, 상세한 설명은 반복하지 않는다.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바이패스 모듈 B0은, 제어 전원(40)을 구비한다. 제어 전원(40)의 구성은, 도 3에 나타낸 제어 전원(40)의 구성과 동일하다. 즉, 제어 전원(40)은, 교류 입력 전압 VI 또는 교류 출력 전압 VO를 직류 전원 전압 V1로 변환하는 AC/DC 컨버터(42)와, 직류 전원 전압 V1을 직류 전원 전압 V2로 변환하는 DC/DC 컨버터(44)를 포함한다.
파워 모듈 P는, 제어 전원(50)을 구비한다. 제어 전원(50)은, DC/DC 컨버터(52)와, DC/DC 컨버터(54)를 포함한다. 제어 전원(50)은, 도 3에 나타낸 제어 전원(50)과 비교하여, DC/DC 컨버터(54)를 포함하는 점이 다르다.
DC/DC 컨버터(54)는, 직류 라인(6)에 접속된다. DC/DC 컨버터(54)는, 직류 라인(6)에 나타나는 직류 전압 VD를 직류 전원 전압 V1로 변환한다. DC/DC 컨버터(54)는, 생성된 직류 전원 전압 V1을 전원선(16)에 출력한다. 드라이버(142)는, 전원선(16)을 거쳐 직류 전원 전압 V1의 공급을 받아 동작한다. DC/DC 컨버터(54)는 「제3DC/DC 컨버터」의 일 실시예에 대응한다.
DC/DC 컨버터(52)는, 전원선(16)을 거쳐 공급되는 직류 전원 전압 V1을 직류 전원 전압 V2로 변환한다. 제어 회로(140)는, 직류 전원 전압 V2의 공급을 받아 동작한다.
실시의 형태 2에서는, 파워 모듈 P의 제어 전원(50)은, 무정전 전원 장치(100)의 기동시는, 전원선(16)을 거쳐 바이패스 모듈 B0로부터 공급되는 직류 전원 전압 V1을 이용하여, 제어 장치(14)의 동작 전원 전압(직류 전원 전압 V1, V2)을 생성한다.
무정전 전원 장치(100)가 기동하면, 파워 모듈 P에 있어서, 제어 장치(14)는, 동작 전원 전압의 공급을 받아 동작한다. 구체적으로는, 제어 장치(14)는, 스위치 S1을 온시키는 것과 동시에, 컨버터(4)에 입력되는 교류 입력 전압 VI를 직류 전압 VD로 변환하여 직류 라인(6)에 출력한다. 제어 장치(14)는, 컨버터(4)로부터 출력되는 직류 전압 VD가 참조 직류 전압 VDr로 되도록 컨버터(4)를 제어한다. 직류 라인(6)에 출력되는 직류 전압 VD를 받아 콘덴서(5)가 초기 충전된다.
무정전 전원 장치(100)의 운전시에는, 파워 모듈 P의 제어 전원(50)은, 대응하는 파워 모듈 P의 직류 라인(6)에 나타나는 직류 전압 VD를 이용하여, 제어 장치(14)의 동작 전원 전압(직류 전원 전압 V1, V2)을 생성한다.
이와 같이 실시의 형태 2에 있어서는, 무정전 전원 장치(100)의 운전중, 파워 모듈 P1~Pn의 각각은, 바이패스 모듈 B0로부터 전원선(16)을 거쳐 공급되는 직류 전원 전압 V1에 관계없이, 직류 라인(6)의 직류 전압 VD를 이용하여 동작 전원 전압(직류 전원 전압 V1, V2)을 생성하도록 구성된다. 즉, 무정전 전원 장치(100)의 운전중, 파워 모듈 P1~Pn은, 바이패스 모듈 B0로부터 독립하여 동작 전원 전압을 생성한다. 이에 따르면, 무정전 전원 장치(100)의 운전중, 바이패스 모듈 B0를 정지시켜, 바이패스 모듈 B0를 인출 및 삽입하는 핫 스왑을 실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실시의 형태 3]
도 5는, 실시의 형태 3에 따른 무정전 전원 장치(100)에 있어서의 제어 전원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실시의 형태 3에 따른 무정전 전원 장치(100)의 구성은, 제어 전원을 제외하고 실시의 형태 1에 따른 무정전 전원 장치(100)의 구성과 동일하기 때문에, 상세한 설명은 반복하지 않는다.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바이패스 모듈 B0은, 제어 전원(40)을 구비한다. 제어 전원(40)의 구성은, 도 3에 나타낸 제어 전원(40)의 구성과 동일하다. 즉, 제어 전원(40)은, 교류 입력 전압 VI 또는 교류 출력 전압 VO를 직류 전원 전압 V1로 변환하는 AC/DC 컨버터(42)와, 직류 전원 전압 V1을 직류 전원 전압 V2로 변환하는 DC/DC 컨버터(44)를 포함한다.
파워 모듈 P는, 제어 전원(50)을 갖지 않은 점이, 도 3에 나타낸 파워 모듈 P와는 다르다. 파워 모듈 P는, 전원선(16)을 거쳐 바이패스 모듈 B0의 제어 전원(40)으로부터 직류 전원 전압 V1, V2의 공급을 받는다. 제어 회로(140)는, 전원선(16)으로부터 직류 전원 전압 V2의 공급을 받아 동작한다. 드라이버(142)는, 전원선(16)으로부터 직류 전원 전압 V1의 공급을 받아 동작한다.
실시의 형태 3에서는, 파워 모듈 P는 제어 전원(50)을 갖지 않는다. 제어 장치(14)는, 바이패스 모듈 B0의 제어 전원(40)에 의해 생성된 동작 전원 전압(직류 전원 전압 V1, V2)의 공급을 받아 동작한다. 그 때문에, 실시의 형태 3에 따른 제어 전원(40)은, 도 3에 나타낸 제어 전원(40)과 비교하여, DC/DC 컨버터(44)의 용량이 커지기 때문에, 사이즈가 대형화하게 된다.
그 한편으로, 파워 모듈 P1~Pn의 각각에 있어서는, 제어 전원(50)의 설치가 불필요해지기 때문에, 부품 점수를 삭감할 수 있고, 소형화 및 저비용화를 실현할 수 있다. 그 결과, 무정전 전원 장치(100) 전체적으로 더 소형화 및 저비용화가 가능해진다.
다만, 실시의 형태 3에서는, 제어 회로(140)의 동작 전원 전압(직류 전원 전압 V2)이 전원선(16)에 중첩한 노이즈의 영향을 받기 쉬워지는 것이 염려된다. 따라서, 실시의 형태 3은, 제어 회로(140)의 노이즈 내성이 높은 파워 모듈 P를 구비하는 무정전 전원 장치에 대해서 매우 적합한 구성이라고 할 수 있다.
[실시의 형태 4]
상술한 실시의 형태 1~3에서는, AC/DC 컨버터(42)를 바이패스 모듈 B0 내에 설치하는 구성예에 대해 설명했지만, 실시의 형태 4에서는, AC/DC 컨버터(42)를 바이패스 모듈 B0의 외부에 마련하는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도 6은, 실시의 형태 4에 따른 무정전 전원 장치(100)에 있어서의 제어 전원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실시의 형태 4에 따른 무정전 전원 장치(100)는, AC/DC 컨버터(42)가 바이패스 모듈 B0의 제어 전원(40)과 별개로 설치되어 있는 점이 도 3에 나타낸 무정전 전원 장치(100)와는 다르다.
AC/DC 컨버터(42)는, 예를 들면, 바이패스 모듈 B0 및 파워 모듈 P1~Pn를 수용하는 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된다. 도시는 생략하지만, AC/DC 컨버터(42)는, 예를 들면, 무정전 전원 장치(100) 전체를 통괄 제어하기 위한 콘트롤러 모듈의 내부에 탑재해도 좋다.
AC/DC 컨버터(42)는, 입력 단자 T11 및 출력 단자 T12에 접속된다. AC/DC 컨버터(42)는, 교류 입력 전압 VI 또는 교류 출력 전압 VO를 직류 전원 전압 V1로 변환한다. AC/DC 컨버터(42)는, 직류 전원 전압 V1을 전원선(16)을 거쳐, 바이패스 모듈 B0 및 파워 모듈 P1~Pn에 전송한다.
바이패스 모듈 B0에 있어서, 제어 전원(40)은 전원선(16)에 접속된다. 제어 전원(40)은, DC/DC 컨버터(44)를 포함한다. DC/DC 컨버터(44)는, 직류 전원 전압 V1을 직류 전원 전압 V2로 변환한다. 제어 회로(280)는, DC/DC 컨버터(44)로부터 직류 전원 전압 V2의 공급을 받아 동작한다. 드라이버(282)는, 전원선(16)으로부터 직류 전원 전압 V1을 받아 동작한다.
파워 모듈 P에 있어서, 제어 전원(50)은 전원선(16)에 접속된다. 제어 전원(50)은, DC/DC 컨버터(52)를 포함한다. DC/DC 컨버터(52)는, 직류 전원 전압 V1을 직류 전원 전압 V2로 변환한다. 제어 회로(140)는, DC/DC 컨버터(52)로부터 직류 전원 전압 V2의 공급을 받아 동작한다. 드라이버(142)는, 전원선(16)으로부터 직류 전원 전압 V1을 받아 동작한다.
실시의 형태 4에 있어서도, 바이패스 모듈 B0 및 복수의 파워 모듈 P1~Pn의 사이에 AC/DC 컨버터(42)가 공통화되어 있다. 따라서, 실시의 형태 1과 동일한 효과가 얻어진다.
이번 개시된 실시의 형태는 모든 점에서 예시로서 제한적인 것은 아니라고 생각되어야 하는 것이다. 본 개시는 상기한 설명이 아니라 청구의 범위에 의해 나타나고, 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의미 및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이 포함되는 것이 의도된다.
1, 5, 10 : 콘덴서 2, 9 : 리액터
3, 11 : 교류 필터 4 : 컨버터
6 : 직류 라인 7 : 쌍방향 초퍼
8 : 인버터 13 : 전류 검출기
14, 28 : 제어 장치 15 : 통신선
16 : 전원선 20, S1~S3 : 스위치
30 : 상용 교류 전원 31 : 부하
32 : 배터리 40, 50 : 제어 전원
42 : AC/DC 컨버터 44, 52, 54 : DC/DC 컨버터
100 : 무정전 전원 장치 140, 280 : 제어 회로
142, 282 : 드라이버 B0 : 바이패스 모듈
P1~Pn, P : 파워 모듈 T1, T11 : 입력 단자
T2 : 배터리 단자 T3, T12 : 출력 단자

Claims (7)

  1. 교류 전원과 부하 사이에 병렬 접속되는 복수의 전력 변환 모듈과,
    상기 교류 전원과 상기 부하 사이에 접속되는 바이패스 모듈과,
    상기 교류 전원으로부터 공급되는 교류 전압 또는 상기 부하에 공급되는 교류 전압을 제1직류 전원 전압으로 변환하는 AC/DC 컨버터와,
    상기 AC/DC 컨버터에 의해 생성되는 상기 제1직류 전원 전압을 상기 복수의 전력 변환 모듈 및 상기 바이패스 모듈에 대해서 전송하는 전원선을 구비하고,
    상기 바이패스 모듈은,
    상기 교류 전원과 상기 부하 사이에 접속되는 스위치와,
    상기 제1직류 전원 전압에 근거한 동작 전원 전압을 받아 동작하는 것에 의해, 상기 스위치의 온 오프를 제어하는 제1제어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전력 변환 모듈의 각각은,
    상기 교류 전원 또는 전력 저장 장치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을 교류 전력으로 변환하여 상기 부하에 공급하는 전력 변환기와,
    상기 제1직류 전원 전압에 근거한 동작 전원 전압을 받아 동작하는 것에 의해, 상기 전력 변환기를 제어하는 제2제어 장치를 포함하는
    무정전 전원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패스 모듈은, 상기 전원선에 접속되고, 상기 제1직류 전원 전압을 이용하여 상기 제1제어 장치의 동작 전원 전압을 생성하는 제1제어 전원을 더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전력 변환 모듈의 각각은, 상기 전원선에 접속되고, 상기 제1직류 전원 전압을 이용하여 상기 제2제어 장치의 동작 전원 전압을 생성하는 제2제어 전원을 더 포함하는
    무정전 전원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제어 전원은, 상기 제1직류 전원 전압을 제2직류 전원 전압으로 변환하는 제1DC/DC 컨버터를 포함하고,
    상기 제1제어 장치는,
    상기 제1DC/DC 컨버터로부터 상기 제2직류 전원 전압을 받아 동작하는 것에 의해, 상기 스위치의 온오프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제1제어 회로와,
    상기 전원선으로부터 상기 제1직류 전원 전압을 받아 동작하는 것에 의해, 상기 제1제어 회로의 출력 신호에 따라 상기 스위치를 구동하는 제1드라이버를 포함하는
    무정전 전원 장치.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제어 전원은, 상기 제1직류 전원 전압을 제3직류 전원 전압으로 변환하는 제2DC/DC 컨버터를 포함하고,
    상기 제2제어 장치는,
    상기 제2DC/DC 컨버터로부터 상기 제3직류 전원 전압을 받아 동작하는 것에 의해, 상기 전력 변환기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제2제어 회로와,
    상기 전원선으로부터 상기 제1직류 전원 전압을 받아 동작하는 것에 의해, 상기 제2제어 회로의 출력 신호에 따라 상기 전력 변환기를 구동하는 제2드라이버를 포함하는
    무정전 전원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전력 변환 모듈의 각각에 있어서, 상기 전력 변환기는,
    상기 교류 전원으로부터 공급되는 교류 전력을 직류 전력으로 변환하는 컨버터와,
    상기 컨버터에 의해 생성된 직류 전력 또는 상기 전력 저장 장치의 직류 전력을 교류 전력으로 변환하는 인버터와,
    상기 컨버터와 상기 인버터 사이에 접속된 직류 라인을 포함하고,
    상기 제2제어 전원은, 상기 직류 라인의 직류 전압을 상기 제1직류 전원 전압으로 변환하여 상기 전원선에 출력하는 제3DC/DC 컨버터를 더 포함하는
    무정전 전원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패스 모듈은, 상기 전원선에 접속되고, 상기 제1직류 전원 전압을 이용하여 상기 제1제어 장치의 동작 전원 전압을 생성하는 제1제어 전원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제어 전원은, 상기 제1직류 전원 전압을 제2직류 전원 전압으로 변환하는 제1DC/DC 컨버터를 포함하고,
    상기 전원선은, 상기 AC/DC 컨버터에 의해 생성되는 상기 제1직류 전원 전압, 및, 상기 제1DC/DC 컨버터에 의해 생성되는 상기 제2직류 전원 전압을, 상기 복수의 전력 변환 모듈의 각각에 대해서 전송하고,
    상기 복수의 전력 변환 모듈의 각각에 있어서, 상기 제2제어 장치는,
    상기 전원선으로부터 상기 제2직류 전원 전압을 받아 동작하는 것에 의해, 상기 전력 변환기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제2제어 회로와,
    상기 전원선으로부터 상기 제1직류 전원 전압을 받아 동작하는 것에 의해, 상기 제2제어 회로의 출력 신호에 따라 상기 전력 변환기를 구동하는 제2드라이버를 포함하는
    무정전 전원 장치.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AC/DC 컨버터는 상기 바이패스 모듈에 탑재되는 무정전 전원 장치.
KR1020237012940A 2021-08-24 2021-08-24 무정전 전원 장치 KR2023006663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21/030957 WO2023026357A1 (ja) 2021-08-24 2021-08-24 無停電電源装置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66633A true KR20230066633A (ko) 2023-05-16

Family

ID=853218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12940A KR20230066633A (ko) 2021-08-24 2021-08-24 무정전 전원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240006911A1 (ko)
JP (1) JP7439298B2 (ko)
KR (1) KR20230066633A (ko)
CN (1) CN116349110A (ko)
WO (1) WO2023026357A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044599A1 (ja) 2019-09-05 2021-03-11 東芝三菱電機産業システム株式会社 無停電電源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678069B2 (ja) * 1999-08-31 2005-08-03 富士電機システムズ株式会社 無停電電源装置のバイパス回路
JP5328483B2 (ja) 2009-05-25 2013-10-30 三和シヤッター工業株式会社 非常用電源装置
US10476300B2 (en) 2015-07-16 2019-11-12 Toshiba Mitsubishi-Electric Industrial Systems Corporation Uninterruptible power supply devic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044599A1 (ja) 2019-09-05 2021-03-11 東芝三菱電機産業システム株式会社 無停電電源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WO2023026357A1 (ko) 2023-03-02
US20240006911A1 (en) 2024-01-04
WO2023026357A1 (ja) 2023-03-02
JP7439298B2 (ja) 2024-02-27
CN116349110A (zh) 2023-06-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106155B2 (en) Three-level power conversion circuit system
US7602626B2 (en) Power conversion apparatus
JP5159888B2 (ja) 電力変換装置
KR101189428B1 (ko) 전력 변환 장치
KR101725087B1 (ko) Mmc 컨버터의 서브모듈용 전원제어장치
US11368101B2 (en) Power conversion system
US9780681B2 (en) Power conversion system including plurality of power converters connected in parallel to load
EP2639950A1 (en) Filter circuit, and bidirectional power conversion apparatus provided with same
KR20140087450A (ko) 고장전류 감소기능을 가지는 컨버터
JP4059098B2 (ja) 交流−交流電力変換器のバックアップ装置
JP6150017B2 (ja) 駆動装置、マトリクスコンバータ及びエレベータシステム
JP5490263B2 (ja) 電力変換装置
KR20230066633A (ko) 무정전 전원 장치
KR20230019957A (ko) 전원 장치
US20230208185A1 (en) Uninterruptible power supply apparatus
JP4759535B2 (ja) 無停電電源装置
KR101792540B1 (ko) Mmc 컨버터의 서브모듈용 전원제어장치
JP7239520B2 (ja) 電力装置
JP2017195682A (ja) 電力変換装置
CN114641915A (zh) 不间断电源装置
KR20220145892A (ko) 무정전 전원 시스템
KR20200022631A (ko) 군용 모바일 마이크로그리드 시스템
CN112514226A (zh) 具有中间电路保护的逆变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