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66184A - 복사 히터를 구비한 차량 내장재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복사 히터를 구비한 차량 내장재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66184A
KR20230066184A KR1020210151533A KR20210151533A KR20230066184A KR 20230066184 A KR20230066184 A KR 20230066184A KR 1020210151533 A KR1020210151533 A KR 1020210151533A KR 20210151533 A KR20210151533 A KR 20210151533A KR 20230066184 A KR20230066184 A KR 2023006618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bric
radiant heater
manufacturing
substrate
vehicle interi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515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68126B1 (ko
Inventor
박태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서연이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서연이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서연이화
Priority to KR10202101515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68126B1/ko
Publication of KR202300661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661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681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681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3/00Compression moulding, i.e. applying external pressure to flow the moulding material; Apparatus therefor
    • B29C43/22Compression moulding, i.e. applying external pressure to flow the moulding material; Apparatus therefor of articles of indefinite length
    • B29C43/28Compression moulding, i.e. applying external pressure to flow the moulding material; Apparatus therefor of articles of indefinite length incorporating preformed parts or layers, e.g. compression moulding around inserts or for coating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3/00Compression moulding, i.e. applying external pressure to flow the moulding material; Apparatus therefor
    • B29C43/22Compression moulding, i.e. applying external pressure to flow the moulding material; Apparatus therefor of articles of indefinite length
    • B29C43/24Calende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3/00Compression moulding, i.e. applying external pressure to flow the moulding material; Apparatus therefor
    • B29C43/22Compression moulding, i.e. applying external pressure to flow the moulding material; Apparatus therefor of articles of indefinite length
    • B29C43/30Making multilayered or multicoloured articles
    • B29C43/305Making multilayered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3/00Compression moulding, i.e. applying external pressure to flow the moulding material; Apparatus therefor
    • B29C43/32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3/44Compression means for making articles of indefinite length
    • B29C43/46Rol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4/00Shaping by internal pressure generated in the material, e.g. swelling or foaming ; Producing porous or cellular expanded plastics articles
    • B29C44/02Shaping by internal pressure generated in the material, e.g. swelling or foaming ; Producing porous or cellular expanded plastics articles for articles of definite length, i.e. discrete articles
    • B29C44/12Incorporating or moulding on preformed parts, e.g. inserts or reinforc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4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incorporating preformed parts or layers, e.g. injection moulding around inserts or for coating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3/00Lining or sheathing, i.e. applying preformed layers or sheathings of plastics; Apparatus therefor
    • B29C63/02Lining or sheathing, i.e. applying preformed layers or sheathings of plastics; Apparatus therefor using sheet or web-like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5/0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B29C65/7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by moul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6/0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 B29C66/01General aspects dealing with the joint area or with the area to be joined
    • B29C66/02Preparation of the material, in the area to be joined, prior to joining or welding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20Heating elements having extended surface area substantially in a two-dimensional plane, e.g. plate-heater
    • H05B3/34Heating elements having extended surface area substantially in a two-dimensional plane, e.g. plate-heater flexible, e.g. heating nets or web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2793/00Shaping techniques involving a cutting or machining operation
    • B29C2793/0027Cutting of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2793/00Shaping techniques involving a cutting or machining operation
    • B29C2793/0045Perfor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Other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30Vehicles, e.g. ships or aircraft, or body parts thereof
    • B29L2031/3005Body finish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Other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30Vehicles, e.g. ships or aircraft, or body parts thereof
    • B29L2031/3055Ca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Surface Heating Bodies (AREA)
  • Vehicle Interior And Exterior Ornaments, Soundproofing, And Insul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복사 히터를 구비한 차량 내장재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전원 인가에 의해 발열하는 복사 히터를 구비한 차량 내장재를 제조하기 위한 복사 히터를 구비한 차량 내장재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복사 히터를 필름 형태로 제조하는 복사 히터 제조 단계; 일면에 원단 커버레이가 접착 부착된 원단을 제조하는 원단 제조 단계; 상기 복사 히터 제조 단계에서 제조된 상기 복사 히터와 상기 원단 제조 단계에서 제조된 상기 원단을 합지하여 접합하는 원단 접합 단계; 및 상기 원단 접합 단계에서 접합된 상기 복사 히터와 상기 원단의 접합물을 기재에 부착 결합하는 기재 결합 단계;를 포함함으로써, 복사 히터와 원단이 일체로 거동하게 함으로써 서로 박리되지 않게 하여 차량 내장재의 품질을 향상시키고, 원단의 저면 측에 복사 히터를 구성하는 전선, 센서 등이 위치한 경우 원단에 그 외관의 형태가 드러나지 않게 하고 원단이 찢어지는 것을 방지하게 하며, 복사 히터에 원단을 부착하는 원단 작업이 용이하게 하여 두꺼운 원단은 물론 다양한 원단을 적용시킬 수 있는 가능성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복사 히터를 구비한 차량 내장재 제조 방법 {METHOD FOR MANUFACTURING CAR INTERIOR MATERIAL HAVING RADIATION HEATER}
본 발명은 차량 내장재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전원 인가에 의해 발열하는 복사 히터를 구비한 차량 내장재를 제조하기 위한 복사 히터를 구비한 차량 내장재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차량에서 공조 시스템에 의한 히팅 방식은 차량 실내의 온도를 높이는 데 상당한 시간이 소요되므로 복사열을 이용하는 히터가 병행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더욱이 내연기관 엔진을 사용하지 않는 전기 자동차의 경우 엔진열을 이용할 수 없기 때문에 전기를 에너지원으로 하는 복사 히터가 적용되고 있다.
특히, 최근, 복사 히터를 차량 내장재(슈라우드, 도어트림, 필러트림, 콘솔, 헤드라이너, 크래시패드, 러기지트림 등)에 장착하여 사용하기 위한 기술 개발이 활발하다.
이러한 복사 히터의 열원체로서 열선을 이용하는 선상 발열체와 필름 형태(플렉시블한 면 형태)를 가지는 발열층을 이용하는 면상 발열체가 있다.
그러나 선상 발열체는 열선을 내장한 열선 패드를 이용하므로 면상 발열체에 비해 두께가 두꺼워질 수밖에 없고 차량에 적용할 경우 복잡한 형상의 곡면에 적용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선상 발열체보다는 면상 발열체가 폭넓게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도 1은 종래의 복사 히터를 구비한 차량 내장재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일측 단면도이고, 도 2는 종래의 복사 히터를 구비한 차량 내장재 제조 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순서 흐름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복사 히터를 구비한 차량 내장재는, 차량 내장재의 일부를 구성하는 기재(103)의 상면에 단열부(104)가 적층 부착되고, 상기 단열부(104)의 상면에 복사 히터(101)가 적층 부착되고, 상기 복사 히터(101)의 상면에 원단(102)이 적층 부착된 구조를 가진다.
도 2를 참조하면, 종래의 복사 히터를 구비한 차량 내장재 제조 방법은, 상기 기재(103)를 사출성형 등의 방법으로 제조하는 기재 결합 단계(S110), 상기 단열부(104)를 상기 기재(103)의 상면에 발포 성형하여 적층 부착시키는 단열부 성형 단계(S120), 상기 기재(103)의 상면에 상기 단열부(104)를 매개로 상기 복사 히터(101)를 부착하는 복사 히터 부착 단계(S130), 및 상기 복사 히터(101) 외측면에 접착제를 도포하고 상기 원단(102)을 덮어 적층 부착시키는 원단 접합 단계(S140)를 포함한다.
이 경우, 상기 단열부 성형 단계(S120)는 생략되고 복사 히터 부착 단계(S130)에서 상기 기재(103)의 상면에 상기 복사 히터(101)가 직접 적층 부착될 수도 있으나, 상기 복사 히터(101)의 열에 의해 상기 기재(103)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기재(103)로의 열 전달로 인한 상기 복사 히터(101)의 열 손실을 최소화하기 위해 상기 단열부(104)가 개재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원단(102)은 직물이나 인공 또는 천연 가죽 등을 사용한다.
이때, 종래의 복사 히터를 구비한 차량 내장재 제조 방법은, 상기 기재(103)의 외측면이 곡면으로 형성된 경우, 상기 원단 접합 단계(S140)에서 상기 원단(102)이 상기 기재(103) 외측면의 곡면을 형태를 따라 연신되면서 접착되므로 상기 원단(102)의 복원력에 의해 박리 현상이 쉽게 발생할 수 있고, 그로 인해 외관상 주름이나 혹이 발생하고 가압 시 이음이 발생하여 내장 부품으로서의 기능을 할 수 없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복사 히터를 구비한 차량 내장재 제조 방법은, 상기 원단 접합 단계(S140)에서 상기 원단(102)의 저면 측에 상기 복사 히터(101)를 구성하는 전선, 센서 등이 위치한 경우 상기 원단(102)에 그 외관의 형태가 드러나거나 상기 원단(102)이 찢길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아울러, 종래의 복사 히터를 구비한 차량 내장재 제조 방법은, 상기 원단 접합 단계(S140)에서 상기 원단(102)이 두껍고 강한 성질을 가지는 경우 상기 기재(103) 외측면의 곡면 형태를 따라 감싸기 작업하기에 더 큰 힘이 요구되어 작업성이 현저하게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고, 그로 인해 상기 원단(102)에 다양한 재료를 활용하지 못하는 한계가 있었다.
대한민국공개특허 제10-2017-0063040호(2017.06.08 공개)
전술한 문제점을 해소함에 있어, 본 발명의 목적은 복사 히터와 원단이 일체로 거동하게 함으로써 서로 박리되지 않게 하여 차량 내장재의 품질을 향상시키는 복사 히터를 구비한 차량 내장재 제조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원단의 저면 측에 복사 히터를 구성하는 전선, 센서 등이 위치한 경우 원단에 그 외관의 형태가 드러나지 않게 하고 원단이 찢어지는 것을 방지하게 하는 복사 히터를 구비한 차량 내장재 제조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목적은 복사 히터에 원단을 부착하는 원단 작업이 용이하게 하여 두꺼운 원단은 물론 다양한 원단을 적용시킬 수 있는 가능성을 제공하는 복사 히터를 구비한 차량 내장재 제조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기술을 가지는 사람에 의하여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사 히터를 구비한 차량 내장재 제조 방법은, 전원 인가에 의해 발열하는 복사 히터를 구비한 차량 내장재를 제조하기 위한 복사 히터를 구비한 차량 내장재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복사 히터를 필름 형태로 제조하는 복사 히터 제조 단계; 일면에 원단 커버레이가 접착 부착된 원단을 제조하는 원단 제조 단계; 상기 복사 히터 제조 단계에서 제조된 상기 복사 히터와 상기 원단 제조 단계에서 제조된 상기 원단을 합지하여 접합하는 원단 접합 단계; 및 상기 원단 접합 단계에서 접합된 상기 복사 히터와 상기 원단의 접합물을 기재에 부착 결합하는 기재 결합 단계;를 포함한다.
이 경우, 상기 복사 히터 제조 단계는, 하나의 상기 기재와 결합되는 상기 복사 히터가 연결부를 매개로 다수개 연결된 복사 히터 연결체를 제조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복사 히터 제조 단계는, 타발 공정에 의해 다수개의 상기 복사 히터 사이에 리브 형태의 상기 연결부를 남기고 절단하여 상기 복사 히터 연결체를 제조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원단 제조 단계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복사열 방출홀이 형성되는 상기 원단 커버레이를 사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원단 접합 단계는, 롤 형태로 권취된 상기 복사 히터 연결체와 롤 형태로 권취된 상기 원단을 각각 권출하여 합지시키면서 롤러 프레스에 투입하여 부착 접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원단 접합 단계는, 롤 형태로 권취된 상기 복사 히터 연결체와 롤 형태로 권취된 상기 원단을 각각 권출하여 합지시킬 때 상기 복사 히터의 발열부 상측에 상기 원단에 접착 부착된 상기 원단 커버레이에 형성된 상기 복사열 방출홀이 위치하도록 한 후 상기 롤러 프레스에 투입하여 부착 접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사 히터를 구비한 차량 내장재 제조 방법은, 상기 원단 접합 단계에서 접합된 상기 복사 히터 연결체와 상기 원단의 상기 접합물을 사용 크기로 커팅하는 원단 커팅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기재 결합 단계는, 상기 복사 히터와 상기 원단이 접합된 상기 접합물을 인서트물로 하여 상기 기재를 인서트 사출로 성형하여 상기 복사 히터와 상기 원단이 접합된 상기 접합물을 상기 기재에 부착 결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재 결합 단계는, 상기 복사 히터와 상기 원단이 접합된 상기 접합물을 인서트물로 하여 상기 복사 히터를 덮으며 상기 기재에 부착 적층되는 단열부를 발포 성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기재 결합 단계는, 상기 복사 히터, 상기 원단 및 상기 단열부의 결합물을 인서트물로 하여 상기 기재를 인서트 사출로 성형하여 상기 복사 히터와 상기 원단이 접합된 상기 접합물을 상기 단열부를 매개로 상기 기재에 부착 결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기재 결합 단계는, 상기 복사 히터와 상기 원단이 접합된 상기 접합물과 기 제조된 상기 기재를 인서트물로 하여 상기 접합물과 상기 기재 사이에 단열부를 발포 성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복사 히터를 구비한 차량 내장재 제조 방법은 복사 히터와 원단이 일체로 거동하게 함으로써 서로 박리되지 않게 하여 차량 내장재의 품질을 향상시킨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복사 히터를 구비한 차량 내장재 제조 방법은 원단의 저면 측에 복사 히터를 구성하는 전선, 센서 등이 위치한 경우 원단에 그 외관의 형태가 드러나지 않게 하고 원단이 찢어지는 것을 방지하게 한다.
아울러, 본 발명에 의한 복사 히터를 구비한 차량 내장재 제조 방법은 복사 히터에 원단을 부착하는 원단 작업이 용이하게 하여 두꺼운 원단은 물론 다양한 원단을 적용시킬 수 있는 가능성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는 이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기술을 가지는 사람에 의하여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복사 히터를 구비한 차량 내장재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일측 단면도이다.
도 2는 종래의 복사 히터를 구비한 차량 내장재 제조 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순서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사 히터를 구비한 차량 내장재 제조 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순서 흐름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복사 히터 제조 단계를 설명하기 위해 복사 히터 연속체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A-A선을 따라 절개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일측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3에 도시된 원단 제조 단계를 설명하기 위해 원단 및 원단 커버레이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원단에 원단 커버레이가 접착 부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일측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3에 도시된 원단 접합 단계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9 내지 도 12는 도 3에 도시된 기재 결합 단계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본 발명에 있어 첨부된 도면은 종래 기술과의 차별성 및 명료성, 그리고 기술 파악의 편의를 위해 과장된 표현으로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로써,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기술적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한편, 실시예는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제시된 구성요소의 예시적 사항에 불과하고,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권리범위는 본 발명의 명세서 전반에 걸친 기술적 사상을 토대로 해석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구성이 어떤 구성을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그 외 다른 구성을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들을 더 포함할 수도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어떤 구성이 다른 구성에 "연결", "접속" 또는 "결합"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 '직접적으로 접속' 또는 '직접적으로 결합'되어 있는 경우 만이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구성을 개재한 채로 연결', '그 중간에 다른 구성을 개재한 채로 접속' 또는 '그 중간에 다른 구성을 개재한 채로 결합'되는 경우도 있을 수 있음을 의미한다. 반면에, 어떤 구성이 다른 구성에 "직접 연결", "직접 접속" 또는 "직접 결합"되어 있다고 할 때는, 중간에 다른 구성이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전", "후", "상", "하", "좌", "우", "일 단", "타 단", "양 단" 등과 같은 방향성 용어가 사용될 때 이는 개시된 도면들의 배향과 관련하여 예시적으로 사용되는 것이므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되고, "제 1", "제 2"등의 용어가 사용될 때 이는 각 구성을 구별하기 위한 용어로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는 안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특징을 보다 명확히 설명하기 위하여, 이하의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사람에게 널리 알려져 있는 사항들에 관해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도면에서 실시예와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사 히터를 구비한 차량 내장재 제조 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순서 흐름도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복사 히터 제조 단계를 설명하기 위해 복사 히터 연속체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5는 도 4의 A-A선을 따라 절개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일측 단면도이고, 도 6은 도 3에 도시된 원단 제조 단계를 설명하기 위해 원단 및 원단 커버레이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원단에 원단 커버레이가 접착 부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일측 단면도이고, 도 8은 도 3에 도시된 원단 접합 단계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개념도이며, 도 9 내지 도 12는 도 3에 도시된 기재 결합 단계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3 내지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사 히터를 구비한 차량 내장재 제조 방법은 전원 인가에 의해 발열하는 복사 히터(10)를 구비한 차량 내장재를 제조하기 위한 복사 히터를 구비한 차량 내장재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사 히터를 구비한 차량 내장재 제조 방법은 복사 히터 제조 단계(S11), 원단 제조 단계(S11), 원단 접합 단계(S20) 및 기재 결합 단계(S40)를 포함한다.
이 경우,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사 히터를 구비한 차량 내장재 제조 방법은 원단 커팅 단계(S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사 히터 제조 단계(S11)는 상기 복사 히터(10)를 필름 형태로 제조하는 단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복사 히터(10)는 베이스부(11), 상기 베이스부(11)의 상면에 형성되는 전극부(12), 상기 전극부(12)에 의해 전원을 인가받아 발열하는 발열부(13), 및 상기 발열부(13)를 덮는 커버레이(14)를 포함한다.
상기 베이스부(11)는 필름 형태로 제조되고, 그 상면에 상기 전극부(12), 상기 발열부(13) 및 커버레이(14)가 적층 형성되는 구성이다. 상기 베이스부(11)는 그 하면이 차량 내장재(예: 상기 도어트림)를 구성하는 기재(30) 및/또는 단열부(40)에 접착층을 매개로 부착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베이스부(11)와 상기 기재(30) 사이에는 상기 복사 히터(10)의 열에 의해 상기 기재(103)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기재(30)로의 열 전달로 인한 상기 복사 히터(10)의 열 손실을 최소화하기 위해 상기 단열부(40)가 더 개재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부(11)는 폴리이미드(Polyimide, PI),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terephthalate, PET),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Polyethylenenaphthalate, PEN) 등의 재질로 구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전극부(12)는 양극과 음극을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부(11)의 일면에 에칭(Etching) 공법에 의해 패턴 형태로 형성된다. 이때, 상기 전극부(12)는 히터 구조물의 제어부(미도시) 및/또는 전원부(미도시)와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받고 제어될 수 있다. 이 경우, 히터 구조물에는 전선, 센서 등이 더 구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발열부(13)는 양 단이 상기 전극부(12)의 양극과 음극에 각각 접촉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이를 통해, 상기 발열부(13)는 상기 전극부(12)에 전원이 인가되면 상기 전극부(12)의 양극과 음극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저항체로 작용하여 발열하게 된다.
상기 발열부(13)는 탄소나노튜브(Carbon nanotube, CNT) 등의 재질로 구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상기 발열부(13)는 구리, 은 등의 도전성의 물질을 페이스트 형태를 가지도록 제조할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 커버레이(14)는 상기 발열부(13) 뿐만 아니라 상기 베이스부(11)의 일부(상기 전극부(12)의 일부를 포함할 수도 있음)를 덮도록 적층 개재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으며, 접착층을 매개로 각 구성에 적층될 수 있다. 상기 커버레이(14)는 그 일면에 후술하는 원단 커버레이(21)를 매개로 하여 원단(20)이 부착될 수 있다.
상기 커버레이(14)는 폴리이미드(Polyimide, PI),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terephthalate, PET),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Polyethylenenaphthalate, PEN) 등의 재질로 구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복사 히터 제조 단계(S11)는 하나의 상기 기재(30)와 결합되는 필름 형태를 가지는 상기 복사 히터(10)가 연결부(115)를 매개로 다수개 연결된 복사 히터 연결체(110)를 제조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복사 히터 연결체(110)는 상기 전극부(11)와 상기 발열부(12)가 그 사이에 개재되지 않고 상기 베이스부재(11)와 상기 커버레이(14)가 직접 부착된 부분에 형성된다. 상기 복사 히터 연결체(110)는 상기 전극부(12)와 상기 발열부(13)의 양 측에 상기 베이스부재(11)와 상기 커버레이(14)가 직접 부착된 부분에 형성되어 상기 복사 히터(10) 다수개를 연결한 구조를 가지게 된다.
이때, 상기 복사 히터 제조 단계(S11)는 타발 공정에 의해 다수개의 상기 복사 히터(10) 사이에 리브 형태의 상기 연결부(115)를 남기고 천공 또는 절단하여 상기 복사 히터 연결체(110)를 제조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특히, 도 4에서와 같이, 상기 연결부(115)는 리브 형태(특히 서로 인접한 상기 복사 히터(10)를 적어도 하나 이상의 리브로 연결하는 구조를 적용할 수 있음)로 제작되는 것이 상기 원단 커팅 단계(S30)에서의 절단 용이성 확보에 유리하다. 타발 공정은 천공 또는 절단 작업을 연속적으로 수행하는 타발기를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원단 제조 단계(S12)는 일면에 상기 원단 커버레이(21)가 접착 부착된 상기 원단(20)을 제조하는 단계이다.
상기 원단(20)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기재(30)에 맞게 특정한 형상으로 재단되지 않은 채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원단(20)은 직물이나 인공 또는 천연 가죽 등일 수 있다.
상기 원단 커버레이(21)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름 형태로 구뵈되되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복사열 방출홀(21a)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복사열 방출홀(21a)은 상기 복사 히터(10)의 상기 발열부(13)에 대응되는 형태 및 크기로 형성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특히, 상기 복사열 방출홀(21a)은 상기 복사 히터 연결체(110)에서 상기 발열부(13)의 간격과 동일한 간격으로 복수개 형성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원단 커버레이(21)는 폴리이미드(Polyimide, PI),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terephthalate, PET),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Polyethylenenaphthalate, PEN) 등의 재질로 구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원단 커버레이(21)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착제를 매개로 하여 상기 원단(20)에 접착 부착될 수 있으며, 최종적으로 상기 복사 히터(100)의 상기 커버레이(14)와 상기 연결부(115)의 상면에 부착되고, 상기 기재(30) 및/또는 상기 단열부(40)에 부착된다.
상기 원단 접합 단계(S20)는 상기 복사 히터 제조 단계(S11)에서 제조된 상기 복사 히터(10)와 상기 원단 제조 단계(S12)에서 제조된 상기 원단(20)을 합지하여 접합하는 단계이다.먼저, 상기 원단 접합 단계(S20)는 그 수행 전에 상기 복사 히터 연결체(110)와 상기 원단(20)은 각각 권취되어 준비되는 것이 작업 용이성 확보에 유리하다.
상기 원단 접합 단계(S20)는 롤 형태로 권취된 상기 복사 히터 연결체(110)와 롤 형태로 권취된 상기 원단(20)을 각각 권출하여 합지시키면서 롤러 프레스(1)에 투입하여 부착 접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특히, 상기 원단 접합 단계(S20)는 롤 형태로 권취된 상기 복사 히터 연결체(110)와 롤 형태로 권취된 상기 원단(20)(이때, 상기 원단(21)에는 상기 원단 커버레이(21)가 부착된 상태이다.)을 각각 권출하여 합지시킬 때, 상기 복사 히터(10)의 상기 커버레이(14)(및 상기 연결부(115))의 상면과 상기 원단 커버레이(21)가 마주보며 접촉되게 배열시키되, 상기 복사 히터(10)의 상기 발열부(13) 상측에 상기 원단(20)에 접착 부착된 상기 원단 커버레이(21)에 형성된 상기 복사열 방출홀(21a)이 위치하도록 한 후 상기 롤러 프레스(1)에 투입하여 부착 접합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상기 원단 커버레이(21)와 상기 복사 히터(10)의 상기 커버레이(14)(및 상기 연결부(115))가 동일 물성으로 구성되어 그 접착력이 극대화될 수 있고, 동시에 상기 원단 커버레이(21)가 히터 구조물에는 구비되는 전선, 센서 등을 보다 안정적으로 감싸 상기 원단(20)이 찢어지는 것을 방지하게 되며, 아울러, 상기 복사열 방출홀(21a)을 통해 상기 발열부(12)의 복사열을 더 집중적으로 방출할 수 있게 된다.
예를 들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복사 히터 연속체(110)와 상기 원단(20)(이때, 상기 원단(21)에는 상기 원단 커버레이(21)가 부착된 상태이다.)은 롤 형태로 언와인더(2)에 각각 권취 구비되고, 상기 언와인더(2)의 푸는 동작에 의해 풀리면서 상기 롤러 프레스(1)로 각각 투입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복사 히터 연속체(110)에 접착제 도포 기구(3)에 의해 접착제가 도포되로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복사 히터 연속체(110)와 상기 원단(20)은 상기 롤러 프레스(1)에 합지되면서 진입하고 압착되면서 접착제에 의해 서로 부착된다.
상기 롤러 프레스(1)를 통과하면서 상호 부착된 상기 복사 히터 연속체(110)와 상기 원단(20)의 접합물(120)은 리와인더(4)에 의해 롤 형태로 권취된다. 롤 형태로 권취된 복사 히터(10)와 상기 원단(20)의 상기 접합물(120)은 이후의 상기 원단 커팅 단계(S30) 및 상기 기재 결합 단계(S40)을 위해 보관 및 운반된다.
여기서, 롤러 프레스(1)에 적용되는 상기 언와인더(2)와 상기 리와인더(4)는 상기 복사 히터 연속체(110)와 상기 원단(20)의 양단을 잡아 당기면서 장력을 이용하여 권취 또는 권출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복사 히터를 구비한 차량 내장재 제조 방법은 상기 복사 히터(10)와 상기 원단(20)을 먼저 접합한 후 상기 기재(30)를 결합하게 되는데, 상기 복사 히터 연속체(110)와 상기 원단(20)의 상기 접합물(120)에 상기 기재(30)를 결합하기 전에 상기 복사 히터 연속체(110)와 상기 원단(20)가 접착제를 매개로 완전히 굳어지게 하여 상기 복사 히터 연속체(110)와 상기 원단(20)을 상호 간 견고하게 부착시킴으로써 상기 기재 결합 단계(S40)에서 상기 복사 히터(10)와 상기 원단(20)이 서로 박리되지 않고 일체로 거동하게 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기재 결합 단계(S40)에서 상기 기재(30)를 결합하는 과정에서 상기 복사 히터(10)와 상기 원단(20)이 연신되더라도 상기 복사 히터(10)와 상기 원단(20)이 동시에 늘어나면서 서로 박리되지 않게 되고, 그로 인해 박리로 인한 외관 주름이나 혹이 생기지 않게 되어 차량 내장재의 품질을 향상시키게 된다.
상기 원단 커팅 단계(S30)는 상기 원단 접합 단계(S20)에서 접합된 상기 복사 히터 연결체(110)와 상기 원단(20)의 상기 접합물(120)을 사용 크기로 커팅하는 단계이다.
상기 원단 커팅 단계(S30)는 상기 원단(20)을 하나의 상기 기재(30)에 사용되는 크기로 절단하게 되는데, 이때, 하나의 상기 복사 히터(10)의 양쪽에 형성되어 있는 연결부(115)도 함께 절단되어 상기 복사 히터(10)만 남게 된다. 이때, 상기 복사 히터(10)를 서로 인접한 복수개 남기는 방식도 가능할 것이다.
상기 기재 결합 단계(S40)는 상기 원단 접합 단계(S20)에서 접합된 상기 복사 히터(10)와 상기 원단(20)의 상기 접합물(120)을 상기 기재(30)에 부착 결합하는 단계이다. 이 경우, 상기 원단 커팅 단계(S30)를 수행한 후의 상기 복사 히터(10)와 상기 원단(20)의 상기 접합물(120)을 이용할 수 있다.
하나의 방식으로, 상기 기재 결합 단계(S40)는 상기 복사 히터(10)와 상기 원단(20)이 접합된 상기 접합물(120)을 인서트물로 하여 상기 기재(30)를 인서트 사출로 성형하여 상기 복사 히터(10)와 상기 원단(20)이 접합된 상기 접합물(120)을 상기 기재(30)에 부착 결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 기재 결합 단계(S40)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사출금형(5)에 상기 접합물(120)이 인서트물로 안착되고 캐비티(5a)에 사출재료를 투입하여 상기 기재(30)가 사출 성형되는 방식으로 수행될 수 있다. 사출재료는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PP), 폴리아미드(Polyamide, PA) 등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서 상기 기재(30)의 상면에 상기 복사 히터(10)와 상기 원단(20)의 상기 접합물(120)이 직접 결합된 구조의 차량 내장재가 된다.
다른 하나의 방식으로, 상기 기재 결합 단계(S40)는 먼저 상기 복사 히터(10)와 상기 원단(20)이 접합된 상기 접합물(120)을 인서트물로 하여 상기 복사 히터(10)를 덮으며 상기 기재(30)에 부착 적층되는 상기 단열부(40)를 발포 성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 기재 결합 단계(S40)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제 1 발포금형(6)에 상기 접합물(120)이 인서트물로 안착되고 캐비티(6a)에 단열재료를 발포하여 상기 단열부(40)가 사출 성형되는 방식으로 수행될 수 있다. 단열재료는 폴리우레탄(Polyurethane, PU) 등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어, 상기 기재 결합 단계(S40)는 상기 기재 결합 단계(S40)는 상기 복사 히터(10), 상기 원단(20) 및 상기 단열부(40)의 결합물(140)을 인서트물로 하여 상기 기재(30)를 인서트 사출로 성형하여 상기 복사 히터(10)와 상기 원단(20)이 접합된 상기 접합물(120)을 상기 단열부(40)를 매개로 상기 기재(30)에 부착 결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 기재 결합 단계(S40)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2 사출금형(7)에 상기 제 1 발포금형(6)을 이용하여 발포 성형한 상기 복사 히터(10), 상기 원단(20) 및 상기 단열부(40)의 결합물(140)이 인서트물 인서트물로 안착되고 캐비티(7a)에 사출재료를 투입하여 상기 기재(30)가 사출 성형되는 방식으로 수행될 수 있다. 사출재료는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PP), 폴리아미드(Polyamide, PA) 등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서 상기 기재(30)의 상면에 상기 복사 히터(10)와 상기 원단(20)의 상기 접합물(120)이 상기 부착부(40)를 매개로 결합된 구조의 차량 내장재가 된다.
또 다른 하나의 방식으로, 상기 기재 결합 단계(S40)는 상기 복사 히터(10)와 상기 원단(20)이 접합된 상기 접합물(120)과 기 제조된 상기 기재(30)를 인서트물로 하여 상기 접합물(120)과 상기 기재(30) 사이에 상기 단열부(40)를 발포 성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 기재 결합 단계(S40)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기재(30)를 별물의 사출금형(도면 미도시)으로 사출 성형하여 제조해 두었다가 제 2 발포금형(8)을 이용하여 상기 복사 히터(10)와 상기 원단(20)이 접합된 상기 접합물(120)과 기 제조된 상기 기재(30)가 인서트물로 안착되고 캐비티(8a)에 발포재료를 발포하여 상기 단열부(40)가 성형되는 방식으로 수행될 수 있다. 단열재료는 폴리우레탄(Polyurethane, PU) 등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서 상기 기재(30)의 상면에 상기 복사 히터(10)와 상기 원단(20)의 상기 접합물(120)이 상기 부착부(40)를 매개로 결합된 구조의 차량 내장재가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복사 히터를 구비한 차량 내장재 제조 방법은 복사 히터와 원단이 일체로 거동하게 함으로써 서로 박리되지 않게 하여 차량 내장재의 품질을 향상시키고, 원단의 저면 측에 복사 히터를 구성하는 전선, 센서 등이 위치한 경우 원단에 그 외관의 형태가 드러나지 않게 하고 원단이 찢어지는 것을 방지하게 하며, 복사 히터에 원단을 부착하는 원단 작업이 용이하게 하여 두꺼운 원단은 물론 다양한 원단을 적용시킬 수 있는 가능성을 제공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기초로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해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이하 기술할 청구범위에 의하며, 상술한 발명의 구체적 내용을 토대로 정해져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은 복사 히터를 구비한 차량 내장재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차량 내장재와 관련된 산업 분야에 이용 가능하다.
S11: 복사 히터 제조 단계
S12: 원단 제조 단계
S20: 원단 접합 단계
S30: 원단 커팅 단계
S40: 기재 결합 단계
10: 복사 히터
11: 베이스부
12: 전극부
13: 발열부
14: 커버레이
20: 원단
21: 원단 커버레이
21a: 복사열 방출홀
30: 기재
40: 단열부
110: 복사 히터 연속체
115: 연결부

Claims (11)

  1. 전원 인가에 의해 발열하는 복사 히터를 구비한 차량 내장재를 제조하기 위한 복사 히터를 구비한 차량 내장재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복사 히터를 필름 형태로 제조하는 복사 히터 제조 단계;
    일면에 원단 커버레이가 접착 부착된 원단을 제조하는 원단 제조 단계;
    상기 복사 히터 제조 단계에서 제조된 상기 복사 히터와 상기 원단 제조 단계에서 제조된 상기 원단을 합지하여 접합하는 원단 접합 단계; 및
    상기 원단 접합 단계에서 접합된 상기 복사 히터와 상기 원단의 접합물을 기재에 부착 결합하는 기재 결합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사 히터를 구비한 차량 내장재 제조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사 히터 제조 단계는,
    하나의 상기 기재와 결합되는 상기 복사 히터가 연결부를 매개로 다수개 연결된 복사 히터 연결체를 제조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사 히터를 구비한 차량 내장재 제조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복사 히터 제조 단계는,
    타발 공정에 의해 다수개의 상기 복사 히터 사이에 리브 형태의 상기 연결부를 남기고 천공 또는 절단하여 상기 복사 히터 연결체를 제조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사 히터를 구비한 차량 내장재 제조 방법.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원단 제조 단계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복사열 방출홀이 형성되는 상기 원단 커버레이를 사용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사 히터를 구비한 차량 내장재 제조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원단 접합 단계는,
    롤 형태로 권취된 상기 복사 히터 연결체와 롤 형태로 권취된 상기 원단을 각각 권출하여 합지시키면서 롤러 프레스에 투입하여 부착 접합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사 히터를 구비한 차량 내장재 제조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원단 접합 단계는,
    롤 형태로 권취된 상기 복사 히터 연결체와 롤 형태로 권취된 상기 원단을 각각 권출하여 합지시킬 때 상기 복사 히터의 발열부 상측에 상기 원단에 접착 부착된 상기 원단 커버레이에 형성된 상기 복사열 방출홀이 위치하도록 한 후 상기 롤러 프레스에 투입하여 부착 접합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사 히터를 구비한 차량 내장재 제조 방법.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원단 접합 단계에서 접합된 상기 복사 히터 연결체와 상기 원단의 상기 접합물을 사용 크기로 커팅하는 원단 커팅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사 히터를 구비한 차량 내장재 제조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재 결합 단계는,
    상기 복사 히터와 상기 원단이 접합된 상기 접합물을 인서트물로 하여 상기 기재를 인서트 사출로 성형하여 상기 복사 히터와 상기 원단이 접합된 상기 접합물을 상기 기재에 부착 결합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사 히터를 구비한 차량 내장재 제조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재 결합 단계는,
    상기 복사 히터와 상기 원단이 접합된 상기 접합물을 인서트물로 하여 상기 복사 히터를 덮으며 상기 기재에 부착 적층되는 단열부를 발포 성형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사 히터를 구비한 차량 내장재 제조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기재 결합 단계는,
    상기 복사 히터, 상기 원단 및 상기 단열부의 결합물을 인서트물로 하여 상기 기재를 인서트 사출로 성형하여 상기 복사 히터와 상기 원단이 접합된 상기 접합물을 상기 단열부를 매개로 상기 기재에 부착 결합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사 히터를 구비한 차량 내장재 제조 방법.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재 결합 단계는,
    상기 복사 히터와 상기 원단이 접합된 상기 접합물과 기 제조된 상기 기재를 인서트물로 하여 상기 접합물과 상기 기재 사이에 단열부를 발포 성형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사 히터를 구비한 차량 내장재 제조 방법.
KR1020210151533A 2021-11-05 2021-11-05 복사 히터를 구비한 차량 내장재 제조 방법 KR1025681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51533A KR102568126B1 (ko) 2021-11-05 2021-11-05 복사 히터를 구비한 차량 내장재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51533A KR102568126B1 (ko) 2021-11-05 2021-11-05 복사 히터를 구비한 차량 내장재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66184A true KR20230066184A (ko) 2023-05-15
KR102568126B1 KR102568126B1 (ko) 2023-08-21

Family

ID=863949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51533A KR102568126B1 (ko) 2021-11-05 2021-11-05 복사 히터를 구비한 차량 내장재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6812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38433B1 (ko) * 2023-05-18 2024-02-19 코오롱글로텍주식회사 발열 내장재 및 그 제조방법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8732B1 (ko) * 2006-04-25 2007-05-15 김만곤 대면상 발열시트의 제조방법
KR20070067518A (ko) * 2005-12-23 2007-06-28 정종석 방수성 및 단열성이 우수한 박막히터의 제조장치
KR101268862B1 (ko) * 2011-10-27 2013-05-29 염한균 방열판을 지닌 면상발열히터의 제조방법
KR20170063040A (ko) 2015-11-30 2017-06-08 주식회사 서연이화 자동차 내장재용 다층 구조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70123004A (ko) * 2016-04-28 2017-11-07 염한균 자동차 시트용 히터 일체형 발포 패드의 금형 및 그 제조방법
KR20210004015A (ko) * 2019-07-03 2021-01-13 임종섭 발열도금강판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219657B1 (ko) * 2019-10-07 2021-02-24 주식회사 서연이화 차량용 쉬라우드의 발열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0494251Y1 (ko) * 2020-02-18 2021-09-02 임종섭 발열도금강판용 면상발열체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67518A (ko) * 2005-12-23 2007-06-28 정종석 방수성 및 단열성이 우수한 박막히터의 제조장치
KR100718732B1 (ko) * 2006-04-25 2007-05-15 김만곤 대면상 발열시트의 제조방법
KR101268862B1 (ko) * 2011-10-27 2013-05-29 염한균 방열판을 지닌 면상발열히터의 제조방법
KR20170063040A (ko) 2015-11-30 2017-06-08 주식회사 서연이화 자동차 내장재용 다층 구조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70123004A (ko) * 2016-04-28 2017-11-07 염한균 자동차 시트용 히터 일체형 발포 패드의 금형 및 그 제조방법
KR20210004015A (ko) * 2019-07-03 2021-01-13 임종섭 발열도금강판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219657B1 (ko) * 2019-10-07 2021-02-24 주식회사 서연이화 차량용 쉬라우드의 발열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0494251Y1 (ko) * 2020-02-18 2021-09-02 임종섭 발열도금강판용 면상발열체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38433B1 (ko) * 2023-05-18 2024-02-19 코오롱글로텍주식회사 발열 내장재 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68126B1 (ko) 2023-08-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00062198A1 (en) Wire harness fixing structure
US9932060B2 (en) Heater unit and steering wheel
KR20110117139A (ko) 일체형 와이어 하니스를 구비한 헤드라이너
KR102568126B1 (ko) 복사 히터를 구비한 차량 내장재 제조 방법
JP2008041298A (ja) 柔軟性ptc発熱体
WO2008009389A1 (en) Heating tape structure
US20110233183A1 (en) Steering wheel heater assembly
US10717342B2 (en) Heating apparatus
CN108235793B (zh) 用于织物层组件的柔性设备模块及生产方法
US20200189428A1 (en) Sheet-type heating element and armrest of vehicle door including the same
CN110901558B (zh) 线束的固定方法
CN113544796B (zh) 配线部件
JP2019536231A (ja) フィルムヒータ及びそれを作成する方法
CN110959295A (zh) 换能器及其制造方法
KR102479555B1 (ko) 복사 히터를 구비한 차량 내장재 제조 방법
CN112672449A (zh) 用于机动车辆的表面部件的加热元件
KR20230059462A (ko) 차량 내장재용 발열체 및 그 제조 방법
US20220161632A1 (en) Trim element comprising a heating element made from a carbon material
JP2010212222A (ja) 面状発熱体及び面状発熱体の製造方法
KR20230099366A (ko) 차량 내장재용 발열체
US20230311450A1 (en) Trim element comprising a discrete heating element made of carbon material
KR102037836B1 (ko) 차량용 시트에 사용되는 발열 패드 및 그의 제조 방법
JP7364596B2 (ja) 静電型トランスデューサ
KR102413896B1 (ko) 차량 내장재용 발열 장치
KR20230059449A (ko) 차량 내장재용 발열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