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65777A - 보상 기능을 구비한 가상 갤러리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보상 기능을 구비한 가상 갤러리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65777A
KR20230065777A KR1020210151692A KR20210151692A KR20230065777A KR 20230065777 A KR20230065777 A KR 20230065777A KR 1020210151692 A KR1020210151692 A KR 1020210151692A KR 20210151692 A KR20210151692 A KR 20210151692A KR 20230065777 A KR20230065777 A KR 202300657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tist
virtual
exhibition space
virtual exhibition
offl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516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16846B1 (ko
Inventor
신호
임상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이치투시티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이치투시티랩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이치투시티랩
Priority to KR10202101516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16846B1/ko
Publication of KR202300657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657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168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168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07Discounts or incentives, e.g. coupons or rebates
    • G06Q30/0217Discounts or incentives, e.g. coupons or rebates involving input on products or services in exchange for incentives or rewar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78Product appraisal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9/00Manipulating 3D models or images for computer graphics
    • G06T19/003Navigation within 3D models or imag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9/00Manipulating 3D models or images for computer graphics
    • G06T19/20Editing of 3D images, e.g. changing shapes or colours, aligning objects or positioning pa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Architectur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보상 기능을 구비한 가상 갤러리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보상 기능을 구비한 가상 갤러리 시스템의 제어방법은, 아티스트별 가상 전시 공간을 구축하는 단계와; 아티스트로부터 업로드되는 콘텐츠를 해당 아티스트에 대응되는 가상 전시 공간에 배치하는 단계와; 각 아티스트별 가상 전시 공간을 방문한 온라인 관람객의 반응에 따라 각 아티스트에게 가상 전시 공간과 관련된 혜택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보상 기능을 구비한 가상 갤러리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VIRTUAL GALLERY SYSTEM COMPRISING REWARD FUNCTION, CONTROL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가상 갤러리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아티스트에게 조건별 보상 기능을 구비한 가상 갤러리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오프라인에서 이루어지던 다양한 활동들이 온라인으로 넘어오거나, 온라인과 병행하여 이루어지고 있다.
그 중 대표적인 것이 온라인 갤러리이다.
온라인 갤러리는 아티스트들이 자신의 작품을 온라인상에 게시할 수 있도록 하고, 온라인 관람객들이 온라인으로 방문하여 각 아티스트들의 작품들을 열람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온라인 갤러리는 예를 들어 웹 서버로 운영될 수 있는데, 이 경우 온라인 관람객들은 웹브라우저를 이용하여 온라인 갤러리에 접속한 후, 해당 온라인 갤러리에 게시된 각 아티스트들이 작품을 열람할 수 있다.
이처럼 온라인 갤러리는 오프라인상에게 전시되던 각 아티스트들의 작품을 온라인상에 전시함으로써, 많은 사람들이 작품을 감상할 수 있도록 하는 긍정적인 효과가 있다.
이처럼 온라인 갤러리는 시간상 오프라인 갤러리를 방문하지 못하는 사람들의 니즈를 충족시키기 위해서 다양한 아티스트들의 작품 게시가 활성화되어야 하는데, 종래에는 아티스트들에게 경쟁적 보상이 충분히 제공되지 못했다.
즉, 온라인 갤러리는 오프라인과 달리 장소의 제약이 없기 때문에 한 아티스트가 상당히 많은 콘텐츠를 게시할 수 있는데, 이 경우의 문제점은 너무도 많은 전시 콘텐츠의 개수로 인해 온라인 관람객이 훌륭한 콘텐츠를 열람하는데 오히려 방해가 될 수 있다는 점이다.
따라서 온라인 전시 콘텐츠의 개수를 적절히 조절하면서도 좋은 작품(콘텐츠)을 업로드하는 아티스트들에게 다른 아티스트들과 차별화되는 혜택을 주는 방안의 도입이 필요하다.
공개특허 제10-2020-0063526호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필요성을 충족시키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온라인 전시 콘텐츠의 개수를 적절히 조절하면서도 좋은 작품(콘텐츠)을 업로드하는 아티스트들에게 다른 아티스트들과 차별화되는 혜택을 주도록 구성된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보상 기능을 구비한 가상 갤러리 시스템의 제어방법은, 아티스트별 가상 전시 공간을 구축하는 단계와; 아티스트로부터 업로드되는 콘텐츠를 해당 아티스트에 대응되는 가상 전시 공간에 배치하는 단계와; 각 아티스트별 가상 전시 공간을 방문한 온라인 관람객의 반응에 따라 각 아티스트에게 가상 전시 공간과 관련된 혜택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각 아티스트별 가상 전시 공간을 방문한 온라인 관람객의 반응에 따라 각 아티스트 등급을 결정하는 단계와; 상기 결정된 아티스트 등급에 따라 해당 아티스트에게 할당된 가상 전시 공간의 크기를 변경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각 아티스트별 가상 전시 공간을 방문한 온라인 관람객의 반응에 따라 각 아티스트 등급을 결정하는 단계와; 상기 결정된 아티스트 등급이 기 설정된 기준 등급 이상인 경우 가상 전시 공간 꾸밈 기능을 활성화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각 아티스트별 가상 전시 공간을 방문한 온라인 관람객의 반응에 따라 각 아티스트 등급을 결정하는 단계와; 상기 결정된 아티스트 등급이 기 설정된 기준 등급 이상인 경우 오프라인 동기화 기능을 활성화하고, 해당 아티스트에 의해 지정된 오프라인 전시관 시스템에 오프라인 연계 콘텐츠의 전송을 요청한 후, 해당 오프라인 전시관 시스템으로부터 수신되는 오프라인 연계 콘텐츠를 해당 아티스트의 가상 전시 공간에 배치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결정된 아티스트 등급이 기 설정된 기준 등급 이상인 경우 오프라인 동기화 기능을 활성화함과 아울러 해당 아티스트의 가상 전시 공간의 크기를 확장 변경시키되, 해당 아티스트에 의해 지정된 오프라인 전시관 시스템이 존재하는지 여부에 따라 해당 가상 전시 공간의 확장 비율을 결정할 수 있다.
또,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보상 기능을 구비한 가상 갤러리 시스템은, 아티스트별 가상 전시 공간을 구축하는 가상 전시 공간 구축부와; 아티스트로부터 업로드되는 콘텐츠를 해당 아티스트에 대응되는 가상 전시 공간에 배치하는 콘텐츠 배치부와; 각 아티스트별 가상 전시 공간을 방문한 온라인 관람객의 반응에 따라 각 아티스트에게 가상 전시 공간과 관련된 혜택을 제공하는 혜택 제공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혜택 제공부는, 각 아티스트별 가상 전시 공간을 방문한 온라인 관람객의 반응에 따라 각 아티스트 등급을 결정하고, 그 결정된 아티스트 등급에 따라 해당 아티스트에게 할당된 가상 전시 공간의 크기를 변경시킬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혜택 제공부는, 각 아티스트별 가상 전시 공간을 방문한 온라인 관람객의 반응에 따라 각 아티스트 등급을 결정하고, 그 결정된 아티스트 등급이 기 설정된 기준 등급 이상인 경우 가상 전시 공간 꾸밈 기능을 활성화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혜택 제공부는, 각 아티스트별 가상 전시 공간을 방문한 온라인 관람객의 반응에 따라 각 아티스트 등급을 결정하고, 그 결정된 아티스트 등급이 기 설정된 기준 등급 이상인 경우 오프라인 동기화 기능을 활성화하고, 해당 아티스트에 의해 지정된 오프라인 전시관 시스템에 오프라인 연계 콘텐츠의 전송을 요청한 후, 해당 오프라인 전시관 시스템으로부터 수신되는 오프라인 연계 콘텐츠를 해당 아티스트의 가상 전시 공간에 배치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혜택 제공부는, 상기 결정된 아티스트 등급이 기 설정된 기준 등급 이상인 경우 오프라인 동기화 기능을 활성화함과 아울러 해당 아티스트의 가상 전시 공간의 크기를 확장 변경시키되, 해당 아티스트에 의해 지정된 오프라인 전시관 시스템이 존재하는지 여부에 따라 해당 가상 전시 공간의 확장 비율을 결정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가상 전시 공간에 자신의 작품을 등록한 아티스트들은 자신의 가상 전시 공간에서의 제3자(온라인 관람자)들의 반응에 따라 그 가상 전시 공간과 관련된 혜택을 받을 수 있다.
이에 따라 가상 전시 공간에 업로드하는 콘텐츠의 퀄리티를 높여서 가상 전시 공간의 활성화를 도모할 수 있다.
특히, 오프라인 갤러리 등에 전시한 자신의 작품과 관련된 콘텐츠 역시 각 아티스트들의 가상 전시 공간에 자동으로 배치될 수 있으므로 사용자 편의성이 증대된다.
더 나아가 기준 등급 이상의 아티스트의 가상 전시 공간의 크기의 확대 정도가 오프라인 전시관 시스템을 등록하였는지 여부와 연계되도록 함으로써, 온/오프라인을 통한 작품 전시/공개를 활성화되도록 하고, 이에 따라 온/오프라인을 연계한 콘텐츠의 시장의 활성화에 기여하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 갤러리 시스템을 포함하는 전체 시스템의 개략 구성도이고,
도 2는 도 1의 가상 갤러리 시스템의 기능 블록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 갤러리 시스템의 전체적인 제어흐름도이고,
도 4는 도 3의 과정에서 온라인 관람객의 반응에 따른 처리 과정의 구체적인 예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도 3의 과정에서 오프라인과 연계되는 처리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각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하나의 예에 불과하고, 본 발명이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특히 본 발명은 각 실시예에 포함되는 개별 구성, 개별 기능, 또는 개별 단계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특히, 편의상 청구 범위의 일부 청구항에는 '(a)'와 같은 알파벳을 포함시켰으나, 이러한 알파벳이 각 단계의 순서를 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 갤러리 시스템(100)을 포함하는 전체 시스템의 개략 구성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다.
동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체 시스템은, 아티스트 단말기(200), 가상 갤러리 시스템(100), 온라인 관람객 단말기(3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아티스트 단말기(200)는 아티스트들이 가상 갤러리 시스템(100)에 접속하여 콘텐츠를 업로드하거나 가상 전시 공간을 꾸미는 기능 등을 하기 위한 것으로서, 스마트폰과 같은 무선 통신 단말기일 수도 있고, 유선망에 연결된 개인용 컴퓨터일 수도 있다. 여기서 아티스트는 반드시 예술활동을 전문적으로 하는 사람만을 지칭하는 것이 아니라, 자신이 가진 콘텐츠를 온라인상에 업로드하여 타인이 열람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하는 모든 사람들을 의미한다.
또한 상술한 콘텐츠는 각 아티스트들이 제작하거나 창작한 작품들에 대한 전자적 데이터일 수 있다.
온라인 관람객 단말기(300)는 각 아티스트들에 의해서 가상 갤러리 시스템(100)에 등록된 콘텐츠 즉, 작품들을 열람하기 위한 장치로서, 모든 종류의 유,무선 통신 장치를 모두 포함한다.
예를 들어 가상 갤러리 시스템(100)이 웹서버로 구성된 경우, 온라인 관람객 단말기(300)는 웹브라우저를 포함하는 장치면 충분하다.
한편, 가상 갤러리 시스템(100)은 상술한 바와 같이 아티스트 단말기(200) 및 온라인 관람객 단말기(300)의 요청에 따라 소정의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예를 들어 아티스트 단말기(200)로부터의 요청에 따라 가상 전시 공간을 구축함과 아울러 그 가상 전시 공간에 소정의 콘텐츠를 배치하는 기능을 수행하고, 또한 온라인 관람객 단말기(300)로부터의 요청에 따라 가상 전시 공간에 전시 또는 배치된 콘텐츠를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 가상 갤러리 시스템(100)은 회원제에 기반한 시스템 운영을 수행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미리 회원으로 가입한 아티스트들을 대상으로 가상 전시 공간을 제공하거나 콘텐츠의 등록을 처리할 수 있고, 마찬가지로 미리 회원으로 가입한 온라인 관람객을 대상으로 각 아티스트들의 가상 전시 공간을 열람하게 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가상 갤러리 시스템(100)의 구체적인 기능 블록의 일 예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다.
동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상 갤러리 시스템(100)은 가상 전시 공간 구축부(110), 콘텐츠 배치부(120), 혜택 제공부(130), 입력부(140), 저장부(15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입력부(140)는 아티스트 단말기(200) 및 온라인 관람객 단말기(300)로부터 각종 요청 신호, 콘텐츠, 각종 정보 등을 수신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저장부(150)는 아티스트 단말기(200) 및 온라인 관람객 단말기(300)로부터 수신되는 정보, 콘텐츠 등을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하고 또한 아티스트 단말기(200) 및 온라인 관람객 단말기(300)의 요청에 따라 동적으로 생성하는 정보, 콘텐츠 등을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특히, 저장부(150)는 아티스트 단말기(200)의 요청에 따라 생성하는 가상 전시 공간과 관련된 정보를 저장하고, 또한 아티스트 단말기(200)로부터 수신되는 콘텐츠를 그 업로드한 아티스트에 매칭시켜 등록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물론 가상 갤러리 시스템(100)이 회원제로 운영되는 경우 회원 정보가 저장부(150)에 저장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각 회원 정보와, 각 회원이 등록하거나 각 회원에 대응하여 생성되는 정보가 서로 연관성을 가지고 저장부(150)에 등록되는 것 그 자체는 공지된 기술에 해당하므로 보다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가상 전시 공간 구축부(110)는 아티스트별 가상 전시 공간을 구축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서 가상 전시 공간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소정의 콘텐츠를 배치할 수 있는 영역 또는 공간을 의미하는데, 예를 들어 가상 갤러리 시스템(100)이 웹서버로 구성되는 경우 가상 전시 공간은 복수 개의 웹페이지로 구성될 수도 있다.
일 예로, 가상 전시 공간 구축부(110)는 각 아티스트들마 5개의 웹페이지(각 URL로 접근할 수 있는 각각의 웹페이지)를 제공할 수 있는데, 이러한 각 웹페이지에는 기 설정된 개수(예를 들어 10개)의 콘텐츠를 게시할 수 있는 제한이 가상 갤러리 시스템(100)에 의해 미리 설정될 수 있다.
콘텐츠 배치부(120)는 아티스트로부터 업로드되는 콘텐츠를 해당 아티스트에 대응되는 가상 전시 공간에 배치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a라는 아티스트에 대해 A라는 가상 전시 공간이 매칭 등록된 경우, 콘텐츠 배치부(120)는 그 a 아티스트로부터 업로드되는 콘텐츠를 A 가상 전시 공간에 배치할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가상 전시 공간에 배치되는 콘텐츠는 이미지 파일, 동영상 파일 등과 같이 온라인상에서 열람 가능한 파일로 구성될 수 있다.
혜택 제공부(130)는 각 아티스트별 가상 전시 공간을 방문한 온라인 관람객의 반응에 따라 각 아티스트에게 가상 전시 공간과 관련된 혜택을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콘텐츠를 업로드하는 아티스트들에게 콘텐츠 업로드에 따른 혜택을 제공함에 있어서, 본 발명은 각 아티스트들에게 제공되는 가상 전시 공간과 관련된 혜택을 제공한다는 점이 주요 특징이다.
예를 들어 혜택 제공부(130)는 각 아티스트별 가상 전시 공간을 방문한 온라인 관람객의 반응에 따라 각 아티스트 등급을 결정하고, 그 결정된 아티스트 등급에 따라 해당 아티스트에게 할당된 가상 전시 공간의 크기를 변경시킬 수 있다.
즉, 상술한 바와 같이, 각 아티스트들에게는 초기에는 제한적인 가상 전시 공간을 할당하여 그 할당된 가상 전시 공간의 범위 내에서만 콘텐츠가 업로드 및 배치되도록 할 수 있는데, 각 아티스트들의 등급이 변경되는 경우에는 그 변경된 등급에 맞춰서 가상 전시 공간의 크기에 변경시키는 것이다.
여기서 온라인 관람객의 반응은 온라인 관람객이 방문한 횟수, 온라인 관람객이 가상 전시 공간에 머문 시간, 기 구비된 추천 버튼(미 도시함)을 누른 횟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더 나아가 온라인 관람객의 반응은 각 온라인 관람객의 가상 전시 공간 내에서의 활동 패턴을 분석하여 판단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로그인 기반으로 가상 갤러리 시스템에 접속하는 경우, 각 온라인 관람객이 특정 아티스트의 가상 전시 공간에 전시된 콘텐츠에 대해 추천버튼을 클릭하거나, 댓글을 작성하거나, 공유 기능을 활용한 경우 등을 수집함으로써 온라인 관람객의 반응을 판단할 수 있는 것이다.
다른 예로써, 혜택 제공부(130)는 각 아티스트별 가상 전시 공간을 방문한 온라인 관람객의 반응에 따라 각 아티스트 등급을 결정하고, 그 결정된 아티스트 등급이 기 설정된 기준 등급 이상인 경우 가상 전시 공간 꾸밈 기능을 활성화할 수도 있다.
여기서 가상 전시 공간 꾸민 기능은 가상 전시 공간에 대한 레이아웃 변경, 배경 색상 및 배경 이미지 변경 등을 포함하는 것으로서, 다른 아티스트들의 가상 전시 공간과 차별화되는 개성있는 가상 전시 공간을 꾸밀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이다.
예를 들어 상술한 바와 같이, 각 아티스트에게 가상 전시 공간으로써 5개의 웹페이지가 할당되고, 각 웹페이지마다 10개의 콘텐츠 등록이 가능한 경우, 기 설정된 기준 등급 이상의 아티스트들에게는, 5개의 웹 페이지를 통합하여 한 개의 웹페이지로 구성되도록 하고, 그 한 개의 웹 페이지에 총 50개의 콘텐츠 등록이 가능하도록 허용할 수도 있는 것이다.
즉, 인터넷 상에서는 통신 트래픽에 따른 비용 절감을 위해 복수 개의 웹 페이지로 구성되도록 함이 일반적이고, 따라서 가상 전시 공간 역시 5개의 페이지로 구성되도록 하는 것을 일 예로 하였는데, 인기있는 아티스트들에게는 이처럼 차별적으로 가상 전시 공간을 하나의 통합 페이지로 구성할 수 있도록 허용하는 것이다.
인기있는(등급이 높은) 아티스트들은 보다 많은 콘텐츠를 온라인 관람객에게 노출할 기회를 얻을 수 있다는 점에서 큰 혜택이라 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써, 혜택 제공부(130)는 각 아티스트별 가상 전시 공간을 방문한 온라인 관람객의 반응에 따라 각 아티스트 등급을 결정하고, 그 결정된 아티스트 등급이 기 설정된 기준 등급 이상인 경우 오프라인 동기화 기능을 활성화할 수 있다.
여기서 오프라인 동기화 기능이 활성화된 경우, 혜택 제공부(130)는 해당 아티스트에 의해 지정된 오프라인 전시관 시스템(미 도시함)에 오프라인 연계 콘텐츠의 전송을 요청하고, 그 오프라인 전시관 시스템으로부터 수신되는 오프라인 연계 콘텐츠를 해당 아티스트의 가상 전시 공간에 배치할 수 있다.
여기서 오프라인 전시관 시스템은 오프라인상에서 운영되는 갤러리와 연계된 시스템으로서, 오프라인 갤러리에 전시되는 작품들을 촬영하여 외부로부터의 요청이 있는 경우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이다.
즉, a라는 아티스트는 가상 전시 공간에 콘텐츠를 업로드함과 아울러 오프라인 갤러리에 자신의 작품들을 전시할 수도 있는데, 이 경우 오프라인 전시관 시스템은 해당 a라는 아티스트의 오프라인 갤러리에 전시된 작품에 대한 촬영 이미지 또는 촬영 영상(오프라인 연계 콘텐츠)을 저장하고 있다가 외부의 요청에 따라 제공할 수 있는데, 따라서 혜택 제공부(130)는 이러한 오프라인 전시관 시스템에 a 아티스트에 대응되는 오프라인 연계 콘텐츠를 요청하여 수신한 후, 그 a 아티스트에 대응되는 A 가상 전시 공간에 수신된 오프라인 연계 콘텐츠를 배치할 수 있는 것이다.
이에 따라 아티스트들은 자신과 관련된 오프라인 전시관 시스템을 등록하는 것만으로(이 경우 회원제인 경우 로그인 정보 등이 포함될 수 있음), 자신의 오프라인상에 전시되는 작품들에 대한 이미지등이 가상 전시 공간에 자동으로 등록되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특히, 결정된 아티스트 등급이 기 설정된 기준 등급 이상인 경우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오프라인 동기화 기능을 활성화함과 아울러 해당 아티스트의 가상 전시 공간의 크기를 확장 변경시킬 수 있는데, 이때 해당 아티스트에 의해 지정된 오프라인 전시관 시스템(즉, 그 시스템에 접속하기 위한 url 정보나, 로그인 정보 등)이 존재하는지 여부에 따라 해당 가상 전시 공간의 확장 비율을 결정할 수 있다.
즉, 혜택 제공부(130)는 아티스트에 의해 지정된 오프라인 전시관 시스템이 존재하는지 여부와 상관없이 기준 등급 이상이므로 해당 아티스트에 대응되는 가상 전시 공간이 늘어나도록 처리하는데, 이 경우 해당 아티스트에 의해 등록된 오프라인 전시관 시스템이 존재하는 경우라면 그 가상 전시 공간이 더 크게 늘어나도록 처리하는 것이다.
이에 따라 가상 전시 공간에 콘텐츠를 등록하는 아티스트들이 오프라인 활동도 적극적으로 하도록 유도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온/오프라인 갤러리 시장의 활성화를 도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 갤러리 시스템(100)의 전체적인 제어흐름을 설명한다.
가상 갤러리 시스템(100)은 각 아티스트의 요청에 따라 가상 전시 공간 구축을 한 후 해당 아티스트에 할당 처리한다.
이어서 가상 전시 공간이 할당된 아티스트로부터 콘텐츠의 등록 요청이 있는 경우, 가상 갤러리 시스템(100)은 업로드되는 콘텐츠를 그 아티스트에 할당된 가상 전시 공간에 배치 및 한다.
이 경우 가상 갤러리 시스템(100)은 아티스트에 의해 업로드되는 순서대로 콘텐츠를 가상 전시 공간에 배치할 수 있다.
이어서 가상 갤러리 시스템(100)은 각 가상 전시 공간에 대한 온라인 관람객의 반응을 수집한다.
예를 들어 가상 갤러리 시스템(100)은 온라인 관람객이 방문한 횟수, 온라인 관람객이 가상 전시 공간에 머문 시간, 기 구비된 추천 버튼을 누른 횟수 등을 참조하여 온라인 관람객의 반응을 수집할 수 있다.
이후, 가상 갤러리 시스템(100)은 각 아티스트별 가상 전시 공간을 방문한 온라인 관람객의 반응에 따라 아티스트들에게 그 가상 전시 공간과 관련된 혜택을 제공한다.
도 4에는 도 3에서 아티스트에게 제공하는 혜택의 구체적인 처리 과정이 나타나 있다.
즉, 가상 갤러리 시스템(100)은 각 가상 전시 공간에서의 온라인 관람객의 반응을 수집한다.
이어서, 가상 갤러리 시스템(100)은 그 수집된 온라인 관람객의 반응에 따라 각 아티스트의 등급을 결정한다.
이후, 가상 갤러리 시스템(100)은 결정된 각 아티스트의 등급에 따라 각 아티스트들의 가상 전시 공간의 크기를 변경한다.
즉, 가상 갤러리 시스템(100)은 등급이 더 높은 아티스트의 가상 전시 공간의 크기를 더 크게 변경할 수 있는 것이다.
이하에서는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 갤러리 시스템(100)에서 온/오프라인상의 콘텐츠들이 연계되는 과정을 설명한다.
가상 갤러리 시스템(100)이 각 가상 전시 공간에서의 온라인 관람객의 반응을 수집하고, 그 수집된 온라인 관람객의 반응에 따라 각 아티스트의 등급을 결정하는 과정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다.
이후, 가상 갤러리 시스템(100)은 결정된 각 아티스트의 등급이 기 설정된 기준 등급 이상인 경우 오프라인 동기화 기능을 활성화한다.
또한 가상 갤러리 시스템(100)은 각 아티스트에 의해 등록된 오프라인 전시관 시스템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가상 갤러리 시스템(100)은 판단 결과 오프라인 전시관 시스템을 등록하지 않은 아티스트의 가상 전시 공간은 기 설정된 비율(n배)만큼 더 확장한다.
또한 가상 갤러리 시스템(100)은 판단 결과 오프라인 전시관 시스템을 등록한 아티스트의 가상 전시 공간은 기 설정된 비율(m배)(여기서 m>n 의 관계가 성립됨)만큼 확장함과 아울러 오프라인 연계 콘텐츠의 동기화 처리를 수행한다.
여기서 오프라인 연계 콘텐츠의 동기화 처리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오프라인 전시관 시스템에 오프라인 연계 콘텐츠(즉, 오프라인 갤러리 상에 전시된 작품을 촬영한 이미지 등)를 요청하여 수신한 후, 해당하는 아티스트의 가상 전시 공간에 배치 등록하는 것을 의미한다.
한편,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콘텐츠 배치부(120)는 아티스트로부터 업로드되는 콘텐츠를 해당 아티스트에 대응되는 가상 전시 공간에 배치한다고만 설명하였으나, 다른 실시예로써, 콘텐츠 배치부(120)는 아티스트로부터 업로드되는 콘텐츠를 분석한 후에 그 콘텐츠 분석 결과에 기초하여 각 콘텐츠의 해당 아티스트에 대응되는 가상 전시 공간에의 배치 처리를 수행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콘텐츠 배치부(120)는 아티스트로부터 업로드되는 콘텐츠에 포함된 객체를 추출한 후, 그 추출된 객체의 형태, 종류와, 크기를 판단하고, 판단된 객체의 형태, 종류와, 크기에 따라 해당 콘텐츠의 가상 전시 공간에서의 배치 위치를 결정할 수도 있다.
콘텐츠 내에서 배경과 객체를 분리하는 것 자체는 이미지 분석관 관련된 기수분야에서 공지된 기술에 해당하는데, 콘텐츠의 배경으로부터 소정의 객체를 분리/추출하는 과정과 추출된 객체의 형태, 종류, 크기 등을 판단하는 과정은 동시에 이루어질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딥러닝과 같이 기계학습에 기초한 인공지능을 이용하는 경우 소정의 콘텐츠(그림 이미지 등)에 포함된 식물, 동물, 사람 등에 대한 객체 추출 과정과 객체의 형태, 종류, 크기 등에 대해 판단하는 과정이 동시에 이루어질 수도 있는 것이다.
객체의 형태는 세로방향으로 뻗은 형태인지, 가로 방향으로 뻗은 형태인지 등에 대한 판단일 수 있고, 객체의 종류는 상술한 바와 같이 사람인지, 동물인지, 식물인지, 동물이나 식물이라면 어떠한 동/식물인지 등에 대한 판단일 수 있으며, 크기는 콘텐츠(예를 들어 그림 이미지) 내에서 상대적 크기 또는 절대적 크기에 대한 판단일 수 있다. 일 예로 정물화, 인물화, 풍경화인지에 대한 판단일 수도 있다.
특히 콘텐츠에 복수 개의 객체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 콘텐츠 배치부(120)는 그 중 주요 객체를 선정하고, 그 선정된 객체의 형태, 종류, 크기 등을 판단할 수도 있다.
여기서 주요 객체인지 여부는 객체의 배치 위치(예를 들어 콘텐츠 중심부에 배치되었는지 여부)와, 콘텐츠 내에서 차지하는 비율 등을 고려하여 판단될 수 있다.
이처럼 콘텐츠에 포함된 객체가 추출되고 객체의 형태, 종류와, 크기 등이 판단된 이후, 콘텐츠 배치부(120)는 그 판단된 객체의 형태, 종류와, 크기에 따라 해당 콘텐츠의 가상 전시 공간에서의 배치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콘텐츠가 세로방향으로 쭉 뻗은 나무를 그린 그림에 해당하는 경우, 콘텐츠 배치부(120)는 가상 전시 공간 중 세로 방향으로 긴 위치에 해당 콘텐츠를 배치할 수 있는 것이다.
즉, 특정 아티스트에게 각기 다른 형태의 가상 전시 공간이 할당된 경우, 콘텐츠 배치부(120)는 그 중에서 현재 콘텐츠 내에 포함된 객체의 형태나 종류, 크기 등을 고려하여 가장 어울리는 가상 전시 공간을 선정하여 해당 콘텐츠를 배치할 수 있는 것이다.
콘텐츠 자체의 크기에 따라 콘텐츠를 배치하는 경우 오히려 전체적으로 획일적 이미지를 주게 되는데, 본 발명의 경우에는 그러한 문제점을 야기하지 않으면서도, 내용별 유사도에 따른 감흥을 배가시킬 수 있다.
더 나아가 콘텐츠 배치부(120)는 아티스트로부터 업로드되는 콘텐츠에 대한 화풍을 기 등록된 화풍정보와의 유사도에 기초하여 판단하고 그 판단된 화풍에 따라 해당 콘텐츠의 액자 프레임을 선정한 후에, 그 선정된 액자 프레임을 해당 콘텐츠와 결합하여 가상 전시 공간에 배치할 수 있다.
실질적으로 콘텐츠(작품)마다 어떤 액자를 사용하는지에 따라 그 작품성에 영향을 주게 되므로, 액자 프레임의 선택은 그만큼 중요하다.
특히, 콘텐츠 배치부(120)는 액자 프레임의 중요성 및 효과를 분석하여 해당 콘텐츠에 가장 부합하는 액자 프레임을 선정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본 실시예에서 가상 전시 공간에 게시되는 각 콘텐츠는 온라인 판매가 이루어질 수도 있는데, 이때 유사한 화풍에 대한 기존 다양한 액자 프레임으로 전시된 콘텐츠들의 판매율에 대한 통계치를 조사하여 현재 새로 등록된 콘텐츠에 대한 액자 프레임을 선정할 수도 있는 것이다.
물론 판매뿐만 아니라 일명 '좋아요'버튼 등과 같이 온라인 관람객의 호응도에 대한 통계치를 조사하여 유사한 화풍의 콘텐츠에 대해서는 어떠한 액자 프레임이 어울리는지를 판단할 수도 있다.
이때 액자 프레임의 선정에 있어서는 단순히 액자 프레임의 모양이나 재질 뿐만 아니라, 액자 프레임 안에 콘텐츠가 놓이는 위치 즉, 액자 프레임과 콘텐츠까지의 거리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즉, 액자 프레임은 단순히 콘텐츠의 테두리 역할을 하는 것뿐만 아니라, 여백(즉, 액자 프레임으로부터 콘텐츠까지의 거리)을 통해 오히려 콘텐츠(작품)를 두드러지게 할 수도 있는 것이다.
이러한 최적의 액자 프레임의 선정 및 콘텐츠와의 결합 후 가상 전시 공간에의 배치를 통해 온라인 관람객에게 실제 오프라인 전시관에 전시된 아티스트의 작품이라는 느낌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특히, 콘텐츠 배치부(120)는 복수 개의 콘텐츠들에 대해서 기 판단된 객체의 형태, 종류와, 크기에 따라 그루핑 과정을 수행하고, 그루핑된 콘텐츠들별로 묶어서 가상 전시 공간의 배치 위치를 결정할 수도 있다.
더 나아가 콘텐츠 배치부(120)는 아티스트로부터 업로드되는 콘텐츠에 대한 화풍을 기 등록된 화풍정보와의 유사도에 기초하여 판단한 후에, 그 판단된 화풍에 따라 해당 콘텐츠의 액자 프레임을 선정하여 해당 콘텐츠와 결합한 후, 가상 전시 공간에 배치할 수도 있다.
한편,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가상 전시 공간 구축부(110)가 아티스트별 가상 전시 공간을 구축한다고만 설명하였으나 일단 구축된 가상 전시 공간에 대한 구성을 변경하는 기능도 수행할 수 있다.
즉, 상술한 예에서 콘텐츠 배치부(120)는 아티스트로부터 업로드되는 콘텐츠에 대한 분석을 수행할 수 있다고 설명하였는데, 가상 전시 공간 구축부(110)는 이러한 콘텐츠에 대한 분석 결과에 기초하여 해당 아티스트에 대응되는 가상 전시공간의 구성을 변경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아티스트로부터 업로드되는 콘텐츠에 대해 콘텐츠 배치부(120)에 의한 분석이 이루어지고 해당 콘텐츠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객체가 추출된 경우 가상 전시 공간 구축부(110)는 추출한 객체를 이용하여 해당 콘텐츠가 배치되는 가상 전시공간의 색상과 배경 이미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변경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가상 전시공간은 정면을 기준으로 해당 정면을 바라보는 쪽으로 연장되는 효과를 주는 각각의 상면, 하면, 좌측면, 우측면 및 정면을 포함하여 3차원 형상으로 구성되었다고 가정하면, 콘텐츠 배치부(120)는 아티스트로부터 업로드되는 콘텐츠를 분석하여 상, 하, 좌, 우 영역에 존재하는 각각의 주요 객체를 추출할 수 있는데, 이때 가상 전시 공간 구축부(110)는 콘텐츠 배치부(120)가 추출한 상, 하, 좌, 우 영역별 주요 객체를 각각 가상 전시공간의 상면, 하면, 좌측면, 우측면에 분리 배치할 수 있는 것이다.
특히, 콘텐츠 배치부(120)가 콘텐츠로부터 추출되는 주요 객체의 종류를 판단한 경우, 가상 전시 공간 구축부(110)는 콘텐츠 배치부(120)가 판단한 각 주요 객체의 종류에 대응되는 유사 객체를 복수 개씩 데이터베이스(미 도시함)로부터 추출하고, 해당 복수 개씩 추출된 유사 객체를 각각 가상 전시공간의 상면, 하면, 좌측면, 우측면에 분리 배치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처리 과정이 도 6에 도시되었다.
예를 들어 가상 갤러리 시스템(100)은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콘텐츠(500)를 상, 하, 좌, 우(510, 520, 530, 540)로 구분하여 그 각각의 영역에 포함된 주요 객체를 영역별로 추출할 수 있다.
도 6(a)에서는 상부 영역(510)에는 A 객체가, 하부 영역(520)에는 B 객체가, 좌측 영역(530)에는 C 객체가, 우측 영역(540)에는 D 객체가 존재하는 것을 일 예로 하고 있고, 이 경우 가상 갤러리 시스템(100)은 A,B,C,D 의 주요 객체를 각각 추출할 수 있는 것이다.
만일, 도 6(a)와 같이 아티스트로부터 업로드되는 콘텐츠(500)를 분석하여 상, 하, 좌, 우 영역에 존재하는 각각의 주요 객체를 추출한 경우에는, 가상 갤러리 시스템(100)는 그 추출한 상, 하, 좌, 우 영역별 주요 객체를 각각 가상 전시공간(600)의 상면(610), 하면(620), 좌측면(630), 우측면(640)에 분리 배치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결과가 도 6(b)에 도시되었다.
즉, 도 6(b)를 참조하면, 가상 전시공간(600)의 상면(610)에는 콘텐츠(500)의 상부 영역(510)에 있던 A객체가 배치되고, 가상 전시공간(600)의 하면(620)에는 콘텐츠(500)의 하부 영역(520)에 있던 B객체가 배치되고, 가상 전시공간(600)의 좌측면(630)에는 콘텐츠(500)의 좌측 영역(530)에 있던 C객체가 배치되고, 가상 전시공간(600)의 우측면(640)에는 콘텐츠(500)의 우측 영역(540)에 있던 D객체가 배치되었음을 알 수 있다.
물론 가상 갤러리 시스템(100)은 가상 전시공간(600)의 정면에는 콘텐츠(500)를 있는 그대로 배치하여 마치 오프라인 갤러리에 그림이 걸려있는 것과 같은 효과를 줄 수 있다.
이처럼 정면을 기준으로 가상 전시공간(600)의 상면(610), 하면(620), 좌측면(630), 우측면(640)에 정면에 배치되는 콘텐츠(500)로부터 추출한 객체를 다시 배치함으로써, 콘텐츠(500)와 입체적 배경이 서로 조화를 이룰 수 있어서, 온라인 관람객의 감동이 배가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각 실시예를 수행하는 과정은 소정의 기록 매체(예를 들어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에 저장된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여기서 기록 매체는 RAM(Random Access Memory)과 같은 전자적 기록 매체, 하드 디스크와 같은 자기적 기록 매체, CD(Compact Disk)와 같은 광학적 기록 매체 등을 모두 포함한다.
이때, 기록 매체에 저장된 프로그램은 컴퓨터나 스마트폰 등과 같은 하드웨어 상에서 실행되어 상술한 각 실시예를 수행할 수 있다. 특히,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른 가상 갤러리 시스템(100)의 기능 블록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이러한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한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 및 수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되는 청구범위에 속한다면 본 발명에 포함된다는 것은 자명할 것이다.
100 : 가상 갤러리 시스템 200 : 아티스트 단말기
300 : 온라인 관람객 단말기 110 : 가상 전시 공간 구축부
120 : 콘텐츠 배치부 130 : 혜택 제공부
140 : 입력부 150 : 저장부

Claims (12)

  1. (a) 아티스트별 가상 전시 공간을 구축하는 단계와;
    (b) 아티스트로부터 업로드되는 콘텐츠를 해당 아티스트에 대응되는 가상 전시 공간에 배치하는 단계와;
    (c) 각 아티스트별 가상 전시 공간을 방문한 온라인 관람객의 반응에 따라 각 아티스트에게 가상 전시 공간과 관련된 혜택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상 기능을 구비한 가상 갤러리 시스템의 제어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는,
    (c1) 각 아티스트별 가상 전시 공간을 방문한 온라인 관람객의 반응에 따라 각 아티스트 등급을 결정하는 단계와;
    (c2) 상기 (c1) 단계에서 결정된 아티스트 등급에 따라 해당 아티스트에게 할당된 가상 전시 공간의 크기를 변경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상 기능을 구비한 가상 갤러리 시스템의 제어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는,
    (c1) 각 아티스트별 가상 전시 공간을 방문한 온라인 관람객의 반응에 따라 각 아티스트 등급을 결정하는 단계와;
    (c2) 상기 (c1) 단계에서 결정된 아티스트 등급이 기 설정된 기준 등급 이상인 경우 가상 전시 공간 꾸밈 기능을 활성화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상 기능을 구비한 가상 갤러리 시스템의 제어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는,
    (c1) 각 아티스트별 가상 전시 공간을 방문한 온라인 관람객의 반응에 따라 각 아티스트 등급을 결정하는 단계와;
    (c2) 상기 (c1) 단계에서 결정된 아티스트 등급이 기 설정된 기준 등급 이상인 경우 오프라인 동기화 기능을 활성화하고, 해당 아티스트에 의해 지정된 오프라인 전시관 시스템에 오프라인 연계 콘텐츠의 전송을 요청한 후, 해당 오프라인 전시관 시스템으로부터 수신되는 오프라인 연계 콘텐츠를 해당 아티스트의 가상 전시 공간에 배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상 기능을 구비한 가상 갤러리 시스템의 제어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c2) 단계에서는, 상기 (c1) 단계에서 결정된 아티스트 등급이 기 설정된 기준 등급 이상인 경우 오프라인 동기화 기능을 활성화함과 아울러 해당 아티스트의 가상 전시 공간의 크기를 확장 변경시키되, 해당 아티스트에 의해 지정된 오프라인 전시관 시스템이 존재하는지 여부에 따라 해당 가상 전시 공간의 확장 비율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상 기능을 구비한 가상 갤러리 시스템의 제어방법.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
  7. 하드웨어와 결합되어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저장된 응용 프로그램.
  8. 아티스트별 가상 전시 공간을 구축하는 가상 전시 공간 구축부와;
    아티스트로부터 업로드되는 콘텐츠를 해당 아티스트에 대응되는 가상 전시 공간에 배치하는 콘텐츠 배치부와;
    각 아티스트별 가상 전시 공간을 방문한 온라인 관람객의 반응에 따라 각 아티스트에게 가상 전시 공간과 관련된 혜택을 제공하는 혜택 제공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상 기능을 구비한 가상 갤러리 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혜택 제공부는, 각 아티스트별 가상 전시 공간을 방문한 온라인 관람객의 반응에 따라 각 아티스트 등급을 결정하고, 그 결정된 아티스트 등급에 따라 해당 아티스트에게 할당된 가상 전시 공간의 크기를 변경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상 기능을 구비한 가상 갤러리 시스템.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혜택 제공부는, 각 아티스트별 가상 전시 공간을 방문한 온라인 관람객의 반응에 따라 각 아티스트 등급을 결정하고, 그 결정된 아티스트 등급이 기 설정된 기준 등급 이상인 경우 가상 전시 공간 꾸밈 기능을 활성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상 기능을 구비한 가상 갤러리 시스템.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혜택 제공부는, 각 아티스트별 가상 전시 공간을 방문한 온라인 관람객의 반응에 따라 각 아티스트 등급을 결정하고, 그 결정된 아티스트 등급이 기 설정된 기준 등급 이상인 경우 오프라인 동기화 기능을 활성화하고, 해당 아티스트에 의해 지정된 오프라인 전시관 시스템에 오프라인 연계 콘텐츠의 전송을 요청한 후, 해당 오프라인 전시관 시스템으로부터 수신되는 오프라인 연계 콘텐츠를 해당 아티스트의 가상 전시 공간에 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상 기능을 구비한 가상 갤러리 시스템.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혜택 제공부는, 상기 결정된 아티스트 등급이 기 설정된 기준 등급 이상인 경우 오프라인 동기화 기능을 활성화함과 아울러 해당 아티스트의 가상 전시 공간의 크기를 확장 변경시키되, 해당 아티스트에 의해 지정된 오프라인 전시관 시스템이 존재하는지 여부에 따라 해당 가상 전시 공간의 확장 비율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상 기능을 구비한 가상 갤러리 시스템.
KR1020210151692A 2021-11-05 2021-11-05 보상 기능을 구비한 가상 갤러리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26168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51692A KR102616846B1 (ko) 2021-11-05 2021-11-05 보상 기능을 구비한 가상 갤러리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51692A KR102616846B1 (ko) 2021-11-05 2021-11-05 보상 기능을 구비한 가상 갤러리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65777A true KR20230065777A (ko) 2023-05-12
KR102616846B1 KR102616846B1 (ko) 2023-12-27

Family

ID=863855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51692A KR102616846B1 (ko) 2021-11-05 2021-11-05 보상 기능을 구비한 가상 갤러리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16846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07581A (ko) * 2015-02-10 2017-09-25 여주희 가상 공간에서의 전시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20190134194A (ko) * 2018-05-25 2019-12-04 양승철 미술품 유통 지원 방법 및 시스템
KR20200063526A (ko) 2018-11-28 2020-06-05 함영국 온라인 예술 작품 관리 시스템
KR102308678B1 (ko) * 2020-12-28 2021-10-06 주식회사 믐 가상 전시공간 제공 서비스 제공방법, 서버 및 컴퓨터프로그램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07581A (ko) * 2015-02-10 2017-09-25 여주희 가상 공간에서의 전시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20190134194A (ko) * 2018-05-25 2019-12-04 양승철 미술품 유통 지원 방법 및 시스템
KR20200063526A (ko) 2018-11-28 2020-06-05 함영국 온라인 예술 작품 관리 시스템
KR102308678B1 (ko) * 2020-12-28 2021-10-06 주식회사 믐 가상 전시공간 제공 서비스 제공방법, 서버 및 컴퓨터프로그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16846B1 (ko) 2023-12-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922716B2 (en) Creating targeted content based on detected characteristics of an augmented reality scene
Manovich Instagram and contemporary image
Quercia et al. Aesthetic capital: what makes London look beautiful, quiet, and happy?
CN101356526B (zh) 用于生成通信作品的方法
US8631322B2 (en) Album creating apparatus facilitating appropriate image allocation, album generating method and program
US8086612B2 (en) Album generating apparatus, album generating method and program
TWI617930B (zh) 空間物件搜尋排序方法、系統與電腦可讀取儲存裝置
US10025777B2 (en) User interface screen creation supporting system
CN107729361A (zh) 自动合成图片推送方法、装置及存储介质
CN110084871B (zh) 图像排版方法及装置、电子终端
DE112017005879T5 (de) Informationsverarbeitungsvorrichtung, informationsverarbeitungsverfahren und programm
CN109074680A (zh) 基于通信的增强现实中实时图像和信号处理方法和系统
KR102346137B1 (ko) Gps 기반 ar 콘텐츠를 이용한 지역문화자원 안내 서비스 제공 시스템
Straubhaar Mapping “global” in global communication and media studies
CN104281865A (zh) 一种生成二维码的方法与设备
KR102407493B1 (ko) 가상현실을 사용한 아트 갤러리 구현 솔루션
CN104837065B (zh) 电视终端与移动终端间的二维码信息共享方法及系统
Bock Together in the scrum: Practice news photography for television, print, and broadband
KR20230065777A (ko) 보상 기능을 구비한 가상 갤러리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Wu et al. How A 360° virtual tour is more effective than photographs on communication effects: the roles of mental imagery processing and a sense of presence
DE112019000548T5 (de) Datenkommunikationssystem und Verfahren zur Verwendung des Datenkommunikationssystems
KR102598321B1 (ko) 소셜 뮤지엄 서비스를 위한 디지털 전시 플랫폼 시스템
KR102652585B1 (ko) 자동화된 콘텐츠 배치 처리를 수행하는 가상 갤러리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US11416541B2 (en) System and method for visual art streaming runtime platform
KR20230065779A (ko) 가상 전시공간 구성을 수행하는 가상 갤러리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