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46137B1 - Gps 기반 ar 콘텐츠를 이용한 지역문화자원 안내 서비스 제공 시스템 - Google Patents

Gps 기반 ar 콘텐츠를 이용한 지역문화자원 안내 서비스 제공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46137B1
KR102346137B1 KR1020210075683A KR20210075683A KR102346137B1 KR 102346137 B1 KR102346137 B1 KR 102346137B1 KR 1020210075683 A KR1020210075683 A KR 1020210075683A KR 20210075683 A KR20210075683 A KR 20210075683A KR 102346137 B1 KR102346137 B1 KR 1023461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
local
gps
user terminal
poi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756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민영
Original Assignee
권민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민영 filed Critical 권민영
Priority to KR10202100756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4613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461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461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14Travel agenci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34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 G01C21/3407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 G01C21/343Calculating itineraries, i.e. routes leading from a starting point to a series of categorical destinations using a global route restraint, round trips, touristic trip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34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 G01C21/3453Special cost functions, i.e. other than distance or default speed limit of road segments
    • G01C21/3476Special cost functions, i.e. other than distance or default speed limit of road segments using point of interest [POI] information, e.g. a route passing visible POI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9/00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Determining position, velocity or attitude using signals transmitted by such systems
    • G01S19/01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transmitting time-stamped messages, e.g.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GLONASS [Global Orbiting Navigation Satellite System] or GALILEO
    • G01S19/13Receivers
    • G01S19/14Receiver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07Discounts or incentives, e.g. coupons or rebat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1Social network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30Transportation; Communic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Remote Sensing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GPS 기반 AR 콘텐츠를 이용한 지역문화자원 안내 서비스 제공 시스템이 제공되며, 지역문화관광자원에 대한 로컬(Local)콘텐츠를 제작하여 GPS에 매핑되도록 GPS 또는 주소를 함께 업로드하는 적어도 하나의 판매자 단말, 지역 내 등록된 로컬 콘텐츠 리스트를 지도상에 출력하고, 로컬 콘텐츠 리스트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면, 촬영화면 내에서 GPS 기반으로 로컬 콘텐츠가 변환되어 저장된 AR 콘텐츠를 출력하고, AR 콘텐츠와 사용자가 함께 포함된 인증사진을 촬영한 후 적어도 하나의 종류의 소셜미디어에 인증사진을 업로드하면, 기 설정된 포인트를 지급받는 사용자 단말 및 적어도 하나의 판매자 단말로부터 로컬 콘텐츠를 GPS 또는 주소와 함께 수신하는 수신부, 로컬 콘텐츠를 AR 콘텐츠로 제작하여 GPS 기반으로 출력되도록 설정하는 설정부, 사용자 단말에서 인증사진을 찍고 적어도 하나의 소셜미디어에 공유하는 경우, 기 설정된 포인트를 사용자 단말로 지급하는 지급부를 포함하는 안내 서비스 제공 서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GPS 기반 AR 콘텐츠를 이용한 지역문화자원 안내 서비스 제공 시스템{SYSTEM FOR PROVIDING LOCAL CULTURAL RESOURCES GUIDNACE SERVICE USING GLOBAL POSITIONING SYSTEM BASED AUGMENTED REALITY CONTENTS}
본 발명은 GPS 기반 AR 콘텐츠를 이용한 지역문화자원 안내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GPS 기반 로컬 콘텐츠를 AR 콘텐츠로 제작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는 플랫폼을 제공한다.
경제 성장의 고도화와 주 5일 근무제 정착에 따른 워라밸(Work-Life-Balance) 문화가 확대되고, 기업에서는 주 40시간 근무제를 도입하는 등 국민들의 여가문화, 문화예술활동의 수요가 증가할 것으로 예측되고 있다. 도시화로 인해 인구감소가 진행되는 지방자치단체에서는 ‘지역문화’가 지역 활성화의 핵심 키워드로 되는 방향으로 되어가고 있다. 지역문화는 관광객을 유인하는 매력적인 관광 상품이며, 관광객들은 지역에 방문하여 지역의 역사, 문화, 예술을 접하고 문화적 배경이 다른 사람들과 현지문화를 체험하고 즐길 수 있게 된다. 각 지자체에서는 지역의 특성을 살리고 지역문화를 알리기 위한 축제를 해마다 개최하여, 지역을 활성화를 하여 지역의 정체성과 지역의 경쟁력 제고에 힘을 쓰고 있고, 문화를 체험하는 여행의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지역의 역사와 더불어 문화의 장점과 특수성을 부각해 당시 문화를 경험할 수 있는 볼거리, 체험거리가 있는 문화콘텐츠를 개발하여 차별성 있고 매력적인 관광을 이끌기 위한 다양한 노력을 하고 있다.
이때, 지역문화를 활성화하기 위하여 게임, 소셜미디어 및 가상현실에 접목한 방법이 연구 및 개발되었는데, 이와 관련하여, 선행기술인 한국공개특허 제2014-0132846호(2014년11월19일 공개), 한국공개특허 제2018-0052385호(2018년05월18일 공개) 및 한국공개특허 제2020-0114832호(2020년10월07일 공개)에는, 지역문화역사 이벤트 및 정보를 포함하는 가상의 월드를 형성하고, 게임참여자의 입력에 따라 지역 내 문화 속 인물을 주제로 하는 가상캐릭터를 생성하며, 이벤트에 참여할 참여자를 모집한 후 이벤트에서 발생한 포인트 및 아이템을 게임참여자에게 지급하여 지역 내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과, 소셜미디어를 이용하여 지역문화를 홍보할 수 있는 콘텐츠를 개발하고, 콘텐츠의 공유를 통하여 커뮤니케이션을 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과, 위치정보를 기준으로 지역문화 콘텐츠를 스토리텔링하는 VR 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도록, 사용자 단말의 GPS를 기준으로 지역문화 콘텐츠를 제공하며, 사용자 단말에서 시대별 또는 스토리별 지역문화 콘텐츠를 생성하여 업로드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이 각각 개시되어 있다.
다만, 수도권에 인구가 집중되어 있고 문화자원도 함께 편중되는 경향으로 인하여 지역상권이나 지역발전도 함께 무너져 가고 있는 상황에서 전자의 경우 게임을 하지 않는 사용자는 이끌어 낼 수가 없고, 후자의 경우에도 외부에서 가상현실 콘텐츠를 햇빛에 반사되는 화면을 보면서 여행을 다니거나 체험을 할 사람은 없다는 것이 문제다. 차별화된 경쟁력을 갖추기 위해 관람만족을 높일 수 있는 요소가 무엇인지 파악하고 지속적인 방문이 이루어 질 수 있도록 방안을 강구해야 할 필요가 있다. 이에, 지역문화를 활성화하기 위하여 체험몰입, 체험만족 및 재방문의도를 높일 수 있는 체험마케팅의 연구 및 개발이 요구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지역문화역사를 GPS 기반 AR 콘텐츠로 제작함으로써 지역에 방문하여 문화 및 역사를 체험하고자 하는 사용자에게 AR 콘텐츠로 여행 가이드와 같이 체험몰입이 가능한 안내를 해줄 수 있음과 동시에, 사용자가 AR 콘텐츠와 함께 인증사진을 소셜미디어에 업로드하는 경우 포인트를 지급함으로써 체험만족을 주고 타인에게 방문의도를 가지도록 하며, 전국적으로 포인트를 통합함으로써 한 지역 뿐만 아니라 전국에 퍼져있는 문화유산을 체험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코로나(COVID19)로 여행을 가지 못하는 자국민 및 외국인들에게 즐길 수 있는 거리를 제공할 수 있고, 크리에이터, 소상공인 및 지자체는 지역 내 즐길거리를 포함한 여행경로 및 지역문화 콘텐츠를 제공함으로써 타지역 사람들의 방문을 유도하며, 적립된 포인트는 지역사회에 기부 및 환원됨으로써 지역발전에 이바지할 수 있는, GPS 기반 AR 콘텐츠를 이용한 지역문화자원 안내 서비스 제공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다만, 본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존재할 수 있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지역문화관광자원에 대한 로컬(Local)콘텐츠를 제작하여 GPS에 매핑되도록 GPS 또는 주소를 함께 업로드하는 적어도 하나의 판매자 단말, 지역 내 등록된 로컬 콘텐츠 리스트를 지도상에 출력하고, 로컬 콘텐츠 리스트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면, 촬영화면 내에서 GPS 기반으로 로컬 콘텐츠가 변환되어 저장된 AR 콘텐츠를 출력하고, AR 콘텐츠와 사용자가 함께 포함된 인증사진을 촬영한 후 적어도 하나의 종류의 소셜미디어에 인증사진을 업로드하면, 기 설정된 포인트를 지급받는 사용자 단말 및 적어도 하나의 판매자 단말로부터 로컬 콘텐츠를 GPS 또는 주소와 함께 수신하는 수신부, 로컬 콘텐츠를 AR 콘텐츠로 제작하여 GPS 기반으로 출력되도록 설정하는 설정부, 사용자 단말에서 인증사진을 찍고 적어도 하나의 소셜미디어에 공유하는 경우, 기 설정된 포인트를 사용자 단말로 지급하는 지급부를 포함하는 안내 서비스 제공 서버를 포함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지역문화역사를 GPS 기반 AR 콘텐츠로 제작함으로써 지역에 방문하여 문화 및 역사를 체험하고자 하는 사용자에게 AR 콘텐츠로 여행 가이드와 같이 체험몰입이 가능한 안내를 해줄 수 있음과 동시에, 사용자가 AR 콘텐츠와 함께 인증사진을 소셜미디어에 업로드하는 경우 포인트를 지급함으로써 체험만족을 주고 타인에게 방문의도를 가지도록 하며, 전국적으로 포인트를 통합함으로써 한 지역 뿐만 아니라 전국에 퍼져있는 문화유산을 체험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코로나(COVID19)로 여행을 가지 못하는 자국민 및 외국인들에게 즐길 수 있는 거리를 제공할 수 있고, 크리에이터, 소상공인 및 지자체는 지역 내 즐길거리를 포함한 여행경로 및 지역문화 콘텐츠를 제공함으로써 타지역 사람들의 방문을 유도하며, 적립된 포인트는 지역사회에 기부 및 환원됨으로써 지역발전에 이바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GPS 기반 AR 콘텐츠를 이용한 지역문화자원 안내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시스템에 포함된 안내 서비스 제공 서버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GPS 기반 AR 콘텐츠를 이용한 지역문화자원 안내 서비스가 구현된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GPS 기반 AR 콘텐츠를 이용한 지역문화자원 안내 서비스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 흐름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하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약", "실질적으로" 등은 언급된 의미에 고유한 제조 및 물질 허용오차가 제시될 때 그 수치에서 또는 그 수치에 근접한 의미로 사용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정확하거나 절대적인 수치가 언급된 개시 내용을 비양심적인 침해자가 부당하게 이용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본 발명의 명세서 전체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하는) 단계" 또는 "~의 단계"는 "~ 를 위한 단계"를 의미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부(部)'란,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unit), 소프트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 양방을 이용하여 실현되는 유닛을 포함한다. 또한, 1 개의 유닛이 2 개 이상의 하드웨어를 이용하여 실현되어도 되고, 2 개 이상의 유닛이 1 개의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어도 된다. 한편, '~부'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며, '~부'는 어드레싱 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재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일 예로서 '~부'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객체 지향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클래스 구성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요소들과 같은 구성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이버들, 펌웨어, 마이크로코드, 회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및 변수들을 포함한다. 구성요소들과 '~부'들 안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요소들 및 '~부'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들과 '~부'들로 더 분리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구성요소들 및 '~부'들은 디바이스 또는 보안 멀티미디어카드 내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CPU들을 재생시키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단말, 장치 또는 디바이스가 수행하는 것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는 해당 단말, 장치 또는 디바이스와 연결된 서버에서 대신 수행될 수도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서버가 수행하는 것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도 해당 서버와 연결된 단말, 장치 또는 디바이스에서 수행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있어서, 단말과 매핑(Mapping) 또는 매칭(Matching)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는, 단말의 식별 정보(Identifying Data)인 단말기의 고유번호나 개인의 식별정보를 매핑 또는 매칭한다는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GPS 기반 AR 콘텐츠를 이용한 지역문화자원 안내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GPS 기반 AR 콘텐츠를 이용한 지역문화자원 안내 서비스 제공 시스템(1)은,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 안내 서비스 제공 서버(300), 적어도 하나의 판매자 단말(400)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러한 도 1의 GPS 기반 AR 콘텐츠를 이용한 지역문화자원 안내 서비스 제공 시스템(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도 1을 통하여 본 발명이 한정 해석되는 것은 아니다.
이때, 도 1의 각 구성요소들은 일반적으로 네트워크(Network, 200)를 통해 연결된다.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은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안내 서비스 제공 서버(300)와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안내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 적어도 하나의 판매자 단말(400)과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판매자 단말(400)은,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안내 서비스 제공 서버(300)와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네트워크는, 복수의 단말 및 서버들과 같은 각각의 노드 상호 간에 정보 교환이 가능한 연결 구조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러한 네트워크의 일 예에는 근거리 통신망(LAN: Local Area Network), 광역 통신망(WAN: Wide Area Network), 인터넷(WWW: World Wide Web), 유무선 데이터 통신망, 전화망, 유무선 텔레비전 통신망 등을 포함한다. 무선 데이터 통신망의 일례에는 3G, 4G, 5G,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5GPP(5th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LTE(Long Term Evolution),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와이파이(Wi-Fi), 인터넷(Internet), LAN(Local Area Network), Wireless 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PAN(Personal Area Network), RF(Radio Frequency), 블루투스(Bluetooth) 네트워크, NFC(Near-Field Communication) 네트워크, 위성 방송 네트워크, 아날로그 방송 네트워크,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네트워크 등이 포함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하기에서, 적어도 하나의 라는 용어는 단수 및 복수를 포함하는 용어로 정의되고, 적어도 하나의 라는 용어가 존재하지 않더라도 각 구성요소가 단수 또는 복수로 존재할 수 있고, 단수 또는 복수를 의미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또한, 각 구성요소가 단수 또는 복수로 구비되는 것은, 실시예에 따라 변경가능하다 할 것이다.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은, GPS 기반 AR 콘텐츠를 이용한 지역문화자원 안내 서비스 관련 웹 페이지, 앱 페이지,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로컬 콘텐츠를 구매하거나 참여 또는 체험 이벤트에 참가하여 로컬 콘텐츠에 기반한 AR 콘텐츠를 이용하는 사용자의 단말일 수 있다. 이때, 사용자 단말(100) 또한 안내 서비스 제공 서버(300)에서 제공하는 AR 콘텐츠나 로컬 콘텐츠를 구매 또는 이용하여 새로운 AR 콘텐츠나 로컬 콘텐츠를 제작하는 프로슈머(Producer 및 Consumer의 합성어)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지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사용자 단말(100)은 본 서비스를 이용하는 단말로, 판매자 단말(400)은 AR 콘텐츠나 로컬 콘텐츠를 제작하는 단말로 역할을 한정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물론, 판매자 단말(400)도 사용자 단말(100)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고, 그 역도 마찬가지이며, 하나의 단말에서 두 개 이상의 역할에 따른 프로세스를 모두 진행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은, 네트워크를 통하여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네비게이션,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은, 네트워크를 통해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단말로 구현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은, 예를 들어,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네비게이션,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스마트폰(Smartphone), 스마트 패드(Smartpad), 타블렛 PC(Tablet PC)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안내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GPS 기반 AR 콘텐츠를 이용한 지역문화자원 안내 서비스 웹 페이지, 앱 페이지,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제공하는 서버일 수 있다. 그리고, 안내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적어도 하나의 판매자 단말(400)로부터 로컬 콘텐츠나 AR 콘텐츠를 GPS 기반으로 수집하고 이를 데이터베이스화하는 서버일 수 있다. 판매자 단말(400)의 판매자는 지방자지단체, 관광공사, 소상공인 및 크리에이터 등 다양할 수 있고, 전문가가 아니어서 AR 콘텐츠를 제작할 수 없는 일반인도 존재할 수 있으므로 판매자는 로컬 콘텐츠를 제작하여 AR 콘텐츠로의 변환을 의뢰하거나, 직접 AR 콘텐츠를 제작하여 업로드할 수도 있다. 안내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로컬 콘텐츠가 동영상, 사진, 이미지, 텍스트 등으로 AR 콘텐츠가 아닌 경우, 로컬 콘텐츠를 AR 콘텐츠로 변환하는 작업을 수행하는 서버일 수 있다. 이렇게 생성, 변환 및 제작된 AR 콘텐츠는 안내 서비스 제공 서버(300)의 라이브러리를 구축하고, 기 설정된 사용요금을 지불하면 누구나 이용가능하도록 공유할 수도 있다. 안내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사용자 단말(100)에서 원하는 로컬 콘텐츠를 선택하면, 이에 매핑되어 저장된 AR 콘텐츠가 사용자 단말(100)의 화면 상에 출력되도록 하는 서버일 수 있다. 또한, 안내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사용자 단말(100)에서 체험을 하거나 방문을 한 인증사진을 남기고 소셜미디어에 공유하는 경우 사용자 단말(100)로 포인트를 지급하는 동시에 지급된 포인트를 지자체나 지역사회에 기부될 수 있도록 하고, 기부금 영수증을 발행하는 서버일 수 있다.
여기서, 안내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네트워크를 통하여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네비게이션,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판매자 단말(400)은, GPS 기반 AR 콘텐츠를 이용한 지역문화자원 안내 서비스 관련 웹 페이지, 앱 페이지,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지역의 문화, 관광, 역사 등에 대하여 사진, 이미지, 텍스트 및 동영상 중 어느 하나 또는 적어도 하나의 조합으로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제작하여 업로드하는 단말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판매자 단말(400)의 판매자는 지역발전을 위해 홍보물을 제작한 지방자치단체일 수도 있고, 지역풍물기행 또는 나만의 코스와 같이 여행경로를 지도상에 제작한 크리에이터일 수도 있고, 여행 가이드와 같이 여행코스를 다니면서 각각의 관광지나 관광지의 역사, 또 맛집 등에 대한 설명을 해주는 가이드일 수도 있다.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판매자 단말(400)은, 네트워크를 통하여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네비게이션,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적어도 하나의 판매자 단말(400)은, 네트워크를 통해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단말로 구현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판매자 단말(400)은, 예를 들어,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네비게이션,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스마트폰(Smartphone), 스마트 패드(Smartpad), 타블렛 PC(Tablet PC)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시스템에 포함된 안내 서비스 제공 서버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이고,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GPS 기반 AR 콘텐츠를 이용한 지역문화자원 안내 서비스가 구현된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안내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수신부(310), 설정부(320), 지급부(330), 기부관리부(340), 영수증관리부(350), 경로안내부(360), 콘텐츠공유부(370), 결제부(380), 관광안내부(390) 및 AR길안내부(391)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내 서비스 제공 서버(300)나 연동되어 동작하는 다른 서버(미도시)가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 및 적어도 하나의 판매자 단말(400)로 GPS 기반 AR 콘텐츠를 이용한 지역문화자원 안내 서비스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앱 페이지, 웹 페이지 등을 전송하는 경우,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 및 적어도 하나의 판매자 단말(400)은, GPS 기반 AR 콘텐츠를 이용한 지역문화자원 안내 서비스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앱 페이지, 웹 페이지 등을 설치하거나 열 수 있다. 또한, 웹 브라우저에서 실행되는 스크립트를 이용하여 서비스 프로그램이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 및 적어도 하나의 판매자 단말(400)에서 구동될 수도 있다. 여기서, 웹 브라우저는 웹(WWW: World Wide Web)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게 하는 프로그램으로 HTML(Hyper Text Mark-up Language)로 서술된 하이퍼 텍스트를 받아서 보여주는 프로그램을 의미하며, 예를 들어 넷스케이프(Netscape), 익스플로러(Explorer), 크롬(Chrome) 등을 포함한다. 또한, 애플리케이션은 단말 상의 응용 프로그램(Application)을 의미하며, 예를 들어, 모바일 단말(스마트폰)에서 실행되는 앱(App)을 포함한다.
도 2를 설명하기 이전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사용될 기본개념을 설명한다. 이하에서 설명된 내용은 도 2를 설명하면서 반복하지 않는다.
<지역문화>
지역문화는 지역과 문화의 합성어다. 지역이란 정치적, 사회적, 문화적, 경제적 또는 물리적 측면에서 일련의 뚜렷한 역사적 지리적 특성을 보여주는 지리적 규모이며, 우리의 일상생활이 영위되는 터전이자 우리 사회의 발전이 전개되는 구체적인 장이다. 한국은 1990년대부터 지역문화의 중요성이 부각되기 시작하였다. 지역문화 정체성에 대한 의미를 연구하고 지역의 특성에 맞게 발전시키기 위해 오래전부터 내려오는 문화를 보존하고 지역의 독특한 문화를 이끌어 나가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지역문화를 이용하여 타 지역과의 차별화된 콘텐츠가 중요해지고 있으며, 지속가능한 지역발전을 위해 지역문화자산이 더욱 주목받고 있다. 관광객들에게 문화재 감상과 전통 체험 등과 같은 문화적 욕구를 충족시켜줌으로써 관광객들의 심리적 만족감을 줄 수 있다. 지역문화를 기반으로 하는 관광은 더 많은 일자리를 창출할 뿐만 아니라 지역관광으로 수입도 창출한다. 또한 지속 가능한 지역문화는 지역 관광 산업의 경쟁력을 높여 수익을 높이고 예술 및 수공예품을 다른 지역에서 활동 및 판매를 하여 수익을 창출 할 수 있다. 국내의 관광장소 및 시설과 문화자원 등의 현황을 파악하여 17곳의 지방자치단체별로 현황을 정리하면 이하 표 1과 같다.
전국 관광장소 및 시설 문화유산 총합 전국 관광장소 및 시설 문화유산 총합
서울특별시 10 10 20 충청북도 45 15 60
부산광역시 8 - 8 충청남도 60 40 100
대구광역시 27 8 35 전라북도 67 27 94
인천광역시 36 3 39 전라남도 129 61 190
광주광역시 11 2 13 경상북도 97 63 160
대전광역시 10 - 10 경상남도 62 36 98
울산광역시 14 6 20 제주특별자치도 15 4 19
세종특별자치시 1 1 2 총합 807 334 1141
<체험마케팅>
체험은 고객의 참여와 관여를 통해 현장에서 이루어지는 경험을 의미한다. 체험은 자신이 보고, 듣고, 경험하면서 생기는 과정 중에 얻을 수 있는 지식이나 기능을 총체적으로 가리키는 것을 의미한다. 고객 체험은 독특하고 즐겁고 기억에 남는 경험을 만들기 위한 중요한 마케팅 개념으로 등장했다. 체험마케팅은 소비자들을 감성적인 존재로 보며 고객들의 기억에 오래 남을 수 있는 체험을 제공하는데 중점을 둔 마케팅 기법이며, 어떠한 상황 속에 직접 참여하고, 경험하면서 생기는 것으로서, 고객들의 감각과 정신, 마음을 자극하는 계기가 된다. 체험 마케팅의 체험요소는 고객의 소중한 경험을 창출하는데 중점을 둔다. 체험 마케팅은 소비 체험의 정서적, 인지적 관점을 고려한 체험으로 전략적 마케팅이다. Schmit에 따른 5가지 체험요소는, 감각적, 감성적, 인지적, 행동적, 관계적 요소로 세분화시켜 전략적 체험모듈로 정의하였다. 체험마케팅은 고객이 체험할 수 있는 전체적인 물리적환경과 과정을 준비하기 위해 기업이 고안한 마케팅 전술이라고 볼 수 있다.
<체험몰입>
몰입은 인간행동을 연구하는 많은 학문분야 중에서 특히 사회학, 경영학, 심리학, 교육학 등에서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는 개념이다. 몰입의 개념은 학문분야와 관심영역에 따라 상이하게 정의되어 사용되고 있으며, 강조하고 있는 의미에 따라서 몰입이라는 용어는 다양하게 사용되고 있다. 고객들이 체험을 할 때 진정으로 만족시킬 수 있는 수단은 몰입이며, 의식 상태를 집중상태로 집중시켜 활동에 절대적으로 몰입한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몰입에 관한 연구는 관광 및 축제, 전시회, 이벤트, 여가 분야, 스포츠 등 다양한 분야에서 이루어지고 있는데, 특히 관광 행동연구에서 몰입과 관련된 개념으로 체험은 자아박탈, 감정상실 등을 특징으로, 몰입은 ‘재미’, ‘즐거움’같은 심리적인 태도가 아니고 개인이 자신의 특정한 일을 진심으로 즐기며 단순히 자기가 하고자하는 욕구에 빠져드는 주관적인 상태를 의미한다.
<체험만족>
만족은 거래에 관련된 고객의 태도로서, 특정기업과 관련된 제품 및 서비스에 대한 거래 체험에 대한 즉각적인 구매 후 평가 및 판단 혹은 감정반응이다. 고객만족은 소비자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가장 중요한 요소다. 따라서 고객들의 만족수준을 높이는 것은 모든 기업의 주요 관심사이며 끊임없이 연구해야할 숙제이다. 특히 고객만족은 마케팅 측면에서 매우 중요하게 다루어져 왔는데 마케팅과 체험마케팅에서 중요시하는 고객유지로 이어지기 때문이다. 고객의 만족도는 다양한 변수에 따라 달라지기 때문에 만족에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여 만족도를 높이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높은 수준의 고객 만족은 고객들의 높은 충성도, 낮은 가격 탄력성, 낮은 미래 거래 비용, 신규 고객 유치와 관련된 낮은 비용, 최소화된 경쟁 위험의 효과가 있어, 고객만족은 마케팅의 핵심 변수로 사용된다.
<재방문의도>
재방문의도는 재구매의도와 일반적인 개념에서 뜻을 같이 한다. 재구매의도는 서비스를 재구매하는 것이며, 서비스 제공자와 지속적으로 활동을 같이 할 것인지에 대한 결정, 어떤 활동을 할 것인지에 대한 개인의 판단으로 정의한다. 서비스 산업에서 마케팅 전략 중 가장 중요한 것은 고객들의 만족도를 높임으로써 기존 고객들의 유지율을 증가시키는데 있다. 즉, 고객 이탈을 줄이는 것이 매우 중요하며, 고객유지는 장기적 관점에서 기업의 이윤이나 성과를 지속적으로 창출시키는 중요한 요인임을 의미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지역문화역사를 GPS 기반 AR 콘텐츠로 제작함으로써 지역에 방문하여 문화 및 역사를 체험하고자 하는 사용자에게 AR 콘텐츠로 여행 가이드와 같이 체험몰입이 가능한 안내를 해줄 수 있음과 동시에, 사용자가 AR 콘텐츠와 함께 인증사진을 소셜미디어에 업로드하는 경우 포인트를 지급함으로써 체험만족을 주고 타인에게 방문의도를 가지도록 하며, 전국적으로 포인트를 통합함으로써 한 지역 뿐만 아니라 전국에 퍼져있는 문화유산을 체험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코로나(COVID19)로 여행을 가지 못하는 자국민 및 외국인들에게 즐길 수 있는 거리를 제공할 수 있고, 크리에이터, 소상공인 및 지자체는 지역 내 즐길거리를 포함한 여행경로 및 지역문화 콘텐츠를 제공함으로써 타지역 사람들의 방문을 유도하며, 적립된 포인트는 지역사회에 기부 및 환원됨으로써 지역발전에 이바지할 수 있도록 한다.
도 2를 참조하면, 수신부(310)는, 적어도 하나의 판매자 단말(400)로부터 로컬 콘텐츠를 GPS 또는 주소와 함께 수신할 수 있다. 로컬 콘텐츠는, 텍스트, 이미지, 사진 및 동영상 중 어느 하나 또는 적어도 하나의 조합을 포함하는 멀티미디어 콘텐츠일 수 있다. 멀티미디어 콘텐츠는, XR(Extended Reality)를 포함할 수 있고, XR은 AR(Augmented Reality), MR(Mixed Reality), VR(Virtual Reality)을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판매자 단말(400)은, 지역문화관광자원에 대한 로컬(Local)콘텐츠를 제작하여 GPS에 매핑되도록 GPS 또는 주소를 함께 업로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경주 불국사에 대한 로컬 콘텐츠인 경우, 경주 불국사 내 수 많은 유적지와 같은 어트랙션, 즉 POI(Point of Interest)가 존재하는데, 이를 하나하나 지정하여 알려주지 않는 한 일반인은 보물을 보더라도 일반 돌과 다른 감흥을 느끼지 못하고 지나갈 수 있다. 하지만, 로컬 콘텐츠로 제공하여 해당 위치에서 AR 콘텐츠가 팝업되고 설명이 출력되는 경우, 초기에는 어떠한 모습이었고 각종 전쟁에서 소실되고 다시 복원되는 과정까지 타임랩스 형태로 보여줄 수 있기 때문에, 그저 수 많은 돌 중 하나가 아니라, 어떠한 배경과 역사가 있는지, 어떠한 과정을 거쳐 이 자리에 있는지 등을 알려줄 수 있게 된다.
설정부(320)는, 로컬 콘텐츠를 AR 콘텐츠로 제작하여 GPS 기반으로 출력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이때, 로컬 콘텐츠는 대부분 2 차원 콘텐츠이다. 예를 들어, 사진이나 이미지 또는 동영상은 2D 콘텐츠이기 때문에 AR 콘텐츠를 제작하기 위해서는 2D 콘텐츠를 3D 콘텐츠로 3D 모델링 작업을 통하여 변환하는 것이 선행되어야 한다. 만약 유명 블로거가 경주 불국사 앞에서 사진을 찍은 후 설명을 텍스트로 기재하여 업로드했다면, 불국사 앞의 유명 블로거를 윤곽선 추출(Edge Detection)로 사진 내에서 오려내는 객체 추출을 한 후 2D인 유명 블로거를 깊이감을 주어 3D 객체로 만들어야 하고, 3D 객체는 AR 콘텐츠로 바로 쓸 수 있기 때문에 불국사의 GPS와 유명 블로거의 AR 콘텐츠를 저장하는 경우, 사용자 단말(100)에서 불국사의 GPS가 인식된 경우, 바로 사용자 단말(100)의 촬영화면 상에 유명 블로거가 AR 콘텐츠로 출력되면서 설명인 텍스트가 그 밑에 함께 나올 수 있게 된다.
판매자 단말(400)의 판매자가 AR 콘텐츠를 제작할 수 있는 기본적인 프로그래밍 툴을 다룰 줄 알거나, 프로그래밍 툴을 구매하여 소유하고 있는 사람이라면 쉽게 제작을 할 수 있겠지만, 일반인인 사용자 단말(100)의 사용자도 상술한 바와 같이 프로슈머로 활동할 수 있으므로 시스템 내에서 로컬 콘텐츠로부터 객체를 식별, 탐지 및 추출하고, 객체를 추출한 후 3D 객체로 변환하는 3D 모델링 과정을 수행해주어야 한다. 이때, 기계적으로 객체를 탐지할 때 "사람"을 지정했다고 하여 상술한 예에서 유명 블로거를 추출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이에 따라, 판매자 단말(400)에서 로컬콘텐츠를 2D 콘텐츠로 업로드할 때, 자신이 누구인지 표시를 하도록 할 수 있다. 간단한 예로 자신이 나온 프레임(스틸컷)에서 동그라미 또는 네모 표시로 자신이 누구인지만 표시를 해주어도 이후 다음 프레임 또는 이전 프레임에서도 해당 블로거를 추적하며 추출할 수 있게 된다.
2D영상의 3D변환은 영상물이 아주 다양한 대상을 포함하고 있어서 복잡한 영상 처리 기술을 필요로 한다. 입체영상에 필요한 양안시차를 얻기 위한 방법은 영상의 운동에 기반한 방법, 컴퓨터 비전 기반 방법, 수동 컨버팅 방법 등이 있다. 현재영상과 지연영상을 좌,우 영상으로 제공하는 영상 운동 기반 방법은 좌,우 영상의 선택이 잘못될 경우 왜곡된 입체감을 준다. 따라서 카메라의 운동, 객체의 운동의 방향 및 유무에 따라 좌, 우 영상을 바르게 제공해야하고, 또 두 영상 간 수직 시차가 있는경우의 적용이 어렵다. 컴퓨터 비전 기반 방법은 영상 내의 배경과 객체를 분할하고 객체의 모션, 색상, 쉐이딩 등으로부터 깊이맵(Depth Map)을 구하고 이를 이용하여 양안시차를 제공하는 방법이다. 컴퓨터 프로세싱 성능의 향상과 비전기술의 향상으로 근래에는 좋은 결과를 얻기도 하지만, 영상 내의 다양한 장면변화에 강건하지는 않다.
지역문화를 홍보하는 콘텐츠인 만큼 변환품질이 매우 중요하기 때문에 수동변환을 이용할 수도 있지만, 수동변환은 영화를 기준으로 초당 24 프레임의 이미지를 변환하여야 하기 때문에 변환작업 시간이 매우 많이 소요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수동변환의 단점인 긴 작업시간을 단축하고자 깊이맵의 양자화에 기반한 저작 도구를 이용하기로 한다.
<양자화 기반 2D-3D 변환 저작도구>
저작도구는 원본영상에서 영상을 구성하는 이미지들을구분하는 이미지영역 선택툴, 구분된 이미지들에 뎁스 정보설정을 위한 유저인터페이스, 설정된 임의의 깊이정보를 근간으로 선형이 아닌 로그 값을 갖는 양자화된 뎁스구간을 형성하는 알고리즘, 양자화된 로그형 뎁스구간을 늘이거나 줄일 수 있는 소프트웨어 모듈 및 유저인터페이스, 로그 값으로 양자화된 뎁스구간을 통해 로그형 뎁스맵을 추출하는 알고리즘, 추출된 로그형 뎁스맵의 뎁스단계 조정을 위한 알고리즘 및 인터페이스, 추출된 로그형 뎁스맵을 근간으로 수평이미지 변환을 통해 원하는 양안시차 값을 갖는 스테레오 스코픽 이미지의 생성을 위한 소프트웨어 모듈, 이미지 합성툴과 연동 할 수 있는 멀티플랫폼 소프트웨어로 구성될 수 있다.
키프레임 기반의 뎁스맵 변환 워크플로우를 예를 들면, 3D 입체영상 제작 워크플로우는 크게 뎁스맵(Depth Map), 로토스코프(Rotoscope), 합성(Composition), 그리고 클린플레이트(Clean Plate)의 네개 단계로 구성될 수 있다. 뎁스맵 단계와 합성 단계는 콘텐츠의 질(Quality)를 결정하는 단계로 저작도구를 이용하여 수행하게 된다. 로토스코프 단계와 클린플레이트 단계의 결과가 저작도구의 입력으로 주어진다. 뎁스맵 단계에서는, 2D 영상에 3D 입체정보, 즉 뎁스맵을 생성/입력할 수 있다. 로토스코프 단계에서는, 뎁스맵 단계에서 필요한 객체 분할 정보, 즉 로토스코프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이다. 또, 합성 단계는, 2D 영상을 3D 입체정보를 이용하여 3D 입체영상으로 합성하는 단계이고, 클린플레이트 단계는 합성 단계에서 필요한 깨끗한 배경을 생성하는 단계이다.
<폴리곤 모델>
또는 메쉬 및 폴리곤 모델을 이용할 수도 있다. 이때, 2D를 이용하여 3D를 만드는 경우 정면만 있는 사진으로는 깊이감을 추정할 수가 없기 때문에 양옆, 뒷면 등 다양한 사진이 요구될 수 있다. 얼굴을 이루는 적어도 하나의 선을 3D 라인으로 표시할 때, 얼굴의 형태를 구성하는 점, 선 및 면의 집합으로 메쉬(Mesh)를 제작하는 3D 폴리곤 모델(Polygon Model)을 이용하여 3D 라인으로 표시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두 단계의 메쉬 워핑(Mesh Warping) 방법을 이용하여 추출된 특징점을 기반으로 직관적인 메쉬를 자동으로 구성할 수 있도록 하고, 영역기반의 변형으로 주위 정점(Vertex)이 자연스럽게 배치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텍스쳐 매핑을 하기 위하여 입력 영상을 기반으로 텍스쳐 맵을 구성하게 되는데, 이 과정에서 소요되는 시간이 얼굴 모델링에서 많은 부분을 차지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이러한 처리과정을 얼굴 변형시 일반 모델의 UV 좌표도 두 단계 메쉬 워핑을 통해 변형함으로써 별도의 텍스쳐 맵을 구성할 필요가 없도록 할 수도 있다.
<Candidate-3 Face Model & MPEG-4 FDP>
3D 일반 얼굴 모델로 Candidate-3 모델을 이용할 수 있다. Candidate-3 얼굴 모델은 MPEG-4에서 정의한 얼굴 특징점을 기반으로 모델링되었기 때문에 비교적 적은 수의 정점으로 얼굴 모델링이 가능하지만, 적은 수의 정점으로 인하여 정교하고 세밀한 얼굴 모델링은 어려울 수 있다. 이에 따라, 세밀하고 정교한 모델링을 원하는 경우, Candidate-3 얼굴 모델을 기반으로 정점들을 세분화하여 M 개의 정점과 N 개의 삼각형 폴리곤(Triangle Polygon)으로 구성된 얼굴 모델을 사용할 수 있다.
<얼굴 특징점 추출>
다음으로 입력 얼굴 영상에서 얼굴의 특징 정보를 추출해야 한다. 이때, 얼굴 특징점을 추출하는 알고리즘으로는, ASM(Active Shape Model) 알고리즘, AAM(Active Appearance Model), ACM(Active Contour Model), 점 분포 모델(Point Distribution Model)을 기반하는 AdaBoost 얼굴 검출 알고리즘 등이 존재한다. ASM과 AAM에서는 공통적으로 주성분분석(Principal Component Analysis) 기반의 특징 모델링과 최적화를 적용하여 얼굴 모형을 매개 변수화 하여 통계적으로 접근한다. 두 모델링 기법에서의 차이점으로, AAM은 모형 매개변수의 최적화 과정에서 전역 외곽(Global Appearance) 모델을 적용하는 반면에, ASM에서는 초기 레이블이 주어지고 모든 레이블 위치에서 새로운 위치를 찾아가는 지역 영역(Local Region) 기반으로 동작한다. ASM이 모형 지역화(Shape localization)에서 AAM 보다 성능적으로 뛰어나며, 조명 영향에 보다 강인한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다만, ASM은 질감 특징 모델링을 위한 프로파일을 1 차원 배열로 사용하며, 영역 검색 과정에서 지역 영역의 특징점을 구분하기 어려운 단점이 있다.
AAM을 기반으로 얼굴 특징점을 추출하기 위해서는, 통계적인 모델링 방법으로 객체의 형상과 텍스쳐 정보인 통계적 모델을 입력된 영상에서 검출하는 알고리즘이다. AAM은 모델링 단계와 검출(Fitting) 단계로 이루어지는데, 전자인 모델링 단계는 형상 모델(Shape Model)을 이용한다. 형상 모델은 학습 영상에 대해 사용자가 직접 특징점을 지정하여 구축하는 모델이다. 얼굴 형상 모델 S는 평균 형상 (bar)X와 고유값(Eigen Value) 중 큰 값에 대응되는 n 개의 형상 고유벡터(Eigen Vector)인 Φi(i=1,...,n)를 선형 결합하여 이하 수학식 1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Figure 112021067274340-pat00001
텍스쳐 모델(Texture Model)은 추출하고자 하는 특징 영역에 대한 영상에서 픽셀 명도값을 말한다. 평균형상 내부 공간의 화소 집합을 이용하여 모델링하는 과정은 형상 차이에서 발생하는 텍스쳐 변화율을 줄여준다. 정규화 과정을 거친 텍스쳐 데이터에 대하여 형상 모델과 동일한 PCA 과정을 통해 선형적인 모델을 이하 수학식 2와 같이 구한다.
Figure 112021067274340-pat00002
정규화된 평균 그레이 레벨(Gray Level) 벡터 (bar)g와 텍스쳐 고유벡터 T, 텍스쳐 파라미터 c의 선형 결합으로 텍스쳐 모델 g를 구할 수 있다.
<결합 모델>
그리고 나서, 형상 파라미터 bs와 텍스쳐 파라미터 bg를 조절하면 다양한 얼굴의 모양과 생김새를 표현할 수 있다. 이 두 가지 파라미터를 열벡터로 결합(Combined)하여 형상과 텍스쳐 파라미터가 합쳐진 형태의 외모 파라미터 c를 조절하면 형상 모델 S'와 텍스쳐 모델 g'를 동시에 제어할 수 있다.
Figure 112021067274340-pat00003
<AAM 검출>
검출(Fitting)은 학습된 형상 모델과 텍스쳐 모델에 기반하여 입력된 영상에서 특징을 검출하는 과정이다. 수학식 3으로 모델링된 얼굴 이미지의 텍스쳐와 입력된 검출 대상 이미지를 평균 형상 (bar)X로 워핑(Warping)한 텍스쳐와의 에러의 제곱을 최소화하는 외모 파라미터 c를 찾고, 이때의 c를 가지고 수학식 3으로 표현되는 형상 모델을 찾고자 하는 얼굴 특징점들로 판정한다. 모델과 입력 데이터의 에러 제곱을 최소화하는 외모 파라미터 c를 찾는 방법은 최적화의 문제이다.
<메쉬 워핑을 통한 3D 얼굴 및 UV 변형>
AAM을 통해 얼굴의 특징 정보가 추출되면, 이를 통해 3D 일반 얼굴 모델링과 UV 정보를 추출된 특징점을 바탕으로 변형한다. 이를 위해 대응 관계가 명확하고 처리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두 단계 메쉬 워핑을 사용할 수 있다. 메쉬 워핑은 소스 영상과 목적 영상에 서로 대응되는 제어점을 지정하여 메쉬를 구성하고 소스 영상의 화소값이 목적 영상의 메쉬 영역에 맞게 매핑하는 것이다. 두 단계 메쉬 워핑을 하기 위해서는, 소스 영상의 제어점과 목적 영상의 제어점을 기반으로 소스 메쉬와 목적 메쉬를 구성한다. 목적 메쉬는 입력 영상에서 AAM을 통해 추출된 얼굴 특징점을 구성하고, 소스 메쉬는 특징점에 해당하는 3D 일반 모델 정점의 (x,y) 좌표로 구성된다. 자연스러운 워핑을 위해 얼굴 형태와 얼굴 구성요소(눈, 코, 입)을 독립적으로 워핑할 수 있다. 얼굴형 워핑 시 메쉬의 구성은 얼굴 외곽의 특징점들을 포함하도록 구성하고, 얼굴 구성요소 워핑 시에는 눈, 코, 입의 특징점을 포함하는 메쉬로 구성한다. 메쉬가 구성되면 워핑은 이 메쉬를 기준으로 두 단계의 처리 과정을 거쳐 수행된다.
첫 번째 단계는 수직 스플라인(Vertical Spline)에 대한 처리로 소스 메쉬 제어점의 x 좌표가 목적 메쉬의 x 좌표로 이동한다. 제어점들의 x 좌표값들에 대해 보간 함수를 적용시키고, 리샘플링(Resampling) 방법을 사용하여 재추출함으로써 새로운 값들로 행 내의 각 화소들이 보간된다. 보간법은 간단한 선형 보간법에서부터 복잡한 스플라인 함수까지 다양하다. 두 번째 단계에서는, 수평 스플라인(Horizontal Spline)에 대한 처리로, x 좌표에 대해 이루어졌던 처리가 y 좌표에 대해 반복되며 출력영상의 각 열은 중간 영상으로부터 재추출된다. 각 단계에서 변형되는 해당 위치를 계산할 때 3D 모델 정점 값들의 위치이면 변형되는 대응 좌표를 버퍼에 저장하게 되고, 그 좌표로 3D 얼굴 모델의 정점 값들을 정렬하게 된다. 결과적으로, AAM으로 추출된 소수의 특징점 좌표에 기반하여 3D 모델 정점을 부드럽게 변형시키게 된다.
<명도 변화 기반의 깊이 값 추출>
마지막으로, 3D 얼굴의 깊이 정보 유도를 위해 이미지나 촬영 화면 내에서 명도 값 변화를 통하여 깊이 값(Depth Value)를 추출한다. 이 방법은 고정된 조명 조건 하에서 수행되어야 한다는 단점이 잇지만 일련의 이미지를 입력받아야 하고 복잡한 처리과정을 거치는 Shape-From-X 알고리즘보다 간단하고 처리속도가 빠르다는 장점이 있다. 이때, 조명 추정과 그림자 생성 기법을 기반으로 조명 위치를 정해진 곳에 배치하고 가상 조명을 이를 기반으로 유사한 위치에 배치하도록 한다. 조명은 그림자로 깊이 값의 크기를 구분하기 쉽도록 조명을 얼굴보다 위쪽에 배치한다. 랜더링한 2D 영상의 각 샘플 포인트에서 명도 분포가 입력 영상의 샘플 포인트에서의 얼굴 명도 분포와 유사한 값을 갖도록 사용자가 3D 공간상의 조명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이는 깊이 값을 조절하기 전에 인접한 샘플 포인트의 밝기 차이가 보편적인 인간의 얼굴 영역에서 들어간 부분과 나온 부분의 명도 값 차이를 나타낼 수 있도록 그 값을 임계값을 두어 제한함으로써 깊이 값을 변형할 때 오류 확률을 적게하는 작업을 하는 것이다.
두 영상의 얼굴 영역에서 유사한 밝기 분포를 갖게 되면, 미리 지정한 특징점들의 상대적 밝기를 비교하여 얼굴 모델의 특징 정점들의 깊이 값을 조절한다. 렌더링된 얼굴 모델 영상에서 조명의 영향을 많이 받는 영역, 예를 들어, 코, 이마, 입, 턱 등에 대한 각 샘플 포인트들의 명도값(Mn(n=1,...,9))은 주위 일정 영역의 평균 명도값을 취하고, 마찬가지로 입력 영상에서 해당 영역에 대한 평균 명도값을 In(n=1,...,9)이라 할 때, 이하 수학식 4를 적용하여 각 샘플 포인트에 해당하는 정점의 깊이 값 vn(z)을 구한다.
Figure 112021067274340-pat00004
A는 이미지 내 인접 샘플 포인트 간의 밝기 값의 차이를, B는 렌더링된 모델의 인접 샘플 포인트 간의 밝기 값의 차이를 나타낸다. 해당 정점의 깊이 값이 구해지면, 해당 정점과 연결된 인접 정점들을 추출하여 인접 샘플 포인트까지 총 step인 totalstep으로 각 정점들을 구분한다. 각 step에 이하 수학식 5를 통해 구한 가중치 α로 정점들의 깊이 값을 조정한다.
Figure 112021067274340-pat00005
물론, 상술한 방법 이외에도, 3D 라인을 표시하고 UV 매핑을 하는 방법은 다양할 수 있으므로 상술한 방법에 한정하지 않는다.
상술한 바와 같이 2D 이미지, 영상, 사진 등을 3D 객체로 변환하고 나면, 이제 AR 콘텐츠로 출력될 때 기 설정된 자리에서 출력될 수 있도록 AR 마커를 지정해야 한다.
<AR 마커>
AR 콘텐츠는, 화면 상에서 AR 마커를 기준으로 투사될 텍스트, 이미지 및 동영상을 포함하는데, 각각의 AR 콘텐츠가 출력될 XYZ 좌표값과 벡터값도 함께 가지고 있어야 한다. 그리고, AR 콘텐츠는, 사용자와의 상호작용, 즉 인터랙션을 위하여 모션, 터치, 제스처에 매핑된 텍스트, 이미지 및 동영상이나, 기 출력된 AR 콘텐츠의 변형된 텍스트, 이미지 및 동영상도 함께 데이터베이스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AR 콘텐츠는, 이미지 뿐만 아니라 동영상을 함께 포함할 수 있기 때문에 AR 콘텐츠는 적어도 하나의 일련의 시계열적인 영상 프레임을 포함하게 된다. 따라서, 영상 프레임을 되감기하거나 넘기기 또는 스킵하거나 정지하기 등 2D 콘텐츠에서 제공했던 UX/UI는 디폴트로 제공될 수 있고, UX/UI에 대응하도록 AR 콘텐츠를 제어하는 데이터도 디폴트로 저장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이때, 미리 정의된 영상이나 패턴을 추적하여 콘텐츠를 시각화하는 마커(Marker) 기반 방식과 원 영상에서 컬러, 객체 또는 배경의 특징을 추출하여 추적할 목표 영상으로 사용하는 마커리스(Markerless) 방식으로 구분할 수 있지만, 두 방식 모두 객체를 추적한다는 공통점이 있어 마커라는 용어를 사용하므로, 본 발명의 AR 마커는 두 가지의 방법을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정의한다. AR 마커는 증강현실의 주요 기능인 객체의 인식 및 추적(Tracking)의 성능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AR 마커를 관리하는 것은 증강현실 시스템을 구현하고 성능을 유지하는데 중요한 요소이다. 자연영상을 AR 마커로 사용할 때 영상 내에 객체의 분포가 특정 영역에 집중되어 있는 경우, 텍스처 등의 반복 패턴을 포함하는 경우, 조명 등에 의하여 영상의 일부분이 손실된 경우 등에 따라 AR 마커 인식 및 추적 성능에 차이가 있을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특징점 분석을 통해 영상 내의 객체(촬영화면 내에 포함된 사람, 사물, 자연 등)의 분포 및 반복 패턴 포함 여부를 반영하여 마커를 평가하는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먼저 촬영된 화면에서 객체가 영상 전체에 고르게 분포하지 않고 일부분에 집중되어 있으면 가림 현상에 취약한 AR 마커가 될 수 있기 때문에, 객체가 마커영상 내에 고르게 분포하는지 판단하기 위하여 특징점의 위치에 대한 통계적 특성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반복 패턴을 찾는 문제는, 일반 영상의 SIFT(Scale Invariant Feature Transform) 기술자의 분포가 가우시안 분포로 근사화될 수 있으므로, 이를 기반으로 AR 마커의 특징점 기술자에 대한 히스토그램과 가우시안 분포의 유사도를 측정함으로써 반복 패턴 포함 여부를 측정할 수 있다.
첫 번째로 SIFT 기법을 이용한 특징점 검출한다. SIFT는 크게 스케일 공간 극점 검출, 특징점 조정, 방향정보 할당, 특징점 기술자 생성 등의 과정을 거쳐 크기, 회전 및 조명 등의 변화에 강인한 특징점을 추출할 수 있다. 특징점 기술자는, 예를 들어, 특징점 주변의 16×16 픽셀을 16개의 4×4 블록으로 나눈 후 각 블록에 대해 8방향의 방향 히스토그램을 구하여 128차원의 벡터로 표현할 수 있다. 다양한 기술자 벡터를 가진 특징점이 많을수록 영상 내에서 객체를 추적하거나 인식하기 용이하고, 보통 자연영상은 다양한 특징점을 포함하기 때문에 AR 마커로 사용하면 우수한 증강현실 성능을 나타낼 수 있다. 하지만, 빌딩 등과 같이 인공적이고 반복되는 패턴을 포함하는 객체가 있는 영상은 특징점을 표현하는 기술자 벡터가 동일하거나 매우 유사한 값을 나타내므로 추적이나 인식과정에서 오정합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기술자 벡터가 다수 포함된 영상은 마커로 사용하기 부적절하기 때문에, 기술자 벡터의 중복성에 기반하여 사용여부가 결정될 수 있다.
또한, SIFT 기법에서 특징점 조정 단계를 거친 특징점의 위치 좌표에 대한 통계적 특성, 즉 분산(Variance)을 구하여 특징점들이 영상 전체에 골고루 퍼져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으며, 분산이 낮은 경우에는 AR 마커에 대응하는 객체가 일부 영역에 몰려있어 약간의 가림에도 대부분의 특징점이 손실될 수 있고, 증강현실 성능이 저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특징점 분포에 따라 마커를 평가하는 구성을 더 실행할 수 있다. SIFT 기법에 의해 추출된 특징점의 위치 좌표에 대한 통계적 특성 중에서 분산을 이용하여 마커영상의 부분적 가림 및 잡음 등의 영향을 판단하고 마커 평가 요소로 사용할 수 있다. 객체가 영상 전체에 골고루 분포하지 않고 일부 영역에 집중되어 있으면 특징점 좌표가 낮은 분산값을 갖고, 이는 x 또는 y 방향의 가림 현상에 의해 많은 객체 및 특징점이 소실될 가능성이 높음과 동시에 가림 현상에 취약한 AR 마커이므로 선택하지 않는 것이 좋다. 그 역도 마찬가지로 성립한다.
만약, 반복 패턴이 존재할 경우 SIFT 기법에 의해 추출된 특징점, 특히 기술자 벡터의 각 성분이 중복되거나 유사한 값을 갖는다. 이를 확인하기 위해서 각 기술자 벡터를 비교해야 하는데 128차원의 벡터를 직접 비교하는 과정은 매우 비효율적이다. 이에 따라, 촬영화면 내에서 평균 기술자 벡터를 구하고, 각 기술자 벡터와 평균 기술자 벡터와의 거리를 이용함으로써 차원을 줄이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반복 패턴 영상을 비롯한 다양한 영상에 대해 생성한 히스토그램을 보면, 일반적인 자연영상은 가우시안 분포에 가까운 모양을 보이는 반면, 반복패턴 영상은 정형화되지 않는 모양으로 나타난다는 점을 이용한다. 이는 일반 영상이 다양한 요소로 이루어진 특징점을 풍부하게 가지고 있기 때문에 평균 기술자 벡터와의 거리가 가우시안 분포를 보이는 반면, 반복 패턴 영상은 기술자 벡터의 많은 성분이 중복되어 평균 기술자 벡터와의 거리가 특정 성분에 집중되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히스토그램 분포, 평균 및 분산을 파라미터로 하는 가우시안 분포와의 차이를 이용하여 반복 패턴 마커영상을 평가할 수 있다.
지급부(330)는, 사용자 단말(100)에서 인증사진을 찍고 적어도 하나의 소셜미디어에 공유하는 경우, 기 설정된 포인트를 사용자 단말(100)로 지급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00)은, 지역 내 등록된 로컬 콘텐츠 리스트를 지도상에 출력하고, 로컬 콘텐츠 리스트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면, 촬영화면 내에서 GPS 기반으로 로컬 콘텐츠가 변환되어 저장된 AR 콘텐츠를 출력하고, AR 콘텐츠와 사용자가 함께 포함된 인증사진을 촬영한 후 적어도 하나의 종류의 소셜미디어에 인증사진을 업로드하면, 기 설정된 포인트를 지급받을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플랫폼에서 적어도 하나의 종류의 소셜미디어를 제공할 수도 있다.
기부관리부(340)는, 지급된 포인트를 사용자 단말(100)에서 이용한 로컬 콘텐츠를 제공한 판매자 단말(400)로 자동기부할 수 있다.
영수증관리부(350)는, 자동기부된 포인트를 사용자 단말(100)의 사용자 정보로 기부금 영수증 처리할 수 있다.
경로안내부(360)는, 적어도 하나의 판매자 단말(400)에서 지역문화관광 여행경로가 등록된 경우, 지역문화관광 여행경로 내 적어도 하나의 판매자 단말(400)에서 등록한 GPS 및 로컬 콘텐츠가 사용자 단말(100)의 촬영화면 내에서 AR 콘텐츠로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
콘텐츠공유부(370)는, 적어도 하나의 판매자 단말(400)에서 제공한 로컬 콘텐츠를 변형한 AR 콘텐츠를 라이브러리로 구축하고, AR 콘텐츠를 사용하여 로컬 콘텐츠를 제작하고자 하는 제작자 단말로 기 설정된 금액을 받고 판매를 할 수 있다.
결제부(380)는, 사용자 단말(100)에서 적어도 하나의 판매자 단말(400)의 로컬 콘텐츠를 구매하는 경우, 구매 및 결제 프로세스를 진행할 수 있다. 지방자치단체나 관광공사 등과 같이 무료로 콘텐츠를 배포하는 경우도 존재하지만, 개인이나 지방자치단체와 같은 공공기관이라고 할지라도 가이드 콘텐츠 등을 유료로 판매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7 번 국도를 따라가는 바다여행이라는 로컬 콘텐츠가 존재한다고 가정하면, 해당 로컬 콘텐츠를 구매하는 경우 각종 입장권이나 관람권을 할인해준다거나, 수산시장에서 회 한 접시가 무료라거나, 가이드와 같이 가지 않아도 가이드와 함께 가는 것과 같은 효과를 줄 수 있기 때문에, 구매를 하려는 사람들이 존재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 단말(100)에서 구매를 하는 경우 기 설정된 시간 동안 해당 콘텐츠를 이용가능하도록 하고, 구매를 했다는 QR 코드나 바코드를 부여함으로써 해당 바코드나 QR 코드로 여행 경로 내 포함된 POI의 방문, 관람, 체험을 할인받을 수도 있다.
관광안내부(390)는, 사용자 단말(100)에서 로컬 콘텐츠를 구매하는 경우, 로컬 콘텐츠에 기 매핑되어 있는 관광경로에 따른 네비게이션을 실행하고, 사용자 단말(100)을 AR 스캐닝 모드로 전환하기 위하여 촬영화면을 턴 온(Turn On)시키며, 로컬 콘텐츠의 주소 또는 GPS에 기 매핑되어 저장된 POI(Point of Interest) 정보를 AR 콘텐츠로 출력하고, AR 콘텐츠가 출력된 촬영화면에서 인증사진을 찍으면 스탬프를 발급할 수 있다. AR길안내부(391)는, 네비게이션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방향표시자는 사용자 단말(100)의 촬영화면 내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피사체 내에 표시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이때, 적어도 하나의 방향표시자는, POI로의 방향을 나타내며 POI까지 남은 거리를 함께 표시하도록 설정되고, POI와 기 설정된 거리 이내인 경우 도착 아이콘이 촬영화면에 표시되면서 POI의 내용 설명인 AR 콘텐츠가 출력되는 화면으로 전환될 수 있다.
지도를 잘 보는 사람이거나 초행길이 아닌 경우에는 지도만 보아도 어느 건물이 지도상의 어느 위치 및 어느 표시인지 알 수 있지만, 초행길이거나 지자기센서가 오작동하여 남과 북을 제대로 감지하지 못할 때, 지자기센서를 다시 작동시키는 8 자 회전도 모르는 경우, 네비게이션 지도상에 표시된 방향은 오히려 혼동스럽기만 하다. 이에 따라, AR 콘텐츠를 이용하여 촬영화면 상에 직접 길을 표시해주는 경우 더 직관적으로 어느 방향으로 가야 하는지를 알 수 있게 된다. AR 길찾기는 두 가지 모드로 나뉘어질 수 있다. 지역문화관광 경로 모드와 관광지를 찾아갈 때 경로 모드이다.
관광경로 모드에서는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는 주제별 경로는 총 세 가지로 구성될 수 있다. 경로는 관광지 내 동선, 문화, 역사 및 건축 콘텐츠를 고려하여 구성할 수 있으며, 각 경로 내 다수의 POI를 설정할 수 있다. 길찾기 모드에서는 POI를 찾아가는 경로이다. 경로 A의 길 찾기 모드는 사용자가 선택한 POI를 찾아갈 수 있도록 일반적인 내비게이션과 유사하게 구성될 수 있다. 화면을 좌우로 분할하여 좌측에는 구글 맵 기반의 지도상에 사용자의 현재 위치, 경로, 이동 자취가 표시될 수 있다. 우측 분할 화면에는 스마트폰 후방 카메라로부터 기록되는 실제 화면과 가상의 화살표를 겹쳐 POI로의 방향을 나타내며, 선택된 POI까지의 남은 거리가 표시된다. 사용자는 분할화면에 출력되는 다양한 정보를 바탕으로 쉽게 POI를 찾아갈 수 있으며, 선택된 POI와 사용자가 가까워지면 화면에 도착 아이콘이 자동으로 출력되고, POI 내용 설명으로 진입할 수 있다.
사용자가 선택한 POI에 도달하면 소리 및 진동 신호와 함께 도착 아이콘이 화면에 자동으로 출력되고, 이를 눌러 증강현실 스캐닝 모드를 실행시킬 수 있다. 경로에는 스캐닝 모드가 포함되어 있지 않으며, 경로에는 스캐닝 모드를 거쳐 POI 내용 설명 모드로 진행할 수 있다. 스캔하면 각 POI의 설명이 증강현실 형태로 화면에 출력되며, 타임랩스 과정으로 축조 과정이 삼차원 증강현실 모형으로 표현될 수 있다. 또한, 증강현실 객체는 사용자가 확대·축소하며 관찰할 수 있고, 화면을 회전시켜 다른 방향에서도 축조 과정을 상세히 살펴볼 수 있도록 구현할 수 있다.
스캐닝 모드는 상술한 마커(Marker) 방식을 통하여 증강현실 객체를 활성화한다. 객체의 사진을 미리 저장해 두고, 사용자가 스캔하는 객체와의 일치율을 계산하여 활성화하는 방식이다. 먼저 스캔된 이미지의 단색 채널을 추출하고, 추출된 이미지의 노이즈를 제거한 뒤 회색조 영상으로 전환한다. 마지막으로 증강현실 스캐닝 모드에서 사물을 빠르게 인식시키고 삼차원 증강현실 객체를 원하는 위치에 큰 떨림이나 위치 이동 없이 출력시키는 과정은, 유니티 ARKit Plugin을 이용하여 증강현실 스캐닝 모드에서 사물 인식 속도를 지연없이 출력할 수 있다.
이하, 상술한 도 2의 안내 서비스 제공 서버의 구성에 따른 동작 과정을 도 3 및 도 4를 예로 들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실시예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 중 어느 하나일 뿐, 이에 한정되지 않음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도 3a를 참조하면, 안내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적어도 하나의 판매자 단말(400)로부터 로컬 콘텐츠를 제공받아 GPS, 주소를 POI에 대응시켜 저장한 후 판매자 단말(400)의 고유식별코드와 함께 데이터베이스화한다. 그리고, (b) 안내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로컬 콘텐츠가 AR 콘텐츠가 아닌 경우 이를 AR 콘텐츠로 변환하는 작업을 수행하고, (c) 각 POI별로 AR 콘텐츠까지 함께 매핑하여 저장함으로써 판매 또는 배포할 준비를 완료한다. 그리고, (d) 사용자 단말(100)에서 지역을 선택한 후, 각 지역별로 리스트업된 로컬 콘텐츠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경우, 도 3b의 (a)와 같이 로컬 콘텐츠 중 처음 시작 장소(POI)까지 가는 길을 안내하고, POI에 도착한 경우 100년 전 모습이나 현재까지의 변화를 AR 콘텐츠로 타임랩스로 보여줄 수 있다. 그리고, (b) 안내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사용자 단말(100)에서 인증사진을 찍거나 자신의 얼굴을 함께 사진을 찍는 경우, 이를 공유하도록 유도하고, 공유가 된 경우 홍보비에 대응하는 포인트를 지급하되, 지급된 즉시 기부금 영수증 처리하면서 기 지정된 기부처에 기부를 할 수 있다.
(c) 한편 안내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사용자 단말(100)에서 자신이 촬영한 사진이나 자신이 발견한 이색적인 경로 또는 장소 등을 기 저장된 AR 콘텐츠나 판매자 단말(400)에서 업로드한 사진, 이미지, 텍스트 등을 이용하여 제작할 수 있도록 한다. 이렇게 소비자가 판매자가 되고, 판매자가 또 소비자가 될 수 있는 환경 및 플랫폼이 만들어지는 경우, (d) 다양한 사람들의 다양한 콘텐츠가 모이고 공유될 수 있으므로 더욱 많은 사용자를 유입시킬 수 있고 지역경제 및 문화관광사업을 활성화시킬 수 있다. 도 3에서 서술한 내용을 정리하면 도 4와 같다.
이와 같은 도 2 내지 도 4의 GPS 기반 AR 콘텐츠를 이용한 지역문화자원 안내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해서 설명되지 아니한 사항은 앞서 도 1을 통해 GPS 기반 AR 콘텐츠를 이용한 지역문화자원 안내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하여 설명된 내용과 동일하거나 설명된 내용으로부터 용이하게 유추 가능하므로 이하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GPS 기반 AR 콘텐츠를 이용한 지역문화자원 안내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포함된 각 구성들 상호 간에 데이터가 송수신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도 5를 통해 각 구성들 상호간에 데이터가 송수신되는 과정의 일 예를 설명할 것이나, 이와 같은 실시예로 본원이 한정 해석되는 것은 아니며, 앞서 설명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라 도 5에 도시된 데이터가 송수신되는 과정이 변경될 수 있음은 기술분야에 속하는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도 5를 참조하면, 안내 서비스 제공 서버는, 적어도 하나의 판매자 단말로부터 로컬 콘텐츠를 GPS 또는 주소와 함께 수신하고(S5100), 로컬 콘텐츠를 AR 콘텐츠로 제작하여 GPS 기반으로 출력되도록 설정한다(S5200).
또한, 안내 서비스 제공 서버는, 사용자 단말에서 인증사진을 찍고 적어도 하나의 소셜미디어에 공유하는 경우, 기 설정된 포인트를 사용자 단말로 지급한다(S5300).
상술한 단계들(S5100~S5300)간의 순서는 예시일 뿐,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상술한 단계들(S5100~S5300)간의 순서는 상호 변동될 수 있으며, 이중 일부 단계들은 동시에 실행되거나 삭제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도 5의 GPS 기반 AR 콘텐츠를 이용한 지역문화자원 안내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해서 설명되지 아니한 사항은 앞서 도 1 내지 도 4를 통해 GPS 기반 AR 콘텐츠를 이용한 지역문화자원 안내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하여 설명된 내용과 동일하거나 설명된 내용으로부터 용이하게 유추 가능하므로 이하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도 5를 통해 설명된 일 실시예에 따른 GPS 기반 AR 콘텐츠를 이용한 지역문화자원 안내 서비스 제공 방법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이나 프로그램 모듈과 같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가능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기록 매체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 매체일 수 있고, 휘발성 및 비휘발성 매체,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 저장 매체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저장 매체는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데이터와 같은 정보의 저장을 위한 임의의 방법 또는 기술로 구현된 휘발성 및 비휘발성,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GPS 기반 AR 콘텐츠를 이용한 지역문화자원 안내 서비스 제공 방법은, 단말기에 기본적으로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이는 단말기에 기본적으로 탑재된 플랫폼이나 운영체제 등에 포함된 프로그램을 포함할 수 있음)에 의해 실행될 수 있고, 사용자가 애플리케이션 스토어 서버, 애플리케이션 또는 해당 서비스와 관련된 웹 서버 등의 애플리케이션 제공 서버를 통해 마스터 단말기에 직접 설치한 애플리케이션(즉, 프로그램)에 의해 실행될 수도 있다. 이러한 의미에서, 전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GPS 기반 AR 콘텐츠를 이용한 지역문화자원 안내 서비스 제공 방법은 단말기에 기본적으로 설치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직접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즉, 프로그램)으로 구현되고 단말기에 등의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10)

  1. 지역문화관광자원에 대한 로컬(Local)콘텐츠를 제작하여 GPS에 매핑되도록 GPS 또는 주소를 함께 업로드하는 적어도 하나의 판매자 단말;
    지역 내 등록된 로컬 콘텐츠 리스트를 지도상에 출력하고, 상기 로컬 콘텐츠 리스트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면, 촬영화면 내에서 GPS 기반으로 상기 로컬 콘텐츠가 변환되어 저장된 AR 콘텐츠를 출력하고, 상기 AR 콘텐츠와 사용자가 함께 포함된 인증사진을 촬영한 후 적어도 하나의 종류의 소셜미디어에 상기 인증사진을 업로드하면, 기 설정된 포인트를 지급받는 사용자 단말;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판매자 단말로부터 상기 로컬 콘텐츠를 상기 GPS 또는 주소와 함께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로컬 콘텐츠를 AR 콘텐츠로 제작하여 GPS 기반으로 출력되도록 설정하는 설정부,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상기 인증사진을 찍고 적어도 하나의 소셜미디어에 공유하는 경우, 기 설정된 포인트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지급하는 지급부를 포함하는 안내 서비스 제공 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로컬 콘텐츠는,
    텍스트, 이미지, 사진 및 동영상 중 어느 하나 또는 적어도 하나의 조합을 포함하는 멀티미디어 콘텐츠인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안내 서비스 제공 서버는,
    상기 지급된 포인트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이용한 로컬 콘텐츠를 제공한 판매자 단말로 자동기부하는 기부관리부;
    상기 자동기부된 포인트를 상기 사용자 단말의 사용자 정보로 기부금 영수증 처리하는 영수증관리부;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상기 로컬 콘텐츠를 구매하는 경우, 상기 로컬 콘텐츠에 기 매핑되어 있는 관광경로에 따른 네비게이션을 실행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을 AR 스캐닝 모드로 전환하기 위하여 촬영화면을 턴 온(Turn On)시키며, 상기 로컬 콘텐츠의 주소 또는 GPS에 기 매핑되어 저장된 POI(Point of Interest) 정보를 상기 AR 콘텐츠로 출력하고, 상기 AR 콘텐츠가 출력된 촬영화면에서 인증사진을 찍으면 스탬프를 발급하는 관광안내부; 및
    상기 네비게이션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방향표시자는 상기 사용자 단말의 촬영화면 내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피사체 내에 표시되도록 설정하는 AR길안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방향표시자는,
    상기 POI로의 방향을 나타내며 상기 POI까지 남은 거리를 함께 표시하도록 설정되고,
    상기 POI와 기 설정된 거리 이내인 경우 도착 아이콘이 상기 촬영화면에 표시되면서 상기 POI의 내용 설명인 상기 AR 콘텐츠가 출력되는 화면으로 전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판매자 단말이 제작한 지역문화관광자원에 대한 로컬(Local)콘텐츠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POI을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은,
    길찾기 모드에서 사용자가 선택한 POI 까지의 경로를 제공하되, 화면을 분할하여 구글 맵 기반의 지도상에 사용자의 현재 위치, 경로, 이동 자취가 표시되는 화면과, 스마트폰 후방 카메라로부터 기록되는 실제 화면에 가상의 화살표를 겹쳐 POI로의 방향을 나타내고, 선택된 POI까지의 남은 거리가 표시되는 화면을 표시하며,
    상기 사용자 단말이 선택된 POI와 기 설정된 거리 이내인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의 화면에 도착 아이콘이 출력되고, 타임랩스 형태의 어트랙션 관련 AR 콘텐츠가 팝업되고 POI의 내용 설명이 출력되는, GPS 기반 AR 콘텐츠를 이용한 지역문화자원 안내 서비스 제공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 서비스 제공 서버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판매자 단말에서 지역문화관광 여행경로가 등록된 경우, 상기 지역문화관광 여행경로 내 상기 적어도 하나의 판매자 단말에서 등록한 GPS 및 로컬 콘텐츠가 상기 사용자 단말의 촬영화면 내에서 AR 콘텐츠로 출력되도록 하는 경로안내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GPS 기반 AR 콘텐츠를 이용한 지역문화자원 안내 서비스 제공 시스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 서비스 제공 서버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판매자 단말에서 제공한 로컬 콘텐츠를 변형한 AR 콘텐츠를 라이브러리로 구축하고, 상기 AR 콘텐츠를 사용하여 로컬 콘텐츠를 제작하고자 하는 제작자 단말로 기 설정된 금액을 받고 판매를 하는 콘텐츠공유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GPS 기반 AR 콘텐츠를 이용한 지역문화자원 안내 서비스 제공 시스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 서비스 제공 서버는,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판매자 단말의 로컬 콘텐츠를 구매하는 경우, 구매 및 결제 프로세스를 진행하는 결제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GPS 기반 AR 콘텐츠를 이용한 지역문화자원 안내 서비스 제공 시스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KR1020210075683A 2021-06-10 2021-06-10 Gps 기반 ar 콘텐츠를 이용한 지역문화자원 안내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1023461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5683A KR102346137B1 (ko) 2021-06-10 2021-06-10 Gps 기반 ar 콘텐츠를 이용한 지역문화자원 안내 서비스 제공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5683A KR102346137B1 (ko) 2021-06-10 2021-06-10 Gps 기반 ar 콘텐츠를 이용한 지역문화자원 안내 서비스 제공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46137B1 true KR102346137B1 (ko) 2021-12-31

Family

ID=791774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75683A KR102346137B1 (ko) 2021-06-10 2021-06-10 Gps 기반 ar 콘텐츠를 이용한 지역문화자원 안내 서비스 제공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4613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35711B1 (ko) * 2023-06-05 2024-02-13 주식회사 오썸피아 가상 관광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07015A (ko) * 2015-03-03 2016-09-13 삼육대학교산학협력단 쇼핑 적립금의 자율 기부 지원을 위한 기부 관리 시스템 및 데이터 연동 방법
KR20180117866A (ko) * 2017-04-20 2018-10-30 김현우 증강현실을 이용한 길 안내 시스템
KR20190043434A (ko) * 2017-10-18 2019-04-26 (주)네오인터넷 모바일 증강현실 기반 여행 가이드 서비스 방법
KR20200018872A (ko) * 2018-08-13 2020-02-21 (주)위드이노베이션 조건 정보 기반의 여행 코스 추천 방법 및 장치
KR20200112251A (ko) * 2019-03-21 2020-10-05 주식회사 익센트릭게임그루 실시간 위치 탐색 기능을 이용한 모바일 리워드 산출 서버 및 방법
KR20200114832A (ko) * 2019-03-29 2020-10-07 엠에스캠핑 주식회사 지역 역사 문화 컨텐츠 제공 시스템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07015A (ko) * 2015-03-03 2016-09-13 삼육대학교산학협력단 쇼핑 적립금의 자율 기부 지원을 위한 기부 관리 시스템 및 데이터 연동 방법
KR20180117866A (ko) * 2017-04-20 2018-10-30 김현우 증강현실을 이용한 길 안내 시스템
KR20190043434A (ko) * 2017-10-18 2019-04-26 (주)네오인터넷 모바일 증강현실 기반 여행 가이드 서비스 방법
KR20200018872A (ko) * 2018-08-13 2020-02-21 (주)위드이노베이션 조건 정보 기반의 여행 코스 추천 방법 및 장치
KR20200112251A (ko) * 2019-03-21 2020-10-05 주식회사 익센트릭게임그루 실시간 위치 탐색 기능을 이용한 모바일 리워드 산출 서버 및 방법
KR20200114832A (ko) * 2019-03-29 2020-10-07 엠에스캠핑 주식회사 지역 역사 문화 컨텐츠 제공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35711B1 (ko) * 2023-06-05 2024-02-13 주식회사 오썸피아 가상 관광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75103B2 (en) Method, medium, and system for product recommendations based on augmented reality viewpoints
US11392636B2 (en) Augmented reality position-based service, methods, and systems
US11397982B2 (en) Imagery and annotations
US11893558B2 (en) System and method for collaborative shopping, business and entertainment
KR102272650B1 (ko) 가상현실 기반 3차원 공간 재구성을 이용한 인테리어 서비스 제공 시스템
US20010037191A1 (en) Three-dimensional beauty simulation client-server system
KR102202843B1 (ko) 3차원 아바타를 이용한 온라인 의류 시착 서비스 제공 시스템
GB2458388A (en) A collaborative online shopping environment, virtual mall, store, etc. in which payments may be shared, products recommended and users modelled.
CN107638690A (zh) 增强现实的实现方法、装置、服务器及介质
US20230111437A1 (en) System and method for content recognition and data categorization
KR102346137B1 (ko) Gps 기반 ar 콘텐츠를 이용한 지역문화자원 안내 서비스 제공 시스템
Zhong et al. Notice of Violation of IEEE Publication Principles: A Big Data Framework to Identify Tourist Interests Based on Geotagged Travel Photos
US20180232781A1 (en) Advertisement system and advertisement method using 3d model
KR102407493B1 (ko) 가상현실을 사용한 아트 갤러리 구현 솔루션
KR101910931B1 (ko) 고유코드를 이용한 푸드 3d 증강현실 서비스 제공 방법
WO2020189341A1 (en) Image display system, image distribution method, and program
CN114935972A (zh) 一种mr/ar/vr标注和搜寻控制方法、移动终端与可读存储介质
Kasinathan et al. SmartG: Spontaneous Malaysian augmented reality tourist guide
Du Fusing multimedia data into dynamic virtual environments
KR102561198B1 (ko) 컨텐츠 활용 플랫폼 시스템, 증강현실 기반의 이미지 출력물 제작방법
JP7210340B2 (ja) 注目度利活用装置、注目度利活用方法、および注目度利活用プログラム
KR102644247B1 (ko) 인공지능 기반 qr 코드 인식을 통해 상품설명용 콘텐츠 제공이 가능한 스마트 잡지 제공 장치 및 방법
KR101908523B1 (ko) 3차원 대상 오브젝트로부터 3차원 가상현실 콘텐츠를 생성 및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KR20220091312A (ko) Qr 코드 기반 콘텐츠와 연계된 관광 서비스 제공 방법
Priyah et al. Digital Online Shopping Using 3D in Augmented Realit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