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91312A - Qr 코드 기반 콘텐츠와 연계된 관광 서비스 제공 방법 - Google Patents

Qr 코드 기반 콘텐츠와 연계된 관광 서비스 제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91312A
KR20220091312A KR1020210007075A KR20210007075A KR20220091312A KR 20220091312 A KR20220091312 A KR 20220091312A KR 1020210007075 A KR1020210007075 A KR 1020210007075A KR 20210007075 A KR20210007075 A KR 20210007075A KR 20220091312 A KR20220091312 A KR 202200913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terminal
roi
code
content
provi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070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56559B1 (ko
Inventor
이승우
Original Assignee
이승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승우 filed Critical 이승우
Publication of KR202200913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913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565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565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009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 G06K19/06037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multi-dimensional cod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 G06K7/14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using light without selection of wavelength, e.g. sensing reflected white light
    • G06K7/1404Methods for optical code recognition
    • G06K7/1408Methods for optical code recognition the method being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type of code
    • G06K7/14172D bar cod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1Social network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14Travel agencies
    • G06Q50/30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32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 H04L9/3226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using a predetermined code, e.g. password, passphrase or PI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Toxicology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Abstract

QR 코드 기반 콘텐츠와 연계된 관광 서비스 제공 방법이 제공되며, 적어도 하나의 소셜미디어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매체를 통하여 콘텐츠의 소개 포스터를 업로드 하는 단계, 소개 포스터를 통하여 사용자 단말이 유입되는 경우 적어도 하나의 ROI(Region of Interest) 및 적어도 하나의 ROI를 연결하는 이동경로를 포함하는 지도를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사용자 단말에서 적어도 하나의 ROI를 기준으로 기 설정된 반경 내에 진입한 경우, 관광 서비스 제공 서버에서 제공하는 애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하도록 링크를 제공하는 단계, 사용자 단말에서 적어도 하나의 ROI에 위치한 적어도 하나의 QR 코드를 스캔하는 경우, 콘텐츠를 이루는 에피소드로 엑세스할 수 있는 접속링크를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단계 및 사용자 단말에서 접속링크에 접속하는 경우 에피소드를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QR 코드 기반 콘텐츠와 연계된 관광 서비스 제공 방법{METHOD FOR PROVIDING QR CODE BASED TOUR SERVICE WITH CONTENTS}
본 발명은 QR 코드 기반 콘텐츠와 연계된 관광 서비스 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 관광지, 가맹점 및 관광객 모두 만족할 수 있는 여행 플랫폼을 제공한다.
코로나(COVID-19)로 인하여 장기간 실내에서 주로 생활하면서 사회적 거리를 두기를 유지하였던 사람들이 갑갑함을 해소하기 위해 대도시 근교의 가까운 관광명소를 찾고 있다. 비말을 통해 전파되는 코로나의 특성상 실내활동은 위험하다고 판단하여 사회적 거리두기를 지키기 용이한 야외활동 위주의 여행이 늘어나고 있는 추세이다. 모임이 자제되면서 나홀로 여행자도 늘어나고 있는데 대부분 온라인 세대로 소셜미디어의 사용빈도가 높고, 여행에 있어서도 소셜미디어를 여행 전 과정에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특성이 있다. 높은 사회적 자산과 사회문화적·경제적 영향력에 기인하는 이들은 자신이 가치를 두는 특정 분야에 대한 소비를 결정할 때, 가격을 고려하지 않고 과감히 투자하는 자기 만족적인 성향을 갖고 있으며, 이로 인해 가치 소비자라고도 명명되고 관광시장에 새로운 관광주체로 부상하고 있다.
이때, 야외활동 위주의 여행을 즐기는 여행객을 위하여 각 관광명소를 다녀오는 경우 스탬프나 QR 코드를 제공함으로써 관광지로의 방문을 유도할 수 있는 방법이 연구 및 개발되었는데, 이와 관련하여, 선행기술인 한국공개특허 제2012-0018468호(2012년03월05일 공개) 및 한국공개특허 제2016-0031583호(2016년03월23일 공개)에는, 단말의 스탬프 생성 요청에 따라 스탬프를 생성하여 저장하고, 단말에서 스크랩 정보 등록을 요청할 때 스크랩 정보를 저장한 후 기 저장된 스탬프와 등록된 스크랩 정보를 매핑하여 스탬프에 도장을 찍는 작업을 통해 도장이 찍힌 스탬프를 생성함으로써, 사용자가 스크랩 정보를 등록한 경우 스탬프 찍기를 수행하므로 사용자의 여행지 방문 사실을 정확하게 기록 및 관리할 수 있는 구성과, 관광지를 이동하면서 체험가능한 푸드 콘텐츠를 패키지로 설정하고, 푸드 콘텐츠 패키지에 적어도 하나의 스토리를 대입시켜 지역을 여행하는 경로를 제공하며, 지역에서 푸드 콘텐츠 체험을 인증할 수 있는 QR 코드를 관광객의 스마트폰으로 수집하게 한 후, QR 코드 수집에 의한 스토리 완성을 통하여 여행의 새로운 즐거움과 보상을 제공할 수 있게 한 스토리텔링 기반의 로컬 푸드 투어 서비스의 구성이 각각 개시되어 있다.
다만, 상술한 구성 중 전자의 경우 일반적으로 관광지에서 다녀감을 증명하도록 종이에 스탬프를 찍도록 하는 방법을 온라인으로 변경한 것일 뿐, 그 이상의 의미나 가치가 없다. 후자의 경우에도 QR 코드로 인증을 받는 것은 실제로 먹거리를 체험한 결과를 인증받는 것이 아니라, QR 코드에 기 매핑된 콘텐츠, 즉 동영상과 같은 스트리밍을 받는 것이기 때문에, 고객을 관광지로 유도는 하지만 실제로 오프라인 가맹점에서 음식을 사 먹거나 물건을 구매하는 행위를 유도하지는 않는다. 현재 광고대행사, 배달대행업체 및 중개업체와 같이 소위 거대 공룡으로 불리는 플랫폼 사업자의 독점 및 횡포가 심해지면서, 실제로 매출은 발생하지 않았지만 가맹점에 수수료를 부과하는 방식으로 소상공인의 고혈을 짜내고 있다. 이에, 가치 소비자를 소셜미디어를 이용하여 관광지로 유도하면서 관광지의 각 가맹점에서 실제적인 소비가 발생하여 매출로 이어질 수 있는 플랫폼의 연구 및 개발이 요구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소셜미디어를 통하여 콘텐츠의 소개 및 초기 에피소드를 제공하는 방식으로 광고를 진행하고, 적어도 하나의 가맹점의 위치에 대응하는 링크 다운로드 구간 내에 사용자가 진입하면 애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 및 설치하도록 하며, 적어도 하나의 위치에 부착된 QR 코드를 스캔하여야 다음 에피소드를 볼 수 있는 인증을 완료시키는 방식으로 나홀로 여행족들이 낮에는 각 가맹점을 방문하면서 물건을 사거나 관광을 하고, 저녁에는 숙소에서 스캔한 QR 코드로 인증된 콘텐츠를 즐길 수 있도록 하는, QR 코드 기반 콘텐츠와 연계된 관광 서비스 제공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다만, 본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존재할 수 있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적어도 하나의 소셜미디어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매체를 통하여 콘텐츠의 소개 포스터를 업로드 하는 단계, 소개 포스터를 통하여 사용자 단말이 유입되는 경우 적어도 하나의 ROI(Region of Interest) 및 적어도 하나의 ROI를 연결하는 이동경로를 포함하는 지도를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사용자 단말에서 적어도 하나의 ROI를 기준으로 기 설정된 반경 내에 진입한 경우, 관광 서비스 제공 서버에서 제공하는 애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하도록 링크를 제공하는 단계, 사용자 단말에서 적어도 하나의 ROI에 위치한 적어도 하나의 QR 코드를 스캔하는 경우, 콘텐츠를 이루는 에피소드로 엑세스할 수 있는 접속링크를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단계 및 사용자 단말에서 접속링크에 접속하는 경우 에피소드를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소셜미디어를 기반으로 가치 소비자를 플랫폼으로 유입시키고, 나홀로 여행자의 타인의 인지나 취약성, 제한된 접근성, 주목받는 것 같은 느낌과 관련된 여행의 두려움이나 외로움을 경험하지 않도록 다양한 관광지를 방문하면서 QR 코드를 스캔하도록 퀘스트를 줄 수 있고, 과감한 가치 투자를 하는 나홀로 여행객의 소비를 유도함으로써 각 가맹점은 실제적으로 매출이 발생한 후에 수수료를 지급하게 되므로 수익이 없어도 수수료를 지급해야 하는 사태를 막을 수 있으며, 웹툰 작가는 콘텐츠를 통하여 저작권 또는 라이센싱을 통한 수익을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QR 코드 기반 콘텐츠와 연계된 관광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시스템에 포함된 관광 서비스 제공 서버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QR 코드 기반 콘텐츠와 연계된 관광 서비스가 구현된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QR 코드 기반 콘텐츠와 연계된 관광 서비스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 흐름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하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약", "실질적으로" 등은 언급된 의미에 고유한 제조 및 물질 허용오차가 제시될 때 그 수치에서 또는 그 수치에 근접한 의미로 사용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정확하거나 절대적인 수치가 언급된 개시 내용을 비양심적인 침해자가 부당하게 이용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본 발명의 명세서 전체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하는) 단계" 또는 "~의 단계"는 "~ 를 위한 단계"를 의미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부(部)'란,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unit), 소프트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 양방을 이용하여 실현되는 유닛을 포함한다. 또한, 1 개의 유닛이 2 개 이상의 하드웨어를 이용하여 실현되어도 되고, 2 개 이상의 유닛이 1 개의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어도 된다. 한편, '~부'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며, '~부'는 어드레싱 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재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일 예로서 '~부'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객체 지향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클래스 구성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요소들과 같은 구성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이버들, 펌웨어, 마이크로코드, 회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및 변수들을 포함한다. 구성요소들과 '~부'들 안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요소들 및 '~부'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들과 '~부'들로 더 분리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구성요소들 및 '~부'들은 디바이스 또는 보안 멀티미디어카드 내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CPU들을 재생시키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단말, 장치 또는 디바이스가 수행하는 것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는 해당 단말, 장치 또는 디바이스와 연결된 서버에서 대신 수행될 수도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서버가 수행하는 것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도 해당 서버와 연결된 단말, 장치 또는 디바이스에서 수행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있어서, 단말과 매핑(Mapping) 또는 매칭(Matching)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는, 단말의 식별 정보(Identifying Data)인 단말기의 고유번호나 개인의 식별정보를 매핑 또는 매칭한다는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콘텐츠란 웹툰 및 일러스트를 포함하는 사진 콘텐츠, 드라마, 영화 및 뮤직비디오를 포함하는 영상 콘텐츠, 음원과 같은 오디오 콘텐츠, 홀로그램, VR(Virtual Reality) 및 AR(Augmented Reality)를 포함하는 모든 콘텐츠로 정의한다. 다만, 나열된 것들로 한정되지는 않고 열거되지 않은 이유로 배제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온라인 또는 오프라인 매체란 영수증, 입장티켓, 매장전용 모바일 쿠폰 등 그 장소에 방문해야 얻을 수 있는 모든 수단과 방법을 포함하는 매체로 정의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QR 코드 기반 콘텐츠와 연계된 관광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QR 코드 기반 콘텐츠와 연계된 관광 서비스 제공 시스템(1)은,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 관광 서비스 제공 서버(300), 적어도 하나의 가맹점 단말(400), 적어도 하나의 문화콘텐츠 제작자 단말(500)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러한 도 1의 QR 코드 기반 콘텐츠와 연계된 관광 서비스 제공 시스템(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도 1을 통하여 본 발명이 한정 해석되는 것은 아니다.
이때, 도 1의 각 구성요소들은 일반적으로 네트워크(Network, 200)를 통해 연결된다.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은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관광 서비스 제공 서버(300)와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관광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 적어도 하나의 가맹점 단말(400), 적어도 하나의 문화콘텐츠 제작자 단말(500) 및 관리자 단말(600)과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가맹점 단말(400)은,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관광 서비스 제공 서버(300)와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적어도 하나의 문화콘텐츠 제작자 단말(500)은,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 관광 서비스 제공 서버(300) 및 적어도 하나의 가맹점 단말(400)과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네트워크는, 복수의 단말 및 서버들과 같은 각각의 노드 상호 간에 정보 교환이 가능한 연결 구조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러한 네트워크의 일 예에는 근거리 통신망(LAN: Local Area Network), 광역 통신망(WAN: Wide Area Network), 인터넷(WWW: World Wide Web), 유무선 데이터 통신망, 전화망, 유무선 텔레비전 통신망 등을 포함한다. 무선 데이터 통신망의 일례에는 3G, 4G, 5G,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5GPP(5th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LTE(Long Term Evolution),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와이파이(Wi-Fi), 인터넷(Internet), LAN(Local Area Network), Wireless 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PAN(Personal Area Network), RF(Radio Frequency), 블루투스(Bluetooth) 네트워크, NFC(Near-Field Communication) 네트워크, 위성 방송 네트워크, 아날로그 방송 네트워크,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네트워크 등이 포함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하기에서, 적어도 하나의 라는 용어는 단수 및 복수를 포함하는 용어로 정의되고, 적어도 하나의 라는 용어가 존재하지 않더라도 각 구성요소가 단수 또는 복수로 존재할 수 있고, 단수 또는 복수를 의미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또한, 각 구성요소가 단수 또는 복수로 구비되는 것은, 실시예에 따라 변경가능하다 할 것이다.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은, QR 코드 기반 콘텐츠와 연계된 관광 서비스 관련 웹 페이지, 앱 페이지,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관광을 하고자하는 사용자(관광객)의 단말일 수 있다. 이때, 사용자 단말(100)의 사용자는 콘텐츠에 관심이 있거나 좋아하는 사용자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콘텐츠라고 기재했지만, 연예인이 등장하는 드라마와 같은 동영상이나 시리즈물로 나오는 콘텐츠라면 그 어느 것이든 가능하다. 문화 콘텐츠 뿐만 아니라 정치, 경제, 사회 등 다양한 콘텐츠가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BTS 팬이라면, BTS가 독점출연하는 클립(Clip)을 시리즈물로 제작하고 ROI(Region of Interest) 퀘스트를 달성할 때마다 시리즈물 중 한 회씩 제공하는 방식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이렇게 되면, 관광객인 사용자는 여행계획을 짜지 않아도 ROI 퀘스트를 수행하기 위하여 낮에 각 관광지를 돌아다닐 수 있어서 좋고, 혼자여행해서 혼자 숙소로 돌아온다고 할지라도 외로움을 느낄 새도 없이, 퀘스트 보상으로 주어진 자신이 좋아하는 BTS가 나오는 시리즈물을 보면서 여행지에서 하루를 마무리 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사용자 단말(100)은, 여행지에서 ROI 지도를 관광 서비스 제공 서버(300)로부터 수신하고, ROI에 부착된 QR 코드를 스캔하며, 해당 QR 코드를 인증할 수 있는 QR 코드 인증키를, 가맹점 단말(400)에서 물건을 사면서 영수증에 인쇄된 QR 코드 인증키를 얻어 [QR 코드 - QR 코드 인증키]를 수집하고, ROI 퀘스트를 수행하는 사용자의 단말일 수 있다. 이때, QR 코드만 스캔하는 경우에는 QR 코드가 인증이 되지 않아 콘텐츠를 볼 수 없기 때문에, QR 코드의 인증을 위해 QR 코드 인증키를 가맹점 단말(400)에서 받아야 한다. 가맹점 단말(400)은 QR 코드를 스캔한 후, 결제가 이루어지면 영수증에 QR 코드 인증키를 인쇄해주기 때문에 [관광지 방문- 가맹점 소비]라는 일련의 관광-소비 쌍이 만들어질 수 있다. 각 가맹점은 어느 하나의 업종이나 어느 하나의 가맹점으로 한정하지는 않으며, 예를 들어, 창덕궁이 ROI라고 가정하면, ROI 주변에 커피숍, 음식점, 기념품 판매점 등 다양한 가맹점이 존재할 수 있으므로, 가맹점이라면 어디에서나 물건을 사면 QR 코드 인증키를 얻을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은, 네트워크를 통하여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네비게이션,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은, 네트워크를 통해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단말로 구현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은, 예를 들어,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네비게이션,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스마트폰(Smartphone), 스마트 패드(Smartpad), 타블렛 PC(Tablet PC)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관광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QR 코드 기반 콘텐츠와 연계된 관광 서비스 웹 페이지, 앱 페이지,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제공하는 서버일 수 있다. 그리고, 관광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적어도 하나의 문화콘텐츠 제작자 단말(500)로부터 라이센싱 계약을 맺거나 저작권을 사는 방식으로 콘텐츠를 수집하고 구축하는 서버일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드라마라면 드라마를 제작하여 저작권을 가지고 있는 제작사와 계약을 맺을 수 있고, 연예인 기획물이라면 연예인 소속사와 계약을 맺을 수도 있다. 관광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적어도 하나의 ROI를 선정하고, 적어도 하나의 ROI에 QR 코드를 부착한 후, [ROI-QR 코드]와 같이 매핑하여 저장하는 서버일 수 있다. 이때, ROI는 각 지역별로 선정된 관광지(Attractions)일 수 있다.
관광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적어도 하나의 가맹점 단말(400)로부터 상호, 주소, 영업시간 등을 입력받아 가맹점 신청을 받고, 가맹점으로 등록할 때, ROI와 매핑하여 저장하는 서버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남산타워 근처의 빵집이라고 가정하면, 남산타워인 ROI와 빵집을 매핑하여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관광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적어도 하나의 가맹점 단말(400)로 QR 코드를 스캔한 경우, 결제를 진행하고 영수증을 발행할 때, QR 코드 인증키를 함께 인쇄하도록 제어하는 서버일 수 있다. 그리고, 관광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각 지역별로 ROI를 묶고 이동경로를 생성한 후 관광지도를 만들고,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에서 ROI 기준 기 설정된 반경 내에 진입했을 때, 애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받을 수 있도록 하는 서버일 수 있다.
관광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사용자 단말(100)에서 ROI의 QR 코드를 스캔한 후, 가맹점 단말(400)에서 발급한 QR 코드 인증키까지 함께 입력 또는 스캔한 경우, 복수의 ROI로 이루어지는 하나의 퀘스트 중 하나의 ROI 퀘스트를 완료한 것으로 처리하는 서버일 수 있다. 관광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사용자 단말(100)에서 복수의 ROI로 이루어지는 하나의 퀘스트를 완료한 경우, 콘텐츠에 엑세스할 수 있는 접속링크를 사용자 단말(100)로 전송할 수 있고, 기 설정된 기간이 만료되면 접속링크는 파기하며 초기화하는 서버일 수 있다.
여기서, 관광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네트워크를 통하여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네비게이션,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가맹점 단말(400)은, QR 코드 기반 콘텐츠와 연계된 관광 서비스 관련 웹 페이지, 앱 페이지,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QR 코드를 스캔하고, 결제가 수행된 경우 QR 코드 인증키를 영수증에 함께 인쇄하는 가맹점의 단말일 수 있다. 이때, 가맹점 단말(400)은, 복수의 ROI 중 자신의 상점이 위치하는 주소지에서 가까운 ROI를 선택하고, 영업시간, 업종, 주소지 등을 입력하는 단말일 수 있다. 그리고, 가맹점 단말(400)은, QR 코드를 스캔하며 결제가 이루어진 경우, 기 설정된 수수료를 관광 서비스 제공 서버(300)로 지급하는 단말일 수 있다.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가맹점 단말(400)은, 네트워크를 통하여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네비게이션,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적어도 하나의 가맹점 단말(400)은, 네트워크를 통해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단말로 구현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가맹점 단말(400)은, 예를 들어,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네비게이션,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스마트폰(Smartphone), 스마트 패드(Smartpad), 타블렛 PC(Tablet PC)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문화콘텐츠 제작자 단말(500)은, QR 코드 기반 콘텐츠와 연계된 관광 서비스 관련 웹 페이지, 앱 페이지,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콘텐츠를 관광 서비스 제공 서버(300)로 전송하고, 이에 대한 대가를 받는 문화콘텐츠 제작자의 단말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콘텐츠가 웹툰이라면, 웹툰 작가, 드라마라면 제작사, 연예인 기획물이라면 기획사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문화콘텐츠 제작자 단말(500)은, 네트워크를 통하여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네비게이션,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적어도 하나의 문화콘텐츠 제작자 단말(500)은, 네트워크를 통해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단말로 구현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문화콘텐츠 제작자 단말(500)은, 예를 들어,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네비게이션,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스마트폰(Smartphone), 스마트 패드(Smartpad), 타블렛 PC(Tablet PC)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시스템에 포함된 관광 서비스 제공 서버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이고,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QR 코드 기반 콘텐츠와 연계된 관광 서비스가 구현된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관광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업로드부(310), 전송부(320), 다운제공부(330), 링크제공부(340), 전송부(350), 구축부(360), 라이센싱부(370), 초기화부(380) 및 다중언어부(39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광 서비스 제공 서버(300)나 연동되어 동작하는 다른 서버(미도시)가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 적어도 하나의 가맹점 단말(400) 및 적어도 하나의 문화콘텐츠 제작자 단말(500)로 QR 코드 기반 콘텐츠와 연계된 관광 서비스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앱 페이지, 웹 페이지 등을 전송하는 경우,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 적어도 하나의 가맹점 단말(400) 및 적어도 하나의 문화콘텐츠 제작자 단말(500)은, QR 코드 기반 콘텐츠와 연계된 관광 서비스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앱 페이지, 웹 페이지 등을 설치하거나 열 수 있다. 또한, 웹 브라우저에서 실행되는 스크립트를 이용하여 서비스 프로그램이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 적어도 하나의 가맹점 단말(400) 및 적어도 하나의 문화콘텐츠 제작자 단말(500)에서 구동될 수도 있다. 여기서, 웹 브라우저는 웹(WWW: World Wide Web)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게 하는 프로그램으로 HTML(Hyper Text Mark-up Language)로 서술된 하이퍼 텍스트를 받아서 보여주는 프로그램을 의미하며, 예를 들어 넷스케이프(Netscape), 익스플로러(Explorer), 크롬(Chrome) 등을 포함한다. 또한, 애플리케이션은 단말 상의 응용 프로그램(Application)을 의미하며, 예를 들어, 모바일 단말(스마트폰)에서 실행되는 앱(App)을 포함한다.
도 2를 참조하면, 업로드부(310)는, 적어도 하나의 소셜미디어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매체를 통하여 콘텐츠의 소개 포스터를 업로드 할 수 있다. 이때, 소개 포스터 이외에도, 업로드부(310)는 콘텐츠 프롤로그, 짧은 홍보영상과 같이 콘텐츠를 먼저 소개하는 내용이 포함된 게시물, 파일 및 링크를 업로드할 수 있다. 업로드부(310)는 문화콘텐츠, 여행테마 및 여행지를 소개하는 콘텐츠를 함께 업로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문화콘텐츠와 여행을 함께 소개하는 자료를 볼 수 있게 된다.
전송부(320)는, 소개 포스터를 통하여 사용자 단말(100)이 유입되는 경우 적어도 하나의 ROI(Region of Interest) 및 적어도 하나의 ROI를 연결하는 이동경로를 포함하는 지도를 사용자 단말(100)로 전송할 수 있다. 전송부(320)에서 소개 포스터를 통하여 사용자 단말(100)이 유입되는 경우 적어도 하나의 ROI(Region of Interest) 및 적어도 하나의 ROI를 연결하는 이동경로를 포함하는 지도를 사용자 단말(100)로 전송할 때, 지도는 각 행정구역 또는 지역별 관광지를 안내하는 지도일 수 있다. 전송부(320)에서 소개 포스터를 통하여 사용자 단말(100)이 유입되는 경우 적어도 하나의 ROI(Region of Interest) 및 적어도 하나의 ROI를 연결하는 이동경로를 포함하는 지도를 사용자 단말(100)로 전송할 때, 적어도 하나의 ROI 및 적어도 하나의 ROI를 연결하는 이동경로는 적어도 하나의 ROI에 대응하는 가맹점 단말(400)의 영업시간에 대응하여 유동적으로 변경되도록 설정되어, 사용자 단말(100)에서 접속한 날짜 및 시간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ROI를 추출하여 적어도 하나의 ROI를 연결하는 이동경로를 실시간으로 생성한 후 사용자 단말(100)로 전송할 수 있다.
다운제공부(330)는, 사용자 단말(100)에서 적어도 하나의 ROI를 기준으로 기 설정된 반경 내에 진입한 경우, 관광 서비스 제공 서버(300)에서 제공하는 애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하도록 링크를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애플리케이션이 아니더라도 이미지, 사진, 동영상 등을 볼 수 있는 웹 페이지를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HTML5 기반으로 콘텐츠(문화 콘텐츠 포함)를 변환하여 스트리밍시킬 수도 있다. 여기서, HTML5는, 웹문서 표준인 HTML(Hyoer Text Markup Language)의 최신 규격으로 문서 작성 중심에서 그림, 동영상, 음악 등을 실행하는 기능이 포함되었다.
HTML5는 플러그인 기반의 액티브 엑스(Active-X), Flash 와 같이 프로그램을 별도로 설치할 필요가 없어지게 되었으며, 이로 인해 발생한 문제는 대부분 해결할 수 있게 되었다. 이때, 종래의 HTML 표준과 HTML5의 가장 큰 차이점은 시맨틱 마크업을 지원하는 점과 추가적인 API를 제공하는 점이다. 시맨틱 마크업은 웹 문서를 의미적으로 구조화 할 수 있는 새로운 요소이다. 예를 들어, 문서의 내용을 머리말, 본문, 꼬리말로 구분할 수 있도록 <head>, <section>, <footer> 라는 요소로 문서를 작성하게 되면, 문서의 내용을 구조적으로 명확히 이해할 수 있게 된다. 또한 HTML5에서는 다양한 API를 제공한다. HTML5에서 제공하는 API는 2차원 그래픽을 지원하거나, 디바이스의 지리적 위치를 확인할 수 있는 기능을 지원하는 등 웹 애플리케이션에 다양한 기능을 추가할 수 있도록 해준다
또한, HTML5는, 웹 페이지를 만들 때 사용이 되는 마크업 언어로 하이퍼링크와 텍스트로 표시하던 HTML을 멀티미디어 등 다양한 애플리케이션까지 표현하고 제공할 수 있다. HTML5는 웹 문서 구조 설계를 위한 마크업 언어인 HTML, 디자인 표현을 위한 CSS, 인터랙티브한 동작을 표현하기 위한 자바스크립트(JavaScript) 등을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고, 기존의 HTML의 태그에 새로운 태그들이 더 추가될 수 있으며, 콘텐츠들을 담기 위한 구조로 개선되어 플랫폼의 역할까지도 수행할 수 있다. 또, HTML5는 모바일 웹을 위한 표준은 아니지만, 앞서 설명한 여러 기능 중에서 모바일 웹의 구현에 필요한 기능들을 다수 제공해 주고 있다. 2차원 그래픽, 오디오, 다양한 웹 폼 등은 모바일 웹의 UI(User Interface)를 풍부하고 다양하게 해줄 수 있다. 즉, 모바일 웹 환경에서도 멀티미디어 정보를 제공하거나 사용자의 동적인 상호작용을 지원할 수 있게 된다. 모바일 웹 환경에서는 모바일 환경의 특성상 대용량의 데이터를 전송하는데 한계를 가지고, 인터넷이 연결되지 않는 환경이 자주 발생하지만, 이러한 제약조건을 극복할 수 있는 것이 웹 클라이언트의 캐시를 이용하여 오프라인 웹 애플리케이션을 구현하거나 로컬에 DB를 저장하여 SQL문으로 질의할 수 있다.
링크제공부(340)는, 사용자 단말(100)에서 적어도 하나의 ROI에 위치한 적어도 하나의 QR 코드를 스캔하는 경우, 콘텐츠를 이루는 에피소드로 엑세스할 수 있는 접속링크를 사용자 단말(100)로 제공할 수 있다. 링크제공부(340)에서 사용자 단말(100)에서 적어도 하나의 ROI에 위치한 적어도 하나의 QR 코드를 스캔하는 경우, 콘텐츠를 이루는 에피소드로 엑세스할 수 있는 접속링크를 사용자 단말(100)로 제공할 때, 지도 상에 표시된 적어도 하나의 ROI에 위치한 적어도 하나의 QR 코드를 모두 스캔하고, 적어도 하나의 QR 코드를 인증하는 적어도 하나의 QR 코드 인증키를 모두 스캔하는 경우, 1 개의 문화콘텐츠를 제공하거나 접속가능한 접속링크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울 관광지 지도에서 남산타워(ROI1)->경복궁(ROI2)->명동거리(ROI3)->홍대거리(ROI4)->이태원관광특구(ROI5)가 존재한다면, 남산타워에서 붙은 QR 코드를 스캔하고, 남산타워 근처 커피숍(가맹점)에서 커피를 사 먹은 후 QR 코드 인증키를 받고, 경복궁에서 QR 코드를 스캔한 후, 경복궁 근처 음식점(가맹점)에서 아침을 먹고 QR 코드 인증키를 받고, 명동거리에서 QR 코드를 스캔한 후, 명동 내 가맹점에서 화장품을 산 후 QR 코드 인증키를 받고, 홍대거리에 가서 QR 코드를 찍은 후, 홍대 근처 마포갈매기살 가게(가맹점)에서 갈매기살을 시켜먹은 후 QR 코드 인증키를 받고, 이태원관광특구에서 QR 코드를 찍고, 이태원 클럽(가맹점)에 가서 QR 코드 인증키를 받으면 그 날의 퀘스트는 완료된다. 이때, 총 5 개의 QR 코드와, 5 개의 QR 코드 인증키가 있다면 콘텐츠 중 에피소드 2 화를 볼 수 있는 접속링크를 얻을 수 있다.
링크제공부(340)에서 사용자 단말(100)에서 적어도 하나의 ROI에 위치한 적어도 하나의 QR 코드를 스캔하는 경우, 콘텐츠를 이루는 에피소드로 엑세스할 수 있는 접속링크를 사용자 단말(100)로 제공할 때, 사용자 단말(100)에서 엑세스한 에피소드의 그 다음 화에 대응하는 에피소드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울의 A->B->C->D->E의 퀘스트를 완료한 경우 F 콘텐츠의 2 화 제공과 같이 제공되는 콘텐츠 및 콘텐츠의 에피소드 회차를 정해둬버리면 회차가 섞일 수도 있고, 볼 수 있는 콘텐츠 자체가 완전히 변경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유입되었던 콘텐츠 또는 사용자가 지정한 콘텐츠를, 사용자가 보았던 마지막 회차의 그 다음 회차를 볼 수 있도록 유동적으로 접속링크를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에피소드제공부(350)는, 사용자 단말(100)에서 접속링크에 접속하는 경우 에피소드를 사용자 단말(100)로 전송할 수 있다. 5 개의 ROI 퀘스트를 모두 완료한 사용자는 저녁에 숙소로 돌아가서 콘텐츠를 볼 수 있다. 물론 데이터가 충분한 사용자에게는 그 자리에서 바로 볼 수도 있고, 숙소로 이동하면서 볼 수도 있다. 접속링크에 접속하는 사용자 단말(100)의 위치를 숙소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구축부(360)는, 업로드부(310)에서 적어도 하나의 소셜미디어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매체를 통하여 콘텐츠의 소개 포스터를 업로드 하기 이전에, 적어도 하나의 가맹점 단말(400)로부터 상호, 주소 및 영업시간을 입력받아 가맹점 신청을 수신하고, QR 코드 인증키를 발행하여 적어도 하나의 가맹점 단말(400)과 매핑하여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구축부(360)는, 가맹점 단말(400)로 QR 코드 인증키를 전송하고, 사용자 단말(100)의 결제 또는 가맹점 단말(400)로의 접근이 발생할 시, 가맹점 단말(400)에서 출력 또는 제공되는 온라인 또는 오프라인 매체 내 QR 코드 인증키가 삽입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구축부(360)는, 가맹점 단말(400)로 QR 코드 인증키를 전송하고, 사용자 단말(100)의 결제가 발생할 시 가맹점 단말(400)에서 출력되는 영수증 내 QR 코드 인증키가 인쇄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이때, 구축부(360)는, 적어도 하나의 가맹점 단말(400)의 주소를 적어도 하나의 ROI로 설정하고, 적어도 하나의 ROI를 적어도 하나의 가맹점 단말(400)에서 등록한 영업시간에만 출력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이때, ROI는 상술한 바와 같이 관광지명이다. 이때, 하나의 관광지를 둘러싸고 복수의 가맹점, 예를 들어, 커피숍, 한식 음식점, 양식 음식점, 분식점, 기념품 가게 등 다양한 오프라인 상점들이 존재할 수 있다. 이때, 가맹점 단말(400)의 주소를 ROI로 설정한다는 것은, ROI 권역 내 가맹점 단말의 주소를 지정한다는 의미이지, 실제로 커피숍의 주소를 ROI로 설정한다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남산타워가 ROI라면, 남산타워 내에도 식당, 커피숍, 편의점 등이 존재하고, 남산타워 주변에도 돈까스 정식집 등 다양한 가게가 존재한다. 이를 모두 하나의 ROI 내로 포함시켜서 ROI에 방문한 관광객이, 이 권역에 있는 가게에도 들르게 해서 실제 매출을 일으키게 하는 것이 본 발명의 목적이다. 이때, 남산타워에 들른 관광객(사용자)이 남산타워에서 QR 코드를 스캔했고, 근처 가게를 가서 커피도 마시면서 QR 코드 인증키를 얻고자 할 때, 가게가 휴무여서 시간만 낭비하고 커피도 못마시면서 QR 코드 인증키 얻는 것도 실패할 수 있으므로, 각 가맹점의 위치는 실제 관광객이 ROI에 위치한 시간에 영업시간인 가게가 있는 위치로 한정하여 출력해주어야 한다. 따라서, ROI 권역 위치한 가맹점의 위치는 영업시간을 기준으로 출력할 수 있도록 설정된다.
라이센싱부(370)는, 업로드부(310)에서 적어도 하나의 소셜미디어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매체를 통하여 콘텐츠의 소개 포스터를 업로드 하기 이전에, 적어도 하나의 문화콘텐츠 제작자 단말(500)로부터 콘텐츠를 업로드받고 심사를 거쳐 저작권 계약 또는 라이센싱 계약을 체결할 수 있다.
초기화부(380)는, 에피소드제공부(350)에서 사용자 단말(100)에서 접속링크에 접속하는 경우 에피소드를 사용자 단말(100)로 전송한 후, 접속링크에 접속한 시점부터 타이머 작동을 시작하고, 접속링크에 접속한 시점부터 기 설정된 기간이 도과된 경우 접속링크의 인증확인을 초기화할 수 있다.
다중언어부(390)는, 업로드부(310)에서 적어도 하나의 소셜미디어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매체를 통하여 콘텐츠의 소개 포스터를 업로드 하기 이전에, 콘텐츠에 기재된 텍스트를 추출하고 적어도 하나의 언어로 번역된 텍스트를 매핑하여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전송부(320)에서 소개 포스터를 통하여 사용자 단말(100)이 유입되는 경우 적어도 하나의 ROI(Region of Interest) 및 적어도 하나의 ROI를 연결하는 이동경로를 포함하는 지도를 사용자 단말(100)로 전송할 때, 유입된 사용자 단말(100)의 설정 언어를 파악하고, 파악된 설정 언어에 대응하는 텍스트를 추출하여 콘텐츠에 적용할 수 있다. 물론, ROI 퀘스트의 텍스트도 모두 변경하여 제공할 수 있고 지도도 마찬가지이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문화 콘텐츠)는 홀로그램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홀로그램은 홀로그램을 구현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가 존재하거나, 간접광 또는 반사광을 반사할 수 있는 미러(Mirror) 방식이 존재하는데, 각 관광객이 홀로그램을 구현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를 가진 스마트폰을 가지는 경우에는 전자로, 그렇지 않다면 미러를 구매해서 홀로그램 방식으로 문화 콘텐츠를 출력하도록 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해서는 콘텐츠가 홀로그램 방식으로 제작되어야 함은 물론이다. 이때, 홀로그램의 개념과 이용되는 방식 및 프로그램은 이하와 같을 수 있다.
홀로그래피(Holography)는 빛의 파동적 성질인 간섭과 회절을 이용하여 파면을 기록하고 재현하는 기술로 광학 소자의 발명과 함께 빠른 속도로 발전했다. 현재 홀로그래피는 디스플레이 기술의 발전으로 3차원 디스플레이를 비롯한 차세대 실감 디스플레이의 한 종류로 연구되고 있다. 홀로그래피에서 빛은 기록하고자 하는 물체에서 반사되어 나오는 물체광과 위상을 알고 있는 기준광으로 나눠진다. 물체광과 기준광이 기록하고자 하는 평면에서 합쳐지면 두 빛의 위상 차이에 의해 간섭무늬를 형성하게 되며, 이러한 간섭무늬를 기록한 것을 홀로그램이라고 한다. 홀로그램에 다시 기준광을 비추게 되면 기준광이 회절을 통해 기록된 물체광을 재생한다. 이때 기록된 빛의 파면은 회절 범위 안에서 반사된 모든 물체광의 파면 정보를 담고 있기 때문에 홀로그램을 보는 관찰자는 3차원으로 물체를 인식하게 된다.
홀로그래피는 홀로그램을 기록하고 재생하는 매체에 따라서 분류할 수 있다. 실버 할라이드(Silver Halide) 필름과 같은 광 반응성 필름에 홀로그램을 기록하는 경우를 아날로그 홀로그래피, CCD, CMOS와 같은 디지털 센서 어레이에 홀로그램을 기록하거나 컴퓨터 계산을 통해 홀로그램을 합성하고, 이를 디지털 디스플레이 패널에 재생하는 홀로그램을 디지털 홀로그래피이라 한다. 디지털 홀로그래피는 아날로그 홀로그래피와 달리 이미지 센서의 픽셀 구조와 샘플링 환경에 따라 정보손실이 발생하지만, 간섭무늬의 기록조건이 까다로운 아날로그 홀로그래피에 비해 짧은 노출 시간에도 효과적으로 이미지를 얻을 수 있고, 입력광파에 따른 출력 전류가 선형성을 지니기 때문에 신호 처리의 용이한 장점이 있다.
최근 반도체 소자 기술의 발전을 통한 이미지 센서 기술의 발전, 새로운 광학 소자의 개발, 인공지능, 딥러닝과 같은 컴퓨터 과학의 발전을 발판으로 하여 디지털 홀로그래피 분야에서도 많은 연구가 이루어졌는데, 반도체 소자 기술의 발전은 디스플레이 픽셀의 고밀도화 및 이미지 센서의 고해상도를 가능하게 했다. 디지털 홀로그래피를 재생하는 데 가장 중요한 소자인 공간광변조기(Spatial Light Modulator)는 아날로그 홀로그래피에서의 필름과 같은 역할을 한다. SLM은 픽셀에서 빛의 진폭이나 위상을 제어하는 역할을 하며, 이때 홀로그래픽 디스플레이의 시야각은 SLM의 픽셀 피치를 통해 결정된다. SLM의 픽셀 피치가 작을수록 높은 공간주파수를 표현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넓은 시야각을 가지게 된다.
또한, 새로운 광학 소자를 응용하여 홀로그램을 취득하고자 하는 시도 역시 진행되었다. 메타 렌즈는 나노 단위의 구조물의 배열을 통해 만들어진 렌즈로, 메타 아톰이라고 불리는 나노 구조를 통해 자연계에는 존재하지 않는 음의 굴절율이나 초고분해능 등의 독특한 광학적 특성을 지니는 광학 소자를 만들 수 있다. 이 중에서도 2차원 형태의 메타 아톰으로 구성된 것을 메타 표면이라고 하며, 이러한 나노미터 단위의 메타 표면을 통해 빛의 위상, 편광, 세기 등을 임의로 조절할 수 있다.
컴퓨터 그래픽스의 발전과 CPU, GPU 기술의 발전은 디지털 홀로그래피에서 컴퓨터 생성 홀로그램(CGH: Computer Generate Hologram)의 발전으로 이어졌다. 포인트 클라우드, 트라이앵글 메쉬와 같은 컴퓨터로 생성된 3차원 데이터를 홀로그램 이미지로 변환하는 알고리즘이 존재하는데, 연산의 고속화를 위해 딥러닝 분야에 많이 사용되는 컴퓨팅 기술인 GPGPU(General-Purpose Computing in Graphics Processing Units) 기술을 응용하여 홀로그램 데이터 계산에 사용하고자 하는 오픈홀로 라이브러리와 같은 프로젝트가 진행중이다. 오픈홀로 라이브러리는 3차원 정보를 기반으로 컴퓨터 생성 홀로그램 정보를 만드는 알고리즘과 소프트웨어를 목적으로 하는 오픈소스 프로그래밍 라이브러리로, GPU 병렬연산을 위한 GPGPU 기술인 CUDA(Compute Unified Device Architecture)를 지원하며 3차원 데이터를 바탕으로 컴퓨터 생성 홀로그램을 만드는 알고리즘과 신호처리 등을 지원한다.
덧붙여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협업 필터링 및 내용기반 추천을 통하여 ROI를 선정하고 여행경로를 설정할 수 있다. 이때, 협업 필터링은 과거에 같은 관심사를 공유하고 있었다면 미래에도 유사한 성향을 지닐 것이라는 가정을 바탕으로 사용자를 비슷한 성향을 지닌 집합으로 분류하여, 같은 집합의 다른 사용자가 선호하는 아이템을 추천하는 방법이다. 이 방식은 사용자의 평가정보가 많을수록 성능이 향상되기 때문에 정보가 없는 초기 사용자의 추천 신뢰도가 떨어지는 Cold-Start Problem이 존재하지만 추천의 다양성이 보장된다. 내용 기반 추천은 사용자의 선호 속성과 유사한 속성을 가진 아이템을 추천하는 방식으로 상품과 상품 간의 연관성을 고려하여 추천하는 방법이다. 이 방식은 아이템의 속성 정보와 사용자의 선호 속성 정보만 존재한다면 추천 결과를 생성할 수 있으나, 추천의 다양성이 떨어질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협업 필터링과 내용 기반 추천을 혼합하여 사용함으로써 각 기법의 단점을 보완하도록 한다. 우선, 내용 기반 추천을 위해, Tour API 공공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다. Tour API 여행지 정보를 DB로 유지한 뒤, 각 여행지 설명 정보 Text를 TF-IDF 기법을 이용해 속성 정보로 변환하여 사용할 수 있다. 초기 회원가입 시 Tour API 분류 기준별 여행지를 제시하여 설문을 진행함으로써 초기 사용자 선호 속성을 얻어낼 수 있고, 사용자 속성과 여행지 속성을 코사인 유사도를 통해 계산하여 추천 결과를 도출할 수 있다. 두 번째로, 협업 필터링 구축하는데, 각 여행지 정보 확인 시 사용자가 여행지를 평가하게 함으로써 사용자 평가 정보를 얻어낼 수 있고, 사용자 간의 유사도를 피어슨 상관계수를 활용하여 도출할 수 있다. 이후 KNN(K-Nearest Neighbors) 기법을 통해 유사한 사용자를 군집화한 뒤, 같은 집합의 사용자와의 유사도와 현재 사용자의 평가결과를 이용해 추천 결과를 도출할 수 있다.
세 번째로 결과 혼합인데, 내용 기반 추천에서는 유사도가 n 이상인 상위 여행지를 결과로 도출하고, 협업 필터링에서는 평가 정보가 m 점 이상일 것으로 예상되는 여행지만 결과로 도출한다. 이후 추천 여행지를 일정 비율로 함께 제공함으로써 협업 필터링 추천 결과가 없어 생기는 Cold-Start Problem은 내용 기반 추천 결과가 보완하고, 추천의 다양성은 협업 필터링 결과가 보완함으로써 상호 보완적인 추천 결과를 생성할 수 있다. 네 번째로, 여행 경로 도출인데, 도출된 추천 여행지를 여행지 경도, 위도 좌표와 전체 여행지 수를 기반으로 K-Means Clustering기법을 통해 군집화 하여 가까운 여행지 집합을 얻어낸 뒤, 최단경로를 계산함으로써 여행경로 집합을 얻어낼 수 있다. 군집화 된 여행경로들을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도록 제공할 수 있고, 최단경로 도출 시 시간 단축을 위해 DP(Dynamic Programming) 기법과 Bit mask를 이용할 수 있다.
덧붙여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소셜미디어를 잘 사용하는 가치 소비자의 특성에 맞게 사용자가 지역을 선택하기 이전에 소셜미디어의 리뷰를 분석해주는 서비스를 더 제공할 수도 있다. 리뷰를 분석하기 위해 우선 빅데이터 구축을 위하여, 데이터 수집 및 전처리, 감성분석, 데이터 시각화 순으로 진행될 수 있다. 이때, 트립어드바이저 사이트, 인스타그램, 페이스북, 구글리뷰, 구글트립 등에서 데이터 수집을 진행할 수 있고, 파이썬의 BeautifulSoup과 Selenium을 이용하여 도시의 즐길거리, 숙소, 식당 리뷰들을 크롤링 하고 각각을 CSV 파일로 저장할 수 있다. 이후 전처리 단계에서 수집한 리뷰들을 KoNLPy패키지에 있는 형태소 분석기를 통해 전처리하는 과정을 거치는데 감성분석에서는 Okt 형태소 분석기, 시각화에서는 Komoran 형태소 분석기를 사용할 수 있다.
그 후 감성분석에서는 전처리한 데이터의 단어 간 유사도를 계산하기 위해 Word2Vec을 사용할 수 있다. Word2Vec에는 CBOW(Continuous Bag of Words)와 Skip-Gram 두 가지 방법이 있는데 전반적으로 성능이 더 좋은 Skip-Gram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Word2Vec을 이용할 경우Word2Vec과 Random Forest 분류기의 조합이 높은 정확도를 보여 이 두 가지를 이용하여 감성분석을 진행할 수 있다. 이렇게 Word2Vec을 이용해 단어를 벡터화한 후 Random Forest를 사용하여 모델을 학습시킨다. 그 후 학습시킨 모델을 통해 나머지 데이터들도 긍정과 부정으로 예측한다. 이제 예측한 데이터들의 긍정과 부정의 비율을 원 그래프로 나타내고 즐길 거리, 숙소, 식당의 긍정 비율을 방사형 그래프로 시각화 한다. Komoran 형태소 분석기를 이용해 전처리한 결과는 Word Cloud를 이용하여 단어의 빈도수에 따라 크기순으로 시각화할 수 있다.
덧붙여서, ROI가 유동적인 경우, 시퀀스 기반으로 이동 경로를 추천할 수도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울에서 제주도로 놀러갔는데, 제주도에서 1 박만 할 계획이고, 요일은 월요일이다. 이러한 경우, 월요일에 문을 여는 박물관, 미술관, 각종 체험관을 찾아서 ROI로 설정해야 퀘스트 진행이 된다. 만약, 월요일에 휴무인 박물관을 ROI로 설정하여 그 주변 상점에서 QR 코드 인증키를 받아야 한다면, 그 여행 계획이 완전히 틀어지는 것은 물론이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랫폼에 대한 신뢰도도 하락하게 된다.
시퀀스는 관측치가 이산형이고 변수들 간의 순서가 중요한 데이터를 말한다. 백화점이나 마트 같은 매장이나 등에서 고객의 동선을 분석하여 상품의 진열에 반영하고, 웹사이트에서 방문자의 내비게이션 패턴을 분석하여 사용자들이 좀 더 쉽고 빠르게 이동할 수 있도록 설계하는데 활용되기도 한다. 이처럼 시퀀스는 사람의 행동을 이해하고 예측하는데 있어서 매우 중요한 요소이고, 근사치나 제한조건, 그리고 가중치 등을 적용하여 시퀀스의 패턴을 도출하는데, 이러한 분석기법들은 빈도가 많은 시퀀스를 추출하고 최대 시퀀스를 찾는데 초점을 맞추고 있다.
한편, RNN은 이미지, 음성, 자연어처리 등 많은 일에 활용되고 있는데, RNN 기반의 알고리즘인 GRU(Gated Recurrent Unit)를 통한 추천 방법은, 사용자가 구매한 상품의 순서적의 의미를 고려하는 GRU 기반 추천 시스템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이를 이용하여 여행지 추천 및 이동경로를 제공할 수 있고, 오차함수의 앙상블을 통하여 일반적인 추천 시스템의 성과를 향상시킬 수도 있다. 이때, GRU는 RNN 기반의 딥러닝 모델로, 순차적인 데이터 활용에 있어서 많이 쓰이는 모델이다. GRU 모델에는 업데이트 게이트와 리셋 게이트가 있는데 이를 통하여 RNN의 그라디언트 배니싱(Vanishing Gradient) 문제를 보완한다. 예를 들어, ROI1->ROI2가 순서적인 의미가 없는 경우, 리셋 게이트와 업데이트 게이트는 이전 여행지를 얼마나 반영할지, 현재 정보를 다음 데이터에 얼마나 정해줄 지를 결정한다. 추천 순위 계산에서 오차함수를 계산하기 전 단계인 평가 점수(Ranking Score)를 계산할 수 있고, 평가 오차를 고려하여 오차함수를 적용할 수 있다.
이하, 상술한 도 2의 관광 서비스 제공 서버의 구성에 따른 동작 과정을 도 3 및 도 4를 예로 들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실시예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 중 어느 하나일 뿐, 이에 한정되지 않음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도 3a를 참조하면, (a) 관광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적어도 하나의 지역 및 관광지인 ROI를 선정하고, ROI에 QR 코드를 매핑하여 저장하며, 각 관광지에 QR 코드를 부착하는 팻말을 설치 또는 구비하도록 협조를 구할 수 있다. 또, ROI 근처에 위치한 적어도 하나의 가맹점 단말(400)로부터 운영시간, 상호, 위치 및 전화번호 등의 주소를 수집하고, QR 코드 인증키를 발급하여 카드 입력이나 현금 등으로 사용자가 물건을 구입한 후 결제를 할 때, QR 코드 인증키를 영수증에 찍을 수 있도록 설정한다. 이때, 모든 고객에게 영수증에 QR 코드 인증키를 발급해준다면, 사용자가 구매를 하지 않고 다른 고객이 가맹점에서 나올 때 영수증을 얻어 QR 코드 인증키만 받아갈 수도 있으므로, QR 코드를 촬영하여 관광지의 QR 코드를 저장하고, QR 코드가 가맹점 단말(400)에서 스캔된 경우에만 QR 코드 인증키가 나오도록 설정할 수도 있다.
그리고 나서, 관광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적어도 하나의 행정구역이나 지역에 ROI를 설정하고, 이동경로를 설정한다. 이때, 각 ROI에 가맹점을 매핑하여 저장할 수 있고, 운영시간 등을 수집하여 현재시간을 기준으로 운영하는 가맹점이 지도에 표시될 수 있도록 한다. 마찬가지로 관광지임에도 불구하고 휴무인 곳이 있을 수 있으므로, 관광지 또한 운영시간 등을 저장하도록 한다. 그리고, (c) 관광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적어도 하나의 문화콘텐츠 제작자 단말(500)과 저작권 계약을 맺고 콘텐츠를 수집하여 배포할 준비를 한다. 그리고, (d) 관광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적어도 하나의 소셜미디어와 같은 매체를 통하여 광고 포스터를 업로드하고 배포한다.
도 3b를 참조하면, (a) 사용자 단말(100)은 페이스북에서 웹툰 포스터를 보고 에피소드 1 회를 보았다. 이때, 사용자 단말(100)에서 에피소드 2 화를 보려고 하니, 관광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사용자 단말(100)로 에피소드 2 화를 보기 위해서는 어느 지역의 어느 관광지를 가야 한다는 안내 문구를 전송한다. (b) 사용자는 관광도 할 겸 ROI 퀘스트를 진행하기 시작한다. 그리고, (c) 하나의 ROI를 완료한 후에는 그 다음 ROI로 이동한다. 그리고, (d) 사용자는 모든 퀘스트를 완료한 이후, 보상으로 주어지는 콘텐츠 에피스도 2 화를 보면서 쉬게 된다.
<실시예>
도 4a와 같이 에피소드 1에 대한 내용을 업로드할 수 있는데, 유투브를 이용할 수도 있고 이미지 파일로 웹툰을 업로드할 수도 있다. 지도의 역할은 퀘스트(스탬프) 여행의 성격을 가지고 있고, 각 검은색 원은 다음 에피소드를 볼 수 있는 장소를 표기해둔 곳이며, 순서대로 숨겨둔 QR 코드를 찾아야 다음 장소로 이동이 가능하고 작품을 감상할 수 있다. 다운로드 링크 구간에 들어가면 작성자가 애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 받을 수 있으므로 설치를 유도할 수 있다. 그리고, (b) 설치한 애플리케이션을 통하여 매 화(에피소드) 마다 하나씩 보기 위해서는 제시한 물건이나 위치를 찾아야 하고, 거기에 있는 QR 코드를 스캔해야 한다.
도 4b를 참조하면, (a) 사용자는 QR 코드 열쇠(QR 코드 인증키)를 통하여 확인 인증을 받아야 에피소드의 잠금을 해제할 수 있다. (B) 모든 QR 코드를 인증받아야 에피소드 2 화 접속링크 구간에 들어갈 수 있다. 내용물은 영상 등이 첨부될 수 있다. 숙소에 도착한 사용자는 최종 에피소드 QR 코드를 넣어서 사용자가 편하게 쉬면서 즐길 수 있도록 만든다. 이때, 관광티켓에 QR 코드를 삽입하여 판매할 수도 있고, 각 가맹점에서는 시크릿 메뉴를 판매하여 일반인들은 모르게 홍보할 수 있게 하고, 광고업체에서는 볼 수 없는 시크릿 메뉴를 찾은 고객은 확실하게 홍보하여 중개했다는 것을 입증한 것이므로 그에 대한 중개 및 판매료를 받을 수 있다. 에피소드 1 화의 경우 모든 온라인 플랫폼을 통해 무료로 마케팅 활동하고 구독자 수를 모아 별도의 수입을 줄 수도 있다. 문화 콘텐츠 컨셉들은 에피소드 별로 배치된 장소에서 펼쳐지는 주인공들의 이야기로 구성될 수 있다.
여행사업 관점에서는, 국내 여행 볼거리를 다양하게 만들 수가 있고, 자영업자들을 대신하여 고객(여행객)을 유치할 수 있으며, 관광산업에 투자되는 국가세금을 절약할 수 있고, 온라인 사업이기 때문에 글로벌 홍보가 수월하며, 지루한 스탬프 여행을 트렌드에 맞게 설계할 수 있고, 직접적인 PPL효과를 누릴 수가 있으며, 해외여행객들을 국내여행으로 유입시키기 좋다.
문화사업 관점에서는,‘방탈출’카페는 밀폐된 공간과 제한된 공간이라는 유형자산의 한계가 있지만 문화콘텐츠 스탬프 여행은 국내 전지역 어디서든 활용이 가능하고, 해외관광객이자 시청자를 동시에 잡을 수 있으며, 문화 콘텐츠를 통해 한국에 대한 관심도를 높일 수 있고, 자막만 바꾸면 국적 따지지 않고 모두 즐길 수 있다는 게 큰 장점이다. 중개업 관점에서는, 확실하게 고객을 모시는 방안이고, 그에 대한 합당한 수수료를 부가할 수 있다. 고객 입장에서는, 여행계획을 힘들게 계획하지 않아도 되고, 혼자서 가도 즐길 수 있으며, 문화콘텐츠를 보면서 여행을 즐길 수 있어 일석이조의 효과를 누릴 수 있다.
이에 대한 클라이언트 및 서버 간 데이터 흐름은 도 4c와 같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하다 할 것이다.
이와 같은 도 2 내지 도 4의 QR 코드 기반 콘텐츠와 연계된 관광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해서 설명되지 아니한 사항은 앞서 도 1을 통해 QR 코드 기반 콘텐츠와 연계된 관광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하여 설명된 내용과 동일하거나 설명된 내용으로부터 용이하게 유추 가능하므로 이하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QR 코드 기반 콘텐츠와 연계된 관광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포함된 각 구성들 상호 간에 데이터가 송수신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도 5를 통해 각 구성들 상호간에 데이터가 송수신되는 과정의 일 예를 설명할 것이나, 이와 같은 실시예로 본원이 한정 해석되는 것은 아니며, 앞서 설명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라 도 5에 도시된 데이터가 송수신되는 과정이 변경될 수 있음은 기술분야에 속하는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도 5를 참조하면, 관광 서비스 제공 서버는, 적어도 하나의 소셜미디어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매체를 통하여 콘텐츠의 소개 포스터를 업로드 한다(S5100).
관광 서비스 제공 서버는, 소개 포스터를 통하여 사용자 단말이 유입되는 경우 적어도 하나의 ROI(Region of Interest) 및 적어도 하나의 ROI를 연결하는 이동경로를 포함하는 지도를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고(S5200), 사용자 단말에서 적어도 하나의 ROI를 기준으로 기 설정된 반경 내에 진입한 경우, 관광 서비스 제공 서버에서 제공하는 애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하도록 링크를 제공한다(S5300).
또, 관광 서비스 제공 서버는, 사용자 단말에서 적어도 하나의 ROI에 위치한 적어도 하나의 QR 코드를 스캔하는 경우, 콘텐츠를 이루는 에피소드로 엑세스할 수 있는 접속링크를 사용자 단말로 제공한다(S5400).
상술한 단계들(S5100~S5400)간의 순서는 예시일 뿐,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상술한 단계들(S5100~S5400)간의 순서는 상호 변동될 수 있으며, 이중 일부 단계들은 동시에 실행되거나 삭제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도 5의 QR 코드 기반 콘텐츠와 연계된 관광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해서 설명되지 아니한 사항은 앞서 도 1 내지 도 4를 통해 QR 코드 기반 콘텐츠와 연계된 관광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하여 설명된 내용과 동일하거나 설명된 내용으로부터 용이하게 유추 가능하므로 이하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도 5를 통해 설명된 일 실시예에 따른 QR 코드 기반 콘텐츠와 연계된 관광 서비스 제공 방법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이나 프로그램 모듈과 같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가능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기록 매체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 매체일 수 있고, 휘발성 및 비휘발성 매체,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 저장 매체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저장 매체는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데이터와 같은 정보의 저장을 위한 임의의 방법 또는 기술로 구현된 휘발성 및 비휘발성,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QR 코드 기반 콘텐츠와 연계된 관광 서비스 제공 방법은, 단말기에 기본적으로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이는 단말기에 기본적으로 탑재된 플랫폼이나 운영체제 등에 포함된 프로그램을 포함할 수 있음)에 의해 실행될 수 있고, 사용자가 애플리케이션 스토어 서버, 애플리케이션 또는 해당 서비스와 관련된 웹 서버 등의 애플리케이션 제공 서버를 통해 마스터 단말기에 직접 설치한 애플리케이션(즉, 프로그램)에 의해 실행될 수도 있다. 이러한 의미에서, 전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QR 코드 기반 콘텐츠와 연계된 관광 서비스 제공 방법은 단말기에 기본적으로 설치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직접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즉, 프로그램)으로 구현되고 단말기에 등의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10)

  1. 관광 서비스 제공 서버에서 실행되는 관광 서비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소셜미디어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매체를 통하여 콘텐츠의 소개 포스터를 업로드 하는 단계;
    상기 소개 포스터를 통하여 사용자 단말이 유입되는 경우 적어도 하나의 ROI(Region of Interest)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ROI를 연결하는 이동경로를 포함하는 지도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ROI를 기준으로 기 설정된 반경 내에 진입한 경우, 상기 관광 서비스 제공 서버에서 제공하는 애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하도록 링크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ROI에 위치한 적어도 하나의 QR 코드를 스캔하는 경우, 상기 콘텐츠를 이루는 에피소드로 엑세스할 수 있는 접속링크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상기 접속링크에 접속하는 경우 상기 에피소드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QR 코드 기반 콘텐츠와 연계된 관광 서비스 제공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소셜미디어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매체를 통하여 콘텐츠의 소개 포스터를 업로드 하는 단계 이전에,
    적어도 하나의 가맹점 단말로부터 상호, 주소 및 영업시간을 입력받아 가맹점 신청을 수신하고, QR 코드 인증키를 발행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맹점 단말과 매핑하여 저장하는 단계;
    상기 가맹점 단말로 상기 QR 코드 인증키를 전송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의 결제 또는 가맹점 단말로의 접근이 발생할 시, 상기 가맹점 단말에서 출력 또는 제공되는 온라인 또는 오프라인 매체 내 상기 QR 코드 인증키가 삽입되도록 설정하는 단계;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맹점 단말의 주소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ROI로 설정하는 단계;
    상기 적어도 하나의 ROI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맹점 단말에서 등록한 영업시간에만 출력되도록 설정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인, QR 코드 기반 콘텐츠와 연계된 관광 서비스 제공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소셜미디어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매체를 통하여 콘텐츠의 소개 포스터를 업로드 하는 단계 이전에,
    적어도 하나의 문화콘텐츠 제작자 단말로부터 콘텐츠를 업로드받고 심사를 거쳐 저작권 계약 또는 라이센싱 계약을 체결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인, QR 코드 기반 콘텐츠와 연계된 관광 서비스 제공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ROI에 위치한 적어도 하나의 QR 코드를 스캔하는 경우, 상기 콘텐츠를 이루는 에피소드로 엑세스할 수 있는 접속링크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단계에서,
    상기 지도 상에 표시된 적어도 하나의 ROI에 위치한 적어도 하나의 QR 코드를 모두 스캔하고, 적어도 하나의 QR 코드를 인증하는 적어도 하나의 QR 코드 인증키를 모두 스캔하는 경우, 1 개의 에피소드를 제공하거나 접속가능한 접속링크를 제공하는 것인, QR 코드 기반 콘텐츠와 연계된 관광 서비스 제공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상기 접속링크에 접속하는 경우 상기 에피소드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접속링크에 접속한 시점부터 타이머 작동을 시작하고, 상기 접속링크에 접속한 시점부터 기 설정된 기간이 도과된 경우 상기 접속링크의 인증확인을 초기화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인, QR 코드 기반 콘텐츠와 연계된 관광 서비스 제공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ROI에 위치한 적어도 하나의 QR 코드를 스캔하는 경우, 상기 콘텐츠를 이루는 에피소드로 엑세스할 수 있는 접속링크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엑세스한 에피소드의 그 다음 화에 대응하는 에피소드를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인, QR 코드 기반 콘텐츠와 연계된 관광 서비스 제공 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소개 포스터를 통하여 사용자 단말이 유입되는 경우 적어도 하나의 ROI(Region of Interest)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ROI를 연결하는 이동경로를 포함하는 지도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에서,
    상기 지도는 각 행정구역 또는 지역별 관광지를 안내하는 지도인 것인, QR 코드 기반 콘텐츠와 연계된 관광 서비스 제공 방법.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소개 포스터를 통하여 사용자 단말이 유입되는 경우 적어도 하나의 ROI(Region of Interest)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ROI를 연결하는 이동경로를 포함하는 지도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ROI 및 적어도 하나의 ROI를 연결하는 이동경로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ROI에 대응하는 가맹점 단말의 영업시간에 대응하여 유동적으로 변경되도록 설정되어,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접속한 날짜 및 시간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ROI를 추출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ROI를 연결하는 이동경로를 실시간으로 생성한 후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것인, QR 코드 기반 콘텐츠와 연계된 관광 서비스 제공 방법.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소셜미디어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매체를 통하여 콘텐츠의 소개 포스터를 업로드 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콘텐츠에 기재된 텍스트를 추출하고 적어도 하나의 언어로 번역된 텍스트를 매핑하여 저장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인, QR 코드 기반 콘텐츠와 연계된 관광 서비스 제공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소개 포스터를 통하여 사용자 단말이 유입되는 경우 적어도 하나의 ROI(Region of Interest)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ROI를 연결하는 이동경로를 포함하는 지도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에서,
    유입된 상기 사용자 단말의 설정 언어를 파악하고, 파악된 설정 언어에 대응하는 텍스트를 추출하여 상기 콘텐츠에 적용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인, QR 코드 기반 콘텐츠와 연계된 관광 서비스 제공 방법.

KR1020210007075A 2020-12-23 2021-01-18 Qr 코드 기반 콘텐츠와 연계된 관광 서비스 제공 방법 KR10265655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2600 2020-12-23
KR20200182600 2020-12-2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91312A true KR20220091312A (ko) 2022-06-30
KR102656559B1 KR102656559B1 (ko) 2024-04-11

Family

ID=822155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07075A KR102656559B1 (ko) 2020-12-23 2021-01-18 Qr 코드 기반 콘텐츠와 연계된 관광 서비스 제공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56559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8644B1 (ko) * 2010-11-04 2011-07-13 한국문화관광콘텐츠개발(주) 스마트 큐알코드를 이용한 문화관광 콘텐츠 통합 플랫폼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KR20140047822A (ko) * 2012-10-15 2014-04-23 광운대학교 산학협력단 사용자 위치 기반의 콘텐츠 스트리밍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20170039535A (ko) * 2015-10-01 2017-04-11 주식회사 저스트아이디어 지역 특화 빅데이터 분석 및 플랫폼 시스템
KR101794931B1 (ko) * 2016-08-26 2017-11-07 윤종선 관광 지도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20180042206A (ko) * 2018-04-18 2018-04-25 아이작에스엔씨 주식회사 관광지에서 포인트와 마일리지를 제공하는 렌터카 대여 및 결제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20190036499A (ko) * 2017-09-27 2019-04-04 최성훈 소셜미디어 연동 지역기반 할인패스 서비스 제공 방법
KR20200064308A (ko) * 2018-11-29 2020-06-08 하성남 Qr코드를 이용한 여행 서비스 시스템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8644B1 (ko) * 2010-11-04 2011-07-13 한국문화관광콘텐츠개발(주) 스마트 큐알코드를 이용한 문화관광 콘텐츠 통합 플랫폼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KR20140047822A (ko) * 2012-10-15 2014-04-23 광운대학교 산학협력단 사용자 위치 기반의 콘텐츠 스트리밍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20170039535A (ko) * 2015-10-01 2017-04-11 주식회사 저스트아이디어 지역 특화 빅데이터 분석 및 플랫폼 시스템
KR101794931B1 (ko) * 2016-08-26 2017-11-07 윤종선 관광 지도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20190036499A (ko) * 2017-09-27 2019-04-04 최성훈 소셜미디어 연동 지역기반 할인패스 서비스 제공 방법
KR20180042206A (ko) * 2018-04-18 2018-04-25 아이작에스엔씨 주식회사 관광지에서 포인트와 마일리지를 제공하는 렌터카 대여 및 결제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20200064308A (ko) * 2018-11-29 2020-06-08 하성남 Qr코드를 이용한 여행 서비스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56559B1 (ko) 2024-04-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803427B2 (ja) コンテンツトランザクションアイテムの動的バインド
Chung et al. The role of augmented reality for experience-influenced environments: The case of cultural heritage tourism in Korea
JP6291611B2 (ja) エンドポイントから別のエンドポイントへウイルス性コピーをするためのコンテナ型ソフトウェア
US9710821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mobile and online payment systems for purchases related to mobile and online promotions or offers provided using impressions tracking and analysis, location information, 2D and 3D mapping, mobile mapping, social media, and user behavior and
US10140620B2 (en) Mobile device system and method providing combined delivery system using 3D geo-target location-based mobile commerce searching/purchases, discounts/coupons products, goods, and services, or service providers-geomapping-company/local and socially-conscious information/social networking (“PS-GM-C/LandSC/I-SN”)
US20170185596A1 (en) Trigger-based content presentation
US10120877B2 (en) Broad and alternative category clustering of the same, similar or different categories in social/geo/promo link promotional data sets for end user display of interactive ad links, coupons, mobile coupons, promotions and sale of products, goods and services integrated with 3D spatial geomapping and mobile mapping and social networking
Kotler et al. Marketing strategy in the digital age: applying Kotler’s strategies to digital marketing
JP2019194878A (ja) コンテンツプロビジョニングに関連付けられた関係をサポートする装置及び方法
JP2019169174A (ja) 補足コンテンツのnレベル複製
KR20140108498A (ko) 멀티미디어 커머스 서비스 처리 장치 및 방법
Król Evolution of online mapping: from Web 1.0 to Web 6.0
KR102187053B1 (ko) 도서 정보 제공 서버 및 그에 의한 도서 정보 제공 방법
Zhu et al. How does celebrity involvement influence travel intention? The case of promoting Chengdu on TikTok
Nikoli et al. The impact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on the tourism sector
Marzouk et al. The influence of augmented reality and virtual reality combinations on tourist experience
Batat Experiential Marketing: Case Studies in Customer Experience
KR102346137B1 (ko) Gps 기반 ar 콘텐츠를 이용한 지역문화자원 안내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102409762B1 (ko) 고객관계관리를 위한 인트라넷 기반 오프라인 매장 유인 서비스 제공 방법
Adekunle et al. Social media and economic development: the role of Instagram in developing countries
KR102166044B1 (ko) 프리패스 멤버쉽을 이용한 키즈카페 운영 서비스 제공 시스템
CN114391159A (zh) 数字人类学和人种学系统
KR102656559B1 (ko) Qr 코드 기반 콘텐츠와 연계된 관광 서비스 제공 방법
Oliveira e Sá et al. Tourist as a Smart Tourist: A Review
Papadopoulou Exploring m-commerce and social media: a comparative analysis of mobile phones and table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