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65416A - 집합건물 사용자용 주정차단속 알림 서비스 제공 방법 - Google Patents

집합건물 사용자용 주정차단속 알림 서비스 제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65416A
KR20230065416A KR1020210150598A KR20210150598A KR20230065416A KR 20230065416 A KR20230065416 A KR 20230065416A KR 1020210150598 A KR1020210150598 A KR 1020210150598A KR 20210150598 A KR20210150598 A KR 20210150598A KR 20230065416 A KR20230065416 A KR 202300654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rking
user
parking enforcement
notification service
management ser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505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화철
임광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지앤톡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지앤톡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지앤톡
Priority to KR10202101505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65416A/ko
Publication of KR202300654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6541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 G06Q50/30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rket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집합건물 사용자용 주정차단속 알림 서비스 제공 방법이 개시된다. 이 방법은 집합건물 사용자의 모바일 단말에서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이 주차안심전화 서비스에 가입하고자 하는 사용자에게 모바일 전화번호와 차량번호를 포함하는 주차안심전화 서비스 가입 정보를 요청하면서 주정차단속 알림 서비스도 동시에 가입할 수 있도록 주정차단속 알림 서비스 가입에 대한 동의 여부를 요청하는 단계, 애플리케이션이 요청된 주차안심전화 서비스 가입 정보를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아 집합건물 관리 서버로 전달하되, 주정차단속 알림 서비스 가입에 대한 입주자의 동의가 있을 시에는 그 동의 사실도 집합건물 관리 서버로 전달하는 단계, 집합건물 관리 서버가 주차안심전화 서비스 가입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등록하여 사용자의 주차안심전화 서비스 가입을 완료하는 단계, 및 집합건물 관리 서버가 가입 동의한 사용자의 주정차단속 알림 서비스 가입 정보를 주정차단속 알림 시스템으로 전송하여 사용자의 주정차단속 알림 서비스 가입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집합건물 사용자용 주정차단속 알림 서비스 제공 방법{Method for illegal parking notification service}
본 발명은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한 기술에 관한 것이다.
기술의 발달과 함께 예전에는 불법 주정차단속 공무원이 일일이 불법 주정차 지역을 돌면서 할 수 밖에 없었던 불법 주정차단속업무의 많은 부분을 CCTV 카메라가 대신하고 있다. 그런데 CCTV 카메라에 의한 주정차 단속의 경우에는 과태료 스티커가 부착되지 않아 단속사실을 인지하지 못한 운전자가 계속하여 동일 장소에서 위반하는 사례가 많이 발생하고 있다. 이러한 문제 해결을 위해, 주정차단속 알림 시스템이 도입되었다. 주정차단속 알림 시스템은 불법 주정차 지역의 차량에 대한 CCTV(고정식, 이동식)의 단속 내용을 운전자에게 불법 주정차에 대한 사전 경고 안내 문자로 발송하여 차량의 신속한 자진 이동을 유도해 주정차 질서를 이룰 수 있게 한다.
이러한 주정차단속 알림 시스템은 사전에 서비스를 신청한 차주들에게 주정차단속 알림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으며, 차주들은 온라인 신청 또는 각 지자체 읍·면·동 주민센터를 통한 신청을 통해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하지만 주정차단속 알림 서비스가 제대로 홍보되지 않은 관계로 대부분의 차주들은 주정차단속 알림 서비스에 대해 잘 모르고 있으며, 알고 있는 경우에도 주정차단속 알림 서비스의 효용성을 느끼지 못해 굳이 번거롭게 가입 신청을 하지 않는 경우가 허다하다. 이로 인해 주정차단속 알림 서비스가 충분히 활성화되지 못하고 있다.
국내공개특허공보 제10-2017-0048647호 (2017년 5월 10일 공개)
본 발명은 주정차단속 알림 서비스를 활성화시킬 수 있는 기술적 방안을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일 양상에 따른 집합건물 사용자용 주정차단속 알림 서비스 제공 방법은 집합건물 사용자의 모바일 단말에서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이 주차안심전화 서비스에 가입하고자 하는 사용자에게 모바일 전화번호와 차량번호를 포함하는 주차안심전화 서비스 가입 정보를 요청하면서 주정차단속 알림 서비스도 동시에 가입할 수 있도록 주정차단속 알림 서비스 가입에 대한 동의 여부를 요청하는 단계, 애플리케이션이 요청된 주차안심전화 서비스 가입 정보를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아 집합건물 관리 서버로 전달하되, 주정차단속 알림 서비스 가입에 대한 입주자의 동의가 있을 시에는 그 동의 사실도 집합건물 관리 서버로 전달하는 단계, 집합건물 관리 서버가 주차안심전화 서비스 가입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등록하여 사용자의 주차안심전화 서비스 가입을 완료하는 단계, 및 집합건물 관리 서버가 가입 동의한 사용자의 주정차단속 알림 서비스 가입 정보를 주정차단속 알림 시스템으로 전송하여 사용자의 주정차단속 알림 서비스 가입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집합건물 사용자들에게 다양한 거주 편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사용자들로 하여금 별도의 신청 절차 없이도 자연스럽고 간편하게 주정차단속 알림 서비스를 신청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주정차단속 알림 서비스를 활성화시킬 수 있는 효과를 창출한다.
또한, 본 발명은 집합건물 사용자을 위한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사용자(운전자)에게 주정차단속 사전 알림이 이루어질 수 있게 함으로써, 기존의 단속 알림 방식에 비해 주정차단속 알림 시스템의 운영 비용이 절감되는 효과가 창출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집합건물 사용자용 주정차단속 알림 서비스 제공 시스템 블록도이다.
도 2는 모바일 단말의 애플리케이션 화면 예시도이다.
도 3 및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집합건물 사용자용 주정차단속 알림 서비스 제공 방법 절차를 나타낸다.
전술한, 그리고 추가적인 본 발명의 양상들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되는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통하여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을 이러한 실시예를 통해 통상의 기술자가 용이하게 이해하고 재현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집합건물 사용자용 주정차단속 알림 서비스 제공 시스템 블록도이다. 집합건물 사용자용 주정차단속 알림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도 1에 도시된 구성에서 적어도 일부를 포함한다. 모바일 단말(100)은 아파트 등의 집합건물을 사용하는 사용자(예를 들어, 입주민) 소유의 통신 가능한 스마트폰이다. 모바일 단말(100)에는 집합건물 사용자에게 집합건물과 관련하여 다양한 편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애플리케이션(이하에서는 ‘모바일 앱’이라 한다)(200)이 설치되어 실행된다. 즉, 모바일 앱(200)은 집합건물 사용자 전용의 애플리케이션일 수 있다.
모바일 앱(200)은 입주민(사용자)에게 아파트 공지 등의 알림 서비스와 다양한 생활설비업체(청소업체, 배수설비업체, 보일러업체 등)를 연결해주는 생활 서비스는 물론 주차안심전화 서비스를 제공한다. 참고로, 주차안심전화 서비스란 잘 알려진 바와 같이, 운전자 번호가 아닌 안심전화 서비스용 대표전화번호를 이용한 전화 연결 서비스를 말한다. 운전자는 차량에 대표전화번호가 표시된 주차 번호판을 지급받아 주차안심전화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이 같은 주차안심전화 서비스는 차량을 소지한 집합건물 사용자들 중에서 희망하는 사용자들만을 대상으로 이루어지는 바, 희망 사용자는 모바일 앱(200)을 통해 사전에 주차안심전화 서비스를 신청하여 이용할 수 있다.
집합건물 관리 서버(300)는 집합건물 사용자들의 모바일 앱(200)들과 연동하여 사용자들에게 상술한 다양한 서비스들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하나 이상의 서버용 컴퓨팅 디바이스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집합건물 관리 서버(300)는 모바일 앱(200)들과 연동하여 집합건물 사용자들에게 상술한 바와 같은 다양한 편의 서비스를 제공하며, 차량을 소유한 사용자들에게는 주차안심전화 서비스 신청에 따라 주차안심전화 서비스를 제공한다. 특히, 집합건물 관리 서버(300)는 주차안심전화 서비스를 신청하는 사용자에게는 주정차단속 알림 서비스도 간편하게 신청하여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게 한다. 이 같은 집합건물 관리 서버(300)는 여러 집합건물을 대상으로 각 집합건물마다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주정차단속 알림 시스템(400)은 고정형 CCTV나 이동형 CCTV에 의해 감시된 불법주정차 차량이 주정차단속 알림 서비스가 신청된 차량일 경우에는 해당 운전자에게 문자메시지를 통해 차량 단속을 사전에 알림하여 조치를 취할 수 있게 하는 서버 시스템이다. 이 같은 주정차단속 알림 시스템(400)은 집합건물 관리 서버(300)와 API 연동하여 집합건물 사용자의 주정차단속 알림 서비스 신청을 처리하며, 이에 의해 신청 완료된 집합건물 사용자에게도 주정차단속 알림 서비스를 제공한다. 이를 위해 주정차단속 알림 시스템(400)은 게이트웨이 서버(410)와 알림 서버(420)를 포함할 수 있는데, 게이트웨이 서버(410)는 집합건물 관리 서버(300)와의 API 연동을 위한 서버이며, 알림 서버(420)는 게이트웨이 서버(410)와 연결되어 집합건물 사용자의 서비스 신청을 완료 처리하고 그에 따라 알림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이다. 한편, 집합건물 관리 서버(300)와 주정차단속 알림 시스템(400)은 서로 다른 사업자에 의해 운용되는 것으로, 사전 협약을 통해 연동될 수 있다.
도 2는 모바일 단말의 모바일 앱 화면 예시도이다. 주차안심전화 서비스를 신청하고자 할 경우, 사용자는 도 2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바일 앱(200)의 화면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공되는 서비스 항목들 중에서 주차안심전화 항목을 선택한다. 이에 모바일 앱(200)은 주차안심전화 서비스 가입을 위해 필요로 되는 정보를 요청하기 위한 가입 화면 인터페이스를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도 2의 (b)에서와 같이 가입 화면 인터페이스를 통해 요청되는 정보에는 사용자의 차량번호와 사용자의 모바일 전화번호가 포함될 수 있다. 그리고 이 같은 가입 화면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된 주차안심전화 서비스 가입 정보는 집합건물 관리 서버(300)로 전달되며, 집합건물 관리 서버(300)는 그 전달된 주차안심전화 서비스 가입 정보를 내부의 데이터베이스에 등록하여 사용자의 주차안심전화 서비스 가입을 완료한다.
추가로, 모바일 앱(200)은 주차안심전화 서비스 가입을 위한 화면 인터페이스를 통해 주정차단속 알림 서비스에도 함께 가입토록 할 수 있다. 이때, 모바일 앱(200)은 사용자로부터 주정차단속 알림 서비스 가입을 위한 필요 정보를 입력받는 것이 아니라 가입에 대한 동의만을 받는데, 도 2의 (b)에 예시된 바와 같이 주정차단속 알림 서비스(불법주정차 알림 서비스) 가입에 대해 체크박스를 통해 동의만을 받는 것이다. 즉, 사용자는 불법주정차 알림 서비스에도 가입을 원할 경우에는 체크박스에 동의 체크하기만 하면 된다. 체크박스에 동의 체크가 이루어지면, 모바일 앱(200)은 사용자의 동의 사실을 집합건물 관리 서버(300)로 전달한다.
집합건물 관리 서버(300)는 사용자 동의 사실이 확인되면 사용자의 주정차단속 알림 서비스 가입 정보를 주정차단속 알림 시스템(400)으로 전송하여 불법주정차 알림 서비스 가입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집합건물 관리 서버(300)는 사용자(신청자) 이름과 차량번호 및 모바일 전화번호가 포함된 주정차단속 알림 서비스 가입 정보를 생성하여 주정차단속 알림 시스템(400)으로 전송한다. 여기서, 차량번호와 모바일 전화번호는 주차안심전화 서비스 가입 정보에서 추출된 것일 수 있으며, 사용자 이름은 집합건물 관리 서버(300)의 데이터베이스에 기저장된 것일 수 있다.
한편, 도 2에 예시되어 있지는 않으나 모바일 앱(200)은 사용자가 불법주정차 알림 서비스 가입에 동의할 경우에는 불법주정차 알림 방식으로 ARS 알림을 이용할 것인지 여부에 대해 선택하도록 할 수 있으며, 사용자 선택에 따른 ARS 알림 여부 정보도 집합건물 관리 서버(300)로 보고할 수 있다. 따라서, 주정차단속 알림 서비스 가입 정보에는 ARS 알림 사용 여부에 대한 정보도 포함될 수 있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집합건물 사용자용 주정차단속 알림 서비스 제공 방법 절차를 나타낸 것으로, 구체적으로 집합건물 사용자의 주정차단속 알림 서비스 가입 절차를 나타낸 것이다. 집합건물 관리 서버(300)는 API를 이용하여 주정차단속 알림 서비스 가입 정보를 게이트웨이 서버(410)로 전달한다(S100). 이에 게이트웨이 서버(410)는 집합건물 관리 서버(300)로부터 주정차단속 알림 서비스 가입 정보를 수신하게 되며, 그 수신된 주정차단속 알림 서비스 가입 정보를 내부에 신규 등록한다. 등록된 주정차단속 알림 서비스 가입 정보에는 사용자명과 차량번호 및 전화번호가 포함될 수 있으며, ARS 사용여부에 대한 정보도 포함될 수 있다.
알림 서버(420)는 주기적으로 게이트웨이 서버(410)에 액세스하여 신규 등록된 주정차단속 알림 서비스 가입 정보를 다운로드한다(S110). 알림 서버(420)는 다운로드된 주정차단속 알림 서비스 가입 정보를 내부 데이터베이스에 등록하여 사용자의 주정차단속 알림 서비스 가입을 완료한다(S120). 이때, 알림 서버(420)는 주정차단속 알림 서비스 가입 정보에 포함된 적어도 일부 항목(예를 들어, 차량번호)을 가지고 내부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하여 이미 가입되어 있는지를 확인할 수 있으며, 가입되어 있지 않으면 신규 등록하여 주정차단속 알림 서비스 가입을 완료한다.
다음으로, 알림 서버(420)는 가입 처리 결과값을 게이트웨이 서버(410)로 제공하며(S130), 게이트웨이 서버(410)는 그 제공된 결과값을 집합건물 관리 서버(300)로 전달한다(S140). 가입 처리 결과값에는 가입성공 또는 가입실패를 나타내는 값이 포함되며, 가입실패시 실패사유(기존 가입 등)를 나타내는 값도 포함될 수 있다. 그리고 집합건물 관리 서버(300)는 게이트웨이 서버(410)로부터 수신된 결과값을 모바일 앱(200)으로 전달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모바일 앱(200)을 통해 서비스 가입 신청에 대한 처리 결과를 확인할 수 있게 한다.
한편, 집합건물 관리 서버(300)는 도 3을 통해 서비스 가입된 사용자들에 대해서는 따로 그룹화하여 관리할 수 있다. 즉, 일반 온/오프라인 루트를 통해 가입한 사용자들과 도 3을 통해 가입된 사용자들을 구분하여 관리하는 것이다. 이는 사용자들에게 단속주정차 알림을 행할 때 서로 다른 알림 방식을 선택하여 알림을 행하고자 함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집합건물 사용자용 주정차단속 알림 서비스 제공 방법 절차를 나타낸 것으로, 구체적으로 집합건물 사용자을 위한 주정차단속 알림 과정을 나타낸 것이다. 알림 서버(420)는 고정형 불법주정차 단속 장치 혹은 이동형 불법주정차 단속 장치로부터 차량번호가 수신되면 그 수신된 차량번호로 내부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하여 집합건물 사용자의 차량번호인지 아니면 일반 사용자의 차량번호인지를 확인한다(S100)(S200). 즉, 일반 루트를 통해 서비스 가입된 사용자의 차량인지 아니면 상술한 바와 같은 루트를 통해 서비스 가입된 사용자의 차량인지를 확인하는 것이다.
S200에서의 확인 결과 일반 사용자의 차량번호이면, 알림 서버(420)는 기존과 마찬가지로 해당 사용자의 전화번호로 SMS 등의 문자메시지를 전송하여 주정차단속을 사전 알림한다(S220). 그러가 확인 결과 집합건물 사용자의 차량번호일 경우, 알림 서버(420)는 집합건물 관리 서버(300)로 해당 집합건물 사용자의 차량에 대한 주정차단속을 사전 통지한다(S230). 이에 집합건물 관리 서버(300)는 해당 집합건물 사용자의 모바일 앱(200)으로 주정차단속을 사전 알림한다. 이 같이 모바일 앱(200)을 통해 주정차단속에 대한 사전 알림이 이루어진다면 SMS 알림 방식에 비해 비용이 절감된다.
한편, 알림 서버(420)는 S230 대신에 ARS 알림을 수행할 수도 있으며, 이는 해당 사용자가 ARS 알림에 동의한 경우에 한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알림 서버(420)는 ARS 알림과 문자 알림과 집합건물 관리 서버(300)로의 사전 통지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수행함으로써, 해당 사용자가 보다 확실하게 주정차단속 알림을 인지할 수 있게 한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 모바일 단말 200 : 모바일 앱
300 : 집합건물 관리 서버 400 : 주정차단속 알림 시스템
410 : 게이트웨이 서버 420 : 알림 서버

Claims (5)

  1. 집합건물 사용자의 모바일 단말에서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은 주차안심전화 서비스에 가입하고자 하는 사용자에게 모바일 전화번호와 차량번호를 포함하는 주차안심전화 서비스 가입 정보를 요청하면서 주정차단속 알림 서비스도 동시에 가입할 수 있도록 주정차단속 알림 서비스 가입에 대한 동의 여부를 요청하는 단계;
    애플리케이션은 요청된 주차안심전화 서비스 가입 정보를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아 집합건물 관리 서버로 전달하되, 주정차단속 알림 서비스 가입에 대한 입주자의 동의가 있을 시에는 그 동의 사실도 집합건물 관리 서버로 전달하는 단계;
    집합건물 관리 서버는 주차안심전화 서비스 가입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등록하여 사용자의 주차안심전화 서비스 가입을 완료하는 단계; 및
    집합건물 관리 서버는 가입 동의한 사용자의 주정차단속 알림 서비스 가입 정보를 주정차단속 알림 시스템으로 전송하여 사용자의 주정차단속 알림 서비스 가입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집합건물 사용자용 주정차단속 알림 서비스 제공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집합건물 관리 서버는 사용자 성명과 주차안심전화 서비스 가입 정보에 포함된 모바일 전화번호 및 차량번호를 포함하는 주정차단속 알림 서비스 가입 정보를 생성하여 주정차단속 알림 시스템으로 전송하는 집합건물 사용자용 주정차단속 알림 서비스 제공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주정차단속 알림 시스템의 게이트웨이 서버는 집합건물 관리 서버로부터 주정차단속 알림 서비스 가입 정보를 수신하여 신규 등록하는 단계; 및
    알림 서버는 주기적으로 게이트웨이 서버에 신규 등록된 주정차단속 알림 서비스 가입 정보를 다운로드하고 내부 데이터베이스에 등록하여 사용자의 주정차단속 알림 서비스 가입을 완료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집합건물 사용자용 주정차단속 알림 서비스 제공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주정차단속 알림 서비스 가입 정보에는 사용자에 의해 결정된 ARS 기반 불법주정차 알림 동의 여부에 대한 정보가 포함된 집합건물 사용자용 주정차단속 알림 서비스 제공 방법.
  5. 제 3 항에 있어서,
    알림 서버는 불법주정차 단속 장치로부터 보고된 불법주정차 차량이 사용자의 차량이면 집합건물 관리 서버로 해당 사용자 차량에 대한 불법주정차 단속을 통지하는 단계; 및
    집합건물 관리 서버는 알림 서버의 통지에 따라 해당 사용자의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사용자에게 불법주정차 단속을 사전 알림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집합건물 사용자용 주정차단속 알림 서비스 제공 방법.
KR1020210150598A 2021-11-04 2021-11-04 집합건물 사용자용 주정차단속 알림 서비스 제공 방법 KR2023006541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50598A KR20230065416A (ko) 2021-11-04 2021-11-04 집합건물 사용자용 주정차단속 알림 서비스 제공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50598A KR20230065416A (ko) 2021-11-04 2021-11-04 집합건물 사용자용 주정차단속 알림 서비스 제공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65416A true KR20230065416A (ko) 2023-05-12

Family

ID=863858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50598A KR20230065416A (ko) 2021-11-04 2021-11-04 집합건물 사용자용 주정차단속 알림 서비스 제공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65416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48647A (ko) 2015-10-26 2017-05-10 (주)고백기술 소통형 불법주정차 단속경고 전송시스템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48647A (ko) 2015-10-26 2017-05-10 (주)고백기술 소통형 불법주정차 단속경고 전송시스템 및 그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156231B (zh) 故障车辆与服务器通信的方法、车辆和服务器
CN107872777B (zh) 用于车辆的服务协作系统
KR101637294B1 (ko) 스마트 카와 스마트 홈 사이의 인증 방법, 및 스마트 카와 스마트 홈 사이의 인증을 위한 텔레매틱스 서비스 센터
US11323850B2 (en) Vehicle-to-everything communication solution
US9113327B2 (en) Personal location cone
KR101284741B1 (ko) 스마트 폰을 이용한 주차장 공유 시스템
EP3794778B1 (en) Method and system to associate iot devices with an incident and manage access
JP2006268229A (ja) タクシー配車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JP2019520620A (ja) 交通サービス取得方法および関連装置
JP2018060520A (ja) 車両用サービス連携システム
CN107146452A (zh) 停车管理方法、本地服务器、应用终端及车位资源服务器
KR102040061B1 (ko) 거주자우선 주차장 관리 시스템
Fikri et al. Smart parking area management system for the disabled using IoT and mobile application
KR102193279B1 (ko) Qr 코드 인식을 통한 부정주차 판별 시스템
Sobeslav et al. A smart parking system based on mini PC platform and mobile application for parking space detection
KR102429515B1 (ko) 차량번호 모바일 인식 기반 주차관리시스템
CN113920714B (zh) 共享车辆的停车管理方法、装置及电子设备
US10679430B2 (en) Toll booth added security to code scanner
KR20230065416A (ko) 집합건물 사용자용 주정차단속 알림 서비스 제공 방법
KR101518853B1 (ko) M2m 기반의 자동차 제어장치 및 방법
KR20140073138A (ko) 거주자 우선주차 관리방법
JP2008077444A (ja) 駐車場予約システム
CN111681369A (zh) 停车控制方法、车辆、服务器及车辆系统
KR20090124253A (ko) 차량 운전자 인증 시스템 및 차량 운전자 인증 방법
US10915595B1 (en) Devices, system and method for associating a tengible asset with an website or target UR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