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64789A - 도어 결합 장치 - Google Patents

도어 결합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64789A
KR20230064789A KR1020210150274A KR20210150274A KR20230064789A KR 20230064789 A KR20230064789 A KR 20230064789A KR 1020210150274 A KR1020210150274 A KR 1020210150274A KR 20210150274 A KR20210150274 A KR 20210150274A KR 20230064789 A KR20230064789 A KR 202300647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ylinder
link
coupled
guide slit
d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502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변천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피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피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피텍
Priority to KR10202101502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64789A/ko
Publication of KR202300647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6478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3/00Closers or openers with braking devices, e.g. checks; Construction of pneumatic or liquid braking devices
    • E05F3/20Closers or openers with braking devices, e.g. checks; Construction of pneumatic or liquid braking devices in hing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5/00Construction of single parts, e.g. the parts for attachment
    • E05D5/02Parts for attachment, e.g. flaps
    • E05D5/0276Parts for attachment, e.g. flaps for attachment to cabinets or furniture, the hinge having two or more pi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3/00Closers or openers with braking devices, e.g. checks; Construction of pneumatic or liquid braking devices
    • E05F3/04Closers or openers with braking devices, e.g. checks; Construction of pneumatic or liquid braking devices with liquid piston brak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5/00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 E05F5/02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specially for preventing the slamming of swinging wings during final closing movement, e.g. jamb stop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86Rods, lin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ing And Opening Devices For Wings, And Checks For W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어 결합 장치에 관한 것으로, 고정프레임과 이격되고, 외측면에 도어가 설치되는 플레이트를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링크부 및 상기 고정프레임에 내부에 고정 설치되고, 상기 링크부 내부에 설치되는 실린더의 단부가 삽입되는 가이드슬릿이 형성되는 디스크몸체를 포함하는 디스크부를 포함하여 상기 실린더가 상기 가이드슬릿을 따라, 일정 반경 회전 가능하다.

Description

도어 결합 장치{Coupling apparatus for door}
본 발명은 본 발명은 도어 결합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협소한 공간에서 가전, 가구 등과 같은 부재들의 도어를 용이하게 개폐시킬 수 있는 도어 결합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어가 구비된 가전, 가구 등과 같은 부재들은 본체와, 이러한 본체에 힌지 연결되어 그 본체를 개폐하는 도어로 이루어지며, 도어를 회동 시킴에 따라 본체를 개폐한다.
여기서, 복수개의 부재들 중 냉장고를 일례로 설명하면, 관련된 선행기술이 실용신안 공개번호 제20-1999-0035936호에 냉장고용 도어의 힌지 장치란 명칭으로 개시되어 있다.
그런데, 냉장고가 대형화됨에 따라 도어의 크기 역시 커지게 되고, 이에 따라 본체에 대한 도어의 회동 범위 또한 커지게 되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냉장고 설치공간의 제약이 발생되는 문제가 발생되었으며, 이를 위해 도어가 개폐됨에 있어 요구되는 공간을 줄이기 위해 본체에서 도어를 회동시킬 때 도어 회동공간을 줄일 수 있는 힌지에 대한 필요성이 커지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본 발명의 목적은, 복수개의 레버를 서로 연결하는 복수의 링크 중 어느 하나의 링크가 링크의 역할을 함과 동시에 커버 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도어 개폐 시 복수개의 레버들 사이의 공간으로 손가락 등이 끼이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고, 제작비용과 관리 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도어의 이동이 원활한 도어 결합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고정프레임과 이격되고, 외측면에 도어가 설치되는 플레이트부를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링크부 및 상기 고정프레임에 내부에 고정 설치되고, 상기 링크부 내부에 설치되는 실린더의 단부가 삽입되는 가이드슬릿이 형성되는 디스크몸체를 포함하는 디스크부를 포함하여 상기 실린더가 상기 가이드슬릿을 따라, 일정 반경 회전 가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플레이트부는 일측 방향으로 힘을 가할 때, 상기 실린더가 상기 가이드슬릿을 따라 이동하여, 상기 플레이트부가 1차적으로 이동하고, 상기 가이드슬릿을 단부에 상기 실린더가 고정되면, 상기 실린더가 유압에 따라, 길이가 변동되어 상기 플레이트부가 2차적으로 이동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스크부는, 상기 디스크몸체의 외측면에 결합되고, 원주 방향으로 연장되어, 일단부가 상기 디스크몸체에 결합되고, 타단부가 상기 실린더의 일단부에 고정되어 상기 실린더가 상기 가이드슬릿을 따라, 이동할 때 연장 또는 축소되어 상기 가이드슬릿을 따라, 이동되는 상기 실린더에 가해지는 힘을 억제 또는 추가하는 제2 탄성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플레이트부와 상기 링크부의 사이에 설치되어 복수 개의 연결홀이 형성되어, 복수 개의 링크부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연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링크부는, 상기 고정프레임과 상기 플레이트부 사이에 결합되는 본체부, 일단부가 상기 플레이트부에 결합되고, 내부에 제1 탄성부재가 결합되며, 타단부가 상기 본체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링크부 및 일단부가 상기 플레이트부에 결합되고, 타단부가 상기 본체부에 결합되는 제2 링크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스크몸체는 일측면에 한 쌍으로 돌출 형성되고, 중심부에 샤프트홀이 형성되어 중심축이 삽입되며, 상기 실린더의 일단부에 양측으로 돌출된 돌출부재가 호 형상으로 형성된 상기 가이드슬릿을 따라 이동하여, 상기 실린더를 이동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복수개의 레버를 서로 연결하는 복수의 링크 중 어느 하나의 링크가 링크의 역할을 함과 동시에 커버 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도어 개폐 시 복수개의 레버들 사이 공간으로 손가락 등이 끼이는 것을 차단할 수 있고, 그에 따라 멀티 링크 구조로 인한 사용자의 부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실린더의 하단부에 디스크부가 설치되고, 상기 디스크부는 고정프레임에 고정된 상태로 외측면에 가이드슬릿이 형성되어, 실린더가 가이드슬릿을 따라, 원을 그리며 상부 또는 하부로 이동함으로써, 실린더의 압력으로 회전되기 전에 소정의 각도로 실린더를 1차 이동시켜 플레이트부가 실린더의 길이 변화에 따라, 이동되기 전에 소정의 각도에서 원활하게 이동 가능할 수 있고, 디스크부가 고정됨에 따라, 회전시 발생할 수 있는 디스크부의 마모를 저감시킬 수 있으며, 디스크의 제작 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고, 마모된 탄성부재만의 교체가 가능하여 관리 비용이 절감될 수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 결합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 결합 장치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 결합 장치의 사시도의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 결합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 결합 장치의 디스크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 결합 장치가 개방되는 순서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된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 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술 등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 결합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 결합 장치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 결합 장치의 사시도의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 결합 장치의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 결합 장치의 디스크부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 결합 장치가 개방되는 순서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1 내지 도 6을 참고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도어 결합 장치(1)는 고정프레임(100), 플레이트부(300), 결합부(500) 및 링크부(700) 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고정프레임(100), 플레이트부(300), 결합부(500) 및 링크부(700)로 연결된 구조는 도어를 구비한 가전, 가구 등과 같은 부재, 즉 빌트인(built-in) 형태로 배치된 복수개의 부재들은 도어가 좁은 공간에서도 용이하게 오픈 위치에서 클로징 위치, 또는 클로징 위치에서 오픈 위치로 회전 가능하도록 서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고정프레임(100)는 도어가 구비된 부재의 본체 상에 설치되며, 단부측에 이격되게 형성되는 제1 고정체결공(110a) 및 제2 고정체결공(110c)을 가진다.
플레이트부(300)는 상기와 같은 본체의 전면을 개폐하는 도어에 설치될 수 있고, 후방에 연결된 링크부(700)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베이스플레이트(310) 및 플레이트부재(330)를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플레이트(310)는 사각 단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베이스플레이트(310)는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후방을 향해 한쌍의 돌출된 돌출플레이트(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어, 후방에 연결되는 플레이트부재(330) 및 제2 링크부(730)의 전방 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샤프트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베이스플레이트(310)는 중심부에 나사홀이 형성되어 플레이트부재(330)가 후방에 결합될 수 있다. 또한,플레이트부재(330)는 베이스플레이트(310)의 후방에 복수 개의 제1 부재홀(331)이 형성될 수 있어, 베이스플레이트(310)를 관통한 나사가 플레이트부재(330)를 관통하여 상호 간에 결합될 수 있다.
또한, 플레이트부재(330)의 양측면에는 양측 방향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고, 돌출된 부분에는 제2 부재홀(333)이 형성될 수 있다. 제2 부재홀(333)에는 제1 링크부(710)의 제1 링크 체결공(711a)과 샤프트로 결합됨으로써, 플레이트부재(330)를 중심으로 제1 링크부(710)가 회전 가능할 수 있다.
또한, 플레이트부재(330)의 후방에는 연결부(400)가 결합됨으로써, 제1 링크부(710) 및 제 2 링크부(700)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링크부(710)와 제2 링크부(730)가 연결된 형상은 가위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연결부(400)의 연결몸체(410)은 사다리꼴 단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연결몸체(410)는 상부에 1개의 제1 연결홀(411)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부 면적보다 면적이 넓은 하단부는 전방 및 후방으로 제2 연결홀(413) 및 제3 연결홀(415)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1 연결홀(411)은 제1 링크부(710)에 형성된 제1 링크 체결공(711b)과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제2 연결홀(413)은 내부에 롤(미도시)가 회전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다.
또한, 제3 연결홀(415)은 제1 탄성부재(713)의 전방 단부에 형성된 제2 탄성 체결공(713b)에 결합되어 제1 탄성부재(713)가 회전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를 통해, 플레이트부(300)가 제1 링크부(710)를 통해, 상방 또는 하방으로 회전 가능할 수 있고, 제1 탄성부재(713)를 통해,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이 가능할 수 있다.
또한, 베이스플레이트(310)의 하부에는 제2 링크부(730)가 회전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고, 제2 링크부(730)의 중심부와 고정프레임(100)은 결합부(500)를 통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결합부(500)는 제2 링크부(730)와 고정프레임(100) 간의 회전 가능하게 연결할 수 있도록, 결합몸체(510), 제1 결합부재(511) 및 제2 결합부재(513)를 포함할 수 있다.
결합몸체(510)는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연장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결합몸체(510)는 하방으로 갈수록 직경이 넓어지도록 형성될 수 있어,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때, 결합몸체(510)의 상단부는 하방으로 휘어지면서 원형으로 형성된 제1 결합부재(511)가 형성될 수 있다.
제1 결합부재(511)는 내부에 원형으로 형성된 제1 결합홀(511a)이 형성될 수 있어, 샤프트가 제1 결합부재(511)를 통해, 형성된 제1 결합홀(511a)과 제2 링크부(730)의 제2 링크 체결공(731c)를 관통하며 회전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제2 결합부재(513)는 결합몸체(510)의 하단부가 하방으로 휘어지면서 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어, 중심에 제2 결합홀(513a)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2 결합부재(513)로 형성된 제2 결합홀(513a)과 고정프레임(100)의 제3 고정체결공(110c)이 결합될 수 있어, 제2 링크부(730)가 고정프레임(100)으로부터 상부로 회전 이동하면, 결합부(500)를 회전시킬 수 있다.
이를 통해, 결합부(500)는 제2 링크부(730)와 고정프레임(100)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연결함과 동시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고, 사용자가 제2 링크부(730)와 고정프레임(100) 사이에 손가락 등의 신체 부위가 끼이는 안정 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링크부(700)는 고정프레임(100)과 플레이트부(300)가 상호 회전 가능하게 연결함과 동시에 일정 힘을 이상을 가해야 개폐될 수 있도록 일정 억제력을 가져 순간적인 도어의 개폐로 인해 도어와 연결된 장치들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도록, 제1 링크부(710), 제2 링크부(730) 및 본체부(75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링크부(710)는 플레이트부(300)의 후방에 위치하는 플레이트부재(33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됨과 동시에 연결부(400)의 제1 연결홀(411)에 연결되어, 회전 가능함과 동시에 전방 및 후방으로 탄성력을 가질 수 있도록, 제1 링크몸체(711), 제1 탄성부재(713)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링크몸체(711)는 전방에서부터 후방으로 상호 이격된 복수 개의 제1 링크 체결공(711a, 711b, 711c)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전방 단부에 위치하는 제1 링크 체결공(711a)에는 플레이트부재(330)의 양측을 관통하는 샤프트와 결합될 수 있어, 플레이트부(300)와 제1 링크부(710)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제1 링크몸체(711)의 중심부에 위치하는 제1 링크 체결공(711b)에는 연결부(400)의 제1 연결홀(411)이 샤프트로 인해 결합됨으로써, 제3 연결홀(415)에 결합되는 제1 탄성부재(713)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가장 후단에 위치하는 제1 링크 체결공(711c)에는 본체부(750)의 제1 본체 체결공(751a)과 제1 탄성부재(713)의 후방에 위치하는 제1 탄성 체결공(713a)을 샤프트가 관통하며 결합됨으로써, 제1 링크부(710)와 제1 탄성부재(713) 및 본체부(750)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제1 탄성부재(713)는 전방 단부에 위치하는 제2 탄성 체결공(713b)이 연결부(400)의 제3 연결홀(415)에 결합됨으로써, 제1 링크몸체(711)와 제1 탄성부재(713)는 같은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제2 링크부(730)는 플레이트부(300)의 후방에 결합될 수 있고, 제1 링크부(710)와 하방으로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제2 링크부(730)의 전방 단부는 플레이트부(300)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제2 링크부(730)의 후방 단부는 후술할 실린더(753) 및 본체부(750)의 내부에 결합될 수 있도록, 복수 개의 제2 링크 체결공(731a, 731b, 731c, 731d, 731e)이 형성된 제2 링크몸체(731)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링크 체결공(731a)은 제2 링크몸체(731)의 전방 단부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2 링크 체결공(731a)은 베이스플레이트(310)의 후방에 샤프트가 관통하여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제2 링크 체결공(731b)는 샤프트가 설치될 수 있고, 제2 링크 체결공(731c)에는 제1 결합부재(511)가 샤프트 결합되어 결합부(500)와 회전 가능할 수 있으며, 제2 링크 체결공(731d)에는 본체부(750)에 설치된 실린더(753)의 상단부가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제2 링크 체결공(731e)은 본체부(750)의 중심부에 형성된 제2 본체 체결공(751b)과 샤프트가 관통하여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2 링크몸체(731)는 베이스플레이트(310)의 회전에 따라, 상하 회전 가능하며 회전시 실린더(753)의 승하강을 유도할 수 있다.
본체부(750)는 제1 링크부(710)와 제2 링크부(730)를 연결시키고, 회전 가능함과 동시에 제1 링크부(710)와 제2 링크부(730)의 승하강이 가능하게 하여 베이스플레이트(310)의 전방 이동을 연장하며, 유압에 의해, 베이스플레이트(310)의 승하강에 의한 회전시, 억제력이 작용할 수 있도록, 본체(751) 및, 실린더(753)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751)는 상단부가 제1 링크부(710)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상단부에 제1 본체 체결공(751a)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1 본체 체결공(751a)에는 제1 링크 체결공(731c)와 제1 탄성 체결공(713a)가 결합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1 링크부(710)가 본체(751)의 상단부에서 회전 가능함으로써, 베이스플레이트(310)가 회전 가능할 수 있다.
또한, 본체(751)에는 제1 본체 체결공(751a)의 하부에 제1 본체 체결공(751a)과 이격된 제2 본체 체결공(751b)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2 본체 체결공(751b)은 실린더의 상단부가 결합될 수 있어, 상측으로 소정의 각도가 이동된 실린더(753)의 하단부가 고정되면 실린더(753)가 상부로 연장됨에 따라, 본체(751)가 상부로 회전하면서 이동될 수 있다.
또한, 본체(751)에는 제2 본체 체결공(751b)의 하부에 제2 본체 체결공(751b)과 이격된 제3 본체 체결공(751c)이 형성될 수 있다. 제3 본체 체결공(751c)은 후술할 디스크(810)에 형성된 샤프트홀(813)과 제1 고정체결공(110a)과 대응하는 위치에서 중심축(820)이 관통하여 결합됨으로써, 본체(751)가 고정프레임(100)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할 수 있다.
또한, 본체(751)의 내부에는 실린더(753)가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실린더(753)는 유압실린더일 수 있다. 또한 실린더(753)의 상단부는 실린더의 하부가 고정되면 상부로 연장될 수 있어, 본체(751)가 상부로 소정의 각도의 회전 반경보다 더 이동가능할 수 있다.
또한, 실린더(753)의 하단부는 양측 방향으로 돌출부재(753b)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돌출부재(753b)는 디스크(810)에 형성된 가이드슬릿(815)에 끼움 결합될 수 있어, 실린더(753)의 하단부는 가이드슬릿(815)을 따라, 상부 또는 하부로 이동 가능할 수 있다.
즉, 실린더(753)는 하단부가 가이드슬릿(815)에 결합되고, 본체(751)의 하단부는 고정프레임(100)에 고정되며, 실린더(753)의 상단부가 본체(751)의 제2 본체 체결공(751b)에 결합됨으로써, 본체(751)는 가이드슬릿(815)을 따라 소정의 각도로 1차적으로 이동가능하고, 실린더(753)가 가이드슬릿(815)의 단부에 고정되면, 본체(751)의 내부에 위치하는 실린더(753)가 상부로 길이가 연장되면서, 본체(751)가 회전함에 따라, 2차적으로 도어를 개폐할 수 있다.
디스크부(800)는 실린더(753)의 하단부에 위치하는 돌출부재(753b)가 삽입된 상태로 돌출부재(753b)와 디스크부(800)를 탄성 결합시킬 수 있다. 또한, 실린더몸체(753a)가 길이 변화하기 전에 실린더(753)를 상부 또는 하부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를 통해, 플레이트부(300)가 도어의 개폐 방향으로 이동될 때, 실린더(753)의 길이 변화에 따라 플레이트부(300)가 이동되기 전에, 실린더(753)를 길이 변화시키는 힘보다 적은 힘으로 플레이트부(300)를 1차적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디스크(810), 중심축(820) 및 제2 탄성부재(830)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크(810)는 고정몸체(110)에 결합된 상태로, 실린더(753)의 승하강이 가능할 수 있도록, 디스크몸체(811), 샤프트홀(813) 및 가이드슬릿(815)을 포함할 수 있다.
디스크몸체(811)는 고정프레임(100)의 내부에 결합될 수 있다. 또한, 고정프레임(100)의 전방 단부에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디스크몸체(811)의 후방은 한 쌍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즉, 디스크몸체(811)는 'ㄷ'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한 쌍으로 돌출된 디스크몸체(811)의 중심부에는 샤프트홀(813)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샤프트홀(813)에는 원기둥 형상의 중심축(820)이 삽입될 수 있다. 이때, 후방으로 돌출된 디스크몸체(811)는 후방 단부가 부채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부채꼴 형상으로 돌출된 디스크몸체(811)의 후방 단부에는 가이드슬릿(815)이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슬릿(815)은 디스크몸체(811)의 하부에서 상부로 갈수록 곡선을 이루며 형성될 수 있다. 즉, 가이드슬릿(815)은 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실린더(753)의 하단부가 디스크몸체(811)의 중심에 결합되고, 실린더(753)의 양측 방향으로 돌출된 돌출부재(753b)가 가이드슬릿(815)에 끼움결합될 수 있다.
또한, 가이드슬릿(815)으로 삽입된 돌출부재(753b)는 플레이트부(300)가 전방으로 이동될 때, 가이드슬릿(815)을 따라, 돌출부재(753b)는 상방으로 이동될 수 있어, 실린더(753)가 상부로 이동됨으로써, 플레이트부(300)는 전방으로 이동이 가능할 수 있다. 즉, 고정프레임(100)과 수직하는 방향으로 회전 가능할 수 있다.
이때, 가이드슬릿(815)을 따라, 실린더(753)를 이동시킴으로써, 실린더(753)의 길이 변화를 방지하고, 실린더(753)의 하단부가 상방으로 이동함에 따라, 실린더(753)가 회전 가능하게 상부로 이동될 수 있다.
이를 통해, 가이드슬릿(815)을 따라 실린더(753)가 이동할 때, 실린더(753)의 길이 변화를 발생시켜 플레이트부(300)를 이동시키기 위한 힘보다 적은 힘으로 플레이트부(300)를 이동시킬 수 있다. 즉, 실린더(753)가 가이드슬릿(815)을 이동하는 동안 실린더(753)의 길이변화에 따른 힘보다 적은 힘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때, 실린더(753)가 상방으로 이동시 반대 방향으로 탄성력이 가함으로써, 플레이트부(300)의 개폐를 미세하게 억제하여 플레이트부(300)의 개폐가 순간적으로 일어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디스크몸체(811)의 외측면에 제2 탄성부재(830)가 결합될 수 있다.
제2 탄성부재(830)는 원형 단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2 탄성부재(830)는 길이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또한, 제2 탄성부재(830)는 디스크몸체(811)와 실린더(753)를 연결할 수 있도록, 고정탄성체(831), 연장탄성체(832) 및 결합탄성체(833)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고정탄성체(831), 연장탄성체(832) 및 결합탄성체(833)는 한 쌍으로 형성될 수 있어, 양측으로 돌출된 'ㄷ'자 형상의 디스크몸체(811)의 외측면에 결합될 수 있다.
고정탄성체(831)는 일단부가 디스크몸체(811)의 상단부에 결합될 수 있다. 또한, 고정탄성체(831)는 양측으로 돌출된 중심축(820)의 외측면에 밀착되어 중심축(820)을 감싸도록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이때, 고정탄성체(831)는 중심축(820)을 한 바퀴 이상 감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고정탄성체(831)의 타단부에는 연장탄성체(832)의 일단부가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연장탄성체(832)는 고정탄성체(831)의 외주연을 따라 고정탄성체(831)와 이격된 상태로 연장될 수 있다. 이때, 연장탄성체(832)의 타단부는 결합탄성체(833)의 일단부가 연결될 수 있다.
결합탄성체(833)는 실린더(753)가 가이드슬릿(815)에 삽입되어 양측 방향으로 돌출된 돌출부재(753b)의 단부를 감싸면서 고정될 수 있다. 즉, 결합탄성체(833)는 돌출부재(753b)에 결합되어 고정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돌출부재(753b)가 가이드슬릿(815)을 따라 이동시 결합탄성체(833)는 돌출부재(753b)를 따라 이동할 수 있고, 결합탄성체(833)가 이동함에 따라, 결합탄성체(833)와 연결된 연장탄성체(832) 및 고정탄성체(831)도 함께 돌출부재(753b)를 따라, 이동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돌출부재(753b)가 상방으로 이동할 때, 반대 방향으로 탄성력이 작용될 수 있어, 돌출부재(753b)가 가이드슬릿(815)의 상단부로 이동되면, 다시 탄성력에 의해, 다시 하단부로 이동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2 탄성부재(830)는 돌출부재(753b)에 탄성력을 가할 수 있어, 플레이트부(300)가 개방될 때, 탄성력에 의해, 가이드슬릿(815)의 이동 범위에서 순간적으로 개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플레이트부(300)가 폐쇄될 때, 실린더(753)의 길이변화에 따라, 플레이트부(300)가 폐쇄되는 속도를 저감된 상태에서 하부로 당길 수 있어, 플레이트부(300)가 완전 폐쇄됨으로써, 플레이트부(300)와 연결된 도어의 개폐가 용이하고, 제작비용이 절감될 수 있으며, 디스크부(800)가 회전되는 것을 방지한 구조에서 제작 가능하여 디스크의 마모를 방지할 수 있고, 제2 탄성부재(830)만의 교체로도 개폐력을 보완할 수 있어, 도어 결합 장치(1)의 관리 비용이 절감될 수 있다.
이상의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들)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설명된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여야 할 것이다.
1: 도어 결합 장치
100: 고정프레임 300: 플레이트
400: 연결부 500: 결합부
700: 링크부 710: 제1 링크부
730: 제2 링크부 750: 본체부
800: 디스크부 810: 디스크
830: 제2 탄성부재

Claims (6)

  1. 고정프레임과 이격되고, 외측면에 도어가 설치되는 플레이트부를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링크부; 및
    상기 고정프레임에 내부에 고정 설치되고, 상기 링크부 내부에 설치되는 실린더의 단부가 삽입되는 가이드슬릿이 형성되는 디스크몸체를 포함하는 디스크부를 포함하여 상기 실린더가 상기 가이드슬릿을 따라, 일정 반경 회전 가능한 도어 결합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부는 일측 방향으로 힘을 가할 때, 상기 실린더가 상기 가이드슬릿을 따라 이동하여, 상기 플레이트부가 1차적으로 이동하고, 상기 가이드슬릿을 단부에 상기 실린더가 고정되면, 상기 실린더가 유압에 따라, 길이가 변동되어 상기 플레이트부가 2차적으로 이동하는 도어 결합 장치.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크부는,
    상기 디스크몸체의 외측면에 결합되고, 원주 방향으로 연장되어, 일단부가 상기 디스크몸체에 결합되고, 타단부가 상기 실린더의 일단부에 고정되어 상기 실린더가 상기 가이드슬릿을 따라, 이동할 때 연장 또는 축소되어 상기 가이드슬릿을 따라, 이동되는 상기 실린더에 가해지는 힘을 억제 또는 추가하는 제2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도어 결합 장치.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부와 상기 링크부의 사이에 설치되어 복수 개의 연결홀이 형성되어, 복수 개의 링크부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연결부를 더 포함하는 도어 결합 장치.
  5.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부는,
    상기 고정프레임과 상기 플레이트부 사이에 결합되는 본체부;
    일단부가 상기 플레이트부에 결합되고, 내부에 제1 탄성부재가 결합되며, 타단부가 상기 본체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링크부; 및
    일단부가 상기 플레이트부에 결합되고, 타단부가 상기 본체부에 결합되는 제2 링크부를 포함하는 도어 결합 장치.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크몸체는 일측면에 한 쌍으로 돌출 형성되고, 중심부에 샤프트홀이 형성되어 중심축이 삽입되며, 상기 실린더의 일단부에 양측으로 돌출된 돌출부재가 호 형상으로 형성된 상기 가이드슬릿을 따라 이동하여, 상기 실린더를 이동시키는 도어 결합 장치.
KR1020210150274A 2021-11-04 2021-11-04 도어 결합 장치 KR2023006478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50274A KR20230064789A (ko) 2021-11-04 2021-11-04 도어 결합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50274A KR20230064789A (ko) 2021-11-04 2021-11-04 도어 결합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64789A true KR20230064789A (ko) 2023-05-11

Family

ID=863791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50274A KR20230064789A (ko) 2021-11-04 2021-11-04 도어 결합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64789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601367B1 (en) Adjustable torque hinge
JP6449906B2 (ja) 扉および扉板などの回転動作のためのヒンジ
US7575510B2 (en) Vehicle air-vent
US20130227814A1 (en) Door closer, particularly for glass doors
JP2010161796A (ja) スライド型携帯電話用のスライダー組立体及びスライド型携帯電話
EP2174424A2 (en) Actuator and spring used therefor
US11412807B2 (en) Chin guard positioning assembly and helmet having the same
EP3867475B1 (en) Hinge for the controlled rotary movement of a door, a door leaf or similar
KR20230064789A (ko) 도어 결합 장치
CN107965223B (zh) 一种缓冲铰链装置
CN103061629A (zh) 三维可调合页
KR102066179B1 (ko) 미디어 재생 장치 및 셔터 기구
KR102616278B1 (ko) 도어 결합 장치
US20040020011A1 (en) Bi-directional hinge
US11781359B2 (en) Small bulkiness hinge
EP2778579B1 (en) Improved assembly for a closable compartment
US10344511B2 (en) Hinge damper
KR101207763B1 (ko) 도어클로저
US10563443B1 (en) Door hinge
CN101356341A (zh) 带有用于笼形段的导承分支的轴向活塞机
CN208686243U (zh) 一种缓冲铰链装置
BE1018012A3 (nl) Inrichting voor het verdraaien van een klepblad van een brandwerende ventilatieklep.
US20210172231A1 (en) Safety device for sliding door
KR20210000582A (ko) 손가락 끼임 방지 커버
CN208024159U (zh) 一种缓冲铰链的缓冲机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