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64678A - 차량용 트레이 - Google Patents

차량용 트레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64678A
KR20230064678A KR1020210149732A KR20210149732A KR20230064678A KR 20230064678 A KR20230064678 A KR 20230064678A KR 1020210149732 A KR1020210149732 A KR 1020210149732A KR 20210149732 A KR20210149732 A KR 20210149732A KR 20230064678 A KR20230064678 A KR 2023006467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y
sterilization module
vehicle
sterilization
upper tr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497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67951B1 (ko
Inventor
박원대
Original Assignee
에코플라스틱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코플라스틱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코플라스틱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1497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67951B1/ko
Publication of KR202300646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646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679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679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3/00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 B60Q3/60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characterised by optical aspects
    • B60Q3/68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characterised by optical aspects using ultraviolet ligh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16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9/18Radiation
    • A61L9/20Ultraviolet radi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01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tables or trays
    • B60N3/002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tables or trays of tr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7/00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 B60R7/04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in driver or passenger space, e.g. using ra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0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 B60R2011/0003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inside the vehicle
    • B60R2011/0007Mid-conso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4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 B60R2011/008Adjustable or movable supports
    • B60R2011/0084Adjustable or movable supports with adjustment by linear movement in their operational pos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30Sensors
    • B60Y2400/301Sensors for position or displac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Transportation (AREA)
  • Vehicle Step Arrangements And Article Stor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트레이에 관한 것으로, 콘솔바디에서 슬라이딩하며 일 측방으로 삽입 또는 인출되고 상부면이 개방된 로어트레이, 로어트레이의 상부면의 적어도 일부를 덮고 콘솔바디에서 슬라이딩하며 일 측방으로 삽입 또는 인출되는 어퍼트레이, 어퍼트레이에 배치되고 로어트레이의 내부로 살균광을 조사하는 살균모듈을 포함하고, 살균모듈은 어퍼트레이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는 제1살균모듈 및 어퍼트레이에 고정되는 제2살균모듈로 구분되는 바, 필요에 따라 차량용 트레이 내부에 수납된 물건을 살균하거나 차량용 트레이 외부의 영역을 살균 소독할 수 있는 차량용 트레이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차량용 트레이 {Tray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트레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콘솔박스에 배치되고, 물건을 수납할 수 있는 차량용 트레이에 관한 것이다.
콘솔박스(Console box)는 차량의 운전석과 조수석 사이에 설치되는 박스 모양의 수납공간이다. 콘솔박스는 내부에 기어박스를 수납하거나, 물품들을 수납하거나, 다양한 조작버튼을 구비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콘솔박스에는 각종 소지품을 수납할 수 있는 다양한 종류의 트레이가 구비된다.
이러한 트레이는 배치되는 위치와 여유공간에 따라 다양한 크기로 설계될 수 있다.
트레이는 커버가 열리는 방식에 따라, 여닫이 방식과 슬라이딩 방식을 포함하며, 본 발명에 따른 트레이 커버는 슬라이딩 방식을 전제로 한다.
선행문헌으로 한국등록특허 제10-1517694호를 제시한다. 선행문헌은 자외선 살균 기능이 구비된 차량의 휴대폰 무선충전기용 트레이에 관한 것이다. 선행문헌은 휴대폰 무선충전용 트레이에 휴대폰 살균기능을 부가하여 휴대폰의 무선충전 시 자외선 살균소독이 함께 되도록 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키고, 협소한 차량의 실내 공간에서 설치공간을 확보하기가 용이한 자외선 살균 기능을 구비함을 목적을 한다.
선행문헌에 따르면, 자외선살균부는 하우징의 양 측벽에 설치되고, 하우징의 살균부설치홀에서 탈착 조립될 수 있다.
하지만, 선행문헌에 따르면 자외선살균부는 트레이에 올려진 휴대폰에 살균광을 조사하여 휴대폰을 살균할 뿐이고, 휴대폰 외 수납된 다양한 물건들을 살균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선행문헌에 따른 자외선 살균부는 살균부 설치홀에 장착되어야만 살균을 수행할 수 있고, 살균부 설치홀에서 탈착된 경우에는 살균을 수행할 수 없다는 문제점도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1517694호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전술한 선행기술이 갖는 문제점을 해결하는 차량용 트레이를 제공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차량용 트레이에서 장탈착될 수 있는 포터블 살균모듈을 구비하여, 필요에 따라 차량용 트레이 내부에 수납된 물건을 살균하거나 차량용 트레이 외부의 영역을 살균 소독할 수 있는 차량용 트레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차량용 트레이를 용이하게 인출하고, 차량용 트레이의 인출 여부에 따라 살균모듈을 선택적으로 작동할 수 있는 차량용 트레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트레이는, 콘솔바디에서 슬라이딩하며 일 측방으로 삽입 또는 인출되고 상부면이 개방된 로어트레이, 로어트레이의 상부면의 적어도 일부를 덮고 콘솔바디에서 슬라이딩하며 일 측방으로 삽입 또는 인출되는 어퍼트레이, 어퍼트레이에 배치되고 로어트레이의 내부로 살균광을 조사하는 살균모듈을 포함한다.
살균모듈은, 어퍼트레이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는 제1살균모듈, 어퍼트레이에 고정되는 제2살균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어퍼트레이가 삽입되는 방향을 전방이라고 가정할 때, 제1살균모듈은 제2살균모듈의 후방에 배치될 수 있다.
로어트레이를 제1방향으로 가압하면 로어트레이만 인출되며 어퍼트레이는 정지되고, 로어트레이를 제1방향과 상이한 제2방향으로 가압하면 어퍼트레이와 로어트레이가 동시에 인출될 수 있다.
차량용 트레이는, 일 측이 콘솔바디에 연결되고 타 측이어퍼트레이에 연결되는 탄성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차량용 트레이는, 로어트레이에 배치된 감지부재, 어퍼트레이에 배치되고 감지부재의 위치를 감지하는 근접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차량용 트레이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하나 혹은 그 이상 있다.
첫째, 살균모듈은 어퍼트레이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는 제1살균모듈 및 어퍼트레이에 고정되는 제2살균모듈을 포함하는 바, 제1살균모듈은 포터블 살균모듈로서, 필요에 따라 차량용 트레이 내부에 수납된 물건을 살균하거나 차량용 트레이 외부의 영역을 살균 소독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둘째, 로어트레이에 감지부재가 배치되고 어퍼트레이에 배치된 근접센서가 감지부재를 감지하는 바, 차량용 트레이 인출시 로어트레이와 어퍼트레이 사이의 상대적인 위치를 파악함으로써 제1살균모듈 또는 제2살균모듈을 선택적으로 작동하여, 로어트레이 내부공간에만 살균광을 조사하고 로어트레이 외부에 살균광을 조사하지 않는 장점도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콘솔박스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콘솔바디 일부 및 콘솔바디에 결합된 차량용 트레이를 도시한 도,
도 3은 도 2에서 로어트레이만 인출된 상태를 도시한 도,
도 4는 도 2에서 로어트레이 및 어퍼트레이가 모두 인출된 상태를 도시한 도,
도 5는 도 2에서 콘솔바디의 상부면을 제거하여 차량용 트레이의 내부구성을 도시한 도,
도 6은 도 5에서 로어트레이만 인출된 상태를 도시한 도,
도 7은 도 5에서 로어트레이 및 어퍼트레이가 모두 인출된 상태를 도시한 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트레이의 분해도,
도 9는 콘솔바디 일부 및 차량용 트레이의 평면도,
도 10은 도 9에서 A부분의 단면도,
도 11은 도 10에서 차량용 트레이가 콘솔바디로부터 인출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12은 도 9에서 B부분의 단면도,
도 13은 도 12에서 차량용 트레이가 콘솔바디로부터 인출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14는 도 9에서 C부분의 단면도 중 탄성부재 부분을 확대한 도,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어퍼트레이의 사시도,
도 16은 도 15의 어퍼트레이를 하부에서 바라본 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여 차량용 트레이(200)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트레이(200)의 방향을 정의한다. 차량용 트레이(200)가 배치되는 콘솔바디(100)의 면을 후면이라고 정의한다. 이를 기준으로, 차량용 트레이(200)가 콘솔박스에 삽입되는 방향은 전방이고, 차량용 트레이(200)가 콘솔박스로부터 인출되는 방향이 후방이다. 콘솔바디(100)를 기준으로 위쪽이 상방, 아래쪽이 하방이라고 정의한다. 전방/후방/상방/하방을 기준으로, 좌측방과 우측방이 정의된다.
종축은 차량용 트레이(200)를 좌측부와 우측부로 균일하게 구획하는 가상의 선으로, 차량용 트레이(200)의 삽입/인출 방향과 평행하게 배치된다. 횡축은 차량용 트레이(200)를 전반부와 후반부로 균일하게 구획하는 가상의 선으로, 차량용 트레이(200)의 삽입/인출 방향과 수직하게 배치된다.
콘솔박스(Console box)는 차량의 운전석과 조수석 사이에 설치되는 박스 모양의 수납장치이다. 콘솔박스는 내부에 기어박스를 수납하거나, 물품들을 수납하거나, 다양한 조작버튼을 구비할 수 있다.
콘솔박스는 차량에 설치된다. 콘솔박스는 차량에 고정되나, 이에 한하지 않고 슬라이딩이나 회전 등 이동될 수도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콘솔박스는 차량의 운전석과 조수석 사이의 공간에 배치되는 것을 전제로 한다. 하지만 이에 한하지 않고, 콘솔박스는 다른 위치에 배치될 수도 있다.
콘솔바디(100)는 콘솔바디(100)의 외형을 형성하는 구성요소이다. 콘솔바디(100)는 내부에 여러가지 구성요소들을 수납할 수 있는 내부공간을 형성한다.
도 1을 참조하면, 콘솔바디(100)는 육면체에 유사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달리, 콘솔바디(100)는 다른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콘솔바디(100)의 상부면은 탑승자가 팔을 지지하는 암레스트를 구성할 수 있다. 암레스트는 콘솔바디(100)와 별개로 형성되어 콘솔바디(100)에 장착될 수도 있고, 콘솔바디(100)의 상부면이 곧바로 암레스트의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콘솔바디(100)는 플러그(221)가 결합되는 플러그 수용부(121)를 포함한다. 플러그 수용부(121)는 플러그(221)의 돌기에 매칭되는 홈이 형성되어, 플러그(221)의 적어도 일부가 삽입되며 결합될 수 있다.
플러그(221)가 플러그 수용부(121)에 결합된 때, 전류는 플러그 수용부(121)와 플러그(221)를 통해 어퍼트레이(220)로 흐른다.
플러그 수용부(121)에는 플러그 고정핀(1211)이 배치된다. 플러그 고정핀(1211)은 플러그(221)가 플러그 수용부(121)에 삽입된 때 플러그(221)를 가압하여 고정한다. 플러그 고정핀(1211)은 플러그(221)의 양 단에 배치되어, 플러그(221)를 가압할 수 있다.
로어트레이(210)는 콘솔바디(100)에 배치되고, 물건을 수납하는 구성요소이다. 로어트레이(210)는 콘솔바디(100)에서 슬라이딩하며 일 측방으로 삽입 또는 인출되고, 상부면이 개방된다.
로어트레이(210)는 육면체에 유사한 형상으로 형성된다. 로어트레이(210)는 상부면이 개방되어, 상부면을 통해 물건을 수납할 수 있다.
로어트레이에(210)는 레일이 형성된다. 로어트레이(210)의 레일은 전방과 후방으로 연장되며, 로어트레이(210)를 전방 및 후방으로 슬라이딩 이동시킨다.
로어트레이(210)의 레일은 콘솔바디(100)에 연결된다.
로어트레이(210)에 핸들(211)이 배치될 수 있다. 핸들(211)은 로어트레이(210)의 후면에 배치된다. 핸들(211)은 로어트레이(210)가 콘솔바디(100)에 삽입된 때 외부로 노출된다. 사용자는 핸들(211)을 후방으로 당겨 로어트레이(210)를 콘솔바디(100)로부터 인출할 수 있다.
로어트레이(210)에 수납된 물건들은 살균모듈에서 조사된 살균광에 의해 살균 소독될 수 있다.
어퍼트레이(220)는 콘솔바디(100)에 배치되고, 살균모듈을 수납하는 구성요소이다. 어퍼트레이(220)는 로어트레이(210)의 상부면의 적어도 일부를 덮고, 콘솔바디(100)에서 슬라이딩하며 일 측방으로 삽입 또는 인출된다.
어퍼트레이(220)는 상부면이 개방된 육면체에 유사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살균모듈은 어퍼트레이(220)의 상부에서 삽입되어 장착될 수 있다.
어퍼트레이(220)는 좌우로 연장되고 내부공간을 전후로 구획하는 격벽(226)을 포함할 수 있다. 격벽(226)의 전방에는 제2살균모듈(240)이 배치되고, 격벽(226)의 후방에는 제1살균모듈(230)이 배치된다.
어퍼트레이(220)에 플러그(221)가 배치될 수 있다. 플러그(221)는 어퍼트레이(220)에 배치된 살균모듈에 전력을 공급하는 구성요소이다.
플러그(221)는 콘솔바디(100)에 배치된 플러그 수용부(121)에 삽입됨으로써, 플러그 수용부(121)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플러그(221)가 플러그 수용부(121)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면, 전류가 흐르면서 어퍼트레이(220)에 수납된 모듈들에 전력을 공급한다.
플러그(221)는 후방으로 돌출된 돌기를 포함한다. 상기 돌기는 복수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돌기는 측방으로 2개가 돌출될 수 있다.
어퍼트레이(220)에는 PCB(271)가 배치될 수 있다. PCB(271)는 플러그(221)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PCB(271)에는 전달된 전력을 변경하여 각 구성요소에 전달하는 제어부가 배치될 수 있다. 전력의 변경이라 함은, 전압의 크기를 변경하거나, 전류의 세기를 변경하거나, 펄스 파형을 형성하는 등 여러가지 방식을 포함한다.
PCB(271)는 살균모듈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살균모듈에 전력이 공급될 수 있다.
PCB(271)는 센서부(25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센서부(250)에 전력이 공급될 수 있다.
어퍼트레이(220)에 체결부(222)가 배치될수 있다. 체결부(222)는 어퍼트레이(220)를 콘솔바디(100)에 고정하는 구성요소이다. 구체적으로, 체결부(222)는 어퍼트레이(220)를 콘솔바디(100)에 고정하거나, 고정을 해제한다.
체결부(222)는 어퍼트레이(220)와 콘솔바디(100) 사이에 배치된다. 체결부(222)는 어퍼트레이(220)의 전면에 배치될 수 있다. 체결부(222)는 종축 상에 배치된다.
체결부(222)는 푸시됨으로써 고정 또는 해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어퍼트레이(220)가 전방으로 홀수회 푸시되는 경우 체결부(222)는 어퍼트레이(220)를 콘솔바디(100)에 고정하고, 어퍼트레이(220)가 전방으로 한번 더 푸시되는 경우 체결부(222)는 어퍼트레이(220)를 콘솔바디(100)로부터 고정 해제한다.
체결부는 콘솔바디(100)에 고정된 후크(222)와, 어퍼트레이(220)에 고정된 후크홈(222')으로 구성될 수 있다.
어퍼트레이(220)에 제1살균모듈 고정부재(223)가 배치될 수 있다. 제1살균모듈 고정부재(223)는 제1살균모듈(230)을 어퍼트레이(220)에 고정하는 구성요소이다.
제1살균모듈 고정부재(223)는 자석일 수 있다. 이때, 제1살균모듈(230)은 강자성의 성질을 갖는 구성을 포함하여, 자력에 의해 어퍼트레이(220)에 고정될 수 있다.
또는, 제1살균모듈 고정부재(223)는 체결부(222)를 포함하여, 어퍼트레이(220)에 기계적으로 체결될 수도 있다.
어퍼트레이(220)에 제1살균광 조사부(224)가 형성될 수 있다. 제1살균광 조사부(224)는 제1살균광을 투과하는 구성요소이다.
제1살균광 조사부(224)는 어퍼트레이(220)의 하부면을 관통하는 홀일 수 있다.
제1살균광 조사부(224)는 제1살균모듈(230)의 하부에 배치되고, 제1살균모듈(230)에서 조사되는 광의 단면 형상에 따라 형성된다.
제1살균광 조사부(224)는 전후 방향 길이가 좌우 방향 폭보다 긴 슬릿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어퍼트레이(220)에 제2살균광 조사부(225)가 형성될 수 있다. 제2살균광 조사부(225)는 제2살균광을 투과하는 구성요소이다.
제2살균광 조사부(225)는 어퍼트레이(220)의 하부면을 관통하는 홀일 수 있다.
제2살균광 조사부(225)는 제2살균모듈(240)의 하부에 배치되고, 제2살균모듈(240)에서 조사되는 광의 단면 형상에 따라 형성된다.
제2살균광 조사부(225)는 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2살균광 조사부(225)는 복수개가 좌우로 나란히 배치될 수 있다.
제1살균광 조사부(224)와 제2살균광 조사부(225)는 상부에서 볼 때 후방이 개구된 U-형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살균광이 어퍼트레이(220)와 콘솔바디(100) 사이의 틈새로 산란되는 것을 최소로 할 수 있다.
살균모듈(230,240)은 살균광을 조사하여 소독하는 구성요소이다. 살균모듈은 어퍼트레이(220)에 배치된다.
살균모듈은 살균광을 조사한다. 살균광은 영역 내의 미생물이나 세균 등을 사멸시키는 광으로, UV(Ultra Violet)광일 수 있다. 살균광은 이미 공지된 파장 및 세기의 광으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살균모듈은 제1살균모듈(230) 및 제2살균모듈(240)로 구성될 수 있다.
제1살균모듈(230)은 어퍼트레이(220)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된다. 사용자는 제1살균모듈(230)을 파지하여 콘솔박스의 외부 다른 영역을 살균 소독할 수 있다.
제1살균모듈(230)은 살균광을 하부로 조사한다. 제1살균모듈(230)에서 조사된 살균광은 제1살균광 조사부(224)를 통과하여 로어트레이(210) 내부로 확산된다.
제1살균모듈(230)은 핸들(231)을 포함한다. 제1살균모듈의 핸들(231)은 사용자가 파지하여 제1살균모듈(230)을 운반하는데 이용된다. 제1살균모듈의 핸들(231)은 제1살균모듈(230)의 상부면에 배치된다.
제2살균모듈(240)은 어퍼트레이(220)에 고정된다. 제1살균모듈(230)이 탈착 가능한 것과는 달리, 제2살균모듈(240)은 탈착이 불가능하다. 예를 들어, 제2살균모듈(240)은 어퍼트레이(220)에 나사로 체결될 수 있다.
제2살균모듈(240)은 살균광을 하부로 조사한다. 제2살균모듈(240)에서 조사된 살균광은 제2살균광 조사부(225)를 통과하여 로어트레이(210) 내부로 확산된다.
어퍼트레이(220)가 삽입되는 방향을 전방이라고 가정할 때, 제1살균모듈(230)은 제2살균모듈(240)의 후방에 배치된다. 이러한 배치를 가짐으로써, 어퍼트레이(220)가 일부만 인출된 때 제1살균모듈(230)이 용이하게 탈착될 수 있다.
로어트레이(210)만 인출된 경우, 살균모듈은 선택적으로 작동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로어트레이(210)가 일부만 인출된 경우, 로어트레이(210)와 상하로 중첩된 제1살균모듈(230)만 작동하고, 로어트레이(210)와 상하로 중첩되지 않은 제2살균모듈(240)은 정지되어, 외부로 살균광이 산란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는, 로어트레이(210)가 어퍼트레이(220)의 격벽(226) 하부까지만 일부 인출된 경우 제1살균모듈(230)만 작동하고, 로어트레이(210)가 전부 인출된 경우 제1살균모듈(230) 및 제2살균모듈(240)이 모두 작동 정지될 수 있다. 또는, 로어트레이(210)가 전부 인출된 경우, 제1살균모듈(230) 및 제2살균모듈(240)이 전부 작동 정지될 수도 있다.
로어트레이(210)를 제1방향으로 가압하면 로어트레이(210)만 인출되며 어퍼트레이(220)는 정지되고, 로어트레이(210)를 제1방향과 상이한 제2방향으로 가압하면, 어퍼트레이(220)와 로어트레이(210)가 동시에 인출된다. 예를 들어, 제1방향은 후방이고, 제2방향은 전방일 수 있다.
어퍼트레이(220)가 전방으로 짝수회 이동하면, 탄성부재(260)의 복원력으로 인해 후방으로 인출된다. 이를 기초로, 로어트레이(210)의 핸들(211)을 조작한 후 로어트레이(210)를 전방으로 이동시키면, 탄성부재(260)의 복원력으로 인해 어퍼트레이(220) 및 로어트레이(210)가 후방으로 인출된다. 이와 반대로, 로어트레이(210)의 핸들(211)을 조작한 후 로어트레이(210)를 후방으로 이동시키면, 로어트레이(210)만이 인출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어퍼트레이(220)와 로어트레이(210)를 동시에 인출시키거나 혹은 로어트레이(210)만을 인출시키는 것을 선택할 수 있다.
차량용 트레이(200)는 탄성부재(260)를 포함한다. 탄성부재(260)는 어퍼트레이(220)에 탄성력을 인가하는 구성요소이다. 탄성부재(260)는 일 측이 콘솔바디(100)에 연결되고, 타 측이 어퍼트레이(220)에 연결된다.
탄성부재(260)는 토션스프링일 수 있다. 이때, 토션스프링의 중심축 및 일 단은 콘솔바디(100)에 배치되고, 타 단은 어퍼트레이(220)에 배치될 수 있다.
탄성부재(260)는 어퍼트레이(220)가 인출되는 방향으로 복원력을 인가한다. 어퍼트레이(220)가 콘솔바디(100)에 홀수회 삽입되면, 체결부(222)에 의한 고정이 수행되어, 어퍼트레이(220)가 콘솔바디(100)로부터 인출되지 않는다. 삽입된 어퍼트레이(220)에 압력이 가해져 한번 더 삽입되면, 체결부(222)에 의한 고정이 해제되고, 탄성부재(260)로부터 인가되는 복원력의 크기가 더욱 커짐으로써, 어퍼트레이(220)가 콘솔바디(100)로부터 인출될 수 있다.
차량용 트레이(200)는 센서부(250)를 포함한다. 센서부(250)는 로어트레이(210)와 어퍼트레이(220) 사이의 상대적 위치를 측정하는 구성요소이다.
구체적으로, 센서부(250)는 어퍼트레이(220)가 이동하지 않고 로어트레이(210)만 이동하는 것을 감지하여 다른 형태의 신호를 발한다. 이는 로어트레이(210)와 어퍼트레이(220)가 모두 삽입된 때, 또는 로어트레이(210)와 어퍼트레이(220)가 모두 인출된 때 발신되는 신호와 상이하다.
센서부(250)는 근접센서(251) 및 감지부재(252)로 구성될 수 있다.
근접센서(251)는 어퍼트레이(220)에 배치되고, 감지부재(252)의 위치를 감지한다.
근접센서(251)는 PCB(271)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공급된 전력에 의해 작동된다.
감지부재(252)는 로어트레이(210)에 배치된다.
감지부재(252)는 근접센서(251)와 상하로 중첩되게 배치된다. 로어트레이(210)만 인출되는 경우, 로어부재에 고정된 감지부재(252)가 후방으로 이동하고, 근접센서(251)는 이를 감지하여 로어트레이(210)의 인출을 판단한다.
PCB(271)에 배치된 제어부는, 감지부재(252)로부터 신호를 수신한 경우, 제2살균모듈(240)을 작동하거나 정지하여, 제2살균모듈(240)에서 조사된 살균광이 외부로 확산되는 것을 차단한다. 또는, 근접센서(251)와 감지부재(252) 사이의 거리에 따라 제2살균모듈(240) 및 제1살균모듈(230)이 단계적으로 작동 또는 정지될 수 있다.
센서부(250)는 종축을 중심으로 플러그(221)의 반대 방향에 배치될 수 있다. 플러그(221)에는 전기적 연결 및 해제에 의하여 전자파가 발생될 수 있으며, 발생된 전자파가 센서부(250)를 오작동시킬 수 있으므로, 센서부(250)와 플러그(221)는 반대 방향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100: 콘솔바디
121: 플러그 수용부 1211: 플러그 고정핀
200: 차량용 트레이
210: 로어트레이 211: 핸들
220: 어퍼트레이 221: 플러그
222: 체결부 223: 제1살균모듈 고정부재
224: 제1살균광 조사부 225: 제2살균광 조사부
226: 격벽
230: 제1살균모듈 231: 핸들
240: 제2살균모듈
250: 센서부 251: 근접센서
252: 감지부재
260: 탄성부재

Claims (6)

  1. 콘솔바디에서 슬라이딩하며 일 측방으로 삽입 또는 인출되고, 상부면이 개방된 로어트레이;
    상기 로어트레이의 상부면의 적어도 일부를 덮고, 상기 콘솔바디에서 슬라이딩하며 일 측방으로 삽입 또는 인출되는 어퍼트레이;
    상기 어퍼트레이에 배치되고, 상기 로어트레이의 내부로 살균광을 조사하는 살균모듈;을 포함하는 차량용 트레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살균모듈은,
    상기 어퍼트레이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는 제1살균모듈;
    상기 어퍼트레이에 고정되는 제2살균모듈;을 포함하는 차량용 트레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어퍼트레이가 삽입되는 방향을 전방이라고 가정할 때,
    상기 제1살균모듈은 상기 제2살균모듈의 후방에 배치되는 차량용 트레이.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로어트레이를 제1방향으로 가압하면,
    상기 로어트레이만 인출되며 상기 어퍼트레이는 정지되고,
    상기 로어트레이를 상기 제1방향과 상이한 제2방향으로 가압하면,
    상기 어퍼트레이와 상기 로어트레이가 동시에 인출되는 차량용 트레이.
  5. 제1항에 있어서,
    일 측이 상기 콘솔바디에 연결되고,
    타 측이 상기 어퍼트레이에 연결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차량용 트레이.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로어트레이에 배치된 감지부재;
    상기 어퍼트레이에 배치되고, 상기 감지부재의 위치를 감지하는 근접센서;를 포함하는 차량용 트레이.
KR1020210149732A 2021-11-03 2021-11-03 차량용 트레이 KR1025679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49732A KR102567951B1 (ko) 2021-11-03 2021-11-03 차량용 트레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49732A KR102567951B1 (ko) 2021-11-03 2021-11-03 차량용 트레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64678A true KR20230064678A (ko) 2023-05-11
KR102567951B1 KR102567951B1 (ko) 2023-08-21

Family

ID=863790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49732A KR102567951B1 (ko) 2021-11-03 2021-11-03 차량용 트레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67951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06725U (ko) * 1998-09-21 2000-04-25 홍종만 자동차용 트레이 장치
KR101292504B1 (ko) * 2012-02-29 2013-08-01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자동차용 멀티 트레이
KR20140069933A (ko) * 2012-11-30 2014-06-10 한일이화주식회사 차량용 시트 수납식 건조 장치
KR101517694B1 (ko) 2013-10-31 2015-05-04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자외선 살균 기능이 구비된 차량의 휴대폰 무선충전기용 트레이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06725U (ko) * 1998-09-21 2000-04-25 홍종만 자동차용 트레이 장치
KR101292504B1 (ko) * 2012-02-29 2013-08-01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자동차용 멀티 트레이
KR20140069933A (ko) * 2012-11-30 2014-06-10 한일이화주식회사 차량용 시트 수납식 건조 장치
KR101517694B1 (ko) 2013-10-31 2015-05-04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자외선 살균 기능이 구비된 차량의 휴대폰 무선충전기용 트레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67951B1 (ko) 2023-08-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339576B2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sanitizer
JP2010000344A (ja) デスクトップ型書物消毒器
KR102329963B1 (ko) Uv살균기
US20220249718A1 (en) Compact Ultraviolet Light Source Apparatus
JP2016002458A (ja) 計数器収納型紙幣消毒器
KR20200002082A (ko) Uv led를 이용한 밀폐용기 자외선살균기
KR102567951B1 (ko) 차량용 트레이
KR20230064679A (ko) 차량용 트레이
JP2009172055A (ja) 内視鏡洗浄消毒装置
JP2012019878A (ja) 什器システム
KR20220040787A (ko) 차량 내부의 물건 소독시스템
KR20150055964A (ko) 살균 및 소독 기능을 구비한 자동차 트렁크용 수납함 어셈블리
KR20090000057U (ko) 서랍형 살균장치
KR20220000488A (ko) 살균 기능을 구비한 휴대폰 충전기
CN212560803U (zh) 一种紫外线消毒装置及洗衣机
KR20090004186U (ko) 의료기구용 소독장치
CN111441149A (zh) 一种紫外线消毒装置、方法及洗衣机
CN114533910A (zh) 用于机动车的消毒装置及具有至少一个消毒装置的机动车
KR102390150B1 (ko) 살균 가방
KR20100006001A (ko) 도마와 일체로 형성된 살균용 도마 보관 장치
KR200423917Y1 (ko) 주방용 칼 살균 보관기구
JP3229789U (ja) 収納什器
KR200475451Y1 (ko) 음향기기 렉 캐리어용 마이크 수납케이스
KR102330447B1 (ko) 살균광장치가 구비된 휴대폰케이스
CN211301316U (zh) 一种灭菌臭氧机用抽拉式托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