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63734A - 스트랭스 미터를 이용한 콘크리트 초기 재령 압축강도 추정 방법 - Google Patents

스트랭스 미터를 이용한 콘크리트 초기 재령 압축강도 추정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63734A
KR20230063734A KR1020210149110A KR20210149110A KR20230063734A KR 20230063734 A KR20230063734 A KR 20230063734A KR 1020210149110 A KR1020210149110 A KR 1020210149110A KR 20210149110 A KR20210149110 A KR 20210149110A KR 20230063734 A KR20230063734 A KR 202300637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crete
strength
compressive strength
surface hardness
me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491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61287B1 (ko
Inventor
한수환
임군수
현승용
한준희
최석
정병래
이율구
Original Assignee
(주)대성씨엠건축사사무소
주식회사 유탑엔지니어링
주식회사 유탑건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대성씨엠건축사사무소, 주식회사 유탑엔지니어링, 주식회사 유탑건설 filed Critical (주)대성씨엠건축사사무소
Priority to KR10202101491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61287B1/ko
Publication of KR202300637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637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612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612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0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 G01N3/40Investigating hardness or rebound hardness
    • G01N3/42Investigating hardness or rebound hardness by performing impressions under a steady load by indentors, e.g. sphere, pyramid
    • G01N3/46Investigating hardness or rebound hardness by performing impressions under a steady load by indentors, e.g. sphere, pyramid the indentors performing a scratching movemen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0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 G01N3/08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by applying steady tensile or compressive forc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38Concrete; ceramics; glass; bricks
    • G01N33/383Concrete, cemen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203/0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 G01N2203/0014Type of force applied
    • G01N2203/0016Tensile or compressive
    • G01N2203/0019Compressiv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203/0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 G01N2203/0058Kind of property studied
    • G01N2203/0076Hardness, compressibility or resistance to crush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203/0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 G01N2203/02Details not specific for a particular testing method
    • G01N2203/026Specifications of the specimen
    • G01N2203/0298Manufacturing or preparing specimens

Abstract

본 발명은 콘크리트 시료를 제작하는 시료 제작 단계, 상기 콘크리트 시료의 시간대별 압축강도를 측정하는 압축강도 측정 단계, 상기 콘크리트 시료의 시간대별 표면경도를 스트랭스 미터를 이용하여 측정하는 표면경도 측정 단계 및 상기 시간대별 압축강도와 시간대별 표면경도를 비교하여 표면경도에 따른 압축강도 추정값을 도출하는 추정값 도출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스트랭스 미터는, 상기 스트랭스 미터의 하부에 원기둥 형상으로 구비되어 상기 콘크리트 시료에 접촉되는 추정침을 포함하며, 상기 추정값 도출 단계에서 이용하는 상기 시간대별 표면경도는 지름이 1.00mm 이상 2.00mm 이하인 추정침을 이용하여 측정한 표면경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스트랭스 미터를 이용한 콘크리트 초기 재령 압축강도 추정 방법 {METHOD OF ESTIMATING THE COMPRESSION STRENGTH AT EARLY AGE OF HARDENED CONCRETE USING STRENGTH METER}
본 발명은 콘크리트 초기 재령 압축강도를 추정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콘크리트 표면 경도 측정기를 변형시킨 스트랭스 미터를 이용하여 콘크리트의 초기 재령 압축강도를 추정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거푸집 및 지보공은 콘크리트가 자체의 자중 및 시공 중에 가해지는 하중을 충분히 받을 수 있는 필요한 강도에 달할 때까지 존치하는 것이 원칙이다. 그 시기는 시멘트의 종류, 콘크리트 배합, 기온, 보양상태, 부재가 받는 하중조건, 부재의 위치 및 크기에 따라 다르다. 만약 설계기준강도에 이르기 전에 해체하면 구조물에는 유해한 균열이나 위험한 변형이 발생할 수 있다.
특히 오랜기간을 필요로 하는 보, 슬래브 밑면 거푸집을 조기에 제거하면 그 즉시 콘크리트에 휨응력이 생기며, 콘크리트가 완전히 굳지 않았을 때 거푸집이 침하하면 콘크리트도 함께 쳐서 내부에 불연속면이 생길 가능성이 있다.
거푸집의 해체에 대한 규정은 표준시방서 KCS 21 50 05 거푸집 및 동바리공사 일반사항에 규정되어 있는데, 기초, 벽, 기둥 및 보의 측면거푸집은 24시간 이상 양생한 후에 압축강도가 5MPa 이상 도달할 때 해체할 수 있다. 압축강도를 확인하지 않을 때는 평균기온이 20℃ 이상일 때 4일, 20℃ 미만 10℃ 이상에서 보통 시멘트 콘크리트의 경우 존치기간을 6일로 규정하고 있다. 그러나 ACI(American Concrete Institute)에서는 10℃ 이상에서 타설 후 12시간이면 해체할 수 있도록 규정하고 있다. 실제 6일간 존치하는 건설 현장은 거의 없다.
또한, 동절기 시공되는 한중 콘크리트 공사에서는 콘크리트가 동결됨에 따라 구조체 콘크리트의 품질에 중대한 문제로 발생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피해를 초기동해라 하는데 즉, 콘크리트를 부어넣은 후부터 경화의 초기단계에 있어 동결 또는 수회의 동결융해 반복에 따라 강도저하, 파손, 균열을 일으키는 피해로 정의되고 있다. 이와 같은 콘크리트의 초기동해를 방지하기 위한 압축강도를 5MPa로 규정하고 있으므로 보통 5MPa이 도달될 때까지는 보온양생을 실시해야 한다.
따라서 실구조체가 필요한 강도에 도달하였는지를 간편하게 확인하는 방법이 필요하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1-0039225호 (명칭: 콘크리트 구조물의 재령계수 결정방법 및 재령계수를 고려한 강도 추정 방법, 공개일: 2001.05.15.)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콘크리트의 거푸집 해체 시기 판정을 위한 콘크리트의 초기 재령 압축강도를 스트랭스 미터를 이용하여 스트랭스 미터의 경도 값과 압축강도 시험 값을 비교하고 콘크리트의 초기 재령 압축강도를 추정함으로써 건축공사 현장에서 신뢰성이 높고 정량적인 초기 재령 압축강도 추정 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트랭스 미터를 이용한 콘크리트 초기 재령 압축강도 추정 방법은 콘크리트 시료를 제작하는 시료 제작 단계, 상기 콘크리트 시료의 시간대별 압축강도를 측정하는 압축강도 측정 단계, 상기 콘크리트 시료의 시간대별 표면경도를 스트랭스 미터를 이용하여 측정하는 표면경도 측정 단계 및 상기 시간대별 압축강도와 시간대별 표면경도를 비교하여 표면경도에 따른 압축강도 추정값을 도출하는 추정값 도출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스트랭스 미터는, 상기 스트랭스 미터의 하부에 원기둥 형상으로 구비되어 상기 콘크리트 시료에 접촉되는 추정침을 포함하며, 상기 추정값 도출 단계에서 이용하는 상기 시간대별 표면경도는 지름이 1.00mm 이상 2.00mm 이하인 추정침을 이용하여 측정한 표면경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시료 제작 단계에서, 콘크리트 시료는 모르타르 또는 콘크리트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압축강도 측정 단계는, 상기 콘크리트 시료의 슬럼프를 시험하는 슬럼프 시험 공정, 상기 콘크리트 시료의 공기량을 측정하는 공기량 측정 공정 및 상기 콘크리트 시료의 압축강도를 측정하는 강도 측정 공정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표면경도 측정 단계는, 상기 콘크리트 시료의 상부 및 하부 표면을 일정 깊이로 갈아내는 면 갈기 공정, 상기 콘크리트 시료의 상부 및 하부 표면에 복수의 측정구역을 설정하는 측정 구역 설정 공정 및 스트랭스 미터를 이용하여 상기 측정구역의 표면 경도를 측정하는 경도 측정 공정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표면경도 측정단계에서는, 복수의 측정구역 중 어느 한 구역에서 5~20회 측정된 측정값의 평균값의 오차범위인 20% 외의 범위에 해당하는 측정값이 상기 측정구역 내에서 측정된 측정값의 20% 이상 존재할 경우, 상기 측정구역에서 측정된 모든 측정값은 상기 표면경도 측정값에서 제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스트랭스 미터에 구비된 상기 추정침은, 스테인레스 스틸(stainless steel) 또는 방청 처리된 강재 재질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압축강도 측정 단계 및 표면경도 측정 단계에서, 상기 압축강도 및 표면경도는 2시간 또는 2시간보다 작은 시간 간격마다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휴대가 가능한 스트랭스 미터의 추정침은 원주형으로 5MPa 도달시기까지의 압축강도 측정이 가능하며 모르타르 뿐만 아니라 골재등이 섞인 콘크리트와 콘크리트 건축구조물 중 바닥 판 및 기둥 또는 벽체에 대하여 측정이 가능하다.
또한, 수많은 연구 결과 도출된 값을 토대로 상기 스트랭스 미터는 추정침의 지름에 따라 44.5SM ~ 74.0SM로 이용할 수 있는데, 상기의 값을 이용하여 더욱 정확한 초기 재령 5MPa를 측정할 수 있다.
또한, 동절기 시공되는 한중 콘크리트 공사에서는 콘크리트의 초기동해를 방지하기 위한 압축강도를 5MPa로 규정하고 있으므로 보통 5MPa이 도달될 때까지는 보온양생 실시해야 하는데, 본 발명을 통해 실제 건축공사 현장에 적용될 경우 적절한 시기에 거푸집 해체 및 보온양생을 종료할 수 있음으로 건축공사 현장의 공사기간 단축 및 정확한 콘크리트 품질관리가 가능하다.
특히, 간편하게 휴대할 수 있어 현장에서 이용하기에 용이하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트랭스 미터를 이용한 콘크리트 초기 재령 압축강도 추정 방법의 블록도 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축강도 측정 단계의 블록도 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시료 제작 이후 경과 시간에 따른 압축강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면경도 측정 단계의 블록도 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트랭스 미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추정침의 형상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시료 제작 이후 경과 시간에 따른 표면 경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면경도에 따른 초기 재령 압축강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 익히 알려져 있고 본 발명과 직접적으로 관련이 없는 기술 내용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이는 불필요한 설명을 생략함으로써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지 않고 더욱 명확히 전달하기 위함이다.
마찬가지 이유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또한,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이 아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또는 대응하는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였다.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트랭스 미터를 이용한 콘크리트 초기 재령 압축강도 추정 방법의 블록도 이다.
도1을 참조하면 스트랭스 미터를 이용한 콘크리트 초기 재령 압축강도 추정 방법은 시료 제작 단계(S100), 압축강도 측정 단계(S200), 표면경도 측정 단계(S300) 및 추정값 도출 단계(S400)를 포함할 수 있다.
시료 제작 단계(S100)에서, 시료 제작 장치(미도시)는 콘크리트 시료를 제작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콘크리트 시료(미도시)는, 모르타르 또는 콘크리트로 형성될 수 있다.
압축강도 측정 단계(S200)에서는, 압축강도 측정 장치(미도시)를 이용하여 상기 콘크리트 시료의 압축강도를 2시간 간격으로 측정할 수 있다. 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압축강도 측정 장치는 슬림프 시험 장치, 공기량 측정 장치 및 강도 측정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축강도 측정 단계의 블록도 이다.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압축강도 측정 단계(S200)는, 슬럼프 시험 공정(S210), 공기량 측정 공정(S220) 및 강도 측정 공정(S23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슬럼프 시험 공정(S210)에서는 슬럼프 시험 장치(미도시)를 이용하여 콘크리트 시료의 슬럼프를 시험할 수 있다. 상기 슬럼프 시험 공정(S210)은 현장 조건에서 콘크리트의 하중에 대한 균일성을 보장하기 위하여 실시 될 수 있다. 슬럼프 시험 장치(슬럼프 콘)에 콘크리트를 다져 넣은 뒤에 일정 시간 후 상기 슬럼프 시험 장치를 제거한 뒤 내려앉은 콘크리트의 높이를 측정하여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슬럼프 시험은 콘크리트 시료의 무결성 여부를 테스트하기 위한 것일 수 있다. 상기 슬럼프 시험 장치를 제거한 후 내려앉은 콘크리트의 높이가 15㎝ 이상 18㎝ 이하의 범위에서 형성되면 상기 콘크리트 시료는 압축강도 측정에 이용될 수 있다.
상기 공기량 측정 공정(S220)에서는, 공기량 측정 장치(미도시)를 이용하여 콘크리트 시료의 공기량을 측정할 수 있다. 콘크리트에 포함된 공기량은 콘크리트의 강도나 내구성에 영향을 미칠 수 있어 콘크리트에 포함된 공기량이 기준치 범위 내에 포함되는지 검증하기 위하여 실시될 수 있다. 콘크리트에 포함된 공기량은 콘크리트에 압력을 가하여 측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공기량 측정은 콘크리트 시료의 무결성 여부를 테스트하기 위한 것일 수 있다. 상기 콘크리트 시료에 포함된 공기량이 4.5±1.5% 이면 상기 콘크리트 시료는 압축강도 측정에 이용될 수 있다.
강도 측정 공정(S230)에서는, 강도 측정 장비(미도시)를 이용하여 상기 콘크리트 시료의 압축강도를 측정할 수 있다. 상기 콘크리트 시료가 파괴될 때까지 시험기에 나타나는 최대 하중을 유효 숫자 3자리까지 읽을 수 있다. 상기 압축강도는 2시간 마다 상기 콘크리트 시료에 작용하는 최대 하중을 상기 콘크리트 시료의 단면적으로 나누어 계산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시료 제작 이후 경과 시간에 따른 압축강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압축강도가 5MPa이 되는 시점은 7.52 시간 경과 후인 것을 알 수 있다.
표면경도 측정 단계(S300)에서는, 경도 측정 장치(미도시)를 이용하여 상기 콘크리트 시료의 표면경도를 2시간 또는 2시간보다 작은 시간 간격마다 측정할 수 있다. 후술한 바와 같이, 상기 경도 측정 장치는 면 갈기 장치, 측정 구역 설정 장치 및 스트랭스 미터(1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면경도 측정 단계의 블록도 이다.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표면경도 측정 단계(S300)는, 면 갈기 공정(S310), 측정 구역 설정 공정(S320) 및 경도 측정 공정(S33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면 갈기 공정(S310)에서는 면 갈기 장치(미도시)를 이용하여 상기 콘크리트 시료의 상부 및 하부 표면을 일정 깊이로 갈아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부 및 하부 표면을 5mm 이상 갈아낼 수 있다.
상기 측정 구역 설정 공정(S320)에서는 측정 구역 설정 장치(미도시)를 이용하여 콘크리트 시료의 상부 및 하부 표면에 복수의 측정구역을 설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부 및 하부 표면에 각각 20구역의 측정구역을 설정할 수 있다.
경도 측정 공정(S330)에서는 스트랭스 미터(10)를 이용하여 상기 측정구역의 표면 경도를 측정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트랭스 미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병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하이브리드 미터(10)의 하부에 원기둥 형상으로 구비되고 관입 홀(300)을 통해서 출입하는 추정침(20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관입 홀(300)을 통해서 출입하는 상기 추정침(200)이 콘크리트 또는 모르타르로 형성된 상기 콘크리트 시료의 표면에 접촉될 수 있다. 상기 스트랭스 미터(10)는 상기 콘크리트 시료의 표면에 접촉된 상기 추정침(200)을 통하여 측정된 상기 콘크리트 시료의 표면경도를 눈금이나 숫자로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표면경도 측정단계에서는, 복수의 측정구역 중 어느 한 구역에서 5~20회 측정된 측정값의 평균값의 오차범위인 20% 외의 범위에 해당하는 측정값이 상기 측정구역 내에서 측정된 측정값의 20% 이상 존재할 경우, 상기 측정구역에서 측정된 모든 측정값은 상기 표면경도 측정값에서 제외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추정침의 형상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스트랭스 미터(10)에 구비된 상기 추정침(200)은, 지름이 1.0mm, 1.5mm, 2.0mm인 추정침(20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트랭스 미터에 구비된 상기 추정침은, 스테인레스 스틸(stainless steel) 또는 방청 처리된 강재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추정값 도출 단계(S400)에서는, 추정값 도출기(미도시)를 이용하여 상기 시간대별 압축강도와 시간대별 표면경도를 비교하여 표면경도에 따른 압축강도 추정값을 도출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시료 제작 이후 경과 시간에 따른 표면 경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압축강도 측정 단계(S200)에서 5MPa 해당하는 시점인 7.52 시간에 대한 표면경도는 1.00mm 지름의 추정침(200)을 이용하였을 때는 44.5SM 일 수 있다.
또한, 1.50mm 지름의 추정침(200)을 이용하였을 때는 70.0SM 일 수 있다.
또한, 2.00mm 지름의 추정침(200)을 이용하였을 때는 74.0SM 일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면경도에 따른 초기 재령 압축강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표면경도에 따른 초기 재령 압축강도의 회귀식 및 결정계수는 아래 표와 같을 수 있다.
추정침 지름(mm) 1.00 1.50 2.00
a 27.545 47.329 52.644
b 2.950 4.722 3.937
결정계수 0.944 0.864 0.824
회귀 식 : Y=a+b*X
지름이 1.0mm 보다 작은 추정침(200)은 제작이 어려울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실험 결과에 따라, 압축강도 추정에 이용되는 상기 추정침의 지름은, 1.00mm 이상 2.00mm 이하의 범위에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휴대가 가능한 스트랭스 미터의 추정침은 원주형으로 5MPa 도달시기까지의 압축강도 측정이 가능하며 모르타르 뿐만 아니라 골재등이 섞인 콘크리트와 콘크리트 건축구조물 중 바닥 판 및 기둥 또는 벽체에 대하여 측정이 가능하다.
또한, 수많은 연구 결과 도출된 값을 토대로 상기 스트랭스 미터는 추정침의 지름에 따라 44.5SM ~ 74.0SM로 이용할 수 있는데, 상기의 값을 이용하여 더욱 정확한 초기 재령 5MPa를 측정할 수 있다.
또한, 동절기 시공되는 한중 콘크리트 공사에서는 콘크리트의 초기동해를 방지하기 위한 압축강도를 5MPa로 규정하고 있으므로 보통 5MPa이 도달될 때까지는 보온양생 실시해야 하는데, 본 발명을 통해 실제 건축공사 현장에 적용될 경우 적절한 시기에 거푸집 해체 및 보온양생을 종료할 수 있음으로 건축공사 현장의 공사기간 단축 및 정확한 콘크리트 품질관리가 가능하다.
특히, 간편하게 휴대할 수 있어 현장에서 이용하기에 용이하다.
100 : 스트랭스 미터 본체
200 : 추정침
300 : 관입 홀
S100 : 시료 제작 단계
S200 : 압축강도 측정 단계
S210 : 슬럼프 시험 공정 S220 : 공기량 측정 공정
S230 : 강도 측정 공정
S300 : 표면경도 측정 단계
S310 : 면 갈기 공정 S320 : 측정 구역 설정 공정
S330 : 경도 측정 공정
S400 : 추정값 도출 단계
10 : 스트랭스 미터

Claims (7)

  1. 콘크리트 시료를 제작하는 시료 제작 단계;
    상기 콘크리트 시료의 시간대별 압축강도를 측정하는 압축강도 측정 단계;
    상기 콘크리트 시료의 시간대별 표면경도를 스트랭스 미터를 이용하여 측정하는 표면경도 측정 단계; 및
    상기 시간대별 압축강도와 시간대별 표면경도를 비교하여 표면경도에 따른 압축강도 추정값을 도출하는 추정값 도출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스트랭스 미터는,
    상기 스트랭스 미터의 하부에 원기둥 형상으로 구비되어 상기 콘크리트 시료에 접촉되는 추정침;을 포함하며,
    상기 추정값 도출 단계에서 이용하는 상기 시간대별 표면경도는 지름이 1.00mm 이상 2.00mm 이하인 추정침을 이용하여 측정한 표면경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랭스 미터를 이용한 콘크리트 초기 재령 압축강도 추정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시료 제작 단계에서,
    콘크리트 시료는,
    모르타르 또는 콘크리트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랭스 미터를 이용한 콘크리트 초기 재령 압축강도 추정 방법.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강도 측정 단계는,
    상기 콘크리트 시료의 슬럼프를 시험하는 슬럼프 시험 공정;
    상기 콘크리트 시료의 공기량을 측정하는 공기량 측정 공정; 및
    상기 콘크리트 시료의 압축강도를 측정하는 강도 측정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랭스 미터를 이용한 콘크리트 초기 재령 압축강도 추정 방법.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표면경도 측정 단계는,
    상기 콘크리트 시료의 상부 및 하부 표면을 일정 깊이로 갈아내는 면 갈기 공정;
    상기 콘크리트 시료의 상부 및 하부 표면에 복수의 측정구역을 설정하는 측정 구역 설정 공정; 및
    스트랭스 미터를 이용하여 상기 측정구역의 표면 경도를 측정하는 경도 측정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랭스 미터를 이용한 콘크리트 초기 재령 압축강도 추정 방법.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표면경도 측정단계에서는,
    복수의 측정구역 중 어느 한 구역에서 5~20회 측정된 측정값의 평균값의 오차범위인 20% 외의 범위에 해당하는 측정값이 상기 측정구역 내에서 측정된 측정값의 20% 이상 존재할 경우, 상기 측정구역에서 측정된 모든 측정값은 상기 표면경도 측정값에서 제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랭스 미터를 이용한 콘크리트 초기 재령 압축강도 추정 방법.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랭스 미터에 구비된 상기 추정침은,
    스테인레스 스틸(stainless steel) 또는 방청 처리된 강재 재질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랭스 미터를 이용한 콘크리트 초기 재령 압축강도 추정 방법.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강도 측정 단계 및 표면경도 측정 단계에서,
    상기 압축강도 및 표면경도는 2시간 또는 2시간보다 작은 시간 간격마다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랭스 미터를 이용한 콘크리트 초기 재령 압축강도 추정 방법.
KR1020210149110A 2021-11-02 2021-11-02 스트랭스 미터를 이용한 콘크리트 초기 재령 압축강도 추정 방법 KR1025612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49110A KR102561287B1 (ko) 2021-11-02 2021-11-02 스트랭스 미터를 이용한 콘크리트 초기 재령 압축강도 추정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49110A KR102561287B1 (ko) 2021-11-02 2021-11-02 스트랭스 미터를 이용한 콘크리트 초기 재령 압축강도 추정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63734A true KR20230063734A (ko) 2023-05-09
KR102561287B1 KR102561287B1 (ko) 2023-07-31

Family

ID=864089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49110A KR102561287B1 (ko) 2021-11-02 2021-11-02 스트랭스 미터를 이용한 콘크리트 초기 재령 압축강도 추정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6128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793840A (zh) * 2023-06-27 2023-09-22 湖南科创高新工程检测有限公司 一种配筋加气混凝土砌块的受压测试方法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39225A (ko) 1999-10-29 2001-05-15 이계철 콘크리트 구조물의 재령계수 결정방법 및 재령계수를 고려한 강도 추정방법
KR101178593B1 (ko) * 2010-12-14 2012-08-30 삼성물산 주식회사 초고강도 콘크리트의 크리프 시험방법
KR20130040296A (ko) * 2011-10-14 2013-04-24 김창휘 콘크리트 품질 관리시스템 및 관리방법
KR101276468B1 (ko) * 2013-04-12 2013-06-19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시멘트 혼합토의 내구성 평가방법
KR20170137992A (ko) * 2016-06-03 2017-12-14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압축파 측정용 셀 유니트 및 이를 이용한 압축파 강도 측정 방법
KR20190051097A (ko) * 2017-11-06 2019-05-15 주식회사 포스코건설 거푸집 탈형 시점 검출 시스템
KR102129975B1 (ko) * 2018-09-17 2020-07-03 가천대학교 산학협력단 콘크리트 응결시간 자동 측정장치
KR102511126B1 (ko) * 2021-07-01 2023-03-16 주식회사 이안구조기술사건축사사무소 염산용해열을 이용한 콘크리트의 단위시멘트량 추정방법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39225A (ko) 1999-10-29 2001-05-15 이계철 콘크리트 구조물의 재령계수 결정방법 및 재령계수를 고려한 강도 추정방법
KR101178593B1 (ko) * 2010-12-14 2012-08-30 삼성물산 주식회사 초고강도 콘크리트의 크리프 시험방법
KR20130040296A (ko) * 2011-10-14 2013-04-24 김창휘 콘크리트 품질 관리시스템 및 관리방법
KR101276468B1 (ko) * 2013-04-12 2013-06-19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시멘트 혼합토의 내구성 평가방법
KR20170137992A (ko) * 2016-06-03 2017-12-14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압축파 측정용 셀 유니트 및 이를 이용한 압축파 강도 측정 방법
KR20190051097A (ko) * 2017-11-06 2019-05-15 주식회사 포스코건설 거푸집 탈형 시점 검출 시스템
KR102129975B1 (ko) * 2018-09-17 2020-07-03 가천대학교 산학협력단 콘크리트 응결시간 자동 측정장치
KR102511126B1 (ko) * 2021-07-01 2023-03-16 주식회사 이안구조기술사건축사사무소 염산용해열을 이용한 콘크리트의 단위시멘트량 추정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793840A (zh) * 2023-06-27 2023-09-22 湖南科创高新工程检测有限公司 一种配筋加气混凝土砌块的受压测试方法
CN116793840B (zh) * 2023-06-27 2024-03-29 湖南科创高新工程检测有限公司 一种配筋加气混凝土砌块的受压测试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61287B1 (ko) 2023-07-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90604B1 (ko) 조기재령 콘크리트 압축강도 예측에 사용되는 콘크리트 공시체 제조방법 및 조기재령 콘크리트의 압축강도 예측방법
Bazán et al. Study of the rust penetration and circumferential stresses in reinforced concrete at early stages of an accelerated corrosion test by means of combined SEM, EDS and strain gauges
KR102561287B1 (ko) 스트랭스 미터를 이용한 콘크리트 초기 재령 압축강도 추정 방법
JP2009002721A (ja) コンクリートの脱型時期判定方法
Parivallal et al. Evaluation of in-situ stress in masonry structures by flat jack technique
JP7226913B2 (ja) 乾燥収縮ひずみ推定方法
Qasrawi Effect of the position of core on the strength of concrete of columns in existing structures
CN115308395A (zh) 一种地下工程掺膨胀剂混凝土结构膨胀性测试方法
Bickley The variability of pullout tests and In-Place concrete
Faria et al. A structural experimental technique to characterize the viscoelastic behavior of concrete under restrained deformations
Gehlot et al. Study of concrete quality assessment of structural elements using rebound hammer test
Deysel et al. Implementing capillary pressure control measures to prevent plastic shrinkage cracking in concrete
Teixeira et al. Demoulding vertical elements: Recommendations for apply maturity functions
KR102561288B1 (ko) 하이브리드 미터를 이용한 콘크리트 초기 재령 압축강도 및 응결시간 추정 방법
JP7461708B2 (ja) 膨張ひずみの測定方法
Łątka et al. Assessment of the compressive strength of lime mortar in the joints of brick walls-case study
CA1068509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n situ determination of concrete strength
Wenkenbach Tension stiffening in reinforced concrete members with large diameter reinforcement
McMurray et al. A STUDY OF THE IN SITU VARIABILITY OF CONCRETE USING THE PULL-OFF METHOD.
JP2016156264A (ja) コンクリートの再振動の管理方法
Choong Kog Testing Plan for Estimating In Situ Concrete Strength
Mahmood Structural health monitoring using non destructive testing of concrete
RU2782675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пределения реологических свойств бетонной смеси
Pisanty et al. Direct assessment of the tensile strength of the web in prestressed precast hollow-core slabs
Dilly et al. Concrete strength based on maturity and pullou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