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76468B1 - 시멘트 혼합토의 내구성 평가방법 - Google Patents

시멘트 혼합토의 내구성 평가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76468B1
KR101276468B1 KR1020130040267A KR20130040267A KR101276468B1 KR 101276468 B1 KR101276468 B1 KR 101276468B1 KR 1020130040267 A KR1020130040267 A KR 1020130040267A KR 20130040267 A KR20130040267 A KR 20130040267A KR 101276468 B1 KR101276468 B1 KR 1012764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xed soil
cement mixed
cement
soil
durabil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402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성식
Original Assignee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300402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7646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764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764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5/00Analysing materials by weighing, e.g. weighing small particles separated from a gas or liquid
    • G01N5/04Analysing materials by weighing, e.g. weighing small particles separated from a gas or liquid by removing a component, e.g. by evaporation, and weighing the remainder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00Sampling; 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 G01N1/28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including physical details of (bio-)chemical methods covered elsewhere, e.g. G01N33/50, C12Q
    • G01N1/38Diluting, dispersing or mixing sampl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38Concrete; Lime; Mortar; Gypsum; Bricks; Ceramics; Glass
    • G01N33/383Concrete or cemen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Investigating Or Analyzing Materials By The Use Of Ultrasonic Waves (AREA)

Abstract

일 실시예에 따른 시멘트 혼합토의 내구성 평가방법은, 시멘트 혼합토를 제작하는 단계, 상기 시멘트 혼합토의 초기 건조중량을 측정하는 단계, 초음파 발생기에서 초음파를 발생시켜 상기 시멘트 혼합토에 진동을 가하는 단계, 상기 시멘트 혼합토의 진동이 가해진 후 건조중량을 측정하는 단계 및 상기 초기 건조중량에 대한 상기 진동이 가해진 후 건조중량의 백분율을 계산하여 상기 시멘트 혼합토의 내구성 지수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시멘트 혼합토의 내구성 평가 시 중량 손실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시멘트 혼합토의 내구성 평가방법{METHOD FOR DURABILITY TEST OF CEMENT MIXED SOIL}
본 발명은 시멘트 혼합토의 내구성 평가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초음파 발생기를 이용하여 시멘트 혼합토의 내구성을 효과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시멘트 혼합토의 내구성 평가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본에서는 1970년대부터 쓰레기 매립장, 공항 및 항만 건설을 위해 연안지역 연약지반에 시멘트를 사용하여 지반을 고결시킴으로써 기초지반의 지지력을 충분히 확보하고 구조물의 침하량을 저감시킬 수 있었다. 최근까지 일본은 시멘트 혼합토에 대한 기술력을 꾸준히 축적하면서 시멘트 혼합토에 대한 다양한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한편, 국내에서도 현장에서 발생하는 토사에 시멘트를 소량(10-15% 정도)으로 혼합하여 가물막이댐 공사에 사용한 사례가 있으며, 최근 하상 모래에 시멘트를 혼합한 시멘트 혼합토의 전단 거동을 비롯하여 시멘트 혼합토에 대한 다양한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예를 들면, 2005년 6월 7일에 출원된 선행문헌 제2005-0048453에 개시된 내구성이 향상된 혼합토 배합장치, 양생방법이나 수침이 고결모래의 강도에 미치는 영향, 세립분이 고결모래의 강도에 미치는 영향, 염분이 고결모래의 양생과정이나 강도에 미치는 영향 등 시멘트 혼합토에 대한 다양한 연구가 수행되고 있다.
하지만 이와 같이 시멘트를 소량으로 혼합한 시멘트 혼합토는 강도가 1-2 MPa 정도이며, 동일한 시멘트를 사용하더라도 양생조건이나 주변 환경, 그리고 계절적 변화에 따라 강도가 크게 달라질 수 있다.
특히 양생과정 중에 반복되는 건습은 공시체 내의 고결성분 용출 등으로 강도가 오히려 감소할 수도 있다. 즉, 충분한 강도와 내구성(durability)을 가지고 있는 콘크리트와는 달리 시멘트 혼합토는 고결력이 약하기 때문에 강도뿐만 아니라 내구성도 중요하게 평가되어야 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목적은 초음파 발생기를 이용하여 시멘트 혼합토의 내구성을 효과적으로 측정할 수 있는 시멘트 혼합토의 내구성 평가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목적은 시험과정에서 시멘트 혼합토의 다량의 중량 손실을 방지할 수 있는 시멘트 혼합토의 내구성 평가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목적은 기존의 초음파 발생기를 이용하여 비교적 간단한 방법으로 수행될 수 있는 시멘트 혼합토의 내구성 평가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따른 시멘트 혼합토의 내구성 평가방법은, 시멘트 혼합토를 제작하는 단계, 상기 시멘트 혼합토의 초기 건조중량을 측정하는 단계, 초음파 발생기에서 초음파를 발생시켜 상기 시멘트 혼합토에 진동을 가하는 단계, 상기 시멘트 혼합토의 진동이 가해진 후 건조중량을 측정하는 단계 및 상기 초기 건조중량에 대한 상기 진동이 가해진 후 건조중량의 백분율을 계산하여 상기 시멘트 혼합토의 내구성 지수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측에 의하면, 상기 시멘트 혼합토를 제작하는 단계와 상기 시멘트 혼합토의 초기 건조중량을 측정하는 단계 사이에는, 상기 시멘트 혼합토를 양생 및 건조시키는 단계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일 측에 의하면, 상기 시멘트 혼합토의 초기 건조중량을 측정하는 단계와 상기 초음파 발생기에서 초음파를 발생시켜 상기 시멘트 혼합토에 진동을 가하는 단계 사이에는, 상기 시멘트 혼합토를 20 내지 24시간 수침시키는 단계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일 측에 의하면, 상기 초음파를 발생시켜 상기 시멘트 혼합토에 진동을 가하는 단계에서, 상기 시멘트 혼합토는 물 속에 잠기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일 측에 의하면, 상기 초음파 발생기에서 초음파를 발생시켜 상기 시멘트 혼합토에 진동을 가하는 단계에서, 상기 시멘트 혼합토의 주위 온도는 20 내지 30℃의 온도로 설정되며, 상기 시멘트 혼합토는 30 내지 50㎑의 주파수를 구비하는 초음파에 의해 10 내지 20분 동안 진동될 수 있다.
일 측에 의하면, 상기 초음파 발생기에서 초음파를 발생시켜 상기 시멘트 혼합토에 진동을 가하는 단계와 상기 시멘트 혼합토의 진동이 가해진 후 건조중량을 측정하는 단계 사이에는, 상기 시멘트 혼합토를 건조시키는 단계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일 측에 의하면, 상기 시멘트 혼합토를 건조시키는 단계에서, 상기 시멘트 혼합토는 100 내지 110℃의 온도로 6 내지 7시간 건조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따른 시멘트 혼합토의 내구성 평가 시스템은, 초음파를 발생시켜 상기 시멘트 혼합토에 진동을 가하는 초음파 발생부, 상기 초음파 발생부에서 발생되는 진동을 제어할 수 있는 제어부, 시멘트 혼합토의 중량을 측정할 수 있는 중량 측정부 및 상기 중량 측정부로부터 전달된 중량에 의해 내구성 지수를 연산할 수 있는 연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시멘트 혼합토의 내구성 평가방법에 의하면, 초음파 세탁기를 이용하여 시멘트 혼합토의 내구성을 효과적으로 측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시멘트 혼합토의 내구성 평가방법에 의하면, 시험과정에서 시멘트 혼합토의 다량의 중량 손실을 방지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시멘트 혼합토의 내구성 평가방법에 의하면, 기존의 초음파 발생기를 이용하여 비교적 간단한 방법으로 수행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시멘트 혼합토의 내구성 평가 시스템을 도시한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시멘트 혼합토의 내구성 평가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3(a) 및 (b)는 시멘트 비율에 따른 내구성 지수를 나타낸다.
도 4(a) 및 (b)는 일축압축강도와 내구성 지수의 상관관계를 나타낸다.
이하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 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시멘트 혼합토의 내구성 평가 시스템을 도시한다.
도 1을 참조하여, 일 실시예에 따른 시멘트 혼합토의 내구성 평가 시스템(10)은 초음파 발생부(100), 제어부(200), 중량 측정부(300) 및 연산부(4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초음파 발생부(100)는 초음파를 발생시켜, 내구성 지수를 평가하고자 하는 시멘트 혼합토에 진동을 가할 수 있다.
또한, 초음파 발생부(100)에는 제어부(200)가 연결되어, 제어부(200)에 의해 시멘트 혼합토에 가해지는 진동을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200)에 의해 초음파 발생부(100)에서 발생되는 진동의 진동수 또는 진폭을 조절할 수 있다. 이는 초음파에 의해 발생되는 진동에너지가 진폭 및 주파수 각각의 제곱에 비례한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또한, 초음파 발생부(100)와 인접하여, 시멘트 혼합토의 중량을 측정할 수 있는 중량 측정부(300)가 배치될 수 있다. 시멘트 혼합토는 초음파 발생부(100)에 의해 진동이 가해지기 전후에 중량이 측정될 수 있다. 이때, 시멘트 혼합토의 중량은 시멘트 혼합토를 건조시킴으로써 시멘트 혼합토 내의 수분을 적당히 제거시킨 후에 측정될 수 있다.
이러한 측정된 중량을 통해 내구성 지수를 연산할 수 있도록, 중량 측정부(300)에는 연산부(400)가 연결될 수 있다.
연산부(400)에서는 시멘트 혼합토가 초음파 발생부(100)에 의해 진동이 가해지기 전의 중량에 대한 초음파 발생부(100)에 의해 진동이 가해진 후의 중량의 백분율을 연산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실험된 시멘트 혼합토의 내구성 지수를 수치적으로 산출할 수 있다. 게다가, 연산부(400)는 산출된 내구성 지수를 통해 추가적인 정보를 분석할 수 있다.
또한, 연산된 결과를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가 더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일 실시예에 따른 시멘트 혼합토의 내구성 평가 시스템(10)을 통해 고결력이 약한 시멘트 혼합토의 내구성 평가를 비교적 간단하게 수행할 수 있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시멘트 혼합토의 내구성 평가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2를 참조하여, 일 실시예에 따른 시멘트 혼합토의 내구성 평가방법은 다음과 같이 이루어질 수 있다.
우선, 시멘트 혼합토를 제작한다(S11).
상기 시멘트 혼합토는 낙동강 모래에 소량의 시멘트와 함수비(water content) 10 내지 20%의 물을 섞어, 30mm의 직경 및 30mm의 높이를 구비하도록 제작될 수 있다.
또한, 실험의 다양성을 위해 네 종류의 시멘트 비를 사용하여 시멘트 혼합토를 제작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시멘트 비는 4, 6, 8, 10%를 포함할 수 있다.
이어서, 제작된 시멘트 혼합토를 양생 및 건조시킨다(S12).
시멘트 혼합토는 3일 동안 양생될 수 있다.
이때, 양생이란, 콘크리트 치기가 끝난 다음 온도, 하중, 충격, 오손, 파손 등의 유해한 영향을 받지 않도록 충분히 보호 관리하는 것을 말한다.
또한, 양생조건은 현장조건을 고려하여 두 가지 양생방법으로 실시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두 가지 양생방법은 대기 중 양생, 수중 양생일 수 있다. 대기 중 양생이란, 콘크리트 공시체를 수중에 두지 않고 습기를 가진 공기 중에 시험하기까지의 기간 동안 두는 것을 말하며, 수중 양생이란 콘크리트 등을 수온이 20℃ 전후로 유지되는 수중에서 양생되는 것을 말한다. 이러한 양생에 의해 균열이나 강도 저하 및 동결을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양생 이후에 함수비가 강도에 미치는 영향을 고려하여 1일 동안 건조로에 건조시킬 수 있다.
흙의 강도 또는 변형은 흙 내의 수분의 양에 따라 상당이 좌우되므로, 흙을 건조시킴으로써 수분에 의한 영향을 무시할 수 있다.
이어서, 시멘트 혼합토의 초기 건조중량(IW; Initial Weight)을 측정한다(S13).
이때 시멘트 비가 4, 6, 8, 10%인 시멘트 혼합토 각각의 초기 건조중량을 측정할 수 있다.
그런 다음, 시멘트 혼합토를 20 내지 24시간 수침시킨다(S14).
이는 흙 입자 사이의 공극 내로 물이 충분히 흡수되어 흙을 포화시키기 위함이다. 이로 인해 시멘트 혼합토에서 얻어지는 결과에 대한 오차를 감소시킬 수 있다.
이와 반대로, 시멘트 혼합토를 20 내지 24시간 수침시키지 않을 경우, 흙 입자 내의 공기가 많이 존재하므로 초음파 발생기 내에서 공기가 진동하여 결과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이어서, 시멘트 혼합토를 초음파 발생기 내에 배치시킨다(S15).
상기 초음파 발생기에는 시멘트 혼합토를 수용할 수 있도록 내부 공간이 마련될 수 있으며, 내부 공간에는 물이 유입될 수 있다. 또한, 초음파 발생기 내부의 온도 및 초음파 발생기로부터 발생되는 초음파를 제어할 수 있는 제어장치가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시멘트 혼합토는 초음파 발생기 내의 물 속에 잠기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는 초음파 발생기 내에서 발생되는 초음파로 물을 진동시킴으로써 물 속에 잠긴 시멘트 혼합토를 진동시키기 위함이다. 이에 의해 시멘트 혼합토를 효율적으로 진동시킬 수 있다.
이어서, 초음파 발생기 내에서 초음파를 발생시켜 시멘트 혼합토에 진동을 가한다(S16).
구체적으로, 시멘트 혼합토는 초음파 발생기 내에서 30 내지 50㎑의 주파수를 구비하는 초음파에 의해 10분 내지 20분 동안 진동될 수 있다.
이때 초음파에 의한 진동의 주파수와 진동 시간은 시멘트 혼합토의 대량의 중량 손실을 방지할 수 있는 정도로 조절될 수 있다. 시멘트 혼합토의 경우 고결력이 약하므로, 시멘트 혼합토에 과도하게 진동을 가하게 되면 중량 손실이 크게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초음파 발생기의 내부 온도는 20 내지 30℃의 온도로 설정될 수 있다.
이어서, 시멘트 혼합토를 초음파 발생기로부터 꺼낸다(S17).
그런 다음, 시멘트 혼합토를 건조시킨다(S18).
초음파 발생기 내에서 시멘트 혼합토가 물에 잠겨 있었으므로, 시멘트 혼합토의 중량을 측정하기 전에 건조시킬 필요가 있다.
이때, 시멘트 혼합토는 100 내지 110℃의 온도로 6 내지 7시간 건조될 수 있다.
이어서, 시멘트 혼합토의 최종 건조중량을 측정한다(S19).
마지막으로, 초기 건조중량에 대한 최종 건조중량의 백분율을 계산하여 시멘트 혼합토의 내구성 지수를 판단한다(S20).
시멘트 혼합토의 내구성 지수는 다음의 식과 같이 연산될 수 있다.
내구성 지수(%) = 최종 건조중량(FW)/ 초기 건조중량(IW) × 100
예를 들어, 시멘트 혼합토의 초기 건조중량이 100g이고, 시멘트 혼합토의 초기 건조중량이 80g일 경우, 시멘트 혼합토의 내구성 지수는 상기 식에 의해 80%가 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일 실시예에 따른 내구성 평가방법을 통해, 기존의 초음파 발생기를 이용하여 시멘트 혼합토의 내구성을 효과적으로 측정할 수 있으며, 시험과정에서 시멘트 혼합토의 다량의 중량 손실을 방지할 수 있어, 정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게다가 비교적 간단한 방법으로 시험이 수행될 수 있다.
도 3(a) 및 (b)는 시멘트 비율에 따른 내구성 지수를 나타낸다.
도 3(a)는 대기 중에서 양생된 시멘트 혼합토의 경우이며, 도 3(b)는 수중에서 양생된 시멘트 혼합토의 경우이다.
내구성 지수는 슬레이크 시험과 초음파를 이용한 시험을 통하여 판단될 수 있으며, 시멘트비가 높을 때에는 슬레이크 시험과 초음파를 이용한 시험 모두 비슷한 실험결과를 나타낸다. 이는 시멘트비가 증가함에 따라 모래 입자간의 고결력이 증가하여 외부 충격이나 미소 진동에 의한 입자 손실이 감소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시멘트비가 낮을 때에는 슬레이크 시험의 경우, 과도한 원심력에 의해 시멘트 혼합토의 중량 손실이 커서 정확한 내구성 지수를 얻기 어렵다. 이는 슬레이크 시험의 경우, 원통형 드럼통에 시멘트 혼합토를 넣고 회전시키기 때문이다.
반면, 일 실시예에 따른 내구성 판단 방법에 의하면, 초음파에 의한 진동을 시멘트 혼합토에 가함으로써, 시멘트 혼합토의 중량 손실을 방지할 수 있어, 보다 정확한 내구성 지수를 판단할 수 있다.
도 4(a) 및 (b)는 일축압축강도와 내구성 지수의 상관관계를 나타낸다.
도 4(a)를 참조하여, 시멘트 혼합토를 대기 중에서 양생시킨 경우, 일축압축강도와 내구성 지수의 상관성을 나타내며, 도 4(b)를 참조하여, 시멘트 혼합토를 수중 양생시킨 경우, 일축압축강도와 내구성 지수의 상관성을 나타낸다.
이와 같이 일 실시예에 따른 내구성 판단 방법에 의하여 산출된 시멘트 혼합토의 내구성 지수를 통하여 시멘트 혼합토의 일축압축강도를 산출하는 데 활용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 시멘트 혼합토의 내구성 평가 시스템
100: 초음파 발생부
200: 제어부
300: 중량 측정부
400: 연산부

Claims (8)

  1. 시멘트 혼합토를 제작하는 단계;
    상기 시멘트 혼합토의 초기 건조중량을 측정하는 단계;
    초음파 발생기에서 초음파를 발생시켜 상기 시멘트 혼합토에 진동을 가하는 단계;
    상기 시멘트 혼합토의 진동이 가해진 후 건조중량을 측정하는 단계; 및
    상기 초기 건조중량에 대한 상기 진동이 가해진 후 건조중량의 백분율을 계산하여 상기 시멘트 혼합토의 내구성 지수를 판단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시멘트 혼합토의 내구성 평가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멘트 혼합토를 제작하는 단계와 상기 시멘트 혼합토의 초기 건조중량을 측정하는 단계 사이에는, 상기 시멘트 혼합토를 양생 및 건조시키는 단계가 더 포함되는 시멘트 혼합토의 내구성 평가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멘트 혼합토의 초기 건조중량을 측정하는 단계와 상기 초음파 발생기에서 초음파를 발생시켜 상기 시멘트 혼합토에 진동을 가하는 단계 사이에는, 상기 시멘트 혼합토를 20 내지 24시간 수침시키는 단계가 더 포함되는 시멘트 혼합토의 내구성 평가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초음파를 발생시켜 상기 시멘트 혼합토에 진동을 가하는 단계에서, 상기 시멘트 혼합토는 물 속에 잠기도록 마련되는 시멘트 혼합토의 내구성 평가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초음파를 발생시켜 상기 시멘트 혼합토에 진동을 가하는 단계에서, 상기 시멘트 혼합토의 주위 온도는 20 내지 30℃의 온도로 설정되며, 상기 시멘트 혼합토는 30 내지 50㎑의 주파수를 구비하는 초음파에 의해 10 내지 20분 동안 진동되는 시멘트 혼합토의 내구성 평가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초음파 발생기에서 초음파를 발생시켜 상기 시멘트 혼합토에 진동을 가하는 단계와 상기 시멘트 혼합토의 진동이 가해진 후 건조중량을 측정하는 단계 사이에는, 상기 시멘트 혼합토를 건조시키는 단계가 더 포함되는 시멘트 혼합토의 내구성 평가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시멘트 혼합토를 건조시키는 단계에서, 상기 시멘트 혼합토는 100 내지 110℃의 온도로 6 내지 7시간 건조되는 시멘트 혼합토의 내구성 평가방법.
  8. 초음파를 발생시켜 시멘트 혼합토에 진동을 가하는 초음파 발생부;
    상기 초음파 발생부에서 발생되는 진동을 제어할 수 있는 제어부;
    시멘트 혼합토의 중량을 측정할 수 있는 중량 측정부; 및
    상기 중량 측정부로부터 전달된 중량에 의해 내구성 지수를 연산할 수 있는 연산부;
    를 포함하는 시멘트 혼합토의 내구성 평가 시스템.
KR1020130040267A 2013-04-12 2013-04-12 시멘트 혼합토의 내구성 평가방법 KR1012764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40267A KR101276468B1 (ko) 2013-04-12 2013-04-12 시멘트 혼합토의 내구성 평가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40267A KR101276468B1 (ko) 2013-04-12 2013-04-12 시멘트 혼합토의 내구성 평가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76468B1 true KR101276468B1 (ko) 2013-06-19

Family

ID=488673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40267A KR101276468B1 (ko) 2013-04-12 2013-04-12 시멘트 혼합토의 내구성 평가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76468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806731A (zh) * 2016-03-10 2016-07-27 安徽省农业科学院农产品加工研究所 一种田间测定秸秆腐解率的方法
CN108225967A (zh) * 2017-12-26 2018-06-29 徐忠卫 水泥稳定碎砾料中石料含量测试方法
KR20230063735A (ko) * 2021-11-02 2023-05-09 (주)대성씨엠건축사사무소 하이브리드 미터를 이용한 콘크리트 초기 재령 압축강도 및 응결시간 추정 방법
KR20230063734A (ko) * 2021-11-02 2023-05-09 (주)대성씨엠건축사사무소 스트랭스 미터를 이용한 콘크리트 초기 재령 압축강도 추정 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49865A (ja) * 1994-11-24 1996-06-07 Asmo Co Ltd 超音波モータ用摩擦材料
KR100199998B1 (ko) 1996-07-18 1999-06-15 임남웅 시멘트 모르터 및 재싱골재를 이용한 콘크리트
JPH11337533A (ja) * 1998-05-26 1999-12-10 Osaka Gas Co Ltd ポリエチレン樹脂製管の耐久性についての迅速な評価方法、及び、管用ポリエチレン樹脂の迅速な良否判定方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49865A (ja) * 1994-11-24 1996-06-07 Asmo Co Ltd 超音波モータ用摩擦材料
KR100199998B1 (ko) 1996-07-18 1999-06-15 임남웅 시멘트 모르터 및 재싱골재를 이용한 콘크리트
JPH11337533A (ja) * 1998-05-26 1999-12-10 Osaka Gas Co Ltd ポリエチレン樹脂製管の耐久性についての迅速な評価方法、及び、管用ポリエチレン樹脂の迅速な良否判定方法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806731A (zh) * 2016-03-10 2016-07-27 安徽省农业科学院农产品加工研究所 一种田间测定秸秆腐解率的方法
CN105806731B (zh) * 2016-03-10 2019-03-12 安徽省农业科学院农产品加工研究所 一种田间测定秸秆腐解率的方法
CN108225967A (zh) * 2017-12-26 2018-06-29 徐忠卫 水泥稳定碎砾料中石料含量测试方法
CN108225967B (zh) * 2017-12-26 2021-02-12 徐忠卫 水泥稳定碎砾料中石料含量测试方法
KR20230063735A (ko) * 2021-11-02 2023-05-09 (주)대성씨엠건축사사무소 하이브리드 미터를 이용한 콘크리트 초기 재령 압축강도 및 응결시간 추정 방법
KR20230063734A (ko) * 2021-11-02 2023-05-09 (주)대성씨엠건축사사무소 스트랭스 미터를 이용한 콘크리트 초기 재령 압축강도 추정 방법
KR102561287B1 (ko) 2021-11-02 2023-07-31 (주)대성씨엠건축사사무소 스트랭스 미터를 이용한 콘크리트 초기 재령 압축강도 추정 방법
KR102561288B1 (ko) 2021-11-02 2023-07-31 (주)대성씨엠건축사사무소 하이브리드 미터를 이용한 콘크리트 초기 재령 압축강도 및 응결시간 추정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Lawson et al. Non-destructive evaluation of concrete using ultrasonic pulse velocity
Smarzewski et al. Effect of fiber hybridization on durability related properties of ultra-high performance concrete
Seng et al. Properties of cement-treated soils during initial curing stages
Chen et al. Influence of pore structure on mechanical behavior of concrete under high strain rates
Flores et al. Small-strain shear modulus and strength increase of cement-treated clay
Wang et al. Effect of water pressure on mechanical behavior of concrete under dynamic compression state
Park et al. Nonlinear resonance vibration method to estimate the damage level on heat-exposed concrete
KR101276468B1 (ko) 시멘트 혼합토의 내구성 평가방법
Wang et al. Capillary absorption of concrete after mechanical loading
Pan et al. Modified isotropic compression relationship for cement-admixed marine clay at low confining stress
Kocherla et al. Embedded electrical impedance-based PZT sensor for monitoring hydrating concrete: development and evaluation
Xiong et al. Effects of high temperatures and loading rates on the splitting tensile strength of jointed rock mass
Lee et al. Monitoring the hardening process of ultra high performance concrete using decomposed modes of guided waves
Prassianakis et al. Mechanical properties of old concrete using destructive and ultrasonic non-destructive testing methods
Wang Experimental study on water absorption by concrete damaged by uniaxial loading
Pacheco et al. Impact of moisture content and density on stiffness-based acceptance of geomaterials
Schulte Holthausen et al. Nondestructive evaluation of thermal damage in concrete by single-sided nuclear magnetic resonance
Pazdera et al. Measuring of concrete properties during hardening
Umar et al. A Study on Uniaxial Compressive Strength and Ultrasonic Non-Destructive Analysis of Fine-Grained Soil in Seasonally Frozen Regions
Du et al. Damage process of roller-compacted concrete based on combined action of freeze–thaw and triaxial compression
Jinhao et al. Experimental study on damage evolution characteristics of rock-like material
Zhang et al. Energy-based dynamic parameter identification for Pasternak foundation model
Granja et al. Continuous Monitoring of Concrete Mechanical Properties since an Early Age to Support Construction Phasing
Yu et al. Study on AE characteristics of concrete with different w/c ratio under uniaxial compression
Zhu et al. Study on piezoelectric wave propagation based nondestructive monitoring method of concret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2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29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