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63642A - 배터리 팩 전압 측정 회로와 그의 동작 방법 - Google Patents

배터리 팩 전압 측정 회로와 그의 동작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63642A
KR20230063642A KR1020210148907A KR20210148907A KR20230063642A KR 20230063642 A KR20230063642 A KR 20230063642A KR 1020210148907 A KR1020210148907 A KR 1020210148907A KR 20210148907 A KR20210148907 A KR 20210148907A KR 20230063642 A KR20230063642 A KR 202300636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ltage
battery pack
relay
circuit
resis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489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강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Priority to KR10202101489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63642A/ko
Priority to JP2023570147A priority patent/JP2024519783A/ja
Priority to PCT/KR2022/016677 priority patent/WO2023080559A1/ko
Priority to CN202280033889.6A priority patent/CN117280227A/zh
Priority to EP22890292.0A priority patent/EP4318006A1/en
Publication of KR202300636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6364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5/00Details of measuring arrangements of the types provided for in groups G01R17/00 - G01R29/00, G01R33/00 - G01R33/26 or G01R35/00
    • G01R15/04Voltage divid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36Arrangements for testing, measuring or monitoring the electrical condition of accumulators or electric batteries, e.g. capacity or state of charge [SoC]
    • G01R31/382Arrangements for monitoring battery or accumulator variables, e.g. SoC
    • G01R31/3835Arrangements for monitoring battery or accumulator variables, e.g. SoC involving only voltage measuremen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27/00Arrangements for measuring resistance, reactance, impedance, or electric characteristics derived therefrom
    • G01R27/02Measuring real or complex resistance, reactance, impedance, or other two-pole characteristics derived therefrom, e.g. time constan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327Testing of circuit interrupters, switches or circuit-break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36Arrangements for testing, measuring or monitoring the electrical condition of accumulators or electric batteries, e.g. capacity or state of charge [SoC]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36Arrangements for testing, measuring or monitoring the electrical condition of accumulators or electric batteries, e.g. capacity or state of charge [SoC]
    • G01R31/396Acquisition or processing of data for testing or for monitoring individual cells or groups of cells within a battery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asurement Of Current Or Volt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배터리 팩 전압 측정 회로와 그의 동작 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배터리 팩의 전압을 측정하여 그 결과 값을 출력하는 배터리 팩 전압 측정 회로와 그의 동작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복수의 저항의 직렬 연결 구조와 병렬 연결 구조를 통해 저사양 릴레이 소자를 사용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해 줌으로써 배터리 팩 전압 측정 회로의 제조 단가를 낮출 수 있다.

Description

배터리 팩 전압 측정 회로와 그의 동작 방법{BATTERY PACK VOLTAGE MEASUREMENT CIRCUIT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배터리 팩 전압 측정 회로와 그의 동작 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배터리 팩의 전압을 측정하여 그 결과 값을 출력하는 배터리 팩 전압 측정 회로와 그의 동작 방법에 관한 것이다.
요즈음 전기, 전자 장치에 대한 수요가 급증하면서 배터리 팩에 대한 관심도 높아지고 있다. 축전지나 2차 전지로 사용되는 배터리 팩은 전기, 전자 장치를 구동시키기 위한 필수 구성에 해당하기 때문에 배터리 팩은 전기, 전자 장치와 함께 발맞춰 계속적으로 발전하고 있다.
한편, 세계적으로 친환경 기술이 대한 이슈가 증폭됨에 따라 전기 자동차나 태양광 모듈과 관련된 제품이 폭발적으로 양산되고 있다. 전기 자동차나 태양광 모듈 역시 기본적으로 배터리 팩을 구성하고 있기 때문에 배터리 팩에 대한 수요는 점점 증가하고 있다. 그리고 배터리 팩은 소비자의 요구에 따라 보다 오래 사용할 수 있고 보다 강력하게 구동할 수 있도록 개발되고 있다. 즉, 배터리 팩은 고용량, 고전압 사양으로 발전하고 있다.
배터리 팩에 대한 고전압 사양은 이상적인 상황에서 이를 사용하는 주변 회로에 보다 강력한 구동력을 제공하지만, 원치 않는 문제가 야기되는 상황에서 주변 회로에 심각한 피해를 입힌다. 따라서, 배터리 팩에 이상 전류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배터리 팩의 전압을 측정하고 이를 관리하는 것은 배터리 팩에 있어서 필수적인 항목이라 볼 수 있다. 따라서, 배터리 팩은 이를 위하여 배터리 팩 전압 측정 회로가 함께 구성된다.
배터리 팩 전압 측정 회로는 릴레이 스위치와 ADC(Analog to Digital Converting) 출력 회로를 포함한다. 배터리 팩 전압 측정 회로의 릴레이 스위치는 과전류에 기초하여 온(on) 또는 오프(off) 동작을 수행하며, ADC 출력 회로는 릴레이 스위치를 통해 흐르는 전류에 따라 배터리 팩의 전압을 측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전기 자동차에 사용되는 배터리 팩의 전압은 400V에서 800V로 상향되고 있는 추세이다. 따라서, 배터리 팩 전압 측정 회로 역시 높아진 배터리 팩의 전압에 맞게 설계되어야 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배터리 팩 전압 측정 회로에 구성되는 릴레이 스위치가 800V의 허용 전압 값을 만족해야만 한다. 하지만, 800V의 허용 전압 값에서 안정적으로 동작하는 릴레이 스위치의 경우 고도화된 공정 기술을 필요로 하고 고품질 재료를 사용해야 하기 때문에 매우 높은 가격을 가지는, 즉 고사양 릴레이 스위치가 요구된다. 만약, 800V의 배터리 팩의 전압을 측정하기 위하여 기존의 400V의 허용 전압 값을 가지는 저사양 릴레이 스위치를 사용하는 경우 릴레이 스위치의 오프 시점이 늦어질 수 있기 때문에 이로 인한 여러가지 문제점을 야기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일본 등록특허 제4385640호(등록일: 2009.10.09.)와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211055호(등록일: 2012.12.05.)에는 베터리 팩의 전압을 검출하는 구성이 개시되어 있다. 두 특허에는 베터리 팩의 전압과 직접적으로 연결되는 릴레이 스위치가 개시되어 있으며, 이 경우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고사양 릴레이 스위치를 사용하지 않게 되면 높은 전압의 베터리 팩에 대한 원활한 측정 동작이 불가능하다.
JP 4385640 B2, 2009.10.09. KR 1211055 B1, 2012.12.05.
따라서, 본 발명은 배터리 팩의 전압이 높더라도 저사양 릴레이 소자가 안정적으로 동작할 수 있는 배터리 팩 전압 측정 회로와 그의 동작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일 측면에 따른 본 발명은 배터리 팩의 전압이 인가되는 전원 전압단과 접지 전압단 사이에 순차적으로 직렬 연결되는 제1 저항, 릴레이 회로, 제2 저항, 및 ADC 출력 회로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릴레이 회로는, 릴레이 소자와 릴레이 저항이 병렬 연결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팩 전압 측정 회로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릴레이 소자가 오프되는 경우, 상기 릴레이 소자 양단에 인가되는 전압은 상기 릴레이 저항의 양단에 인가되는 전압과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릴레이 저항의 저항 값 Rr은 아래 [수학식 1]을 만족하도록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릴레이 저항의 저항 값 Rr은 아래 [수학식 2]를 만족하도록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다른 측면에 따른 본 발명은 배터리 팩의 전압을 측정하기 위하여 인가되는 배터리 팩 전압을 강하하는 과정; 상기 배터리 팩 전압에 따라 릴레이 소자의 온 상태를 판단하는 과정; 상기 판단하는 과정의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릴레이 소자 양단의 전압을 릴레이 저항 양단의 전압과 동일하게 설정하는 과정; 및 상기 배터리 팩 전압을 검출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배터리 팩 전압 측정 회로의 동작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또 다른 측면에 따른 본 발명은 배터리 팩의 전압이 인가되는 전원 전압단과 접지 전압단 사이에 순차적으로 직렬 연결되는 전압 강하 회로, 릴레이 회로, 및 ADC 출력 회로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릴레이 회로는, 릴레이 소자와 릴레이 저항이 병렬 연결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팩 전압 측정 회로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전압 강하 회로는, 상기 전원 전압단과 상기 릴레이 회로 사이에 연결되며, 상기 전원 전압단에 인가되는 전압을 강하하는 저항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릴레이 회로와 상기 ADC 출력 회로 사이에 연결되며, 상기 릴레이 회로에 인가되는 전압을 강하 및 분배하는 저항을 포함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릴레이 회로에 인가되는 베터리 팩의 전압을 강하시켜 줌으로써 허용 전압 값이 낮은 저사양 릴레이 소자를 사용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배터리 팩의 전압이 인가되는 전원 전압단과 접지 전압단 사이에 순차적으로 직렬 연결되는 제1 저항, 릴레이 회로, 제2 저항, 및 ADC 출력 회로를 포함하되, 상기 릴레이 회로는 릴레이 소자와 릴레이 저항을 병렬 연결하여 배터리 팩의 전압을 검출한다.
이때, 제1 및 제2 저항의 직렬 연결 구조와 릴레이 저항의 병렬 연결 구조를 통해 릴레이 회로에 구성되는 릴레이 소자를 저사양 릴레이 소자로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검출하고자 하는 베터리 팩의 전압이 높아지더라도 비싼 가격을 가지는 고사양 릴레이 소자 대신에 저렴한 가격을 가지는 저사양 릴레이 소자를 사용함으로써 배터리 팩 전압 측정 회로의 제조 단가를 낮출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팩 전압 측정 회로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도 1의 배터리 팩 전압 측정 회로의 동작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팩 전압 측정 회로를 도시한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도면상에서 동일 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팩 전압 측정 회로(10)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팩 전압 측정 회로(10)는 제1 저항(C_R1), 릴레이 회로(11), 제2 저항(C_R2), 및 ADC 출력 회로(12)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1 저항(C_R1), 릴레이 회로(11), 제2 저항(C_R2), 및 ADC 출력 회로(12)는 배터리 팩(도시되지 않음)의 전압이 인가되는 전원 전압단(V_BP)과 접지 전압단(GND) 사이에 순차적으로 직렬 연결된다.
제1 저항(C_R1)은 전원 전압단(V_BP)과 릴레이 회로(11) 사이에 연결된다. 제1 저항(C_R1)은 전원 전압단(V_BP)으로부터 인가되는 배터리 팩의 전압을 전압 강하하여 릴레이 회로(11)에 제공한다. 따라서, 전원 전압단(V_BP)에 예컨대, 800V의 배터리 팩의 전압이 인가되더라도 릴레이 회로(11)에는 제1 저항(C_R1)에 의해 전압 강하된 전압이 인가된다.
릴레이 회로(11)는 릴레이 소자(C_RS)와 릴레이 저항(C_RR)을 포함한다. 여기서, 릴레이 소자(C_RS)와 릴레이 저항(C_RR)은 제1 저항(C_R1)과 제2 저항(C_R2) 사이에 병렬 연결되어 구성된다.
릴레이 소자(C_RS)는 도면에 자세히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솔레노이드와 스위치로 구성될 수 있다. 릴레이 소자(C_RS)는 솔레노이드에 발생하는 자력에 기초하여 스위치의 온 또는 오프 동작이 제어될 수 있다. 그리고 릴레이 저항(C_RR)은 릴레이 소자(C_RS)와 병렬 연결된다. 따라서, 릴레이 소자(C_RS)가 오프되는 경우, 릴레이 소자(C_RS) 양단에 인가되는 전압은 릴레이 저항(C_RR)의 양단에 인가되는 전압과 동일하다.
여기서, 릴레이 소자(C_RS)의 일측은 제1 저항(C_R1)에 의해 전압 강하된 전압이 인가되기 때문에 릴레이 소자(C_RS)는 저사양 릴레이 소자로 설계될 수 있다. 그리고 릴레이 소자(C_RS)의 타측은 제1 저항(C_R1) 및 릴레이 저항(C_RR)에 의해 전압 강하된 전압이 인가되기 때문에 릴레이 소자(C_RS)를 저사양 릴레이 소자로 사용하더라도 안정적인 온 또는 오프 동작을 보장받을 수 있다.
제2 저항(C_R2)은 릴레이 회로(11)와 ADC 출력 회로(12) 사이에 연결된다. 제2 저항(C_R2)은 릴레이 회로(11)에 인가되는 전압을 강화 및 분배하기 위한 구성이며, 이후 수학식을 통해 설명하겠지만, 제2 저항(C_R2)을 통해 릴레이 소자(C_RS) 양단에는 보다 안정적인 전압이 인가될 수 있다.
ADC 출력 회로(12)는 제3 저항(R3)과 커패시터(C)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3 저항(R3)과 커패시터(C)는 제2 저항(C_R2)과 접지 전압단(GND) 사이에 병렬 연결되어 구성된다. ADC 출력 회로(12)는 제2 저항(C_R2)을 통해 전달되는 아날로그 전압을 디지털 전압으로 변환하여 배터리 팩의 전압에 대응하는 검출 신호(DET)를 생성한다. ADC 출력 회로(12)의 회로 동작은 이미 공지되어 있기 때문에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릴레이 저항(C_RR)의 저항 값(Rr)은 아래 [수학식 1]을 만족하도록 결정된다.
[수학식 1]
Figure pat00001
[수학식 1]은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ADC 출력 회로(12)를 배제한 수식이다. 여기서, R1, R2는 각각 제1 및 제2 저항(C_R1, C_R2)의 저항 값이고, Vlim은 릴레이 소자(C_RS)의 허용 전압 값이고, Vo는 배터리 팩의 전압 값을 의미한다.
[수학식 1]에서 볼 수 있듯이, 릴레이 소자(C_RS)의 허용 전압 값(Vlim)은 배터리 팩의 전압 값(Vo) 보다 작아야 한다. 이때, 배터리 팩의 전압 값(Vo)은 제1 및 제2 저항(C_R1, C_R2), 릴레이 저항(C_RR) 각각의 저항 값인 R1, R2, Rr에 의해 전압 강하가 이루어진다. 따라서, 배터리 팩의 전압 값(Vo)이 예컨대, 400V에서 800V로 높아지더라도 제1 및 제2 저항(C_R1, C_R2), 릴레이 저항(C_RR) 각각의 저항 값(R1, R2, Rr)을 알맞게 설계하면 릴레이 소자(C_RS)의 허용 전압 값(Vlim)을 만족시킬 수 있다. 여기서, 배터리 팩의 전압 값(Vo)이 800V가 되더라도 릴레이 소자(C_RS)의 허용 전압 값(Vlim)이 만족된다는 것은 저사양의 릴레이 소자(C_RS)를 사용하더라도 높은 전압을 가지는 배터리 팩의 전압(Vo)을 안정적으로 측정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릴레이 소자(C_RS)가 오프되는 경우 릴레이 소자(C_RS)의 일단에는 제1 저항(R1)에 의해 전압 강하된 전압이 인가되고, 릴레이 소자(C_RS) 양단에는 릴레이 저항(C_RR)의 양단에 인가되는 전압과 동일한 전압이 인가된다. 따라서, 릴레이 소자(C_RS)를 저사양으로 사용하더라도 릴레이 소자(C_RS)의 오프 동작을 안정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이러한 구성 및 동작을 통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팩 전압 측정 회로(10)는 릴레이 소자(C_RS)를 저사양으로 사용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해 준다.
다른 한편, 릴레이 저항(C_RR)의 저항 값(Rr)은 아래 [수학식 2]을 만족하도록 결정된다.
[수학식 2]
Figure pat00002
[수학식 2]는 ADC 출력 회로(12)를 포함한 수식이다. 여기서, R1, R2, Rc는 각각 제1 및 제2 저항(C_R1, C_R2)의 저항 값, ADC 출력 회로(12)의 저항 값이고, Vlim은 릴레이 소자(C_RS)의 허용 전압 값이고, Vo는 배터리 팩의 전압 값을 의미한다.
[수학식 2] 역시 [수학식 1]과 마찬가지로 릴레이 소자(C_RS)의 허용 전압 값(Vlim)은 배터리 팩의 전압 값(Vo) 보다 작을 수 있으며, 배터리 팩의 전압 값(Vo)은 제1 및 제2 저항(C_R1, C_R2), ADC 출력 회로(12)의 저항, 및 릴레이 저항(C_RR) 각각의 저항 값인 R1, R2, Rc, Rr에 의해 전압 강하가 이루어진다. 특히, [수학식 2]는 배터리 팩의 전압 값(Vo)을 ADC 출력 회로(12)의 저항 값(Rc)에 의해 더 낮게 제어할 수 있으며, 이는 곧 배터리 팩의 전압 값(Vo)이 더 높아지더라도 릴레이 소자(C_RS)의 허용 전압 값(Vlim)에 포함시킬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팩 전압 측정 회로(10)는 릴레이 소자(C_RS)를 저사양으로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배터리 팩 전압 측정 회로(10)는 보다 낮은 제조 단가로 양산이 가능하다.
도 2는 도 1의 배터리 팩 전압 측정 회로(10)의 동작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배터리 팩 전압 측정 회로(10)의 동작 방법은 배터리 팩 전압을 강하하는 과정(S1), 릴레이 소자의 온 상태를 판단하는 과정(S2), 릴레이 소자 양단의 전압을 설정하는 과정(S3), 및 배터리 팩 전압을 검출하는 과정(S4)을 포함한다.
배터리 팩 전압을 강하하는 과정(S1)은 배터리 팩의 전압을 측정하기 위하여 전원 전압단(V_BP)으로부터 인가되는 배터리 팩 전압을 강하하는 과정이다. 배터리 팩 전압을 강하하는 과정(S1)은 도 1의 제1 내지 제3 저항(C_R1, C_R2, C_R3)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릴레이 소자의 온 상태를 판단하는 과정(S2)은 배터리 팩 전압에 따라 릴레이 소자(C_RS, 도 1 참조)의 온 상태를 판단하는 과정이다. 만약, 릴레이 소자(C_RS)가 오프 상태인 경우(No), 이후 설명될 S3 과정을 수행하고, 릴레이 소자(C_RS)가 온 상태인 경우(Yes), 이후 설명될 S4 과정을 수행한다.
릴레이 소자 양단의 전압을 설정하는 과정(S3)은 판단하는 과정(S2)의 결과에 기초하여 릴레이 소자(C_RS)가 오프 상태인 경우(No) 릴레이 소자(C_RS) 양단의 전압을 릴레이 저항(C_RR) 양단의 전압과 동일하게 설정하는 과정이다. 릴레이 소자 양단의 전압을 설정하는 과정(S3)은 도 1의 릴레이 저항(C_RR)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배터리 팩 전압을 검출하는 과정(S4)은 전원 전압단(V_BP)으로부터 인가되는 아날로그 타입의 배터리 팩 전압을 검출하여 디지털 타입의 검출 신호(DET)로 출력하는 과정이다. 배터리 팩 전압을 검출하는 과정(S4)은 도 1의 ADC 출력 회로(12)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팩 전압 측정 회로(30)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팩 전압 측정 회로(30)는 전압 강하 회로(31), 릴레이 회로(32), 및 ADC 출력 회로(33)를 포함한다. 여기서, 전압 강하 회로(31), 릴레이 회로(32), 및 ADC 출력 회로(33)는 배터리 팩(도시되지 않음)의 전압이 인가되는 전원 전압단(V_BP)과 접지 전압단(GND) 사이에 순차적으로 직렬 연결된다.
전압 강하 회로(31)는 전원 전압단(V_BP)과 릴레이 회로(22) 사이에 연결되며 전원 전압단(V_BP)에 인가되는 전압을 강하하기 위한 구성이다. 전압 강하 회로(31)는 도 1의 제1 저항(C_R1)에 대응될 수 있다. 도 1에서 이미 설명하였듯이, 전압 강하 회로(31)는 제1 저항(C_R1)을 통해 전원 전압단(V_BP)에 인가되는 배터리 팩의 전압을 강하하여 릴레이 회로(32)에 제공한다.
릴레이 회로(32)는 도 1의 릴레이 소자(C_RS)와 릴레이 저항(C_RR)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ADC 출력 회로(33)는 도 1의 제3 저항(C_R3)과 커패시터(C_C)로 구성된다. 릴레이 회로(32)와 ADC 출력 회로(33)의 구성 및 동작은 도 1에서 충분히 설명하였기 때문에 보다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배터리 팩 전압 측정 회로(30)는 릴레이 회로(32)와 ADC 출력 회로(33) 사이에 연결되는 도 1의 제2 저항(C_R2)을 더 포함한다. 도 1에서 설명하였듯이 제2 저항(C_R2)은 릴레이 회로(32)에 인가되는 전압을 강하 및 분배하기 위한 구성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팩 전압 측정 회로(30)는 릴레이 소자(C_RS)를 저사양으로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배터리 팩 전압 측정 회로(30)는 보다 낮은 제조 단가로 양산이 가능하다.
상기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가 특정 용어들을 사용하여 설명 및 도시되었지만 그러한 용어는 오로지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실시 예 및 기술된 용어는 다음의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 및 범위로부터 이탈되지 않고서 여러 가지 변경 및 변화가 가해질 수 있는 것은 자명한 일이다. 이와 같이 변형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 되며, 본 발명의 청구범위 안에 속한다고 해야 할 것이다.
C_R1 : 제1 저항
C_R2 : 제2 저항
C_R3 : 제3 저항
C_RS : 릴레이 소자
C_RR : 릴레이 저항
C_C : 커패시터
10 : 배터리 팩 전압 측정 회로
11 : 릴레이 회로
12 : ADC 출력 회로

Claims (8)

  1. 배터리 팩의 전압이 인가되는 전원 전압단과 접지 전압단 사이에 순차적으로 직렬 연결되는 제1 저항, 릴레이 회로, 제2 저항, 및 ADC 출력 회로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릴레이 회로는,
    릴레이 소자와 릴레이 저항이 병렬 연결되어 구성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팩 전압 측정 회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릴레이 소자가 오프되는 경우, 상기 릴레이 소자 양단에 인가되는 전압은 상기 릴레이 저항의 양단에 인가되는 전압과 동일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팩 전압 측정 회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릴레이 저항의 저항 값 Rr은 아래 [수학식 1]을 만족하도록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팩 전압 측정 회로.
    [수학식 1]
    Figure pat00003

    (여기서, R1, R2는 각각 상기 제1 및 제2 저항의 저항 값, Vlim은 상기 릴레이 소자의 허용 전압 값, Vo는 상기 배터리 팩의 전압 값)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릴레이 저항의 저항 값 Rr은 아래 [수학식 2]를 만족하도록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팩 전압 측정 회로.
    [수학식 2]
    Figure pat00004

    (R1, R2, Rc는 각각 상기 제1 및 제2 저항, 상기 ADC 출력 회로의 저항 값, Vlim은 상기 릴레이 소자의 허용 전압 값, Vo는 상기 배터리 팩의 전압 값)
  5. 배터리 팩의 전압을 측정하기 위하여 인가되는 배터리 팩 전압을 강하하는 과정;
    상기 배터리 팩 전압에 따라 릴레이 소자의 온 상태를 판단하는 과정;
    상기 판단하는 과정의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릴레이 소자 양단의 전압을 릴레이 저항 양단의 전압과 동일하게 설정하는 과정; 및
    상기 배터리 팩 전압을 검출하는 과정;
    을 포함하는 배터리 팩 전압 측정 회로의 동작 방법.
  6. 배터리 팩의 전압이 인가되는 전원 전압단과 접지 전압단 사이에 순차적으로 직렬 연결되는 전압 강하 회로, 릴레이 회로, 및 ADC 출력 회로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릴레이 회로는,
    릴레이 소자와 릴레이 저항이 병렬 연결되어 구성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팩 전압 측정 회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전압 강하 회로는,
    상기 전원 전압단과 상기 릴레이 회로 사이에 연결되며, 상기 전원 전압단에 인가되는 전압을 강하하는 저항;
    을 포함하는 배터리 팩 전압 측정 회로.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릴레이 회로와 상기 ADC 출력 회로 사이에 연결되며, 상기 릴레이 회로에 인가되는 전압을 강하 및 분배하는 저항;
    을 더 포함하는 배터리 팩 전압 측정 회로.
KR1020210148907A 2021-11-02 2021-11-02 배터리 팩 전압 측정 회로와 그의 동작 방법 KR20230063642A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48907A KR20230063642A (ko) 2021-11-02 2021-11-02 배터리 팩 전압 측정 회로와 그의 동작 방법
JP2023570147A JP2024519783A (ja) 2021-11-02 2022-10-28 バッテリーパック電圧測定回路とその動作方法
PCT/KR2022/016677 WO2023080559A1 (ko) 2021-11-02 2022-10-28 배터리 팩 전압 측정 회로와 그의 동작 방법
CN202280033889.6A CN117280227A (zh) 2021-11-02 2022-10-28 电池组电压测量电路及其操作方法
EP22890292.0A EP4318006A1 (en) 2021-11-02 2022-10-28 Battery pack voltage measurement circuit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48907A KR20230063642A (ko) 2021-11-02 2021-11-02 배터리 팩 전압 측정 회로와 그의 동작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63642A true KR20230063642A (ko) 2023-05-09

Family

ID=862417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48907A KR20230063642A (ko) 2021-11-02 2021-11-02 배터리 팩 전압 측정 회로와 그의 동작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EP (1) EP4318006A1 (ko)
JP (1) JP2024519783A (ko)
KR (1) KR20230063642A (ko)
CN (1) CN117280227A (ko)
WO (1) WO2023080559A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385640B2 (ja) 2003-04-25 2009-12-16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異常検出装置及び異常検出方法
KR101211055B1 (ko) 2009-12-10 2012-12-18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동작 범위가 넓은 전자식 전력량계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211055A (ja) 1988-02-18 1989-08-24 Pfu Ltd 記憶内容リセット制御方式
JP2012018037A (ja) * 2010-07-07 2012-01-26 Nec Energy Devices Ltd 電圧測定回路及び方法
KR20130068986A (ko) * 2011-12-16 2013-06-26 (주)브이이엔에스 전기 자동차의 고 전압 측정장치
KR20170014962A (ko) * 2015-07-31 2017-02-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배터리 관리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KR102051177B1 (ko) * 2016-10-19 2019-12-17 주식회사 엘지화학 전압 분배를 이용한 스위치 진단 장치 및 방법
KR20210104458A (ko) * 2020-02-17 2021-08-25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배터리 장치 및 전류 센서 진단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385640B2 (ja) 2003-04-25 2009-12-16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異常検出装置及び異常検出方法
KR101211055B1 (ko) 2009-12-10 2012-12-18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동작 범위가 넓은 전자식 전력량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4519783A (ja) 2024-05-21
WO2023080559A1 (ko) 2023-05-11
EP4318006A1 (en) 2024-02-07
CN117280227A (zh) 2023-12-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64194B1 (ko) 셀프 테스트 기능을 갖는 전류 센서
JP4241787B2 (ja) 組電池総電圧検出およびリーク検出装置
JP5274110B2 (ja) 車両用の電源装置
EP2105753A1 (en) Assembled battery total voltage detection circuit
US20120046892A1 (en) Determination of the internal resistance of a battery cell of a traction battery while using inductive cell balancing
US20090309545A1 (en) Voltage Detecting Device Of Assembled Battery And Assembled Battery System Comprising Same
JP2008295299A5 (ko)
US10353013B2 (en) Voltage detection device, voltage detection method, abnormality determination device, abnormality determination method, and battery pack system
US7492160B2 (en) Device and method for measuring individual cell voltages in a cell stack of an energy accumulator
WO2018089763A2 (en) Systems and processes for assessing electrochemical cell quality
US20090237085A1 (en) Voltage detection circuit
JPH11113182A (ja) 電池電圧測定装置
JP2008547008A (ja) 自動車アキュムレータ用のバッテリー状態検出方法および装置
US20110101958A1 (en) Current sensor
JP4158352B2 (ja) 組電池電圧検出装置
KR20230063642A (ko) 배터리 팩 전압 측정 회로와 그의 동작 방법
WO1990009598A1 (de) Vorrichtung zur überwachung und anzeige einer bestimmten mindest-energiereserve von batterien
US11287482B2 (en) Dual-voltage battery with current sensors, and calibration method for the same
JP4566964B2 (ja) 総電池電圧検出装置
WO2018047725A1 (ja) 検出回路及び蓄電パック
EP2136219A2 (en) Voltage detecting device of assembled battery and assembled battery system comprising same
JP7287837B2 (ja) 電池制御装置、電池パック
JP2002017040A (ja) 二次電池の保護回路
CN101135718B (zh) 一种驱动器电路
JP4256837B2 (ja) 電圧測定装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