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63091A - 넥밴드형 세균 및 바이러스성 질병 치료 장치 - Google Patents

넥밴드형 세균 및 바이러스성 질병 치료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63091A
KR20230063091A KR1020210147957A KR20210147957A KR20230063091A KR 20230063091 A KR20230063091 A KR 20230063091A KR 1020210147957 A KR1020210147957 A KR 1020210147957A KR 20210147957 A KR20210147957 A KR 20210147957A KR 20230063091 A KR20230063091 A KR 202300630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rus
electrical stimulation
neckband
treatment device
viral dise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479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700424B1 (ko
Inventor
연성찬
Original Assignee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101479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700424B1/ko
Publication of KR202300630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630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7004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7004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61N1/36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stimulation
    • A61N1/36014External stimulators, e.g. with patch electro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1Measuring temperature of body parts ; Diagnostic temperature sensing, e.g. for malignant or inflamed tissu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0005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for pharmaceuticals, biologicals or living parts
    • A61L2/0011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for pharmaceuticals, biologicals or living parts using physical metho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02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2/03Electric curr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02Details
    • A61N1/04Electrodes
    • A61N1/0404Electrodes for external use
    • A61N1/0472Structure-related aspects
    • A61N1/0476Array electrodes (including any electrode arrangement with more than one electrode for at least one of the polariti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61N1/321Electromedical bel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61N1/36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stimulation
    • A61N1/36014External stimulators, e.g. with patch electrodes
    • A61N1/3603Control systems
    • A61N1/36031Control systems using physiological parameters for adjustme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5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in human health protection, e.g. against extreme weather
    • Y02A50/30Against vector-borne diseases, e.g. mosquito-borne, fly-borne, tick-borne or waterborne diseases whose impact is exacerbated by climate chang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Biophysic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ath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Surgery (AREA)
  • Physiology (AREA)
  • Electrotherapy Devices (AREA)

Abstract

넥밴드형 세균 및 바이러스성 질병 치료 장치가 개시된다. 일 실시예에 따른 넥밴드형 세균 및 바이러스성 질병 치료 장치는, 상이한 주파수의 전기자극을 순차적으로 생성하는 전기자극 생성부; 사용자의 목에 착용되는 밴드부; 및 상기 밴드부의 내주면에 배치되고, 세균성 질병 또는 바이러스성 질병을 가진 사용자의 목에 접촉하여 상기 생성된 상이한 주파수의 전기자극을 상기 사용자의 목에 순차적으로 가해주는 전극부; 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넥밴드형 세균 및 바이러스성 질병 치료 장치{Neckband-type bacterial and viral disease treatment device}
전기자극을 이용하여 세균 및 바이러스성 질병을 치료하는 넥밴드형 장치와 관련된다.
바이러스는 DNA 또는 RNA로 이루어진 유전 물질과 단백질로 이루어진 감염체를 말한다. 크기는 종류에 따라 다르지만, 보통 10~1000nm 사이이다. 스스로 신진대사를 할 수 없기 때문에 자신의 DNA 또는 RNA를 세균, 동물, 식물과 같은 숙주 세포 안에 침투시킨 후 숙주 세포의 소기관을 이용하여 이들을 복제하고, 자신과 같은 바이러스들을 생산하며, 이로 인해 대개 숙주 세포는 파괴된다.
인간의 방어력(면역반응)에도 불구하고, 세균이나 바이러스의 경우 변이 속도가 현저히 빨라 신규의 세균과 바이러스가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으며, 이로부터 말미암은 질병을 치료하기 위한 치료제 및 백신의 개발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백신의 개발까지는 보존적 치료를 수행할 수밖에 없으며, 이에 따른 많은 사상자가 발생하기도 한다. 따라서, 전류, 전압, 주파수, 파형, 통전시간 등의 특이적 조합을 이용하여 체내로 침입한 세균과 바이러스를 1차적으로 사멸 또는 감소시킬 수 있는 치료장치의 필요성이 커지고 있다.
등록특허공보 제10-1061009호(2011.08.25.)
전기자극을 이용하여 세균 및 바이러스성 질병을 치료하는 넥밴드형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일 양상에 따른 넥밴드형 세균 및 바이러스성 질병 치료 장치는, 상이한 주파수의 전기자극을 순차적으로 생성하는 전기자극 생성부; 사용자의 목에 착용되는 밴드부; 및 상기 밴드부의 내주면에 배치되고, 세균성 질병 또는 바이러스성 질병을 가진 사용자의 목에 접촉하여 상기 생성된 상이한 주파수의 전기자극을 상기 사용자의 목에 순차적으로 가해주는 전극부; 를 포함한다.
상기 전극부는, 제1 미주신경 쪽 피부에 접촉하는 제1 전극; 및 제2 미주신경 쪽 피부에 접촉하는 제2 전극; 을 포함한다.
상기 넥밴드형 세균 및 바이러스성 질병 치료 장치는 상기 밴드부에 연결되는 펜던트;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전기자극 생성부는 상기 펜던트에 배치된다.
상기 전기자극 생성부는 상기 밴드부의 뒷목쪽 외주면에 배치된다.
상기 세균성 질병 또는 바이러스성 질병은 비염을 포함한다.
상기 전기자극은 전압 또는 전류를 포함하고, 상기 전압은 0 초과 300V 이하이고, 상기 전류는 0 초과 20mA이하이고, 상기 전기자극의 주파수는 1Hz 이상 100GHz 이하이고, 각 주파수의 지속시간은 1분 이상 20분 이하이고, 전기자극의 파형은 직류, 교류 및 맥동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조합이다.
상기 전기자극 생성부는 기 저장된 주파수 리스트를 참조하여 상기 상이한 주파수의 전기자극을 순차적으로 생성한다.
상기 넥밴드형 세균 및 바이러스성 질병 치료 장치는 상기 밴드부의 내주면에 배치되어 상기 사용자 목의 온도 또는 습도를 측정하는 센서부; 를 더 포함한다.
상기 넥밴드형 세균 및 바이러스성 질병 치료 장치는 상기 측정된 온도 또는 습도가 설정된 레벨 이상이면 상기 전기자극 생성부의 동작을 중지시키는 제어부; 를 더 포함한다.
상기 세균성 질병은 폐렴균, 화농균, 임질균, 브루셀라균, 대장균, 결핵균, 장티푸스균, 콜레라균, 매독균, 황색포도상구균, 포도상구균 및 살모넬라균 중 어느 하나로부터 기인하는 질병을 포함한다.
상기 바이러스성 질병은 인유두종 바이러스, 에볼라 바이러스, 코로나 바이러스, 사스 바이러스, 홍역바이러스, 인간면역결핍 바이러스(HIV), 일본 뇌염 바이러스, A,B,C형 간염 바이러스, 포진바이러스, 광견병 바이러스,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리노 바이러스, 호흡기세포융합바이러스, 독감 바이러스, 지카바이러스, 웨스트나일 바이러스, 천연두 바이러스 및 소아마비 바이러스 중 어느 하나로부터 기인하는 질병을 포함한다.
세균성 질병 또는 바이러스성 질병을 가진 사용자의 목에 상이한 주파수의 전기자극을 순차적으로 가해줌으로써, 사용자의 체내로 침입한 세균과 바이러스를 사멸 또는 감소시킬 수 있다.
목 부분의 중요 신경에 효율적으로 상이한 주파수 대역의 미세전류를 순차적으로 전달함으로써 세균성 질병 및 바이러스성 질병을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치료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는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넥밴드형 세균 및 바이러스성 질병 치료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넥밴드형 세균 및 바이러스성 질병 치료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4은 실험예 1에 따라 실험한 결과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한편, 각 단계들에 있어, 각 단계들은 문맥상 명백하게 특정 순서를 기재하지 않은 이상 명기된 순서와 다르게 일어날 수 있다. 즉, 각 단계들은 명기된 순서와 동일하게 수행될 수 있고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으며 반대의 순서대로 수행될 수도 있다.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요소들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고,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의 구성부들에 대한 구분은 각 구성부가 담당하는 주 기능별로 구분한 것에 불과하다. 즉, 2개 이상의 구성부가 하나의 구성부로 합쳐지거나 또는 하나의 구성부가 보다 세분화된 기능별로 2개 이상으로 분화되어 구비될 수도 있다. 그리고 구성부 각각은 자신이 담당하는 주기능 이외에도 다른 구성부가 담당하는 기능 중 일부 또는 전부의 기능을 추가적으로 수행할 수도 있으며, 구성부 각각이 담당하는 주기능 중 일부 기능이 다른 구성부에 의해 전담되어 수행될 수도 있다. 각 구성부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는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넥밴드형 세균 및 바이러스성 질병 치료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넥밴드형 세균 및 바이러스성 질병 치료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넥밴드형 세균 및 바이러스성 질병 치료 장치(100)(이하, 질병 치료 장치)는 밴드부(110), 본체부(120) 및 전극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밴드부(110)는 사용자의 목에 착용되어 사용자 목에 접촉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형태, 예컨대, 넥밴드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시적 실시예에 따르면 밴드부(110)는 사용자의 착용이 용이하도록 신축성 있는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밴드부(110)는 사용자의 목을 감싼 상태에서 길이 조절을 할 수 있는 단추, 버클, 벨크로 등과 같은 길이조절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 실시예에 따르면 밴드부(110)는 착용시 피부 자극을 경감시킬 수 있도록 쿠션 기능을 할 수 있는 별도의 쿠션 소재를 포함할 수 있다. 쿠션 소재를 통해 사용자는 밴드부(110)를 불편함 없이 장기간 착용할 수 있다.
전극부(130)는 밴드부(110)의 내주면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극부(130)는 밴드부(110)의 내주면에서 사용자의 목을 향해 노출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가 밴드부(110)를 착용하면 자연스럽게 전극부(130)가 사용자의 목에 접촉할 수 있다.
예시적 실시예에 따르면, 전극부(130)는 사용자가 밴드부(110)를 착용하면 자연스럽게 사용자의 미주신경(vagus nerve) 쪽 피부에 접촉할 수 있도록 배치될 수 있다.
예시적 실시예에 따르면, 전극부(130)는 사용자의 서로 다른 피부 영역에 접촉하는 복수의 전극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극부(130)는 제1 미주신경 쪽 피부에 접촉하는 제1 전극(131) 및 제2 미주신경 쪽 피부에 접촉하는 제2 전극(132)을 포함할 수 있다. 각 전극(131, 132)은 전기가 흐를 수 있는 도전성 소재, 예컨대, 전도성 섬유, 전도성 금속, 전도성 고무 및 전도성 플라스틱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전극부(130)는 세균성 질병 또는 바이러스성 질병을 가진 사용자의 목에 접촉하여 사용자의 목에 전기자극을 가해줄 수 있다. 여기서 전기자극은 전압 또는 전류를 포함하며, 전기자극을 통해 사용자의 목에 1000㎂ 미만의 미세전류를 전달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목을 통해 미주신경(vagus nerve), 횡격신경(phrenic nerve), 삼차신경(trigeminal nerve)에 미세전류를 전달할 수 있다.
세균성 질병 또는 바이러스성 질병은 비염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세균성 질병은 예를 들어, 폐렴균, 화농균, 임질균, 브루셀라균, 대장균, 결핵균, 장티푸스균, 콜레라균, 매독균, 황색포도상구균, 포도상구균 및 살모넬라균 등으로부터 기인하는 질병을 포함하며, 바이러스성 질병은 예를 들어, 인유두종 바이러스, 에볼라 바이러스, 코로나 바이러스, 사스 바이러스, 홍역바이러스, 인간면역결핍 바이러스(HIV), 일본 뇌염 바이러스, A,B,C형 간염 바이러스, 포진바이러스, 광견병 바이러스,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리노(Rhino) 바이러스, 호흡기세포융합바이러스(respitatory syncytial virus, RSV), 독감 바이러스, 지카바이러스, 웨스트나일 바이러스, 천연두 바이러스 및 소아마비 바이러스 등으로부터 기인하는 질병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인유두종 바이러스는 예를 들어. HPV 6형, HPV 11형, HPV 16형, HPV 18형, HPV 31형, HPV 33형, HPV 45형, HPV 52형 및 HPV 58형 등을 포함하며, 코로나 바이러스는 예를 들어, SARS-CoV, MERS-CoV, SARS-CoV-2 및 SARS-like-CoV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체부(120)는 전기자극 생성부(210) 및 제어부(220)를 포함할 수 있다.
전기자극 생성부(210)는 제어부(220)의 제어에 따라 상이한 주파수의 전기자극을 순차적으로 생성하여 전극부(130)에 전달할 수 있다. 이때, 전압은 0 초과 300V 이하이고, 전류는 0 초과 20mA 이하이고, 주파수는 1Hz 이상 100GHz 이하이고, 각 주파수의 지속시간은 1분 이상 20분 이하일 수 있다. 전기자극의 파형은 직류, 교류, 맥동 (단상형(monophasic) 또는 양상형(biphasic))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조합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기자극 생성부(210)는 기 저장된 주파수 리스트를 이용할 수 있다. 이 경우, 전기자극 생성부(210)는 주파수 리스트 내의 각 주파수의 전기자극을 순차적으로 반복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3개의 주파수(제1 주파수 내지 제3 주파수)가 주파수 리스트에 등록되어 있고 각 주파수의 전기자극 지속시간이 1분이라고 가정한다. 이 경우, 전기자극 생성부(210)는 제1 주파수의 전기자극을 1분 동안 생성하여 전극부(130)에 전달하고, 그 다음 제2 주파수의 전기자극을 1분 동안 생성하여 전극부(130)에 전달하고, 그 다음 제3 주파수의 전기자극을 1분 동안 생성하여 전극부(130)에 전달하고, 그 다음 다시 제1 주파수의 전기자극을 1분 동안 생성하여 전극부(130)에 전달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주파수 리스트 내의 각 주파수의 전기자극을 순차적으로 반복 생성하여 전극부(130)를 통해 사용자에게 가해줄 수 있다.
한편, 전기자극 생성부(210)는 본체부(120)의 내부 또는 외부에 구비된 전원 또는 배터리를 이용하여 전기자극을 생성할 수 있다.
제어부(220)는 본체부(12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20)는 본체부(120)에서 수행되는 다양한 연산들을 수행하고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다. 이와 더불어 제어부(220)는 본체부(120)를 구동하기 위한 운영 체제(Operating System; OS),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 등을 구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220)는 사용자의 명령 또는 소정의 이벤트가 발생하면, 전기자극 생성부(210)를 제어하여 상이한 주파수의 전기자극을 순차적으로 생성하여 전극부(130)에 전달할 수 있다.
예시적 실시예에 따르면, 본체부(120)는 밴드부(110)의 외주면(예컨대, 뒷목쪽 외주면)에 배치되거나(도 1 참조), 밴드부(100)에 연결되는 펜던트(140)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도 2 참조). 그러나 이는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 본체부(120)의 배치 위치는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본체부(120)는 입력부(230), 저장부(240), 통신부(250) 및 출력부(2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230)는 사용자로부터 다양한 조작신호 및 정보를 입력 받을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입력부(230)는 키 패드(key pad), 돔 스위치(dome switch), 터치 패드(touch pad), 조그 휠(Jog wheel), 조그 스위치(Jog switch), H/W 버튼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특히, 터치 패드가 디스플레이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룰 경우, 이를 터치 스크린이라 부를 수 있다.
저장부(240)는 본체부(120)의 동작을 위한 프로그램 또는 명령들을 저장할 수 있고, 본체부(120)에 입/출력되는 데이터 및 처리된 데이터 등을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저장부(240)는 세균성 질병 또는 바이러스성 질병 치료에 이용되는 전기자극의 생성에 필요한 정보 예컨대, 전압 크기, 전류 크기, 주파수 리스트, 각 주파수의 지속시간, 전기자극 파형(예컨대, 직류, 교류, 맥동(단상형(monophasic) 또는 양상형(biphasic) 등) 등을 저장할 수 있다.
저장부(24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 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컨대,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 Only Memory,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등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체부(120)는 인터넷 상에서 저장부(240)의 저장 기능을 수행하는 웹 스토리지(web storage) 등 외부 저장 매체를 운영할 수도 있다.
통신부(250)는 외부 장치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예컨대, 통신부(250)는 본체부(120)에 입력된 데이터, 저장된 데이터, 처리된 데이터 등을 외부 장치로 전송하거나, 외부 장치로부터 세균성 질병 또는 바이러스성 질병 치료에 이용될 다양한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통신부(250)는 유무선 통신 기술을 이용하여 외부 장치와 통신할 수 있다. 이때 무선 통신 기술은 블루투스(bluetooth) 통신, BLE(Bluetooth Low Energy) 통신, 근거리 무선 통신(Near Field Communication, NFC), WLAN 통신, 지그비(Zigbee) 통신, 적외선(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통신, WFD(Wi-Fi Direct) 통신, UWB(ultra-wideband) 통신, Ant+ 통신, WIFI 통신,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통신, 3G 통신, 4G 통신 및 5G 통신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는 일 예에 불과할 뿐이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출력부(260)는 본체부(120)에 입력된 데이터, 저장된 데이터, 처리된 데이터 등을 출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출력부(260)는 사용자에게 가해지는 전기자극 정보(예컨대, 전압 크기, 전류 크기, 주파수, 각 주파수의 지속시간, 파형) 등을 청각적 방법, 시각적 방법 및 촉각적 방법 중 적어도 하나의 방법으로 출력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출력부(260)는 디스플레이, 스피커, 진동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질병 치료 장치(100)는 제1 센서부(150) 및 제2 센서부(1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센서부(150)는 사용자 피부의 환경 정보를 측정할 수 있다. 여기서, 환경 정보는 온도 및 습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1 센서부(150)는 온도 센서 및 습도 센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전극부(130)가 사용자 신체 표면 즉, 피부에 장기간 접촉되면, 피부 온도가 상승하거나 피부에 땀이 배출되어 원하는 미세전류가 사용자 신체에 제대로 전달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220)는 사용자 신체에서 열과 땀이 발생하여 제1 센서부(150)에서 측정된 온도 및 습도 중 적어도 하나가 설정된 레벨 이상이면, 전기자극 생성부(210)의 동작을 중지하거나, 출력부(260)를 통해 제1 센서부(150)의 측정값이 설정된 레벨 이상이라는 것을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다.
제2 센서부(160)는 사용자 신체에 접촉하여 생체 신호를 측정할 수 있다. 여기서 생체 신호는 체온, 심박, 맥박, 혈압, 심전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2 센서부(160)는 체온 센서, 심박 센서, 맥박 센서, 혈압 센서 및 심전도 센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센서부(160)에서 측정된 사용자의 생체 신호는 통신부(250)를 통해 외부 장치로 전송되어. 사용자의 건강 상태 모니터링을 위해 이용될 수 있다.
제1 센서부(150) 및 제2 센서부(160)는 밴드부(110)의 내주면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센서부(150) 및 제2 센서부(160)는 밴드부(110)의 내주면에서 사용자의 목을 향해 노출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가 밴드부(110)를 착용하면 자연스럽게 제1 센서부(150) 및 제2 센서부(160)가 사용자의 목에 접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질병 치료 장치(100)에 따르면, 목 부분의 중요 신경에 효율적으로 상이한 주파수 대역의 미세전류를 순차적으로 전달함으로써 세균 및 바이러스를 효과적으로 사멸시킬 수 있으므로 세균성 질병 및 바이러스성 질병을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치료할 수 있다.
[실험예 1]
E. coli 균주를 overnight culture하고, Colony를 PBS(phosphate buffer saline)에 부유시켜 OD600 = 0.5로 맞추고, 2개의 플레이트(plate)(제1 및 제2 플레이트)에 2㎖씩 분주하였다.
제1 플레이트에는 아무런 전기자극을 가해주지 않고, 제2 플레이트에는 아래 조건의 전기자극을 70분 동안 가해주었다.
-조건-
(1) 전압은 0 초과 14V 이하, (2) 주파수는 하기 표 1의 주파수 리스트 참조, (3) 각 주파수의 지속시간은 1분, (4) 파형은 단상형 맥동파
순서 주파수 (Hz)
1 145.9
2 165.7
3 331.4
4 437.6
5 497.1
6 583.5
7 662.7
8 1167.0
9 1312.8
10 1325.5
각 플레이트의 샘플을 수확하여 0.45% saline에서 10진 희석하고, 희석된 샘플을 TSA(Tryptone soy media) 배지에서 overnight culture하고 Colony 숫자를 세어 ㎖당 cfu(colony forming units)를 계산한 결과 도 4의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도 4를 참조하면, 전기자극을 가해주는 경우(J1)가 전기자극을 가해주지 않는 경우(Control)에 대비하여 E. coli 균이 크게 감소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실험예 2] - 바이러스 역가 (virus titers) 측정
대상 바이러스로는 피코로나바이러스(엔테로바이러스)를 사용하였고, 바이러스 역가는 50% 조직배양 감염량(TCID50)을 산출하여 나타내었다.
실험예 1과 동일 조건의 전기자극을 60분 동안 가해주어 하기 표 2를 획득할 수 있었다. 이를 참조하면, 전기자극을 가해주는 경우(C1)가 전기자극을 가해주지 않은 경우(Control)에 대비하여 Log10 TCID50/ml 값이 크게 감소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PEV titers (Log10 TCID50/ml)
C1 1.5
Control 5.5
[실험예 3] - 비염 효과 검증
실험예 1과 동일 조건의 전기자극을 40분 동안 10명의 비염 환자에게 가해주고 각 비염 환자로부터 비염을 느끼는 강도의 변화를 확인한 결과 하기 표 3을 획득할 수 있었다. 이를 참조하면, 전기자극을 가해주면 비염 증상이 완화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하기 표 3에서 비염을 느끼는 강도는 11단계(0~10)이며, 숫자가 클수록 비염이 심함을 의미함)
비염을 느끼는 강도
실험전 실험후
환자1 8 2
환자2 4 2
환자3 7 3
환자4 7 4
환자5 9 3
환자6 8 3
환자7 5 3
환자8 9 3
환자9 4 3
환자10 4 2
상술한 실시예들은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디스크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 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 작성되고 실행될 수 있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특허 청구범위에 기재된 내용과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다양한 실시 형태가 포함되도록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질병 치료 장치
110: 밴드부
120: 본체부
130: 전극부
140: 펜던트
150: 제1 센서부
160: 제2 센서부
210: 전기자극 생성부
220: 제어부
230: 입력부
240: 저장부
250: 통신부
260: 출력부

Claims (11)

  1. 상이한 주파수의 전기자극을 순차적으로 생성하는 전기자극 생성부;
    사용자의 목에 착용되는 밴드부; 및
    상기 밴드부의 내주면에 배치되고, 세균성 질병 또는 바이러스성 질병을 가진 사용자의 목에 접촉하여 상기 생성된 상이한 주파수의 전기자극을 상기 사용자의 목에 순차적으로 가해주는 전극부; 를 포함하는,
    넥밴드형 세균 및 바이러스성 질병 치료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부는,
    제1 미주신경 쪽 피부에 접촉하는 제1 전극; 및
    제2 미주신경 쪽 피부에 접촉하는 제2 전극; 을 포함하는,
    넥밴드형 세균 및 바이러스성 질병 치료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밴드부에 연결되는 펜던트;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전기자극 생성부는 상기 펜던트에 배치되는,
    넥밴드형 세균 및 바이러스성 질병 치료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자극 생성부는 상기 밴드부의 뒷목쪽 외주면에 배치되는,
    넥밴드형 세균 및 바이러스성 질병 치료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세균성 질병 또는 바이러스성 질병은 비염을 포함하는,
    넥밴드형 세균 및 바이러스성 질병 치료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자극은 전압 또는 전류를 포함하고, 상기 전압은 0 초과 300V 이하이고, 상기 전류는 0 초과 20mA이하이고, 상기 전기자극의 주파수는 1Hz 이상 100GHz 이하이고, 각 주파수의 지속시간은 1분 이상 20분 이하이고, 전기자극의 파형은 직류, 교류 및 맥동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조합인,
    넥밴드형 세균 및 바이러스성 질병 치료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자극 생성부는 기 저장된 주파수 리스트를 참조하여 상기 상이한 주파수의 전기자극을 순차적으로 생성하는,
    넥밴드형 세균 및 바이러스성 질병 치료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밴드부의 내주면에 배치되어 상기 사용자 목의 온도 또는 습도를 측정하는 센서부; 를 더 포함하는,
    넥밴드형 세균 및 바이러스성 질병 치료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된 온도 또는 습도가 설정된 레벨 이상이면 상기 전기자극 생성부의 동작을 중지시키는 제어부; 를 더 포함하는,
    넥밴드형 세균 및 바이러스성 질병 치료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세균성 질병은 폐렴균, 화농균, 임질균, 브루셀라균, 대장균, 결핵균, 장티푸스균, 콜레라균, 매독균, 황색포도상구균, 포도상구균 및 살모넬라균 중 어느 하나로부터 기인하는 질병을 포함하는,
    넥밴드형 세균 및 바이러스성 질병 치료 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러스성 질병은 인유두종 바이러스, 에볼라 바이러스, 코로나 바이러스, 사스 바이러스, 홍역바이러스, 인간면역결핍 바이러스(HIV), 일본 뇌염 바이러스, A,B,C형 간염 바이러스, 포진바이러스, 광견병 바이러스,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리노 바이러스, 호흡기세포융합바이러스, 독감 바이러스, 지카바이러스, 웨스트나일 바이러스, 천연두 바이러스 및 소아마비 바이러스 중 어느 하나로부터 기인하는 질병을 포함하는,
    넥밴드형 세균 및 바이러스성 질병 치료 장치.
KR1020210147957A 2021-11-01 2021-11-01 넥밴드형 세균 및 바이러스성 질병 관리 장치 KR1027004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47957A KR102700424B1 (ko) 2021-11-01 2021-11-01 넥밴드형 세균 및 바이러스성 질병 관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47957A KR102700424B1 (ko) 2021-11-01 2021-11-01 넥밴드형 세균 및 바이러스성 질병 관리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63091A true KR20230063091A (ko) 2023-05-09
KR102700424B1 KR102700424B1 (ko) 2024-08-28

Family

ID=864086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47957A KR102700424B1 (ko) 2021-11-01 2021-11-01 넥밴드형 세균 및 바이러스성 질병 관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700424B1 (ko)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33737A (ko) * 2003-06-24 2006-04-19 헬소닉스 인코포레이티드 생체전기자극, 치료가속화, 통증감소, 또는 병원체탈활화용 장치 및 방법
JP2008525102A (ja) * 2004-12-27 2008-07-17 ノース ショア−ロング アイランド ジューウィッシュ リサーチ インスティテュート 電気的な迷走神経刺激による炎症性障害の処置
KR100930274B1 (ko) * 2008-12-31 2009-12-09 주식회사 넷블루 연골재생치료를 위한 압전센서를 이용하는 전기자극 장치
KR101061009B1 (ko) 2008-07-23 2011-09-01 경상대학교산학협력단 바이러스 진단 방법 및 시스템
JP2017533752A (ja) * 2014-10-31 2017-11-16 アヴェント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非侵襲性神経刺激のシステム及び非侵襲性神経刺激の方法
KR20170139938A (ko) * 2016-06-10 2017-12-20 주식회사 웨이전스 전기 자극 인가 기능의 머리 밴드
KR20180072666A (ko) * 2015-08-26 2018-06-29 바이오셀프 테크놀로지 엘티디 휴식을 돕는 장치
JP2019517381A (ja) * 2016-06-10 2019-06-24 チャクマク, ユスフ オズギュルCAKMAK, Yusuf Ozgur 外耳道の神経支配用電気刺激装置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33737A (ko) * 2003-06-24 2006-04-19 헬소닉스 인코포레이티드 생체전기자극, 치료가속화, 통증감소, 또는 병원체탈활화용 장치 및 방법
JP2008525102A (ja) * 2004-12-27 2008-07-17 ノース ショア−ロング アイランド ジューウィッシュ リサーチ インスティテュート 電気的な迷走神経刺激による炎症性障害の処置
KR101061009B1 (ko) 2008-07-23 2011-09-01 경상대학교산학협력단 바이러스 진단 방법 및 시스템
KR100930274B1 (ko) * 2008-12-31 2009-12-09 주식회사 넷블루 연골재생치료를 위한 압전센서를 이용하는 전기자극 장치
JP2017533752A (ja) * 2014-10-31 2017-11-16 アヴェント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非侵襲性神経刺激のシステム及び非侵襲性神経刺激の方法
KR20180072666A (ko) * 2015-08-26 2018-06-29 바이오셀프 테크놀로지 엘티디 휴식을 돕는 장치
KR20170139938A (ko) * 2016-06-10 2017-12-20 주식회사 웨이전스 전기 자극 인가 기능의 머리 밴드
JP2019517381A (ja) * 2016-06-10 2019-06-24 チャクマク, ユスフ オズギュルCAKMAK, Yusuf Ozgur 外耳道の神経支配用電気刺激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700424B1 (ko) 2024-08-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633595B2 (en) System for variably configurable, adaptable electrode arrays and effectuating software
EP3517159B1 (en) Brain stimulating device and use thereof
US10363410B2 (en) Providing life support
US11439823B2 (en) Microcurrent-stimulation-therapy apparatus and method
CA2981044A1 (en) Ear stimulation method and system
KR20160039575A (ko) 국부 신경 자극
CN104363959A (zh) 在现场启动并监视中风患者治疗的便携式设备
EP2914341A1 (en) Non-invasive lung pacing
US10589115B2 (en) Inner ear therapy device and method for operating inner ear therapy device
US11058349B2 (en) Non-invasive handling of sleep apnea, snoring and emergency situations
CN105472498A (zh) 医用智能睡眠耳机及其构成的睡眠监控系统和实现方法
US12070304B2 (en) System and method for diagnosis, monitoring, and treatment of obstructive sleep apnea
KR20230063091A (ko) 넥밴드형 세균 및 바이러스성 질병 치료 장치
Ali et al. Smart pillow: Sleep apnea monitoring & minimization device
US20240170162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treating patients with diseases associated with viruses
KR102683044B1 (ko) 전기자극을 이용한 세균 및 바이러스성 질병 치료 장치
KR102683045B1 (ko) 전기자극을 이용한 세균 및 바이러스성 질병 치료 방법
CN106725539A (zh) 一种实现头盔感知和调节人体生理特征的方法
KR20210146776A (ko) 전기자극을 이용한 세균 및 바이러스성 질병 치료 방법
KR20210146775A (ko) 전기자극을 이용한 세균 및 바이러스성 질병 치료 장치
US9042992B2 (en) Protecting airways
US9079009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eatment of pathogens including viruses and bacteria
KR20240053313A (ko) 질 질환 치료 및 질 분비물 채취 장치
JP2020089695A (ja) ダウンロードによるアプリケーションを用いた遠隔低周波治療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