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62502A - 해체 원전의 사용후 연료 건식 저장조 - Google Patents

해체 원전의 사용후 연료 건식 저장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62502A
KR20230062502A KR1020230053617A KR20230053617A KR20230062502A KR 20230062502 A KR20230062502 A KR 20230062502A KR 1020230053617 A KR1020230053617 A KR 1020230053617A KR 20230053617 A KR20230053617 A KR 20230053617A KR 20230062502 A KR20230062502 A KR 202300625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ent fuel
storage tank
dry
dry storage
power pla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536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훤기
이제호
이창협
신정환
지현구
Original Assignee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300536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62502A/ko
Publication of KR202300625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6250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21NUCLEAR PHYSICS; NUCLEAR ENGINEERING
    • G21CNUCLEAR REACTORS
    • G21C19/00Arrangements for treating, for handling, or for facilitating the handling of, fuel or other materials which are used within the reactor, e.g. within its pressure vessel
    • G21C19/02Details of handling arrangements
    • G21C19/06Magazines for holding fuel elements or control elements
    • G21C19/07Storage racks; Storage pools
    • GPHYSICS
    • G21NUCLEAR PHYSICS; NUCLEAR ENGINEERING
    • G21CNUCLEAR REACTORS
    • G21C19/00Arrangements for treating, for handling, or for facilitating the handling of, fuel or other materials which are used within the reactor, e.g. within its pressure vessel
    • G21C19/02Details of handling arrangements
    • G21C19/04Means for controlling flow of coolant over objects being handled; Means for controlling flow of coolant through channel being serviced, e.g. for preventing "blow-out"
    • GPHYSICS
    • G21NUCLEAR PHYSICS; NUCLEAR ENGINEERING
    • G21DNUCLEAR POWER PLANT
    • G21D1/00Details of nuclear power plant
    • G21D1/003Nuclear facilities decommissioning arrangements
    • GPHYSICS
    • G21NUCLEAR PHYSICS; NUCLEAR ENGINEERING
    • G21FPROTECTION AGAINST X-RADIATION, GAMMA RADIATION, CORPUSCULAR RADIATION OR PARTICLE BOMBARDMENT; TREATING RADIOACTIVELY CONTAMINATED MATERIAL; DECONTAMINATION ARRANGEMENTS THEREFOR
    • G21F5/00Transportable or portable shielded containers
    • G21F5/005Containers for solid radioactive wastes, e.g. for ultimate disposa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30/00Energy generation of nuclear origi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30/00Energy generation of nuclear origin
    • Y02E30/30Nuclear fission reacto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igh Energy & Nuclear Physics (AREA)
  • Plasma & Fusion (AREA)
  • Monitoring And Testing Of Nuclear Reactors (AREA)
  • Buildings Adapted To Withstand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AREA)

Abstract

해체 원전의 사용후 연료 건식 저장조가 개시된다. 해체 원전의 사용후 연료 건식 저장조는, 해체 원전의 원자로 격납 건물의 내부 설비와 구조물을 제거하고 내부에는 사용후 연료가 저장되는 저장 공간이 형성되는 사용후 연료 저장조로부터 사용후 연료를 인출하여 건식 저장하는 저장조로서, 사용후 연료 저장조의 외부에 설치되며 내부에는 건식 저장 공간이 형성된 건식 저장조와, 건식 저장 공간에 설치되어 사용후 연료가 저장되는 사용후 연료 저장부와, 건식 저장조의 내부에 설치되어 건식 저장 공간을 냉각하는 냉각 설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해체 원전의 사용후 연료 건식 저장조{SPENT FUEL DRY POOL OF DECOMMISION NUCLEAR POWER PLANT}
본 발명은 사용후 연료의 건식 저장이 가능한 해체 원전의 사용후 연료 건식 저장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원자력 발전용으로 사용된 후의 핵 연료(이하, "사용후 연료"라 칭함)는 특수 설계된 저장 용기에 수납된 상태에서 저장 장소에 보관된다.
사용후 연료의 저장 방법은 크게 습식 저장 방법과 건식 저장 방법으로 구분된다. 1980년대 중반까지는 적용 경험이 풍부한 습식 저장 방법이 주로 이용되어 왔으나, 용량 확장과 장기 관리 측면에서 유리한 건식 저장 방법이 채택되었으며, 많은 나라에서 건식 저장 방법을 적용한 건식 저장 시설이 이용되고 있다.
한편, 해체가 결정된 원전의 사용후 연료는 사용후 연료 저장조에 이송되어 저장 및 보관된다.
그러나, 사용후 연료는 해체가 결정된 원자로 건물의 외부에서 사용후 연료의 저장을 위한 연료 저장조를 별도로 설치해야하는 바, 사용후 연료 저장을 위한 추가 공간의 확보가 필요한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원전의 기존 건물을 활용하여 사용후 연료를 건저장하는 건식 저장조를 구현하여 사용후 연료 저장을 위한 추가 공간의 확보가 필요 없고, 저장 소요 비용의 절감이 가능한 해체 원전의 사용후 연료 건식 저장조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해체 원전의 원자로 격납 건물의 내부 설비와 구조물을 제거하고 내부에는 사용후 연료가 저장되는 저장 공간이 형성되는 사용후 연료 저장조로부터 사용후 연료를 인출하여 건식 저장하는 저장조로서, 사용후 연료 저장조의 외부에 설치되며 내부에는 건식 저장 공간이 형성된 건식 저장조와, 건식 저장 공간에 설치되어 사용후 연료가 저장되는 사용후 연료 저장부와, 건식 저장조의 내부에 설치되어 건식 저장 공간을 냉각하는 냉각 설비를 포함한다.
건식 저장조는, 사용후 연료 저장조의 외부에 설치되며 원전 관련 건물의 내부 구조물을 제거하여 내부에 건식 저장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냉각 설비는, 건식 저장조의 내부에 설치되어 사용후 연료 저장부를 냉각하는 냉각팬을 포함할 수 있다.
건식 저장부의 내부에 설치되어 사용후 연료 저장부의 방사선량을 검출하는 방사선 감시 설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사용후 연료 저장부는, 사용후 연료가 내부에 저장되는 복수개의 사일로(silo)일 수 있다.
건식 저장조의 내부에 설치되어 복수개의 사일로를 서로간에 이격된 상태로 저장하는 저장랙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후 연료 저장조의 외부에 건식 저장조를 설치하고, 건식 저장조의 내부에 사일로를 이용하여 사용후 연료를 건식 저장할 수 있다. 사용후 연료를 건식 저장하기 위한 저장 공간을 충분하게 확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아울러, 건식 저장조를 원전 관련 기존 건물을 활용하여 설치 가능한 바, 건식 저장조를 설치하는 비용의 절감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해체 원전의 사용후 연료 건식 저장조가 설치된 개략적으로 도시한 요부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자로 격납 건물의 내부 설비와 구조물이 제거하고, 내부에 보강 구조가 시공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보강 구조에 저장랙이 설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저장랙이 설치된 상태에서 냉각수가 충진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해체 원전의 사용후 연료 건식 저장조가 설치된 개략적으로 도시한 요부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였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해체 원전의 사용후 연료 건식 저장조가 설치된 개략적으로 도시한 요부 단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체 원전의 사용후 연료 건식 저장조(300)는, 해체 원전의 원자로 격납 건물의 내부 설비와 구조물을 제거하고 내부에는 사용후 연료가 저장되는 저장 공간이 형성되는 사용후 연료 저장조(100)로부터 사용후 연료를 인출하여 건식 저장하는 저장조로서, 사용후 연료 저장조(100)의 외부에 설치되며 내부에는 건식 저장 공간(120)이 형성된 건식 저장조(200)와, 건식 저장 공간(120)에 설치되어 사용후 연료가 저장되는 사용후 연료 저장부(110)와, 건식 저장조(200)의 내부에 설치되어 건식 저장 공간(120)을 냉각하는 냉각 설비(130)를 포함한다.
사용후 연료 저장조(100)는, 해체가 결정된 원전에서 원자로 격납 건물의 내부에 설치된 원자로 관련 내부 설비와 내부 설비와 관련된 기타 구조물 등을 제거한 상태로 마련될 수 있다.
즉, 사용후 연료 저장조(100)는 원자로 격납 건물의 건물 바디(10)를 제외한 내부 설비와 구조물을 제거하여, 원자로 격납 건물의 내부를 저장 공간(20)이 형성된 빈 공간 형태로 마련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저장 공간(20)은 건물 바디(10)의 내부에 원형의 공간으로 형성되는 것을 예시적으로 설명한다. 그러나 저장 공간(20)은 원형으로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사용후 연료의 저장 형태에 따라 다각형 등의 저장 공간(20)으로 적절하게 변경 적용되는 것도 가능하다. 물론 저장 공간(20)은 원형과 다각형의 조합된 형태로 적용되는 것도 가능하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자로 격납 건물의 내부 설비와 구조물이 제거하고, 내부에 보강 구조가 시공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강 구조(30)는, 사용후 연료 저장조(100)의 저장 공간(20)의 저면에 시공되며 저장랙(40)이 안착되는 저면 보강부(31)와, 저면 보강부(31)의 상측에 설치되며 저장랙(40)의 측면을 지지하는 측면 보강부(33)를 포함할 수 있다.
저면 보강부(31)는, 사용후 연료 저장조(100)의 저면에 시공되는 보강 콘크리트가 시공되는 것을 예시적으로 설명한다. 그러나, 저면 보강부(31)는 보강 콘크리트로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벽돌 등의 내화물 등의 소정의 보강 구조가 적용되는 것으로 적절하게 변경 적용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저면 보강부(31)가 시공된 위치의 측면에서 저장 공간(20)의 내부에는 측면 보강부(33)가 시공될 수 있다.
측면 보강부(33)는 저장 공간(20)의 하부에서 저면 보강부(31)가 시공된 위치의 근접 위치에서 저장 공간(20)의 내벽면의 둘레를 따라 라운드 형상으로 시공될 수 있다.
측면 보강부(33)는 사용후 연료 저장조(100)의 측면 둘레를 따라 저장 공간(20)의 내벽면을 따라 시공되는 것으로, 보강 콘크리트로 시공될 수 있다. 즉, 측면 보강부(33)는 저면 보강부(31)의 재질과 동일 또는 유사 재질로 형성되는 것으로, 벽돌 등의 내화물 등의 소정의 보강 구조가 적용되는 것으로 적절하게 변경 적용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측면 보강부(33)는, 저장랙(40)에 위치된 저장 공간(20)의 측면의 구조 보장을 하는 바, 저장랙(40)에 사용후 연료가 저장되어 보관되는 상태에서 보다 안정적인 사용후 연료 저장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도 3은 도 2의 보강 구조에 저장랙이 설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장랙(40)은, 저면이 저면 보강부(31)에 의해 지지되고, 측면이 측면 보강부(33)에 지지된 상태로 저장 공간(20)에 설치될 수 있다.
즉, 해체 원전의 원자로 격납 건물의 내부에 설치된 내부 설비 및 관련 구조물을 제거한 사용후 연료 저장조(100)의 저장 공간(20)의 저면에 저장랙(40)을 설치하여 사용후 연료를 저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후 연료의 저장을 별도의 구조물을 이용하지 않고, 기설치된 원자로 격납 건물을 사용후 연료 저장을 위한 수단으로 활용하는 것이 가능하여, 사용후 연료의 저장을 위한 공간을 용이하게 확보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저장랙(40)은 보강 구조(30)의 상측에 설치된 상태로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개의 수납 공간(41)이 형성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저장랙(40)은 상부가 개구된 상태로 사용후 연료가 수납 공간(41)의 내부에 삽입되도록 설치되는 것을 예시적으로 설명하지만, 이에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사용후 연료가 수납 공간(41)의 내부에 수납된 상태에서 개구부를 개폐하는 개폐부(미도시)가 설치되도록 적절하게 변경 적용되는 것도 가능하다. 저장랙(40)에는 저장랙(40)의 상측으로 돌출되는 격벽(42)이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따라서, 사용후 연료가 저장랙(40)에 분할 수납된 상태로 보다 안정적으로 수납되는 것이 가능하다.
도 4는 도 3의 저장랙이 설치된 상태에서 냉각수가 충진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후 연료 저장조(100)의 저장 공간(20)에는 냉각수(50)가 충진될 수 있다.
따라서, 냉각수(50)는 사용후 연료의 안정적인 저장 상태를 유지하도록 저장 공간(20)의 내부에 충진될 수 있다.
한편, 사용후 연료 저장조(100)의 측면에는 건식 저장조(200)가 설치될 수 있다.
건식 저장조(200)는 사용후 연료 저장조(100)에 인접한 측면 위치에 설치되는 것으로, 내부에는 건식 저장 공간(120)이 형성될 수 있다.
건식 저장조(200)는 사용후 연료 저장조(100)의 외부에 설치되며, 원전 관련 건물의 내부 구조물을 제거하여 내부에 건식 저장 공간(120)을 형성한 상태로 설치될 수 있다.
즉, 건식 저장조(200)는 보조 건물 또는 터빈 건물 등의 원전 관련 건물에서 터빈 등의 관련 내부 설비 및 기타 구조물을 제거한 상태로 설치될 수 있다.
건식 저장조(200)는 사용후 연료 저장조(100)의 측면에 직육면체 형상으로 설치되는 것을 예시적으로 설명하지만, 원전 관련 건물의 기존 건물의 형상에 따라 적절한 형상으로 변경되는 것도 가능하다.
건식 저장조(200)는 내부에 사용후 연료를 건식 저장하는 것으로, 사용후 연료의 적절한 냉각을 위해 환풍 구조(미도시)가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건식 저장조(200)의 내부에는 사용후 연료를 건식 저장하는 사용후 연료 저장부(110)가 설치될 수 있다.
사용후 연료 저장부(110)는 사용후 연료를 건식 저장하는 것으로, 본 실시예에서 사일로(silo)로 적용될 수 있다. 이하에서 사용후 연료 저장부와 사일로는 동일 참조 번호를 사용한다.
사일로(110)는 내부에 사용후 연료의 저장을 위한 공간이 형성되는 것으로,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건식 저장조(200)의 저면에 안착된 상태로 설치될 수 있다.
사일로(110)는 건식 저장조(200)의 내부에 복수개로 설치되어, 복수개의 사용후 연료를 건식 저장조(200)의 내부에 보관할 수 있다.
사일로(110)는 건식 저장조(200)의 내부에 복수개로 설치되는 것으로, 서로간에 일정 거리 이격된 상태로 설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사일로(110)는 건식 저장조(200)의 내부에 복수개가 일정 이격 거리를 유지한 상태로 설치되어 사용후 연료를 건식 저장하는 바, 자연 냉각 또는 냉각 설비(130)에 의해 효과적인 건식 냉각이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건식 저장조(200)에는 사일로(110)에 저장된 사용후 연료의 냉각을 위한 냉각 설비(130)가 설치될 수 있다.
냉각 설비(130)는 건식 저장조(200)의 내부에서 사일로(110)의 상부 위치, 즉 건식 저장조(200)의 천정 위치에 설치되는 것으로 사일로(110) 위치에 에어를 송풍하는 냉각팬으로 적용될 수 있다. 이하에서 냉각 설비와 냉각팬은 동일 참조 번호를 사용한다.
냉각팬(130)은 건식 저장조(200)의 상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건식 저장조(200)의 내부에 설치된 사일로(110)에 에어를 송풍하는 것으로, 건식 저장조(200)의 천정 위치에 복수개로 설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냉각팬(130)이 건식 저장조(200)의 내부에 설치되어 사일로(110)에 저장된 사용후 연료를 냉각하도록 에어를 강제 송풍하는 것이 가능한 바, 사용후 연료의 효과적인 건식 냉각이 가능하다.
냉각팬(130)은 건식 저장조(200)의 천정 부분에 설치되는 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건식 저장조(200)의 건식 저장 공간(120)의 내벽면 측면 위치에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건식 저장조(200)의 내부에는 방사선 감시 설비(140)가 설치될 수 있다.
방사선 감시 설비(140)는 건식 저장조(200)의 내부에 설치되어 사일로(110)로부터 배출되는 방사선량을 실시간으로 측정 가능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방사선 감시 설비(140)는 건식 저장조(200)의 내부에서 건식 저장 공간(120)의 내벽면의 일 위치 또는 복수 위치에 설치되는 것으로, 사일로(110)로부터 발생되는 방사선량이 기준치 범위를 초과하는지 여부를 실시간으로 측정하고, 방사선량이 기준치를 초과한 경우 작업자에게 실시간으로 확인 가능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방사선 감시 설비(140)에서 측정된 방사선량은 건식 저장조(200)의 외부에 설치된 표시부(미도시)에 실시간으로 표시될 수 있다. 또는 방사선 감시 설비(140)에서 측정된 방사선량은 원격지에 위치된 작업자에게 네트워트를 이용하여 무선으로 전송되는 것도 가능하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해체 원전의 사용후 연료 건식 저장조(300)는, 사용후 연료 저장조(100)의 외부에 건식 저장조(200)를 설치하고, 건식 저장조(200)의 내부에 사일로(110)를 이용하여 사용후 연료를 건식 저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후 연료를 건식 저장하기 위한 저장 공간을 충분하게 확보할 수 있다. 아울러, 건식 저장조(200)를 원전 관련 기존 건물을 활용하여 설치 가능한 바, 건식 저장조(200)를 설치하는 비용의 절감이 가능하다.
도 5는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해체 원전의 사용후 연료 건식 저장조가 설치된 개략적으로 도시한 요부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와 동일 참조 번호는 동일 또는 유사기능의 동일 또는 유사부재를 말한다. 이하에서 동일 참조 번호에 대해서는 그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해체 원전의 사용후 연료 저장조(400)는, 건식 저장조(200)의 내부에 설치되어 복수개의 사일로(110)를 서로간에 이격된 상태로 저장하는 저장랙(310)이 설치될 수 있다.
저장랙(310)은 건식 저장조(200)의 건식 저장 공간(120)의 저면에 설치되어, 복수개의 사일로(110)가 서로간에 일정 거리 간격을 유지하면서 저장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복수개의 사일로(110)는 서로간에 적정 거리를 유지한 상태로 건식 저장조(200)의 내부에 저장되는 바, 원활한 건식 냉각이 가능하다.
이상을 통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10...건물 바디 20...저장 공간
30...보강 구조 31...저면 보강부
33...측면 보강부 40...저장랙
41...수납공간 50...냉각수
100..사용후 연료 저장조 110..사용후 연료 저장부, 사일로
120..건식 저장 공간 130..냉각 설비, 냉각팬
140..방사선 감시 설비 310..저장랙

Claims (3)

  1. 해체 원전의 원자로 격납 건물의 내부 설비와 구조물을 제거하고 내부에는 사용후 연료가 저장되는 저장 공간이 형성되는 사용후 연료 저장조로부터 상기 사용후 연료를 인출하여 건식 저장하는 저장조로서,
    상기 사용후 연료 저장조의 외부에 설치되며, 내부에는 건식 저장 공간이 형성된 건식 저장조;
    상기 건식 저장 공간에 설치되어, 사용후 연료가 저장되는 사용후 연료 저장부; 및
    상기 건식 저장조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건식 저장 공간을 냉각하는 냉각 설비;
    를 포함하고,
    상기 사용후 연료 저장부는,
    상기 사용후 연료가 내부에 저장되는 복수개의 사일로(silo)이며,
    상기 건식 저장조의 내부에는 상기 복수개의 사일로를 서로간에 이격된 상태로 저장하는 저장랙이 설치되고,
    상기 사용후 연료 저장조의 내부에는 상기 사용후 연료가 저장되는 저장랙이 설치되고, 상기 사용후 연료 저장조의 저장 공간의 하부에는 보강 구조가 시공되며,
    상기 보강 구조는,
    상기 저장 공간의 저면에 시공되며, 상기 사용후 연료가 저장되는 저장랙이 안착되는 저면 보강부; 및
    상기 저면 보강부의 상측에서 상기 저장 공간의 내벽면의 둘레를 따라 설치되며, 상기 사용후 연료가 저장되는 저장랙의 측면을 지지하는 측면 보강부;
    를 포함하며,
    상기 냉각 설비는,
    상기 건식 저장조의 천정 또는 내벽에 설치되어 상기 복수개의 사일로에 저장된 상기 사용후 연료를 냉각하도록 에어를 송풍하는 복수 개의 냉각팬을 포함하는, 해체 원전의 사용후 연료 건식 저장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건식 저장조는,
    상기 사용후 연료 저장조의 외부에 설치되며, 원전 관련 건물의 내부 구조물을 제거하여 내부에 건식 저장 공간이 형성되는, 해체 원전의 사용후 연료 건식 저장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건식 저장부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사용후 연료 저장부의 방사선량을 검출하는 방사선 감시 설비를 더 포함하는, 해체 원전의 사용후 연료 건식 저장조.
KR1020230053617A 2020-08-10 2023-04-24 해체 원전의 사용후 연료 건식 저장조 KR2023006250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53617A KR20230062502A (ko) 2020-08-10 2023-04-24 해체 원전의 사용후 연료 건식 저장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0003A KR20220019512A (ko) 2020-08-10 2020-08-10 해체 원전의 사용후 연료 건식 저장조
KR1020230053617A KR20230062502A (ko) 2020-08-10 2023-04-24 해체 원전의 사용후 연료 건식 저장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00003A Division KR20220019512A (ko) 2020-08-10 2020-08-10 해체 원전의 사용후 연료 건식 저장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62502A true KR20230062502A (ko) 2023-05-09

Family

ID=80493374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00003A KR20220019512A (ko) 2020-08-10 2020-08-10 해체 원전의 사용후 연료 건식 저장조
KR1020230053617A KR20230062502A (ko) 2020-08-10 2023-04-24 해체 원전의 사용후 연료 건식 저장조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00003A KR20220019512A (ko) 2020-08-10 2020-08-10 해체 원전의 사용후 연료 건식 저장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20220019512A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19512A (ko) 2022-02-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342091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storing spent nuclear fuel
US20050207525A1 (en) Underground system and apparatus for storing spent nuclear fuel
US7590213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storing spent nuclear fuel having protection design
US7676016B2 (en) Manifold system for the ventilated storage of high level waste and a method of using the same to store high level waste in a below-grade environment
US20050220256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storing spent nuclear fuel having a low heat load
KR20230062502A (ko) 해체 원전의 사용후 연료 건식 저장조
KR102547982B1 (ko) 해체 원전을 활용하여 사용후 연료를 저장한 사용후 연료 저장조의 냉각수 냉각설비 및 이를 이용한 사용후 연료 저장조의 냉각수 냉각 방법
JP4469344B2 (ja) 放射性物質貯蔵施設
JP6782198B2 (ja) 放射性物質貯蔵施設
KR20200133489A (ko) 해체 원전의 사용후 연료 저장 방법
KR20210042678A (ko) 해체 원전을 활용하여 사용후 연료를 저장한 사용후 연료 저장조의 냉각수 비상 냉각 설비 및 이를 이용한 사용후 연료 저장조의 냉각수 비상 냉각 방법
KR102267104B1 (ko) 원자로용기 외벽냉각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원자로용기 외벽냉각 방법
KR200379846Y1 (ko) 방사성폐기물드럼 운반 컨테이너
RU70725U1 (ru) Хранилище для остеклованных радиоактивных отходов
JP7353065B2 (ja) 遮蔽設備
RU159429U1 (ru) Камера пожарных гидрантов
JP5912786B2 (ja) 放射性物質の貯蔵方法
KR100723041B1 (ko) 방사성폐기물드럼 운반 컨테이너
JP7049924B2 (ja) 使用済燃料貯蔵施設
JP7123019B2 (ja) 貯蔵施設
JP3060704B2 (ja) 使用済核燃料貯蔵庫
JP2002002875A (ja) プラントコンテナ、および、プラントコンテナの連結方法
JPS61158570A (ja) 高レベル放射性物質貯蔵施設
EP1273011A1 (en) A device for storage of hazardous material
RU159461U1 (ru) Контейнер с баллонами, в частности, для транспортировки сжатых технических газов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