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62276A - 수압으로 제거 가능한 해양 구조물용 임시 보호 도료 조성물 및 도막의 처리 방법 - Google Patents

수압으로 제거 가능한 해양 구조물용 임시 보호 도료 조성물 및 도막의 처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62276A
KR20230062276A KR1020210147368A KR20210147368A KR20230062276A KR 20230062276 A KR20230062276 A KR 20230062276A KR 1020210147368 A KR1020210147368 A KR 1020210147368A KR 20210147368 A KR20210147368 A KR 20210147368A KR 20230062276 A KR20230062276 A KR 2023006227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water
coating composition
soluble binder
coating fil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473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지항
추승곤
신진섭
이경배
Original Assignee
에이치디한국조선해양 주식회사
주식회사 노루알앤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이치디한국조선해양 주식회사, 주식회사 노루알앤씨 filed Critical 에이치디한국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1473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62276A/ko
Publication of KR202300622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62276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5/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nature or the effects produced; Filling pastes
    • C09D5/008Temporary coating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03/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starch, amylose or amylopectin or on their derivatives or degradation product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33/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D1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C09D7/60Additives non-macromolecular
    • C09D7/61Additives non-macromolecular inorganic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C09D7/65Additives macromolecular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Paints Or Remov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도료 조성물은 도료 조성물 100 중량%에 대해, 안료 30 내지 80 중량%; 유화 중합된 전분을 포함하는 제1 수용성 바인더 3 내지 17 중량%; 에틸렌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제2 수용성 바인더 1 내지 10 중량%; 분산제 0.1 내지 0.8 중량%; 소포제 0.1 내지 0.9 중량%; 점탄성 조절제 0.1 내지 1.0 중량%; 내수성 향상제 0.5 내지 4.0 중량%; 표면장력 조절제 0.1 내지 0.6 중량%; pH 조절제 0.1 내지 0.3 중량%; 및 잔량의 물을 포함하여, 옥외 폭로되는 해양 구조물에 대한 오염을 방지하고 물을 이용하여 원하는 시점에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다.

Description

수압으로 제거 가능한 해양 구조물용 임시 보호 도료 조성물 및 도막의 처리 방법{Washable temporary protective paint composition for offshore structure and processing method of coating}
본 발명은 수압으로 제거 가능한 해양 구조물용 임시 보호 도료 조성물 및 도막의 처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선박을 비롯한 해양 구조물은 그 제조 과정으로서 블록을 조립하는 일련의 공정이 오랜 기간 지속됨에 따라 물리적인 충격, 옥외 폭로에 의한 오염 및 발청, 공정 중에 발생하여 비산하는 쇳가루와 각종 먼지에 노출되어 오염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이러한 경우, 해양 구조물에서 오염된 표면을 처리하거나, 도료를 이용하여 재도장하는 등 추가적인 비용과 인력이 소요된다.
최근에는 해양 구조물의 제조 과정에서 노출된 표면에 도포하였다가, 건조가 완성되면 제거할 수 있도록 박리성이 있는 도료나 녹 제거제가 개발되고 있으나, 제형과 구조물의 형태에 따라 도포할 수 없거나 형성된 도막이 해양 구조물의 완성 이전에 손상되거나, 시간 경과에 따라 도막 제거가 어려워지는 한계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해양 구조물의 제조 중에 발생할 수 있는 오염을 방지하고, 일정한 기간 또는 해양 구조물의 제조가 완료된 이후에 물로 제거할 수 있는 도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료 조성물은, 도료 조성물 100 중량%에 대해, 안료 30 내지 80 중량%, 유화 중합된 전분을 포함하는 제1 수용성 바인더 3 내지 17 중량%, 에틸렌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제2 수용성 바인더 1 내지 10 중량%, 분산제 0.1 내지 0.8 중량%, 소포제 0.1 내지 0.9 중량%, 점탄성 조절제 0.1 내지 1.0 중량%, 내수성 향상제 0.5 내지 4.0 중량%, 표면장력 조절제 0.1 내지 0.6 중량%, pH 조절제 0.1 내지 0.3 중량%, 및 잔량의 물을 포함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안료는, 평균 입자 크기가 0.5 내지 20 ㎛인 무기 안료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안료는, 탄산칼슘, 탈크, 고령토, 규조토, 이산화티타늄 및 제올라이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유화 중합된 전분은, 전분, 및 아크릴산 에틸, 아크릴산 메틸, 아크릴산 부틸 및 메타크릴산 메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아크릴 단량체가 공중합된 것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에틸렌 공중합체는, 아크릴산-에틸렌 공중합체이며, 상기 아크릴산-에틸렌 공중합체 100 중량%에 대해 아크릴산 단량체가 6.5 내지 21 중량%의 비율로 포함된 것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수용성 바인더 및 상기 제2 수용성 바인더 중 적어도 하나는 유리전이온도가 -40 내지 -10℃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분산제는, 알킬술폰산염, 알킬아릴술폰산염, 알킬인산에스테르염, 알킬폴리인산에스테르염, 아릴인산에스테르염, 알킬황산에스테르염, 폴리카르본산의 암모늄염 및 폴리아크릴산염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소포제는, 폴리프로필렌글리콜, 지방산류, 고급알콜류, 디메틸 폴리실록산, 에테르 변성 실리콘류 및 소수성 실리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점탄성 조절제는, 하이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메틸셀룰로오스 및 아크릴계 에멀젼 폴리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내수성 향상제는, 폴리디메틸실록산, 폴리에테르 변성 폴리디메틸실록산, 폴리메틸알킬실록산 및 아미노 변성 폴리실록산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표면장력 조절제는, 아크릴 폴리머, 디페닐디메틸폴리실록산 및 폴리에테르 변성 폴리실록산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도막의 처리 방법은, 도료 조성물 100 중량%에 대해, 안료 30 내지 80 중량%, 유화 중합된 전분을 포함하는 제1 수용성 바인더 3 내지 17 중량%, 에틸렌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제2 수용성 바인더 1 내지 10 중량%, 분산제 0.1 내지 0.8 중량%, 소포제 0.1 내지 0.9 중량%, 점탄성 조절제 0.1 내지 1.0 중량%, 내수성 향상제 0.5 내지 4.0 중량%, 표면장력 조절제 0.1 내지 0.6 중량%, pH 조절제 0.1 내지 0.3 중량%, 및 잔량의 물을 포함하는 도료 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도료 조성물을 해양 구조물에 도포하고 건조하여 도막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도막을 형성하고 미리 정해진 시간 이후에 물을 분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미리 정해진 시간은, 2 내지 12 개월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물을 분사하는 단계는, 물을 100 내지 400 bar의 압력으로 분사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도료 조성물로 형성된 도막은 강우에 의한 손상 없이, 해양 구조물의 제조 중에 발생하는 오염원으로부터 해양 구조물의 외관을 보호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도료 조성물은 해양 구조물의 형태에 무관하게 도포 가능하며, 해양 구조물의 제조 완료 후 물로 제거할 수 있어 오염되지 않은 표면을 수득할 수 있다.
이하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이하에서, 해양 구조물은 가스 플랫폼, 해양 부유물뿐만 아니라, 컨테이너선, 상선, 해양에서 천연 가스를 생산할 수 있는 선박을 모두 포괄하는 표현임을 알려둔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한 이해를 위해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도료 조성물은 해양 구조물에 도막을 형성하여 옥외에서 장시간 노출된 상태에서도 해양 구조물의 표면을 오염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른 도료 조성물로 형성된 도막은 외부 환경 조건의 변화에 무관하게 제거하고자 하는 시점에 물을 분사하여 간단하게 제거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도료 조성물은, 도료 조성물 100 중량%를 기준으로, 안료 30 내지 80 중량%, 유화 중합된 전분을 포함하는 제1 수용성 바인더 3 내지 17 중량%, 아크릴산-에틸렌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제2 수용성 바인더 1 내지 10 중량%, 분산제 0.1 내지 0.8 중량%, 소포제 0.1 내지 0.9 중량%, 점탄성 조절제 0.1 내지 1.0 중량%, 내수성 향상제 0.5 내지 4.0 중량%, 표면장력 조절제 0.1 내지 0.6 중량%, pH 조절제 0.1 내지 0.3 중량%, 및 잔량의 물을 포함할 수 있다.
안료는 도료 조성물에 의해 형성되는 도막 두께를 확보할 수 있게 한다. 실시예에 따른 도료 조성물은 안료를 30 내지 80 중량%로 포함하여 해양 구조물의 오염 방지에 적합한 도막 건전성을 제공할 수 있다. 안료의 함량이 30 중량%보다 작으면 도막 형성 후 원하는 시점에 도막이 용이하게 제거되지 않을 수 있으며, 안료의 함량이 80 중량%보다 많으면 원하는 시점 이전에 도막이 손상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안료는 무기 안료이며, 이는 일정한 도막 두께를 확보할 수 있게 하며, 물리적인 마찰에 대해 견고한 도막을 형성할 수 있게 된다. 예를 들어, 무기 안료는 탄산칼슘, 탈크, 고령토, 규조토, 이산화티타늄 및 제올라이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탄산칼슘일 수 있다.
안료는 평균 입자 크기가 0.5 내지 20 ㎛인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안료의 평균 입자 크기는 1 내지 10 ㎛일 수 있다. 도료 조성물에 포함되는 안료는 평균 입자 크기가 작을수록 도막 형성 비용 및 오염원 차단을 위한 표면적 증가에 유리하다. 안료의 평균 입자 크기가 상기 범위를 벗어나면 오염원 차단 성능이 낮아져 비용 대비 오염 방지 효과가 저하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도료 조성물은 도료 바인더로서 제1 수용성 바인더 및 제2 수용성 바인더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수용성 바인더는 유화 중합된 전분을 포함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유화 중합된 전분의 고형분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수용성 바인더는 전분 변성 바인더일 수 있다. 제2 수용성 바인더는 아크릴산-에틸렌 공중합체 또는 에틸렌-바이닐 공중합체를 포함하며, 바람직하게는 아크릴산-에틸렌 공중합체의 고형분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도료 조성물은 제1 수용성 바인더를 3 내지 17 중량%로 포함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제1 수용성 바인더로 유화 중합된 전분을 고형분 기준으로 3 내지 17 중량%로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른 도료 조성물은 제2 수용성 바인더를 1 내지 10 중량%로 포함할 수 있다. 제1 수용성 바인더 및 제2 수용성 바인더의 함량이 각각의 범위보다 작으면 원하는 시점 이전에 도막이 손상될 수 있고, 각각의 범위보다 많으면 원하는 시점에 도막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없게 된다.
유화 중합된 전분은 전분과 아크릴 단량체가 개시제, 계면활성제의 존재 하에서 중합되어 연속상인 물에 대해 분산된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전분은 식물에서 유래한 것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실시예에서 유화 중합된 전분은 전분과, 아크릴산 에틸, 아크릴산 메틸, 아크릴산 부틸 및 메타크릴산 메틸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아크릴 단량체가 공중합된 것일 수 있다.
에틸렌 공중합체는 아크릴산-에틸렌 공중합체 또는 에틸렌-바이닐 공중합체일 수 있다. 아크릴산-에틸렌 공중합체는 아크릴산 또는 메타크릴산 단량체와 에틸렌이 공중합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아크릴산-에틸렌 공중합체는 아크릴산-에틸렌 공중합체 100 중량%에 대해 아크릴산 단량체가 6.5 내지 21 중량%로 포함된 것일 수 있다. 아크릴산-에틸렌 공중합체의 아크릴산 단량체 함량이 6.5 중량%보다 작으면 제2 수용성 바인더의 접착력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으며, 아크릴산 단량체의 함량이 21 중량%보다 많으면 원하는 시점에 도막이 용이하게 제거되지 않을 수 있다.
제1 수용성 바인더 및 제2 수용성 바인더 중 적어도 하나는 유리전이온도가 -40 내지 -10℃인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1 수용성 바인더와 제2 수용성 바인더 모두 유리전이온도가 -40 내지 -10℃인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바인더의 유리전이온도가 -40℃보다 낮으면 도료 조성물의 접착력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으며, 바인더의 유리전이온도가 -10℃보다 높으면 형성되는 도막이 부스러지기 쉬워져 외부 충격에 의해 크랙이 발생하거나 손상이 발생할 수 있다.
분산제는 조성물 중의 안료를 분산시켜 도료 조성물의 안정성을 제공한다. 실시예에 따른 도료 조성물은 분산제를 0.1 내지 0.8 중량%로 포함할 수 있다. 분산제의 함량이 0.1 중량%보다 작으면 안료가 뭉치게 되고, 분산제의 함량이 0.8 중량%보다 많으면 도료 조성물의 제조 과정에서 기포가 많이 발생하고 형성된 도막의 내수성이 저하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분산제는 알킬술폰산염, 알킬아릴술폰산염, 알킬인산에스테르염, 알킬폴리인산에스테르염, 아릴인산에스테르염, 알킬황산에스테르염, 폴리카르본산의 암모늄염 및 폴리아크릴산염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일 수 있다.
소포제는 도료 조성물의 제조 과정에서 발생하는 기포를 제거하여 도료 조성물의 안정성을 제공한다. 실시예에 따른 도료 조성물은 소포제를 0.1 내지 0.9 중량%로 포함할 수 있다. 소포제의 함량이 0.1 중량%보다 작으면 소포력을 확보할 수 없고, 소포제의 함량이 0.9 중량%보다 많으면 형성된 도막의 외관이 불량해질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소포제는 폴리프로필렌글리콜, 지방산류, 고급알콜류, 디메틸 폴리실록산, 에테르 변성 실리콘류 및 소수성 실리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일 수 있다.
점탄성 조절제는 도료 조성물의 점도를 증가시켜 도료 조성물의 분산 안정화에 기여하고, 도료 조성물의 저장시 안료의 침강을 방지하여 저장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점탄성 조절제는 해양 구조물에 도료 조성물 도포 후 흐름을 방지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도료 조성물은 점탄성 조절제를 0.1 내지 10 중량%로 포함할 수 있다. 점탄성 조절제의 함량이 0.1 중량%보다 작으면 증점력을 확보할 수 없고, 점탄성 조절제의 함량이 10 중량%보다 많으면 도료 조성물의 제조 및 도포에 어려움이 발생한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점탄성 조절제는 하이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메틸셀룰로오스 및 아크릴계 에멀젼 폴리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일 수 있다.
내수성 향상제는 도료 조성물에 의해 형성되는 도막의 내수성을 향상시켜, 해양 구조물이 강우 등 외부 환경에 노출되더라도 도막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도료 조성물은 내수성 향상제를 0.5 내지 4 중량%로 포함할 수 있다. 내수성 향상제의 함량이 0.5 중량%보다 작으면 내수성을 확보할 수 없고, 내수성 향상제의 함량이 4 중량%보다 많아지면 내수성이 내수성 향상제의 함량에 비례하여 증가하지 않으며, 형성된 도막의 외관이 불량해진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내수성 향상제는 폴리디메틸실록산, 폴리에테르 변성 폴리디메틸실록산, 폴리메틸알킬실록산 및 아미노 변성 폴리실록산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일 수 있다.
표면장력 조절제는 물을 포함하는 도료 조성물과 표면 장력이 낮은 해양 구조물의 표면 사이의 장력 차이를 저감하여 도료 조성물을 용이하게 도포할 수 있게 한다. 실시예에 따른 도료 조성물은 표면장력 조절제를 0.1 내지 0.6 중량%로 포함할 수 있다. 표면장력 조절제의 함량이 0.1 중량%보다 작으면 효과가 미비하며, 표면장력 조절제의 함량이 0.6 중량%보다 많으면 도료 조성물의 제조 과정에서 기포가 많이 발생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표면장력 조절제는 아크릴 폴리머, 디페닐디메틸폴리실록산 및 폴리에테르 변성 폴리실록산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일 수 있다.
pH 조절제는 도료 조성물의 pH를 조절하여 도료 조성물의 분산 안정성 및 저장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도료 조성물은 pH가 7.0 내지 9.0로 유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범위의 pH를 유지하기 위해 pH 조절제를 0.1 내지 0.3 중량%로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도료 조성물은 잔량의 물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도막의 처리 방법은, 실시예에 따른 조성을 갖는 도료 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 및 도료 조성물을 해양 구조물에 도포하고 건조하여 도막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도료 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는 안료 30 내지 80 중량%, 유화 중합된 전분을 포함하는 제1 수용성 바인더 3 내지 17 중량%, 에틸렌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제2 수용성 바인더 1 내지 10 중량%, 분산제 0.1 내지 0.8 중량%, 소포제 0.1 내지 0.9 중량%, 점탄성 조절제 0.1 내지 1.0 중량%, 내수성 향상제 0.5 내지 4.0 중량%, 표면장력 조절제 0.1 내지 0.6 중량%, pH 조절제 0.1 내지 0.3 중량%, 및 잔량의 물을 혼합하여 총 100 중량%의 도료 조성물을 제조하는 것일 수 있다.
도막을 형성하는 단계는 도료 조성물을 해양 구조물의 대상 표면에 스프레이 도포하고, 자연 건조시키는 것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도막의 처리 방법은, 실시예에 따른 도막 형성 후 미리 정해진 시간 이후에 물을 분사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미리 정해진 시간은 해양 구조물의 제조에 필요한 시간으로 사용자가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미리 정해진 시간은 2 내지 12개월일 수 있다.
물을 분사하는 단계는 도막에 물을 100 내지 400 bar의 압력으로 분사하는 것일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실시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기술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들은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다음의 각 성분과 아래 표 1 에 나타난 바와 같은 조성(단위: 중량%)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료 조성물과 비교예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1
안료로서 오미야사의 오미야 5HB 55 중량%, 수용성 전분 변성 바인더로 노루페인트사의 STE-58 10 중량%, 아크릴산-에틸렌 수용성 바인더로 노루페인트사의 Q-61(아크릴산-에틸렌 수용성 바인더 내 아크릴산-에틸렌 공중합체 100 중량%에 대해 아크릴산 단량체의 함량이 20~30 중량%) 5 중량%, 분산제로서 한국산노프코의 NOPCO-44 0.4 중량%, 소포제로서 한국산노프코의 NOPCP-8034 0.5 중량%, 점탄성 조절제로서 다우케미칼의 ER-4400 0.5 중량%, 내수성 향상제로서 신에츄사의 KF-99 2.0 중량%, 표면장력 조절제로서 BYK사의 BYK-346 0.3 중량%, pH 조절제로서 동광화학의 암모니아수 0.3 중량%, 물 26 중량%를 혼합하여 도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
안료로서 오미야사의 오미야 5HB 55 중량%, 수용성 전분 변성 바인더로 노루페인트사의 STE-58 10 중량%, 에틸렌바이닐바인더로서 바커사의 VINNAPAS EF-818 5 중량%, 분산제로서 한국산노프코의 NOPCO-44 0.4 중량%, 소포제로서 한국산노프코의 NOPCO-8034 0.5 중량%, 점탄성 조절제로서 다우케미칼의 ER-4400 0.5 중량%, 내수성 향상제로서 신에츄사의 KF-99 2.0 중량%, 표면장력 조절제로서 BYK사의 BYK-346 0.3 중량%, pH 조절제로서 동광화학의 암모니아수 0.3 중량%, 물 26 중량%를 혼합하여 도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1
안료로서 오미야사의 오미야 5HB 55 중량%, 수용성 전분 변성 바인더로 노루페인트사의 STE-58 15 중량%, 분산제로서 한국산노프코의 NOPCO-44 0.4 중량%, 소포제로서 한국산노프코의 NOPCO-8034 0.5 중량%, 점탄성 조절제로서 다우케미칼의 ER-4400 0.5 중량%, 내수성 향상제로서 신에츄사의 KF-99 2.0 중량%, 표면장력 조절제로서 BYK사의 BYK-346 0.3 중량%, pH 조절제로서 동광화학의 암모니아수 0.3 중량%, 물 26 중량%를 혼합하여 도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2
안료로서 오미야사의 오미야 5HB 55 중량%, 에틸렌바이닐바인더로서 바커사의 VINNAPAS EF-818 15 중량%, 분산제로서 한국산노프코의 NOPCO-44 0.4 중량%, 소포제로서 한국산노프코의 NOPCP-8034 0.5 중량%, 점탄성 조절제로서 다우케미칼의 ER-4400 0.5 중량%, 내수성 향상제로서 신에츄사의 KF-99 2.0 중량%, 표면장력 조절제로서 BYK사의 BYK-346 0.3 중량%, pH 조절제로서 동광화학의 암모니아수 0.3 중량%, 물 26 중량%를 혼합하여 도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성분명 실시예 1 실시예 2 비교예 1 비교예 2
안료 55 55 55 55
제1 수용성 바인더
(전분 변성 바인더)
10 10 15 -
제2 수용성 바인더
(아크릴산-에틸렌 공중합체)
5 - - -
제2 수용성 바인더
(에틸렌-바이닐 공중합체)
- 5 - 15
분산제 0.4 0.4 0.4 0.4
소포제 0.5 0.5 0.5 0.5
점탄성 조절제 0.5 0.5 0.5 0.5
내수성 향상제 2 2 2 2
표면장력 조절제 0.3 0.3 0.3 0.3
pH 조절제 0.3 0.3 0.3 0.3
26 26 26 26
합계 100 100 100 100
실험예. 도료 조성물의 물성 평가
실시예 및 비교예의 도료 조성물의 물성을 평가하여 그 결과를 아래 표 2에 나타내었다.
CR 시편을 시험 시편으로 하여 마감제로 악조노벨 인터내셔널사의 인터탄 990을 약 50 ㎛ 두께로 도포하여 건조한 뒤, 표면에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른 도료 조성물을 각각 약 100 ㎛ 두께로 스프레이 도장하고 48 시간 동안 건조하였다. 스프레이 도장시 각 시편 별 스프레이 작업성을 평가하고, 건조 후 도막 외관을 관찰하였다.
건조된 시편을 7월부터 9월까지 약 90일간 옥외 폭로하였으며, 60일 동안 약 220 mm의 강수에 노출되었다. 옥외 폭로 이후 도막의 상태를 확인하고, 시편에 약 100 bar의 압력으로 물을 분사하여 도막의 제거 양상을 평가하였다.
평가 항목 실시예 1 실시예 2 비교예 1 비교예 2
스프레이 작업성 양호 양호 양호 양호
건조 도막 외관 양호 양호 양호 양호
옥외 폭로 후 도막 외관 양호 양호 불량 양호
도막 제거성 양호 양호 양호 불량
표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 실시예에 따른 도료 조성물은 스프레이 작업성이 양호하고, 건조 후 도막의 뭉침 또는 기포 발생에 따른 불량이 확인되지 않았다. 또한, 실시예에 따른 도료 조성물은 옥외 폭로와 강수 노출 이후에도 도막이 손상되지 않았으며, 도막 형성 후 원하는 시점에 수압을 이용하여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비교예에 따른 도료 조성물은 스프레이 작업성과 건조 후 도막의 불량이 확인되지 않았으나, 비교예 1의 경우 옥외 폭로 후 도막이 일부 찢어져 시편에 녹이 형성되었고, 비교예 2는 물 분사시 도막의 일부만이 제거되어 용이하게 제거되지 않음을 확인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에서 설명한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실시예들의 조합 또는 상기 실시예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공지 기술의 조합을 또 다른 실시예로서 포함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은 명백하다고 할 것이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하여 명확해질 것이다.

Claims (15)

  1. 도료 조성물 100 중량%에 대해,
    안료 30 내지 80 중량%;
    유화 중합된 전분을 포함하는 제1 수용성 바인더 3 내지 17 중량%;
    에틸렌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제2 수용성 바인더 1 내지 10 중량%;
    분산제 0.1 내지 0.8 중량%;
    소포제 0.1 내지 0.9 중량%;
    점탄성 조절제 0.1 내지 1.0 중량%;
    내수성 향상제 0.5 내지 4.0 중량%;
    표면장력 조절제 0.1 내지 0.6 중량%;
    pH 조절제 0.1 내지 0.3 중량%; 및
    잔량의 물을 포함하는 도료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안료는,
    평균 입자 크기가 0.5 내지 20 ㎛인 무기 안료인, 도료 조성물.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안료는,
    탄산칼슘, 탈크, 고령토, 규조토, 이산화티타늄 및 제올라이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인, 도료 조성물.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화 중합된 전분은,
    전분; 및
    아크릴산 에틸, 아크릴산 메틸, 아크릴산 부틸 및 메타크릴산 메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아크릴 단량체가 공중합된 것인, 도료 조성물.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에틸렌 공중합체는,
    아크릴산-에틸렌 공중합체이며, 상기 아크릴산-에틸렌 공중합체 100 중량%에 대해 아크릴산 단량체가 6.5 내지 21 중량%의 비율로 포함된 것인, 도료 조성물.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수용성 바인더 및 상기 제2 수용성 바인더 중 적어도 하나는 유리전이온도가 -40 내지 -10℃인, 도료 조성물.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분산제는,
    알킬술폰산염, 알킬아릴술폰산염, 알킬인산에스테르염, 알킬폴리인산에스테르염, 아릴인산에스테르염, 알킬황산에스테르염, 폴리카르본산의 암모늄염 및 폴리아크릴산염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인, 도료 조성물.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소포제는,
    폴리프로필렌글리콜, 지방산류, 고급알콜류, 디메틸 폴리실록산, 에테르 변성 실리콘류 및 소수성 실리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인, 도료 조성물.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점탄성 조절제는,
    하이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메틸셀룰로오스 및 아크릴계 에멀젼 폴리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인, 도료 조성물.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내수성 향상제는,
    폴리디메틸실록산, 폴리에테르 변성 폴리디메틸실록산, 폴리메틸알킬실록산 및 아미노 변성 폴리실록산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인, 도료 조성물.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표면장력 조절제는,
    아크릴 폴리머, 디페닐디메틸폴리실록산 및 폴리에테르 변성 폴리실록산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인, 도료 조성물.
  12. 도료 조성물 100 중량%에 대해, 안료 30 내지 80 중량%, 유화 중합된 전분을 포함하는 제1 수용성 바인더 3 내지 17 중량%, 에틸렌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제2 수용성 바인더 1 내지 10 중량%, 분산제 0.1 내지 0.8 중량%, 소포제 0.1 내지 0.9 중량%, 점탄성 조절제 0.1 내지 1.0 중량%, 내수성 향상제 0.5 내지 4.0 중량%, 표면장력 조절제 0.1 내지 0.6 중량%, pH 조절제 0.1 내지 0.3 중량%, 및 잔량의 물을 포함하는 도료 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도료 조성물을 해양 구조물에 도포하고 건조하여 도막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도막의 처리 방법.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도막을 형성하고 미리 정해진 시간 이후에 물을 분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도막의 처리 방법.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정해진 시간은,
    2 내지 12 개월인, 도막의 처리 방법.
  15.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물을 분사하는 단계는,
    물을 100 내지 400 bar의 압력으로 분사하는 것인, 도막의 처리 방법.
KR1020210147368A 2021-10-29 2021-10-29 수압으로 제거 가능한 해양 구조물용 임시 보호 도료 조성물 및 도막의 처리 방법 KR2023006227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47368A KR20230062276A (ko) 2021-10-29 2021-10-29 수압으로 제거 가능한 해양 구조물용 임시 보호 도료 조성물 및 도막의 처리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47368A KR20230062276A (ko) 2021-10-29 2021-10-29 수압으로 제거 가능한 해양 구조물용 임시 보호 도료 조성물 및 도막의 처리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62276A true KR20230062276A (ko) 2023-05-09

Family

ID=864087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47368A KR20230062276A (ko) 2021-10-29 2021-10-29 수압으로 제거 가능한 해양 구조물용 임시 보호 도료 조성물 및 도막의 처리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62276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970704B1 (en) Protective water reversible clear coating for substrates
CN107849385B (zh) 可剥离的涂料组合物和其制造方法
MX2015006254A (es) Composicion de revestimiento anticorrosivo de base acuosa y proceso para proporcionar un revestimiento resistente a la corrosion sobre una superficie metalica.
CN1311274A (zh) 可去除涂料组合物和制备方法
KR20060041214A (ko) 실릴 에스테르 코폴리머 조성물
US10160875B2 (en) Aqueous coating composition and process of making the same
CN110819193B (zh) 一种自阻燃丙烯酸树脂水性防腐蚀涂料
US6815010B2 (en) Method of inhibiting the loss of solar reflectance over time of an exterior elastomeric
KR20190096366A (ko) 수성 코팅 조성물
JP3073775B2 (ja) 水性塗料用低染化剤、低汚染型水性塗料組成物及びその使用方法
JPH107940A (ja) コーティング組成物
CN109689808A (zh) 具有优越耐久性的水基密封剂
KR20230062276A (ko) 수압으로 제거 가능한 해양 구조물용 임시 보호 도료 조성물 및 도막의 처리 방법
KR102324161B1 (ko) 콘크리트 구조물의 중성화 방지 수성 페인트 및 이의 제조방법.
CN115785726A (zh) 一种高耐沾污水性丙烯酸消光剂及制备方法与应用
EP3450508B1 (en) Protective water reversible coating for substrates
US11697746B2 (en) Protective water reversible clear coating for substrates
JP2024064267A (ja) 水性塗料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1854047B1 (ko) 방오 도료 조성물
CN114634751A (zh) 一种水性耐酸碱面漆及其生产工艺
KR20180093949A (ko) 수성 코팅 조성물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