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62234A - 제조설비용 제습시스템 및 제습방법 - Google Patents

제조설비용 제습시스템 및 제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62234A
KR20230062234A KR1020210147287A KR20210147287A KR20230062234A KR 20230062234 A KR20230062234 A KR 20230062234A KR 1020210147287 A KR1020210147287 A KR 1020210147287A KR 20210147287 A KR20210147287 A KR 20210147287A KR 20230062234 A KR20230062234 A KR 202300622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humidifier
relative humidity
rooms
dehumidification
set valu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472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종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Priority to KR10202101472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62234A/ko
Publication of KR202300622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6223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3/00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 F24F3/12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 F24F3/14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26Drying gases or vapou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3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rpos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ystem, e.g. for safety or monitoring
    • F24F11/46Improving electric energy efficiency or sav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3/00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 F24F3/12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 F24F3/14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 F24F2003/144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on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제조설비용 제습시스템은 제조설비가 설치된 복수개의 제습 룸; 복수개의 제습 룸이 병렬로 연결되고, 복수개의 제습 룸 내부의 상대습도가 설정값을 가지도록 복수개의 제습 룸 내부의 상대습도를 동시에 조절하는 메인 제습기; 및 복수개의 제습 룸에 각각 연결되고, 상기 메인 제습기에 의해 상대습도가 설정값으로 조절된 복수개의 제습 룸 내부의 상대습도를 각각 조절하여 복수개의 제습 룸 내부의 상대습도를 설정값으로 유지시키는 국부 제습기; 및 상기 메인 제습기에 의해 조절된 복수개의 제습 룸 내부의 상대습도를 측정하고, 측정된 상대습도가 설정값을 가지면, 상기 메인 제습기는 정지하고 상기 국부 제습기는 작동하게 제어할 수 있다.

Description

제조설비용 제습시스템 및 제습방법{AIR DRYING SYSTEM AND METHOD FOR FABRICATION EQUIPMENT}
본 발명은 드라이 룸 내에 설치된 다수의 제조설비에 대한 습도를 각각 관리하여 에너지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제조설비용 제습시스템 및 제습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차전지(secondary battery)는 충전이 불가능한 일차 전지와는 달리 충전 및 방전이 가능한 전지를 말하며, 이러한 이차 전지는 폰, 노트북 컴퓨터, 캠코더 및 전기자동차 등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상기한 이차전지는, 전극조립체가 금속 캔에 내장되는 캔형 이차전지와, 전극조립체가 파우치에 내장되는 파우치형 이차전지로 분류된다. 상기 캔형 이차전지는, 전극조립체, 전해액, 전극조립체와 전해액을 수용하는 캔, 캔의 개구부에 실장되는 캡 조립체를 포함하는 구조를 가진다. 그리고 파우치형 이차전지는 전극조립체, 전해액, 전극조립체와 전해액을 수용하는 파우치를 포함하는 구조를 가진다.
상기와 같은 이차전지는 활물질 혼합과정, 전극 코팅과정, 압연과정, 슬리팅과정 등을 포함하는 전극 제조공정, 전극과 분리막을 권취하고 접합하는 라미네이션공정, 전극조립체과 전해액을 케이스에 수납하여 이차전지를 제조하는 조립공정, 이차전지를 활성화하는 활성화공정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공정들은 하나의 드라이 룸 내에서 설치되어 있고, 상기 드라이 룸에는 수분과의 접촉을 피하기 위해 제습기가 마련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의 제조설비는 하나의 제습기로 드라이 룸 전체의 습도를 조절하고 있기 때문에 불필요한 에너지 소비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허등록번호 제10-1197822호.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차전지를 제조하는 공정이 설치된 복수개의 설비 룸 내부의 상대습도를 각각 조절할 수 있도록 시스템을 구성함으로써 복수개의 설비 룸의 상대습도를 각각 조절할 수 있고, 이에 따라 불필요한 에너지 소비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그 결과 에너지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제조설비용 제습시스템 및 제습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조설비용 제습시스템은 제조설비가 설치된 복수개의 제습 룸; 복수개의 제습 룸이 병렬로 연결되고, 복수개의 제습 룸 내부의 상대습도가 설정값을 가지도록 복수개의 제습 룸 내부의 상대습도를 동시에 조절하는 메인 제습기; 및 복수개의 제습 룸에 각각 연결되고, 상기 메인 제습기에 의해 상대습도가 설정값으로 조절된 복수개의 제습 룸 내부의 상대습도를 각각 조절하여 복수개의 제습 룸 내부의 상대습도를 설정값으로 유지시키는 국부 제습기; 및 상기 메인 제습기에 의해 조절된 복수개의 제습 룸 내부의 상대습도를 측정하고, 측정된 상대습도가 설정값을 가지면, 상기 메인 제습기는 정지하고 상기 국부 제습기는 작동하게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설정값은 0.5~1.5%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습도 제어기는, 상기 메인 제습기에 의해 제어된 복수개의 제습 룸 내부의 상대습도가 설정시간 동안 설정값을 유지하면, 상기 메인 제습기는 정지하고 상기 국부 제습기는 작동하게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설정시간은 5분~30분으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습도 제어기는, 상기 국부 제습기에 의해 제어되는 복수개의 제습 룸 중 10% 이상의 제습 룸 내부의 상대습도가 설정값을 유지하지 못하면, 상기 국부 제습기를 정지시킴과 동시에 상기 메인 제습기를 재가동시켜서 복수개의 제습 룸 내부의 상대습도를 설정값으로 조절되게 제어할 수 있다.
복수개의 제습 룸을 수용하는 설비 룸을 포함하고, 상기 메인 제습기는, 상기 설비 룸 내부의 상대습도가 제습 룸의 상대습도보다 높게 유지되도록 조절할 수 있다.
상기 메인 제습기는, 상기 국부 제습기 보다 큰 제습력을 가질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제조설비용 제습방법은 (a) 메인 제습기를 이용하여 복수개의 제습 룸 내부의 상대습도가 설정값을 가지도록 복수개의 제습 룸 내부의 습도를 동시에 조절하는 단계; (b) 습도 제어기를 이용하여 복수개의 제습 룸 내부의 상대습도를 각각 측정하고, 측정된 상대습도가 설정값을 가지면, 상기 메인 제습기의 작동을 정지시키고, 복수개의 제습 룸에 각각 연결된 국부 제습기를 작동시키는 단계; 및 (c) 상기 국부 제습기를 이용하여 상대습도가 설정값으로 조절된 복수개의 제습 룸 내부의 상대습도를 각각 조절하여 복수개의 제습 룸 내부의 상대습도를 설정값으로 유지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설정값은 0.5~1.5%를 가질 수 있다.
상기 (b) 단계에서 습도 제어기는, 상기 메인 제습기에 의해 제어된 복수개의 제습 룸 내부의 상대습도가 설정시간 동안 설정값을 유지하면, 상기 메인 제습기의 작동을 정지시킴과 동시에 상기 국부 제습기가 작동하게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설정시간은 5분~30분으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c) 단계 후, (d) 상기 국부 제습기에 의해 상대습도가 유지되는 복수개의 제습 룸 중 10% 이상의 제습 룸 내부의 상대습도가 설정값을 가지지 못하면, 습도 제어기를 이용하여 상기 국부 제습기의 작동을 정지시킴과 동시에 상기 메인 제습기를 재가동하여 복수개의 제습 룸 전체의 상대습도를 설정값으로 다시 조절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a) 단계는, 상기 메인 제습기를 이용하여 복수개의 제습 룸이 설치된 설비 룸의 내부 상대습도가 제습 룸의 상대습도 보다 높게 유지되도록 조절하는 공정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메인 제습기는 상기 국부 제습기 보다 큰 제습력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제조설비용 제습 시스템은 메인 제습기, 국부 제습기 및 습도 제어기를 포함함으로써 복수개의 제습 룸 내부의 상대습도를 설정값으로 신속하게 조절 및 유지시킬 수 있고, 이에 따라 에너지 소비를 최소화할 수 있으며, 그 결과 에너지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제조설비용 제습시스템을 도시한 설비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제조설비용 제습시스템에서 메인 제습기가 작동하는 상태를 도시한 설비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제조설비용 제습시스템에서 국부 제습기가 작동하는 상태를 도시한 설비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제조설비용 제습방법을 나타낸 순서도.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제조설비용 제습시스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제조설비용 제습시스템(100)은 복수개의 제습 룸(110)의 상대습도를 각각 조절하고 유지시키는 구조를 가지며, 이에 따라 불필요한 에너지 소비를 최소화할 수 있고, 그 결과 에너지 효율성을 높일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제조설비용 제습시스템(100)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복수개의 제습 룸(110), 메인 제습기(120), 국부 제습기(130), 습도 제어기(140) 및 설비 룸(150)을 포함한다.
제습 룸
제습 룸(110)은 제조설비를 설치하기 위한 것이다. 즉, 제습 룸(110)은 이차전지를 제조하기 위한 제조설비를 각각 설치하기 위해 복수개로 마련되어 있고, 외부와 밀폐되는 내부공간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제습 룸(110)은 작업자의 출입을 위한 출입문이 설치되어 있다.
한편, 제조설비는 이차전지를 제조하기 위한 제조공정일 수 있다. 예로, 제조설비는 활물질 혼합과정, 전극 코팅과정, 압연과정, 슬리팅과정 등을 포함하는 전극 제조공정, 전극과 분리막을 권취하고 접합하는 라미네이션공정, 전극조립체과 전해액을 케이스에 수납하여 이차전지를 제조하는 조립공정, 이차전지를 활성화하는 활성화공정을 포함할 수 있다.여기서 상기와 같은 공정 중 상기 조립공정은 복수개의 제습 룸에 설치될 수 있다. 물론, 각 공정이 복수개의 제습 룸에 각각 설치될 수도 있다.
메인 제습기
메인 제습기(120)는 복수개의 제습 룸(110) 내부의 상대습도를 동시에 조절하기 위한 것이다. 즉, 메인 제습기(120)는 복수개의 제습 룸(110)이 병렬로 연결되어 있고, 복수개의 제습 룸(110) 내부의 상대습도가 설정값을 가지도록 복수개의 제습 룸(110) 내부의 습도를 동시에 조절하는 구조를 가진다. 즉, 복수개의 제습 룸은 메인 연결관(121)을 통해 메인 제습기에 병렬로 연결되어 있다.
이에 따라 메인 제습기(120)는 복수개의 제습 룸(110) 내부 상대습도를 동시에 조절함으로써 습도조절 시간을 크게 단축할 수 있고, 복수개의 제습 룸(110) 내부 상대습도를 설정값을 가지도록 신속하게 조절할 수 있다.
국부 제습기
국부 제습기(130)는 복수개의 제습 룸(110) 내부의 상대습도를 설정값으로 유지시키기 위한 것이다. 즉, 국부 제습기(130)는 복수개의 제습 룸(110)에 각각 연결되게 복수개로 마련되어 있고, 상기 메인 제습기(120)에 의해 설정값으로 조절된 복수개의 제습 룸(110) 내부의 상대습도를 설정값으로 유지시키는 구조를 가진다.
다시 말해, 복수개의 제습 룸과 복수개의 국부 제습기는 국부 연결관(131)을 통해 1:1로 연결되어 있다.
이에 따라 국부 제습기(130)는 복수개의 제습 룸(110) 내부의 상대습도가 설정값 이하 또는 이상으로 변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그 결과 불필요한 에너지 소비를 최소화할 수 있다. 다시 말해 국부 제습기(130)는 상대습도에 변화가 발생한 제습 룸(110)만 상대습도를 조절하면 되기 때문에 에너지 소비를 최소화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설정값은 0.5%~1.5%, 바람직하게는 1%를 가질 수 있다. 여기서 설정값이 0.5% 이하를 가지면, 습도 조절에 높은 가격의 제습기가 필요하고, 1.5% 이상을 가지면 제습 룸 내부에 설치된 제조설비에서 생산되는 제품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여기서 메인 제습기(120)는 복수개의 제습 룸(110)을 동시에 제습하기 위해 국부 제습기(130) 보다 큰 제습력을 가질 수 있다.
한편, 메인 제습기와 국부 제습기는 내부 공간의 습기를 제거하는 제습 기(dehumidifier)로 마련될 수 있다. 특히 제습기는 산업현장 및 가정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일례로 제습기는 응축기(수액기)→사이트글라스→드라이어→전자 밸브→팽창 밸브로 연결되는 구조를 가진다.
여기서 제습기는 산업현상에서 널리 사용되는 것으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습도 제어기
습도 제어기(140)는 복수개의 제습 룸 내부의 상대습도에 따라 메인 제습기(120)와 국부 제습기(130)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것이다. 즉, 상기 습도 제어기(140)는 상기 메인 제습기(102)에 의해 조절된 복수개의 제습 룸(110) 내부의 상대습도를 측정하는 측정센서를 포함하고, 측정센서에 의해 측정된 상대습도가 설정값을 가지면, 상기 메인 제습기(120)가 정지하고 상기 국부 제습기(130)가 작동하게 제어한다.
한편, 상기 습도 제어기(140)는, 상기 메인 제습기(120)에 의해 제어된 복수개의 제습 룸(110) 내부의 상대습도가 설정시간 동안 설정값을 유지하면, 상기 메인 제습기가 정지하고 상기 국부 제습기가 작동하게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설정시간은 5분~30분으로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설정시간이 5분 이하이면, 복수개의 제습 룸(110) 내부의 상대습도 변화 여부를 정확히 확인하기 어렵고, 30분 이상이면 불필요한 메인 제습기의 작동으로 인해 불필요한 에너지 소비가 발생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습도 제어기(140)는 임의 작동시간 동안 상기 메인 제습기(102)에 의해 복수개의 제습 룸(110) 내부의 상대습도가 설정값으로 조절되지 못하면, 경고음 또는 경도등으로 작업자에게 문제발생을 알릴 수 있다. 상기 임의 작동시간은 2시간~3시간으로 설정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습도 제어기(140)는 상기 메인 제습기(120)가 정지하고 상기 국부 제습기(130)가 작동하는 사이에 복수개의 제습 룸(110) 내부의 상대습도가 변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상기 습도 제어기(140)는 상기 메인 제습기(120)를 정지하기 전에 상기 국부 제습기(130)를 먼저 작동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즉, 상기 습도 제어기(140)는 상기 메인 제습기(120)와 상기 국부 제습기(130)를 준비시간 동안 동시에 작동하게 제어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상기 습도 제어기(140)는 국부 제습기(130)가 복수개의 제습 룸(110)의 상대습도를 설정값으로 유지시킬 수 있도록 준비시간을 부여할 수 있다. 한편, 준비시간은 1분~5분을 가진다.
한편, 상기 습도 제어기(140)는, 상기 국부 제습기(130)에 의해 조절되는 복수개의 제습 룸 중 10% 이상의 제습 룸 내부의 상대습도가 설정값을 유지하지 못하면, 상기 국부 제습기(130)를 정지시키고 상기 메인 제습기(120)를 재가동시킬 수 있다. 즉, 상기 습도 제어기(140)는, 국부 제습기(130)만으로는 복수개의 제습 룸(110) 내부의 상대습도를 설정값으로 유지할 수 없다고 판단하면, 상기 메인 제습기(120)를 재가동시켜서 복수개의 제습 룸(110) 내부의 상대습도를 설정값으로 다시 조절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복수개의 제습 룸 내부의 상대습도를 일괄적으로 재조절하여 안정된 습도를 유지시킬 수 있다.
설비 룸
설비 룸(150)은 복수개의 제습 룸을 밀폐되게 수용하기 위한 것이다. 즉, 설비 룸(150)은 복수개의 제습 룸(110)이 설치되는 설치공간이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메인 제습기(120)는, 상기 설비 룸(150) 내부의 상대습도가 제습 룸(110)의 상대습도보다 높게 유지되도록 조절할 수 있다. 즉, 상기 메인 제습기(120)는 제습 룸(110)의 상대습도가 1%를 유지하면, 설비 룸(150) 내부의 상대습도는 1% 이상, 바람직하게는 2%를 유지하게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제조설비용 제습시스템(100)은 메인 제습기와 국부 제습기 및 습도 제어기를 포함함으로써 복수개의 제습 룸 내부의 상대습도를 효과적으로 제어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에너지 소비를 최소화하여 에너지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제조설비용 제습시스템을 이용한 제습방법을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제조설비용 제습방법]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제조설비용 제습방법은 도 4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a) 메인 제습 단계, (b)습도 측정단계; (c) 국부 제습 단계, (d) 재제습 단계를 포함한다.
(a) 메인 제습 단계
(a) 단계는 도 2를 참조하면, 메인 제습기(120)를 이용하여 복수개의 제습 룸(110) 내부의 상대습도가 설정값을 가지도록 복수개의 제습 룸(110) 내부의 상대습도를 동시에 조절한다. 즉, 메인 제습기(120)는 병렬로 연결된 복수개의 제습 룸(110) 내부의 상대습도를 동시에 조절한다.
여기서 상기 설정값은 0.5~1.5%, 바람직하게는 1%를 가질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제조설비는 이차전지를 제조하는 설비로, 습도에 의해 변형 및 변질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으며, 이에 따라 상기 설정값은 0.5~1.5%로 설정될 수 있다.
한편, 상기 (a) 단계는, 상기 메인 제습기(120)를 이용하여 복수개의 제습 룸(110)이 설치된 설비 룸(150)의 내부 상대습도도 조절하는 공정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특히 (a) 메인 제습 단계는 설비 룸(150)의 내부 상대습도가 제습 룸(110)의 상대습도 보다 높게 유지되도록 조절할 수 있다. 즉, 제습 룸(110)의 상대습도가 1%를 가지면 설비 룸(150)의 상대습도는 2%를 가지게 조절될 수 있다.
(b)습도 측정단계
(b) 단계는 습도 제어기(140)를 이용하여 복수개의 제습 룸(110) 내부의 상대습도를 측정센서를 이용하여 각각 측정하고, 측정센서에 의해 측정된 상대습도가 설정값을 가지면, 상기 메인 제습기(120)의 작동이 정지하고 복수개의 제습 룸(110)에 각각 연결된 국부 제습기(130)가 작동하게 제어한다.
이때 습도 제어기(140)는 측정된 상대습도가 설정값을 가지지 못하면, 메인 제습기(120)를 이용하여 복수개의 제습 룸(110) 내부의 상대습도를 다시 조절한다.
특히 습도 제어기(140)는 상기 메인 제습기(120)에 의해 제어된 복수개의 제습 룸(110) 내부의 상대습도가 설정시간 동안 설정값을 유지하면, 상기 메인 제습기(12)가 정지하고 상기 국부 제습기가 작동하게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설정시간은 5분~30분으로 마련될 수 있다.
이때 습도 제어기(140)는 상기 메인 제습기(120)를 정지하기 전에 상기 국부 제습기(130)를 먼저 작동시킬 수 있다. 즉, 상기 습도 제어기(140)는 상기 메인 제습기(120)와 상기 국부 제습기(130)를 준비시간 동시에 작동하게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준비시간은 1분~5분으로 마련될 수 있다.
(c) 국부 제습 단계
(c) 단계는 국부 제습기(130)를 이용하여 상대습도가 설정값으로 조절된 복수개의 제습 룸(110) 내부의 상대습도를 각각 조절하며, 이에 따라 복수개의 제습 룸(110) 내부의 상대습도를 설정값으로 유지시킨다.
여기서 상기 메인 제습기는 상기 국부 제습기 보다 큰 제습력을 가진다.
한편, 상기 (c) 단계 후, (d) 재조절 단계를 더 수행할 수 있다.
(d) 재제습 단계
(d) 단계는 상기 국부 제습기(130)에 의해 상대습도가 유지되는 복수개의 제습 룸(110) 중 10% 이상의 제습 룸 내부의 상대 습도가 설정값을 유지하지 못하면, 습도 제어기(140)는 상기 국부 제습기(130)의 작동을 정지시키고, 상기 메인 제습기(120)를 재가동시킨다. 이에 따라 상기 메인 제습기(120)는 복수개의 제습 룸(110) 전체의 상대습도를 설정값으로 재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제조설비용 제습방법은 복수개의 제습 룸의 상대습도를 안정적으로 유지시킬 수 있고, 에너지 소비를 최소화할 수 있으며, 그 결과 에너지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다양한 실시 형태가 가능하다.
10: 설비
110: 재습 룸
120: 메인 제습기
121: 메인 연결라인
130: 국부 제습기
131: 국부 연결라인
140: 습도 제어기
150: 설비 룸

Claims (14)

  1. 제조설비가 설치된 복수개의 제습 룸;
    복수개의 제습 룸이 병렬로 연결되고, 복수개의 제습 룸 내부의 상대습도가 설정값을 가지도록 복수개의 제습 룸 내부의 상대습도를 동시에 조절하는 메인 제습기; 및
    복수개의 제습 룸에 각각 연결되고, 상기 메인 제습기에 의해 상대습도가 설정값으로 조절된 복수개의 제습 룸 내부의 상대습도를 각각 조절하여 복수개의 제습 룸 내부의 상대습도를 설정값으로 유지시키는 국부 제습기; 및
    상기 메인 제습기에 의해 조절된 복수개의 제습 룸 내부의 상대습도를 측정하고, 측정된 상대습도가 설정값을 가지면, 상기 메인 제습기는 정지하고 상기 국부 제습기는 작동하게 제어하는 습도 제어기를 포함하는 제조설비용 제습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설정값은 0.5~1.5%를 가지는 제조설비용 제습시스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습도 제어기는, 상기 메인 제습기에 의해 제어된 복수개의 제습 룸 내부의 상대습도가 설정시간 동안 설정값을 유지하면, 상기 메인 제습기는 정지하고 상기 국부 제습기는 작동하게 제어하는 제조설비용 제습시스템.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설정시간은 5분~30분으로 마련되는 제조설비용 제습시스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습도 제어기는, 상기 국부 제습기에 의해 제어되는 복수개의 제습 룸 중 10% 이상의 제습 룸 내부의 상대습도가 설정값을 유지하지 못하면, 상기 국부 제습기를 정지시킴과 동시에 상기 메인 제습기를 재가동시켜서 복수개의 제습 룸 내부의 상대습도를 설정값으로 조절되게 제어하는 제조설비용 제습시스템.
  6. 청구항 1에 있어서,
    복수개의 제습 룸을 수용하는 설비 룸을 포함하고,
    상기 메인 제습기는, 상기 설비 룸 내부의 상대습도가 제습 룸의 상대습도보다 높게 유지되도록 조절하는 제조설비용 제습시스템.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메인 제습기는, 상기 국부 제습기 보다 큰 제습력을 가지는 제조설비용 제습시스템.
  8. (a) 메인 제습기를 이용하여 복수개의 제습 룸 내부의 상대습도가 설정값을 가지도록 복수개의 제습 룸 내부의 습도를 동시에 조절하는 단계;
    (b) 습도 제어기를 이용하여 복수개의 제습 룸 내부의 상대습도를 각각 측정하고, 측정된 상대습도가 설정값을 가지면, 상기 메인 제습기의 작동을 정지시키고, 복수개의 제습 룸에 각각 연결된 국부 제습기를 작동시키는 단계; 및
    (c) 상기 국부 제습기를 이용하여 상대습도가 설정값으로 조절된 복수개의 제습 룸 내부의 상대습도를 각각 조절하여 복수개의 제습 룸 내부의 상대습도를 설정값으로 유지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조설비용 제습방법.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설정값은 0.5~1.5%를 가지는 제조설비용 제습방법.
  10.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b) 단계에서 습도 제어기는, 상기 메인 제습기에 의해 제어된 복수개의 제습 룸 내부의 상대습도가 설정시간 동안 설정값을 유지하면, 상기 메인 제습기의 작동을 정지시킴과 동시에 상기 국부 제습기가 작동하게 제어하는 제조설비용 제습방법.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설정시간은 5분~30분으로 마련되는 제조설비용 제습방법.
  12.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c) 단계 후, (d) 상기 국부 제습기에 의해 상대습도가 유지되는 복수개의 제습 룸 중 10% 이상의 제습 룸 내부의 상대습도가 설정값을 가지지 못하면, 습도 제어기를 이용하여 상기 국부 제습기의 작동을 정지시킴과 동시에 상기 메인 제습기를 재가동하여 복수개의 제습 룸 전체의 상대습도를 설정값으로 다시 조절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제조설비용 제습방법.
  13.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a) 단계는, 상기 메인 제습기를 이용하여 복수개의 제습 룸이 설치된 설비 룸의 내부 상대습도가 제습 룸의 상대습도 보다 높게 유지되도록 조절하는 공정을 더 포함하는 제조설비용 제습방법.
  14.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메인 제습기는 상기 국부 제습기 보다 큰 제습력을 가지는 제조설비용 제습방법.
KR1020210147287A 2021-10-29 2021-10-29 제조설비용 제습시스템 및 제습방법 KR2023006223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47287A KR20230062234A (ko) 2021-10-29 2021-10-29 제조설비용 제습시스템 및 제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47287A KR20230062234A (ko) 2021-10-29 2021-10-29 제조설비용 제습시스템 및 제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62234A true KR20230062234A (ko) 2023-05-09

Family

ID=864090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47287A KR20230062234A (ko) 2021-10-29 2021-10-29 제조설비용 제습시스템 및 제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62234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97822B1 (ko) 2008-04-21 2012-11-05 다이킨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조습 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97822B1 (ko) 2008-04-21 2012-11-05 다이킨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조습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164519B2 (en) Smart environmental control system for an enclosure with diagnostics
WO2014147973A1 (ja) 二次電池の充電システム及び方法並びに電池パック
US10335913B2 (en) Temperature control system for machine tool
CN105650801A (zh) 控制空调进入除霜模式的方法、装置及空调器
CN105485869A (zh) 电子膨胀阀故障检测方法和装置
CN1910904B (zh) 监视摄像机和除湿调整体
KR20230062234A (ko) 제조설비용 제습시스템 및 제습방법
CN104460734A (zh) 用于变电站保护室的湿度监控方法和系统
JP4179366B2 (ja) 空気調和機
CN109654661A (zh) 一种双冷源空调运行容错控制系统及方法
CN110553363B (zh) 空调器中间能力的控制方法、空调器和存储介质
JP4438533B2 (ja) 屋内設置変圧器用冷却装置のファン制御方法
CN108709281B (zh) 空调器的控制方法、系统、空调器及计算机设备
CN113972565A (zh) 一种预制舱变电站的防潮防凝露系统
WO2020115964A1 (ja) 電池ケース装置及び電源装置
KR20220038597A (ko) 통합 배터리를 갖는 작동 메커니즘
CN106642572A (zh) 空调器控制方法、控制器及空调器
JP2008228378A (ja) モータ絶縁保護装置およびこれを有する車両
KR102261277B1 (ko) 엔진룸 쿨링팬 제어기 및 그 제어 방법
JP2010114835A (ja) 設備機器の通信制御装置、管理システム及び通信制御方法
KR20180104875A (ko) 지하철 ddc의 전원 공급 및 제어 시스템
KR101758620B1 (ko) 냉난방공조 제어 시스템을 이용한 반도체 설비의 관리방법
CN113357747A (zh) 一种数据机房空调自主诊断控制方法
JP6628527B2 (ja) 空気調和機
CN107355951B (zh) 空调制冷模式控制方法、装置以及空调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