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61654A - 카메라 결합형 소도체 등심 영상 촬영기 - Google Patents

카메라 결합형 소도체 등심 영상 촬영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61654A
KR20230061654A KR1020210145844A KR20210145844A KR20230061654A KR 20230061654 A KR20230061654 A KR 20230061654A KR 1020210145844 A KR1020210145844 A KR 1020210145844A KR 20210145844 A KR20210145844 A KR 20210145844A KR 20230061654 A KR20230061654 A KR 202300616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mera
coupled
housing
sirloin
transparent windo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458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54362B1 (ko
Inventor
유임종
김학성
김영준
남건
이왕열
선창완
김동준
이진석
원광연
최남우
김형용
강병철
정은미
김지인
이용태
박성수
Original Assignee
축산물품질평가원
(주)인실리코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축산물품질평가원, (주)인실리코젠 filed Critical 축산물품질평가원
Priority to KR10202101458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54362B1/ko
Publication of KR202300616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616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543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543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17Systems in which incident light is modified in accordance with the properties of the material investigated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02Food
    • G01N33/12Meat; Fish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201/00Features of devices classified in G01N21/00
    • G01N2201/06Illumination; Optic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mmun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atholog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카메라 디바이스를 결합 사용 가능한 카메라 결합형 소도체 등심 영상 촬영기에 관한 것으로, 투명창을 갖는 피사체 접촉면과, 상기 피사체 접촉면의 일측과 결합되어 예각을 이루는 상부면과, 상기 상부면의 타측에 일측이 결합되어 지표면과 수직을 이루되 카메라 뷰 홀이 형성된 후면과, 상기 후면의 타측과 연결되어 경사진 저면과, 상기 상부면과 상기 후면 및 상기 저면을 연결하는 측면들을 갖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내에서 빛을 조사하는 조명부와; 상기 저면에 상부가 결합되고 상기 카메라 뷰 홀에 카메라 렌즈가 위치하도록 일면에 카메라 디바이스 안착부와 디바이스 홀더가 형성되어 있는 손잡이와; 상기 하우징 내의 상기 상부면에 부착되어 투명창 밑에 놓이는 피사체를 비추는 제1반사미러와; 상기 하우징 내의 상기 후면에 일측이 결합된 미러 지지판에 부착되어 상기 제1반사미러에 비추어진 피사체를 상기 카메라 뷰 홀을 통해 상기 디바이스 홀더에 결합되는 카메라 디바이스의 카메라 렌즈로 비추는 제2반사미러;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카메라 결합형 소도체 등심 영상 촬영기{APPARATUS FOR OBTAINING IMAGE OF BEEF SIRLOIN}
본 발명은 육질 등급 판정을 위한 등심 영상 촬영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카메라 디바이스를 결합 사용 가능한 카메라 결합형 소도체 등심 영상 촬영기에 관한 것이다.
축산 선진국은 2000년 초반부터 소도체 등급판정 기계화 측정 기술 연구와 현장 적용중에 있으나, 국내의 경우 관련 시스템 부재로 4차 산업 혁신 기술인 AI를 접목하여 한우 산업의 국가 경쟁력 확보와 정확한 품질측정이 가능한 원천기술의 국산화가 필요하였다.
현행 축산물품질평가사(전문가)가 육안 품질평가 방식에서 보다 정밀한 등급판정 체계로 판정결과의 객관성 및 공정성 향상을 위해 등심 영상을 촬영하고, 품질을 자동으로 측정할 수 있는 소도체 등심 영상 촬영기가 개발되기에 이르렀다. 소도체 등심 영상 촬영기의 하나로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2087822호에 게시된 '소도체 등심 영상 촬영기'가 있다.
예시한 소도체 등심 영상 촬영기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투명창을 가지는 바닥면(11), 바닥면(11)과 90도 이하의 각도를 이루는 상부면(12) 및 바닥면(11)과 상부면(12)을 연결하는 측면들을 갖는 하우징(1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바닥면(11)과 상부면(12)은 하우징(10)이 등심 측정 공간(소도체의 절개 부위에 해당함) 내에 삽입될 수 있도록 등심 측정 공간에 대응하는 90도 이하의 적절한 각도를 이룬다. 또한 바닥면(11)과 상부면(12)이 만나는 일측이 등심 측정 공간 안쪽에 위치하도록 하우징(10)이 등심 측정 공간 내에 삽입된다. 이와 같이 등심 측정 공간 내에 삽입된 상태에서 바닥면(11) 아래에 위치하게 되는 등심 쪽의 절개면(즉 등급판정부위)을 촬영해야 한다. 이를 위해 하우징의 바닥면(11)에는 투명창이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투명창을 90도 미만의 각도로 내려다보는 위치에서 촬영하는 카메라(30)가 구비된다.
이러한 소도체 등심 영상 촬영기(100)에서는 바닥면(11)에 대한 카메라의 뷰 각도가 비정상적으로 기울어진 상태에서 등심 쪽 절개면의 이미지가 획득되므로 초점이 잘 맞지 않는 문제가 발생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렌즈 회전부가 구비되어야 하거나 소프트웨어적으로 획득 이미지에 대한 보정 처리가 요구되기 때문에, 하드웨어적으로 경박단소한 제품을 추구하는 기술추세에 역행함은 물론, 소프트웨어적으로 영상신호를 별도 처리해야 하는 알고리즘의 개발 및 탑재가 필요하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현재 소개되고 있는 소도체 등심 영상 촬영기들은 카메라가 기본적으로 장착되어 있는 구조이며, 카메라를 통해 획득된 이미지를 구비된 통신부를 통해 외부로 전송할 수 있는 구조이기 때문에 제조 단가를 낮추는데 한계가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8-0045717호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2087822호
이에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발명으로서, 본 발명의 주요 목적은 소도체의 절개면(즉, 소도체)을 수직 상방에서 바라본 것과 같은 영상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는 카메라 결합형 소도체 등심 영상 촬영기를 제공함에 있으며,
더 나아가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누구나 자신의 카메라 디바이스를 결합해 소도체의 절개면에 대한 영상을 획득할 수 있는 저비용의 카메라 결합형 소도체 등심 영상 촬영기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사용자가 다루기 쉽도록 경량화되어 소도체의 절개면을 수직 상방에서 바라본 것과 같은 영상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는 소도체 등심 영상 촬영기 혹은 카메라 결합형의 소도체 등심 영상 촬영기를 제공함에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결합형 소도체 등심 영상 촬영기는,
투명창을 갖는 피사체 접촉면과, 상기 피사체 접촉면의 일측과 결합되어 예각을 이루는 상부면과, 상기 상부면의 타측에 일측이 결합되어 지표면과 수직을 이루되 카메라 뷰 홀이 형성된 후면과, 상기 후면의 타측과 연결되어 경사진 저면과, 상기 상부면과 상기 후면 및 상기 저면을 연결하는 측면들을 갖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내에서 빛을 조사하는 조명부와;
상기 저면에 상부가 결합되고 상기 카메라 뷰 홀에 카메라 렌즈가 위치하도록 일면에 카메라 디바이스 안착부와 디바이스 홀더가 형성되어 있는 손잡이와;
상기 하우징 내의 상기 상부면에 부착되어 투명창 밑에 놓이는 피사체를 비추는 제1반사미러와;
상기 하우징 내의 상기 후면에 일측이 결합된 미러 지지판에 부착되어 상기 제1반사미러에 비추어진 피사체를 상기 카메라 뷰 홀을 통해 상기 디바이스 홀더에 결합되는 카메라 디바이스의 카메라 렌즈로 비추는 제2반사미러;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더 나아가 상술한 구성을 포함하는 소도체 등심 영상 촬영기는 상기 하우징의 일 측면에 제2손잡이가 더 부착 형성되어 있음을 또 다른 특징으로 하며,
상기 카메라 뷰 홀에 위치하는 카메라 렌즈에 의해 촬상되는 영역이 상기 피사체 접촉면에 위치하는 투명창의 전 영역이 되도록 상기 제2반사미러와 상기 제1반사미러의 설치각도를 설정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하우징 내의 피사체 접촉면에는 상기 투명창의 테두리를 따라 영점 조절용 컬러 시트가 더 부착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소도체 등심 영상 촬영기는 투명창을 갖는 피사체 접촉면과, 상기 피사체 접촉면의 일측과 결합되어 예각을 이루는 상부면과, 상기 상부면의 타측에 일측이 결합되어 지표면과 수직을 이루되 카메라 뷰 홀이 형성된 후면과, 상기 후면의 타측과 연결되어 경사진 저면과, 상기 상부면과 상기 후면 및 상기 저면을 연결하는 측면들을 갖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내에서 빛을 조사하는 조명부와;
상기 카메라 뷰 홀에 결합되는 카메라와;
상기 저면에 상부가 결합되는 손잡이와;
상기 하우징 내의 상기 상부면에 부착되어 투명창 밑에 놓이는 피사체를 비추는 제1반사미러와;
상기 하우징 내의 상기 후면에 일측이 결합된 미러 지지판에 부착되어 상기 제1반사미러에 비추어진 피사체를 상기 카메라의 렌즈로 비추는 제2반사미러;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소도체 등심 영상 촬영기 역시 하우징의 일 측면에 제2손잡이가 더 부착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후면과 상기 제2반사미러가 이루는 각도는 58 내지 62도이고, 상기 피사체 접촉면과 상기 상부면이 이루는 각도는 42도 내지 44도 임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하우징 내의 피사체 접촉면에는 상기 투명창의 테두리를 따라 영점 조절용 컬러 시트가 더 부착될 수 있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 해결 수단에 따르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결합형 소도체 등심 영상 촬영기는 별도의 카메라 구비 없이 카메라가 구비된 카메라 디바이스를 결합 사용할 수 있어 저비용의 소도체 등심 영상 촬영기를 제공하는 장점이 있고,
더 나아가 본 발명은 잠망경의 원리를 이용해 소도체의 절개면(즉, 소도체)을 수직 상방에서 바라본 것과 같은 영상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어 왜곡 없는 소도체의 절개면 영상을 얻을 수 있는 장점이 있음은 물론, 두 개의 반사 미러만으로도 수직 상방에서 바라본 것과 같은 소도체의 절개면 영상을 획득할 수 있어 경량화된 소도체 등심 영상 촬영기를 구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더 나아가 본 발명은 영점 조절용 컬러 시트를 투명창의 테두리에 부착하여 함께 촬영되도록 함으로써, 별도의 시트를 이용해 영점 조절하는 절차를 생략할 수 있어 사용상의 편의성을 제공한다.
도 1은 공지된 소도체 등심 영상 획득기의 측면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결합형 소도체 등심 영상 촬영기 예시도.
도 3은 도 2에서 카메라 디바이스가 제거된 카메라 결합형 소도체 등심 영상 촬영기의 사시도.
도 4는 도 3에 도시한 카메라 결합형 소도체 등심 영상 촬영기의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결합형 소도체 등심 영상 촬영기를 구성하는 하우징(200)과 손잡이(210)의 분해 상태 예시도.
도 6은 도 5에 도시한 하우징(200)과 손잡이(210)의 측면도.
도 7 및 도 8은 도 6에 도시한 하우징(200) 내부상태 예시도.
도 9 내지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학계 구성 요소들의 레이아웃 및 광경로 투영 예시도.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투명창(203)의 테두리를 따라 부착된 영점 조절용 컬러 시트(219) 예시도.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의 목적들, 기술적 해법들 및 장점들을 분명하게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통상의 기술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또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청구항들에 걸쳐, '포함하다'라는 단어 및 그 변형은 다른 기술적 특징들, 부가물들, 구성요소들 또는 단계들을 제외하는 것으로 의도된 것이 아니다. 통상의 기술자에게 본 발명의 다른 목적들, 장점들 및 특성들이 일부는 본 설명서로부터, 그리고 일부는 본 발명의 실시로부터 드러날 것이다. 아래의 예시 및 도면은 실례로서 제공되며,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으로 의도된 것이 아니다. 더욱이 본 발명은 본 명세서에 표시된 실시예들의 모든 가능한 조합들을 망라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본 명세서에서 달리 표시되거나 분명히 문맥에 모순되지 않는 한, 단수로 지칭된 항목은, 그 문맥에서 달리 요구되지 않는 한, 복수의 것을 아우른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결합형 소도체 등심 영상 촬영기를 예시한 것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소도체 등심 영상 촬영기는 카메라 부착된 휴대용 카메라 디바이스(예를 들면 스마트폰)를 결합하여 소도체 등심과 관련된 피사체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이러한 카메라 결합형 소도체 등심 영상 촬영기의 구성과 구조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우선 도 3은 도 2에서 카메라 디바이스가 제거된 카메라 결합형 소도체 등심 영상 촬영기의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며, 도 4는 도 3에 도시한 카메라 결합형 소도체 등심 영상 촬영기의 측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더 나아가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결합형 소도체 등심 영상 촬영기를 구성하는 하우징(200)과 손잡이(210)의 분해 상태를 예시한 것이며, 도 6은 도 5에 도시한 하우징(200)과 손잡이(210)의 측면도를 각각 예시한 것이다.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결합형 소도체 등심 영상 촬영기는,
투명창(도시하지 않았음)을 갖는 피사체 접촉면(202)과,
상기 피사체 접촉면(202)의 일측과 결합되어 예각을 이루는 상부면(204)과,
상기 상부면(204)의 타측에 일측이 결합되어 지표면과 수직을 이루되 카메라 뷰 홀(208)이 형성된 후면(206)과,
상기 후면(206)의 타측과 연결되어 경사진 저면(215)과,
상기 상부면(204)과 상기 후면(206) 및 상기 저면(215)을 연결하는 측면들(209)을 갖는 하우징(200)을 포함한다.
상기 피사체 접촉면(202)은 앞선 종래기술에서 언급한 소도체 등심 영상 촬영기의 바닥면으로 이해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투명창은 앞서 언급한 소도체 등심 영상 촬영기의 바닥면 일부를 구성하는 투명창으로 이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우징(200)의 뒷면을 형성하는 후면(206)의 상부와 하부는 단차(도 5의 207 참조)지거나 하부면이 전방측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는 후술할 손잡이(210)의 일 면에 결합되는 카메라 디바이스가 흔들리지 않도록 상기 단차를 이용해 카메라 디바이스의 상부 측을 안정되게 지지해 주기 위함이다.
카메라 뷰 홀(208)은 후술할 손잡이(210)에 결합되는 카메라 디바이스의 카메라 렌즈가 피사체 접촉면(202)과 마주하는 피사체, 즉 소도체의 등심에 대한 영상을 확보하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손잡이(210)에 결합되는 카메라 디바이스의 카메라 렌즈의 위치를 고려해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카메라 뷰 홀(208)은 사용되는 카메라 디바이스의 모델에 따라 그 형성 위치가 가변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하우징(200)은 도 3 내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우징(200)의 저면(215)에 결합되는 손잡이(210)에 의해 지지되고, 사용자 편의를 증진하기 위해 하우징(200)의 일 측면(209)에는 왼손 파지용 제2손잡이(220)가 더 부착되어 사용될 수 있다. 손잡이(210)의 상부면은 경사진 저면(215)에 결합될 수 있도록 경사져 있고 체결수단(211)을 통해 하우징 저면(215)에 결합된다.
손잡이(210)의 일면에는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카메라 디바이스가 손잡이(210)에 안정적으로 안착하기 위한 단턱 형태의 카메라 디바이스 안착부(213)가 형성되어 있고, 그 안착부(213) 위에는 좌우 흔들림을 방지하기 위한 디바이스 홀더(212,214)가 형성되어 있다. 디바이스 홀더는 손잡이(210)에 고정되는 지지축(212)과 그와 마주하되 슬라이딩 이동하는 이동형 홀더(214)로 이루어져 카메라 디바이스를 손잡이(210)에 고정시켜 주는 역할을 한다.
참고적으로 도 3에 도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상술한 하우징(200) 내에는 하우징 내에서 빛을 조사하는 조명부가 더 포함된다. 이러한 조명부는 LED 조명을 이용할 수 있으며, 손잡이 혹은 하우징(200)에 형성된 버튼을 이용해 조명의 점등을 제어할 수 있다.
이하 소도체의 등심 절개면을 수직 상방에서 바라본 것과 같은 영상 이미지를 획득하기 위해 필요한 하우징(200) 내부 구성을 부연 설명하기로 한다.
도 7 및 도 8은 도 6에 도시한 하우징(200) 내부상태를 예시한 것이며, 도 9 내지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학계 구성 요소들의 레이아웃 및 광경로 투영을 예시한 것이다.
우선 도 7은 피사체 접촉면(202)에서 하우징(200)의 내부를 바라 본 것으로 하우징(200) 내의 상부면(204)에는 투명창 밑에 놓이는 피사체를 비추는 제1반사미러(240)가 부착된다. 아울러 하우징(200) 내의 후면(206)에는 미러 지지판(255)의 일측이 결합되어 부착되어 있으며, 그 미러 지지판(255)에는 상기 제1반사미러(240)에 비추어진 피사체를 카메라 뷰 홀(208)을 통해 디바이스 홀더(212,214)에 결합되는 카메라 디바이스의 카메라 렌즈로 비추는 제2반사미러(250)가 부착되어 있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결합형 소도체 등심 영상 촬영기는 잠망경의 원리를 이용해 피사체 접촉면(202)과 마주하게 되는 소도체 등심 절개면의 영상을 획득하는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카메라 뷰 홀(208)에 위치하는 카메라 렌즈의 중심축(광축)에 해당하는 광경로가 제2반사미러(250, 미러 1)에 의해 굴절되어 하우징(200)의 내측 상부면(204)에 부착되는 제1반사미러(240, 미러 2)에서 재굴절되어 투명창의 길이방향 중앙에 도달하도록, 그리고 촬상 영역에 대응하는 카메라 렌즈의 최상단 및 최하단의 광경로가 상기 제2반사미러(250, 미러 1)와 제1반사미러(240,미러 2)에서 굴절되어 투명창 양단에 도달하도록 제1반사미러(240)와 제2반사미러(250)의 설치각과 하우징(200)을 설계한다. 이러한 설계는 카메라 렌즈의 화각과 관련이 있으므로, 카메라 렌즈의 화각에 따라 제1 및 제2반사미러의 설치각 역시 가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카메라 렌즈로서 광각 렌즈를 사용할 수 있으며, 제1반사미러(240, 미러 2)와 제2반사미러(250)의 설치각 설정에 반영된 화각은 50.46도이다. 카메라 촬영시 사람의 눈으로 보는 장면의 화각을 원한다면 표준 렌즈(40도 내지 60도)를 사용하고 그에 맞게 반사미러들의 설치각도를 조정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하우징(200)의 후면(206)과 제2반사미러(250, 미러 1)가 이루는 각도가 58도 내지 62도이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60도가 최적의 각도이며, 피사체 접촉면(202)과 상부면(204)이 이루는 각도는 42도 내지 44도가 적정하되 그 중 43도(후면과 상부면(204)이 103도 이기도 함)가 최적의 각도이다.
이와 같이 카메라 뷰 홀(208)과 마주하게 되는 제2반사미러(250, 미러 1)를 후면(206)과 60도가 되도록 배치하고, 하우징(200)의 상부면(204) 내측에 부착되는 제1반사미러(240, 미러 2)가 피사체 접촉면(202)과 43가 되도록 배치하면, 도 10과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카메라 렌즈의 광경로가 제2반사(250, 미러 1)와 제1반사미러(240, 미러 2)를 통해 굴절되어 피사체와 마주하는 피사체 접촉면의 투명창 전부에 전달되어, 투명창 밑에 놓이는 소도체 등심 절개면에 대한 영상이 왜곡 없이 획득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결합형 소도체 등심 영상 촬영기는 별도의 카메라 구비 없이 카메라가 구비된 카메라 디바이스를 결합 사용할 수 있어 저비용의 소도체 등심 영상 촬영기를 제공하는 장점이 있고,
더 나아가 본 발명은 잠망경의 원리를 이용해 소도체의 절개면(즉, 소도체)을 수직 상방에서 바라본 것과 같은 영상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어 왜곡 없는 소도체의 절개면 영상을 얻을 수 있는 장점이 있음은 물론, 두 개의 반사 미러만으로도 수직 상방에서 바라본 것과 같은 소도체의 절개면 영상을 획득할 수 있어 경량화된 소도체 등심 영상 촬영기를 구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카메라가 구비되지 않은 소도체 등심 영상 촬영기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카메라 뷰 홀(208)에 결합되는 카메라가 더 포함된 소도체 등심 영상 촬영기를 구현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나머지 구성들, 예를 들면 두 반사 미러의 위치와 설치 각도, 하우징(200)의 구조 및 형상은 앞서 설명한 실시예와 동일하게 구현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변형 실시예에서도 카메라 뷰 홀(208)에 결합되는 카메라의 렌즈에 의해 촬상되는 영역이 피사체 접촉면(202)에 위치하는 투명창의 전 영역이 될 수 있도록 제2반사(250, 미러 1)와 제1반사미러(240, 미러 2)를 하우징(200) 내에 배치하면, 카메라 렌즈의 광경로가 제2반사(250, 미러 1)와 제1반사미러(240, 미러 2)를 통해 굴절되어 피사체와 마주하는 피사체 접촉면의 투명창 전부에 전달되어, 투명창 밑에 놓이는 소도체 등심 절개면에 대한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투명창(203)의 테두리를 따라 부착된 영점 조절용 컬러 시트(219)를 예시한 것이다. 여기서의 테두리는 촬상 영역 내에 포함되어야 하기에 투명창의 내측 테두리인 것으로 이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영점 조절용 컬러 시트(219)는 획득된 소도체 등심 절개면 영상으로부터 육질의 등급을 자동 판정하기 위한 면적을 산출하기 위해 우선적으로 요구되는 셀의 크기를 계산하는데 필요하다. 즉, 영점 조절용 컬러 시트(219)를 투명창(203)의 테두리에 부착하여 함께 촬영되도록 함으로써, 별도의 시트를 이용해 영점 조절하는 절차를 생략할 수 있어 본 발명은 사용상의 편의성을 제공한다.
이상의 실시예에서는 소도체 등심 영상 촬영기의 기구적 구성과 구조적 특징만을 언급하였으나, 스마트폰과 같은 카메라 디바이스에 별도의 앱을 설치해 획득 영상을 서버에 전송하도록 할 수도 있으며, 획득 영상에 기초하여 육질의 등급을 자동 판정하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카메라를 구비하는 소도체 등심 영상 촬영기에서는 획득 영상에 기초하여 육질의 등급을 자동 판정하는 영상 신호 처리부와 육질 등급 판정부를 프로세서 형태로 구현한 회로적 구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이 구체적인 구성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이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이 상기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사람이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을 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상기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게 또는 등가적으로 변형된 모든 것들은 본 발명의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Claims (9)

  1. 투명창을 갖는 피사체 접촉면과, 상기 피사체 접촉면의 일측과 결합되어 예각을 이루는 상부면과, 상기 상부면의 타측에 일측이 결합되어 지표면과 수직을 이루되 카메라 뷰 홀이 형성된 후면과, 상기 후면의 타측과 연결되어 경사진 저면과, 상기 상부면과 상기 후면 및 상기 저면을 연결하는 측면들을 갖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내에서 빛을 조사하는 조명부와;
    상기 저면에 상부가 결합되고 상기 카메라 뷰 홀에 카메라 렌즈가 위치하도록 일면에 카메라 디바이스 안착부와 디바이스 홀더가 형성되어 있는 손잡이와;
    상기 하우징 내의 상기 상부면에 부착되어 투명창 밑에 놓이는 피사체를 비추는 제1반사미러와;
    상기 하우징 내의 상기 후면에 일측이 결합된 미러 지지판에 부착되어 상기 제1반사미러에 비추어진 피사체를 상기 카메라 뷰 홀을 통해 상기 디바이스 홀더에 결합되는 카메라 디바이스의 카메라 렌즈로 비추는 제2반사미러;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결합형 소도체 등심 영상 촬영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일 측면에는 제2손잡이가 더 부착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결합형 소도체 등심 영상 촬영기.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후면과 상기 제2반사미러가 이루는 각도는 58 내지 62도이고, 상기 피사체 접촉면과 상기 상부면이 이루는 각도는 42도 내지 44도 임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결합형 소도체 등심 영상 촬영기.
  4.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 뷰 홀에 위치하는 카메라 렌즈에 의해 촬상되는 영역이 상기 피사체 접촉면에 위치하는 투명창의 전 영역이 되도록 상기 제2반사미러와 상기 제1반사미러의 설치각도를 설정함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결합형 소도체 등심 영상 촬영기.
  5.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내의 피사체 접촉면에는,
    상기 투명창의 테두리를 따라 영점 조절용 컬러 시트가 더 부착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결합형 소도체 등심 영상 촬영기.
  6. 투명창을 갖는 피사체 접촉면과, 상기 피사체 접촉면의 일측과 결합되어 예각을 이루는 상부면과, 상기 상부면의 타측에 일측이 결합되어 지표면과 수직을 이루되 카메라 뷰 홀이 형성된 후면과, 상기 후면의 타측과 연결되어 경사진 저면과, 상기 상부면과 상기 후면 및 상기 저면을 연결하는 측면들을 갖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내에서 빛을 조사하는 조명부와;
    상기 카메라 뷰 홀에 결합되는 카메라와;
    상기 저면에 상부가 결합되는 손잡이와;
    상기 하우징 내의 상기 상부면에 부착되어 투명창 밑에 놓이는 피사체를 비추는 제1반사미러와;
    상기 하우징 내의 상기 후면에 일측이 결합된 미러 지지판에 부착되어 상기 제1반사미러에 비추어진 피사체를 상기 카메라의 렌즈로 비추는 제2반사미러;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소도체 등심 영상 촬영기.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일 측면에는 제2손잡이가 더 부착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소도체 등심 영상 촬영기.
  8. 청구항 6 또는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 뷰 홀에 결합되는 카메라의 렌즈에 의해 촬상되는 영역이 상기 피사체 접촉면에 위치하는 투명창의 전 영역이 되도록 상기 제2반사미러와 상기 제1반사미러의 설치각도를 설정함을 특징으로 하는 소도체 등심 영상 촬영기.
  9. 청구항 6 또는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내의 피사체 접촉면에는,
    상기 투명창의 테두리를 따라 영점 조절용 컬러 시트가 더 부착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소도체 등심 영상 촬영기.
KR1020210145844A 2021-10-28 2021-10-28 카메라 결합형 소도체 등심 영상 촬영기 KR1025543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45844A KR102554362B1 (ko) 2021-10-28 2021-10-28 카메라 결합형 소도체 등심 영상 촬영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45844A KR102554362B1 (ko) 2021-10-28 2021-10-28 카메라 결합형 소도체 등심 영상 촬영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61654A true KR20230061654A (ko) 2023-05-09
KR102554362B1 KR102554362B1 (ko) 2023-07-13

Family

ID=864095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45844A KR102554362B1 (ko) 2021-10-28 2021-10-28 카메라 결합형 소도체 등심 영상 촬영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54362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45717A (ko) 2016-10-26 2018-05-04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소도체 등심 자동판별 획득기
KR102070295B1 (ko) * 2018-08-22 2020-01-28 한국식품연구원 농축산물 성분 검사용 모듈 및 휴대형 검사장치
KR102077071B1 (ko) * 2018-08-22 2020-02-14 한국식품연구원 농산물 및 축산물 검사 모듈 및 검사 장치
KR102087822B1 (ko) 2018-04-03 2020-03-11 성균관대학교 산학협력단 소도체 등심 영상 획득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45717A (ko) 2016-10-26 2018-05-04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소도체 등심 자동판별 획득기
KR102087822B1 (ko) 2018-04-03 2020-03-11 성균관대학교 산학협력단 소도체 등심 영상 획득기
KR102070295B1 (ko) * 2018-08-22 2020-01-28 한국식품연구원 농축산물 성분 검사용 모듈 및 휴대형 검사장치
KR102077071B1 (ko) * 2018-08-22 2020-02-14 한국식품연구원 농산물 및 축산물 검사 모듈 및 검사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54362B1 (ko) 2023-07-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924042A (zh) 用于图像采集设备的光学系统
RU2014110930A (ru) Системы и способы для захвата безартефактных изображений
US9967543B2 (en) 3D image capture apparatus with depth of field extension
JP2003037766A (ja) 虹彩撮像装置
KR20140133903A (ko) 사람 머리 주변 부분을 3차원 디지털화하는 자동 스캐너 및 방법
EP2901209B1 (fr) Procédé d'aide à la détermination de paramètres de vision d'un sujet
EP2098072B1 (fr) Dispositif pour permettre une communication par visioconference et procede de communication associe
KR101255803B1 (ko) 단안식 입체 영상 카메라
KR102554362B1 (ko) 카메라 결합형 소도체 등심 영상 촬영기
KR102551372B1 (ko) 3d 형상인식 기능을 구비한 비전스캐닝장치
WO2019175957A1 (ja) vHIT用ゴーグル
JP3824924B2 (ja) ライトによって照明される領域をビデオ撮影する方法およびライト
CN113923434A (zh) 3d分光机构及3d拍摄方法
KR20130066759A (ko) 가시광선센서와 열영상센서의 광축 정렬 장치 및 방법
JP7009774B2 (ja) 模型眼
GB2468138A (en) Stereoscopic imaging apparatus and adaptor for single lens camera
JP2009009069A (ja) 顔撮影装置
JP3813015B2 (ja) 画像入力装置及び個体識別装置
JP4158092B2 (ja) 立体像撮影用のアダプタ、及び立体像取り込み装置の装着機構
JPH10341373A (ja) 撮像装置
KR20170108525A (ko) Dslr 카메라와 오목거울을 이용한 2차원 투영 측정장치
KR200473513Y1 (ko) 휴대단말기용 거치대
JP4609844B2 (ja) 立体眼底カメラ
CN209560563U (zh) 图像识别装置及身份验证一体机
JP4475154B2 (ja) 眼球運動検査用ゴーグ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