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61610A - 세제기능을 가지는 세라믹볼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세제기능을 가지는 세라믹볼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61610A
KR20230061610A KR1020210145289A KR20210145289A KR20230061610A KR 20230061610 A KR20230061610 A KR 20230061610A KR 1020210145289 A KR1020210145289 A KR 1020210145289A KR 20210145289 A KR20210145289 A KR 20210145289A KR 20230061610 A KR20230061610 A KR 202300616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ll
hole
unit
fixing part
ball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452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69547B1 (ko
Inventor
신경섭
Original Assignee
(주) 대은글로벌솔루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대은글로벌솔루션 filed Critical (주) 대은글로벌솔루션
Priority to KR10202101452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69547B1/ko
Publication of KR202300616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616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695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695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1/00Producing shaped prefabricated articles from the material
    • B28B1/48Producing shaped prefabricated articles from the material by removing material from solid section preforms for forming hollow articles, e.g. by punching or bo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1/00Producing shaped prefabricated articles from the material
    • B28B1/20Producing shaped prefabricated articles from the material by centrifugal or rotational cas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11/00Apparatus or processes for treating or working the shaped or preshaped articles
    • B28B11/24Apparatus or processes for treating or working the shaped or preshaped articles for curing, setting or hardening
    • B28B11/243Setting, e.g. drying, dehydrating or firing ceramic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13/00Feeding the unshaped material to moulds or apparatus for producing shaped articles; Discharging shaped articles from such moulds or apparatus
    • B28B13/02Feeding the unshaped material to moulds or apparatus for producing shaped articles
    • B28B13/0205Feeding the unshaped material to moulds or apparatus for producing shaped articles supplied to the moulding device in form of a coherent mass of material, e.g. a lump or an already partially preshaped tablet, pastil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17/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apparatus for shaping the material; Auxiliary measures taken in connection with such shaping
    • B28B17/02Conditioning the material prior to shaping
    • B28B17/026Conditioning ceramic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7/00Moulds; Cores; Mandrels
    • B28B7/16Moulds for making shaped articles with cavities or holes open to the surface, e.g. with blind holes
    • B28B7/18Moulds for making shaped articles with cavities or holes open to the surface, e.g. with blind holes the holes passing completely through the article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5/00Washing machines, apparatus, or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2Devices for adding soap or other washing ag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Devices For Post-Treatments, Processing, Supply, Discharge, And Other Proces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물과 접촉되는 표면적이 넓어지도록 세라믹볼을 성형 제작하여 세척력이 향상되도록 하되, 연속적인 자동 제조가 가능하여 생산 효율을 향상시키고 동시에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도록 한 세제기능을 가지는 세라믹볼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세라믹볼을 성형할 원료를 일정한 크기로 분쇄하고 배합하여 원료분말을 생성하는 제1과정과, 상기 제1과정을 통해 생성된 원료분말을 볼성형장치에 주입하고 물과 결합제를 분사하여 볼을 성형하는 제2과정과, 상기 제2과정에서 성형한 볼에 관통공을 성형하기 위하여 1차 건조를 수행하는 제3과정과, 상기 제3과정을 통해 1차 건조된 볼을 관통공 성형장치를 통하여 관통공을 성형하여 주는 제4과정과, 상기 제4과정을 통해 볼에 관통공의 성형이 완료되면 수분의 완전한 제거를 위하여 2차 건조를 수행하는 제5과정과, 상기 제5과정을 통해 건조된 볼을 소성하여 최종으로 세라믹볼을 제조하는 제6과정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세제기능을 가지는 세라믹볼 및 이의 제조방법{CERAMIC BALL HAVING DETERGENT FUNCTION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세탁기 또는 식기세척기에 사용되는 세제기능을 가지는 세라믹볼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물과 접촉되는 표면적이 넓어지도록 세라믹볼을 성형 제작하여 세척력이 향상되도록 하되, 연속적인 자동 제조가 가능하여 생산 효율을 향상시키고 동시에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도록 한 세제기능을 가지는 세라믹볼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세제기능을 가지는 이른 바 세라믹볼 또는 세척볼은 세라믹을 작은 볼(B) 형태로 성형 및 소성 제조하여 도 8에서와 같이 식기세척기용 세제장치(30)의 투입부(31)를 내부에 충전되거나 도 9에서와 같이 세탁기용 세제장치(40)의 내부에 충전되어 사용된다.
이와 같은 세라믹볼(B)이 충전된 상기 식기세척기용 세제장치(30) 및 세탁기용 세제장치(40)는 식기세척기나 세탁기의 내부에 투입되어 상기 세라믹볼(B)에서 방출되는 원적외선 및 음이온에 의한 항균 및 정화 작용으로 일반세제의 투입 없이 빨랫감이나 식기를 세탁 및 세척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세라믹볼(B)에 관한 선행기술로, 본 발명자에 의해 선 등록된 등록특허공보 10-1715275가 개시된 바 있다.
상기 선행기술은 물과 접촉되는 세라믹볼의 표면적을 넓혀 주어 세척력을 향상시킨 세제기능을 가지는 세라믹볼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이 선행기술은 물과 접촉되는 세라믹볼의 표면적을 넓혀 주어 세척력을 향상시킨 장점을 제공하게 되었다.
또한 상기 선행기술은 세라믹볼의 표면적을 넓혀주기 위해 세라믹볼에 면적홈을 성형한 것인데 상기 면적홈을 성형하기 위해서 면적홈 성형기를 이용하였다.
그러나 상기 면적홈 성형기는 수작업으로 세라믹볼에 면적홈을 형성하는 장치로, 면적홈 성형에 시간이 소요되는 바, 세라믹볼의 생산 효율이 저하되고 이로 인해 제조 단가가 상승하는 문제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 면적홈은 홈 형상으로 홈에 유입된 물이 용이하게 배출되지 않아 전체적으로 물과 접촉되는 접촉 효율에는 한계가 있다.
등록특허공보 10-1715275, 등록특허공보 10-0932949, 공개특허공보 10-2011-0006390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물과 접촉되는 표면적이 넓어지도록 세라믹볼을 성형 제작하여 세척력이 향상되도록 하되, 연속적인 자동 제조가 가능하여 생산 효율을 향상시키고 동시에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도록 한 세제기능을 가지는 세라믹볼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세라믹볼에 관통공을 형성하여 물이 유통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물과 접촉되는 접촉 효율이 상승되도록 한 세제기능을 가지는 세라믹볼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세라믹볼을 성형할 원료를 일정한 크기로 분쇄하고 배합하여 원료분말을 생성하는 제1과정; 상기 제1과정을 통해 생성된 원료분말을 볼성형장치에 주입하고 물과 결합제를 분사하여 볼을 성형하는 제2과정; 상기 제2과정에서 성형한 볼에 관통공을 성형하기 위하여 1차 건조를 수행하는 제3과정; 상기 제3과정을 통해 1차 건조된 볼을 관통공 성형장치를 통하여 관통공을 성형하여 주는 제4과정; 상기 제4과정을 통해 볼에 관통공의 성형이 완료되면 수분의 완전한 제거를 위하여 2차 건조를 수행하는 제5과정; 및 상기 제5과정을 통해 건조된 볼을 소성하여 최종으로 세라믹볼을 제조하는 제6과정을 포함하고,
상기 관통공 성형장치는 일정한 경사를 가지며 일렬로 형성되되,
가장 상부에 위치하며 제3과정을 통해 건조된 볼이 투입되고 투입된 볼을 진동을 이용하여 관통공 성형부로 자동 이송하여 주는 볼정렬 투입부와, 상기 볼정렬 투입부를 통해 이송되어온 볼을 일시 고정하고 소정 형태의 관통공을 성형한 후 배출하는 관통공 성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볼정렬 투입부는 다수의 볼을 수용하는 수용부와, 상기 수용부의 저면에 설치되고 진동을 발생하여 상기 수용부 내에 수용된 볼을 일측의 안내부로 자동 이송하여 주는 진동 발생부와, 상기 수용부에 수용된 볼을 한 줄로 정렬하여 관통공 성형부로 이송하여 주는 안내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관통공 성형부는 ㄴ자 형태로 유입된 볼이 안착되며 측면 및 저면에는 일정한 간격으로 제1구멍 및 제2구멍이 다수개 형성되는 고정부; 상기 고정부의 일측에 근접 설치되며 전후 동작으로 상기 고정부에 안착된 볼을 고정 지지하거나 이송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고정부의 제1구멍에 대향하는 위치에 제3구멍이 형성되는 유동부; 상기 고정부의 타측에 설치되며 일측으로 고정부의 제1구멍 및 유동부의 제3구멍에 삽입 관통되는 다수개의 제1천공핀이 형성되어 전후 동작에 의해 상기 고정부에 안착된 볼에 제1관통공을 천공하여 주는 제1천공부; 상기 고정부의 상부에 설치되며 일측으로 고정부의 제2구멍에 삽입 관통되는 다수개의 제2천공핀이 형성되어 전후 동작에 의해 상기 고정부에 안착된 볼에 제2관통공을 천공하여 주는 제2천공부; 및 상기 고정부의 양단에 설치되는 스토퍼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스토퍼부는 볼정렬 이송부의 안내부와 관통공 성형부 사이의 제1공간에 설치되는 제1스토퍼와, 상기 관통공 성형부와 배출부 사이의 제2공간에 설치되는 제2스토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십자형태의 제1관통공과 제2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제1관통공 및 제2관통공에 의해 제1면적부 및 제2면적부가 형성되어 물과 접촉되는 단면적이 증가하게 되며, 상기 제1관통공과 제2관통공을 통해 물이 유통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물과 접촉되는 표면적이 넓어지도록 세라믹볼을 성형 제작하여 세척력이 향상되도록 하되, 연속적인 자동 제조가 가능하여 생산 효율을 향상시키고 동시에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세라믹볼에 관통공을 형성하여 물이 유통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물과 접촉되는 접촉 효율이 상승되도록 한 장점을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세제기능을 가지는 세라믹볼 제조방법의 수순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볼성형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관통공 성형장치의 개략적인 측면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관통공 성형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관통공 성형부의 구성도이다.
도 6의 (a)내지(c)는 본 발명에 따른 관통공 성형과정을 보여주는 관통공 성형부 단면 구성도이다.
도 7의 (a) 및 (b)는 본 발명에 따른 세제기능을 가지는 세라믹볼의 사시도 및 단면도이다.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 세라믹볼이 적용되는 식기세척기용 세제장치 및 세탁기용 세제장치의 구성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세제기능을 가지는 세라믹볼의 제조방법의 수순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 세제기능을 가지는 세라믹볼의 제조방법은,
세라믹볼을 성형할 원료를 일정한 크기로 분쇄하고 배합하여 원료분말을 생성하는 제1과정(S10)과, 상기 제1과정을 통해 생성된 원료분말을 볼성형장치에 주입하고 물과 결합제를 분사하여 볼을 성형하는 제2과정(S20)과, 상기 제2과정에서 성형한 볼에 관통공을 성형하기 위하여 1차 건조를 수행하는 제3과정(S30)과, 상기 제3과정을 통해 1차 건조된 볼을 관통공 성형장치를 통하여 관통공을 성형하여 주는 제4과정(S40)과, 상기 제4과정을 통해 볼에 관통공의 성형이 완료되면 수분의 완전한 제거를 위하여 2차 건조를 수행하는 제5과정(S50)과, 상기 제5과정을 통해 건조된 볼을 소성하여 최종으로 세라믹볼을 제조하는 제6과정(S60)을 포함한다.
상기 제1과정(S10)은 세라믹볼을 성형할 원료를 일정한 크기로 분쇄하고 배합하여 원료분말을 생성하는 과정으로, 상기 원료분말의 주요 성분으로 산화규소(SiO2), 산화알루미늄(Al2O3) 및 산화지르코늄(ZrO2)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제2과정(S20)은 상기 제1과정을 통해 생성된 원료분말을 볼성형장치에 주입하고 물과 결합제를 분사하여 볼을 성형하는 과정으로, 도 2에서와 같은 볼성형장치(10)를 이용하여 볼을 성형한다.
상기 볼성형장치(10)는 공지된 기술(본 출원인의 공개특허공보 10-2015-0051777 등)로, 그 구조와 상기 볼을 성형하는 과정을 살펴본다.
상기 볼성형장치(10)는 베이스(11) 상부에 회전지지부(13)를 통해 일정한 경사를 가지며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드럼(13)과, 상기 회전드럼(13)을 회전구동하는 구동부(14)와, 상기 회전드럼(13)의 일측에 형성된 투입구(15)의 내면에 형성되는 다각부(16)와, 상기 회전드럼(13)의 투입구(15)로 노즐(18)을 통해 물과 결합제를 일정한 비율로 분사하는 분사부(17)를 포함한다.
따라서 볼을 성형하는 과정을 살펴보면, 상기 회전드럼(13)의 투입구(15) 내부로 원료분말을 투입한 후 회전드럼(13)을 회전 구동하여 준다.
그런 다음 분사부(17)의 노즐(18)을 통해 투입구(15) 내부로 일정한 비율의 물과 결합제를 분사하여 준다.
이와 같이 투입구(15) 내부로 분사된 물과 결합제는 물방울 형태로 원료분말과 결합되고 동시에 내면이 시멘트 코팅 처리된 회전드럼(13)의 내부에서 구르기 시작하면서 자연스럽게 다수개의 볼 형태로 성형되어 진다.
또한 다각부(16) 구조에 의해 부딪치면서 볼 성형 시 볼의 강도가 상승하게 된다.
상기 제3과정(S30)은 상기 제2과정에서 성형한 볼에 관통공을 성형하기 위하여 1차 건조를 수행하는 과정으로, 소성 과정이 아닌 후술하는 볼에 관통공을 성형하기 위하여 1차적으로 수분을 적당히 건조시켜 주는 공정이다.
이때 수분 건조시간은 2~3시간이 바람직하다. 이때의 볼의 상태는 표면에는 수분이 제거된 상태로 말랑말랑하고 유연한 상태가 된다.
상기 제4과정(S40)은 상기 제3과정을 통해 1차 건조된 볼(20)을 관통공 성형장치를 통하여 관통공을 성형하여 주는 과정으로, 볼에 관통공을 성형하기 위하여 도 3 및 도 4에서와 같은 관통공 성형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관통공 성형장치는 볼에 관통공을 성형하여 물과 접촉되는 세라믹볼(20)의 표면적이 늘어나도록 한 것이다.
상기 관통공 성형장치는 일정한 경사를 가지며 일렬로 연결되는 볼정렬 투입부(100), 관통공 성형부(200) 및 배출부(300)를 포함한다.
상기 볼정렬 투입부(100)는 가장 상부에 위치하며 제3과정(S30)을 통해 건조된 볼(20)이 투입되고 이를 관통공 성형부(200)로 자동 이송하여 주는 곳으로, 다수의 볼(20)을 수용하는 수용부(110)와, 상기 수용부(110)의 저면에 설치되고 진동을 발생하여 상기 수용부(110) 내에 수용된 볼(20)을 일측의 안내부(130)로 자동 이송하여 주는 진동 발생부(120)와, 상기 수용부(110)에 수용된 볼(20)을 한 줄로 정렬하여 관통공 성형부(200)로 이송하여 주는 안내부(130)로 구성된다.
상기 관통공 성형부(200)는 도 5에서와 같이 상기 볼정렬 투입부(100)를 통해 이송되어온 볼(20)을 일시 고정 한 후 관통공을 성형하여 주는 곳으로, 고정부(210), 유동부(220), 제1천공부(230), 제2천공부(240) 및 스토퍼부를 포함한다.
상기 고정부(210)는 ㄴ자 형태로 유입된 볼(20)이 안착되며 측면 및 저면에는 일정한 간격으로 제1구멍(211) 및 제2구멍(212)이 다수개 형성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1구멍(211) 및 제2구멍(212)은 후술하는 천공핀이 관통되는 구멍이며, 그 위치는 고정부(210)에 안착되는 볼(20)의 중심을 향하도록 설계되어 진다.
상기 유동부(220)는 상기 고정부(210)의 일측에 근접 설치되며 전후 동작으로 상기 고정부(210)에 안착된 볼(20)을 고정 지지하거나 이송될 수 있도록 하여준다.
상기 유동부(220)는 상기 고정부(210)의 제1구멍(230)에 대향하는 위치에 제3구멍(221)이 형성되고, 제1실린더(222)를 통해 전후 동작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1천공부(230)는 상기 고정부(210)의 타측에 설치되어 전후 동작에 의해 상기 고정부(210)에 안착된 볼(20)에 도 7에서와 같은 제1관통공(21)을 천공하여 준다.
상기 제1천공부(230)는 일측으로 고정부(210)의 제1구멍(211) 및 유동부(220)의 제3구멍(221)에 삽입 관통되는 다수개의 제1천공핀(231)이 형성되고 제2실린더(232)를 통해 전후 동작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2천공부(240)는 상기 고정부(210)의 상부에 설치되어 전후 동작에 의해 상기 고정부(210)에 안착된 볼(20)에 도 7에서와 같은 제2관통공(22)을 천공하여 준다.
상기 제2천공부(240)는 일측으로 고정부(210)의 제2구멍(212)에 삽입 관통되는 다수개의 제2천공핀(241)이 형성되고 제3실린더(242)를 통해 전후 동작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스토퍼부는 상기 고정부(210)의 양단에 설치되며, 볼정렬 이송부(100)의 안내부(130)와 관통공 성형부(200) 사이의 제1공간(S1)에 설치되는 제1스토퍼(251)와, 상기 관통공 성형부(200)와 배출부(300) 사이의 제2공간(S2)에 설치되는 제2스토퍼(252)로 구성된다.
상기 제1스토퍼(251) 및 제2스토퍼(252)의 동작을 살펴보면, 먼저 제1스토퍼(251)는 상부로 이동시켜 제1공간(S1)을 개방하여 주고 제2스토퍼(252)는 하부로 이동시켜 제2공간(S2)을 폐쇄시켜 준다.
따라서 볼정렬 이송부(100)의 안내부(130)를 통해 이송되는 볼(20)들은 관통공 성형부(200)의 고정부(210)에 일렬로 정렬되며 상기 제2스토퍼(252)에 의해 배출부(300)로의 이송은 차단된다.
이와 같은 상태가 되면 상기 제1스토퍼(251)가 하부로 이동되어 제1공간(S1)을 폐쇄하면서 고정부(210)에는 일정량의 볼(20)이 안착되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이 고정부(210)에 볼(20)이 안착되면 관통공 성형부(200)를 통해 볼(20)에 관통공이 성형되는 공정이 수행되며, 상기 관통공 성형 공정이 완료되면 상기 제2스토퍼(252)를 개방시켜 고정부(210)에 안착된 볼(20)을 배출부(300)로 자동 이송시켜준다.
그런 다음, 상기 제2스토퍼(252)를 폐쇄하고 제1스토퍼(251)를 개방시켜 주는 상기의 동작을 반복하게 된다.
한편 상기 관통공 성형부(200)를 통해 볼(20)에 관통공이 성형되는 과정을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상기 고정부(210)에 볼(20)이 정렬 안착되면 도 6의 (a)와 같이 유동부(220)의 제1실린더(222)가 구동하여 상기 고정부(210)에 안착된 볼(20)이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 지지하여 준다.
그런 다음, 도 6의 (b)에서와 같이 제2실린더(232)의 구동으로 제1천공부(230)가 전진하여 제1천공핀(231)이 고정부(210)의 제1구멍(211), 볼(20), 유동부(220)의 제3구멍(221)을 차례로 관통하면서 상기 볼(20)에 도 7과 같은 제1관통공(21)을 성형하여 준다.
상기 볼(20)에 제1관통공(21)이 형성되면 상기 제1천공부(230)은 후퇴하여 원 위치되고, 이어서 도 6의 (c)에서와 같이 제3실린더(242)의 구동으로 제2천공부(240)가 전진하여 제2천공핀(241)이 볼(20)과 고정부(210)의 제2구멍(212)을 차례로 관통하면서 상기 볼(20)에 도 7과 같은 제2관통공(22)을 성형하여 준다.
상기 볼(20)에 제2관통공(22)이 형성되면 상기 제2천공부(240)은 후퇴하여 원 위치된다.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상기 볼(20)에는 십자형태의 제1관통공(21)과 제2관통공(22)이 형성되고, 상기 제1관통공(21) 및 제2관통공(22)에 의해 형성되는 제1면적부(21a) 및 제2면적부(22a)에 의해 세라믹볼(20)이 물과 접촉되는 단면적이 증가하게 되며, 동시에 상기 제1관통공(21)과 제2관통공(22)을 통해 물이 유통 가능하게 되어 물과 접촉되는 접촉효율이 높아짐으로써 그 만큼 세척효율이 상승되는 것이다.
제5과정(S50)은 상기 제4과정을 통해 볼(20)에 관통공의 성형이 완료되면 수분의 완전한 제거를 위하여 2차 건조를 수행하는 과정으로, 이는 소정을 위한 전처리 과정이다.
제6과정(S60)은 상기 제5과정을 통해 건조된 볼을 일정한 온도 및 시간으로 소성하여 최종으로 세라믹볼(20)을 제조 완료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이와 같이 제조된 세라믹볼(20)은 도 8에서와 같이 식기세척기용 세제장치(30) 또는 도 9에서와 같은 세탁기용 세제장치(40)의 내부에 충전되어 사용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에 대한 한정된 실시예들을 설명한 것이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양한 실시예가 예상됨을 당업자는 주의해야 한다.
10: 볼성형장치 20: 세라믹볼
21: 제1관통공 22: 제2관통공
21a: 제1면적부 22a: 제2면적부
100: 볼정렬 투입부 110: 수용부
120: 진동 발생부 130: 안내부
200: 관통공 성형부 210: 고정부
220: 유동부 230: 제1천공부
240: 제2천공부 251: 제1스토퍼
252: 제2스토퍼 300: 배출부

Claims (5)

  1. 세라믹볼을 성형할 원료를 일정한 크기로 분쇄하고 배합하여 원료분말을 생성하는 제1과정;
    상기 제1과정을 통해 생성된 원료분말을 볼성형장치에 주입하고 물과 결합제를 분사하여 볼을 성형하는 제2과정;
    상기 제2과정에서 성형한 볼에 관통공을 성형하기 위하여 1차 건조를 수행하는 제3과정;
    상기 제3과정을 통해 1차 건조된 볼을 관통공 성형장치를 통하여 관통공을 성형하여 주는 제4과정;
    상기 제4과정을 통해 볼에 관통공의 성형이 완료되면 수분의 완전한 제거를 위하여 2차 건조를 수행하는 제5과정; 및
    상기 제5과정을 통해 건조된 볼을 소성하여 최종으로 세라믹볼을 제조하는 제6과정을 포함하고,
    상기 관통공 성형장치는 일정한 경사를 가지며 일렬로 형성되되,
    가장 상부에 위치하며 제3과정을 통해 건조된 볼이 투입되고 투입된 볼을 진동을 이용하여 관통공 성형부로 자동 이송하여 주는 볼정렬 투입부와, 상기 볼정렬 투입부를 통해 이송되어온 볼을 일시 고정하고 소정 형태의 관통공을 성형한 후 배출하는 관통공 성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제기능을 가지는 세라믹볼의 제조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볼정렬 투입부는 다수의 볼을 수용하는 수용부와, 상기 수용부의 저면에 설치되고 진동을 발생하여 상기 수용부 내에 수용된 볼을 일측의 안내부로 자동 이송하여 주는 진동 발생부와, 상기 수용부에 수용된 볼을 한 줄로 정렬하여 관통공 성형부로 이송하여 주는 안내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제기능을 가지는 세라믹볼의 제조방법.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관통공 성형부는 ㄴ자 형태로 유입된 볼이 안착되며 측면 및 저면에는 일정한 간격으로 제1구멍 및 제2구멍이 다수개 형성되는 고정부;
    상기 고정부의 일측에 근접 설치되며 전후 동작으로 상기 고정부에 안착된 볼을 고정 지지하거나 이송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고정부의 제1구멍에 대향하는 위치에 제3구멍이 형성되는 유동부;
    상기 고정부의 타측에 설치되며 일측으로 고정부의 제1구멍 및 유동부의 제3구멍에 삽입 관통되는 다수개의 제1천공핀이 형성되어 전후 동작에 의해 상기 고정부에 안착된 볼에 제1관통공을 천공하여 주는 제1천공부;
    상기 고정부의 상부에 설치되며 일측으로 고정부의 제2구멍에 삽입 관통되는 다수개의 제2천공핀이 형성되어 전후 동작에 의해 상기 고정부에 안착된 볼에 제2관통공을 천공하여 주는 제2천공부; 및
    상기 고정부의 양단에 설치되는 스토퍼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제기능을 가지는 세라믹볼의 제조방법.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부는 볼정렬 이송부의 안내부와 관통공 성형부 사이의 제1공간에 설치되는 제1스토퍼와, 상기 관통공 성형부와 배출부 사이의 제2공간에 설치되는 제2스토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제기능을 가지는 세라믹볼의 제조방법.
  5. 상기 청구항 1 내지 4의 제조방법에 의하여 제조되는 것으로,
    십자형태의 제1관통공과 제2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제1관통공 및 제2관통공에 의해 제1면적부 및 제2면적부가 형성되어 물과 접촉되는 단면적이 증가하게 되며, 상기 제1관통공과 제2관통공을 통해 물이 유통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제기능을 가지는 세라믹볼.
KR1020210145289A 2021-10-28 2021-10-28 세제기능을 가지는 세라믹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5695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45289A KR102569547B1 (ko) 2021-10-28 2021-10-28 세제기능을 가지는 세라믹볼 및 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45289A KR102569547B1 (ko) 2021-10-28 2021-10-28 세제기능을 가지는 세라믹볼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61610A true KR20230061610A (ko) 2023-05-09
KR102569547B1 KR102569547B1 (ko) 2023-08-25

Family

ID=864086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45289A KR102569547B1 (ko) 2021-10-28 2021-10-28 세제기능을 가지는 세라믹볼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69547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63121B1 (en) * 2002-05-29 2002-12-05 Biocera Co Ltd Method of producing ceramic ball
JP2008037483A (ja) * 2006-08-09 2008-02-21 Maki Mfg Co Ltd 球形状農産物の定数排出装置
KR20150051777A (ko) * 2013-11-05 2015-05-13 (주) 대은글로벌솔루션 세제기능을 가지는 세라믹볼의 제조방법
KR101715275B1 (ko) 2016-07-06 2017-03-17 (주) 대은글로벌솔루션 세제기능을 가지는 세라믹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077964B1 (ko) * 2019-07-14 2020-04-07 김철오 대용량 선별이 가능한 세라믹 볼 선별기 및 이를 이용한 세라믹 볼 선별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63121B1 (en) * 2002-05-29 2002-12-05 Biocera Co Ltd Method of producing ceramic ball
JP2008037483A (ja) * 2006-08-09 2008-02-21 Maki Mfg Co Ltd 球形状農産物の定数排出装置
KR20150051777A (ko) * 2013-11-05 2015-05-13 (주) 대은글로벌솔루션 세제기능을 가지는 세라믹볼의 제조방법
KR101715275B1 (ko) 2016-07-06 2017-03-17 (주) 대은글로벌솔루션 세제기능을 가지는 세라믹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077964B1 (ko) * 2019-07-14 2020-04-07 김철오 대용량 선별이 가능한 세라믹 볼 선별기 및 이를 이용한 세라믹 볼 선별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69547B1 (ko) 2023-08-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935617A (en) Molding apparatus for patterned shaped article
KR101821772B1 (ko) 3d 조형물의 후처리 장치
KR102569547B1 (ko) 세제기능을 가지는 세라믹볼 및 이의 제조방법
KR19990077816A (ko) 패턴이 형성된 물품을 제조하는 방법
US20130213097A1 (en) Washing machine
CN106513081A (zh) 一种大米的抛光装置
KR101075224B1 (ko) 드럼세탁기
KR20200137892A (ko) 인조 대리석 제조장치
KR101715275B1 (ko) 세제기능을 가지는 세라믹볼 및 이의 제조방법
JPH06179990A (ja) 洗浄装置
KR20000036746A (ko) 옹벽용 블럭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과 상기 장치 및 방법에의하여 제조된 옹벽용 블럭
EP4180196A1 (en) Ceramic ball having detergent function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JP2002134452A (ja) 洗浄処理装置および洗浄処理方法
CN105129701A (zh) 一种医药化学生物试剂瓶涮洗系统
ATE281765T1 (de) Verfahren und einrichtung zum herstellen von gleich grossen runden teigstücken
JPH06102568B2 (ja) 陶磁器タイルの製造方法
KR101791818B1 (ko) 블록 제조장치
CN107666948A (zh) 蜂窝式过滤器的封堵以及用于封堵蜂窝式过滤器的设备
CN215241737U (zh) 一种提高陶瓷原料可塑性的加工装置
KR200182470Y1 (ko) 합성수지재 원료 교반기
KR200357020Y1 (ko) 인조 섬유 솜 제조장치
KR100413453B1 (ko) 펄세이터방식 건조세탁기
KR19990037749A (ko) 펄프성형장치
CN215965369U (zh) 一种陶瓷件加工用清洗装置
KR20020029016A (ko) 인조 섬유 솜 제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