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61602A - 자동차용 비상 삼각대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비상 삼각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61602A
KR20230061602A KR1020210145224A KR20210145224A KR20230061602A KR 20230061602 A KR20230061602 A KR 20230061602A KR 1020210145224 A KR1020210145224 A KR 1020210145224A KR 20210145224 A KR20210145224 A KR 20210145224A KR 20230061602 A KR20230061602 A KR 202300616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ipod
vehicle
emergency
car
injection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452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충호
이태웅
Original Assignee
(주)대한솔루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대한솔루션 filed Critical (주)대한솔루션
Priority to KR10202101452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61602A/ko
Publication of KR202300616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6160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7/00Arrangement or adaptation of portable emergency signal devices on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0017Devices integrating an element dedicated to another function
    • B60Q1/0023Devices integrating an element dedicated to another function the element being a sensor, e.g. distance sensor, camera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0076Switche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2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 B60Q1/5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other intentions or conditions, e.g. request for waiting or overtaking
    • B60Q1/52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other intentions or conditions, e.g. request for waiting or overtaking for indicating emergenc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2300/00Indexing codes for automatically adjustable headlamps or automatically dimmable headlamps
    • B60Q2300/40Indexing codes relating to other road users or special conditions
    • B60Q2300/43Indexing codes relating to other road users or special conditions following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30Sensors
    • B60Y2400/301Sensors for position or displac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mergency Lowering Means (AREA)

Abstract

비상 상황이 발생했을 때 스위치 조작을 통해 자동차 후부에서 뒤로 빠져나간 삼각대가 펼쳐지면서 차에서 비상 상황이 발생했음을 알려주게 구성함으로써, 운전자나 탑승자가 자동차에서 내리지 않고도 자동차에서 일정 거리만큼 떨어진 위치에 삼각대를 세울 수 있어 안전하면서도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게 한다. 특히, 자동차의 후방에서 주행하는 후방 주행 자동차와의 거리를 검출하고, 이 거리가 일정 거리 이상 떨어져 있지 않으면 삼각대가 후방으로 튀어나가지 못하게 제어함으로써, 후방에서 주행하는 자동차가 삼각대에 부딪혀서 발생할 수 있는 안전사고를 미리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삼각대에 웨이트를 장착함으로써, 삼각대가 오뚝이처럼 서서 쉽게 쓰러지지 않게 하면서도 비상 상황임을 쉽게 인식하게 하여 안전 운행을 할 수 있다.

Description

자동차용 비상 삼각대{CAR SAFETY EMERGENCY TRIPOD}
본 발명은 자동차용 비상 삼각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비상 삼각대를 펼쳐야 할 상황이 발생했을 때 스위치 조작을 통해 비상 삼각대가 자동으로 펼쳐지게 구성함으로써, 운전자나 탑승자가 차에서 내리지 않고도 비상 삼각대를 안전하게 설치할 수 있어 2차 사고를 방지할 수 있게 한 것이다. 이때, 스위치는 후방에서 주행하는 자동차가 일정 거리 이상 떨어진 상태에서 비상 삼각대가 펼쳐지게 구성함으로써, 비상 삼각대로 인해 다른 사고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한 것이다. 그리고 비상 삼각대에는 웨이트를 추가함으로써, 비상 삼각대가 잘 펼쳐지게 하면서도 쉽게 쓰러지지 않게 하여 후방 차량 운전자가 쉽게 비상 삼각대를 식별할 수 있게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에는 자동차 사고가 발생하거나 주행 중 주행할 수 없는 상황이 발생했을 때 자동차 후부에서 일정 거리만큼 떨어진 곳에 비상 삼각대를 설치하여 후방에서 주행하는 자동차가 안전운행을 할 수 있게 해야 한다. 이에, 이러한 비상 삼각대는, 아래의 (특허문헌 1) 내지 (특허문헌 3)과 같이, 다양한 형태로 제작하여 안전운행을 도모하게 한다.
(특허문헌 1) 한국공개특허 제1012019-0134579호
차량용 비상 삼각대에 관한 것으로, 사용자의 편의에 따라 위치 이동될 수 있으며, 사람들이 소정의 정보를 인식할 수 있도록 지면상에 직립하는 삼각뿔 - 상기 삼각뿔은 상측 방향의 꼭짓점을 기준으로 하측 방향으로 형성되는 제1 변, 상측 방향의 꼭짓점을 기준으로 하측 방향으로 형성되는 제2 변, 상측 방향의 꼭짓점을 기준으로 하측 방향으로 형성되는 제3 변, 상기 제1 변과 상기 제2 변을 연결하는 제4 변 및 상기 제1 변과 상기 제3 변을 연결하는 제5 변을 구비하며, 상기 삼각뿔은 상기 제1 변 및 상기 제2 변에 의해 제1 측면, 상기 제1 변 및 상기 제3 변에 의해 제2 측면, 상기 제2 변 및 상기 제3 변에 의해 제3 측면을 형성함. - 형상의 차량용 비상 삼각대에서, 상기 제1 변, 상기 제2 변 및 상기 제5 변을 형성하는 좌 프레임부; 및 상기 제1 변, 상기 제3 변 및 상기 제4 변을 형성하는 우 프레임부;를 포함할 수 있다.
(특허문헌 2) 한국공개특허 제10-2018-0065155호
안전 삼각대 겸용 차량 트렁크용 수납 지지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트렁크 바닥면에 편리하게 탈부착할 수 있는 지지 보디를 구비하여 수납 물품을 용이하게 고정 지지할 수 있으며, 수납 물품의 다양한 형상 및 종류에 대응하여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지지 보디를 적절한 위치에 부착시켜 수납 물품을 지지할 수 있어 다양한 수납 물품을 모두 고정 지지할 수 있고, 지지 보디로부터 전개되어 하나의 안전 삼각대를 이룰 수 있는 삼각대 부재를 장착함으로써, 비상 상황 시 필요한 별도의 안전 삼각대를 구비할 필요가 없고, 안전 삼각대의 설치 과정에서 트렁크의 바닥면에 고정된 상태로 편리하게 설치할 수 있어 안전 삼각대 설치 과정 중에 발생할 수 있는 2차 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안전 삼각대 겸용 차량 트렁크용 수납 지지 장치를 제공한다.
(특허문헌 3) 한국등록특허 제10-2009792호
차량의 비상상황을 알릴 수 있도록 차량에 설치된 차량 안전 삼각대에 관한 것으로, 지지프레임과, 슬라이딩바와, 한 쌍의 회동바와, 고정부를 포함한다. 상기 지지프레임은 자동차의 트렁크 문에 장착된다. 상기 회동바는 일단은 상기 지지프레임의 일측에 회동할 수 있게 힌지결합되고, 상기 슬라이딩바의 일단이 타단으로 슬라이딩하면 삼각대가 형성되도록 상기 타단의 일측에는 길이방향으로 상기 슬라이딩바의 양단이 슬라이딩할 수 있게 결합하는 슬라이딩부가 형성된다. 상기 고정부는 상기 회동바의 타단을 상기 지지프레임에 탈부착시킬 수 있도록 상기 지지프레임에 장착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차량에 장착되어 차량 내부의 스위치에 의해 동작할 수 있는 차량 안전 삼각대를 제공함으로써, 도로 주행중인 차량들로 인하여 설치 중 일어날 수 있는 운전자의 2차 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또한, LED 표시등으로 사고위험을 알리고, 안전운전을 유도할 수 있어서 시야 확보가 어려운 야간이나 흐린 날 또는 먼 거리에서도 다른 차량에 사고를 알릴 수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1012019-0134579호 (공개일: 2019.12.04) 한국공개특허 제10-2018-0065155호 (공개일: 2018.06.18) 한국등록특허 제10-2009792호 (등록일: 2019.08.06)
하지만, 이러한 기존의 비상 삼각대는 다음과 같은 문제가 발생한다.
(1) 비상 삼각대를 설치해야 할 비상 상황이 발생했을 때 운전자나 탑승자 중 한 사람이 내려서 직접 비상 삼각대를 설치해야 한다.
(2) 이에, 비상 삼각대를 설치하는 상황에서 그 뒤에서 주행하는 자동차에 의해 2차 사고가 발생할 수 있다.
(3)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한 가지 방법으로, 트렁크 등에 비상 삼각대를 장착하고, 비상 상황이 발생했을 때 운전석에서 트렁크를 개방하여 비상 삼각대가 노출되게 하여 후방에서 주행하는 자동차에 경고하게 하는 기술이 있다. 하지만, 이러한 기술은 다음과 같은 문제가 발생한다.
(4) 고속도로와 같은 자동차 전용도로에서 비상상황이 발생했을 때 비상 삼각대가 자동차에서 일정 거리 이상 떨어지게 설치하지 않으면, 후방에서 주행하는 자동차에 의해 2차 사고가 발생할 수 있다.
(5) 특히, 후방에서 진행하는 자동차 운전자가 비상 삼각대를 늦게 발견하면 비상 정지한 자동차와 추돌 사고로 이어질 수도 있다.
(6) 또한, 개방된 트렁크가 바람 등의 영향으로 닫힐 수 있고, 이처럼 트렁크가 닫히면 비상 삼각대도 함께 트렁크 안에서 밖으로 노출되지 않게 되어 비상 상황임을 알려주는데 한계가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점을 고려한 것으로, 비상 상황이 발생했을 때 스위치 조작을 통해 자동차 후부에서 뒤로 빠져나간 삼각대가 펼쳐지면서 차에서 비상 상황이 발생했음을 알려주게 구성함으로써, 운전자나 탑승자가 자동차에서 내리지 않고도 자동차에서 일정 거리만큼 떨어진 위치에 삼각대를 세울 수 있어 안전하면서도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게 한 자동차용 비상 삼각대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특히, 본 발명은 자동차의 후방에서 주행하는 후방 주행 자동차와의 거리를 검출하고, 이 거리가 일정 거리 이상 떨어져 있지 않으면 삼각대가 후방으로 튀어나가지 못하게 제어함으로써, 후방에서 주행하는 자동차가 삼각대에 부딪혀서 발생할 수 있는 안전사고를 미리 방지할 수 있게 한 자동차용 비상 삼각대를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삼각대에 웨이트를 장착함으로써, 삼각대가 오뚝이처럼 서서 쉽게 쓰러지지 않게 하면서도 비상 상황임을 쉽게 인식하게 하여 안전 운행을 할 수 있게 한 자동차용 비상 삼각대를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비상 삼각대는, 내부에 기체 팽창수단(110)이 구비되어, 자동차의 후부를 향해 기체를 분출하는 분사관(100); 운전자나 탑승자가 자동차 실내에서 조작할 수 있게 설치되어 상기 기체 팽창수단(110)이 동작하게 하는 스위치; 상기 분사관(100) 안에 설치되어, 상기 스위치 조작으로 발생한 기체 압력으로 상기 분사관(100)에서 자동차 후부로 튀어나오면서 펼쳐지는 삼각대(200);를 포함하되; 상기 삼각대(200)는, 스프링의 탄성 지지를 받아 한쪽으로 향하도록 설치된 슬라이더(211)를 갖춘 작동 바(210); 상기 작동 바(210)에서 상기 슬라이더(211)가 움직이는 쪽을 중심으로 삼각뿔 형태로 펼쳐지거나 접히게 설치된 세 개의 프레임(220); 한쪽이 상기 슬라이더(211)에 제자리 회전할 수 있게 설치되고, 다른 한쪽이 각각 프레임(220)에 제자리 회전하게 설치된 세 개의 회전링크(230); 및 상기 세 개의 프레임(220)이 펼쳐졌을 때 형성된 영역 전체를 감싸주는 유연한 재질로 이루어지고, 외부에는 경고 문구나 도형이 기재되며, 가장자리 부분이 상기 프레임(220)에 고정된 막 부재(2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상기 스위치는, 후방에서 뒤따라 오는 자동차와의 거리를 검출하는 센서의 신호를 받아 동작하되, 상기 센서의 검출 신호로 후방에서 따라오는 자동차가 미리 설정된 거리 이상 떨어졌을 때 상기 기체 팽창수단(110)이 동작하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작동 바(210)에는, 다른 한쪽에 웨이트(212)가 달린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비상 삼각대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1) 운전자나 탑승자가 자동차에서 내리지 않고도 스위치 조작을 통해 비상 삼각대를 쉽게 펼쳐서 뒤에서 주행하는 후방 주행 자동차에 쉽게 경고하여 안전운행을 할 수 있게 한다.
(2) 또한, 비상 삼각대를 이용할 자동차 뒤에서 주행하는 후방 주행 자동차와의 거리를 검출하고 일정 거리 이상 확보되지 않으면 비상 삼각대가 자동차 후방으로 튀어나가지 않게 제어함으로써, 비상 삼각대가 펼쳐져서 자리를 잡는 동안 후방 주행 자동차가 비상 삼각대에 부딪혀서 발생할 수 있는 안전사고를 미리 방지할 수 있다.
(3) 그리고 상기 비상 삼각대는 자동차 후방에서 소정의 거리만큼 떨어진 곳에 떨어져서 펼쳐지게 구성함으로써, 비상 삼각대와 자동차 사이에 충분한 거리를 확보하여 추돌 사고와 같은 2차 사고를 미리 방지할 수 있다.
(4) 비가 오거나 눈이 오는 날씨와 같이 자동차에서 내리기 어려운 상황에서도 쉽게 비상 삼각대를 설치하고 안전하게 대피할 수 있다.
(5) 한편, 삼각대는 에어백 전개에 사용되는 기체 팽창수단을 통해 분사관에서 분사되어 펼쳐지게 구성함으로, 강한 힘을 이용하여 자동차 후방으로 충분한 거리만큼 떨어져서 펼쳐지게 하여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다.
(6) 이때, 상기 삼각대는 우산과 같이 링크와 스프링을 이용하여 자동으로 펼쳐지게 구성함으로써, 구조가 간단하면서도 쉽게 펼쳐지게 하여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7) 마지막으로, 상기 삼각대에는 웨이트를 구성함으로써, 펼쳐지는 삼각대가 정해진 방향으로 떨어지게 하여 후방 주행 자동차의 운전자가 쉽게 삼각대를 인식하여 안전하게 대처할 수 있게 할 뿐만 아니라, 바람에도 쉽게 날아가지 않게 하여 더욱더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자동차용 비상 삼각대가 장착된 상태를 보여주는 자동차의 측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라 분사관에서 삼각대가 전개하여 펼쳐진 상태를 보여주는 자동차 일부의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자동차용 비상 삼각대의 구성을 보여주는 단면도로, (a)는 분사관에 삼각대가 삽입되어 장착된 상태를, (b)는 분사관에서 기체 팽창수단이 동작하여 삼각대가 전개하는 상태를 각각 보여준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삼각대가 전개되기 전 상태(a)와 전개 후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삼각대가 완전히 펼쳐진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삼각대의 구성을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최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따라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 시점에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례가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자동차용 비상 삼각대에는, [도 1] 내지 [도 5]와 같이, 분사관(100), 스위치, 그리고 삼각대(200)가 포함된다.
특히, 상기 분사관(100)은 스위치를 조작하여 기체 팽창수단(110)을 통해 삼각대(200)가 자동차 후방에서 소정 거리만큼 떨어져서 펼쳐지게 구성함으로써, 운전자나 탑승자가 자동차에서 내리지 않고도 삼각대(200)가 자동으로 펼쳐지게 하여 안전하고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게 한 것이다.
이때, 상기 삼각대(200)는 분사관(100)에서 빠져나가면서 우산처럼 펼쳐지게 구성함으로써, 운전자나 탑승자가 손을 대지 않고도 쉽고 편리하게 펼쳐지게 하여 후방 주행 운전자에게 비상 상황임을 쉽게 인식하게 해서 안전운행을 할 수 있게 한 것이다.
또한, 상기 스위치는 후방에서 주행하는 자동차와의 거리가 일정 거리 이상 떨어져 있지 않으면 상기 기체 팽창수단(110)이 동작하지 못하게 구성함으로써, 후방에서 주행하는 자동차와의 거리가 짧은 상황에서 삼각대(200)가 펼쳐짐에 따라 이차 사고나 추돌 사고가 발생할 수 있는 것을 미리 방지할 수 있게 한 것이다.
이하, 이러한 구성에 관해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가. 분사관
분사관(100)은, [도 1] 및 [도 2]와 같이, 자동차에 장착되어 후술할 삼각대(200)를 일정 거리만큼 자동차 후부로 빠져나가게 안내하기 위한 관이다.
이에, 상기 분사관(100)은 자동차 하부에 장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자동차가 주행하는 방향과 나란하게 설치하여 후술할 삼각대(200)가 자동차의 주행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빠져나가게 하면서 펼쳐질 수 있게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러한 분사관(100)에는, [도 3]과 같이, 기체 팽창수단(110)이 설치된다. 기체 팽창수단(110)은 분사관(100)에서 삼각대(200) 안쪽에 위치하도록 설치되어, 후술할 스위치 조작으로 이 기체 팽창수단(110)에서 기체가 발생함에 따라 그 압력으로 삼각대(200)가 분사관(100)에서 빠져나갈 수 있게 한다. 이러한 기체 팽창수단(110)은, 분사관(100)에서 삼각대(200)가 빠져나가게 하는 압력을 형성할 수 있는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사용할 수 있으며, 예시적으로, 압축공기를 이용할 수도 있고, 자동차의 에어백이 전개할 수 있도록 가스를 생성하는 인플레이터를 이용할 수도 있다.
이처럼 이루어진 분사관(100)에는, [도 3] 내지 [도 5]와 같이, 삼각대(200)가 설치된다.
나. 스위치
스위치는 상술한 기체 팽창수단(110)을 조작할 수 있도록 자동차 실내에 장착된다. 이때, 상기 스위치는 운전자나 탑승자가 자동차 실내에서 조작할 수 있는 위치라면 어디든지 설치할 수 있으나, 가장 바람직하게는 운전자가 운전석에 앉은 자세에서 조작할 수 있는 위치에 장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스위치는 기체 팽창수단(110)을 조작할 수 있도록 별도로 구성할 수도 있으나, 이미 대시 보드에 장착된 여러 개의 스위치 중 자주 사용하지 않는 것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스위치는, 예시적으로 비상등 스위치를 예로 들 수 있고, 기체 팽창수단(110)이 동작하게 하려면 비상등 스위치를 두 번 또는 그 이상 미리 정해진 횟수만큼 누르게 하거나, 일정 시간 계속해서 누르게 해서 기체 팽창수단(110)이 동작하게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스위치는 후방에서 주행하는 자동차와의 검출된 거리를 바탕으로 상기 기체 팽창수단(110)의 동작 여부를 결정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후방에서 진행하는 자동차가 너무 가까이 있는 상태에서 후술할 삼각대(200)가 자동차 후방으로 빠져나가면서 퍼지게 하면 이 삼각대(200)가 후방에서 진행하는 자동차의 주행을 방해할 우려가 있기 때문이다. 이에, 후방에서 진행하는 자동차와는 안전거리를 확보한 상태에서 상기 스위치 조작에 따라 기체 팽창수단(110)이 동작하게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후방 차량의 거리를 검출하는 센서는 별도로 구성할 수도 있고 자동차에 미리 장착되어 후방을 감시하는 센서를 이용할 수도 있다.
다. 삼각대
삼각대(200)는, [도 3] 내지 [도 5]와 같이, 후술할 스위치가 동작하지 않을 때는 우산처럼 접혀서 상술한 분사관(100) 안에 수납된 상태로 있게 되고, 스위치 작동으로 기체 팽창수단(110)이 작동하면 상기 분사관(100)에서 빠져나가면서 우산처럼 펼쳐져서 후방에서 주행하는 다른 자동차에 비상 상황이 발생했음을 알려주게 된다.
이러한 삼각대(200)는, [도 3] 내지 [도 5]와 같이, 작동 바(210), 세 개의 프레임(220), 세 개의 회전 링크(230), 그리고 막 부재(240)가 포함된다.
1. 작동 바
작동 바(210)는, [도 3] 및 [도 4]와 같이, 소정의 길이를 가진 바로, 정삼각뿔 형태로 이루어지는 삼각대(200)의 높이와 같거나 이보다 짧은 길이로 제작된다.
특히, 상기 작동 바(210)에는, [도 3] 및 [도 4]와 같이, 그 길이 방향을 따라 움직일 수 있도록 슬라이더(211)가 장착된다. 이때, 상기 슬라이더(211)는 작동 바(210) 내부에 설치된 스프링의 지지를 받아 작동 바(210)의 한쪽으로 탄성 지지를 받아 움직이게 설치된다.
2. 프레임
프레임(220)은, [도 3] 내지 [도 5]와 같이, 한쪽이 상술한 작동 바(210)의 한쪽에 회전할 수 있게 장착된다. 이때, 프레임(220)은 상기 작동 바(210)에서 상술한 슬라이더(211)가 탄성 지지를 받아 움직이는 쪽에 제자리 회전할 수 있도록 세 개가 장착되는데, 각 프레임(220)은 같은 길이로 이루어지면서 회전했을 때 정삼각뿔 형태가 되도록 이웃한 두 개의 프레임(220) 사이의 각도가 같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3. 회전 링크
회전 링크(230)는, [도 3] 및 [도 4]와 같이, 상술한 슬라이더(211)와 각 프레임(220)에 각각 연결되게 설치할 수 있도록 세 개가 구성된다. 이때, 상기 회전 링크(230)는 양쪽이 각각 슬라이더(211)와 프레임(220)에 제자리 회전할 수 있게 장착함으로써, 슬라이더(211)가 탄성 지지를 받아 작동 바(210)의 길이 방향으로 움직임에 따라 이 회전 링크(230)가 각 프레임(220)을 바깥으로 펼쳐지게 장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도 3]과 같이, 상기 분사관(100) 안에 삼각대(200)가 들어가 있는 상태에서는 상술한 작동 바(210)와 각 프레임(220)이 서로 나란한 상태가 됨에 따라, 상기 슬라이더(211)는 상기 프레임(220)의 회전 중심이 되는 작동 바(210)의 한쪽 끝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움직이게 되고, 이 상태에서는 슬라이더(211)를 지지하는 스프링이 압축 상태로 있게 된다.
이 상태에서, [도 3] 및 [도 4]와 같이, 기체 팽창수단(110)이 동작하여 분사관(100)에서 삼각대(200)가 빠져나감에 따라, 슬라이더(211)가 압축된 탄성력이 복원됨에 따라 작동 바(210)에서 프레임(220)이 장착된 방향으로 움직이게 되고, 이에 상기 슬라이더(211)에 회전하게 장착된 회전 링크(230)가 프레임(220)을 강제로 회전시켜서 정삼각뿔 형태로 펼쳐지게 한다.
4. 막 부재
막 부재(240)는, [도 2] 내지 [도 5]와 같이, 상술한 프레임(220)이 정삼각뿔 형태로 펼쳐진 상태에서 형성된 영역을 감싸준다. 이에, 상기 막 부재(240)는 정삼각뿔 형태로 제작하고, 하나의 꼭짓점을 기준으로 이웃한 세 개의 가장자리에 상술한 프레임(220)이 장착된다. 이처럼 구성된 상기 막 부재(240)는 상기 프레임(220)이 우산처럼 펼쳐짐에 따라 접혔던 상태에서 정삼각뿔 형태로 펼쳐지게 된다. 이때, 상기 막 부재(240)에는 외면에 경고 문구나 도형 등을 형성함으로써, 삼각대(200)가 펼쳐졌을 때 후방에서 주행하는 운전자가 비상 상황임을 쉽게 인식할 수 있게 한다.
이상과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은 자동 우산과 같이 펼쳐지는 삼각대가 분사관 안에서 펼쳐지지 않도록 강제로 끼워놓은 상태에서, 비상 상황이 발생하면 분사관 안에서 돌출한 삼각대가 우산처럼 펼쳐지면서 정삼각뿔 형태가 되게 구성함으로써, 운전자나 탑승자가 자동차에서 내리지 않고도 비상 삼각대를 펼칠 수 있게 되어 안전하고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자동차용 비상 삼각대는, [도 6]과 같이, 상술한 [실시예 1]과 같은 구성이나, 작동 바(210)에 웨이트(212)를 추가한 점에서 차이가 있다. 이에, 여기서는 [실시예 1]과 같은 구성에 관해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고 추가 구성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실시예 2]는, [도 6]과 같이, 작동 바(210)에 웨이트(212)를 추가한 것이다. 이때, 상기 웨이트(212)는 작동 바(210)에서 프레임(220)이 장착되지 않은 쪽에 설치함으로써, 분사관(100)에서 빠져나간 삼각대(200)는 무거운 웨이트(212)가 중력을 받아 아래로 향한 상태에서 프레임(220)이 펼쳐지게 된다. 이에, 삼각대(200)가 쉽게 펴지게 하면서도 바람 등의 영향으로 삼각대(200)가 날아가지 않게 하면서도 오뚝이처럼 한 곳에 고정된 상태로 있게 된다.
100: 분사관
110: 기체 팽창수단
200: 삼각대
210: 작동 바
211: 슬라이더
212: 웨이트
220: 프레임
230: 회전 링크

Claims (3)

  1. 내부에 기체 팽창수단(110)이 구비되어, 자동차의 후부를 향해 기체를 분출하는 분사관(100); 운전자나 탑승자가 자동차 실내에서 조작할 수 있게 설치되어 상기 기체 팽창수단(110)이 동작하게 하는 스위치; 상기 분사관(100) 안에 설치되어, 상기 스위치 조작으로 발생한 기체 압력으로 상기 분사관(100)에서 자동차 후부로 튀어나오면서 펼쳐지는 삼각대(200);를 포함하되,
    상기 삼각대(200)는,
    스프링의 탄성 지지를 받아 한쪽으로 향하도록 설치된 슬라이더(211)를 갖춘 작동 바(210);
    상기 작동 바(210)에서 상기 슬라이더(211)가 움직이는 쪽을 중심으로 삼각뿔 형태로 펼쳐지거나 접히게 설치된 세 개의 프레임(220);
    한쪽이 상기 슬라이더(211)에 제자리 회전할 수 있게 설치되고, 다른 한쪽이 각각 프레임(220)에 제자리 회전하게 설치된 세 개의 회전링크(230); 및
    상기 세 개의 프레임(220)이 펼쳐졌을 때 형성된 영역 전체를 감싸주는 유연한 재질로 이루어지고, 외부에는 경고 문구나 도형이 기재되며, 가장자리 부분이 상기 프레임(220)에 고정된 막 부재(2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비상 삼각대.
  2. 제1항에서,
    상기 스위치는,
    후방에서 뒤따라 오는 자동차와의 거리를 검출하는 센서의 신호를 받아 동작하되, 상기 센서의 검출 신호로 후방에서 따라오는 자동차가 미리 설정된 거리 이상 떨어졌을 때 상기 기체 팽창수단(110)이 동작하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비상 삼각대.
  3. 제1항 또는 제2항에서,
    상기 작동 바(210)에는,
    다른 한쪽에 웨이트(212)가 달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비상 삼각대.
KR1020210145224A 2021-10-28 2021-10-28 자동차용 비상 삼각대 KR2023006160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45224A KR20230061602A (ko) 2021-10-28 2021-10-28 자동차용 비상 삼각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45224A KR20230061602A (ko) 2021-10-28 2021-10-28 자동차용 비상 삼각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61602A true KR20230061602A (ko) 2023-05-09

Family

ID=864088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45224A KR20230061602A (ko) 2021-10-28 2021-10-28 자동차용 비상 삼각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61602A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65155A (ko) 2016-12-07 2018-06-18 김아름 안전 삼각대 겸용 차량 트렁크용 수납 지지 장치
KR102009792B1 (ko) 2018-12-28 2019-08-12 (주)메디컬에이드 차량 안전 삼각대
KR20190134579A (ko) 2019-11-27 2019-12-04 양민우 원터치 차량용 비상 삼각대 및 이를 이용한 차량 사고 알람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65155A (ko) 2016-12-07 2018-06-18 김아름 안전 삼각대 겸용 차량 트렁크용 수납 지지 장치
KR102009792B1 (ko) 2018-12-28 2019-08-12 (주)메디컬에이드 차량 안전 삼각대
KR20190134579A (ko) 2019-11-27 2019-12-04 양민우 원터치 차량용 비상 삼각대 및 이를 이용한 차량 사고 알람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499118B2 (en) Airbag for oblique vehicle impacts
US9205798B1 (en) Airbag for oblique vehicle impacts
US7810837B2 (en) Inflatable restraint system with deployment trajectory controller
US6616182B2 (en) Inflatable restraint system and method of deployment
JP2015509880A (ja) 車両のための能動的なフードシステムまたはボンネットシステム
US7380853B2 (en) Crash appropriate vehicle partition
JP3104668B2 (ja) 車両用頭部保護エアバッグ装置
JPH11222037A (ja) サンルーフ付き車両
US11447089B2 (en) Airbag assembly with reaction surface
WO2016121199A1 (ja) エアバッグ装置
KR101558105B1 (ko) 차량 내장형 비상 삼각대
JPH07267036A (ja) エアバッグモデュールドア、およびそのエアバッグモデュールドアをエアバッグモデュールユニットへ取り付けるための方法
JPH03281458A (ja) 自動車のエアバッグ装置
CN105270314B (zh) 用于具有可展开的锁定装置的安全气囊模块的铰接固定系统
JP3028498U (ja) サイドインパクトエアバッグを有する自動車輌とそのシート用アームレスト
EP1986895B1 (en) Bumper air bag
CN105365738A (zh) 用于车辆仪表板的可充气保护机构
ES2317199T3 (es) Conjunto de bolsa de aire.
US6520572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 deployable cover
JP3988566B2 (ja) 後突用エアバッグ装置
KR20230061602A (ko) 자동차용 비상 삼각대
JP2000025552A (ja) 衝撃保護装置
KR20080041509A (ko) 자동차용 커튼에어백의 전개 유도장치
US4977849A (en) Vehicle in distress flag
CN206749732U (zh) 安全气囊组件和车辆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