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61190A - 챗봇을 활용한 정보제공 시스템 - Google Patents

챗봇을 활용한 정보제공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61190A
KR20230061190A KR1020210161960A KR20210161960A KR20230061190A KR 20230061190 A KR20230061190 A KR 20230061190A KR 1020210161960 A KR1020210161960 A KR 1020210161960A KR 20210161960 A KR20210161960 A KR 20210161960A KR 20230061190 A KR20230061190 A KR 202300611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tbot
domain
chatbot server
information
ser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619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영한
김경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부뜰정보시스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부뜰정보시스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부뜰정보시스템
Publication of KR202300611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6119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1/00User-to-user messaging in packet-switching networks, transmitted according to store-and-forward or real-time protocols, e.g. e-mail
    • H04L51/02User-to-user messaging in packet-switching networks, transmitted according to store-and-forward or real-time protocols, e.g. e-mail using automatic reactions or user delegation, e.g. automatic replies or chatbot-generated messag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3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unstructured textual data
    • G06F16/33Querying
    • G06F16/332Query formulation
    • G06F16/3329Natural language query formulation or dialogue sys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3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unstructured textual data
    • G06F16/33Querying
    • G06F16/3331Query processing
    • G06F16/3332Query translation
    • G06F16/3334Selection or weighting of terms from queries, including natural language queri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3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unstructured textual data
    • G06F16/33Querying
    • G06F16/338Presentation of query resul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5/00Speech recognition
    • G10L15/02Feature extraction for speech recognition; Selection of recognition uni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14Session management
    • H04L67/148Migration or transfer of sess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챗봇을 활용한 정보제공 시스템은 인터페이스, 추론엔진을 포함하되, 상기 추론엔진은 키워드 추출모듈 및 추출된 키워드를 이용하여 제공되는 정보를 다른 영역의 챗봇과 연계가 필요한지를 판단하는 도메인 변경모듈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챗봇을 활용한 정보제공 시스템{System for providing information automatically using chatbot}
본 발명은 챗봇을 활용한 정보제공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금융, 보험 등과 같은 산업분야에서 소비자를 응대하는 자동화된 챗봇을 활용하여 정보를 제공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2016년 다보스포럼에서 4차 산업 혁명이 소개된 이후에 인공지능(AI, Artificial Intelligence)의 시대가 본격적으로 오고 있다. 그중에서도 기존에 사람이 하던 고객 응대나 민원 응대 서비스를 인공지능 로봇이 대신하는 챗봇 서비스가 민간과 공공기관을 중심으로 확산되고 있다. 챗봇은 문자 언어로 대화하는 응용 프로그램으로, 자연어를 사용하여 인간과 대화하는 모든 소프트웨어 응용프로그램을 지칭한다.
챗봇은 1966년에 심리치료를 위한 ELIZA가 최초라고 알려져 있다. 이런 대화형 챗봇 시스템은 사람과 상호작용하는 대화 능력과 주어진 업무를 완료하는 능력의 향상을 목표로 한다.
최근 챗봇은 인공지능과 딥러닝, 빅데이터 기술의 발전으로 인해 성능이 좋아지고 있으며, 다른 고객 서비스와 달리 앱의 설치가 필요 없이 채팅을 통한 서비스가 가능하여 고객의 접근성을 향상하여 고객 만족도를 높이고 전반적인 고객 경험을 향상할 수 있는 점에서 기업의 비즈니스 목적으로 많이 적용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챗봇은 금융, 보험 등 관련 산업분야에 특화되어 있는 상담을 진행하는 시스템으로 서로 분리되어 있는 것이 특징이다. 예를 들어, 비행기표를 예약하는 항공사 홈페이지에서 안내하는 챗봇은 비행기표 예매, 스케쥴 등 항공편과 관련된 채팅을 수행하고,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그러나 이러한 챗봇과의 상호작용을 통해 원하는 결과를 얻지 못할 경우, 예를 들어 항공편과 연계된 버스나 기차에 대한 안내가 필요한 경우에는 사용중인 챗봇상에서 안내가 이루어지지 못하는 불편함이 있고, 안내가 이루어지더라도 연계된 사이트를 알려주거나 전화번호를 안내하는 등으로 종료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2028810호(2019.09.27)
본 발명의 목적은 다양한 분야에 대한 안내가 가능하도록 챗봇연계가 가능한 정보제공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챗봇을 활용한 정보제공 시스템은 인터페이스, 추론엔진을 포함하되, 상기 추론엔진은 키워드 추출모듈 및 추출된 키워드를 이용하여 제공되는 정보를 다른 영역의 챗봇과 연계가 필요한지를 판단하는 도메인 변경모듈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챗봇을 활용한 정보제공 시스템은 텍스트정보 또는 음성정보를 송수신하는 인터페이스; 및 입력된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질의내용을 파악하고, 상기 질의내용에 해당하는 답변을 추론하여 출력하는 추론엔진을 포함하되, 상기 추론엔진은 입력된 정보에서 키워드를 추출하는 키워드 추출모듈; 및 상기 키워드의 분석결과, 다른 챗봇으로의 이동이 필요한 경우 매칭되는 챗봇 도메인을 자동으로 연결하는 도메인 변경모듈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정보제공 시스템은 제1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구성된 제1 챗봇 서버; 및 상기 제1 서비스와 상이한 제2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구성된 제2 챗봇 서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도메인 변경모듈은 상기 키워드의 분석결과, 상기 제1 챗봇 서버에서 상기 제2 챗봇 서버로의 이동이 필요한 경우, 상기 챗봇 도메인을 상기 제1 챗봇 서버의 제1 도메인에서 상기 제2 챗봇 서버의 제2 도메인으로 연결할 수 있다. 상기 제2 챗봇 서버에 연결된 복수의 챗봇들 중 상기 키워드와 연관된 연관 챗봇들이 실행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도메인 변경모듈은 상기 키워드의 분석결과 상기 제1 서비스를 제공할 필요가 없다고 판단되면, 상기 제1 챗봇 서버의 제1 도메인과 연결이 해제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키워드의 분석결과 상기 제1 서비스를 계속 제공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되면, 상기 제1 챗봇 서버의 제1 도메인과 연결 및 상기 제2 도메인과 연결이 모두 유지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정보제공 시스템은 상기 사용자의 로그인 정보 및 상기 사용자에 의해 이전에 입력된 텍스트 정보 및 음성정보를 저장하도록 구성된 데이터베이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도메인 변경모듈은 상기 키워드의 분석결과와 상기 데이터베이스와 연동하여 획득된 상기 사용자의 로그인 정보 및 상기 이전에 입력된 텍스트 정보 및 음성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도메인과 제1 연결을 유지할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제1 도메인과 제1 연결을 유지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되면, 상기 제1 챗봇 서버의 제1 도메인과 제1 연결 및 상기 제2 도메인과 제2 연결이 모두 유지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도메인 변경모듈은 상기 제1 챗봇 서버의 제1 혼잡도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제1 혼잡도가 제1 임계치 이상이면 상기 키워드의 분석결과 상기 제1 서비스를 제공할 필요가 없다고 판단되면, 상기 제1 챗봇 서버의 제1 도메인과 연결이 해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도메인 변경모듈은 상기 제1 혼잡도가 상기 제1 임계치 미만이면, 상기 데이터베이스와 연동하여 획득된 상기 사용자의 로그인 정보 및 상기 이전에 입력된 텍스트 정보 및 음성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챗봇 서버의 제1 도메인과 연결을 유지할 필요가 있는 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제1 챗봇 서버의 제1 도메인과 연결을 유지할 필요가 있다면, 상기 제1 챗봇 서버의 제1 도메인과 연결 및 상기 제2 도메인과의 연결이 모두 유지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도메인 변경모듈은 상기 제2 챗봇 서버의 제2 혼잡도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제1 혼잡도가 상기 제1 임계치 미만이고 상기 제2 혼잡도가 제2 임계치 이상이면, 상기 키워드와 연관된 서비스에 대한 정보를 상기 제1 챗봇 서버로 전달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제2 챗봇 서버의 제2 도메인과 제2 연결이 해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도메인 변경모듈은 상기 키워드와 연관된 서비스에 대한 정보를 상기 제1 챗봇 서버의 제1 도메인으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제2 챗봇 서버의 제2 도메인으로부터 추가 정보가 필요한 경우, 상기 제2 챗봇 서버의 제2 혼잡도가 상기 제2 임계치 미만으로 낮아진 경우, 상기 제2 도메인으로의 제2 연결이 이루어지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도메인 변경모듈은 상기 제2 챗봇 서버의 제2 도메인으로부터 추가 정보가 필요한 경우, 상기 제2 챗봇 서버의 제2 혼잡도가 여전히 상기 제2 임계치 이상인 경우, 상기 제1 챗봇 서버로 상기 추가 정보에 대한 요청 메시지를 전달하고, 상기 제1 챗봇 서버는 상기 제2 도메인에 보유 중인 상기 추가 정보가 상기 제1 도메인으로 전달되도록 상기 제2 챗봇 서버를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챗봇을 활용한 정보제공 시스템은 다른 영역의 정보를 획득하기 위해서 다른 챗봇으로 재차 연결할 필요가 없다.
또한, 다양한 정보를 추천받을 수 있는 시스템의 제공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보제공 시스템의 기능블럭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챗봇 서버를 포함하는 챗봇 시스템의 구성도를 나타낸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챗봇을 활용한 정보제공 시스템의 각 구성부가 복수의 챗봇 서버들과 연동하는 구성을 나타낸다.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챗봇을 활용한 정보제공 시스템에서 챗봇 관리 서버가 제1 및 제2 챗봇 서버 간 전환을 수행하는 개념도를 나타낸다.
본 명세서에 개시되어 있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에 대해서 특정한 구조적 또는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은 다양한 형태들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 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은 다양한 변경들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들을 가질 수 있으므로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에서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을 특정한 개시 형태들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한다.
제1 또는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예컨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권리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은 채, 제1 구성 요소는 제2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 요소는 제1 구성 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 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 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구성 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본 명세서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본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특허출원의 범위가 이러한 실시 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 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보제공 시스템의 기능블럭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챗봇을 활용한 정보제공 시스템은 인터페이스(310), 추론엔진(320)을 포함하며, 추론엔진(320)은 키워드 추출모듈(321), 도메인 변경모듈(322)을 포함한다.
인터페이스(310)는 텍스트정보 또는 음성정보를 송수신하도록 구성될 수 잇다. 따라서, 챗봇을 활용한 정보제공 시스템은 인터페이스(310)를 통해 사용자 단말로부터 텍스트정보 및/또는 음성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챗봇을 활용한 정보제공 시스템은 인터페이스(310)를 통해 사용자 단말로 텍스트정보 및/또는 음성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추론엔진(320)은 입력된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질의내용을 파악, 식별 똔는 분석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추론엔진(320)은 상기 질의내용에 해당하는 답변을 추론하여 출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추론엔진(320) 중 키워드 추출모듈(321)은 입력된 정보에서 키워드를 추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추론엔진(320) 중 도메인 변경모듈(322)은 키워드 추출모듈(321)과 동작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도메인 변경모듈(322)은 상기 키워드의 분석결과, 다른 챗봇으로의 이동이 필요한 경우 매칭되는 챗봇 도메인을 자동으로 연결하도로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챗봇을 활용한 정보제공 시스템은 복수의 챗봇 서버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챗봇 서버를 포함하는 챗봇 시스템의 구성도를 나타낸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챗봇을 활용한 정보제공 시스템은 사용자 단말(100), 챗봇 서버(200), 챗봇 관리 서버(300) 및 외부 챗봇 서버(400)를 포함한다. 이와 관련하여, 도 2의 챗봇을 활용한 정보제공 시스템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도 2를 통해 본 발명이 한정 해석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라 도 2와 상이한 방식으로구성될 수도 있다.
사용자 단말(100)은 네트워크(510)를 통해 챗봇 서버(200)에 연결된다. 이 경우 네트워크(510)는 주로 무선 네트워크로서 단말들 및 서버들과 같은 각각의 노드 상호 간에 무선으로 정보 교환이 가능한 연결 구조를 구성할 수 있다. 일 예로, 이러한 네트워크(network)느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LTE(Long Term Evolution),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와이파이(Wi-Fi), 3G, 4G, 5G 통신 시스템등이 포함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사용자 단말(100)은 사용자의 질의를 입력받아서 네트워크(510)를 통해 챗봇 서버(200)로 전달하고, 챗봇 서버(200)로부터 질의에 대한 응답을 전달받아서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챗봇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인 챗봇 클라이언트가 탑재된 단말일 수 있다.
사용자 단말(100)은 무선 통신이 가능한 모바일 단말을 포함할 수 있고,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100)은 다양한 형태의 디바이스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100)은 네트워크(510)를 통해 원격지의 챗봇 서버(200)에 접속할 수 있는 휴대용 단말일 수 있다. 여기서, 휴대용 단말의 일 예로는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3G, 4G, 5G 단말, LTE 단말, 스마트폰(smartphone), 스마트 패드, 태블릿 PC,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과 같은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가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100)의 일예는 노트북(notebook), 넷북(Netbook), 울트라북(UltraBook), 서브노트북(SubNotebook), 데스크노트(DeskNote), UMPC(Ultra-Mobile PC), 데스크탑(Desktop)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PC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 단말(100)은 도 2에 도시된 형태 또는 앞서 예시된 것들로만 한정 해석되는 것은 아니다.
챗봇 서버(200)는 네트워크(510)를 통해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수신된 자연어 질의어에 대응되는 답변을 검색하고, 대응되는 답변이 검색되는 경우 검색된 답변을 질의어에 대한 답변으로 사용자 단말(100)에게 전송할 수 있다.
하지만, 챗봇 서버(200)가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수신된 자연어 질의어에 대응되는 답변을 검색하지 못하는 경우에는 해당 자연어 질의어에 대한 정보를 챗봇 관리 서버(300)로 전달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챗봇 관리 서버(300)로부터 제공되는 라우팅 정보를 받아서 라우팅 정보에 해당하는 외부 챗봇 서버(400)로 자연어 질의어를 전달할 수 있다. 외부 챗봇 서버(400)로부터 제공되는 답변을 사용자 단말(100)에게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자연어 질의어에 대한 정보로는 자연어 질의어에 대해 개체명 식별(Named Entity Recognition) 기술을 통해 식별된 개체명과 의도분류(Intent Classification) 기술을 통해 분류된 의도가 포함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개체명 식별 기술은 미리 정의해 둔 사람, 회사, 장소, 시간, 단위 등에 해당하는 단어, 즉 개체명을 인식하여 추출하는 기술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의도 분류 기술은 다양한 형태의 자연어 문장에 대해 대응되는 의도로서 미리 분류한 후 입력되는 자연어 질의어에 해당하는 의도를 찾아내는 기술로 구성될 수 있다.
챗봇 서버(200)가 자연어 질의어에 대응되는 답변을 검색하는 방식으로 여러가지가 있을 수 있다. 예컨대, 챗봇 서버(200)가 지식 베이스 기반 챗봇 서버인 경우, AIML(Artificial Intelligence Markup Language)과 같은 패턴의 매칭을 통해 답변을 검색하는 패턴 매칭 방식으로 답변을 검색할 수 있다. 또한, 챗봇 서버(200)는 단어와 단어의 관계를 탐색하는 온톨로지 방식으로 답변을 검색할 수 있다. 또한, 챗봇 서버(200)가 기계학습 기반 챗봇 서버로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대량의 키(key), 값(value)으로 이루어진 학습 데이터를 학습하여, 최적의 기계학습 함수 모델을 찾아낼 수 있다. 이를 API(Appliaction Programming Interface)화하여 입력 값으로 질문, 출력 값으로 답변과, 답변 정확도(%)를 검색할 수 있다.
또한, 챗봇 서버(200)는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수신된 질의어 분석 결과 둘 이상의 질문 의도가 파악되는 경우 라우팅 정보에 따라서 외부 챗봇 서버(400)를 활용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챗봇 서버(200) 자체 내에서 검색된 답변들 또는 챗봇 관리 서버(300)를 통해 제공받은 라우팅 정보에 따라서 외부 챗봇 서버(400)로부터 제공받은 답변들을 가공하여 복합 답변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생성된 복합 답변을 사용자 단말(100)에게 최종 답변으로서 제공할 수 있다.
챗봇 관리 서버(300)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챗봇 서비스를 사용하기 위해 접속되는 챗봇 서버들, 즉 챗봇 서버(200) 및 외부 챗봇 서버(400)들은 챗봇 관리 서버(300)에 자신들의 정보를 등록한다. 이 때 등록되는 정보에는 챗봇 서버를 확인할 수 있는 식별자와 챗봇 서버에 접속하기 위한 라우팅 정보, 예를 들어 접근 주소인 URL(Uniform Resource Locator)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챗봇 관리 서버(300)는 챗봇 서버(200)로부터 자연어 질의어에 대한 정보, 즉 개체명과 의도가 전달되면 전달된 정보, 즉 개체명과 의도에 해당하는 챗봇 서버를 검색하며, 검색된 챗봇 서버에 해당하는 라우팅 정보를 챗봇 서버(200)에게 제공한다. 이 경우 챗봇 관리 서버(300)로부터 챗봇 서버(200)에게 제공되는 라우팅 정보는 하나 이상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챗봇 관리 서버(300)는 챗봇 서버(200)로부터 전달되는 하나의 자연어 질의어에 대해 하나 이상의 라우팅 정보를 제공할 수 있거나, 또는 챗봇 서버(200)로부터 둘 이상의 자연어 질의어가 전달되는 경우에는 둘 이상의 라우팅 정보가 챗봇 서버(200)에게 제공될 수 있다.
외부 챗봇 서버(400)는 하나 이상의 챗봇 서버로 구성되며, 네트워크(520)를 통해 챗봇 서버(200)에 연결된다. 여기서 네트워크(520)는 네트워크(510)와 마찬가지로 무선 네트워크일 수 있거나 또는 인터넷과 같은 유선 네트워크일 수 있다.
외부 챗봇 서버(400)는 챗봇 서버(200)와 유사한 구성을 가지며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자연어 질의어에 대해 답변을 검색하고, 검색된 답변을 챗봇 서버(200)에게 제공한다.
외부 챗봇 서버(400)는 챗봇 서버(200)와 유사하거나 또는 상이한 토픽에 대한 지식 베이스를 갖는 챗봇 서버일 수 있다. 챗봇 관리 서버(300)에는 대부분의 외부 챗봇 서버(400)가 등록될 수 있지만, 외부 챗봇 서버(400)는 챗봇 서버(200)에서 질의어에 대한 검색이 실패하는 경우에 사용되기 때문에 유사한 토픽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외부 챗봇 서버(400)의 경우에는 사용될 가능성이 적다.
외부 챗봇 서버(400)도 입력되는 자연어 질의어에 대한 답변 검색이 실패하는 경우가 발생하여 해당 질의어에 대해 챗봇 관리 서버(300)를 통해 라우팅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하지만,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질의어를 수신하는 것이 아니라 챗봇 서버(200)로부터 자연어 질의어를 수신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수신된 질의어에 대한 답변 검색이 실패하더라도 챗봇 관리 서버(300)를 통한 계속된 검색을 수행하지 않을 수 있다. 즉, 외부 챗봇 서버(400)는 챗봇 서버(200)로부터 수신되는 자연어 질의어에 대해 답변 검색이 실패하는 경우에는 실패 응답을 챗봇 서버(200)에게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챗봇을 활용한 정보제공 시스템은 복수의 챗봇 서버를 활용하여 사용자의 질의에 대한 최적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챗봇 서버(200)는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수신된 질의어 분석 결과 둘 이상의 질문 의도가 파악되는 경우 라우팅 정보에 따라서 외부 챗봇 서버(400)를 활용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챗봇 서버(200) 자체 내에서 검색된 답변들 또는 챗봇 관리 서버(300)를 통해 제공받은 라우팅 정보에 따라서 외부 챗봇 서버(400)로부터 제공받은 답변들을 가공하여 복합 답변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생성된 복합 답변을 사용자 단말(100)에게 최종 답변으로서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챗봇을 활용한 정보제공 시스템은 제1 챗봇 서버 및 제2 챗봇 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제1 챗봇 서버는 챗봇 서버(200)이고 제2 챗봇 서버는 외부 챗봇 서버(400)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하지만, 제1 챗봇 서버 및 제2 챗봇 서버의 구성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응용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 가능하다. 일 예로, 제1 챗봇 서버가 외부 챗봇 서버(400) 중 적어도 하나이고 제2 챗봇 서버는 챗봇 서버(200)일 수 있다. 다른 예로, 제1 챗봇 서버가 외부 챗봇 서버(400) 중 적어도 하나이고 제2 챗봇 서버는 외부 챗봇 서버(400) 중 다른 하나일 수도 있다.
제1 챗봇 서버는 제1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2 챗봇 서버는 상기 제1 서비스와 상이한 제2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제1 챗봇 서버 및 제2 챗봇 서버가 제공하는 제1 서비스 및 제2 서버스는 동일한 유형의 챗봇 서비스이고 상황에 따른 다른 정보일 수 있다. 다른 예로, 제1 서비스 및 제2 서버스는 서로 다른 유형의 챗봇 서비스일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제1 챗봇 서버 및 제2 챗봇 서버를 운영하는 사업자는 동일한 사업자일 수 있다. 동일한 사업자에 의해 운영되는 제1 챗봇 서버 및 제2 챗봇 서버는 동일한 유형의 챗봇 서비스이지만 상황에 따른 다른 방대한 정보를 카테고리화하여 구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황에 따른 다른 방대한 정보를 카테고리화하여 별도의 서버로 구축하여 상황 기반 인덱스 검색 방식으로 별도의 서버로의 빠른 액세스 및 검색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또 다른 예로, 제1 챗봇 서버 및 제2 챗봇 서버는 서로 다른 유형의 챗봇 서비스를 구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챗봇 서버 및 제2 챗봇 서버는 서로 다른 유형의 챗봇 서비스를 서비스 별로 카테고리화하여 구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서비스 별로 카테고리화된 정보를 별도의 서버로 구축하여 서비스 기반 인덱스 검색 방식으로 별도의 서버로의 빠른 액세스 및 검색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또 다른 예로, 제1 챗봇 서버 및 제2 챗봇 서버는 서로 다른 사업자에 의해 운영되는 서버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챗봇 서버 및 제2 챗봇 서버는 서로 다른 사업자 간에 챗봇 서버 간 협력을 통해 각 사업자의 회원들에게 타 사업자의 서비스까지 제공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에 따라, 서로 다른 사업자 간 챗봇 서버의 공유와 같은 협력을 통해 각 사업자의 회원들에게 더 많은 챗봇 서비스를 제공하면서 서비스를 공유한 타 사업자는 이를 통해 비용이나 광고를 위한 회원 정보 등의 리워드를 제공받을 수 있다.
한편,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챗봇을 활용한 정보제공 시스템의 각 구성부가 복수의 챗봇 서버들과 연동하는 구성을 나타낸다.
도 3을 참조하면, 전술한 바와 같이 정보제공 시스템은 인터페이스(310) 및 추론엔진(320)을 포함하도록 구성 가능하다. 추론엔진(320)은 키워드 추출모듈(321) 및 도메인 변경모듈(322)을 포함하도록 구성 가능하다. 정보제공 시스템은 제1 챗봇 서버(1000) 및 제2 챗봇 서버(2000)를 더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챗봇 서버(1000)는 챗봇 서버(200)이고 제2 챗봇 서버(2000)는 외부 챗봇 서버(400)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하지만, 제1 챗봇 서버(1000) 및 제2 챗봇 서버(2000)의 구성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응용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 가능하다. 일 예로, 제1 챗봇 서버(1000)가 외부 챗봇 서버(400) 중 적어도 하나이고 제2 챗봇 서버(2000)는 챗봇 서버(200)일 수 있다. 다른 예로, 제1 챗봇 서버(1000)가 외부 챗봇 서버(400) 중 적어도 하나이고 제2 챗봇 서버(2000)는 외부 챗봇 서버(400) 중 다른 하나일 수도 있다.
이와 관련하여, 복수의 챗봇 서버의 개수는 제1 챗봇 서버(1000) 및 제2 챗봇 서버(2000)의 2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응용에 따라 더 많은 개수의 서버들로 확장 가능하다.
한편,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챗봇을 활용한 정보제공 시스템에서 챗봇 관리 서버가 제1 및 제2 챗봇 서버 간 전환을 수행하는 개념도를 나타낸다.
도 4a를 참조하면, 챗봇 관리 서버(300)는 키워드 분석 결과에 기초하여 제1 챗봇 서버(1000)의 제1 도메인(D1)에서 제2 챗봇 서버(2000)의 제2 도메인(D2)으로의 전환을 수행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챗봇 관리 서버(300)를 통해 사용자 단말(100)과 연결되는 엔티티는 제1 챗봇 서버(1000)에서 제2 챗봇 서버(2000)로 전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챗봇 서버(1000)와의 제1 연결은 해제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제1 챗봇 서버(1000)와 동일한 유형의 서버들이 제1 도메인(D1)을 형성할 수 있다. 제1 도메인(D1)은 제1 챗봇 서버(1000)를 포함하여 적어도 하나의 서버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2 챗봇 서버(2000)와 동일한 유형의 서버들이 제2 도메인(D2)을 형성할 수 있다. 제2 도메인(D2)은 제2 챗봇 서버(2000)를 포함하여 적어도 하나의 서버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챗봇 관리 서버(300)는 키워드 분석 결과에 기초하여 제2 서비스의 제공이 필요하다고 판단되면, 제2 서비스의 제공할 수 있는 제2 도메인(D2) 내에서 제2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챗봇 서버를 선택할 수 있다. 챗봇 관리 서버(300)는 일단 제2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으면서 상호 간 협약이 이루어진 서버를 후보로 선택할 수 있다. 이후, 챗봇 관리 서버(300)는 사용자의 질의와 연관된 키워드 분석 결과에 기초하여 제2 도메인(D2) 내에서 최적의 서버인 제2 챗봇 서버(2000)를 선택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 따른 챗봇을 활용한 정보제공 시스템에서 제1 챗봇 서버(1000)와 제2 챗봇 서버(2000) 간 전환을 수행하는 주체는 챗봇 관리 서버(300)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중앙 집중 방식의 챗봇 관리 서버(300)가 아니라 분산 방식으로 각각의 서버가 제1 챗봇 서버(1000)와 제2 챗봇 서버(2000) 간 전환을 수행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현재 도메인 변경의 제어권을 보유 중인 예컨대 제1 챗봇 서버(1000)가 제1 챗봇 서버(1000)와 제2 챗봇 서버(2000) 간 전환을 수행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제2 챗봇 서버(2000)로 서비스 전환이 수행된 경우, 도메인 변경의 제어권도 제2 챗봇 서버(2000)로 전환된다.
도 4b를 참조하면, 챗봇 관리 서버(300)는 키워드 분석 결과에 기초하여 제1 챗봇 서버(1000)의 제1 도메인(D1)과의 연결을 유지하면서 제2 챗봇 서버(2000)의 제2 도메인(D2)으로의 전환을 수행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챗봇 관리 서버(300)를 통해 사용자 단말(100)과 연결되는 엔티티는 전환되는 제2 챗봇 서버(2000)와 기존의 제1 챗봇 서버(1000)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챗봇 서버(1000)와의 제1 연결은 유지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도메인 변경모듈(322)은 상기 키워드의 분석결과, 상기 제1 챗봇 서버에서 상기 제2 챗봇 서버로의 이동이 필요한 경우, 상기 챗봇 도메인을 상기 제1 챗봇 서버의 제1 도메인에서 상기 제2 챗봇 서버의 제2 도메인으로 연결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2 챗봇 서버에 연결된 복수의 챗봇들 중 상기 키워드와 연관된 연관 챗봇들이 실행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메인 변경모듈(322)은 상기 키워드의 분석결과 상기 제1 서비스를 제공할 필요가 없다고 판단되면, 상기 제1 챗봇 서버의 제1 도메인과 연결이 해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챗봇을 활용한 정보제공 시스템은 특정 챗봇 서버를 통한 서비스가 불필요하다고 판단되면, 특정 챗봇 서버을 연결을 해제하여 서버의 혼잡도 저감 등 서버 운영의 유연성을 제공할 수 있다. 도메인 변경모듈(322)은 상기 키워드의 분석결과 상기 제1 서비스를 계속 제공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되면, 상기 제1 챗봇 서버의 제1 도메인과 연결 및 상기 제2 도메인과 연결이 모두 유지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키워드 분석 결과에 따른 복수의 챗봇 서버와의 연결을 유지하면서, 사용자에게 최적의 챗봇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정보제공 시스템은 데이터베이스(3000)를 더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메인 변경모듈(322)은 상기 키워드의 분석결과와 데이터베이스(3000)와 연동하여 획득된 상기 사용자의 로그인 정보 및 상기 이전에 입력된 텍스트 정보 및 음성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도메인과 제1 연결을 유지할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도메인 변경모듈(322)은 상기 제1 도메인과 제1 연결을 유지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되면, 상기 제1 챗봇 서버의 제1 도메인과 제1 연결 및 상기 제2 도메인과 제2 연결이 모두 유지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반면에, 상기 제1 도메인과 제1 연결을 유지할 필요가 없다고 판단되면, 상기 제1 챗봇 서버의 제1 도메인과 제1 연결을 해제하고, 상기 제2 도메인과 제2 연결만 유지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키워드의 분석결과를 통해 이전 연결인 제1 연결 유지 여부가 불분명한 경우에도 사용자 별로 이력 정보를 반영하여 제1 연결 유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정보제공 시스템은 네트워크 혼잡도(congestion) 및/또는 무선 신호 품질 (또는 유선 신호 품질)에 기초하여 이전 연결인 제1 연결 유지 여부를 결정할 수도 있다. 무선 신호 품질 (또는 유선 신호 품질)은 사용자 단말(100)에서 송수신되는 신호의 품질로 네트워크 품질과 별도로 무선 링크 (또는 유선 링크)의 품질이다.
도메인 변경모듈(322)은 상기 제1 챗봇 서버의 제1 혼잡도에 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도메인 변경모듈(322)은 상기 제1 챗봇 서버의 네트워크 혼잡도에 관한 정보를 우선적으로 반영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메인 변경모듈(322)은 상기 제1 챗봇 서버와의 무선 링크 품질을 고려할 수 있다. 따라서, 네트워크 혼잡도가 일정 수준 이상이면 가급적 연결 해제를 수행할 수 있다. 반면에, 무선 링크 품질에 따른 무선 링크 혼잡도가 일정 수준 이상이면 주파수 대역 변경이나 다른 무선 링크로의 전환을 수행하고 이 경우에도 혼잡도가 여전히 일정 수준 이상인 경우에만 연결 해제를 수행할 수 있다.
도메인 변경모듈(322)은 상기 제1 혼잡도가 제1 임계치 이상이면 상기 키워드의 분석결과 상기 제1 서비스를 제공할 필요가 없다고 판단되면, 상기 제1 챗봇 서버의 제1 도메인과 연결이 해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메인 변경모듈(322)은 상기 제1 혼잡도가 상기 제1 임계치 미만이면, 상기 데이터베이스와 연동하여 획득된 상기 사용자의 로그인 정보 및 상기 이전에 입력된 텍스트 정보 및 음성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챗봇 서버의 제1 도메인과 연결을 유지할 필요가 있는 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도메인 변경모듈(322)은 상기 제1 챗봇 서버의 제1 도메인과 연결을 유지할 필요가 있다면, 상기 제1 챗봇 서버의 제1 도메인과 연결 및 상기 제2 도메인과의 연결이 모두 유지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메인 변경모듈(322)은 상기 제2 챗봇 서버의 제2 혼잡도에 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도메인 변경모듈(322)은 상기 제1 혼잡도가 상기 제1 임계치 미만이고 상기 제2 혼잡도가 제2 임계치 이상이면, 상기 키워드와 연관된 서비스에 대한 정보를 상기 제1 챗봇 서버로 전달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메인 변경모듈(322)은 상기 제2 챗봇 서버의 제2 도메인과 제2 연결이 해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환하려는 상기 제2 챗봇 서버의 제2 혼잡도가 높은 경우 현재 연결 상태를 유지하고 있는 상기 제1 챗봇 서버를 통해 제2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제1챗봇 서버와 상기 제2 챗봇 서버 간의 통신은 상기 사용자 단말과의 통신 링크와는 달리 안정적인 통신 링크를 통해 전달될 수 있다.
도메인 변경모듈(322)은 상기 키워드와 연관된 서비스에 대한 정보를 상기 제1 챗봇 서버의 제1 도메인으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도메인 변경모듈(322)은 상기 제2 챗봇 서버의 제2 도메인으로부터 추가 정보가 필요한 경우, 상기 제2 챗봇 서버의 제2 혼잡도가 상기 제2 임계치 미만으로 낮아졌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제2 혼잡도가 상기 제2 임계치 미만으로 낮아진 경우, 도메인 변경모듈(322)은 상기 제2 도메인으로의 제2 연결이 이루어지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메인 변경모듈(322)은 네트워크 혼잡도 및 무선 링크 혼잡도가 일정 수준 이하가 되어 네트워크 및 무선 품질이 향상된 경우 제상기 제2 도메인으로의 제2 연결을 다시 수행할 수 있다.
도메인 변경모듈(322)은 상기 제2 챗봇 서버의 제2 도메인으로부터 추가 정보가 필요한 경우, 상기 제2 챗봇 서버의 제2 혼잡도가 여전히 상기 제2 임계치 이상인지를 판단할 수 잇다. 상기 제2 혼잡도가 여전히 상기 제2 임계치 이상인 경우, 도메인 변경모듈(322)은 상기 제1 챗봇 서버로 상기 추가 정보에 대한 요청 메시지를 전달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 챗봇 서버는 상기 제2 도메인에 보유 중인 상기 추가 정보가 상기 제1 도메인으로 전달되도록 상기 제2 챗봇 서버를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환하려는 상기 제2 챗봇 서버의 제2 혼잡도가 여전히 높은 경우 현재 연결 상태를 유지하고 있는 상기 제1 챗봇 서버를 통해 제2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제1챗봇 서버와 상기 제2 챗봇 서버 간의 통신은 상기 사용자 단말과의 통신 링크와는 달리 안정적인 통신 링크를 통해 전달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챗봇을 활용한 정보제공 시스템을 통해 금융, 보험 등 관련 산업분야에 특화되어 있는 상담을 진행하는 시스템으로 서로 분리되어 챗봇 도메인 간에 도메인 변경을 통해 통합 서비스를 제고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비행기표를 예약하는 항공사 홈페이지에서 안내하는 챗봇은 비행기표 예매, 스케쥴 등 항공편과 관련된 채팅을 수행하고,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이러한 챗봇과의 상호작용을 통해 원하는 결과를 얻지 못할 경우, 예를 들어 항공편과 연계된 버스나 기차에 대한 안내가 필요한 경우에도 사용중인 챗봇상에서 안내가 이루어지도록 제어가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챗봇을 활용한 정보제공 시스템에 대해 설명하엿다. 본 발명에 따른 챗봇을 활용한 정보제공 시스템의 기술적 효과는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챗봇을 활용한 정보제공 시스템은 다른 영역의 정보를 획득하기 위해서 다른 챗봇으로 재차 연결할 필요가 없다.
또한, 다양한 정보를 추천받을 수 있는 시스템의 제공이 가능하다.
상술한 본 발명의 특징 및 효과는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 질 것이며, 그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소프트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절차 및 기능뿐만 아니라 각각의 구성 요소들에 대한 설계 및 파라미터 최적화는 별도의 소프트웨어 모듈로도 구현될 수 있다. 적절한 프로그램 언어로 쓰여진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으로 소프트웨어 코드가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소프트웨어 코드는 메모리에 저장되고, 제어부(controller) 또는 프로세서(processor)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100 사용자 단말
200 챗봇 서버
300 챗봇 관리 서버
310 인터페이스
320 추론 엔진
321 키워드 추출모듈
322 도메인 변경모듈
400 외부 챗봇 서버
510, 520 네트워크
1000 제1 챗봇 서버
2000 제2 챗봇 서버
3000 데이터베이스
D1 제1 도메인
D2 제2 도메인

Claims (8)

  1. 챗봇을 활용한 정보제공 시스템으로서,
    텍스트정보 또는 음성정보를 송수신하는 인터페이스; 및
    입력된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질의내용을 파악하고, 상기 질의내용에 해당하는 답변을 추론하여 출력하는 추론엔진을 포함하되,
    상기 추론엔진은 입력된 정보에서 키워드를 추출하는 키워드 추출모듈; 및
    상기 키워드의 분석결과, 다른 챗봇으로의 이동이 필요한 경우 매칭되는 챗봇 도메인을 자동으로 연결하는 도메인 변경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제공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제1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구성된 제1 챗봇 서버; 및
    상기 제1 서비스와 상이한 제2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구성된 제2 챗봇 서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도메인 변경모듈은,
    상기 키워드의 분석결과, 상기 제1 챗봇 서버에서 상기 제2 챗봇 서버로의 이동이 필요한 경우, 상기 챗봇 도메인을 상기 제1 챗봇 서버의 제1 도메인에서 상기 제2 챗봇 서버의 제2 도메인으로 연결하고,
    상기 제2 챗봇 서버에 연결된 복수의 챗봇들 중 상기 키워드와 연관된 연관 챗봇들이 실행되도록 제어하는, 정보제공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도메인 변경모듈은,
    상기 키워드의 분석결과 상기 제1 서비스를 제공할 필요가 없다고 판단되면, 상기 제1 챗봇 서버의 제1 도메인과 연결이 해제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키워드의 분석결과 상기 제1 서비스를 계속 제공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되면, 상기 제1 챗봇 서버의 제1 도메인과 연결 및 상기 제2 도메인과 연결이 모두 유지되도록 제어하는, 정보제공 시스템.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로그인 정보 및 상기 사용자에 의해 이전에 입력된 텍스트 정보 및 음성정보를 저장하도록 구성된 데이터베이스를 더 포함하고,
    상기 도메인 변경모듈은,
    상기 키워드의 분석결과와 상기 데이터베이스와 연동하여 획득된 상기 사용자의 로그인 정보 및 상기 이전에 입력된 텍스트 정보 및 음성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도메인과 제1 연결을 유지할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제1 도메인과 제1 연결을 유지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되면, 상기 제1 챗봇 서버의 제1 도메인과 제1 연결 및 상기 제2 도메인과 제2 연결이 모두 유지되도록 제어하는, 정보제공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도메인 변경모듈은,
    상기 제1 챗봇 서버의 제1 혼잡도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제1 혼잡도가 제1 임계치 이상이면 상기 키워드의 분석결과 상기 제1 서비스를 제공할 필요가 없다고 판단되면, 상기 제1 챗봇 서버의 제1 도메인과 연결이 해제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제1 혼잡도가 상기 제1 임계치 미만이면, 상기 데이터베이스와 연동하여 획득된 상기 사용자의 로그인 정보 및 상기 이전에 입력된 텍스트 정보 및 음성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챗봇 서버의 제1 도메인과 연결을 유지할 필요가 있는 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제1 챗봇 서버의 제1 도메인과 연결을 유지할 필요가 있다면, 상기 제1 챗봇 서버의 제1 도메인과 연결 및 상기 제2 도메인과의 연결이 모두 유지되도록 제어하는, 정보제공 시스템.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도메인 변경모듈은,
    상기 제2 챗봇 서버의 제2 혼잡도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제1 혼잡도가 상기 제1 임계치 미만이고 상기 제2 혼잡도가 제2 임계치 이상이면, 상기 키워드와 연관된 서비스에 대한 정보를 상기 제1 챗봇 서버로 전달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제2 챗봇 서버의 제2 도메인과 제2 연결이 해제되도록 제어하는, 정보제공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도메인 변경모듈은,
    상기 키워드와 연관된 서비스에 대한 정보를 상기 제1 챗봇 서버의 제1 도메인으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제2 챗봇 서버의 제2 도메인으로부터 추가 정보가 필요한 경우, 상기 제2 챗봇 서버의 제2 혼잡도가 상기 제2 임계치 미만으로 낮아진 경우, 상기 제2 도메인으로의 제2 연결이 이루어지도록 제어하는, 정보제공 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도메인 변경모듈은,
    상기 제2 챗봇 서버의 제2 도메인으로부터 추가 정보가 필요한 경우, 상기 제2 챗봇 서버의 제2 혼잡도가 여전히 상기 제2 임계치 이상인 경우, 상기 제1 챗봇 서버로 상기 추가 정보에 대한 요청 메시지를 전달하고,
    상기 제1 챗봇 서버는 상기 제2 도메인에 보유 중인 상기 추가 정보가 상기 제1 도메인으로 전달되도록 상기 제2 챗봇 서버를 제어하는, 정보제공 시스템.
KR1020210161960A 2021-10-28 2021-11-23 챗봇을 활용한 정보제공 시스템 KR2023006119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10145086 2021-10-28
KR1020210145086 2021-10-28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61190A true KR20230061190A (ko) 2023-05-08

Family

ID=863816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61960A KR20230061190A (ko) 2021-10-28 2021-11-23 챗봇을 활용한 정보제공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61190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28810B1 (ko) 2017-12-20 2019-10-04 이기라 온라인 메신저 챗봇을 이용한 보험 상품 설계 및 가입을 위한 원스톱 서비스 방법, 그리고 이를 수행하는 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28810B1 (ko) 2017-12-20 2019-10-04 이기라 온라인 메신저 챗봇을 이용한 보험 상품 설계 및 가입을 위한 원스톱 서비스 방법, 그리고 이를 수행하는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46031B1 (ko) 멀티 도메인 기반의 챗봇 시스템 및 챗봇 서비스 제공 방법
KR102517843B1 (ko) Aiml 기반의 챗봇 시스템 및 챗봇 서비스 제공 방법
JP2020520616A (ja) 改良されたボットタスク処理のための動的応答予測
EP3271833A1 (en) Resource prioritization and communication-channel establishment
CN103763443B (zh) 一种多通讯方式聚合的移动客服系统和方法
Shang et al. Design theory, modelling and the application for the Internet of Things service
US11050884B2 (en) Intent-driven contact center
KR100707671B1 (ko) 멀티 홈네트워크 환경 기반 상황 적응적 서비스 제공을위한 추론 장치 및 그 방법
KR20190097947A (ko) 사용자 질의를 처리하는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CN105243080A (zh) 基于esb架构的资源感知自适应适配系统
KR102213618B1 (ko) 인공지능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음성 데이터에 적합한 멀티미디어를 자동으로 생성하는 멀티미디어 자동 생성 시스템
KR102101844B1 (ko) Sns 연동 청소년 통합 상담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20230061190A (ko) 챗봇을 활용한 정보제공 시스템
KR102200230B1 (ko) 문장과 매칭되는 이미지를 제공하는 장치 및 방법
US20230252980A1 (en) Multi-channel conversation processing
Chen et al. INLP-BPN approach for recommending hotels to a mobile traveler
Sohn et al. U-health in Korea: Opportunities and challenges
Banumathi et al. Smart Facilities and 5G-Supported Systems in Social IoB
KR20220126557A (ko) 다중 도메인 챗봇 시스템 및 그 운용 방법
JP2006209378A (ja) 環境コンサルティング方法及びサーバ
Pervej et al. Vehicular network slicing for reliable access and deadline-constrained data offloading: A multi-agent on-device learning approach
KR102115329B1 (ko) 공개키 기반의 개인 정보 비식별화 시스템 및 방법
Sim et al. A study on web services discovery system based on the internetof things user information
de Oliveira et al. Towards intent-based management for Open Radio Access Networks: an agile framework for detecting service-level agreement conflicts
Fang University Library User Knowledge Management and Service Innovation under the Network Environ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