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97947A - 사용자 질의를 처리하는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 Google Patents

사용자 질의를 처리하는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97947A
KR20190097947A KR1020180017988A KR20180017988A KR20190097947A KR 20190097947 A KR20190097947 A KR 20190097947A KR 1020180017988 A KR1020180017988 A KR 1020180017988A KR 20180017988 A KR20180017988 A KR 20180017988A KR 20190097947 A KR20190097947 A KR 201900979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query
processing apparatus
type
answer
chat ser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179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경준
이강태
송인선
최형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to KR10201800179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97947A/ko
Publication of KR201900979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9794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3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unstructured textual data
    • G06F16/33Querying
    • G06F16/332Query formulation
    • G06F16/3329Natural language query formulation or dialogue sys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6Sound input; Sound output
    • G06F3/167Audio in a user interface, e.g. using voice commands for navigating, audio feedbac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Multimedia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음성 대화에서 사용자 질의를 처리하는 장치은 사용자로부터 음성 발화된 질의를 수신하는 질의 수신부, 상기 수신한 질의에 대해 응답이 가능한지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부, 상기 질의에 대한 응답이 불가능한 경우, 상기 질의를 복수의 질의 유형에 따라 분류하여 관리하는 질의 관리부, 상기 분류된 질의 유형에 기초하여 상기 질의에 대한 답변을 대화 서버로 요청하는 요청부 및 상기 대화 서버로부터 상기 질의에 대한 답변을 수신하여 제공하는 답변 제공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사용자 질의를 처리하는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DEVICE, METHOD AND COMPUTER PROGRAM FOR PROCESSING USER INQUIRY}
본 발명은 사용자 질의를 처리하는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에 관한 것이다.
지능형 개인 비서는 사용자가 요구하는 작업을 처리하고, 사용자에게 특화된 서비스를 제공하는 소프트웨어 에이전트이다. 지능형 개인 비서는 인공 지능(AI) 엔진과 음성 인식을 기반으로 사용자에게 맞춤 정보를 수집하여 제공하고, 사용자의 음성 명령에 따라 일정 관리, 이메일 전송, 식당 예약 등 여러 기능을 수행하는 점에서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키는 장점을 갖는다.
이러한 지능형 개인 비서는 주로 스마트폰에서 맞춤형 개인 서비스의 형태로 제공되고 있으며, 대표적으로 애플의 시리(siri), 구글의 나우(now), 삼성의 빅스비 등이 이에 포함된다. 이와 관련하여, 선행기술인 한국공개특허 제 2016-0071111호는 전자 장치에서의 개인 비서 서비스 제공 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최근에는 지능형 개인 비서를 통해 사용자의 의도를 파악하여 사용자와 대화를 나눌 수 있도록 하는 서비스가 제공되고 있다. 그러나 지능형 개인 비서는 단말의 상태 또는 사용자의 질의를 이해하지 못하는 경우,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질의에 대한 답변을 제공하지 못하는 경우가 종종 발생되고 있다.
음성 대화에서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질의에 대한 응답을 제공할 수 없는 경우, 질의 처리 장치에서 질의 미응답을 다양한 유형 별로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사용자 질의를 처리하는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미응답된 질의를 대화 서버로 전송하여, 대화 서버로부터 미응답된 질의에 적합한 답변을 수신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사용자 질의를 처리하는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을 제공하고자 한다. 음성 대화 서비스가 업데이트되거나, 서비스 앱이 추가됨으로써 서비스가 고도화되면, 고도화된 시점에 기초하여 미응답 질의에 대한 답변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사용자 질의를 처리하는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을 제공하고자 한다. 미응답 질의에 대한 답변을 대화 서버로부터 수신한 경우, 질의 처리 장치 및 사용자의 이용 환경에 따라 적절한 시점에 답변을 제공하도록 하는 사용자 질의를 처리하는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을 제공하고자 한다. 다만, 본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존재할 수 있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사용자로부터 음성 발화된 질의를 수신하는 질의 수신부, 상기 수신한 질의에 대해 응답이 가능한지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부, 상기 질의에 대한 응답이 불가능한 경우, 상기 질의를 복수의 질의 유형에 따라 분류하여 관리하는 질의 관리부, 상기 분류된 질의 유형에 기초하여 상기 질의에 대한 답변을 대화 서버로 요청하는 요청부 및 상기 대화 서버로부터 상기 질의에 대한 답변을 수신하여 제공하는 답변 제공부를 포함하는 질의 처리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사용자로부터 음성 발화된 질의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한 질의에 대해 응답이 가능한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질의에 대한 응답이 불가능한 경우, 상기 질의를 복수의 질의 유형에 따라 분류하여 관리하는 관계, 상기 분류된 질의 유형에 기초하여 상기 질의에 대한 답변을 대화 서버로 요청하는 단계 및 상기 대화 서버로부터 상기 질의에 대한 답변을 수신하여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질의 처리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는,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팅 장치에 의해 실행될 경우, 사용자로부터 음성 발화된 질의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한 질의에 대해 응답이 가능한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질의에 대한 응답이 불가능한 경우, 상기 질의를 복수의 질의 유형에 따라 분류하여 관리하고, 상기 분류된 질의 유형에 기초하여 상기 질의에 대한 답변을 대화 서버로 요청하고, 상기 대화 서버로부터 상기 질의에 대한 답변을 수신하여 제공하도록 하는 명령어들의 시퀀스를 포함하는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을 제공할 수 있다.
상술한 과제 해결 수단은 단지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 발명을 제한하려는 의도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상술한 예시적인 실시예 외에도, 도면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추가적인 실시예가 존재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음성 대화에서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질의에 대한 응답을 제공할 수 없는 경우, 질의 처리 장치에서 질의 미응답을 다양한 유형 별로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사용자 질의를 처리하는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미응답된 질의를 대화 서버로 전송하여, 대화 서버로부터 미응답된 질의에 적합한 답변을 수신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사용자 질의를 처리하는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을 제공하고자 한다. 음성 대화 서비스가 업데이트되거나, 서비스 앱이 추가됨으로써 서비스가 고도화되면, 고도화된 시점에 기초하여 미응답 질의에 대한 답변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사용자 질의를 처리하는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을 제공할 수 있다. 미응답 질의에 대한 답변을 대화 서버로부터 수신한 경우, 질의 처리 장치 및 사용자의 이용 환경에 따라 적절한 시점에 답변을 제공하도록 하는 사용자 질의를 처리하는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질의 처리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질의 처리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질의 처리 장치에서 사용자 질의를 복수의 질의 유형에 따라 분류하여 관리하는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질의 처리 장치에서 응답이 불가능한 질의에 대한 답변을 수신하기 위해 질의를 대화 서버로 전달하는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질의 처리 장치에서 대화 서버로부터 수신한 질의에 대한 답변을 제공하는 방법의 순서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하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부(部)'란,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unit), 소프트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 양방을 이용하여 실현되는 유닛을 포함한다. 또한, 1 개의 유닛이 2 개 이상의 하드웨어를 이용하여 실현되어도 되고, 2 개 이상의 유닛이 1 개의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어도 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단말 또는 디바이스가 수행하는 것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는 해당 단말 또는 디바이스와 연결된 서버에서 대신 수행될 수도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서버가 수행하는 것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도 해당 서버와 연결된 단말 또는 디바이스에서 수행될 수도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질의 처리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질의 처리 시스템(1)은 질의 처리 장치(110), 디스플레이 장치(120) 및 대화 서버(130)를 포함할 수 있다. 질의 처리 장치(110), 디스플레이 장치(120) 및 대화 서버(130)는 질의 처리 시스템(1)에 의하여 제어될 수 있는 구성요소들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1의 질의 처리 시스템(1)의 각 구성요소들은 일반적으로 네트워크(network)를 통해 연결된다.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질의 처리 장치(110)는 대화 서버(130)와 동시에 또는 시간 간격을 두고 연결될 수 있다.
네트워크는 단말들 및 서버들과 같은 각각의 노드 상호 간에 정보 교환이 가능한 연결 구조를 의미하는 것으로, 근거리 통신망(LAN: Local Area Network), 광역 통신망(WAN: Wide Area Network), 인터넷 (WWW: World Wide Web), 유무선 데이터 통신망, 전화망, 유무선 텔레비전 통신망 등을 포함한다. 무선 데이터 통신망의 일례에는 3G, 4G, 5G,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LTE(Long Term Evolution),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와이파이(Wi-Fi), 블루투스 통신, 적외선 통신, 초음파 통신, 가시광 통신(VLC: Visible Light Communication), 라이파이(LiFi) 등이 포함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질의 처리 장치(110)는 사용자(115)로부터 음성 발화된 질의를 수신하고, 수신한 질의에 대해 응답이 가능한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질의 처리 장치(110)는 질의에 대한 응답이 불가능한 경우, 질의를 복수의 질의 유형에 따라 분류하여 관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질의 처리 장치(110)는 질의에 해당하는 서비스의 실행이 불가능하거나 질의를 이해하지 못한 경우에 질의를 제 1 유형으로 분류하고, 대화 서버(130)에서 일시적인 서비스 장애가 발생한 경우에 질의를 제 2 유형으로 분류하고, 질의에 대한 응답을 위해 서비스 가입이 요구되는 경우에 질의를 제 3 유형으로 분류할 수 있다.
질의 처리 장치(110)는 각 질의 유형로 분류된 복수의 질의를 가중치에 기초하여 관리하고, 가중치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복수의 질의를 저장된 순으로 관리할 수 있다. 질의 처리 장치(110)는 질의를 각 질의 유형별, 사용자별, 가중치별 등에 기초하여 관리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각 유형에 기초하여 질의를 관리하는 과정을 설명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질의 처리 장치(110)는 질의를 제 1 유형으로 분류하여 관리할 수 있다. 질의 처리 장치(110)는 질의를 제 1 유형으로 분류한 경우, 기저장된 미응답 질의와 중복되는지 여부를 체크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질의 처리 장치(110)는 질의에 해당하는 문장으로부터 키워드를 추출하고, 추출된 키워드에 기초하여 질의와 기저장된 미응답 질의 간의 유사도를 판단할 수 있다.
질의 처리 장치(110)는 유사도가 임계값 이상인 경우, 질의를 저장하지 않고, 질의에 대응하는 기저장된 미응답 질의에 대한 가중치를 조절하고, 키워드, 문장, 질의에 대응하는 기저장된 미응답 질의가 저장된 시점 및 질의에 대응하는 기저장된 미응답 질의에 대한 가중치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에 기초하여 질의를 관리할 수 있다. 여기서, 가중치는 질의에 대응하는 기저장된 미응답 질의가 중복 저장된 횟수에 대한 가중치 및 질의에 대응하는 기저장된 미응답 질의가 저장된 시점에 대한 가중치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질의 처리 장치(110)는 질의를 제 2 유형으로 분류하여 관리할 수 있다. 질의 처리 장치(110)는 질의를 제 2 유형으로 분류한 경우, 질의에 해당하는 문장 및 질의가 저장되는 시점에 기초하여 질의를 관리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어, 질의 처리 장치(110)는 질의를 제 3 유형으로 분류하여 관리할 수 있다. 질의 처리 장치(110)는 질의를 제 3 유형으로 분류한 경우, 서비스가 가입 시에 질의에 따라 실행되는 서비스의 실행 타입에 기초하여 질의를 관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질의 처리 장치(110)는 질의에 따라 실행되는 서비스의 실행 타입이 기저장된 실행 타입에 해당하는지를 판단하고, 질의에 따라 실행되는 서비스의 실행 타입이 기저장된 실행 타입인 경우, 질의에 대응하는 기저장된 실행 타입에 대한 가중치를 조절하고, 질의에 따라 실행되는 서비스의 실행 타입, 질의에 해당하는 문장, 질의가 저장되는 시점 및 질의에 대응하는 기저장된 실행 타입에 대한 가중치 중 어느 하나 이상에 기초하여 질의를 관리할 수 있다.
질의 처리 장치(110)는 분류된 질의 유형에 기초하여 질의에 대한 답변을 대화 서버로 요청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질의 처리 장치(110)는 질의 처리 장치(110)의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응답이 불가능한 복수의 질의를 포함하는 질의 리스트를 대화 서버(130)로 전달할 수 있다. 여기서, 상태 정보는 질의 처리 장치(110)의 대기모드 진입 여부 및 유휴(idle) 상태 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질의 처리 장치(110)는 질의 처리 장치(110)가 유휴 상태로 판단되면, 질의 리스트에 포함된 복수의 질의를 질의 조건에 설정된 우선순위에 기초하여 대화 서버(130)로 전달할 수 있다. 여기서, 질의 조건은 대화 서버(130)에서 일시적인 서비스 장애로 처리하지 못한 질의인 경우, 질의 처리 장치(110) 및 질의 처리 장치(110)의 업데이트 여부에 따라 발생한 질의인 경우 및 서비스 가입 여부에 따라 발생한 질의인 경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질의 처리 장치(110)는 서비스에 대한 가입 여부를 판단하고, 서비스에 대한 가입이 확인되면, 질의를 대화 서버(130)로 전달할 수 있다.
질의 처리 장치(110)는 대화 서버(130)로부터 질의에 대한 답변을 수신하여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질의 처리 장치(110)는 대화 서버(130)로부터 질의에 대해 복수의 답변을 수신한 경우, 복수의 답변 각각에 대응하는 질의 유형에 설정된 가중치에 기초하여 복수의 답변을 제공할 수 있다. 이 때, 질의 처리 장치(110)는 답변 제공 조건에 기초하여 대화 서버(130)로부터 수신한 질의에 대한 답변을 제공할 수 있다. 답변 제공 조건은 질의 처리 장치(110)가 대기 모드에서 동작 모드로의 전환 여부, 질의 처리 장치(110)의 능동형 모드의 설정 여부, 질의 처리 장치(110)의 사용자(115) 전환 여부, 질의가 단순 질의인지 여부 등에 기초하여 제공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20)는 질의 처리 장치(110)에서 대화 서버(130)로부터 수신한 질의에 대한 답변을 디스플레이를 통해 시각적으로 출력할 수 있다.
대화 서버(130)는 질의 처리 장치(110)의 콘텍스트에 기초하여 사용자가 발화한 음성 신호로부터 도출된 명령어를 분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대화 서버(130)는 질의 처리 장치(110)의 콘텍스트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발화한 음성 신호의 명령어에 대한 문맥 및 발화 의도를 파악할 수 있다. 여기서, 질의 처리 장치(110)의 콘텍스트는 예를 들면, 질의 처리 장치(110)에 대한 사용자 선호 정보, 명령어 이력 정보, 질의 처리 장치(110)에 대한 기능 사용 빈도 정보, 서비스에 대한 사용자 피드백 정보, 질의 처리 장치(110)에 대한 사용 기간 정보 및 질의 처리 장치(110)에 대한 상황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대화 서버(130)는 명령어 분석을 통해 명령어에 답변을 생성하고, 생성된 명령어에 대한 답변을 서비스 관리 서버(미도시) 또는 질의 처리 장치(110)로 제공할 수 있다.
대화 서버(130)는 질의 처리 장치(110)로부터 복수의 질의 유형에 따라 분류된 응답이 불가능한 질의를 수신하고, 응답이 불가능한 질의에 대한 답변을 생성하여 질의 처리 장치(110)로 전송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질의 처리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질의 처리 장치(110)는 질의 수신부(210), 판단부(220), 질의 관리부(230), 요청부(240) 및 답변 제공부(250)를 포함할 수 있다.
질의 수신부(210)는 사용자로부터 음성 발화된 질의를 수신할 수 있다.
판단부(220)는 수신한 질의에 대해 응답이 가능한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질의 관리부(230)는 질의에 대한 응답이 불가능한 경우, 질의를 복수의 질의 유형에 따라 분류하여 관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질의 관리부(230)는 질의에 해당하는 서비스의 실행이 불가능하거나 질의를 이해하지 못한 경우에 질의를 제 1 유형으로 분류하고, 대화 서버(130)에서 일시적인 서비스 장애가 발생한 경우에 질의를 제 2 유형으로 분류하고, 질의에 대한 응답을 위해 서비스 가입이 요구되는 경우에 질의를 제 3 유형으로 분류할 수 있다.
질의 관리부(230)는 각 질의 유형으로 분류된 복수의 질의를 가중치에 기초하여 관리하고, 가중치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복수의 질의를 저장된 순으로 관리할 수 있다. 이 때, 각 질의 유형으로 분류된 복수의 질의는 설정된 최대 관리 기간에 기초하여 관리될 수 있다.
질의 관리부(230)는 질의를 각 질의 유형별, 사용자별, 가중치별 등에 기초하여 관리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각 유형에 기초하여 질의를 관리하는 과정을 설명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질의 관리부(230)는 질의를 제 1 유형으로 분류하여 관리할 수 있다.
질의 관리부(230)는 질의를 제 1 유형으로 분류한 경우, 기저장된 미응답 질의와 중복되는지 여부를 체크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질의 관리부(230)는 질의에 해당하는 문장으로부터 키워드를 추출하고, 추출된 키워드에 기초하여 질의와 기저장된 미응답 질의 간의 유사도를 판단할 수 있다.
질의 관리부(230)는 유사도가 임계값 이상인 경우, 질의를 저장하지 않고, 질의에 대응하는 기저장된 미응답 질의에 대한 가중치를 조절하고, 키워드, 문장, 질의에 대응하는 기저장된 미응답 질의가 저장된 시점 및 질의에 대응하는 기저장된 미응답 질의에 대한 가중치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에 기초하여 질의를 관리할 수 있다. 가중치는 질의에 대응하는 기저장된 미응답 질의가 중복 저장된 횟수에 대한 가중치 및 질의에 대응하는 기저장된 미응답 질의가 저장된 시점에 대한 가중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중치는 a+b=1로 구성되되, a>b로 설정될 수 있다. 여기서, a는 기저장된 미응답 질의가 중복 저장된 횟수에 대한 가중치이고, b는 질의에 대응하는 기저장된 미응답 질의가 저장된 시점을 나타내는 것일 수 있다. 이는, 기저장된 미응답 질의가 중복 저장된 횟수에 대한 가중치가 많을수록, 최근에 발화했을 가능성이 높아지므로, 기저장된 미응답 질의가 중복 저장된 횟수에 대한 가중치가 질의에 대응하는 기저장된 미응답 질의가 저장된 시점에 대한 가중치보다 높게 설정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질의 관리부(230)는 질의를 제 2 유형으로 분류하여 관리할 수 있다.
질의 관리부(230)는 질의를 제 2 유형으로 분류한 경우, 질의에 해당하는 문장 및 질의가 저장되는 시점에 기초하여 질의를 관리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어, 질의 관리부(230)는 질의를 제 3 유형으로 분류하여 관리할 수 있다.
질의 관리부(230)는 질의를 제 3 유형으로 분류한 경우, 서비스가 가입 시에 질의에 따라 실행되는 서비스의 실행 타입에 기초하여 질의를 관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질의 관리부(230)는 질의에 따라 실행되는 서비스의 실행 타입이 기저장된 실행 타입에 해당하는지를 판단하고, 질의에 따라 실행되는 서비스의 실행 타입이 기저장된 실행 타입인 경우, 질의에 대응하는 기저장된 실행 타입에 대한 가중치를 조절하고, 질의에 따라 실행되는 서비스의 실행 타입, 질의에 해당하는 문장, 질의가 저장되는 시점 및 질의에 대응하는 기저장된 실행 타입에 대한 가중치 중 어느 하나 이상에 기초하여 질의를 관리할 수 있다.
요청부(240)는 분류된 질의 유형에 기초하여 질의에 대한 답변을 대화 서버로 요청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요청부(240)는 대화 서버(130)로부터 질의에 대한 답변을 수신하기 위해 각 질의 유형별로 분류된 질의를 대화 서버(130)로 전달할 수 있다.
요청부(240)는 질의 처리 장치(110)의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응답이 불가능한 복수의 질의를 포함하는 질의 리스트를 대화 서버(130)로 전달할 수 있다. 상태 정보는 예를 들어, 질의 처리 장치(110)의 대기모드 진입 여부 및 유휴(idle) 상태 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요청부(240)는 질의 처리 장치(110)가 대기 모드인지를 확인한 후, 대기모드로 진입된 경우, 질의 처리 장치가 최종적으로 유휴(idle) 상태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
요청부(240)는 질의 처리 장치(110)가 유휴 상태로 판단되면, 질의 리스트에 포함된 복수의 질의를 질의 조건에 설정된 우선순위에 기초하여 대화 서버(130)로 전달할 수 있다. 여기서, 질의 조건은 대화 서버(130)에서 일시적인 서비스 장애로 처리하지 못한 질의인 경우, 질의 처리 장치(110) 및 질의 처리 장치(110)의 업데이트 여부에 따라 발생한 질의인 경우 및 서비스 가입 여부에 따라 발생한 질의인 경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요청부(240)는 질의 리스트에 포함된 복수의 질의에 대해 일시적인 서비스 장애로 처리하지 못한 질의인지를 우선적으로 판단하여 대화 서버(130)로 전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요청부(240)는 제 2 유형으로 분류된 질의의 저장된 텍스트를 대화 서버(130)로 전달하고, 제 1 유형 또는 제 3 유형으로 분류된 질의는 전달하지 않을 수 있다.
이후에, 요청부(240)는 질의 처리 장치(110) 및 질의 처리 장치(110)의 업데이트 여부에 따라 발생한 질의인지를 판단하여 대화 서버(130)로 전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요청부(240)는 이전에 제 1 유형으로 분류된 질의를 대화 서버(130)로 전달한 이후에 질의 처리 장치(110)의 서비스 또는 앱의 업데이트가 진행된 경우, 제 1 유형으로 분류된 질의를 대화 서버(130)로 전달할 수 있다. 이 때, 재질의에 대한 답변이 동일한 유형으로 분류되는 경우, 기존에 관리되고 있는 가중치에는 반영되지 않을 수 있다.
마지막으로, 요청부(240)는 제 3 유형으로 분류된 질의를 대화 서버(130)로 전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요청부(240)는 서비스에 대한 가입 여부를 판단하고, 서비스에 대한 가입이 확인되면, 질의를 상기 대화 서버(130)로 전달할 수 있다.
답변 제공부(250)는 질의에 대한 응답이 가능한 경우, 자체적으로 답변 또는 서비스를 사용자(115)에게 제공할 수 있다.
답변 제공부(250)는 질의에 대한 응답이 불가능한 경우, 대화 서버(130)로부터 질의에 대한 답변을 수신하여 제공할 수 있다.
답변 제공부(250)는 대화 서버(130)로부터 질의에 대해 복수의 답변을 수신한 경우, 복수의 답변 각각에 대응하는 질의 유형에 설정된 가중치에 기초하여 복수의 답변을 제공할 수 있다.
답변 제공부(250)는 답변 제공 조건에 기초하여 대화 서버(130)로부터 수신한 질의에 대한 답변을 제공할 수 있다. 답변 제공 조건은 질의 처리 장치(110)가 대기 모드에서 동작 모드로의 전환 여부, 질의 처리 장치(110)의 능동형 모드의 설정 여부, 질의 처리 장치(110)의 사용자 전환 여부, 질의가 단순 질의인지 여부 등에 기초하여 제공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질의 처리 장치에서 사용자 질의를 복수의 질의 유형에 따라 분류하여 관리하는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질의 처리 장치(110)는 사용자 질의에 대해 응답이 가능한지 여부를 판단하고, 질의에 대한 응답이 불가능한 경우, 질의를 복수의 질의 유형에 따라 분류하여 관리할 수 있다.
질의 처리 장치(110)는 사용자로부터 음성 발화된 질의를 수신하고(S301), 수신한 질의에 대해 응답이 가능한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302).
예를 들어, 질의 처리 장치(110)는 판단된 응답 가능 여부에 기초하여(S303), 질의에 대한 응답이 가능한 경우(S304), 질의에 대한 답변을 사용자에게 제공하고(S305), 질의에 대한 응답이 불가능한 경우(S306), 질의를 복수의 질의 유형에 따라 분류하여 관리할 수 있다.
질의 처리 장치(110)는 질의가 제 1 유형에 해당하는지를 판단할 할 수 있다(S307). 여기서, 제 1 유형은 질의에 해당하는 서비스의 실행이 불가능하거나 질의를 이해하지 못한 경우를 포함할 수 있다.
질의 처리 장치(110)는 질의를 제 1 유형으로 분류한 경우(S308), 기저장된 미응답 질의와 중복되는지 여부를 체크할 수 있다(S309). 예를 들어, 질의 처리 장치(110)는 질의에 해당하는 문장으로부터 키워드를 추출하고(S310), 추출된 키워드에 기초하여 질의와 기저장된 미응답 질의 간의 유사도를 판단할 수 있다(S311).
질의 처리 장치(110)는 판단된 유사도가 임계값 이상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S312). 예를 들어, 질의 처리 장치(110)는 유사도가 임계값 미만인 경우(S313), 질의를 각 질의유형별, 사용자별, 가중치별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에 기초하여 관리할 수 있다(S317). 다른 예를 들어, 질의 처리 장치(110)는 유사도가 임계값 이상인 경우(S314), 질의를 저장하지 않고, 질의에 대응하는 기저장된 미응답 질의에 대한 가중치를 조절할 수 있다(S315). 또한, 질의 처리 장치(110)는 키워드, 문장, 질의에 대응하는 기저장된 미응답 질의가 저장된 시점 및 질의에 대응하는 기저장된 미응답 질의에 대한 가중치에 기초하여 질의를 관리하고(S316), 최종적으로 질의를 각 질의 유형별, 사용자별, 가중치별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에 기초하여 관리할 수 있다(S317).
질의 처리 장치(110)는 질의가 제 1 유형에 해당하지 않은 경우(S318), 질의가 제 2 유형에 해당하는지를 판단할 할 수 있다(S319). 여기서, 제 2 유형은 대화 서버(130)에서 일시적인 서비스 장애가 발생한 경우를 포함할 수 있다.
질의 처리 장치(110)는 질의를 제 2 유형으로 분류한 경우(S320), 질의에 해당하는 문장 및 질의가 저장되는 시점에 기초하여 질의를 관리하고(S321), 최종적으로 질의를 각 질의 유형별, 사용자별, 가중치별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에 기초하여 관리할 수 있다(S317).
질의 처리 장치(110)는 질의가 제 2 유형에 해당하지 않은 경우(S322), 질의가 제 3 유형에 해당하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S324). 여기서, 제 3 유형은 질의에 대한 응답을 위해 서비스 가입이 요구되는 경우를 포함할 수 있다.
질의 처리 장치(110)는 질의를 제 3 유형으로 분류한 경우(S324), 질의에 따라 실행되는 서비스의 실행 타입이 기저장된 실행 타입에 해당하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S325).
예를 들어, 질의 처리 장치(110)는 판단된 실행 타입이 기저장된 실행 타입에 해당하는지 여부에 따라(S326), 실행 타입이 기저장된 실행 타입이 아닌 경우(S327), 질의를 각 질의 유형별, 사용자별, 가중치별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에 기초하여 관리할 수 있다(S317). 다른 예를 들어, 질의 처리 장치(110)는 판단된 실행 타입이 기저장된 실행 타입에 해당하는지 여부에 따라(S326), 실행 타입이 기저장된 실행 타입인 경우(S328), 질의에 대응하는 기저장된 실행 타입에 대한 가중치를 조절하고(S329), 질의에 따라 실행되는 서비스의 실행 타입, 질의에 해당하는 문장, 질의가 저장되는 시점 및 질의에 대응하는 기저장된 실행 타입에 대한 가중치에 기초하여 질의를 관리하고(S330), 최종적으로 질의를 각 질의 유형별, 사용자별, 가중치별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에 기초하여 관리할 수 있다(S317).
상술한 설명에서, 단계 S301 내지 S317은 본 발명의 구현예에 따라서, 추가적인 단계들로 더 분할되거나, 더 적은 단계들로 조합될 수 있다. 또한, 일부 단계는 필요에 따라 생략될 수도 있고, 단계 간의 순서가 전환될 수도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질의 처리 장치에서 응답이 불가능한 질의에 대한 답변을 수신하기 위해 질의를 대화 서버로 전달하는 방법의 순서도이다.
질의 처리 장치(110)는 질의 처리 장치(110)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S401). 예를 들어, 질의 처리 장치(110)는 질의 처리 장치(110)가 대기 모드 또는 유휴(idle) 상태인지를 판단하고(S402), 질의 처리 장치(110)가 대기 모드 또는 유휴 상태에 해당하지 않는 경우(S403), 질의를 대화 서버(130)로 전달하지 않을 수 있다(S404). 다른 예를 들어, 질의 처리 장치(110)가 대기 모드 또는 유휴 상태에 해당하는 경우(S405), 응답이 불가능한 복수의 질의를 포함하는 질의 리스트를 체크하여(S406), 질의 리스트에 포함된 복수의 질의를 질의 조건에 설정된 우선 순위에 기초하여 대화 서버(130)로 전달할 수 있다.
질의 처리 장치(110)는 질의 리스트가 일시적인 서비스 장애로 처리하지 못하는 질의에 해당하는지를 판단하고(S407), 일시적인 서비스 장애로 처리하지 못한 질의인 경우(S408), 질의를 대화 서버(130)로 전달할 수 있다(S409).
질의 처리 장치(110)는 질의 리스트가 일시적인 서비스 장애로 처리하지 못한 질의에 해당하지 않는 경우(S410), 질의 처리 장치(110) 및 질의 처리 장치(110)의 업데이트 여부에 따라 발생한 질의에 해당하는지를 판단하고(S411), 질의 처리 장치(110) 및 질의 처리 장치(110)의 업데이트 여부에 따라 발생한 질의인 경우(S412), 질의를 대화 서버로 전달할 수 있다(S409).
질의 처리 장치(110)는 질의 리스트가 질의 처리 장치(110) 및 질의 처리 장치(110)의 업데이트 여부에 따라 발생한 질의에 해당하지 않는 경우(S413), 질의 처리 장치(110)는 서비스 가입 여부에 따라 발생한 질의에 해당하는지를 판단하고(S414), 서비스 가입 여부에 따라 발생한 질의에 해당하는 경우(S415), 서비스에 대한 가입 여부를 판단하고(S416), 질의를 대화 서버(130)로 전달할 수 있다(S409).
질의 처리 장치(110)는 질의 리스트가 서비스 가입 여부에 따라 발생한 질의에 해당하지 않는 경우(S417), 질의를 대화 서버(130)로 전달하지 않을 수 있다(S418).
상술한 설명에서, 단계 S401 내지 S418은 본 발명의 구현예에 따라서, 추가적인 단계들로 더 분할되거나, 더 적은 단계들로 조합될 수 있다. 또한, 일부 단계는 필요에 따라 생략될 수도 있고, 단계 간의 순서가 전환될 수도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질의 처리 장치에서 대화 서버로부터 수신한 질의에 대한 답변을 제공하는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질의 처리 장치(110)는 답변 제공 조건에 기초하여 대화 서버(130)로부터 수신한 질의에 대한 답변을 제공할 수 있다.
질의 처리 장치(110)는 대화 서버(130)로부터 질의에 대해 복수의 답변을 수신할 수 있다(S501).
질의 처리 장치(110)는 답변 제공 조건을 확인할 수 있다(S502). 예를 들어, 질의 처리 장치(110)는 질의 처리 장치(110)가 대기 모드에서 동작 모드로 전환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하고(S503), 동작 모드로 전환된 경우(S504), 복수의 답변 각각에 대응하는 질의 유형에 설정된 가중치에 기초하여 복수의 답변을 제공할 수 있다(S505).
질의 처리 장치(110)는 질의 처리 장치(110)가 대기 모드에서 동작 모드로 전환되지 않은 경우(S506), 질의 처리 장치(110)의 능동형 모드의 설정 여부를 확인하고(S507), 능동형 모드로 설정된 경우(S508), 복수의 답변 각각에 대응하는 질의 유형에 설정된 가중치에 기초하여 복수의 답변을 제공할 수 있다(S505).
질의 처리 장치(110)는 질의 처리 장치(110)가 능동형 모드로 설정되지 않은 경우(S509), 질의 처리 장치(110)의 사용자 전환 여부를 확인하고(S510), 사용자가 전환된 경우(S511), 복수의 답변 각각에 대응하는 질의 유형에 설정된 가중치에 기초하여 복수의 답변을 제공할 수 있다(S505).
질의 처리 장치(110)는 질의 처리 장치(110)의 사용자가 전환되지 않은 경우(S512), 질의가 단순질의인지 여부를 확인하고(S513), 질의가 단순 질의인 경우(S514), 복수의 답변 각각에 대응하는 질의 유형에 설정된 가중치에 기초하여 복수의 답변을 제공할 수 있다(S505).
질의 처리 장치(110)는 질의가 단순 질의가 아닌 경우(S515), 답변을 제공하지 않을 수 있다(S516).
상술한 설명에서, 단계 S501 내지 S516은 본 발명의 구현예에 따라서, 추가적인 단계들로 더 분할되거나, 더 적은 단계들로 조합될 수 있다. 또한, 일부 단계는 필요에 따라 생략될 수도 있고, 단계 간의 순서가 전환될 수도 있다.
도 1 내지 도 5를 통해 설명된 질의 처리 장치에서 사용자 질의를 처리하는 방법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또는 컴퓨터에 의해 실행 가능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기록 매체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도 1 내지 도 5를 통해 설명된 질의 처리 장치에서 사용자 질의를 처리하는 방법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 매체일 수 있고, 휘발성 및 비휘발성 매체,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 저장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저장 매체는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데이터와 같은 정보의 저장을 위한 임의의 방법 또는 기술로 구현된 휘발성 및 비휘발성,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10: 질의 처리 장치
120: 디스플레이 장치
130: 대화 서버
210: 질의 수신부
220: 판단부
230: 질의 관리부
240: 요청부
250: 답변 제공부

Claims (19)

  1. 음성 대화에서 사용자 질의를 처리하는 장치에 있어서,
    사용자로부터 음성 발화된 질의를 수신하는 질의 수신부;
    상기 수신한 질의에 대해 응답이 가능한지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부;
    상기 질의에 대한 응답이 불가능한 경우, 상기 질의를 복수의 질의 유형에 따라 분류하여 관리하는 질의 관리부;
    상기 분류된 질의 유형에 기초하여 상기 질의에 대한 답변을 대화 서버로 요청하는 요청부; 및
    상기 대화 서버로부터 상기 질의에 대한 답변을 수신하여 제공하는 답변 제공부를 포함하는, 질의 처리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질의 관리부는 상기 질의에 해당하는 서비스의 실행이 불가능하거나 상기 질의를 이해하지 못한 경우에 상기 질의를 제 1 유형으로 분류하고, 상기 대화 서버에서 일시적인 서비스 장애가 발생한 경우에 상기 질의를 제 2 유형으로 분류하고, 상기 질의에 대한 응답을 위해 서비스 가입이 요구되는 경우에 상기 질의를 제 3 유형으로 분류하는 것인, 질의 처리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질의 관리부는 상기 질의를 상기 제 1 유형으로 분류한 경우, 기저장된 미응답 질의와 중복되는지 여부를 체크하는 것인, 질의 처리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질의 관리부는 상기 질의에 해당하는 문장으로부터 키워드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키워드에 기초하여 상기 질의와 상기 기저장된 미응답 질의 간의 유사도를 판단하는 것인, 질의 처리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질의 관리부는 상기 유사도가 임계값 이상인 경우, 상기 질의를 저장하지 않고, 상기 질의에 대응하는 기저장된 미응답 질의에 대한 가중치를 조절하고,
    상기 키워드, 상기 문장, 상기 질의에 대응하는 기저장된 미응답 질의가 저장된 시점 및 상기 질의에 대응하는 기저장된 미응답 질의에 대한 가중치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에 기초하여 상기 질의를 관리하는 것인, 질의 처리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가중치는 상기 질의에 대응하는 기저장된 미응답 질의가 중복 저장된 횟수에 대한 가중치 및 상기 질의에 대응하는 기저장된 미응답 질의가 저장된 시점에 대한 가중치를 포함하는 것인, 질의 처리 장치.
  7.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질의 관리부는 상기 질의를 상기 제 2 유형으로 분류한 경우, 상기 질의에 해당하는 문장 및 상기 질의가 저장되는 시점에 기초하여 상기 질의를 관리하는 것인, 질의 처리 장치.
  8.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질의 관리부는 상기 질의를 상기 제 3 유형으로 분류한 경우, 상기 서비스의 가입 시에 상기 질의에 따라 실행되는 상기 서비스의 실행 타입에 기초하여 상기 질의를 관리하는 것인, 질의 처리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질의 관리부는 상기 질의에 따라 실행되는 상기 서비스의 실행 타입이 기저장된 실행 타입에 해당하는지를 판단하고, 상기 질의에 따라 실행되는 상기 서비스의 실행 타입이 상기 기저장된 실행 타입인 경우, 상기 질의에 대응하는 기저장된 실행 타입에 대한 가중치를 조절하고,
    상기 질의에 따라 실행되는 상기 서비스의 실행 타입, 상기 질의에 해당하는 문장, 상기 질의가 저장되는 시점 및 상기 질의에 대응하는 기저장된 실행 타입에 대한 가중치 중 어느 하나 이상에 기초하여 상기 질의를 관리하는 것인, 질의 처리 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질의 관리부는 각 질의 유형으로 분류된 복수의 질의를 가중치에 기초하여 관리하고, 상기 가중치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복수의 질의를 저장된 순으로 관리하는 것인, 질의 처리 장치.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요청부는 상기 질의 처리 장치의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응답이 불가능한 복수의 질의를 포함하는 질의 리스트를 상기 대화 서버로 전달하는 것인, 질의 처리 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상태 정보는 상기 질의 처리 장치의 대기모드 진입 여부 및 유휴(idle) 상태 여부를 포함하고,
    상기 요청부는 상기 질의 처리 장치가 유휴 상태로 판단되면, 상기 질의 리스트에 포함된 복수의 질의를 질의 조건에 설정된 우선순위에 기초하여 상기 대화 서버로 전달하는 것인, 질의 처리 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질의 조건은 상기 대화 서버에서 일시적인 서비스 장애로 처리하지 못한 질의인 경우, 상기 질의 처리 장치 및 상기 질의 처리 장치의 업데이트 여부에 따라 발생한 질의인 경우 및 서비스 가입 여부에 따라 발생한 질의인 경우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인, 질의 처리 장치.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요청부는 상기 서비스에 대한 가입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서비스에 대한 가입이 확인되면, 상기 질의를 상기 대화 서버로 전달하는 것인, 질의 처리 장치.
  1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답변 제공부는 상기 대화 서버로부터 상기 질의에 대해 복수의 답변을 수신한 경우, 상기 복수의 답변 각각에 대응하는 질의 유형에 설정된 가중치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답변을 제공하는 것인, 질의 처리 장치.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답변 제공부는 답변 제공 조건에 기초하여 상기 대화 서버로부터 수신한 상기 질의에 대한 답변을 제공하되,
    상기 답변 제공 조건은 상기 질의 처리 장치가 대기 모드에서 동작 모드로의 전환 여부, 상기 질의 처리 장치의 능동형 모드의 설정 여부, 상기 질의 처리 장치의 사용자 전환 여부, 상기 질의가 단순 질의인지 여부 중 어느 하나에 기초하여 제공하는 것인, 질의 처리 장치.
  1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질의 관리부는 상기 질의를 각 질의 유형별, 사용자별, 가중치별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에 기초하여 관리하는 것인, 질의 처리 장치.
  18. 사용자 질의 처리 장치에서 사용자 질의를 처리하는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로부터 음성 발화된 질의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한 질의에 대해 응답이 가능한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질의에 대한 응답이 불가능한 경우, 상기 질의를 복수의 질의 유형에 따라 분류하여 관리하는 관계;
    상기 분류된 질의 유형에 기초하여 상기 질의에 대한 답변을 대화 서버로 요청하는 단계; 및
    상기 대화 서버로부터 상기 질의에 대한 답변을 수신하여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질의 처리 방법.
  19. 질의 처리 장치에서 사용자 질의를 처리하는 명령어들의 시퀀스를 포함하는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팅 장치에 의해 실행될 경우,
    사용자로부터 음성 발화된 질의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한 질의에 대해 응답이 가능한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질의에 대한 응답이 불가능한 경우, 상기 질의를 복수의 질의 유형에 따라 분류하여 관리하고,
    상기 분류된 질의 유형에 기초하여 상기 질의에 대한 답변을 대화 서버로 요청하고,
    상기 대화 서버로부터 상기 질의에 대한 답변을 수신하여 제공하도록 하는 명령어들의 시퀀스를 포함하는,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KR1020180017988A 2018-02-13 2018-02-13 사용자 질의를 처리하는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KR2019009794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7988A KR20190097947A (ko) 2018-02-13 2018-02-13 사용자 질의를 처리하는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7988A KR20190097947A (ko) 2018-02-13 2018-02-13 사용자 질의를 처리하는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97947A true KR20190097947A (ko) 2019-08-21

Family

ID=678087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17988A KR20190097947A (ko) 2018-02-13 2018-02-13 사용자 질의를 처리하는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97947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85860A (ko) * 2019-12-31 2021-07-08 주식회사 하나금융티아이 전문 도메인 온톨로지를 이용하여 지식 기반 질의 응답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응답 규격화 방법 및 그 장치
KR20210109914A (ko) * 2020-02-28 2021-09-07 주식회사 포시에스 대화 인식을 통한 서식 기반 전자문서 입력 장치 및 방법
KR20210134581A (ko) * 2019-11-21 2021-11-10 주식회사 카카오 대화형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 및 방법
WO2023120861A1 (ko) * 2021-12-20 2023-06-29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34581A (ko) * 2019-11-21 2021-11-10 주식회사 카카오 대화형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 및 방법
KR20210085860A (ko) * 2019-12-31 2021-07-08 주식회사 하나금융티아이 전문 도메인 온톨로지를 이용하여 지식 기반 질의 응답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응답 규격화 방법 및 그 장치
KR20210109914A (ko) * 2020-02-28 2021-09-07 주식회사 포시에스 대화 인식을 통한 서식 기반 전자문서 입력 장치 및 방법
WO2023120861A1 (ko) * 2021-12-20 2023-06-29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926280B2 (ja) 一貫性重み付けおよびルーティング規則に基づく動的通信ルーティング
KR20190097947A (ko) 사용자 질의를 처리하는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US10762143B2 (en) Extension of third party application functionality for intent determination
KR101980173B1 (ko) 서드 파티 테스크 공급자들의 서비스 제공을 대행하는 협력적 퍼스널 어시스턴트 시스템 및 그에 따른 방법
US20190065498A1 (en) System and method for rich conversation in artificial intelligence
US11736612B1 (en) Automated chatbot transfer to live agent
US11379183B2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 response to a user query using a visual assistant
US20220246147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automating voice commands
JP2005278146A (ja) モバイルメッセージ受信機とサーバとによるコマンドベースのグループsms
US20140379399A1 (en) Method and System for Dynamically Determining Completion Status in a Human Intelligence System
JP2020091513A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
KR20150116344A (ko) 사물 인터넷 브로커링 방법 및 장치
US10862841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automating voice commands
US20230206130A1 (en) Interactive and dynamic mapping engine (idme)
US11463329B2 (en) Method for using an extended workstation, and an associated system for using an extended workstation
KR20210009007A (ko) 상담 내용을 요약하는 서버, 방법 및 상담 내용의 요약을 요청하는 상담원 단말
JP2016066983A (ja) 通訳サービスシステム及び通訳サービス方法
KR102293772B1 (ko) 음성 합성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 사용자 단말 및 방법
KR20200004956A (ko) 채팅 메신저 기반 일정을 이용한 상태메세지 표시 서비스 제공 방법
US11570303B2 (en) Managing telephone based channel communication in a group-based communication system
KR102101097B1 (ko) 실시간 내비게이션 경로 안내 시스템
US11553050B2 (en) Event notification method and device, apparatus and computer storage medium
WO2022270603A1 (en) A system and method for delivering domain or use-case switch suggestion for an ongoing conversation
KR102090122B1 (ko) 고객 센터 채널 장치
KR20150068717A (ko) 주소록 서비스 시스템, 장치, 방법 및 기록매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