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59140A - 방수 커넥터 - Google Patents

방수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59140A
KR20230059140A KR1020220120524A KR20220120524A KR20230059140A KR 20230059140 A KR20230059140 A KR 20230059140A KR 1020220120524 A KR1020220120524 A KR 1020220120524A KR 20220120524 A KR20220120524 A KR 20220120524A KR 20230059140 A KR20230059140 A KR 202300591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des
back direction
waterproof connector
specific
seal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205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토시히토 에치젠야
유쿠야 모리시타
Original Assignee
니혼 고꾸 덴시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혼 고꾸 덴시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니혼 고꾸 덴시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300591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5914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2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es
    • H01R13/5202Sealing means between parts of housing or between housing part and a wall, e.g. sealing r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16Means for holding or embracing insulating body, e.g. casing, hood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2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es
    • H01R13/5219Sealing means between coupling parts, e.g. interfacial se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Landscapes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과제) 상대측 커넥터에 끼워맞춤 발출제거할 때에 시일 부재의 비틀림을 억제 가능한 방수 커넥터를 제공한다.
(해결 수단) 방수 커넥터(100)는, 단자(200)와, 하우징(300)과, 시일 부재(500)를 구비하고 있다. 하우징(300)에는, 장착부(310)가 형성되어 있다. 장착부(310)는, 전후 방향을 따라 본 경우에, 복수의 제1변(320)과, 복수의 제1 연결부(330)를 포함하는 외주 형상을 갖고 있다. 시일 부재(500)는, 탄성 재료로 형성되어 있고, 장착부(310)에 부착되어 있다. 시일 부재(500)는, 전후 방향을 따라 본 경우에, 복수의 제2변(520)과, 복수의 제2 연결부(540)를 포함하는 폐환상의 형상을 갖고 있다. 제2변(520)에는, 적어도 1개의 특정의 제2변(530)이 포함되어 있다. 시일 부재(500)의 장착부(310)로의 부착 전의 상태에 있어서의 제2변(520)의 각각의 길이를 L2, 제2변(520)에 대응하는 제1변(320)의 길이를 L1로 하면, L1>L2이다.

Description

방수 커넥터{WATERPROOF CONNECTOR}
본 발명은, 시일 부재를 구비하고 있는 방수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특허문헌 1은, 이러한 종류의 방수 커넥터(900)를 개시하고 있다. 도 17을 참조하여, 특허문헌 1의 방수 커넥터(900)는, X 방향(끼워맞춤 방향)을 따라 상대측 커넥터(도시하지 않음)와 끼워맞춤 가능하게 되어 있다. 방수 커넥터(900)는, 단자(910)와, 하우징(920)과, 시일 부재(950)를 구비하고 있다. 단자(910)는, 하우징(920)에 보유 지지되어 있다. 하우징(920)에는, 장착부(922)가 형성되어 있다. 시일 부재(950)는, 탄성 재료로 형성되어 있고, 장착부(922)에 부착되어 있다.
일본공개특허공보 2014-99255호
특허문헌 1의 방수 커넥터(900)는, 상대측 커넥터에 끼워맞춤 발출제거(拔去)할 때에 있어서, 시일 부재(950)가 비틀려 버리는 경우가 있다.
본 발명은, 상대측 커넥터에 끼워맞춤 발출 제거할 때에 시일 부재의 비틀림을 억제 가능한 방수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출원의 발명자는, 시일 부재의 비틀림을 억제 가능한 방수 커넥터를 검토하는 중에, 끼워맞춤 방향과 직교하는 면 내에 있어서, 하우징의 장착부의 형상이나 사이즈보다도 시일 부재의 형상이나 사이즈를 작게 한 경우, 시일 부재의 비틀림을 억제 가능한 것을 발견하는 한편, 이 경우, 방수 커넥터와 상대측 커넥터와의 시일링 특성이 악화되어 버리는 경우가 있는 것도 알게 되었다.
그래서 발명자는, 이 시일링 특성의 악화의 원인에 대해서 추가로 검토하고, 이 시일링 특성의 악화가, 이하에 기인하는 것을 밝혀냈다: 시일 부재를 장착부에 부착했을 때의 시일 부재의 각 변에 생기는 왜곡의 크기가 상이한 경우, 변끼리를 연결하는 연결부에 작용하는 힘의 밸런스가 악화되어, 연결부의 장착부에 있어서의 위치가 적절한 위치로부터 어긋나 버린다.
그래서 발명자는, 다른 변에 비하여 왜곡이 최대가 된다고 상정되는 특정의 변에 대하여 끼워맞춤 방향 양단에 오목부를 형성함으로써, 상기 특정의 변을 신장하기 쉽게 하여, 시일 부재를 장착부에 부착했을 때의 연결부에 작용하는 힘의 밸런스를 향상시키고, 연결부의 장착부에 있어서의 위치가 적절한 위치로부터 어긋나는 것을 막는 것을 발안하여, 본 발명에 이르렀다.
즉, 본 발명은, 제1 방수 커넥터로서,
전후 방향을 따라 상대측 커넥터와 끼워맞춤 가능한 방수 커넥터로서,
상기 방수 커넥터는, 단자와, 하우징과, 시일 부재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단자는, 상기 하우징에 보유 지지되어 있고,
상기 하우징에는, 장착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장착부는, 상기 전후 방향을 따라 본 경우에, 복수의 제1변과, 복수의 제1 연결부를 포함하는 외주(外周) 형상을 갖고 있고,
상기 제1 연결부는, 서로 상이한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고,
상기 제1 연결부의 각각은, 서로 인접하는 상기 제1변끼리를 연결하고 있고,
상기 시일 부재는, 탄성 재료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장착부에 부착되어 있고,
상기 시일 부재는, 상기 전후 방향을 따라 본 경우에, 복수의 제2변과, 복수의 제2 연결부를 포함하는 폐(閉) 환상의 형상을 갖고 있고,
상기 제2변은, 상기 제1변에 각각 대응하고 있고,
상기 제2 연결부는, 서로 상이한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고,
상기 제2 연결부의 각각은, 서로 인접하는 상기 제2변끼리를 연결하고 있고,
상기 제2변에는, 적어도 1개의 특정의 제2변이 포함되어 있고,
상기 적어도 1개의 특정의 제2변에는, 전측 오목부와, 후측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전측 오목부는, 상기 전후 방향에 있어서 후방으로 오목하고,
상기 후측 오목부는, 상기 전후 방향에 있어서 전방으로 오목하고,
상기 시일 부재의 상기 장착부로의 부착 전의 상태에 있어서의 상기 제2변의 각각의 길이를 L2, 상기 대응하는 제1변의 길이를 L1로 하면, L1>L2이고,
상기 시일 부재의 상기 장착부로의 부착 시의 상기 제2변의 각각의 상정 왜곡 G를 G=(L1-L2)/L2로 했을 때, 상기 적어도 1개의 특정의 제2변은, 상기 상정 왜곡 G가 최대인 상기 제2변인 방수 커넥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제2 방수 커넥터로서, 제1 방수 커넥터이고,
상기 적어도 1개의 특정의 제2변은, 2개 있고,
상기 복수의 제1변은, 2개의 장변과, 2개의 단변을 포함하고 있고,
상기 2개의 장변의 각각은, 상기 전후 방향과 직교하는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고,
상기 2개의 단변의 각각은, 상기 전후 방향 및 상기 수평 방향의 쌍방과 직교하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고,
상기 특정의 제2변은, 각각, 상기 2개의 장변인 상기 제1변에 대응하는 상기 제2변인 방수 커넥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제3 방수 커넥터로서, 제1 또는 제2 방수 커넥터이고,
상기 시일 부재의 상기 장착부로의 부착 전의 상태에 있어서, 상기 제2변의 길이는 서로 동일한 방수 커넥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제4 방수 커넥터로서, 제1에서 제3까지의 어느 하나의 방수 커넥터이고,
상기 하우징은, 후단부를 갖고 있고,
상기 후단부는, 상기 전후 방향과 직교하는 면 내에 있어서, 상기 장착부의 외측에 위치하고 있고,
상기 장착부는, 상기 후단부로부터 상기 전후 방향에 있어서의 전방으로 연장되어 있고,
상기 시일 부재의 상기 전후 방향에 있어서의 후단은, 상기 후단부에 밀어붙여져 있는 방수 커넥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제5 방수 커넥터로서, 제4 방수 커넥터이고,
상기 하우징에는, 후측 회전 방지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후측 회전 방지부는, 상기 후단부로부터 상기 전후 방향에 있어서의 전방으로 돌출되어 있고,
상기 후측 회전 방지부는, 상기 후측 오목부 내에 위치하고 있는 방수 커넥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제6 방수 커넥터로서, 제4 또는 제5 방수 커넥터이고,
상기 방수 커넥터는, 프런트 리테이너를 추가로 구비하고 있고,
상기 프런트 리테이너는, 상기 장착부에 부착되어 있고,
상기 프런트 리테이너는, 전단부를 갖고 있고,
상기 시일 부재는, 상기 전후 방향에 있어서 상기 전단부와 상기 후단부에 끼워져 있는 방수 커넥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제7 방수 커넥터로서, 제6 방수 커넥터이고,
상기 프런트 리테이너에는, 전측 회전 방지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전측 회전 방지부는, 상기 전단부로부터 상기 전후 방향에 있어서의 후방으로 돌출되어 있고,
상기 전측 회전 방지부는, 상기 전측 오목부 내에 위치하고 있는 방수 커넥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제8 방수 커넥터로서, 제1에서 제7까지의 어느 하나의 방수 커넥터이고,
상기 특정의 제2변은, 상기 전후 방향과 직교하는 제1 소정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고,
상기 특정의 제2변 이외의 상기 제2변은, 상기 전후 방향과 직교하는 제2 소정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고,
상기 특정의 제2변 중 상기 전측 오목부가 형성된 부분의 상기 제1 소정 방향과 직교하는 단면적은, 상기 특정의 제2변 이외의 상기 제2변의 상기 제2 소정 방향과 직교하는 단면적보다도 작은 방수 커넥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방수 커넥터는, 이하와 같이 구성되어 있다: 장착부는, 전후 방향을 따라 본 경우에, 복수의 제1변과, 복수의 제1 연결부를 포함하는 외주 형상을 갖고 있고; 시일 부재는, 전후 방향을 따라 본 경우에, 복수의 제2변과, 복수의 제2 연결부를 포함하는 폐환상의 형상을 갖고 있고; 시일 부재의 장착부로의 부착 전의 상태에 있어서의 제2변의 각각의 길이를 L2, 제2변에 대응하는 제1변의 길이를 L1로 하면, L1>L2이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방수 커넥터에 있어서는, 상대측 커넥터에 끼워맞춤 발출 제거할 때에 시일 부재의 비틀림이 억제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방수 커넥터는, 이하와 같이 구성되어 있다: 제2변에는, 적어도 1개의 특정의 제2변이 포함되어 있고; 시일 부재의 장착부로의 부착 시의 제2변의 각각의 상정 왜곡 G를 G=(L1-L2)/L2로 했을 때, 적어도 1개의 특정의 제2변은, 상정 왜곡 G가 최대인 제2변이고; 적어도 1개의 특정의 제2변에는, 전측 오목부와, 후측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적어도 1개의 특정의 제2변은 다른 제2변에 비하여 신장하기 쉽게 되어 있고, 제2 연결부의 장착부에 있어서의 위치가 적절한 위치로부터 어긋나는 것이 방지되어 있다. 즉, 본 발명의 방수 커넥터에 있어서는, 시일링 특성의 악화를 피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에 의한 방수 커넥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방수 커넥터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방수 커넥터를 A-A선을 따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방수 커넥터를 B-B선을 따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1의 방수 커넥터를 나타내는 상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방수 커넥터를 C-C선을 따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1의 방수 커넥터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의 방수 커넥터에 포함되는 하우징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의 하우징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10은 도 8의 하우징을 나타내는 상면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하우징을 D-D선을 따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2는 도 8의 하우징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3은 도 7의 방수 커넥터에 포함되는 시일 부재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14는 도 13의 시일 부재를 나타내는 상면도이다.
도 15는 도 13의 시일 부재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6은 도 7의 방수 커넥터에 포함되는 프런트 리테이너를 나타내는 배면도이다.
도 17은 특허문헌 1의 방수 커넥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의 방수 커넥터(100)는, 전후 방향을 따라 상대측 커넥터와 끼워맞춤 가능하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실시의 형태의 방수 커넥터(100)는, 방수 커넥터(100)의 전방에 위치하는 상대측 커넥터에 대하여 후방으로부터 전후 방향을 따라 끼워맞춤 가능하게 되어 있다. 본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 전후 방향은 X 방향이다. 여기에서, 전방은 +X 방향이고, 후방은 -X 방향이다.
도 7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본 실시의 형태의 방수 커넥터(100)는, 하우징(300)과, 시일 부재(500)와, 복수의 단자(200)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단자(200)의 수는 1개라도 좋다. 즉, 방수 커넥터(100)는, 하우징(300)과, 시일 부재(500)와, 단자(200)를 구비하고 있으면 좋다.
도 7을 참조하여, 본 실시의 형태의 하우징(300)은, 절연체로 이루어진다. 하우징(300)은, 포위부(305)를 갖고 있다.
도 9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본 실시의 형태의 포위부(305)는, 하우징(300)의 전후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에 있어서의 외단을 규정하고 있다.
도 11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하우징(300)에는, 장착부(310)가 형성되어 있다.
도 11을 참조하여, 본 실시의 형태의 장착부(310)의 일부는, 전후 방향과 직교하는 평면에 있어서 포위부(305)에 포위되어 있다. 장착부(310)는, 전후 방향과 직교하는 평면에 있어서, 둥근 모서리의 장방형의 외주를 갖고 있다. 즉, 장착부(310)는, 전후 방향을 따라 본 경우에, 복수의 제1변(320)과, 복수의 제1 연결부(330)를 포함하는 외주 형상을 갖고 있다.
도 11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본 실시의 형태의 제1변(320)은, 2개의 장변(322)과, 2개의 단변(324)을 포함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제1변(320)은, 2개의 장변(322)과, 2개의 단변(324)으로 구성되어 있다.
도 11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본 실시의 형태의 장변(322)의 각각은, 전후 방향과 직교하는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본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 수평 방향은, Y 방향이다. 또한, 수평 방향은, 좌우 방향이기도 하다. 여기에서, 우방을 +Y 방향으로 하고, 좌방을 -Y 방향으로 한다. 2개의 장변(322)은, 전후 방향 및 수평 방향의 쌍방과 직교하는 상하 방향에 있어서 떨어져 위치하고 있다. 2개의 장변(322) 중 상측에 위치하는 장변(322)은, 장착부(310)의 상하 방향에 있어서의 상단을 규정하고 있다. 2개의 장변(322) 중 하측에 위치하는 장변(322)은, 장착부(310)의 상하 방향에 있어서의 하단을 규정하고 있다. 본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 상하 방향은 Z 방향이다. 여기에서, 상방은 +Z 방향이고, 하방은 -Z 방향이다.
도 11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본 실시의 형태의 단변(324)의 각각은, 전후 방향 및 수평 방향의 쌍방과 직교하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2개의 단변(324)은, 수평 방향에 있어서 떨어져 위치하고 있다. 2개의 단변(324) 중 우측에 위치하는 단변(324)은, 장착부(310)의 좌우 방향에 있어서의 우단을 규정하고 있다. 2개의 단변(324) 중 좌측에 위치하는 단변(324)은, 장착부(310)의 좌우 방향에 있어서의 좌단을 규정하고 있다.
도 11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장변(322)의 수평 방향의 길이 L1A는, 단변(324)의 상하 방향의 길이 L1B보다도 길다.
도 11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본 실시의 형태의 제1 연결부(330)는, 서로 상이한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제1 연결부(330)의 각각은, 서로 인접하는 제1변(320)끼리를 연결하고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제1 연결부(330)의 각각은, 인접하는 장변(322)과 단변(324)을 서로 연결하고 있다.
도 11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하우징(300)은, 후단부(340)를 갖고 있다.
도 11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본 실시의 형태의 후단부(340)는, 전후 방향에 있어서 전방을 향하고 있다. 후단부(340)는, 전후 방향과 직교하는 면 내에 있어서, 장착부(310)의 외측에 위치하고 있다. 도 3 및 도 4로부터 이해되는 바와 같이, 장착부(310)는, 후단부(340)로부터 전후 방향에 있어서의 전방으로 연장되어 있다. 도 3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시일 부재(500)의 전후 방향에 있어서의 후단(510)은, 후단부(340)에 밀어붙여져 있다.
도 11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하우징(300)은, 벽부(360)와, 제1 수용부(370)를 추가로 갖고 있다.
도 11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본 실시의 형태의 벽부(360)는, 포위부(305)의 전후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에 있어서의 내측에 위치하고 있다. 장착부(310)는, 전후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에 있어서 벽부(360)의 내측에 위치하고 있다. 도 8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벽부(360)는, 후단부(340)로부터 전후 방향에 있어서의 전방으로 연장되어 있다. 전후 방향에 있어서, 벽부(360)의 전단은, 포위부(305)의 전단보다도 후방에 위치하고 있다. 전후 방향에 있어서, 벽부(360)의 전단은, 장착부(310)의 전단보다도 후방에 위치하고 있다.
도 11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벽부(360)는, 우측 벽부(362)와, 좌측 벽부(364)를 포함하고 있다.
도 11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본 실시의 형태의 우측 벽부(362)는, 좌우 방향에 있어서 좌측 벽부(364)의 우측에 위치하고 있다. 우측 벽부(362) 및 좌측 벽부(364)는, 좌우 방향으로 나열되어 있다. 우측 벽부(362) 및 좌측 벽부(364)는, 전후 방향에 있어서 서로 동일한 위치에 위치하고 있다.
도 11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본 실시의 형태의 좌측 벽부(364)는, 좌우 방향에 있어서 우측 벽부(362)의 좌측에 위치하고 있다.
도 11을 참조하여, 본 실시의 형태의 제1 수용부(370)는, 전후 방향에 있어서 후방으로 오목한 오목부이다. 제1 수용부(370)는, 벽부(360)와 장착부(310)의 사이에 위치하고 있다. 제1 수용부(370)는, 전후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에 있어서 벽부(360)의 내측에 위치하고 있다. 제1 수용부(370)는, 전후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에 있어서 장착부(310)의 외측에 위치하고 있다. 후단부(340)는, 제1 수용부(370)의 전후 방향에 있어서의 후단을 규정하고 있다. 제1 수용부(370)는, 우측 제1 수용부(372)와, 좌측 제1 수용부(374)를 포함하고 있다.
도 11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본 실시의 형태의 우측 제1 수용부(372)는, 좌우 방향에 있어서 좌측 제1 수용부(374)의 우측에 위치하고 있다. 우측 제1 수용부(372)는, 좌우 방향에 있어서 우측 벽부(362)의 좌측에 위치하고 있다. 우측 제1 수용부(372)와 좌측 제1 수용부(374)는, 좌우 방향으로 나열되어 있다.
도 11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본 실시의 형태의 좌측 제1 수용부(374)는, 좌우 방향에 있어서 우측 제1 수용부(372)의 좌측에 위치하고 있다. 좌측 제1 수용부(374)는, 좌우 방향에 있어서 좌측 벽부(364)의 우측에 위치하고 있다.
도 11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하우징(300)에는, 2개의 후측 회전 방지부(350)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후측 회전 방지부(350)의 수는 1개라도 좋다.
도 3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후측 회전 방지부(350)의 각각은, 후단부(340)로부터 전후 방향에 있어서의 전방으로 돌출되어 있다. 도 11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후측 회전 방지부(350)의 각각은, 하우징(300)의 수평 방향에 있어서의 중앙에 위치하고 있다. 2개의 후측 회전 방지부(350)는, 상하 방향으로 나열되어 있다. 전후 방향에 있어서, 후측 회전 방지부(350)의 전단은, 벽부(360)의 전단과 동일한 위치에 위치하고 있다. 2개의 후측 회전 방지부(350)는, 좌우 방향에 있어서 서로 동일한 위치에 위치하고 있다. 우측 벽부(362)는, 좌우 방향에 있어서 후측 회전 방지부(350)의 우측에 위치하고 있다. 우측 벽부(362)는, 후측 회전 방지부(350)에 연결되어 있다. 우측 벽부(362)는, 2개의 후측 회전 방지부(350)를 서로 연결하고 있다. 좌측 벽부(364)는, 좌우 방향에 있어서 후측 회전 방지부(350)의 좌측에 위치하고 있다. 좌측 벽부(364)는, 후측 회전 방지부(350)에 연결되어 있다. 좌측 벽부(364)는, 2개의 후측 회전 방지부(350)를 서로 연결하고 있다. 후측 회전 방지부(350)의 각각은, 좌우 방향에 있어서 우측 제1 수용부(372)와 좌측 제1 수용부(374)의 사이에 위치하고 있다. 우측 제1 수용부(372)는, 좌우 방향에 있어서 후측 회전 방지부(350)의 우측에 위치하고 있다. 좌측 제1 수용부(374)는, 좌우 방향에 있어서 후측 회전 방지부(350)의 좌측에 위치하고 있다.
도 14를 참조하여, 본 실시의 형태의 시일 부재(500)는, 탄성 재료로 형성되어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시일 부재(500)는, 고무제이다. 도 14 및 도 15를 참조하여, 시일 부재(500)는, 전후 방향과 직교하는 평면으로서 시일 부재(500)의 전후 방향에 있어서의 중앙을 통과하는 평면에 대하여 대칭인 형상을 갖고 있다. 도 13을 참조하여, 시일 부재(500)는, 상하 방향과 직교하는 평면으로서 시일 부재(500)의 상하 방향에 있어서의 중앙을 통과하는 평면에 대하여 대칭인 형상을 갖고 있다. 시일 부재(500)는, 좌우 방향과 직교하는 평면으로서 시일 부재(500)의 좌우 방향에 있어서의 중앙을 통과하는 평면에 대하여 대칭인 형상을 갖고 있다. 시일 부재(500)는, 전후 방향을 따라 본 경우에, 복수의 제2변(520)과, 복수의 제2 연결부(540)를 포함하는 폐환상의 형상을 갖고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시일 부재(500)는, 전후 방향을 따라 본 경우에, 4개의 제2변(520)과, 4개의 제2 연결부(540)를 포함하는 폐환상의 형상을 갖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시일 부재(500)는, 전후 방향을 따라 본 경우에, 4개의 제2변(520)과, 4개의 제2 연결부(540)로 구성되는 폐환상의 형상을 갖고 있다. 즉, 시일 부재(500)는, 전후 방향과 직교하는 평면에 있어서, 둥근 모서리의 정방형의 외주를 갖고 있다.
도 6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시일 부재(500)는, 장착부(310)에 부착되어 있다. 시일 부재(500)는, 전후 방향과 직교하는 평면에 있어서 포위부(305)에 포위되어 있다. 도 3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전후 방향에 있어서, 시일 부재(500)의 전단은, 포위부(305)의 전단의 후방에 위치하고 있다.
도 6을 참조하여, 제2변(520)은, 제1변(320)에 각각 대응하고 있다. 도 11 및 도 13을 참조하여, 시일 부재(500)의 장착부(310)로의 부착 전의 상태에 있어서의 제2변(520)의 각각의 길이를 L2, 제2변(520)에 대응하는 제1변(320)의 길이를 L1로 하면, L1>L2이다. 이에 따라, 본 실시의 형태의 방수 커넥터(100)에 있어서는, 상대측 커넥터에 끼워맞춤 발출제거할 때에 시일 부재(500)의 비틀림이 억제되고 있다. 또한, 시일 부재(500)의 장착부(310)로의 부착 전의 상태에 있어서, 제2변(520)의 길이 L2는 서로 동일하게 되어 있다. 또한, 시일 부재(500)의 장착부(310)로의 부착 전의 상태에 있어서의 제2변(520)의 길이 L2는, 단변(324)의 상하 방향의 길이 L1B보다도 짧다. 즉, L2<L1B<L1A이다.
도 6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제2변(520)에는, 2개의 특정의 제2변(530)과, 특정의 제2변(530) 이외의 2개의 제2변(560)이 포함되어 있다. 이하에서는, 특정의 제2변(530) 이외의 2개의 제2변(560)을, 비특정 제2변(560)이라고 한다.
도 6 및 도 13을 참조하여, 본 실시의 형태의 특정의 제2변(530)의 각각은, 전후 방향과 직교하는 제1 소정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본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 제1 소정 방향은, 수평 방향이다. 특정의 제2변(530)은, 각각, 2개의 장변(322)인 제1변(320)에 대응하는 제2변(520)이다. 도 6, 도 11 및 도 13을 참조하여, 시일 부재(500)의 장착부(310)로의 부착 시의 제2변(520)의 각각의 상정 왜곡 G를 G=(L1-L2)/L2로 했을 때, 특정의 제2변(530)의 각각은, 상정 왜곡 G가 최대인 제2변(520)이다.
도 6 및 도 11로부터 이해되는 바와 같이, 특정의 제2변(530)의 일부는, 제1 수용부(370)에 수용된다.
도 14를 참조하여, 특정의 제2변(530)의 각각에는, 전측 오목부(532)와, 후측 오목부(534)가 형성되어 있다.
도 14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본 실시의 형태의 전측 오목부(532)는, 전후 방향에 있어서 후방으로 오목하다. 전측 오목부(532)는, 수평 방향에 있어서 시일 부재(500)의 중앙에 위치하고 있다. 전측 오목부(532)는, 전후 방향에 있어서 후측 오목부(534)의 전방에 위치하고 있다.
도 14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본 실시의 형태의 후측 오목부(534)는, 전후 방향에 있어서 전방으로 오목하다. 후측 오목부(534)는, 수평 방향에 있어서 시일 부재(500)의 중앙에 위치하고 있다. 후측 오목부(534)는, 전후 방향에 있어서 전측 오목부(532)의 후방에 위치하고 있다. 도 3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후측 회전 방지부(350)는, 후측 오목부(534) 내에 위치하고 있다.
도 6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본 실시의 형태의 비특정 제2변(560)의 각각은, 전후 방향과 직교하는 제2 소정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즉, 특정의 제2변(530) 이외의 제2변(560)의 각각은, 전후 방향과 직교하는 제2 소정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본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 제2 소정 방향은, 상하 방향이다. 비특정 제2변(560)은, 각각, 2개의 단변(324)인 제1변(320)에 대응하는 제2변(520)이다.
도 6 및 도 11로부터 이해되는 바와 같이, 비특정 제2변(560)의 일부는, 제1 수용부(370)에 수용된다.
전술과 같이, 제1 수용부(370)는, 특정의 제2변(530)의 일부 및 비특정 제2변(560)의 일부를 수용하고 있다. 즉, 제1 수용부(370)는, 시일 부재(500)의 일부를 수용하고 있다. 이에 의해, 시일 부재(500)의 비틀림이나, 방수 커넥터(100)와 상대측 커넥터의 끼워맞춤 시에 시일 부재(500)가 전후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에 있어서의 외측으로 달아나는 것이 방지되어 있다.
도 13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제2 연결부(540)는, 서로 상이한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제2 연결부(540)의 각각은, 서로 인접하는 제2변(520)끼리를 연결하고 있다. 제2 연결부(540)는, 인접하는 특정의 제2변(530)과 비특정 제2변(560)을 서로 연결하고 있다. 도 6 및 도 11로부터 이해되는 바와 같이, 제2 연결부(540)의 일부는, 제1 수용부(370)에 수용되어 있다. 도 6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제2 연결부(540)는, 제1 연결부(330)와 각각 대응하고 있다. 시일 부재(500)를 장착부(310)에 부착했을 때, 제2 연결부(540)의 각각은, 대응하는 제1 연결부(330)와 동일한 위치에 위치하고 있다.
전술과 같이, 본 실시의 형태의 방수 커넥터(100)에 있어서는, 제2변(520)에는, 2개의 특정의 제2변(530)이 포함되어 있고, 시일 부재(500)의 장착부(310)로의 부착 시의 제2변(520)의 각각의 상정 왜곡 G를 G=(L1-L2)/L2로 했을 때, 특정의 제2변(530)의 각각은, 상정 왜곡 G가 최대인 제2변(520)으로 되어 있다. 즉, 시일 부재(500)를 장착부(310)에 부착했을 때, 특정의 제2변(530)에 생기는 왜곡은, 비특정 제2변(560)에 생기는 왜곡보다도 크기 때문에, 가령, 특정의 제2변(530)에 전측 오목부(532) 및 후측 오목부(534)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시일 부재(500)를 장착부(310)에 부착한 직후에 있어서는, 특정의 제2변(530)의 장력이 비특정 제2변(560)의 장력보다도 커진다. 여기에서, 이들 장력의 불균형을 완화하도록, 제2 연결부(540)는, 장착부(310)에 있어서의 위치가 대응하는 제1 연결부(330)로부터 어긋나게 된다. 이 제2 연결부(540)의 위치 어긋남은, 방수 커넥터(100)의 시일링 특성을 악화시킨다.
그러나, 본 실시의 형태의 시일 부재(500)에 있어서는, 특정의 제2변(530)의 각각에 전측 오목부(532)와 후측 오목부(534)가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본 실시의 형태의 방수 커넥터(100)에 있어서는, 상정 왜곡 G가 최대인 특정의 제2변(530)이, 상정 왜곡 G가 특정의 제2변(530)보다 작은 비특정 제2변(560)에 비하여, 신장하기 쉽게 되어 있고, 시일 부재(500)를 장착부(310)에 부착한 직후에 있어서, 특정의 제2변(530)의 장력과 비특정 제2변(560)의 장력의 불균형이 완화되고 있다. 따라서, 시일 부재(500)를 장착부(310)에 부착했을 때, 제2 연결부(540)의 장착부(310)에 있어서의 위치가, 적절한 위치인 대응하는 제1 연결부(330)로부터 어긋나는 것이 방지되어 있다. 즉, 본 실시의 형태의 방수 커넥터(100)에 있어서는, 시일링 특성의 악화를 피할 수 있다.
도 13, 도 14 및 도 15를 참조하여, 특정의 제2변(530) 중 전측 오목부(532)가 형성된 부분의 제1 소정 방향과 직교하는 단면적은, 비특정 제2변(560)의 제2 소정 방향과 직교하는 단면적보다도 작게 되어 있다. 즉, 특정의 제2변(530) 중 전측 오목부(532)가 형성된 부분의 제1 소정 방향과 직교하는 단면적은, 특정의 제2변(530) 이외의 제2변(560)의 제2 소정 방향과 직교하는 단면적보다도 작게 되어 있다. 이에 따라, 특정의 제2변(530)은 비특정 제2변(560)에 비하여 신장하기 쉽게 되어 있어, 제2 연결부(540)의 장착부(310)에 있어서의 위치가 적절한 위치로부터 어긋나는 것이 방지되어 있다. 즉, 본 실시의 형태의 방수 커넥터(100)에 있어서는, 시일링 특성의 악화를 피할 수 있다.
또한, 도 13, 도 14 및 도 15를 참조하여, 특정의 제2변(530) 중 후측 오목부(534)가 형성된 부분의 제1 소정 방향과 직교하는 단면적은, 비특정 제2변(560)의 제2 소정 방향과 직교하는 단면적보다도 작게 되어 있다. 즉, 특정의 제2변(530) 중 후측 오목부(534)가 형성된 부분의 제1 소정 방향과 직교하는 단면적은, 특정의 제2변(530) 이외의 제2변(560)의 제2 소정 방향과 직교하는 단면적보다도 작게 되어 있다. 이에 따라, 특정의 제2변(530)은 비특정 제2변(560)에 비하여 신장하기 쉽게 되어 있어, 제2 연결부(540)의 장착부(310)에 있어서의 위치가 적절한 위치로부터 어긋나는 것이 방지되어 있다. 즉, 본 실시의 형태의 방수 커넥터(100)에 있어서는, 시일링 특성의 악화를 피할 수 있다.
도 14 및 도 15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시일 부재(500)는, 전방 피(被)수용부(570)와, 후방 피수용부(580)를 갖고 있다.
도 14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본 실시의 형태의 전방 피수용부(570)는, 시일 부재(500)의 전후 방향에 있어서의 전단에 위치하고 있다. 전방 피수용부(570)는, 전방 우측 피수용부(572)와, 전방 좌측 피수용부(574)를 포함하고 있다.
도 14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본 실시의 형태의 전방 우측 피수용부(572)는, 좌우 방향에 있어서 전방 좌측 피수용부(574)의 우측에 위치하고 있다. 전방 우측 피수용부(572)와 전방 좌측 피수용부(574)는, 좌우 방향으로 나열되어 있다.
도 14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본 실시의 형태의 전방 좌측 피수용부(574)는, 좌우 방향에 있어서 전방 우측 피수용부(572)의 좌측에 위치하고 있다. 전측 오목부(532)는, 좌우 방향에 있어서 전방 우측 피수용부(572)와 전방 좌측 피수용부(574)의 사이에 위치하고 있다. 전방 우측 피수용부(572), 전방 좌측 피수용부(574) 및 전측 오목부(532)는, 전후 방향에 있어서 서로 동일한 위치에 위치하고 있다.
도 14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본 실시의 형태의 후방 피수용부(580)는, 시일 부재(500)의 전후 방향에 있어서의 후단(510)에 위치하고 있다. 도 6 및 도 11로부터 이해되는 바와 같이, 후방 피수용부(580)는, 제1 수용부(370)에 수용되어 있다. 후방 피수용부(580)는, 후방 우측 피수용부(582)와, 후방 좌측 피수용부(584)를 포함하고 있다.
도 14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본 실시의 형태의 후방 우측 피수용부(582)는, 좌우 방향에 있어서 후방 좌측 피수용부(584)의 우측에 위치하고 있다. 후방 우측 피수용부(582)와 후방 좌측 피수용부(584)는, 좌우 방향으로 나열되어 있다. 도 3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후방 우측 피수용부(582)는, 우측 제1 수용부(372)에 수용되어 있다.
도 14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본 실시의 형태의 후방 좌측 피수용부(584)는, 좌우 방향에 있어서 후방 우측 피수용부(582)의 좌측에 위치하고 있다. 후측 오목부(534)는, 좌우 방향에 있어서 후방 우측 피수용부(582)와 후방 좌측 피수용부(584)의 사이에 위치하고 있다. 후방 우측 피수용부(582), 후방 좌측 피수용부(584) 및 후측 오목부(534)는, 전후 방향에 있어서 서로 동일한 위치에 위치하고 있다. 도 3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후방 좌측 피수용부(584)는, 좌측 제1 수용부(374)에 수용되어 있다.
도 7을 참조하여, 본 실시의 형태의 단자(200)의 각각은, 금속제이다. 단자(200)는, 소위 암(雌) 컨택트이다. 도 6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단자(200)는, 하우징(300)에 보유 지지되어 있다.
도 7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방수 커넥터(100)는, 프런트 리테이너(400)를 추가로 구비하고 있다.
도 4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본 실시의 형태의 프런트 리테이너(400)는, 장착부(310)에 부착되어 있다. 도 16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프런트 리테이너(400)는, 전단부(480)를 갖고 있다.
도 3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본 실시의 형태의 전단부(480)는, 전후 방향에 있어서 후방을 향하고 있다. 시일 부재(500)는, 전후 방향에 있어서 전단부(480)와 후단부(340)에 끼워져 있다. 즉, 시일 부재(500)는, 전후 방향에 있어서 프런트 리테이너(400)와 하우징(300)에 끼워져 있다.
도 16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프런트 리테이너(400)는, 제2 수용부(470)를 추가로 갖고 있다.
도 16을 참조하여, 제2 수용부(470)는, 전후 방향에 있어서 전방으로 오목한 오목부이다. 전단부(480)는, 제2 수용부(470)의 전후 방향에 있어서의 전단을 규정하고 있다. 도 3, 도 13 및 도 16을 참조하여, 제2 수용부(470)는, 특정의 제2변(530)의 일부 및 비특정 제2변(560)의 일부를 수용하고 있다. 즉, 제2 수용부(470)는, 시일 부재(500)의 일부를 수용하고 있다. 이에 따라, 시일 부재(500)의 비틀림이나, 방수 커넥터(100)와 상대측 커넥터의 끼워맞춤 시에 시일 부재(500)가 전후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에 있어서의 외측으로 달아나는 것이 추가로 방지되어 있다. 제2 수용부(470)는, 우측 제2 수용부(472)와, 좌측 제2 수용부(474)를 포함하고 있다.
도 16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본 실시의 형태의 우측 제2 수용부(472)는, 좌우 방향에 있어서 좌측 제2 수용부(474)의 우측에 위치하고 있다. 우측 제2 수용부(472)와 좌측 제2 수용부(474)는, 좌우 방향으로 나열되어 있다. 도 3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전방 우측 피수용부(572)는, 우측 제2 수용부(472)에 수용되어 있다.
도 16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본 실시의 형태의 좌측 제2 수용부(474)는, 좌우 방향에 있어서 우측 제2 수용부(472)의 좌측에 위치하고 있다. 도 3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전방 좌측 피수용부(574)는, 좌측 제2 수용부(474)에 수용되어 있다.
도 16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본 실시의 형태의 프런트 리테이너(400)에는, 2개의 전측 회전 방지부(410)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전측 회전 방지부(410)의 수는 1개라도 좋다.
도 3을 참조하여, 본 실시의 형태의 전측 회전 방지부(410)의 각각은, 전단부(480)로부터 전후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전측 회전 방지부(410)는, 전단부(480)로부터 전후 방향에 있어서의 후방으로 돌출되어 있다. 전측 회전 방지부(410)는, 전측 오목부(532) 내에 위치하고 있다. 도 4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전후 방향에 있어서, 전측 회전 방지부(410)의 후단은, 하우징(300)의 포위부(305)의 전단보다도 후방에 위치하고 있다.
도 16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전측 회전 방지부(410)는, 좌우 방향에 있어서 우측 제2 수용부(472)와 좌측 제2 수용부(474)의 사이에 위치하고 있다. 우측 제2 수용부(472)는, 좌우 방향에 있어서 전측 회전 방지부(410)의 우측에 위치하고 있다. 좌측 제2 수용부(474)는, 좌우 방향에 있어서 전측 회전 방지부(410)의 좌측에 위치하고 있다.
이상, 본 발명에 대해서, 실시의 형태를 들어 구체적으로 설명해 왔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여러 가지의 변형이 가능하다.
전술의 실시의 형태의 방수 커넥터(100)에 있어서, 제2변(520)에는 2개의 특정의 제2변(530)이 포함되어 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제2변(520)에는, 적어도 1개의 특정의 제2변(530)이 포함되어 있으면 좋다. 또한, 이 때, 시일 부재(500)의 장착부(310)로의 부착 시의 제2변(520)의 각각의 상정 왜곡 G를 G=(L1-L2)/L2로 했을 때, 상기 적어도 1개의 특정의 제2변(530)은, 상정 왜곡 G가 최대인 제2변(520)이고, 상기 적어도 1개의 특정의 제2변(530)에는, 전측 오목부(532)와, 후측 오목부(534)가 형성되어 있을 필요가 있다. 이에 따라, 본 실시의 형태와 마찬가지의 효과가 얻어진다.
전술의 실시의 형태의 하우징(300)은, 후단부(340)와, 제1 수용부(370)와, 후측 회전 방지부(350)를 갖고 있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하우징(300)은, 제1 수용부(370)를 갖지 않아도 좋다. 또한, 하우징(300)은, 후측 회전 방지부(350)를 갖지 않아도 좋다. 마찬가지로, 전술의 실시의 형태의 프런트 리테이너(400)는, 전단부(480)와, 제2 수용부(470)와, 전측 회전 방지부(410)를 갖고 있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프런트 리테이너(400)는, 제2 수용부(470)를 갖지 않아도 좋다. 또한, 프런트 리테이너(400)는, 전측 회전 방지부(410)를 갖지 않아도 좋다. 또한, 시일 부재(500)가 전후 방향에 있어서 프런트 리테이너(400)와 하우징(300)에 끼워진다는 본 실시의 형태와 마찬가지의 효과를 얻기 위해서는, 하우징(300)이 후단부(340)를 갖고, 또한, 프런트 리테이너(400)가 전단부(480)를 갖도록, 방수 커넥터(100)가 구성되어 있을 필요가 있다. 또한, 이러한 구성의 방수 커넥터(100)에 있어서 하우징(300)에 후측 회전 방지부(350)를 형성하는 경우에는, 후측 회전 방지부(350)는 후단부(340)로부터 전후 방향에 있어서의 전방으로 돌출되어 있을 필요가 있다. 마찬가지로, 이러한 구성의 방수 커넥터(100)에 있어서 프런트 리테이너(400)에 전측 회전 방지부(410)를 형성하는 경우에는, 전측 회전 방지부(410)는 전단부(480)로부터 전후 방향에 있어서의 후방으로 돌출되어 있을 필요가 있다.
100 : 방수 커넥터
200 : 단자
300 : 하우징
305 : 포위부
310 : 장착부
320 : 제1변
322 : 장변
324 : 단변
330 : 제1 연결부
340 : 후단부
350 : 후측 회전 방지부
360 : 벽부
362 : 우측 벽부
364 : 좌측 벽부
370 : 제1 수용부
372 : 우측 제1 수용부
374 : 좌측 제1 수용부
400 : 프런트 리테이너
410 : 전측 회전 방지부
470 : 제2 수용부
472 : 우측 제2 수용부
474 : 좌측 제2 수용부
480 : 전단부
500 : 시일 부재
510 : 후단
520 : 제2변
530 : 특정의 제2변
532 : 전측 오목부
534 : 후측 오목부
540 : 제2 연결부
560 : 제2변(비특정 제2변)
570 : 전방 피수용부
572 : 전방 우측 피수용부
574 : 전방 좌측 피수용부
580 : 후방 피수용부
582 : 후방 우측 피수용부
584 : 후방 좌측 피수용부
L1 : 길이
L1A : 길이
L1B : 길이
L2 : 길이
G : 상정 왜곡

Claims (8)

  1. 전후 방향을 따라 상대측 커넥터와 끼워맞춤 가능한 방수 커넥터로서,
    상기 방수 커넥터는, 단자와, 하우징과, 시일 부재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단자는, 상기 하우징에 보유 지지되어 있고,
    상기 하우징에는, 장착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장착부는, 상기 전후 방향을 따라 본 경우에, 복수의 제1변과, 복수의 제1 연결부를 포함하는 외주 형상을 갖고 있고,
    상기 제1 연결부는, 서로 상이한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고,
    상기 제1 연결부의 각각은, 서로 인접하는 상기 제1변끼리를 연결하고 있고,
    상기 시일 부재는, 탄성 재료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장착부에 부착되어 있고,
    상기 시일 부재는, 상기 전후 방향을 따라 본 경우에, 복수의 제2변과, 복수의 제2 연결부를 포함하는 폐(閉) 환상의 형상을 갖고 있고,
    상기 제2변은, 상기 제1변에 각각 대응하고 있고,
    상기 제2 연결부는, 서로 상이한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고,
    상기 제2 연결부의 각각은, 서로 인접하는 상기 제2변끼리를 연결하고 있고,
    상기 제2변에는, 적어도 1개의 특정의 제2변이 포함되어 있고,
    상기 적어도 1개의 특정의 제2변에는, 전측 오목부와, 후측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전측 오목부는, 상기 전후 방향에 있어서 후방으로 오목하고,
    상기 후측 오목부는, 상기 전후 방향에 있어서 전방으로 오목하고,
    상기 시일 부재의 상기 장착부로의 부착 전의 상태에 있어서의 상기 제2변의 각각의 길이를 L2, 상기 대응하는 제1변의 길이를 L1로 하면, L1>L2이고,
    상기 시일 부재의 상기 장착부로의 부착 시의 상기 제2변의 각각의 상정 왜곡 G를 G=(L1-L2)/L2로 했을 때, 상기 적어도 1개의 특정의 제2변은, 상기 상정 왜곡 G가 최대인 상기 제2변인 방수 커넥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1개의 특정의 제2변은, 2개 있고,
    상기 복수의 제1변은, 2개의 장변과, 2개의 단변을 포함하고 있고,
    상기 2개의 장변의 각각은, 상기 전후 방향과 직교하는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고,
    상기 2개의 단변의 각각은, 상기 전후 방향 및 상기 수평 방향의 쌍방과 직교하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고,
    상기 특정의 제2변은, 각각, 상기 2개의 장변인 상기 제1변에 대응하는 상기 제2변인 방수 커넥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일 부재의 상기 장착부로의 부착 전의 상태에 있어서, 상기 제2변의 길이는 서로 동일한 방수 커넥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후단부를 갖고 있고,
    상기 후단부는, 상기 전후 방향과 직교하는 면 내에 있어서, 상기 장착부의 외측에 위치하고 있고,
    상기 장착부는, 상기 후단부로부터 상기 전후 방향에 있어서의 전방으로 연장되어 있고,
    상기 시일 부재의 상기 전후 방향에 있어서의 후단은, 상기 후단부에 밀어붙여져 있는 방수 커넥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에는, 후측 회전 방지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후측 회전 방지부는, 상기 후단부로부터 상기 전후 방향에 있어서의 전방으로 돌출되어 있고,
    상기 후측 회전 방지부는, 상기 후측 오목부 내에 위치하고 있는 방수 커넥터.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방수 커넥터는, 프런트 리테이너를 추가로 구비하고 있고,
    상기 프런트 리테이너는, 상기 장착부에 부착되어 있고,
    상기 프런트 리테이너는, 전단부를 갖고 있고,
    상기 시일 부재는, 상기 전후 방향에 있어서 상기 전단부와 상기 후단부에 끼워져 있는 방수 커넥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프런트 리테이너에는, 전측 회전 방지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전측 회전 방지부는, 상기 전단부로부터 상기 전후 방향에 있어서의 후방으로 돌출되어 있고,
    상기 전측 회전 방지부는, 상기 전측 오목부 내에 위치하고 있는 방수 커넥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의 제2변은, 상기 전후 방향과 직교하는 제1 소정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고,
    상기 특정의 제2변 이외의 상기 제2변은, 상기 전후 방향과 직교하는 제2 소정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고,
    상기 특정의 제2변 중 상기 전측 오목부가 형성된 부분의 상기 제1 소정 방향과 직교하는 단면적은, 상기 특정의 제2변 이외의 상기 제2변의 상기 제2 소정 방향과 직교하는 단면적보다도 작은 방수 커넥터.
KR1020220120524A 2021-10-25 2022-09-23 방수 커넥터 KR2023005914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21173715A JP2023063731A (ja) 2021-10-25 2021-10-25 防水コネクタ
JPJP-P-2021-173715 2021-10-25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59140A true KR20230059140A (ko) 2023-05-03

Family

ID=833625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20524A KR20230059140A (ko) 2021-10-25 2022-09-23 방수 커넥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230127092A1 (ko)
EP (1) EP4170830A1 (ko)
JP (1) JP2023063731A (ko)
KR (1) KR20230059140A (ko)
CN (1) CN116031692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099255A (ja) 2012-11-13 2014-05-29 Yazaki Corp コネクタアセンブリ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40253A (ja) * 1994-02-28 1995-09-12 Amp Japan Ltd 防水コネクタ
DE102014110466B4 (de) * 2014-07-24 2023-02-02 HARTING Electronics GmbH Steckverbinder mit verschleißarmer Dichtfunktion sowie Vorrichtung aus einem Steckverbinder und einem Gegenstecker
EP3282522B1 (en) * 2016-08-08 2020-11-04 Goodrich Actuation Systems SAS Electrical connection and corresponding method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099255A (ja) 2012-11-13 2014-05-29 Yazaki Corp コネクタアセンブリ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30127092A1 (en) 2023-04-27
JP2023063731A (ja) 2023-05-10
CN116031692A (zh) 2023-04-28
EP4170830A1 (en) 2023-04-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80287291A1 (en) Connector
US5697805A (en) Alignment assist shroud for an electrical connector
WO2015186491A1 (ja) コネクタ
JP5480652B2 (ja) コネクタ
US10910761B2 (en) Connector having a ferrite and a sealing member
US6382998B2 (en) Connector assembly with a contact protection function
WO2017119387A1 (ja) コネクタの防水構造
EP2161791A2 (en) Cable connector
JP2014203734A (ja) レセプタクルコネクタ及びプラグコネクタ
US20210057845A1 (en) Seal part and connector
US20180226745A1 (en) Wire cover member
US6910916B2 (en) Connector
JP2016054064A (ja) コネクタ
JPWO2020218385A1 (ja) 多極コネクタセット
KR20230059140A (ko) 방수 커넥터
US6231388B1 (en) Waterproof connector
US6390839B2 (en) Terminal assembly with discharge contacts and connector assembly thereof
US10008803B2 (en) Connector for a camera with reduced dimensions in a fitting direction
US20200321722A1 (en) Connector housing
JP7267876B2 (ja) ジョイントコネクタ
JP2017050094A (ja) コネクタの防水構造
JP2019192604A (ja) コネクタ
CN217934269U (zh) 一种用于通讯设备上的新型连接器
JP2024033438A (ja) 端子
WO2023119870A1 (ja) 端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