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58829A - 기능성 베개 - Google Patents

기능성 베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58829A
KR20230058829A KR1020210142515A KR20210142515A KR20230058829A KR 20230058829 A KR20230058829 A KR 20230058829A KR 1020210142515 A KR1020210142515 A KR 1020210142515A KR 20210142515 A KR20210142515 A KR 20210142515A KR 20230058829 A KR20230058829 A KR 202300588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uxiliary
seating area
user
opening
clo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425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07608B1 (ko
Inventor
최윤덕
Original Assignee
최윤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윤덕 filed Critical 최윤덕
Priority to KR10202101425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07608B1/ko
Publication of KR202300588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588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076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076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9/00Bed-covers; Counterpanes; 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Sleeping bags; Pillows
    • A47G9/10Pillows
    • A47G9/1081Pillows comprising a neck support, e.g. a neck roll
    • A47G9/109Pillows comprising a neck support, e.g. a neck roll adapted to lie on the side and in supine posit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9/00Bed-covers; Counterpanes; 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Sleeping bags; Pillows
    • A47G9/10Pillows
    • A47G9/1027Details of inflatable pillow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9/00Bed-covers; Counterpanes; 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Sleeping bags; Pillows
    • A47G9/10Pillows
    • A47G9/1045Pillows shaped as, combined with, or convertible into other articles, e.g. dolls, sound equipments, bags or the like

Abstract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일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베개는, 직육면체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상면 및 제 1 측면에 걸쳐 사용자의 후두 부위에 대응하도록 제 1 안착 영역이 오목하게 형성되고, 상면 및 제 1 측면의 반대편인 제 2 측면에 걸쳐 제 1 안착 영역에 연결되며 사용자의 경추 부위에 대응하도록 제 2 안착 영역이 오목하게 형성되거나 평평하게 형성된 몸체; 및 판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제 2 안착 영역에 대응하도록 몸체의 제 2 측면의 하부에 연결되는 보조체를 포함하되, 사용자가 누운 상태일 때, 사용자의 후두 부위는 제 1 안착 영역에 삽입되어 제 1 안착 영역의 바닥면에 접촉되고 사용자의 경추 부위는 제 2 안착 영역에 삽입되어 제 2 안착 영역의 바닥면에 접촉되며, 사용자의 척추 부위의 일부는 보조체의 상면에 위치되어 접촉될 수 있다.

Description

기능성 베개{Functional pillow}
본 발명은 베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머리를 괸 상태에서 편안함을 느끼고 자세를 변경하면서도 불편함을 느끼지 않도록 할 수 있는 기능성 베개에 관한 것이다.
베개는 수면 또는 휴식을 취하기 위하여 누울 때에 머리를 괴는 물건이다. 여기서, 베개는 인체공학적으로 사람의 후두 부위, 경추 부위, 안면 부위의 좌측면과 우측면 등과 같이 특정 부위에 대한 공간을 채워 신체의 압력을 분산시켜 편안한 수면 및 휴식을 통한 피로 회복을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베개는 그 형태에 따라 수면 및 휴식에서 차이를 나타내어 상이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베개는 주로 사각통 또는 원통 형상을 가지면서 후두 부위를 받쳐주는 형태로 이루어지고, 이외에도 경추 부위만을 받쳐주는 형태, 후두 부위와 복 부위를 동시에 받쳐주는 형태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베개는 비어 있는 내부 공간을 공기, 물, 곡식, 조류의 깃털, 섬유 등으로 채움으로써 제조되거나, 탄성을 갖는 메모리 폼(memory foam), 라텍스(latex) 등과 같은 재료를 제조된다.
한편, 많은 사람들이 베개를 이용하는 데에 있어서 불편함을 느끼기도 한다. 예를 들어, 어떠한 사람은 베개를 이용한 이후에 경추 부위의 통증을 호소하기도 한다. 또한, 어떠한 사람은 베개를 이용할 때 누운 자세를 취하기도 하고 누운 자세로부터 좌측 또는 우측으로 돌린 자세를 취하기도 하는 데, 자세의 변경에 따른 불편함을 느끼는 사람들도 많은 실정이다. 따라서, 사람들이 불편함을 최소화한 상태로 이용할 수 있는 베개에 대한 필요성이 존재하는 실정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기능성 베개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누운 자세의 사용자에게 지속적으로 편안함을 부여하고 신체적인 이상을 느끼지도 않도록 할 수 있는 기능성 베개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기능성 베개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자세의 변경에 따른 불편함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기능성 베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기능성 베개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는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일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베개는, 직육면체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상면 중앙 및 제 1 측면에 걸쳐 사용자의 후두 부위에 대응하도록 제 1 안착 영역이 오목하게 형성되고, 상면 중앙 및 제 1 측면의 반대편인 제 2 측면에 걸쳐 제 1 안착 영역에 연결되며 사용자의 경추 부위에 대응하도록 제 2 안착 영역이 오목하게 형성되거나 상면의 동일 평면 상에 위치된 몸체; 및 판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제 2 안착 영역에 대응하도록 몸체의 제 2 측면의 하부에 연결되는 보조체를 포함하되, 사용자가 누운 상태일 때, 사용자의 후두 부위는 제 1 안착 영역에 삽입되어 제 1 안착 영역의 바닥면에 접촉되고 사용자의 경추 부위는 제 2 안착 영역에 삽입되어 제 2 안착 영역의 바닥면에 접촉되며, 사용자의 척추 부위의 일부는 보조체의 상면에 위치되어 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몸체의 하면과 보조체의 하면은 동일 평면 상에 위치될 수 있다.
또한, 몸체의 두께는 6㎝ 내지 12㎝이고, 제 1 안착 영역에 대응되는 몸체의 최소 두께는 2㎝ 내지 6㎝일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후두 부위가 제 1 안착 영역의 바닥면에 접촉되고 사용자의 경추 부위가 제 2 안착 영역의 바닥면에 접촉되도록, 사용자가 누운 상태에서 몸통을 좌측 또는 우측으로 뒤틀 때, 사용자의 후두 부위는 제 1 안착 영역의 바닥면을 따라 이동하여 제 1 안착 영역으로부터 분리되고, 사용자의 경추 부위는 제 2 안착 영역의 바닥면을 따라 이동하여 제 2 안착 영역으로부터 분리되며, 사용자의 척추 부위는 보조체로부터 이격되고, 사용자의 안면 부위의 일측면은 몸체의 상면에 위치되어 접촉될 수 있다.
또한, 제 2 안착 영역의 바닥면은 몸체의 상면보다 하측에 위치되고 곡면으로 몸체의 상면과 연결되고, 제 1 안착 영역의 바닥면보다 상측에 위치되고 곡면으로 제 1 안착 영역의 바닥면과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보조체의 상면은 제 2 안착 영역의 바닥면보다 하측에 위치되고 곡면으로 제 2 안착 영역의 바닥면과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몸체의 제 2 측면에서 제 1 안착 영역의 하측에 위치되도록 직육면체 형상의 가이드 공간이 오목하게 형성되고, 가이드 공간에 연결되도록 제 1 안착 영역의 바닥면에서 상호 간에 이격되는 복수 개의 가이드 개구가 형성되며, 몸체는, 가이드 공간의 하면에 위치되는 팬 형태의 발생 몸체; 가이드 공간의 상면에 이동가능하도록 위치되고 가이드 개구에 대응되는 복수 개의 개폐홀을 갖는 판 형상의 개폐 몸체; 가이드 공간의 양측면에 위치되어 개폐 몸체에 연결되고, 몸체에 가해지는 하중에 따라 개폐 몸체를 이동시킬 수 있는 한 쌍의 개폐 이동체; 가이드 공간의 입구에 연결되도록 몸체의 제 2 측면에 위치되고 공기에 의해 팽창될 수 있는 봉투 형태의 보조 유도체; 및 각각 제 2 안착 영역 및 몸체의 바닥면에 인접하면서 몸체의 제 2 측면에 삽입되거나 제 2 측면으로부터 돌출되도록 위치되는 보조 이동체를 포함하고, 보조체는, 각각 원형 막대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보조체의 양측면 근처에서 몸체의 제 2 측면과 직교하도록 위치되고, 제 1 종단면이 보조 이동체에 대응되면서 인접하도록 위치되는 한 쌍의 보조 샤프트; 및 보조체의 양측면에 위치되고 보조 샤프트에 의해 관통된 복수 개의 샤프트 연결체를 포함하며, 사용자가 누운 상태에서 사용자의 후두 부위가 제 1 안착 영역의 바닥면에 위치될 때, 보조체는 보조 유도체 상에 위치되고 보조 유도체는 사용자에 의해 압축되며, 발생 몸체는 공기를 가이드 공간으로부터 개폐홀 및 가이드 개구를 통해 제 1 안착 영역으로 유도하고, 사용자의 후두 부위가 제 1 안착 영역으로부터 분리되어 사용자의 안면 부위가 몸체의 일 종단 부분의 상면에 위치될 때, 사용자는 보조체로부터 이격되며, 개폐 이동체는 개폐 몸체를 이동시켜 가이드 개구를 폐쇄하고, 몸체의 일 종단 부분에 대응되는 보조 이동체는 몸체의 제 2 측면으로부터 돌출되어 보조 샤프트에 삽입되며, 발생 몸체에 의한 공기는 가이드 공간으로부터 보조 유도체로 유도되어, 보조 유도체는 팽창되면서 보조체를 몸체의 일 종단 부분에 대응되는 보조 이동체가 삽입된 보조 샤프트를 축으로 회동시킬 수 있다.
또한, 보조 이동체의 각각은, 탄성 재료로 이루어지되, 제 2 안착 영역, 몸체의 바닥면 및 몸체의 제 2 측면에 인접하도록 몸체부의 내부에 위치되고, 유체를 충진한 상태로 일정한 부피를 갖는 보조 구동 몸체; 원형 막대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제 1 종단이 몸체의 제 2 측면의 동일 평면 상에 위치되고, 제 1 종단의 반대편인 제 2 종단이 보조 구동 몸체의 내부에 위치되도록 삽입된 보조 이동 몸체; 및 보조 구동 몸체의 내부에 위치되어 고정되고, 보조 이동 몸체의 제 2 종단 부분이 삽입된 상태에서 보조 이동 몸체의 제 2 종단면이 고정된 주름관 형태의 보조 이동 연결체를 포함하되, 사용자의 후두 부위가 제 1 안착 영역으로부터 분리되어 사용자의 안면 부위가 몸체의 일 종단 부분의 상면에 위치될 때, 설정치 이상의 하중이 가해지는 몸체의 일 종단 부분에 대응되는 보조 이동체에서, 보조 구동 몸체는 압축되도록 변형되며, 보조 이동 몸체는 유체에 의해 몸체의 제 2 측면으로부터 점점 돌출되고, 보조 이동 연결체는 이동 몸체에 의해 점점 접혀, 보조 이동 몸체는 보조 샤프트에 삽입될 수 있다.
또한, 개폐 이동체의 각각은, 탄성 재료로 이루어지되, 가이드 공간의 측면에 인접하면서 제 1 안착 영역으로부터 이격되도록 몸체의 내부에 위치되고, 유체를 충진한 상태로 일정한 부피를 갖는 구동 몸체; 막대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제 1 종단이 개폐 몸체의 측면에 연결되고, 제 1 종단의 반대편인 제 2 종단이 구동 몸체의 내부에 위치되도록 삽입된 이동 몸체; 및 구동 몸체의 내부에 위치되어 고정되고, 이동 몸체의 제 2 종단 부분이 삽입된 상태에서 이동 몸체의 제 2 종단면이 고정된 주름관 형태의 이동 연결체를 포함하되, 사용자의 후두 부위가 제 1 안착 영역으로부터 분리되어 사용자의 안면 부위가 몸체의 일 종단 부분의 상면에 위치될 때, 설정치 이상의 하중이 가해지는 몸체의 일 종단 부분에 대응되는 개폐 이동체에서, 이동 몸체는 유체에 의해 가이드 공간에 점점 삽입되도록 이동되고 이동 연결체는 이동 몸체에 의해 점점 접히며, 몸체의 일 종단 부분의 반대편인 타 종단 부분에 대응되는 개폐 이동체에서, 이동 몸체는 구동 몸체의 내부에 점점 삽입되도록 이동되고 이동 연결체는 펼쳐지며, 구동 몸체는 복원력을 축적하면서 팽창되도록 변형되어, 개폐홀들과 가이드 개구들에 대응되지 않아, 개폐 몸체는 가이드 개구들을 폐쇄할 수 있다.
또한, 보조 유도체의 외측면에는 가이드 공간의 입구의 크기의 5% 내지 10%의 크기를 갖는 배출 개구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실시예들에 따른 기능성 베개는 하기와 같은 효과를 가진다.
(1) 사용자가 누운 자세에서 지속적으로 편안함을 부여받고 신체적인 이상을 느끼지 않도록 할 수 있다.
(2) 사용자가 누운 자세로부터 변경된 자세를 취하더라도 불편함을 거의 느끼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베개가 달성할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인용되는 도면을 보다 충분히 이해하기 위하여 각 도면의 간단한 설명이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베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베개가 사용되는 모습을 도시하는 도면들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베개를 분리하여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베개의 몸체에서 개폐 이동체에 의한 개폐 몸체의 작동 모습을 도시하는 도면들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베개의 몸체에서 보조 이동체 및 보조 유도체에 의한 보조체의 작동 모습을 도시하는 도면들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이를 상세한 설명을 통해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본 명세서의 설명 과정에서 이용되는 숫자(예를 들어, 제 1, 제 2 등)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한 식별기호에 불과하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일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와 "연결된다" 거나 "접속된다" 등으로 언급된 때에는, 상기 일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와 직접 연결되거나 또는 직접 접속될 수도 있지만,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존재하지 않는 이상, 중간에 또 다른 구성요소를 매개하여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부'로 표현되는 구성요소는 2개 이상의 구성요소가 하나의 구성요소로 합쳐지거나 또는 하나의 구성요소가 보다 세분화된 기능별로 2개 이상으로 분화될 수도 있다. 또한, 이하에서 설명할 구성요소 각각은 자신이 담당하는 주기능 이외에도 다른 구성요소가 담당하는 기능 중 일부 또는 전부의 기능을 추가적으로 수행할 수도 있으며, 구성요소 각각이 담당하는 주기능 중 일부 기능이 다른 구성요소에 의해 전담되어 수행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실시예들을 차례로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베개(100)를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베개(100)가 사용되는 모습을 도시하는 도면들이다.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베개(100)는 몸체(101) 및 보조체(102)를 포함하고, 누운 자세를 기준으로 하여 다양한 자세를 취할 수 있는 사용자의 머리 부위를 중심으로 지지하여, 사용자의 수면, 휴식 등에 도움을 줄 수 있다.
몸체(101)는 직육면체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지면(10) 상에 위치되어 고정될 수 있다. 이러한 몸체(101)는 전체적으로 각진 형태일 수 있고, 둥근 형태일 수 있다. 사용자의 후두(뒤통수) 부위 및 경추(목뼈) 부위가 몸체(101), 특히 몸체(101)의 상면에 삽입되어 접촉될 수 있다. 또한, 몸체(101)는 제 1 안착 영역(110) 및 제 2 안착 영역(120)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 1 안착 영역(110) 및 제 2 안착 영역(120)이 형성되지 않는 몸체(101)의 상면은 제 2 안착 영역(120)보다 낮은 곡률을 갖는 곡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 1 안착 영역(110)은 몸체(101)의 상면 및 제 1 측면에 걸쳐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 1 안착 영역(110)은 사용자의 후두 부위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사용자의 후두 부위는 제 1 안착 영역(110)에 삽입되어 제 1 안착 영역(110)의 바닥면에 접촉될 수 있다. 또한, 제 1 안착 영역(110)의 바닥면은 곡면으로 형성될 수 있고, 그 일부는 사용자의 후두 부위의 곡률에 대응되는 곡률을 갖는 곡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 2 안착 영역(120)은 몸체(101)의 상면 및 제 1 측면의 반대편인 제 2 측면에 걸쳐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 2 안착 영역(120)은 제 1 안착 영역(110) 근처에서 제 1 안착 영역(110)에 연결될 수 있고, 사용자의 경추 부위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사용자의 경추 부위는 제 2 안착 영역(120)에 삽입되어 제 2 안착 영역(120)의 바닥면에 접촉될 수 있다.
제 2 안착 영역(120)의 바닥면은 몸체(101)의 상면보다 하측에 위치되고 곡면으로 몸체(101)의 상면과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제 2 안착 영역(120)의 바닥면은 제 1 안착 영역(110)의 바닥면보다 상측에 위치되고 곡면으로 제 1 안착 영역(110)의 바닥면과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제 1 안착 영역(110)과 제 2 안착 영역(120)을 연결하는 곡면은 제 2 안착 영역(120)으로부터 급격한 경사를 갖다가 완만한 경사를 가질 수 있다.
경우에 따라, 제 2 안착 영역(120)은 몸체(101)의 상면의 동일 평면 상에 위치될 수 있다.
또한, 제 1 안착 영역(110) 및 제 2 안착 영역(120)은 몸체(101)의 중간 부분에 위치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몸체(101)에서 몸체(101)의 상면과 몸체(101)의 하면 사이의 거리, 즉, 몸체(101)의 두께는 6㎝ 내지 12㎝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10㎝일 수 있다. 또한, 몸체(101)에서 제 1 안착 영역(110)의 바닥면의 최하측과 몸체(101)의 하면 사이의 거리 즉, 제 1 안착 영역(110)에 대응되는 부분의 몸체(101)의 최소 두께는 2㎝ 내지 6㎝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4㎝일 수 있다.
보조체(102)는 판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몸체(101)의 제 2 측면의 하부에 연결되고 제 2 안착 영역(120)에 대응하도록 위치될 수 있다. 여기서, 보조체(102)는 몸체(101)와 직교하도록 위치될 수 있고, 몸체(101)의 두께보다 작은 두께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보조체(102)는 2㎝ 내지 6㎝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보조체(102)의 상면은 제 2 안착 영역(120)의 바닥면보다 하측에 위치되고 곡면으로 제 2 안착 영역(120)의 바닥면과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보조체(102)와 제 2 안착 영역(120)을 연결하는 곡면은 제 2 안착 영역(120)으로부터 완만한 경사를 갖다가 급격한 경사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보조체(102)의 하면은 몸체(101)의 하면과 동일 평면 상에 위치될 수 있다. 이로 인해, 보조체(102)는 몸체(101)와 함께 안정적으로 지면(10) 상에 위치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몸체(101)와 보조체(102)는 메모리 폼(memory foam), 라텍스(latex) 등과 같은 재료로 제조되고 탄성을 가질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의 기능성 베개(100)는 다음과 같이 사용될 수 있다.
몸체(101)와 보조체(102)는 상호 간에 연결된 상태로 지면(10) 상에 위치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는 지면(10)에 누운 상태에서 사용자의 후두 부위를 제 1 안착 영역(110)에 삽입되도록 하고 제 1 안착 영역(110)의 바닥면에 접촉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경추 부위는 제 2 안착 영역(120)에 삽입되고 제 2 안착 영역(120)의 바닥면에 접촉될 수 있고, 사용자의 척추 부위는 보조체(102)의 상면에 위치될 수 있다. 사용자의 척추 부위를 제외한 등 부위는 지면(10) 상에 위치될 수 있다. 특히, 사용자의 후두 부위는 제 1 안착 영역(110)에 삽입되어 지면으로부터 2㎝ 내지 6㎝ 이격된 상태로 위치되고, 사용자의 경추 부위 및 척추 부위는 각각 제 2 안착 영역(120)에 대응되는 몸체(101) 및 보조체(102)를 변형시킨 상태에서 각각 제 2 안착 영역(120)에 대응되는 몸체(101) 및 보조체(102)에 지지될 수 있다(도 2(a) 참조). 여기서, 사용자는 자신의 체형에 맞게 편안하게 누운 자세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상체는 보조체(102)에 척추 부위를 중심으로 지지되기에, 사용자의 양쪽 어깨는 벌어진 상태로 유지되어, 사용자는 편안하게 호흡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사용자는 신체적으로 무리 없는 자세를 유지하여 장시간 동안 누운 자세에서도 신체적인 이상을 느끼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지면(10)에 누운 상태에서 몸통을 좌측 또는 우측으로 뒤틀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의 후두 부위는 제 1 안착 영역(110)의 바닥면을 따라 이동하여 제 1 안착 영역(110)으로부터 분리되고, 사용자의 경추 부위는 제 2 안착 영역(120)의 바닥면을 따라 이동하여 제 2 안착 영역(120)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사용자의 안면 부위의 일측면은 몸체(101)의 상면에 위치될 수 있고, 또한, 사용자의 척추 부위는 보조체(102) 뿐 아니라 지면(10)으로부터 이격되어 위치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옆으로 누운 상태로 지면(10) 상에 위치될 수 있다(도 2(b) 참조).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몸체(101)의 두께는 6㎝ 내지 12㎝로 이루어지기에, 사용자의 경추 부위는 곧게 위치된 상태에서 하중을 받지 않은 상태로 편안하게 위치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누운 자세로부터 변경된 자세를 취하더라도 불편함을 거의 느끼지 않을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베개(300)를 분리하여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베개(300)의 몸체(301)에서 개폐 이동체(313)에 의한 개폐 몸체(312)의 작동 모습을 도시하는 도면들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베개(300)의 몸체(301)에서 보조 이동체(315) 및 보조 유도체(314)에 의한 보조체(302)의 작동 모습을 도시하는 도면들이다.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베개(300)는 몸체(301) 및 보조체(302)를 포함하고, 누운 자세를 기준으로 하여 다양한 자세를 취할 수 있는 사용자의 머리 부위를 중심으로 지지하여, 사용자의 수면, 휴식 등에 도움을 줄 수 있다.
몸체(301)는 직육면체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지면(10) 상에 위치되어 고정될 수 있다. 이러한 몸체(301)는 전체적으로 각진 형태일 수 있고, 둥근 형태일 수 있다. 사용자의 후두(뒤통수) 부위 및 경추(목뼈) 부위가 몸체(301), 특히 몸체(301)의 상면에 삽입되어 접촉될 수 있다. 또한, 몸체(301)는 제 1 안착 영역(310) 및 제 2 안착 영역(320)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안착 영역(310) 및 제 2 안착 영역(320)이 형성되지 않는 몸체(301)의 상면은 제 2 안착 영역(120)보다 낮은 곡률을 갖는 곡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 1 안착 영역(310)은 몸체(301)의 상면 및 제 1 측면에 걸쳐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 1 안착 영역(310)은 사용자의 후두 부위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사용자의 후두 부위는 제 1 안착 영역(310)에 삽입되어 제 1 안착 영역(310)의 바닥면에 접촉될 수 있다. 또한, 제 1 안착 영역(310)의 바닥면은 곡면으로 형성될 수 있고, 그 일부는 사용자의 후두 부위의 곡률에 대응되는 곡률을 갖는 곡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 2 안착 영역(320)은 몸체(301)의 상면 및 제 1 측면의 반대편인 제 2 측면에 걸쳐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 2 안착 영역(320)은 제 1 안착 영역(310) 근처에서 제 1 안착 영역(310)에 연결될 수 있고, 사용자의 경추 부위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사용자의 경추 부위는 제 2 안착 영역(320)에 삽입되어 제 2 안착 영역(320)의 바닥면에 접촉될 수 있다.
제 2 안착 영역(320)의 바닥면은 몸체(301)의 상면보다 하측에 위치되고 곡면으로 몸체(301)의 상면과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제 2 안착 영역(320)의 바닥면은 제 1 안착 영역(310)의 바닥면보다 상측에 위치되고 곡면으로 제 1 안착 영역(310)의 바닥면과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제 1 안착 영역(310)과 제 2 안착 영역(320)을 연결하는 곡면은 제 2 안착 영역(320)으로부터 급격한 경사를 갖다가 완만한 경사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제 1 안착 영역(310) 및 제 2 안착 영역(320)은 몸체(301)의 중간 부분에 위치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몸체(301)에서 몸체(301)의 상면과 몸체(301)의 하면 사이의 거리, 즉, 몸체(301)의 두께는 6㎝ 내지 12㎝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10㎝일 수 있다. 또한, 몸체(301)에서 제 1 안착 영역(310)의 바닥면의 최하측과 몸체(301)의 하면 사이의 거리 즉, 제 1 안착 영역(310)에 대응되는 부분의 몸체(301)의 최소 두께는 2㎝ 내지 6㎝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4㎝일 수 있다.
또한, 몸체(301)에는 가이드 공간(301a) 및 가이드 개구(301b)가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 공간(301a)은 몸체(301)의 제 2 측면에서 오목하게 형성되어 제 1 안착 영역(310)의 하측에 위치될 수 있다. 여기서, 가이드 공간(301a)은 직육면체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가이드 공간(301a)의 종단면은 몸체(301)의 제 1 측면에 인접하도록 위치될 수 있다.
가이드 개구(301b)는 복수 개로 이루어지되, 각각 가이드 공간(301a)에 연결되도록 제 1 안착 영역(310)의 바닥면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가이드 개구(301b)들은 제 1 안착 영역(310)의 바닥면에서 상호 간에 이격되도록 위치될 수 있다.
또한, 몸체(301)는 발생 몸체(311), 개폐 몸체(312), 개폐 이동체(313), 보조 유도체(314) 및 보조 이동체(315)를 포함할 수 있다.
발생 몸체(311)는 팬 형태로 이루어지되, 가이드 공간(301a)의 상면으로부터 이격되도록 가이드 공간(301a)의 하면에 위치될 수 있다. 또한, 발생 몸체(311)는 몸체(301)의 바닥면을 통해 공기를 흡입하여 가이드 공간(301a)으로 유도될 수 있다. 여기서, 공기는 가이드 공간(301a)의 입구를 통과하여 외부 공간으로 유도될 수 있거나, 가이드 개구(301b)를 통과하여 안착 영역(310)으로 유도될 수 있다.
개폐 몸체(312)는 가이드 공간(301a)의 상면에 대응되는 판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가이드 개구(301b)들에 대응하도록 형성된 복수 개의 개폐홀(312a)들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개폐 몸체(312)는 가이드 공간(301a)의 상면에 이동가능하도록 위치될 수 있다. 개폐홀(312a)들이 가이드 개구(301b)들에 대응하도록 위치될 때, 가이드 개구(301b)들은 개방될 수 있다. 반면에, 개폐홀(312a)들이 가이드 개구(301b)들에 대응하지 않도록 위치될 때, 가이드 개구(301b)들은 개폐 몸체(312)에 의해 폐쇄될 수 있다.
개폐 이동체(313)는 한 쌍으로 이루어지되, 가이드 공간(301a)의 양측면에 위치되어 개폐 몸체(312)에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개폐 이동체(313)는 개폐홀(312a)들과 가이드 개구(301b)들을 상호 간에 대응시켜 연결되도록 개폐 몸체(312)를 위치시킬 수 있다. 개폐 이동체(313)는 몸체(301)를 통해 전달되어 가해지는 하중에 따라 개폐 몸체(312)를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개폐 이동체(313)는 구동 몸체(313a), 이동 몸체(313b) 및 이동 연결체(313c)를 포함할 수 있다.
구동 몸체(313a)는 탄성 재료로 이루어지고, 가이드 공간(301a)의 측면에 인접하면서 제 1 안착 영역(310)으로부터 이격되도록 몸체(301)의 내부에 위치될 수 있다. 구동 몸체(313a)의 내부에는 유체(예를 들어, 공기, 오일 등)가 충진되어 구동 몸체(313a)는 일정한 부피를 가질 수 있다. 설정치 이상의 하중이 몸체(301)를 통해 구동 몸체(313a)에 가해질 때, 구동 몸체(313a)는 원래의 형태로 복원되려는 복원력을 축적하면서 변형될 수 있다. 또한, 설정치 이상의 하중이 구동 몸체(313a)에 가해진 상태에서 가해지지 않는 상태에 이르게 되면, 구동 몸체(313a)는 원래의 형태로 복원될 수 있다. 여기서, 설정치 이상의 하중은 사람의 머리의 중량에 대응되는 하중을 의미할 수 있다.
이동 몸체(313b)는 막대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개폐 몸체(312)의 측면에 연결되고 가이드 공간(301a)의 측면을 통해 구동 몸체(313a)에 삽입될 수 있다. 여기서, 이동 몸체(313b)의 제 1 종단은 개폐 몸체(312)의 측면에 연결되고, 이동 몸체(313b)의 제 1 종단의 반대편인 제 2 종단은 구동 몸체(313a)의 내부에 위치될 수 있다. 또한, 이동 몸체(313b)는 가이드 공간(301a)의 측면에 점점 더 삽입되거나 가이드 공간(301a)의 측면으로부터 점점 더 돌출되도록 이동될 수 있다.
이동 연결체(313c)는 접혔다가 펼쳐질 수 있는 주름관의 형태로 이루어지되, 구동 몸체(313a)의 내부에 위치되어 고정될 수 있다. 이동 몸체(313b)의 제 2 종단 부분은 이동 연결체(313c)에 삽입되고, 이동 몸체(313b)의 제 2 종단면은 이동 연결체(313c)에 고정될 수 있다. 여기서, 이동 몸체(313b)가 가이드 공간(301a)의 측면에 점점 삽입되어 구동 몸체(313a)에 삽입될 때, 이동 연결체(313c)는 점점 펼쳐질 수 있는 반면에, 이동 몸체(313b)가 가이드 공간(301a)의 측면으로부터 점점 더 돌출되어 가이드 공간(301a)에 삽입될 때, 이동 연결체(313c)는 점점 접힐 수 있다.
상기와 같은 한 쌍의 개폐 이동체(313)들은 각각 가이드 공간(301a)의 측면에 위치되어 개폐 몸체(312)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개폐 몸체(312)의 개폐홀(312a)들은 가이드 개구(301b)들에 대응하도록 위치될 수 있다. 여기서, 가이드 공간(301a)은 가이드 개구(301b)를 통해 제 1 안착 영역(310)에 연결될 수 있다(도 4(a) 참조).
한편, 몸체(301)의 양종단 부분의 어느 하나(도 4의 우측 부분 참조)에 설정치 이상의 하중이 가해지면, 몸체(301)의 양종단 부분의 어느 하나에 대응되는 개폐 이동체(313)에서, 구동 몸체(313a)(도 4의 우측 부분 참조)는 압축되도록 변형되고, 구동 몸체(313a)의 유체는 이동 몸체(313b)를 가이드 공간(301a)에 점점 더 삽입되도록 이동시키고, 이동 연결체(313c)는 이동 몸체(313b)에 의해 점점 접힐 수 있다(도 4(b)의 우측 부분 참조). 여기서, 몸체(301)의 양종단 부분의 다른 하나(도 4의 좌측 부분 참조)에 대응되는 개폐 이동체(313)에서, 이동 몸체(313b)가 구동 몸체(313a)의 내부에 점점 더 삽입되도록 이동되고, 이동 연결체(313c)는 펼쳐지고, 구동 몸체(313a)는 복원력을 축적하면서 팽창되도록 변형될 수 있다. 이로 인해, 개폐 몸체(312)의 개폐홀(312a)들은 가이드 개구(301b)들에 대응하지 않도록 위치되어, 개폐 몸체(312)는 가이드 개구(301b)들을 폐쇄할 수 있다(도 4(b) 참조).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몸체(301)의 양종단 부분의 어느 하나에 설정치 이상의 하중이 가해지지 않으면, 몸체(301)의 양종단 부분의 다른 하나에 대응되는 개폐 이동체(313)에서, 구동 몸체(313a)는 원래의 형태로 복원되고 이동 연결체(313a)가 펼쳐지면서 이동 몸체(313b)는 가이드 공간(301a)에 점점 삽입되도록 이동될 수 있다. 여기서, 몸체(301)의 양종단 부분의 어느 하나에 대응되는 개폐 이동체(313)에서, 구동 몸체(313a)는 원래의 형상으로 팽창되고 이동 몸체(313b)는 구동 몸체(313a)에서 삽입되도록 이동하고 이동 연결체(313c)는 점점 펼쳐질 수 있다. 이로 인해, 개폐 몸체(312)의 개폐홀(312a)들은 다시 가이드 개구(301b)들에 대응하도록 위치될 수 있다.
보조 유도체(314)는 봉투 형태로 이루어지고, 가이드 공간(301a)의 입구에 연결되도록 몸체(301)의 제 2 측면에 위치될 수 있다. 이러한 보조 유도체(314)는 접힌 상태로 지면(1) 상에 위치될 수 있다. 한편, 발생 몸체(311)에 의한 공기는 가이드 공간(301a)으로부터 보조 유도체(314)에 유도되어 팽창될 수 있다.
또한, 보조 유도체(314)의 외측면에는 배출 개구(314a)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배출 개구(314a)는 가이드 공간(301a)의 입구의 크기의 5% 내지 10%의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보조 유도체(314)는 공급된 공기의 양보다 현저하게 적은 양으로 공기를 배출시킬 수 있다. 이로 인해, 보조 유도체(314)는 공기에 의해 설정치 이상으로 팽창되지 않을 수 있다.
보조 이동체(315)는 한 쌍으로 이루어지되, 각각 제 2 안착 영역(320) 및 몸체(301)의 바닥면에 인접하면서 몸체(301)의 제 2 측면에 위치될 수 있다. 여기서, 보조 이동체(315)는 몸체(301)를 통해 전달되어 가해지는 하중에 따라 몸체(301)의 제 2 측면으로부터 돌출되거나 몸체(301)의 제 2 측면에 삽입될 수 있다. 또한, 보조 이동체(315a)는 보조 구동 몸체(315a), 보조 이동 몸체(315b) 및 보조 이동 연결체(315c)를 포함할 수 있다.
보조 구동 몸체(315a)는 탄성 재료로 이루어지고, 제 2 안착 영역(320), 몸체(301)의 바닥면 및 몸체(301)의 제 2 측면에 인접하도록 몸체(301)의 내부에 위치될 수 있다. 보조 구동 몸체(315a)의 내부에는 유체가 충진되어 보조 구동 몸체(315a)는 일정한 부피를 가질 수 있다. 설정치 이상의 하중이 몸체(301)를 통해 보조 구동 몸체(315a)에 가해질 때, 보조 구동 몸체(315a)는 원래의 형태로 복원되려는 복원력을 축적하면서 변형될 수 있다. 또한, 설정치 이상의 하중이 보조 구동 몸체(315a)에 가해진 상태에서 가해지지 않는 상태에 이르게 되면, 보조 구동 몸체(315a)는 원래의 형태로 복원될 수 있다. 여기서, 설정치 이상의 하중은 사람의 머리의 중량에 대응되는 하중을 의미할 수 있다.
보조 이동 몸체(315b)는 원형 막대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몸체(301)의 제 2 측면에 삽입되어 보조 구동 몸체(315a)에 삽입될 수 있다. 여기서, 보조 이동 몸체(315b)의 제 1 종단은 몸체(301)의 제 2 측면과 동일 평면 상에 위치되고, 보조 이동 몸체(315b)의 제 1 종단의 반대편인 제 2 종단은 보조 구동 몸체(315a)의 내부에 위치될 수 있다. 또한, 보조 이동 몸체(315b)는 몸체(301)의 제 2 측면으로부터 점점 더 돌출되도록 이동되거나, 몸체(301)의 제 2 측면으로부터 돌출된 상태에서 몸체(301)의 제 2 측면에 점점 더 삽입되도록 이동될 수 있다.
보조 이동 연결체(315c)는 접혔다가 펼쳐질 수 있는 주름관의 형태로 이루어지되, 보조 구동 몸체(315a)의 내부에 위치되어 고정될 수 있다. 보조 이동 몸체(315b)의 제 2 종단 부분은 보조 이동 연결체(315c)에 삽입되고, 보조 이동 몸체(315b)의 제 2 종단면은 보조 이동 연결체(315c)에 고정될 수 있다. 여기서, 보조 이동 몸체(313b)가 몸체(301)의 제 2 측면으로부터 점점 돌출될 때, 보조 이동 연결체(315c)는 점점 펼쳐질 수 있는 반면에, 보조 이동 몸체(315b)가 몸체(301)의 제2 측면에 점점 삽입될 때, 보조 이동 연결체(315c)는 점점 펼쳐질 수 있다.
상기와 같은 한 쌍의 보조 이동체(315)들은 각각 몸체(301)의 제 2 측면에 위치될 수 있다. 여기서, 보조 이동체(315)는 몸체(301)의 내부에 위치되면서 보조 이동 몸체(315b)의 제 1 종단면은 몸체(301)의 제 2 측면과 동일 평면 상에 위치될 수 있다(도 5(a) 참조).
몸체(301)의 양종단 부분의 어느 하나(도 5의 우측 부분 참조)에 설정치 이상의 하중이 가해지면, 몸체(301)의 양종단 부분의 어느 하나에 대응되는 보조 이동체(315)에서, 보조 구동 몸체(315a)는 압축되도록 변형되고, 보조 구동 몸체(315a)의 유체는 보조 이동 몸체(315b)를 몸체(301)의 제 2 측면으로부터 돌출되도록 이동시키고, 보조 이동 연결체(315c)는 보조 이동 몸체(315b)에 의해 점점 접힐 수 있다(도 5(b) 참조).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몸체(301)의 양종단 부분의 어느 하나에 설정치 이상의 하중이 가해지지 않으면, 몸체(301)의 양종단 부분의 어느 하나에 대응되는 보조 이동체(315)에서, 보조 구동 몸체(315a)는 원래의 형태로 복원되고, 보조 이동 연결체(315a)가 펼쳐지면서 보조 이동 몸체(3135)는 몸체(301)의 제 2 측면에 점점 삽입되도록 이동될 수 있다. 보조 이동 몸체(315b)는 몸체(301)의 제 2 측면과 동일 평면 상에 위치되도록 몸체(301)의 제 2 측면에 삽입될 수 있다.
보조체(302)는 판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몸체(301)의 제 2 측면의 하부에 분리가능하도록 연결되고 제 2 안착 영역(320)에 대응하도록 위치될 수 있다. 여기서, 보조체(302)는 몸체(301)와 직교하도록 위치될 수 있고, 몸체(301)의 두께보다 작은 두께를 가질 수 있다. 보조체(302)는 2㎝ 내지 6㎝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보조체(302)의 상면은 제 2 안착 영역(320)의 바닥면보다 하측에 위치되고 곡면으로 제 2 안착 영역(320)의 바닥면과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보조체(302)와 제 2 안착 영역(320)을 연결하는 곡면은 제 2 안착 영역(320)으로부터 완만한 경사를 갖다가 급격한 경사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보조체(302)의 하면은 몸체(301)의 하면과 동일 평면 상에 위치될 수 있다. 이로 인해, 보조체(302)는 몸체(301)와 함께 안정적으로 지면(10) 상에 위치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몸체(301)와 보조체(302)는 메모리 폼(memory foam), 라텍스(latex) 등과 같은 재료로 제조되고 탄성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보조체(302)는 보조 샤프트(321) 및 샤프트 연결체(323)를 포함할 수 있다.
보조 샤프트(321)는 한 쌍으로 이루어지되, 각각 원형 막대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한 쌍의 샤프트(321)들은 보조체(302)의 양측면 근처에서 몸체(301)의 제 2 측면과 직교하도록 위치되고 상호 간에 평행하도록 위치될 수 있다. 또한, 보조 샤프트(321)의 제 1 종단면은 몸체(301)의 보조 이동체(315)에 대응하면서 인접하도록 위치될 수 있고, 보조 이동체(315)의 보조 이동 몸체(315b)는 보조 샤프트(321)의 제 1 종단면에 삽입되거나 분리될 수 있다.
샤프트 연결체(323)는 복수 개로 이루어지되, 보조체(302)의 양측면에 위치되고 보조 샤프트(321)에 의해 관통될 수 있다. 여기서, 샤프트 연결체(323)는 보조 샤프트(321)의 길이 방향을 따른 축을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다. 또한, 보조 이동체(315)의 보조 이동 몸체(315b)가 하나의 보조 샤프트(321)의 제 1 종단면에 삽입된 경우, 보조체(302)는 하나의 보조 샤프트(321)를 축으로 하여 회동될 수 있다.
한편, 몸체(301)의 보조 유도체(314)는 몸체(301)와 보조체(302) 사이를 통과하고 보조체(302)의 하면에 위치될 수 있다. 즉, 보조체(302)는 지면(1)의 보조 유도체(314) 상에 위치될 수 있다. 여기서, 보조 유도체(314)가 공기를 공급받아 팽창될 때, 보조 유도체(314)는 보조체(302)를 보조 이동체(315)가 삽입된 보조 샤프트(321)를 축으로 하여 회동시킬 수 있다. 또한, 보조체(302)는 보조 유도체(314)에 지지된 상태로 지면(10) 상에 기울어진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실시예의 기능성 베개(300)는 다음과 같이 사용될 수 있다.
몸체(301)와 보조체(302)는 상호 간에 연결된 상태로 지면(10) 상에 위치될 수 있다. 몸체(301)의 보조 유도체(314)는 보조체(302)의 하측에 위치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는 지면(10)에 누운 상태에서 사용자의 후두 부위를 제 1 안착 영역(310)에 삽입되도록 하고 제 1 안착 영역(310)의 바닥면에 접촉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경추 부위는 제 2 안착 영역(320)에 삽입되고 제 2 안착 영역(320)의 바닥면에 접촉될 수 있고, 사용자의 척추 부위는 보조체(302)의 상면에 위치될 수 있다. 사용자의 척추 부위를 제외한 등 부위는 지면(10) 상에 위치될 수 있다.
또한, 제 2 안착 영역(320)에 대응되는 몸체(301)의 가이드 공간(301a)의 입구는 보조체(302) 상에 위치된 사용자에 의해 압축된 상태의 보조 유도체(314)에 의해 폐쇄될 수 있다. 또한, 개폐 이동체(313)들은 개폐홀(312a)들과 가이드 개구(301b)들을 상호 간에 대응하도록 가이드 공간(301a)에서 개폐 몸체(312)를 위치시킬 수 있다. 이로 인해, 발생 몸체(311)에 의한 가이드 공간(301a)의 공기는 가이드 개구(301b)를 통해 제 1 안착 영역(310)으로 유도될 수 있다. 보조 이동체(315)들은 몸체(301)의 제 2 측면에 삽입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후두 부위는 제 1 안착 영역(310)에 삽입되어 지면으로부터 2㎝ 내지 6㎝ 이격된 상태로 위치되고, 사용자의 경추 부위 및 척추 부위는 각각 제 2 안착 영역(320)에 대응되는 몸체(301) 및 보조체(302)를 변형시킨 상태에서 각각 제 2 안착 영역(320)에 대응되는 몸체(301) 및 보조체(302)에 지지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는 자신의 체형에 맞게 편안하게 누운 자세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상체는 보조체(102)에 의해 척추 부위를 중심으로 지지되기에, 사용자의 양쪽 어깨는 벌어진 상태로 유지되어, 사용자는 편안하게 호흡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사용자는 신체적으로 무리 없는 자세를 유지하여 장시간 동안 누운 자세에서도 신체적인 이상을 느끼지 않을 수 있다.
한편, 사용자는 지면(10)에 누운 상태에서 몸통을 좌측 또는 우측으로 뒤틀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의 후두 부위는 제 1 안착 영역(310)의 바닥면을 따라 이동하여 제 1 안착 영역(310)으로부터 분리되고, 사용자의 경추 부위는 제 2 안착 영역(320)의 바닥면을 따라 이동하여 제 2 안착 영역(320)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사용자의 안면 부위의 일측면은 몸체(301)의 상면에 위치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척추 부위는 보조체(102) 뿐 아니라 지면(10)으로부터 이격되어 위치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옆으로 누운 상태로 지면(10) 상에 위치될 수 있다.
사용자의 안면 부위의 일측면이 몸체(301)의 양종단 부분의 어느 하나의 상면에 위치되는 과정에서, 사용자의 이동 방향에 대응되는 몸체(301)에는 설정치 이상의 하중이 가해질 수 있다.
설정치 이상의 하중으로 인하여, 사용자가 위치되는 몸체(301)의 부분에 대응되는 보조 이동체(315)에서, 보조 구동 몸체(315a)는 압축되도록 변형되고, 보조 이동 몸체(315b)는 보조 구동 몸체(315a)의 유체에 의해 몸체(301)의 제 2 측면으로부터 돌출되도록 이동되며, 보조 이동 연결체(315c)는 보조 이동 몸체(315b)에 의해 점점 접힐 수 있다(도 5(b) 참조). 여기서, 사용자의 위치에 대응되는 보조체(302)의 보조 샤프트(321)에는 보조 이동 몸체(315b)가 삽입되고, 보조 샤프트(321)는 지면(10) 상에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설정치 이상의 하중은 사용자가 위치되는 몸체(301)의 부분에 대응되는 개폐 이동체(313)에서, 구동 몸체(313a)는 압축되도록 변형되고, 이동 몸체(313b)는 구동 몸체(313a)의 유체에 의해 가이드 공간(301a)에 점점 더 삽입되도록 이동되고, 이동 연결체(313c)는 이동 몸체(313b)에 의해 접힐 수 있다(도 4(b)의 우측 부분 참조). 사용자가 위치되지 않는 몸체(301)에 대응되는 개폐 이동체(313)에서, 이동 몸체(313b)는 구동 몸체(313a)의 내부에 점점 더 삽입되도록 이동되고, 이동 연결체(313c)는 펼쳐지고, 구동 몸체(313a)는 복원력을 축적하면서 팽창되도록 변형될 수 있다. 이로 인해, 개폐 몸체(312)의 개폐홀(312a)들은 가이드 개구(301b)들에 대응하지 않도록 위치되어, 개폐 몸체(312)는 가이드 개구(301b)들을 폐쇄한다.
또한, 가이드 개구(301b)들이 개폐 몸체(312)에 의해 폐쇄되고 사용자가 보조체(302)로부터 이격된 상태이기에, 발생 몸체(311)에 의한 공기는 가이드 공간(301a)의 입구를 통해 가이드 공간(301a)로부터 보조 유도체(314)로 유도되어 보조 유도체(314)를 팽창시킬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의 위치에 대응되는 보조 샤프트(321)는 보조 이동체(315)에 의해 지면(10) 상에 고정되고, 사용자의 위치에 대응되지 않는 보조 샤프트(321)는 고정되지 않는다. 보조 유도체(314)가 팽창됨으로써, 보조체(302)는 지면(10)으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여기서, 보조체(302)는 지면(10) 상에 고정된 보조 샤프트(321)를 축으로 하여 회동되고, 지면(10) 상에 고정되지 않는 보조 샤프트(321)는 보조체(302)와 함께 지면(10)으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이로 인해, 보조체(302)는 보조 유도체(314)에 지지된 상태로 지면(10)과 소정의 각도를 형성하도록 위치될 수 있다. 사용자의 안면 부위의 일측면이 몸체(301)의 상면에 위치된 상태에서, 보조체(302)는 보조 유도체(314)와 조합하여 사용자의 등 부위를 지지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몸체(301)의 두께는 6㎝ 내지 12㎝로 이루어지기에, 사용자의 경추 부위는 곧게 위치된 상태에서 하중을 받지 않고 상태로 편안하게 위치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는 몸체(301) 뿐 아니라, 보조체(302)와 보조 유도체(314)의 조합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누운 자세로부터 변경된 자세를 취하더라도 불편함을 거의 느끼지 않을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상기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여러 가지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
100, 300: 기능성 베개
101, 301: 몸체
102, 302: 보조체

Claims (10)

  1. 직육면체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상면 중앙 및 제 1 측면에 걸쳐 사용자의 후두 부위에 대응하도록 제 1 안착 영역이 오목하게 형성되고, 상면 중앙 및 제 1 측면의 반대편인 제 2 측면에 걸쳐 제 1 안착 영역에 연결되며 사용자의 경추 부위에 대응하도록 제 2 안착 영역이 오목하게 형성된 몸체; 및
    판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제 2 안착 영역에 대응하도록 몸체의 제 2 측면의 하부에 연결되는 보조체를 포함하되,
    사용자가 누운 상태일 때, 사용자의 후두 부위는 제 1 안착 영역에 삽입되어 제 1 안착 영역의 바닥면에 접촉되고 사용자의 경추 부위는 제 2 안착 영역에 삽입되어 제 2 안착 영역의 바닥면에 접촉되며, 사용자의 척추 부위의 일부는 보조체의 상면에 위치되어 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베개.
  2. 제1항에 있어서,
    몸체의 하면과 보조체의 하면은 동일 평면 상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베개.
  3. 제1항에 있어서,
    몸체의 두께는 6㎝ 내지 12㎝이고,
    제 1 안착 영역에 대응되는 몸체의 최소 두께는 2㎝ 내지 6㎝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베개.
  4. 제3항에 있어서,
    사용자의 후두 부위가 제 1 안착 영역의 바닥면에 접촉되고 사용자의 경추 부위가 제 2 안착 영역의 바닥면에 접촉되도록, 사용자가 누운 상태에서 몸통을 좌측 또는 우측으로 뒤틀 때, 사용자의 후두 부위는 제 1 안착 영역의 바닥면을 따라 이동하여 제 1 안착 영역으로부터 분리되고, 사용자의 경추 부위는 제 2 안착 영역의 바닥면을 따라 이동하여 제 2 안착 영역으로부터 분리되며, 사용자의 척추 부위는 보조체로부터 이격되고, 사용자의 안면 부위의 일측면은 몸체의 상면에 위치되어 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베개.
  5. 제1항에 있어서,
    제 2 안착 영역의 바닥면은 몸체의 상면보다 하측에 위치되고 곡면으로 몸체의 상면과 연결되고, 제 1 안착 영역의 바닥면보다 상측에 위치되고 곡면으로 제 1 안착 영역의 바닥면과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베개.
  6. 제1항에 있어서,
    보조체의 상면은 제 2 안착 영역의 바닥면보다 하측에 위치되고 곡면으로 제 2 안착 영역의 바닥면과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베개.
  7. 제1항에 있어서,
    몸체의 제 2 측면에서 제 1 안착 영역의 하측에 위치되도록 직육면체 형상의 가이드 공간이 오목하게 형성되고, 가이드 공간에 연결되도록 제 1 안착 영역의 바닥면에서 상호 간에 이격되는 복수 개의 가이드 개구가 형성되며,
    몸체는,
    가이드 공간의 하면에 위치되는 팬 형태의 발생 몸체;
    가이드 공간의 상면에 이동가능하도록 위치되고 가이드 개구에 대응되는 복수 개의 개폐홀을 갖는 판 형상의 개폐 몸체;
    가이드 공간의 양측면에 위치되어 개폐 몸체에 연결되고, 몸체에 가해지는 하중에 따라 개폐 몸체를 이동시킬 수 있는 한 쌍의 개폐 이동체;
    가이드 공간의 입구에 연결되도록 몸체의 제 2 측면에 위치되고 공기에 의해 팽창될 수 있는 봉투 형태의 보조 유도체; 및
    각각 제 2 안착 영역 및 몸체의 바닥면에 인접하면서 몸체의 제 2 측면에 삽입되거나 제 2 측면으로부터 돌출되도록 위치되는 보조 이동체를 포함하고,
    보조체는,
    각각 원형 막대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보조체의 양측면 근처에서 몸체의 제 2 측면과 직교하도록 위치되고, 제 1 종단면이 보조 이동체에 대응되면서 인접하도록 위치되는 한 쌍의 보조 샤프트; 및
    보조체의 양측면에 위치되고 보조 샤프트에 의해 관통된 복수 개의 샤프트 연결체를 포함하며,
    사용자가 누운 상태에서 사용자의 후두 부위가 제 1 안착 영역의 바닥면에 위치될 때, 보조체는 보조 유도체 상에 위치되고 보조 유도체는 사용자에 의해 압축되며, 발생 몸체는 공기를 가이드 공간으로부터 개폐홀 및 가이드 개구를 통해 제 1 안착 영역으로 유도하고,
    사용자의 후두 부위가 제 1 안착 영역으로부터 분리되어 사용자의 안면 부위가 몸체의 일 종단 부분의 상면에 위치될 때, 사용자는 보조체로부터 이격되며, 개폐 이동체는 개폐 몸체를 이동시켜 가이드 개구를 폐쇄하고, 몸체의 일 종단 부분에 대응되는 보조 이동체는 몸체의 제 2 측면으로부터 돌출되어 보조 샤프트에 삽입되며, 발생 몸체에 의한 공기는 가이드 공간으로부터 보조 유도체로 유도되어, 보조 유도체는 팽창되면서 보조체를 몸체의 일 종단 부분에 대응되는 보조 이동체가 삽입된 보조 샤프트를 축으로 회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베개.
  8. 제7항에 있어서, 보조 이동체의 각각은,
    탄성 재료로 이루어지되, 제 2 안착 영역, 몸체의 바닥면 및 몸체의 제 2 측면에 인접하도록 몸체부의 내부에 위치되고, 유체를 충진한 상태로 일정한 부피를 갖는 보조 구동 몸체;
    원형 막대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제 1 종단이 몸체의 제 2 측면의 동일 평면 상에 위치되고, 제 1 종단의 반대편인 제 2 종단이 보조 구동 몸체의 내부에 위치되도록 삽입된 보조 이동 몸체; 및
    보조 구동 몸체의 내부에 위치되어 고정되고, 보조 이동 몸체의 제 2 종단 부분이 삽입된 상태에서 보조 이동 몸체의 제 2 종단면이 고정된 주름관 형태의 보조 이동 연결체를 포함하되,
    사용자의 후두 부위가 제 1 안착 영역으로부터 분리되어 사용자의 안면 부위가 몸체의 일 종단 부분의 상면에 위치될 때, 설정치 이상의 하중이 가해지는 몸체의 일 종단 부분에 대응되는 보조 이동체에서, 보조 구동 몸체는 압축되도록 변형되며, 보조 이동 몸체는 유체에 의해 몸체의 제 2 측면으로부터 점점 돌출되고, 보조 이동 연결체는 이동 몸체에 의해 점점 접혀, 보조 이동 몸체는 보조 샤프트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베개.
  9. 제7항에 있어서, 개폐 이동체의 각각은,
    탄성 재료로 이루어지되, 가이드 공간의 측면에 인접하면서 제 1 안착 영역으로부터 이격되도록 몸체의 내부에 위치되고, 유체를 충진한 상태로 일정한 부피를 갖는 구동 몸체;
    막대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제 1 종단이 개폐 몸체의 측면에 연결되고, 제 1 종단의 반대편인 제 2 종단이 구동 몸체의 내부에 위치되도록 삽입된 이동 몸체; 및
    구동 몸체의 내부에 위치되어 고정되고, 이동 몸체의 제 2 종단 부분이 삽입된 상태에서 이동 몸체의 제 2 종단면이 고정된 주름관 형태의 이동 연결체를 포함하되,
    사용자의 후두 부위가 제 1 안착 영역으로부터 분리되어 사용자의 안면 부위가 몸체의 일 종단 부분의 상면에 위치될 때, 설정치 이상의 하중이 가해지는 몸체의 일 종단 부분에 대응되는 개폐 이동체에서, 이동 몸체는 유체에 의해 가이드 공간에 점점 삽입되도록 이동되고 이동 연결체는 이동 몸체에 의해 점점 접히며, 몸체의 일 종단 부분의 반대편인 타 종단 부분에 대응되는 개폐 이동체에서, 이동 몸체는 구동 몸체의 내부에 점점 삽입되도록 이동되고 이동 연결체는 펼쳐지며, 구동 몸체는 복원력을 축적하면서 팽창되도록 변형되어, 개폐홀들과 가이드 개구들에 대응되지 않아, 개폐 몸체는 가이드 개구들을 폐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베개.
  10. 제7항에 있어서,
    보조 유도체의 외측면에는 가이드 공간의 입구의 크기의 5% 내지 10%의 크기를 갖는 배출 개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베개.
KR1020210142515A 2021-10-25 2021-10-25 기능성 베개 KR1026076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42515A KR102607608B1 (ko) 2021-10-25 2021-10-25 기능성 베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42515A KR102607608B1 (ko) 2021-10-25 2021-10-25 기능성 베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58829A true KR20230058829A (ko) 2023-05-03
KR102607608B1 KR102607608B1 (ko) 2023-11-29

Family

ID=863806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42515A KR102607608B1 (ko) 2021-10-25 2021-10-25 기능성 베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07608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84345A (ko) * 1998-05-04 1999-12-06 김동식 송풍 베개
KR101614621B1 (ko) * 2014-12-12 2016-04-21 남문식 체형교정 건강베개
KR20170052359A (ko) * 2015-11-04 2017-05-12 광주광역시 남구 향 배출을 조절하는 베개
CN111195038A (zh) * 2020-02-27 2020-05-26 国家康复辅具研究中心 一种有效支撑头颈部和上背部脊椎的矫形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84345A (ko) * 1998-05-04 1999-12-06 김동식 송풍 베개
KR101614621B1 (ko) * 2014-12-12 2016-04-21 남문식 체형교정 건강베개
KR20170052359A (ko) * 2015-11-04 2017-05-12 광주광역시 남구 향 배출을 조절하는 베개
CN111195038A (zh) * 2020-02-27 2020-05-26 国家康复辅具研究中心 一种有效支撑头颈部和上背部脊椎的矫形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07608B1 (ko) 2023-11-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824013A (en) Spinal brace for correcting lordosis
US20140020184A1 (en) System and Method for an Adjustable Cervical Contour Pillow
JP4484842B2 (ja)
EP1700544A1 (en) A support for supporting the neck and head of an individual
US20200375382A1 (en) Pillow for healthy ergonomic positioning of the neck and spine
CN105935231A (zh) 曲度枕
JP2011067260A (ja)
US20210068561A1 (en) Support utility cushion for head, neck, and body
US20200337479A1 (en) Orthopedic cushion
KR102382157B1 (ko) 경추교정 운동기구
US20100319132A1 (en) Portable cushion device for improving posture
KR20230058829A (ko) 기능성 베개
JP2010535061A (ja) 椅子背もたれ用メモリ装置
US20160073802A1 (en) Multi-position multi-purpose pillow
KR101520403B1 (ko) 경추교정 및 코골이 개선에 효과적인 자가 높이 조절식 기능성 숙면 베개
KR20200096437A (ko) 수면자세에 따라 높낮이가 조절되는 베개
CN206197629U (zh) 三辨曲度枕
KR102642045B1 (ko) 스마트한 받침 기능을 갖는 베개
KR102426779B1 (ko) 숙면 및 목과 허리 디스크 자세 교정을 위한 기능성 베개
US6739007B1 (en) Air filled therapeutic pillow
KR102103079B1 (ko) 겨드랑이 베개
US20150007392A1 (en) Ergonomic Body Support
KR102548974B1 (ko) 베개
KR102653645B1 (ko) 요추전만 지지를 위한 허리베개
KR20210108556A (ko) 등, 흉부, 목 부위에 동시에 작용하는 복합 스트레칭 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