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58524A - 토양 제거를 위한 토목 기계 및 토목 공학 방법 - Google Patents

토양 제거를 위한 토목 기계 및 토목 공학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58524A
KR20230058524A KR1020237011477A KR20237011477A KR20230058524A KR 20230058524 A KR20230058524 A KR 20230058524A KR 1020237011477 A KR1020237011477 A KR 1020237011477A KR 20237011477 A KR20237011477 A KR 20237011477A KR 20230058524 A KR20230058524 A KR 2023005852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chine
carrier structure
removal device
modules
civil enginee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114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레온하르트 바이슬러
Original Assignee
바우어 머쉬넨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바우어 머쉬넨 게엠베하 filed Critical 바우어 머쉬넨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2300585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5852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18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digging wheels turning round an axis, e.g. bucket-type wheels
    • E02F3/2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digging wheels turning round an axis, e.g. bucket-type wheels with tools that only loosen the material, i.e. mill-type wheels
    • E02F3/205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digging wheels turning round an axis, e.g. bucket-type wheels with tools that only loosen the material, i.e. mill-type wheels with a pair of digging wheels, e.g. slotting machin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13Foundation slots or slits; Implements for making these slots or sli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46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reciprocating digging or scraping elements moved by cables or hoisting ropes ; Drives or control devices therefor
    • E02F3/47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reciprocating digging or scraping elements moved by cables or hoisting ropes ; Drives or control devices therefor with grab buckets
    • E02F3/475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reciprocating digging or scraping elements moved by cables or hoisting ropes ; Drives or control devices therefor with grab buckets for making foundation slo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96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arrangements for alternate or simultaneous use of different digging elements
    • E02F3/962Mounting of implements directly on tools already attached to the machin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leontology (AREA)
  • Excavating Of Shafts Or Tunne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적어도 2개의 기계모듈로 구성되는 제거장치와, 제거장치를 매달아 수직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캐리어 구조물을 포함하는 다수의 기계모듈로 구성되는 토양 제거용 토목기계에 관한 것이다. 지면에 구멍을 형성하기 위해 사람이 적어도 두 개의 기계 모듈을 따라 수평으로 통과할 수 있도록 하는 대인 통로가 적어도 두 개의 기계 모듈에 형성된다.

Description

토양 제거를 위한 토목 기계 및 토목 공학 방법
본 발명은 청구항 1에 따른 토양 제거를 위한 토목 기계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청구항 13에 따른 된 토목 기계로 흙을 제거하는 토목 방법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어 DE 10 2004 013 790 A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지면에 트렌치 또는 시추공을 생성하기 위해 토목 기계를 제공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 트렌치 커터가 마스트(mast) 는 붐(boom) 위에 수직적으로 조정 가능한 방식으로 배치된다. 이러한 캐리어 장치 위의 마스트(mast) 는 붐(boom)의 높이는 일반적으로 15m 내지 30m 이상이다. 마스트의 높이는 주로 트렌치 커터의 높이에 의해 결정된다.
이러한 토목 기계는 최대 100m 이상의 깊이에 도달할 수 있는 트렌치 벽 또는 차단 벽을 생성하는 데 사용된다. 이러한 트렌치 벽 또는 절단 벽은 예를 들어 굴착 피트(excavation pits)를 지원하거나 지하수 장벽(groundwater barrier)을 생성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커터(절단기)로 천연 자원을 추출하는 것도 가능하다.
경우에 따라 터널에서 시작하거나 제한된 공간 조건에서 구조물 내부 또는 구조물 근처에 차단벽을 생성해야 한다. 높은 마스트와 대형 트렌치 커터가 있는 캐리어 장치는 이러한 용도에 사용할 수 없다.
트렌치를 생산하기 위한 소형 토목 기계는 EP 05 18 297 B1에 알려져 있다. 이 토목 기계에는 프레임과 붐이 있는 레일 가이드 캐리지(rail-guided carriage)가 있으며 트렌치 커터의 수직 길이보다 약간 높다. 서스펜션 케이블과 연결 케이블용 케이블 릴과 공급 호스용 호스 릴은 지면에 가까운 캐리어 프레임에 장착된다. 트렌치 커터는 커팅 휠, 드라이브, 펌프와 같은 필수 구성 요소로 제한되며 가이드 프레임은 크기가 작다.
추가 소형 토목 기계는 EP 3 208 384 B1에서 찾을 수 있다. 이 기계에서 소형 트렌치 커터는 나란히 배치된 두 개의 캐리어 장치로 형성되는 요크 아래에 조정 가능하게 장착된다. 두 캐리어 장치는 피벗 조인트(pivot joint)를 통해 연결된다.
이러한 공지된 소형 토목 기계에서 전개 높이는 주로 트렌치 커터의 높이에 의해 제한된다. 커팅 휠, 드라이브, 펌프, 특히 가이드 프레임에 특정 크기가 필요하기 때문에 트렌치 커터는 임의로 작게 만들 수 없다.
커팅 휠의 커팅 톱니를 교체하기 위한 유지보수 시간을 줄일 수 있는 트렌치 커터가 DE 60 2004 008 375 T2에 알려져 있다. 이는 개별 절단 치아(cutting teeth)가 아닌 커터 프레임의 전체 절단 헤드를 변경하여 달성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특히 협소한 공간 조건에서도 효율적인 작업이 가능한 토양 제거를 위한 토목 기계 및 토목 공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은 한편으로는 청구항 1에 따른 토목 공학 기계에 의해, 다른 한편으로는 청구항 13에 따른 토목 공학 방법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정 실시예는 각각의 종속항에 나타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적어도 2개의 기계 모듈로 구성되는 제거 장치와 제거 장치를 수직 방향으로 매달아 이동시켜 구멍을 형성하기 위한 캐리어 구조물로 설계된 토목 기계가 제공된다. 사람이 적어도 2개의 기계 모듈을 따라 수평으로 통과할 수 있도록 하는 대인 통로가 적어도 2개의 기계 모듈에 형성된다.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은 적어도 2개의 기계 모듈 및 선택적으로 토목 기계의 추가 구성요소를 가진 제거 장치를 운반 가능한 콤팩트 기계 모듈로 설계하는 것으로 간주될 수 있다. 또한, 구멍을 형성하기 위해 수직 방향으로 제거 장치를 매달고 이동시키기 위한 캐리어 구조물이 제공되며, 캐리어 구조물은 별도의 기계 모듈을 운반하기 위한 가이드 장치를 추가로 갖는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완전히 사용 가능한 제거 장치를 홀이 생성될 작업 영역으로 운반할 필요가 더 이상 없다. 오히려, 본 발명에 따르면, 제거 장치는 기계 모듈로 분리되어 작업 영역으로 운반되며, 작업 영역에서만 조립되어 제거 장치를 형성합니다. 토목 기계용 공급 장치, 콘크리트 타설 모듈 또는 강화 통합용 모듈과 같은 추가 구성 요소도 기계 모듈로 설계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캐리어 구조물은 적절한 가이드 또는 운송 장치로 설계된다. 캐리어 구조물의 전체 높이는 바람직하게는 즉시 사용 가능한 제거 장치의 높이보다 작을 수 있다. 캐리어 구조물은 기계 모듈의 높이와 같거나 더 높기만 하면 된다.
따라서 원칙적으로 조립된 제거 장치의 높이보다 훨씬 낮은 매우 낮은 작업 높이만 가능한 작업 현장에서도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이것은 특히 약 1m에서 4m 깊이의 소위 가이드 트렌치가 작업 영역에 준비되어, 제거장치가 조립될 때 하나 이상의 기계 모듈이 이미 가이드 트렌치에 배치될 수 있는 경우에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토목 공학 기계는 5m 미만, 심지어 3m 미만일 수 있는 매우 낮은 헤드룸(headroom)을 갖는 건물 및 작업 현장에 배치될 수 있다. 기계 모듈 내부 또는 표면에 형성된 대인 통로를 기반으로, 특히 기계 모듈이 터널의 전체 단면을 가로질러 확장되는 터널에서도 배치가 가능하다. 예를 들어 유지보수 목적으로 작업자의 안전한 통과는 이러한 방식으로 보장될 수 있다. 또한 기계 모듈의 제한된 터널 단면을 완전히 또는 대부분 채울 수 있다. 이를 통해 제한된 공간을 매우 잘 활용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개별 모듈의 측면을 클래딩하거나 측면으로 또는 완전히 밀폐된 컨테이너로 직접 구현하여 건설 활동이 야외에서 작동하는 경우에도 환경으로부터 보호되도록 할 수 있다. 대인 통로는 바람직하게는 모듈 클래딩 내부에 위치한다.
원칙적으로 대인 통로는 개별 기계 모듈에만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발전에 따르면, 대인 통로가 모든 기계 모듈에 형성되는 것이 특히 편리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커팅 휠을 갖는 제1 기계 모듈 및 적어도 하나의 구동 유닛을 갖는 제2 기계 모듈이 제공된다. 이 경우 제거 장치는 트렌치 커터로 설계된다. 제1 기계 모듈은 커팅 휠과 커팅 휠의 베어링이 베이스 지지대에 있는 트렌치 커터의 하부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기계 모듈은 바람직하게는 펌프 장치를 위한 적어도 하나의 드라이브 유닛을 포함하며, 이는 특히 절취된 토양 물질을 포함하는 서스펜션을 플러시 및/또는 펌핑 아웃하도록 설계된다.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로, 이 구동 장치 또는 추가 구동 장치는 커팅 휠용일 수도 있다. 제거 장치는 오물을 제거하기 위한 임의의 장치일 수 있다. 제거 장치는 바람직하게는 트렌치 커터, 파지 장치 또는 드릴링 장치, 특히 인-더-홀 드릴(in-the-hole drill)을 포함한다.
콤팩트한 실시예에서, 홀에서 제거 장치를 안내하고 조정하기 위한 가이드 요소는 또한 제2 기계 모듈에 배열될 수 있다. 특히, 벽에 대해 제거 장치를 조정하기 위해 조정 실린더를 통해 실현 가능한 확장 가능한 조정 요소가 제공될 수 있다.
제거 장치는 원칙적으로 다양한 기능을 가질 수 있는 복수의 추가 기계 모듈로 구성될 수 있다. 가이드 프레임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추가 기계 모듈이 제공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가이드 프레임은 구멍의 벽을 따라 지지하고 안내하기 위한 베어링 요소가 있는 비계와 같은 프레임의 형태로 순전히 수동적일 수 있다. 이러한 판형 요소는 구멍, 특히 트렌치 또는 시추공에서 상대적인 위치 변경을 가져오도록 조정 가능할 수도 있다. 원칙적으로, 가이드 프레임을 갖는 이러한 기계 모듈은 다수 배열될 수 있으며, 여기서 가이드 프레임의 높이가 증가함에 따라 제거 장치의 가이드 정밀도 및 가이드 안정성이 증가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제한된 전체 높이에서도 최대 100m 이상의 깊은 구멍을 우수한 가이드 정밀도로 생성할 수 있다.
원칙적으로, 적어도 하나의 기계 모듈, 바람직하게는 상부 또는 하부 모듈에는 캐리어 장치에 배열되며, 이를 통해 제거 장치는 서스펜션 케이블 또는 막대형 캐리어 장치를 통해 캐리어 구조물에 고정된다.
본 발명에 따른 제거 유닛의 효율적인 작동을 위해, 캐리어 구조물이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 레일을 갖는 것이 유리하며, 가이드 레일을 따라 개별 기계 모듈이 홀에 대해 횡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장착된다. 따라서 캐리어 구조물은 제거 장치를 전진 방향으로 수직 이동할 뿐만 아니라 개별 기계 모듈이 전진 방향에 대해 횡방향으로도 이동될 수 있게 한다. 이를 통해 특히 가로 또는 가로 방향 터널에서 개별 기계 모듈로의 효율적인 운반 및 제거와 편리한 조립 및 분해가 가능하다.
적절한 베어링을 사용하면 원칙적으로 수동 이동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발전에 따르면, 위치결정 장치가 기계 모듈을 이동시키기 위한 이동 드라이브를 갖는 것이 특히 편리하다. 예를 들어 기어 랙을 따라 이동하는 스프로킷이 있는 모터일 수 있습니다. 케이블 윈치 또는 선형 조정 실린더 또는 다른 적절한 구동 수단을 갖춘 케이블 작동 메커니즘도 제공될 수 있다. 드라이브는 바람직하게는 전기적으로 또는 유압식으로 작동될 수 있다.
기계 모듈은 원칙적으로 가능한 한 빠른 해제 및 연결을 허용하는 적절한 방식으로 연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발전에 따르면, 여기에서 기계 모듈이 종방향 또는 제거 방향에 대해 횡방향 및/또는 종방향으로 배향되는 연결 표면을 갖는 것이 특히 유리하다. 이것은 가능한 한 큰 연결 표면을 생성하여 개별 기계 모듈 사이에 특히 안정적인 연결을 허용한다. 제거 장치 자체를 위한 기계 모듈 외에도 제거 장치와 별도로 공급 장치 또는 유지 장치를 위한 추가 기계 모듈이 제공될 수 있다.
이 경우 해제 가능한 연결 장치가 연결 표면에 배치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연결 장치는 먼저 기계 모듈을 함께 안정적이고 단단하게 결합하기 위한 기계적 연결 장치이다. 또한, 연결 장치는 예를 들어 전력 및 데이터 전송을 위해 공급 호스 및 라인을 연결하기 위한 장치를 포함할 수도 있다. 빠른 연결 장치도 원칙적으로 제공될 수 있다. 이들은 손으로 또는 조정 실린더와 같이 적절하게 구동되는 액추에이터를 통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작동될 수 있다. 그러나 공급 장치와 기계 모듈 사이의 라인은 바람직하게는 분리되지 않으므로 제거 장치가 조립될 때 연결될 필요가 없다. 특히 각 기계 모듈은 직접 회선 연결을 통해 자체 공급 장치를 할당할 수 있다. 연결 장치는 바람직하게는 기계 모듈의 대인 통로 근처에 있다.
원칙적으로 캐리어 구조물 전체는 강철 빔으로 컴팩트한 방식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캐리어 구조물은 작업 영역에만 위치한다. 토목 기계의 특히 효율적인 작동 모드는 인접한 구멍이 도입되는 작업 영역을 따라 캐리어 구조물이 연장된다는 점에서 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구멍을 생성한 후, 제거 장치는, 작업 영역에서 두 번째 또는 추가 구멍을 생성하기 위해, 개별 기계 모듈을 분해하고 제거 유닛을 형성하기 위해 다시 조립함으로써 캐리어 구조물을 따라 이동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옹벽이나 차단벽에 바람직한 연속 트렌치는 이러한 방식으로 효율적인 방식으로 생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제거 유닛을 수직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호이스팅 유닛이 캐리어 구조물 상에 배치된다. 호이스팅 유닛은 서스펜션 케이블이 있는 윈치 장치 또는 텔레스코픽 로드 어셈블리로 설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호이스팅 장치에는 로터리 드라이브와 같은 적절한 리프트 드라이브가 있다. 이는 전기 또는 유압식으로 작동될 수 있다. 호이스팅 장치 자체는 모듈 방식으로 쉽게 해제 및 조정 가능한 모듈로 캐리어 구조물에 장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현수 케이블은 호이스팅 유닛의 윈치 장치로부터 캐리어 구조물의 상부 영역을 따라 제거 장치로 적어도 하나의 대응하는 풀리를 통해 안내될 수 있고, 거기에 해제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풀리는 캐리어 구조물에 이동 가능하게 장착된 롤러 슬라이드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개선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호스 릴 및/또는 라인 릴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공급 유닛이 캐리어 구조물 상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마찬가지로 하나 이상의 공급 유닛은 쉽게 해제 및 이동 가능한 기계 모듈로서 캐리어 구조물에 장착될 수 있다. 호스는 서스펜션 또는 유압유를 제거 장치로 운반 및 배출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라인 릴의 라인은 전력, 유압 유체 또는 데이터 라인을 전송하도록 설계할 수 있다. 호이스팅 유닛 및 공급 유닛은 기계 모듈 또는 유닛에 공통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캐리어 구조물은 원칙적으로 임의의 설계일 수 있다. 캐리어 구조물은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 레일이 지면으로부터 일정 거리에 유지되는 수직 스트러트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방식으로 기계 모듈은 하나 이상의 평행 가이드 레일을 따라 캐리어 구조물을 따라 안정적으로 이동하고 작업 현장에서 조립할 수 있다. 개별 기계 모듈은 호이스팅 유닛, 특히 현수 케이블을 부착하기 위한 고정 지점을 가질 수 있어, 개별 기계 모듈이 가이드 트렌치 안으로 또는 구멍 밖으로 들어 올려진 다음 캐리어 구조물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캐리어 구조물 자체는 케이싱을 형성하는 하나 이상의 컨테이너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실질적으로 동일한 높이를 갖는 적어도 2개의 기계 모듈로 구성되고, 적어도 2개의 기계 모듈은 제거 장치의 전진 방향에 대해 횡방향으로 배향되는 대인 통로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 제거 장치는 전술한 토목 기계에 바람직하게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발전에 따르면, 기계 모듈의 높이가 3m를 초과하지 않는다는 사실에 의해 특히 우수한 이동성이 달성된다. 따라서 기계 모듈은 기본적으로 도로 운송에 적합한 표준 또는 적어도 소위 하이 큐브 컨테이너에 운송 목적으로 수용될 수 있다. 그런데, 본 발명에 따른 기계 모듈의 콤팩트한 높이는 터널이나 기타 제한된 공간에 배치할 수 있게 한다. 터널이 토목 기계의 사용을 위해 특별히 생성된 경우, 더 작은 터널 단면이 공지된 토목 기계에 필요한 큰 터널 단면보다 생산하기에 더 비용 효율적이다. 하나 이상의 표준 또는 하이 큐브 컨테이너는 트렌치 커터 사용을 위한 케이싱 또는 하우징으로 제공될 수도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첫째로 운송이 더욱 단순화되고 둘째로 예를 들어 야외에서 작업할 때 건설 활동이 환경으로부터 보호된다. 대인 통로 덕분에 작업자는 컨테이너 벽의 보호를 떠나지 않고도 컨테이너 라인 내에서 모든 모듈로 이동할 수 있다. 따라서 불리한 기상 조건에서도 신속한 공사 진행이 가능하다.
대인 통로는 원칙적으로 개방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고 기계 모듈의 제1 측면에서 기계 모듈의 반대쪽으로 연장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토목 기계의 모든 인접 기계 모듈 상의 대인 통로는 사람이 한 기계 모듈에서 다른 기계 모듈로 이동할 수 있도록 인접한 상태에서 통로가 서로 인접하는 방식으로 설계된다. 대인 통로는 개별 기계 모듈의 측면 영역 또는 내부 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특히 내부 영역에 구현될 때, 본 발명의 개선에 따라 대인 통로를 폐쇄하기 위해 하나 또는 두 개의 도어가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제거 장치를 형성하기 위해 제공되는 기계 모듈의 경우, 대인 통로는 도어로 단단히 닫힐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트렌치의 서스펜션이 대인 통로에 들어가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수평 대인 통로의 경우, 바람직하게는 격자형 보행 격자가 대인 통로에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토목기계로 흙을 제거하는 토목공법은 가이드장치를 구비한 캐리어 구조물을 배치하고, 상기 캐리어 구조물에 제거장치를 배치하여 지면을 향해 수직으로 하강시키는 방법을 제공한다. 여기서 구멍을 형성하기 위해 작업 영역에서 토양 물질이 제거되고, 제거 장치는 가이드 장치를 통해 서로 별도로 작업 영역으로 이송되는 적어도 2개의 기계 모듈로 구성되고, 제거 장치를 형성하기 위해 작업 영역에서 서로 연결되고, 대인 통로가 적어도 2개의 기계 모듈 내 및/또는 상에 형성되고, 대인 통로를 통해 사람이 캐리어 구조물 내부에서 적어도 2개의 기계 모듈을 통해 수평으로 통과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토목 기계의 조립 및/또는 작동 중에 작업자가 개별 모듈 또는 작업 현장에 안전하게 접근할 수 있다.
전술한 이점은 본 발명에 따른 방법으로 달성될 수 있다. 그런 다음 제거 장치는 원칙적으로 다시 구성된 트렌치 밖으로 끌어내어 반대 방식으로 분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특히 유리한 방법 변형은 적어도 2개의 인접한 구멍을 생성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으로 간주될 수 있으며, 여기서 제1 구멍을 생성한 후 제거 장치는 제1 구멍에서 인출되고 기계 모듈은 분리되며 다음을 형성하기 위해 추가 구멍에서 기계 모듈은 가이드 장치를 따라 이동하고 다시 함께 연결되어 제거 장치를 형성한 다음 토양 물질을 제거하는 동안 지면으로 내려간다. 이 방법을 사용하면 한정된 공간에서도 상대적으로 깊은 깊이로 여러 개의 구멍을 효과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의미 내에서, 트렌치 또는 시추공일 수 있는 인접한 구멍은 나란히 바로 인접하게 위치할 필요는 없다. 예를 들어 백스텝 방법을 사용하여 옹벽을 생성하기 위한 기본 또는 보조 구멍일 수도 있다. 이 경우 개별 단계는 필요한 만큼 자주 반복될 수 있으며, 작업이 진행됨에 따라 캐리어 구조물은 선택적으로 가이드 장치와 함께 작업 영역을 따라 조정되거나 이동될 수 있다.
이 방법은 원칙적으로 모든 작업 현장에서 수행할 수 있다. 특히 유리하게는, 본 발명의 개발에 따르면, 캐리어 구조물은 터널 내부의 지면에 배치된다. 따라서 이 방법은 매우 제한된 공간 조건에서 지상의 터널 내부에서 수행될 수 있다. 따라서 이 방법은 예를 들어 그 목적을 위해 만들어진 소위 마이크로 터널 아래에 위치한 천연 자원을 추출하는 데에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발전에 따르면, 구조물, 특히 옹벽을 지면에 형성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구멍이 결합 가능한 서스펜션으로 채워져 옹벽을 형성하도록 경화되는 것이 제공된다. 결합 가능한 현탁액으로 채우는 것은 소위 1상 방법으로 제거 공정 동안 또는 후속적으로 소위 2상 방법으로 고정 현탁액을 결합 가능한 현탁액으로 교체하여 발생할 수 있다.
결합 가능한 현탁액을 생성하기 위해, 제거된 토양 물질의 적어도 한 부분을 사용하고 결합 가능한 액체와 혼합하여 구멍에서 직접 또는 구멍 외부의 처리 공장에서 결합 가능한 현탁액을 형성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토목 기계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토목 기계의 정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토목 기계의 측면도이다.
도 4는 도 1 내지 도 3에 따른 토목 기계의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1에 따른 본 발명에 따른 토목 기계의 캐리어 구조물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1의 토목 기계의 제1 기계 모듈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1의 토목 기계의 제2 기계 모듈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토목 기계용 이동 슬라이드의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토목 기계용 호스 릴을 구비한 공급 유닛의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토목 기계용 라인 릴을 구비한 다른 공급 유닛의 사시도이다.
도 11은 사용 중인 본 발명에 따른 토목 기계의 정면도이다.
도 12는 도 11의 토목 기계의 개략적인 측단면도이다.
도 13은 제거 장치가 조립된 도 11의 발명에 따른 토목 기계의 정면도이다.
도 14는 도 13의 토목 기계의 측면도이다.
도 15는 절단 공정의 시작에서 도 11 내지 14의 토목 공학 기계의 정면도이다.
도 16은 도 15의 토목 기계의 측면도이다.
도 17은 내부 대인 통로가 있는 본 발명에 따른 기계 모듈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도면에 개략적으로 도시된 바람직한 예시적인 실시예를 참조하여 아래에서 더 상세히 설명된다.
도 1 내지 도 4는 대략 원형 터널 단면을 갖는 터널에 설치하도록 설계된 본 발명에 따른 토목 기계(10)의 도면을 도시한다. 도 1 내지 도 4에 따른 토목 공학 기계(10)는 본 발명에 따른 절단 공정이 수행되기 전에 휴지 또는 초기 위치에 있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토목 기계(10)는 비계형(scaffold-like) 캐리어 구조물(20)을 가지며, 이는 도 5에 더 상세히 도시되어 있다. 캐리어 구조물(20)은 세로 및 가로 빔으로 구성된 격자형 바닥 지지대(21)를 포함한다. 또한, 지붕 영역(23)이 제공되며, 이는 그리드 또는 사다리 방식으로 구성되고 복수의 수직 스트러트(struts)(22)에 의해 바닥 지지대(21)에 의해 지지된다. 가이드 레일(25)을 갖는 가이드 장치(24)의 기능은 아래에서 더 자세히 설명되며 지붕 영역(23)과 바닥 지지대(21)를 따라 구현될 수 있다. 바닥 지지대(21)와 지붕 영역(23) 모두의 종방향 빔은 위치 결정 장치의 가이드 레일(25)을 형성할 수 있다. 쌍으로 배열되고 횡방향 빔의 영역에서 각각 바닥 지지대(21)와 지붕 영역(23)을 연결하는 수직 스트러트(22)는 서로에 대해 실질적으로 균일한 거리로 배열될 수 있다. 캐리어 구조물(20)의 중앙 영역에서 제거 장치를 조립 및 분해하기 위한 커팅 섹션(28)은 이에 대한 예외를 형성할 수 있다. 트렌치 커터를 위한 바닥 통로(29)는 이 커팅 섹션(28)에서 바닥 지지대(21)에 형성되며, 여기서 수직 스트러트(22)는 더 이격된다. 원칙적으로, 이러한 바닥 통로(29)는 모든 쌍의 수직 스트러트(22) 사이에 제공될 수 있다. 통로 격자(14)를 지지하는 역할을 하는 측면으로 돌출된 스트러트(12)은 바닥 지지대(21)에 형성된다. 하나 또는 두 개의 측면 대인 통로(18)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런 식으로. 대인 통로(18)는 기계 모듈(40, 50)이 터널 단면을 가로질러 충분히 또는 크게 연장하는 경우 기계 모듈(40, 50)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기계 모듈(40)은 정지 또는 초기 상태에서 커팅 섹션(28)에 배열된다. 제1 기계 모듈(40)은 커팅 휠(42)이 배열된 베이스 프레임(44)을 갖는다. 제1 기계 모듈(40)은 캐리어 구조물(20)의 종방향으로 상부 가이드 레일(25)을 따라 베이스 프레임(44)에 의해 이동 가능하도록 장착된다.
제1 기계 모듈(40)의 측면에는 마찬가지로 제2 기계 모듈(50)이 가이드 프레임(54)에 의해 위치 결정 장치(26)의 상부 가이드 레일(25)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장착된다. 그 안에 장착된 드라이브 유닛(52)을 구비한 제2 기계 모듈은 2개의 케이블(64)에 매달려 있다. 케이블(64)은 호이스팅 유닛(60)의 윈치(62)에 의해 상부 지붕 영역(23)을 따라 포지셔닝 슬라이드(27)로 안내되고, 여기서 케이블(64)은 풀리를 통해 제2 기계 모듈(50)로 안내되고 해제 가능하게 부착된다. 트렌치 커터를 올리고 내리는 호이스팅 기능에 더하여, 케이블(64)은 또한 상부 가이드 레일(25)을 따라 적어도 제2 기계 모듈(50)의 종방향 이동을 위한 위치 결정 장치(26)의 일부일 수 있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토목 기계(10)에서, 복수의 라인(84)을 위한 회전 가능한 라인 릴(82)을 갖는 제1 공급 유닛(80)은 커팅 섹션(28)과 관련하여 캐리어 구조물(20)의 좌측에 있는 제1 지지 슬라이드(86) 상에 이동 가능하게 장착된다. 라인(84)은 데이터 라인으로서 전류를 위해 또는 커팅 휠(42)을 갖는 제1 기계 모듈(40)에 대한 유압 에너지 또는 압축 공기의 공급을 위해 설계될 수 있다. 도시된 특정 실시예에서, 제1 지지 슬라이드(86)는 지붕 영역(23) 상의 가이드 레일(25)을 따라 그리고 바닥 지지대(21)의 가이드 레일(25)에 의해 종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고 제 위치에 고정 가능하도록 장착된다. 제1 공급 유닛(80)은 제1 기계 모듈(40)에 직접 연결된다.
제2 지지 슬라이드(76)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호스 릴(72) 및 라인 릴(73)을 갖는 제2 공급 유닛(70)이 우측에 도시되어 있다. 윈치(62)의 2개의 윈치 드럼이 또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제2 지지 슬라이드(76)는 상부 지붕 영역(23) 상의 가이드 레일(25)을 따라 종방향으로 이동되고 제자리에 고정될 수 있다. 제2공급 유닛(70)은 제2 기계 모듈(50)을 직접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물론 라인릴(82), 호스릴(72) 및 라인릴(73)이 모두 동일한 공급 유닛(70, 80)에 위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호스 릴(72)의 호스 라인(74)이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되어 있다. 호스 라인(74)은 커팅된 토양 물질을 지지 유체와 함께 방출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라인 릴(73) 상의 추가 라인(75)은 신호를 제어 또는 측정하기 위한 전기 라인일 수 있거나 유압 유체를 공급 및 배출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캐리어 구조물(20)로의 매체의 추가 공급 및 방출은 라인 및 호스를 통해 종래의 방식으로 발생하며 명확성을 위해 도시되지 않았다.
제1 기계 모듈(40)은 도 6에 더 상세히 도시되어 있다. 두 쌍의 커팅 휠(42)은 단면이 대략 U 형인 베이스 프레임(44)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커팅 휠(42)의 각 쌍은 베이스 프레임(44)의 밑면에 부착된 중앙 커팅 플레이트(43)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커팅 휠(42)에는 외측에 알려진 방식으로 토양 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제거 치아(removal teeth)가 마련된다.
중심에 대해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는 2쌍의 커팅 휠(42) 사이에는 지지 유체 또는 커팅 유체에 의해 운반되는 절취된 토양 물질을 추출하기 위한 추출 노즐(45)이 제공된다. 커팅 휠(42)의 각 쌍에 대해 커팅 드라이브(46)가 베이스 프레임(44)에 장착된다. 이 드라이브는 원칙적으로 커팅 휠(42)에 통합될 수도 있다. 나아가 수직 및 수평 표면에는 볼트 연결을 위한 관통 구멍(49)이 제공될 수 있는 제1 연결 표면(48)으로서 베이스 프레임(44) 상에 마련될 수 있다. 리셉터클(41)은 도 10과 관련하여 더 상세히 설명된 바와 같이 제1 공급 유닛(80)에 연결하는 역할을 한다.
도 7은 상자형 가이드 프레임(54)으로 구성된 제2 기계 모듈(50)을 도시한다. 가이드 프레임(54)의 단면은 대략 제1 기계 모듈(40)의 절단 단면에 대응하며, 제거 장치로서의 트렌치 커터가 가이드 프레임(54)을 통해 트렌치에서 자체적으로 가이드 한다. 위치 수정을 위해 유압 실린더를 통해 일반적으로 알려진 방식으로 조정 가능하고 트렌치 벽과 관련하여 특정 위치 조정이 가능한 판형 조정 요소(56)가 제공된다.
가이드 프레임(54)에는 제2 연결면(58)이 제공되어 제1 기계 모듈(40)의 제1 연결면(48)에 정확한 위치 연결이 가능하다. 펌프 장치 형태의 드라이브 유닛(52)이 펌프 장치 형태로 가이드 프레임(54) 내부에 장착된다. 가이드 프레임(54)의 상부 중앙 영역에는 서스펜션 케이블을 부착하기 위한 고정 장치(55)가 마련된다.
제1 기계 모듈(40)과 제2 기계 모듈(50)은 기계적으로 상호 연결될 수 있다.
전술한 포지셔닝 슬라이드(27)는 도 8에 보다 상세하게 도시되어 있다. 이것은 슬라이드 프레임(34)을 가지며, 그 외측에는 4개의 가이드 롤러(35)가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가이드 롤러(35)는 캐리어 구조물(20) 상의 가이드 장치(24)의 가이드 레일(25) 상에서 또는 가이드 레일(25) 내에서 선형 방식으로 포지셔닝 슬라이드(27)를 가이드 한다.
가이드 롤러(35)는 서로 대향하는 쌍으로 배열되며, 두 쌍 사이에는 간격이 있으며, 두 쌍 사이에는 제2 기계 모듈(50) 및 트렌치 커터를 전체적으로 고정하기 위한 케이블(64)용 2개의 측방향 대향 풀리(36)가 배열된다. 풀리(36)는 윈치(62)로부터 대략 수평으로 안내되는 케이블(64)을 수직 아래로 방향을 바꾼다. 대략 사분면 모양의 아치형 호스 가이드(37)는 슬라이드 프레임(34)에 배열되어 제2 공급 유닛(70)으로부터 호스 라인(74)과 라인(75)의 방향을 바꾼다. 이러한 호스 가이드(37)는 수평방향으로 이동한 호스 라인(74)과 라인(75)을 트렌치 커터에 대한 수직 방향으로 바꾼다.
도 9는 전술한 제2공급 유닛(70)을 보다 상세히 도시한 것이다. 이는 제2지지 슬라이드(76) 구비하고, 제2지지 슬라이드(76)에는 유체용 대형 호스라인(74)용 호스 릴(72)과 2개의 유압호스(75) 및 2개의 전기 라인(75)용 라인 릴(73)이 회전가능하게 장착된다. 또한, 제2지지 슬라이드(76)의 후방 영역에는 서로 평행하게 연장되는 2개의 케이블(64)용 윈치(62)의 윈치드럼이 회전가능하게 장착된다. 4개의 가이드 롤러(35)가 균등하게 분포되고 제2지지 슬라이드의 2개의 측벽을 따라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제2 공급 유닛(70)은 가이드 롤러(35)에 의해 캐리어 구조물(20)의 지붕 영역(23)에서 가이드 레일(25)을 따라 종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장착된다.
도 10에 도시된 제1 공급 유닛(80)은 유사한 방식으로 설계된다. 이것은 라인 릴(82)이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제1 지지 슬라이드(86)를 포함한다. 제1 지지 슬라이드(86)는 캐리어 구조물(20)의 루프 영역(23) 상의 가이드 레일(25)을 따라 선형 방식으로 안내되는 3개의 상부 가이드 롤러(35)를 갖는 각 측면 부분에 제공된다. 제1 지지 슬라이드(86)의 하부 영역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2개의 측면 지지 롤러(38)는 바닥 지지대(21)의 가이드 레일(25)에 안착되고 그들을 따라 선형 방식으로 안내된다.
제1 지지 슬라이드(86)의 단부면에는 사분면 형상의 아치형 리턴 가이드(88)가 있으며, 이를 통해 라인 릴(82)로부터의 라인은 수평에서 트렌치 커터를 향하는 수직으로 방향이 바뀔 수 있다.
인터로킹 메커니즘(89)은 제1 기계 모듈(40) 상의 리셉터클(41)(도 6 참조)에 도입됨으로써 예를 들어 유압 실린더에 의해 수평으로 확장됨으로써제1 기계 모듈(40)에 연결하는 역할을 한다. 1개 또는 2개의 유압 실린더를 포함할 수 있는 호이스팅 장치(90)를 사용하여, 예를 들어 제1 기계 모듈(40)은 가이드 트렌치로 하강할 수 있거나 트렌치 완료 시 다시 상승할 수 있다.
도 11 내지 도 16과 관련하여, 제한된 공간 조건에서 트렌치를 커팅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토목 기계(10)의 사용 및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성능이 더 상세히 설명된다.
도 11은 지면의 튜브형 터널(5)에 본 발명에 따른 토목 기계(10)의 배열을 도시하며, 도 12에 따른 부분 단면도에서 튜브형 터널은 원형 터널 단면을 갖는다. 튜브형 터널(5)에 토목기계(10)를 도입하기 전에 튜브형 터널(5)의 바닥에 단단한 가이드 벽(7)을 가지는 가이드 트렌치(6)를 일반적으로 알려진 방법으로 제작한다. 가이드 벽(7)은 콘크리트로 주조되거나 콘크리트 또는 강철로 만들어진 삽입된 가이드 요소로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 트렌치(6)는 1m 내지 5m의 깊이를 가질 수 있으며 굴삭기 또는 블레이드 커터를 사용하여 일반적으로 알려진 방식으로 만들어 진다. 가이드 트렌치(6)는 일반적으로 알려진 방식으로 가이드 벽(7)을 따라 트렌치 커터의 초기 가이드 역할을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경우, 가이드 트렌치는 이하에서 더 상세히 설명되는 바와 같이, 제2 기계 모듈(50)에 제1 기계 모듈(40)을 조립하고 연결하기 위한 조립 공간 역할도 한다.
터널(5)에서 사용되는 토목기계(10)는 전술한 토목기계(10)에 해당하며 비계형 캐리어 구조물(20)을 필수 구성요소로 포함하며, 여기에는 제1 기계 모듈(40), 제2 기계 모듈(50) 및 제1 공급 유닛(80)과 제2 공급 유닛(70)이 선형 이동 방식으로 안내되어 제자리에 유지된다. 캐리어 구조물(20)은 터널(5)에 적합하며, 바닥 지지부(21)가 터널(5)의 바닥에 지지되고 캐리어 구조물(20)의 지붕 영역(23)이 터널(5)의 지붕에 지지된다. 토목기계(10)는 지붕이 아닌 바닥에만 고정(지지)되는 것도 가능하다. 터널(5)은 대략 2m 내지 6m의 직경을 가질 수 있다. 적당한 크기의 터널 단면의 경우, 토목 기계(10)의 측면 지지도 생각할 수 있으며, 측면의 여유 공간은 작업자를 위한 대인 통로(18)로 사용될 수 있다. 대인 통로(18)를 형성하기 위해, 통로 격자(14)는 측방향으로 돌출된 하부 수평 스트러트(12) 상에 놓인다. 수평으로 이격된 기계 모듈의 경우에, 대인 통로(18)는 캐리어 구조물(20)에서 부분적으로 그리고 기계 모듈(40)(50)을 통해서 부분적으로 운영될 수 있다.
제1 단계에서, 도 13에 따르면, 커팅 휠(42)을 갖는 제1 기계 모듈(40)이 인터로킹 메커니즘(89)을 통해 제1 공급 유닛(80)에 연결되고 적어도 부분적으로 호이스팅 장치(90)에 의해 준비된 가이드 트렌치(6) 내로 하강되고, 제2 기계 모듈(50)이 캐리어 구조물(20)을 따라 제1 기계 모듈(40) 위로 푸시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제2 공급 유닛(70)은 제2 기계 모듈(50)에 상응하는 방식으로 이동 및 추적될 수 있다. 이 위치에서, 도 13 및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기계 모듈(40)은 제2 기계 모듈(50)에 조립되고 연결되어 도 15 및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거 장치로서 즉시 사용 가능한 트렌치 커터(30)를 형성할 수 있다.
2개의 기계 모듈(40, 50) 사이의 기계적 연결이 설정되면, 인터로킹 메커니즘(89)을 통해서 제1 기계 모듈(40)과 제1 공급 유닛(80) 사이의 인터로킹이 해제될 수 있다. 그 다음 제거 장치(30)는 커팅 휠(42)이 회전하는 서스펜션 케이블(64)을 통해 지면으로 내려갈 수 있고 토양 물질은 커팅 트렌치를 형성하기 위해 제거될 수 있다. 제2 공급 유닛(70)으로부터의 호스 라인(74) 및 라인(75)은 원칙적으로 제거 장치(30)에 연결될 수 있는 반면, 제1 공급 유닛(80)으로부터의 라인(84)은 영구적으로 연결된다. 그러나 제1 공급 유닛(80)과 제1 기계 모듈(40) 사이의 라인과 제2 공급 유닛(70)과 제2 기계모듈(50) 사이의 라인은 각각 영구적으로 연결되고 조립 중 더 이상 연결될 필요가 없는 것이 바람직하다. 절취된 토양 물질은 펌프 장치의 형태의 구동 유닛(52)을 경유하여 추출 노즐(45)을 통해 펌핑될 수 있고, 호스 라인(74)에 의해 튜브형 터널(5)의 구멍으로서 트렌치 외부로 운반되어 거기에서 튜브형 터널(5)의 외부로 운반될 수 있다.
원하는 최종 깊이에 도달하면, 제거장치(30)는 다시 당겨지고 반대 방식으로 분해될 수 있다. 토목기계(10)를 운반체 구조물(20)과 함께 전체적으로 이동시키거나 기계모듈(40, 50)을 캐리어 구조물(20)을 따라 선형으로 이동시켜 새로운 작업영역으로 이동시킨 후, 제거장치(30)를 재조립하여 새 트렌치 절단을 위한 조립단계가 반복될 수 있다.
캐리어 구조물(20)은 이전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지 하나의 부품으로 설계되거나, 이격되거나 피봇 조인트에 의해 상호 연결된 복수의 부품으로 구성된 다중 부품 구조물로 설계될 수 있다. 제거 장치(30)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스테이션이 제공될 수 있으며, 이는 바람직하게는 캐리어 구조물(20) 상에 또는 제거 장치(30) 부근에 제공된다. 제거 장치(30)는 원칙적으로 제거장치(30) 상에 추출 장치 없이 직접 설계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적절한 추출 장치가 캐리어 구조물(20) 근처에 배열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추출 장치, 특히 펌프가 커팅 휠(42)이 있는 제1 기계 모듈(40) 또는 커팅 휠(42) 바로 위의 제2 기계에 모듈(50)에 배열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토목 기계(10)의 대안적인 실시예가 도 17에 도시되어 있다. 이 경우, 토목 기계(10)의 기계 모듈(50)은 토목 기계의 단면을 거의 완전히 또는 대부분 덮는 단면을 갖는다. 캐리어 구조물(20)은 이 경우 터널(5)을 따라 레일 배열로 설계될 수 있다. 대인 통로(18)를 제공하기 위해 통로가 기계 모듈의 내부에 제공되며, 그 바닥은 운영자 또는 유지 보수 담당자를 위한 통로 격자(14)를 형성한다.

Claims (15)

  1. 복수의 기계모듈(40,50)로 형성되는 토양 제거용 토목 기계로서,
    - 적어도 2개의 기계 모듈(40, 50)로 구성되는 제거 장치(30), 및
    - 지반에 구멍을 형성하기 위하여 제거장치(30)를 수직 진행방향으로 매달아 이동시키는 캐리어 구조물(20)을 구비하고,
    - 상기 캐리어 구조물은 상기 기계 모듈(40, 50)을 진행 방향의 횡방향으로 운반하기 위한 가이드 장치를 추가로 구비하고,
    - 상기 캐리어 구조물(20)의 적어도 2개의 기계 모듈(40, 50)에 대인 통로(18)가 형성되어 사람이 적어도 2개의 기계 모듈(40, 50)을 따라 수평으로 통과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목 기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대인 통로(18)는 사람이 모든 기계 모듈(40, 50)을 따라 수평으로 통과할 수 있도록 모든 기계 모듈(40, 50)에 형성되는 토목 기계.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거 장치(30)는 트렌치 커터, 파지 장치 또는 드릴링 장치를 포함하는 토목 기계.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가이드 프레임(54)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추가 기계 모듈이 제공되는 토목 기계.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캐리어 구조물(20)는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 레일(25)을 가지며, 이를 따라 상기 기계 모듈(40, 50)이 전진 방향으로 연장되는 트렌치에 대해 개별적으로 횡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토목 기계.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기계 모듈(40, 50)을 이동시키기 위한 이동 드라이브를 갖는 위치 결정 장치(26)가 제공되는 토목 기계.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계 모듈(40, 50)은 해제 가능한 연결 장치가 배열된 연결 표면(48, 58)을 갖는 토목 기계.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캐리어 구조물(20)는 작업 영역을 따라 연장하고 그 안에 인접한 트렌치 또는 시추공이 구멍으로서 도입되는 토목 기계.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거 장치(30)를 전진 방향으로 수직 이동시키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호이스팅 유닛(60)이 캐리어 구조물(20) 상에 배열되는 토목 기계.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호스 릴 또는 라인 릴(72, 73, 82)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공급 유닛(70, 80)이 캐리어 구조물(20) 상에 배열되는 토목 기계.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토목 기계(10)용 제거 장치로서,
    상기 제거 장치(30)는 전진 방향으로 실질적으로 동일한 높이를 갖는 적어도 2개의 기계 모듈(40, 50)로 구성되며,
    상기 제거 장치의 상기 적어도 2개의 기계 모듈(40, 50)은 제거 장치(30)의 진행 방향에 대해 횡방향으로 배향되는 대인 통로(18)를 갖는 제거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대인 통로(18)를 측면으로 폐쇄하기 위한 하나 또는 두 개의 도어가 배열되는 제거 장치.
  13.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토목 기계(10)를 갖는 토양 제거를 위한 토목 공학 방법에 있어서,
    - 가이드 장치(24)를 갖는 캐리어 구조물(20)이 배치되고,
    - 제거 장치(30)가 상기 캐리어 구조물(20) 상에 배치되고 지면으로 진행하는 수직 방향으로 하강하며, 작업 영역에서 토양 물질이 제거되어 구멍을 형성하고,
    - 상기 제거 장치(30)는 상기 제거 장치(30)를 형성하기 위해 가이드 장치(24)를 통해 서로 별도로 작업 영역으로 이송되고 상기 작업 영역에서 서로 연결되는 적어도 두 개의 기계 모듈(40, 50)로 구성되고,
    - 상기 캐리어 구조물(20)의 적어도 2개의 기계 모듈(40, 50)에 대인 통로(18)가 형성되고, 이를 통해 사람이 상기 캐리어 구조물(20)에서 적어도 2개의 기계 모듈(40, 50)을 통해 수평으로 통과할 수 있는 토목 공학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제1 구멍을 생성한 후, 적어도 2개의 인접한 구멍이 생성되고, 상기 제거 장치(30)를 상기 제1 구멍으로부터 인출하고, 상기 기계 모듈(40, 50)을 분리하고,
    추가 구멍을 형성하기 위해 기계 모듈(40, 50)은 상기 가이드 장치(24)를 따라 이동하고 다시 함께 연결되어 상기 제거 장치(30)를 형성한 다음 토양 물질을 제거하면서 지면으로 하강하는 토목 공학 방법.
  15. 제13항 또는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캐리어 구조물은 터널(5) 내부의 지면에 배치되는 토목 공학 방법.
KR1020237011477A 2020-10-07 2021-09-15 토양 제거를 위한 토목 기계 및 토목 공학 방법 KR2023005852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20200521.1A EP3981920B1 (de) 2020-10-07 2020-10-07 Tiefbauvorrichtung und tiefbauverfahren zum abtragen von boden
EP20200521.1 2020-10-07
PCT/EP2021/075311 WO2022073736A1 (de) 2020-10-07 2021-09-15 Tiefbauvorrichtung und tiefbauverfahren zum abtragen von bode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58524A true KR20230058524A (ko) 2023-05-03

Family

ID=728013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11477A KR20230058524A (ko) 2020-10-07 2021-09-15 토양 제거를 위한 토목 기계 및 토목 공학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EP (1) EP3981920B1 (ko)
JP (1) JP2023544796A (ko)
KR (1) KR20230058524A (ko)
CN (1) CN116348643A (ko)
WO (1) WO202207373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4357586A1 (de) * 2022-10-19 2024-04-24 BAUER Maschinen GmbH Verfahren und fräsvorrichtung zum abtragen einer bodenschicht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4119210C1 (ko) 1991-06-11 1993-01-21 Bauer Spezialtiefbau Gmbh, 8898 Schrobenhausen, De
FR2856088B1 (fr) 2003-06-11 2005-09-09 Cie Du Sol Outil de fraisage pour la realisation de tranchees, permettant un changement rapide de la tete de coupe
DE102004013790A1 (de) 2004-03-20 2005-10-06 Josef Möbius Bau-Aktiengesellschaft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Eintreiben und Ausziehen von stabförmigen Elementen in den oder aus dem Boden
EP2251491B1 (de) * 2009-05-15 2011-08-03 BAUER Maschinen GmbH Fräs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Abtragen von Bodenmaterial
EP3208384B1 (de) 2016-02-17 2018-05-23 BAUER Maschinen GmbH Schlitzwand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erstellen von schlitzen im boden
EP3425123B1 (de) * 2017-07-06 2021-09-01 BAUER Maschinen GmbH Ausleger für eine baumaschin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981920A1 (de) 2022-04-13
EP3981920B1 (de) 2023-08-16
EP3981920C0 (de) 2023-08-16
JP2023544796A (ja) 2023-10-25
WO2022073736A1 (de) 2022-04-14
CN116348643A (zh) 2023-06-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138674A1 (en) A track-mounted elevator top and side bolts and cables drilling machine
KR102621289B1 (ko) 트렌치 벽 커팅 장치 및 지반에 커팅 트렌치를 커팅하는 방법
KR101919920B1 (ko) 지면에 트렌치를 생성하기 위한 다이아프램 벽 장치 및 방법
KR20230058524A (ko) 토양 제거를 위한 토목 기계 및 토목 공학 방법
JP5621026B1 (ja) 低空頭掘削機
CN107059842B (zh) 地下连续墙施工预制墙体配套施工设备及施工方法
JP4747193B2 (ja) 低空頭型掘削装置
CN209941704U (zh) 边坡或挡土墙施工台车
CN110004953B (zh) 一种边坡或挡土墙施工台车
US20240141614A1 (en) Trench wall cutting device and method for cutting a cutting trench in the ground
EP0969152A2 (en) Apparatus for constructing monolithic trench walls or similar
US20040247398A1 (en) Self-propelled all terrain track driven trench box carrier
JP6088093B1 (ja) 低空頭掘削機及び低空頭掘削機における水平フレームの高さ位置調整方法
KR101998180B1 (ko) 지중 연속벽 구축용 파일 드라이버
CN217500362U (zh) 一种矩形截面抗滑桩竖坑掘进施工系统
KR200392277Y1 (ko) 유도레일장치와 협지장치를 구비한 지중 연속벽 구축용파일드라이버
US20210395974A1 (en) Trenching apparatus and a method of trenching
PL176583B1 (pl) Urządzenie do wykonywania wykopów
EP0049925A2 (en) Hydraulic excavator for wells
AU2003244520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xcavating soil material
JPH1088993A (ja) ロックボルト打設機
GB2374884A (en) Excavation apparatus
JP3510197B2 (ja) 掘削混練機
JP5809397B2 (ja) 孔掘削装置
GB2578482A (en) Trenching apparatus and a method of trench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