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57285A - 블랙박스 영상 데이터 검색 및 수집 방법 그리고 장치 - Google Patents

블랙박스 영상 데이터 검색 및 수집 방법 그리고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57285A
KR20230057285A KR1020220135158A KR20220135158A KR20230057285A KR 20230057285 A KR20230057285 A KR 20230057285A KR 1020220135158 A KR1020220135158 A KR 1020220135158A KR 20220135158 A KR20220135158 A KR 20220135158A KR 20230057285 A KR20230057285 A KR 202300572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deo
accident
image
information
black box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351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경호
유영웅
신성웅
이아현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ublication of KR202300572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5728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5/00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vehicles
    • G07C5/08Registering or indicating performance data other than driving, working, idle, or waiting time, with or without registering driving, working, idle or waiting time
    • G07C5/0841Registering performance data
    • G07C5/085Registering performance data using electronic data carriers
    • G07C5/0866Registering performance data using electronic data carriers the electronic data carrier being a digital video recorder in combination with video camera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7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video data
    • G06F16/71Indexing; Data structures therefor; Storage struc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7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video data
    • G06F16/73Query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7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video data
    • G06F16/78Retrieval characterised by using metadata, e.g. metadata not derived from the content or metadata generated manually
    • G06F16/787Retrieval characterised by using metadata, e.g. metadata not derived from the content or metadata generated manually using geographical or spatial information, e.g. lo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70Determining position or orientation of objects or camera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5/00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vehicles
    • G07C5/008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vehicles communicating information to a remotely located stat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7Server based end-user applications
    • H04N21/274Storing end-user multimedia data in response to end-user request, e.g. network record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Library & Information Science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Abstract

블랙박스 영상 데이터 검색 및 수집 방법 그리고 장치가 제공된다. 영상 검색 및 수집 장치가, 영상 요청자 단말로부터 사고 정보를 수신하면, 사고 정보를 기반으로 사용자들 중에서 사고 정보 알림을 수신할 알림 대상자를 식별한다. 그리고 식별된 알림 대상자에 대응하는 영상 제공자 단말로 사고 정보를 전송하고, 이후에 영상 제공자 단말로부터 상기 사고 정보에 대응하는 블랙박스의 영상을 수신하고, 수신된 블랙박스의 영상을 영상 요청자 단말로 전송한다.

Description

블랙박스 영상 데이터 검색 및 수집 방법 그리고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searching and collecting black box image data}
본 발명은 영상 데이터 검색 및 수집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 말하자면, 블랙박스 영상 데이터 검색 및 수집 방법 그리고 장치에 관한 것이다.
차량용 블랙박스의 보급과 활용이 확산되면서 다양한 사이트나 플랫폼 등을 통해 영상 데이터들의 공유가 활발해지고 있다. 영상 제공자가 특정 영상을 업로드하면 다수의 사용자가 해당 영상을 재생하거나 다운로드하는 등의 공유가, 이미 보편화되었다.
차량 운행이나 주차 등 블랙박스가 작동하는 상황에서 기록된 영상들의 특성상 교통사고나 신호위반 등과 관련된 영상들의 공유가 활발한 편이다. 특히 사고 현장의 상황이 잘 기록된 영상은 사고의 발생 원인이나 가해자의 식별, 그리고 과실 비율의 판단에 매우 중요한 증거 자료로 활용되고 있다. 특히 차대차 사고가 아닌 뺑소니 등과 같은 인사 사고의 경우 해당 영상의 중요성은 더욱 커지게 된다.
그러나, 교통사고를 포함하여 중요한 사건이나 사고 상황이 발생하였을 때, 여러 이유로 인해 영상이 저장되지 않았거나, 저장이 되었더라도 해당 상황이 제대로 촬영되지 못한 경우 또한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
이 경우, 당사자(특히 피해자)는 문제 해결을 위해 해당 사고의 목격자를 찾아 진술을 요청하거나, 또는 사고 당시 주변을 운행한 다른 차량을 찾아 당시 상황이 기록된 영상의 존재 여부 확인부터 획득까지 많은 시간과 노력을 들이게 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다른 사용자의 블랙박스 영상 데이터를 보다 편리하고 효율적으로 검색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블랙박스 영상 데이터 검색 및 수집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방법은, 영상 검색 및 수집 장치가, 영상 요청자 단말로부터 사고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영상 검색 및 수집 장치가, 상기 사고 정보를 기반으로 사용자들 중에서 사고 정보 알림을 수신할 알림 대상자를 식별하는 단계; 상기 영상 검색 및 수집 장치가, 상기 식별된 알림 대상자에 대응하는 영상 제공자 단말로 사고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영상 검색 및 수집 장치가, 상기 영상 제공자 단말로부터 상기 사고 정보에 대응하는 블랙박스의 영상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영상 검색 및 수집 장치가, 상기 수신된 블랙박스의 영상을 상기 영상 요청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실시 예들에 따르면, 교통 사고와 같은 특정 상황에 대한 영상 확보를 필요로 하는 사용자는 플랫폼에 간편하게 사고 등록만 하면, 플랫폼에 등록된 다른 사용자 중 해당 사고 영상을 보유하고 있을 것으로 추정되는 다른 사용자들로부터 사고에 관련된 영상을 용이하게 제공받을 수 있다.
영상이 필요한 사용자와 영상 제공이 가능한 사용자를 편리하게 식별하여 연결할 수 있으며, 블랙박스에 저장된 수 많은 영상 파일들에 대한 번거로운 영상 탐색 과정 및 영상 공유를 위한 일련의 과정들을 편리하고 효과적으로 처리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블랙박스 영상 데이터 검색 및 수집 장치의 구조를 나타낸 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블랙박스 영상 데이터 검색 및 수집 방법의 개념을 나타낸 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블랙박스 영상 데이터 검색 및 수집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사고 등록 화면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사고 정보에 대한 알림 메시지가 단말에 수신된 화면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수신된 알림에 대한 상세 정보를 제공하는 화면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영상 제공자 단말에서, 생성된 경로와 수신된 사고 정보들의 매칭 결과를 확인하기 위한 화면의 예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영상 제공자 단말에서, 특정 사고와 관련되어 추출된 영상들의 목록을 분석하는 화면의 예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블랙박스 영상 데이터 검색 및 수집 방법의 흐름도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사고 정보 알림을 받지 않은 사용자의 단말에서 특정 일자의 경로를 생성하기 위한 화면의 예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도 7에서 추출된 특정 일자의 영상을 이용하여 생성된 경로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경로 정보를 제공한 영상 제공자 단말이 해당 경로 상에서 발생한 사고 정보를 수신하여 확인하는 화면의 예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컴퓨팅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구조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로 기재된 표현은 "하나" 또는 "단일" 등의 명시적인 표현을 사용하지 않은 이상, 단수 또는 복수로 해석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사용되는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 요소들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 요소는 제2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 요소도 제1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A 또는 B", "A 및 B 중 적어도 하나", "A 또는 B 중 적어도 하나", "A, B 또는 C", "A, B 및 C 중 적어도 하나", 및 "A, B, 또는 C 중 적어도 하나"와 같은 문구들 각각은 그 문구들 중 해당하는 문구에 함께 나열된 항목들 중 어느 하나, 또는 그들의 모든 가능한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블랙박스 영상 데이터 검색 및 수집 방법 그리고 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차량 운행이나 주차 등 블랙박스가 작동하는 상황에서 기록된 영상들을 활용하는 경우가 있다. 예를 들어, 교통 사고와 같은 특정 상황이 발생하였을 때 자신의 블랙박스에 기록된 영상을 활용하기 어렵거나 사고 처리 과정에서 추가적인 영상의 확보가 필요한 상황이 자주 발생한다. 이 경우 사고 상황과 관련된 영상 확보가 필요한 사용자는 사고 발생 당시 주변을 운행한 특정 차량의 번호를 확보하거나, 특정 목격자와 추후 접촉하기 위한 연락처를 확보하거나, 또는 사고 현장에서 곧 바로 특정 차량의 블랙박스로부터 영상을 확보하거나, 기타 다양한 방법으로 관련 영상 확보를 위한 번거로움과 많은 노력이 필요하게 된다. 또한, 목격자를 신속하게 확보하지 못한 경우, 추후 영상을 보유하고 있을 것으로 추정되는 목격자를 찾기 위해 현수막을 이용하거나, 특정 사이트 등을 통하여 게시물을 게시하는 등의 방법에 의존하고 있다.
목격자를 확보하더라도 목격자가 자신의 블랙박스 저장소에 접근하여 특정 시간과 특정 장소 정보에 해당하는 영상을 일일이 재생하여 사고 상황이 기록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과정을 반복하면서 관련된 영상을 찾기 위해 시간과 노력을 소모하여야 한다.
이처럼 특정 영상을 필요로 하는 사용자(영상 요청자)와 관련 영상을 보유하고 있는 사용자(영상 제공자) 간에 정보 공유가 원활하지 못함으로 인해 교통사고 등과 관련된 많은 분쟁들이 발생하고 있으며, 해결을 위한 과실 비율 산정이나 교통법규 위반 여부 판단 등에 핵심적인 영상 데이터들이 적절하게 활용되지 못하고 있다. 이로 인해 부당한 과실 비율을 감당하거나 심한 경우 피해자와 가해자가 뒤바뀌는 상황도 종종 발생하기도 한다. 2020년 기준 전국에서 매일 약 600건 이상의 사고가 발생하여 연간 약 22만 건을 넘어서고 있다. 그 중에서 원만하게 해결되지 않은 분쟁 사례 또한 연간 약 8만 건에 육박하며 큰 폭으로 증가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타인의 블랙 박스에 기록된 영상 데이터를 편리하고 효과적으로 검색하고 확보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이를 위해, 영상 요청자가 특정 사고 정보를 영상 공유 활용 플랫폼에 등록하면, 해당 사고와 관련된 영상을 보유하고 있거나 보유하고 있을 것으로 추정되는 다수의 타 사용자를 식별하고, 식별된 타 사용자로부터 관련된 영상을 검색하고 수집하여 영상을 요청한 사용자에게 해당 영상을 제공하기 위한 일련의 과정들을 포함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블랙박스 영상 데이터 검색 및 수집 장치의 구조를 나타낸 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블랙박스 영상 데이터 검색 및 수집 장치(1)는 네트워크를 통해 영상 요청자 단말(2) 및 영상 제공자 단말(3)과 통신 가능하도록 연결되며, 블랙박스 영상 데이터 검색 및 수집 장치(1)는 블랙박스 영상 공유 플랫폼을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블랙박스 영상 데이터 검색 및 수집 장치(1)를 이하에서는 "영상 검색 및 수집 장치(1)"라고 명명한다.
영상 검색 및 수집 장치(1)는 사고 정보 등록/관리부(11), 알림 대상자 식별부(12), 사고 정보 전송부(13), 영상 제공부(14), 영상 관리부(15)를 포함하며, 사용자 정보 저장소(16), 사고 정보 저장소(17), 및 영상 데이터 저장소(18)를 더 포함한다.
사고 정보 등록/관리부(11)는 영상 요청자 단말(2)로부터 사고 정보를 제공받아 등록하여 사고 정보 저장소(17)에 저장 및 관리하도록 구성된다.
알림 대상자 식별부(12)는 사고 정보를 기반으로, 사고와 관련된 영상을 보유하고 있을 것으로 추정되는 사용자를 식별하고, 식별된 사용자를 알림 대상자로 선택하도록 구성된다. 사고 정보 알림 대상자를 식별하는 방법에 대해서는 추후에 설명하기로 한다.
사고 정보 전송부(13)는 알림 대상자로 선택된 사용자들의 단말 즉, 영상 제공자 단말(3)로 사고 정보를 전송하도록 구성된다.
영상 제공부(14)는 등록된 사고 정보와 매핑되는 사고 관련 영상을 영상 요청자 단말(2)로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영상 관리부(15)는 영상 제공자 단말(3)로부터 제공되는 사고 관련 영상을 수신하여 영상 데이터 저장소(18)에 저장 및 관리하도록 구성된다.
사용자 정보 저장소(16)는 사용자 정보를 저장하도록 구성된다. 사용자 정보는 예를 들어, 사용자가 주로 운행하는 운행 지역 정보, 차량 번호, 연락처(이동 단말 번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사고 정보 저장소(17)는 사고 정보를 저장하도록 구성되며, 사고 정보는 사고 일시 및 사고 장소를 포함한다.
영상 데이터 저장소(18)는 영상 데이터를 저장하도록 구성된다. 영상 데이터는 블랙박스 영상 데이터이며, 영상 제공자로부터 제공되는 사고 관련 영상을 포함한다.
한편, 이러한 구조의 영상 검색 및 수집 장치(1)와 통신하도록 구성된 영상 제공자 단말(3)는 첨부한 도 1에서와 같이, 영상 검색부(31), 경로 생성 및 매칭부(32), 영상 분석부(33), 영상 편집부(34) 및 영상 전송부(35)를 포함하며, 블랙박스(4)로부터 영상 데이터를 제공받도록 구성된다.
영상 검색부(31)는 영상 검색 및 수집 장치(1)로부터 제공되는 사고 정보를 기반으로 블랙박스(4)에 저장된 영상 데이터를 검색(예: 블랙박스(4)의 영상 저장소(41)에 접속하여 사고 정보와 관련된 영상을 검색)하도록 구성된다.
경로 생성 및 매칭부(32)는 검색된 영상에 대응하는 경로를 생성하도록 구성된다. 경로 생성시, 검색된 영상의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경로를 생성한다. 경로 생성 및 매칭부(32)는 또한 생성된 경로와 수신된 사고 정보들을 매핑하여 검색된 영상 중에서 사고 관련 영상을 식별하도록 구성된다.
영상 분석부(33)는 영상을 분석하도록 구성되며, 구체적으로, 경로 생성 및 매칭부(32)에 의해 식별된 사고 관련 영상을 블랙박스(4)의 영상 저장소(41)로부터 가져와서 분석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분석은 영상 제공자 단말에서 재생 등의 동작을 포함한다.
영상 편집부(35)는 영상 분석부(33)에 의해 분석된 영상을 편집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편집은 분석 결과를 기반으로 사고 관련 영상 중에서 실질적으로 사고와 관련된 장면을 추출 및 병합하는 동작을 포함한다.
영상 전송부(35)는 영상 편집부(35)에 의해 편집된 영상 또는 편집 전 영상을 영상 검색 및 수집 장치(1)로 전송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성되는, 영상 검색부(31), 경로 생성 및 매칭부(32), 영상 분석부(33), 영상 편집부(34) 및 영상 전송부(35)는 영상 검색 및 수집 장치(1)로부터 제공되는 앱 형태(예: 도 1의 영상 공유 플랫폼 앱(3A))로 구현되어, 영상 제공자 단말(3)에 설치 및 실행되어 관련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앱은 웹(Web)을 통한 사용자 화면과 동일한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영상 요청자 단말(2)은 영상 검색 및 수집 장치(1)로 사고 정보를 제공하고 영상 검색 및 수집 장치(1)로부터 사고 관련 영상을 제공받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해, 영상 검색 및 수집 장치(1)로부터 제공되는 앱(예: 도 1의 영상 공유 플랫폼 앱(2A))이 영상 요청자 단말(2)에 설치 및 실행되어 관련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앱은 웹(Web)을 통한 사용자 화면과 동일한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다음에는 이러한 구조를 기반으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블랙박스 영상 데이터 검색 및 수집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블랙박스 영상 데이터 검색 및 수집 방법의 개념을 나타낸 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영상 검색 및 수집 장치(1)를 통해, 블랙박스에 저장된 영상을 필요로 하는 사용자(영상 요청자)와 관련 영상을 보유하고 있는 사용자(영상 제공자) 간에 정보 공유가 이루어진다.
첨부한 도 2를 참조하면, 영상 요청자는 단말(2)을 통해 사고 정보를 영상 검색 및 수집 장치(1)에 등록하고(A1), 영상 검색 및 수집 장치(1)는 등록된 사고 정보를 기반으로 사고 알림 대상자를 식별하며(A2), 알림 대상자로 식별된 영상 제공자 단말(3)로 사고 정보를 제공한다. 이에 따라 영상 제공자 단말(3)은 블랙박스(4)로부터 영상 검색을 수행하며(A3), 검색된 영상을 기반으로 경로 기반 사고 탐색을 수행한다(B1). 영상 제공자 단말(3)은 경로 기반 사고 탐색에 따라 블랙박스(4)로부터 사고와 매칭되는 경로에 대응하는 영상을 추출하고, 추출된 영상을 영상 검색 및 수집 장치(1)로 제공한다(B1). 또는 영상 제공자 단말(3)은 경로 정보를 영상 검색 및 수집 장치(1)로 제공하고, 영상 검색 및 수집 장치(1)는 경로 정보에 대응하는 사고 정보를 검색하여 영상 제공자 단말(3)로 제공하며(B2), 영상 제공자 단말(3)은 사고 정보에 따라 블랙박스(4)로부터 사고와 관련된 영상을 추출하고, 추출된 영상을 영상 검색 및 수집 장치(1)로 제공한다. 이후, 영상 검색 및 수집 장치(1)는 영상 제공자 단말(3)로부터 제공된 영상을 영상 요청자 단말(2)로 제공하며(A4), 영상 요청자 단말(2)은 제공된 영상을 확인하고 활용하게 된다(A5).
이러한 과정들을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블랙박스 영상 데이터 검색 및 수집 방법의 흐름도이다.
첨부한 도 3에서와 같이, 영상 요청자는 단말(2)을 통해 영상 검색 및 수집 장치(1)에 접속하여 사고 정보를 등록한다(S100). 여기서, 영상 요청자는 영상 요청자 단말(100)에 설치된 영상 공유 플랫폼 앱을 이용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사고 등록 화면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특정 사고 등과 관련된 영상을 필요로 하는 영상 요청자는 단말(2)에 설치된 영상 공유 플랫폼 앱을 이용하여 특정 사고에 관련된 정보(사고 정보)를 영상 검색 및 수집 장치(1)의 영상 공유 플랫폼에 등록할 수 있다. 사고 정보는 사고 일시, 사고 위치를 포함하며, 이외에도, 특정 사고를 식별하기 위한 다양한 관련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영상 요청자는 사고 정보에 대한 추가적인 정보를 제공하기 위하여 도 4에서와 같이, "영상 첨부" 메뉴를 통해, 블랙박스 영상 등 자신이 보유한 사고 영상을 첨부하여 제공할 수 있다.
영상 요청자에 의해 사고 정보가 영상 검색 및 수집 장치(1)로 전송되면, 사고 정보 등록/관리부(11)가 해당 사고 정보를 사고 정보 저장소(17)에 저장하여 등록 및 관리한다(S110).
사고 정보가 등록되면, 알림 대상자 식별부(12)는 특정 사고 정보를 알리기 위해, 해당 사고와 관련된 영상을 보유하고 있을 것으로 추정되는 사용자들을 알림 대상자로 식별한다(S120).
사고 정보 알림 대상자를 식별하는 방법으로는 다음과 같은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일 예로, 사용자 정보 저장소(16)에 저장된 사용자 정보는 각 사용자별로, 해당 사용자가 주로 운행하는 운행 지역 정보(예를 들어, 시도, 시군구, 읍면동)를 포함한다. 알림 대상자 식별부(12)는 사용자 정보 저장소(16)에 저장된 사용자 정보 중 운영 지역 정보를 검색하여, 사고가 발생된 위치를 포함하는 운행 지역 정보에 대응하는 사용자들을 알림 대상자로 식별한다.
다른 예로, 영상 요청자가 사고 정보를 등록할 때 첨부 영상이 존재하는 경우, 알림 대상자 식별부(12)는 첨부 영상에서 나타난 차량들의 번호판을 분석하고 추출하고, 사용자 정보 저장소(16)에 저장된 사용자 정보 중 차량 번호를 검색하여, 추출된 번호판들의 차량 번호와 일치하는 차량 번호를 가지는 사용자를 사고 알림 대상자로 식별한다.
또 다른 예로, 위에 기술된 바와 같은 방법들로 알림 대상자 식별이 용이하지 않을 경우, 사용자 정보 저장소(16)에 저장된 사용자 모두를 사고 알림 대상자로 식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사고 정보 알림 대상자를 식별하는 방법은 위에 기술된 것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알림 대상자를 식별한 후, 사고 정보 전송부(13)는 식별된 알림 대상자들의 단말인 영상 제공자 단말(3)로 해당 사고 정보를 전송한다(S130). 이 경우, 설정된 주기로 사고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1일 1회의 사고 정보 알림 전송 주기를 설정하고, 이 주기별로 여러 건의 사고에 대한 알림을 한번에 전송하거나, 영상 요청자가 사고 정보를 등록할 때 마다 알림 메시지를 전송하는 방법 등이 가능하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사고 정보에 대한 알림 메시지가 단말에 수신된 화면을 나타낸 예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수신된 알림에 대한 상세 정보를 제공하는 화면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예를 들어, 영상 검색 및 수집 장치(1)가 알림 대상자로 식별된 사용자의 단말인 영상 제공자 단말(3)로 사고 정보를 전송하면, 영상 제공자 단말(3) 상의 화면에 도 5에 예시된 바와 같이, 알림 메시지가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알림 대상자로 식별되어 알림 메시지를 수신한 사용자(알림 수신자라고도 명명됨)가 알림 메시지를 선택하면, 도 6에 예시된 바와 같이, 수신된 알림에 대한 상세 정보를 제공하는 상세 화면이 영상 제공자 단말(3) 상에 디스플레이된다. 즉, 사고가 발생한 위치인 사고 장소 및 사고가 발생한 일시가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여기서, 알림 수신자가 각 사고 건 별로 상세한 사고 내용 확인이 가능하며, 예를 들어, 도 6의 "사고 내용 보기" 버튼을 클릭하여 확인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사고 정보를 수신한 영상 제공자 단말(3)은 이후, 블랙박스(4)에 접속하여 사고 정보에 대응하는 영상을 검색한다(S140, S150). 이러한 검색은 알림 수신자의 선택에 따라 수행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예를 들어, 도 6에서, "내 블랙박스에 접속하기" 버튼을 누르면, 영상 제공자 단말(3)의 영상 검색부(31)는 블랙박스(4)에 접속하여 영상 저장소(41)에 저장된 영상 파일들 중에서 수신된 사고 정보와 관련된 영상을 찾는다. 특히 영상 저장소(41)에 저장된 다량의 영상 파일들 중에서 사고 정보의 목록에 존재하는 사고와 관련이 있을 것으로 추정되는 영상들만 검색한다.
여기서, 영상을 검색하는 방법으로는 다음과 같은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일 예로, 영상 저장소(41)에 저장된 다량의 영상 파일들 중에서, 사고가 발생한 날짜의 시각을 기준으로 일정 시각 전 후 구간에 해당되는 영상들 만을 검색한다. 구체적으로, 사고 1의 발생 시각을 t1이라 하고, 사고 2의 발생 시각을 t2라 하는 방식으로 발생 시각을 설정하는 경우, 총 n건의 사고와 관련된 영상들을 검색하기 위한 시간 구간은 다음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Figure pat00001
위의 수학식 1에 따라, 만약 수신된 사고가 2건일 때, 사고 1의 발생시각 t1은 10시 10분이고, 사고 2의 발생시각 t2가 11시 35분이면, 하기와 같이 설정된 시간 구간에 해당하는 영상을 검색할 수 있다.
Figure pat00002
한편, 수학식 1에서, 사고 발생 시각 전후의 구간이 반드시 10분으로 고정되지 않으며, 10분은 단지 예시일 뿐이다. 변수(C)를 이용하여 상황에 따라 값을 달리 설정할 수 있다. 또 하나의 상수값 C만 이용할 수도 있고, C- 및 C+와 같이 사고 전과 후에 대해 서로 다른 상수값을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사고 전 상황에 대한 영상이 많이 필요한 경우 C-값을 크게 하고, 사고 이후 상황에 대한 영상이 많이 필요한 경우 C+값을 크게 조절하는 등의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방법을 통해, 영상 제공자 단말(3)은 블랙박스(4)의 영상 저장소(41)의 수 많은 영상 파일 중에서 특정 사고에 대한 관련 영상을 찾기 위한 번거로운 과정을 간단히 해결할 수 있다.
영상 제공자 단말(3)의 영상 검색부(31)는 위에 기술된 바와 같은 방법으로 블랙박스(4)로부터 사고 정보에 대응하는 영상들을 검색한 다음, 검색된 영상들을 이용하여 경로를 생성한다(S160). 이를 위해, 검색된 영상들에 포함된 위치 정보를 추출하여 경로 생성 및 매칭부(32)로 전달한다. 경로 생성 및 매칭부(32)는 각 영상들의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경로를 생성한다. 그리고 생성된 경로를 각 사고 장소에 따른 발생 지점의 위치 정보와 매칭하여 사고와의 관련성 여부를 판단한다(S170). 즉, 위의 단계(S170)를 통해, 사고 정보의 시간을 기반으로 블랙박스(4)로부터 검색된 영상들에 영상의 위치 정보에 따라 경로를 생성한 다음에, 사고 정보의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생성된 경로가 사고 정보와 매칭되는지를 판단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영상 제공자 단말에서, 생성된 경로와 수신된 사고 정보들의 매칭 결과를 확인하기 위한 화면의 예시도이다.
생성된 경로와 수신된 사고 정보의 위치 정보 매칭을 통해, 예를 들어, 도 7에서와 같이, 3건의 사고(①, ②, ③) 중에서, 블랙박스(4)로부터 검색된 영상의 경로와 중첩되거나 인접한 것으로 판단된 사고는 ①번 사고인 것으로 확인될 수 있다.
영상 제공자 단말(3)은 생성된 경로와 매칭되는 사고를 확인한 다음에, 해당 경로에 대응하는 영상을 추출한다(S180). 경로 생성 및 매칭부(32)에 의해 특정 사고와 매칭된 경로가 존재하는 것으로 확인되면, 영상 분석부(33)는 해당 경로에 대한 영상을 블랙박스(4)의 영상 저장소(41)로부터 추출한다. 그리고, 추출된 영상에 대한 분석을 수행한다(S190). 여기서, 분석은 영상들의 목록 제공, 재생 및 편집 등의 기능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영상 제공자 단말에서, 특정 사고와 관련되어 추출된 영상들의 목록을 분석하는 화면의 예시도이다.
예를 들어, 도 8에서와 같이, 사고와 매칭되는 경로에 대응하는 영상들을 추출하여 목록을 생성 및 제공하고, 해당 목록의 영상들을 선택에 따라 또는 자동으로 재생할 수 있다.
또한, 영상 분석을 통해 영상의 편집이 필요한 경우, 영상 편집부(34)를 통해 영상의 편집이 가능하다. 영상의 자르기와 붙이기 등을 포함하여 음성 스트림 제거 등 일반적인 영상 편집 단계가 제공될 수 있다.
이후, 영상의 편집이 종료되면, 영상 제공자 단말(3)은 편집이 완료된 영상을 영상 전송부(35)를 통해 영상 검색 및 수집 장치(1)로 전송한다. 영상의 편집이 불필요한 경우에는, 추출된 영상을 영상 검색 및 수집 장치(1)로 전송한다. 예를 들어, 도 8의 영상 목록에서 선택되는 영상을 전송할 수 있다(S200).
영상 검색 및 수집 장치(1)는 영상 제공자 단말(3)로부터 영상이 전송되면, 영상 검색 및 수집 장치(1)의 영상 관리부(24)가 영상을 영상 데이터 저장소(18)에 저장한다. 또한 영상 검색 및 수집 장치(1)는 해당 영상을 영상 제공부(25)를 통해 사고 정보를 등록한 영상 요청자 단말(2)로 제공한다(S210).
이에 따라 영상 요청자는 단말(3)을 통해 다른 사용자로부터 사고 관련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S220).
한편, 위에 기술된 과정은 영상 검색 및 수집 장치(1)로부터 사고 정보 알림을 수신한 사용자가 특정 사고에 해당하는 영상을 검색하고 추출하여 영상 검색 및 수집 장치(1)로 전송하는 경우를 기반으로 한다.
그러나 이와는 달리, 사고 정보 알림을 수신하지 않은 사용자도 자신의 블랙박스 영상으로부터 경로를 생성한 다음, 해당 경로 상에서 발생된 것으로 등록된 사고가 있는지를 영상 검색 및 수집 장치(1)에 조회하고, 조회 결과에 따라 해당 사고에 대한 영상을 찾아 영상 검색 및 수집 장치(1)에 제공할 수도 있다(도 2의 B2/A4/A5 참조).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블랙박스 영상 데이터 검색 및 수집 방법의 흐름도다.
영상 검색 및 수집 장치(1)로부터 사고 정보 알림을 수신하지 않은 사용자의 영상 제공자 단말(3)이, 도 9에서와 같이, 임의의 시점에 자신의 블랙박스(4)에 직접 접속하여 영상 저장소(41)로부터 당일 또는 특정 일자의 영상을 검색하고, 검색된 영상에 대한 위치 정보를 추출하여 경로를 생성한다(S400, S410).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사고 정보 알림을 받지 않은 사용자의 단말에서 특정 일자의 경로를 생성하기 위한 화면의 예시도이다.
사고 정보 알림을 수신하지 않은 사용자가 직접 자신의 블랙박스 영상으로부터 특정 일자의 영상에 대한 위치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영상 제공자 단말(3) 상에 도 10에 예시된 바와 같은 화면이 디스플레이된다. 이러한 화면 상에서, 위치 정보를 추출하기 위한 날짜를 선택할 수 있으며, 이후, "내 블랙박스에 접속하기" 버튼을 누르면, 영상 제공자 단말(3)의 영상 검색부(31)는 블랙박스(4)에 접속하여 영상 저장소(41)에 저장된 영상들 중에서 선택된 날짜의 영상을 검색한다. 도 10의 예에서는 사용자가 선택한 특정 날짜의 영상들을 모두 검색하게 되며, 위의 도 6에서는 특정 사고가 발생한 일자와 시각을 기준으로 일정 범위 내에 속하는 영상들을 검색하게 된다.
이와 같이 검색된 영상들이 포함하고 있는 위치 정보를 추출하며, 경로 생성 및 매칭부(32)는 각 영상들의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경로를 생성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도 7에서 추출된 특정 일자의 영상을 이용하여 생성된 경로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예를 들어, 경로 생성 및 매칭부(32)는 도 10의 화면 상에서의 날짜 선택을 통해 블랙박스(4)로부터 검색된 영상들의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도 11에 예시된 바와 같은 경로를 생성한다.
이후, 영상 제공자 단말(3)은 생성된 경로에 대한 경로 정보를 영상 검색 및 수집 장치(1)에 전송하면서, 해당 경로 상에서 발생된 것으로 등록된 사고가 있는지를 조회한다(S420).
여기서는 사용자가 사고 정보를 수신하지 않았기 때문에, 위에 기술된 바와 같이 영상 제공자 단말(3)이 특정 일자의 영상 전체에 대한 경로를 먼저 생성하며, 이후, 영상 검색 및 수집 장치(1)가 해당 경로 상에서 발생된 것으로 등록된 사고를 검색한다(S430, S440). 예를 들어, 도 11의 화면 상에서 "플랫폼에서 사고 정보 조회하기" 버튼을 누르면, 도 10의 경로 정보가 영상 검색 및 수집 장치(1)로 전송된다.
영상 검색 및 수집 장치(1)는 영상 제공자 단말(3)로부터 전송되는 경로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경로 정보의 경로에 매칭되는 사고가 있는지를 검색한다. 이를 위해, 영상 검색 및 수집 장치(1)의 사고정보 등록/관리부(21)는 사고정보 저장소(17)에서 수신된 경로 정보의 경로와 매칭되는 사고 정보를 검색한다.
이때, 경로와 사고 정보를 매칭하는 방법은 시간과 위치를 이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고정보 저장소(211)에서 사고 정보를 검색하는 방법은, 경로의 날짜에 해당하면서, 경로 상에 사고 발생 위치가 포함된 사고를 추출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다음과 같은 검색식을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몇 가지 변수를 이용하여 검색식을 구성할 수 있다. 구체적인 예로, 경로를 path라 하고 사고를 accident라 하고, 날짜를 date라 하자. 날짜 정보는 일반적인 데이터베이스 검색 쿼리의 조건으로 이용할 수 있고, 이를 다음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Figure pat00003
위치 정보의 경우, 데이터 구조가 다양할 수 있으나 일반적으로 공간 정보로 처리된다. 따라서 날짜 정보와 마찬가지로 일반적인 검색도 가능하지만 공간 연산으로 처리하는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경로 path와 사고 accident의 공간정보를 geometry라 하고, 공간 정보들의 중첩을 확인하는 공간 함수를 intersects(geometry A, geometry B)라 하면, 경로의 공간 정보 path.geometry와 사고의 공간 정보 accident.geometry가 중첩하는지에 대해 intersects() 함수를 이용하여 아래와 같은 검색식을 구성할 수 있다.
Figure pat00004
이 때, 경로의 공간 정보가 선(Line) 타입인 경우, 점(Point) 타입의 사고 정보와 정확하게 매칭되지 않을 수 있기 때문에, buffer(geometry, radius) 함수를 이용하여 경로를 충분히 두껍게 설정할 수 있다. 여기서 radius를 두께를 설정하는 파라미터라고 하면, 위의 수학식 4에서 buffer() 함수를 함께 이용한 검색식을 다음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Figure pat00005
위의 수학식 5에서, radius의 단위가 m이라면, 경로를 좌우로 10m씩 두껍게 하여 중첩된 사고를 검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위의 수학식 3 내지 수학식 5를 이용하여, 사고 정보 등록/관리부(21)가 사고 정보 저장소(17)에 저장된 특정 일자의 사고 정보들과 경로를 매칭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위에 기술된 것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사고 정보 등록/관리부(21)는 수신된 경로 정보의 경로와 매칭되는 사고 정보가 검색되면, 검색된 사고 정보를 사고정보 전송부(23)를 통해 해당 경로를 제공한 사용자인 영상 제공자 단말(3)로 전송한다(S450). 이러한 전송 단계(S450)는 위의 실시 예에서, 특정 사고에 대한 알림 대상자 식별을 통해 사고 정보 알림을 전송하는 과정과 유사하게 수행될 수 있다.
경로 정보를 전송한 후 영상 검색 및 수집 장치(1)로부터 사고 정보를 수신하면, 영상 제공자 단말(3)은 사고 정보에 연관된 영상을 블랙박스(4)로부터 추출한다(S460, S470).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경로 정보를 제공한 영상 제공자 단말이 해당 경로 상에서 발생한 사고 정보를 수신하여 확인하는 화면의 예시도이다.
자신의 경로를 영상 검색 및 수집 장치(1)에 전송하여 사고를 검색한 사용자가 도 12에 예시된 바와 같은 화면을 통해 수신된 사고 알림을 확인할 수 있다. 이 경우, 도 12와 같이, 경로 상에 해당 사고가 함께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화면 상에서 "사고영상 분석하기" 버튼을 누르면, 영상 분석부(33)는 해당 경로에 대한 영상을 블랙박스(4)의 영상 저장소(41)로부터 추출한다.
이후, 위의 실시 예와 같이, 추출된 영상에 대한 분석(편집 등 포함)이 분석될 수 있으며, 분석/추출된 영상을 영상 검색 및 수집 장치(1)로 전송한다(S480~S490).
영상 검색 및 수집 장치(1)는 영상 제공자 단말(3)로부터 영상이 전송되면, 영상 검색 및 수집 장치(1)의 영상 관리부(24)가 영상을 영상 데이터 저장소(18)에 저장하고, 해당 영상을 영상 제공부(25)를 통해 사고 정보를 등록한 영상 요청자 단말(2)로 제공한다(S500). 이에 따라 영상 요청자는 단말(3)을 통해 다른 사용자로부터 사고 관련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S510).
위에 기술된 실시 예들에 따르면, 교통 사고와 같은 특정 상황에 대한 영상 확보를 필요로 하는 사용자는 플랫폼에 간편하게 사고 등록만 하면, 플랫폼에 등록된 다른 사용자 중 해당 사고 영상을 보유하고 있을 것으로 추정되는 다른 사용자들로부터 사고에 관련된 영상을 용이하게 제공받을 수 있다.
특히, 플랫폼에 등록된 다른 사용자 중 해당 사고 영상을 보유하고 있을 것으로 추정되는 다른 사용자들이 식별되어 사고 정보 알림이 전송되고, 알림을 수신한 사용자들은 자신의 단말을 통해 블랙박스에 접속하여 사고 위치와 시간 정보와 매칭되는 범위의 영상만 편리하게 추출하여 확인하고, 관련 사고 정보가 기록된 영상을 단말에서 직접 플랫폼으로 전송함으로써, 플랫폼을 통해 해당 사고 정보를 등록한 영상 요청자에게 사고 관련 영상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사고 정보 알림을 수신하지 않은 사용자도 스스로 자신의 블랙박스에 저장된 다량의 영상 파일로부터 경로를 추출하고 해당 경로상에서 발생된 것으로 등록된 사고를 플랫폼에 질의하여 매칭함으로써, 사고 관련 영상을 편리하게 추출하여 플랫폼으로 전송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플랫폼을 통해 해당 사고 정보를 등록한 영상 요청자에게 사고 관련 영상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컴퓨팅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구조도이다.
첨부한 도 13에 도시되어 있듯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방법(블랙박스 영상 데이터 검색 및 수집 방법)은 컴퓨팅 장치(100)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컴퓨팅 장치(100)는 프로세서(110), 메모리(120), 입력 인터페이스 장치(130), 출력 인터페이스 장치(140), 저장 장치(150) 및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장치(160)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구성 요소들은 버스(bus)(170)에 의해 연결되어 서로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구성 요소들은 공통 버스(170)가 아니라, 프로세서(110)를 중심으로 개별 인터페이스 또는 개별 버스를 통하여 연결될 수도 있다.
프로세서(110)는 AP(Application Processor), CPU(Central Processing Unit), GPU(Graphic Processing Unit) 등과 같은 다양한 종류들로 구현될 수 있으며, 메모리(120) 또는 저장 장치(150)에 저장된 명령을 실행하는 임의의 반도체 장치일 수 있다. 프로세서(110)는 메모리(120) 및 저장 장치(150) 중에서 적어도 하나에 저장된 프로그램 명령(program command)을 실행할 수 있다. 이러한 프로세서(110)는 위의 도 1 내지 도 12를 토대로 설명한 기능 및 방법들을 구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10)는 영상 검색 및 수집 장치의 사고 정보 등록/관리부, 알림 대상자 식별부, 영상 관리부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컴퓨팅 장치(100)가 영상 제공자 단말 상에서 구현되는 경우, 프로세서(110)는 영상 검색부, 경로 생성 및 매칭부, 영상 분석부, 영상 편집부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메모리(120) 및 저장 장치(150)는 다양한 형태의 휘발성 또는 비 휘발성 저장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모리는 ROM(read-only memory)(121) 및 RAM(random access memory)(122)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메모리(120)는 프로세서(110)의 내부 또는 외부에 위치할 수 있고, 메모리(120)는 이미 알려진 다양한 수단을 통해 프로세서(110)와 연결될 수 있다.
입력 인터페이스 장치(130)는 데이터를 프로세서(110)로 제공하도록 구성되며, 출력 인터페이스 장치(140)는 프로세서(110)로부터의 데이터를 출력하도록 구성된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장치(160)는 유선 네트워크 또는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다른 디바이스와 신호를 송신 또는 수신할 수 있다.
입력 인터페이스 장치(130), 출력 인터페이스 장치(140) 및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장치(160)를 포괄하여 “인터페이스 장치”라고도 명명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로 이루어지는 컴퓨팅 장치(100)는 영상 검색 및 수집 장치 또는 영상 제공자 단말로 명명되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위의 방법들을 구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방법 중 적어도 일부는 컴퓨팅 장치(100)에서 실행되는 프로그램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될 수 있고, 프로그램 또는 소프트웨어는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방법 중 적어도 일부는 컴퓨팅 장치(100)와 전기적으로 접속될 수 있는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이상에서 설명한 장치 및/또는 방법을 통해서만 구현이 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현하기 위한 프로그램, 그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 등을 통해 구현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구현은 앞서 설명한 실시예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가 속하는 기술분야의 전문가라면 쉽게 구현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Claims (1)

  1. 블랙박스 영상 데이터를 검색하고 수집하는 방법으로서,
    영상 검색 및 수집 장치가, 영상 요청자 단말로부터 사고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영상 검색 및 수집 장치가, 상기 사고 정보를 기반으로 사용자들 중에서 사고 정보 알림을 수신할 알림 대상자를 식별하는 단계;
    상기 영상 검색 및 수집 장치가, 상기 식별된 알림 대상자에 대응하는 영상 제공자 단말로 사고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영상 검색 및 수집 장치가, 상기 영상 제공자 단말로부터 상기 사고 정보에 대응하는 블랙박스의 영상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영상 검색 및 수집 장치가, 상기 수신된 블랙박스의 영상을 상기 영상 요청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KR1020220135158A 2021-10-21 2022-10-19 블랙박스 영상 데이터 검색 및 수집 방법 그리고 장치 KR2023005728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41015 2021-10-21
KR20210141015 2021-10-2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57285A true KR20230057285A (ko) 2023-04-28

Family

ID=861432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35158A KR20230057285A (ko) 2021-10-21 2022-10-19 블랙박스 영상 데이터 검색 및 수집 방법 그리고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57285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497590B1 (en) Distributed video storage and search with edge computing
US11367346B2 (en) Digitizing and mapping the public space using collaborative networks of mobile agents and cloud nodes
WO2018119587A1 (zh) 数据处理方法、装置、系统及信息采集设备
WO2017063201A1 (zh) 一种路况信息分享方法
WO2020024447A1 (zh) 交通事故的处理方法、装置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09741482B (zh) 一种信息共享方法及装置
JP7010984B2 (ja) メモリデバイスのデータ管理方法、データ管理システム
WO2022142685A1 (zh) 传染病的传染概率预测方法及装置、存储介质、电子设备
CN110134653B (zh) 一种利用日志辅助数据库审计方法及系统
KR20150000039A (ko) 차량용 블랙박스 정보 공유 시스템
KR20190107791A (ko) 블록체인 기반 차량 상황 통합 관제 시스템 및 방법
CN110543584B (zh) 一种建立人脸索引的方法、装置、处理服务器及存储介质
CN111062562A (zh) 一种社区网格服务联动处置控制方法及系统
KR100986622B1 (ko) Lbs 기반의 모바일 단말을 이용한 사고 민원 처리 시스템 및 방법
Medvedev et al. Reporting road problems in smart cities using OpenIoT framework
US11750383B2 (en) Multi-level access control in sharing of vehicle data with devices
KR20230057285A (ko) 블랙박스 영상 데이터 검색 및 수집 방법 그리고 장치
Stathers et al. Digital data extraction for vehicles forensic investigation
WO2019184434A1 (zh) 一种基于gps实时位置大数据的信息处理方法、装置及其系统
CN112182302B (zh) 基于换乘管理的地铁乘车路线溯源方法及装置
WO2019184435A1 (zh) 一种共享经济的实时位置信息收集方法、装置及其系统
KR20200093264A (ko) 촬영장치를 이용한 교통법규 위반 신고처리 방법 및 시스템
KR20150080058A (ko) 차량용 블랙박스 동영상 공유 시스템 및 방법
WO2021114985A1 (zh) 一种同行对象识别方法、装置、服务器及系统
JP7476972B2 (ja) 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記録媒体