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56998A - 영유아용 카시트 - Google Patents

영유아용 카시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56998A
KR20230056998A KR1020210140904A KR20210140904A KR20230056998A KR 20230056998 A KR20230056998 A KR 20230056998A KR 1020210140904 A KR1020210140904 A KR 1020210140904A KR 20210140904 A KR20210140904 A KR 20210140904A KR 20230056998 A KR20230056998 A KR 202300569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 seat
infants
frame
seat
long sid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409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20272B1 (ko
Inventor
하호진
김성수
권성민
이동우
최재영
김기성
Original Assignee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101409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20272B1/ko
Publication of KR202300569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569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202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202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2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for children
    • B60N2/265Adaptations for seat bel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15/00Accessories for children's furniture, e.g. safety belts or baby-bottle holders
    • A47D15/005Restraining devices, e.g. safety belts, contoured cushions or side bump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ediatric Medicine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에 부착되는 영유아용 카시트로서, 사각 테두리가 직육면체 구조를 이루는 프레임(110,120,130); 상기 프레임의 상부에 제1축을 기준으로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는 제1부재(150); 및 상기 제1부재에 장착되되, 상기 제1축에 수직한 제2축을 기준으로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는 제2부재(180);로 이루어지고, 상기 프레임은, 사각형상의 바닥을 형성하는 하부프레임(110); 상기 하부프레임의 네 모서리에 수직하게 구비되는 수직프레임(120); 상기 수직프레임의 상부에 연결되고, 전면이 개방된 ㄷ 형상의 상부프레임(130);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부재 및 제2부재는 각각 장변과 단변을 가진 직사각형 형상이며, 상기 제1부재의 장변이 상기 상부프레임의 전면 모서리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제2부재의 단변 중앙부가 상기 제1부재의 단변 중앙부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본 발명은, 상기 구조에 의해서 불안정한 노면의 주행이나 급선회, 급정거 상황에서도 영유아의 신체가 카시트와 안전하게 고정되어 있고 영유아에게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발휘된다.

Description

영유아용 카시트{Carseat for baby}
본 발명은, 자이로스코프 원리를 응용한 영유아를 위한 카시트로서 흔들린 아이 증후군을 예방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진 카시트 기술에 관한 것이다.
현대의 시대에서 가장 보편적인 운송수단으로 사용되고 있는 자동차는 단거리 또는 장거리를 이동하는데 있어서 가장 편리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운송수단이다. 그러나, 자동차에는 영유아를 위한 별도의 안전 장치가 없기 때문에 영유아는 다양한 위급 상황에 노출되어있다. 이는 일반적으로 자동차가 작은 체구의 영유아에 맞추어 설계되기 보다는 성인의 체구에 맞추어 설계되기 때문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영유아가 편안히 앉을 수 있도록 영유아의 체구에 맞게 설계되며, 유사시 상황에 따라 안전하게 대처할 수 있도록 보호 장구를 갖춘 카시트가 사용되고 있다. 현재 도로교통법상 6세 미만의 영유아는 자동차에 탑승 시, 카시트를 의무적으로 사용하도록 되어있다. 차량의 사고 시 카시트를 사용한 경우와 사용하지 않은 경우에는 영유아의 사망률의 차이는 매우 큰 것으로 조사되고 있다. 이처럼 카시트는 영유아가 차량에 탑승할 때 안전을 위해 필수적으로 사용되는 보호장비이다.
일반적으로 카시트는 자동차의 안전벨트 또는 고정장치를 통해 좌석에 결합하거나 고정되도록 하여 영유아가 앉은 카시트를 유동하지 않도록 한다. 또한 영유아가 사용하는 카시트의 재질을 충격을 완화시킬 수 있는 탄성재질을 사용하여 영유아가 충격으로부터 최대한 안전하게 보호될 수 있도록 한다.
카시트는 사고시 발생되는 다양한 상황에서 영유아를 보호할 수 있도록 한다. 그러나 차량 정차, 주행 시 발생되는 진동 및 충격은 카시트에 앉은 영유아에게 그대로 전달되고 있으며, 이러한 진동 및 충격은 뇌가 형성되고 있는 영유아에게 다양한 악영향을 끼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차량의 진동 및 충격을 최소화 할 수 있는 카시트의 진동 및 충격 저감장치의 개발이 필요하다.
특히, 영유아의 경우 머리가 심하게 흔들린 경우 발생하는 흔들린아이증후군(shaken baby syndrome)은 아이가 강하게 흔들려서 발생하는 두부손상의 형태로서 아이가 앞뒤로 심하게 흔들리면 두부에 급가속/감속 충격이 뇌로 전달되면서 지주막하출혈, 경막하출혈, 뇌실질손상이 올 수 있게 된다.
그러므로, 차량의 경우 급가속과 급감속이 빈번하게 일어날 수 있고 이런 상황에서 흔들린아이증후군을 예방할 수 있는 구조의 카시트가 필요하다.
본 발명은, 차량의 급가속과 급감속 상황에서 흔들린아이증후군을 예방할 수 있도록 자이로스코프 구조를 응용한 카시트를 제공하는 것이 목적이다.
본 발명은 차량에 부착되는 영유아용 카시트로서, 사각 테두리가 직육면체 구조를 이루는 프레임(110,120,130); 상기 프레임의 상부에 제1축을 기준으로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는 제1부재(150); 및 상기 제1부재에 장착되되, 상기 제1축에 수직한 제2축을 기준으로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는 제2부재(180);로 이루어진다.
상기 프레임은, 사각형상의 바닥을 형성하는 하부프레임(110); 상기 하부프레임의 네 모서리에 수직하게 구비되는 수직프레임(120); 상기 수직프레임의 상부에 연결되고, 전면이 개방된 ㄷ 형상의 상부프레임(130);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부재 및 제2부재는 각각 장변과 단변을 가진 직사각형 형상이며, 상기 제1부재의 장변이 상기 상부프레임의 전면 모서리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제2부재의 단변 중앙부가 상기 제1부재의 단변 중앙부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제2부재의 양측 장변을 하부에서 서로 연결하는 지지프레임(185)과 상기 제2부재에 부착되고 영유아가 놓여지는 안착시트(200)와 상기 안착시트에 구비되고 영유아 신체를 고정하는 벨트와 상기 제2부재의 지지프레임 하부에 구비되어 제2부재에 복원력을 가하는 무게추(188)을 더 포함한다.
상기 상부프레임(130)과 상기 제1부재(150)의 단변 중 하나를 연결하는 제1스프링(S1); 상기 하부프레임(110)과 상기 제1부재(150)의 단변 중 다른 하나를 연결하는 제2스프링(S2); 상기 제1부재(150)의 장변 중 하나와 상기 제2부재(180)의 장변 중 하나를 연결하는 제3스프링(S3); 및 상기 제1부재(150)의 장변 중 다른 하나와 상기 제2부재(180)의 장변 중 다른 하나를 연결하는 제4스프링(S4);을 더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영유아용 카시트를 구비한 자동차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상기 구조에 의해서 불안정한 노면의 주행이나 급선회, 급정거 상황에서도 영유아의 신체가 카시트와 안전하게 고정되어 있고 영유아에게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발휘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카시트의 사시도이며,
도 2 내지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카시트 각 부분의 분해된 구성품들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카시트의 측면도이며,
도 6과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카시트에 시제품에 영유아 마네킹이 탑재된 모습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카시트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또한, 사용된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써,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카시트의 사시도이며, 도 2 내지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카시트 각 부분의 분해된 구성품들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카시트의 측면도이며, 도 6과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카시트 시제품에 영유아 마네킹이 탑재된 모습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카시트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은 차량에 부착되는 영유아용 카시트로서 차량의 시트에 안전벨트 등을 이용하여 고정하는 카시트이다. 본 발명의 카시트는 탑승한 영유아가 급격한 회전 등에 따른 충격을 감소하기 위한 구조로 자이로스코프 원리를 응용한 것이다.
본 발명은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보면, 사각 테두리가 직육면체 구조를 이루는 프레임(110,120,130)과, 상기 프레임의 상부에 제1축을 기준으로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는 제1부재(150)와, 상기 제1부재에 장착되되, 상기 제1축에 수직한 제2축을 기준으로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는 제2부재(180)의 기본 구조로 이루어진다. 도 3에서 미설명부호 153은 상기 제1부재가 프레임 및 제2부재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부위를 나타내며, 도 4에서 미설명부호 183은 상기 제2부재가 제1부재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부위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카세트의 프레임(110,120,130)이 차량의 시트에 안전벨트 등으로 고정되는 구조이다.
상기 프레임은 전체적으로 직육면체의 모서리를 구성하는 부분이며, 사각형상의 바닥을 형성하는 하부프레임(110)과 상기 하부프레임의 네 모서리에 수직하게 구비되는 수직프레임(120)과 상기 수직프레임의 상부에 연결되고, 전면이 개방된 ㄷ 형상의 상부프레임(130)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부프레임(130)은 전면부에 해당하는 가로프레임 부분은 없앤 ㄷ 형상으로 여기에 제1부재가 장착된다.
상기 제1부재 및 제2부재는 각각 장변과 단변을 가진 직사각형 형상이며, 모서리부분은 라운드 구조를 가지는 것이 좋다. 상기 제1부재의 장변이 상기 상부프레임의 전면 모서리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제2부재의 단변 중앙부가 상기 제1부재의 단변 중앙부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제2부재의 양측 장변을 하부에서 서로 연결하는 지지프레임(185)과 상기 제2부재에 부착되고 영유아가 놓여지는 안착시트(200)와 상기 안착시트에 구비되고 영유아 신체를 고정하는 벨트와 상기 제2부재의 지지프레임 하부에 구비되어 제2부재에 복원력을 가하는 무게추(188)을 더 포함한다. 무게추를 하부에 구비하는 것은 무게 중심이 아래쪽에 위치할수록 충격을 받더라도 원위치로 복원하는 복원력이 좋을 뿐더러 외부 충격에 따른 흔들림(회전)에도 완충 역할을 할 수 있기 때문이다. 즉, 외부로부터 큰 충격이 와도 상기 무게추의 하중으로 인한 관성력으로 인해서 카시트의 제2부재의 흔들림을 최소화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도 8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1부재와 제2부재가 흔들리는 상황에서 흔들림 충격을 최소화하고 또한 원위치로 복원하는 힘을 구비하기 위해 적절한 탄성력을 구비한 탄성스프링(S1~S4)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도 8에서 구체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부프레임(130)과 상기 제1부재(150)의 단변 중 하나를 연결하는 제1스프링(S1)과, 상기 하부프레임(110)과 상기 제1부재(150)의 단변 중 다른 하나를 연결하는 제2스프링(S2)과, 상기 제1부재(150)의 장변 중 하나와 상기 제2부재(180)의 장변 중 하나를 연결하는 제3스프링(S3)과, 상기 제1부재(150)의 장변 중 다른 하나와 상기 제2부재(180)의 장변 중 다른 하나를 연결하는 제4스프링(S4)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스프링은, 영유아에 전달되는 충격을 최소화하고 복원력 제공이라는 목적에 적절한 탄성력을 구비하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또한 상기 영유아용 카시트를 구비한 자동차를 제공할 수 있으며, 카시트를 차량에 고정하기 위한 벨트 등 별도 부재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Claims (11)

  1. 사각 테두리가 직육면체 구조를 이루는 프레임(110,120,130);
    상기 프레임의 상부에 제1축을 기준으로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는 제1부재(150); 및
    상기 제1부재에 장착되되, 상기 제1축에 수직한 제2축을 기준으로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는 제2부재(180);를 포함하는 영유아용 카시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사각형상의 바닥을 형성하는 하부프레임(110);
    상기 하부프레임의 네 모서리에 수직하게 구비되는 수직프레임(120);
    상기 수직프레임의 상부에 연결되고, 전면이 개방된 ㄷ 형상의 상부프레임(130);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유아용 카시트.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부재 및 제2부재는 각각 장변과 단변을 가진 직사각형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유아용 카시트.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부재의 장변이 상기 상부프레임의 전면 모서리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유아용 카시트.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부재의 단변 중앙부가 상기 제1부재의 단변 중앙부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유아용 카시트.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부재의 양측 장변을 하부에서 서로 연결하는 지지프레임(185)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유아용 카시트.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부재에 부착되고 영유아가 놓여지는 안착시트(200)와 상기 안착시트에 구비되고 영유아 신체를 고정하는 벨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유아용 카시트.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부재의 지지프레임 하부에 구비되어 제2부재에 복원력을 가하는 무게추(188)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유아용 카시트.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프레임(130)과 상기 제1부재(150)의 단변 중 하나를 연결하는 제1스프링(S1); 및
    상기 하부프레임(110)과 상기 제1부재(150)의 단변 중 다른 하나를 연결하는 제2스프링(S2);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유아용 카시트.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부재(150)의 장변 중 하나와 상기 제2부재(180)의 장변 중 하나를 연결하는 제3스프링(S3); 및
    상기 제1부재(150)의 장변 중 다른 하나와 상기 제2부재(180)의 장변 중 다른 하나를 연결하는 제4스프링(S4);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유아용 카시트.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의 영유아용 카시트를 구비한 자동차.
KR1020210140904A 2021-10-21 2021-10-21 영유아용 카시트 KR1026202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40904A KR102620272B1 (ko) 2021-10-21 2021-10-21 영유아용 카시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40904A KR102620272B1 (ko) 2021-10-21 2021-10-21 영유아용 카시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56998A true KR20230056998A (ko) 2023-04-28
KR102620272B1 KR102620272B1 (ko) 2023-12-29

Family

ID=861432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40904A KR102620272B1 (ko) 2021-10-21 2021-10-21 영유아용 카시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20272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790001466Y1 (ko) * 1978-01-31 1979-08-26 성공빈 요람 겸용 침대
KR200385705Y1 (ko) * 2005-01-26 2005-06-02 홍성훈 선박의 흔들림 방지용 선실 구조물
KR101888304B1 (ko) * 2017-06-15 2018-08-13 이상훈 다방향 완충장치가 구비된 유아용 카시트
KR102041138B1 (ko) * 2018-05-10 2019-11-06 현충만 수평유지구조를 갖는 선박용 의자
KR102095465B1 (ko) * 2019-01-22 2020-03-31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자이로스코프 유모차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790001466Y1 (ko) * 1978-01-31 1979-08-26 성공빈 요람 겸용 침대
KR200385705Y1 (ko) * 2005-01-26 2005-06-02 홍성훈 선박의 흔들림 방지용 선실 구조물
KR101888304B1 (ko) * 2017-06-15 2018-08-13 이상훈 다방향 완충장치가 구비된 유아용 카시트
KR102041138B1 (ko) * 2018-05-10 2019-11-06 현충만 수평유지구조를 갖는 선박용 의자
KR102095465B1 (ko) * 2019-01-22 2020-03-31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자이로스코프 유모차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gyroscopecarseat(2021.07.16) 1부.*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20272B1 (ko) 2023-12-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779930A (en) Infant head support for use with infant retaining devices
WO2002017754A1 (fr) Structure de protection pour la tete d'un equipement pour bebe, coussin de protection pour la tete et siege de securite pour bebe destine a etre place dans une voiture
KR20200141779A (ko) 모듈 서스펜션이 구비된 하이브리드 카시트
KR101888304B1 (ko) 다방향 완충장치가 구비된 유아용 카시트
KR970010815B1 (ko) 육아기구의 의자형상 베드
KR20230056998A (ko) 영유아용 카시트
US3964787A (en) Child's safety chair
US3819230A (en) Child{40 s safety seat
US3579673A (en) Combination car seat and crib
Weber et al. Injury potential with misused child restraining systems
KR20210096845A (ko) 반려동물용 서스펜션 카시트 및 이를 포함하는 반려동물용 유모차
US9663055B2 (en) Safety protection apparatus
TW201422182A (zh) 嬰幼兒收容器具
CN209955816U (zh) 防撞头靠及其幼儿载具
KR101884564B1 (ko) 완충장치가 구비된 카시트 테이블
JP7133287B2 (ja) 頭部保護部材及びチャイルドシート
KR102445436B1 (ko) 아이소픽스용 카시트의 높이조절 보호매트
KR20240099986A (ko) 영유아 뇌 보호를 위한 스테디 카시트
JPS6021319Y2 (ja) 自動車
TWI656993B (zh) 具自動平衡之安全座椅
KR200261829Y1 (ko) 차량용 유아 안전시트
JP2019182007A (ja) 車両用シート
JPH018429Y2 (ko)
KR200473703Y1 (ko) 커버된 배면 프레임을 포함하는 유아용 카시트
JP7066192B2 (ja) チャイルドシー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