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56490A - 산업용 차량 - Google Patents

산업용 차량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56490A
KR20230056490A KR1020210140562A KR20210140562A KR20230056490A KR 20230056490 A KR20230056490 A KR 20230056490A KR 1020210140562 A KR1020210140562 A KR 1020210140562A KR 20210140562 A KR20210140562 A KR 20210140562A KR 20230056490 A KR20230056490 A KR 202300564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camera module
wheel loader
module
bra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405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미연
Original Assignee
에이치디현대인프라코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이치디현대인프라코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이치디현대인프라코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1405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56490A/ko
Priority to DE202022105890.3U priority patent/DE202022105890U1/de
Publication of KR202300564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5649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08Superstructures; Supports for superstructures
    • E02F9/0808Improving mounting or assembling, e.g. frame elements, disposition of all the components on the superstruct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4Mounting of cameras operative during driv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relative to the vehicle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08Superstructures; Supports for superstructures
    • E02F9/0858Arrangement of component parts installed on superstruc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electric components, fenders, air-conditioning uni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4Safety devices, e.g. for preventing overloa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0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 B60R2011/004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outside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40Special vehicles
    • B60Y2200/41Construction vehicles, e.g. graders, excavators
    • B60Y2200/415Wheel load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ponent Parts Of Construction Machinery (AREA)
  • Forklifts And Lifting Vehicles (AREA)

Abstract

산업용 차량이 개시된다. 본 실시 예는 감지 모듈과 제1,2 카메라 모듈이 일체로 장착된 커버 조립체를 작업자가 손쉽게 휠 로우 더에 장착 할 수 있는 산업용 차량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산업용 차량{Industrial vehicle}
본 발명은 휠 로우 더에 구비된 커버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감지 모듈과 카메라 모듈이 구비된 커버 조립체가 일체형으로 사전에 제작된 후에 설치되는 산업용 차량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로우 더는 건설공사 현장에서 토사나 골재를 덤프차량에 적재하거나 운반하는 장비로서, 그 종류로는 휠 로우 더와 트랙 로우더가 있고, 상기 휠 로우 더는 대형 저압 타이어를 사용한 것으로 굴착작업도 가능하며 전륜 구동식이 주로 사용된다.
종래의 휠 로우 더는 기동성이 우수하므로 주행속도가 빠르며 포장 도로에서도 작업성이 우수한 특징을 갖고 있다. 즉, 상기 휠 로우 더는 주요 동력전달장치와 엔진은 리어 프레 임에 장착되고, 버켓과 붐 및 유압실린더 등의 작업장치는 프런트 프레임에 장착되며, 하부에는 타이어가 설치됨과 더불어 상기 타이어의 상부에 펜더가 장착된다.
상기 휠 로우 더는 후방에 웨이트가 구비되고, 작업간에 상기 후방에 위치된 구조물 또는 다른 장비 및 작업자가 근접할 경우 대형 사고로 이어질 수 있어 이를 운전자가 인식하기 위한 감지 센서와 카메라 모듈이 구비된 커버 유닛이 상기 휠 로우 더의 후방에 설치된다.
상기 커버 유닛은 후방을 감지하기 위해 상기 휠 로우 더의 후방 상면에 감지 센서와 카메라 모듈의 일부가 각각 분리되어 별물로 설치되고, 상기 휠 로우 더의 후방에서 전방으로 이격된 후에 좌측과 우측 위치에서 별도의 감지 센서가 설치되는 배치 형태로 사용되어 있다.
그러나 커버 유닛이 이와 같이 각각 별물로 복수의 개별 조립품으로 설치될 경우 작업자가 각각 개별 조립품으로 장착을 실시 해야 되고, 상기 감지 센서와 카메라 모듈과 연결된 하네스에 대한 설치되 각각 실시 해야 되는 문제점이 유발되었다.
이와 같이 커버 유닛이 별물로 설치될 경우 상기 감지 센서와 카메라 모듈에 대한 설치 시간이 증가되고, 수리 및 재 설치를 하기가 불리하여 이에 대한 대책이 필요하게 되었다.
대한민국공개특허 제10-2006-0052813호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휠 로우 더의 후방에서 감지 모듈과 카메라 모듈이 일체로 장착된 커버 조립체를 사전에 조립한 후에 현장에서 작업자가 신속하게 조립할 수 있는 산업용 차량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실시 예에 의한 산업용 차량은 휠 로우 더의 후방 가드 부재(G)에 복수의 감지 모듈(10)과 제1 카메라 모듈(22)이 장착된 메인 커버(100); 및 상기 메인 커버(100)의 좌측과 우측에 각각 위치되고, 상기 휠 로우 더의 측면 위치에서 근접한 대상물을 확인하기 위한 제2 카메라 모듈(24)이 장착된 측면 프레임(200) 구비된 커버 조립체(1)를 포함한다.
상기 메인 커버(100)는 좌측과 우측 위치에서 상기 가드 부재(G)의 상면에 마운팅이 이루어지는 한 쌍의 지지 프레임(112)과 연결되어 전체적인 외형을 이루는 제1 프레임(110); 상기 제1 프레임(110)을 기준으로 후면에 결합 볼트를 매개로 탈착 가능하게 결합된 제2 프레임(120)을 포함한다.
상기 제1 프레임(110)은 상기 감지 모듈(10)과 상기 제1 카메라 모듈(22)이 장착된 전면 프레임(114)이 구비되고, 상기 전면 프레임(114)의 중앙에 장착된 제1 카메라 모듈(22)을 기준으로 좌측 단부에 위치된 감지 모듈(10)이 상기 휠 로우 더의 후방 좌측면을 향하도록 소정의 각도로 경사지게 연장된 제1 경사 프레임(116); 상기 제1 카메라 모듈(22)을 기준으로 우측 단부에 위치된 감지 모듈(10)이 상기 휠 로우 더의 후방 우측면을 향하도록 소정의 각도로 경사지게 연장된 제2 경사 프레임(118)을 더 포함한다.
상기 측면 프레임(200)은 상기 제1 프레임(110)을 상면에서 바라볼 때 후방으로 이격된 좌측과 우측 위치에서 외측을 향해 소정의 길이로 연장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전면 프레임(114)은 상기 휠 로우 더를 후방에서 바라볼 때 전면 중앙에 상기 제1 카메라 모듈(22)이 배치되고, 상기 제1 카메라 모듈(22)을 기준으로 좌측과 우측 방향으로 상기 감지 모듈(10)이 소정의 간격으로 복수개가 이격되어 위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전면 프레임(114)에는 전면 내측에 센터 브라켓(CB)이 구비되고, 상기 센터 브라켓(CB)을 매개로 좌측에 제1 연결 브라켓(BR1)이 구비되며, 우측에 제2 연결 브라켓(BR2)이 각각 동일 거리로 이격되어 서로 간에 결합된다.
상기 감지 모듈(10)은 상기 전면 프레임(114)의 내측에 선단부가 삽입되고, 후단부가 상기 제1,2 연결 브라켓(BR1, BR2)에 결합된 제1 소켓(S1)의 내측에 각각 삽입된 상태가 유지되고, 상기 제1 카메라 모듈(22)은 상기 센터 브라켓(CB)의 위치에서는 상기 제1 카메라 모듈(22)이 장착된 센터 브라켓(CB)을 매개로 정 위치에 장착되고, 상기 제2 카메라 모둘(24)은 측면 프레임(200)의 위치에서는 제3 브라켓(BR3)을 매개로 정 위치에 장착된 상태가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메인 커버(100)와 상기 측면 프레임(200)은 상기 휠 로우 더를 측면에서 바라볼 때 상기 휠 로우 더의 후방을 향해 경사진 상태로 배치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작업자가 휠 로우 더와 같은 산업용 차량에 커버 조립체를 설치하는데 최소한의 시간으로 신속하게 조립할 수 있어 작업자의 작업성과 효율이 향상된다.
본 실시 예들은 감지 모듈과 제1,2 카메라 모듈이 감지 및 촬영할 수 있는 조사각이 증가되어 휠 로우 더의 후방에서의 안전사고 발생을 줄이고, 작업자의 안정성도 보장될 수 있다.
본 실시 예들은 감지 모듈 또는 제1,2 카메라 모듈 중의 어느 하나가 오작동 되는 경우에도 교체 및 분해가 용이하여 작업 지연으로 인한 문제점을 예방할 수 있다.
도 1은 본 실시 예에 의한 산업용 차량에 커버 조립체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의 평면도.
도 3 내지 도 4는 휠 로우 더의 다양한 각도에서 커버 조립체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실시 예에 의한 측면 프레임의 종 단면도
도 6은 본 실시 예에 의한 커버 조립체의 단면 사시도.
도 7은 본 실시 예에 의한 커버 조립체의 내부를 도시한 도면.
도 8은 본 실시 예에 의한 커버 조립체의 전면 프레임에 설치된 제1 카메라 모듈과 감지 모듈을 도시한 사시도.
본 개시물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개시물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개시물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개시물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개시물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개시물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하나의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와 "연결된(connected to)" 또는 "커플링된(coupled to)"이라고 지칭되는 것은, 다른 구성 요소와 직접 연결 또는 커플링된 경우 또는 중간에 다른 구성 요소를 개재한 경우를 모두 포함한다. 반면, 하나의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와 "직접 연결된(directly connected to)" 또는 "직접 커플링된(directly coupled to)"으로 지칭되는 것은 중간에 다른 구성 요소를 개재하지 않은 것을 나타낸다. "및/또는"은 언급된 아이템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개시물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 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 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첨부된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실시 예에 의한 산업용 차량은 휠 로우 더의 후방 가드 부재(G)의 상면에서 상기 휠 로우 더의 후방을 향해 경사진 상태로 복수의 감지 모듈(10)이 장착된 메인 커버(100) 및 상기 메인 커버(100)의 좌측과 우측에 각각 위치되고, 상기 휠 로우 더의 측면 위치에서 근접한 대상물을 확인하기 위한 제1,2 카메라 모듈(22, 24)(도 4 참조)이 장착된 커버 조립체(1)를 포함한다.
본 실시 예에 의한 커버 조립체(1)는 작업자가 휠 로우 더에 설치하기 이전에 후술할 감지 모듈(10)과 제1,2 카메라 모듈(22, 24)이 사전에 일체로 장착된 상태로 조립된 최종 조립품을 전달받아 가드 부재(G)의 상면에 조립만 실시하면 되므로 상기 작업자의 작업성과 작업 속도 및 편의성이 향상된다.
또한 본 실시 예는 작업자가 현장에서 복수개의 감지 모듈(10)과 제1,2 카메라 모듈(22, 24)을 설치하는데 불필요한 시간이 소모되지 않아 시간 절약을 통한 작업 효율이 향상되고, 다양한 휠 로우 더의 사양에 따라 기 설정된 조사각으로 오차범위 이내에서 정확한 장착이 가능해지므로 설치 안정성과 정확성이 동시에 향상된다.
이를 통해 본 실시 예는 휠 로우 더 또는 산업용 차량의 다양한 사양에 의한 영향을 받지 않고 상기 감지 모듈(10)과 제1,2 카메라 모듈(22, 24)이 장착된 커버 조립체(1)를 손쉽게 설치 하고 수리가 필요하거나 교체가 필요할 때 교체 가능한 다른 커버 조립체가 구비만 될 경우 즉시 신품으로 교체한 후에 즉각 작업이 가능해지므로 작업 효율성도 동시에 향상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 의한 커버 조립체(1)는 크게 메인 커버(100)와 측면 프레임(200)을 포함하고, 상기 메인 커버(100)는 제1 프레임(110)과 제2 프레임(120)을 포함한다.
상기 제1 프레임(110)은 메인 커버(100)의 좌측과 우측 위치에서 상기 가드 부재(G)의 상면에 마운팅이 이루어지는 한 쌍의 지지 프레임(112)과 연결되어 전체적인 외형을 이루도록 형성된다.
상기 지지 프레임(112)은 후방 가드 부재(G)의 상면에 커버 조립체(1)가 고정되기 위해 구비되며 별도로 구비된 고정 부재를 매개로 탈착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지지 프레임(112)은 일 예로 상기 후방 가드 부재(G)에 면접촉 되도록 L자 형태로 형성되나 다른 형태로 변경되는 것도 가능할 수 있다.
상기 제2 프레임(120)은 결합 볼트를 매개로 제1 프레임(110)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므로 감지 모듈(10) 또는 제1 카메라 모듈(22)에서 이상이 발생되거나, 상기 감지 모듈(10) 또는 제1 카메라 모듈(22)에 점검이 필요할 경우 상기 결합 볼트를 해제한 후에 내부를 손쉽게 점검할 수 있어 편의성이 향상된다.
상기 제2 프레임(120)은 소정의 각도로 경사지게 설치되어 있어 빗물 또는 수분이 메인 커버(100)의 내측으로 유입되는 현상이 방지될 수 있다.
이경우 비가 오거나 수분에 노출되는 작업 현장에서 감지 모듈(10)과 제1 카메라 모듈(22)에 대한 오작동 및 합선 위험성을 낮출 수 있다.
상기 메인 커버(100)와 후술할 측면 프레임(200)은 휠 로우 더를 측면에서 바라볼 때 상기 휠 로우 더의 후방에 구비된 카운터 웨이트(W)를 향해 경사진 상태로 배치된다.
상기 카운터 웨이트(W)는 휠 로우 더의 후방에 배치된 중량물로서 상기 휠 로우 더의 후방에서 무게 중심을 유지하기 위한 중량물에 해당된다. 상기 카운터 웨이트(W)는 작업 간에 전복으로 인한 사고를 방지하는 일종의 무게 추 역할을 하는데, 상기 휠 로우 더의 후방 외측에 노출된 상태로 설치된다.
이 경우 휠 로우 더가 작업을 위해 선회 하거나 회전할 때 주변에 위치된 작업자 또는 주변 구조물과 상기 카운터 웨이트(W)가 충돌이 발생될 경우 대형 사고로 이어지게 되므로 본 실시 예에서는 상기 카운터 웨이트(W)가 조사 가능하도록 복수의 감지 모듈(10)과 제1 카메라 모듈(22)이 메인 커버(100)에 설치된다.
또한 휠 로우 더의 후방 좌측과 우측에 각각 측면 프레임(200)이 돌출되고, 내측에 제2 카메라 모듈(24)이 상기 카운터 웨이트(W)를 바라보며 설치됨으로써 운전자가 운전석에서 복수의 감지 모듈(10)과 제1,2 카메라 모듈(22, 24)을 통해 상기 휠 로우 더의 다양한 작업에 따른 안전 사고 발생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제1 프레임(110)은 상기 감지 모듈(10)과 상기 제1 카메라 모듈(22)이 장착된 전면 프레임(114)이 구비되고, 상기 전면 프레임(114)의 중앙에 장착된 제1 카메라 모듈(20)을 기준으로 좌측 단부에 위치된 감지 모듈(10)이 상기 휠 로우 더의 후방 좌측면을 향하도록 소정의 각도로 경사지게 연장된 제1 경사 프레임(116)과, 상기 제1 카메라 모듈(24)을 기준으로 우측 단부에 위치된 감지 모듈(10)이 상기 휠 로우 더의 후방 우측면을 향하도록 소정의 각도로 경사지게 연장된 제2 경사 프레임(118)을 더 포함한다.
상기 전면 프레임(114)은 상기 카운터 웨이트(W)를 향해 소정의 각도로 하향 경사지게 연장되어 있어 감지 모듈(10)과 상기 제1 카메라 모듈(22)이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착될 경우 후면 하측을 향하는 조사각이 유지된다.
이 경우 상기 카운터 웨이트(W) 전체가 감지 모듈(10)과 제1 카메라 모듈(22)에 의해 조사될 수 있어 근방으로 이동하는 작업자 또는 차량 또는 구조물에 대한 센싱 및 영상 확인이 보다 용이해질 수 있고 안전 사고로 발생을 감소시킬 수 있어 안전한 작업 환경을 조성할 수 있다.
상기 전면 프레임(114)에는 상기 휠 로우 더를 후방에서 바라볼 때 전면 중앙에 상기 제1 카메라 모듈(22)이 배치되고, 상기 제1 카메라 모듈(22)을 기준으로 좌측과 우측 방향으로 상기 감지 모듈(10)이 소정의 간격으로 복수개가 이격되어 위치된다.
상기 전면 프레임(114)은 제1 카메라 모듈(22)을 기준으로 후술할 제1,2 경사 프레임(116, 118)을 향해 수평하게 연장되고, 감지 모듈(10)과 제1 카메라 모듈(22)이 장착되도록 소정의 크기로 삽입 홀이 형성된다.
또한 전면 프레임(114)의 좌우 양측 단부에서 제1,2 경사 프레임(116, 118)의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의 각도로 경사지게 연장될 경우 상기 감지 모듈(10)의 조사각이 확장 될 수 있다. 따라서 감지 모듈(10)에 의한 사각지대의 발생을 최소로 유지함으로써 휠 로우 더의 작업에 따른 안정성이 향상된다.
또한 상기 제1 프레임(110) 상에 감지 모듈(10)과 제1 카메라 모듈(22)이 함께 설치될 경우 상기 감지 모듈(10)과 제1 카메라 모듈(22)과 연결된 하네스의 동선이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간단해 질 수 있어 배선 작업의 효율성이 향상된다.
상기 제1,2 경사 프레임(116, 118)에는 감지 모듈(10)이 각각 설치되고, 상기 제1,2 경사 프레임(116, 118)이 휠 로우 더의 좌측과 우측 위치에서 각각 측면으로 경사지게 연장되어 있어 상기 감지 모듈(10)이 감지할 수 있는 조사각이 확장된다.
상기 제1,2 경사 프레임(116, 118)은 후술할 측면 프레임(200)과 인접하여 위치되고, 상기 제1,2 경사 프레임(116, 118)에 장착된 감지 모듈(10)이 상기 측면 프레임(200)에 장착된 제2 카메라 모듈(24) 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위치에 위치되어 있어 감지범위가 넓어지게 된다. 따라서 본 실시 예는 휠 로우 더의 후방 또는 후방 좌측과 우측 근처에 위치된 구조물이나 작업자에 대한 감지 성능이 향상된다.
참고로 상기 제1,2 경사 프레임(116, 118)에 설치된 감지 모듈(10)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최외각 위치에 장착되므로 감지 범위가 보다 넓어지게 된다.
본 실시 예에 의한 측면 프레임(200)은 상기 제1 프레임(110)을 상면에서 바라볼 때 후방으로 이격된 좌측과 우측 위치에서 외측을 향해 소정의 길이로 연장된다.
상기 측면 프레임(200)은 전면 프레임(114)을 기준으로 대각선 방향으로 좌측과 우측 위치에서 후방 하측에 위치되므로 서로 간에 이격된 거리가 짧게 위치된다.
이와 같이 측면 프레임(200)이 위치될 경우 감지 모듈(10)에서 감지된 대상물에 대한 영상 정보를 측면 프레임(200)에 장착된 제2 카메라 모듈(24)이 인지하지 못하는 데드 존이 감소되어 보다 정확한 판단을 하는데 유리해질 수 있다.
이 경우 휠 로우 더에 탑승한 작업자가 제2 카메라 모듈(24)에 의해 촬영된 정보를 시각적으로 인지하고 추가적인 작업을 중단하거나, 경고음을 발생시켜 안전 사고로 인한 사상자의 발생 또는 구조물에 대한 손상을 예방하여 안전한 작업을 실시할 수 있다.
상기 전면 프레임(114)에는 전면 내측에 센터 브라켓(CB)이 구비되고, 상기 센터 브라켓(CB)을 매개로 좌측에 제1 연결 브라켓(BR1)이 구비되며, 우측에 제2 연결 브라켓(BR2)이 각각 동일 거리로 이격되어 서로 간에 결합된다.
상기 센터 브라켓(CB)은 제1 카메라 모듈(22)과 감지 모듈(10)에 대한 안정적인 설치를 위한 구성으로 도면에 도시된 형태로 이루어지나, 다른 형태로 변경되는 것도 가능할 수 있다.
일 예로 센터 브라켓(CB)은 L자 형태로 절곡되며 길이 방향을 기준으로 중간에 제1 카메라 모듈(22)이 위치되고, 좌우 양측 단부에 상기 제1,2 연결 브라켓(BR1, BR2)를 매개로 감지 모듈(10)이 위치된다.
상기 제1,2 연결 브라켓(BR1, BR2)이 센터 브라켓(CB)과 연결될 때 상기 제1 카메라 모듈(22)에서 동일 거리로 이격되어 위치되므로 설치에 따른 오차가 발생되지 않고 조립이 가능해 진다.
상기 감지 모듈(10)은 상기 전면 프레임(114)의 내측에 선단부가 삽입되고, 후단부가 상기 제1,2 연결 브라켓(BR1, BR2)에 결합된 제1 소켓(S1)의 내측에 각각 삽입된 상태가 유지된다.
제1 소켓(S1)은 원통 형태로 형성되고 내부에 감지 모듈(10)이 삽입되며, 후단부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연결 브라켓(BR1) 또는 제2 연결 브라켓(BR2)에 결합되어 안정적으로 설치된 상태가 유지된다.
상기 감지 모듈(10)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네스와 개별 결합되며 연결된 동선이 간단해지고 길이도 단축된 상태로 설치된다.
상기 제1 카메라 모듈(22)은 상기 센터 브라켓(CB)의 위치에서는 상기 제1 카메라 모듈(22)이 장착된 센터 브라켓(CB)을 매개로 정 위치에 장착되고, 상기 제2 카메라 모듈(24)은 측면 프레임(200)의 위치에서는 제3 브라켓(BR3)을 매개로 정 위치에 장착된 상태가 유지된다.
제1 카메라 모듈(22)은 센터 브라켓(CB)에 의해 정 위치에 설치된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되므로 전술한 감지 모듈(10)과 함께 사전에 정확한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2 카메라 모듈(24)은 측면 프레임(200)의 내측에서 휠 로우 더를 후방에서 바라볼 때 일 예로 좌측에 설치된 측면 프레임(200)의 위치에서는 제3 브라켓(BR3)에 의해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의 각도로 휠 로우 더의 후방 좌측 하부를 바라보며 설치된다.
상기 제3 브라켓(BR3)은 경사진 각도가 이미 설정되어 있어 작업자가 제2 카메라 모듈(24)을 정 위치에만 정확히 설치할 경우 오차가 발생되지 않고 안정적인 설치가 가능해 진다.
상기 제2 카메라 모듈(24)은 별도의 하네스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별 결합되어 연결되므로 레이 아웃 및 동선이 간단해 진다.
측면 프레임(200)은 전술한 제1 프레임(11)의 내측으로 삽입된 상태로 조립되므로 구조적으로 안정한 상태로 조립될 수 있어 외부 충격 및 진동에 의한 결합 상태 불량이 발생되지 않고 사용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 : 커버 조립체
10 : 감지 모듈
22, 24 : 제1,2 카메라 모듈
100 : 메인 커버
110, 120 : 제1,2 프레임
114 : 전면 프레임
116, 118 : 제1,2 경사 프레임
200 : 측면 프레임

Claims (8)

  1. 휠 로우 더의 후방 가드 부재(G)에 복수의 감지 모듈(10)과 제1 카메라 모듈(22)이 장착된 메인 커버(100); 및
    상기 메인 커버(100)의 좌측과 우측에 각각 위치되고, 상기 휠 로우 더의 측면 위치에서 근접한 대상물을 확인하기 위한 제2 카메라 모듈(24)이 장착된 측면 프레임(200)이 구비된 커버 조립체(1)를 포함하는 산업용 차량.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커버(100)는 좌측과 우측 위치에서 상기 가드 부재(G)의 상면에 마운팅이 이루어지는 한 쌍의 지지 프레임(112)과 연결되어 전체적인 외형을 이루는 제1 프레임(110);
    상기 제1 프레임(110)을 기준으로 후면에 결합 볼트를 매개로 탈착 가능하게 결합된 제2 프레임(120)을 포함하는 산업용 차량.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프레임(110)은 상기 감지 모듈(10)과 상기 제1 카메라 모듈(22)이 장착된 전면 프레임(114)이 구비되고,
    상기 전면 프레임(114)의 중앙에 장착된 제1 카메라 모듈(22)을 기준으로 좌측 단부에 위치된 감지 모듈(10)이 상기 휠 로우 더의 후방 좌측면을 향하도록 소정의 각도로 경사지게 연장된 제1 경사 프레임(116);
    상기 제1 카메라 모듈(22)을 기준으로 우측 단부에 위치된 감지 모듈(10)이 상기 휠 로우 더의 후방 우측면을 향하도록 소정의 각도로 경사지게 연장된 제2 경사 프레임(118)을 더 포함하는 산업용 차량.
  4.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 프레임(200)은 상기 제1 프레임(110)을 상면에서 바라볼 때 후방으로 이격된 좌측과 우측 위치에서 외측을 향해 소정의 길이로 연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업용 차량.
  5.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 프레임(114)은 상기 휠 로우 더를 후방에서 바라볼 때 전면 중앙에 상기 제1 카메라 모듈(22)이 배치되고, 상기 제1 카메라 모듈(22)을 기준으로 좌측과 우측 방향으로 상기 감지 모듈(10)이 소정의 간격으로 복수개가 이격되어 위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업용 차량.
  6.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 프레임(114)에는 전면 내측에 센터 브라켓(CB)이 구비되고, 상기 센터 브라켓(CB)을 매개로 좌측에 제1 연결 브라켓(BR1)이 구비되며, 우측에 제2 연결 브라켓(BR2)이 각각 동일 거리로 이격되어 서로 간에 결합된 산업용 차량.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 모듈(10)은 상기 전면 프레임(114)의 내측에 선단부가 삽입되고, 후단부가 상기 제1,2 연결 브라켓(BR1, BR2)에 결합된 제1 소켓(S1)의 내측에 각각 삽입된 상태가 유지되며,
    상기 제1 카메라 모듈(22)은 상기 센터 브라켓(CB)의 위치에서는 상기 제1 카메라 모듈(22)이 장착된 센터 브라켓(CB)을 매개로 정 위치에 장착되고, 상기 제2 카메라 모듈(24)은 측면 프레임(200)의 위치에서는 제3 브라켓(BR3)을 매개로 정 위치에 장착된 상태가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업용 차량.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커버(100)와 상기 측면 프레임(200)은 상기 휠 로우 더를 측면에서 바라볼 때 상기 휠 로우 더의 후방을 향해 경사진 상태로 배치된 산업용 차량.
KR1020210140562A 2021-10-20 2021-10-20 산업용 차량 KR20230056490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40562A KR20230056490A (ko) 2021-10-20 2021-10-20 산업용 차량
DE202022105890.3U DE202022105890U1 (de) 2021-10-20 2022-10-19 Industriefahrzeug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40562A KR20230056490A (ko) 2021-10-20 2021-10-20 산업용 차량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56490A true KR20230056490A (ko) 2023-04-27

Family

ID=849751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40562A KR20230056490A (ko) 2021-10-20 2021-10-20 산업용 차량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30056490A (ko)
DE (1) DE202022105890U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52813A (ko) 2003-07-15 2006-05-19 후프 휠스벡 운트 퓌르스트 게엠베하 운트 콤파니 카게 자동차의 도어 또는 힌지 결합된 플랩을 위한 핸들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52813A (ko) 2003-07-15 2006-05-19 후프 휠스벡 운트 퓌르스트 게엠베하 운트 콤파니 카게 자동차의 도어 또는 힌지 결합된 플랩을 위한 핸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202022105890U1 (de) 2023-01-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141065B1 (en) Construction equipment cab having protective structure
US8523225B2 (en) Overhead frame structure system
KR101809577B1 (ko) 유압 셔블
JP2005023718A (ja) 建設機械
US10467826B2 (en) Dump truck
KR20230056490A (ko) 산업용 차량
CN112622746A (zh) 车辆的前大灯安装总成及车辆
CN206067890U (zh) 前伸支架及具有该前伸支架的车辆
CN208393088U (zh) 一种蓄电池固定安装架结构
KR20070012998A (ko) 용접변형 방지구조물이 설치된 건설기계의 보강형 캡 지지상부프레임 및 그 제작방법
CN104986227A (zh) 一种重卡底盘前端结构
CN215513581U (zh) 一种轻量化、低成本的模块化设计商用车用侧防护
US10532621B2 (en) Mounting structure for suspension arm, and working vehicle
CN204775509U (zh) 一种重卡底盘前端结构
CN217672527U (zh) 一种车辆侧防护装置及工程车辆
US20150274216A1 (en) Skid plate assembly for axle housing of machine
JP7133542B2 (ja) ホイールローダ及びカウンタウェイトの取付位置変更方法
CN206092131U (zh) 汽车及其后处理装置
CN204605721U (zh) 一种车辆防护栏和车辆
CN211809429U (zh) 防撞装置、底盘及车辆
CN203713531U (zh) 一种散热器保护支架
CN110341579A (zh) 传感器组件和具有传感器组件的车辆
JP5351819B2 (ja) フェンダ装置
US20170107689A1 (en) Support structure for frame of a machine
CN209192076U (zh) 履带车架