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56234A - 곤드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환경호르몬에 의한 대사 이상 개선 및 치료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곤드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환경호르몬에 의한 대사 이상 개선 및 치료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56234A
KR20230056234A KR1020210140030A KR20210140030A KR20230056234A KR 20230056234 A KR20230056234 A KR 20230056234A KR 1020210140030 A KR1020210140030 A KR 1020210140030A KR 20210140030 A KR20210140030 A KR 20210140030A KR 20230056234 A KR20230056234 A KR 202300562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bpa
endocrine disruptors
composition
endocr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400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주현
이옥환
최선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하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하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하람
Priority to KR10202101400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56234A/ko
Publication of KR202300562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5623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8Asteraceae or Compositae (Aster or Sunflower family), e.g. chamomile, feverfew, yarrow or echinace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24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the immune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1Plant extrac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14Extrac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otan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ublic Health (AREA)
  • Myc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Diabetes (AREA)
  • Epidemi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iotechn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Hematology (AREA)
  • Obesit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곤드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환경호르몬에 의한 대사 이상 개선용 식품 및 약학적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곤드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환경호르몬에 의한 대사 이상 개선 및 치료용 조성물{A COMPOSITION FOR IMPROVING METABOLIC SYNDROME-RELATED DISEASES CAUSED BY ENDOCRINE DISRUPTORS COMPRISING CIRSIUM SETIDENS EXTRACT}
본 발명은 환경호르몬에 의해 유발되는 건강 이상 개선을 위한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의약품 및 식품 등 다양한 용도로서 활용 가능하다.
환경호르몬은 학술용어로 환경성 내분비계 교란물질(endocrine disruptors)이라고 하는데, 환경으로 방출된 유해한 화학물질이 생체 내에 유입되어 호르몬 작용을 방해하거나 교란시키는 물질을 총칭한다.
내분비계 장애물질이란 생명체의 내부에 들어가 내분비계의 정상적인 기능을 방해하거나 혼란시키는 화학물질로 내분비계 교란물질(Endocrine Disruptors)을 통칭한다.
환경호르몬은 인체의 내분비계에 작용하여 여성호르몬과 같은 작용을 일으켜 호르몬 분비를 차단, 과잉, 과소 분비토록 하여 불임, 성기능 장애, 정자수 감소 등 생식기능이상을 초래할 수 있다.
환경 호르몬은 생체 호르몬과는 달리 쉽게 분해되지 않고 환경 및 체내에 수년간 잔류하며, 인체 등 생물체의 지방 및 조직에 농축되는 성질이 있다고 보고되고 있다
환경호르몬은 화학구조가 생체 호르몬과 비슷하여 몸속에서 마치 천연 호르몬인 것처럼 작용하는 경우가 많으며, 이와 같은 '모방(mimic)'을 통해 진짜 호르몬처럼 몸속의 세포 물질과 결합하여 비정상적인 생리작용을 한다.
환경호르몬으로 현재까지 약 87,000 여종이 알려져 있고, 이 중 인체에 독성을 보이는 환경호르몬은 약 67종이며, 대표적 맹독성 환경호르몬 물질로는 다이옥신류, 프탈레이트 가소제류, 비스페놀 등이 있다.
환경호르몬은 우리 몸의 지방조직 등에 침투한 뒤 잔류성 유기화학물질을 서서히 방출하면서 인슐린 저항성을 유발하므로, 이를 통해 지질대사 이상 등의 대사증후군뿐만 아니라 면역질환을 야기하거나, 세포 내 ROS(활성산소종) 발생을 상승시킴으로써 암, 당뇨, 고혈압, 불임 등 다양한 현대성인병 발생과 연관될 수 있다.
최근 내분비 교란물질에 의해 유발되는 질환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으며, 이를 개선하기 위한 다양한 연구가 수행되고 있다.
본 발명자들은 곤드레 추출물이 내분비 교란물질에 의해 유발되는 대사 이상을 효과적으로 완화시키고 이로 인해 유발되는 각종 증상을 완화시킬 수 있음을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생체 안전성이 우수한 천연 식물 유래의 기능성 식의약품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곤드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환경호르몬에 의한 대사 이상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이 제공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환경호르몬은 비스페놀류, 파라벤류, 또는 프탈레이트류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식품 조성물은 대사 이상에 의한 대사증후군을 완화활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식품 조성물은 환경호르몬에 의한 면역기능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곤드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환경호르몬 독성 완화용 식품 조성물이 제공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식품 조성물은 환경호르몬 유발 활성산소종을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곤드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환경호르몬에 의한 대사 이상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이 제공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약학적 조성물은 대사 이상에 의한 대사증후군을 완화활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조성물은 천연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여 생체 안전성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내분비 교란물질에 의한 지질대사 이상을 개선함으로써 건강기능식품뿐만 아니라 이로 인해 유발되는 질환의 치료 용도로서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BPA, 곤드레 추출물을 처리하고 ATF(adipogenic transcription factor) 단백질 발현량의 변화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BPA, 곤드레 추출물을 처리하고 지질 축적량의 변화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BPA, 곤드레 추출물을 처리하고 활성산소종 생성량 변화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BPA, 곤드레 추출물을 처리하고 마우스의 체중 증가 변화를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BPA, 곤드레 추출물을 처리하고 백색지방세포(WAT)의 크기 변화를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BPA, 곤드레 추출물을 처리하고 지방생성(adipogenesis) 및 지방산합성(lipogenesis) 관련 단백질 발현량의 변화를 도시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수치 범위는 상기 범위에 정의된 수치를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 걸쳐 주어진 모든 최대의 수치 제한은 낮은 수치 제한이 명확히 쓰여져 있는 것처럼 모든 더 낮은 수치 제한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 걸쳐 주어진 모든 최소의 수치 제한은 더 높은 수치 제한이 명확히 쓰여져 있는 것처럼 모든 더 높은 수치 제한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 걸쳐 주어진 모든 수치 제한은 더 좁은 수치 제한이 명확히 쓰여져 있는 것처럼, 더 넓은 수치 범위 내의 더 좋은 모든 수치 범위를 포함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기술하나, 하기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아니함은 자명하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곤드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환경호르몬에 의한 대사 이상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이 제공된다.
상기 곤드레의 학명은 고려엉겅퀴(Cirsium setidens)로, 식물성 단백질이 풍부하여 옛날 보릿고개 때 구황식물로 이용됐으나, 최근에는 특유의 풍미와 효능으로 인해 건강식품으로 주목을 받고 있다.
상기 곤드레는 칼슘, 인 및 철분도 다량 함유하고 있어 뼈를 튼튼하게 하고 빈혈을 예방해주고 식이섬유가 풍부하여 변비 예방에 효과적이며, 베타카로틴 성분은 체내의 활성산소를 제거하여 암 예방에 도움을 준다.
또한, 상기 곤드레는 콜레스테롤의 수치를 낮춰 혈액순환을 돕고, 혈관질환을 예방하는 효과를 내기도 하고, 엽산 성분은 산모의 양수 막을 튼튼하게 만들어 주어 산모의 건강에 도움을 준다. 최근에는 상기 곤드레의 추출물이 간 독성을 중화시키고 보호하는 데 효과가 있다는 사실이 입증되기도 했다.
그러나, 상기 곤드레의 환경호르몬 유발 대사 이상 또는 관련 작용 기전은 현재까지 알려진 바 없으며, 본 발명자들은 비스페놀 A와 같은 환경호르몬뿐만 아니라, 그 유사체인 비스페놀 S, 비스페놀 F가 오비소겐(obesogen)으로써 이상지질대사를 유도함을 확인하고, 상기 곤드레가 환경호르몬으로 유도된 대사 이상 및 독성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음을 규명하였다.
상기 식품 조성물은 대사 이상에 의한 대사증후군을 완화활 수 있다.
상기 “대사 이상”은 효소, 호르몬, 효소장애 등에 의해 대사가 장애를 받아 대사활동이 원활하게 행할 수 없게 된 상태를 총칭하며, 면역력 저하, 대사증후군 등의 신체 이상을 야기할 수 있다.
상기 대사증후군은 당뇨, 비만, 인슐린 저항성, 지방간, 고지혈증, 동맥경화 또는 이들의 합병증 등 사망의 위험인자들이 함께 존재하는 상태를 의미하며, 구체적으로 환경호르몬에 의해 유발되는 지질대사 이상일 수 있다.
상기 환경호르몬으로 널리 알려진 내분비 교란물질은 정상적인 체내 호르몬으로 작용하거나 기능을 방해하는 화학 물질일 수 있고, 상기 교란물질은 인공적으로 합성되어 사용되며, 일상생활 속에서 쉽게 노출될 수 있다.
상기 내분비계 교란물질은 체내로 흡수되어 번식, 발달, 대사 및 면역과 관련된 정상적인 호르몬의 혼란을 유발할 수 있고, 호르몬의 합성, 저장, 분비, 수송, 결합 및 대사를 방해함으로써 다양한 질병을 유발할 수 있다.
상기 환경호르몬은 비만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호르몬이라는 의미의 오비소겐(obesogen)이라는 단어가 적용될 수 있고, 구체적으로, 비스페놀류(BPA, BPF, BPS), 파라벤류(메틸파라벤, 에틸파라벤, 프로필파라벤, 부틸파라벤), 프탈레이트류(DEHP, DBP, BBP, DEP, DNOP, DIDP, DINP) 일 수 있다.
상기 “지질대사(Lipid metabolism)”는 콜레스테롤 대사 또는 중성지질 대사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콜레스테롤"은 동물세포의 세포막을 구성하는 데 필요한 기본 물질로, 식물에서는 합성되지 않고 동물에서만 합성된다. 상기 콜레스테롤은 여러 생물학적 스테로이드 물질의 전구체(precursor) 역할을 하므로 생체 내에 필수적이다.
상기 콜레스테롤은 식이로부터의 외인성 콜레스테롤과 체내에서 합성되는 내인성 콜레스테롤로부터 공급되며, 간에서 최종 대사산물인 담즙산으로 변하고, 장을 통해 배설될 수 있다.
상기 콜레스테롤의 수준이 체내에서 일정하게 유지되지 못하고, 세포에 의해 원활히 이용되지 못하는 경우 콜레스테롤은 체내에 축적되고, 죽상동맥경화증이나 관상동맥질환과 같은 여러가지 심혈관 질환의 일차적인 원인이 될 수 있다.
상기 "중성지질"은 물에 녹지 않는 지방을 의미하며, 콜레스테릴 에스테르와 트리글리세라이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중성지방은 물에 용해되지 않으므로 혈액 속에서 단독으로 존재할 수 없어 운반체인 지단백이 필수적이다.
체내 지방은 콜레스테롤과 중성지방으로 구성되고, 상기 중성지방은 LDL, 즉 나쁜 콜레스테롤의 생성을 돕고 좋은 콜레스테롤인 HDL의 분해를 촉진할 수 있다.
상기 지질대사 이상은 상기 지질이 생성 및 축적되는 대사과정이 적절히 조절되지 않아 체내에 지질이 축적되거나, 비만, 당뇨병, 고콜레스테롤증, 고중성지질혈증, 저지질증, 지방단백질증 또는 동맥경화 등의 질병을 야기할 수 있다.
상기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은 투여하고자 하는 개체에 대한 치료적 또는 예방적 효과를 제공하기에 충분한 양을 포함하는 것을 의미하며, 상기 곤드레 추출물은 생체 안전성이 우수하므로 당업자가 양적 상한을 적절히 조정할 수 있다.
상기 “추출물”은 용매와 추출 원료를 특정 조건 하에서 접촉시킴으로써 추출 원료에 함유된 유효성분이 전이된 용매를 지칭하는 것으로, 천연물로부터 원료에 함유된 성분을 분리해낸 물질이라면, 추출 방법이나 성분의 종류와 무관하게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추출물은 물이나 유기용매를 이용하여 천연물로부터 용매에 용해되는 성분을 추출한 것, 천연물의 특정 성분, 예컨대 오일과 같은 특정 성분만을 추출하여 얻어진 것 등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추출물은 곤드레를 건조 후 분말화하거나, 열수추출법, 에탄올 추출법 등 종래 알려진 다양한 추출법에 의해 수득할 수 있다.
상기 추출물은 물, 알코올, 에틸아세테이트, 아세톤, 핵산, 디클로로메탄 또는 이들의 혼합 용매로 추출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원료에 포함된 유효성분은 용매의 극성에 따라 추출 비율이 상이해질 수 있으므로, 용매에 따른 생리 활성 물질의 선택성을 고려하여 달리할 수 있다.
상기 추출물은 추출 원료를 물로 수세한 후 건조 및 분쇄하여, 원료 중량의 8 내지 12배에 달하는 부피의 용매로 약 1 내지 24시간 동안 환류 순환 추출, 가압 추출, 초음파 추출 등 통상적인 방법으로 추출 및 여과하여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추출물은 감압 증류 또는 동결 건조 등과 같은 추가적인 공정에 의해 분말 상태로 수득할 수 있다.
상기 추출물은 통상적인 정제 과정을 거친 추출물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추출물은 일정한 분자량 컷-오프 값을 갖는 한외 여과막을 이용한 분리, 다양한 크로마토그래피(크기, 전하, 소수성 또는 친화성에 따른 분리를 위해 제작된 것)에 의한 분리 등 추가적으로 실시된 다양한 정제 방법을 통해 얻어진 분획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식품 조성물은 환경호르몬에 의한 면역기능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상기 “면역(immunity)”은 생물체 내에서 병원체와 종양 세포 등을 탐지한 후 무력화하여 질병으로부터 생명체를 보호하는 기작을 의미하는 것으로, 상기 “면역 증진(Immunostimulation)”은 암 및 염증 등과 같은 다양한 질환에 대한 신체 방어 기전을 보강하는 일련의 치료학적 또는 예방학적 전략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식품 조성물은 환경호르몬에 의한 대사 이상을 완화시키고, 환경호르몬에 의해 야기될 수 있는 면역기능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곤드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환경호르몬 독성 완화용 식품 조성물이 제공된다.
BPA 등 환경호르몬은 체내에서 활성산소종을 증가시키는데, 상기 활성산소종은 동맥경화, 중풍, 심근 경색, 기미, 주근깨, 잔주름, 암, 백혈병, 교원병(collagen disease)(膠原病, 피부, 관절, 혈관 등 신체의 결합조직에 이상이 생기는 모든 질병), 남성의 생식 기능 저하 등을 일으킨킬 수 있다.
뿐만 아니라, 환경호르몬은 체내 지방을 축적시키는데, 이로 인해 지방의 과도한 축적에 따른 모든 질병, 예컨대 비만, 동맥경화, 지방간 등의 원인이 될 수 있다. 또한, 세포 형태를 비이상적으로 변화시키는 원인이 된다.
환경 호르몬은 같은 작용기전에 의해 유사한 독성을 일으킨다고 알려져 있으므로, 상기 식품 조성물은 BPA 외에도 할로겐화된 방향족 탄화수소류의 환경 호르몬에 의한 독성 억제용으로도 사용될 수 있으며, 비스페놀 A 외의 다른 종류의 환경 호르몬의 해독 및 독성 발현의 억제에도 효과를 미칠 수 있다.
상기 식품 조성물은 환경호르몬 유발 활성산소종을 억제할 수 있다.
“항산화”는 산화를 억제하는 작용을 의미하는 것으로, 인체는 산화촉 진물질과 산화억제물질이 균형을 이루고 있으나, 여러 가지 요인들로 인하여 이러한 균형 상태를 잃고 산화를 촉진하는 방향으로 기울게 되면, 생체 내에 산화적 스트레스(oxidative stress)가 유발되어 세포손상 및 병리적 질환을 유발할 수 있다.
산화적 스트레스의 직접적 원인이 되는 활성산소종(reactive oxygen species, ROS)은 화학적으로 불안정하고 반응성이 높아 DNA, 단백질, 지질 및 탄수화물과 같은 여러 생체물질과 쉽게 반응할 수 있으며, 생체 내 고분자들을 공격하여 세포와 조직에 비가역적인 손상을 일으키거나 돌연변이, 세포독성 및 암 등을 초래하게 되고, 노화의 직접적인 원인이 되기도 한다.
따라서, 상기 활성산소종을 제거하거나 감소시킴으로써 항산화 효과를 얻어 노화를 방지하고 건강을 유지할 수 있다.
상기 활성산소종(Reactive Oxygen Species, ROS)은 지방세포의 분화를 유도하거나 세포 주변 대식세포를 자극하기 때문에 당뇨와 같은 대사성 질환의 원인이 될 수 있으며, 상기 조성물은 활성산소종의 발생을 효과적으로 억제함으로써 환경호르몬에 의해 유발될 수 있는 대사증후군의 예방 또는 개선할 수 있다.
상기 식품 조성물은 환경호르몬 관련 대사 이상, 예컨대 지질대사 이상 개선을 위한 건강기능식품으로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건강기능식품은 건강기능식품에 관한 법률에 따른 인체에 유용한 기능성을 가진 원료나 성분을 사용하여 제조 및 가공한 식품을 의미하며, 상기 기능성은 인체의 구조 및 기능에 대하여 영양소를 조절하거나 생리학적 작용 등과 같은 보건 용도에 유용한 효과를 얻을 목적으로 섭취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상기 식품 조성물은 통상의 식품 첨가물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식품 첨가물은 다른 규정이 없는 한 식품의약품안전처에 승인된 식품 첨가물 공전의 총칙 및 일반시험법 등에 따라 해당 품목에 관한 규격 및 기준에 의하여 적합성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식품 첨가물 공전에 기재된 품목은 예컨대 케톤류, 글리신, 구연산칼륨, 니코틴산, 계피산 등의 화학적 합성물, 감색소, 감초추출물, 결정셀룰로오스, 고량색소, 구아검 등의 천연첨가물, L-글루타민산나트륨 제제, 면류첨가알칼리제, 보존료제제, 타르색소제제 등의 혼합제제류를 들 수 있다.
상기 식품 조성물은 건강 개선을 위한 식품 및 음료 등에 다양하게 이용될 수 있으며, 예컨대, 각종 식품류, 음료, 껌, 차, 비타민 복합제, 건강기능성 보조 식품, 식품 첨가제 등에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건강기능식품은 건강 개선을 목적으로 정제, 과립, 분말, 캅셀, 액상의 용액 및 환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제형으로 제조 및 가공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정제 형태의 건강기능식품은 곤드레 추출물, 부형제, 결합제, 붕해제 및 다른 첨가제와의 혼합물을 통상의 방법으로 과립화한 후, 활택제 등을 넣어 압축 성형하거나, 상기 혼합물을 직접 압축 성형하여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정제 형태의 건강기능식품은 필요에 따라 교미제 등을 함유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적당한 제피제로 제피할 수도 있다.
상기 캅셀 형태의 건강기능식품 중 경질캅셀제는 통상의 경질캅셀에 곤드레 추출물 및 부형제 등의 첨가제와의 혼합물 또는 그의 입상물 또는 제피한 입상물을 충진하여 제조할 수 있으며, 연질캅셀제는 곤드레 추출물 및 부형제 등의 첨가제와의 혼합물을 젤라틴 등 캅셀기제에 충진하여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연질캅셀제는 필요에 따라 글리세린 또는 솔비톨 등의 가소제, 착색제, 보존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상기 환 형태의 건강기능식품은 곤드레 추출물, 부형제, 결합제, 붕해제 등의 혼합물을 적당한 방법으로 성형하여 조제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백당이나 다른 적당한 제피제로 제피를, 또는 전분, 탈크 또는 적당한 물질로 환의를 입힐 수도 있다.
상기 과립형태의 건강기능식품은 곤드레 추출물, 부형제, 결합제, 붕해제 등의 혼합물을 적당한 방법으로 입상으로 제조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착향제, 교미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부형제, 결합제, 붕해제, 활택제, 교미제, 착향제 등에 대한 용어 정의는 당업계에 공지된 문헌에 기재된 것으로 그 기능 등이 동일 내지 유사한 것들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곤드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환경호르몬에 의한 대사 이상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이 제공된다.
상기 “예방”은 병리학적 현상의 발생 빈도 또는 정도를 감소시키는 모든 행위를 의미한다. 예방은 완전할 수 있으며 또는 부분적일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개체 내의 대사 이상에 의해 발생되는 증상이 상기 조성물을 사용하지 않은 경우와 비교하여 감소하는 현상을 의미할 수 있다.
상기 “치료”는 치료하고자 하는 대상 또는 세포의 천연 과정을 변경시키기 위하여 임상적으로 개입하는 모든 행위를 의미하며, 임상 병리 상태가 진행되는 동안 또는 이를 예방하기 위하여 수행할 수 있다.
목적하는 치료 효과는 질병의 발생 또는 재발을 예방하거나, 증상을 완화시키거나, 질병에 따른 모든 직접 또는 간접적인 병리학적 결과를 저하시키거나, 전이를 예방하거나, 질병 진행 속도를 감소시키거나, 질병 상태를 경감 또는 일시적 완화시키거나, 예후를 개선시키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은 경구적 전달, 비경구적 전달의 형태로 투여될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은 전신 또는 국소 투여될 수 있으며, 상기 투여는 경구 투여 및 비경구 투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은 적절한 투여 형태를 제공하도록 적합한 양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비히클 또는 담체와 함께 제형화될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은 약학 조성물의 제조에 사용되는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로는 락토즈, 덱스트로즈, 수크로스, 솔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말티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알지네이트, 젤라틴, 칼슘 포스페이트, 칼슘 실리케이트, 셀룰로즈, 메틸 셀룰로즈, 미정질 셀룰로스, 폴리비닐 피롤리돈, 물,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탈크,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또는 광물유를 들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조성물은 산제, 과립제, 정제, 캡슐제, 현탁액, 에멀젼, 시럽, 에어로졸 등의 경구형 제형, 외용제, 좌제 및 멸균 주사용액의 형태로 제제화하여 사용할 수 있다.
경구 투여를 위한 고형제제는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등이 사용될 수 있고, 상기 고형제제는 상기 곤드레 추출물과 이의 분획물들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컨대, 전분, 칼슘카보네이트, 수크로스, 락토오스, 또는 젤라틴 등을 혼합하여 조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부형제 이외에 마그네슘 스티레이트, 탈크 같은 윤활제가 사용될 수 있다.
경구 투여를 위한 액상 제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시럽제 등이 사용될 수 있고, 단순희석제인 물, 리퀴드 파라핀 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컨대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비경구 투여를 위한 제제는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 제제, 좌제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비수성용제, 현탁제는 프로필렌글리콜(propylene glycol), 폴리에틸렌 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르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좌제의 기제로는 위텝솔(witepsol), 마크로골, 트윈(tween) 61, 카카오지, 라우린지, 글리세로제라틴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약학적 조성물은 약제학적으로 유효한 양이 대상체에 투여될 수 있다. 상기 “약제학적으로 유효한 양”은 의학적 치료에 적용 가능한 합리적인 수혜/위험 비율로 질환을 치료하기에 충분한 양을 의미하며, 유효 용량 수준은 환자의 질환의 종류, 중증도, 약물의 활성, 약물에 대한 민감도, 투여 시간, 투여 경로 및 배출 비율, 치료 기간, 동시 사용되는 약물을 포함한 요소 및 기타 의학 분야에 잘 알려진 요소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상기 약학적 조성물은 개별 치료제로 투여하거나 다른 치료제와 병용하여 투여될 수 있고, 종래의 치료제와 순차적으로 또는 동시에 투여될 수 있으며, 단일 또는 다중 투여될 수 있다. 상기 요소들을 모두 고려하여 부작용 없이 최소한의 양으로 최대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양을 투여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는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결정될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을 더욱 상술하나 하기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지 아니함은 자명하다.
실시예 : 곤드레 추출물 제조
곤드레(강원도 정선) 건조물 1 중량부에 대하여 40%(w/w) 에탄올로 70℃에서 2시간 동안 가열하여 추출한 다음 여과하였다.
상기 여과물은 농축기를 이용하여 15 brix로 농축한 다음 동결 건조하여 실험의 시료(곤드레 추출물 분말)로 사용하였다.
이 때, 상기 곤드레추출물은 CNE로 표시하였고, LCNE 및 HCNE는 각각 100 mg/kg/day, 및 200 mg/kg/day 경구 투여한 실험군을 나타내었다.
실험예 1 : 세포 배양
마우스 유래 3T3-L1 세포는 American Type Culture Collection(ATCC, CL-173, Manassas, VA, USA)으로부터 분양받아 사용하였다.
지방전구세포는 1% P/S, 10% BS 및 3.7g/L의sodium bicarbonate 첨가된 DMEM배지에 37°C, 5% CO2 조건에서 실험에 적합한 세포배양 plate에서 배양하였다.
세포분화 6일 전부터 BPA를 처리하였으며 분화 시 CNE, BPA(20 μM)와 MI(0.5mM IBMX, 1μg/mL 인슐린 및 10% FBS)칵테일을 처리하여 분화시켰다.
분화 초기를 측정하기위해 1, 3, 6, 12, 24 및 48시간 동안 분화시켰으며, 분화 말기를 측정하기 위해 10일 까지 분화를 유도하였다.
또한 BPA처리에 따른 PPARγ발현을 측정하기 위해, 세포를 MI 및 BPA와 함께 PPARγ길항제인 GW9662(10μM)를 처리하여 분화를 유도하였다.
모든 실험에서 분화 2일 후, 배지를 DEX가 없는 새로운 MI 배지로 교체하고, 분화 10일이 경과할 때까지 2일마다 동일한 배지로 교체하였다.
실험예 2 : 독성 평가(MTT assay)
3T3-L1에 대한 BPA 및 CNE의 세포독성 평가는 XTT assay kit(WelGene, Seoul, Korea)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3T3-L1 지방전구세포를 48-well plate에서 5 x 104/well 세포의 밀도로 배양하였다.
BPA는 총 16일(전처리 6일 및 분화 10일)간 처리 하였으며, CNE는 총 10일(분화 10일)간 처리하였다.
분화 후 N-methyl dibenzopyrazine methyl sulfate(PMS)와 XTT reagent를 처리하여 4시간동안 반응시켰다.
용해성 포르마잔염 형성으로 인한 흡광도 변화는 microplate reader(Molecular Devices, Sunnyvale, CA, USA)를 사용하여 450 및 690 nm에서 측정하였다.
곤드레 추출물(실시예)은 모든 농도(10, 100, 1000 μg/mL) 범위에서 세포 독성이 나타나지 않았다.
실험예 3-1 : 환경호르몬에 의한 지질 축적 유도 효과 확인
모든 시료는 분화 초기단계에서 MI 또는 MDI 처리군과 비교하여 3T3-L1 지방세포의 세포생존율은 변화되지 않았다(도 1A).
지방세포분화 초기 단계(1, 3, 6, 12, 24 및 48시간)에서 PPARγ및 C/EBPα와 같은 마스터 ATF의 단백질 발현 수준의 변화를 측정한 결과 PPARγ및 C/EBPα의 발현 수준은 MI 처리에 비해 BPA 처리 후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며, 분화 48시간에서는 더욱 확실하게 나타났다(도 1B, 도 1C).
특히, BPA를 처리함에 따라 대조군에 비하여 세포내 리피드 드롭(lipid drop) 축적량이 증가하였으며, 세포의 형태(morphology)가 변하였는데, 대조군의 경우 섬유아세포 형태가 많이 보이는 반면, BPA를 처리한 군에서는 섬유아세포의 형태보다 둥그런 형태의 세포가 관찰되었다.
한편, GW9662는 PPARγ ligand-binding domain에 대한 경쟁적 결합에서 길항제로 알려져 있다.
도 1D과 같이, PPARγ의 단백질 발현은 BPA 및 rosiglitazone처리군에서 각각 MDI 처리군과 비교하여 29.42±2.26%, 37.18±10.92%로 나타났다.
반면, BPA 및 rosiglitazone과 함께 GW9662가 처리된 실험군에서 각각 11.82±3.94%와 15.82±6.25%로 나타나 PPARγ의 단백질 발현이 억제되었다.
상기 결과는 BPA가 PPARγ의 단백질 발현을 유도하여 비만 효과를 유발함을 시사한다.
또한, BPA로 유도된 ATF의 단백질 발현에 대한 억제효능을 평가하기 위해 3T3-L1 세포를 분화 48시간에 분석하였다.
도 1E 및 도 1F을 참조하면, PPARγ및 C/EBPα의 단백질 발현은 BPA 처리군에서 각각 2.71±0.44%, 56.29±7.47%로 MI 처리군(각각 7.32±0.44%, 24.14 ± 10.87%)과 비교하여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하지만 CNE(100 및 200 μg/mL)는 초기 지방세포분화에서 PPARγ및 C/EBPα 단백질 발현을 유의적으로 감소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험예 3-2 : 환경호르몬에 의한 유도 지질 축적 억제능 평가
CNE의 BPA 유도 지질 축적 및 항비만 효과를 평가하기 위해 ORO 염색 분석을 사용하였다.
3T3-L1 지방전구세포를 1 x 106/well 세포의 밀도로 배양하였으며, 10일 동안 지방 생성 유도 호르몬 칵테일 및 CNE로 분화시켰다.
분화된 지방세포를 PBS로 2회 세척한 후, 24℃에서 1시간 동안 10% 포름알데히드(formaldehyde)에 고정시켰다.
고정된 세포를 60%(w/w) isopropanol로 세척하고 완전히 건조시켰으며, 미리 제조해 둔 Oil Red O working solution(ORO : DDW=6:4)으로 세포 내 축적된 지방 성분들을 24℃에서 1시간 동안 염색하였다.
증류수를 이용하여 세포를 3 내지 4회 세척 후, 세포 내 축적된 지방 성분과 결합한 ORO는 100% isopropanol을 이용하여 모두 용출시킨 후 microplate reader를 이용하여 49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CNE가 3T3-L1 지방세포에 미치는 영향을 측정하기 전에 분화 10일차에 XTT assay를 이용하여 세포 생존율의 변화를 확인하였다.
그 결과 모든 샘플 처리군에서 MI 또는 MDI 처리군과 비교하여 3T3-L1 지방세포의 세포생존율은 변화하지 않았다(그림 2A).
도 2B를 참조하면, 로시글리타존(rosiglitazone) 및 BPA 처리군에서는 세포 내 지질 축적이 각각 64.97±7.30% 및 61.1±5.51%로 증가하였다.
BPA로 유도된 지질 축적은 GW9662처리로 인해 36.21±2.23%로 감소하였을 뿐만 아니라, NAC와 CNE(100 μg/mL, 200 μg/mL) 처리군에서 감소하였다(그림 2C).
상기 결과는 BPA가 PPARγ발현의 유도를 통해 지방세포 분화 및 ATF의 발현을 유도하며, CNE는 이를 억제하여 이상 지질 대사를 억제 및 개선시킬 수 있음을 시사한다.
실험예 4 : 환경호르몬 유도 ROS 생성 억제능 평가
3T3-L1 지방세포 분화를 10일 동안 진행하여 BPA에 의한 ROS 생성과 CNE의 ROS 생성 억제 효능을 평가하였다.
분화된 지방세포에 0.2% NBT 용액을 처리하여 24°C에서 90분 동안 반응 시켰으며 생성된 formazan을 50% acetic acid로 용출하여 593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분화된 지방세포를 10 μM H2DCFDA를 처리하여 24°C에서 30분 동안 반응 시켰으며 FACS Calibur 유세포 분석기(BD Biosciences)를 사용하여 형광값(excitation and emission wavelength is 488 and 545 nm, respectively)을 측정하였다.
데이터 분석은 Cell Quest 소프트웨어 6.0(BD Biosciences)을 사용하여 10,000개 세포를 기반으로 분석하였다.
ROS 생산은 NBT 및 DCFDA assay을 사용하여 측정하였으며 지질 축적 억제 효능평가와 동일한 실험 그룹으로 나누었다.
NBT assay에서 ROS 생성은 MI 대조군(31.31±1.46%)에 비해 BPA 처리군(69.51±1.14%)에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반면, 100 및 200 μg/mL의 CNE는 ROS 생성을 각각 44.51±1.79 및 39.75±2.88%로 유의하게 감소시켰다(도 3A).
또한 H2DCFDA를 사용하여 ROS 생성을 측정한 결과(도 3B & 3C), BPA 처리군(441.72±32.28%)은 MDI 처리군(446.14±36.59%)과 비교하여 유사한 형광 강도를 보였으나, 200μg/mL CNE를 처리한 세포에서 362.51±20.32%으로 나타나 BPA에 의해 유도된 ROS 생성이 유의하게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실험예 5 : 환경호르몬에 의한 이상지질대사 개선효능 평가(동물실험)
5-1. 동물 및 실험 디자인
4주령 수컷 C57BL/6J 마우스(n=35)는 대한바이오링크(Chungcheong, Korea)로 제공받았으며, 1주일 동안 통제된 케이지 및 사육실에서 적응시켰다:
Free access to food(10% kcal fat) and water, light cycle(12/12 h light/dark), temperature(24 ± 2 °C), and humidity(55% ± 5%). 마우스를 무작위로 7개 그룹(n = 5)으로 나누었다:
group 1, vehicle(corn oil) control; group 2, low-dose BPA(LBPA, 5 μg/kg/day); group 3, medium-dose BPA(MBPA, 50 μg/kg/day); group 4, high-dose BPA(HBPA, 500 μg/kg/day); group 5, HBPA + Garcinia cambogia extract(GAR, 100 mg/kg/day); group 6, HBPA + low-dose CNE(LCNE, 100 mg/kg/day); group 7, HBPA + high-dose CNE(HCNE, 200 mg/kg/day).
경구투여는 BPA와 시료(GAR, CNE)를 각각 옥수수유와 증류수에 녹여 총 10주간 1일 1회 투여하고 6일마다 일정한 시간에 마우스의 체중을 측정하였다.
식이섭취량은 제공한 음식의 양과 남은 양의 차이로 측정하였으며, FER(Food Efficiency Ratio)은 체중증가(g)/섭취량(g)의 공식으로 계산하였다.
투여 10주 및 12시간의 금식 후, 조직 및 혈액 샘플을 이소플루란으로 마취된 마우스로부터 수집하였다.
5-2. 혈액학적 분석
혈액샘플에서 혈장을 분리하기 위해 리튬 헤파린 튜브(Microtainer PSTTM 튜브; Becton Dickinson, NJ, USA)에 혈액을 담아 10분 동안 15,000 x g에서 원심분리 하였다.
혈장 LDL 콜레스테롤(LDL-c), HDL 콜레스테롤(HDL-c), 총 콜레스테롤(TC) 및 총 콜레스테롤(TC) 수준은 Konelab 20XT clinical chemistry analyzer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5-3. 조직학적 분석
절개된 부고환 지방 조직, 간, 비장 및 신장을 생리 식염수로 세척 후 수분을 제거하고 무게를 측정하였다.
부고환 지방 조직을 4% paraformaldehyde로 고정하고 graded series 에탄올로 탈수 시켰다.
탈수된 조직을 포매하여 3μm 두께로 절단하였으며, 섹션을 hematoxylin and eosin(H&E)으로 염색하고 현미경(ECLIPSE Ni-U; Nikon, Melville, NY, USA)을 사용하여 관찰하였다.
조직의 지방 세포 면적은 ImageJ 소프트웨어 1.48(NIH, Bethesda, MD, USA)을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5-4. Western blot analysis
세포 및 지방조조직의 세포막을 lysis buffer(1% NP-40, 0.1% sodium dodecyl sulfate, 150 mM NaCl, 1 mM pepstatin A, 0.25% sodium deoxycholate, 1 mM phenylmethylsulfonyl fluoride)로 용해시킨 후, 용해물을 12,000 × g에서 20 분간 원심분리 하여 상층액을 수득하였다.
단백질 농도는 Bradford 단백질 분석 kit(Bio-Rad)를 사용하여 정량화하였다. 30 μg의 단백질을 SDS-PAGE에서 loading한 후, 분리된 단백질 밴드를 polyvinylidene difluoride membrane(Merck Millipore)에 100V에서 90분 동안 transfer하였다.
5% skimmed milk 및 bovine serum albumin(BSA)로 blocking한 후 4°C에서 12시간 동안 1차 항체와 24°C에서 1시간 동안 2차 항체와 함께 반응시켰다.
1차 항체:(FAS; cat. Sc-7886; 1:1000) phospho-acetyl-CoA carboxylase(pACC; cat.11818S; 1:1000), acetyl-CoA carboxylase(ACC; cat. 3676S; 1:1000), CAAT-enhancer-binding protein α(C/EBPα; cat. 2295; 1:1000), peroxisome proliferator-activated receptor gamma(PPARγ; cat. 2443; 1:1000), adipocyte protein 2(aP2; cat. 2120S; 1:1000), β(cat. 4967s; 1:1000); 2차 항체: anti-mouse secondary antibodies(1:3000; cat. 3544). 단백질 밴드는 enhanced chemiluminescence detection reagent(BIONOTE, Hwaseong, Korea)에 1분간 반응시켜 ChemiDoc image software(v.5.2.1; Bio-Rad)로 분석하였다.
5-5. BPA 유도 비만 마우스의 신체 및 조직 무게 측정 결과
모든 실험 결과는 SPSS v.24.0(IBM Corp., Armonk, NY, USA)를 이용하여 통계분석 하였다. 유의성 분석은 ANOVA 검정을 실시하였으며 Dunnett's post-hoc test로 유의성은 P<0.05 수준에서 검정하였다
CNE의 anti-obesogenic 효과를 측정하기 위해 마우스에게 LBPA, MBPA 및 HBPA(각각 5, 50 및 500 μg/kg/day)를 10주간 경구 투여하여 비만을 유도하였다.
HBPA와 함께 Garcinia 추출물(200 mg/kg/day), LCNE 및 HCNE(각각 100 및 200 mg/kg/day)를 경구 투여하였다.
양성대조군으로 Garcinia 추출물(GAR)을 사용하여 비교하였다.
도 4A를 참조하면, MBPA 및 HBPA가 투여된 마우스는 control(vehicle, corn oil)에 비해 체중을 유의하게 증가하였지만, GAR 또는 HCNE가 투여된 마우스에서는 HBPA로 증가된 체중이 감소하였다.
HBPA를 투여한 마우스는 10주 동안 10.46±2.18 g의 체중이 증가한 반면, HBPA+GAR 및 HBPA+HCNE를 투여한 마우스의 체중 증가는 각각 5.97±1.56 g 및 7.63±2.44 g이었다.
식이효율(feed efficiency ratio, FER)에서는 모든 그룹 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도 4B).
투여 종료 시점에 장기의 무게를 측정한 결과, GAR과 HCNE를 투여한 마우스에서 HBPA에 의한 WAT의 무게 증가가 감소했지만, 다른 조직의 무게는 군간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도 4C 및 4D).
5-6. BPA 유도 비만 마우스의 WAT 조직학적 분석 결과
비만은 과도한 에너지 섭취를 저장하기 위해 지방 조직이 확장되는 hypertrophy(세포 크기 증가)로 인해 발생한다.
도 5를 참조하면, WAT의 염색된 지방세포는 control(vehicle, corn oil)보다 HBPA 처리 그룹에서 유의적으로 크기가 증가하였다.
반면, GAR 및 HCNE 처리군의 경우 vehicle과 유사하게 HBPA에 의한 지방세포 크기의 증가가 감소하였다.
상기 조직학적 분석 결과는 WAT 무게 증가와 일치하였다.
5-7. BPA 유도 비만 마우스의 혈장 지질 프로파일 분석 결과
CNE의 anti-obesogenic 효과를 평가하기 위해 HBPA로 유도 비만 마우스에 CNE를 처리하여 혈장 지질 프로파일(plasma lipid profile)의 변화를 확인하였다.
표 1을 참조하면, HBPA 처리군에서 LDL-cholesterol 및 triglyceride level이 증가하였지만 GAR 또는 HCNE의 투여로 인해 감소하였다.
구분 Total cholesterol
(mg/dL)
HDL-cholesterol
(mg/dL)
LDL-cholesterol
(mg/dL)
Triglyceride
(mg/dL)
Vehicle(corn oil) 127.54±6.97 112.20±10.08 13.41±2.89 66.14±17.34
LBPA(5 μg/kg/day) 133.91±7.51 114.79±6.74 14.87±1.19 75.48±13.77
MBPA(50 μg/kg/day) 129.39±11.08 113.94±4.61 16.86±1.67 80.21±15.02
HBPA(500 μg/kg/day) 129.36±9.06 111.76±4.57 19.62±6.29* 97.00±13.81***
HBPA +Garcinia(200 mg/kg/day) 131.01±9.07 113.64±5.96 14.22±3.01# 69.89±17.80###
HBPA +LCNE(100 mg/kg/day) 127.16±1.64 114.05±4.79 17.39±1.66 75.58±14.44##
HBPA +HCNE(200 mg/kg/day) 127.28±6.27 116.55±5.20 15.39±1.41# 64.03±6.84###
하지만 HDL-cholesterol 및 total-cholesterol level은 변화되지 않았다.
상기 결과는 CNE가 BPA로 유도된 비만 마우스에서 혈장 지질 프로파일의 회복을 유도함을 시사한다.
5-8. BPA 유도 비만 마우스의 비만 관련 단백질 발현 억제 효능 평가
도 6A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3T3-L1 지방세포에서 지방세포분화와 관련된 단백질(C/EBPα, PPARγaP2)의 발현 수준은 MI 대조군에 비해 BPA 처리에 의해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나, 100, 200 μg/mL의 CNE 처리로 농도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WAT에서 지방세포분화와 관련된 단백질의 발현은 CNE 처리군에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도 6C).
또한 CNE는 지질생성을 조절하는 핵심 효소인 lipogenesis와 관련 효소(FAS 및 ACC)의 발현을 감소시켰다.
도 6B를 참조하면, MI 대조군과 비교하여 BPA 처리에 의해 lipogenesis와 관련 효소(ACC 및 FAS)가 활성화되었다.
그러나 CNE는 BPA에 의해 유도된 lipogenesis와 관련 효소의 활성화를 용량 의존적으로 유의하게 억제하였으며, 상기 결과는 WAT에서도 나타났다(도 6D).
실험예 6 : 환경호르몬에 의한 면역력 저하 개선 효능 평가
환경호르몬에 의한 면역력 저하 개선 효능을 알아보기 위해 분화된 지방세포에 환경호르몬(BPA)을 처리한 후 TNF-a 및 IL-6 생성량을 측정하였다.
BPA 처리군의 TNF-a 생성량은 MI 대조군에 비해 7574 pg/mL 감소한 반면, BPA 및 곤드레 추출물(200 μg/mL)을 동시에 처리한 실험군의 TNF-a 생성량은 925 pg/mL만 감소하였다.
상기 결과는 BPA 처리에 따라 세포 내 TNF-a 생성이 현저히 감소하고 면역 기능이 저하하는 반면, 상기 곤드레 추출물은 환경호르몬의 독성을 완화하여 면역력 저하를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실험예 7 : 환경호르몬 치환에 따른 독성 완화 효과 확인
실험예 3 내지 6에서 처리한 BPA를 비스페놀 S, 메틸파라벤, DEHP로 치환하여 처리하고 동일한 실험을 반복하였다.
실험 결과 BPA 대신 비스페놀 S, 메틸파라벤, DEHP를 처리한 경우에도 일부 미차는 있으나 이상지질대사, ROS 생성, 면역력 저하가 확인되었으며, CNE 처리에 따라 증상이 완화되었다.
상기 결과는 환경호르몬의 경우 독성으로 인해 종류가 상이한 경우라도, 체내로 흡수되어 대사 및 면역과 관련된 정상적인 호르몬의 혼란을 유발할 수 있으며, 상기 곤드레 추출물은 환경호르몬의 독성을 완화하여 환경호르몬에 의해 유발될 수 있는 생체 내 이상지질대사를 효과적으로 완화시킬 수 있음을 시사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8)

  1. 곤드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환경호르몬에 의한 대사 이상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환경호르몬은 비스페놀류, 파라벤류, 또는 프탈레이트류인, 식품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대사 이상에 의한 대사증후군을 완화하는, 식품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환경호르몬에 의한 면역기능 저하를 억제하는, 식품 조성물.
  5. 곤드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환경호르몬 독성 완화용 식품 조성물.
  6. 제5항에 있어서,
    환경호르몬 유발 활성산소종을 억제하는, 식품 조성물.
  7. 곤드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환경호르몬에 의한 대사 이상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8. 제7항에 있어서,
    대사 이상에 의한 대사증후군을 완화하는, 약학적 조성물.
KR1020210140030A 2021-10-20 2021-10-20 곤드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환경호르몬에 의한 대사 이상 개선 및 치료용 조성물 KR2023005623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40030A KR20230056234A (ko) 2021-10-20 2021-10-20 곤드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환경호르몬에 의한 대사 이상 개선 및 치료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40030A KR20230056234A (ko) 2021-10-20 2021-10-20 곤드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환경호르몬에 의한 대사 이상 개선 및 치료용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56234A true KR20230056234A (ko) 2023-04-27

Family

ID=861005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40030A KR20230056234A (ko) 2021-10-20 2021-10-20 곤드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환경호르몬에 의한 대사 이상 개선 및 치료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56234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69502B1 (ko) 비만 및 당뇨병 개선용 경구용 조성물
KR101412221B1 (ko) 구기자잎 추출 분말과 베타인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비만 조성물
Shareena et al. Traversing through half a century research timeline on Ginkgo biloba, in transforming a botanical rarity into an active functional food ingredient
KR20120003693A (ko) 적포도 추출물, 녹차 추출물, 대두 추출물 및 l-카르니틴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비만 조성물
Mostafa Effect of green tea and green tea rich with catechin on blood glucose levels, serum lipid profile and liver and kidney functions in diabetic rats
KR101695848B1 (ko) 진세노사이드 f2를 포함하는 비알코올성 간 질환 또는 인슐린 저항성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JPH04352726A (ja) 動脈硬化防止剤及び動脈硬化防止作用を有する機能性食品
KR20170023910A (ko) 퀘르세틴-3-o-글루코시드를 포함하는 비알콜성 지방간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1445966B1 (ko) 백두구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비만 조성물
KR20230056234A (ko) 곤드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환경호르몬에 의한 대사 이상 개선 및 치료용 조성물
KR20160141463A (ko) 독활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산화 및 항염증 조성물
KR102143084B1 (ko) 비만, 당뇨, 고지혈증 및 지방간을 포함하는 대사증후군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070044198A (ko) 푸마르산 및 푸마르산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대사증후군 치료제
KR20160094313A (ko) 모과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비만용 조성물
CN117100756A (zh) 叶绿酸组合物和其用途
KR102499105B1 (ko) 좁은잎천선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환경호르몬 유발 대사증후군 개선 및 치료용 조성물
KR102685818B1 (ko) 동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환경호르몬 유발 지질 대사이상으로 인한 지질 축적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KR20200061465A (ko) Atdiet-801을 포함하는 당뇨병 및 비만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172371B1 (ko) 노회, 모과 및 옥촉서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EP3235510A1 (en) Nutritional compositions for the management of glucose metabolism
KR20130059741A (ko) 민대극 추출물을 포함하는 관절염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20080094466A (ko) 대사증후군 치료용 약제 조성물
KR102025572B1 (ko) 고욤나무 잎 및 포도송이 줄기 추출물의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대사성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Chaudhry et al. Comparison of extracts of Syzygium aromaticum on the weight of STZ induced diabetic rats
CN115884780A (zh) 一种以玫瑰茄、迷迭香以及葡萄籽提取物为有效成分包含其中的神经退行性病变的预防或治疗组合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