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55462A - 수질 분석용 시료 채취 장치 - Google Patents

수질 분석용 시료 채취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55462A
KR20230055462A KR1020210138743A KR20210138743A KR20230055462A KR 20230055462 A KR20230055462 A KR 20230055462A KR 1020210138743 A KR1020210138743 A KR 1020210138743A KR 20210138743 A KR20210138743 A KR 20210138743A KR 20230055462 A KR20230055462 A KR 202300554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water quality
water
sampling device
sample con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387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동훈
오용화
Original Assignee
한국지질자원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지질자원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지질자원연구원
Priority to KR10202101387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55462A/ko
Publication of KR202300554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5546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00Sampling; 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 G01N1/02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 G01N1/10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in the liquid or fluent state
    • G01N1/14Suction devices, e.g. pumps; Ejector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02Filters adapted for location in special places, e.g. pipe-lines, pumps, stop-cock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18Wate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40/00Components or accessories in combination with PV modul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2S10/00 - H02S30/00
    • H02S40/20Optical components
    • H02S40/22Light-reflecting or light-concentrating mea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40/00Components or accessories in combination with PV modul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2S10/00 - H02S30/00
    • H02S40/30Electrical components
    • H02S40/38Energy storage means, e.g. batterie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PV modul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00Sampling; 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 G01N1/02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 G01N1/10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in the liquid or fluent state
    • G01N2001/1006Dispersed solids
    • G01N2001/1012Suspensions
    • G01N2001/1025Liquid suspensions; Slurries; Mud; Sludg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00Sampling; 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 G01N1/02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 G01N1/10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in the liquid or fluent state
    • G01N1/14Suction devices, e.g. pumps; Ejector devices
    • G01N2001/1418Depression, aspir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Immun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a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Sampling And Sample Adjust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수질 분석용 시료 채취 장치는, 수원으로부터 물을 채취하는 펌프부; 상기 펌프부를 통해 공급되는 물을 필터링하는 필터부; 상기 펌프부에서 공급되는 물의 수질을 측정하는 현장수질 측정부; 상기 필터부에서 필터링된 물을 저장하는 샘플 용기부; 및 상기 현장수질 측정부와 상기 펌프부의 작동을 위한 전력을 공급하는 배터리;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수질 분석용 시료 채취 장치{SAMPLING DEVICE FOR WATER QUALITY ANALYSIS}
본 발명은 수질 분석용 시료 채취 장치에 관한 것이다.
환경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강이나 하천, 지하수 등의 수질 측정을 위한 기술개발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특히, 녹조 등의 침전물로 오염된 강이나 하천은 산소요구량과 수질 분석이 중요한데, 일반적으로 이러한 수질 분석은 수질 측정용 샘플을 통해 이루어진다.
수질 측정용 샘플이라 함은 하천이나 강, 지하수 등 수환경의 수질을 분석하기 위하여 해당 수환경의 물을 일정량만큼 수거하는 것을 의미한다. 즉, 수질을 측정하고자 하는 장소인 강, 하천, 지하수 등에 있는 샘플을 수거한 후에 수질분석기로 그 특성을 분석하게 된다.
그러나, 종래와 같이 수질 분석을 위한 샘플 채취의 경우, 샘플 채취를 위한 다수의 개별 장비가 필요하고, 현장에서의 샘플 필터링이 용이치 않으며, 샘플에 다른 오염원이 첨가될 수 있어 샘플의 정확한 수질을 측정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또한, 샘플을 채취하고 이를 운반하여 분석까지 하는데 단계가 복잡하고, 시간이 오래 걸린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물을 채취해서 분석하기까지의 과정이 단순하여 시간이 단축되고, 채취된 물이 오염될 염려가 없는 수질 분석용 시료 채취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다만, 본 발명의 목적은 이에만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명시적으로 언급하지 않더라도 아래에서 설명하는 과제의 해결수단이나 실시 형태로부터 파악될 수 있는 목적이나 효과도 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본 발명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수질 분석용 시료 채취 장치는, 수원으로부터 물을 채취하는 펌프부; 상기 펌프부를 통해 공급되는 물을 필터링하는 필터부; 상기 펌프부에서 공급되는 물의 수질을 측정하는 현장수질 측정부; 상기 필터부에서 필터링된 물을 저장하는 샘플 용기부; 및 상기 현장수질 측정부와 상기 펌프부의 작동을 위한 전력을 공급하는 배터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펌프부, 상기 필터부, 상기 샘플 용기부, 상기 현장수질 측정부 및 상기 배터리를 수용하는 케이스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케이스부는 상기 펌프부, 상기 필터부, 상기 샘플 용기부, 상기 현장수질 측정부 및 상기 배터리가 놓이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개방된 상부를 개폐하는 덮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케이스는 바닥에 복수의 캐스터가 구비되고, 일측에는 접철식 또는 착탈식으로 손잡이가 구비되며, 상기 케이스의 전면 패널은 상기 샘플 용기부 내의 샘플 용기 및 트레이를 장착 및 탈착하기 위해 개폐될 수 있다.
상기 덮개에는 태양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하여 상기 배터리를 충전하는 솔라패널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펌프부는 물의 유입 및 이동을 위한 호스, 상기 호스와 연결되어 물을 상기 필터부 및 상기 현장수질 측정부로 공급하는 펌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필터부는 상부에 유입구가 구비되고 하부에 배출구가 구비되는 중공의 몸체 및 상기 몸체 내부의 중앙에 배치되는 필터 또는 상용으로 구매하여 사용할 수 있는 시린지 필터를 포함하고, 상기 유입구는 상기 펌프부와 연결되고 상기 배출구는 상기 샘플 용기부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몸체는 상기 필터의 교체를 위해 상체와 하체로 분리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현장수질 측정부는 측면 하부에 유입구가 구비되고 측면 상부에 배수구가 구비되며 상면에 복수의 삽입홀이 구비되는 리저버, 상기 삽입홀에 각각 삽입되는 프로브, 상기 프로브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샘플 용기부는 상기 필터부와 연결되어 필터링된 물이 공급되며 복수의 분배관을 구비하는 도관, 각 분배관의 하부에 배치되어 필터링된 물을 저장하는 복수의 샘플 용기, 상기 복수의 샘플 용기가 놓여 고정되는 트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트레이는 상기 샘플 용기를 고정시키는 홀더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분배관은 각각 밸브를 구비하여 물의 유동을 조절할 수 있다.
상기 도관, 상기 샘플 용기 및 상기 트레이를 내부에 수용하는 하우징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수질 분석용 시료 채취 장치는, 수원으로부터 물을 채취하는 펌프부; 상기 펌프부를 통해 공급되는 물을 필터링하는 필터부; 상기 펌프부에서 공급되는 물의 수질을 측정하는 현장수질 측정부; 상기 필터부에서 필터링된 물을 저장하는 샘플 용기부; 및 상기 펌프부, 상기 필터부, 상기 현장수질 측정부, 상기 샘플 용기부를 수용하는 케이스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현장수질 측정부와 상기 펌프부의 작동을 위한 전력을 공급하는 배터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르면, 물을 채취해서 분석하기까지의 과정이 단순하여 시간이 단축되고, 채취된 물이 오염될 염려가 없는 수질 분석용 시료 채취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하면서도 유익한 장점과 효과는 상술한 내용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형태를 설명하는 과정에서 보다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수질 분석용 시료 채취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도 1의 수질 분석용 시료 채취 장치에서 필터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도 1의 수질 분석용 시료 채취 장치에서 현장수질 측정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도 1의 수질 분석용 시료 채취 장치에서 샘플 용기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
도 5a 내지 도 5c는, 각각, 도 1의 수질 분석용 시료 채취 장치에 있어서, 케이스부가 닫힌 상태(도 5a), 케이스부가 열린 상태(도 5b), 및 전면 패널이 일부 개방된 상태(도 5c)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기 전에,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무조건 한정하여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본 발명의 발명자가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서 각종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하여 사용할 수 있고, 더 나아가 이들 용어나 단어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함을 알아야 한다.
즉,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것일 뿐이고, 본 발명의 내용을 구체적으로 한정하려는 의도로 사용된 것이 아니며, 이들 용어는 본 발명의 여러 가지 가능성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임을 알아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확하게 다른 의미로 지시하지 않는 이상,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으며, 유사하게 복수로 표현되어 있다고 하더라도 단수의 의미를 포함할 수 있음을 알아야 한다.
본 명세서의 전체에 걸쳐서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고 기재하는 경우에는, 특별히 반대되는 의미의 기재가 없는 한 임의의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임의의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더 나아가서,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의 "내부에 존재하거나, 연결되어 설치된다"라고 기재한 경우에는, 이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와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접촉하여 설치되어 있을 수 있고, 일정한 거리를 두고 이격되어 설치되어 있을 수도 있으며, 일정한 거리를 두고 이격되어 설치되어 있는 경우에 대해서는 해당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에 고정 내지 연결하기 위한 제 3의 구성 요소 또는 수단이 존재할 수 있으며, 이 제 3의 구성 요소 또는 수단에 대한 설명은 생략될 수도 있음을 알아야 한다.
반면에,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또는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기재되는 경우에는, 제 3의 구성 요소 또는 수단이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하여야 한다.
마찬가지로, 각 구성 요소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 ~ 사이에"와 "바로 ~ 사이에", 또는 " ~ 에 이웃하는"과 " ~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의 취지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일면", "타면", "일측", "타측", "제 1", "제 2" 등의 용어는, 사용된다면, 하나의 구성 요소에 대해서 이 하나의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명확하게 구별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사용되며, 이와 같은 용어에 의해서 해당 구성 요소의 의미가 제한적으로 사용되는 것은 아님을 알아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상", "하", "좌", "우" 등의 위치와 관련된 용어는, 사용된다면, 해당 구성 요소에 대해서 해당 도면에서의 상대적인 위치를 나타내고 있는 것으로 이해하여야 하며, 이들의 위치에 대해서 절대적인 위치를 특정하지 않는 이상은, 이들 위치 관련 용어가 절대적인 위치를 언급하고 있는 것으로 이해하여서는 아니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는 각 도면의 각 구성 요소에 대해서 그 도면 부호를 명기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이 구성 요소가 비록 다른 도면에 표시되더라도 동일한 도면 부호를 가지고 있도록, 즉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한 참조 부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시하고 있다.
본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에서 본 발명을 구성하는 각 구성 요소의 크기, 위치, 결합 관계 등은 본 발명의 사상을 충분히 명확하게 전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또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서 일부 과장 또는 축소되거나 생략되어 기술되어 있을 수 있고, 따라서 그 비례나 축척은 엄밀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이하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구성, 예를 들어, 종래 기술을 포함하는 공지 기술에 대해 상세한 설명은 생략될 수도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관련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수질 분석용 시료 채취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수질 분석용 시료 채취 장치에서 필터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3은 도 1의 수질 분석용 시료 채취 장치에서 현장수질 측정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4는 도 1의 수질 분석용 시료 채취 장치에서 샘플 용기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5a 내지 도 5c는, 각각, 도 1의 수질 분석용 시료 채취 장치에 있어서, 케이스부가 닫힌 상태(도 5a), 케이스부가 열린 상태(도 5b), 및 전면 패널이 일부 개방된 상태(도 5c)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수질 분석용 시료 채취 장치(1)는 펌프부(10), 필터부(20), 현장수질 측정부(30), 샘플 용기부(40), 케이스부(5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현장수질 측정부(30)와 펌프부(10)의 작동을 위한 전력을 공급하는 배터리(60)를 포함할 수 있다.
펌프부(10)는 수원으로부터 물을 채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펌프부(10)는 물의 유입 및 이동을 위한 호스(11), 호스(11)와 연결되어 물을 추후 설명하는 필터부(20) 및 현장수질 측정부(30)로 공급하는 펌프(1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펌프(12)는 배터리(60)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으로 작동할 수 있다.
필터부(20)는 펌프부(10)를 통해 공급되는 물을 필터링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필터부(20)는 상부에 유입구(21a)가 구비되고 하부에 배출구(21b)가 구비되는 중공의 몸체(21)와, 몸체(21) 내부의 중앙에 배치되는 필터(2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다르게는, 필터부(20)는 상용으로 구매하여 사용할 수 있는 시린지 필터를 포함할 수도 있다.
몸체(21)는 대략 원통형상의 내부가 비어있는 중공의 구조를 가지며, 필터(22)의 용이한 교체를 위해 상체(21-1)와 하체(21-2)로 분리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몸체(21) 상부의 유입구(21a)는 호스(11)를 통해 펌프부(10)와 연결되고, 하부의 배출구(21b)는 호스(11)를 통해서 샘플 용기부(40)와 연결될 수 있다.
현장수질 측정부(30)는 펌프부(10)에서 공급되는 물의 수질을 측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현장수질 측정부(30)는 리저버(31), 프로브(32), 센서(33)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리저버(31)는 측면 하부에 호스(11)를 통해 펌프부(10)와 연결되는 유입구(31a)가 구비되고, 측면 상부에 펌프부(10)에서 유입된 물을 배출하는 배수구(31b)가 구비되며, 상면에 복수의 삽입홀(31c)이 구비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펌프부(10)에서 유입된 물은 유입구(31a)를 통해 리저버(31) 내에 채워지며, 수위가 어느정도 올라가면 배수구(31b)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게 되어 수위가 조절될 수 있다.
프로브(32)는 삽입홀(31c)에 각각 삽입되어 리저버(31) 내에 채워진 물과 접촉하게 되며, 프로브(32)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센서(33)는 물의 전기전도도(EC), 용존산소량(DO), 산화환원전위(ORP), pH 등 현장 수질 특성을 즉석에서 측정할 수 있다.
센서(33)는 배터리(60)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으로 작동할 수 있다.
샘플 용기부(40)는 필터부(20)에서 필터링된 물을 저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샘플 용기부(40)는 도관(41), 샘플 용기(43), 트레이(44), 하우징(45)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도관(41)은 호스(11)를 통해 필터부(20)와 연결되어 필터링된 물이 공급되며, 복수의 분배관(42)을 구비할 수 있다.
복수의 분배관(42)은 도관(41)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배열될 수 있다. 분배관(42)은 각각 밸브(42a)를 구비하여 물의 유동을 조절할 수 있다.
샘플 용기(43)는 복수개로 구비되며, 각 분배관(42)의 하부에 배치되어 필터링된 물을 저장할 수 있다. 각 샘플 용기(43)에 채워지는 물의 양은 분배관(42)의 밸브(42a)를 통해 조절될 수 있다.
트레이(44)는 도관(41)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길게 연장된 구조를 가지며, 복수의 샘플 용기(43)가 놓여 고정될 수 있다.
트레이(44)는 상면에 샘플 용기(43)를 고정시키는 홀더(44a)를 구비할 수 있다. 홀더(44a)는 트레이(44)의 상면으로부터 소정 깊이로 함몰되어 형성되며, 샘플 용기(43)는 하부가 홀더(44a)에 부분적으로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
또한, 홀더(44a)는 각 샘플 용기(43)가 놓이는 위치를 안내할 수 있다. 즉, 홀더(44a)는 각각 분배관(42)의 위치에 대응하여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샘플 용기(43)를 홀더(44a)에 놓는 것으로 분배관(42)의 하부에 위치시킬 수 있게 된다.
하우징(45)은 도관(41), 샘플 용기(43), 트레이(44)를 내부에 수용할 수 있다. 따라서, 물을 채취하여 저장하는 과정에서 물이 오염되는 염려를 방지할 수 있다.
배터리(60)는 현장수질 측정부(30)와 펌프부(10)의 작동을 위한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배터리(60)는 현장수질 측정부(30)의 센서(33) 및 펌프부(10)의 펌프(12)와 연결될 수 있다.
케이스부(50)는 펌프부(10), 필터부(20), 현장수질 측정부(30), 샘플 용기부(40) 및 배터리(60)를 수용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케이스부(50)는 케이스(51)와 덮개(52), 및 전면 패널(53)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케이스(51)는 대략 사각형상의 박스형 구조물로 상부가 개방된 구조를 가질 수 있으며, 펌프부(10), 필터부(20), 샘플 용기부(40), 현장수질 측정부(30) 및 배터리(60)가 내부에 놓여 수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케이스(51)가 사각형상을 가지는 것으로 예시하고 있으나 케이스(51)의 형상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케이스(51)는 바닥에 복수의 캐스터(51a)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케이스(51)는 일측에 접철식 또는 착탈식으로 손잡이(51b)가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손잡이(51b)를 잡고 케이스(51)를 끌면서 원하는 측정 위치나 장소로 용이하게 이동시키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덮개(52)는 케이스(51)의 개방된 상부를 개폐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덮개(52)에는 태양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하여 배터리(60)를 충전하는 솔라패널(52a)이 설치될 수 있다.
사용자는 측정 위치로 케이스(51)를 이동한 후 덮개(52)를 열어 내부에 수용된 펌프부(10), 필터부(20), 현장수질 측정부(30), 샘플 용기부(40) 등을 세팅하여 수질 측정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작업이 완료된 후에는 덮개(52)를 덮어 내부에 수용된 펌프부(10), 필터부(20), 현장수질 측정부(30), 샘플 용기부(40) 등을 보호하는 한편 채취된 물이 오염됨이 없이 안전하게 운반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케이스부(50)에 형성된 전면 패널(53)에는 손잡이(53a)가 더 설치될 수 있다.
도 5a 내지 도 5c에 도시한 전면 패널(53) 및 손잡이(53a)의 형상이나 위치 등은 예시적인 것으로, 예컨대, 전면 패널(53)에 설치된 손잡이(53a)는 도시된 위치의 대향 측면에 위치할 수도 있고, 전면 패널(53)의 정면 최상단에 위치할 수도 있으며, 다르게는 전면 패널(53)의 정면 최하단에 위치할 수도 있다.
손잡이(53a)는 길다란 직사각형 형상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돌려서 여는 원형 손잡이(knob)의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고, 한 번 눌러서 전면 패널(53)을 고정하고 두번 눌러서 전면 패널(53)을 개방하도록 하는 스위치식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전면 패널(53)의 손잡이(53a)가 형성되는 위치에 대향하는 위치에는 전면 패널(53)의 개폐 동작을 돕기 위한 경첩과 같은 회전 가능한 지지체(미도시)가 더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케이스부(50)의 전면 패널(53)은 샘플 용기부(40) 내의 샘플 용기(43) 및 트레이(44)를 장착 및 탈착하기 위해 용이하게 개폐될 수 있다.
즉, 필요에 따라서, 샘플 용기(43)나 트레이(44)를 교체하거나 제거하기 위해서, 전면 패널(53)을 개폐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전면 패널(53) 및 덮개(52)는 개폐될 수 있어 시료 채취 과정을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하고, 또한 필터부(20)의 필터(22) 교환, 샘플 용기부(40)의 샘플 용기(43)의 장착 및 탈착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덮개(52)의 솔라 패널(52)을 통해 장기간 시료 채취 시 외부 전원 없이 자체 배터리 충전을 통해 현장수질 측정부와 펌프부의 작동을 위한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수질 측정에 필요한 펌프부(10), 필터부(20), 현장수질 측정부(30), 샘플 용기부(40) 등의 구성이 모두 케이스(51) 내에 수용되어 구성되며, 사용자는 손잡이(51b)와 캐스터(51a)를 통해 원하는 위치나 장소로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어서 휴대성이 높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현장에서 물을 채취해 즉석에서 수질을 측정하고, 일부는 샘플 용기(43)에 담아서 수거해와 실험실 내에서 측정을 수행할 수 있어서 수질 측정을 수행하는 전체 과정이 단순해지며 이에 따라 작업 시간이 현저히 감소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물을 채취하여 분석하기까지의 과정에서 채취된 물이 오염될 염려가 없다는 장점이 있다.
이상, 일부 예를 들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여러 가지 실시 예에 대해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 항목에 기재된 여러 가지 다양한 실시 예에 관한 설명은 예시적인 것에 불과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상의 설명으로부터 본 발명을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하거나 본 발명과 균등한 실시를 행할 수 있다는 점을 잘 이해하고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기 때문에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의해서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개시 내용이 완전해지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은 청구범위의 각 청구항에 의해서 정의될 뿐임을 알아야 한다.
1: 수질 분석용 시료 채취 장치 10: 펌프부
11: 호스 12: 펌프
20: 필터부 21: 몸체
21-1: 상체 21-2: 하체
21a: 유입구 21b: 배출구
22: 필터 30: 현장수질 측정부
31: 리저버 31a: 유입구
31b: 배수구 31c: 삽입홀
32: 프로브 33: 센서
40: 샘플 용기부 41: 도관
42: 분배관 42a: 밸브
43: 샘플 용기 44: 트레이
44a: 홀더 45: 하우징
50: 케이스부 51: 케이스
51a: 캐스터 51b: 손잡이
52: 덮개 52a: 솔라패널
53: 전면 패널 53a: 손잡이
60: 배터리

Claims (15)

  1. 수원으로부터 물을 채취하는 펌프부;
    상기 펌프부를 통해 공급되는 물을 필터링하는 필터부;
    상기 펌프부에서 공급되는 물의 수질을 측정하는 현장수질 측정부;
    상기 필터부에서 필터링된 물을 저장하는 샘플 용기부; 및
    상기 현장수질 측정부와 상기 펌프부의 작동을 위한 전력을 공급하는 배터리;
    를 포함하는 수질 분석용 시료 채취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펌프부, 상기 필터부, 상기 샘플 용기부, 상기 현장수질 측정부 및 상기 배터리를 수용하는 케이스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질 분석용 시료 채취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부는 상기 펌프부, 상기 필터부, 상기 샘플 용기부, 상기 현장수질 측정부 및 상기 배터리가 놓이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개방된 상부를 개폐하는 덮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질 분석용 시료 채취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바닥에 복수의 캐스터가 구비되고, 일측에는 접철식 또는 착탈식으로 손잡이가 구비되며, 상기 케이스의 전면 패널은 상기 샘플 용기부 내의 샘플 용기 및 트레이를 장착 및 탈착하기 위해 개폐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질 분석용 시료 채취 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에는 태양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하여 상기 배터리를 충전하는 솔라패널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질 분석용 시료 채취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펌프부는 물의 유입 및 이동을 위한 호스, 상기 호스와 연결되어 물을 상기 필터부 및 상기 현장수질 측정부로 공급하는 펌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질 분석용 시료 채취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부는 상부에 유입구가 구비되고 하부에 배출구가 구비되는 중공의 몸체 및 상기 몸체 내부의 중앙에 배치되는 필터 또는 상용으로 구매하여 사용할 수 있는 시린지 필터를 포함하고,
    상기 유입구는 상기 펌프부와 연결되고 상기 배출구는 상기 샘플 용기부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질 분석용 시료 채취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상기 필터의 교체를 위해 상체와 하체로 분리가능하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질 분석용 시료 채취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현장수질 측정부는 측면 하부에 유입구가 구비되고 측면 상부에 배수구가 구비되며 상면에 복수의 삽입홀이 구비되는 리저버, 상기 삽입홀에 각각 삽입되는 프로브, 상기 프로브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질 분석용 시료 채취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샘플 용기부는 상기 필터부와 연결되어 필터링된 물이 공급되며 복수의 분배관을 구비하는 도관, 각 분배관의 하부에 배치되어 필터링된 물을 저장하는 복수의 샘플 용기, 상기 복수의 샘플 용기가 놓여 고정되는 트레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질 분석용 시료 채취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트레이는 상기 샘플 용기를 고정시키는 홀더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질 분석용 시료 채취 장치.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분배관은 각각 밸브를 구비하여 물의 유동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질 분석용 시료 채취 장치.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도관, 상기 샘플 용기 및 상기 트레이를 내부에 수용하는 하우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질 분석용 시료 채취 장치.
  14. 수원으로부터 물을 채취하는 펌프부;
    상기 펌프부를 통해 공급되는 물을 필터링하는 필터부;
    상기 펌프부에서 공급되는 물의 수질을 측정하는 현장수질 측정부;
    상기 필터부에서 필터링된 물을 저장하는 샘플 용기부; 및
    상기 펌프부, 상기 필터부, 상기 현장수질 측정부, 상기 샘플 용기부를 수용하는 케이스부;
    를 포함하는 수질 분석용 시료 채취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현장수질 측정부와 상기 펌프부의 작동을 위한 전력을 공급하는 배터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질 분석용 시료 채취 장치.
KR1020210138743A 2021-10-18 2021-10-18 수질 분석용 시료 채취 장치 KR2023005546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38743A KR20230055462A (ko) 2021-10-18 2021-10-18 수질 분석용 시료 채취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38743A KR20230055462A (ko) 2021-10-18 2021-10-18 수질 분석용 시료 채취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55462A true KR20230055462A (ko) 2023-04-26

Family

ID=860995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38743A KR20230055462A (ko) 2021-10-18 2021-10-18 수질 분석용 시료 채취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55462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12262B1 (ko) * 2023-04-27 2023-12-11 주식회사 이엔지아이 수질 측정을 위한 플로우 셀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12262B1 (ko) * 2023-04-27 2023-12-11 주식회사 이엔지아이 수질 측정을 위한 플로우 셀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22909B2 (en) Harsh environment gas sensor apparatus and method
WO1992008963A1 (en) Automatic fluid sampling and monitoring apparatus and method
KR20230055462A (ko) 수질 분석용 시료 채취 장치
JP6684426B2 (ja) 水質分析装置及び水質分析方法
KR101621449B1 (ko) 연속측정이 가능한 통합형 수질측정기
JPH08506903A (ja) 分析システムおよびコンポーネント
JP5691075B2 (ja) 採水器
KR100649109B1 (ko) 자동 채수기
KR102372884B1 (ko) 전자동 온라인 삼중수소 감시방법 및 감시시스템
CN212646598U (zh) 一种污水检测装置
JP5229814B2 (ja) 採水器
RU2507156C1 (ru) Система контроля водоотводов от объектов промышленного и бытового назначения, способ контроля водоотводов и робот-пробоотборник для реализации способа
GB2559704A (en) Device and apparatus for gas monitoring
ES2222037T3 (es) Cambiador de muestras para transferir muestras radiactivas entre una celda caliente y un aparato de medicion.
CN207164038U (zh) 一种便于cod多参数水质分析仪携带装置
CN111247413B (zh) 自动水采样器设备
KR101433035B1 (ko) 표층수 채집 장치
KR101334307B1 (ko) 무인 자동 알칼리도 측정 시스템 및 방법
JP5841684B1 (ja) Bod分析装置
CN208026631U (zh) 一种便携式铀定量分析仪
CN212693752U (zh) 一种环保型地下水污染检测装置
CN219657551U (zh) 基于锶离子电极的水质检测分析装置
KR102531108B1 (ko) 원격 제어가 가능한 휴대용 자동 채수장치
CN219601891U (zh) 一种便携式卫生检验装置
CN218860716U (zh) 一种水体微生物现场过滤和富集的可移动采样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601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