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55133A -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 Google Patents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55133A
KR20230055133A KR1020210138470A KR20210138470A KR20230055133A KR 20230055133 A KR20230055133 A KR 20230055133A KR 1020210138470 A KR1020210138470 A KR 1020210138470A KR 20210138470 A KR20210138470 A KR 20210138470A KR 20230055133 A KR20230055133 A KR 2023005513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ne
protrusion
indoor unit
air conditioner
trailing ed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384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성식
황본창
최석호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1384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55133A/ko
Publication of KR202300551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5513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24F13/14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11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air outle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14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unted on the cei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es Of Non-Positive Displacement Pump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 내부에 수용되는 열교환기; 상기 케이스 내부에 수용되는 팬 모듈; 상기 케이스의 저면에 결합되며, 흡입구와 토출구가 형성되는 프런트 패널; 상기 흡입구에 장착되는 흡입 그릴; 및 상기 토출구를 개폐하는 토출 베인 어셈블리를 포함하고, 상기 토출 베인 어셈블리는, 상기 토출구를 개폐하는 외측 베인; 및 상기 외측 베인이 상기 토출구를 차폐한 상태에서 상기 프런트 패널의 내부에 위치하는 내측 베인을 포함하고, 상기 내측 베인은, 리딩 에지로부터 트레일링 에지 쪽으로 평평하게 연장되는 베인 헤드와, 상기 베인 헤드의 단부에서 상기 트레일링 에지 쪽으로 이격되는 지점에서 돌출되는 하나 또는 다수의 돌기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Indoor unit for air conditioner}
본 발명은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에 관한 것이다.
실내 공기를 냉각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는, 벽면에 설치되는 타입, 바닥에 세워지는 타입, 및 천장에 부착되는 타입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 천장에 부착되는 형태의 실내기는, 열교환기를 수용하는 실내기 본체는 천장 내부에 매립되고, 흡입 그릴과 토출 베인만 실내에 노출되게 설치되므로, 실내 공간의 활용도가 상대적으로 높은 장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실내기가 냉방용으로 사용될 경우, 천장 쪽으로 상승한 더운 공기를 신속하게 냉각시킬 수 있기 때문에, 벽걸이형 또는 바닥 상치형 실내기에 비하여 냉방 효율이 더 좋은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천장형 실내기의 듀얼 베인을 구성하는 내측 베인의 표면에서 일어나는 공기 유동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아래 선행 기술 문헌과 도 1을 함께 참조하면, 듀얼 베인을 구성하는 내측 베인의 베인 곡률에 의해, 수직 방향으로 토출되는 기류가 내측 베인의 리딩 에지(leading edge, LE)에서 트레일링 에지(trailing edge, LT)까지 하방으로 가이드되는 유동이 있는 반면, 박리 유동 충돌 지점(S1)에서 내측 베인의 곡률을 따라 상방으로 떨어져 나가는 박리 유동이 발생된다. 그리고, 박리 유동은 토출 유동 저항을 증가시키는 요소로 작용되고 있다.
상기 박리 유동이 발생하는 영역을 유동 박리 영역(S)으로 정의할 수 있으며, 기존의 내측 베인에 형성되는 유동 박리 영역(S)의 면적이 커서 유동 저항이 큰 단점이 있었다.
수직 기류 모드에서 내측 베인의 이상적인 형상은, 곡률 베인이 아닌 직선 베인이 수직 기류 각을 따라 구성되어야 유동 박리가 발생되지 않아 최상의 송풍 성능을 확보할 수 있다. 그러나, 듀얼 베인 수평 기류 모드에서 원거리 기류를 구현하고, 내측 베인과 외측 베인 사이에서 발생하는 누설 기류를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내측 베인의 유동 안내면은 에어 포일 형태의 곡률을 형성하여야 한다.
단면이 에어 포일 형태를 가지는 내측 베인의 경우, 내측면 곡률이 외측면 곡률보다 작아서 베인의 두께가 증가할 수 밖에 없는 단점이 있으며, 그 결과 토크가 큰 모터가 베인을 구동하여야 하므로, 비용 증가의 단점이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2019-0027348호(2019년03월14일)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제안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 내부에 수용되는 열교환기; 상기 케이스 내부에 수용되는 팬 모듈; 상기 케이스의 저면에 결합되며, 흡입구와 토출구가 형성되는 프런트 패널; 상기 흡입구에 장착되는 흡입 그릴; 및 상기 토출구를 개폐하는 토출 베인 어셈블리를 포함하고, 상기 토출 베인 어셈블리는, 상기 토출구를 개폐하는 외측 베인; 및 상기 외측 베인이 상기 토출구를 차폐한 상태에서 상기 프런트 패널의 내부에 위치하는 내측 베인을 포함하고, 상기 내측 베인은, 리딩 에지로부터 트레일링 에지 쪽으로 평평하게 연장되는 베인 헤드와, 상기 베인 헤드의 단부에서 상기 트레일링 에지 쪽으로 이격되는 지점에서 돌출되는 하나 또는 다수의 돌기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이루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상세히, 토출 공기가 직접 부딪히는 내측 베인의 상면에 적어도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돌기가 돌출 형성됨으로써, 박리된 유동이 와류를 형성하는 에어 포켓이 형성되고, 상기 에어 포켓은 유동 박리에 의한 유동 저항을 감소시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돌기들은 상기 내측 베인의 강도 보강 리브 기능을 겸하여, 실내기의 폭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내측 베인이 휘어지거나 부러지는 가능성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기존의 에어 포일 단면 형상을 가지는 내측 베인과 비교하여, 내측 베인의 두께가 감소될 수 있어, 토크가 더 작은 모터를 사용할 수 있으므로 비용 절감의 효과도 있다.
또한, 내측 베인을 따라 흐르는 토출 공기가 에어 포켓에 형성되는 와류 공기와 접촉하고 내측 베인의 표면과 직접 접촉하는 면적이 감소되므로, 내측 베인의 표면 마찰 계수를 낮추어 저항력을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천장형 실내기의 듀얼 베인을 구성하는 내측 베인의 표면에서 일어나는 공기 유동을 보여주는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 실내기의 사시도.
도 3은 상기 실내기의 측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토출 베인 어셈블리를 구성하는 내측 베인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내측 베인의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내측 베인의 사시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 실내기의 사시도이고, 도 3은 상기 실내기의 측단면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10)는, 저면이 개구되는 박스 형태의 케이스(11)와, 상기 케이스(11)의 저면에 결합되는 프런트 패널(12)과, 상기 케이스(11) 내부에 수용되는 열교환기(15)와, 상기 케이스(11) 내부에 수용되는 팬 모듈(13)을 포함한다.
상세히, 상기 실내기(10)는, 상기 프런트 패널(12)의 일측에 장착되는 흡입 그릴(17)과, 상기 프런트 패널(12)의 타측에 장착되는 토출 베인 어셈블리(18)와 루버(22)를 더 포함한다.
상기 프런트 패널(12)의 일측에는 실내 공기 흡입을 위한 흡입구가 형성되고, 상기 흡입구에 상기 흡입 그릴(17)이 장착된다. 그리고, 상기 흡입구의 상측에 필터(16)가 장착되어, 상기 흡입 그릴(17)을 통하여 흡입되는 실내 공기가 상기 필터(16)를 통과하면서 정화되도록 한다.
상기 케이스(11)의 내부에는 상기 열교환기(15)에 맺히는 응축수를 받기 위한 드레인 팬(drain pan)이 설치되며, 상기 드레인 팬은 메인 드레인 팬(23)과 서브 드레인 팬(24)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런트 패널(12)의 타측에는 상기 열교환기(15)를 통과하면서 냉각된 공기가 실내로 토출되도록 하는 토출구(121)가 형성되고, 상기 토출 베인 어셈블리(18)는 상기 토출구에 장착된다.
그리고, 상기 케이스(11) 내부에는 상기 팬 모듈(13)에 의하여 강제 유동하는 공기를 상기 토출구(121)로 안내하는 리어 하우징(14)이 장착되고, 상기 리어 하우징(14)은 팬하우징 또는 팬 케이스로 이해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메인 드레인팬(23)의 전단부는 상기 팬 모듈(13)에 의하여 유동하는 공기의 정압을 생성하고 유동을 조절하는 스태빌라이저로 기능할 수 있다. 즉, 상기 팬 모듈(13)에 의하여 강제 유동하는 공기는 상기 리어 하우징(14)의 단부와 상기 메인 드레인팬(23)의 전단부 사이의 공간을 통하여 상기 토출구(121)로 안내된다.
상기 팬 모듈(13)은 팬과 상기 팬을 구동하는 모터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팬은 횡류팬일 수 있다.
한편, 상기 토출 베인 어셈블리(18)는 외측 베인(19)과 내측 베인(20)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토출 베인 어셈블리(18)는 링크 어셈블리(21)에 의하여 회동 가능하게 제공될 수 있다.
상기 토출구(121)는 상기 외측 베인(19)에 의하여 완전히 폐쇄되는 크기와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토출구(121)가 완전히 폐쇄된 상태에서 상기 내측 베인(20)은 상기 외측 베인(19)의 상측에 위치한다.
그리고, 상기 토출 베인 어셈블리(18)가 회동하여 상기 토출구(121)가 개방되면, 상기 내측 베인(20)의 전단부와 상기 외측 베인(19)의 후단부 사이에는 간극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외측 베인(19)과 상기 내측 베인(20)이 회동할 때, 상기 간극에 의하여 상기 외측 베인(19)의 후단과 상기 내측 베인(20)의 전단이 서로 간섭되는 현상이 방지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팬 모듈(13)로부터 토출되는 냉기의 대부분은 상기 외측 베인(19)의 상면, 즉 상기 케이스(11)의 내부를 향하는 면을 따라 실내로 토출되고, 나머지 일부는 상기 간극을 통하여 실내로 토출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토출 베인 어셈블리를 구성하는 내측 베인의 사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토출 베인 어셈블리(18)의 내측 베인(20)은, 리딩 에지(LE)에서 트레일링 에지(TE) 쪽으로 평평하게 연장되는 베인 헤드(201)와, 상기 베인 헤드로부터 상기 트레일링 에지(TE) 쪽으로 이격되는 지점에서 돌출되는 제 1 돌기(202)와, 상기 제 1 돌기(202)로부터 상기 트레일링 에지(TE) 쪽으로 이격되는 지점에서 돌출되는 제 2 돌기(203)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 1 돌기(202)와 제 2 돌기(203)가 형성되는 구조에 대해서 설명하고 있으나, 3개 이상의 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배제하지 않는다.
상기 리딩 에지(LE)는 상기 내측 베인(20)의 후단으로 정의될 수 있고, 상기 트레일링 에지(TE)는 상기 내측 베인(20)의 전단으로 정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 및 제 2 돌기(202,203)가 형성되는 상기 내측 베인(20)의 면은 상면 또는 전면으로 정의될 수 있고, 상기 상면 또는 전면의 반대면은 하면 또는 후면으로 정의될 수 있다.
상기 베인 헤드(20)와, 상기 제 1 및 제 2 돌기(202,203)는 상기 내측 베인(20)의 일 단부에서 타 단부에 이르는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리딩 에지(LE)와 상기 트레일링 에지(TE)를 연결하는 직선 길이는 상기 내측 베인(20)의 폭으로 정의될 수 있고, 상기 폭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상기 내측 베인(20)의 일 단부와 타 단부에 이르는 길이는 상기 내측 베인(20)의 길이로 정의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내측 베인의 단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내측 베인(20)의 상면에는 다수의 돌기들(202,203)에 의하여 에어 포켓들(204,205)이 형성되며, 상기 에어 포켓(204,2056)에서는 와류가 형성된다.
상세히, 상기 베인 헤드(201)를 타고 상기 내측 베인(20)의 리딩 에지(LE)로부터 트레일링 에지(TE) 쪽으로 토출되는 공기의 일부는 상기 내측 베인(20)에 형성되는 박리 유동 충돌 지점(C)에 부딪히면서 상기 내측 베인(20)의 상면을 타고 역류한다.
상기 에어 포켓은, 상기 베인 헤드(201)와 상기 제 1 돌기(202) 사이에 형성되는 제 1 에어 포켓(204)과, 상기 제 1 돌기(202)와 제 2 돌기(203) 사이에 형성되는 제 2 에어 포켓(204), 및 상기 제 2 돌기(203)와 상기 트레일링 에지(TE) 사이에 형성되는 제 3 에어 포켓(206)을 포함한다.
아래 표 1은 상기 내측 베인(20)의 규격 변화에 따른 풍량값을 보여준다.
A(°) G(mm) L(mm) Q(cmm)
종래 내측베인 16.47
규격 1 11 8 13 16.63
규격 2 13 8 11 16.49
규격 3 12 8 12 16.84
규격 4 13 8 13 16.55
규격 5 11 8 11 16.67
상기 표에서 A는 상기 리딩 에지(LE)를 중심으로 상기 베인 헤드(201)의 저면과 상면이 이루는 각(베인 헤드 경사각)을 의미하고, G는 제 1 및 제 2 에어 포켓(204,205)의 폭을 의미하며, L은 상기 베인 헤드(201)의 길이를 의미하고, Q는 풍량(CMM)을 의미한다.
상기 제 1 및 제 2 에어 포켓(204,205)의 폭을 8mm로 고정한 상태에서 베인 헤드 경사각과, 에어 포켓의 폭 및 베인 헤드(201)의 길이를 변경하여 실험한 결과, 규격 3에서 최대 풍량값을 나타내는 것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에어 포켓을 형성하는 돌기들의 높이는 동일하게 설계될 수도 있고, 트레일링 에지(TE)에 가까운 돌기의 높이(H2)가 리딩 에지(LE)에 가까운 돌기의 높이(H1)보다 크게 설계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내측 베인(20)의 트레일링 에지(TE)로부터 상기 제 2 돌기(205)까지의 거리(P) 또는 박리 유동 충돌 지점(C)으로부터 상기 제 2 돌기(205)까지의 거리(R)는, 에어 포켓의 폭(G)(또는 인접하는 돌기들 간의 간격)보다 크게 설계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내측 베인의 사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내측 베인(20a)은, 이전 실시예에 따른 내측 베인(20)과 구조가 동일하되, 상기 내측 베인(20a)의 상면에 다수의 구획 리브(206)가 형성되는 것에 차이가 있다.
상세히, 상기 다수의 구획 리브(206)는, 상기 베인 헤드(201)로부터 상기 내측 베인(20a)의 트레일링 에지에 이르는 길이로 형성되고, 상기 내측 베인(20a)의 길이 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구획 리브(206)가 형성됨으로써, 토출되는 공기가 옆으로 퍼지지 않고 멀리까지 확산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즉, 상기 다수의 구획 리브(206)에 의하여 상기 내측 베인(20a)의 길이 방향 유동 불균일이 개선되는 장점이 있다.

Claims (9)

  1. 케이스;
    상기 케이스 내부에 수용되는 열교환기;
    상기 케이스 내부에 수용되는 팬 모듈;
    상기 케이스의 저면에 결합되며, 흡입구와 토출구가 형성되는 프런트 패널;
    상기 흡입구에 장착되는 흡입 그릴; 및
    상기 토출구를 개폐하는 토출 베인 어셈블리를 포함하고,
    상기 토출 베인 어셈블리는,
    상기 토출구를 개폐하는 외측 베인; 및
    상기 외측 베인이 상기 토출구를 차폐한 상태에서 상기 프런트 패널의 내부에 위치하는 내측 베인을 포함하고,
    상기 내측 베인은,
    리딩 에지로부터 트레일링 에지 쪽으로 평평하게 연장되는 베인 헤드와,
    상기 베인 헤드의 단부에서 상기 트레일링 에지 쪽으로 이격되는 지점에서 돌출되는 하나 또는 다수의 돌기를 포함하는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인 헤드와 상기 하나 또는 다수의 돌기는, 상기 토출구를 통하여 토출되는 공기와 접촉하는 상면에서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또는 다수의 돌기는,
    상기 베인 헤드에서 상기 트레일링 에지 쪽으로 이격되는 지점에서 돌출되는 제 1 돌기와,
    상기 제 1 돌기로부터 상기 트레일링 에지 쪽으로 이격되는 지점에서 돌출되는 제 2 돌기를 포함하는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돌기 및 제 2 돌기 각각은,
    상기 내측 베인의 일 단부에서 타단부까지 연장되며,
    상기 내측 베인의 상면에서 폭이 좁아지는 삼각뿔 형태로 돌출되는 리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인 헤드와 상기 제 1 돌기의 간격 또는 상기 제 1 돌기와 상기 제 2 돌기의 간격은, 상기 트레일링 에지와 상기 제 2 돌기의 간격보다 짧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돌기의 돌출 높이는 상기 상기 제 1 돌기의 돌출 높이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7.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인 헤드의 길이는 12mm이고, 상기 베인 헤드의 경사각은 12°이며,
    상기 제 1 돌기와 제 2 돌기의 간격은 8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 베인의 상면에서 돌출되고, 상기 베인 헤드의 단부에서 상기 트레일링 에지까지 연장되는 다수의 구획 리브를 더 포함하는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구획 리브는 상기 내측 베인의 일 단부에서 타 단부 쪽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KR1020210138470A 2021-10-18 2021-10-18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KR2023005513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38470A KR20230055133A (ko) 2021-10-18 2021-10-18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38470A KR20230055133A (ko) 2021-10-18 2021-10-18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55133A true KR20230055133A (ko) 2023-04-25

Family

ID=861015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38470A KR20230055133A (ko) 2021-10-18 2021-10-18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55133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27348A (ko) 2017-09-06 2019-03-14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의 천장형 실내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27348A (ko) 2017-09-06 2019-03-14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의 천장형 실내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17344B1 (ko)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US10670298B2 (en) Air conditioner
JP2016142431A (ja) 空気調和機
KR20190139054A (ko) 공기 조화기의 실외기
EP3211342B1 (en) Air conditioner
US9175899B2 (en) Air conditioner
JP6139669B2 (ja) 空気調和機
JP3661471B2 (ja) 空気調和機
KR20230055133A (ko)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KR102521424B1 (ko) 천장형 공기 조화기
KR20190141479A (ko) 공기 조화기의 실외기
KR200326146Y1 (ko) 지에이치피의 실외기의 풍량유도장치
KR102522048B1 (ko) 천장형 공기조화기
KR20140014409A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100555422B1 (ko) 공기조화기의 리어 가이드 구조
CN107401775B (zh) 内导风板及具有其的壁挂式空调室内机
KR20090041806A (ko) 천정형 에어컨
KR20230045310A (ko)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KR102674816B1 (ko) 공기조화기
KR102531998B1 (ko) 천장형 공기 조화기
WO2020170725A1 (ja) 空気調和機
KR20230055134A (ko)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KR20230164143A (ko) 벽걸이형 공기 조화기
JP7025682B2 (ja) ダクト型空気調和機
KR20240026682A (ko) 공기조화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