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54108A - 블록체인 기반의 이미지 관리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 Google Patents

블록체인 기반의 이미지 관리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54108A
KR20230054108A KR1020210137705A KR20210137705A KR20230054108A KR 20230054108 A KR20230054108 A KR 20230054108A KR 1020210137705 A KR1020210137705 A KR 1020210137705A KR 20210137705 A KR20210137705 A KR 20210137705A KR 20230054108 A KR20230054108 A KR 202300541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terminal device
blockchain
user terminal
management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377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99640B1 (ko
Inventor
윤재한
김영호
이호건
Original Assignee
윤재한
김영호
이호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재한, 김영호, 이호건 filed Critical 윤재한
Priority to KR10202101377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99640B1/ko
Publication of KR202300541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541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996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996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1Content storage operation, e.g. caching movies for short term storage, replicating data over plural servers, prioritizing data for deletion
    • H04N21/23103Content storage operation, e.g. caching movies for short term storage, replicating data over plural servers, prioritizing data for deletion using load balancing strategies, e.g. by placing or distributing content on different disks, different memories or different serv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5/00Image enhancement or restoration
    • G06T5/50Image enhancement or restoration using two or more images, e.g. averaging or subtrac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10Segmentation; Edge detection
    • G06T7/11Region-based segment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0Protocols in which an application is distributed across nodes in the network
    • H04L67/1097Protocols in which an application is distributed across nodes in the network for distributed storage of data in networks, e.g. transport arrangements for network file system [NFS], storage area networks [SAN] or network attached storage [NA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8Interfacing the down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e.g. adapting the transmission rate of a video stream to network bandwidth; Processing of multiplex streams
    • H04N21/2389Multiplex stream processing, e.g. multiplex stream encrypting
    • H04N21/23892Multiplex stream processing, e.g. multiplex stream encrypting involving embedding information at multiplex stream level, e.g. embedding a watermark at packet leve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server for facilitating the content distribution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end-users or client devices, e.g. end-user or client device authentication,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 H04N21/266Channel or content management, e.g. generation and management of keys and entitlement messages in a conditional access system, merging a VOD unicast channel into a multicast channel
    • H04N21/2662Controlling the complexity of the video stream, e.g. by scaling the resolution or bitrate of the video stream based on the client capabilit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3Generation or processing of protective or descriptive data associated with content; Content structuring
    • H04N21/835Generation of protective data, e.g. certificates
    • H04N21/8358Generation of protective data, e.g. certificates involving waterma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222Studio circuitry; Studio devices; Studio equipment
    • H04N5/262Studio circuits, e.g. for mixing, switching-over, change of character of image, other special effects ; Cameras specially adapted for the electronic generation of special effects
    • H04N5/265Mix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Storage Device Security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블록체인 기반의 이미지 관리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의 이미지 관리장치는, 저작권자의 제1 사용자 단말장치에서 제공하는 저작물로서 사진 이미지에 대한 데이터를 수신하는 통신 인터페이스부, 및 수신한 사진 이미지를 복수의 영역으로 분할한 후 분할한 이미지를 블록체인 기술을 적용해 분산 저장하며, 기설정한 조건을 만족할 때 분산 저장한 분할 이미지를 합성하여 원본 사진 이미지를 생성해 사용자의 제2 사용자 단말장치로 제공하도록 통신 인터페이스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블록체인 기반의 이미지 관리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Blockchain-based apparatus for Image Management and Driv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블록체인 기반의 이미지 관리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가령 직업, 취미, 관심사, 영업, 마케팅 등을 테마로 플랫폼 서비스를 제공할 때 저작권자의 사진 이미지가 무단으로 도용되는 것을 방지하려는 블록체인 기반의 이미지 관리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직업, 취미, 관심사, 영업, 마케팅을 위해서 각종 플랫폼들이 운영되고 있고, 또한 그 해당 플랫폼 내에서는 회원 간의 커뮤니티를 위해 사진 이미지를 올리는 경우가 많이 있다. 하지만 특정 회원이 사진 이미지를 플랫폼에 업로드하는 경우 타인이 해당 사진 이미지를 다운로드하거나 또는 화면 캡쳐 방식 등을 이용하여 사적인 목적으로 활용하는 경우가 있다.
예를 들어 헤어 등과 같은 뷰티 산업에 있어서 헤어샵이나 헤어디자이너가 특정 고객에게 스타일링한 후 포트폴리오를 위해 사진을 찍고 그 사진 이미지를 플랫폼상에 업로드를 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러한 업로드된 사진 이미지를 다른 헤업샵이나 헤어디자이너가 무단으로 사용할 뿐만 아니라 타인이 한 스타일링을 자신의 샵 또는 자신이 한 것 처럼 마케팅에 활용하는 경우도 있다.
따라서, 종래의 이와 같은 타인의 무단 도용 및 사용을 방지하는 방안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한편, 블록체인은 중앙에 집중된 시스템 대신 관리 대상 데이터를 P2P(Peer to Peer) 형식을 기반으로 생성된 체인 형태로 분산하여 저장하는 데이터 위 변조 방지 기술이다. 복수개의 블록들을 체인 형태로 묶어 저장하므로 명칭을 블록체인이라 하며, 시간의 흐름에 따라 순차적으로 연결된다. 블록체인은 분산형 원장구조이므로 해당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참여한 모든 사람이 거래에 대한 원장을 소유하고 있어 거래 내역을 확인할 때는 모든 사용자가 보유한 장부를 대조하고 확인해야 한다. 추가적인 거래를 하여 블록을 추가하고자 할 때도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참여한 모든 사람으로부터 거래의 타당성을 검증받아야 하기 때문에 부정거래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기존의 중앙 집중 시스템은 해킹의 위험이 있으나, 블록체인은 모든 사용자가 데이터를 저장하기 때문에 위 변조를 하기 위해서는 사용자의 거래 데이터를 모두 공격해야 한다. 그러므로 사실상 해킹이 불가능하여 거래의 투명성이 인정될 수 있다. 또한, 중앙 시스템이 필요 없으므로 중앙서버를 관리하는 비용을 없앨 수 있는 장점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20-0018159호(2020.02.19)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21-0068929호(2021.06.10)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2280736호(2021.07.16)
본 발명의 실시예는 가령 직업, 취미, 관심사, 영업, 마케팅 등을 테마로 플랫폼 서비스를 제공할 때 저작권자의 사진 이미지가 무단으로 도용되는 것을 방지하려는 블록체인 기반의 이미지 관리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의 이미지 관리장치는, 저작권자의 제1 사용자 단말장치에서 제공하는 저작물로서 사진 이미지에 대한 데이터를 수신하는 통신 인터페이스부, 및 상기 수신한 사진 이미지를 복수의 영역으로 분할한 후 상기 분할한 이미지를 블록체인(chain) 기술을 적용해 분산 저장하며, 기설정한 조건을 만족할 때 상기 분산 저장한 분할 이미지를 합성하여 원본 사진 이미지를 생성해 사용자의 제2 사용자 단말장치로 제공하도록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장치 또는 상기 제2 사용자 단말장치의 화면에 상기 기저장한 사진 이미지를 표시할 때 상기 원본 사진 이미지 대비 저해상도의 이미지를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분할한 이미지에 동일 워터마크를 자동 생성하여 분산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사용자 단말장치의 화면에 표시되는 상기 원본 사진 이미지의 다운로드 또는 화면 캡쳐가 있을 때 상기 저작권자의 승인을 받도록 통지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기설정된 조건으로서 상기 저작권자의 승인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장치에서 사진 이미지를 저장부에 업로드할 때 상기 저장부에 기저장된 사진 이미지와의 동일 여부를 인공지능(AI)의 딥러닝을 적용해 분석하여 분석 결과를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장치로 통지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신한 사진 이미지에 키워드를 매칭하여 상기 저장부에 저장하며,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장치에서 키워드를 이용해 검색을 수행할 때 검색 결과로서 화면에 노출되는 복수의 이미지들에 대한 표절 또는 도용 여부를 상기 딥러닝을 통해 분석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의 이미지 관리장치의 구동방법은, 통신 인터페이스부가, 저작권자의 제1 사용자 단말장치에서 제공하는 저작물로서 사진 이미지에 대한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및 제어부가 상기 수신한 사진 이미지를 복수의 영역으로 분할한 후 상기 분할한 이미지를 블록체인 기술을 적용해 분산 저장하며, 기설정한 조건을 만족할 때 상기 분산 저장한 분할 이미지를 합성하여 원본 사진 이미지를 생성해 사용자의 제2 사용자 단말장치로 제공하도록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부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분할된 이미지의 고유 픽셀 정보를 통해 무단 도용 이미지를 검색하도록 하여 검색시 효율을 더욱 높일 수 있고, 또한 무단 도용하는 사람이 이미지를 훼손하여 사용하는 경우에도 검색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관리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사진 이미지를 타일 형태로 분할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도 1의 블록체인 기반의 이미지 관리장치의 세부구조를 예시한 블록다이어그램, 그리고
도 4는 도 1의 블록체인 기반의 이미지 관리장치의 구동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관리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2는 사진 이미지를 타일 형태로 분할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관리 시스템(90)은 저작자 단말장치(100), 사용자 단말장치(110), 통신망(120), 블록체인 기반의 이미지 관리장치(130) 및 서드파티장치(140)의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한다"는 것은 서드파티장치(140)와 같은 일부 구성요소가 생략되어 이미지 관리 시스템(90)이 구성되거나, 블록체인 기반의 이미지 관리장치(130)를 구성하는 구성요소의 일부 또는 전부가 통신망(120)을 구성하는 네트워크장치(예: 무선교환장치 등)에 통합되어 구성될 수 있는 것 등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발명의 충분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 전부 포함하는 것으로 설명한다.
저작자 단말장치(100)는 도 1의 통신망(120)을 경유하여 블록체인 기반의 이미지 관리장치(130)의 서비스에 접속하여 사진 이미지와 같은 저작물을 업로딩하는 단말장치를 포함한다. 저작자 단말장치(100)는 PC 기반의 데스크탑컴퓨터, 랩탑컴퓨터뿐 아니라 모바일 기반의 태블릿PC, 스마트폰, 사용자의 손목 등에 착용하는 웨어러블장치 등 유선이나 무선 인터넷 환경을 이용할 수 있는 다양한 유형의 장치를 포함한다. 저작자 단말장치(100)는 직업, 취미, 관심사, 영업 및 마케팅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하면서 온라인상으로 자신이 직접 제작한 이미지나, 촬영한 사진 등을 특정 플랫폼 서비스에 업로딩한다. 예를 들어, 최근에는 자신의 재능을 소비자들에게 선보이고 그에 대한 대가를 받을 수 있는 플랫폼들이 많이 소개되고 있다. 이러한 서비스를 통해 자신이 직접 제작한 이미지를 홍보용으로 사용하거나 할 때 블록체인 기반의 이미지 관리장치(130)에 접속하여 사진이나 이미지의 저작물을 제공할 수 있다.
물론 저작자 단말장치(100)는 예를 들어, 헤어샵의 경우 헤어샵 관리자나 디자이너가 자신이 직접 고객에게 선보인 헤어작업에 대한 사진 촬영을 수행하여 사진 이미지를 블록체인 기반의 이미지 관리장치(13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러한 서비스는 메타버스의 형태로 제공될 수도 있다. 여기서, 사진 이미지는 사진 촬영에 의한 것이지만, 그래픽 디자이너의 경우에는 사진 촬영과 같은 별도의 촬영 동작없이 이미지 생성 작업에 의해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으므로, 사진이냐 이미지냐의 용어에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을 것이다. 다만, 사진도 이미지라 명명될 수 있으므로, 이미지라 통칭하기로 한다.
사용자 단말장치(110)의 경우에도 저작자 단말장치(100)와 장치의 유형에 있어서는 크게 다르지 않다. 다만, 저작자 단말장치(100)는 이미지 저작물에 대한 저작권자의 단말장치를 의미하려는 것이라면, 사용자 단말장치(110)는 도 1의 블록체인 기반의 이미지 관리장치(130)의 서비스에 접속하여 저작권자의 이미지 저작물을 관람 혹은 보는 일반 사용자들의 단말장치를 의미한다. 사용자 단말장치(110)의 경우에도 PC 기반의 단말장치나 모바일 기반의 단말장치 등 다양한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무엇보다 사용자 단말장치(110)는 특정 플랫폼에 회원 가입을 통해 서비스를 이용하는 경우 서비스 화면에서 제공되는 이미지들에 대하여 무단 도용이 불가하다. 다시 말해, 다운로드를 받고자 하는 경우 저작자 단말장치(100)의 승인이 있거나 비용 처리가 선행되어야 하는 경우에는 비용 처리 후에 이미지의 다운로드가 가능할 수 있다. 무엇보다, 화면상의 이미지를 화면 캡쳐하는 등의 동작을 수행할 때, 블록체인 기반의 이미지 관리장치(130)는 사용자의 이러한 동작을 감지한 후 저작권 등의 보호를 위하여 무단복제가 불가함을 사용자 단말장치(110)에 통지할 수 있다. 즉 화면상에 표시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블록체인 기반의 이미지 관리장치(130)는 사용자 단말장치(110)에 특정 화면에 대한 서비스를 요청한 후 화면 캡쳐 프로그램을 실행하거나, 또는 키보드 자판의 화면 캡쳐 버튼을 선택하는지 등을 감시하여 이를 근거로 안내 메시지를 통지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장치(110)는 블록체인 기반의 이미지 관리장치(130)에 접속하여 서비스를 이용할 때 실제 저작자 단말장치(100)에서 제공하는 원본 이미지에 비하여 저해상도의 이미지를 화면상에 제공한다. 고해상도라는 것은 지정된 이미지의 크기에서 화소의 수가 많다는 것이고, 저해상도라는 것은 위와 동일한 이미지 크기에서 화소의 수가 적거나, 또는 화소의 화소값의 계조 레벨(gray level)을 다운시키는 것을 의미한다. 다시 말해, 컬러의 경우 256 계조로 색을 표현할 수 있는데, 이러한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후자의 경우가 바람직하다.
통신망(120)은 유무선 통신망을 모두 포함한다. 가령 통신망(120)으로서 유무선 인터넷망이 이용되거나 연동될 수 있다. 여기서, 유선망은 케이블망이나 공중 전화망(PSTN)과 같은 인터넷망을 포함하는 것이고, 무선 통신망은 CDMA, WCDMA, GSM, EPC(Evolved Packet Core), LTE(Long Term Evolution), 와이브로(Wibro) 망 등을 포함하는 의미이다. 물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망(120)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가령 클라우드 컴퓨팅 환경하의 클라우드 컴퓨팅망, 5G망 등에 사용될 수 있다. 가령, 통신망(120)이 유선 통신망인 경우 통신망(120) 내의 액세스포인트는 전화국의 교환국 등에 접속할 수 있지만, 무선 통신망인 경우에는 통신사에서 운용하는 SGSN 또는 GGSN(Gateway GPRS Support Node)에 접속하여 데이터를 처리하거나, BTS(Base Transsive Station), NodeB, e-NodeB 등의 다양한 중계기에 접속하여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다.
통신망(120)은 액세스포인트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의 액세스포인트는 건물 내에 많이 설치되는 펨토(femto) 또는 피코(pico) 기지국과 같은 소형 기지국을 포함한다. 펨토 또는 피코 기지국은 소형 기지국의 분류상 저작자 단말장치(100)나 사용자 단말장치(110) 등을 최대 몇 대까지 접속할 수 있느냐에 따라 구분된다. 물론 액세스 포인트는 저작자 단말장치(100)나 사용자 단말장치(110) 등과 지그비 및 와이파이 등의 근거리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근거리 통신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액세스포인트는 무선통신을 위하여 TCP/IP 혹은 RTSP(Real-Time Streaming Protocol)를 이용할 수 있다. 여기서, 근거리 통신은 와이파이 이외에 블루투스, 지그비, 적외선, UHF(Ultra High Frequency) 및 VHF(Very High Frequency)와 같은 RF(Radio Frequency) 및 초광대역 통신(UWB) 등의 다양한 규격으로 수행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액세스포인트는 데이터 패킷의 위치를 추출하고, 추출된 위치에 대한 최상의 통신 경로를 지정하며, 지정된 통신 경로를 따라 데이터 패킷을 다음 장치, 예컨대 블록체인 기반의 이미지 관리장치(130) 등으로 전달할 수 있다. 액세스포인트는 일반적인 네트워크 환경에서 여러 회선을 공유할 수 있으며, 예컨대 라우터(router), 리피터(repeater) 및 중계기 등이 포함된다.
블록체인 기반의 이미지 관리장치(130)는 직업, 취미, 관심사, 영업, 마케팅 등에 관련되는 다양한 유형의 플랫폼 서비스를 제공한다. 플랫폼 내에서는 회원 간의 커뮤니티를 위해 사진 이미지를 올릴 수 있다. 물론 해당 이미지는 저작권자만 업로드할 수 있도록 허용되는 것이다. 이러한 저작권자 여부를 판단하기 위하여 블록체인 기반의 이미지 관리장치(130)는 저작자 단말장치(100)에서 저작물을 업로드할 때 저작권위원회에서 제공하는 저작권번호 등을 확인할 수 있지만, DB(130a)에 기저장되어 있는 저작물들과의 이미지 화소값 비교 등의 동작을 통해 복제 또는 표절 여부를 확인할 수도 있다. 물론 이러한 동작을 위하여 블록체인 기반의 이미지 관리장치(130)는 인공지능(AI)의 딥러닝 프로그램을 실행할 수 있으며, 저작권위원회 등에서 운영하는 서버와 제휴하여 DB를 공유하여 이를 통해 이미지 데이터들을 확보하여 복제 또는 표절 여부 등을 판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의 이미지 관리장치(130)는 저작자의 사진이나 직접 제작한 그래픽 이미지 등의 무단 도용을 방지하기 위하여 사용자 단말장치(110)에서 이미지 캡쳐를 위한 프로그램을 실행하거나, 또는 키보드 자판에서 화면 캡쳐 버튼을 선택하는지 등을 감지할 수 있다. 이러한 동작 이외에도 블록체인 기반의 이미지 관리장치(130)는 도 1의 블록체인 기반의 이미지 관리장치(130)와 같은 플랫폼상에 이미지 업로드시 1차적으로 이미지를 타일(tile) 형태로 분할한 후 각 분할한 이미지를 블록체인 기술을 적용하여 분산하여 저장하여 특정 조건하에서만 원본 사진을 다운로드할 수 있도록 하고, 또 앞서 언급한 대로 실제 플랫폼상에서 보여지는 이미지의 해상도를 낮추어 표시하고, 워터마크를 자동 생성한 후 플랫폼에 노출될 수 있도록 하여 타인의 무단도용 및 사용을 방지한다.
또한, 블록체인 기반의 이미지 관리장치(130)는 플랫폼상에 업로드되는 사진 이미지는 초상권자 허락 및 저작권자(예: 공동/단독)를 명시하도록 하여 사후 분쟁을 최소화하도록 할 뿐만 아니라, 플랫폼상에 업로드시 상업적 사용에 대해 승인을 하는 경우 제3자는 해당 사진을 해당 사진의 초상권자 및 저작권자에게 일정한 비용이 지급될 수 있도록 한다. 나아가, 블록체인 기반의 이미지 관리장치(130)는 플랫폼상에서 회원이 올린 이미지는 서버 내에서는 자동으로 동일한 이미지가 딥러닝 방식으로 검색하고 동일한 이미지가 검색되는 경우에는 해당 이미지를 업로드한 회원에게 통지하며, 플랫폼 외의 경우 회원의 요청이 있는 경우 회원이 키워드를 입력하면 키워드를 통해 검색된 웹페이지상에서 노출된 이미지를 딥러닝 방식으로 이미지 도용을 검색해 준다.
다시 정리해 보면, 블록체인 기반의 이미지 관리장치(130)는 회원 가입, 관리 이미지 업로드(예: 제3자 유상/무상 이용 허락 선택), 제3자 이용이 가능한 원본 이미지는 분할하여 블록체인 기술을 적용해 분산 저장, 노출용 이미지는 해상도를 낮추고 워터마크 표시(예: 저작권자 및 초상권자 표시), 제3자의 원본 이미지 사용 요청에 응답, 플랫폼 내에서는 원본이미지 무단 사용에 대해 딥러닝 방식으로 실시간 동일한 이미지 검색, 블록체인 기술로 원본 이미지 합성, 동일한 이미지 검색시 회원에게 통보, 거래승인/다운로드, 회원이 제재 요청이 있는 경우 해당 이미지 노출 중단, 원저작자 플랫폼 포인트 지급 등의 동작을 수행한다. 여기서, "블록체인 기술로 원본 이미지 합성"이란 블록체인 기술로 분산 저장되어 있는 분할 이미지를 불러와 합성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의 이미지 관리장치(130)는 저작자 단말장치(100)에서 제공하는 이미지에 대하여 원저작자 여부를 검증한다. 이를 위하여 저작권위원회에서 부여한 저작권번호를 확인하거나, 또는 기존에 DB(130a)에 저장되어 있는 이미지들을 이용해 검증 동작을 수행한다. 가령, 이미지의 화소값 비교 결과 기준값보다 높게 나타날 때, 저작자 단말장치(100)로 알리고 복제나 표절 여부를 문의하여 답변을 수신할 수 있다.
만약 이러한 과정을 통해 이미지의 원저작자에 대한 검증이 완료되면, 블록체인 기반의 이미지 관리장치(130)는 복제나 무단사용을 방지하기 위한 동작을 수행한다. 도 2에서와 같이, 인코딩 전송된 이미지를 복호화하여 최초 촬영이나 제작된 단위 프레임의 이미지를 복원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복원되면 블록체인 기반의 이미지 관리장치(130)는 해당 이미지에 대하여 저해상도로 변환한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다. 저해상도의 이미지는 사용자 단말장치(110)로 서비스 화면을 제공할 때 사용한다. 또한, 원본 이미지의 경우에는 타일 형태로 분할하여 저장한다. 여기서, 타일 형태의 분할이란 인코딩할 때 매크로블록 단위로 분할하는 것과는 구분된다. 도 2의 (b)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타일의 크기는 다양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매크로블록은 표준화가 되어 있어 분할의 크기가 일정해야 하지만, 본원의 타일 형태의 분할은 원본 이미지의 특징점을 기반으로 분할하는 등 매크로블록과 같이 지정된 크기가 없다. 다시 말해, 시스템 설계자의 의도에 따라 얼마든지 변경될 수 있다. 또한 분할에 있어서, 사각형 형태로 이미지를 분할하여 회소 분석이 이루어질 수 있지만, 단위 비디오 프레임에서 경계선을 기준으로 특정 영역의 화소들을 추출하여 이를 분석하는 것도 얼마든지 가능하므로, 분할하는 모양에 있어서도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을 것이다. 도 2는특정 영역의 화소 추출에 의한 타일 형태의 분할이라고 볼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그러한 형태에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을 것이다.
블록체인 기반의 이미지 관리장치(130)는 타일 기반으로 분할한 원본 이미지에 대하여 워터마크를 부여할 수 있으며, 복수의 타일 이미지에 대하여 동일한 워터 마크를 부여할 수 있다. 워터마크는 이미 공지된 사항이기는 하지만, 본원은 타일 이미지와 같은 코드 형태로 워터마크를 부여할 수도 있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을 수 있다. 또한, 블록체인 기반으로 타일 이미지를 분산 저장한다. 블록체인 기술은 중앙집중화된 서버가 해킹 등의 공격에 취약하므로, 이를 분산시켜 데이터를 분산 저장하려는 것이 핵심이다. 이에 더하여 분산 저장된 데이터의 수정이 있을 때, 즉 트랜잭션(transaction)이 있을 때 기저장된 장부 즉 이미지 데이터를 각 분산장치에서의 승인이 있을 때 수정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기술의 주요 내용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각 장치로부터 분할된 이미지 데이터를 저장하였으므로 합성을 위해 불러올 때 승인 절차를 이용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때 암호화한 암호화 정보나 워터마크 정보를 제공하여 승인 절차를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물론 블록체인 암호화 기술은 하나의 데이터가 생성되고 이를 중앙서버에 저장해 보안 프로그램을 통해 해킹을 막는 기존 방식에서 벗어나 하나의 데이터를 복원화하여 블록 형태로 여러 서버에 똑같은 데이터를 저장시켜 이를 원본과 비교, 대조하는 형식으로 보안을 유지하는 기술이다. 데이터의 생성과 보안은 빠른 시간 내에 이루어지며 이를 바탕으로 암호화된 화폐(예: 가상자산)를 만들어 내는 것이다. 암호화된 데이터를 화폐 가치로 환산하면 데이터의 이동이 화폐 흐름과 같아지는데 수량이나 금액의 경우 블록 형태로 된 데이터가 조합됨으로써 결정되고 암호화된 데이터의 초기 생성값과 보유시 결과값은 해시함수라는 연산자를 통해 비교된다. 블록체인 암호화 데이터는 암호화와 관련된 블록과 데이터로 보존되는 노드로 나뉘는데 노드는 단순히 말하자면 참여자의 서버라고 할 수 있다. 만약 블록체인 암호화폐를 해킹하려면 참여자의 모든 컴퓨터나 서버를 해킹해야만 가능한데 해킹을 해도 최초의 블록체인 형태(예: 제네시스 블록)를 복원할 수 없으면 사용할 수 없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이러한 기존의 블록체인 형태를 응용한 형태라 볼 수 있다.
이와 같이, 블록체인 기반의 이미지 관리장치(130)는 제3자 이용이 가능한 원본 이미지는 분할하여 블록체인 기술로 분산 저장한다. 물론 분산 저장은 서드파티장치(140) 등과 이루어질 수 있으며, 저작자 단말장치(100)나 저작권위원회에서 운영하는 서버 등과 연동하여 분산 저장 및 블록체인 기술의 구현이 이루어질 수 있다. 원본 이미지는 분할하고, 분할된 이미지별 고유 픽셀 암호화 동작을 수행한다. 가령 4분할되는 이미지는 모두 픽셀 즉 화소값이 다를 수밖에 없다. 따라서, 동일한 암호화키와 동일한 복호화키를 통해 암호화 및 복호화를 수행할 수 있다. 암호화된 타일 즉 분할 이미지는 분산 저장되어 블록체인 형태로 운영된다. 또한 사용자의 요청이 있을 때 이용 권한이 있는 사용자에 대하여 분할 이미지를 합성하여 제공한다. 대표적으로, 원본 이미지의 다운로드 요청이 있는 경우이다. 이의 경우 분산 저장된 분할 이미지들을 복호화하여 합성할 수 있다. 원본 이미지의 합성시 분할된 이미지의 고유픽셀 정보를 포함한다. 여기서 고유픽셀 정보는 컬러 정보나 계조 정보 등이 될 수 있다. 또는 특징점 정보나 모양을 분할한 형태의 정보가 될 수도 있다. 또한, 블록체인 기반의 이미지 관리장치(130)는 무단 도용 이미지 검색시 고유픽셀 정보를 이용해서 검색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암호화와 복호화라는 것은 특정 함수값을 적용해 변환하여 암호화한 후 그 암호화된 값을 다시 역함수화하여 본래의 화소값을 찾는 것이므로, 이는 당업자에게 자명하므로 더 이상의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이와 같이 분할된 이미지의 고유픽셀 정보를 통해 무단 도용 이미지를 검색하도록 하여 검색시 효율을 높일 수 있고, 또한 무단 도용하는 사람이 이미지를 훼손하여 사용하는 경우에도 검색이 가능할 수 있을 것이다.
서드파티장치(140)는 블록체인 기반의 이미지 관리장치(130)를 운영하는 운영자의 컴퓨터, 또 블록체인 기반의 이미지 관리장치(130)의 서비스 프로그램을 제작하여 제공하는 개발업체의 컴퓨터나 서버 등의 장치를 포함한다. 또는 저작권위원회에서 운영하는 저작물 서버나 DB와 같은 장치를 포함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서비스를 관리하는 관리자 장치의 경우 관리자 웹주소로 접속하여 서비스 화면에 제공하는 공지사항 등을 등록함으로써 사용자 단말장치(110) 등에 해당 공지사항을 확인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3은 도 1의 블록체인 기반의 이미지 관리장치의 세부구조를 예시한 블록다이어그램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의 이미지 관리장치(130)는 통신 인터페이스부(300), 제어부(310), 이미지 관리부(320) 및 저장부(330)의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한다"는 것은 저장부(330)와 같은 일부 구성요소가 생략되어 블록체인 기반의 이미지 관리장치(130)가 구성되거나, 이미지 관리부(320)와 같은 일부 구성요소가 제어부(310)와 같은 다른 구성요소에 통합되어 구성될 수 있는 것 등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발명의 충분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 전부 포함하는 것으로 설명한다.
통신 인터페이스부(300)는 도 1의 통신망(120)을 경유하여 저작자 단말장치(100), 사용자 단말장치(110) 및 서드파티장치(140)와 각각 통신을 수행하며, 통신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변/복조, 먹싱/디먹싱, 인코딩/디코딩, 해상도를 변환하는 등의 동작을 수행한다. 이는 당업자에게 자명하므로, 더 이상의 설명은 생략한다.
다만 여기서의 인코딩/디코딩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타일 형태로 복원된 이미지를 분할하고 암호화하며, 또 제3자의 요청시 복호화하여 합성하는 것과는 상이한 것이며, 또 원본 이미지를 저해상도로 변환하여 서비스 화면으로 제공하는 것과도 구별된다. 또한 위의 해상도 변환은 사용자 단말장치(110)의 7인치, 또는 10인치 화면의 크기에 따라 화소값을 재가공하는 것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화소를 표현하기 위해 8비트 데이터로 처리하였다면 이를 6비트 데이터로 처리하는 것이 대표적이다. 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저작물인 원본 이미지의 해상도 변환은 화소의 계조 레벨을 변환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통신 인터페이스부(300)는 저작자 단말장치(100)에서 블록체인 기반의 이미지 관리장치(130)의 서비스에 접속하여 사진 등의 이미지를 업로딩할 때 해당 이미지를 수신하여 제어부(310)로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장치(110)에서 서비스 요청이 있을 때 제어부(310)의 제어하에 서비스 화면을 제공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재능을 선보이는 플랫폼의 경우 재능을 기부하는 기부자들의 활동과 관련한 이미지를 저해상도의 이미지로 서비스 화면을 제공한다.
또한, 통신 인터페이스부(300)는 제3자의 사용자 단말장치(110)에서 서비스에 접속하여 화면상의 특정 이미지에 대한 다운로드를 요청하거나 할 때 원저작자의 저작자 단말장치(100)로부터의 승인이 있는지, 또 사용자의 비용결제 등이 있는지의 확인 결과에 따라 원본 이미지를 제공한다.
제어부(310)는 도 3의 통신 인터페이스부(300), 이미지 관리부(320) 및 저장부(330)의 전반적인 제어 동작을 담당한다. 제어부(310)는 대표적으로 통신 인터페이스부(300)를 통해 도 1의 저작자 단말장치(100)에서 제공하는 이미지를 저장부(330)에 임시 저장한 후 불러내어 이미지 관리부(320)에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310)는 이미지 관리부(320)의 이미지 처리 결과를 수신하여 도 1의 DB(130a)에 체계적으로 분류하여 저장하도록 통신 인터페이스부(300)를 제어한다. 여기서, 이미지 처리 결과는 가령 블록체인 기술을 적용해 분산 저장을 위해 원본 이미지를 타일 형태로 분할하여 분할된 이미지를 생성하거나 또는 해당 분할 이미지를 암호화하고, 또 저해상도의 이미지로 서비스 화면을 제공하기 위해 원본 이미지의 화소값의 계조를 다운시켜 저해상도의 이미지를 생성하는 것을 의미한다.
제어부(310)는 사용자 단말장치(110)에서 서비스 화면의 특정 이미지, 가령 헤어샵에서 헤어디자이너가 작업한 사진 이미지의 다운로드를 요청한 경우 원본 이미지를 제공하기 위하여 타일 형태로 분할된 이미지들의 합성 동작을 수행한다. 분산 저장된 장치의 정보를 기저장하고 있으므로, 해당 장치로부터 각각의 분할된 이미지를 제공받아 이미지 관리부(320)를 통해 복호화를 통해 복원해 낸다. 그리고, 복원된 복수의 분할 이미지를 합성하여 사용자 단말장치(110)로 제공하도록 통신 인터페이스부(300)를 제어한다. 가령, 분할 이미지는 1, 2, 3, 4 등의 순번이 매칭되어 있을 수 있고, 또 워터마크 정보를 확인해 최초 원본이미지의 분할 이미지인지를 확인할 수 있다. 이를 통해 합성된 이미지는 데이터 패킷화되어 사용자 단말장치(110)로 제공될 수 있다.
이미지 관리부(320)는 플랫폼 서비스에서 서비스 화면으로 제공되는 이미지가 무단으로 복제나 도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동작을 수행한다. 이미지 관리부(320)는 앞서 언급한 대로 화면 캡쳐 프로그램이 실행되는지 등을 감지하여 이미지를 블랙으로 변환시킬 수 있고, 또 키보드 자판에서 화면 캡쳐 버튼이 선택되는지 등을 감지하여 캡쳐하려는 이미지를 블랙 등으로 처리하여 원천적으로 도용 등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이미지 관리부(320)는 사용자의 불법 행위를 감시할 수 있다.
또한 이미지 관리부(320)는 저작물 이미지 등의 해킹을 방지하기 위하여 블록체인 기술을 적용해 이미지를 분산 저장할 수 있고, 이의 과정에서 원본 이미지를 복수의 영역으로 분할할 수 있다. 앞서 언급한 대로 여기서의 타일 기반의 분할은 인코딩을 위한 매크로블록과는 구분된다. 타일 기반의 분할 방식을 주기적으로 변경함으로써 해킹을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이미지 관리부(320)는 원본 이미지를 4분할하는 경우 분할 이미지를 암호화하고, 즉 분할 이미지의 화소값을 암호화 코드를 적용해 암호화하고, 또 워터마크 코드를 삽입하는 형태로 분산 저장시킬 수 있다. 물론 이러한 과정에서 분할된 이미지에 순번을 부여하는 형태로 처리할 수도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제3자의 사용자 단말장치(110)로부터 합법적인 루트(route)(예: 저작권자의 승인이나 비용처리 등)로 특정 이미지에 대한 다운로드 요청이 있을 때 기저장된 장치식별정보 등을 근거로 분산 저장되어 있는 분할 이미지를 가져와 복호화하고 또 복호화된 분할 이미지를 순번에 의해 합성하여 데이터 패킷 처리 후 사용자 단말장치(110)로 제공할 수 있다. 이의 과정에서 이미지 관리부(320)는 워터마크 코드를 확인하여 동일 원본 이미지에서 분할된 것인지 등을 확인할 수 있다. 물론 워터마크는 플랫폼 서비스를 제공하면서 다운로드 이미지에 함께 제공하여 복제가 이루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지만,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어느 하나의 형태에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을 것이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워터마크를 블록체인에서 합의를 위한 승인 수단으로 사용할 수 있다.
이외에도 이미지 관리부(320)는 저작자 단말장치(100) 등에서 이미지 업로드 요청이 있을 때 해당 이미지의 복제나 표절 등의 여부를 확인하기 위하여 동일 이미지가 있는지 검색할 수 있고, 이를 위하여 화소값을 비교하는 형태로 검색 동작이 이루어지거나, 특징점을 비교하는 형태로 검색 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비교의 정확도를 높이기 위하여 인공지능의 딥러닝 프로그램을 적용해 학습을 통해 검색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검색어를 입력한 경우 해당 검색어를 근거로 웹사이트상에 이미지를 노출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이 노출된 이미지를 비교하여 그 결과를 저작자 단말장치(100)로 통지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저작자 단말장치(100)의 사용자 즉 저작자로부터 이미지 도용 여부를 최종 판단하도록 할 수도 있을 것이다.
저장부(330)는 제어부(310)의 제어하에 다양한 유형의 데이터나 정보를 임시 저장한 후 출력한다. 데이터는 이미지의 화소 데이터라면 정보는 간단한 제어명령 등을 의미할 수 있지만, 업계에서는 혼용되는 경우가 많으므로 그 용어의 개념에 대하여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을 것이다. 제어부(310)는 가령 사진 이미지 즉 그 이미지의 화소데이터가 제공되면 이를 저장부(330)에 임시 저장한 후 불러내어 이미지 관리부(320)로 제공할 수 있다.
상기한 내용 이외에도 도 3의 통신 인터페이스부(300), 제어부(310), 이미지 관리부(320) 및 저장부(330)는 다양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으며, 기타 자세한 내용은 앞서 충분히 설명하였으므로 그 내용들로 대신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 3의 통신 인터페이스부(300), 제어부(310), 이미지 관리부(320) 및 저장부(330)는 서로 물리적으로 분리된 하드웨어 모듈로 구성되지만, 각 모듈은 내부에 상기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소프트웨어를 저장하고 이를 실행할 수 있을 것이다. 다만, 해당 소프트웨어는 소프트웨어 모듈의 집합이고, 각 모듈은 하드웨어로 형성되는 것이 얼마든지 가능하므로 소프트웨어니 하드웨어니 하는 구성에 특별히 한정하지 않을 것이다. 예를 들어 저장부(330)는 하드웨어인 스토리지(storage) 또는 메모리(memory)일 수 있다. 하지만, 소프트웨어적으로 정보를 저장(repository)하는 것도 얼마든지 가능하므로 위의 내용에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을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제어부(310)는 CPU 및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으며, 원칩화하여 형성될 수 있다. CPU는 제어회로, 연산부(ALU), 명령어해석부 및 레지스트리 등을 포함하며, 메모리는 램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회로는 제어동작을, 그리고 연산부는 2진비트 정보의 연산동작을, 그리고 명령어해석부는 인터프리터나 컴파일러 등을 포함하여 고급언어를 기계어로, 또 기계어를 고급언어로 변환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으며, 레지스트리는 소프트웨어적인 데이터 저장에 관여할 수 있다. 상기의 구성에 따라, 가령 블록체인 기반의 이미지 관리장치(130)의 동작 초기에 이미지 관리부(320)에 저장되어 있는 프로그램을 복사하여 메모리 즉 램(RAM)에 로딩한 후 이를 실행시킴으로써 데이터 연산 처리 속도를 빠르게 증가시킬 수 있다.
도 4는 도 1의 블록체인 기반의 이미지 관리장치의 구동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설명의 편의상 도 4를 도 1과 함께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의 이미지 관리장치(130)는 저작권자의 제1 사용자 단말장치에서 제공하는 저작물로서 사진 이미지의 데이터를 수신한다(S400). 여기서, 사진 이미지는 촬영이 아니라 그래픽프로그램을 이용해 디자이너 등에 의해 제작된 이미지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사용자 단말장치는 도 1의 저작자 단말장치(100)를 의미한다.
또한, 블록체인 기반의 이미지 관리장치(130)는 수신한 사진 이미지를 복수의 영역으로 분할 후 분할한 이미지를 블록체인 기술을 적용해 분산 저장하며, 기설정한 조건을 만족할 때 분산 저장한 분할 이미지를 합성하여 원본 사진 이미지를 생성해 제2 사용자 단말장치로 제공한다. 여기서 제2 사용자 단말장치는 도 1의 사용자 단말장치(110)를 의미한다. 또한 기설정한 조건이란 원저작자의 승인여부나 비용 처리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블록체인 기반의 이미지 관리장치(130)는 분할 저장한 이미지를 불러와 합성하는 과정에서 블록체인의 합의 기술을 구현하기 위하여 워터마크를 승인 수단으로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분산 저장시 제공한 워터마크와 그 분산 저장한 이미지 데이터를 합성하기 위한 이미지 데이터를 제공하여 일치 여부를 판단하고, 이때 분산 저장된 장치들의 합의를 보는 방식이다.
이외에도 블록체인 기반의 이미지 관리장치(130)는 저작자가 플랫폼 서비스에 저작물로서 이미지를 업로드할 때 내부 DB(130a)의 이미지 데이터와 화소 비교 등의 동작을 통해 무단 도용 등의 여부를 판단할 수 있고, 이때 사용자의 검색어를 기반으로 이미지 데이터를 검출하고 그 검출된 이미지 데이터의 범위에서 화소 비교 등의 동작을 수행하여 이미지의 도용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한 내용 이외에도 도 1의 블록체인 기반의 이미지 관리장치(130)는 다양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으며, 기타 자세한 내용은 앞서 충분히 설명하였으므로 그 내용들로 대신하고자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그 모든 구성요소들이 각각 하나의 독립적인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들의 그 일부 또는 전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하나 또는 복수 개의 하드웨어에서 조합된 일부 또는 전부의 기능을 수행하는 프로그램 모듈을 갖는 컴퓨터 프로그램으로서 구현될 수도 있다. 그 컴퓨터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코드들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의 기술분야의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비일시적 저장매체(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a)에 저장되어 컴퓨터에 의하여 읽혀지고 실행됨으로써, 본 발명의 실시 예를 구현할 수 있다.
여기서 비일시적 판독 가능 기록매체란, 레지스터, 캐시(cache), 메모리 등과 같이 짧은 순간 동안 데이터를 저장하는 매체가 아니라, 반영구적으로 데이터를 저장하며, 기기에 의해 판독(reading)이 가능한 매체를 의미한다. 구체적으로, 상술한 프로그램들은 CD, DVD, 하드 디스크, 블루레이 디스크, USB, 메모리 카드, ROM 등과 같은 비일시적 판독가능 기록매체에 저장되어 제공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100: 저작자 단말장치 110: 사용자 단말장치
120: 통신망 130: 블록체인 기반의 이미지 관리장치
140: 서드파티장치 300: 통신 인터페이스부
310: 제어부 320: 이미지 관리부
330: 저장부

Claims (8)

  1. 저작권자의 제1 사용자 단말장치에서 제공하는 저작물로서 사진 이미지에 대한 데이터를 수신하는 통신 인터페이스부; 및
    상기 수신한 사진 이미지를 복수의 영역으로 분할한 후 상기 분할한 이미지를 블록체인(chain) 기술을 적용해 분산 저장하며, 기설정한 조건을 만족할 때 상기 분산 저장한 분할 이미지를 합성하여 원본 사진 이미지를 생성해 사용자의 제2 사용자 단말장치로 제공하도록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블록체인 기반의 이미지 관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장치 또는 상기 제2 사용자 단말장치의 화면에 상기 기저장한 사진 이미지를 표시할 때 상기 원본 사진 이미지 대비 저해상도의 이미지를 화면에 표시하는 블록체인 기반의 이미지 관리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분할한 이미지에 동일 워터마크를 자동 생성하여 분산 저장하는 블록체인 기반의 이미지 관리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사용자 단말장치의 화면에 표시되는 상기 원본 사진 이미지의 다운로드 또는 화면 캡쳐가 있을 때 상기 저작권자의 승인을 받도록 통지하는 블록체인 기반의 이미지 관리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기설정된 조건으로서 상기 저작권자의 승인 여부를 판단하는 블록체인 기반의 이미지 관리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장치에서 사진 이미지를 저장부에 업로드할 때 상기 저장부에 기저장된 사진 이미지와의 동일 여부를 인공지능(AI)의 딥러닝을 적용해 분석하여 분석 결과를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장치로 통지하는 블록체인 기반의 이미지 관리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신한 사진 이미지에 키워드를 매칭하여 상기 저장부에 저장하며,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장치에서 키워드를 이용해 검색을 수행할 때 검색 결과로서 화면에 노출되는 복수의 이미지들에 대한 표절 또는 도용 여부를 상기 딥러닝을 통해 분석하는 블록체인 기반의 이미지 관리장치.
  8. 통신 인터페이스부가, 저작권자의 제1 사용자 단말장치에서 제공하는 저작물로서 사진 이미지에 대한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및
    제어부가, 상기 수신한 사진 이미지를 복수의 영역으로 분할한 후 상기 분할한 이미지를 블록체인 기술을 적용해 분산 저장하며, 기설정한 조건을 만족할 때 상기 분산 저장한 분할 이미지를 합성하여 원본 사진 이미지를 생성해 사용자의 제2 사용자 단말장치로 제공하도록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부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블록체인 기반의 이미지 관리장치의 구동방법.
KR1020210137705A 2021-10-15 2021-10-15 블록체인 기반의 이미지 관리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KR1025996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37705A KR102599640B1 (ko) 2021-10-15 2021-10-15 블록체인 기반의 이미지 관리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37705A KR102599640B1 (ko) 2021-10-15 2021-10-15 블록체인 기반의 이미지 관리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54108A true KR20230054108A (ko) 2023-04-24
KR102599640B1 KR102599640B1 (ko) 2023-11-06

Family

ID=861416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37705A KR102599640B1 (ko) 2021-10-15 2021-10-15 블록체인 기반의 이미지 관리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99640B1 (ko)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02244A (ko) * 2006-06-30 2008-01-04 포스데이타 주식회사 워터마킹 방법, 워터마크 확인 방법, 워터마킹 장치 및워터마크 확인 장치
KR20140039466A (ko) * 2012-09-24 2014-04-02 김석 인터넷을 통한 사진이미지 등록 방법
KR101919286B1 (ko) * 2018-06-12 2018-11-15 이성훈 웹서버에서의 이미지 복제 방지 방법
KR101938878B1 (ko) * 2018-06-14 2019-01-15 김보언 블록체인 기반 저작권 관리 시스템
KR20200018159A (ko) 2018-08-10 2020-02-19 한국과학기술원 사진 위변조 및 도용 방지 방법
KR102092840B1 (ko) * 2019-08-12 2020-03-24 박옥생 저작물의 자산화 및 접근성을 확장하는 저작물 거래 서비스 제공 방법
KR20210068929A (ko) 2019-12-02 2021-06-10 양준명 이미지 무단 복제 및 무단 도용 추적 시스템
KR102280736B1 (ko) 2019-12-09 2021-07-22 주식회사 디알엠인사이드 딥러닝 기반 사진저작물의 고속 식별을 지원하는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02244A (ko) * 2006-06-30 2008-01-04 포스데이타 주식회사 워터마킹 방법, 워터마크 확인 방법, 워터마킹 장치 및워터마크 확인 장치
KR20140039466A (ko) * 2012-09-24 2014-04-02 김석 인터넷을 통한 사진이미지 등록 방법
KR101919286B1 (ko) * 2018-06-12 2018-11-15 이성훈 웹서버에서의 이미지 복제 방지 방법
KR101938878B1 (ko) * 2018-06-14 2019-01-15 김보언 블록체인 기반 저작권 관리 시스템
KR20200018159A (ko) 2018-08-10 2020-02-19 한국과학기술원 사진 위변조 및 도용 방지 방법
KR102092840B1 (ko) * 2019-08-12 2020-03-24 박옥생 저작물의 자산화 및 접근성을 확장하는 저작물 거래 서비스 제공 방법
KR20210068929A (ko) 2019-12-02 2021-06-10 양준명 이미지 무단 복제 및 무단 도용 추적 시스템
KR102280736B1 (ko) 2019-12-09 2021-07-22 주식회사 디알엠인사이드 딥러닝 기반 사진저작물의 고속 식별을 지원하는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99640B1 (ko) 2023-11-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ditya et al. I-pic: A platform for privacy-compliant image capture
US10462144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managing privacy settings of shared content
US10701079B1 (en) Collaborative data sharing and co-browsing with natural language masking
US10075618B2 (en) Security feature for digital imaging
KR102086001B1 (ko) 블록체인 기반의 저작물 유통 이력 정보 관리 시스템
US8712047B2 (en) Visual universal decryption apparatus and methods
US10810657B2 (en) System and method adapted to facilitate sale of digital images while preventing theft thereof
KR101859433B1 (ko) 영상 모자이크 처리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WO2020085690A1 (ko) 블록체인 기반의 비디지털 저작물의 저작권 관리 시스템
JP2019503533A (ja) 情報処理方法及びサーバ、コンピュータ記憶媒体
CN105871805A (zh) 防盗链的方法及装置
CN112949545A (zh) 识别人脸图像的方法、装置、计算设备和介质
KR20200033556A (ko) 블록 체인 기반의 영상 공유 방법 및 영상 공유 플랫폼 시스템
CN113393471A (zh) 图像处理方法和装置
US10742681B2 (en) Data collaboration
US20220156873A1 (en) Image synthesis device and method for embedding watermark
KR20200018159A (ko) 사진 위변조 및 도용 방지 방법
CN114429267A (zh) 一种数字作品版权的风控方法、系统、装置及存储介质
KR102086000B1 (ko) 비디지털 저작물의 동일성 판단 시스템
KR102599640B1 (ko) 블록체인 기반의 이미지 관리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KR102442796B1 (ko) 온라인 중고거래 기반 오프라인 검증을 이용한 인증거래 서비스 제공 시스템
CN114880679A (zh) 一种证件照数据处理方法、系统、设备及存储介质
KR101331242B1 (ko) 검색가능 이미지 암호화 시스템
US11012394B2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social media using partition function
KR101825487B1 (ko) Drm 서비스를 제공하는 전자액자 서비스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