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68929A - 이미지 무단 복제 및 무단 도용 추적 시스템 - Google Patents

이미지 무단 복제 및 무단 도용 추적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68929A
KR20210068929A KR1020190158546A KR20190158546A KR20210068929A KR 20210068929 A KR20210068929 A KR 20210068929A KR 1020190158546 A KR1020190158546 A KR 1020190158546A KR 20190158546 A KR20190158546 A KR 20190158546A KR 20210068929 A KR20210068929 A KR 202100689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code
present
pixel
ser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585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준명
Original Assignee
양준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준명 filed Critical 양준명
Priority to KR10201901585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68929A/ko
Publication of KR202100689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6892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2Monitoring of processes or resources, e.g. detecting the failure of a recording device, monitoring the downstream bandwidth, the number of times a movie has been viewed, the storage space available from the internal hard disk
    • H04N21/44204Monitoring of content usage, e.g. the number of times a movie has been viewed, copied or the amount which has been watche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10Protecting distributed programs or content, e.g. vending or licensing of copyrighted material ; Digital rights management [DRM]
    • G06F21/16Program or content traceability, e.g. by watermark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0002Inspection of images, e.g. flaw detection
    • G06T7/0004Industrial image inspection
    • G06T7/001Industrial image inspection using an image reference approach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90Determination of colour characteristics
    • G06F2221/0737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32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ntrol or supervision between transmitter and receiver or between image input and image output device, e.g.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its memory or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a printer device
    • H04N2201/3201Display, printing, storage or transmission of additional information, e.g. ID code, date and time or title
    • H04N2201/3225Display, printing, storage or transmission of additional information, e.g. ID code, date and time or title of data relating to an image, a page or a document
    • H04N2201/3226Display, printing, storage or transmission of additional information, e.g. ID code, date and time or title of data relating to an image, a page or a document of identification information or the like, e.g. ID code, index, title, part of an image, reduced-size image
    • H04N2201/323Display, printing, storage or transmission of additional information, e.g. ID code, date and time or title of data relating to an image, a page or a document of identification information or the like, e.g. ID code, index, title, part of an image, reduced-size image for tracing or tracking, e.g. forensic tracing of unauthorized cop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chnology Law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Editing Of Facsimile Origin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온라인을 통해 업로드된 임의의 이미지가 무단 복제 또는 무단 도용되었는지를 파악하고 이를 추적하기 위한 이미지 무단복제 및 무단도용 추적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이미지 무단 복제 및 무단 도용 추적 시스템{Tracking system for image unauthorized replication and theft}
본 발명은 온라인을 통해 업로드된 임의의 이미지가 무단 복제 또는 무단 도용되었는지를 파악하고 이를 추적하기 위한 이미지 무단 복제 및 무단 도용 추적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컴퓨터통신이나 인터넷과 같은 네트워크의 급속한 발전과 디지털데이터의 증가로 인하여 불법복제로부터의 지적소유권 문제가 크게 부각되고 있고, 이에 따라 소유권자의 동의없는 불법복제를 방지하고 소유권을 보호하기 위한 저작권 보호기법의 기술이 절실하게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기존에는 온라인상의 이미지를 복제하여 사용하기 위하여 온라인상의 이미지를 사람이 일일이 다운로드 하였으나, 최근에는 기술의 발달로 인하여 웹 크롤링, 웹 그래버 프로그램이나 스크립트 랭귀지 등으로 개발한 툴(이하 '웹 크롤링 툴'로 통칭함)로 이미지를 자동적으로 다운로드 받을 수 있게 되었다.
이러한 방식의 장점은 많은 양의 이미지를 단순히 몇 번의 클릭이나 조작만으로 아주 간편하고 빠르게 다운로드하여 사용자의 클라이언트에 저장할 수 있는데 있다. 이러한 프로그램이 불법적으로 널리 활용됨에 따라, 저작권을 갖는 이미지를 웹상에서 서비스하는 업체나 개인 등이 허가되지 않은 이미지 유출로 인하여 심각한 재산상의 손해를 보고 있으며, 창작자들의 의욕을 저하시키는 등 사회적으로 심각한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이에 온라인상의 이미지 불법 복제 또는 불법 도용을 방지하기 위해 워터마킹 기법이 사용되고 있으며, 워터마크란 저작권 보호를 위해 음성, 영상 또는 이미지 데이터에 표시되는 보이지 않는 마크(Mark)로서, 음성, 영상 또는 이미지 등의 저작물에 삽입되는 특정한 부호나 패턴을 일컫는다.
이와 같은 워터마크는 음성, 영상 또는 이미지 신호에 삽입되어 비 저작권자에 의해 인식되지 않아야 하고 법적으로 저작권 소유자에 의해서만 검출될 수 있어야 한다.
그러나 특정 이미지에 워터마크를 삽입하는 것만으로 불법적 복제를 방지하고 대량 유포를 방지하기에는 많은 문제점들이 나타나 한계로 부딪히고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플랫폼 상에 업로드된 원본이미지를 설정된 단위 픽셀을 획득하고, 획득한 단위 픽셀의 색상 코드에 원본이미지를 감상하는 사용자의 아이디 코드를 삽입하여, 이를 기반으로 외부서버에 불법으로 복제 또는 도용된 이미지와 원본이미지의 비교를 통해 불법 사용자를 추적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이미지 무단 복제 및 무단 도용 추적 시스템를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이미지 무단 복제 및 무단 도용 추적 시스템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서버가, 사용자 단말의 아이디 코드 및 이미지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서버가, 상기 아이디 코드를 삽입할 단위 픽셀 수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서버가, 상기 이미지 중 임의의 단위 픽셀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서버가, 상기 임의의 단위 픽셀 중 제1 픽셀 내지 제n 픽셀의 색상 코드 각각과 상기 아이디 코드의 제1 숫자 내지 제n 숫자 각각을 합성하는 단계; 외부 서버로부터 상기 아이디 코드가 삽입된 이미지를 수신한 경우, 상기 서버가, 상기 아이디 코드가 삽입된 이미지 및 원본이미지의 색상을 비교하는 단계; 및 상기 비교 결과를 바탕으로 상기 아이디 코드를 추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이미지 가공 단계를 거친 원본이미지가 무단으로 복제 또는 도용되는 경우, 복제된 이미지를 원본이미지와 비교하여 사용자의 아이디 코드를 추출할 수 있게 되어 무단 복제 및 도용을 신속하게 파악할 수 있음은 물론, 불법적인 복제 및 도용을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무단 복제 및 무단 도용 추적 시스템의 블록도,
도 2는 임의의 이미지에서 단위 픽셀을 추출하는 단계를 나타낸 예시도,
도 3은 추출된 단위 픽셀의 색상별 코드를 나타낸 예시도,
도 4는 추출된 단위 픽셀의 색상 코드에 아이디 코드를 삽입하는 단계를 나타낸 예시도.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이하,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기로 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무단 복제 및 무단 도용 추적 시스템의 블록도, 도 2는 임의의 이미지에서 단위 픽셀을 추출하는 단계를 나타낸 예시도, 도 3은 추출된 단위 픽셀의 색상별 코드를 나타낸 예시도, 도 4는 추출된 단위 픽셀의 색상 코드에 아이디 코드를 삽입하는 단계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이미지 무단 복제 및 무단 도용 추적 시스템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서버가, 사용자 단말의 아이디 코드 및 이미지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서버가, 상기 아이디 코드를 삽입할 단위 픽셀 수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서버가, 상기 이미지 중 임의의 단위 픽셀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서버가, 상기 임의의 단위 픽셀 중 제1 픽셀 내지 제n 픽셀의 색상 코드 각각과 상기 아이디 코드의 제1 숫자 내지 제n 숫자 각각을 합성하는 단계; 외부 서버로부터 상기 아이디 코드가 삽입된 이미지를 수신한 경우, 상기 서버가, 상기 아이디 코드가 삽입된 이미지 및 원본이미지의 색상을 비교하는 단계; 및 상기 비교 결과를 바탕으로 상기 아이디 코드를 추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원본이미지의 가공 단계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플랫폼 상에 업로드된 원본이미지를 가공하는 단위 픽셀 수를 결정한다. 여기서 원본이미지는 다수의 픽셀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기존의 '워터마크'와 같이 통상의 사용자들이 쉽게 인지하기 어려운 픽셀 단위로 이미지를 가공하도록 하며, 설명의 편의를 위해 가공하는 단위 픽셀 수를 9 픽셀(단위 픽셀 수는 3이상의 홀수의 제곱)로 가정하여 설명한다.
상기와 같이, 단위 픽셀에 맞추어 준비된 원본이미지의 가장자리부터 9 픽셀로 나누되, 제1 픽셀 내지 제n 픽셀로 나눌 수 있으며,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9 픽셀로 나누어진 임의의 픽셀을 제1 픽셀이라고 가정한다.
또한, 상기 9 픽셀의 중앙부분에 위치한 픽셀을 '키 픽셀'이라 가정한다.
여기서, 상기 제1 픽셀은 9개의 색상코드가 존재하며, 이때 상기 색상코드는 앞에서부터 2자리씩 [R], [G], [B]의 함량을 나타낸다. 즉, 상기 제1 픽셀의 색상코드는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부여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픽셀의 색상코드에 플랫폼을 이용하는 사용자별로 할당된 아이디 코드를 삽입하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아이디 코드는 '0(채도 감소)', '1(원색)', '2(채도 증가)'의 세가지 값으로만 구성되며, '단위 픽셀 수 -1'로 설정되어야 한다. 이에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상기 원본이미지를 감상하는 제1 사용자의 아이디 코드를 '01201201'이라 가정한다.
이에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제1 픽셀의 키 픽셀을 중심으로 상기 제1 사용자의 아이디 코드를 순서대로 삽입한다.
예컨대, 제1 픽셀의 가장 왼쪽 상단에 위치한 보라색 '0'의 색상 코드는 '9200d9'이며, '[R]=94, [G]=0, [B]=d9=219(10진수)'로 변환될 수 있다. 여기서, 가장 많은 비율을 차지하는 [B]에서 1을 감소시키면, 상기 보라색 '0'의 색상 코드는 [9400d8]로 변환될 수 있다. 또한, 나머지 8개의 색상 코드도 상기와 동일한 방법으로 변환될 수 있다.
이때, 임의의 제n 픽셀에서 나타날 수 있는 [ffffff] 및 [000000]의 색상 코드는 채도의 감소 및 증가가 용이하지 않으므로, 아이디 코드를 삽입하기 전에 각각 [fefefe] 및 [010101]로 변환하여 수행하도록 한다.
이러한 방법으로 색상 코드가 변환된 원본이미지는 외부서버로부터 복제된 이미지가 검색되는 경우, 원본이미지의 색상 코드와 비교하여 복제자의 아이디 코드를 산출할 수 있게되어 추적이 용이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이미지 가공 단계를 거친 원본이미지가 무단으로 복제 또는 도용되는 경우, 복제된 이미지를 원본이미지와 비교하여 사용자의 아이디 코드를 추출할 수 있게 되어 무단 복제 및 도용을 신속하게 파악할 수 있음은 물론, 불법적인 복제 및 도용을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 본 명세서에서 설명한 기능적 동작과 본 주제에 관한 실시형태들은 본 명세서에서 개시한 구조들 및 그들의 구조적인 등가물을 포함하여 디지털 전자 회로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펌웨어 또는 하드웨어에서 혹은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에서 구현 가능하다.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는 주제의 실시형태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다시 말해 데이터 처리 장치에 의한 실행을 위하여 혹은 그 동작을 제어하기 위하여 유형의 프로그램 매체 상에 인코딩되는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에 관한 하나 이상의 모듈로서 구현될 수 있다. 유형의 프로그램 매체는 전파형 신호이거나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일 수 있다. 전파형 신호는 컴퓨터에 의한 실행을 위하여 적절한 수신기 장치로 전송하기 위한 정보를 인코딩하기 위하여 생성되는 예컨대 기계가 생성한 전기적, 광학적 혹은 전자기 신호와 같은 인공적으로 생성된 신호이다.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는 기계로 판독 가능한 저장장치, 기계로 판독 가능한 저장 기판, 메모리 장치, 기계로 판독 가능한 전파형 신호에 영향을 미치는 물질의 조합 혹은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일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프로그램, 소프트웨어,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 스크립트 혹은 코드로도 알려져 있음)은 컴파일되거나 해석된 언어나 선험적 혹은 절차적 언어를 포함하는 프로그래밍 언어의 어떠한 형태로도 작성될 수 있으며, 독립형 프로그램이나 모듈, 컴포넌트, 서브루틴 혹은 컴퓨터 환경에서 사용하기에 적합한 다른 유닛을 포함하여 어떠한 형태로도 전개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은 파일 시스템의 파일에 반드시 대응하는 것은 아니다. 프로그램은 요청된 프로그램에 제공되는 단일 파일 내에, 혹은 다중의 상호 작용하는 파일(예컨대, 하나이상의 모듈, 하위 프로그램 혹은 코드의 일부를 저장하는 파일) 내에, 혹은 다른 프로그램이나 데이터를 보유하는 파일의 일부(예컨대, 마크업 언어 문서 내에 저장되는 하나 이상의 스크립트) 내에 저장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은 하나의 사이트에 위치하거나 복수의 사이트에 걸쳐서 분산되어 통신 네트워크에 의해 상호 접속된 다중 컴퓨터나 하나의 컴퓨터 상에서 실행되도록 전개될 수 있다.
부가적으로, 본 특허문헌에서 기술하는 논리 흐름과 구조적인 블록도는 개시된 구조적인 수단의 지원을 받는 대응하는 기능과 단계의 지원을 받는 대응하는 행위 및/또는 특정한 방법을 기술하는 것으로, 대응하는 소프트웨어 구조와 알고리즘과 그 등가물을 구축하는 데에도 사용 가능하다.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는 프로세스와 논리 흐름은 입력 데이터 상에서 동작하고 출력을 생성함으로써 기능을 수행하기 위하여 하나 이상의 컴퓨터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하나 이상의 프로그래머블 프로세서에 의하여 수행 가능하다.
컴퓨터 프로그램의 실행에 적합한 프로세서는, 예컨대 범용 및 특수 목적의 마이크로프로세서 양자 및 어떤 종류의 디지털 컴퓨터의 어떠한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라도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프로세서는 읽기 전용 메모리나 랜덤 액세스 메모리 혹은 양자로부터 명령어와 데이터를 수신할 것이다.
컴퓨터의 핵심적인 요소는 명령어와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메모리 장치 및 명령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세서이다. 또한, 컴퓨터는 일반적으로 예컨대 자기, 자기광학 디스크나 광학 디스크와 같은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대량 저장 장치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거나 그것으로 데이터를 전송하거나 혹은 그러한 동작 둘 다를 수행하기 위하여 동작가능 하도록 결합되거나 이를 포함할 것이다. 그러나, 컴퓨터는 그러한 장치를 가질 필요가 없다.
본 기술한 설명은 본 발명의 최상의 모드를 제시하고 있으며,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하여, 그리고 당업자가 본 발명을 제작 및 이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예를 제공하고 있다. 이렇게 작성된 명세서는 그 제시된 구체적인 용어에 본 발명을 제한하는 것이 아니다.
따라서, 상술한 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본 예들에 대한 개조, 변경 및 변형을 가할 수 있다. 요컨대 본 발명이 의도하는 효과를 달성하기 위해 도면에 도시된 모든 기능 블록을 별도로 포함하거나 도면에 도시된 모든 순서를 도시된 순서 그대로 따라야만 하는 것은 아니며, 그렇지 않더라도 얼마든지 청구항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속할 수 있음에 주의한다.
아울러,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의 실시예들이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1)

  1. 이미지 무단 복제 및 무단 도용 추적 시스템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서버가, 사용자 단말의 아이디 코드 및 이미지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서버가, 상기 아이디 코드를 삽입할 단위 픽셀 수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서버가, 상기 이미지 중 임의의 단위 픽셀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서버가, 상기 임의의 단위 픽셀 중 제1 픽셀 내지 제n 픽셀의 색상 코드 각각과 상기 아이디 코드의 제1 숫자 내지 제n 숫자 각각을 합성하는 단계;
    외부 서버로부터 상기 아이디 코드가 삽입된 이미지를 수신한 경우, 상기 서버가, 상기 아이디 코드가 삽입된 이미지 및 원본이미지의 색상을 비교하는 단계; 및
    상기 비교 결과를 바탕으로 상기 아이디 코드를 추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제어 방법.

KR1020190158546A 2019-12-02 2019-12-02 이미지 무단 복제 및 무단 도용 추적 시스템 KR2021006892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8546A KR20210068929A (ko) 2019-12-02 2019-12-02 이미지 무단 복제 및 무단 도용 추적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8546A KR20210068929A (ko) 2019-12-02 2019-12-02 이미지 무단 복제 및 무단 도용 추적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68929A true KR20210068929A (ko) 2021-06-10

Family

ID=763781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58546A KR20210068929A (ko) 2019-12-02 2019-12-02 이미지 무단 복제 및 무단 도용 추적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68929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54108A (ko) 2021-10-15 2023-04-24 윤재한 블록체인 기반의 이미지 관리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54108A (ko) 2021-10-15 2023-04-24 윤재한 블록체인 기반의 이미지 관리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81272B1 (en) Method and system for copyright protection of digital images
US9367885B2 (en) Method and system for adding and detecting watermark
Zhao Applying digital watermarking techniques to online multimedia commerce
EP3673455B1 (en) Identifying copyrighted material using embedded copyright information
JP2009038810A (ja) 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情報端末、サーバ、検出装置、およびデジタルコンテント配布方法
GB2379349A (en) Embedding data in material at a receiver
EP3673453B1 (en) Identifying copyrighted material using copyright information embedded in tables
Borra et al. Digital image watermarking tools: State-of-the-art.
CN107784207B (zh) 金融app界面的显示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CN105303069A (zh) 一种数字版权管理系统及方法
EP3100193A1 (en) Using a security feature with a digital image file
CA3045675A1 (en) System and method for decentralized digital structured data storage, management, and authentication using blockchain
Dorairangaswamy A novel invisible and blind watermarking scheme for copyright protection of digital images
CN111340676A (zh) 图像水印的嵌入方法、识别方法、装置及电子设备
JP4580285B2 (ja) ディジタルコンテンツの利用管理方法、管理装置および管理プログラム
KR20210068929A (ko) 이미지 무단 복제 및 무단 도용 추적 시스템
US20020019946A1 (en) Inspection method and system
US20180241567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otecting digital media
Singh et al. A recent survey of DCT based digital image watermarking theories and techniques: a review
Rastogi et al. Implementation of digital watermarking technique to secure IPR of web application code
KR20100062045A (ko) 워터마크 자동처리 시스템 및 방법
Stallin et al. Hidden Image Watermarking based on Frequency Domain Technique
CN111640051B (zh) 一种图像处理方法及其装置
Kumar et al. A Secure Image Watermarking Scheme Based on DWT, SVD and Arnold Transform
Madushanka et al. SecureRights: A Blockchain-Powered Trusted DRM Framework for Robust Protection and Asserting Digital Righ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