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53451A - 차량의 주행 보조장치 및 보조방법 - Google Patents

차량의 주행 보조장치 및 보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53451A
KR20230053451A KR1020210136971A KR20210136971A KR20230053451A KR 20230053451 A KR20230053451 A KR 20230053451A KR 1020210136971 A KR1020210136971 A KR 1020210136971A KR 20210136971 A KR20210136971 A KR 20210136971A KR 20230053451 A KR20230053451 A KR 202300534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gaze
driving
information
occupa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369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지오
Original Assignee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1369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53451A/ko
Publication of KR202300534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5345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50/08Interaction between the driver and the control system
    • B60W50/14Means for informing the driver, warning the driver or prompting a driver interven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30/00Purposes of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of systems using 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 B60W30/18Propelling the vehicle
    • B60W30/18009Propelling the vehicle related to particular drive situations
    • B60W30/18163Lane change; Overtaking manoeuv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40/0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 B60W40/02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related to ambient condi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40/0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 B60W40/08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related to drivers or passeng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40/0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 B60W40/1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related to vehicle mo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10Human or animal bodies, e.g. vehicle occupants or pedestrians; Body parts, e.g. hands
    • G06V40/16Human faces, e.g. facial parts, sketches or express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50/08Interaction between the driver and the control system
    • B60W50/14Means for informing the driver, warning the driver or prompting a driver intervention
    • B60W2050/146Display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42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type of sensors based on the principle of their operation
    • B60W2420/40Photo, light or radio wave sensitive means, e.g. infrared sens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520/00Input parameters relating to overall vehicle dynamics
    • B60W2520/10Longitudinal spe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540/00Input parameters relating to occupants
    • B60W2540/225Direction of gaz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556/00Input parameters relating to data
    • B60W2556/45External transmission of data to or from the vehicle
    • B60W2556/50External transmission of data to or from the vehicle of positioning data, e.g.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dat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차량의 주행 보조장치를 개시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하나 이상의 센서를 이용하여 탑승자의 시선에 관한 정보를 획득하는 센싱부; 상기 센싱부가 획득한 정보를 기초로 상기 탑승자의 시선방향을 결정하고, 상기 시선방향을 기초로 차량을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로부터 전송되는 상기 시선방향에 관한 정보를 기초로 상기 차량의 주행정보를 출력하는 출력부를 포함하는 차량의 주행 보조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차량의 주행 보조장치 및 보조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Assisting Driving of Vehicle}
본 개시는 차량의 주행 보조장치 및 보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 부분에 기술된 내용은 단순히 본 개시에 대한 배경정보를 제공할 뿐 종래기술을 구성하는 것은 아니다.
차량에는 첨단 운전자보조시스템(ADAS, Advanced Driver Assistance System)이 설치된다. 차량은 ADAS를 이용하여 운전자의 상태 및 주변 상황을 분석하고, 시야 확보, 화면 표시, 가이드, 경고 및 제어 등을 수행한다.
ADAS의 기능으로서, 사각지대 충돌 방지(BCA, Blind-spot Collision Avoidance) 기능, 후방 교차 충돌 경고(RCCW, Rear Cross-Traffic Collision Warning) 기능 및 안전 하차 보조(SEA, Safe Exit Assist) 기능 등이 있다. 종래 ADAS의 대부분의 기능은 차량의 주변에 대한 정보를 기초로 운전자를 보조한다.
한편, 차량의 운행에 있어서, 운전자의 시선은 운전자의 의도를 반영한다. 예를 들어, 운전자가 차량의 주행방향을 변경하거나 주행차로를 변경하고자 할 때, 운전자의 시선은 차량의 전방이 아닌 차량의 측면 또는 사이드미러를 향한다. 운전자의 시선이 향하는 방향(이하 '시선방향')에 관한 정보를 기초로 차량을 제어함으로써, 운전자의 편의를 향상시킬 필요가 있다.
차량의 운행에 있어서, 운전자가 차량의 전방을 주시하지 않고 다른 곳을 보는 경우가 있다. 예를 들어, 운전자는 차량의 경로에 관한 정보를 확인하기 위해 내비게이션을 보거나, 스마트폰을 보기도 한다. 운전자가 차량의 전방을 주시하지 않음으로써 차량의 사고가 발생할 수 있다는 문제가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주행 보조장치는 운전자의 시선방향을 기초로 차량을 제어함으로써, 운전자의 편의를 향상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주행 보조장치는 운전자의 시선방향에 따른 위치에 차량의 주행정보를 표시함으로써, 운전자가 차량의 전방을 주시하지 않을 경우에 발생하는 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하나 이상의 센서를 이용하여 탑승자의 시선에 관한 정보를 획득하는 센싱부; 상기 센싱부가 획득한 정보를 기초로 상기 탑승자의 시선방향을 결정하고, 상기 시선방향을 기초로 차량을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로부터 전송되는 상기 시선방향에 관한 정보를 기초로 상기 차량의 주행정보를 출력하는 출력부를 포함하는 차량의 주행 보조장치를 제공한다.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하나 이상의 센서를 이용하여 탑승자의 시선에 관한 정보를 획득하는 과정; 상기 탑승자의 시선에 관한 정보를 기초로 상기 탑승자의 시선방향을 결정하는 과정; 상기 시선방향에 관한 정보를 기초로 차량의 주행정보를 출력하는 과정; 및 상기 시선방향에 관한 정보를 기초로 상기 차량을 제어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차량의 주행 보조방법을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차량의 주행 보조장치는 운전자의 시선방향을 기초로 차량을 제어함으로써, 운전자의 편의를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차량의 주행 보조장치는 운전자의 시선방향에 따른 위치에 차량의 주행정보를 표시함으로써, 운전자가 차량의 전방을 주시하지 않을 경우에 발생하는 사고를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주행 보조장치의 블록구성도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센서가 배치되는 위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출력부에 주행 중인 차량의 주변이 표시되는 화면의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출력부에 정차된 차량의 주변이 표시되는 화면의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주행 보조방법의 순서도이다.
이하,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이용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개시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개시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구비'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첨부된 도면과 함께 이하에 개시될 발명의 설명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 형태를 설명하고자 하는 것이며,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유일한 실시 형태를 나타내고자 하는 것이 아니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주행 보조장치의 블록구성도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센서가 배치되는 위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주행 보조장치(100)는 센싱부(sensing unit, 110), 제어부(control unit, 120) 및 출력부(output unit, 130)를 포함할 수 있다. 센싱부(110), 제어부(120) 및 출력부(130)는 버스(140)를 이용하여 상호 간에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센싱부(110)는 제1 센서(first sensor, 210), 제2 센서(second sensor, 220) 및 제3 센서(third sensor, 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출력부(130)는 복수 개의 디스플레이(display)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주행 보조장치(100)는 자율주행차량 및 일반주행차량에 탑재될 수 있다.
센싱부(110)는 센서를 이용하여 탑승자의 시선(line of sight)에 관한 정보를 획득한다. 센싱부(110)는 복수 개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 개의 센서는 탑승자의 동공 및/또는 안면을 인식함으로써, 탑승자의 시선을 감지할 수 있다. 복수 개의 센서는 서로 다른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복수 개의 센서 중 적어도 일부는 차량의 실내 또는 실외의 미리 설정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복수 개의 센서 중 적어도 하나는 차량과 분리되도록 구성되는 단말기에 배치될 수 있다. 복수 개의 센서 중 일부는 적외선 센서일 수 있으며, 다른 일부는 안면인식(face recognition)센서일 수 있다.
제1 센서(210)는 차량 실내의 전면, 특히 클러스터(cluster)에 배치될 수 있다. 탑승자가 차량의 전방을 주시하고 있는 경우, 제1 센서(210)는 탑승자의 동공 및/또는 안면을 인식한다. 제1 센서(210)는 차량의 전방을 향하는 탑승자의 시선을 감지한다. 제어부(120)는 제1 센서(210)를 이용하여 탑승자의 시선이 차량의 전방을 향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제1 센서(210)는 복수 개일 수 있다.
제2 센서(220)는 차량 실내의 측면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센서(220)는 차량의 사이드미러 및 창문틀 등에 배치될 수 있다. 탑승자가 차량의 사이드미러를 보는 경우, 제2 센서(220)는 탑승자의 동공 및/또는 안면을 인식한다. 제2 센서(220)는 차량의 사이드미러를 향하는 탑승자의 시선을 감지한다. 제어부(120)는 제2 센서(220)를 이용하여 탑승자의 시선이 차량의 사이드미러를 향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제2 센서(220)는 복수 개일 수 있다.
제3 센서는 출력부(130)에 인접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탑승자가 출력부(130)를 보는 경우, 제3 센서는 탑승자의 동공 및/또는 안면을 인식한다. 제3 센서는 출력부(130)를 향하는 탑승자의 시선을 감지한다. 제어부(120)는 제3 센서를 이용하여 탑승자의 시선이 출력부를 향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제3 센서는 복수 개일 수 있다. 제3 센서 중 적어도 하나는 차량과 분리되도록 구성되는 단말기에 배치될 수 있다. 복수 개의 제3 센서는 복수 개의 디스플레이에 인접하도록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제어부(120)는 센싱부(110)가 획득한 정보를 기초로 탑승자의 시선방향, 탑승자 시선의 이동방향 및 탑승자 시선의 고정시간 등을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탑승자의 시선방향은 탑승자의 시선이 향하는 방향을 의미한다. 탑승자 시선의 이동방향은 탑승자의 시선방향이 바뀌는 경우, 탑승자의 시선이 이동하는 방향을 의미한다. 탑승자 시선의 고정시간은 탑승자의 시선이 특정 방향에 머무르는 시간을 의미한다.
제어부(120)는 탑승자의 시선방향에 관한 정보를 출력부(130)에 전송할 수 있다. 제어부(120)는 탑승자의 시선방향에 관한 정보를 기초로 차량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20)는 탑승자의 시선방향에 관한 정보를 기초로 차량의 주행정보를 출력할 디스플레이를 결정할 수 있다.
제어부(120)는 탑승자의 시선방향에 관한 정보를 기초로 차량의 턴시그널(turn signal) 표시여부 및 주행차로 변경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제어부(120)는 내비게이션(navigation)으로부터 차량의 경로에 관한 정보를 전달 받을 수 있다. 제어부(120)는 미리 설정된 거리 이내에 좌회전 또는 우회전 경로가 있고, 탑승자의 시선이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사이드미러를 향하는 경우, 차량이 턴시그널을 표시하고 주행차로를 변경하도록 차량을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미리 설정된 거리는 1 km 일 수 있으며, 미리 설정된 시간은 1 초 일 수 있다.
제어부(120)는 차량이 미리 설정된 속도보다 낮은 속도로 주행하고, 탑승자의 시선이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사이드미러를 향하는 경우, 차량이 턴시그널을 표시하고 주행차로를 변경하도록 차량을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미리 설정된 속도는 100 km/h 일 수 있으며, 미리 설정된 시간은 1 초 일 수 있다.
제어부(120)는 복수 개의 디스플레이 중 차량의 주행정보를 표시할 디스플레이를 결정할 수 있다. 제어부(120)는 탑승자의 시선이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어느 하나의 디스플레이를 향하는 경우, 어느 하나의 디스플레이가 차량의 주행정보를 표시하는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20)는 나머지 디스플레이가 차량의 주행정보를 표시하지 않는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어느 하나의 디스플레이는 차량과 분리되도록 구성된 단말기에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미리 설정된 시간은 3 초일 수 있다.
출력부(130)는 제어부(120)로부터 전송받은 탑승자의 시선방향에 관한 정보를 기초로 차량의 주행정보를 표시한다. 출력부(130)는 복수 개의 디스플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 개의 디스플레이는 차량 실내의 전면 및 차량과 분리되도록 구성되는 단말기 등에 배치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의 적어도 일부분에 차량의 주행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출력부에 주행 중인 차량의 주변이 표시되는 화면의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차량과 분리되도록 구성된 단말기에 주행 중인 자차(310)의 주변이 표시될 수 있다. 단말기에는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와 적어도 하나의 센서가 배치된다. 단말기의 주행정보 표시영역(330)에는 자차(310), 다른 차량(320) 및 주변 도로 상황 등이 표시될 수 있다. 주행정보 표시영역(330)에는 자차(310)의 주행속도, 주행 가능 거리 및 목적지까지의 거리 등이 표시될 수 있다. 단말기의 기타정보 표시영역(340)에는 차량의 주행정보 이외의 다른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출력부에 정차된 차량의 주변이 표시되는 화면의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차량과 분리되도록 구성되는 단말기에 정차된 자차(410)의 주변이 표시될 수 있다. 단말기에는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와 적어도 하나의 센서가 배치된다. 단말기의 주행정보 표시영역(430)에는 자차(410), 다른 차량(420) 및 주변 도로 상황 등이 표시될 수 있다. 주행정보 표시영역(430)에는 신호등 정보, 주행 가능 거리, 목적지까지의 거리 및 전방 차량 출발여부 등이 표시될 수 있다. 단말기의 기타정보 표시영역(440)에는 차량의 주행정보 이외의 다른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도 5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주행 보조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센싱부는 하나 이상의 센서를 이용하여 탑승자의 시선에 관한 정보를 획득한다(S510). 센싱부는 제1 센서, 제2 센서 및 제3 센서를 이용하여 탑승자의 시선에 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센싱부는 탑승자의 동공 및/또는 안면을 인식함으로써, 탑승자의 시선을 감지할 수 있다. 센싱부는 차량의 전방을 향하는 탑승자의 시선을 감지할 수 있다. 센싱부는 차량의 사이드미러를 향하는 탑승자의 시선을 감지할 수 있다. 센싱부는 출력부를 향하는 탑승자의 시선을 감지할 수 있다. 센싱부는 탑승자의 시선에 관한 정보를 제어부로 전송할 수 있다.
제어부는 센싱부가 획득한 정보를 기초로 탑승자의 시선방향을 결정한다(S520). 제어부는 탑승자의 시선방향, 탑승자 시선의 이동방향 및 탑승자 시선의 고정시간 등을 판단할 수 있다. 제어부는 탑승자의 시선방향에 관한 정보를 출력부로 전송할 수 있다.
제어부는 탑승자의 시선방향에 관한 정보를 기초로 복수 개의 디스플레이 중 차량의 주행정보를 표시할 디스플레이를 결정할 수 있다. 제어부는 탑승자의 시선이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어느 하나의 디스플레이를 향하는 경우, 어느 하나의 디스플레이가 차량의 주행정보를 표시하는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는 나머지 디스플레이가 차량의 주행정보를 표시하지 않는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어느 하나의 디스플레이는 차량과 분리되도록 구성된 단말기에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미리 설정된 시간은 3 초일 수 있다.
출력부는 탑승자의 시선방향에 관한 정보를 기초로 차량의 주행정보를 출력한다(S530). 출력부는 복수 개의 디스플레이를 이용하여 차량의 주행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출력부는 복수 개의 디스플레이 중 어느 일부를 이용하여 차량의 주행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출력부는 차량과 분리되도록 구성되는 단말기에 배치된 디스플레이를 이용하여 차량의 주행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제어부는 탑승자의 시선방향을 기초로 차량을 제어한다(S540). 제어부는 탑승자의 시선방향에 관한 정보를 기초로 차량의 턴시그널 표시여부 및 주행차로 변경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는 내비게이션으로부터 차량의 경로에 관한 정보를 전송받을 수 있다. 제어부는 미리 설정된 거리 이내에 좌회전 또는 우회전 경로가 있고, 탑승자의 시선이 사이드미러를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향하는 것으로 판단하는 경우, 차량이 턴시그널을 표시하고 주행차로를 변경하도록 차량을 제어한다.
제어부는 차량이 미리 설정된 속도보다 낮은 속도로 주행하고, 탑승자의 시선이 사이드미러를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향하는 것으로 판단하는 경우, 차량이 턴시그널을 표시하고 주행차로를 변경하도록 차량을 제어한다.
본 개시의 순서도에서는 각각의 과정들을 순차적으로 실행하는 것으로 기재하고 있으나, 이는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하다. 다시 말해,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순서도에 기재된 과정을 변경하여 실행하거나 각각의 과정 중 하나 이상의 과정을 병렬적으로 실행하는 것으로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하여 적용 가능할 것이므로, 순서도는 시계열적인 순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 설명되는 시스템들 및 기법들의 다양한 구현예들은, 디지털 전자 회로, 집적 회로,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ASIC(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컴퓨터 하드웨어, 펌웨어, 소프트웨어, 및/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실현될 수 있다. 이러한 다양한 구현예들은 프로그래밍가능 시스템 상에서 실행가능한 하나 이상의 컴퓨터 프로그램들로 구현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프로그래밍가능 시스템은, 저장 시스템, 적어도 하나의 입력 디바이스, 그리고 적어도 하나의 출력 디바이스로부터 데이터 및 명령들을 수신하고 이들에게 데이터 및 명령들을 전송하도록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래밍가능 프로세서(이것은 특수 목적 프로세서일 수 있거나 혹은 범용 프로세서일 수 있음)를 포함한다. 컴퓨터 프로그램들(이것은 또한 프로그램들, 소프트웨어,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들 혹은 코드로서 알려져 있음)은 프로그래밍가능 프로세서에 대한 명령어들을 포함하며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저장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이러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RO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메모리 카드, 하드 디스크, 광자기 디스크, 스토리지 디바이스 등의 비휘발성(non-volatile) 또는 비일시적인(non-transitory) 매체일 수 있으며, 또한 데이터 전송 매체(data transmission medium)와 같은 일시적인(transitory) 매체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 설명되는 시스템들 및 기법들의 다양한 구현예들은, 프로그램가능 컴퓨터에 의하여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프로그램가능 프로세서, 데이터 저장 시스템(휘발성 메모리, 비휘발성 메모리, 또는 다른 종류의 저장 시스템이거나 이들의 조합을 포함함) 및 적어도 한 개의 커뮤니케이션 인터페이스를 포함한다. 예컨대, 프로그램가능 컴퓨터는 서버, 네트워크 기기, 셋탑 박스, 내장형 장치, 컴퓨터 확장 모듈, 개인용 컴퓨터, 랩탑, PDA(Personal Data Assistant), 클라우드 컴퓨팅 시스템 또는 모바일 장치 중 하나일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실시예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실시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차량의 주행 보조장치
110: 센싱부
120: 제어부
130: 출력부

Claims (19)

  1. 하나 이상의 센서를 이용하여 탑승자의 시선에 관한 정보를 획득하는 센싱부;
    상기 센싱부가 획득한 정보를 기초로 상기 탑승자의 시선방향을 결정하고, 상기 시선방향을 기초로 차량을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로부터 전송되는 상기 시선방향에 관한 정보를 기초로 상기 차량의 주행정보를 출력하는 출력부
    를 포함하는 차량의 주행 보조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센싱부는,
    상기 차량의 전방을 향하는 탑승자의 시선을 감지하는 제1 센서;
    상기 차량의 사이드미러를 향하는 탑승자의 시선을 감지하는 제2 센서; 및
    상기 출력부를 향하는 탑승자의 시선을 감지하는 제3 센서
    를 포함하는 차량의 주행 보조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센서, 상기 제2 센서 및 상기 제3 센서는 서로 다른 위치에 배치되는 차량의 주행 보조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센서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차량과 분리되도록 구성되는 단말기에 배치되는 차량의 주행 보조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센서 중 적어도 하나는 안면인식 센서인 차량의 주행 보조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센서 중 적어도 하나는 적외선 센서인 차량의 주행 보조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부는 복수 개의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되,
    상기 복수 개의 디스플레이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차량과 분리되도록 구성되는 단말기에 배치되는 차량의 주행 보조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탑승자의 시선방향을 기초로 상기 차량의 주행정보를 출력할 디스플레이를 결정하는 차량의 주행 보조장치.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탑승자의 시선이 상기 단말기에 배치되는 디스플레이를 향하는 것으로 판단하는 경우, 상기 단말기에 배치되는 디스플레이가 상기 차량의 주행정보를 출력하는 것으로 결정하고,
    상기 탑승자의 시선이 상기 단말기에 배치되는 디스플레이를 향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하는 경우, 상기 단말기에 배치되는 디스플레이가 상기 차량의 주행정보를 출력하지 않는 것으로 결정하는 차량의 주행 보조장치.
  10.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의 적어도 일부분에 상기 차량의 주행정보가 표시되는 차량의 주행 보조장치.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탑승자의 시선방향을 기초로 상기 차량의 턴시그널 표시여부 및 주행차로 변경여부를 결정하는 차량의 주행 보조장치.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내비게이션(navigation)으로부터 상기 차량의 경로에 관한 정보를 전달받되,
    미리 설정된 거리 이내에 좌회전 또는 우회전 경로가 있고,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상기 탑승자의 시선이 상기 차량의 사이드미러를 향하는 것으로 판단하는 경우, 상기 차량이 턴시그널을 표시하고 주행차로를 변경하도록 상기 차량을 제어하는 차량의 주행 보조장치.
  13.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미리 설정된 속도보다 낮은 속도로 상기 차량이 주행하고,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상기 탑승자의 시선이 상기 차량의 사이드미러를 향하는 것으로 판단하는 경우, 상기 차량이 턴시그널을 표시하고 주행차로를 변경하도록 상기 차량을 제어하는 차량의 주행 보조장치.
  14. 하나 이상의 센서를 이용하여 탑승자의 시선에 관한 정보를 획득하는 과정;
    상기 탑승자의 시선에 관한 정보를 기초로 상기 탑승자의 시선방향을 결정하는 과정;
    상기 시선방향에 관한 정보를 기초로 차량의 주행정보를 출력하는 과정; 및
    상기 시선방향에 관한 정보를 기초로 상기 차량을 제어하는 과정
    을 포함하는 차량의 주행 보조방법.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탑승자의 시선에 관한 정보를 획득하는 과정은,
    상기 차량의 전방을 향하는 상기 탑승자의 시선을 감지하는 과정;
    상기 차량의 사이드미러를 향하는 상기 탑승자의 시선을 감지하는 과정; 및
    상기 차량의 주행정보가 표시되는 출력부를 향하는 상기 탑승자의 시선을 감지하는 과정
    을 포함하는 차량의 주행 보조방법.
  16.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주행정보를 출력하는 과정은,
    상기 차량과 분리되도록 구성되는 단말기를 이용하여 상기 차량의 주행정보를 출력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차량의 주행 보조방법.
  17.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탑승자의 시선방향을 기초로, 상기 차량의 주행정보를 표시할 디스플레이를 결정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차량의 주행 보조방법.
  18.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을 제어하는 과정은,
    미리 설정된 거리 이내에 좌회전 또는 우회전 경로가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상기 탑승자의 시선이 상기 차량의 사이드미러를 향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 및
    상기 차량이 턴시그널을 표시하고 주행차로를 변경하도록 상기 차량을 제어하는 과정
    을 포함하는 차량의 주행 보조방법.
  19.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을 제어하는 과정은,
    미리 설정된 속도보다 낮은 속도로 차량이 주행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상기 탑승자의 시선이 상기 차량의 사이드미러를 향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 및
    상기 차량이 턴시그널을 표시하고 주행차로를 변경하도록 상기 차량을 제어하는 과정
    을 포함하는 차량의 주행 보조방법.
KR1020210136971A 2021-10-14 2021-10-14 차량의 주행 보조장치 및 보조방법 KR2023005345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36971A KR20230053451A (ko) 2021-10-14 2021-10-14 차량의 주행 보조장치 및 보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36971A KR20230053451A (ko) 2021-10-14 2021-10-14 차량의 주행 보조장치 및 보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53451A true KR20230053451A (ko) 2023-04-21

Family

ID=860985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36971A KR20230053451A (ko) 2021-10-14 2021-10-14 차량의 주행 보조장치 및 보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53451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216220B (zh) 基于边界的车辆碰撞控制的设备和方法
KR102485354B1 (ko) 차량의 차로 변경 제어 장치, 그를 포함한 시스템 및 그 방법
US9283963B2 (en) Method for operating a driver assist system of an automobile providing a recommendation relating to a passing maneuver, and an automobile
CN108128249B (zh) 用于改变外侧后视摄像头的视野的系统和方法
EP2168815B1 (en) Method and device for detecting possibly colliding objects in a blind spot area
US20160137127A1 (en) Road sign information display system and method in vehicle
US20160167579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avoiding collision
US11158190B2 (en) Recommended driving output device, recommended driving output method and recommended driving output system
EP3207494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traffic sign validation
US10640035B2 (en) Out-of-vehicle notification device
CN110015247B (zh) 显示控制装置和显示控制方法
KR20190038077A (ko) 차선 유지 제어장치 및 제어방법
JP6307853B2 (ja) 車線変更支援装置
KR20200036351A (ko) 차량 제어 장치, 그를 포함한 시스템 및 그 방법
JP6891926B2 (ja) 車両システム、車両システムで実行される方法、および運転者支援システム
CN111189464B (zh) 自动驾驶装置以及导航装置
US20170080857A1 (en) Tactical Threat Assessor for a Vehicle
KR102092913B1 (ko) 주행차로 안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230053451A (ko) 차량의 주행 보조장치 및 보조방법
KR20210014253A (ko) 군집 주행 제어 장치, 그를 포함한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616203B1 (ko) 차량 후측방 경보 제어장치 및 방법
US20220161805A1 (en) Vehicle controller and method thereof
JP2018136713A (ja) ドライバの視界推定装置及び車両用制御装置
CN111273652A (zh) 自动驾驶装置
US20230174057A1 (en) Method, apparatus, storage medium, and vehicle for preventing blind spot collis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