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50662A - 전원 스위치 회로 - Google Patents
전원 스위치 회로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30050662A KR20230050662A KR1020210133791A KR20210133791A KR20230050662A KR 20230050662 A KR20230050662 A KR 20230050662A KR 1020210133791 A KR1020210133791 A KR 1020210133791A KR 20210133791 A KR20210133791 A KR 20210133791A KR 20230050662 A KR20230050662 A KR 20230050662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voltage
- power
- control voltage
- switch
- control
- Prior art date
Links
- 230000004044 response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2
- 238000005086 pump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9
- 102100039435 C-X-C motif chemokine 17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38
- 101000889048 Homo sapiens C-X-C motif chemokine 17 Proteins 0.000 description 38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3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8
- 101000806846 Homo sapiens DNA-(apurinic or apyrimidinic site) endonuclease Proteins 0.000 description 14
- 101000835083 Homo sapiens Tissue factor pathway inhibitor 2 Proteins 0.000 description 14
- 102100026134 Tissue factor pathway inhibitor 2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14
- 101100343605 Arabidopsis thaliana LOG1 gene Proteins 0.000 description 13
- 101100219315 Arabidopsis thaliana CYP83A1 gene Proteins 0.000 description 11
- 101150083341 LOG2 gene Proteins 0.000 description 11
- 101100269674 Mus musculus Alyref2 gene Proteins 0.000 description 11
- 101100140580 Saccharomyces cerevisiae (strain ATCC 204508 / S288c) REF2 gene Proteins 0.000 description 11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9471 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5669 field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774 longterm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017 operat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1/00—Details of amplifiers with only discharge tubes, only semiconductor devices or only unspecified devices as amplifying elements
- H03F1/02—Modifications of amplifiers to raise the efficiency, e.g. gliding Class A stages, use of an auxiliary oscillation
- H03F1/0205—Modifications of amplifiers to raise the efficiency, e.g. gliding Class A stages, use of an auxiliary oscillation in transistor amplifiers
- H03F1/0211—Modifications of amplifiers to raise the efficiency, e.g. gliding Class A stages, use of an auxiliary oscillation in transistor amplifiers with control of the supply voltage or current
- H03F1/0216—Continuous control
- H03F1/0222—Continuous control by using a signal derived from the input signal
-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17/00—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and –breaking
- H03K17/51—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and –breaking characterised by the components used
- H03K17/56—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and –breaking characterised by the components used by the use, as active elements, of semiconductor devices
- H03K17/687—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and –breaking characterised by the components used by the use, as active elements, of semiconductor devices the devices being field-effect transistors
- H03K17/6871—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and –breaking characterised by the components used by the use, as active elements, of semiconductor devices the devices being field-effect transistors the output circuit comprising more than one controlled field-effect transistor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3/00—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 H02M3/02—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 H02M3/04—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 H02M3/06—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resistors or capacitors, e.g. potential divider
- H02M3/07—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resistors or capacitors, e.g. potential divider using capacitors charged and discharged alternately by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e.g. charge pumps
-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1/00—Details of amplifiers with only discharge tubes, only semiconductor devices or only unspecified devices as amplifying elements
- H03F1/02—Modifications of amplifiers to raise the efficiency, e.g. gliding Class A stages, use of an auxiliary oscillation
- H03F1/0205—Modifications of amplifiers to raise the efficiency, e.g. gliding Class A stages, use of an auxiliary oscillation in transistor amplifiers
- H03F1/0211—Modifications of amplifiers to raise the efficiency, e.g. gliding Class A stages, use of an auxiliary oscillation in transistor amplifiers with control of the supply voltage or current
- H03F1/0244—Stepped control
-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3/00—Amplifiers with only discharge tubes or only semiconductor devices as amplifying elements
- H03F3/20—Power amplifiers, e.g. Class B amplifiers, Class C amplifiers
- H03F3/24—Power amplifiers, e.g. Class B amplifiers, Class C amplifiers of transmitter output stages
- H03F3/245—Power amplifiers, e.g. Class B amplifiers, Class C amplifiers of transmitter output stages with semiconductor devices only
-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17/00—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and –breaking
- H03K17/06—Modifications for ensuring a fully conducting state
- H03K17/063—Modifications for ensuring a fully conducting state in field-effect transistor switches
-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220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mplifiers
- H03F2200/102—A non-specified detector of a signal envelope being used in an amplifying circuit
-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220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mplifiers
- H03F2200/249—A switch coupled in the input circuit of an amplifier being controlled by a circuit, e.g. feedback circuitry being controlling the switch
-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220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mplifiers
- H03F2200/252—Multiple switches coupled in the input circuit of an amplifier are controlled by a circuit, e.g. feedback circuitry being controlling the switch
-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220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mplifiers
- H03F2200/451—Indexing scheme relating to amplifiers the amplifier being a radio frequency amplifier
-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2217/00—Indexing scheme related to 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or -breaking covered by H03K17/00
- H03K2217/0081—Power supply means, e.g. to the switch driver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Amplifiers (AREA)
Abstract
전원 스위치 회로가 개시될 수 있다. 전원 스위치 회로는, 제1 전원 전압을 전력 증폭기의 전원 단자로 공급하는 것을 스위칭하는 제1 스위치, 상기 전원 단자의 전압인 제1 전압과 소정의 제1 기준 전압을 비교하여, 상기 제1 전원 전압보다 높은 제1 제어 전압을 생성하는 제어 전압 생성기, 그리고 상기 제1 제어 전압을 이용하여, 상기 제1 스위치를 제어하는 스위칭 구동 신호를 생성하는 스위치 제어기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본 기재는 전원 스위치 회로에 관한 것이다.
무선 통신 규격이 진화함에 따라, 2G, 와이파이(WiFi), 블루투스(Bluetooth), 3G, 4G, 5G 등의 복수의 통신 규격이 하나의 디바이스(예를 들면, 스마트폰)에서 사용되고 있다. 복수의 통신 규격이 하나의 디바이스에 사용됨에 따라, 송신 신호를 출력하는 전력 증폭기(Power Amplifier)도 각 통신 규격마다 사용된다. 즉, 복수의 통신 규격에 맞는 신호를 출력하기 위해, 복수의 통신 규격에 대응하는 복수의 전력 증폭기가 필요할 수 있다.
전력 증폭기는 외부로부터 전원을 공급을 받아 동작하는데, 일반적으로 하나의 전력 증폭기로 전원을 공급하는 별도의 전원(Power Supply) IC(Integrated Circuit)가 사용되었다. 예를 들어, 4개의 전력 증폭기를 동작시키 위해서는 4개의 전원 IC가 사용되고 있다. 복수의 통신 규격 중에서 하나의 통신 규격이 사용될 때 다른 통신 규격이 동시에 사용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4G 통신 규격이 사용되는 시점에는 3G 통신 규격이 사용되지 않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되지 않은 통신 규격에 대응하는 전원 IC가 다른 통신 규격을 위해 효과적으로 사용될 필요가 있다.
실시예들 중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따르면, 적어도 2개의 전원 전압을 스위칭하여 전력 증폭기에 공급하는 전원 스위치 회로를 제공하는 것이다.
실시예들 중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따르면, 전력 증폭기에 안정적으로 전원 전압을 공급하는 전원 스위치 회로를 제공하는 것이다.
한 측면에 따르면, 전원 스위치 회로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전원 스위치 회로는, 제1 전원 전압을 전력 증폭기의 전원 단자로 공급하는 것을 스위칭하는 제1 스위치, 상기 전원 단자의 전압인 제1 전압과 소정의 제1 기준 전압을 비교하여 상기 제1 전원 전압보다 높은 제1 제어 전압을 생성하는 제어 전압 생성기, 그리고 상기 제1 제어 전압을 이용하여, 상기 제1 스위치를 제어하는 스위칭 구동 신호를 생성하는 스위치 제어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원 스위치 회로는 제2 전원 전압을 상기 전원 단자로 공급하는 것을 스위칭하는 제2 스위치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어 전압 생성기는 상기 제1 전압과 소정의 제2 기준 전압을 비교하여 상기 제2 전원 전압보다 높은 제2 제어 전압을 생성할 수 있으며, 상기 스위치 제어기는 상기 제2 제어 전압을 이용하여 상기 제2 스위치를 제어하는 스위칭 구동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제어 전압 생성기는, 상기 제1 전압과 상기 제1 기준 전압을 비교하는 비교기, 상기 비교기의 출력에 대응하여 파형을 생성하는 오실레이터, 그리고 상기 제1 전원 전압과 소정의 제2 전압을 입력 받으며, 상기 파형을 통해 동작하여 상기 제1 제어 전압을 생성하는 전하 펌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제어 전압은 상기 제1 전원 전압과 상기 제2 전압의 합에 해당할 수 있다.
상기 전하 펌프는 상기 제1 전압이 상기 제1 기준 전압이 될 때까지 전하 펌핑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스위치 제어기는, 상기 제1 제어 전압을 입력 받으며 상기 제1 제어 전압을 가지는 상기 스위칭 구동 신호를 생성하는 버퍼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전원 전압은 상기 전력 증폭기로 입력되는 RF(Radio Frequency) 신호의 포락선(envelope)에 따라 변동될 수 있다.
상기 제1 기준 전압은 상기 제1 전원 전압보다 낮은 전압일 수 있으며, 상기 제2 기준 전압은 상기 제2 전원 전압보다 낮은 전압일 수 있다.
다른 측면에 따르면, 전원 스위치 회로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전원 스위치 회로는, 제1 전압을 출력하는 제1 전원 회로와 전력 증폭기의 전원 단자 사이에 연결되는 제1 스위치, 제2 전압을 출력하는 제2 전원 회로와 상기 전원 단자 사이에 연결되는 제2 스위치, 상기 전원 단자의 전압, 상기 제1 전압, 그리고 상기 제2 전압을 이용하여, 상기 제1 전압보다 높은 제1 제어 전압과 상기 제2 전압보다 높은 제2 제어 전압을 생성하는 제어 전압 생성기, 그리고 상기 제1 제어 전압을 이용하여 상기 제1 스위치를 제어하는 제1 스위칭 구동 신호를 생성하며 상기 제2 제어 전압을 이용하여 상기 제2 스위치를 제어하는 제2 스위칭 구동 신호를 생성하는 스위치 제어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 전압 생성기는, 상기 전원 단자의 전압, 상기 제1 전압, 그리고 소정의 제1 기준 전압을 이용하여, 상기 제1 제어 전압을 생성하는 제1 제어 전압 생성기, 그리고 상기 전원 단자의 전압, 상기 제2 전압, 그리고 소정의 제2 기준 전압을 이용하여, 상기 제2 제어 전압을 생성하는 제2 제어 전압 생성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제어 전압 생성기는, 상기 전원 단자의 전압과 상기 제1 기준 전압을 비교하는 제1 비교기, 상기 제1 비교기의 출력에 대응하여 파형을 생성하는 제1 오실레이터, 그리고 상기 제1 전압과 소정의 제3 전압을 입력 받으며, 상기 제1 오실레이터의 출력에 대응하여 동작하여 상기 제1 제어 전압을 생성하는 제1 전하 펌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제어 전압 생성기는, 상기 전원 단자의 전압과 상기 제2 기준 전압을 비교하는 제2 비교기, 상기 제2 비교기의 출력에 대응하여 파형을 생성하는 제2 오실레이터, 그리고 상기 제2 전압과 소정의 제4 전압을 입력 받으며, 상기 제2 오실레이터의 출력에 대응하여 동작하여 상기 제2 제어 전압을 생성하는 제2 전하 펌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제어 전압은 상기 제1 전압과 상기 제3 전압의 합에 해당할 수 있으며, 상기 제2 제어 전압은 상기 제2 전압과 상기 제4 전압의 합에 해당할 수 있다.
상기 제1 전하 펌프는 상기 전원 단자의 전압이 상기 제1 기준 전압이 될 때까지 전하 펌핑 동작을 수행할 수 있으며, 상기 제2 전하 펌프는 상기 전원 단자의 전압이 상기 제2 기준 전압이 될 때까지 전하 펌핑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스위치 제어기는, 상기 제1 제어 전압과 상기 제2 제어 전압을 입력 받으며 상기 제1 제어 전압을 가지는 상기 제1 스위칭 구동 신호와 상기 제2 제어 전압을 가지는 상기 제2 스위칭 구동 신호를 생성하는 버퍼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전압은 상기 전력 증폭기로 입력되는 RF(Radio Frequency) 신호의 포락선(envelope)에 따라 변동될 수 있다.
상기 제1 기준 전압은 상기 제1 전압보다 낮은 전압이며, 상기 제2 기준 전압은 상기 제2 전압보다 낮은 전압일 수 있다.
실시예들 중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따르면, 전원 스위치 회로를 통해 전력 증폭기에 전원 전압을 선택적으로 제공함으로써, 전원 회로의 개수를 줄일 수 있다.
실시예들 중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따르면, 전력 증폭기의 전원 단자에 공급되는 전압을 이용하여 스위치의 제어 전압을 생성함으로써, 전력 증폭기에 안정적으로 전원 전압을 공급할 수 있다.
도 1은 한 실시예에 따른 송신기 시스템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는 한 실시예에 따른 전원 스위치 회로와 전력 증폭기간의 연결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한 실시예에 따른 전원 스위치 회로의 내부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한 실시예에 따른 로직 테이블(logic table)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한 실시예예 따른 제어 전압 생성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a는 한 실시예에 따른 제1 제어 전압 생성기의 내부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6b는 한 실시예에 따른 제2 제어 전압 생성기의 내부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한 실시예에 따른 스위치 회로의 내부 구성 및 스위치 제어기의 내부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한 실시예에 따른 로직 회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도 8의 로직 회로의 입출력 로직 테이블(logic table)을 나타낸다.
도 2는 한 실시예에 따른 전원 스위치 회로와 전력 증폭기간의 연결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한 실시예에 따른 전원 스위치 회로의 내부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한 실시예에 따른 로직 테이블(logic table)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한 실시예예 따른 제어 전압 생성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a는 한 실시예에 따른 제1 제어 전압 생성기의 내부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6b는 한 실시예에 따른 제2 제어 전압 생성기의 내부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한 실시예에 따른 스위치 회로의 내부 구성 및 스위치 제어기의 내부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한 실시예에 따른 로직 회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도 8의 로직 회로의 입출력 로직 테이블(logic table)을 나타낸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커플링(coupling)"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또는 물리적으로 커플링"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또는 비접촉 커플링"되어 있는 경우를 포함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또는 물리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 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또는 비접촉 연결"되어 있는 경우, 또는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RF(Radio Frequency) 신호는 Wi-Fi(IEEE 802.11 패밀리 등), WiMAX(IEEE 802.16 패밀리 등), IEEE 802.20, LTE(long term evolution), Ev-DO, HSPA+, HSDPA+, HSUPA+, EDGE, GSM, GPS, GPRS, CDMA, TDMA, DECT, Bluetooth, 3G, 4G, 5G 및 그 이후의 것으로 지정된 임의의 다른 무선 및 유선 프로토콜들에 따른 형식을 가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은 한 실시예에 따른 송신기 시스템(1000)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한 실시예에 따른 송신기 시스템(1000)은 제1 및 제2 전원 회로(100a, 100b), 제1 및 제2 전원 스위치 회로(200a, 200b), 그리고 제1 내지 제4 전력 증폭기(300a ~ 300d)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서는 하나의 예로서 송신기 시스템(1000)이 4개의 전력 증폭기로 구성되고 이와 관련된 전원 스위치 회로가 2개인 경우를 나타냈지만 전력 증폭기 및 전원 스위치 회로의 개수는 변경될 수 있다.
제1 전원 회로(100a)는 제1 전원 전압(VCC1)을 생성하여 출력한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전원 전압(VCC1)은 제1 전력 증폭기(300a), 제2 전력 증폭기(300b) 또는 제3 전력 증폭기(300c)의 전원 단자에 인가될 수 있다. APT 모드(Average Power Tracking mode)를 지원하기 위해, 제1 전원 전압(VCC1)의 값은 제1 전력 증폭기(300a), 제2 전력 증폭기(300b) 또는 제3 전력 증폭기(300c)로 입력되는 RF 신호의 포락선(envelope)에 따라 변동될 수 있다.
제2 전원 회로(100b)는 제2 전원 전압(VCC2)을 생성하여 출력한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2 전원 전압(VCC2)은 제2 전력 증폭기(300b), 제3 전력 증폭기(300c) 또는 제4 전력 증폭기(300d)의 전원 단자에 인가될 수 있다. APT 모드(Average Power Tracking mode)를 지원하기 위해, 제2 전원 전압(VCC2)의 값은 제2 전력 증폭기(300b), 제3 전력 증폭기(300c) 또는 제4 전력 증폭기(300d)로 입력되는 RF 신호의 포락선(envelope)에 따라 변동될 수 있다.
한편, 제1 및 제2 전원 회로(100a, 100b)는 각각 PM IC(Power Management Integrated Circuit)로 구현될 수 있다.
제1 전원 스위치 회로(200a)는 제1 전원 회로(100a)로부터 제1 전원 전압(VCC1)을 입력 받고 제2 전원 회로(100b)로부터 제2 전원 전압(VCC2)를 입력 받을 수 있다. 제1 전원 스위치 회로(200a)는 입력 받은 제1 및 제2 전원 전압(VCC1, VCC2) 중 하나의 선택하여, 제2 전력 증폭기(300b)의 전원 단자로 출력(공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전력 증폭기(300a)가 동작하지 않는 경우, 제1 전원 스위치 회로(200a)는 제1 전원 전압(VCC1)를 선택하여, 제2 전력 증폭기(300b)의 전원 단자로 출력할 수 있다. 그리고, 제4 전력 증폭기(300d)가 동작하지 않는 경우, 제1 전원 스위치 회로(200a)는 제2 전원 전압(VCC2)를 선택하여, 제2 전력 증폭기(300b)의 전원 단자로 출력할 수 있다.
제2 전원 스위치 회로(200b)는 제1 전원 회로(100a)로부터 제1 전원 전압(VCC1)을 입력 받고 제2 전원 회로(100b)로부터 제2 전원 전압(VCC2)를 입력 받는다. 제2 전원 스위치 회로(200b)는 입력 받은 제1 및 제2 전원 전압(VCC1, VCC2) 중 하나의 선택하여, 제3 전력 증폭기(300c)의 전원 단자로 출력(공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전력 증폭기(300a)가 동작하지 않는 경우, 제2 전원 스위치 회로(200b)는 제1 전원 전압(VCC1)를 선택하여, 제3 전력 증폭기(300c)의 전원 단자로 출력할 수 있다. 그리고, 제4 전력 증폭기(300d)가 동작하지 않는 경우, 제2 전원 스위치 회로(200b)는 제2 전원 전압(VCC2)를 선택하여, 제3 전력 증폭기(300c)의 전원 단자로 출력할 수 있다.
제1 전력 증폭기(300a)는 제1 전원 회로(100a)로부터 제1 전원 전압(VCC1)을 공급받아 동작하며, 입력되는 RF(radio frequency) 신호를 증폭하여 출력한다. 제1 전력 증폭기(300a)의 입력 RF 신호는 제1 통신 규격을 위한 RF 신호일 수 있다.
제2 전력 증폭기(300b)는 제1 전원 스위치 회로(200a)에 의해 선택된 전원 전압(즉, 제1 전원 전압(VCC1) 또는 제2 전원 전압(VCC2))을 공급받아 동작하며, 입력되는 RF 신호를 증폭하여 출력한다. 제2 전력 증폭기(300b)의 입력 RF 신호는 제2 통신 규격을 위한 RF 신호일 수 있다.
제3 전력 증폭기(300c)는 제2 전원 스위치 회로(200b)에 의해 선택된 전원 전압(즉, 제1 전원 전압(VCC1) 또는 제2 전원 전압(VCC2))을 공급받아 동작하며, 입력되는 RF 신호를 증폭하여 출력한다. 제3 전력 증폭기(300c)의 입력 RF 신호는 제3 통신 규격을 위한 RF 신호일 수 있다.
제4 전력 증폭기(300d)는 제2 전원 회로(100b)로부터 제2 전원 전압(VCC2)을 공급받아 동작하며, 입력되는 RF(radio frequency) 신호를 증폭하여 출력한다. 제4 전력 증폭기(300d)의 입력 RF 신호는 제4 통신 규격을 위한 RF 신호일 수 있다.
여기서, 제1 내지 제4 통신 규격은 서로 다른 통신 규격일 수 있으며, 2G, 와이파이(WiFi), 블루투스(Bluetooth), 3G, 4G, 5G 중 어느 하나의 통신 규격일 수 잇다. 한편, 제1 내지 제4 통신 규격은 5G 통신 규격 중 서로 다른 대역을 규정하는 통신 규격일 수 있다.
이와 같은 실시예에 따르면, 전원 스위치 회로를 통해 전원 전압을 공유함으로써, 전원 회로의 개수를 줄일 수 있다. 일반적으로 전력 증폭기가 4개인 경우 4개의 전원 회로가 사용되나, 도 1에서는 전원 스위치 회로를 이용함으로써 전원 회로의 개수를 2개로 줄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제1 및 제2 전원 스위치 회로(200a, 200b)와 같은 전원 스위치 회로의 구체적인 구성 및 동작 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2는 한 실시예에 따른 전원 스위치 회로(200)와 전력 증폭기(300)간의 연결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전원 스위치 회로(200)는 제1 전원 전압(VCC1)과 제2 전원 전압(VCC2)을 입력 받으며, 입력 받은 제1 및 제2 전원 전압(VCC1, VCC2) 중 하나의 전원 전압을 선택하여 전력 증폭기(300)의 전원 단자(T_VCC)로 출력한다. 여기서, 전원 스위치 회로(200)는 도 1의 제1 전원 스위치 회로(200a) 또는 제2 전원 스위치 회로(200b)일 수 있다.
도 1 및 도 2에서, 전원 스위치 회로(200)가 두 개의 전원 전압을 입력 받는 것으로 나타나 있지만 적어도 2개의 전원 전압을 입력 받을 수 있다. 이때, 전원 스위치 회로(200)는 적어도 2개의 전원 전압 중 하나의 전원 전압을 선택할 수 있다.
전력 증폭기(300)는 입력 단자(RFin), 출력 단자(RFout), 그리고 전원 단자(power supply terminal)(T_VCC)를 포함한다. 입력 단자(RFin)에서 RF 신호가 입력되며, 출력 단자(Rout)에서 증폭된 신호가 출력된다. 전원 단자(T_VCC)에는 전원 전압(VCC1 또는 VCC2)이 인가되며, 전력 증폭기(300)는 인가되는 전원 전압(VCC1 또는 VCC2)에 의해 동작된다. 전력 증폭기(300)는 트랜지스터로 구현될 수 있다. 전력 증폭기(300)가 BJT(Bipolar Junction Transistor)로 구현되는 경우, 입력 단자(RFin)는 베이스일 수 있고 전원 단자(T_VCC)는 컬렉터 또는 에미터일 수 있다. 한편, 전력 증폭기(300)가 FET(Field Effect Transistor)로 구현되고는 경우, 입력 단자(RFin)는 게이트일 수 있고 전원 단자(T_VCC)는 드레인 또는 소스일 수 있다.
한편, 도 2의 전원 스위치 회로(200)와 전력 증폭기(300)가 결합되어 하나의 전력 증폭기 모듈로 구현될 수 있다.
도 3은 한 실시예에 따른 전원 스위치 회로(200)의 내부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한 실시예에 따른 전원 스위치 회로(200)는 스위치 회로(210), 스위치 제어기(220), 그리고 제어 전압 생성기(230)를 포함할 수 있다.
스위치 회로(210)는 제1 스위치(SW1)와 제2 스위치(SW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스위치(SW1)는 제1 전원 전압(VCC1)을 전력 증폭기(300)의 전원 단자(T_VCC)로 공급하는 것을 스위칭할 수 있고, 제2 스위치(SW2)는 제2 전원 전압(VCC2)을 전력 증폭기(300)의 전원 단자(T_VCC)로 공급하는 것을 스위칭할 수 있다. 제1 스위치(SW1)는 제1 전원 회로(100a)와 전력 증폭기(300)의 전원 단자(T_VCC) 사이에 연결될 수 있으며, 제2 스위치(SW2)는 제2 전원 회로(100b)와 전력 증폭기(300)의 전원 단자(T_VCC) 사이에 연결될 수 있다. 한편, 도 3에서, 전원 단자(T_VCC)의 전압을 VT로 나타냈으며, 이하에서는 전원 단자(T_VCC)의 전압을 '전원 단자 전압(VT)'이라 한다.
스위치 제어기(220)는 외부로부터 비트 신호(디지털 신호)를 입력 받으며 입력 비트 신호에 대응하여 스위치 회로(210)를 스위칭하는 스위칭 구동 신호(VSW)를 생성할 수 있다. 생성된 스위칭 구동 신호(VSW)는 스위치 회로(210)로 출력된다. 여기서, 하나의 예로서, 외부에서 입력되는 비트 신호는 2bit일 수 있다. 스위칭 구동 신호(VSW)는 제1 스위치(SW1)를 제어하는 제1 스위칭 구동 신호(VSW1)와 제2 스위치(SW2)를 제어하는 제2 스위칭 구동 신호(VSW2)를 포함할 수 있다. 스위치 제어기(220)는 제어 전압 생성기(230)로부터 제1 제어 전압(VC1)을 입력 받으며 제1 제어 전압(VC1)을 이용하여 제1 스위칭 구동 신호(VSW1)를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스위치 제어기(220)는 제어 전압 생성기(230)로부터 제2 제어 전압(VC2)을 입력 받으며 제2 제어 전압(VC2)을 이용하여 제2 스위칭 구동 신호(VSW1)를 생성할 수 있다.
제1 스위칭 구동 신호(VSW1)가 온(ON) 구동 신호이며 제2 스위칭 구동 신호(VSW2)가 오프(OFF) 구동 신호인 경우, 제1 스위치(SW1)는 턴온되며 제2 스위치(SW2)는 턴오프된다. 이에 따라, 제1 전원 전압(VCC1)이 제1 스위치(SW1)를 통해 전력 증폭기(300)의 전원 단자(T_VCC)로 인가된다.
제1 스위칭 구동 신호(VSW1)가 오프(OFF) 구동 신호이며 제2 스위칭 구동 신호(VSW2)가 온(ON) 구동 신호인 경우, 제1 스위치(SW1)는 턴오프되며 제2 스위치(SW2)는 턴온된다. 이에 따라, 제2 전원 전압(VCC2)이 제2 스위치(SW2)를 통해 전력 증폭기(300)의 전원 단자(T_VCC)로 인가된다.
도 4는 한 실시예에 따른 로직 테이블(logic table)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에서, bit1 및 bit2는 스위치 제어기(220)로 입력되는 외부 비트 신호이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외부 비트 신호가 00인 경우 및 11인 경우, 제1 및 제2 스위칭 구동 신호(VSW1, VSW2) 모두 오프(OFF) 구동 신호일 수 있으며, 제1 및 제2 스위치(SW1, SW2)가 모두 오프 상태일 수 있다. 스위치 제어기(220)는 도 4와 같은 로직 테이블을 가지는 로직 회로를 포함할 수 있는데 이는 아래에서 좀 더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어 전압 생성기(230)은 제1 전원 회로(100a)로부터 제1 전원 전압(VCC1)을 입력 받으며 제2 전원 회로(100b)로부터 제2 전원 전압(VCC2)을 입력 받는다. 그리고 제어 전압 생성기(230)는 제1 초과 전압(ΔV1), 제2 초과 전압(ΔV2), 전원 단자 전압(VT), 제1 기준 전압(VREF1), 그리고 제2 기준 전압(VREF1)도 입력 받는다. 제어 전압 생성기(230)는 제1 전원 전압(VCC1), 제1 초과 전압(ΔV1), 전원 단자 전압(VT), 그리고 제1 기준 전압(VREF1)을 이용하여, 제1 제어 전압(VC1)을 생성한다. 제어 전압 생성기(230)는 제2 전원 전압(VCC2), 제2 초과 전압(ΔV2), 전원 단자 전압(VT), 그리고 제2 기준 전압(VREF2)을 이용하여 제2 제어 전압(VC2)을 생성한다. 제어 전압 생성기(230)에서 생성된 제1 및 제2 제어 전압(VC1, VC2)은 스위치 제어기(220)로 입력된다. 제1 제어 전압(VC1)은 제1 스위치(SW1)를 스위칭하기 위한 제어 전압(예를 들면 게이트 전압)일 수 있으며, 제2 제어 전압(VC2)는 제2 스위치(SW2)를 스위칭하기 위한 제어 전압(예를 들면 게이트 전압)일 수 있다.
도 5는 한 실시예예 따른 제어 전압 생성기(230)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어 전압 생성기(230)는 제1 제어 전압 생성기(230a)와 제2 제어 전압 생성기(230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제어 전압 생성기(230a)는 제1 전원 전압(VCC1), 제1 초과 전압(ΔV1), 전원 단자 전압(VT), 그리고 제1 기준 전압(VREF1)을 입력 받으며, 이들을 이용하여 제1 제어 전압(VC1)을 생성한다.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제1 제어 전압 생성기(230a)은 입력 받은 전원 단자 전압(VT)과 제1 기준 전압(VREF1)을 비교하고, 비교 결과에 따라 내부의 전하 펌프(charge pump)를 동작시킴으로써, 제1 제어 전압(VC1)을 생성한다. 여기서, 제1 제어 전압(VC1)은 제1 전원 전압(VCC1)과 제1 초과 전압(ΔV1)의 합(VCC1+ΔV1)일 수 있다. 제1 초과 전압(ΔV1)은 임의로 설정되는 전압이며, 하나의 예로서 3V일 수 있다. 제1 초과 전압(ΔV1)은 LDO(Low Dropout)와 같은 레귤레이터(regulator)로 통해 구현될 수 있다. 제1 기준 전압(VREF1)은 임의로 설정되는 전압이며, 전원 스위치 회로(200)를 통해 전원 단자(T_VCC)에 공급하고자 하는 실제 전압(즉, 제1 스위치(SW1)의 전압 강하(voltage drop) 등을 감안한 전압)일 수 있다. 제1 기준 전압(VREF1)은 제1 전원 전압(VCC1)보다 약간 낮은 전압일 수 있다. 하나의 예로서, 제1 기준 전압(VREF1)은 제1 전원 전압(VCC1)보다 0.2V 낮은 전압(VCC1 - 0.2V)일 수 있다.
제2 제어 전압 생성기(230b)는 제2 전원 전압(VCC2), 제2 초과 전압(ΔV2), 전원 단자 전압(VT), 그리고 제2 기준 전압(VREF2)을 입력 받으며, 이들을 이용하여 제2 제어 전압(VC2)을 생성한다.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제2 제어 전압 생성기(230b)은 입력 받은 전원 단자 전압(VT)과 제2 기준 전압(VREF2)을 비교하고, 비교 결과에 따라 내부의 전하 펌프(charge pump)를 동작시킴으로써, 제2 제어 전압(VC2)을 생성한다. 여기서, 제2 제어 전압(VC2)은 제2 전원 전압(VCC2)과 제2 초과 전압(ΔV2)의 합(VCC2+ΔV2)일 수 있다. 제2 초과 전압(ΔV2)은 임의로 설정되는 전압이며, 하나의 예로서 3V일 수 있다. 제2 초과 전압(ΔV2)도 LDO(Low Dropout)와 같은 레귤레이터(regulator)로 통해 구현될 수 있다. 제2 초과 전압(ΔV2)은 제1 초과 전압(ΔV1)과 동일한 전압일 수 있다. 제2 기준 전압(VREF2)은 임의로 설정되는 전압이며, 전원 스위치 회로(200)를 통해 전원 단자(T_VCC)에 공급하고자 하는 실제 전압(즉, 제2 스위치(SW2)의 전압 강하(voltage drop) 등을 감안한 전압)일 수 있다. 제2 기준 전압(VREF2)은 제2 전원 전압(VCC2)보다 약간 낮은 전압일 수 있다. 하나의 예로서, 제2 기준 전압(VREF2)은 제2 전원 전압(VCC2)보다 0.2V 낮은 전압(VCC2 - 0.2V)일 수 있다.
도 6a는 한 실시예에 따른 제1 제어 전압 생성기(230a)의 내부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6b는 한 실시예에 따른 제2 제어 전압 생성기(230b)의 내부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a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한 실시예에 따른 제1 제어 전압 생성기(230a)는 비교기(231a), 오실레이터(232a), 그리고 전하 펌프(233a)를 포함할 수 있다.
비교기(231a)의 비반전 단자(+)에는 제1 기준 전압(VREF1)이 입력되며 비교기(231a)의 반전 단자(-)에는 전원 단자 전압(VT)이 입력된다. 비교기(231a)는 제1 기준 전압(VREF1)과 전원 단자 전압(VT)을 비교한다. 제1 기준 전압(VREF1)이 전원 단자 전압(VT)보다 높은 경우, 비교기(231a)는 하이(High) 신호를 출력한다. 그리고, 전원 단자 전압(VT)이 제1 기준 전압(VREF1)보다 높은 경우, 비교기(231a)는 로우(Low) 신호를 출력한다. 한편, 제1 스위치(SW1)가 n타입 트랜지스터인 경우, 비교기(231a)는 제1 스위치(SW1)의 인에이블(enable) 신호가 입력될 때, 비교 동작을 시작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스위치(SW1)가 p타입 트랜지스터인 경우, 비교기(231a)는 제1 스위치(SW1)의 디스에이블(disable) 신호가 입력될 때, 비교 동작을 시작할 수 있다.
오실레이터(232a)는 비교기(231a)의 출력을 입력 받으며, 비교기(231a)의 출력에 대응하여 구형파를 생성한다. 비교기(231a)의 출력이 하이(High) 신호인 경우, 오실레이터(232a)는 동작하여 구형파를 생성한다. 그리고 비교기(231a)의 출력이 로우(Low) 신호인 경우, 오실레이터(232a)는 동작하지 않고 구형파를 생성하지 않는다. 즉, 오실레이터(232a)는 전원 단자 전압(VT)이 제1 기준 전압(VREF1)이 될 때까지 동작을 수행하며 구형파를 생성하여 출력한다.
전하 펌프(233a)는 오실레이터(232a)의 출력을 입력 받으며 제1 전원 전압(VCC1) 및 제1 초과 전압(ΔV1)을 입력 받는다. 오실레이터(232a)로부터 구형파가 입력되는 경우, 전하 펌프(233a)는 동작을 수행한다. 이에 따라, 전하 펌프(233a)는 제1 전원 전압(VCC1)과 제1 초과 전압(ΔV1)의 합에 해당하는 전압(VCC1+ΔV1)을 제1 제어 전압(VC1)으로서 출력한다. 다시 말하면, 전하 펌프(233a)는 전원 단자 전압(VT)이 제1 기준 전압(VREF1)이 될 때까지 전하 펌핑 동작을 계속 수행한다. 전하 펌프(233a)가 오실레이터(232a)로부터 입력되는 구형파를 이용하여 제1 제어 전압(VC1)을 생성하는 구체적인 방법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알 수 있는 바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여기서, 제1 제어 전압(VC1)과 제1 전원 전압(VCC1)의 관계는 아래의 수학식 1을 만족할 수 있다.
수학식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제어 전압(VC1)은 제1 전원 전압(VCC1)보다 제1 초과 전압(ΔV1)만큼 높은 전압으로 설정될 수 있다. 제1 제어 전압(VC1)은 제1 스위치(SW1)를 스위칭하는데 사용되는 전압이므로, 제1 스위치(SW1)가 충분히 턴온 또는 턴오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스위치(SW1)가 n타입 트랜지스터로 구현되는 경우, 제1 스위칭 구동 신호(VSW1)의 전압이 제1 전원 전압(VCC1)보다 높게 설정되어야, 제1 스위치(SW1)가 충분히 턴온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스위치(SW1)가 p타입 트랜지스터로 구현되는 경우, 제1 스위칭 구동 신호(VSW1)의 전압이 제1 전원 전압(VCC1)보다 높게 설정되어야, 제1 스위치(SW1)가 충분히 턴오프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실시예에 따른 제1 제어 전압 생성부(230a)는 제1 전원 전압(VCC1)보다 높은 제1 제어 전압(VC1)을 생성하여, 스위치 제어기(220)로 출력한다.
도 6b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한 실시예에 따른 제2 제어 전압 생성기(230b)는 비교기(231b), 오실레이터(232b), 그리고 전하 펌프(233b)를 포함할 수 있다.
비교기(231b)의 비반전 단자(+)에는 제2 기준 전압(VREF2)이 입력되며 비교기(231b)의 반전 단자(-)에는 전원 단자 전압(VT)이 입력된다. 비교기(231b)는 제2 기준 전압(VREF2)과 전원 단자 전압(VT)을 비교한다. 제2 기준 전압(VREF2)이 전원 단자 전압(VT)보다 높은 경우, 비교기(231b)는 하이(High) 신호를 출력한다. 그리고, 전원 단자 전압(VT)이 제2 기준 전압(VREF2)보다 높은 경우, 비교기(231a)는 로우(Low) 신호를 출력한다. 한편, 제2 스위치(SW2)가 n타입 트랜지스터인 경우, 비교기(231b)는 제2 스위치(SW2)의 인에이블(enable) 신호가 입력될 때 비교 동작을 시작할 수 있다. 그리고, 제2 스위치(SW2)가 p타입 트랜지스터인 경우, 비교기(231b)는 제2 스위치(SW2)의 디스에이블(disable) 신호가 입력될 때 비교 동작을 시작할 수 있다.
오실레이터(232b)는 비교기(231b)의 출력을 입력 받으며, 비교기(231b)의 출력에 대응하여 구형파를 생성한다. 비교기(231b)의 출력이 하이(High) 신호인 경우, 오실레이터(232b)는 동작하여 구형파를 생성한다. 그리고 비교기(231a)의 출력이 로우(Low) 신호인 경우, 오실레이터(232b)는 동작하지 않고 구형파를 생성하지 않는다. 즉, 오실레이터(232b)는 전원 단자 전압(VT)이 제2 기준 전압(VREF)이 될 때까지 동작을 수행하며 구형파를 생성하여 출력한다.
전하 펌프(233b)는 오실레이터(232b)의 출력을 입력 받으며 제2 전원 전압(VCC2) 및 제2 초과 전압(ΔV2)을 입력 받는다. 오실레이터(232b)로부터 구형파가 입력되는 경우, 전하 펌프(233b)는 동작을 수행한다. 이에 따라, 전하 펌프(233b)는 제2 전원 전압(VCC2)과 제2 초과 전압(ΔV2)의 합에 해당하는 전압(VCC2+ΔV2)을 제2 제어 전압(VC2)으로서 출력한다. 다시 말하면, 전하 펌프(233b)는 전원 단자 전압(VT)이 제2 기준 전압(VREF2)이 될 때까지 전하 펌핑 동작을 계속 수행한다. 전하 펌프(233b)가 오실레이터(232b)로부터 입력되는 구형파를 이용하여 제2 제어 전압(VC2)을 생성하는 구체적인 방법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알 수 있는 바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여기서, 제2 제어 전압(VC2)과 제2 전원 전압(VCC2)의 관계는 아래의 수학식 2를 만족할 수 있다.
수학식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2 제어 전압(VC2)은 제2 전원 전압(VCC2)보다 제2 초과 전압(ΔV2)만큼 높은 전압으로 설정될 수 있다. 제2 제어 전압(VC2)은 제2 스위치(SW2)를 스위칭하는데 사용되는 전압이므로, 제2 스위치(SW2)가 충분히 턴온 또는 턴오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스위치(SW2)가 n타입 트랜지스터로 구현되는 경우, 제2 스위칭 구동 신호(VSW2)의 전압이 제2 전원 전압(VCC2)보다 높게 설정되어야, 제2 스위치(SW2)가 충분히 턴온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제2 스위치(SW2)가 p타입 트랜지스터로 구현되는 경우, 제2 스위칭 구동 신호(VSW2)의 전압이 제2 전원 전압(VCC1)보다 높게 설정되어야, 제2 스위치(SW2)가 충분히 턴오프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실시예에 따른 제2 제어 전압 생성부(230b)는 제2 전원 전압(VCC2)보다 높은 제2 제어 전압(VC2)을 생성하여, 스위치 제어기(220)로 출력한다.
도 7은 한 실시예에 따른 스위치 회로(210)의 내부 구성 및 스위치 제어기(220)의 내부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위치 제어기(220)는 로직 회로(221) 및 버퍼 회로(222)를 포함할 수 있다.
로직 회로(221)는 외부의 비트 신호(bit1, bit2)을 입력 받으며, 비트 신호(bit1, bit2)에 대응하여 로직 신호(VLOG1, VLOG2)를 생성하여 출력한다. 제1 비트 신호(bit1)와 제1 로직 신호(VLOG1)는 제1 스위치(SW1)를 제어하는데 사용되며, 제2 비트 신호(bit2)와 제2 로직 신호(VLOG2)는 제2 스위치(SW2)를 제어하는데 사용된다.
도 8은 한 실시예에 따른 로직 회로(221)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한 실시예에 따른 로직 회로(221)는 제1 NAND 게이트(810), 제2 NAND 게이트(820), 그리고 제3 NAND 게이트(83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NAND 게이트(810)는 제1 비트 신호(bit1)와 제2 비트 신호(bit2)를 입력 받는다. 제2 NAND 게이트(820)는 제1 비트 신호(bit1)와 제1 NAND 게이트(810)의 출력을 입력 받으며, 제1 로직 신호(VLOG1)를 출력한다. 그리고, 제3 NAND 게이트(830)는 제2 비트 신호(bit2)와 제1 NAND 게이트(810)의 출력을 입력 받으며, 제2 로직 신호(VLOG2)를 출력한다.
도 9는 도 8의 로직 회로(221)의 입출력 로직 테이블(logic table)을 나타낸다.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로직 회로(221)는 두 비트 신호에 대응하여 4개의 상태(state)를 생성하여 출력할 수 있다. 제1 로직 신호(VLOG1)가 1인 경우는 하이(High) 레벨을 의미하는데, 이때는 제1 스위치(SW1)가 턴오프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로직 신호(VLOG1)이 0인 경우는 로우(Low) 레벨을 의미하는데, 이때는 제1 스위치(SW1)가 턴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및 제2 로직 신호(VLOG1, VLOG2)의 하이(High) 레벨에서 제1 및 제2 스위치(SW1, SW2)는 턴오프되고, 제1 및 제2 로직 신호(VLOG1, VLOG2)의 로우(Low) 레벨에서 제1 및 제2 스위치(SW1, SW2)는 턴온된다. 즉, 비트 신호 01에서 제1 로직 신호(VLOG1)가 로우(Low) 레벨이 되므로, 제1 스위치(SW1)가 턴온된다. 그리고 비트 신호 10에서 제2 로직 신호(VLOG2)가 로우(Low) 레벨이 되므로, 제2 스위치(SW2)이 턴온된다. 나머지의 경우에는 제1 및 제2 로직 신호(VLOG1, VLOG2)가 하이(High) 레벨이 되므로, 제1 및 제2 스위치(SW1, SW2)가 모두 턴오프된다.
버퍼 회로(222)는 로직 회로(221)로부터 제1 및 제2 로직 신호(VLOG1, VLOG2)를 입력 받으며, 스위칭 구동 신호(VSW1, VSW2)를 생성하여 출력할 수 있다. 버퍼 회로(222)는 제1 로직 신호(VLOG1)를 제1 스위칭 구동 신호(VSW1)로 변환하며 제2 로직 신호(VLOG2)를 제2 스위칭 구동 신호(VSW2)로 변환한다. 제1 로직 신호(VLOG1)와 제2 로직 신호(VLOG2)는 로직 신호이므로 전류 레벨이 낮다. 이에 따라 버퍼 회로(222)는 제1 로직 신호(VLOG1)와 제2 로직 신호(VLOG2)를 각각 전류 레벨이 높은 제1 스위칭 구동 신호(VSW1)와 제2 스위칭 구동 신호(VSW2)로 변환한다. 한편, 버퍼 회로(222)는 전류 레벨 뿐만 아니라 전압 레벨을 높이기 위해 버퍼 뿐만 아니라 레벨 쉬프터 회로(Level Shifter Circuit)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른 버퍼 회로(222)는 제어 전압 생성기(230)로부터 제1 제어 전압(VC1)을 입력 받으며, 제1 제어 전압(VC1)을 이용하여 제1 스위칭 구동 신호(VSW1)를 생성한다. 제1 스위칭 구동 신호(VSW1)가 높은 전압 레벨을 가지는 경우, 제1 스위칭 구동 신호(VSW1)는 제1 제어 전압(VC1)일 수 있다. 그리고 버퍼 회로(222)는 제어 전압 생성기(230)로부터 제2 제어 전압(VC2)을 입력 받으며, 제2 제어 전압(VC2)을 이용하여 제2 스위칭 구동 신호(VSW2)를 생성한다. 제2 스위칭 구동 신호(VSW2)가 높은 전압 레벨을 가지는 경우, 제2 스위칭 구동 신호(VSW2)는 제2 제어 전압(VC2)일 수 있다. 제1 및 제2 스위치(SW1, SW2)가 n타입 트랜지스터로 구현되는 경우, 버퍼 회로(222)는 온(ON) 구동 신호로서, 제1 및 제2 제어 전압(VC1, VC2)을 각각 가지는 제1 및 제2 스위칭 구동 신호(VSW1, VSW2)를 출력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1 및 제2 스위치(SW1, SW2)는 턴온된다. 제1 및 제2 스위치(SW1, SW2)가 p타입 트랜지스터로 구현되는 경우, 버퍼 회로(222)는 오프(OFF) 구동 신호로서, 제1 및 제2 제어 전압(VC1, VC2)을 각각 가지는 제1 및 제2 스위칭 구동 신호(VSW1, VSW2)를 출력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1 및 제2 스위치(SW1, SW2)는 턴오프된다. 버퍼 회로(222)가 제1 및 제2 제어 전압(VC1, VC2)을 이용하여 제1 및 제2 스위칭 구동 신호(VSW1, VSW2)를 생성 방법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알 수 있는 바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위치 회로(210)에서, 제1 및 제2 스위치(SW1, SW2)는 각각 트랜지스터(211, 212)로 구현될 수 있다. 하나의 예로서, 트랜지스터(211)는 n타입 또는 p타입 FET(Field Effect Transistor)로 구현될 수 있고, 제2 트랜지스터(212)도 n타입 또는 p타입 FET로 구현될 수 있다.
트랜지스터(211)의 제1 단자는 제1 전원 회로(100a)에 연결되어 제1 전원 전압(VCC1)을 입력(공급) 받으며, 트랜지스터(211)의 제2 단자는 전원 단자(T_VCC)에 연결된다. 트랜지스터(211)의 제어단자는 버퍼 회로(222)로부터 제1 스위칭 구동 신호(VSW1)를 입력 받는다. 트랜지스터(212)의 제1 단자는 제2 전원 회로(100b)에 연결되어 제2 전원 전압(VCC2)을 입력(공급) 받으며, 트랜지스터(212)의 제2 단자는 전원 단자(T_VCC)에 연결된다. 트랜지스터(212)의 제어단자는 버퍼 회로(222)로부터 제2 스위칭 구동 신호(VSW2)를 입력 받는다.
트랜지스터(211)가 n타입 트랜지스터인 경우, 트랜지스터(211)의 턴온을 위해, 버퍼 회로(220)는 제1 스위칭 구동 신호(VSW1)로서 제1 제어 전압(VC1)을 출력할 수 있다. 그리고 트랜지스터(212)가 n타입 트랜지스터인 경우, 트랜지스터(212)의 턴온을 위해, 버퍼 회로(220)는 제2 스위칭 구동 신호(VSW2)로서 제2 제어 전압(VC2)을 출력할 수 있다. 이를 통해 n타입 트랜지스터(211, 212)가 충분히 온(ON)될 수 있다. n타입 트랜지스터(211, 212)의 제어 전압이 제1 단자의 전압 또는 제2 단자의 전압보다 낮은 경우, n타입 트랜지스터(211, 212)가 턴오프 영역에서 동작하여 온(ON) 저항이 크질 수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제어 전압 생성기(230)는 제1 및 제2 전원 전압(VCC1, VCC2)보다 각각 높은 제1 및 제2 제어 전압(VC1, VC2)을 생성한다. 버퍼 회로(222)는 제1 및 제2 제어 전압(VC1, VC2)을 각각 n타입 트랜지스터(211, 212)의 제어 전압으로써 생성한다. 즉, 제1 제어 전압(VC1)은 n타입 트랜지스터(211)의 온(ON) 제어 전압일 수 있으며, 제2 제어 전압(VC2)은 n타입 트랜지스터(212)의 온(ON) 제어 전압일 수 있다.
트랜지스터(211)가 p타입 트랜지스터인 경우, 트랜지스터(211)의 턴오프를 위해, 버퍼 회로(220)는 제1 스위칭 구동 신호(VSW1)로서 제1 제어 전압(VC1)을 출력할 수 있다. 그리고 트랜지스터(212)가 p타입 트랜지스터인 경우, 트랜지스터(212)의 턴오프를 위해, 버퍼 회로(220)는 제2 스위칭 구동 신호(VSW2)로서 제2 제어 전압(VC2)을 출력할 수 있다. 이를 통해 p타입 트랜지스터(211, 212)가 충분히 오프(OFF)될 수 있다. p타입 트랜지스터(211, 212)의 제어 전압이 제1 단자의 전압 또는 제2 단자의 전압보다 낮은 경우, p타입 트랜지스터(211, 212)가 충분히 오프되지 않아 누설 전류가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제어 전압 생성기(230)는 제1 및 제2 전원 전압(VCC1, VCC2)보다 각각 높은 제1 및 제2 제어 전압(VC1, VC2)을 생성한다. 버퍼 회로(222)는 제1 및 제2 제어 전압(VC1, VC2)을 각각 p타입 트랜지스터(211, 212)의 제어 전압으로써 생성한다. 즉, 제1 제어 전압(VC1)은 p타입 트랜지스터(211)의 오프(OFF) 제어 전압일 수 있으며, 제2 제어 전압(VC2)은 p타입 트랜지스터(212)의 오프(OFF) 제어 전압일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000: 송신기 시스템
100a: 제1 전원 회로
100b: 제2 전원 회로
200: 전원 스위치 회로
300: 전력 증폭기
210: 스위치 회로
220: 스위치 제어기
230: 제어 전압 생성기
221: 로직 회로
222: 버퍼 회로
100a: 제1 전원 회로
100b: 제2 전원 회로
200: 전원 스위치 회로
300: 전력 증폭기
210: 스위치 회로
220: 스위치 제어기
230: 제어 전압 생성기
221: 로직 회로
222: 버퍼 회로
Claims (17)
- 제1 전원 전압을 전력 증폭기의 전원 단자로 공급하는 것을 스위칭하는 제1 스위치,
상기 전원 단자의 전압인 제1 전압과 소정의 제1 기준 전압을 비교하여, 상기 제1 전원 전압보다 높은 제1 제어 전압을 생성하는 제어 전압 생성기, 그리고
상기 제1 제어 전압을 이용하여, 상기 제1 스위치를 제어하는 스위칭 구동 신호를 생성하는 스위치 제어기를 포함하는 전원 스위치 회로. - 제1항에 있어서,
제2 전원 전압을 상기 전원 단자로 공급하는 것을 스위칭하는 제2 스위치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 전압 생성기는 상기 제1 전압과 소정의 제2 기준 전압을 비교하여, 상기 제2 전원 전압보다 높은 제2 제어 전압을 생성하며,
상기 스위치 제어기는 상기 제2 제어 전압을 이용하여 상기 제2 스위치를 제어하는 스위칭 구동 신호를 생성하는 전원 스위치 회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전압 생성기는,
상기 제1 전압과 상기 제1 기준 전압을 비교하는 비교기,
상기 비교기의 출력에 대응하여 파형을 생성하는 오실레이터, 그리고
상기 제1 전원 전압과 소정의 제2 전압을 입력 받으며, 상기 파형을 통해 동작하여 상기 제1 제어 전압을 생성하는 전하 펌프를 포함하는 전원 스위치 회로.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어 전압은 상기 제1 전원 전압과 상기 제2 전압의 합에 해당하는 전원 스위치 회로.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전하 펌프는 상기 제1 전압이 상기 제1 기준 전압이 될 때까지 전하 펌핑 동작을 수행하는 전원 스위치 회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 제어기는, 상기 제1 제어 전압을 입력 받으며 상기 제1 제어 전압을 가지는 상기 스위칭 구동 신호를 생성하는 버퍼 회로를 포함하는 전원 스위치 회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원 전압은 상기 전력 증폭기로 입력되는 RF(Radio Frequency) 신호의 포락선(envelope)에 따라 변동되는 전원 스위치 회로.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준 전압은 상기 제1 전원 전압보다 낮은 전압이며, 상기 제2 기준 전압은 상기 제2 전원 전압보다 낮은 전압인 전원 스위치 회로. - 제1 전압을 출력하는 제1 전원 회로와 전력 증폭기의 전원 단자 사이에 연결되는 제1 스위치,
제2 전압을 출력하는 제2 전원 회로와 상기 전원 단자 사이에 연결되는 제2 스위치,
상기 전원 단자의 전압, 상기 제1 전압, 그리고 상기 제2 전압을 이용하여, 상기 제1 전압보다 높은 제1 제어 전압과 상기 제2 전압보다 높은 제2 제어 전압을 생성하는 제어 전압 생성기, 그리고
상기 제1 제어 전압을 이용하여 상기 제1 스위치를 제어하는 제1 스위칭 구동 신호를 생성하며 상기 제2 제어 전압을 이용하여 상기 제2 스위치를 제어하는 제2 스위칭 구동 신호를 생성하는 스위치 제어기를 포함하는 전원 스위치 회로.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전압 생성기는,
상기 전원 단자의 전압, 상기 제1 전압, 그리고 소정의 제1 기준 전압을 이용하여, 상기 제1 제어 전압을 생성하는 제1 제어 전압 생성기, 그리고
상기 전원 단자의 전압, 상기 제2 전압, 그리고 소정의 제2 기준 전압을 이용하여, 상기 제2 제어 전압을 생성하는 제2 제어 전압 생성기를 포함하는 전원 스위치 회로.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어 전압 생성기는,
상기 전원 단자의 전압과 상기 제1 기준 전압을 비교하는 제1 비교기,
상기 제1 비교기의 출력에 대응하여 파형을 생성하는 제1 오실레이터, 그리고
상기 제1 전압과 소정의 제3 전압을 입력 받으며, 상기 제1 오실레이터의 출력에 대응하여 동작하여 상기 제1 제어 전압을 생성하는 제1 전하 펌프를 포함하는 전원 스위치 회로.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제어 전압 생성기는,
상기 전원 단자의 전압과 상기 제2 기준 전압을 비교하는 제2 비교기,
상기 제2 비교기의 출력에 대응하여 파형을 생성하는 제2 오실레이터, 그리고
상기 제2 전압과 소정의 제4 전압을 입력 받으며, 상기 제2 오실레이터의 출력에 대응하여 동작하여 상기 제2 제어 전압을 생성하는 제2 전하 펌프를 포함하는 전원 스위치 회로. -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어 전압은 상기 제1 전압과 상기 제3 전압의 합에 해당하며, 상기 제2 제어 전압은 상기 제2 전압과 상기 제4 전압의 합에 해당하는 전원 스위치 회로. -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하 펌프는 상기 전원 단자의 전압이 상기 제1 기준 전압이 될 때까지 전하 펌핑 동작을 수행하며,
상기 제2 전하 펌프는 상기 전원 단자의 전압이 상기 제2 기준 전압이 될 때까지 전하 펌핑 동작을 수행하는 전원 스위치 회로.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 제어기는, 상기 제1 제어 전압과 상기 제2 제어 전압을 입력 받으며, 상기 제1 제어 전압을 가지는 상기 제1 스위칭 구동 신호와 상기 제2 제어 전압을 가지는 상기 제2 스위칭 구동 신호를 생성하는 버퍼 회로를 포함하는 전원 스위치 회로.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전압은 상기 전력 증폭기로 입력되는 RF(Radio Frequency) 신호의 포락선(envelope)에 따라 변동되는 전원 스위치 회로.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준 전압은 상기 제1 전압보다 낮은 전압이며, 상기 제2 기준 전압은 상기 제2 전압보다 낮은 전압인 전원 스위치 회로.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133791A KR20230050662A (ko) | 2021-10-08 | 2021-10-08 | 전원 스위치 회로 |
US17/862,466 US20230109988A1 (en) | 2021-10-08 | 2022-07-12 | Power supply switch circuit |
CN202211048678.8A CN115967387A (zh) | 2021-10-08 | 2022-08-29 | 电源开关电路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133791A KR20230050662A (ko) | 2021-10-08 | 2021-10-08 | 전원 스위치 회로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30050662A true KR20230050662A (ko) | 2023-04-17 |
Family
ID=857986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133791A KR20230050662A (ko) | 2021-10-08 | 2021-10-08 | 전원 스위치 회로 |
Country Status (3)
Country | Link |
---|---|
US (1) | US20230109988A1 (ko) |
KR (1) | KR20230050662A (ko) |
CN (1) | CN115967387A (ko) |
-
2021
- 2021-10-08 KR KR1020210133791A patent/KR20230050662A/ko active Search and Examination
-
2022
- 2022-07-12 US US17/862,466 patent/US20230109988A1/en active Pending
- 2022-08-29 CN CN202211048678.8A patent/CN115967387A/zh active Pend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CN115967387A (zh) | 2023-04-14 |
US20230109988A1 (en) | 2023-04-1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1804827B2 (en) | Validation of current levels delivered by a gate driver | |
US7750504B2 (en) | Power supply apparatus to selectively output one of a plurality of input powers | |
US10715132B2 (en) | Gate driver circuit of power transistor, and motor driver circuit | |
US9917579B2 (en) | Low power consumption diode switch | |
CN110716601B (zh) | 电压控制装置 | |
CN112003595A (zh) | 用于并联的开关晶体管的米勒钳位装置及包括其的驱动器 | |
US10361669B2 (en) | Output circuit | |
KR20230052060A (ko) | 전원 스위치 회로 및 그 동작 방법 | |
US7961013B2 (en) | Inverter circuit | |
KR20230022011A (ko) | 전원 스위치 회로 및 그 동작 방법 | |
KR20230021376A (ko) | 전원 스위치 회로 및 그 동작 방법 | |
KR20230050662A (ko) | 전원 스위치 회로 | |
US6720803B2 (en) | Driver circuit | |
KR20230008581A (ko) | 전원 스위치 회로 및 그 동작 방법 | |
US10541676B2 (en) | Symmetrical dual voltage level input-output circuitry | |
KR20240085759A (ko) | 전원 스위치 회로 및 스위치 구동 회로 | |
US20230011598A1 (en) | Power supply switch circuit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 |
US20240243651A1 (en) | Fail-safe input/output device and voltage switching method | |
CN112511109B (zh) | 功率放大电路以及无线发射设备 | |
US10630287B2 (en) | Radio frequency device and voltage generating circuit thereof | |
KR20240107684A (ko) | 전하 펌프 회로 및 그 동작 방법 | |
US20100219685A1 (en) | Voltage supply circuit | |
US9130451B2 (en) | Circuitry, multi-branch charge pump, method for controlling a charge pump and system | |
KR20230094604A (ko) | Rf 스위치 회로 및 그 동작 방법 | |
JP3633540B2 (ja) | 降圧コンバータおよび降圧コンバータのfet駆動方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