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49980A - 약물유출 방지기구 - Google Patents

약물유출 방지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49980A
KR20230049980A KR1020210133145A KR20210133145A KR20230049980A KR 20230049980 A KR20230049980 A KR 20230049980A KR 1020210133145 A KR1020210133145 A KR 1020210133145A KR 20210133145 A KR20210133145 A KR 20210133145A KR 20230049980 A KR20230049980 A KR 202300499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akage prevention
drug leakage
patient
opening
dru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331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명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유로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유로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유로올
Priority to KR10202101331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49980A/ko
Priority to PCT/KR2021/014512 priority patent/WO2023058805A1/ko
Priority to JP2021565045A priority patent/JP2023548984A/ja
Priority to EP21791242.7A priority patent/EP4282380A1/en
Priority to US17/594,903 priority patent/US20230111472A1/en
Priority to CN202180003212.3A priority patent/CN114302757A/zh
Publication of KR202300499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4998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004Closure means for urethra or rectum, i.e. anti-incontinence devices or support slings against pelvic prolapse
    • A61F2/0009Closure means for urethra or rectum, i.e. anti-incontinence devices or support slings against pelvic prolapse placed in or outside the body opening close to the surface of the bod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017Catheters; Hollow probes specially adapted for long-term hygiene care, e.g. urethral or indwelling catheters to prevent infec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1Introducing, guiding, advancing, emplacing or holding catheters
    • A61M25/02Holding devices, e.g. on the bod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043Catheters; Hollow probe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 A61M2025/0057Catheters delivering medicament other than through a conventional lumen, e.g. porous walls or hydrogel coatin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1Introducing, guiding, advancing, emplacing or holding catheters
    • A61M25/02Holding devices, e.g. on the body
    • A61M2025/0206Holding devices, e.g. on the body where the catheter is secured by using devices worn by the patient, e.g. belts or harnes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02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materials
    • A61M2205/0216Materials providing elastic properties, e.g. for facilitating deformation and avoid break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esthesiology (AREA)
  • Hemat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Biophysics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Cardiolog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Transplantation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Infusion, Injection, And Reservoir Apparatuses (AREA)

Abstract

약물유출 방지기구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약물유출 방지기구는, 환자의 음경이 삽입되는 약물유출 방지기구이며, 상기 약물유출 방지기구는, 상기 환자의 귀두가 위치하는 부분에서 연장되어 형성되는 개구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약물유출 방지기구{DRUG OUTFLOW PREVENTING DEVICE}
본 발명은 약물유출 방지기구에 관한 것이다.
요도협착증은 염증이나 부상 등으로 요도 점막에 생긴 상처가 회복되는 과정에서 흉터 등이 생겨 요도가 좁아져 불편함을 느끼는 증상이다. 환자 음경의 요도 내부에 협착이 발생하여 요도 내부가 좁아지게 된다. 요도협착 환자의 경우 주로 내시경으로 협착된 요도를 넓혀 주는 수술을 시행하고 있다.
한편, 요도협착증에 대한 치료의 가장 큰 문제점은 수술 후 섬유화 반응으로 인한 재발률이 50~70% 이르는 것이다. 따라서, 수술 후 재협착에 의한 재발을 억제하기 위해 다양한 고가의 협착 예방 약물들이 사용되고 있다.
그런데, 협착의 재발을 막기 위한 약물의 투여 방법은 카테터나 도뇨관 옆으로 약물을 투여하고, 거즈를 도뇨관 등에 묶어 체외로 유출되는 것을 막는 원시적인 방법을 사용하고 있다.
그러므로, 요도협착증 치료를 위해서는 고가의 약물을 수차례 반복적으로 투여해야 한다. 이에 따라, 고가의 약물의 낭비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요도 내 약물이 체외로 유출되지 않도록 도뇨관을 복부에 고정하여 환자가 하루 동안 움직이지 않아야 하는 문제가 있고, 거즈를 도뇨관에 묶는 원시적인 방법에 따른 환자의 불편함이 발생하고 있다.
한국 등록특허 10-1140368호 (2012.04.19. 등록) 일본 등록실용신안 3212123호 (2017.08.02. 등록) 한국 공개실용신안 20-2019-0002340호 (2019.09.20. 공개)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귀두요도 부위를 효과적으로 밀폐하여 약물의 유출을 방지할 수 있는 약물유출 방지기구를 제공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약물유출 방지기구는, 환자의 음경이 삽입되는 약물유출 방지기구이며, 상기 약물유출 방지기구는, 상기 환자의 귀두가 위치하는 부분에서 연장되어 형성되는 개구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개구부는, 상기 환자의 귀두가 위치하는 부분에서 연장되는 일단의 내경이 타단의 내경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개구부는, 내부의 중공으로 돌출되는 돌기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돌기는, 상기 환자의 귀두가 위치하는 부분에 더 근접하여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돌기는, 상기 환자의 요도 측으로 기울어져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약물유출 방지기구는, 상기 환자의 귀두가 위치하는 부분 및 상기 개구부에 겔(gel) 성분으로 도포될 수 있다.
또한, 겔(gel) 성분으로 형성되는 겔폼을 더 포함하며, 상기 겔폼은, 상기 환자의 요도에 삽입되는 의료기기가 관통하는 관통홀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약물유출 방지기구는, 상기 환자의 귀두가 위치하는 부분 및 상기 개구부의 반대편 말단의 두께가 더 두껍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약물유출 방지기구는, 상기 개구부의 두께가 상기 환자의 음경이 삽입되는 부분의 두께보다 3배 이상 더 두껍게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타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카테터, 도뇨관 등을 삽입한 환자의 요도 부위 주위로 약물이 새어나오지 않는 높은 밀폐력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기구 적용시의 불편감을 완화하면서 외성기에 고정이 잘 되도록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약물유출 방지기구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약물유출 방지기구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약물유출 방지기구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약물유출 방지기구의 단면도이다.
도 5는 약물유출 방지기구의 개구부의 돌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귀두면이 위치하는 영역에 겔 성분이 도포된 약물유출 방지기구의 단면도이다.
도 7은 귀두면이 위치하는 영역 및 개구부에 겔 성분이 도포된 약물유출 방지기구의 단면도이다.
도 8은 카테터가 삽입되어 있는 겔폼의 사시도이다.
도 9는 관통홀을 구비한 겔폼의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약물유출 방지기구의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소자, 구성요소 및/또는 섹션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소자, 구성요소 및/또는 섹션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소자, 구성요소 또는 섹션들을 다른 소자, 구성요소 또는 섹션들과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소자, 제1 구성요소 또는 제1 섹션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소자, 제2 구성요소 또는 제2 섹션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이루어지다(made of)"는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에 따라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약물유출 방지기구의 단면도이다. 또한,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약물유출 방지기구의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약물유출 방지기구(10)는 일측이 개방되어 환자의 음경이 삽입된다. 그리고, 개방된 일측의 반대편인 환자의 귀두가 위치하는 부분에서 연장되어 형성되는 개구부(13)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약물유출 방지기구(10)는 3 부분으로 구분될 수 있다. 환자의 음경이 삽입되는 본체부(11), 상기 본체부(11)와 개구부(13)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부(12), 상기 연결부(12)에서 연장 형성되는 개구부(13)이다. 환자의 외성기 부분은 본체부(11)와 연결부(12)에 위치하게 된다.
본체부(11)는 환자의 외성기의 대부분이 위치하는 곳으로, 일측이 개방되며, 원통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본체부(11)는 개구부(13)에 비해 길이는 길고, 내부의 단면 직경이 크다.
연결부(12)는 귀두를 감싸는 부분으로, 본체부(11)와 개구부(13) 사이를 연결하도록 볼록한 형상이나 보울 형상 등을 가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연결부(12)는 귀두의 형상에 맞게 적절히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귀두에 착용할 때 착용이 쉬우면서 귀두에 밀착이 잘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연결부(12)의 두께는 본체부(11)와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개구부(13)는 연결부(12)에서 연장되어 형성되며, 카테터나 도뇨관 등을 삽입하여 안내하는 가이드홀의 역할을 수행한다. 즉, 개구부(13)는 환자의 귀두가 위치하는 부분에서 연장되어 형성된다.
이러한 개구부(13)에 카테터나 도뇨관 등을 삽입하면, 개구부(13)의 탄력성에 의해 카테터나 도뇨관에 밀착되어 고정된다.
이때, 카테터 등 의료기기의 삽입은 가능하면서 밀착되어 고정되는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하여, 개구부(13)는 요도 측의 내부 직경이 말단 부분의 내부 직경보다 더 작게 형성될 수 있고, 개구부(13)의 두께가 본체부(11)의 두께보다 더 두껍게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개구부(13)의 두께가 본체부(11)의 두께보다 3배 더 두껍게 형성된 것을 도시하였으며, 바람직하게는 3배 이상 두껍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카테터 등 환자의 요도에 삽입되는 의료기기의 삽입을 용이하게 하며, 환자의 요도에 삽입되는 의료기기의 밀착 특성을 향상시키면서 지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약물유출 방지기구(10)는 실리콘, 고무, 라텍스 또는 우레탄 중 적어도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탄력성과 내구성이 우수하여 설치 및 사용 상의 편의성을 높일 수 있다. 즉, 실리콘, 고무, 라텍스, 우레탄 등의 탄성 재료에 의해 약물유출 방지기구(10)가 형성되어 소프트한 감촉과 음경의 확장 및 수축 시에 여유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약물유출 방지기구(10)는 사용 전에 말아져 있을 수 있고, 이는 사용 전에 약물유출 방지기구(10)의 손상이나 훼손을 방지하고, 약물유출 방지기구(10)의 크기를 축소하기 위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약물유출 방지기구의 단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제2 실시예에 따른 약물유출 방지기구(20)는 제1 실시에에 따른 약물유출 방지기구(10)와 개구부(23)의 형상이 변경되며, 다른 구조는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도 3에서, 개구부(23)는 요도 측으로 갈수록 그 내부 공간의 단면 직경이 줄어들고 있다. 구체적으로, 개구부(23)가 경사져 형성될 수 있다. 카테터를 요도 측으로 삽입시킬 경우, 개구부(23)의 내부 공간 직경이 점점 줄어들어 카테터의 삽입이 용이하고, 개구부(23)와 연결부(22)가 만나서 생기는 구멍이 좁아져 카테터의 외주면을 따라 약물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줄일 수 있다.
또한,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개구부(23)의 내부가 단차 구조를 가진 3층, 4층 등 계단식(stepped)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개구부(23)의 입구에서 연결부(22) 측으로 갈수록 그 내부 직경이 커지는 부분이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환자의 귀두가 위치하는 부분에서 연장되는 일단의 내경이 타단의 내경보다 작게 형성되며, 카테터 등 환자의 요도에 삽입되는 의료기기의 밀착 특성을 향상시키면서 요도에 삽입된 약물이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약물유출 방지기구의 단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약물유출 방지기구(30)는 환자의 귀두가 위치하는 부분에서 연장되어 형성되는 개구부(33)를 포함하며, 상기 개구부(33)가 내부의 중공으로 돌출된 부분을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연결부(32)에서 이어지는 개구부(33)에 입구턱(33a)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입구턱(33a)에 의해 귀두와 만나는 가장 안쪽의 내경을 작게 하여 카테터 등 의료기기의 삽입이 가능하면서 삽입된 카테터 등의 의료기기와 밀착되어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개구부(33)의 내부 중공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돌기(33b)를 형성할 수 있으며, 상기 돌기(33b)에 의해 약물이 밖으로 유출되는 것을 최대한 억제할 수 있다. 도 4에서, 가로로 자른 단면을 기준으로, 하나의 돌기(33b)가 내부 중공의 일부 영역에만 형성될 수도 있고, 전체 영역에 형성되어 링 형상과 같이 될 수 있다. 링 형상과 같이 돌기(33b)가 형성된 경우, 약물 유출 방지 효과가 더욱 높아지고, 카테터 등의 삽입된 의료기기의 미끄럼을 방지할 수 있는 내부 링과 같은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돌기(33b)는 환자의 귀두가 위치하는 부분에 더 근접하여 형성될 수 있다. 개구부(33)는 카테터 등 의료기기의 요도 삽입을 가이드하므로, 의료기기의 첨단이 개구부(33)에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도 4에서, 약물유출 방지기구(30)는 환자의 귀두가 위치하는 부분 및 개구부의 반대편 말단의 두께가 더 두껍게 형성될 수 있다. 즉, 본체부(31)의 말단 부분(31a)이 본체부(31)의 다른 부분보다 더 두껍게 형성될 수 있다.
본체부(31)의 말단 부분이 본체부(31)의 다른 부분보다 더 두껍게 형성됨으로써, 약물유출 방지기구(30)를 용이하게 말고 펼 수 있다. 즉, 본체부(31)를 효과적으로 말고 펼 수 있게 된다.
도 5는 약물유출 방지기구의 개구부의 돌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개구부의 가운데에 위치한 돌기(33b)는 상술하여 설명한 링 형상과 같게 되며, 위에 위치한 돌기 및 아래에 위치한 돌기는 링 형상의 일부가 쪼개진 형상과 같이 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약물 유출 방지 및 미끄럼 방지를 위하여 링 형상의 돌기(33b)를 형성하고, 카테터를 끼우고 빼내는 것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쪼개진 링 형상의 돌기를 형성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돌기(33b)를 적어도 3개 배치하며, 가운데에 위치한 돌기(33b)는 링 형상, 위 및 아래에 위치한 돌기는 쪼개진 링 형상일 수 있다. 특히, 위 및 아래에 위치한 돌기는 반으로 쪼개진 링 형상이며, 서로 대칭적으로 형성되더 위 및 아래에 위치한 돌기를 합치면 링 형상이 될 수 있다.
또한, 돌기(33b)는 환자의 요도 측으로 기울어져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의료기기를 요도로 삽입하기가 용이하며, 삽입된 의료기기가 요도의 바깥쪽으로 움직이는 것을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도 6은 귀두면이 위치하는 영역에 겔 성분이 도포된 약물유출 방지기구의 단면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제3 실시예에 따른 약물유출 방지기구(30)는 연결부(31) 일부 영역에 겔 성분이 도포될 수 있다. 즉, 약물유출 방지기구(30)는 환자의 귀두가 위치하는 부분에 겔(gel) 성분을 도포할 수 있다. 물론, 상술하여 설명한 제1 및 제2 약물유출 방지기구(10, 20)와, 본 발명으로부터 용이하게 변경 가능한 다른 형태의 약물유출 방지기구에도 환자의 귀두가 위치하는 부분에 겔(gel) 성분을 도포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할 것이다.
겔 성분으로 형태를 이룰 수 있으며, 이를 겔폼으로 한다. 즉, 겔폼(100)은 겔로 이루어진 구성이며, 부드러운 실리콘 젤이나 하이드로 젤 형태로 이루어져 약물유출 방지기구 착용시의 불편감을 완화하면서 귀두면에 고정이 잘 되도록 한다. 또한, 겔의 특성으로 카테터나 도뇨관이 삽입된 요도 주위로 약물이 새어 나오지 않도록 높은 밀폐력을 유지할 수 있다.
즉, 겔폼(100)이 감각 및 통증에 민감한 귀두 부위에 적용됨으로써, 요도 입구 주위에 겔폼(100)의 특성에 의한 밀폐력을 유지시켜 약물이 요도에서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한다. 특히, 약간의 점성이 있는 겔폼(100)을 귀두면에 적용함으로써, 통증 및 불편감을 줄이고, 외성기에 우수한 고정력을 줄 수 있다.
도 7은 귀두면이 위치하는 영역 및 개구부에 겔 성분이 도포된 약물유출 방지기구의 단면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제3 실시예에 따른 약물유출 방지기구(30)는 연결부(32) 일부 영역 및 개구부(33)에 겔 성분이 도포될 수 있다. 즉, 환자의 귀두가 위치하는 부분 외에 개구부(33)까지 겔 성분을 도포할 수 있다. 물론, 상술하여 설명한 제1 및 제2 약물유출 방지기구(10, 20)와, 본 발명으로부터 용이하게 변경 가능한 다른 형태의 약물유출 방지기구에도 환자의 귀두가 위치하는 부분 및 개구부에 겔(gel) 성분을 도포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할 것이다.
개구부(33)에 가득 채워진 겔 성분으로 이루어진 겔폼(100)에 의해 완전 밀폐 상태가 유지되어 약물이 유출되는 것을 원천적으로 차단한다.
그리고, 개구부(33)에 위치하는 겔폼(100)은 카테터나 도뇨관이 삽입될 수 있고, 통과된 카테터나 도뇨관은 겔 성분의 특성으로 인해 완전한 밀폐성을 유지할 수 있다.
이때, 개구부(33)가 항상 개방되어 있는 상태가 아니라, 카테터 등 의료기기를 삽입하는 힘에 의해 카테터가 삽입되어 관통홀이 형성되고, 의료기기가 제거되면 겔의 점성에 의해 개구부(33)의 빈 공간이 겔로 채워질 수 있다.
도 8은 카테터가 삽입되어 있는 겔폼의 사시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겔폼(100)은 막대기 모양이 연결된 보울(bowl) 형상일 수 있다.
막대기 모양의 중앙으로 카테터(200)를 삽입하더라도 점성이 있는 겔 성분에 의해 빈 공간이 없이 완전한 밀폐성을 유지하게 된다. 기구의 연결부에 위치하는 겔폼(100)에 의해 귀두에 가해지는 촉감을 환자가 부드럽게 느끼게 되며, 약물유출 방지기구의 착용성이 향상된다.
도 9는 관통홀을 구비한 겔폼의 단면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겔폼은 환자의 요도에 삽입되는 의료기기가 관통하는 관통홀을 구비할 수 있다. 겔 성분의 특성에 의해 관통홀이 카테터 등 의료기기가 삽입된 경우에만 생성될 수도 있으나, 항시 관통홀이 유지될 수도 있다.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겔폼이 항시 관통홀을 구비하는 경우, 약물유출 방지기구의 귀두면이 위치하는 보울(bowl) 형상 부분의 겔폼(102)과 환자의 귀두가 위치하는 부분에서 연장되어 형성되는 개구부에 위치하는 겔폼(101)의 겔 성분이 상이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개구부에 위치하는 겔폼(101)의 겔 성분이 점도가 더 높을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약물유출 방지기구의 단면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약물유출 방지기구(40)는 귀두를 감싸는 연결부(42)를 개구부(43)에서부터 본체부(41)까지 연결되는 각도를 도 4에 도시한 약물유출 방지기구(30)보다 더 넓게 형성함으로써, 귀두에 착용할 때 착용이 쉽고, 밀착이 더 잘 이루어진다.
한편,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상술하여 설명한 약물유출 방지기구들(10, 20, 30, 40)과, 본 발명의 약물유출 방지기구들(10, 20, 30, 40)로부터 용이하게 변경 가능한 다른 형태의 약물유출 방지기구들은 내부에 위치하는 창상피복제(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남성 음경 수술 후, 음경의 특징적인 형태로 인해, 음경 형태에 맞게 피복제를 제단해서 사용해야 하는 불편이 있다. 이러한 불편함을 개선하기 위해, 약물유출 방지기구들(10, 20, 30, 40)의 내부에 미리 창상피복제를 적용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창상피복제는 귀두면에 맞는 부분과 귀두면 아래의 음경부에 맞는 부분으로 이루어져 약물유출 방지기구들(10, 20, 30, 40)의 내부에 장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물유출 방지기구들을 통해, 효과적으로 약물의 유출을 방지할 수 있고, 카테터 등 의료기기의 삽입이 용이하면서 삽입된 카테터의 우수한 고정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 20, 30, 40: 약물유출 방지기구
11, 21, 31, 41: 본체부
12, 22, 32, 42: 연결부
13, 23, 33, 43: 개구부

Claims (9)

  1. 환자의 음경이 삽입되는 약물유출 방지기구이며,
    상기 약물유출 방지기구는,
    상기 환자의 귀두가 위치하는 부분에서 연장되어 형성되는 개구부를 포함하는, 약물유출 방지기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는,
    상기 환자의 귀두가 위치하는 부분에서 연장되는 일단의 내경이 타단의 내경보다 작게 형성되는, 약물유출 방지기구.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는,
    내부의 중공으로 돌출되는 돌기를 구비하는, 약물유출 방지기구.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는,
    상기 환자의 귀두가 위치하는 부분에 더 근접하여 형성되는, 약물유출 방지기구.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는,
    상기 환자의 요도 측으로 기울어져 형성되는, 약물유출 방지기구.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약물유출 방지기구는,
    상기 환자의 귀두가 위치하는 부분 및 상기 개구부에 겔(gel) 성분으로도포되는, 약물유출 방지기구.
  7. 제 1항에 있어서,
    겔(gel) 성분으로 형성되는 겔폼을 더 포함하며,
    싱기 겔폼은, 상기 환자의 요도에 삽입되는 의료기기가 관통하는 관통홀을 구비하는, 약물유출 방지기구.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약물유출 방지기구는,
    상기 환자의 귀두가 위치하는 부분 및 개구부의 반대편 말단의 두께가 더 두껍게 형성되는, 약물유출 방지기구.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약물유출 방지기구는,
    상기 개구부의 두께가 상기 환자의 음경이 삽입되는 부분의 두께보다 3배 이상 더 두껍게 형성되는, 약물유출 방지기구.
KR1020210133145A 2021-10-07 2021-10-07 약물유출 방지기구 KR20230049980A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33145A KR20230049980A (ko) 2021-10-07 2021-10-07 약물유출 방지기구
PCT/KR2021/014512 WO2023058805A1 (ko) 2021-10-07 2021-10-18 약물유출 방지기구
JP2021565045A JP2023548984A (ja) 2021-10-07 2021-10-18 薬剤流出防止具
EP21791242.7A EP4282380A1 (en) 2021-10-07 2021-10-18 Drug leakage prevention device
US17/594,903 US20230111472A1 (en) 2021-10-07 2021-10-18 Drug outflow preventing device
CN202180003212.3A CN114302757A (zh) 2021-10-07 2021-10-18 药物流出防止器具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33145A KR20230049980A (ko) 2021-10-07 2021-10-07 약물유출 방지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49980A true KR20230049980A (ko) 2023-04-14

Family

ID=858044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33145A KR20230049980A (ko) 2021-10-07 2021-10-07 약물유출 방지기구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30049980A (ko)
WO (1) WO2023058805A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0368B1 (ko) 2009-10-12 2012-05-03 박경준 요로 삽입용 콘돔
JP3212123U (ja) 2016-08-03 2017-08-24 文華 王 採尿器と結合するカラー
KR20190002340U (ko) 2018-03-12 2019-09-20 김광수 콘돔형 요도관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65794A (ja) * 1992-05-22 1994-06-14 Sagami Rubber Kogyo Kk 男性用採尿カテーテル陰茎接続部
JP4888034B2 (ja) * 2006-10-13 2012-02-29 ジェクス株式会社 ゼリー剤およびコンドーム
KR100982107B1 (ko) * 2008-07-07 2010-09-13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카테터 고정장치
KR101535899B1 (ko) * 2015-02-02 2015-07-13 (주)지온메드 의료용 튜브 고정구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0368B1 (ko) 2009-10-12 2012-05-03 박경준 요로 삽입용 콘돔
JP3212123U (ja) 2016-08-03 2017-08-24 文華 王 採尿器と結合するカラー
KR20190002340U (ko) 2018-03-12 2019-09-20 김광수 콘돔형 요도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058805A1 (ko) 2023-04-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090424A (en) Conformable urethral plug
JPWO2019049955A1 (ja) 尿道カテーテル
US11737860B2 (en) Device for controlling fecal incontinence
US5769091A (en) Urethral plug having adhesive for enhanced sealing capabilities and method of using said plug
US10206768B2 (en) Method for treating male urinary incontinence and a controllable urethral clamp
KR101837303B1 (ko) 도뇨장치
KR20230049980A (ko) 약물유출 방지기구
US6904914B2 (en) Penisster system
KR101766722B1 (ko) 요도카테터 고정장치
US20230111472A1 (en) Drug outflow preventing device
US11045296B1 (en) Device for managing male urinary incontinence and reducing erectile dysfunction
KR100950622B1 (ko) 성기능 장애 극복을 위한 음경 보형물
KR102558557B1 (ko) 콘돔형 약물유출 방지기구
WO2005082303A1 (ja) 埋め込み式人工耳管
CN109688987B (zh) 勃起功能障碍患者用安全套
JPH02255155A (ja) 外尿道口固定式膀胱留置カテーテル
US20220409853A1 (en) Indwelling "Foley" Catheter Cap
KR20120128911A (ko) 요도삽입장치 보조 기구
Wilson et al. Penile implants
Luikenaar et al. Vaginal Dilators and Dilating after Vaginoplasty
Dingwall Promoting social continence using incontinence management products
KR20220013042A (ko) 약물 및 소변누출 방지용 요도마개
KR100875082B1 (ko) 음경 보조기구
KR970000941Y1 (ko) 의료용 요도 개폐기
US9199060B1 (en) Non-bladder invasive urethral catheter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