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37303B1 - 도뇨장치 - Google Patents

도뇨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37303B1
KR101837303B1 KR1020160150991A KR20160150991A KR101837303B1 KR 101837303 B1 KR101837303 B1 KR 101837303B1 KR 1020160150991 A KR1020160150991 A KR 1020160150991A KR 20160150991 A KR20160150991 A KR 20160150991A KR 101837303 B1 KR101837303 B1 KR 1018373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ubrication
urine
lubricating
present
pati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509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돈경
Original Assignee
최돈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돈경 filed Critical 최돈경
Priority to KR10201601509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3730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373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373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067Catheters; Hollow probes characterised by the distal end, e.g. tips
    • A61M25/0068Static characteristics of the catheter tip, e.g. shape, atraumatic tip, curved tip or tip structure
    • A61M1/008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00Suction or pumping devices for medical purposes; Devices for carrying-off, for treatment of, or for carrying-over, body-liquids; Drainage systems
    • A61M1/84Drainage tubes; Aspiration ti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017Catheters; Hollow probes specially adapted for long-term hygiene care, e.g. urethral or indwelling catheters to prevent infec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067Catheters; Hollow probes characterised by the distal end, e.g. tips
    • A61M25/0068Static characteristics of the catheter tip, e.g. shape, atraumatic tip, curved tip or tip structure
    • A61M25/007Side holes, e.g. their profiles or arrangements; Provisions to keep side holes unblocke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1Introducing, guiding, advancing, emplacing or holding catheters
    • A61M25/02Holding devices, e.g. on the body
    • A61M25/04Holding devices, e.g. on the body in the body, e.g. expansib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9/00Dilators with or without means for introducing media, e.g. remedies
    • A61M29/02Dilators made of swellable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021Catheters; Hollow probes characterised by the form of the tubing
    • A61M25/0023Catheters; Hollow probes characterised by the form of the tubing by the form of the lumen, e.g. cross-section, variable diameter
    • A61M2025/0024Expandable catheters or sheath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043Catheters; Hollow probe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 A61M25/0045Catheters; Hollow probe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multi-layered, e.g. coated
    • A61M2025/0046Coatings for improving slidabilit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043Catheters; Hollow probe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 A61M2025/0062Catheters; Hollow probe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having features to improve the sliding of one part within another by using lubricants or surfaces with low fric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2/00Special media to be introduced, removed or treated
    • A61M2202/04Liquids
    • A61M2202/0468Liquids non-physiological
    • A61M2202/048Anaesthe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10/00Anatomical parts of the body
    • A61M2210/10Trunk
    • A61M2210/1078Urinary tract
    • A61M2210/1085Bladde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Hemat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Anesthes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lmonology (AREA)
  • Biophysics (AREA)
  • Epidemiology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Surgery (AREA)
  • Media Introduction/Drainage Providing Device (AREA)
  • External Artificial Org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소변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도뇨부, 상기 도뇨부에 결합되는 팽축부, 및 요도와의 마찰을 감소시키고 요도 내부를 습윤하게 유지시키는 윤활부를 포함하는 도뇨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르면 환자가 장기간 도뇨장치를 착용하더라도 도뇨장치와 맞닿아 있는 요도벽에 대한 자극을 감소시켜 의사, 간호사 및 환자에게 용이성과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도뇨장치{urine drainage catheter}
본 발명은 방광 내의 소변 배출을 위한 도뇨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뇨장치는 방광이나 요도에 질환이 있어 자가 소변 배출이 어려운 환자를 돕기 위해 이용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도뇨장치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1을 참고하면, 종래 기술에 따른 도뇨장치(100)는 도뇨부(110) 및 팽축부(120)를 포함한다.
상기 도뇨부(110)는 방광 내의 소변을 외부로 배출시킨다. 상기 도뇨부(110)는 관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도뇨부(110)는 관 내부에 형성된 뇨 통로(111)을 포함한다. 소변은 상기 뇨 통로(111)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상기 팽축부(120)는 요도에 삽입된 상기 도뇨부(110)가 환자의 움직임이나 갑작스런 충격으로 인해 임의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팽축부(120)는, 상기 도뇨부(110)의 외부에 결합된다. 상기 팽축부(120)는 유체의 유출입에 따라 팽창과 수축이 가능한 팽축부재(121)를 포함한다. 상기 도뇨장치(100)가 요도를 통해 삽입되어 상기 팽축부재(121)가 방광 내에 위치하면, 상기 팽축부재(121)는 공기 등의 유체가 주입되어 팽창한다. 팽창 후에는, 상기 팽축부재(121)는 요도의 직경보다 더 큰 직경을 가지게 되어 상기 도뇨부(110)의 이탈을 방지한다. 소변 배출 등의 소기의 목적을 달성하면, 상기 팽축부재(121)는 공기의 배출에 따라 수축되어 원래의 직경으로 복원된다. 상기 팽축부재(121)가 수축된 후에, 상기 도뇨장치(100)는 요도에서 제거될 수 있다.
이렇듯 종래 기술에 따른 도뇨장치(100)를 이용한다면 환자의 방광에 저류된 소변을 배출시킬 수 있다는 소기의 목적은 달성 가능하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 따른 도뇨장치(100)는 장기간 요도 내 삽입을 유지했을 시 요도 내부를 건조하게 만들어 심각한 부작용을 유발할 수 있다. 예컨대, 종래 기술에 따른 도뇨장치(100)는 요도 점막을 자극하여 손상시킬 뿐만 아니라, 요도 통증, 심한 이물감 및 소변의 유출감 등과 같은 부작용을 유발 할 수 있다. 심한 경우, 종래 기술에 따른 도뇨장치(100)는 요도 내부의 피부를 변질시켜 요도 협착을 발생시킬 가능성이 있다. 뿐만 아니라 종래 기술에 따른 도뇨장치(100)는 환자로부터 제거된 후에도 환자가 자가로 소변 배출을 시도할 때 환자에게 심한 작열감을 유발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부작용 발생을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환자에게 가해지는 고통과 불편함을 경감시킬 수 있는 도뇨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도뇨장치는 소변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도뇨부; 상기 도뇨부에 결합되는 팽축부; 및 상기 팽축부에 결합되는 윤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윤활부는 윤활액을 수용하기 위한 수용홈; 상기 수용홈이 형성된 윤활본체; 및 상기 윤활액이 상기 수용홈으로부터 상기 윤활본체의 외부로 이동하도록 상기 윤활본체를 관통하여 형성된 배출공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환자의 소변 배출을 도울 수 있으면서도 환자의 요도에 대한 자극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구현됨으로써, 환자에게 가해지는 고통과 불편을 경감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요도 내부의 습기를 유지시킬 수 있도록 구현됨으로써, 요도 내부의 환경이 건조해짐에 따라 요도협착 또는 작열감 등의 부작용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도뇨장치의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도뇨장치의 개략적인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도뇨장치를 도 2의 I-I 선을 기준으로 나타낸 개략적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도뇨장치를 도 2의 Ⅱ-Ⅱ 선을 기준으로 나타낸 개략적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도뇨장치가 요도에 삽입된 상태를 도 4의 Ⅲ 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낸 개략적인 단면도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에 따른 도뇨장치에 있어서 윤활본체에 형성된 배출공의 실시예를 나타낸 개략적인 측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도뇨장치에 있어서 윤활부재 및 연결부재의 개략적인 측면도
도 8a는 본 발명에 따른 도뇨장치가 팽축부재 팽창 시 요도에 삽입된 상태를 나타낸 개략적인 개념도
도 8b는 본 발명에 따른 도뇨장치가 팽축부재 수축 시 요도에서 이탈된 상태를 나타낸 개략적인 측면도
도 9a는 본 발명에 따른 도뇨장치에 있어서 조절부의 개략적인 사시도
도 9b는 본 발명에 따른 도뇨장치에 있어서 조절부를 도 9a의 Ⅳ-Ⅳ 선을 기준으로 나타낸 개략적인 단면도
도 10a는 본 발명에 따른 도뇨장치에 있어서 윤활부가 조절부와 결합된 채 요도에 삽입된 상태를 나타낸 개략적인 측면도
도 10b 및 도 10c는 본 발명에 따른 도뇨장치에 있어서 윤활부가 조절부와 결합된 채 요도에 삽입된 상태를 도 10a의 Ⅴ-Ⅴ 선을 기준으로 나타낸 개략적인 단면도
도 11a는 본 발명에 따른 도뇨장치에 있어서 조절부가 윤활본체와 측면에서 결합되기 전에 변형된 모습을 Ⅵ-Ⅵ 선이 포함된 평면을 기준으로 나타낸 개략적인 단면도
도 11b는 본 발명에 따른 도뇨장치에 있어서 조절부가 윤활본체와 측면에서 결합된 후의 모습을 Ⅵ-Ⅵ 선을 기준으로 나타낸 개략적인 단면도
도 12a 및 도 12b는 본 발명에 따른 도뇨장치에 있어서 절개홈이 조절부에 형성된 형태의 실시예를 나타낸 개략적인 측면도
도 12c는 본 발명에 따른 도뇨장치에 있어서 조절부의 결합 형태의 실시예를 나타낸 개략적인 분해평면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도뇨장치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 내지 도 4를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도뇨장치(1)는 환자의 소변 배출을 돕는데 사용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도뇨장치(1)는 비뇨기과, 외과, 내과, 산부인과 등 다양한 영역에서 사용될 수 있다. 예컨대, 본 발명에 따른 도뇨장치(1)는 방광이나 요도에 질환이 있는 등 자가로 소변 배출이 어려운 환자에게 장착되어서 사용될 수 있다. 이 경우, 본 발명에 따른 도뇨장치(1)는 환자의 요도에 삽입되도록 장착되어 환자의 소변을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도뇨장치(1)는 환자의 요도에 삽입되는 윤활부(2), 상기 윤활부(2)에 결합되는 팽축부(4), 및 상기 팽축부(4)와 결합되며 소변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도뇨부(3)를 포함한다.
상기 윤활부(2)는 윤활액을 수용하기 위한 수용홈(21), 상기 수용홈이 형성된 윤활본체(22), 및 상기 윤활액이 상기 수용홈(21)으로부터 상기 윤활본체(22)의 외부로 이동하도록 상기 윤활본체(22)를 관통하여 형성된 배출공(23)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도뇨장치(1)가 환자의 요도에 삽입되어 장착되면, 상기 윤활부(2)는 상기 수용홈(21)에 수용된 윤활액을 상기 배출공(23)을 통해 상기 윤활본체(22)의 외부로 이동시킨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도뇨장치(1)는 환자의 요도에 윤활액을 공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도뇨장치(1)는 다음과 같은 작용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첫째, 본 발명에 따른 도뇨장치(1)는 환자의 요도에 윤활액을 공급하도록 구현됨으로써, 요도벽(10, 도5에 도시됨)과 상기 윤활부(2)의 외면 사이의 마찰을 감소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도뇨장치(1)는 상기 윤활부(2), 상기 도뇨부(3), 및 상기 팽축부(4)가 요도에 삽입된 상태에서 환자가 움직일 때 느끼는 이물감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도뇨장치(1)는 요도 점막에 대한 자극을 감소시킬 수 있으므로, 환자에게 가해지는 고통이나 불편을 경감시킬 수 있다.
둘째, 본 발명에 따른 도뇨장치(1)는 환자의 요도에 윤활액을 공급하도록 구현됨으로써, 요도 내부의 습기를 유지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도뇨장치(1)는 환자로부터 제거된 뒤에 환자가 자가로 소변을 시도할 때 환자가 느낄 수 있는 작열감 및 요도협착 등의 부작용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윤활부(2), 상기 도뇨부(3), 상기 팽축부(4)에 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2 내지 도 5를 참고하면, 상기 윤활부(2)는 요도에 삽입되는 것이다. 상기 윤활부(2)는 요도벽(10, 도5에 도시됨)의 전체 또는 일부분에 직접 접촉되도록 착용될 수 있다. 상기 요도벽(10)은 요도에서 소변이 배출되는 통로를 향하는 내벽에 해당한다. 상기 윤활부(2)는 내부에 수용된 윤활액을 상기 요도벽(10, 도 5에 도시됨)으로 공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도뇨장치(1)는 윤활부(2)에서 배출된 윤활액을 통해 상기 도뇨장치(1)와 상기 요도벽(10) 사이의 마찰을 감소시킬 수 있고 상기 요도벽(10)의 건조를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도뇨장치(1)는 환자의 요도 점막에 대한 자극을 감소시켜 환자에게 가해지는 고통이나 불편을 경감시키고, 환자의 상기 요도벽(10)의 건조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요도협착 또는 자가소변 시의 작열감 등의 부작용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윤활부(2)는 상기 팽축부(4)의 외면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윤활부(2)는 실리콘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변형이 용이하고 신축성이 있으며 인체에 무해한 재질이면 다른 재질로 형성될 수도 있다.
도 3 내지 도 5를 참고하면, 상기 윤활부(2)는 수용홈(21), 윤활본체(22), 배출공(2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용홈(21)은 윤활액을 수용하는 것이다. 상기 수용홈(21)은 윤활액을 수용함으로써, 상기 요도로 공급할 윤활액을 저장하는 저장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도뇨장치(1)는 상기 수용홈(21)을 통해 윤활액에 대한 저장기능을 갖추도록 구현됨으로써, 상기 요도로 공급할 윤활액을 보충하는 보충작업에 대한 주기를 늘릴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도뇨장치(1)는 치료 기간 동안 윤활액에 대한 보충작업이 이루어지는 횟수를 줄일 수 있으므로, 의료진에 대한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보충작업으로 인해 환자에게 가해지는 고통과 불편을 감소시킬 수 있다.
상기 수용홈(21)은 상기 윤활본체(22)의 내면 및 상기 팽축부(4)의 외면 사이에 위치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윤활본체(22)의 내면 및 상기 팽축부(4)의 외면 각각이 곡면을 이루며 형성된 경우, 상기 수용홈(21)은 원형의 고리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윤활본체(22)는 상기 팽축부(4)에 결합되는 것이다. 상기 윤활본체(22)에는 상기 수용홈(21)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수용홈(21)은 상기 윤활본체(22)가 상기 팽축부(4)의 외면을 둘러싸도록 상기 팽축부(4)에 결합됨에 따라, 상기 윤활본체(22)의 내면 및 상기 팽축부(4)의 외면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윤활본체(22)는 상기 수용홈(21)에 수용된 윤활액이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수용홈(21)에 수용된 윤활액은, 상기 윤활본체(22)에 의해 상기 배출공(23)을 통해서만 요도로 배출되도록 제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도뇨장치(1)는 상기 윤활본체(22)를 이용하여 상기 수용홈(21)에 수용된 수용액이 상기 배출공(23)을 통해 지속적으로 배출되도록 구현됨으로써, 상기 요도로 공급할 윤활액을 보충하는 보충작업에 대한 주기를 더 늘릴 수 있다.
상기 배출공(23)은 상기 수용홈(21)으로부터 상기 윤활본체(22)의 외부로 윤활액을 이동시키는 것이다. 상기 배출공(23)은 상기 윤활본체(22)를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배출공(23)은 상기 윤활본체(22)의 외부 및 상기 윤활본체(22)의 내부를 연통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배출공(23)은 상기 요도벽(10)으로 윤활액을 배출함으로써 상기 윤활본체(22)의 외부와 상기 요도벽(10) 사이의 마찰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배출공(23)은 상기 요도벽(10)으로 윤활액을 배출함으로써, 요도의 습기를 유지시킬 수 있다.
상기 윤활액은 마취제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배출공(23)은 상기 마취제가 포함된 윤활액을 상기 윤활본체(22)의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상기 마취제가 포함된 윤활액은 상기 윤활부(2)의 외면과 상기 요도벽(10) 사이에 작용하는 마찰을 감소시킴과 동시에 요도의 습기를 유지시킬 뿐만 아니라, 환자의 환부를 마취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도뇨장치(1)는 마취제가 포함된 윤활액을 통해 마취기능을 갖추도록 구현됨으로써, 요도로부터 발생하는 통증을 완화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도뇨장치(1)는 환자에 대하여 마취과정을 별도로 수행하지 않아도 되므로, 의사 및 간호사에게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마취제는 리도카인에 해당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환부의 마취라는 의학적 목적에 부합한다면 다른 약품이 될 수도 있다.
도 3 내지 도 6을 참고하면, 상기 윤활부(2)는 상기 배출공(23)을 복수개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배출공(23)들은 서로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윤활본체(22)를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배출공(23)들은 삽입방향 또는 삽입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삽입방향은 본 발명에 따른 도뇨장치(1)가 요도에 삽입되는 방향을 의미한다. 삽입방향과 수직한 방향은 삽입방향이 이루는 축에 수직한 평면상에서 정의될 수 있는 모든 방향을 의미한다.
이 경우,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복수의 배출공들(23)은 균등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복수의 배출공들(23)은 균등한 간격으로 배치되지 않은 패턴을 형성하며 이격되어 형성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배출공(23)들은 상기 윤활부(2)와 상기 요도벽(10) 사이에 윤활액이 부분적으로 공급되지 않는 영역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 따른 도뇨장치(1)는 상기 윤활부(2)와 상기 요도벽(10)사 사이에서 마찰을 감소시키는 영역 및 습기를 유지시키는 영역의 크기를 증대시킴으로써, 환자에게 가해지는 고통과 불편을 더 경감시킬 수 있다.
도 3을 참고하면, 상기 윤활부(2)는 지지부재(2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부재(24)는 상기 윤활본체(22)를 상기 팽축부(4)의 외면으로부터 이격시킬 수 있다. 상기 지지부재(24)는 상기 팽축부(4) 외면 및 상기 윤활본체(22)의 내면을 지지할 수 있다. 상기 지지부재(24)는 상기 팽축부(4)의 외면 및 상기 윤활본체(22) 내면과 함께 상기 수용홈(21)을 형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지지부재(24)는 상기 윤활본체(22)의 내면과 상기 팽축부(4)가 서로 접촉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지지부재(24)는 상기 윤활본체(2)에 형성된 상기 수용홈(21)이 요도에 삽입되는 과정 및 요도에 삽입된 후에 요도벽으로부터 가해지는 가압력에 의하여 완전히 폐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지지부재(24)는 상기 수용홈(21)의 폐쇄를 방지하고 부피를 유지시키므로, 상기 수용홈(21)의 저장기능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상기 지지부재(24)는 상기 수용홈(21)의 윤활액의 저장기능을 증대시키고 보충주기를 늘릴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도뇨장치(1)는 치료 기간 동안 윤활액에 대한 보충작업이 이루어지는 횟수를 줄일 수 있으므로, 의료진에 대한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보충작업으로 인해 환자에게 가해지는 고통과 불편을 감소시킬 수 있다.
상기 지지부재(24)는 복수개가 윤활본체의 내면을 따라 서로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지지부재(24)들은 삽입방향 또는 삽입방향과 수직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지지부재(24)들은 서로 균등하게 이격될 수 있고, 어느 하나 이상의 위치에 밀집되어 이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지지부재(24)들은 상기 윤활부(2)의 직경 방향으로 또는 접선방향으로 가해지는 힘을 서로 분산시켜 수용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지지부재(24)들은 단일의 지지부재(24)일 때와 동일한 외부의 힘에 대하여, 더 높은 내구 및 인장강도를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도뇨장치(1)는 외부의 힘에 의해 상기 윤활본체(22) 내부의 상기 수용홈(21)이 임의적으로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여 상기 요도벽(10)으로 원활하게 윤활액을 공급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도뇨장치(1)는 상기 요도벽(10)과 상기 윤활본체(22) 사이의 마찰을 감소시켜 요도점막에 대한 자극으로 인해 환자에게 가해지는 고통 및 불편을 경감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요도벽(10)의 건조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요도협착이나 자가소변 시의 작열감 등의 부작용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부재(24)들은 각기 다른 길이 및 두께로 형성되어 상기 단일의 지지부재(24)로 구현하기 어려운 다양한 형상을 구현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지지부재들(24)은 상기 윤활부(2)의 삽입방향과 수직방향의 단면의 형상이 요도의 모양과 유사하도록 형성 및 배치되어 환자가 느낄 수 있는 이물감을 경감시킬 수 있다.
도 5 내지 도 7을 참고하면, 상기 윤활본체(22)는 윤활부재(22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윤활부재(221)는 복수의 배출공(2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출공(23)들은 상기 수용홈(21)에 위치한 윤활액이 상기 윤활부재(221)의 외부로 이동하도록, 서로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윤활부재(221)를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배출공(23)들은 삽입방향 또는 삽입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윤활부재(221)는 상기 요도벽(10)과 전체 또는 일부분이 요도벽(10)과 맞닿을 수 있으므로, 상기 윤활부재(221)는 윤활액이 상기 요도벽(10)으로 배출될 때 상기 요도벽(10)에 부분적으로 공급되지 않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그러므로 상기 윤활부재(221)는, 상기 윤활본체(22)에 단일의 배출공(23)이 형성된 경우와 비교하여 요도벽(10)상의 더 넓은 범위에 대하여 마찰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도뇨장치(1)는 상기 요도벽(10)과 상기 윤활부재(221) 사이의 마찰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요도 점막에 대한 자극을 더 넓은 범위에서 감소시켜, 환자에게 가해지는 고통 및 불편을 경감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도뇨장치(1)는 상기 요도벽(10)의 습기를 더 넓은 범위에서 유지시켜, 상기 요도벽(10)의 건조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요도협착 및 자가소변 시의 작열감 등의 부작용이 부분적으로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5 내지 도 7을 참고하면, 상기 윤활본체(22)는 연결부재(22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결부재(222)는 상기 윤활부재(221)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연결부재(222)는 상기 수용홈(21)에 위치한 윤활액이 상기 윤활본체(22)의 외부로 이동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연결부재(222)는 윤활액의 이동을 차단하므로, 상기 연결부재(222)는 윤활액 배출이 요구되지 않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연결부재(222)는 상기 윤활본체(22) 중 환자의 요도에 삽입되는 부분을 제외한 외부에 노출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도뇨장치(1)는 환자의 외부에 노출되는 위치에서는 윤활액을 배출하지 않으므로, 윤활액의 소모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 그리고, 윤활액의 보충 주기는 감소된 윤활액의 소모량에 비례하여 더욱 늘어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도뇨장치(1)는 상기 연결부재(222)를 통해 윤활액의 배출 범위를 제한하므로, 환자의 의복 또는 신체에 윤활액이 묻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도뇨장치(1)는 환자의 의복 또는 신체에 묻은 윤활액으로 인해 환자의 환부가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고 오염으로 인한 2차 질환의 발생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연결부재(222)는 상기 윤활부재(221)와 일체로 결합될 수 있다.
도 2 및 도 3을 참고하면, 상기 윤활부(2)는 윤활액 유입구(2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윤활액 유입구(25)는 윤활액 저장소(미도시)로부터 윤활액을 공급받아 상기 윤활본체(22)에 형성된 상기 수용홈(21)으로 이동시킨다. 이 경우, 상기 윤활액 유입구(25)는 전기적 수단 또는 주사기 등 다양한 수단을 통해 윤활액을 공급받을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윤활액 유입구(25)는 역류방지밸브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윤활액 유입구(25)가 역류방지밸브를 구비함에 따라, 상기 윤활액 유입구(25)는 윤활액을 공급받지 않은 경우에도 환자 외부에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윤활액 유입구(25)는 상기 윤활액 저장소(미도시)로부터 분리되었을 때, 유입된 윤활액이 역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윤활액 유입구(25)는 상기 윤활본체(22)와 일체로 결합될 수 있다.
도 3을 참고하면, 상기 도뇨부(3)는 방광 내의 소변을 환자의 외부로 배출하는 것이다. 상기 도뇨부(3)는 상기 팽축부(4)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도뇨부(3)가 소변을 배출함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도뇨장치(1)는 자가로 소변을 배출하기 어려운 환자에게 저류된 소변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부작용 및 합병증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도뇨부(3)는 실리콘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변형이 용이하고 신축성이 있으며 인체에 무해한 재질이면 다른 재질로 형성될 수도 있다.
도 2 및 도 3을 참고하면, 상기 도뇨부(3)는 도뇨본체(31), 뇨 유입구(32), 뇨 통로(33), 및 뇨 배출구(3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도뇨본체(31)는 상기 도뇨부(3)의 외면을 형성하는 것이다. 상기 도뇨본체(31)는 상기 팽축부(4)의 내면에 의해 둘러싸이도록 상기 팽축부(4)에 결합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도뇨본체(31)가 상기 도뇨부(3)의 외면을 형성하므로, 상기 도뇨부(3)로 유입된 소변은 상기 윤활부(2), 상기 팽축부(4), 또는 요도로 누출되지 않고 곧바로 환자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도뇨장치(1)는 누출된 소변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환부 등의 오염을 방지하여 청결을 유지시킬 수 있다. 상기 도뇨본체(31)는 내부가 비어있는 장방형의 봉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내부에 소변을 이동시킬 수 있는 형태이면 다른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예컨대, 상기 도뇨본체(31)는 외면이 사각, 육각 등과 같은 다각형을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뇨 유입구(32)는 방광 내의 소변이 상기 도뇨부(3)로 유입되는 통로에 해당한다. 상기 뇨 유입구(32)는 상기 도뇨본체(31)를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뇨 유입구(32)는 환자의 방광 내부와 상기 뇨 통로(33)를 연통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도뇨장치(1)는 방광 내의 소변을 상기 도뇨부(3) 내로 유입시킬 수 있다. 상기 뇨 유입구(32)는 삽입 후 방광 내에 위치할 수 있도록 상기 도뇨본체(31)의 삽입방향 선단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뇨 통로(33)는 상기 뇨 유입구(32)를 통해 유입된 소변을 환자의 외부로 이동시키는 통로에 해당한다. 상기 뇨 통로(33)는 상기 도뇨본체(31)의 내면으로 둘러싸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뇨 통로(33)는, 일측이 상기 뇨 유입구(32)로 인해 환자의 방광 내부와 연통되고, 타측이 상기 뇨 배출구(34)와 연통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도뇨장치(1)는 환자가 소변 배출을 조절하는 근육을 사용하지 않고도 상기 뇨 통로(33)를 통해 소변을 배출할 수 있게 함으로써, 환자의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상기 뇨 배출구(34)는 상기 도뇨부(3)로 유입된 소변을 환자의 외부로 배출시키는 것이다. 이 경우, 상기 뇨 배출구(34)는 소변 팩 등의 소변 저장소(미도시)와 결합되어 소변을 배출시킬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뇨 배출구(34)는 역류방지밸브를 구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뇨 배출구(34)는 환자 외부에서 상기 도뇨부(3)으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또한, 상기 뇨 배출구(34)는 배출된 소변이 다시 상기 도뇨부(3)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뇨 배출구(34)는 상기 도뇨 본체(31)와 일체로 결합될 수 있다.
도 3 및 도 8을 참고하면, 상기 팽축부(4)는 상기 도뇨부(3)와 결합되는 것이다. 상기 팽축부(4)는 상기 도뇨부(3)의 외면 및 상기 윤활부(2)의 내면과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팽축부(4)는 본 발명에 따른 도뇨장치(1)가 방광 및 요도로 삽입된 후에 임의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팽축부(4)는 방광 내에 위치한 상기 뇨 유입구(32)가 외부의 힘에 의하여 임의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도뇨장치(1)는 외부에서 충격을 받은 경우에도 방광 내의 소변이 상기 뇨 유입구(32)를 통해 안정적으로 배출될 수 있게 유지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도뇨장치(1)는 이탈 후 재삽입되는 빈도를 낮출 수 있어 의사 및 간호사의 편의성을 증대시킬 뿐만 아니라, 이탈 시에 누출될 수 있는 소변으로 인해 환자에게 발생할 수 있는 불편함도 감소시킬 수 있다.
도 2 및 도 3에 따르면, 상기 팽축부(4)는 팽축본체(41), 유체 유출입구(42), 유체통로(43), 채움부재(44), 및 팽축부재(4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팽축본체(41)는 상기 윤활부(2) 및 상기 도뇨부(3)와 결합되는 것이다. 상기 팽축본체(41)는 상기 도뇨부(3)의 외면을 둘러싸도록 형성됨과 동시에, 상기 윤활부(2)의 내면에 의해 둘러싸이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팽축본체(41)는 상기 윤활부(2) 및 상기 도뇨부(3)와 이격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팽축본체(41)는 상기 유체통로(43)의 일부 면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팽축본체(41)는 상기 팽축부(4)의 외면을 형성하므로, 유입된 유체가 상기 윤활부(2), 상기 도뇨부(3) 또는 요도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도뇨장치(1)는 상기 팽축부(4)가 유체의 누출로 인해 직경이 감소되어 방광에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유체가 추가적 또는 주기적으로 공급될 필요가 없으므로 의사 및 간호사의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상기 팽축본체(41), 또한 상기 팽축본체(41)는 상기 유체 유출입구(42) 및 상기 팽축부재(45)와 결합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유체 유출입구(42), 상기 팽축부재(45), 및 상기 팽축본체(41)는 일체로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유체 유출입구(42)는 상기 팽축본체(41)로 유체를 유입시키거나 상기 팽축본체(41)로부터 유체를 배출시키는 것이다. 이 경우, 상기 유체 유출입구(42)는 주사기 등의 유체 유출입장치(미도시)와 결합되어 유체를 유입시키거나 배출시킬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유체 유출입구(42)는 역류방지밸브를 구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유체 유출입구(42)는 상기 팽축본체(41)로 유체가 유입되는 것이 정지된 경우에도 상기 팽축부(4)로부터 유체가 자동적으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도뇨장치(1)는 상기 팽축부재(45)의 임의적 수축으로 인한 이탈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도뇨장치(1)는 이탈 후 재삽입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환자의 고통을 감소시키고, 일회적 삽입을 통해 의사 및 간호사의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상기 유체통로(43)는 상기 유체 유출입구(42)를 통해 유입된 유체가 상기 팽축부재(45)로 이동되거나, 상기 팽축부재(45)에 저장된 유체가 다시 상기 유체 유출입구(42)로 이동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유체통로(43)는 상기 팽축본체(41)의 내면과 상기 도뇨본체(31)의 외면 사이의 공간에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도뇨장치(1)는 환자 외부에서 유입된 유체를 방광 내에 위치한 상기 팽축부재(45)로 원활히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채움부재(44)는 상기 팽축본체(41)의 내면 및 상기 도뇨본체(31)의 외면 사이 형성된 공간을 채우는 것이다. 상기 채움부재(44)는 상기 팽축본체(41)와 상기 도뇨본체(31) 사이를 이격시킬 수 있다. 상기 유체통로(43)는 상기 채움부재(44)를 삽입방향으로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도 3에는 상기 유체통로(43)가 상기 채움부재(44)만을 관통하여 형성된 경우만 도시하였으나, 상기 유체통로(43)는 상기 채움부재(44)와 상기 팽축본체(41)를 함께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팽축본체(41) 및 상기 도뇨본체(31) 사이의 공간은 상기 유체통로(43)를 제외하고 모두 상기 채움부재(44)에 의해 채워졌으므로, 상기 팽축부재(45)를 팽창시키기 위해 주입되어야 하는 유체의 양은 감소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도뇨장치(1)는 상기 채움부재(44)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 비하여 더 적은 유체만으로 상기 팽축부재(45)를 팽창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도뇨장치(1)는 상기 유체 유출입장치(미도시)의 소형화를 가능하게 하여 의사 및 간호사의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상기 팽축부재(45)는 유체가 유입 또는 배출됨에 따라 팽창 또는 수축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이다. 상기 팽축부재(45)는 상기 팽축본체(41)와 결합된다. 이 경우, 상기 팽축부재(45)는 상기 팽축본체(41)와 일체로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팽축부재(45)의 내부 공간은 상기 유체통로(43)와 연통될 수 있다. 유체가 상기 유체통로(43)로부터 상기 팽축부재(45) 내부로 유입되면 상기 팽축부재(45) 내부의 압력은 증가된다. 따라서, 상기 팽축부재(45)는 팽창할 수 있다. 반대로 상기 팽축부재(45) 내부의 유체가 배출되면, 상기 팽축부재(45) 내부의 압력이 낮아지므로 상기 팽축부재(45)는 수축할 수 있다.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팽축부재(45)는 방광 내에 삽입 된 후, 유체가 내부로 유입되어 팽창한다. 팽창한 상기 팽축부재(45)의 직경은 요도의 직경보다 커지게 되어 방광 입구에 걸림을 형성하고, 본 발명에 따른 도뇨장치(1)가 요도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변 배출 등의 목적을 달성한 후, 상기 팽축부재(45) 내부의 유체는 상기 유체통로(43)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어 상기 팽축부재(45)는 수축한다. 이 경우, 수축한 상기 팽축부재(45)의 직경은 요도의 직경보다 작아지게 된다. 이후, 본 발명에 따른 도뇨장치(1)가 요도에서 이탈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도뇨장치(1)는 환자에게 착용된 채로 외부에서 충격을 받은 경우에도 방광 입구의 걸림으로 인해 임의로 이탈되지 않고 안정적으로 소변을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도뇨장치(1)는 이탈에 따른 재삽입 빈도가 낮아 의사 및 간호사의 편의성을 증대시킬 뿐만 아니라, 이탈로 인해 누출되는 소변으로 인해 환자에게 발생할 수 있는 불편함도 감소시킬 수 있다. 상기 팽축부재(45)는 신축성 있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도 9 내지 도 12을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도뇨장치(1)는 조절부(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조절부(5)는 복수의 배출공(23)이 형성된 상기 윤활본체(22)와 결합되는 것이다. 상기 조절부(5)는 상기 윤활본체(22)에 형성된 상기 배출공(23)들 중 일부를 폐쇄할 수 있다. 상기 조절부(5)는 상기 윤활본체(22)에 상기 배출공(23)들이 N개(1보다 큰 자연수) 형성된 경우, M개(N보다 작은 자연수)의 상기 배출공(23)들을 폐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도뇨장치(1)는 윤활액을 배출할 수 있는 상기 배출공(23)들의 수를 조절할 수 있는 조절기능을 갖추도록 구현됨으로써, 윤활액이 환자에게 요구되는 양 이상으로 배출되는 경우를 방지할 수 있다. 예컨대, 도 10을 참고하면, 상기 조절부(5)는 환자의 외부에 노출된 상기 배출공(23)들을 폐쇄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환자의 외부에 노출된 상기 배출공(23)들로부터 배출된 윤활액은 환자의 의복 및 신체에 묻을 우려가 있어 환부 오염 및 2차 질환을 야기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조절부(5)는 환자의 외부에 노출된 상기 배출공(23)들을 폐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도뇨장치(1)는 환부 오염에 따른 감염 및 2차 질환을 방지하여 환자의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고 환부 세척의 빈도를 감소시켜 의사 및 간호사의 용이성도 증대시킬 수 있다.
상기 조절부(5)는 상기 윤활본체(22)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 경우, 폐쇄된 상기 배출공(23)의 개수는 상기 조절부(5)가 상기 윤활부재(221)와 결합된 위치에 따라 조절될 수 있다. 환자는 각자 다른 길이의 요도를 지니기 때문에, 상기 윤활부재(221)의 길이가 동일한 경우 환자의 외부에 노출된 상기 배출공(23)들의 수도 상이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조절부(5)는 상기 윤활부재(221)와 결합되는 위치가 환자마다 각기 다르게 설정되어 결합될 수 있다. 예컨대 도 10b를 참고하면, 요도가 짧은 환자의 경우 환자의 외부에 노출된 상기 배출공(23)들의 수가 비교적 많을 것이므로, 상기 조절부(5)는 삽입방향으로 이동되어 상기 윤활부재(221)와 결합될 수 있다. 반대로, 도 10c를 참고하면, 요도가 긴 사람의 경우 환자의 외부에 노출된 상기 배출공(23)들의 수가 비교적 적을 것이므로, 상기 조절부(5)는 삽입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이동되어 상기 윤활부재(221)와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도뇨장치(1)는 상기 조절부(5)의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구현됨으로써, 환자들이 각기 다른 길이의 요도를 지니고 있는 경우에도 환자의 외부에 노출되는 상기 배출공(23)들로부터 누출되는 윤활액을 감소시켜 의사 및 간호사의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고, 환자가 안착감을 느끼도록 할 수 있다.
도 9 내지 도 12를 참고하면, 상기 조절부(5)는 절개홈(51)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절개홈(51)은 상기 조절부(5)를 관통하여 형성된다. 상기 조절부(5)는 상기 절개홈(51)을 기준으로 변형되어 상기 윤활부재(221)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도 11a를 참고하면, 상기 절개홈(51)은 상기 조절부(5)에 가해지는 외부의 힘에 의해 상기 윤활부(2)의 직경보다 더 넓게 벌려질 수 있다. 상기 조절부(5)는 상기 절개홈(51)이 벌려진 상태로, 상기 윤활부(2)의 측면 방향으로 삽입될 수 있다. 도 11b를 참고하면, 상기 윤활부(2)가 상기 조절부(5) 내부로 삽입된 후, 벌려졌던 상기 절개홈(51)은 다시 본래대로 복구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과정을 통해, 상기 조절부(5)는 상기 절개홈(51)을 통해 상기 윤활본체(22)의 측면에서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절개홈(51)은 상기 조절부(5)가 상기 윤활부(2)의 선단에서부터 삽입되지 않아도 상기 윤활본체(22)와 결합되게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도뇨장치(1)는 상기 조절부(5)가 측면에서 결합되는 기능을 갖추도록 구현됨으로써, 상기 조절부(5) 결합을 위해 환자로부터 이탈될 필요가 없어 재삽입에 따른 환자의 고통을 감소시키고 의사 및 간호사의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도 10을 참고하면, 상기 조절부(5)는 제1폐쇄면(52) 및 제2폐쇄면(5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폐쇄면(52)은 상기 윤활본체(22)의 외면과 직접 맞닿는 곳으로, 상기 윤활본체(22)에 형성된 상기 윤활공(23)들을 폐쇄하는 면이다. 이 경우, 상기 제1폐쇄면(52)은 상기 윤활본체(22)의 외면과 동일하거나 유사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조절부(5)는 상기 윤활본체(22)의 외면과 이격되지 않도록 결합되어 이격된 틈 사이로 윤활액이 누출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제2폐쇄면(53)은 상기 조절부(5)가 상기 윤활본체(22)의 외면과 결합된 후, 환자의 요도 출구 부근의 환부와 맞닿는 면이다. 이 경우, 상기 제2폐쇄면(53)은 환자의 요도 출구 부근의 환부와 동일하거나 유사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남성의 경우 환자의 요도 출구 부근의 환부가 볼록하므로 상기 제2폐쇄면(53)은 오목하게 파여진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반대로 여성의 경우, 환자의 요도 출구 부근의 환부가 평평하므로 상기 제2폐쇄면(53)은 평평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조절부(5)는 더 넓은 면적에 대하여 환자의 환부와 접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도뇨장치(1)는 환자가 안착감을 느끼도록 착용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조절부(5)의 임의적 이탈을 방지하여 재결합으로 인한 의사 및 간호사의 불편함을 감소시킬 수 있다.
도 12를 참고하면, 상기 절개홈(51)은 상기 조절부(5)의 모선을 따라 절개될 수 있다. 도 1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절개홈(51)은 직선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1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절개홈(51)은 상기 조절부(5)가 뒤틀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지그재그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도 1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조절부(5)는 복수의 부재로 분리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부재들은 핀을 이용한 끼움결합 등의 다양한 결합방법으로 결합되어 하나의 상기 조절부(5)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조절부(5)는 상기 절개홈(51)을 기준으로 변형 및 복구되기 위해서 실리콘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변형 및 복구가 용이하고 신축성이 있으며 인체에 무해한 재질이면 다른 재질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1 : 도뇨 장치 2 : 윤활부 3 : 도뇨부
4 : 팽축부 5 : 조절부 21 : 수용홈
22 : 윤활본체 23 : 배출공 24 : 지지부재
25 : 윤활액 유입구 31 : 도뇨본체 32 : 뇨 유입구
33 : 뇨 통로 34 : 뇨 배출구 41 : 팽축본체
42 : 유체 유출입구 43 : 유체 통로 44 : 채움부재
45 : 팽축 부재 51 : 절개홈 52 : 제1폐쇄면
53 : 제2폐쇄면 221 : 윤활부재 222 : 연결부재

Claims (9)

  1. 소변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도뇨부;
    상기 도뇨부에 결합되는 팽축부;
    상기 팽축부에 결합되는 윤활부; 및
    상기 윤활부에 결합되는 조절부를 포함하고,
    상기 윤활부는 윤활액을 수용하기 위한 수용홈, 상기 수용홈이 형성된 윤활본체, 및 상기 윤활액이 상기 수용홈으로부터 상기 윤활본체의 외부로 이동하도록 상기 윤활본체를 관통하여 형성된 N개(N은 1보다 큰 자연수)의 배출공을 포함하고,
    상기 조절부는 M개(M은 N보다 작은 자연수)의 배출공을 폐쇄하도록 상기 윤활본체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뇨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홈은 마취제가 포함된 윤활액을 수용하고,
    상기 배출공들은 상기 마취제가 포함된 윤활액을 상기 윤활본체의 외부로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뇨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윤활부는 상기 윤활본체를 상기 팽축부 외면으로부터 이격시키는 지지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팽축부의 외면 및 상기 윤활본체의 내면을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뇨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윤활부는 상기 지지부재를 복수개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지지부재들은 윤활본체의 내면을 따라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뇨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윤활본체는 상기 배출공들이 형성된 윤활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배출공들은 상기 수용홈에 위치한 윤활액이 상기 윤활부재의 외부로 이동하도록 서로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윤활부재를 관통하여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뇨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윤활본체는 상기 배출공들이 형성된 윤활부재, 및 상기 윤활부재에 결합된 연결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수용홈에 위치한 윤활액이 외부로 이동하는 것을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뇨장치.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윤활본체는 상기 배출공들이 형성된 윤활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조절부는 상기 윤활부재와 결합된 위치에 따라 폐쇄된 배출공의 개수가 조절되도록 상기 윤활본체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뇨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부에는 절개홈이 형성되고,
    상기 조절부는 상기 절개홈을 기준으로 변형되어 상기 윤활부재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뇨장치.
KR1020160150991A 2016-11-14 2016-11-14 도뇨장치 KR1018373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0991A KR101837303B1 (ko) 2016-11-14 2016-11-14 도뇨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0991A KR101837303B1 (ko) 2016-11-14 2016-11-14 도뇨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37303B1 true KR101837303B1 (ko) 2018-03-09

Family

ID=617277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50991A KR101837303B1 (ko) 2016-11-14 2016-11-14 도뇨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37303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15773A (ko) * 2018-04-03 2019-10-14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요도 협착 억제장치
WO2021045311A1 (ko) * 2019-09-03 2021-03-11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요도 협착 억제장치
KR20220057123A (ko) * 2020-10-29 2022-05-09 최돈경 도뇨장치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15773A (ko) * 2018-04-03 2019-10-14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요도 협착 억제장치
KR102150487B1 (ko) * 2018-04-03 2020-09-01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요도 협착 억제장치
WO2021045311A1 (ko) * 2019-09-03 2021-03-11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요도 협착 억제장치
KR20210027945A (ko) * 2019-09-03 2021-03-11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요도 협착 억제장치
KR102281386B1 (ko) * 2019-09-03 2021-07-23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요도 협착 억제장치
KR20220057123A (ko) * 2020-10-29 2022-05-09 최돈경 도뇨장치
WO2022092503A3 (ko) * 2020-10-29 2022-07-28 최돈경 도뇨장치
KR102516178B1 (ko) * 2020-10-29 2023-03-30 최돈경 도뇨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627284B1 (en) An intravaginal support apparatus
EP1011754B1 (en) An irrigation device
US5827224A (en) Pressure applying fluid transfer medical device
US20070213661A1 (en) Closure system for managing rectal or anal incontinence
US20040044307A1 (en) Urinary catheters
WO1990004431A1 (en) Incontinence device
KR101837303B1 (ko) 도뇨장치
WO2019049955A1 (ja) 尿道カテーテル
WO2002028354A2 (en) Delivery of anesthetic to a wall forming passage
JP2006314479A (ja) 直腸カテーテル装置
WO2008132735A1 (en) A urethral implant and method
US20190240448A1 (en) Drainage and anchoring system for an indwelling urinary catheter
CA2858092A1 (en) Penile prosthesis
US20090018385A1 (en) Urethra pressure control valve to control incontinence
KR102150487B1 (ko) 요도 협착 억제장치
US5806527A (en) Urethral plug with means for protection against infection
KR102516178B1 (ko) 도뇨장치
KR102281386B1 (ko) 요도 협착 억제장치
WO2019049954A1 (ja) 尿道カテーテル
CN105268090A (zh) 一种防治宫腔粘连的布药装置
EP1003576A1 (en) Irrigation catheter
KR102393312B1 (ko) 의료용 카테터
CN213490923U (zh) 一种导尿管
DK181106B1 (en) A self-retaining enema nozzle and an enema system comprising said enema nozzle
JP2021153849A (ja) 治療デバイ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