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49595A - 블로어 - Google Patents

블로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49595A
KR20230049595A KR1020230041896A KR20230041896A KR20230049595A KR 20230049595 A KR20230049595 A KR 20230049595A KR 1020230041896 A KR1020230041896 A KR 1020230041896A KR 20230041896 A KR20230041896 A KR 20230041896A KR 20230049595 A KR20230049595 A KR 202300495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mper
blower
bar
upper body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418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구명진
이건영
김보현
김수민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300418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49595A/ko
Publication of KR202300495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4959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5/00Pumping installations or systems
    • F04D25/02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 F04D25/08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the working fluid being air, e.g. for ventil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40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 F04D29/52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for axial pumps
    • F04D29/522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for axial pumps e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 pumps
    • F04D29/524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for axial pumps e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 pumps shiftable members for obturating part of the flow path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19/00Axial-flow pumps
    • F04D19/002Axial flow f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5/00Pumping installations or systems
    • F04D25/02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 F04D25/06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the pump being electrically drive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5/00Pumping installations or systems
    • F04D25/02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 F04D25/08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the working fluid being air, e.g. for ventilation
    • F04D25/10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the working fluid being air, e.g. for ventilation the unit having provisions for automatically changing direction of output a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26Rotors specially for elastic fluids
    • F04D29/263Rotors specially for elastic fluids mounting fan or blower rotors on shaf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26Rotors specially for elastic fluids
    • F04D29/28Rotors specially for elastic fluids for centrifugal or helico-centrifugal pumps for radial-flow or helico-centrifugal pumps
    • F04D29/281Rotors specially for elastic fluids for centrifugal or helico-centrifugal pumps for radial-flow or helico-centrifugal pumps for fans or blow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40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 F04D29/403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e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 pu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40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 F04D29/42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for radial or helico-centrifugal pumps
    • F04D29/4206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for radial or helico-centrifugal pumps e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 pu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40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 F04D29/42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for radial or helico-centrifugal pumps
    • F04D29/44Fluid-guiding means, e.g. diffusers
    • F04D29/46Fluid-guiding means, e.g. diffusers adjustable
    • F04D29/462Fluid-guiding means, e.g. diffusers adjustable e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 pu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40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 F04D29/52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for axial pumps
    • F04D29/54Fluid-guiding means, e.g. diffusers
    • F04D29/56Fluid-guiding means, e.g. diffusers adjustable
    • F04D29/563Fluid-guiding means, e.g. diffusers adjustable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 pu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60Mounting; Assembling; Disassembling
    • F04D29/62Mounting; Assembling; Disassembling of radial or helico-centrifugal pumps
    • F04D29/624Mounting; Assembling; Disassembling of radial or helico-centrifugal pumps e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 pu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60Mounting; Assembling; Disassembling
    • F04D29/64Mounting; Assembling; Disassembling of axial pumps
    • F04D29/644Mounting; Assembling; Disassembling of axial pumps e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 pu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70Suction grids; Strainers; Dust separation; Cleaning
    • F04D29/701Suction grids; Strainers; Dust separation; Cleaning e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 pumps
    • F04D29/703Suction grids; Strainers; Dust separation; Cleaning e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 pumps specially for fans, e.g. fan guar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FPUMPING OF FLUID BY DIRECT CONTACT OF ANOTHER FLUID OR BY USING INERTIA OF FLUID TO BE PUMPED; SIPHONS
    • F04F5/00Jet pumps, i.e. devices in which flow is induced by pressure drop caused by velocity of another fluid flow
    • F04F5/14Jet pumps, i.e. devices in which flow is induced by pressure drop caused by velocity of another fluid flow the inducing fluid being elastic fluid
    • F04F5/16Jet pumps, i.e. devices in which flow is induced by pressure drop caused by velocity of another fluid flow the inducing fluid being elastic fluid displacing elastic flui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FPUMPING OF FLUID BY DIRECT CONTACT OF ANOTHER FLUID OR BY USING INERTIA OF FLUID TO BE PUMPED; SIPHONS
    • F04F5/00Jet pumps, i.e. devices in which flow is induced by pressure drop caused by velocity of another fluid flow
    • F04F5/44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F5/02 - F04F5/42
    • F04F5/46Arrangements of nozz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19/00Gearings comprising essentially only toothed gears or friction members and not capable of conveying indefinitely-continuing rotary motion
    • F16H19/02Gearings comprising essentially only toothed gears or friction members and not capable of conveying indefinitely-continuing rotary motion for interconverting rotary or oscillating motion and reciprocating motion
    • F16H19/04Gearings comprising essentially only toothed gears or friction members and not capable of conveying indefinitely-continuing rotary motion for interconverting rotary or oscillating motion and reciprocating motion comprising a rack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24F13/12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sliding mem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DINDEXING SCHEME FOR ASPECTS RELATING TO NON-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OR ENGINES, GAS-TURBINES OR JET-PROPULSION PLANTS
    • F05D2210/00Working fluids
    • F05D2210/10Kind or type
    • F05D2210/12Kind or type gaseous, i.e. compressib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DINDEXING SCHEME FOR ASPECTS RELATING TO NON-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OR ENGINES, GAS-TURBINES OR JET-PROPULSION PLANTS
    • F05D2250/00Geometry
    • F05D2250/50Inlet or outlet
    • F05D2250/52Outle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DINDEXING SCHEME FOR ASPECTS RELATING TO NON-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OR ENGINES, GAS-TURBINES OR JET-PROPULSION PLANTS
    • F05D2260/00Function
    • F05D2260/50Kinematic linkage, i.e. transmission of position
    • F05D2260/53Kinematic linkage, i.e. transmission of position using gea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0001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ventil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8Arrangement or mounting of fil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24F2013/205Mounting a ventilator fan therei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03Ventilation in combination with air cleaning

Abstract

블로어가 개시된다. 블로어는: 공기의 유동을 일으키는 팬; 상기 팬이 설치되는 내부 공간을 제공하고, 흡입홀이 형성되는 로어 바디; 상기 로어 바디의 상측에 위치하고, 상기 로어 바디의 상기 내부 공간과 연통되고, 제1 토출홀이 형성되는 일면을 구비하는 제1 어퍼 바디; 상기 로어 바디의 상측에 위치하고, 상기 로어 바디의 상기 내부 공간과 연통되고, 제2 토출홀이 형성되는 일면을 구비하는 제2 어퍼 바디; 상기 제1 어퍼 바디의 상기 일면과 상기 제2 어퍼 바디의 상기 일면 사이에 형성되는 스페이스; 상기 제1 어퍼 바디의 상기 일면을 관통하고, 상기 제1 어퍼 바디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댐퍼;로서, 상기 스페이스를 향하는 일단과, 상기 일단에 반대되는 타단을 구비하는 제1 댐퍼; 상기 제2 어퍼 바디의 상기 일면을 관통하고, 상기 제2 어퍼 바디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댐퍼;로서, 상기 스페이스를 향하는 일단과, 상기 일단에 반대되는 타단을 구비하는 제2 댐퍼; 상기 제1 댐퍼의 상기 타단을 따라서 연장되고, 상기 제1 댐퍼의 상기 타단에 결합되는 제1 바; 그리고, 상기 제2 댐퍼의 상기 타단을 따라서 연장되고, 상기 제2 댐퍼의 상기 타단에 결합되는 제2 바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블로어{BLOWER}
본 개시는 블로어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개시는 송풍방향을 조절할 수 있는 블로어에 관한 것이다.
블로어는 공기의 유동을 일으켜, 실내 공간에서 공기를 순환시키거나, 사용자를 향하는 기류를 형성할 수 있다. 또, 블로어에 구비된 필터는 실내 공기를 정화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대한민국 공개특허 KR2010-0051724는 코안다 효과를 이용하여 기류를 형성하는 블로어를 개시한다. 상기 블로어의 노즐은 임펠러에 의해 유동되는 공기가 통과하는 내부 통로를 형성하면서, 상기 블로어의 외부를 향하는 기류를 형성할 수 있다. 다만, 위 공개특허는 기류의 방향을 조절하는 수단을 개시하지 못한다.
최근,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블로어의 송풍방향을 조절할 수 있는 구조에 대한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본 개시는 전술한 문제 및 다른 문제를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다른 목적은 송풍방향을 조절할 수 있는 블로어를 제공하는 것일 수 있다.
또 다른 목적은 블로어의 송풍방향을 조절하는 댐퍼의 구동 메커니즘을 제공하는 것일 수 있다.
또 다른 목적은 댐퍼의 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하는 것일 수 있다.
또 다른 목적은 댐퍼에 용이하게 결합되거나 분리될 수 있는 바(bar)를 제공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또는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개시의 일 측면에 따르면, 블로어는: 공기의 유동을 일으키는 팬; 상기 팬이 설치되는 내부 공간을 제공하고, 흡입홀이 형성되는 로어 바디; 상기 로어 바디의 상측에 위치하고, 상기 로어 바디의 상기 내부 공간과 연통되고, 제1 토출홀이 형성되는 일면을 구비하는 제1 어퍼 바디; 상기 로어 바디의 상측에 위치하고, 상기 로어 바디의 상기 내부 공간과 연통되고, 제2 토출홀이 형성되는 일면을 구비하는 제2 어퍼 바디; 상기 제1 어퍼 바디의 상기 일면과 상기 제2 어퍼 바디의 상기 일면 사이에 형성되는 스페이스; 상기 제1 어퍼 바디의 상기 일면을 관통하고, 상기 제1 어퍼 바디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댐퍼;로서, 상기 스페이스를 향하는 일단과, 상기 일단에 반대되는 타단을 구비하는 제1 댐퍼; 상기 제2 어퍼 바디의 상기 일면을 관통하고, 상기 제2 어퍼 바디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댐퍼;로서, 상기 스페이스를 향하는 일단과, 상기 일단에 반대되는 타단을 구비하는 제2 댐퍼; 상기 제1 댐퍼의 상기 타단을 따라서 연장되고, 상기 제1 댐퍼의 상기 타단에 결합되는 제1 바; 그리고, 상기 제2 댐퍼의 상기 타단을 따라서 연장되고, 상기 제2 댐퍼의 상기 타단에 결합되는 제2 바를 포함한다.
본 개시에 따른 블로어의 효과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개시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송풍방향을 조절할 수 있는 블로어를 제공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블로어의 송풍방향을 조절하는 댐퍼의 구동 메커니즘을 제공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댐퍼의 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댐퍼에 용이하게 결합되거나 분리될 수 있는 바(bar)를 제공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적용 가능성의 추가적인 범위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개시의 사상 및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은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 및 본 개시의 바람직한 실시 예와 같은 특정 실시 예는 단지 예시로 주어진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블로어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X-X'선 절단면이다.
도 3은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블로어의 제1 어퍼 바디와 제2 어퍼 바디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블로어의 제1 어퍼 바디로부터 제1 아우터 패널이 분리된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블로어의 제1 어퍼 바디와 제2 어퍼 바디의 일부를 잘라내어 이들의 내부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1의 Z-Z'선 절단면이다.
도 7 및 8은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블로어의 제1 상태에서 형성되는 확산 기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로서, 도 7은 블로어의 상면도이고, 도 8은 점선 화살표로 상기 확산 기류가 표현된 블로어의 사시도이다.
도 9 및 10은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블로어의 제2 상태에서 형성되는 상승 기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로서, 도 9는 블로어의 상면도이고, 도 10은 점선 화살표로 상기 상승 기류가 표현된 블로어의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제2 어퍼 바디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제2 어퍼 바디의 제2 이너 패널이 제거된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은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제2 댐퍼의 내측에서 바라본 제2 댐퍼 및 이에 결합되 제2 바의 사시도이다.
도 14 내지 17은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제2 무빙 어셈블리의 상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18 내지 20은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제2 무빙 어셈블리의 하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21은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제1 어퍼 바디의 제1 아우터 패널이 제거된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2는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제2 댐퍼의 외측에서 바라본 제2 댐퍼 및 이에 결합되 제2 바의 사시도이다.
도 23은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바의 사시도이다.
도 24 및 25는 도 22의 VI-VI'선 절단면으로서, 도 24는 본 개시의 일 예에 따른 바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5는 본 개시의 다른 예에 따른 바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6는 도 22의 VII-VII'선 절단면이다.
도 27은 도 22의 VIII-VIII'선 절단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개시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도면에 표시된 상(U), 하(D), 좌(Le), 우(Ri), 전(F), 그리고 후(R)의 방향표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일 뿐이며, 이에 의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는다.
도 1을 참조하면, 블로어(1, blower)는 상하방향으로 길게 연장될 수 있다. 블로어(1)는 베이스(2), 로어 바디(3), 그리고 어퍼 바디(10, 20)를 구비할 수 있다.
베이스(2)는 블로어(1)의 하면을 형성하며, 실내 공간의 바닥 등에 놓일 수 있다. 베이스(2)는 전체적으로 원판(circular plate)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로어 바디(3)는 베이스(2)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로어 바디(3)는 블로어(1)의 측면 하부를 형성할 수 있다. 로어 바디(3)는 전체적으로 실린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로어 바디(3)의 직경은 로어 바디(3)의 하부에서 상부로 갈수록 작아질 수 있다. 다른 예를 들면, 로어 바디(3)의 직경은 상하방향에서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다. 흡입홀(3a)은 로어 바디(3)의 측면을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복수개의 흡입홀들(3a)은 로어 바디(3)의 원주방향을 따라서 고르게 배치될 수 있다. 이로써, 공기는 복수개의 흡입홀들(3a)을 통해 블로어(1)의 외부에서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어퍼 바디(10, 20)는 로어 바디(3)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어퍼 바디(10, 20)는 로어 바디(3)의 내부 공간과 연통되는 유로를 제공할 수 있다.
도면을 참조하여 예를 들면, 어퍼 바디(10, 20)는 서로 이격되는 제1 어퍼 바디(10)와 제2 어퍼 바디(20)를 구비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면, 어퍼 바디(10, 20)는 단일의 어퍼 바디로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어퍼 바디(10, 20)는 로어 바디(3)의 상측에서 상하방향으로 길게 연장되거나, 원(타원) 또는 트랙(track) 모양의 링 또는 오픈 링(open ring)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로어 바디(3)에 대한 단일의 어퍼 바디(10, 20)의 위치는 어퍼 바디(10, 20)의 형상, 어퍼 바디(10, 20)에 형성되는 공기 토출홀로서 어퍼 바디(10, 20)의 표면에 형성되는 슬릿의 위치, 형상, 및 개수 등을 고려하여 결정될 수 있다.
이하, 간략한 설명을 위하여 어퍼 바디(10, 20)가 제1 어퍼 바디(10)와 제2 어퍼 바디(20)를 구비하는 경우를 기준으로 설명한다. 그리고, 이에 대한 설명은 어퍼 바디(10, 20)의 개수가 2 개인 경우에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닌 한 어퍼 바디(10, 20)가 단일의 어퍼 바디로 구비되는 경우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제1 어퍼 바디(10)와 제2 어퍼 바디(20)는 로어 바디(3)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어퍼 바디(10)와 제2 어퍼 바디(20)는 블로어(1)의 측면 상부를 형성할 수 있다. 제1 어퍼 바디(10)와 제2 어퍼 바디(20)는 상하방향으로 길게 연장될 수 있고, 좌우방향으로 서로 이격될 수 있다. 한편, 제1 어퍼 바디(10)는 제1 타워 또는 제1 노즐 타워라 칭하고, 제2 어퍼 바디(20)는 제2 타워 또는 제2 노즐 타워라 칭할 수 있다.
스페이스(S)는 제1 어퍼 바디(10)와 제2 어퍼 바디(20) 사이에 형성될 수 있고, 공기의 유로를 제공할 수 있다. 스페이스(S)는 전후방향으로 개구될 수 있다. 한편, 스페이스(S)는 블로잉 스페이스(blowing space), 밸리(valley), 또는 채널(channel)이라 칭할 수 있다.
제1 어퍼 바디(10)는 제2 어퍼 바디(20)로부터 좌측으로 이격될 수 있다. 제1 어퍼 바디(10)는 상하방향으로 길게 연장될 수 있다. 제1 어퍼 바디(10)는 제1 어퍼 바디(10)의 표면을 형성하는 제1 패널(1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패널(12)은 스페이스(S)를 향하는 제1 이너 패널(121)과, 제1 이너 패널(121)에 대향하는 제1 아우터 패널(12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이너 패널(121)은 제1 어퍼 바디(10)로부터 스페이스(S)를 향하는 방향, 즉 우측으로 볼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이너 패널(121)은 상하방향으로 길게 연장될 수 있다. 제1 아우터 패널(122)은 제1 어퍼 바디(10)로부터 스페이스(S)를 향하는 방향에 반대되는 방향, 즉 좌측으로 볼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아우터 패널(122)은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수직선에 대해 스페이스(S)를 향하는 방향, 즉 우측으로 일정 각도(예각)만큼 기울어져 연장될 수 있다.
이때, 제1 아우터 패널(122)의 곡률은 제1 이너 패널(121)의 곡률보다 클 수 있다. 그리고, 제1 아우터 패널(122)은 제1 이너 패널(121)과 만나 엣지(edge)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엣지는 제1 어퍼 바디(10)의 제1 전단(10F)과 제1 후단(10R)으로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전단(10F)은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수직선에 대해 후방으로 일정 각도(예각)만큼 기울어져 연장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후단(10R)은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수직선에 대해 전방으로 일정 각도(예각)만큼 기울어져 연장될 수 있다.
제2 어퍼 바디(20)는 제1 어퍼 바디(10)로부터 우측으로 이격될 수 있다. 제2 어퍼 바디(20)는 상하방향으로 길게 연장될 수 있다. 제2 어퍼 바디(20)는 제2 어퍼 바디(20)의 표면을 형성하는 제2 패널(22)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패널(22)은 스페이스(S)를 향하는 제2 이너 패널(221)과, 제2 이너 패널(221)에 대향하는 제2 아우터 패널(222)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이너 패널(221)은 제2 어퍼 바디(20)로부터 스페이스(S)를 향하는 방향, 즉 좌측으로 볼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2 이너 패널(221)은 상하방향으로 길게 연장될 수 있다. 제2 아우터 패널(222)은 제2 어퍼 바디(20)로부터 스페이스(S)를 향하는 방향, 즉 우측으로 볼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2 아우터 패널(222)은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수직선에 대해 스페이스(S)를 향하는 방향, 즉 좌측으로 일정 각도(예각)만큼 기울어져 연장될 수 있다.
이때, 제2 아우터 패널(222)의 곡률은 제2 이너 패널(221)의 곡률보다 클 수 있다. 그리고, 제2 아우터 패널(222)은 제1 이너 패널(221)과 만나 엣지(edge)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엣지는 제2 어퍼 바디(20)의 제2 전단(20F)과 제2 후단(20R)으로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2 전단(20F)은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수직선에 대해 후방으로 일정 각도(예각)만큼 기울어져 연장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2 후단(20R)은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수직선에 대해 전방으로 일정 각도(예각)만큼 기울어져 연장될 수 있다.
한편, 제1 어퍼 바디(10)와 제2 어퍼 바디(20)는 스페이스(S)를 사이에 두고 좌우로 대칭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아우터 패널(122)의 표면과 제2 아우터 패널(222)의 표면은 로어 바디(3)의 표면을 따라서 연장되는 가상의 곡면에 위치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1 아우터 패널(122)의 표면과 제2 아우터 패널(222)의 표면은 로어 바디(3)의 표면에 매끄럽게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제1 어퍼 바디(10)의 상면(121u)과 제2 어퍼 바디(20)의 상면(221u)은 수평면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블로어(1)는 전체적으로 원뿔대(truncated cone)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로써, 블로어(1)가 외부 충격에 의하여 전도될 위험성이 낮아질 수 있다.
그루브(31)는 제1 어퍼 바디(10)와 제2 어퍼 바디(20) 사이에 위치할 수 있고, 전후방향으로 길게 연장될 수 있다. 그루브(31)는 아래로 오목한 곡면일 수 있다. 그루브(31)는 제1 이너 패널(121)의 하변에 연결되는 제1 변(31a)과, 제2 이너 패널(221)의 하변에 연결되는 제2 변(31b)을 포함할 수 있다. 그루브(31)는 제1 이너 패널(121) 및 제2 이너 패널(221)과 함께 스페이스(S)의 경계를 정의할 수 있다. 한편, 그루브(31)는 연결홈 또는 연결면이라 칭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로어 바디(3)는 후술하는 필터(4), 제어부(5), 팬(6), 그리고 에어 가이드(7)가 설치되는 내부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필터(4)는 로어 바디(3)의 내부 공간에 분리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필터(4)는 전체적으로 실린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필터(4)는 필터(4)를 상하방향으로 관통하여 형성되는 홀(4P)을 포함할 수 있다. 내기(indoor air)는 팬(6)의 동작에 의해 흡입홀(3a, 도 1 참조)을 거쳐 로어 바디(3)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그리고, 로어 바디(3)의 내부로 유입된 내기는 필터(4)의 외주면으로부터 내주면으로 유동하며 정화될 수 있고, 홀(4P)을 거쳐 필터(4)의 상측으로 유동할 수 있다.
제어부(5)는 로어 바디(3)의 내부 공간에 설치될 수 있다. 제어부(5)는 블로어(1)의 각 구성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고, 블로어(1)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팬(6)은 로어 바디(3)의 내부 공간에 설치되고, 필터(4)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팬(6)은 블로어(1)의 내부로 유입되어 블로어(1)의 외부로 토출되는 공기의 유동을 일으킬 수 있다. 팬(6)은 팬 하우징(6a), 팬 모터(6b), 허브(6c), 쉬라우드(6d), 그리고 블레이드(6e)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팬(6)은 팬 어셈블리 또는 팬 모듈로 칭할 수 있다.
팬 하우징(6a)은 팬(6)의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팬 하우징(6a)은 전체적으로 실린더 형상을 지닐 수 있다. 벨 마우스(6f, bell mouth)는 팬 하우징(6a)의 하단에 위치할 수 있다. 흡입구(미부호)는 벨 마우스(6f)의 내측에 형성될 수 있고, 후술하는 쉬라우드(6d)로 공기를 제공할 수 있다.
팬 모터(6b)는 회전력을 제공할 수 있다. 팬 모터(6b)는 원심팬 또는 사류팬 모터일 수 있다. 팬 모터(6b)는 후술하는 모터 커버(7b)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이때, 팬 모터(6b)의 회전축은 팬 모터(6b)로부터 팬 모터(6b)의 하측으로 연장될 수 있고, 모터 커버(7b)의 하면을 관통할 수 있다. 허브(6c)는 상기 회전축에 고정될 수 있고, 상기 회전축과 함께 회전될 수 있다. 쉬라우드(6d)는 허브(6c)로부터 허브(6c)의 외측으로 이격될 수 있다. 복수개의 블레이드들(6e)은 허브(6c)와 쉬라우드(6d)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팬 모터(6b)가 구동되면, 공기는 상기 흡입구를 통해 팬 모터(6b)의 축 방향으로 유입될 수 있고, 팬 모터(6b)의 반경방향 및 그 상측으로 토출될 수 있다.
에어 가이드(7)는 팬(6)의 상측, 즉 팬(6)의 하류에 배치될 수 있고, 팬(6)으로부터 토출되는 공기가 유동하는 유로(7P)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유로(7P)는 환형의 유로일 수 있다. 에어 가이드(7)는 가이드 바디(7a), 모터 커버(7b), 그리고 베인(7c, vane)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에어 가이드(7)는 디퓨저라 칭할 수 있다.
가이드 바디(7a)는 에어 가이드(7)의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모터 커버(7b)는 에어 가이드(7)의 중앙부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가이드 바디(7a)는 실린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모터 커버(7b)는 볼(bowl)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전술한 환형의 유로(7P)는 가이드 바디(7a)와 모터 커버(7b)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복수개의 베인들(7c)은 환형의 유로(7P)에 배치될 수 있고, 가이드 바디(7a)의 원주방향으로 서로 이격될 수 있다. 복수개의 베인들(7c) 각각은 모터 커버(7b)의 외면으로부터 가이드 바디(7a)의 내주면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이로써, 복수개의 베인들(7c)은 팬(6)으로부터 유로(7P)로 제공된 공기를 에어 가이드(7)의 상측으로 가이드할 수 있다.
분배 유닛(8)은 에어 가이드(7)와 어퍼 바디(10, 2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분배 유닛(8)은 에어 가이드(7)를 통과한 공기가 유동하는 유로(8P)를 제공할 수 있다. 에어 가이드(7)를 통과한 공기는 분배 유닛(8)을 통해 제1 어퍼 바디(10)와 제2 어퍼 바디(20)로 분배될 수 있다. 한편, 분배 유닛(8)은 스플리터(splitter), 미들 바디, 이너 바디, 타워 베이스, 또는 노즐 타워 베이스라 칭할 수 있다.
제1 어퍼 바디(10)는 에어 가이드(7)와 분배 유닛(8)을 통과한 공기의 일부가 유동하는 제1 유로(10P)를 제공할 수 있다. 제1 유로(10P)는 제1 어퍼 바디(10)의 내부 공간에 형성될 수 있다. 제2 어퍼 바디(20)는 에어 가이드(7)와 분배 유닛(8)을 통과한 공기의 나머지가 유동하는 제2 유로(20P)를 제공할 수 있다. 제2 유로(20P)는 제2 어퍼 바디(20)의 내부 공간에 형성될 수 있다. 즉, 제1 유로(10P)와 제2 유로(20P)는 분배 유닛(8)의 유로(8P) 및 에어 가이드(7)의 유로(7P)와 연통될 수 있다.
도 1 및 3을 참조하면, 제1 어퍼 바디(10)는 전술한 제1 이너 패널(121)과 제1 아우터 패널(122) 외에, 제1 월(11, a first wall)을 구비할 수 있다. 제1 월(11)은 제1 이너 패널(121)과 제1 아우터 패널(122)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즉, 제1 패널(12)은 제1 월(11)을 둘러쌀 수 있다. 제1 월(11)은 제1 이너 패널(121)의 내측과 마주하는 제1 이너 월(111)과, 제1 아우터 패널(122)의 내측과 마주하는 제1 아우터 월(11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이너 월(111)은 제1 이너 패널(121)의 내측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제1 아우터 월(112)은 제1 아우터 패널(122)의 내측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제1 이너 월(111)과 제1 아우터 월(112)은 서로 결합될 수 있고, 제1 유로(10P)를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이너 패널(121)은 그루브(31)를 구비하는 그루브 바디(30)에 결합되거나 고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패널(12)은 제1 어퍼 바디(10)의 표면을 형성할 수 있고, 제1 월(11)은 공기가 유동하는 제1 유로(10P)를 제공할 수 있다.
제2 어퍼 바디(20)는 전술한 제2 이너 패널(221)과 제2 아우터 패널(222) 외에, 제2 월(21, a second wall)을 구비할 수 있다. 제2 월(21)은 제2 이너 패널(221)과 제2 아우터 패널(222)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즉, 제2 패널(22)은 제2 월(21)을 둘러쌀 수 있다. 제2 월(21)은 제2 이너 패널(221)의 내측과 마주하는 제2 이너 월(211)과, 제2 아우터 패널(222)의 내측과 마주하는 제2 아우터 월(212)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이너 월(211)은 제2 이너 패널(221)의 내측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제2 아우터 월(212)은 제2 아우터 패널(222)의 내측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제2 이너 월(211)과 제2 아우터 월(212)은 서로 결합될 수 있고, 제2 유로(20P)를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제2 이너 패널(221)은 그루브(31)를 구비하는 그루브 바디(30)에 결합되거나 고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패널(22)은 제2 어퍼 바디(20)의 표면을 형성할 수 있고, 제2 월(21)은 공기가 유동하는 제2 유로(20P)를 제공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제1 베인(16, a first vane)은 제1 유로(10P)에 설치될 수 있다. 제1 베인(16)은 제1 월(11)의 내측에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베인(16)은 제1 이너 월(111)과 제1 아우터 월(112, 도 3 참조) 사이에 위치할 수 있고, 제1 베인(16)의 우측 끝단은 제1 이너 월(111)의 내면에 결합되거나 고정될 수 있다.
제1 베인(16)은 후술하는 제1 어퍼 바디(10)의 제1 슬릿(10SL)에 인접할 수 있다. 제1 베인(16)은 위로 볼록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1 베인(16)의 후단은 제1 베인(16)의 전단의 상측에 위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베인(16)은 상하방향으로 서로 이격되는 복수개의 제1 베인들(16a, 16b, 16c)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제2 베인(26a, second vane)은 제2 유로(20P)에 설치되며, 제1 베인(16)에 대하여 전술한 내용이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도 5 참조).
이에 따라, 제1 베인(16)은 제1 유로(10P)에서 상승하는 공기를 후방으로 원활하게 가이드할 수 있다. 그리고, 제2 베인(16)은 제2 유로(20P)에서 상승하는 공기를 후방으로 원활하게 가이드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제1 연결부재(13)는 제1 유로(10P)에 위치할 수 있고, 제1 베인(16)의 후단이 연결될 수 있다.
제1 연결부재(13)는 제1 이너 월(111)로부터 후방을 향해 좌측으로 경사지게 연장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연결부재(13)는 제1 어퍼 바디(10)의 제1 후단(10R)에 인접할 수 있고, 제1 아우터 월(112)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 개구(LO)의 일부는 제1 연결부재(13)와 제1 아우터 월(112) 사이에 위치할 수 있고, 전방을 향해 우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개구(LO)는 제1 유로(10P)와 연통될 수 있다. 한편, 제1 개구(LO)는 제1 토출구 또는 제1 마우스라 칭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유로(10P)를 유동하는 공기는 제1 베인(16)에 의해 후방으로 가이드될 수 있고, 제1 개구(LO)의 입구로 유입될 수 있다.
제1 슬릿(10SL)은 제1 어퍼 바디(10)의 제1 후단(10R)에 인접할 수 있고, 제1 이너 패널(121)을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제1 슬릿(10SL)은 제1 어퍼 바디(10)의 제1 후단(10R)을 따라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제1 슬릿(10SL)은 제1 개구(LO)의 출구일 수 있다. 이로써, 제1 슬릿(10SL)은 제1 유로(10P)를 유동하는 공기를 스페이스(S)로 토출할 수 있다. 한편, 제1 슬릿(10SL)은 제1 토출홀이라 칭할 수 있다.
제2 연결부재(23)는 제2 유로(20P)에 위치할 수 있고, 제2 베인(26)의 후단이 연결될 수 있다.
제2 연결부재(23)는 제2 이너 월(211)로부터 후방을 향해 우측으로 경사지게 연장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연결부재(23)는 제2 어퍼 바디(20)의 제2 후단(20R)에 인접할 수 있고, 제2 아우터 월(212)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이 경우, 제2 개구(RO)의 일부는 제2 연결부재(23)와 제2 아우터 월(212) 사이에 위치할 수 있고, 전방을 향해 좌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2 개구(RO)는 제2 유로(20P)와 연통될 수 있다. 한편, 제2 개구(RO)는 제2 토출구 또는 제2 마우스라 칭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유로(20P)를 유동하는 공기는 제2 베인(26)에 의해 후방으로 가이드될 수 있고, 제2 개구(RO)의 입구로 유입될 수 있다.
제2 슬릿(20SL)은 제2 어퍼 바디(20)의 제2 후단(20R)에 인접할 수 있고, 제2 이너 패널(221)을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제2 슬릿(20SL)은 제2 어퍼 바디(20)의 제2 후단(20R)을 따라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제2 슬릿(20SL)은 제2 개구(RO)의 출구일 수 있다. 이로써, 제2 슬릿(20SL)은 제2 유로(20P)를 유동하는 공기를 스페이스(S)로 토출할 수 있다. 한편, 제2 슬릿(20SL)은 제2 토출홀이라 칭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연결부재(13)와 제2 연결부재(23)는 좌우로 대칭될 수 있고, 제1 슬릿(10SL)과 제2 슬릿(20SL)은 서로 마주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 개구(LO)는 제2 슬릿(20SL)의 전방을 향해 경사지거나 굽어지며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개구(RO)는 제1 슬릿(10SL)의 전방을 향해 경사지거나 굽어지며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제1 슬릿(10SL)과 제2 슬릿(20SL)은 블로어(1, 도 1 참조)의 전방에서 후방을 바라보는 사용자의 시선으로부터 숨겨질 수 있다.
제1 슬롯(10H, 도 1 참조)은 제1 어퍼 바디(10)의 제1 전단(10F)에 인접할 수 있고, 제1 이너 패널(121)을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제1 슬롯(10H)은 제1 전단(10F)을 따라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제1 댐퍼(19)는 제1 공간(19S)에 설치될 수 있고, 제1 슬롯(10H)을 따라서 길게 연장될 수 있다. 제1 댐퍼(19)는 호(arc) 형상의 횡 단면을 지닐 수 있다. 제1 무빙 어셈블리(미도시)는 제1 공간(19S)에 설치될 수 있고, 제1 댐퍼(19)를 제1 댐퍼(19)의 원주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댐퍼(19)는 제1 슬롯(10H)을 폐쇄할 수 있고, 제1 슬롯(10H)을 통과할 수 있다.
제2 슬롯(20H, 도 1 참조)은 제2 어퍼 바디(20)의 제2 전단(20F)에 인접할 수 있고, 제2 이너 패널(221)을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제2 슬롯(20H)은 제2 전단(20F)을 따라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제2 댐퍼(29)는 제2 공간(29S)에 설치될 수 있고, 제2 슬롯(20H)을 따라서 길게 연장될 수 있다. 제2 댐퍼(29)는 호(arc) 형상의 횡 단면을 지닐 수 있다. 제2 무빙 어셈블리(미도시)는 제2 공간(29S)에 설치될 수 있고, 제2 댐퍼(29)를 제2 댐퍼(29)의 원주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댐퍼(29)는 제2 슬롯(20H)을 폐쇄할 수 있고, 제2 슬롯(20H)을 통과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2 댐퍼(29)는 제1 댐퍼(19)와 대칭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 무빙 어셈블리는 상기 제1 무빙 어셈블리와 대칭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제1 또는 제2 무빙 어셈블리는 전기모터의 회전력을 제1 또는 제2 댐퍼(19, 29)에 전달할 수 있는 랙-피니언 결합 구조, 풀리-벨트 결합 구조, 또는 링크 결합 구조 등을 구비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면, 상기 제1 또는 제2 무빙 어셈블리는 액츄에이터의 구동력을 제1 또는 제2 댐퍼(19, 29)에 전달할 수 있는 커넥팅 구조 등을 구비할 수 있다.
도 5 및 6을 참조하면, 제2 슬릿(20SL)은 제2 유로(20P)를 유동하는 공기를 스페이스(S)로 토출할 수 있다. 제2 슬릿(20SL)은 제2 어퍼 바디(20)의 제2 후단(20R)에 인접하고, 제2 이너 패널(221)을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제2 슬릿(20SL)은 제2 후단(20R)을 따라서 길게 연장될 수 있다. 이때, 제2 슬릿(20SL)은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수직선(V)에 대해 전방으로 일정 각도(예각)로 기울어져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2 슬릿(20SL)은 제2 후단(20R)과 평행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면, 제2 슬릿(20SL)은 제2 후단(20R)과 평행하지 않을 수 있다. 이 경우, 제2 슬릿(20SL)은 수직선(V)에 대해 제1 각도(theta 1, 예: 4도)로 기울어질 수 있고, 제2 후단(20R)은 수직선(V)에 대해 제1 각도(theta 1)보다 작은 제2 각도(theta 2, 예: 3도)로 기울어질 수 있다.
한편, 제1 슬릿(10SL)과 제2 슬릿(20SL)은 좌우방향에서 서로 마주하면서 대칭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제1 이너 패널(121)과 제2 이너 패널(221)은 서로 마주할 수 있고, 스페이스(S)의 좌우 경계를 형성할 수 있다. 제1 이너 패널(121)과 제2 이너 패널(221) 사이의 간격은 후방에서 전방으로 갈수록 작아지다가 다시 커질 수 있다. 상기 간격은 스페이스(S)의 폭일 수 있다.
제1 간격(B1)은 제1 어퍼 바디(10)의 제1 전단(10F)과 제2 어퍼 바디(20)의 제2 전단(20F) 사이의 간격으로 정의될 수 있다. 제2 간격(B2)은 제1 어퍼 바디(10)의 제1 후단(10R)과 제2 어퍼 바디(20)의 제2 후단(20R) 사이의 간격으로 정의될 수 있다. 제2 간격(B2)은 제1 간격(G1)과 동일하거나 다를 수 있다. 기준 간격(B0)은 제1 이너 패널(121)과 제2 이너 패널(221) 사이의 간격 중 최소일 수 있다.
도 7 및 8을 참조하면, 블로어(1)의 제1 상태에서, 제1 댐퍼(19)의 말단은 제1 슬롯(10H)에 삽입되거나 은닉될 수 있고, 제2 댐퍼(29)의 말단은 제2 슬롯(20H)에 삽입되거나 은닉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 댐퍼(19)의 말단은 제1 이너 패널(121)의 표면과 연속적인 면을 형성할 수 있고, 제2 댐퍼(29)의 말단은 제2 이너 패널(221)의 표면과 연속적인 면을 형성할 수 있다.
공기는 팬(6, 도 2 참조)의 동작에 대응하여 제1 슬릿(10SL)과 제2 슬릿(20SL)으로부터 스페이스(S)로 토출될 수 있다. 그리고, 스페이스(S)로 토출된 공기는 제1 이너 패널(121)의 표면과 제2 이너 패널(221)의 표면을 따라서 전방으로 유동할 수 있다.
이러한 공기의 유동은 어퍼 바디(10, 20) 주위의 공기가 스페이스(S)로 유입(entrainment)되거나 제1 아우터 패널(122)의 표면과 제2 아우터 패널(222)의 표면을 따라서 전방으로 이동하게 되는 기류를 형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블로어(1)는 사용자 등에게 풍부한 풍량의 기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9 및 10을 참조하면, 블로어(1)의 제2 상태에서, 제1 댐퍼(19)의 일부는 제1 슬롯(10H)을 통과하여 스페이스(S)에 위치할 수 있고, 제2 댐퍼(29)의 일부는 제2 슬롯(20H)을 통과하여 스페이스(S)에 위치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 댐퍼(19)의 말단과 제2 댐퍼(29)의 말단은 서로 맞닿거나 인접할 수 있다.
공기는 팬(6, 도 2 참조)의 동작에 대응하여 제1 슬릿(10SL)과 제2 슬릿(20SL)으로부터 스페이스(S)로 토출될 수 있다. 그리고, 스페이스(S)로 토출된 공기는 제1 이너 패널(121)의 표면과 제2 이너 패널(221)의 표면을 따라서 전방으로 유동하다가 제1 댐퍼(19)와 제2 댐퍼(29)에 의해 가로막혀 위로 상승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블로어(1)는 상승 기류를 제공할 수 있고, 블로어(1)가 설치된 실내 공간의 공기를 순환시킬 수 있다.
도 11 및 12를 참조하면, 제2 댐퍼(29)는 제2 슬롯(20H)을 따라서 길게 연장될 수 있다. 제2 댐퍼(29)는 제2 월(21)과 제2 패널(22) 사이의 공간인 제2 공간(29S, 도 5 참조)에 배치될 수 있고, 제2 슬롯(20H)을 관통할 수 있다.
상기 및 후술하는 제2 댐퍼(29), 제2 댐퍼(29)를 이동시키는 구성, 및 제2 댐퍼(29)와 결합되는 구성에 대한 설명은 제1 댐퍼(19, 도 5 참조), 제1 댐퍼(19)를 이동시키는 구성, 및 제1 댐퍼(19)와 결합되는 구성에 대하여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도 13을 참조하면, 제2 댐퍼(29)의 길이는 제2 댐퍼(29)의 폭보다 클 수 있다. 예를 들면, 제2 댐퍼(29)의 길이는 제2 댐퍼(29)의 폭보다 대략 15배 클 수 있다.
제2 댐퍼(29)의 상단(29U)은 제1 단변(first short side)이라 칭할 수 있고, 제2 댐퍼(29)의 하단(29D)은 제2 단변(second short side)이라 칭할 수 있다. 제2 댐퍼(29)의 전단(29F)은 제1 장변(first long side)이라 칭할 수 있고, 제2 댐퍼(29)의 후단(29R)은 제2 장변(second long side)이라 칭할 수 있다.
이때, 도 9 및 10을 참조하여 전술한 블로어(1)의 상기 제2 상태에서, 제2 댐퍼(29)의 전단(29F)은 제1 댐퍼(19)의 전단과 접촉할 수 있다
어퍼 홀더(296, upper holder)는 제2 댐퍼(29)의 상단(29U)과 후단(29R)에 인접할 수 있고, 제2 댐퍼(29)의 내면에 고정될 수 있다. 로어 홀더(297, lower holder)는 제2 댐퍼(29)의 하단(29D)과 후단(29R)에 인접할 수 있고, 제2 댐퍼(29)의 내면에 고정될 수 있다.
도 14를 참조하면, 어퍼 홀더(296)는 어퍼 고정부(2960), 어퍼 랙(2961, upper rack), 어퍼 수평 리브(2962), 그리고 어퍼 수직 리브(2963)를 포함할 수 있다.
어퍼 고정홀(2960a, 2960b)은 어퍼 고정부(2960)를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스크류와 같은 체결부재는 어퍼 고정홀(2960a, 2960b)을 관통하여 제2 댐퍼(29, 도 13 참조)의 내면에 체결될 수 있다.
어퍼 랙(2961)은 어퍼 고정부(2960)의 내면에 형성될 수 있다. 어퍼 랙(2961)은 제1 어퍼 고정홀(2960a)과 제2 어퍼 고정홀(2960b)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어퍼 랙(2961)은 제2 댐퍼(29, 도 5 참조)의 곡률을 따라서 굽어질 수 있다.
어퍼 수평 리브(2962)는 어퍼 고정부(2960)의 내면에서 수평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어퍼 수평 리브(2962)는 어퍼 랙(2961)의 상측에 위치할 수 있다.
어퍼 수직 리브(2963)는 어퍼 수평 리브(2962)의 말단에서 상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어퍼 수직 리브(2963)는 어퍼 랙(2961)의 곡률을 따라서 굽어질 수 있다.
도 14 및 15를 참조하면, 어퍼 가이드(294)는 제1 어퍼 가이드(294a)와 제2 어퍼 가이드(294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어퍼 가이드(294a)의 마운트(294a1)는 제2 공간(29S, 도 5 참조)에서 제2 월(21)의 외면에 고정될 수 있다(도 17 참조). 예를 들면, 어퍼 가이드 그루브(미도시)는 제1 어퍼 가이드(294a)의 하면에 형성될 수 있고, 어퍼 수직 리브(2963)의 이동을 가이드할 수 있다.
제2 어퍼 가이드(294b)는 어퍼 수직 리브(2963)에 대하여 제1 어퍼 가이드(294a)와 대향할 수 있다. 제2 어퍼 가이드(294b)는 제1 어퍼 가이드(294a)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어퍼 가이드 리브(294c)는 제2 어퍼 가이드(294b)의 상면에 형성될 수 있고, 어퍼 수직 리브(2963)의 이동을 가이드할 수 있다. 이때, 어퍼 가이드 리브(294c)는 어퍼 수직 리브(2963)의 곡률을 따라서 굽어질 수 있다. 또한, 제2 어퍼 가이드(294b)는 어퍼 수평 리브(2962)의 하면을 지지하는 플레이트(294d)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제1 샤프트 홀더(294e)는 제2 어퍼 가이드(294b)의 하면에서 하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제1 홀(294ea)은 제1 샤프트 홀더(294e)의 내측에 형성될 수 있다.
도 16 및 17을 참조하면, 모터(298)는 제2 어퍼 가이드(294b)의 하측에서 제2 어퍼 가이드(294b)에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결합부(294b1, 249b2)는 제2 어퍼 가이드(294b)의 일측에 형성될 수 있고, 제2 결합부(298b1, 283b2)는 모터(298)의 일측에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2 결합부(298b1, 298b2)는 제1 결합부(294b1, 294b2)에 체결될 수 있다.
그리고, 모터(298)의 회전축(298a)은 모터(298)의 상면에서 제2 어퍼 가이드(294b)를 향해 돌출될 수 있다. 구동 기어(292b)는 회전축(298a)에 고정될 수 있다. 제1 피니언(292a)은 구동 기어(292b)에 맞물릴 수 있고, 샤프트(291S)의 상단에 인접한 샤프트(291S)의 외주면에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제1 피니언(292a)은 어퍼 랙(2961, 도 14 참조)에 맞물릴 수 있다. 여기서, 샤프트(291S)는 제2 댐퍼(29)를 따라서 길게 연장될 수 있다. 샤프트(291S)의 상단은 제1 홀(294ea, 도 15 참조)에 삽입될 수 있고, 제1 샤프트 홀더(294e, 도 15 참조)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 경우, 제2 댐퍼(29)의 길이방향 축, 샤프트(291S)의 길이방향 축, 제1 피니언(292a)의 회전중심 축, 구동 기어(292b)의 회전중심 축, 그리고 회전축(298a)은 서로 평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샤프트(291S)의 길이방향 축은 수직선(VL)에 대하여 일정 각도(theta, 예각)만큼 기울어질 수 있다. 각도(theta)는 수직선(VL)과 제2 슬롯(20H, 도1 참조) 사이의 각도와 실질적으로 같을 수 있다.
도 18을 참조하면, 로어 홀더(297)는 로어 고정부(2970), 로어 랙(2971, lower rack), 로어 수평 리브(2972), 그리고 로어 수직 리브(2973)를 포함할 수 있다.
로어 고정홀(2970a, 2970b)은 로어 고정부(2970)를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스크류와 같은 체결부재는 로어 고정홀(2970a, 2970b)을 관통하여 제2 댐퍼(29, 도 13 참조)의 내면에 체결될 수 있다.
로어 랙(2971)은 로어 고정부(2970)의 내면에 형성될 수 있다. 로어 랙(2971)은 제1 로어 고정홀(2970a)과 제2 로어 고정홀(2970b)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로어 랙(2971)은 제2 댐퍼(29, 도 5 참조)의 곡률을 따라서 굽어질 수 있다.
로어 수평 리브(2972)는 로어 고정부(2970)의 내면에서 수평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로어 수평 리브(2972)는 로어 랙(2971)의 하측에 위치할 수 있다.
로어 수직 리브(2973)는 로어 고정부(2970)의 하단에서 하측으로 연장될 수 있고, 로어 수평 리브(2972)와 교차할 수 있다. 로어 수직 리브(2973)는 로어 랙(2971)의 곡률을 따라서 굽어질 수 있다.
도 18 및 19를 참조하면, 로어 가이드(295)는 로어 홀더(297)의 하측에서 로어 홀더(297)에 결합될 수 있다.
로어 가이드(295)의 마운트(295a)는 제2 공간(29S, 도 5 참조)에서 제2 월(21)의 외면에 고정될 수 있다(도 20 참조). 예를 들면, 로어 가이드 그루브(295c)는 로어 가이드(295)의 상면에 형성될 수 있고, 로어 수직 리브(2973)의 이동을 가이드할 수 있다. 이때, 로어 가이드 그루브(295c)는 로어 수직 리브(2973)의 곡률을 따라서 굽어질 수 있다. 또한, 로어 가이드(295)의 일부는 로어 수평 리브(2972)의 하면을 지지할 수 있다.
한편, 제2 샤프트 홀더(295d)는 로어 가이드(295)의 상면에서 상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제2 홀(295da)은 제2 샤프트 홀더(295d)의 내측에 형성될 수 있다.
도 19 및 20을 참조하면, 샤프트(291S)의 하단은 제2 홀(295da)에 삽입될 수 있고, 제2 샤프트 홀더(295d)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제2 피니언(293)은 샤프트(291S)의 하단에 인접한 샤프트(291S)의 외주면에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제2 피니언(293)은 로어 랙(2971)에 맞물릴 수 있다.
이 경우, 제2 피니언(293)의 회전중심 축은 샤프트(291S)의 길이방향 축과 동축(coaxial)일 수 있다.
이에 따라, 모터(298, 도 17 참조)가 구동되면, 제2 댐퍼(29)는 블로어의 제1 상태(도 7 및 8 참조)와 제2 상태(도 9 및 10 참조) 사이에서 움직일 수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제1 댐퍼(19)도 블로어의 제1 상태(도 7 및 8 참조)와 제2 상태(도 9 및 10 참조) 사이에서 움직일 수 있다
도 21 및 22를 참조하면, 제2 댐퍼(29)는 어퍼 보스(29a, 29b, upper boss)와 로어 보스(29c, 29d, lower boss)를 포함할 수 있다.
어퍼 보스(29a, 29b)는 제2 댐퍼(29)의 상단(29U)과 후단(29R)에 인접할 수 있고, 제2 댐퍼(29)의 내면 및/또는 외면에 형성될 수 있다. 제1 어퍼 보스(29a)는 어퍼 고정부(2960)의 제1 어퍼 고정홀(2960a, 도 14 참조)과 정렬될 수 있다. 제2 어퍼 보스(29b)는 어퍼 고정부(2960)의 제2 어퍼 고정홀(2960b, 도 14 참조)과 정렬될 수 있다. 즉, 스크류와 같은 체결부재는 어퍼 고정홀(2960a, 2960b, 도 14 참조)을 관통하여 어퍼 보스(29a, 29b)에 체결될 수 있다.
로어 보스(29c, 29d)는 제2 댐퍼(29)의 하단(29D)과 후단(29R)에 인접할 수 있고, 제2 댐퍼(29)의 내면 및/또는 외면에 형성될 수 있다. 제1 로어 보스(29c)는 로어 고정부(2970)의 제1 로어 고정홀(2970a, 도 18 참조)과 정렬될 수 있다. 제2 로어 보스(29d)는 로어 고정부(2970)의 제2 로어 고정홀(2970b, 도 18 참조)과 정렬될 수 있다. 즉, 스크류와 같은 체결부재는 로어 고정홀(2970a, 2970b, 도 18 참조)을 관통하여 로어 보스(29c, 29d)에 체결될 수 있다.
바(299, bar)는 제2 댐퍼(29)의 후단(29R)을 따라서 길게 연장될 수 있다. 바(299)는 제2 댐퍼(29)의 후단(29R)에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2 댐퍼(29)는 레진(resin)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바(299)는 철(Fe)이나 알루미늄(Al)과 같은 금속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바(299)는 제2 댐퍼(29)의 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제2 댐퍼(29)의 어퍼 보스(29a, 29b)에 대응하는 부분은 어퍼 홀더(296, 도 13 참조)에 의해 강성이 향상될 수 있다. 제2 댐퍼(29)의 로어 보스(29c, 29d)에 대응하는 부분은 로어 홀더(297, 도 13 참조)에 의해 강성이 향상될 수 있다. 이때, 바(299)의 상단은 어퍼 보스(29a, 29b)와 인접할 수 있고, 바(299)의 하단은 로어 보스(29c, 29d)와 인접할 수 있다. 즉, 제2 댐퍼(29)의 어퍼 보스(29a, 29b)와 로어 보스(29c, 29d) 사이에 위치한 부분은 바(299)에 의해 강성이 향상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댐퍼(29)의 강성은 전체적으로 향상될 수 있다. 한편, 바(299)는 엣지 커버(edge cover), 스트립(strip), 또는 보강부(reinforcement part)라 칭할 수 있다.
다시 도 3 및 21을 참조하면, 제1 아우터 월(112)은 제1 베이스 월(1121)과 제1 마운트 월(112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베이스 월(1121)은 제1 이너 월(111)과 마주하며 제1 유로(10P)의 경계를 형성할 수 있다. 제1 마운트 월(1122)은 제1 베이스 월(1121)에서 상측으로 연장될 수 있고, 어퍼 홀더(196)와 인접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 댐퍼(19)의 후단(19R)에 고정되는 바(199, bar)의 상단은 제1 베이스 월(1121)의 상측에 위치할 수 있다(도 21의 d11 참조). 이에 따라, 바(199)는 제1 댐퍼(19)의 제1 유로(10P)에 대응하는 부분(즉, 제1 슬릿(10SL, 도 4 참조)에서 토출되어 스페이스(S)를 통과하는 공기의 유로 상에 위치한 부분) 뿐만 아니라, 제1 댐퍼(19)의 다른 부분의 강성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전술한 내용은 제2 댐퍼(29) 및 이에 결합되는 바(299)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도 23 및 24를 참조하면, 제2 댐퍼(29)는 커브드될 수 있다. 제2 댐퍼(29)의 외면(292)의 곡률 반경(r20)은 제2 댐퍼(29)의 내면(291)의 곡률 반경(r10)보다 클 수 있다. 즉, 제2 댐퍼(29)의 외면(292)의 곡률은 제2 댐퍼(29)의 내면(291)의 곡률보다 작을 수 있다.
바(299)는 탄성을 지닐 수 있다. 바(299)는 제1 파트(299a), 제2 파트(299b), 그리고 제3 파트(299d)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파트(299a)는 제2 댐퍼(29)의 후단(29R)과 마주할 수 있다. 제2 파트(299b)는 제1 파트(299a)에서 굽어질 수 있고, 제2 댐퍼(29)의 외면(292)과 마주할 수 있다. 제3 파트(299d)는 제1 파트(299a)에서 굽어질 수 있고, 제2 댐퍼(29)의 내면(291)과 마주할 수 있다. 즉, 제2 댐퍼(29)의 일부는 제2 파트(299b)와 제3 파트(299d)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파트(299a)에 대한 제2 파트(299b)의 길이는 제1 파트(299a)에 대한 제3 파트(299d)의 길이보다 일정 길이(d30)만큼 클 수 있다. 즉, 제2 댐퍼(29)의 두께방향에서, 제2 파트(299b)의 일부는 제3 파트(299d)와 중첩될 수 있다.
돌출부(29t)는 제2 댐퍼(29)의 외면(292)에서 제2 파트(299b)를 향해 돌출될 수 있고, 제2 댐퍼(29)의 후단(29R)과 인접할 수 있다. 돌출부(29t)는 제2 댐퍼(29)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길게 연장될 수 있다. 돌출부(29t)는 제2 댐퍼(29)와 일체(one body)로 형성될 수 있다. 돌출부(29t)는 경사부(29t1), 수평부(29t2), 그리고 수직부(29t3)를 포함할 수 있다. 경사부(29t1)는 돌출부(29t)와 제2 댐퍼(29) 사이의 경계(도 24의 점선 참조)에 대하여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수평부(29t2)는 경사부(29t1)에 연결될 수 있고, 상기 경계에 나란하게 형성될 수 있다. 수직부(29t3)는 수평부(29t2)에 연결될 수 있고, 상기 경계에 수직하게 형성될 수 있다.
걸림부(299c)는 제2 파트(299b)의 말단에서 제2 댐퍼(29)를 향해 돌출될 수 있다. 제2 댐퍼(29)에 대한 바(299)의 결합 과정에서, 걸림부(299c)는 경사부(29t1)와 수평부(29t2) 상에서 슬라이딩된 후 수직부(29t3)에 걸릴 수 있고, 제3 파트(299d)는 제2 댐퍼(29)의 내면(291)과 접촉할 수 있다. 제2 댐퍼(29)와 바(299)의 분리 과정에서, 바(299)는 벌어질 수 있고, 걸림부(299c)는 수직부(29t3)에서 걸림 해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바(299)는 제2 댐퍼(29)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걸림부(299c)의 말단은 라운드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돌출부(29t)에 대한 걸림부(299c)의 결합 및 분리가 부드럽게 이루어질 수 있다.
강성부(299e)는 제3 파트(299d)의 내면에서 외측으로 프레스 되면서 형성될 수 있다. 제1 갭(g10)은 제2 댐퍼(29)의 내면(291)과 강성부(299e)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강성부(299e)는 바(299)의 강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그 결과 제2 댐퍼(29)의 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실시 예에 따라, 바(299)는 전술한 강성부(299e) 외에 제1 파트(299a), 제2 파트(299b), 및/또는 제3 파트(299d)에 형성되는 강성부를 추가로 구비할 수도 있다.
도 25를 참조하면, 제2 갭(g20)은 제2 댐퍼(29)의 외면(292)과 제2 파트(299b)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이너 돌기(299f)는 제2 파트(299b)의 내면에서 제2 댐퍼(29)의 외면(292)을 향해 돌출될 수 있고, 제2 갭(g20)에 위치할 수 있다. 이너 돌기(299f)의 말단은 제2 댐퍼(29)의 외면(292)과 접촉할 수 있고, 제2 댐퍼(29)의 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이너 돌기(299f)는 돌출부(29t)를 따라서 길게 연장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면, 이너 돌기(299f)는 돌출부(29t)의 길이방향에서 서로 이격되는 복수개의 이너 돌기들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2 및 26을 참조하면, 핀(29g, pin)은 제2 댐퍼(29)의 외면(292)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핀(29g)은 제2 댐퍼(29)의 길이방향에서 서로 이격되는 복수개의 핀들(29g1, 29g2, 29g3)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돌출부(29t)는 핀(29g)을 사이에 두고 서로 이격되는 복수개의 돌출부들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파트(299b)는 핀(29g)을 커버할 수 있다. 핀(29g)은 게이트(gate)라 칭할 수 있다.
도 27을 참조하면, 가이드 돌기(299g)는 제2 파트(299b)의 내면에서 제3 파트(299d)를 향해 돌출될 수 있고, 돌출부(29t)의 상단 상에 위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가이드 돌기(299g)는 제2 댐퍼(29)에 대한 바(299)의 결합을 가이드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가이드 돌기(299t)가 돌출부(29t)의 상단과 접촉된 상태에서, 바(299)를 제2 댐퍼(29)에 결합시킬 수 있다.
도 1 내지 27을 참조하면, 블로어는: 공기의 유동을 일으키는 팬; 상기 팬이 설치되는 내부 공간을 제공하고, 흡입홀이 형성되는 로어 바디; 상기 로어 바디의 상측에 위치하고, 상기 로어 바디의 상기 내부 공간과 연통되고, 제1 토출홀이 형성되는 일면을 구비하는 제1 어퍼 바디; 상기 로어 바디의 상측에 위치하고, 상기 로어 바디의 상기 내부 공간과 연통되고, 제2 토출홀이 형성되는 일면을 구비하는 제2 어퍼 바디; 상기 제1 어퍼 바디의 상기 일면과 상기 제2 어퍼 바디의 상기 일면 사이에 형성되는 스페이스; 상기 제1 어퍼 바디의 상기 일면을 관통하고, 상기 제1 어퍼 바디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댐퍼;로서, 상기 스페이스를 향하는 일단과, 상기 일단에 반대되는 타단을 구비하는 제1 댐퍼; 상기 제2 어퍼 바디의 상기 일면을 관통하고, 상기 제2 어퍼 바디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댐퍼;로서, 상기 스페이스를 향하는 일단과, 상기 일단에 반대되는 타단을 구비하는 제2 댐퍼; 상기 제1 댐퍼의 상기 타단을 따라서 연장되고, 상기 제1 댐퍼의 상기 타단에 결합되는 제1 바; 그리고, 상기 제2 댐퍼의 상기 타단을 따라서 연장되고, 상기 제2 댐퍼의 상기 타단에 결합되는 제2 바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댐퍼와 상기 제2 댐퍼는, 상기 스페이스에 대하여 서로 대칭될 수 있다.
상기 제1 댐퍼의 이동방향은 상기 제2 댐퍼의 이동방향과 반대될 수 있고, 상기 제1 댐퍼의 상기 일단은, 상기 제1 댐퍼의 이동방향에서, 상기 제2 댐퍼의 상기 일단과 마주할 수 있다.
상기 제1 바는: 상기 제1 댐퍼의 상기 타단과 마주하는 제1 파트; 상기 제1 파트의 일단에서 굽어지고, 상기 제1 댐퍼의 외면과 마주하는 제2 파트; 그리고, 상기 제1 파트의 타단에서 굽어지고, 상기 제1 댐퍼의 내면과 마주하는 제3 파트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1 댐퍼의 일부는, 상기 제2 파트와 상기 제3 파트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1 댐퍼는, 호(arc) 형상의 횡단면을 지닐 수 있고, 상기 호의 길이방향에서 이동 가능할 수 있고, 상기 제1 바는, 탄성을 지닐 수 있고, 상기 제1 댐퍼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1 댐퍼의 상기 외면의 곡률 반경은, 상기 제1 댐퍼의 상기 내면의 곡률 반경보다 클 수 있고, 상기 제1 댐퍼는: 상기 제1 댐퍼의 상기 외면에서 상기 제2 파트를 향해 돌출되고, 상기 제1 댐퍼의 후단과 인접하는 돌출부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1 바는: 상기 제2 파트의 말단에서 상기 제1 댐퍼를 향해 돌출되고, 상기 돌출부에 걸리는 걸림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돌출부는: 상기 돌출부와 상기 제1 댐퍼 사이의 경계에 대하여 경사지게 형성되는 경사부; 상기 경사부에 연결되고, 상기 경계에 대하여 나란하게 형성되는 수평부; 그리고, 상기 수평부에 연결되고, 상기 경계에 수직하게 형성되며, 상기 걸림부가 걸리는 수직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걸림부의 말단은 라운드지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바는: 상기 제2 파트의 내면에서 상기 제3 파트를 향해 돌출되고, 상기 돌출부 상에 위치하는 가이드 돌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댐퍼는: 상기 제1 댐퍼의 상기 외면에 형성되고, 상기 제1 댐퍼의 길이방향에서 서로 이격되는 복수개의 핀들을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2 파트는, 상기 복수개의 핀들을 커버할 수 있다.
상기 제1 바는: 상기 제3 파트의 내면에서 외측으로 프레스 되면서 형성되는 강성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바는: 상기 제2 파트의 내면에서 상기 제1 댐퍼를 향해 돌출되고, 상기 제1 댐퍼의 상기 외면과 접촉하는 이너 돌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댐퍼는: 상기 제1 댐퍼의 내면에 형성되고, 상기 제1 댐퍼의 상단과 상기 타단에 인접하는 어퍼 보스; 그리고, 상기 제1 댐퍼의 내면에 형성되고, 상기 제1 댐퍼의 하단과 상기 타단에 인접하는 로어 보스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1 바의 상단은 상기 어퍼 보스와 인접할 수 있고, 상기 제1 바의 하단은 상기 로어 보스와 인접할 수 있다.
상기 블로어는: 상기 어퍼 보스에 체결되는 어퍼 홀더와, 상기 로어 보스에 체결되는 로어 홀더를 구비하는 제1 무빙 어셈블리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1 무빙 어셈블리는: 동력을 제공하는 모터; 상기 모터의 회전축에 고정되는 구동 기어; 상기 구동 기어와 맞물리는 제1 피니언; 상기 제1 피니언이 고정되는 샤프트; 그리고, 상기 샤프트에 고정되고, 상기 제1 피니언과 이격되는 제2 피니언을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어퍼 홀더는: 상기 어퍼 홀더에 형성되고, 상기 제1 피니언과 맞물리는 어퍼 랙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로어 홀더는: 상기 로어 홀더에 형성되고, 상기 제2 피니언과 맞물리는 로어 랙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댐퍼와 상기 제2 댐퍼는 레진(resin) 재질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1 바와 상기 제2 바는 금속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앞에서 설명된 본 개시의 어떤 실시예들 또는 다른 실시예들은 서로 배타적이거나 구별되는 것은 아니다. 앞서 설명된 본 개시의 어떤 실시예들 또는 다른 실시예들은 각각의 구성 또는 기능이 병용되거나 조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특정 실시예 및/또는 도면에 설명된 A 구성과 다른 실시예 및/또는 도면에 설명된 B 구성이 결합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즉, 구성 간의 결합에 대해 직접적으로 설명하지 않은 경우라고 하더라도 결합이 불가능하다고 설명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결합이 가능함을 의미한다.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Claims (15)

  1. 공기의 유동을 일으키는 팬;
    상기 팬이 설치되는 내부 공간을 제공하고, 흡입홀이 형성되는 로어 바디;
    상기 로어 바디의 상측에 위치하고, 상기 로어 바디의 상기 내부 공간과 연통되고, 제1 토출홀이 형성되는 일면을 구비하는 제1 어퍼 바디;
    상기 로어 바디의 상측에 위치하고, 상기 로어 바디의 상기 내부 공간과 연통되고, 제2 토출홀이 형성되는 일면을 구비하는 제2 어퍼 바디;
    상기 제1 어퍼 바디의 상기 일면과 상기 제2 어퍼 바디의 상기 일면 사이에 형성되는 스페이스;
    상기 제1 어퍼 바디의 상기 일면을 관통하고, 상기 제1 어퍼 바디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댐퍼;로서, 상기 스페이스를 향하는 일단과, 상기 일단에 반대되는 타단을 구비하는 제1 댐퍼;
    상기 제2 어퍼 바디의 상기 일면을 관통하고, 상기 제2 어퍼 바디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댐퍼;로서, 상기 스페이스를 향하는 일단과, 상기 일단에 반대되는 타단을 구비하는 제2 댐퍼;
    상기 제1 댐퍼의 상기 타단을 따라서 연장되고, 상기 제1 댐퍼의 상기 타단에 결합되는 제1 바; 그리고,
    상기 제2 댐퍼의 상기 타단을 따라서 연장되고, 상기 제2 댐퍼의 상기 타단에 결합되는 제2 바를 포함하는 블로어.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댐퍼와 상기 제2 댐퍼는,
    상기 스페이스에 대하여 서로 대칭되는 블로어.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댐퍼의 이동방향은 상기 제2 댐퍼의 이동방향과 반대되고,
    상기 제1 댐퍼의 상기 일단은,
    상기 제1 댐퍼의 이동방향에서, 상기 제2 댐퍼의 상기 일단과 마주하는 블로어.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바는:
    상기 제1 댐퍼의 상기 타단과 마주하는 제1 파트;
    상기 제1 파트의 일단에서 굽어지고, 상기 제1 댐퍼의 외면과 마주하는 제2 파트; 그리고,
    상기 제1 파트의 타단에서 굽어지고, 상기 제1 댐퍼의 내면과 마주하는 제3 파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댐퍼의 일부는,
    상기 제2 파트와 상기 제3 파트 사이에 위치하는 블로어.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댐퍼는,
    호(arc) 형상의 횡단면을 지니고, 상기 호의 길이방향에서 이동 가능하고,
    상기 제1 바는,
    탄성을 지니고, 상기 제1 댐퍼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블로어.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댐퍼의 상기 외면의 곡률 반경은,
    상기 제1 댐퍼의 상기 내면의 곡률 반경보다 크고,
    상기 제1 댐퍼는:
    상기 제1 댐퍼의 상기 외면에서 상기 제2 파트를 향해 돌출되고, 상기 제1 댐퍼의 후단과 인접하는 돌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바는:
    상기 제2 파트의 말단에서 상기 제1 댐퍼를 향해 돌출되고, 상기 돌출부에 걸리는 걸림부를 더 포함하는 블로어.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돌출부와 상기 제1 댐퍼 사이의 경계에 대하여 경사지게 형성되는 경사부;
    상기 경사부에 연결되고, 상기 경계에 대하여 나란하게 형성되는 수평부; 그리고,
    상기 수평부에 연결되고, 상기 경계에 수직하게 형성되며, 상기 걸림부가 걸리는 수직부를 더 포함하는 블로어.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의 말단은 라운드지게 형성되는 블로어.
  9.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바는:
    상기 제2 파트의 내면에서 상기 제3 파트를 향해 돌출되고, 상기 돌출부 상에 위치하는 가이드 돌기를 더 포함하는 블로어.
  10.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댐퍼는:
    상기 제1 댐퍼의 상기 외면에 형성되고, 상기 제1 댐퍼의 길이방향에서 서로 이격되는 복수개의 핀들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파트는,
    상기 복수개의 핀들을 커버하는 블로어.
  11.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바는:
    상기 제3 파트의 내면에서 외측으로 프레스 되면서 형성되는 강성부를 더 포함하는 블로어.
  12.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바는:
    상기 제2 파트의 내면에서 상기 제1 댐퍼를 향해 돌출되고, 상기 제1 댐퍼의 상기 외면과 접촉하는 이너 돌기를 더 포함하는 블로어.
  1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댐퍼는:
    상기 제1 댐퍼의 내면에 형성되고, 상기 제1 댐퍼의 상단과 상기 타단에 인접하는 어퍼 보스; 그리고,
    상기 제1 댐퍼의 내면에 형성되고, 상기 제1 댐퍼의 하단과 상기 타단에 인접하는 로어 보스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바의 상단은 상기 어퍼 보스와 인접하고,
    상기 제1 바의 하단은 상기 로어 보스와 인접하는 블로어.
  14.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어퍼 보스에 체결되는 어퍼 홀더와, 상기 로어 보스에 체결되는 로어 홀더를 구비하는 제1 무빙 어셈블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무빙 어셈블리는:
    동력을 제공하는 모터;
    상기 모터의 회전축에 고정되는 구동 기어;
    상기 구동 기어와 맞물리는 제1 피니언;
    상기 제1 피니언이 고정되는 샤프트; 그리고,
    상기 샤프트에 고정되고, 상기 제1 피니언과 이격되는 제2 피니언을 더 포함하고,
    상기 어퍼 홀더는:
    상기 어퍼 홀더에 형성되고, 상기 제1 피니언과 맞물리는 어퍼 랙을 포함하고,
    상기 로어 홀더는:
    상기 로어 홀더에 형성되고, 상기 제2 피니언과 맞물리는 로어 랙을 포함하는 블로어.
  1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댐퍼와 상기 제2 댐퍼는 레진(resin) 재질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바와 상기 제2 바는 금속 재질을 포함하는 블로어.
KR1020230041896A 2021-09-03 2023-03-30 블로어 KR2023004959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41896A KR20230049595A (ko) 2021-09-03 2023-03-30 블로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7649A KR102518293B1 (ko) 2021-09-03 2021-09-03 블로어
KR1020230041896A KR20230049595A (ko) 2021-09-03 2023-03-30 블로어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17649A Division KR102518293B1 (ko) 2021-09-03 2021-09-03 블로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49595A true KR20230049595A (ko) 2023-04-13

Family

ID=83191983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17649A KR102518293B1 (ko) 2021-09-03 2021-09-03 블로어
KR1020230041896A KR20230049595A (ko) 2021-09-03 2023-03-30 블로어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17649A KR102518293B1 (ko) 2021-09-03 2021-09-03 블로어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1773871B2 (ko)
EP (1) EP4144996A1 (ko)
KR (2) KR102518293B1 (ko)
CN (1) CN115750467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727455A (zh) * 2021-08-31 2023-03-03 Lg电子株式会社 送风机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0814835D0 (en) 2007-09-04 2008-09-17 Dyson Technology Ltd A Fan
US10184495B2 (en) * 2012-11-28 2019-01-22 Lasko Holdings, Inc. Air movement apparatus with improved air blending
CN206877265U (zh) * 2017-06-26 2018-01-12 华北电力大学(保定) 一种用于高性能cpu的新型无叶风扇散热器
JP6934598B2 (ja) * 2017-09-27 2021-09-15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送風装置、気流提供方法及び気流提供プログラム
CN208846680U (zh) 2018-09-30 2019-05-10 奥克斯空调股份有限公司 滑动门结构及空调器
KR102151236B1 (ko) * 2018-10-18 2020-09-02 엘지전자 주식회사 가습 공기청정기
KR20200089362A (ko) * 2019-01-16 2020-07-27 주식회사 위니아딤채 에어컨
CN209744554U (zh) 2019-02-20 2019-12-06 青岛海尔空调器有限总公司 空调器
WO2021075896A1 (ko) * 2019-10-18 2021-04-22 엘지전자 주식회사 블로어
CN110848957A (zh) 2019-11-18 2020-02-28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导风板、空调器
CN115003966A (zh) 2019-11-28 2022-09-02 Lg电子株式会社 空调
KR20210117649A (ko) 2020-03-19 2021-09-29 이순탁 신체 피부 관리 기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4144996A1 (en) 2023-03-08
US20230071587A1 (en) 2023-03-09
CN115750467A (zh) 2023-03-07
KR20230034641A (ko) 2023-03-10
KR102518293B1 (ko) 2023-04-04
US11773871B2 (en) 2023-10-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732763B2 (en) Fan assembly
KR101331488B1 (ko) 선풍기 조립체
US9534610B2 (en) Fan discharge duct having a scroll section
KR20230049595A (ko) 블로어
CN104047897B (zh) 离心式鼓风机组件和用于组装离心式鼓风机组件的方法
KR20140019106A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EP3875771B1 (en) Blower
CN108361853B (zh) 叶片调节机构和空气循环器
EP3922863A1 (en) Blower
KR20130103288A (ko) 공기조화기
KR20210098060A (ko) 송풍기
CN115750466A (zh) 送风机
US20230340960A1 (en) Blower
US20240102691A1 (en) Blower
KR102541404B1 (ko) 블로어
KR102572846B1 (ko) 블로어
CN110595028A (zh) 风道部件及具有其的空调器
CN220726669U (zh) 吊顶风扇和风扇灯
KR20230057819A (ko) 블로어
US20230122270A1 (en) Blower
US20240035702A1 (en) Air cleaner
KR20130071150A (ko) 공기 토출 유닛
KR20210135066A (ko) 공기청정기
KR20230163329A (ko) 에어클린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