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49182A - 폐기저귀에서 회수되는 펄프를 재활용한 방수시트 - Google Patents

폐기저귀에서 회수되는 펄프를 재활용한 방수시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49182A
KR20230049182A KR1020210131859A KR20210131859A KR20230049182A KR 20230049182 A KR20230049182 A KR 20230049182A KR 1020210131859 A KR1020210131859 A KR 1020210131859A KR 20210131859 A KR20210131859 A KR 20210131859A KR 20230049182 A KR20230049182 A KR 202300491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ulp
reinforcing layer
waste
waterproof sheet
synthetic res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318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57426B1 (ko
Inventor
전영철
Original Assignee
전영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영철 filed Critical 전영철
Priority to KR10202101318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57426B1/ko
Publication of KR202300491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491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574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574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1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next to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1/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bituminous or tarry substances
    • B32B11/1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bituminous or tarry substances next to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1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paper or cardboar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0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of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32B5/022Non-woven fabr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70Other properties
    • B32B2307/726Permeability to liquids, absorption
    • B32B2307/7265Non-permeab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Absorbent Articles And Supports Therefor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폐기저귀에서 회수되는 펄프를 재활용한 방수시트는: 면상 구조를 이루도록 구비된 합성수지재질의 베이스 층; 상기 베이스 층의 상부에 구비된 상부 보강층; 상기 베이스 층의 하부에 구비된 하부 보강층; 및, 상기 상부 보강층의 상부와 상기 하부 보강층의 하부에 각각 구비된 마감 보호층;을 포함하며,
상기 베이스 층은 부직포로 마련되고, 상기 상부 보강층과 하부 보강층은 폴리머 개량 아스팔트와 폐 기저귀의 껍데기 부분을 파쇄하여 얻어진 합성수지 및 펄프로 이뤄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여, 폐 기저귀에서 회수되는 합성수지 및 펄프가 방수시트에 적용되도록 함으로써, 펄프 성분에 의해 내열성이 향상되어 열변형이 최소화되고 인성이 강화되어 인장력에 대한 저항도 우수해지며 내구성이 증대되도록 할 수 있고, 고속도로, 터널, 건물 지하 주차장, 건물 옥상 등 다양한 곳에 활용되는 방수시트를 훨씬 저렴한 비용으로 제공하여 폐 기저귀의 무분별한 소각을 최소화하고 자원의 절약과 환경보전에 기여하도록 할 수 있는 폐기저귀에서 회수되는 펄프를 재활용한 방수시트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폐기저귀에서 회수되는 펄프를 재활용한 방수시트 {waterproof sheet comprising pulp recycled from waste diaper}
본 발명은 폐기저귀에서 회수되는 펄프를 재활용한 방수시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폐 기저귀에서 회수되는 합성수지 및 펄프가 방수시트에 적용되도록 함으로써, 펄프 성분에 의해 내열성이 향상되어 열변형이 최소화되고 인성이 강화되어 인장력에 대한 저항도 우수해지며 내구성이 증대되도록 할 수 있고, 고속도로, 터널, 건물 지하 주차장, 건물 옥상 등 다양한 곳에 활용되는 방수시트를 훨씬 저렴한 비용으로 제공하여 폐 기저귀의 무분별한 소각을 최소화하고 자원의 절약과 환경보전에 기여하도록 할 수 있는 폐기저귀에서 회수되는 펄프를 재활용한 방수시트에 관한 것이다.
현대 사회는 위생에 대한 관심이 증가함에 따라 다양한 위생용품의 사용이 급증하고 있는 추세이며 이에 따른 다양한 환경오염의 문제가 부각되고 있다. 그 중에서도 1회용 종이 기저귀의 경우 1명의 유아가 약 5.87개를 사용하며, 25 개월까지의 영유아가 기저귀를 사용할 시 약 5,000여 개의 기저귀가 사용된다고 알려져 있다.
또한, 서울특별시의 경우 하루에 180만 개의 1회용 기저귀가 사용되며 국내 전체로 볼 경우 약 24억 개의 기저귀가 소비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는 영유아 한 명당 189.7 kg의 목재와 109 kg의 화석연료가 소비되는 것과 같다. 나아가, 이는 722 그루의 나무를 소비하는 것과 같으며 국내의 유아가 모두 기저귀를 사용하는 경우 매년 제주도 면적의 절반 가량의 산림자원이 훼손된다.
상기와 같은 문제뿐만 아니라 폐 기저귀 처리의 문제점 또한 환경적으로 매우 부정적 영향을 미친다. 1회용 종이 기저귀는 지속적인 1회용품 사용 억제 정책에도 불구하고 사용량의 감소가 거의 없으며, 사용된 폐 기저귀는 전량 매립 또는 소각 처리되고 있고 매립시 100년 이상 썩지 않을 뿐만 아니라 소각 처리시 다이옥신과 같은 유해물질의 발생 등의 문제를 안고 있어, 기저귀 재활용에 대한 관심이 급증하고 있다.
한편, 한국 등록특허 10-1173181호에는 분리방지용 부직포를 구비한 방수시트를 개시하고 있으며, 상기 방수시트는, 천연섬유 또는 합성섬유로 이루어진 제1층(11)과, PE 또는 PP 수지를 열에 녹여 액상으로 만들어 상기 제1층(11)의 하부에 균일하게 분사하여 상기 제1층과 일체화시킨 제2층(12)으로 구성된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방수시트는 PE 또는 PP를 재활용하는 것이 아닌 일일이 새로운 것으로만 제조해야 하기 때문에 제작 원가가 높아지게 되고, 자원의 절약과 환경보전에 기여하는 것은 기대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종래의 방수시트는 열변형에 취약하고 인성(靭性)도 다소 높지 않아 외력에 의해 쉽게 변형되거나 손상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특허등록번호 제10-1173181호(2012년08월06일자 등록)
본 발명의 목적은, 폐 기저귀에서 회수되는 합성수지 및 펄프가 방수시트에 적용되도록 함으로써, 펄프 성분에 의해 내열성이 향상되어 열변형이 최소화되고 인성이 강화되어 인장력에 대한 저항도 우수해지며 내구성이 증대되도록 할 수 있고, 고속도로, 터널, 건물 지하 주차장, 건물 옥상 등 다양한 곳에 활용되는 방수시트를 훨씬 저렴한 비용으로 제공하여 폐 기저귀의 무분별한 소각을 최소화하고 자원의 절약과 환경보전에 기여하도록 할 수 있는 폐기저귀에서 회수되는 펄프를 재활용한 방수시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폐기저귀에서 회수되는 펄프를 재활용한 방수시트는: 면상 구조를 이루도록 구비된 합성수지재질의 베이스 층; 상기 베이스 층의 상부에 구비된 상부 보강층; 상기 베이스 층의 하부에 구비된 하부 보강층; 및, 상기 상부 보강층의 상부와 상기 하부 보강층의 하부에 각각 구비된 마감 보호층;을 포함하며,
상기 베이스 층은 부직포로 마련되고, 상기 상부 보강층과 하부 보강층은 폴리머 개량 아스팔트와 폐 기저귀의 껍데기 부분을 파쇄하여 얻어진 합성수지 및 펄프로 이뤄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상부 보강층과 하부 보강층은 폴리머 개량 아스팔트 50 중량%에 폐 기저귀의 껍데기 부분을 파쇄하여 얻어진 합성수지 및 펄프 50 중량%를 함께 용융 혼합하여 얻어진 재료로 상기 베이스 층의 상하에 적층 되도록 하여 구비된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상부 보강층과 하부 보강층의 합성수지 성분은 폐 기저귀의 껍데기 부분을 파쇄하여 얻어진 폴리에틸렌(PE)과 폴리프로필렌(PP)을 포함하며, 상기 상부 보강층과 하부 보강층의 펄프 성분은 폐 기저귀의 껍데기 부분을 파쇄한 후에도 핫멜트 융착에 의해 잔존한 10 ~ 20 중량%의 펄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폐 기저귀에서 회수되는 합성수지 및 펄프가 방수시트에 적용되도록 함으로써, 펄프 성분에 의해 내열성이 향상되어 열변형이 최소화되고 인성이 강화되어 인장력에 대한 저항도 우수해지며 내구성이 증대되도록 할 수 있고, 고속도로, 터널, 건물 지하 주차장, 건물 옥상 등 다양한 곳에 활용되는 방수시트를 훨씬 저렴한 비용으로 제공하여 폐 기저귀의 무분별한 소각을 최소화하고 자원의 절약과 환경보전에 기여하도록 할 수 있는 폐기저귀에서 회수되는 펄프를 재활용한 방수시트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폐기저귀에서 회수되는 펄프를 재활용한 방수시트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방수시트의 측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폐기저귀에서 회수되는 펄프를 재활용한 방수시트의 제조방법을 도시한 공정 흐름도,
도 4는 도 3의 방수시트의 제조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공정 시스템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다음에 소개되는 실시예 및 도면들은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로서 제공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사용되는 기술 용어 및 과학 용어에 있어서 다른 정의가 없다면, 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가 통상적으로 이해하고 있는 의미를 가지며, 하기의 설명 및 첨부 도면에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일 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첨부된 도면의 형태에 한정되는 것을 아니다.
본 발명에 따른 폐기저귀에서 회수되는 펄프를 재활용한 방수시트(10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면상 구조를 이루도록 구비된 합성수지재질의 베이스 층(110)과, 베이스 층(110)의 상부에 구비된 상부 보강층(120)과, 베이스 층(110)의 하부에 구비된 하부 보강층(130)과, 상부 보강층(120)의 상부와 하부 보강층(130)의 하부에 각각 구비된 마감 보호층(140)을 포함한다.
베이스 층(110)은 부직포로 마련된다.
본 발명에 따른 베이스 층(110)은 천연섬유 또는 합성섬유를 1헤베(㎡)당 50 ~ 190g 정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베이스 층(110)의 1헤베 당 천연섬유 또는 합성섬유 50g 미만을 사용하게 될 경우 시트의 제조시 온도가 70℃ 정도로 상승하면 열에 의해 부직포의 조직이 약해져 수축되기 때문에 시트에 주름이 생기게 될 수 있고, 베이스 층(110)의 1헤베 당 천연섬유 또는 합성섬유 190g을 초과하여 사용하게 될 경우 전체적으로 시트의 강도가 너무 단단해져서 시트의 넉 다운에 오히려 방해가 될 수 있기 때문이다.
여기서, 합성섬유는 내열성, 내후성 및 치수안정성이 우수하고, 방향성이 작아 모든 방향에 대하여 거의 동일한 물성을 나타내기 때문에 방수시트(100)의 부직포에 사용할 경우에는 시트의 동시 파단 혹은 지속적인 인장력에 대한 크리프(creep) 파단의 위험을 경감시킬 수 있다.
상부 보강층(120)과 하부 보강층(130)은 폴리머 개량 아스팔트와 폐 기저귀(5)의 껍데기 부분을 파쇄하여 얻어진 합성수지 및 펄프로 이뤄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폐 기저귀(5)에서 회수되는 합성수지 및 펄프가 방수시트(100)에 적용되도록 함으로써, 펄프 성분에 의해 내열성이 향상되어 열변형이 최소화되고 인성이 강화되어 인장력에 대한 저항도 우수해지며 내구성이 증대되도록 할 수 있고, 고속도로, 터널, 건물 지하 주차장, 건물 옥상 등 다양한 곳에 활용되는 방수시트(100)를 훨씬 저렴한 비용으로 제공하여 폐 기저귀(5)의 무분별한 소각을 최소화하고 자원의 절약과 환경보전에 기여하도록 할 수 있는 폐기저귀에서 회수되는 펄프를 재활용한 방수시트(100)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폴리머 개량 아스팔트를 대신하여 석유 아스팔트(스트레이트 아스팔트)에 고무(SBS)를 배합하여 석유 아스팔트의 감온성이나 점탄성적 성질을 개량한 작은 알맹이 형태의 개량 아스팔트가 사용되도록 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좀더 구체적으로, 상부 보강층(120)과 하부 보강층(130)은 폴리머 개량 아스팔트 50 중량%에 폐 기저귀(5)의 껍데기 부분을 파쇄하여 얻어진 합성수지 및 펄프 50 중량%를 함께 용융 혼합하여 얻어진 재료로 베이스 층(110)의 상하에 적층 되도록 하여 구비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부 보강층(120)과 하부 보강층(130)을 이루는 재료에 들어가게 되는 펄프 성분은 폐 기저귀(5)의 껍데기 부분 안쪽에 있던 대부분의 펄프(폐 기저귀(5)의 전체 중량 중 35~40 중량% 정도에 해당)를 긁어내고 난 뒤에 폐 기저귀(5)의 껍데기 부분과 함께 잔존하게 되는 펄프 성분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폐 기저귀(5)에서 회수되는 합성수지 및 펄프가 방수시트(100)에 적용되도록 함으로써, 상부 보강층(120)과 하부 보강층(130)의 조직 내에서 이를 견고하게 잡아주게 되는 섬유질의 펄프 성분에 의해 내열성이 향상되어 열변형이 최소화되고 인성이 강화되어 인장력에 대한 저항도 우수해지며 내구성이 증대되도록 할 수 있다.
즉, 상부 보강층(120)과 하부 보강층(130)은 개량 아스팔트, 합성수지 및 펄프가 함께 용융 혼합되어 얻어진 액상물질을 베이스 층(110)의 상면과 하면에 노즐 등으로 분사하여 일정한 두께를 갖도록 도포 되어 형성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서, 상부 보강층(120)과 하부 보강층(130)의 합성수지 성분은 폐 기저귀(5)의 껍데기 부분을 파쇄하여 얻어진 폴리에틸렌(PE)과 폴리프로필렌(PP)을 포함하며, 상부 보강층(120)과 하부 보강층(130)의 펄프 성분은 폐 기저귀(5)의 껍데기 부분을 파쇄한 후에도 핫멜트 융착에 의해 잔존한 10 ~ 20 중량%의 펄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종래에는 합성수지 성분과 펄프 성분 간의 비중 차이로 합성수지 성분에 펄프 성분을 함께 혼합시켜 섞으려고 하여도 펄프 성분의 첨가가 거의 불가능하였으나, 본 발명에 의하면 폐 기저귀(5)의 재생과정에서 합성수지 성분의 껍데기 부분에 그대로 고착된 상태로 남게 된 펄프 성분이 개량 아스팔트에 함께 혼합되어 상부 보강층(120)과 하부 보강층(130)으로 사용되도록 할 수 있기 때문에 제조 공정이 용이 해지고, 펄프 성분에 의해 내열성이 향상되어 열변형이 최소화되며 인성이 강화되어 인장력에 대한 저항도 우수해지고 내구성이 증대되도록 할 수 있으며, 고속도로, 터널, 건물 지하 주차장, 건물 옥상 등 다양한 곳에 활용되는 방수시트(100)를 훨씬 저렴한 비용으로 제공하여 폐 기저귀(5)의 무분별한 소각을 최소화하고 자원의 절약과 환경보전에 기여하도록 할 수 있다.
마감 보호층(140)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 층(110)의 상부와 하부에 상부 보강층(120)과 하부 보강층(130)이 형성된 후에 이들이 다른 곳에 접착되거나 권취 시 상호 접착되지 않도록 비닐 또는 PE 필름 등으로 마련되어 상부 보강층(120)과 하부 보강층(130)을 감싸며 보호하도록 구비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방수시트(100)를 일정한 길이(예컨대, 대략 50 ~ 100 m 정도)만큼 권취하여 현장에서 편리하게 사용될 수 있도록 안전하게 보호되며 운반되게 할 수 있고, 터널, 건물 옥상, 건물 지하 주차장과 같은 시공 현장에서는 권취 되어 있던 방수시트(100)를 풀어가며 열을 가하여 시공 부위에 손쉽고 간편하게 방수시트(100)의 부착 시공이 이뤄지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방수시트(100)의 제조방법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량의 폐 기저귀(5)를 파쇄기(10)에서 파쇄하며 이송되도록 하는 파쇄 단계(S10)와, 상기 파쇄 단계(S10)에서 파쇄된 조각들을 분쇄기(20,30)에서 더욱 갈아 분쇄하는 과정 중에 중력 차이를 이용하여 섬유 형태의 다량의 펄프 성분과 합성수지 성분들로 각각 분리되며 합성수지 성분과 함께 소량의 펄프 성분들만 따로 회수되도록 하는 분쇄 분리 단계(S20)와, 상기 분쇄 분리 단계(S20)를 거치며 회수된 폐 기저귀(5)의 껍데기 부분을 파쇄하여 얻어진 합성수지 및 펄프와 개량 아스팔트를 함께 고온에서 용융 혼합하는 보강재 용융혼합 단계(S30)와, 상기 보강재 용융혼합 단계(S30)를 거쳐 얻어진 액상물질을 베이스 층(110)의 상면과 하면에 분사 도포하여 상부 보강층(120) 및 하부 보강층(130)을 형성하는 보강층 적층 단계(S40)와, 상기 보강층 적층 단계(S40)를 거쳐 형성된 상부 보강층(120)의 상부와 하부 보강층(130)의 하부에 마감 보호층(140)이 형성되도록 하는 마감보호층 부착 단계(S50)를 포함한다.
상기 파쇄 단계(S1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량의 폐 기저귀(5)들을 세척한 후 파쇄기(10)를 향해 경사지게 배치된 이송 컨베이어를 따라서 이송되도록 하여 다량의 폐 기저귀(5)들이 파쇄기(10) 내부에서 회전되는 파쇄 커터에 의해 파쇄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서, 상기 파쇄 단계(S10)에서 파쇄되는 폐 기저귀(5)들은 대략 10 ~ 100 mm 정도의 크기로 파쇄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분쇄 분리 단계(S20)는 파쇄기(10)에서 파쇄된 폐 기저귀 조각들이 분쇄기(20,30)로 이송되어 분쇄기(20,30)의 내부에서 회전되는 분쇄 커터에 의해 더욱 잘게 분말에 가깝게 분쇄되며 분쇄된 미세 조각들 중 펄프 성분은 자중에 의해 가라앉게 될 때에 바닥에서 진공 흡입에 의해 빨아 들여져 펄프 저장 탱크(40)로 저장되도록 이송되고, PP(폴리프로필렌), PE(폴리에틸렌)와 같은 합성수지 성분들은 분쇄되는 동안 상측으로 날릴 때에 포획되어 소량의 펄프 성분들과 함께 합성수지 저장 탱크(50)로 따로 저장되도록 이송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서, 상기 분쇄 분리 단계(S20)에서 분쇄되는 폐 기저귀의 미세 조각들 중 펄프 성분은 대략 1 ~ 5 mm 정도 크기의 섬유질(fiber) 형태로 분쇄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분쇄 분리 단계(S20)는 2회 이상의 다단계로 연속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상기 분쇄 분리 단계(S20)가 2회 또는 그 이상의 다단계의 연속 공정으로 수행되도록 함으로써, 분쇄가 연속적으로 여러 번 수행되도록 하여 가공성이 우수한 보다 미세하고 고운 입자의 펄프 성분들이 재생 사용되게 회수되도록 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분쇄 분리 단계(S20)에서는 파쇄기(10)에서 파쇄된 폐 기저귀 조각들이 제1 분쇄기(20)로 이송되어 1차적으로 분쇄되고 분쇄된 펄프 성분들이 펄프 저장 탱크(40)로 저장 되도록 한 후, 제1 분쇄기(20)에서 펄프 성분으로 분류되지 않은 채 상측으로 날리게 되는 나머지 미세 조각들은 다시 제2 분쇄기(30)로 이송되어 2차적으로 분쇄되고 최종적으로 분쇄된 펄프 성분들이 펄프 저장 탱크(40)로 추가 저장 되도록 하며, 제2 분쇄기(30)에서 펄프 성분으로 분류되지 않은 채 상측으로 날리게 되는 나머지 합성수지 성분들은 합성수지 저장 탱크(50)로 이송되어 저장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폐 기저귀(5)가 상기 파쇄 단계(S10)와 상기 분쇄 분리 단계(S20)를 거치며 분쇄 및 파쇄됨으로써, 폐 기저귀(5)에서 PP, PE와 같은 합성수지 성분의 껍데기 부분 안쪽의 펄프 성분들(폐 기저귀(5)의 전체 중량 중 35~40 중량% 정도에 해당)만 최대한 깔끔히 회수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폐 기저귀(5)의 펄프 성분에 원래 포함되어 있던 고흡수성 물질인 쌤(SAM: Super Absorbent Material) 6 ~ 8 중량%도 펄프 성분들과 함께 회수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방수시트(100)에 사용되는 폐 기저귀(5)의 껍데기 부분에는 쌤이 1 ~ 2 중량% 정도로 잔존하게 되어 합성수지 성분 및 펄프 성분과 함께 회수된다.
이에 따라, 폐 기저귀(5)에서 회수된 합성수지와 소량의 재생 펄프가 방수시트(100)에 사용되도록 함으로써, 방수시트(100)에 수분 흡수 성능도 부가되어 내구성이 더욱 향상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보강재 용융혼합 단계(S30)는 합성수지 저장 탱크(50)에 저장된 합성수지 및 잔존 소량의 펄프 성분을 개량 아스팔트 알맹이들과 함께 고온에서 용융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후의 단계들은 앞서 언급된 사항들과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에 의해 설명되고 첨부된 도면에서 그 기술적인 면이 기술되었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은 그 설명을 위한 것이고, 그 제한을 두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기술적인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을 이하 후술 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 파쇄기 20 : 제1 분쇄기
30 : 제2 분쇄기 40 : 펄프 저장 탱크
50 : 합성수지 저장 탱크 100 : 방수시트
110 : 베이스 층 120 : 상부 보강층
130 : 하부 보강층 140 : 마감 보호층

Claims (3)

  1. 면상 구조를 이루도록 구비된 합성수지재질의 베이스 층(110);
    상기 베이스 층(110)의 상부에 구비된 상부 보강층(120);
    상기 베이스 층(110)의 하부에 구비된 하부 보강층(130); 및
    상기 상부 보강층(120)의 상부와 상기 하부 보강층(130)의 하부에 각각 구비된 마감 보호층(140);
    을 포함하며,
    상기 베이스 층(110)은 부직포로 마련되고,
    상기 상부 보강층(120)과 하부 보강층(130)은 폴리머 개량 아스팔트와 폐 기저귀(5)의 껍데기 부분을 파쇄하여 얻어진 합성수지 및 펄프로 이뤄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기저귀에서 회수되는 펄프를 재활용한 방수시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보강층(120)과 하부 보강층(130)은 폴리머 개량 아스팔트 50 중량%에 폐 기저귀(5)의 껍데기 부분을 파쇄하여 얻어진 합성수지 및 펄프 50 중량%를 함께 용융 혼합하여 얻어진 재료로 상기 베이스 층(110)의 상하에 적층 되도록 하여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기저귀에서 회수되는 펄프를 재활용한 방수시트.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보강층(120)과 하부 보강층(130)의 합성수지 성분은 폐 기저귀(5)의 껍데기 부분을 파쇄하여 얻어진 폴리에틸렌(PE)과 폴리프로필렌(PP)을 포함하며,
    상기 상부 보강층(120)과 하부 보강층(130)의 펄프 성분은 폐 기저귀(5)의 껍데기 부분을 파쇄한 후에도 핫멜트 융착에 의해 잔존한 10 ~ 20 중량%의 펄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기저귀에서 회수되는 펄프를 재활용한 방수시트.
KR1020210131859A 2021-10-05 2021-10-05 폐기저귀에서 회수되는 펄프를 재활용한 방수시트 KR1026574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31859A KR102657426B1 (ko) 2021-10-05 2021-10-05 폐기저귀에서 회수되는 펄프를 재활용한 방수시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31859A KR102657426B1 (ko) 2021-10-05 2021-10-05 폐기저귀에서 회수되는 펄프를 재활용한 방수시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49182A true KR20230049182A (ko) 2023-04-13
KR102657426B1 KR102657426B1 (ko) 2024-04-15

Family

ID=859788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31859A KR102657426B1 (ko) 2021-10-05 2021-10-05 폐기저귀에서 회수되는 펄프를 재활용한 방수시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57426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6884B1 (ko) * 2010-01-27 2010-05-11 주식회사 한양엔티 방수시트 및 이의 시공방법
KR101116662B1 (ko) * 2011-09-09 2012-03-07 정종윤 고분자 합성고무 및 폐플라스틱의 중합과 극성이 부여된 자착식 방수시트
KR101117183B1 (ko) * 2011-05-18 2012-03-07 (주)삼성방수 고분자 개질 아스팔트 조성물을 이용한 양면 자착식 매스틱 방수시트
KR101173181B1 (ko) 2010-09-15 2012-08-10 정홍순 분리방지용 부직포와 이를 구비한 방수시트 및 복합방수공법
KR101436550B1 (ko) * 2014-03-12 2014-09-03 (주)본텍 복합방수시트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6884B1 (ko) * 2010-01-27 2010-05-11 주식회사 한양엔티 방수시트 및 이의 시공방법
KR101173181B1 (ko) 2010-09-15 2012-08-10 정홍순 분리방지용 부직포와 이를 구비한 방수시트 및 복합방수공법
KR101117183B1 (ko) * 2011-05-18 2012-03-07 (주)삼성방수 고분자 개질 아스팔트 조성물을 이용한 양면 자착식 매스틱 방수시트
KR101116662B1 (ko) * 2011-09-09 2012-03-07 정종윤 고분자 합성고무 및 폐플라스틱의 중합과 극성이 부여된 자착식 방수시트
KR101436550B1 (ko) * 2014-03-12 2014-09-03 (주)본텍 복합방수시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57426B1 (ko) 2024-04-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976602B1 (en) Foldable insulated food box
ES2293585T3 (es) Metodo para procesar residuos plasticos para obtener material matriz; el material matriz y el material compuesto.
US5527409A (en) Method of making recycled tire roof sheeting
MX2012010041A (es) Metodo para reciclar materia laminado recubierto con un agente de liberacion y el uso del material reciclado obtenido.
DE50014061D1 (de) Sandwichplatte
TW200530473A (en) A sheet material, a block like sheet material, a method for producing a sheet material, a method for separating and retrieving a fiber fabrication layer unit and a backing layer from a tile carpet
KR20230049182A (ko) 폐기저귀에서 회수되는 펄프를 재활용한 방수시트
CN107874424A (zh) 一种易回收一次性餐盒
KR102657427B1 (ko) 폐기저귀에서 회수되는 펄프를 재활용한 흡수패드의 제조방법
CN109641373A (zh) 从复合结构体分离聚合物
CN205974779U (zh) 一种用于网格布废料的回收利用装置
KR100441835B1 (ko) 폐 섬유사를 이용한 재활용 칩의 제조방법
CN108312388A (zh) 分离装置及分离方法
CN105363765B (zh) 一种生活垃圾处理方法
Obiadi The positive impact of plastic recycling in the built environment, architecture and the waters of the world
KR102510005B1 (ko) 낙엽을 이용한 친환경 용기 제조 장치 및 방법과 친환경 용기
Pringle et al. Starting a waste plastics recycling business
KR102395416B1 (ko) 터널용 eco 방수시트 및 이의 제조 방법
ES2584537B1 (es) Material compuesto sustitutivo de la madera resultado de la agregación de productos destinados a vertederos, procedimiento de obtención y planta industrial necesaria para tal fin
Lodi Development of a sustainable circular economy system in the roofing and geo composites industries.
CN212077977U (zh) 一种生态防护隔离垫
KR20120040567A (ko) 폐 벽지를 이용한 제지용 또는 펄프 몰딩용 원료 제조방법
KR101047536B1 (ko) 폐 합성수지벽지 및 폐지 코팅 비닐을 이용한 건축용 또는 공업용 합성수지 원료 제조방법
JP2002301456A (ja) プラスチック複合パネル
JPH0780838A (ja) 粘着テープの耳部を再利用した成形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